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882B1 -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882B1
KR101166882B1 KR1020090113409A KR20090113409A KR101166882B1 KR 101166882 B1 KR101166882 B1 KR 101166882B1 KR 1020090113409 A KR1020090113409 A KR 1020090113409A KR 20090113409 A KR20090113409 A KR 20090113409A KR 101166882 B1 KR101166882 B1 KR 101166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utes
roasted
jujube
licorice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906A (ko
Inventor
신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제이네츄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제이네츄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제이네츄럴
Priority to KR1020090113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8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Abstract

본 발명은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전처리하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하는 단계; 및 상기 조분된 각 성분들을 볶음하는 단계, 상기 볶음된 성분들을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한방 혼합 침출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은 각 원료를 최적 조건으로 전처리함으로써 각 성분들의 최적 침출 조건을 확립하여, 단기간에 각 성분들의 유용 성분들이 침출되어 최적의 기호도를 갖는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감초, 한방차

Description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of mixed herb medicine for leached tea}
본 발명은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전처리하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하는 단계; 및 상기 조분된 각 성분들을 볶음하는 단계, 상기 볶음된 성분들을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한방 혼합 침출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천연 한방 재료들은 치료약으로 뿐만 아니라, 일 생활에서 각종 음식 또는 음료의 주재료로서 또는 첨가제서도 흔히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 한방 재료들을 이용한 방법 중 하나가 차(茶)로서, 통상적으로 차라고 하면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음료로 가공한 제품을 의미하지만, 이외에도 각종 천연 한방 재료의 뿌리, 줄기, 잎 또는 열매 또한 차에 첨가하거나, 독립적인 차 재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차는 한방차로 통칭되곤 하였다.
한방차는 각종 천연 한방 약재를 단일 원료로 하여 제조되거나, 몇 가지 재료를 혼합한 혼합차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한방 혼합차의 경우, 종래 문헌에 예시된 재료들을 차에 적절하게 가공하여 제조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86-1289호 “한방 분말차의 제조 방법”에는 현재 한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한약재들을 수집하여 완전히 건조한 후 한방차 종류별로 한방제차를 특수처방 비법에 따라 일정량을 각각 혼합한 후 분쇄하여 완전한 분말로 제조하고 이들을 100℃이상의 끓는 물에 알맞은 분량으로 용해시켜 벌꿀을 첨가한 후 평상시 식용차로 복용할 수 있게 한 분말차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1216호 “니코틴 제거효과가 있는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에서와 같이 녹차, 도라지, 솔잎, 감국, 건강, 삼백초, 검정콩, 감초, 계피, 다시마, 파래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과립화한 것으로 각 원료의 적절한 배합 및 첨가물로서 포도당, 건강, 각종허브류, 향을 첨가하여 기호성을 증가시킨 혼합차가 새로운 기능적 목적을 위해 제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0787호 “녹차엽을 함유하는 혼합차 및 그 제조방법”에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한 녹차엽에 발아메밀 및/또는 표고버섯을 일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기호성이 개선되고 동시에 영양성분이 강화된 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10708호 “기호 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타타리메밀, 결명자, 우롱차, 녹차, 둥글레, 구기자, 영지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보이차, 인삼, 귤피, 뽕잎, 감잎, 삼백초 등 음용가능한 원료의 열수 추출물 조성물로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남성 정력 보강 및 강정작용으로 알려져 있는 천연 한방 재료를 탐색하고, 이들 중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를 선별하고, 이들을 혼합한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구기자는 가지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구기자나무 열매를 구기자라 하며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잎을 구기엽, 열매를 구기자, 뿌리를 지골피라 하며 아미노산, 비타민등이 함유되어 있어 정력감퇴, 결막염, 피로회복, 현기증 등에 이용되고 있다.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묘약으로 불리워져 왔으며 강장, 강정, 건위에 효과가 있고 허약체질개선, 현기증등에도 좋다. 구기자에는 비타민 ?루틴 ?베타인 ?아 미노산 등이 들어 있어 강장제로서 효능이 높고, 동맥경화 ?고혈압의 예방등에 효과가 있다. 어린잎에는 단백질이 비교적 많으므로 자양강장, 피로 회복에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사용법이다. 잎에는 모세혈관 등의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여 동맥경화 예방하는 비타민 C가 들어 있고, 열매에는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성분이 들어 있다.
이와 같은 구기자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357호 구기자 기름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구기자기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68216호 구기자 발효주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51493호 구기자 음료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69289호 구기자 시럽 및 그 제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65939호 구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제 조성물 및 구기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4416호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능력 및 기억력 향상 생약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7957호 구기자로부터 분리된 간보호 활성을 갖는 신규 피롤유도체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구기자를 차에 이용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1705호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1689호 구기자를 함유하는 차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3-0028544호 분말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오미자는 오미자나무의 열매로 지름 약 1cm의 짙은 붉은 빛깔로 공 모양이다. 속에는 붉은 즙과 불그스레한 갈색 종자가 1~2개 들어 있다. 시고(껍질), 달고(과육), 맵고-쓴 맛(씨)과 함께 전체적으로 짠 맛 등 다섯가지의 맛을 지니며, 그 중에서도 신맛이 강하다. 시잔드린?고미신?시트럴?사과산?시트르산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쓴다. 폐 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거담, 진해, 정천(가뿐 숨을 바로 잡는다), 청혈(피를 맑게 함), 검한(식은 땀을 거둠), 진지갈(갈증을 없앰), 보신(콩팥 을 보함), 양오장(오장을 튼튼하게 함), 강음강정(남녀의 정력을 강하게 함), 부녀음냉(여자의 냉을 없앰)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다섯 가지 맛은 각각 다르게 작용하여 신맛과 짠맛은 간을 보호하고, 맵고 쓴 맛은 폐를 보호하며 단맛은 자궁에 좋다. 이렇게 오미자의 약효는 대단히 다원적(多元的)이어서 순응적 약효(adaptogenic activities)를 지니고 있다고 하며, 각 성분에 의한 효과보다는 생약의 추출 엑스(extract)가 더 유효하다는 점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오미자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174호 오미자 농축액 추출방법 및 오미자 농축액을 이용한 오미자 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8342호 오미자 효소가 함유된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오미자 고추장,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2876호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등이 개시된 바 있으며, 특히 오미자 차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55510호 및 제10-0704450호 오미자 차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4492호 생과즙을 이용한 오미자차 제조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사상자는 산형과에 속하는 식물인 뱀도랏 (Torllis japonica Decandolle) 및 벌사상자(蛇床, Cnidium monnieri (L.) Cussion)의 건조한 열매를 의미하며, 옛날부터 가려움증, 피부상처, 습진, 부스럼 등 다양한 피부질병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트리코모나스질염과 같은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피부병에 대한 한약재로서 뿐만 아니라 살충제 성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상자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9146호 사상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포자형 미생물의 포자 살균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3869호 고삼, 창이자, 백선피, 사상자 및 어성초를 이용한 천연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3334호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4116호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사상자를 차에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67482호 차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1914호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 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복분자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가 2 m 정도인 산딸기의 일종이며, 5~6월에 흰색의 꽃이 피고, 7~8월에 검붉은색의 반구형 열매를 맺는 다년생 식물이다. 복분자는 전북지역의 야산계곡에 자생하고 있으며, 수확 및 채취기간은 약 10일 전후로 야생의 복분자 채취량이 극소량이라서 현재는 산비탈 및 휴경지에서 인공 대량 재배되고 있다. 개보본초(開寶本草)에서 복분자는 몸을 보하고 음(陰)과 장(腸)을 강하게 하며,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오장(五臟)을 안정시키며, 속을 덥게 하고, 힘을 늘린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아주 오랜 옛날부터 민가에서는 청량(淸凉), 지갈(止渴), 강장(强壯), 당뇨(糖尿), 토혈(吐血), 지혈(止血), 활혈(活血) 등에 효험이 있어 주로 이를 이용한 약용 및 토속주, 복분자 잼, 복분 자 쥬스 등으로 가공되고 있다. 또한 복분자주는 강정(强精) 효과가 높고 독특한 향취미가 있는 술로, 강정효과(强精效果)가 지나쳐 분자(盆子, 요강)를 뒤엎는다는 데서 유래된 술로서도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복분자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3908호 당뇨합병증에 유효한 복분자 추출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6305호 복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음료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6067호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1987호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강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등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구기자를 차에 이용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3822호 복분자 차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0047362호 산딸기 차의 제조 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토사자(兎絲子)는 메꽃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인 새삼의 씨앗으로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平)하다. 주로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눈을 밝게 해주고, 양기(陽氣)를 도우며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해주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신장이 허약하여 생긴 남성의 성교불능증, 저절로 정액이 흐르는 경우, 몽정(夢精) 등에 효과가 있다.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허리 힘을 세게 해주며, 신장 기능이 허약하여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오줌소태와 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질병과 설사를 낫게 하며 당뇨병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토사자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2404호 탈모 원인 물질 생성 억제용 토사자 추출물 및 이의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0009794호 오가피. 오자(오미자, 구기자, 복분자, 토사자, 사상자)환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45054호 토사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78337호 오미자, 구기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성분이 함유된유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토사자를 차에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67482호 차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6-0080801호 자양 강장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원료로 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6-0080797호 한약재를 원료로 하는 미용식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홍삼은 수삼을 정선하여 망상조직인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을 말하는데, 이 또한 수삼이나 백삼 등 다른 인삼에는 들어 있지 않은 특이성분들, 중추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 조혈작용 및 혈당치 저하, 간보호,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는 효과, 항염 및 항종양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홍삼을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0874호 홍삼농축액을 주원료로한 액상음료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8059호 홍삼, 천마, 생지황 즙 등을 함유한 스트레스해소식품의 제조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0061호 홍삼으로부터 분리된 항암 면 역 조절효과를 갖는 신규 산성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 면역 조절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4395호 홍삼농축액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홍삼을 차에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67921호 가압발포(加壓發砲)에 의한 무가당(無加糖) 바이오 홍삼(紅蔘), 인삼(人蔘)침출(浸出) 차,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47994호 바이오엔조이 홍삼커피 침출(浸出)차,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16557호 당뇨환자가 사용하는 바이오 홍삼 침출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대추는 대추나무의 열매로, 조(棗) 또는 목밀(木蜜)이라고도 한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에 달하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과실은 생식할 뿐 아니라 채취한 후 푹 말려 건과(乾果)로서 과자 ?요리 및 약용으로 쓰인다. 동의보감, 의방유취, 항약구급방 등의 한방약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그 자체의 당도가 높고 풍미(風味)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적정한 상태로 건조된 경우에 저장성이 뛰어나, 상고시대(上古時代)로부터 다양한 민간 한방요법의 재료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한방에서 대추는 노화방지, 내장강화, 신경쇠약개선, 빈혈치료, 식욕부진, 피부윤택 등의 효능이 있으며, 한방약재중에서 강한 효능을 가진 약재의 급격한 작용을 부드럽게 조화시켜 줄뿐만 아니라 독성을 중화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대추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74811호 대추퓨레 제조방법 및 대추퓨레를 이용한 대추음료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8582호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8583호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강하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전이단백질 저해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9489호 대추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및 암전이 억제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2606호 대추분말 및 대추씨 추출액을 이용한 면류 및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7207호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대추를 차에 이용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5-0013133호 대추차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0002990호 벌꿀 대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7-0052415호 인삼과 대추, 황률을 주재로한 음료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116402호 대추버섯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140507호 유산균, 효모 혼합발효 대추잎차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감초(甘草)는 인체의 비위(脾胃)를 건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장육부의 한열사기 (寒熱邪氣)를 치료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종기와 부스럼등을 치료하고 온갖 약초의 독을 해독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폐의 활동을 돕고 청열해독 (淸熱解毒)의 효과가 큰 약초이다. 또한, 각종 약품의 중독 및 식물의 중독을 해독할 뿐만 아니라, 특유의 향과 맛을 갖기 때문에 감초는 고래로 한방에서 없어서는 안될 기본적인 유용한 약제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감초의 주요 성분으로는 감미질인 글리시리진,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리키리틴, 서당, 포도당, 만니톨, 아스파라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글리시리진은 감초에 독특한 단맛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이와 같은 감초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거나,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77832호 감초 추출물을 사용한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01432호 갈근과 감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보호 건강식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2335호 황금, 황련, 감초, 오가피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대한미국 등록특허 제10-0496146호 감초, 강황 및 소엽의 추출물을 함유한 위염 및 위궤양의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7358호 감초 추출물 또는 리퀴리티게닌을 포함하는 중금속중독으로 인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감초를 차에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7633호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한방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한방 재료를 약탕기를 이용하여 장기간 추출하여 제조하고 있으나, 이 경우 장기간의 열처리로 인해 약리성분의 파괴되고, 열변성물이 생성되는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방 재료를 조분하여 열수에 침출시켜 음용하는 경우에는 단기간의 추출수율이 낮으며, 또한 각 재료들을 동일 시간에 동시에 충분히 추출하기 여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력 보강, 허약체질 개선 및 건강 보약으로 알려져 있는 천연 한방 재료 중 선별된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 추 및 감초를 이용하여 한방 혼합 침출차를 제조함에 있어, 열수에 단기간 침출시켜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최적 침출 특성을 확립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각 성분들의 개별적인 전처리를 통해 최적 침출 특성을 갖는 한방 혼합 침출차를 제조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력 보강, 허약체질 개선 및 건강 보약으로 알려져 있는 천연 한방 재료 중 선별된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를 최적 조건으로 전처리함으로써 각 성분들의 침출 특성이 최적화된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원료인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를 조분하여 배합함에 있어, 각 원료를 최적 조건으로 전처리하고, 최적 비율로 배합하여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전처리 없이 제조한 동일 성분의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과 비교실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침출시간이 단축되고, 최적의 관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전처리하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하는 단계; 및 상기 조분된 각 성분들을 볶음하는 단계, 상기 볶음된 성분들을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0 내지 70℃에서 18 내지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55℃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이때 감초는 25% 꿀물에 1:2 내지 2:1의 중량비율로 1 내지 5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율로 3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건조처리 할 수 있다.
사상자와 토사자는 절단된 상태로 구입하여,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에 1:2 내지 2:1의 비율로 1 내지 5 시간,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율로 3 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50 내지 70℃에서 18 내지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55℃에서 24 시간 건조한다.
상기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는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 1L에 물 9L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대추는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0 내지 70 ℃에서 18 내지 30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55℃에서 24시간 건조할 수 있다.
구지자와 오미자, 복분자는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0 내지 70 ℃에서 18 내지 30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55℃에서 24시간 건조할 수 있다.
홍삼은 건조가공된 제품을 그대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함에 있어, 구기자는 90 내지 110℃에서 10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한 후, 조분하여 다시 60 내지 80℃에서 20 내지 40분, 바람직하게는 7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한다.
오미자는 원형의 완숙된 열매를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물로 세척후 건조 처리하여 조분 후, 과육만 선별하여 70 내지 90℃에서 3 내지 8분, 바람직하게는 80℃에서 5분 동안 볶음 처리한다. 사상자는 조분한 후 90 내지 110℃에서 20 내지 40분,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고, 복분자는 조분한 후 80 내지 100℃에서 20 내지 40분, 바람직하게는 9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고, 토사자는 조분한 후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40분, 바람직하게는 12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고, 홍삼은 별도의 처리 없이 구입한 그대로 건조 후 조분 처리하여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40분, 바람직하게는 12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였다. 대추는 90 내지 110℃에서 10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 처리한 후, 조분하여 다시 90 내지 110℃에서 10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 한다.
감초는 절삭된 상태의 재료를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25% 꿀물에 1:1의 중량비율로 3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건조 처리하며, 조분 후 120 내지 150℃에서 20 내지 40분, 바람직하게는 13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개별적인 볶음 처리를 통해 침출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분된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의 배합은 구기자 18 내지 28중량%, 오미자 5 내지 15중량%, 사상자 8 내지 15중량% , 복분자 7 내지 17중량%, 토사자 8 내지 15중량%, 홍삼 5 내지 10중량%, 대추 13 내지 23중량% 및 감초 5 내지 15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로부터 본 발명은 또한 구기자 18 내지 28중량%,, 오미자 5 내지 15중량%, 사상자 8 내지 15중량%, 복분자 7 내지 17중량%, 토사자 8 내지 15중량%,, 홍삼 5 내지 10중량%, 대추 13 내지 23중량% 및 감초 5 내지 15중량%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은 일정 용기에 넣어 제품화하여, 일정량씩 덜어내 사용하거나, 일정량 씩 티백에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한방 혼합 침출차의 경우, 동일 재료로 전처리 없이 제조된 차와 비교하여, 단기간에 침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기호성 면에서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은 각 원료를 최적 조건으로 전처리 하여 배합합으로써 최적 침출 조건을 확립하여, 단기간에 각 성분들의 유용 성분들이 침출되어 최적의 기호도를 갖는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혼합 한방차 조성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혼합 한방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혼합 한방차 조성물의 조성
성분 조성비(중량%)
구기자 23
오미자 10
사상자 10
복분자 12
토사자 10
홍삼 7
대추 18
감초 10
100
우선, 상기 모든 원료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5℃에서 24 시간 건조하였다. 이 때 감초는 25% 꿀물에 1:2 내지 2:1의 중량비율로 1 내지 5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율로 3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55℃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처리하였다. 25% 꿀물은 아카시아꿀 1.5kg에 물 4.5L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사상자와 토사자는 절삭된 상태로 구입하여,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에 1:1의 중량비율로 3 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55℃에서 24 시간 건조하였다.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는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 1L에 물 9L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대추는 물로 세척하고, 탈수 한 후, 씨앗을 제거하고 1 내지 1.5mm 내외로 슬라이스 처리한 후 55℃에서 24 시간 건조하였다. 구지자와 오미자, 복분자는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5℃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홍삼은 건조 가공된 제품을 그대로 이용한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하였다.
구기자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한 후, 조분하여 다시 7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였다.
오미자는 원형의 완숙된 열매를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물로 세척후 건조 처리하여 조분후, 과육만 선별하여 80℃에서 5분 동안 볶음 처리하였다. 사상자와 토사자는 절단된 상태로 구입하여,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에 1:1의 중량비율로 3 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55℃에서 24 시간 건조 시킨 후, 사상자는 조분한 후 10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였고, 토사자는 조분한 후 12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였다. 복분자는 조분한 후 9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였고, 홍삼은 별도의 처리 없이 구입한 그대로 건조후 조분 처리하여 12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였다. 대추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 처리한 후, 조분하여 다시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 하였다.
감초는 절삭된 상태의 재료를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25% 꿀물에 1:1의 중량비율로 3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건조 처리하였으며, 조분 후 13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였다.
상기 조분된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를 상기 표 1의 배합비에 따라 각각 구기자 230g, 오미자 100g, 사상자 100g, 복분자 120g, 토사자 100g, 홍삼 70g, 대추 180g 및 감초 100g을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각 성분들을 물로 세척한 후 음건하고, 이들 전처리 없이 조분하여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을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과 대조군 조성물을 각각 10g 씩 티백에 포장하였다.
실험예 1 : 혼합 한방차 조성물의 침출차의 색상 변화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의 침출시 색상변화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티백과 대조군 티백을 각각 80℃의 열수 100 mL에 침지시키고, 차의 색상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색상 관찰 결과, 시험 개시 약 2분 후,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의 색상은 진한 적갈색의 최종 색상에 도달하여 이후 색상 변화가 없었으나, 이에 반해 대조군은 시험 개시 2분 후에도 아무런 색상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시험 개시 약 3분 이 지나도록 색상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각 성분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전처리 함에 따라 최적의 침출 조건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혼합 한방차 조성물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과 대조군 조성물의 티백을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주)티제이네츄럴 전담연구원 3명과 일반직원 12명, 총 15명에게 실시하였다. 관능평가의 항목은 풍미, 색감, 종합적 기호도 등의 3가지 항목으로 실시하였으며, 관능평가는 총점10점으로 하였다. 2점이 가장 좋지 않음이고, 10점이 가장 좋음으로 실시하였다. 각 티백 시료는 상온에서 보관하며 관능평가 직전에 80℃의 열수에 3분간 침출시켜 차를 제조한 후 평가에 사용하였다. 각 시료는 A(실험군) 및 B(대조군)로 표기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한방 혼합 침출차의 관능평가 결과
실험군 대조군
풍미 8 7
향미 9 5
색감 9 6
종합적 기호도 9 6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전처리한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이 전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풍미, 향미, 색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를 각각 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50 내지 70℃에서 18 내지 30 시간 동안 건조처리 하되,
    상기 감초는 절삭된 상태로 25% 꿀물에 1:2 내지 2:1의 중량비율로 1 내지 5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건조처리하는 단계;
    상기 사상자와 토사자는 절삭된 상태로 10% 소주 또는 청주, 또는 막걸리에 1:1의 중량비율로 3 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55℃에서 24 시간 건조 처리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각 성분들을 조분함에 있어서, 구기자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한 후, 조분하여 다시 7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고, 대추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 처리한 후, 조분하여 다시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 하는 단계; 오미자,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감초는 각각 조분한 후 각각 볶음처리 하는 단계; 및
    상기 볶음처리된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를 배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성분들의 조분 후 볶음 단계에서 구기자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한 후, 조분하여 다시 7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고, 오미자는 조분 후, 80℃에서 5분 동안 볶음 처리하며, 사상자는 조분 후 100 ℃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고, 복분자는 조분 후 9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며, 토사자는 조분 후 12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고, 홍삼은 조분 후 12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며, 대추는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 처리한 후, 조분하여 다시 100℃에서 20분 동안 볶음처리하고, 감초는 조분 후 130℃에서 30분 동안 볶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구기자 18 내지 28중량%,, 오미자 5 내지 15중량%, 사상자 8 내지 15중량%, 복분자 7 내지 17중량%, 토사자 8 내지 15중량%,, 홍삼 5 내지 10중량%, 대추 13 내지 23중량% 및 감초 5 내지 15중량%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KR1020090113409A 2009-11-23 2009-11-23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409A KR101166882B1 (ko) 2009-11-23 2009-11-23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409A KR101166882B1 (ko) 2009-11-23 2009-11-23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906A KR20110056906A (ko) 2011-05-31
KR101166882B1 true KR101166882B1 (ko) 2012-07-18

Family

ID=4436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409A KR101166882B1 (ko) 2009-11-23 2009-11-23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6645B (zh) * 2011-06-02 2013-05-08 山东上水农业发展股份有限公司 壮腰健肾茶
KR101444718B1 (ko) * 2012-03-13 2014-09-30 재단법인 고창복분자연구소 복분자 미숙과를 포함하는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1944B1 (ko) * 2012-07-05 2014-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CN103609789A (zh) * 2013-10-31 2014-03-05 安徽博格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预防心脑血管疾病的泡袋剂
KR102376168B1 (ko) * 2019-11-28 2022-03-17 권기한 오자와 음양곽을 주원료로 하는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906A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749B1 (ko) 황기, 오가피, 감초, 엄나무, 대추 및 황률로 이루어진 황기백숙용 한방 조성물
KR101166884B1 (ko)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 홍삼, 감초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9241B1 (ko) 여주혼합추출물을 주재로 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538B1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식품용 분말의 제조방법
KR101953366B1 (ko) 침향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US20110117263A1 (en)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166883B1 (ko) 당귀, 천궁, 갈근, 작약, 숙지황, 황기, 홍삼, 건강, 감초, 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882B1 (ko)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325B1 (ko)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7229B1 (ko) 침향을 포함하여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향상시킨 혼합차 제조방법
KR101140322B1 (ko) 홍삼, 당귀, 천궁, 황기, 대추, 백출, 작약, 감초, 계피 및 숙지황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192235A (zh) 一种罗汉果薄荷糖及其制作方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324718A1 (en)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10080817A (ko)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00279B1 (ko) 옥수수수염, 메밀, 녹차 및 스테비오사이드를 함유하는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08263A (ko)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KR101145106B1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0512449B1 (ko) 차의 제조방법
KR101140324B1 (ko) 황기, 오미자, 감초, 홍삼 및 맥문동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