KR20150068537A - 처방전의 김치류 일절 - Google Patents

처방전의 김치류 일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537A
KR20150068537A KR1020130153948A KR20130153948A KR20150068537A KR 20150068537 A KR20150068537 A KR 20150068537A KR 1020130153948 A KR1020130153948 A KR 1020130153948A KR 20130153948 A KR20130153948 A KR 20130153948A KR 20150068537 A KR20150068537 A KR 20150068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prescription
eat
medicin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완
Original Assignee
이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완 filed Critical 이제완
Priority to KR102013015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537A/ko
Publication of KR2015006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Abstract

처방전 김치류 신경통 처방전
(1) [승양제습탕 김치류] 처방 창출 5.62 택사 2.62 저령 2.62 진피 1.87 맥아 1.87 시호 2.62 승마 2.62 재료 배추 무 총각무 파 젓갈 냉이 고들빼기 고추 마늘 생강 청각 다시마 찹쌀풀 생선류 고기류 어패류 소금 배추 180-200 다른 것도 같은 량 목표: 음식생각이 없으며 곤권 무력한 것을 다스린다
1첩에 대한 량이며 먹는 량에 따라 약재의 량은 말고 다른 재료를 줄일 수도 늘릴 수도 있으며 매운 것도 조절할 수 있으며 백김치에는 생선류 고기류를 넣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처방의 약재는 달여놓고 김치의 원료는 절여놓으며 파와 생강 젓갈의 양념류를 갈거나 다져놓고 다시마는와 멸치는 국물을 내여놓으며 넣고 싶은 생선을 저미거나 토막을 쳐놓으며 고기도 마찬가지로 준비한다 찹쌀풀은 끓여서 식히며 식힌 처방의 약재달인 물로 김치의 소를 만들어 배추나 무 파 갓 냉이 씀바귀 고들빼기 등을 담는다 고들빼기 씀바귀 냉이 박주거리 등은 조금 삭히서 씻어 준비하여서 파와 다른 양념을 하여 담으며 배추 총각무 석박이 깍뚝기 등은와 배추김치는 절여서 잘 씻으며 소를 넣어도 되고 썰어서 담는 김치도 된다 또한 깍뚜기 석박지 등 채나물 등은 같은 크기로 썰어서 처방의 약재달인 물에 고추가루 파 생강 마늘 등과 젓갈류를 넣고 간을 맞추되 젓갈류를 많이 넣으면 비린내가 나무로 매실청을 조금 넣으면서 달기와의 간도 맞추어서 싱거우며 소금을 조금 넣으며 먹고 싶은 사람의 싱겁거나 적당히 짭짤하게 드시거나 한다 양념에 청각도 다져 넣으며 생선이나 어패류 고기 등은 넣치 않아도 되며 드실때에는 같은 처방끼리의 음식인 밥 죽 미음 면류 처방이 같은 음식이면 모두 먹어도 된다 그리고 떡 케익 빵 등도 묵 두부 등도 같이 먹어도 되나 빵이나 케익 등은 김치와는 어울리지 않으나 먹고싶으면 먹어도 된다 처방이 같은 것끼리 먹는다.
통증 등을의 통치약이며 습증의 통치약이다 여러명이 먹을시에는 계산하여 처방의 약재나 재료의 량이 결정하여 담는다
(2) 승습탕의 처방 김치 백출 11.25 부자 2.81 인삼 2.81 건강 1.81 백작약 2.81 감초 2.81 백복령 2.81 계지 2.81 김치류의 원료와 양념류의 원료 모두 같다 방법 같고 먹는 방법 처방이 같은 것끼리의 음식은 모두 괜잖으며 처방이 같은 것끼리는 먹지말아하 하며 처방이 다른 약을 먹을때 다른 약을 먹지 않는 것과 같이 한꺼번에 다른 처방전과 같이 않으며 시간차이를 두고 처방전이 틀린 음식을 먹는 것은 괜잖으나 한꺼번에 먹지 않으며 되도록이면 1주쯤은 처방전의 음식을 먹든 것을 중단하였다가 다른 처방전의 음식을 먹는 것은 괜잖으며 처방전이 같은 음식끼리 먹는다
(3) 승습탕의 처방 김치는 증습 습기로 얼굴이 부하고 광택이나는 경유에: 습지지나 비이슬이 내린 곳에 않거나 누워있었기 때문에 몸이 무겁고 설사를 하는 것을 다스린다.
(4) (불환금정기산 처방의 김치류) 처방 창출 7.5 곽향 3.75 후박 3.75 반하 3.75 감초 3.75 진피 3.75 김치의 원료인 재료와 양념류의 재료 넣고 싶은 재료를 준비하며 처방의 약재 달이는 것도 승양제습탕과 승습탕과 같으며 담그는 방법은 선택하며 먹는 방법 같고 준비과정 같으며 먹는 방법은 승습탕의 처방의 김치와 같다 목표 종습으로 부종이 생기는 경유이며 상한음중의 두통 신통 한열을 다스린다 활투 외감 및 협체에는 곽향정기산으로 다스린다.
(5) (곽향정기산 처방 김치) 준비과정 같으며 담그는 과정 먹는 과정 같다 처방 곽향 5.6 소옆 3.75 백지 1.87 대복피 1.87 진피 1.87 반하 1.87 길경 1.87 백봉령 1.87 후박 1.87 감초 1.87 목표 상한음증과
Figure pat00005
통증과 이증을 분간 백출 1.87 곽향정기산 처방 약재 담그는 과정 준비하는 과정 마찬가지이며 먹는 방법도 마찬가지이다 자기가 담어먹고 싶은데로 먹으나 다른 처방과의 음식은 먹지 않으며 약재의 용량은 지켜야 한다 여러 인분의 김치를 담글때는 약재의 용량을 게산하여 달여 담근다
목표 상한음증과 표증과 산통 등의 이증을 분간하지 않고 다스린다 이 약으로 도인 경략하면 변동하지 않는다 활투 남성과 목향을 가한 것을 성향정기산이라고 한다 대개 중기 중풍 담궐 식궐 등에 먼저 이 약 1-2첩을 써서 그기를 바로 잡은 후 증세에 따라 가감한 다음 치료한다.
① 복령 후박 진피 반하를 각 3.75
Figure pat00006
효력이 매우 좋으며 ②서에는 향유 7.5와 백편두 3.75를 가하는데 이를 여곽탕이라고 한다 ③ 식상협체에는 신사육 빈랑 샤인 지실 신곡을 가한다 ④ 외감에는 건갈 변향부자 강활을 가하고 두통에는 천궁을 가하며 지절통에는 목과를 가하고 오환에는 계지를 가한다 ⑤ 자현과 임산에는 사인을 가한다 ⑥ 부종에는 사령산을 합방하여 쓰는데 이렇게 하여 곽령탕이라고 하며 기천이 되면 소경을 가해도 좋다
(6) 인삼청기산 처방의 김치류(인삼 3.75 백출 3.75 적작약 3.75 당귀 3.75 시호 3.75 건갈 3.75 반하죽 3.75 감초 1.87 김치 담그는 방법 승양제습탕 김치류와 같고 담그는 방법은 자기 마음대로이며 먹는 방법은 같은 처방끼리의 음식만 먹으며 용량은 처방대로 잘지켜야 하며 다른 처방의 김치를 먹을 시에는 하루쯤 지나서 먹는 것이 좋다.
허로 골증 조열 무한을 다스리며 ① 다른 처방에는 황금이 있다 활투 밤에 열이나면 지골피와 별감을 가한다 혈기와 음기가 부족하고 골수가 고갈함으로서 생기는 병 발열 해수 객담 소변 혼탁 도한 유정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정신이 황홀해져 점점 쇠약해진다 뼈가 지릿지릿 지지는 것처람 아프다
(7) 사물탕 김치류의 처방 숙지황 4.68 천궁 4.68 백작약 4.68 당귀 4.68 준비과정 같으며 담그는 과정 같고 먹는 방법 같다 준비 야채류와 양념류
Figure pat00007
혈병을 통치한다 ① 각통 혈열에는 지백과 우술을 가한다 ② 허향에는 황금을 가하고 부평초가루를 가한다 ③ 봄에는 천궁을 배로하고 여름에는 작약을 배로한다 가을에는 지황을 배로하며 겨울에는 당귀를 배로한다 ④ 봄에는 방풍을 가하고 여름에는 황금을 가하며 가을에는 천문동을 가하고 겨울에는 계지를 가한다 활투 혈허의 증세로 월경이 고르지 못할 때에는 향부자 익모초 오수유 육계 인삼 등을 가하여 담근다 김치류나 밥류 장류 등의 모든 먹는 음식에서 뺀다 절대 사용금지이다.
(8) 삼기음 처방 김치류 삼기음 처방 숙지황 11.25 두충 3.75 백작약 3.75 육계 3.75 우술 3.75 세신 3.75 당귀 3.75 백지 3.75 구기자 3.75 부자 3.75 백복령 3.75 감초 3. 목표 풍한습 3기가 허해졌기 때문에 근골이 비통한 것과 이질후의 학술풍을 다스린다 용법 위의 약재들을 소주에 담구었다 서서히 약소주를 달여서 김치를 담가 먹는다 이 처방의 약재를 달여서 김치의 양념의 재료를 쓴다 혈류 기허에는 인삼을 가한다 ① 냉비로 굴신을 못하면 천산갑 전갈을 가하며 총백을 가하고 술을 조금 넣어 태워서 먹고 땀을 낸다 풍한습 3기가 허를 틈타 침습하면 근골비통 등의 병증을 일으키는 경우 삼기읍 처방의 김치류이다
(9) 오적산 처방의 김치류 처방 창출 7.5 백작약 3 마황 3 백봉령 3 진피 3.75 천궁 2.62 후박 3. 백지 2.62 질경 2.62-3 반하 2.62 지각 3 계피 2.62 당귀 3 감초 2.25 건강 3 승양제습탕과 준비과정 담그는 방법 먹는 방법 같으며 효능은 다르다 그리고 먹는 방법은 처방이 같은 것끼리의 음식을 먹으며 시간의 차이나 하루쯤 지나서 다른 처방이도 처방이 같은 것끼리 먹는다
풍한으로 인해 두통이 나고 몸이 아프며 사지가 역랭하고 가슴과 배가 아프며 구토설사가 나고 내상으로 인해 냉증의 증세가 보이는데 다스린다 ① 좌섭 어혈 종통에는 마황을 빼고 회향 목향 빈랑 도인 홍화를 가하며 ② 풍이신을 상하여 허리의 좌우가 결리거나 양발이 뻣뻣해지면 방풍과 전갈을 가하고 ③ 백지 계피를 제외하고 나머지 약재들을 초하면 속료 오적산이 된다 활투 외감협체에는 산사 신곡 빈랑을 가하며 ④ 회충이 동하면 오메화초를 가한다 ⑤ 산후복통과 협체의 어혈복통에는 마황을 빼고 현오색 3.75 산사 7.5 그람을 가하여 쓴다
(10) (행습유기산) 처방의 김치류 행습유기산의 처방 이아인 3.75 강활 3.75 백봉령 2.62 천오 1.87 방풍 1.87 창출 1.87 준비과정과 담그는 과정 먹는 방법 같고 자기가 담고 싶은대로 담그되 처방의 용량은 지키며 습비로 뼈마디가 쑤시고 아풀 경우에 목표 풍비 습비 한비로 수족이 부자유하고 번연한 것을 다스린다 위의 약미들을 작말하여 7.5씩 온주나 총백탕에 타서 마셔도 된다
약재의 량은 지키되 정도에 따라 조금 량을 더하거나 덜써도 좋으며 정량을 지킨다 먹는 방법은 처방이 같은 것끼리 먹는 것이 좋다.
(11) (신출산의 처방의 김치류) 신출산 김치 처방 창출 11.25 천궁 3.75 백지 3.75 세신 3.75 강활 고본 3.75 감초 3.75 준비과정 담그는 과정 먹는 방법 모두 같다 무로 안개와 이슬의 악기로 인하여 생기는 열병의 경우 등 안개 이슬 산바람 등을 맞아 두통이 나고 목이 뻣뻣한 것을 다스린다.
(12) 팔미원 처방의 김치류 팔미원 처방 숙지황 15. 산약 7.5 산수유 7.5 백복령 5.25 목단피 5.25 택사 5.25 육계 1.87 부자포 1.87 준비과정 담그는 과정 같으며 먹는 방법은 처방이 같은 것끼리 먹는다 목표 산수 부족을 다스린다 ① 명문양허를 다스린다
(13) 근골정 처방의 김치 숙지황 150미리그람 우슬 100 두충 100. 당귀 100 황백 100 창출 100 작약 100 황기 100 산약 100 오미자 100 보골지 100 인삼 100 구기자 100 토사자 100 백출 100 골쇄포 100 구판 100 방풍 50 방귀 50 강활 50 미리 준비과정 같으며 담그는 법 같고 먹는 방법 같으며 효능은 다르다. 용량은 처방과 같으면 좋다.
(14) 활활 윤조 생진음 김치 처방 천문동 3.75 당귀 3.75 맥문동 3.75 과루인 3.75 오미자 3.75 마자인 2.5 숙지황 3.75 생지황 3.75 천화분 3 감초 3 전과정 같다 목표 모든 소갈을 통치한다.
(15) (청심연자음) 김치 처방 연자 7.5 차전자 2.62 맥문동 2.62 지골피 2.62 감초 2.62 인삼 2.62 황귀 3.75 적복령 3.75 황금 2.62 전과정 같다 목표 심화가 타올라서 입이 마르고 번갈하여 소변이 붉고 심한 것을 다스린다 ① 소변이를 따라나오는 정액같은 것을 다스려 심화를 내리는데 좋다 ② 소변의 적탁과 백탁도 다스린다 이 약은 먹지 못해서 갈한 것을 다스린다
(16) 생진양혈탕 김치류 처방 당귀 3.75 백작약 생지황 3.75 맥문동 3.75 천궁 3 황련 3 천화분 2.62 지모 1.87 황백 1.87 연육 1.87 백하 천화분 감초 야채류 전과정 같고 효능 다르며 같은 처방끼리 먹는다.
(17) (인삼 백호)의 김치 처방 석고 1.87 인삼 3.75 지모 7.5 감초 2.62 전과정 같다 목표 땀이 많아나며 양명경의 병으로써 맥이 흉대한 것을 다스린다
(18) (백출산의 김치의 처방) 건갈 7.5 목향 3.75 곽향 3.75 감초 3.75 인삼 3.75 백출 3.75 백복령 3.75 전과정 같다 목표 전씨백출산이랗고 하고 청벙산이라고도 한다 ① 토사를 오래하여 진액이 말라 번만하고 내키는대로 인음해서된 만경에도 좋으며 ② 설사에는 산약 백편두 육두구를 가하며 ③ 만경에는 천마 세신 백부자를 가한다 ④ 7.5씩 임의로 쓴다 ⑤ 목향과 감초를 1.87씩 줄여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활투 대인이나 소아가 설사로 기탈하면 인삼을 증량하고 육두구 파고지 육두구를와 오수유를 가한다 ⑥ 요불리에는 택사 차전자를 가하며 ⑦ 상한의 어혈에는 서오는 설사를 하는데에도 좋다
(19) 육비지향원 김치 처방 숙지황 15 백복령 6.2 목단피 6.2 택사 6.2 산약 7.5 산수유 7.5 목표 산수부족을 다스린다 오미자를 7.5씩 가감하며 신기환이랗고 한다 명문양허를 다스린다 이는 당뇨로 오는 폐의 원천을 다스리며 폐의 원천을 자양하며 신수를 나게 하는 것이다 ② 부자포를 각 3.75씩 가하면 팔미원인데 양허를 다스리며 ③ 음허부종에는 우술과 차전자를 가하여 쓰는데 금궤 신기환이라고 하며 ④ 유뇨부도에는 택사를 빼고 인지인을 가하여 쓴다 ⑤ 노인 및 임부에는 전포에 택사를 배로하고 ⑥ 냉림으로 먼저 추워서 떨고 설하지 못하는데는 팔미원이 좋다 ⑦ 신기환에 오미자를 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용법 위의 약재들을 가루로 하여 오자대로 환을 지어 온주나 염탕으로 50-70알을씩 복용하기도 하고 김치의 육미지향원의 김치 처방 달일때 달여서 김치류에 사용하기도 한다 ⑧ 음허부분에는 숙지황을 줄이고 우술 차전자 계지 부자 등을 가하며 ⑨ 황달증세가 있을시에는 인진을 가한다 ⑩ 상한이 과경하여 허열이 불퇴하고 입이 조하고 혀가 마르고 맥이 허한 증세 등에는 맥문동, 귤피 등을 가한다 ⑪ 가감 팔미원을 구복하면 자연히 없어지며 소실되었으면 신기가 회복된 것이다
(20) (조위승기탕) 김치 처방 대황 15. 감초 3.75 망초 7.5 준비과정 담그는 과정 먹는 과정 같으며 효능 비위가 허약해서 화열이 훈중하므로 음식을 먹을수록 소화는 더욱 잘되나 몸은 더욱 파리해지고 구갈은 있으나 번조하지 않고 누런 감미의 소변을 자주누는 경우 하소 신수가 부족하여 화열이 하초해서 전오하므로 퇴술이 마르며 골절이 몹시 아프며 정수가 허탈되고 물은 많이 마시지 않되 골유고 같은 탁한 소변을 누는 경우에 조위승기탕의 처방 김치를 먹으며 약재의 달인 물을 먹는다.
(21) 활혈 윤조 생진음 김치 처방 천문동 3.75 맥문동 3.75 오미자 3.75 과루인 3.75 마자인 3.75 당귀 3.75 숙지황 3.75 생지황 3.75 천화분 3.75 감초 3.75 준비과 담그는 과정 같으며 먹는 방법 처방끼리 음식을 먹는다. 모든 소갈을 통치한다.
(22) (사물탕 김치 처방) 숙지황 4.68 천궁 4.68 백작약 4.68 당귀 4.68 준비과정 같고 담그는 과정 같으며 먹는 방법 처방이 같은 음식끼리 먹는다. 목표 혈병을 통치한다 ① 각통 혈일에는 지백과 우술을 가한다 ② 허양에는 황금을 가하고 부평초가루를 가한다 ③ 봄에는 천궁을 배로하고 여름에는 작약을 배로하며 가을에는 지황을 배로하고 겨울에는 당귀를 배로한다 ④ 봄에는 방풍을 가하고 여름에는 황금을 가하며 가을에는 천문동을 가하며 겨울에는 계지를 가한다 활투 혈허의 증세로 월경이 고르지 못할때는 향부자 익모초 오수유 육계 인삼 등을 가한다.
다음에 젓갈류나 생물인 굴 동태 낙지 오징어 등도 넣어도 무방하나 되도록이면 무하고 파는 빼는 것이 약효는 있다 그리고 과일로는 사과 배 등도 넣어도 무방하다 또한 냉이김치는 깨끗이 씻어서 고추가루와 젖깔류와 처방전의 약재달인 물에 쌀풀이나 밀가루 풀을 쑤워서 마늘 파 갓 청각 생강 등을 갈아서 버무려서 간을 맞추어 먹으며 고들빼기나 박주거리는 소금물에 삭히어서 깨끗이 씻어 물기 제거후 버무려서 오류에 담아 익힌 다음에 먹어도 되고 뭍힌 다음에 생으로 먹어도 되며 총각김치 깍뚜기 등은 넣어도 되고 않넣어도 무방하며 처방의 약재를 넣을시에는 같은 처방의 음식을 먹는다 매읍기는 자기가 맵지않게 먹고 싶으면 맵지않게 피망가루나 오이 고추 등과 고추가루 등을 석어서 담으면 된다 그리고 김치의 염도는 되도록이면 싱겁게 먹으며 중간 그리고 묵혀가며 먹을 것은 좀 짭짤하게 담근다.

Description

처방전의 김치류 일절{omitted}
.
.
상기의 처방의 김치는 약으로 복용하는 것은 먹어야 할 시간에 자꾸 까먹어서 먹지 못하여 효능이 떨어지는 것이 있는데 처방의 김치는 담을 때 번거로와서 그렇치 한번 번거로우면 식사때 처방이 같은 것끼리 먹으면 까먹지 않고 제때에 먹는 있점이 있다
제가 하고자 하는 것은 약을 먹어야 할 시기에 먹지 못해서 아픈사람의 처방마다의 음식으로써 따로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된다
처방마다의 김치를 담아서 먹으며 아픈부위의 처방전의 약재들을과의 김치를 같이 담아 먹으며 김치로도 치료의 목적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김치는 유산균이 있어 유산균도 같이 먹을 수 있으므로 좋을 것이고 처방전이 같은 음식과 갇이 먹으면 좋으며 다른 처방의 김치를 먹을시에는 시간차이를 두며 먹으며 1주쯤 먹든 김치를 처방이 없는 김치를 먹어서 먼저의 처방의 약재를의 기운이 걷히면 다른 처방의 김치류를 먹으면 한다 그리고 처방이 같은 것끼리의 음식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신경통 당뇨 등과 다른 아픈부위의 처방 등의 김치를 담아 밥을 먹을 경우는 약재와 같이 먹기 때문에 잃어버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발명이 자기보다는 음식으로 아푼데를 아픔을 덜하게 하는 발명이다.
도면 ①은 배추이며 도면 2는 무 도면 3은 마늘 생강 파 등이며 도면 ④ 파 청각 갓 미나리 김치의 재료로 쓸 수 있는 야채와 젓갈류 처방전의 약재
이하 처방전의 약재를 달여서 찌꺼기는 재탕하여 물이나 숭늉을 만들어 먹으며 배추김치의 재료 배추를 졀여서 다 절은 다음에는 씻어서 물기를 빼고 처방의 약재달인 물로 찹쌀가루 쌀가루 밀가루 감자가루를 석어서 풀을 쑤이식힌 다음에 고추가루 적당량 생강 마늘 파 등을 갈아서 버무려서 갓 쪽파 청각 미나리 젖깔류 등을 넣고 버무려 간을 맞추어서 포기김치를 담아 먹어도 되며 덜매웁게 담을려면은 오이 고추 피망 고추 등을 넣어 버무려서 김치를 담아도 되고 것절이도 버무려 먹으며 파김치 갓김치 냉이 박주거리 고들빼기 등과 다른 김치로 담아 먹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쉬지않게 보관한다
산업상으 가치는 모르나 지금의 현제에는 불편한 사람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으며 나 또한 몸이 아파 이번엔 처방의 당뇨김치와 신경통의 김치를 조금 담았으며 아직은 처방의 김치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으므로 아픈사람들의 고통을 덜기 위해서 이 김치를 담아 보았으며 앞으로 김치를 시판하였으면 하기에 처방의 김치를 담았으면 합니다.
도면 1은 배추이며 도면 ②는 무우이고 도면 3은 마늘 생강 파 등이며 도면 ④는 파 청각 갓 미나리 김치의 재료로 쓸 수 있는 야채와 젖깔류이다.

Claims (5)

  1. 처방의 김치류로써
  2. 배추김치 깍뚜기 총각무김치 파김치 갓김치 냉이김치 박주거리김치 고들빼기 김치 등의
  3. 처방마다의 김치와
  4. 책 등에 있는 처방마다의 김치류이다이고
  5. 과일과 견과류도 넣는다.
KR1020130153948A 2013-12-10 2013-12-10 처방전의 김치류 일절 KR20150068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948A KR20150068537A (ko) 2013-12-10 2013-12-10 처방전의 김치류 일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948A KR20150068537A (ko) 2013-12-10 2013-12-10 처방전의 김치류 일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537A true KR20150068537A (ko) 2015-06-22

Family

ID=5351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948A KR20150068537A (ko) 2013-12-10 2013-12-10 처방전의 김치류 일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5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851B1 (ko) * 2021-11-18 2022-04-20 김영희 기능성 갓김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851B1 (ko) * 2021-11-18 2022-04-20 김영희 기능성 갓김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5234A (zh) 一种醋蛋柠檬姜汁蜂蜜液的制作方法
KR20150068537A (ko) 처방전의 김치류 일절
CN103250769B (zh) 用于慢性鼻炎的保健用食疗饼干
CN103989132B (zh) 一种炖鸡肉料及其制备方法
CN103989209B (zh) 一种养心安神甲鱼汤及其制备方法
CN106474431A (zh) 一种养肝滋补膏
CN105360938A (zh) 一种保健鸡肉面
CN103989200B (zh) 一种即食果香甲鱼及其制备方法
CN104126826A (zh) 一种月子鸡汤的烹饪方法
CN106234828A (zh) 一种鸽场养鸽生物饲料
CN106071064A (zh) 一种羊场养羊生物饲料
CN104757381A (zh) 一种甘薯馅饼皮
CN104783045A (zh) 一种紫薯馅饼皮
CN105595214A (zh) 一种蜂蜜火腿肠
CN104286685A (zh) 一种驴肉包子及其制作方法
CN104256485A (zh) 一种北方火锅香料的调料配方
CN104366403A (zh) 一种乌发汤的调料配方
KR20210105557A (ko) 식단 예방의학을 할 수 있는 환식자재 제조방법
胡嘉 et al. Good Eating Habits and Health
CN103494192A (zh) 治疗溃疡出血的食疗组合物
CN104095262A (zh) 一种牛肚的食用加工制作工艺
CN106260797A (zh) 一种鸭场养鸭生物饲料
CN106173557A (zh) 一种龟场养龟生物饲料
CN102366111A (zh) 茴香包子馅及其制作方法
KR20190139424A (ko) 더많은 원소약수물과 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