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809B1 -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 Google Patents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809B1
KR101034809B1 KR1020110019032A KR20110019032A KR101034809B1 KR 101034809 B1 KR101034809 B1 KR 101034809B1 KR 1020110019032 A KR1020110019032 A KR 1020110019032A KR 20110019032 A KR20110019032 A KR 20110019032A KR 101034809 B1 KR101034809 B1 KR 101034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extract
ginseng
hours
ginse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전순애
최민휴
권이성
김영필
최소영
정승일
Original Assignee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유한회사 가피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유한회사 가피식품 filed Critical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1001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로 인삼을 증자하고 건조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홍삼에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을 넣고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Method for producing red ginseng extract with enhanced saponin content and red ginseng extract produced by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a)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로 인삼을 증자하고 건조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홍삼에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을 넣고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식물 분류학상으로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음지성 초본식물로서 오래전부터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어져 왔다. 인삼은 일반적으로 가공방법에 따라 백삼과 홍삼으로 구별되며 백삼은 밭에서 채굴한 가공되지 아니한 인삼 즉, 수삼을 그대로 건조한 것이고 홍삼은 수삼을 증숙하여 건조 가공한 것으로 제조과정 중에서 사포닌 변형과 아미노산 변화 그리고 갈변화 등의 여러 화학적인 변화가 수반된다. 특히 홍삼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인삼에는 존재하지 않는 홍삼만의 특유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2, Rg3, Rhl, Rh2 등의 사포닌 성분이 새로이 생성되며, 이러한 홍삼 특유 사포닌은 암예방 작용, 암세포 성장억제 작용, 혈압 강하작용, 뇌신경세포 보호 및 학습능력 개선작용, 항혈전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홍삼만의 탁월한 약리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홍삼은 건조되어 딱딱하게 경질화된 상태로써 이것을 직접 섭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홍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물로 추출해서 복용하게 되는데, 최근 들어서는 음용 및 보관이 편리한 추출물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선호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홍삼가공제품 대다수는 이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거나 그 자체로서 제품화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생산현장에서도 홍삼 추출물 제조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산현장에서의 홍삼 추출물 제조방법은 크게 추출공정, 여과공정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례화된 공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특히 홍삼 추출공정의 경우에는 생산자마다 추출방법이 달라 똑같은 품질의 홍삼원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생산된 홍삼 추출물의 품질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홍삼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추출용매와 추출온도 및 시간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홍삼 추출물의 품질 척도인 사포닌 함량이 달라지게 되는데 반해, 생산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정확한 과학적 근거없이 대부분 오랜 경험적인 방식에 따라 홍삼을 추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11038호에는 홍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홍삼 음료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의 사포닌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홍삼 추출물을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홍삼 추출물에 비해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로 인삼을 증자하고 건조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홍삼에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을 넣고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은 사포닌 함량이 증진되어 건강 지향의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여 기존의 홍삼 제품과는 차별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고, 효율적인 사포닌 함량을 가지는 식품류 및 차 등의 새로운 식품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농가의 생산력 향상 및 부가가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e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g1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f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b1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g2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6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c, Rb2 및 Rb3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7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h1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d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9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g4 및 Rg6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g3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a)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b)의 Rk1 및 Rg5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로 인삼을 증자하고 건조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홍삼에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을 넣고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사포닌은 Re, Rg1, Rg2, Rg3, Rg4, Rg5, Rg6, Rf, Rb1, Rb2, Rb3, Rc, Rd, Rh1 및 Rk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물에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넣고 50~70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추출물에 인삼을 넣은 후 5~7시간 동안 증자하고 50~70분 동안 방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방치한 인삼을 50~70℃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건조한 인삼을 1.5~2.5시간 동안 증자하고 20~28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7~9번 반복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의 제조된 홍삼에 상기 (a)단계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80~86℃에서 16~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 인삼을 햇볕에 24~30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b) 물 40000~60000 중량부에 솔잎 1800~2200 중량부, 갈근 2000~3000 중량부 및 다시마 400~600 중량부를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찜솥에 대나무를 얹은 후 그 위에 맥반석을 깔고 그 위에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인삼을 얹은 후 상기 (b)단계의 추출물을 넣고 85~95℃에서 1.5~2.5시간 동안 증자한 후 55~65℃에서 3~5시간 동안 증자하고 50~70분 동안 방치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증자 후 방치한 인삼을 50~70℃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건조한 인삼을 85~90℃에서 1.5~2.5시간 동안 증자하고 20~28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7~9번 반복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제조된 홍삼 2500~3500 중량부에 상기 (b)단계의 추출물 2000~3000 중량부를 첨가하여 80~86℃에서 16~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a) 인삼을 햇볕에 27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b) 물 50000 중량부에 솔잎 2000 중량부, 갈근 2500 중량부 및 다시마 500 중량부를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찜솥에 대나무를 얹은 후 그 위에 맥반석을 깔고 그 위에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인삼을 얹은 후 상기 (b)단계의 추출물을 넣고 90℃에서 2시간 동안 증자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증자하고 60분 동안 방치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증자 후 방치한 인삼을 60℃에서 3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건조한 인삼을 85~90℃에서 2시간 동안 증자하고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8번 반복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제조된 홍삼 3000 중량부에 상기 (b)단계의 추출물 2600 중량부를 첨가하여 83℃에서 2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단계에서 증자할 때 차가운 성질이 있는 대나무를 첨가함으로써, 몸에 열이 많아 인삼을 먹는 것을 꺼리는 사람에게도 양의 기운과 음의 기운의 조화를 잘 맞출 수 있으며, 정신을 맑게 하고, 페놀성분, 아미노산, 유기산 당류 등의 다양한 약리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포도상구균, 녹농균, 젖산균 등의 생육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단계에서 증자할 때 맥반석을 첨가함으로써, 원적외선 발산, 중금속, 농약성분과 같은 유해물질의 제거와 항균작용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f)단계의 홍삼은 주근과 세근을 6~8:2~4의 중량비율로 첨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3의 중량비율로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a) 인삼을 햇볕에 27일 동안 건조하였다.
(b) 물 50 L에 솔잎 2 kg, 갈근 2.5 kg 및 다시마 500 g을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c) 찜솥에 대나무를 얹은 후 그 위에 맥반석을 깔고 그 위에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인삼을 얹은 후 상기 (b)단계의 추출물을 넣고 90℃에서 2시간 동안 증자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증자하고 60분 동안 방치하였다.
(d) 상기 (c)단계의 증자 후 방치한 인삼을 60℃에서 3일 동안 건조하였다.
(e) 상기 (d)단계의 건조한 인삼을 85~90℃에서 2시간 동안 증자하고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8번 반복하여 홍삼을 제조하였다.
(f) 상기 (e)단계의 제조된 주근과 세근이 7:3의 중량비로 이루어진 홍삼 3 kg에 상기 (b)단계의 추출물 2600 mL를 첨가하여 83℃에서 20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의 사포닌 함량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과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홍삼 추출물(대조구)의 사포닌 함량은 하기 표 1 및 도 1~11과 같다.그 결과,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사포닌인 Re, Rg1, Rb1, Rc, Rb2, Rb3 및 Rd가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었으며, 대조구에 비해 Rf, Rg2, Rh1, Rg3, Rg4, Rg5, Rg6 및 Rk1의 함량이 증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포닌 함량
화합물 대조구 본 발명의 홍삼추출물
Re - 69.60
Rg1 - 59.65
Rf 10.00 49.71
Rb1 - 109.37
Rg2(S) 39.60 59.65
Rg2(R) 39.60 39.77
Rc - 109.37
Rb2 - 89.48
Rb3 - 89.48
Rh1(S) 10.00 59.65
Rd 49.71
Rg4 9.90 29.83
Rg6 29.70 39.77
Rg3(S) 60.00 119.31
Rg3(R) 70.00 109.37
Rk1 147.51 447.41
Rg5 108.91 268.44

Claims (5)

  1. (a) 물에 솔잎, 갈근 및 다시마를 넣고 50~70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추출물에 인삼을 넣은 후 5~7시간 동안 증자하고 50~70분 동안 방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방치한 인삼을 50~70℃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건조한 인삼을 1.5~2.5시간 동안 증자하고 20~28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7~9번 반복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의 제조된 홍삼에 상기 (a)단계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80~86℃에서 16~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포닌은 Re, Rg1, Rg2, Rg3, Rg4, Rg5, Rg6, Rf, Rb1, Rb2, Rb3, Rc, Rd, Rh1 및 Rk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a) 인삼을 햇볕에 24~30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b) 물 40000~60000 중량부에 솔잎 1800~2200 중량부, 갈근 2000~3000 중량부 및 다시마 400~600 중량부를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찜솥에 대나무를 얹은 후 그 위에 맥반석을 깔고 그 위에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인삼을 얹은 후 상기 (b)단계의 추출물을 넣고 85~95℃에서 1.5~2.5시간 동안 증자한 후 55~65℃에서 3~5시간 동안 증자하고 50~70분 동안 방치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증자 후 방치한 인삼을 50~70℃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건조한 인삼을 85~90℃에서 1.5~2.5시간 동안 증자하고 20~28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7~9번 반복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제조된 홍삼 2500~3500 중량부에 상기 (b)단계의 추출물 2000~3000 중량부를 첨가하여 80~86℃에서 16~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
KR1020110019032A 2011-03-03 2011-03-03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KR101034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032A KR101034809B1 (ko) 2011-03-03 2011-03-03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032A KR101034809B1 (ko) 2011-03-03 2011-03-03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809B1 true KR101034809B1 (ko) 2011-05-16

Family

ID=4436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032A KR101034809B1 (ko) 2011-03-03 2011-03-03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8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680B1 (ko) 2011-11-14 2011-12-15 유한회사 가피식품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KR101146104B1 (ko) * 2011-08-12 2012-05-16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알지3, 알지6 및 알지2를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제 및 그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제
KR101275497B1 (ko) * 2013-02-18 2013-06-20 정황진 사포닌 함량이 증강된 홍삼 및 상기 홍삼의 제조방법
KR101381507B1 (ko) * 2011-11-04 2014-04-04 고성권 초단파를 이용한 원형 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7486B1 (ko) 2013-03-14 2014-10-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220103474A (ko) * 2021-01-15 2022-07-22 (주)지더블유코퍼레이션 발효 흑더덕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927A (ko) * 2002-09-06 2004-03-11 차재영 호깨나무와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보조식품프로헤파-알지의 개발
KR20050038071A (ko) * 2003-10-21 2005-04-27 한국생약영농조합법인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
KR20070050624A (ko) * 2005-11-11 2007-05-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만성변비의 개선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927A (ko) * 2002-09-06 2004-03-11 차재영 호깨나무와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보조식품프로헤파-알지의 개발
KR20050038071A (ko) * 2003-10-21 2005-04-27 한국생약영농조합법인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
KR20070050624A (ko) * 2005-11-11 2007-05-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만성변비의 개선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104B1 (ko) * 2011-08-12 2012-05-16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알지3, 알지6 및 알지2를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제 및 그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제
KR101381507B1 (ko) * 2011-11-04 2014-04-04 고성권 초단파를 이용한 원형 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3680B1 (ko) 2011-11-14 2011-12-15 유한회사 가피식품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KR101275497B1 (ko) * 2013-02-18 2013-06-20 정황진 사포닌 함량이 증강된 홍삼 및 상기 홍삼의 제조방법
KR101447486B1 (ko) 2013-03-14 2014-10-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220103474A (ko) * 2021-01-15 2022-07-22 (주)지더블유코퍼레이션 발효 흑더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5780B1 (ko) 2021-01-15 2023-07-14 (주)지더블유코퍼레이션 발효 흑더덕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809B1 (ko)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KR101447486B1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CN101088352A (zh) 一种灵芝保健茶的制作方法
KR101769184B1 (ko)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274755B1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홍삼 및 상기 홍삼의 제조방법
CN104920701A (zh) 一种从绿茶中提取茶多酚的方法
KR101363074B1 (ko) 21종의 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기능성 홍삼 또는 홍삼가루 및 상기 기능성 사포닌 함량 증강 홍삼 또는 홍삼가루의 제조
RU262324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ного корня красного женьшеня
KR20190112498A (ko) 인삼 뿌리, 잎 및 열매를 이용한 전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5815B1 (ko) 특정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CN108164572B (zh) 一种利用石斛提取单宁酸的方法
KR20170061961A (ko) 무병장수 리큐르 제조방법
CN108324798A (zh) 一种少花龙葵的加工产品与用途
KR101064719B1 (ko)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방법
KR100857767B1 (ko) 인삼열매로부터 인삼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1366571B1 (ko) 사포닌 및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인삼 종자의 개갑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개갑된 인삼 종자
KR101921507B1 (ko) 인삼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KR101097664B1 (ko) 삼의 흑삼화 제조방법
CN104770638A (zh) 一种菠萝宣木瓜复合果蔬汁及其制备方法
KR101093680B1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KR101171038B1 (ko)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환
KR101275497B1 (ko) 사포닌 함량이 증강된 홍삼 및 상기 홍삼의 제조방법
KR101932438B1 (ko) 인삼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KR101029538B1 (ko)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분말의 제조방법
KR101295549B1 (ko)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분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