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908A -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908A
KR20110056908A KR1020090113411A KR20090113411A KR20110056908A KR 20110056908 A KR20110056908 A KR 20110056908A KR 1020090113411 A KR1020090113411 A KR 1020090113411A KR 20090113411 A KR20090113411 A KR 20090113411A KR 20110056908 A KR20110056908 A KR 20110056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tea
kelp
seaweed
tanger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제이네츄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제이네츄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제이네츄럴
Priority to KR1020090113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6908A/ko
Publication of KR2011005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90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전처리하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하는 단계; 및 상기 조분된 각 성분들을 볶음하는 단계, 상기 볶음된 성분들을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한방 혼합 침출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은 각 원료를 전처리함으로써 각 성분의 최적 침출 조건을 확립하여, 단기간에 각 성분들의 유용 성분들이 침출되어 최적의 기호도를 갖는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삼백초, 한방차

Description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of mixed herb medicine for leached tea}
본 발명은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전처리하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하는 단계; 및 상기 조분된 각 성분들을 볶음하는 단계, 상기 볶음된 성분들을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한방 혼합 침출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천연 한방 재료들은 치료약으로 뿐만 아니라, 일 생활에서 각종 음식 또는 음료의 주재료로서 또는 첨가제서도 흔히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 한방 재료들을 이용한 방법 중 하나가 차(茶)로서, 통상적으로 차라고 하면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음료로 가공한 제품을 의미하지만, 이외에도 각종 천연 한방 재료의 뿌리, 줄기, 잎 또는 열매 또한 차에 첨가하거나, 독립적인 차 재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차는 한방차로 통칭되곤 하였다.
한방차는 각종 천연 한방 약재를 단일 원료로 하여 제조되거나, 몇 가지 재료를 혼합한 혼합차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한방 혼합차의 경우, 종래 문헌에 예시된 재료들을 차에 적절하게 가공하여 제조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86-1289호 “한방 분말차의 제조 방법”에는 현재 한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한약재들을 수집하여 완전히 건조한 후 한방차 종류별로 한방제차를 특수처방 비법에 따라 일정량을 각각 혼합한 후 분쇄하여 완전한 분말로 제조하고 이들을 100℃이상의 끓는 물에 알맞은 분량으로 용해시켜 벌꿀을 첨가한 후 평상시 식용차로 복용할 수 있게 한 분말차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1216호 “니코틴 제거효과가 있는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에서와 같이 녹차, 도라지, 솔잎, 감국, 건강, 삼백초, 검정콩, 감초, 계피, 다시마, 파래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과립화한 것으로 각 원료의 적절한 배합 및 첨가물로서 포도당, 건강, 각종허브류, 향을 첨가하여 기호성을 증가시킨 혼합차가 새로운 기능적 목적을 위해 제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0787호 “녹차엽을 함유하는 혼합차 및 그 제조방법”에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한 녹차엽에 발아메밀 및/또는 표고버섯을 일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기호성이 개선되고 동시에 영양성분이 강화된 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10708호 “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타타리메밀, 결명자, 우롱차, 녹차, 둥글레, 구기자,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보이차, 인삼, 귤피, 뽕잎, 감잎, 삼백초 등 음용가능한 원료의 열수 추출물 조성물로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체내 지방흡수를 저해하고 체중감량에 효과적이라 알려진 천연 한방 재료를 탐색하고, 이들 중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호박 및 삼백초를 선별하고, 이들을 혼합한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다시마는 전통적인 해조식품으로서 대소사의 음식상에 국물요리나 고급요리의 조미료로 애용되어 왔다. 해조류 중에서 미역과 더불어 다시마 성분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일본과 한국에서도 알긴산을 주재로 한 음료가 상품화되었고, 다시마를 갈아서 퓨레를 만들어 조미료나 약용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음료로 상품화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마는 각종 영양성분과 알긴산, 푸고이단, 라미나린 등 생리활성성분과 크로로필 등의 수용성 식물섬유의 장내기능, 칼륨과 칼슘 등의 무기물과 비타민은 체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물질로서 음료로 개발한다면 현대인의 영양불균형이나 생리활성성분을 보충할 수 있어서 건강음료로서 기대가 모아진다. 다시마에 들어 있는 주요성분으로서 알긴산은 콜레스테롤 저하로 동맥경화 예방, 소금으로부터 오는 고혈압 예방, 중금속 배설로 중독 예방과 푸코이단은 콜레스테롤 저하로 동맥경화 예방, 혈전예방과 라미나린은 혈압강화작용으로 고혈압 예방과 푸코스테롤은 혈중콜레스테롤 저하로 동맥경화 예방과 클로로필은 입냄새 제거로 청량감과 EPA는 혈소판응집제로 혈전 예방과 식이섬유는 대장암 예방, 변비 예방, 당뇨병 예방과 칼슘은 골격강화와 골다공증 예방 및 혈압강하와 마그네슘은 심장병 예방과 철은 빈혈 예방과 요드인은 갑상선 호르몬 형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시마는 다양한 음식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생리활성 성분 또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7-0038084호 다시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시마 음료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1931호 다시마입자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다시마밥,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55153호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다시마 젤리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133847호 다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내장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다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내장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90162호 다시마 차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6747호 다시마와 후코이단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함초는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백령도 같은 섬지방의 바닷물이 닿는 해안이나 개펄, 염전 주위에 무리지어 자란다. 함초 줄기는 마디가 많고 두드러지며 가지는 2∼3번 갈라져서 마주나고, 가지는 다육질로 비대하고 진한 녹색이며 잎은 없다. 키는 10∼40㎝ 쯤 자라고 꽃은 6∼8월 가지 끝에 녹색으로 보일 듯 말 듯 핀다. 열매는 10월에 납작하고 까맣게 익는다. 함초는 봄부터 여름 까지는 줄기와 가지가 진한 녹색이다가 가을이 되면 진한 빨간색으로 물든다. 우리말로는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라고 부른다. 중국의 옛 의학책인 신농초본경에는 맛이 몹시 짜다고 하여 함초(鹹草), 염초(鹽草)라고 하였고, 몹시 희귀하고 신령스러운 풀로 여겨 신초(神草)라고도 적혔다. 함초가 건강식품으로서 효능이 뛰어나다는 것은 3천년 전인 중국 주나라 때부터 알려졌다. 주나라 임금이 함초를 하늘에 바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주례(周禮)에 나온다. 일본의 의성(醫聖)이라고 부르는 가이바라의 <대화본초(大和本草)>에는 함초가 불로장수하게 하는 귀한 풀이라고 적혀 있으며 함초 말고도 염초, 복초, 삼지 등의 여러 이름이 적혀있다.
이와 같은 함초는 다양한 식품의 첨가물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74295호 함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장류와 함초 곡자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0000537호 함초를 원료로 한 함초양념갈비의 제조공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29433호 함초를 이용한 황토 팩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함초를 함유하는 황토 팩,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0062611호 함초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0083763호 함초, 다시마를 주제로 한 건강식품 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0174호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엘로이그계 백혈병 치료 및 면역증강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5767호 함초를 이용한 정장제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2213호 함초를 이용한 김 치 및 그 제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5515호 함초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2498호 함초 함유 화장료 등과 같은 함초의 생리 활성을 이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귤피는 귤껍질을 말린 것인데 한의에서는 오래 묵은 것일수록 좋다하여 진피라고 한다. 진피의 쓴맛 물질과 향기 성분은 위액분비량을 조절하고 입맛을 돋구는 건위작용을 한다. 혜스페리딘을 비롯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비타민p의 활성을 지니며, 혈관벽에 작용하여 혈관을 넓히는 작용을 하고,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낮추고 동맥경화를 예방 치료한다. 혜스피리딘은 남성피임약으로도 쓰인다. 진피의 성분은 포토성구균을 억제한다. 예부터 한방에서는 진피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감기와 기침가래를 치료하며 몸의 기를 올려주는 약제로 사용하였으며, 반하백출과 함께 작용하여 위를 진정시켜 구토를 멈추고 위산을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하여 왔다.
이와 같은 진피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0810호 진피의 무배당체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되는 진피 분말 및 그 제조방법과 분말이 포함된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7003호 저분자화된 진피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제조된 저분자화된 진피 추출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3998호 진피발효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건강기능식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7175호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진피 차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0639호 귤피 를 주원료로 한 음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당귀는 우리나라의 강원도와 경상도의 고랭지대에서 주로 재배되는 약용식물로서, 보혈강장 및 진통 작용을 목적으로 냉증, 빈혈, 혈행장애 및 정신증상 등의 부인과 질환에 주로 보혈청혈약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당귀는 산형과(미나리과, Umbelliferae)에 속하는 2~3년생 초본식물로서, 현재 국내에서 재배되는 당귀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와 일본수출을 목적으로 재배되는 일당귀(Angelica acutiloba (S. et Z.) Kitagawa)가 있으며, 중국에서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가 주로 재배되고 있다. 이들 당귀는 그 종류에 따라 유효성분의 종류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당귀의 주요성분은 쿠마린(coumarine)계 물질인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데커시놀(decursinol), 노다케네틴(nodakenetin), 움벨리페론(umbelliferon), 노다케닌(nodaken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베타-유데스몰(β-Eudesmol)이 있으며, 일당귀의 주요성분은 버갑텐(bergapten), 히드로프탈리드(hydropthalid), 발레로페놈(valerophenome)이 있다. 중국당귀의 주요성분으로는 부틸이데네프탈리드(butylidenephthalide), 페룰산(ferulic acid), Z-리구스틸리드(Z-ligustillide), 히드로프탈리드(hydropthalid), 발레로페놈(valerophenome)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참당귀(토당귀)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9233호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6006호 참당귀 유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 하는 암질환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6294호 참당귀 유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세포활성화용 약학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5092호 참당귀로부터 뿌리배양을 이용하여 항암활성 물질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생산하기 위한 배양, 추출 및 분석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구기자를 차에 이용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1693호 당귀를 함유하는 차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67482호 차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0009250호 8가지의 한약재료를 이용한 한방차 등이 개시된 바 있다.
옥수수수염은 옥수수의 열매 부분을 싸고 있는 실같은 부분으로 말려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옥수수수염은 생약명으로 옥미수라고 하며 옥수수(Zea mays Linne)의 꽃술이다. 옥수수수염은 '옥촉수(玉蜀鬚)' 또는 '옥촉서예'라고 부르기도 하며, 맛은 달고 담담하며 약리효과가 뛰어나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는데,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향료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옥수수수염을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이뇨 작용을 촉진해 소변의 염화물 배출을 활성화하고, 담즙 분비를 촉진시키며, 혈압과 혈당을 내리고, 지혈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신우 신장에 있는 결석을 녹이는 작용, 소변길(요도)에 있는 진득진득한 물질을 씻어내는 작용이 있다. 최근 임상 보고에 따르면, 만성 신우신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6개월간 복용시킨 결과, 신장 기능이 개선되었고, 부종을 치료했으며, 단백뇨의 소실 및 경감 효과를 부작용 없이 개선시켰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옥수수수염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할 경우,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고, 비만, 월경전증 후군, 전립선 관련 질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며, 야뇨증을 막을 수 있고 손목 터널증후군 및 늑막염, 복수증상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고, 담석증, 방광결석, 황달성 간염, 강견변의 치료에도 효능이 있으며, 방광, 소장, 산후의 신장염 등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옥수수수염의 성분은 지방유, 정유, 다량의 potassium nitrate cryptoxanthin 및 비타민 K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또한, 옥수수수염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원료 분류에 따르면, 옥수수수염은 부원료로 분류되어 식품 원료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타 부원료 없이 사용할 경우에는 주원료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옥수수수염을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3121호 옥수수 및 옥수수수염을 원료로 한 조성물 및 가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1855호 멸균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7483호 옥수수수염 추출액과 다슬기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옥수수수염 차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8250호 옥수수 및 옥수수 수염을 원료로 한 티백차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70321호 새콤달콤한 검은 콩 옥수수수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69390호 옥수수수염 및 생메밀을 함유하는 침출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71418호 소팔메토, 검은콩 및 옥수수수염을 함유하는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뽕잎은 뽕나무의 잎으로 조단백질을 20 내지 40% 함유하고, 약 24종의 각종 아미노산을 포함 하는데, 이 중 숙취해소에 효과를 나타내는 알라닌과 아스파라긴산을 3% 포함하며, 뇌 기능을 향상시키고,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세린과 타이로신을 각각 1.2% 및 0.7% 함유한다. 뽕잎에는 다수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칼슘은 양배추의 60배, 철분은 무의 160배, 인은 무의 10배 정도를 함유하며, 녹차와 비교할 경우 칼슘은 6배, 철분은 2배, 나트륨은 13배 및 칼륨은 1.4배의 양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뽕잎에는 혈압강하 및 신경전달성분으로 알려진 GABA(γ-aminobutyric acid)를함유하고, 모세혈관의 강화, 뇌출혈 및 출혈성 질환의 방지효과를 나타내는 루틴(rutin) 성분도 녹차의 3배 가량 함유함이 알려졌다. 아울러, 혈당흡수를 저해하는 DNJ(deoxynojirimycin) 성분이 식물중에 서는 유일하게 뽕잎에만 존재함이 알려졌는데, 추가적인 동물실험을 통하여 뽕잎에는 혈당 및 혈압강하물질, 콜레스테롤저하물질, 항산화 물질 및 항암물질이 존재함이 발표되었다.
이와 같은 뽕잎을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4617호 뽕잎을 주재로 한 아이스크림류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76351호 뽕잎냉면 및 이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8366호 기능성 성분이 강화된 뽕잎강정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4910호 뽕잎분말을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7621호 뽕잎분말 환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5755호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뽕잎 엿의 제조방법 및 상기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뽕잎 엿 등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뽕잎을 차에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54727호 뽕잎차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0004745호 뽕잎과 뽕나뭇가지 혼합추출차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7-0005977호 뽕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삼백초는 국내 자생 식물로서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흰색이고 진흙 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열매는 둥글고 종자가 각 실에 1개씩 들어 있다. 뿌리·잎·꽃이 흰색이기 때문에 삼백초라고 한다. 7∼9월에 지상부를 채집하여 햇빛에 말려 사용한다. 미(味)는 고신(苦辛)하고, 성(性)은 한(寒)하며, 간(肝), 폐(肺), 신경에 들어간다. 습열(濕熱), 청리(淸利), 소독(消毒), 해독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종, 각기(脚氣), 황달, 임질, 대하(帶下)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해왔다.
이와 같은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4-0035688호 삼백초추출물로 된 라디칼소거제와 그 추출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5-0026410호 삼백초(근)를 주재로 한 갱년기 건강보조식품 제조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48942호 항암 효과를 가지는 삼백초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4146호 어성초, 삼백초, 쑥 및 신선초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특히 삼백초 차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0814호 삼백초 과립 추출차 및 그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한방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한방 재료를 약탕기를 이용하여 장기간 추출하여 제조하고 있으나, 이 경우 장기간의 열처리로 인해 약리성분의 파괴되고, 열변성물이 생성되는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방 재료를 조분하여 열수에 침출시켜 음용하는 경우에는 단기간의 추출수율이 낮으며, 또한 각 재료들을 동일 시간에 동시에 충분히 추출하기 여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선별된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와 같은 한방 약재를 이용하여 한방 혼합 침출차를 제조함에 있어, 열수에 단기간 침출시켜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최적 침출 특성을 확립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각 성분들의 개별적인 전처리를 통해 최적 침출 특성을 갖는 한방 혼합 침출차를 제조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를 최적 조건으로 전처리함으로써 각 성분들의 침출 특성이 최적화된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공하 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원료인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를 조분하여 배합함에 있어, 각 원료에 대하여 전처리 과정을 도입하고, 각 성분들을 최적 비율로 배합하여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전처리 없이 제조한 동일 성분의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과 비교실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침출시간이 단축되고, 최적의 관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전처리하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하는 단계; 및 상기 조분된 각 성분들을 볶음하는 단계, 상기 볶음된 성분들을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선, 상기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및 삼백초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0 내지 70℃에서 18 내지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55℃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다만, 뽕잎은 덖음 처리된 상 태로 구입하기 때문에 별도의 세척 및 건조과정이 필요치 않다.
이때 당귀는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에 1:2 내지 2:1의 비율로 1 내지 5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에 1:1의 비율로 3시간 동안 침적시킨 다음, 건조할 수 있다.
상기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는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 1L에 물 9L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함에 있어, 당귀는 조분한 후 80 내지 100℃에서 5 내지 15분, 바람직하게는 90℃에서 10분 동안 볶음처리하고, 다시마, 옥수수 수염 및 삼백초는 조분한 후 100 내지 150℃에서 10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12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하며, 귤피를 조분한 후 90℃에서 30분 동안 볶음처리하고, 뽕잎은 조분한 후 90℃에서 10분동안 볶음처리 할 수 있다. 함초는 조분한 후, 90 내지 110℃에서 10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분된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의 배합은 다시마 10 내지 20중량%, 함초 10 내지 20중량%, 귤피 10 내지 20중량%, 당귀 10 내지 20중량%, 옥수수수염 10 내지 20중량%, 뽕잎 3 내지 8중량% 및 삼백초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로부터 본 발명은 또한 다시마 10 내지 20중량%, 함초 10 내지 20중량%, 귤피 10 내지 20중량%, 당귀 10 내지 20중량%, 옥수수수염 10 내지 20중량%, 뽕잎 3 내지 8중량% 및 삼백초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은 일정 용기에 넣어 제품화하여, 일정량씩 덜어내 사용하거나, 일정량 씩 티백에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한방 혼합 침출차의 경우, 동일 재료로 전처리 없이 제조된 차와 비교하여, 단기간에 침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기호성 면에서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은 각 원료를 전처리함으로써 각 성분의 최적 침출 조건을 확립하여, 단기간에 각 성분들의 유용 성분들이 침출되어 최적의 기호도를 갖는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혼합 한방차 조성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혼합 한방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혼합 한방차 조성물의 조성
성분 조성비(중량%)
다시마 15
함초 15
귤피 15
당귀 15
옥수수수염 15
뽕잎 5
삼백초 20
100
우선, 상기 모든 원료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5℃에서 24 시간 건조하였다. 이때 다시마는 물로 세척하여 표면의 염분을 제거한 뒤, 탈수한 후 55℃에서 24 시간 건조하였다. 함초는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5℃에서 24 시간 건조하였다. 당귀는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에 1:1의 비율로 3시간 동안 침적시킨 다음, 55℃에서 24 시간 건조하였다.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는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 1L에 물 9L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귤피는 절단된 상태로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5℃에서 24 시간 건조하고, 옥수수수염과 삼백초는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5℃에서 24 시간 건조하였으며, 뽕잎은 덖음 처리된 상태로 구입하기 때문에 별도의 세척 및 건조과정이 필요치 않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하였다. 당귀는 조분한 후 90℃에서 10분 동안 볶음처리하고, 다시마, 옥수수 수염 및 삼백초는 조분한 후 12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하였으며, 귤피를 조분한 후 90℃에서 30분 동안 볶음처리하였 으며, 뽕잎은 조분한 후 90℃에서 10분동안 볶음처리 하였다. 함초는 조분한 후,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분된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를 상기 표 1의 배합비에 따라 각각 다시마 150g, 함초 150g, 귤피 150g, 당귀 150g, 옥수수수염 150g, 뽕잎 50g 및 삼백초 200g으로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각 성분들을 물로 세척한 후 음건하고, 이들 전처리 없이 조분하여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과 대조군 조성물을 각각 10g 씩 티백에 포장하였다.
실험예 1 : 혼합 한방차 조성물의 침출차의 색상 변화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의 침출시 색상변화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티백과 대조군 티백을 각각 80℃의 열수 100 mL에 침지시키고, 차의 색상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색상 관찰 결과, 시험 개시 약 2분 후,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의 색상은 연한 황갈색의 최종 색상에 도달하여 이후 색상 변화가 없었으나, 이에 반해 대조군은 시험 개시 2분 후에도 아무런 색상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시험 개시 약 3분 이 지나도록 색상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각 성분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전처리 함에 따라 최적의 침출 조건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혼합 한방차 조성물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과 대조군 조성물의 티백을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주)티제이네츄럴 전담연구원 3명과 일반직원 12명, 총 15명에게 실시하였다. 관능평가의 항목은 풍미, 색감, 종합적 기호도 등의 3가지 항목으로 실시하였으며, 관능평가는 총점10점으로 하였다. 2점이 가장 좋지 않음이고, 10점이 가장 좋음으로 실시하였다. 각 티백 시료는 상온에서 보관하며 관능평가 직전에 80℃의 열수에 3분간 침출시켜 차를 제조한 후 평가에 사용하였다. 각 시료는 A(실험군) 및 B(대조군)로 표기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한방 혼합 침출차의 관능평가 결과
실험군 대조군
풍미 8 6
향미 8 6
색감 9 6
종합적 기호도 9 6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전처리한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이 전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풍미, 향미, 색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0 내지 70 ℃에서 18 내지 30 시간 동안 건조처리 하되,
    당귀는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에 1:2 내지 2:1의 비율로 1 내지 5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건조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하되, 각각을 조분한 후 볶음처리 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성분들의 조분 단계에서, 당귀는 조분한 후 90℃에서 10분 동안 볶음처리하고, 다시마, 옥수수수염 및 삼백초는 조분한 후 12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하고, 함초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하며, 귤피는 조분한 후 90℃에서 30분 동안 볶음처리하고, 뽕잎은 조분한 후 90℃에서 10분동안 볶음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다시마 10 내지 20중량%, 함초 10 내지 20중량%, 귤피 10 내지 20중량%, 당귀 10 내지 20중량%, 옥수수수염 10 내지 20중량%, 뽕잎 3 내지 8중량% 및 삼백초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KR1020090113411A 2009-11-23 2009-11-23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eased KR20110056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411A KR20110056908A (ko) 2009-11-23 2009-11-23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411A KR20110056908A (ko) 2009-11-23 2009-11-23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908A true KR20110056908A (ko) 2011-05-31

Family

ID=4436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411A Ceased KR20110056908A (ko) 2009-11-23 2009-11-23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690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828B1 (ko) * 2011-11-25 2013-10-22 주식회사 태평소금 함초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함초차
KR101340537B1 (ko) * 2011-11-29 2013-12-11 조희선 다시마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549066A (zh) * 2013-11-21 2014-02-05 王玉兰 美容保健茶
CN104225361A (zh) * 2014-09-05 2014-12-24 刘委 一种丹七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20190110207A (ko) * 2018-03-20 2019-09-30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옥미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828B1 (ko) * 2011-11-25 2013-10-22 주식회사 태평소금 함초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함초차
KR101340537B1 (ko) * 2011-11-29 2013-12-11 조희선 다시마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549066A (zh) * 2013-11-21 2014-02-05 王玉兰 美容保健茶
CN103549066B (zh) * 2013-11-21 2014-08-06 王玉兰 美容保健茶
CN104225361A (zh) * 2014-09-05 2014-12-24 刘委 一种丹七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20190110207A (ko) * 2018-03-20 2019-09-30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옥미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140322B1 (ko) 홍삼, 당귀, 천궁, 황기, 대추, 백출, 작약, 감초, 계피 및 숙지황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884B1 (ko)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 홍삼, 감초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882B1 (ko)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883B1 (ko) 당귀, 천궁, 갈근, 작약, 숙지황, 황기, 홍삼, 건강, 감초, 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325B1 (ko)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0817A (ko)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013285A (zh) 一种朝鲜蓟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920873B1 (ko) 싸리나무를 주재료로 한 기능성 음료,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900279B1 (ko) 옥수수수염, 메밀, 녹차 및 스테비오사이드를 함유하는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KR10211562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383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침출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343109A (zh) 一种多肽无花果叶保健红茶
KR20090014254A (ko)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5349395A (zh) 一种山楂果醋的制备方法
KR20130047158A (ko) 시래기의 제조방법
KR20060069404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비타 사과 홍차(과일 침출차)
KR20090017712A (ko) 레볼루션 블랙 침출 및 액상 티 조성물(組成物)과 그 제조방법
KR100900278B1 (ko) 옥수수수염, 메밀 및 원두커피콩을 함유하는 침출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KR20120024283A (ko) 민들레 음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63855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복숭아 비타 녹차(과일 침출차)
KR20040078076A (ko) 발포(發砲)에 의한 바이오한약탕제 침출(浸出)탕
KR20060066160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비타 복숭아 홍차(과일 침출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15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203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8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3042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121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62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1011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2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6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0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52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121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62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1011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4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212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1210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2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10812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911

Appeal identifier: 2013101005655

Request date: 20130729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29

Effective date: 20130911

PJ0801 Rejection of trial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tent event code: PJ08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Decision date: 20130911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3101005655

Request date: 2013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