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491A - 디스크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491A
KR20050033491A KR1020040079477A KR20040079477A KR20050033491A KR 20050033491 A KR20050033491 A KR 20050033491A KR 1020040079477 A KR1020040079477 A KR 1020040079477A KR 20040079477 A KR20040079477 A KR 20040079477A KR 20050033491 A KR20050033491 A KR 20050033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ickup
disc
recording medium
shaped record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모리키요시
이토마사야스
요구치아키
시노하라코우지
이시와타아키오
나가츠카마사키
코바야시토시카주
미무라사토시
무토사토시
타카다토시사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49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2Aligning the head or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e.g. adjusting tilt set screw during assembly of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Moving Of Head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베이스 섀시와, 그 베이스 섀시 상에 설치된 디스크 회전 구동부, 제 1 광 디스크에 및/또는 이 디스크로부터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1 광 픽업장치 및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그 제 1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제 1 광 픽업기구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제 2 광 디스크에 및/또는 이 디스크로부터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 및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그 제 2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상기 광 픽업장치 중의 하나의 이동을 검출하고 나머지 광 픽업장치를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 섀시의 중량 밸런스를 이루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섀시 중량은, 2개의 광 픽업장치 중 하나가 이동되는 동안 균형이 맞추어진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DISK DRIVE}
본 발명은, 광 디스크의 재생을 행하기 위한 광 픽업과, 광 디스크에 또는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하는 광 픽업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 디스크의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2개의 광 픽업을 구비하고, 한쪽의 광 픽업으로 CD(compact disk), CD-R, CD-ROM 등의 재생을 행하고, 다른쪽의 광 픽업으로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재생을 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제안되어 있다(일본특개평 9-282671호 공보, 일본특개평 9-282672호 공보 참조). 이 디스크 드라이브는, 장치 본체와 그 장치 본체내에 설치된 서브 섀시에, 각종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해서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DVD로부터 정보신호 등을 판독하는 제 1 픽업장치와, CD, CD-R 또는 CD-ROM을 재생하는 제 2 픽업장치와, 제 1 및 제 2 픽업장치의 경사를 조정하는 스큐 조정 기구를 구비한다.
서브 섀시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각 코너부 근방에는 고무 등의 댐퍼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섀시는, 이 댐퍼부재를 거쳐서 장치 본체내에 설치됨으로써 방진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섀시 위에는, 대략 중앙부에 디스크 회전 구동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삽입하여 제 1 및 제 2 픽업장치가 대향하고, 또는 소정의 각도를 설치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종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회전가능하게 보유하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는,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디스크 테이블과, 스핀들 모터를 갖고, 스핀들 모터의 스핀들 축에 디스크 테이블을 부착할 수 있음으로써,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일정한 선속도 또는 각속도로 회전 구동시킨다. 이 디스크 회전 구동부는, 서브 섀시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다.
DVD의 재생을 행하는 제 1 픽업장치는, 서브 섀시의 길이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축에 지지됨과 동시에, 픽업 반송기구에 의해, DVD의 지름방향에 걸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픽업장치는, 650nm 또는 635nm파장의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반도체레이저를 갖는 픽업과, 스큐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CD, CD-R, 또는 CD-ROM을 재생하는 제 2 픽업장치는, 서브 섀시의 길이에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축에 지지됨과 동시에, 픽업 반송기구에 의해 CD 등의 지름방향에 걸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픽업장치는, 780nm파장의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반도체레이저를 갖는 픽업을 구비하고 있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디스크 테이블에 보유되면, 그 종류가 검출되어서 그 기록매체의 사양에 적합한 제 1 픽업장치 또는 제 2 픽업장치가 선택된다. 그리고, 디스크 테이블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 제 1 또는 제 2 픽업장치에 의해 소정의 파장의 레이저광이 조사되어, 정보신호의 판독이 행해진다. 또한, 제 1 픽업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스큐 센서에 의해 스큐 검출 구멍에 근거하는 판독 레이저광의 기울기가 검출되고, 스큐 조정 기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축의 한쪽이 구동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 축에 지지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픽업장치의 각 픽업은, 대물렌즈의 기울기가 조정되어 스큐 조정이 행해진다.
이러한 디스크 드라이브는, 한 쌍의 가이드 축을 서브 섀시 위에 연장하여 설치시킴과 동시에, 이 한 쌍의 가이드 축에 지지된 제 1 및 제 2 픽업장치를 동일한 서브 섀시 위에 배치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픽업장치의 높이를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제 1 픽업장치와 제 2 픽업장치를 번거로운 위치 조정을 하지 않고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장치 본체 내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하나의 광 픽업장치의 픽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선택되지 않은 다른 광 픽업장치의 픽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측 또는 외부 반경측에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그 선택된 광 픽업장치의 픽업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외부 반경측 또는 내부 반경측으로 이동되면, 그 서브 섀시의 중량은 불균형이 될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드라이브는, 서브 섀시의 대략 중심에 설치된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그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서로 가로질러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를 가져서,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의 각 픽업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외부 반경측 또는 내부 반경측의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 그 서브 섀시의 중심은 진동원인 스핀들 모터를 구비한 디스크 회전 구동부가 될 것이다. 그러나, 적소에 설치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 광 픽업장치 중 하나가 이동되면, 그 서브 섀시의 무게 밸런스는 잃을 것이다.
그래서, 그 서브 섀시의 중심은, 진동원인 스핀들 모터가 오프이고, 방진이 않될 것이고,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안정되게 회전할 수 없으며, 정확히 스큐를 검출할 수 없다.
또한, 최근에는 정보신호를 DVD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정보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 가능한 디스크 드라이브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 드라이브는, CD 등을 재생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서의 것보다 고정밀도를 갖는 기록 트랙 피치가 작은 DVD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레이저광의 광축의 경사를 검출 및 정정하는 능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광 디스크와 스큐 센서간의 거리는, CD, DVD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디스크 테이블에 척킹한 상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뒤틀림 등에 의존하므로 항상 변한다. 이 때문에, 스큐 검출 및 조정은,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회전되면서 항상 행해져, 스큐 센서의 정확한 스큐 검출을 한다.
그러나, 상술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한 쌍의 가이드 축은 하나의 서브 섀시 위에 연장 설치되고, CD 전용 제 1 광 픽업장치와 DVD전용 제 2 광 픽업장치는 그 가이드 축 상에 각각 지지되고, 이들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의 스큐는 가이드 축의 기울기의 조정을 통해 조정된다. 그래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회전시키면서 정확히 실시간으로 스큐 조정을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최근에는, DVD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판독하고 그 기록매체에 정보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 드라이브는, 기록 또는 판독 포맷을 정의하기 위해서 적소에 설치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를 정확히 검출하고, 그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검출된 종류에 대응한 포맷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기록 또는 판독하는 능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에, DVD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판독하고 그 기록매체에 정보신호를 기록 가능한 디스크 드라이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트랙킹 및 포커싱을 정확히 제어하면서 나중의 기록트랙에 상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에 대응한 소정 포맷으로 레이저 광을 가짐으로써 기록 트랙 피치가 DVD 등과 같이 작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기록 또는 판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종래, 보통 상기와 같은 고기록밀도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정보신호를 기록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보신호를 기록하는데 사용된 광 픽업장치를 사용하여 정보신호를 판독한다. 그러므로, 정보신호를 기록한 후 정보신호가 판독되므로, 그 확인은 신속히 행해질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서브 섀시의 길이를 따라 반송되므로, 그것은 장치 본체 내의 디스크 슬롯으로부터 디스크 테이블까지의 장거리에 걸쳐 반송되어야 한다. 또한, 서브 섀시의 길이를 따라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반송시키는 디스크 반송기구는, 상당히 크다. 또한, 긴 반송거리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삽입 또는 배출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다.
또한, 디스크 트레이 상에서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반송하는 경우에, 디스크 트레이는, 그 내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는 후자의 내부 반경과 외부 반경 간의 거리 내에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신호 기록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디스크 마운트의 중심을 서로 가로질러 대향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디스크의 강성은, 확보될 수 없고, 또 디스크 트레이의 제조공정이 복잡화된다.
또한,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서브 섀시를 방진하기 위한 댐퍼부재는, 그 서브 섀시의 각 코너 근방에서 설치되고, 진동원인 스핀들 모터는 그 서브 섀시의 대략 중심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댐퍼부재는, 스핀들 모터로부터 효과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없는 진동원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댐퍼부재는, 그 서브 섀시의 각 코너 부근에 설치된다.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으로 이동되어 진동원인 스핀들 모터에 근접하므로, 댐퍼부재는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로부터 이격될 것이다. 그래서,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판독은, 스핀들 모터의 진동에 악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광 픽업장치를 포함한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여 종래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광 픽업장치 중 하나를 구동하면서 전체 장치의 중량 밸런스를 이룰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 중 한쪽이 이동한 거리를 검출하여 그 한쪽의 광 픽업장치와 동기적으로 그 제 1 또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다른쪽의 광 픽업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섀시의 중량 밸런스를 이루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 중의 한쪽이 제 1 또는 제 2 디스크 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 또는 외부 반경을 향하여 이동되고 다른쪽의 광 픽업장치가 상기 한쪽의 광 픽업장치의 이동과 동기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 또는 외부 반경을 향하여 이동되므로, 그 다른쪽의 광 픽업장치의 이동은, 그 한쪽의 광 픽업장치의 이동에 의한 상기 베이스 섀시의 중량 밸런스의 변화를 대응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과 외부 반경 사이에서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가 어떠한 위치로 이동하여도, 상기 베이스 섀시의 중심은, 진동원인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벗어나지 못하여, 제 1 또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어떠한 축방향 편향없이도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그 제 1 또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안정되게 회전하기 때문에,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는 콘텐트 데이터를 명확하게 기록 또는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응한 2개의 픽업장치를 구비하고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스큐 조정을 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는,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신호를 판독하기만 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의 경사에 따라서 제 1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제 1 스큐 조정수단과,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제 2 광 픽업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축의 경사를 검출하는 스큐 검출수단과,
상기 스큐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광축의 경사에 따라서 제 2 광 픽업장치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기록 또는 판독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스큐 조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기 디스크 드라이브는,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 1 광 픽업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판독하기 위한 제 2 광 픽업장치와,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제 1 및 제 2 스큐 조정기구를 구비하여,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또는 이 기록매체에 정보신호를 판독 또는 기록할 때 제 2 광 픽업장치를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스큐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광 픽업장치와 스큐 조정기구는, 장치 내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콘텐트 데이터를 적절한 스큐각으로 기록 또는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에 대응한 2개의 광 픽업장치를 구비하고 정보신호를 기록 또는 판독하며, 상기에서 장치 본체 내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광축의 경사에 따라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제 1 스큐 조정수단과,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제 2 광 픽업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축의 경사를 검출하는 스큐 검출수단과,
상기 스큐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광 축 경사에 따라서 제 2 광 픽업장치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스큐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스큐 조정수단과,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에 의해 장치 본체 내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제 2 광 픽업장치를 사용하여 각 종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기록 또는 판독하고, 상기 스큐 검출수단 및 스큐 조정수단은, 트랙 피치, 피트 등을 포함한 물리적 포맷이 매우 작은 신호 기록표면에 투사된 레이저광의 광 축의 경사를 정확히 정정한다. 따라서, 제 2 광 픽업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를 검출함으로써, 신호기록표면 상에 기록된 식별 데이터의 정확한 검출을 통해 디스크들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종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응한 2개의 광 픽업장치를 구비하고 정보신호를 기록 또는 판독하며,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는 가끔 사용된 광 픽업장치 중 하나에 의해 검출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보다 긴 서비스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광축의 경사에 따라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제 1 스큐 조정수단과,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제 2 광 픽업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축의 경사를 검출하는 스큐 검출수단과,
상기 스큐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광 축 경사에 따라서 제 2 광 픽업장치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스큐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스큐 조정수단과,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에 의해 장치 본체 내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제 1 광 픽업장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만 하는데 사용되고,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기록 및/또는 판독하는데 사용된 제 2 광 픽업장치보다 가끔 사용된다. 따라서, 제 1 광 픽업장치를 사용하여 장치 본체 내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를 검출하여, 자주 사용된 제 2 광 픽업장치에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장치 전체의 보다 긴 서비스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종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응한 2개의 광 픽업장치를 구비하고 정보신호를 기록 또는 판독하며, 정보신호를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성공적으로 기록하였는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판독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제 1 광 픽업장치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정보신호를 성공적으로 기록하였는지와 제 2 광 픽업장치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정보신호를 기록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가 있고,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가 성공적으로 기록하였는지의 동시 확인을 통해 임의 기록오류를 빠르게 검출하여 기록을 재시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크 드라이브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단일 광 픽업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보다 빠르게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을 재시도할 수 있고, 데이터 기록 종료 후 광 픽업장치에 의해 기록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거리를 아주 짧게 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빠르게 삽입 또는 배출하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전방측에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되는 디스크 슬롯이 설치된 장치 본체와,
대략 직사각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과 평행이 되도록 길이에 대해 장치 본체 내측에 배치된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해당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의 중간 근처로부터 일단에 걸쳐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해당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의 중간 근처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장치 본체의 전방면에 평행하게 되는 길이에 대해 배치되고, 디스크 슬롯을 통해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가 이동되는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디스크 회전 구동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로 반송하는 거리는, 광 픽업장치가 이동되는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반송하는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서의 거리보다 짧다. 그러므로,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더욱 빠르게 로딩 및 언로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이렇게 감소된 거리 때문에, 디스크 반송수단은, 더욱 소형으로 설계되어도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동원인 스핀들 모터를 가로질러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2개의 광 픽업장치를 갖고, 스핀들 모터로부터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여서, 기록매체에 또는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판독시의 진동에 영향을 제한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베이스 프레임과,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된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의 중간 근처로부터 베이스 섀시의 일단까지 연장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과 외부 반경간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걸쳐 이동할 때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축과, 그 제 1 가이드 축의 쌍들을 따라 제 1 광 픽업장치를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구비한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의 중간 근처로부터 베이스 섀시의 타단까지 연장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과 외부 반경간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걸쳐 이동할 때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축과, 그 제 2 가이드 축의 쌍들을 따라 제 2 광 픽업장치를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구비한 제 2 광 픽업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섀시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과 외부 반경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안내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축의 각 외부측의 한 쌍의 제 1 댐퍼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축의 내부측의 한 쌍의 제 2 가이드 축을 갖는다.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가 진동원인 스핀들 모터에 보다 근접한 방향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 광 픽업장치들은, 제 1 및 제 2 댐퍼부재에 의해 상기 진동원 스핀들 모터를 따라 둘러싸여져서, 상기 광 픽업장치들이 상기 스핀들 모터의 진동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가 진동원 스핀들 모터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이 외부 반경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 광 픽업장치들은, 한 쌍의 제 1 댐퍼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댐퍼부재를 포함한 3개의 댐퍼부재로 둘러싸여 있다. 그래서, 광 픽업장치는, 스핀들 모터의 진동에 악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이들 목적 및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부호 1로 총괄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는, CD, DVD 등의 복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 드라이브는, 장치 본체(2) 내에 CD, DVD 등의 복수의 종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3) 중 임의의 하나를 회전가능하게 보유해 콘텐트 데이터를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3)로부터 기록 및/또는 판독하는 기록/판독 유니트(4)와, 운영체제(OS), 브라우징 소프트웨어, 전자우편 프로그램, 통신 프로토콜,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오디오 데이터, 영화 데이터 등이 보존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5)를 구비한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1)는, 예를 들면 CD, DVD 등의 판독 전용의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기록/판독 유니트(4)에 장착하고, 기록된 게임용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영상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의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텔레비전 등의 모니터 장치에 출력신호로서 공급된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1)는, CD-R, CD-RW, DVD-R, DVD-RAM, DVD+RW, DVD-RW 등의 기록가능한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기록/판독 유니트(4)에 장착하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5) 등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영상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판독 유니트(4)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기록한다. 그 콘텐트 데이터는,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보존될 수 있다.
또한, 이 디스크 드라이브(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광 픽업기구를 구비하고, 제 1 광 픽업기구가 각종 콘텐트 데이터가 제 1 포맷으로 기록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의 판독 전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제 2 광 픽업기구가 각종 콘텐트 데이터가 제 2 포맷으로 기록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를 판독하기 위해서 및 각종 콘텐트 데이터를 제 2 포맷으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에 기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디스크 드라이브(1)는, 장치 본체(2)의 전방면측(2a)에 기록/판독 유니트(4)가 배치되고, 배면측(2b)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5),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전원 유니트 등이 배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2)의 전방면측(2a)에는, 기록/판독 유니트(4)에 장착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삽입 및 배출이 행해지는 디스크 슬롯(7)이 설치된다. 디스크 슬롯(7)으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반송 기구에 의해 장치 본체(2)의 배면측(2b)에 반송되어 기록/판독 유니트(4)에 로딩되고,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이 종료한 후, 반송 기구에 의해 장치 본체(2)의 전방면측(2a)측에 반송되어 디스크 슬롯(7)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디스크 슬롯(7)을 통해 장치 본체(2)의 내외에 걸쳐서 반송하는 반송 기구는, 디스크 슬롯(7)의 근방에 설치되고,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면방향 또는 양측면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한 쌍의 반송 롤러와, 장치 본체(2)의 전방면측(2a)으로부터 배면측(2b)에 걸쳐서 연장하고,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최외주 상하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고, 장치 본체(2)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와, 배출시에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디스크 슬롯(7)측으로 밀어내는 압출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디스크 슬롯(7)내에 삽입된 것이 검출되면, 반송 롤러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상하면측 또는 측면에서 반송 롤러 사이에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보유하면서 회전하여, 장치 본체(2)의 배면(2b)측에 반송한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압출부재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전방면측(2a)으로 밀어내고, 반송 롤러들 사이에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보유하면서 회전하여, 디스크 슬롯(7) 밖으로 배출한다.
이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기록/판독 유니트(4)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기록/판독 유니트(4)를 장치 본체(2)의 배면측(2b)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이 기록/판독 유니트(4)는,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유니트 하우징으로서의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내에 수납된 기록/판독기구(11)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록/판독기구(11)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각종 구성부재가 설치되는 베이스 섀시(12)와, 베이스 섀시(12)에 설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와, 베이스 섀시(12)에 설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기록된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 1 광 픽업기구(14)와, 베이스 섀시(12) 위에 설치된 서브 섀시(15)와, 서브 섀시(15)에 설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및/또는 기록매체(3)로부터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기구(16)를 가진다.
베이스 프레임(10)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18,19)으로 형성되고, 기록/판독 유니트(4)의 하우징을 형성하고, 내부에 기록/판독기구(11)를 수납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 프레임(18)은, 후술하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의 디스크 테이블을 상부 프레임(18)의 상면측(18a)으로 돌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은, 상부 프레임(18)의 상면(18a)으로부터 돌출되는 디스크 테이블에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로딩됨으로써, 상부 프레임(18)의 상면(18a) 위에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회전 가능하게 보유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19)은, 기록/판독기구(11)의 베이스 섀시(12) 및 이 기록/판독기구(11)의 구동회로 등이 형성된 회로기판(17)이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0)내에 수납되는 기록/판독기구(11)의 베이스 섀시(1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제 1 광 픽업기구(14), 서브 섀시(15) 및 제 2 광 픽업기구(16)를 부착할 수 있는 장착면(20)과, 장착면(20)의 일부 코너부 근방을 제외한 베이스 섀시(12)의 외주를 따라 직립 외주벽(21)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면(20)은, 내부에 제 1 및 제 2 광 픽업기구(14,16)의 각 픽업 베이스가 이동하는 제 1 및 제 2 개구부(22,23)가 형성된다. 이들 개구부(22,23)는 장착면(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의 스핀들 모터가 배치된 적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하의 설명에서는, 베이스 섀시(12)의 긴쪽의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고, 이것에 직교하는 베이스 섀시(12)의 짧은 쪽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한다.도 3 및 도 4에서, 제 1 광 픽업기구(14)는 베이스 섀시(12)의 우측에 형성된 제 1 개구부(22)에 설치되고, 서브 섀시(15) 및 제 2 광 픽업기구(16)는, 베이스 섀시(12)의 좌측에 형성된 제 2 개구부(23)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베이스 섀시(12)를 후방면(12b)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베이스 섀시(12)는, 전방면(12a)을 장치 본체(2)의 전방면(2a)을 향하여 설치된다.
베이스 섀시(12)의 우측면(12c)에는, 제 1 광 픽업기구(14)의 스큐 조정을 행하는 제 1 스큐 조정 기구(80)를 설치하는 한 쌍의 제 1 부착부(29)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섀시(12)는, 장착면(20)의 우측면 (12c)의 양쪽 코너부 근방에, 후술하는 댐퍼부재가 부착되는 댐퍼용 개구부 (3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댐퍼용 개구부(31,32)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에 적재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외부 반경측에 위치되어 있고, 외부 반경측으로 이동된 제 1 광 픽업장치(50)의 진동을 방지하는 외부 반경측 댐퍼(141,142)가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2)의 좌측면(12d)에는 후술하는 서브 섀시(15)의 장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 2 광 픽업기구(16)의 스큐 조정을 행하는 제 2 스큐 조정 기구 (130)가 부착되는 제 2 부착부(30)가 베이스 섀시(12)의 후방면(12b)에 보다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착부(30)의 근방에는, 일단이 서브 섀시(15)에 걸려져 있는 헬리컬 토션 스프링 등의 가압부재의 타단이 걸리는 걸림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2)는, 가압부재의 작용에 의해, 항상 서브 섀시(15)가 베이스 섀시(12)를 향해 가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섀시(12)는, 장착면(20)의 좌측면(12d)의 양쪽 코너부 근방에, 후술하는 댐퍼부재가 부착되기 위한 댐퍼용 개구부(33,3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댐퍼용 개구부(33,34)도,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에 적재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외부 반경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외부 반경측으로 이동된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진동을 방지하는 외부 반경측 댐퍼(143,144)가 부착되어 있다.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적재부(24)는, 베이스 섀시(12)의 전후방향을 향하고, 제 1 및 제 2 개구부의 사이를 전방면(12a)으로부터 후방면(12b)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적재부(24)에는, 베이스 섀시(12)의 전방면(12a)의 단부 및 후방면(12b)의 단부에, 후술하는 댐퍼 부재가 부착되기 위한 댐퍼용 개구부(35,36)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댐퍼용 개구부(35,36)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에 적재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부 반경측에 위치되어 있고, 내부 반경측으로 이동된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의 진동을 방지하는 내부 반경측 댐퍼(145,14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적재부(24)에는, 대략 중간부에 후술하는 스핀들 모터(42)가 적재되기 위한 원형의 적재용 개구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베이스 섀시(12)의 적재부(24)에 부착되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에 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회전 구동부(13)는, 디스크 드라이브(1)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보유하여,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 디스크 회전 구동부(13)는,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적재되는 디스크 테이블(41)과, 디스크 테이블(41)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42)와, 스핀들 모터(42)가 실장되고, 적재부(24)에 부착되는 장착기판(43)을 가진다. 디스크 테이블(41)은, 디스크형의 디스크 적재부(41a)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중심구멍을 삽입하여 통과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센터링을 하는 센터링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테이블(41)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42)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스핀들 축의 선단에서 디스크 테이블(41)의 센터링부(41b)에 접속됨으로써, 디스크 테이블(4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핀들 모터(42)가 실장되는 장착기판(43)은, 리지드(rigid)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스핀들 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기판(43)은, 베이스 섀시(12)의 좌우방향(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고 적재부(24)에 나사 고정된다. 또, 스핀들 모터(42)의 하단부는, 적재부(24)에 형성된 적재용 개구부(37)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디스크 회전 구동부(13)는,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디스크 테이블(41)에 척킹되면, 스핀들 모터(42)를 회전시켜, 이 스핀들 모터(41)의 회전에 따라 디스크 테이블(41) 및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회전시킨다.
다음에, 베이스 섀시(12)의 우측면(12c)에 설치된 제 1 광 픽업기구(14)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 1 광 픽업기구(14)는, 각종 콘텐트 데이터가 제 1 포맷으로 기록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의 판독 전용 픽업으로서 사용된다.
제 1 광 픽업기구(14)는,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는 제 1 광 픽업장치(50)와, 제 1 광 픽업장치(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축(60,61)과, 제 1 광 픽업장치(50)를 가이드 축(60,61)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기구(70)를 가진다.
제 1 광 픽업장치(50)는, 픽업 본체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픽업 베이스(51)를 구비하고, 이 픽업 베이스(51)에, 적어도, 반도체레이저 등의 (도시되지 않은) 광원과, 이 광원으로부터 조사한 광빔을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신호기록층에 집속시켜서 조사하는 대물렌즈(52)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신호기록면으로부터 반사된 귀환광을 검출하는 (도시되지 않은) 광 검출기와, 대물렌즈(52)를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포커싱 방향 및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계가 설치되고, 대물렌즈(5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부재(53)가 상기 픽업 베이스(5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광 픽업기구(14)는, 픽업 베이스(51)의 길이방향의 일단측(51a)에 후술하는 가이드 축(60)에 걸어 맞추어진 걸어맞춤편(54)이 형성되고, 타단부(51b)에 후술하는 가이드 축(61)이 삽입하는 삽입 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픽업 베이스(51)에는, 대물렌즈(52) 등의 구동계를 제어하는 구동회로 등이 형성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픽업 베이스(51)의 타단측(51b)에는, 픽업 베이스(51)를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반경방향에 걸쳐서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기구(70)의 리드(lead) 스크류(71)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재(56)가 설치된다. 걸어맞춤부재(56)는, 리드 스크류(71)의 나사 홈에 맞물리는 걸어맞춤 돌출부(57)가 형성되고, 리드 스크류(71)가 회전하게 되면 걸어맞춤 돌출부(57)가 나사 홈의 형성 방향을 향해서 이동됨으로써, 픽업 베이스(51)가 가이드 축(60,61)을 따라서 이동된다.
픽업 베이스(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60,61)은, 베이스 섀시(12)의 길이를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제 1 개구부(22)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축(60,61)은, 각각 일단부(60a,61a)가 베이스 섀시(12)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적재부(24)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설치된 베어링 부재(62,63) 상에 지지되고, 타단부(60b,61b)가 베이스 섀시(12)의 우측면(12c)의 장착면(20)에 형성된 베어링 벽(63)의 베어링 함몰부(63a,63b) 내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축(60,61)은, 각각 타단부(60b,61b)가 후술하는 제 1 스큐 조정 기구(80)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가이드 축 60은, 픽업 베이스(51)의 일단(51a)에 설치된 걸어맞춤편(54)에 걸어맞추어지고, 가이드 축 61은, 픽업 베이스(51)의 타단(51b)에 설치된 삽입 구멍(55)에 삽입됨으로써, 픽업 베이스(51)의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반경방향에 걸친 이동을 가이드한다.
픽업 베이스(51)의 걸어맞춤부재(56)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픽업 베이스(51)를 가이드 축(60,61)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기구(70)는, 픽업 베이스(51)의 걸어맞춤부재(56)에 걸어맞추어지는 리드 스크류(71)와, 리드 스크류(71)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모터(72)를 구비한다. 리드 스크류(71)는, 선단부 및 기단부를 베어링판(7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리드 스크류(71) 및 스크류 모터(72)는, 베어링판(73)이 베이스 섀시(12)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베이스 섀시(12)의 제 1 개구부(22)로부터 후방면(12b)에 고정되어 있다.
이 리드 스크류(7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류 본체에 형성된 나사 홈에 픽업 베이스(51)의 걸어맞춤부재(56)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출부(57)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픽업 이동기구(70)는, 리드 스크류(71)를 적절히,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걸어맞춤부재(56)를 나사 홈의 형성 방향으로 반송 조작하고, 픽업 베이스(51)를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부 반경측 또는 외부 반경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제 1 광 픽업장치(50)의 스큐 조정을 행하는 제 1 스큐 조정 기구(80)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스큐 조정 기구(80)는, 한 쌍의 가이드 축(60,61)에 대응하여 장착면(20)의 우측면(12c)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서 형성된 제 1 부착부(29)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제 1 스큐 조정 기구(80)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경사면에 가이드 축(60,61)의 타단부(60b,61b)를 적재시켜 회전됨으로써 그 타단부(60b, 61b)를 경사면에 활주시켜 승강시키는 승강(lifting) 캠(81)과, 타단부(60b,61b)를 승강 캠(81)의 경사면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승강 캠(81)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판(82)을 갖는다.
승강 캠(81)은,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대략 디스크형 회전부(83)와, 회전부(83)의 중심부에 세워져 설치된 축(84)과, 축(84)의 기단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경사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형 회전부(83)는, 외부 반경면에 걸쳐서 제어판(82)의 멈춤쇠(detent) 돌출부(87)가 걸리는 걸림 홈(8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5에는 베이스 섀시(12)의 후방면(12b)에 설치된 가이드 축(61)을 승강시키는 승강 캠(81) 및 제어판(82)을 나타내고 있다.
승강 캠(81)은, 걸림 홈(86)에 제어판(82)의 멈춤쇠 돌출부(87)가 걸림으로써 회전이 규제된다. 회전부(83)의 중심부에 세워져 설치된 축(84)는,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아래쪽으로부터 베이스 섀시(12)의 우측면(12c)에 형성된 제 1 부착부(29)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승강 캠(81)은, 제 1 부착부(29)를 축으로 도 5의 화살표 U 방향 또는 그 화살표 U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축(84)은, 상면측이 다각형 형상으로 개구되어 (도시되지 않은) 스큐 조정 지그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회전 조작된다. 축(84)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경사부(85)는, 회전부(83)의 일부로부터 상승하여 축(84)의 외부 반경을 따라서 점차 하강하도록 형성되고, 회전부(83)와 일체로 회전된다. 또한, 경사부(85)는, 가이드 축(60,61)의 타단부(60b,61b)가, 후술하는 제어판(82)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승강 캠(81)은, 스큐 조정 지그에 의해 축(84)이 조작됨으로써 회전부(83)가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 축(60,61)의 타단부(60b,61b)가 경사부(85)를 상대적으로 활주하고, 가이드 축(60,61)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승강 캠(81)의 회전부(83)가 도 5의 화살표 U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축(61)의 타단부(61b)를 상승시키고, 회전부(83)가 도 5의 화살표 U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축(61)의 타단부(61b)를 하강시킴으로써, 가이드 축(61)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가이드 축 60에 대해서도, 가이드 축 61의 승강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가이드 축(60,61)의 타단부(60b,61b)를 승강 캠(81)의 경사부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승강 캠(81)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판(82)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승강 캠(81)의 회전을 규제하는 멈춤쇠 돌출부(87)와, 축(84)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88)와, 가이드 축(60,61)을 승강 캠(81)의 경사부(85)로 가압하는 가압편(89)을 갖는다.
멈춤쇠 돌출부(87)는, 도 5의 화살표 S방향으로 가압되고, 승강 캠(81)의 회전부(83)에 형성된 걸림 홈(86)에 걸림으로써 승강 캠(81)의 회전을 규제함과 동시에, 스큐 조정 지그에 의해 승강 캠(81)이 회전하게 되면, 도 5의 화살표 S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하면서 순차적으로 걸림 홈(86)에 걸린다.
개구(88)는, 승강 캠(81)의 축(84)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스큐 조정 지그가 개구(88)를 통해 축(84)에 걸어맞추어져 승강 캠(81)이 회전된다.
가압편(89)은, 도 5의 화살표 P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가이드 축(60,61)의 타단부(60b,61b)를 승강 캠(81)의 경사부(85)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가압편(89)은, 가이드 축(60,61)을 승강 캠(81)의 회전과 함께 경사부(85)를 상대적으로 활주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 축(60,61)은, 승강 캠(81)의 회전량에 따라서 타단부(60b,61b)가 승강된다.
이상과 같은 제 1 스큐 조정 기구(80)는, 디스크 드라이브(1)의 제조, 출하시에, 제 1 광 픽업장치(50)의 스큐 조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테이블(41)에는 샘플로서 제 1 포맷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가 적재되어 회전하게 되면, 제 1 광 픽업장치(50)에 탑재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의 신호기록면에 반사되고, 이 반사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광은, 차동증폭회로에 출력되면 차동증폭이 행해지고, 레이저광의 광축의 기울기에 따라 신호레벨이 변화되는 스큐 오차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제 1 스큐 조정 기구(80)는, 승강 캠(81)의 축(84)에 스큐 조정 지그가 걸어맞추어져, 스큐 조정 지그에 의해, 스큐 오차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승강 캠(81)의 회전부(83)가 도 5의 화살표 U방향 또는 화살표 U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승강 캠(81)이 회전됨으로써, 가이드 축(60,61)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승강 캠(81)의 경사부(85) 상을 활주하고, 타단부(60b,61b)가 승강 조작되어, 가이드 축(60,61)의 기울기가 조정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축(60,61)에 지지된 제 1 광 픽업장치(50)의 스큐 조정이 행해진다.
여기서, 제 1 광 픽업장치(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콘텐트 데이터가 제 1 포맷으로 기록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의 판독 전용에 사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 2 포맷에 의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에 대한 기록 또는 판독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제 1 광 픽업장치(50)는,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기록시에 행해지는 고정밀도 스큐 조정은 요구되지 않는다. 즉, 디스크 드라이브(1)의 제조, 출하시에 제 1 스큐 조정 기구(80)에 의해 스큐의 대략 조정이 행해진 후는, 스큐 조정은 행해지는 경우는 없다.
다음에, 베이스 섀시(12)의 좌측에 형성된 제 2 개구부(23) 위에 설치되고 제 2 광 픽업기구(16)가 설치된 서브 섀시(15)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서브 섀시(15)는, 제 2 광 픽업기구(16)를 지지함과 아울러, 베이스 섀시(12)에 부착된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에 의해 서브 섀시(15)마다 기울기 조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제 2 광 픽업기구(16)의 고밀도의 스큐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
서브 섀시(15)는,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주표면부(90)와, 주표면부(90)에 설치되어 제 2 광 픽업기구(16)의 이동 영역에 대응한 픽업용 개구부(91)를 가진다.
주표면부(90)는, 후방면(12b)의 외주 코너부에 설치된 댐퍼용 개구부(36)에 대응해서 댐퍼 부재가 위쪽으로 노출되는 댐퍼용 개구부(9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브 섀시(15)는, 주표면부(91)의 전후방향의 대략 중간부를 제외한 외주를 따라 외주벽(93)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93)의 전방면(93a) 및 후방면(93b)에는, 후술하는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에 의해 기울기 조정이 되는 서브 섀시(15)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 지지부(94)가 형성되어 있다. 각 회전 지지부(94)는, 삽입 구멍(94a)이 형성되고, 이 삽입 구멍(94a)과 베이스 섀시(12)의 전방면(12a) 및 후방면(12b)의 외주벽(21)에 형성된 연결 구멍(25)이 연속됨과 아울러 나사 등이 삽입됨으로써, 베이스 섀시(12)의 외주벽(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픽업용 개구부(91)는, 후술하는 제 2 광 픽업기구(16)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반경방향에 걸쳐서 이동되는 영역이며, 우측가장자리부(91a)가 개방된 개방부(도면부호 97로 나타냄)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단부(97)는, 서브 섀시(15)가 베이스 섀시(12) 위에 배치되면,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의 디스크 테이블(41) 및 스핀들 모터(42)가 위치된다. 또한 픽업용 개구부(91)는, 우측가장자리부(91a) 근방에 전후방향에 걸쳐서 연결부(9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픽업용 개구부(91)는, 좌측가장자리부(91c) 근방에 제 2 광 픽업기구(16)를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120)의 반송 모터(122)가 설치되는 모터 개구부(91b)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95)는, 픽업용 개구부(91)의 개방단부(97)의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서브 섀시(15)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베이스 섀시(12) 전체의 강성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이 연결부(95)는, 전후방향에 걸친 양쪽 기단부(95a)가 베이스 섀시(12)측에 경사짐으로써, 해당 기단부(95a) 사이에 걸친 본체부(95b)가 베이스 섀시(12)의 제 2 개구부(23)의 아래쪽으로 연장 설치되고, 제 2 광 픽업기구(16)의 이동 궤적상에 있지 않고 연장되어 있다.
또한, 서브 섀시(15)는, 픽업용 개구부(91)의 좌측 가장자리부(91c)에, 후술하는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로 기울기 조정이 되는 스큐 조정 축(96)이 베이스 섀시(12)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스큐 조정 축(96)은,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의 스큐 조정 캠(131)을 활주함으로써 승강 조작되고, 서브 섀시(15)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또한, 이 스큐 조정 축(96)의 근방에는, 일단이 베이스 섀시(12)의 걸림 구멍(38)에 걸린 헬리컬 왜곡 스프링 등의 가압부재(98)의 타단이 걸리는 걸림 구멍(99)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 섀시(15)는, 가압부재(98)에 의해 상시, 베이스 섀시(12)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다음에, 이 서브 섀시(15) 위에 배치되는 제 2 광 픽업기구(16)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2 광 픽업기구(16)는, 각종 콘텐트 데이터가 제 2 포맷으로 기록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에 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제 2 광 픽업기구(16)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에 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100)와,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축(110,111)과, 제 2 광 픽업장치(100)를 가이드 축(110,111)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기구(120)를 가진다.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픽업 본체를 구성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픽업 베이스(101)를 구비하고, 이 픽업 베이스(101)에, 적어도, 반도체레이저 등의 (도시되지 않은) 광원과, 이 광원으로부터 조사한 광빔을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신호기록면에 수속시켜서 조사하는 대물렌즈(102)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신호기록면으로부터 반사하는 귀환광을 검출하는 (도시되지 않은) 광 검출기와, 대물렌즈(102)를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포커싱 방향 및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계와,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스큐 검출을 행하는 스큐 센서(1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광 픽업기구(16)는, 픽업 베이스(101)의 길이방향의 일단측(101a)에 후술하는 가이드 축(110)에 걸어맞추어진 걸어맞춤편(104)이 형성되고, 타단부(101b)에 후술하는 가이드 축(111)이 삽입하는 삽입 구멍(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픽업 베이스(101)에는, 대물렌즈(102)의 구동계를 제어하는 구동회로 등이 형성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픽업 베이스(101)의 타단(101b)에는, 픽업 베이스(101)를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반경방향에 걸쳐서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기구(120)의 기어기구(121)와 걸어맞추는 랙(rack)부재(106)가 설치된다. 픽업 베이스(101)는, 기어기구(121)가 회전하게 되면 랙 부재(106)와 일체로 이동됨으로써, 가이드 축(110,111)을 따라서 이동된다.
픽업 베이스(10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110,111)은, 베이스 섀시(12)의 긴쪽 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베이스 섀시(12)의 제 2 개구부(23) 및 서브 섀시(15)의 픽업용 개구부(91) 위를 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축(110,111)은, 각각 일단부(110a,111a)가 픽업용 개구부(91)의 개방단부(97) 근방의 주표면부(90)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설치된 베어링 부재(112,113) 상에 지지되고, 타단부(110b,111b)가 픽업용 개구부(91)의 좌측 가장자리부(91c)측의 주표면부(90)에 형성된 베어링 부재(114,115)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축 110은, 픽업 베이스(101)의 일단(101a)에 설치된 걸어맞춤편(104)에 걸어맞추어지고, 가이드 축 111은, 픽업 베이스(101)의 타단(101b)에 설치된 삽입 구멍(105)에 삽입됨으로써, 픽업 베이스(101)의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반경방향에 걸치는 이동을 가이드한다.
픽업 베이스(101)의 랙 부재(106)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픽업 베이스(101)를 가이드 축(110,111)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기구(120)는, 픽업 베이스(101)의 랙 부재(106)에 걸어 맞추어지는 기어기구(121)와, 기어기구(121)를 회전 구동시키는 반송 모터(122)를 구비한다. 이것들 기어기구(121) 및 반송 모터(122)는, 베이스 섀시(12)의 장착면(20) 또는 서브 섀시(15)의 주표면부(90)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베이스 섀시(12)의 제 2 개구부(23)의 전방면(12a)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기어기구(12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픽업 베이스(101)에 일체로 설치된 랙 부재(106)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픽업 이동기구(120)는, 반송 모터(122)에 의해 기어기구(121)를 적절히,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함에 의해 랙 부재(106)를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픽업 베이스(101)를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부 반경측 또는 외부 반경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스큐 조정을 행하는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는, 베이스 섀시(12)의 좌측면(12d)측에, 후방면(12b)측으로 경사져서 설치된 제 2 부착부(30)에 부착되어 있다.이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는,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경사부에 서브 섀시(15)의 스큐 조정 축(96)의 선단부를 상대적으로 활주시킴으로써 서브 섀시(15)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스큐 조정 캠(131)과, 스큐 조정 캠(131)을 회전시키는 스큐 조정 모터(132)와, 스큐 조정 모터(132)의 회전력을 스큐 조정 캠(131)에 전달하는 기어기구(133)를 가진다.
스큐 조정 캠(131)은,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대략 디스크형의 회전부(134)와, 회전부(134)의 주표면부에, 회전부(134)의 외주를 따라 세워져 설치된 비스듬하게 짤린 원뿔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대략 디스크형 회전부(134)는, 그 외주에 기어기구(133)가 걸어맞추어진 걸어맞춤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부(134)는, 걸어맞춤부(136)에 걸어맞추어진 기어기구(133)를 통해 스큐 조정 모터(132)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된다. 또한 회전부(134)는, 중심부에 (도시되지 않은)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베이스 섀시(12)에 형성된 제 2 부착부(30)가 삽입됨으로써 베이스 섀시(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비스듬하게 짤린 원뿔부(135)는, 상술한 것처럼 회전부(134)의 외주를 따라 형성됨과 동시에, 서브 섀시(15)보다 베이스 섀시(12)측으로 돌출 설치된 스큐 조정 축(96)이 접촉되는 상면부에 경사면(135a)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35a)은, 회전부(134)의 외주를 향하여 점차 하강되어 간다. 이러한 비스듬하게 짤린 원뿔부(135)는, 회전부(134)가 회전됨으로써 회전부(134)와 일체로 회전된다. 또한, 비스듬하게 짤린 원뿔부(135)는, 경사면(135a)에, 서브 섀시(15)가 가압부재(98)에 의해 베이스 섀시(12)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스큐 조정 축(96)의 선단부가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스큐 조정 캠(131)은, 회전부(134)가 기어기구(133)를 통해 스큐 조정 모터(132)에 의해 회전되면, 스큐 조정 축(96)이 경사면(135a)을 상대적으로 활주하고, 서브 섀시(15)를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스큐 조정 캠(131)은, 회전부(134)가 도 6에서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큐 조정 축(96)이 경사면(135a)을 활주하여 상승하고, 서브 섀시(15)를 이 도 6에서 화살표 T방향으로 기울게 한다. 또한 회전부(134)가 도 6의 화살표 R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큐 조정 축(96)이 경사면(135a)을 활주하여 하강하고, 서브 섀시(15)를 이 도 6에서 화살표 T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기울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는, 디스크 드라이브(1)에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가 삽입되고, 제 2 광 픽업장치(100)에 의해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스큐 조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광 픽업장치(100)에 탑재된 스큐 센서(108)로부터 출사된 적외광이,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의 신호기록면에 의해 반사되어, 이 반사광이 스큐 센서(108)에 의해 검출된다. 스큐 센서(108)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의 신호기록면의 기울기에 따른 출력을 차동증폭회로에 출력하여, 차동증폭이 이루어짐으로써 레이저광의 기울기에 따른 신호레벨이 변화되는 스큐 오차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보 회로(163)에 의해 이 스큐 오차신호가 최소로 되도록 스큐 조정 모터(132)가 구동되고, 기어기구(133)에 의해 스큐 조정 캠(131)이 도 6의 화살표 R방향 또는 이 화살표 R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스큐 조정 캠(131)이 회전됨으로써, 스큐 조정 축(96)은, 상기 비스듬하게 짤린 원뿔부(135)의 경사면(135a)에 활주하면서 승강된다. 이에 따라 스큐 조정 축(96)이 돌출 설치된 서브 섀시(15)는, 베이스 섀시(12)에 대하여 기울기가 조정되고, 서브 섀시(15) 위에 배치된 제 2 광 픽업기구(16)의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스큐 조정이 행해진다.
여기서,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콘텐트 데이터가 제 2 포맷으로 기록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에 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 중에서도, DVD는 CD와 비교하여 신호기록면에 형성된 트랙 피치나 피트의 크기 등의 물리 포맷이 협소화되어 있어, 신호기록면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광축 기울기에 대한 허용량이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다. 또한, 콘텐트 데이터를 기록할 때는, 제 2 광 픽업장치(100)로부터 출사된 광빔의 광축이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의 신호기록면에 대하여 수직하지 않고 기울어져 있으면, 수차가 발생해서 신호기록면에 결상되는 스폿이 원이 아니라 타원이 되어버려 정확한 데이터 기록을 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의 기록 또는 판독중은 실시간으로 레이저광의 광축의 기울기가 고정밀도로 검출되고, 또한 스큐 조정 기구(130)에 의한 스큐 조정은 보다 고정밀도로 행해진다.
또한,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는, 서브 섀시(15)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서브 섀시(15)에 탑재되어 있는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스큐 조정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의 기록 또는 판독중, 실시간으로 스큐 조정이 되는 것이며, 가령 제 1 광 픽업장치(50)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축(110,111)을 직접 구동시키면, 베어링 부재(112∼115)가 가이드 축(110,111)과 자주 활주 접촉됨으로써 마모하고, 안정된 스큐 조정을 행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가이드 축(110,111) 및 베어링 부재(112∼115)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 부재를 이용하여 이것들을 형성하면, 광 픽업기구의 대형화, 중량화로 이어진다. 또한,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픽업 베이스(101)에 스큐 조정수단을 내장하고, 스큐 조정 기능을 하게 하면, 제 2 광 픽업장치(100)에 걸리는 부담이 증대해버려, 안정된 스큐 조정을 행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는, 서브 섀시(15)가 회전 지지부(94)를 중심으로 직립 외주벽(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이 회전 지지부(94)를 지주로 하여서 서브 섀시(15)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에 의한 실시간 스큐 조정이 행해졌을 경우에도, 서브 섀시의 기울기를 자주 조정하는 것에 의한 서브 섀시(15), 가이드 축(110,111) 및 베어링 부재(112∼115)는 손상하지 않고, 또한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부담도 증대하지 않아 안정된 스큐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1)의 기록/판독기구(11)는,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베이스 섀시(12) 위에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와, 제 1 광 픽업기구(14)와, 서브 섀시(15)가 부착되고, 서브 섀시(15) 위에 제 2 광 픽업기구(16)가 부착됨으로써, 베이스 섀시(12)의 우측에 배치된 제 1 광 픽업장치(50)와, 베이스 섀시(12)의 좌측에 설치된 서브 섀시(15) 위에 배치된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가이드 축 60,61과, 가이드 축 110,111에 좌우 대칭으로 지지된다.
즉, 픽업 베이스(51)의 일단(51a)의 걸어맞춤편(54)을 가이드 축(60)에 걸어맞추어지고, 타단(51b)의 삽입 구멍(55)에 가이드 축(61)을 삽입시킨다. 그래서, 제 1 광 픽업장치(50)는, 걸어맞춤편(54)과 삽입 구멍(55)의 양단부의 3점에서 그 가이드 축(60, 61) 상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제 1 광 픽업장치(100)와 대칭이 되도록 픽업 베이스(101)의 일단(101a)에 형성된 걸어맞춤편(104)을 가이드 축 110에 걸어맞추고, 타단부(101b)에 형성된 삽입 구멍(105)에 가이드 축 111을 삽입시킨다. 그래서,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걸어맞춤편(104)과 삽입 구멍(105)의 양단부의 3점에서 상기 가이드 축(110, 111) 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는, 기록/판독기구(11)의 중량 밸런스가 베이스 섀시(1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 디스크 회전 구동부(13)를 중심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1)는, 기록/판독 유니트(4)의 중량 밸런스를 꾀할 수 있음으로써,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또는 이 기록매체(3)로부터 안정한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기록/판독기구(11)의 베이스 섀시(12)에는, 우측면(12c) 및 좌측면(12d)의 양쪽 코너부 근방 및 적재부(24)의 전후방향의 단부에, 댐퍼용 개구부(31∼36)가 설치되고, 고무 부시 등의 외부 댐퍼(141∼144) 및 내부 댐퍼(145,14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중 외부 댐퍼(141,142) 및 내부 댐퍼(145,146)는, 제 1 광 픽업장치(50)의 이동 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제 1 광 픽업장치(50)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에 적재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부 반경측과 외부 반경측의 사이에서 이동되지만, 이 이동 영역의 어느 위치에서도 제 1 광 픽업장치(50)는, 외부 댐퍼(141,142) 및 내부 댐퍼(145,146)에 둘러싸여져 있다. 또한 제 1 광 픽업장치(50)가 진동원이 되는 스핀들 모터(42)에 근접한 내부 반경측으로 이동되면, 제 1 광 픽업장치(50)는, 진동원이 되는 스핀들 모터(42)와 함께 외부 댐퍼(141,142) 및 내부 댐퍼(145,146)에 의해 둘러싸여지기 때문에, 스핀들 모터(42)에 의한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광 픽업장치(50)가 진동원이 되는 스핀들 모터(42)로부터 떨어진 외부 반경측으로 이동되었을 때도, 제 1 광 픽업장치(50)는, 한 쌍의 외부 댐퍼(141,142) 및 내부 댐퍼 145 또는 146의 적어도 3개의 댐퍼에 의해 둘러싸여지기 때문에, 스핀들 모터(42)에 의한 진동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댐퍼(143,144) 및 내부 댐퍼(145,146)는,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이동 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에 적재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부 반경측과 외부 반경측의 사이에 걸쳐서 이동되지만, 이 이동 영역 중 어느 위치에서도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외부 댐퍼(143,144) 및 내부 댐퍼(145,146)에 둘러싸여져 있다. 또한 제 2 광 픽업장치(100)가 진동원이 되는 스핀들 모터(42)에 가까운 내부 반경측으로 이동되면,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진동원이 되는 스핀들 모터(42)와 함께 외부 댐퍼(143,144) 및 내부 댐퍼(145,146)에 의해 둘러싸여지기 때문에, 스핀들 모터(42)에 의한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광 픽업장치(100)가 진동원이 되는 스핀들 모터(42)로부터 떨어진 외부 반경측으로 이동되었을 때도,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한 쌍의 외부 댐퍼(143,144) 및 내부 댐퍼 145 또는 146의 적어도 3개의 댐퍼에 의해 둘러싸여지기 때문에, 스핀들 모터(42)에 의한 진동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는, 각각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외부 반경측에 설치된 한 쌍의 외부 댐퍼 141,142 또는 143,144와, 내부 반경측에 설치된 한 쌍의 내부 댐퍼(145,146)에 의해, 이동 영역이 둘러싸여져 있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부 반경측과 외부 반경측 사이의 어느 위치로 이동되어도, 진동원이 되는 스핀들 모터(42)의 진동에 의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에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50,100)는, 내부 반경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한 쌍의 내부 댐퍼(145,146)와 외부 댐퍼 141,142 또는 143,144의 4개의 댐퍼에 의해, 진동원이 되는 스핀들 모터(42)와 함께 둘러싸여지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50,100)는, 내부 반경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한 쌍의 외부 댐퍼 141,142 또는 143,144와 내부 댐퍼 145 또는 146 중 적어도 3개로 둘러싸여지기 때문에, 확실히 스핀들 모터(42)에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드라이브(1)의 장치 본체(2) 내에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삽입되기 전에는, 기록/판독기구(11)의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는, 동시에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에 근접한 내부 반경측으로 이동되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장치 본체(2)의 전방면(2a)에 형성된 디스크 슬롯(7)으로부터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삽입되면, 상세 내용을 생략한 디스크 반송 기구에 의해 장치 본체(2)의 배면(2b)측으로 반송되어, 기록/판독 유니트(4)의 디스크 테이블(41)에 로딩된다.
그 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에서는, 기록/판독 유니트(4)가 장치 본체(2)의 전방면(2a)에 대하여 평행한 길이로 배치되고, 디스크 슬롯(7)으로부터 도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기록/판독 유니트(4)의 베이스 섀시(12)의 전후방향이 되는 도 1의 화살표 F방향 또는 화살표 F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송된다. 즉, 디스크형 기록매체(3)는,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의 이동 방향인 베이스 섀시(12)의 길이에 직교하는 전후방향으로 반송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광 픽업장치의 이동 방향인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으로 반송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는,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디스크 테이블(41)에 반송할때 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보다 신속한 로딩 및 언로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반송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디스크 반송 기구는 더욱 소형화 할 수 있다.
디스크 반송 기구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디스크 테이블(41)에 반송되면, 다음에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가 검출된다. 디스크 드라이브(1)는, 검출된 디스크 타입에 따른 포맷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또는 이 기록매체(3)로부터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한다.
이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의 검출은, 제 1 광 픽업장치(50)가 사용된다. 제 1 광 픽업장치(50)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회전되면, 발광소자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해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신호기록면에 조사하고, 광 검출기에 의해 그 반사광을 수광한다.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광은, RF회로(150)를 통해 식별 데이터 디코더(151)에 출력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록된 식별 데이터를 검출한다(도 9 참조). 그리고, 검출된 식별 데이터에 의거하여 시스템 제어기(152)에 의해,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를 판별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기(152)는,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식별된 종류에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50,100)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콘텐트 데이터가 제 1 포맷으로 기록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가 장착된 경우에는, 제 1 광 픽업장치(50)가 선택되고, 콘텐트 데이터가 제 2 포맷으로 기록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가 장착된 경우에는, 제 2 광 픽업장치(100)가 선택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152)는, 검출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에 따라, 기록된 콘텐트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4개의 디코더(153∼156)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제 1 포맷으로 기록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가 검출된 경우에는, 제 1 또는 제 2 디코더(153,154)가 선택된다. 제 1 또는 제 2 디코더(153,154)는, 판독 포맷의 신구 버전간의 차이에 따라 어느 한쪽이 선택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152)는, 제 2 포맷으로 기록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가 검출된 경우에는, 제 3 또는 제 4 디코더를 선택한다. 제 3 또는 제 4 디코더는, 예를 들면 CD의 기록/판독용 디코더와 DVD의 기록/판독용 디코더처럼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트랙 피치나 피트의 크기 등의 물리 포맷, 변조 방식 등의 데이터 포맷의 차이에 따라 어느 한쪽이 선택된다. 이때, 디코더의 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기록 또는 판독 포맷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증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에서는, 디스크 테이블(41)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를 제 1 광 픽업장치(50)를 사용해서 검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제 1 광 픽업장치(50)는, 콘텐트 데이터가 제 1 포맷으로 기록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의 데이터 판독 전용에 사용되는 것이며, 콘텐트 데이터가 제 2 포맷으로 기록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에 또는 이 기록매체(3b)로부터 기록 또는 판독에 사용되는 제 2 광 픽업장치(100)에 비해서 사용빈도는 낮은 것이다. 따라서, 제 1 광 픽업장치(50)를, 디스크 테이블(41)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검출에 사용함으로써, 사용 빈도가 높은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부담을 줄이고, 장기 수명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는, 제 2 광 픽업장치(100)를 사용해서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를 검출하도록 설계되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콘텐트 데이터가 제 2 포맷으로 기록되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에 또는 이 기록매체(3b)로부터 기록 또는 판독에 사용되는 것이며, 또한 트랙 피치나 피트 등의 물리 포맷이 협소화된 신호기록면에, 수직하게 광빔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간으로 스큐 검출을 행함과 동시에 스큐 조정이 행해져서 신호기록면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광축의 기울기가 고정밀도로 보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광 픽업장치(100)를, 디스크 테이블(41)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검출에 사용함으로써, 고밀도의 디스크 검출을 행할 수 있고, 디스크 종류의 검출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가 검출되면, 그 검출된 종류에 따른 픽업을 선택함과 동시에 검출된 디스크의 종류에 따른 디코더가 선택되면, 다음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또는 그 기록매체(3)로부터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이 행해진다.
제 1 광 픽업기구(14)에 관해서, 여기서 콘텐트 데이터가 제 1 포맷으로 기록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가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픽업 이동기구(70)의 리드 스크류(71)가 시스템 제어기(15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서 구동되는 스크류 모터(72)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리드 스크류(71)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재(56)가 리드 스크류(71)의 나사 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서 이동됨으로써, 제 1 광 픽업장치(50)의 픽업 베이스(51)가 가이드 축(60,61)의 연장 설치 방향인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의 내외부 반경 사이에 걸쳐서 이동된다.
또한, 제 2 광 픽업기구(16)에 관해서, 여기서, 콘텐트 데이터가 제 2 포맷으로 기록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가 장착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픽업 이동기구(120)의 기어기구(121)가 시스템 제어기(15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서 구동되는 반송 모터(122)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기어기구(121)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랙 부재(106)가 기어기구(121)의 회전에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랙 부재(106)에 접속하고 있는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랙 부재(106)와 일체로 이동됨으로써, 픽업 베이스(101)가 가이드 축(110,111)의 연장 설치 방향인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의 내외부 반경 사이에 걸쳐서 이동된다.
그리고,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50,100)는,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소정의 파장의 레이저광이 빔 스플리터를 통해서 대물렌즈 52 또는 102에 안내된다. 레이저광은 대물렌즈 52 또는 102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신호기록면에 조사되고, 피트가 기록된 기록 트랙에 집광된다. 그리고, 레이저광은, 기록 트랙의 피트 상태에 의거하여 빛의 강도가 변조된 상태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대물렌즈 52 또는 102에 입사된다. 이 반사광은, 대물렌즈 52 또는 102로부터 빔 스플리터에 의해 분광되어서 광 검출기에 입사된다. 디스크 드라이브(1)는, 광 검출기로부터 피트 상태에 따른 판독 출력이 RF회로 150 또는 158을 통해서 미리 선택된 제 1∼제 4 디코더(153∼156)에 송출되어 변조 등의 디코드 처리가 된 후, 장치 본체(2)에 접속된 모니터(159)와 스피커(160)에 의해 콘텐트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또한,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콘텐트 데이터를 기록할 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5)로부터 출력되어 기록처리기(161)를 통해서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된 기록 데이터 열이 공급되고,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기록해 간다. 이 기록처리기(161)는, 인코드 회로와, 변조회로를 갖고 있다. 입력된 기록 데이터 열은, 인코드 회로에 의해 오류정정코드가 부가되어, 변조회로에 의해 8-14변조 또는 8-16변조 등의 변조 처리가 된다.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50,100)에 의한 데이터 기록 또는 판독 처리가 되고 있을 때, 서보 회로 162 또는 163은,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목적으로 하는 회전속도가 되도록, 스핀들 모터(42)를 구동한다.
또한, 서보회로 162 또는 163는, RF앰프 150 또는 158로부터 출력된 포커스 오차신호(FE신호)에 근거해 2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고, 광빔의 초점위치를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커싱 서보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보회로 162 또는 163은, FE신호가 0이 되도록 네가티브 피드백이 형성된 서보 루프를 형성하고, 2축 액추에이터를 구동한다. 또한 서보회로 162 또는 163은, RF앰프 150 또는 158로부터 출력된 트랙킹 오차신호(TE신호)에 근거해 2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고, 광빔의 조사 위치를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기록 트랙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랙킹 서보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보회로 162 또는 163은, TE신호가 0이 되도록 네가티브 피드백이 형성된 서보 루프를 형성하고, 2축 액추에이터를 구동한다.
이때, 제 1 광 픽업장치(50)는, 제조 및 출하시에 스큐 조정이 행해져 있기 때문에,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3a)에 기록된 콘텐트 데이터의 판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판독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의 신호기록면에 대한 광축의 기울기를 항상 보정하면서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할 필요가 있어, 기록 또는 판독시에 실시간으로 스큐 조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스큐 센서(108)로부터 출사된 적외광이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3b)의 신호기록면에 반사되어, 이 반사된 적외광을 스큐 센서(108)에 의해 수광한다. 스큐 센서(108)는, 이 수광된 적외광을 차동증폭함에 의해 스큐 오차신호를 생성하고, 서보회로(163)에 출력한다. 서보회로(163)는, 이 스큐 오차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제 2 스큐 조정 기구(130)의 스큐 조정 모터(132)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는,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와,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의 스큐 조정을 행하는 제 1 및 제 2 스큐 조정 기구(80,130)를 각각 구비하고, 디스크 드라이브(1)의 제조, 출하시에 제 1 광 픽업장치(50)에 대하여 스큐의 대략 조정을 행하고, 콘텐트 데이터가 제 2 포맷으로 기록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기록 또는 판독중에 제 2 광 픽업장치(100)에 대하여 스큐의 정밀 조정을 실시간으로 행한다. 따라서,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에 따라 2개의 픽업기구 및 스큐 조정 기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적절한 스큐 각도에서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는, 한쪽의 광 픽업장치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외부 반경 사이에서 이동되면, 다른쪽의 광 픽업장치도 그 한쪽의 광 픽업장치와 동기적으로 이동됨으로써, 베이스 섀시(12)의 중심이 항상 스핀들 모터(42)와의 밸런스를 위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1)는, 시스템 제어기(152)에 의해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의 이동량을 검출함과 동시에 한쪽의 광 픽업장치의 이동량에 따라 다른쪽의 광 픽업장치를 이동하도록 픽업 이동기구(70,120)를 제어한다(도 9 참조).
더욱 구체적으로, 이 시스템 제어기(152)는, 미리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의 중량이나, 제 1 광 픽업장치(50)의 이동에 따라 베이스 섀시(12)의 카운터 밸런스를 얻기 위한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이동 거리 및, 제 2 광 픽업장치(100)의 이동에 대하여 베이스 섀시(12)의 카운터 밸런스를 얻기 위한 제 1 광 픽업장치(50)의 이동 거리를 서로 상관시킨 테이블이 기록된 메모리(16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기(152)는, 디스크 테이블(41)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50,100)의 한쪽이 픽업 이동기구(70 또는 120)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외부 반경 사이에서 이동되면, 이 이동 거리를 검출하고, 메모리(164)에 기록된 테이블에 근거해 다른쪽의 광 픽업장치를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외부 반경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픽업 이동기구(70 또는 120)의 모터를 제어한다.
이렇게, 베이스 섀시(12) 위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 중, 한쪽의 광 픽업장치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외부 반경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과 동기하고, 다른쪽의 광 픽업장치도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외부 반경 사이에서 이동되기 때문에, 한쪽의 광 픽업장치의 이동에 따른 베이스 섀시(12)의 중량 밸런스의 변화에 대하여, 다른쪽의 광 픽업장치의 이동이 카운터 밸런스를 얻게 된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50,100)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외부 반경 사이에서 어느 위치에 이동되어 있어도, 베이스 섀시(12)의 중심은 진동원이 되는 스핀들 모터(42)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없고,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회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회전이 안정됨으로써,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50,100)는,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픽업 베이스(51)의 일단측(51a)에 있는 걸어맞춤편(54)이 가이드 축 60에 걸어맞추어지고, 타단측(51b)에 있는 삽입 구멍(55)에 가이드 축 61이 삽입됨으로써, 제 1 광 픽업장치(50)는, 걸어맞춤편(54)과 삽입 구멍(55)의 양단부의 3점에서 지지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에 대해 제 2 광 픽업장치(100)와 제 1 광 픽업장치(50)가 대칭이 되도록, 픽업 베이스(101)의 일단측(101a)에 형성된 걸어맞춤편(104)이 가이드 축 110에 걸어맞추어지고, 타단부(101b)에 형성된 삽입 구멍(105)에 가이드 축 111이 삽입된다. 그래서,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걸어맞춤편(104)과 삽입 구멍(105)의 양단부의 3점에서 상기 가이드 축(110, 111) 상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1 광 픽업장치(50)를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기구(70)는, 가이드 축(61)과 인접하게 베이스 섀시(12)의 후방면(12b)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광 픽업장치(100)를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기구(120)는, 가이드 축(111)과 인접하게 베이스 섀시(12)의 전방면(12a)에 설치되고, 디스크 회전 구동부(13)에 대해 픽업 이동기구(70)와는 대칭으로 위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의 상기 구성 때문에, 기록/판독기구(11)의 중량 밸런스가 베이스 섀시(1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 디스크 회전 구동부(13)를 중심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1)는, 기록/판독 유니트(4)의 중량 밸런스를 꾀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또는 이 기록매체(3)로부터 안정된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는, 제 2 광 픽업장치(100)에 의해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 1 광 픽업장치(50)에 의해 제 2 광 픽업장치(100)가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이 성공적으로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디스크 드라이브(1)가 기록가능한 제 2 광 픽업장치(100)와 판독 전용의 제 1 광 픽업장치(50)를 구비하고, 제 2 광 픽업장치(100)에 의한 기록과, 제 1 광 픽업장치(50)에 의한 판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콘텐트 데이터의 기록이 성공적으로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1)는, 충격 등의 외란에 의한 데이터 기록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기록 동작을 일단 중지하고, 중단된 어드레스를 빨리 검출한 후, 재차 기록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광 픽업(100)에 의해 콘텐트 데이터를 기록하는 한편, 제 1 광 픽업장치(50)에 의해 광빔이 조사되어, 신호기록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광 검출기에 검출된 검출광은, RF회로(150)를 통해 시스템 제어기(152)에 출력된다. 시스템 제어기(152)에는, 기록처리기(161)로부터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기록되어야 할 데이터가 공급되어 있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기(152)는, 각 어드레스마다 기록처리기(161)로부터 출력된 기록 데이터와 제 1 광 픽업장치(50)에서 판독된 기록 데이터를 비교한다. 기록 오류가 발견되면, 시스템 제어기(152)에 의해 제 2 픽업 이동기구(120)가 제어되어, 오류가 생긴 어드레스를 검출하고, 제 2 광 픽업장치(100)는 일단 중단된 기록을 재개한다.
이때, 여기서, 하나의 광 픽업장치만을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신호기록면에서의 기록 실패가 발생한 경우에,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대한 콘텐트 데이터의 모두에 대해서 기록이 종료한 후에 이 기록이 성공적으로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에서는, 시간이 걸려, 신속한 재기록을 행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와 같이, 제 2 광 픽업장치(100)에 의한 데이터 기록과, 제 1 광 픽업장치(50)에 의한 검증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어떠한 기록 오류도 빨리 검출하고, 일단 중단된 기록을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1)에 의하면, CD-R, DVD-R 등과 같이, 시계열로 연속적으로 데이터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형 기록매체(3)에 데이터 기록 및 기록 재개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는,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을 하려고 할 때,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내부 반경측과 외부 반경측의 사이를 이동한다. 베이스 섀시(12)의 각 코너부 근방 및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된 적재부(24)의 양단부에 외부 댐퍼(141∼144) 및 내부 댐퍼(145,146)가 부착되고, 베이스 섀시(12)가 이것들 댐퍼(141∼146)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18,19) 위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섀시(12) 위의 스핀들 모터(42)에 의한 진동이 상기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 100)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가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으로, 즉 진동원이 되는 스핀들 모터(42)에 보다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그들은 스핀들 모터(42)와 함께 외부 댐퍼 141,142 또는 143,144, 및 내부 댐퍼(145,146)에 의해 둘러싸여져서, 스핀들 모터(42)에 의한 진동을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 100)로부터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가 외부 반경측으로, 즉 스핀들 모터(42)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50,100)는, 한 쌍의 외부 댐퍼 141,142 또는 143,144, 및 내부 댐퍼 145 또는 146 중 적어도 3개의 댐퍼에 의해 둘러싸여지기 때문에, 스핀들 모터(42)에 의한 진동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되고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각종 방법으로 변경되고, 선택적으로 구성되거나 각 종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알아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디스크 드라이브(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제 1 광 픽업장치(50)는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판독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디스크 장치(1)에서,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장치 본체(2)내에 직접 삽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설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크 장치(2)는, 장치 본체(2)의 내외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디스크 트레이를 설치하여, 이 디스크 트레이에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적재해서 장치 본체(2) 내에 반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하면, 베이스 섀시가 장치 본체의 전방면에 대하여 길이방향을 평행하게 해서 배치되고, 디스크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의 이동 방향인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광 픽업장치의 이동 방향인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으로 반송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디스크 회전 구동부에 반송할때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보다 신속한 로딩 및 언로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송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반송수단의 구성도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시도,
도 2는 기록/판독 유니트 사시도,
도 3은 기록/판독 유니트에 포함된 기록/판독기구의 사시도,
도 4는 기록/판독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 1 스큐 조정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2 스큐 조정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 모두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측으로 이동된 기록/판독기구의 평면도,
도 8은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 모두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외부 반경측으로 이동된 기록/판독기구의 평면도,
도 9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드라이브 2 : 장치 본체
3 : 디스크형 기록매체 4 : 기록/판독 유니트
5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7 : 디스크 삽입구
10 : 베이스 프레임 18 : 상부 프레임
19 : 하부 프레임

Claims (19)

  1.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 중 한쪽이 이동한 거리를 검출하여 그 한쪽의 광 픽업장치와 동기적으로 그 제 1 또는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다른쪽의 광 픽업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섀시의 중량 밸런스를 이루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에 대향해서 상기 제 2 광 픽업기구가 위에 배치된 서브 섀시를 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가 이동되는 제 1의 한 쌍의 주 및 서브 가이드 축과, 제 2 광 픽업장치가 이동되는 제 2의 한 쌍의 주 및 서브 가이드 축을 더 구비하되, 이들 한 쌍의 주 및 서브 가이드 축이, 상기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서로 가로질러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 픽업장치는, 각 주 가이드 축의 1점과, 각 서브 가이드 축의 2점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4.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신호를 판독하기만 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의 경사에 따라서 제 1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제 1 스큐 조정수단과,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제 2 광 픽업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축의 경사를 검출하는 스큐 검출수단과,
    상기 스큐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광 축 경사에 따라서 제 2 광 픽업장치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기록 또는 판독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스큐 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에 대향해서 상기 제 2 광 픽업기구가 위에 배치된 서브 섀시를 위에 배치하고,
    상기 서브 섀시는, 상기 스큐 조정수단에 의해 그 서브 섀시의 경사를 조정하여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6.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광 픽업기구가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정보신호를 기록하고 있는 경우, 정보신호가 성공적으로 기록되었는지의여부를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에 의해 확인하는 확인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섀시는, 그 서브 섀시 내부에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가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서브 섀시 위에,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동 개구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8.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광축의 경사에 따라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제 1 스큐 조정수단과,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제 2 광 픽업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축의 경사를 검출하는 스큐 검출수단과,
    상기 스큐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광 축 경사에 따라서 제 2 광 픽업장치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스큐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스큐 조정수단과,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에 의해 장치 본체 내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에 대향해서 상기 제 2 광 픽업기구가 위에 배치된 서브 섀시를 위에 배치하고,
    상기 서브 섀시는, 상기 스큐 조정수단에 의해 그 서브 섀시의 경사를 조정하여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0.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광축의 경사에 따라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제 1 스큐 조정수단과,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해 제 2 광 픽업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축의 경사를 검출하는 스큐 검출수단과,
    상기 스큐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광 축 경사에 따라서 제 2 광 픽업장치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스큐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스큐 조정수단과,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에 의해 장치 본체 내에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에 대향해서 상기 제 2 광 픽업기구가 위에 배치된 서브 섀시를 위에 배치하고,
    상기 서브 섀시는, 상기 스큐 조정수단에 의해 그 서브 섀시의 경사를 조정하여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2.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 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판독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그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그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와,
    제 1 광 픽업장치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정보신호를 성공적으로 기록하였는지와 제 2 광 픽업장치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정보신호를 기록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에 대향해서 상기 제 2 광 픽업기구가 위에 배치된 서브 섀시를 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4. 전방측에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되는 디스크 슬롯이 설치된 장치 본체와,
    대략 직사각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과 평행이 되도록 길이에 대해 장치 본체 내측에 배치된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해당 제 1 광 픽업장치를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의 중간 근처로부터 일단에 걸쳐서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해당 제 2 광 픽업장치를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의 중간 근처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갖는 제 2 광 픽업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광 픽업장치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에 대향해서 상기 제 2 광 픽업기구가 위에 배치된 서브 섀시를 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6. 베이스 프레임과,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된 베이스 섀시와,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보유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연결되어 해당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섀시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1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1 광 픽업장치와,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의 중간 근처로부터 베이스 섀시의 일단까지 연장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과 외부 반경간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걸쳐 이동할 때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축과, 그 제 1 가이드 축의 쌍들을 따라 제 1 광 픽업장치를 이동시키는 제 1 픽업 이동기구를 구비한 제 1 광 픽업기구와,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적재된 제 2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및/또는 이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을 행하는 제 2 광 픽업장치와, 상기 베이스 섀시의 길이방향의 중간 근처로부터 베이스 섀시의 타단까지 연장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과 외부 반경간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걸쳐 이동할 때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축과, 그 제 2 가이드 축의 쌍들을 따라 제 2 광 픽업장치를 이동시키는 제 2 픽업 이동기구를 구비한 제 2 광 픽업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섀시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부 반경과 외부 반경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안내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축의 각 외부측의 한 쌍의 제 1 댐퍼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축의 내부측의 한 쌍의 제 2 가이드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픽업장치는, 상기 제 1 가이드 축의 외부측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제 1 댐퍼부재와, 내부측에 설치된 상기 제 2 댐퍼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함께 둘러싸여진 그 이동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는, 상기 제 2 가이드 축의 외부측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제 2 댐퍼부재와, 내부측에 설치된 상기 제 2 댐퍼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와 함께 둘러싸여진 그 이동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댐퍼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대략 길이방향 중간부에 설치된 디스크 회전 구동부 근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섀시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 1 광 픽업기구에 대향해서 상기 제 2 광 픽업기구가 위에 배치된 서브 섀시를 위에 배치하고,
    상기 서브 섀시는, 상기 스큐 조정수단에 의해 그 서브 섀시의 경사를 조정하여 상기 제 2 광 픽업장치의 스큐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KR1020040079477A 2003-10-06 2004-10-06 디스크 드라이브 KR20050033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7673A JP2005116036A (ja) 2003-10-06 2003-10-06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JP-P-2003-00347673 2003-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491A true KR20050033491A (ko) 2005-04-12

Family

ID=3454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477A KR20050033491A (ko) 2003-10-06 2004-10-06 디스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89601B2 (ko)
JP (1) JP2005116036A (ko)
KR (1) KR20050033491A (ko)
CN (1) CN1649000B (ko)
TW (2) TW2005154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345A (ja) * 2004-12-03 2006-06-22 Yamaha Corp 光ディスク装置のピックアップ角度調整機構
US7881167B1 (en) * 2005-09-23 2011-02-0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of shock recovery in writable optical disc systems
KR101312439B1 (ko) * 2007-03-12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2008257831A (ja) * 2007-04-09 2008-10-23 Sanyo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5408556B2 (ja) * 2008-03-27 2014-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9324371B2 (en) * 2012-07-02 2016-04-2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tage decoding processing
CN106992017B (zh) * 2016-01-21 2019-07-09 苏州互盟信息存储技术有限公司 一种光盘驱动器
CN106992018B (zh) * 2016-01-21 2019-04-23 苏州互盟信息存储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数据存储系统及数据存储方法
JP6788777B2 (ja) * 2016-03-25 2020-1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9786315B1 (en) * 2016-03-25 2017-10-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c device
CN109036477B (zh) * 2017-06-09 2020-03-27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光碟机
JP7080843B2 (ja) * 2019-03-19 2022-06-06 株式会社東芝 磁気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6408A (en) * 1985-06-14 1990-05-15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o-optic recording/erasing system with simultaneous dual head control and disk error detection
JPS62270088A (ja) 1986-05-19 1987-11-24 Toshiba Corp 光記録カ−ドの記録再生装置
JPS63269336A (ja) 1987-04-27 1988-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イスクシステム
JP2822219B2 (ja) 1989-07-29 1998-11-11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H04181525A (ja) 1989-11-16 1992-06-29 Ricoh Co Ltd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H05250675A (ja) 1992-03-06 1993-09-28 Sony Corp 光記録再生装置
JPH06131681A (ja) * 1992-10-20 1994-05-13 Sanyo Electric Co Ltd チルトサーボ装置
JPH06162554A (ja) 1992-11-25 1994-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H08124208A (ja) * 1994-10-18 1996-05-17 Pioneer Electron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917156A (ja) 1995-06-28 1997-01-17 Aiwa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917155A (ja) 1995-06-28 1997-01-17 Aiwa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917157A (ja) 1995-06-28 1997-01-17 Aiwa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9282672A (ja) 1996-04-05 1997-10-31 Sony Corp 円盤状光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9282671A (ja) 1996-04-05 1997-10-31 Sony Corp 円盤状光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1026957A (ja) 1996-07-09 1998-01-27 Victor Co Of Japan Ltd 気体放電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3661297B2 (ja) 1996-08-21 2005-06-15 ソニー株式会社 評価信号生成装置、フォーカスバイアス調整方法、スキュー調整方法
US6141312A (en) * 1997-09-30 2000-10-31 Compaq Computer Coporation Optical tape drive that performs direct read after write operations
JP3251235B2 (ja) 1998-05-19 2002-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JP4694660B2 (ja) * 1998-08-04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制御方法、記録媒体対応装置
JP3682189B2 (ja) 1999-11-22 2005-08-10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スキュー調整方法
JP2001155342A (ja) 1999-11-30 2001-06-08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1266367A (ja) * 2000-03-17 2001-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3524861B2 (ja) 2000-10-02 2004-05-10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2269768A (ja) 2001-03-13 2002-09-20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調整機構
JP2003067920A (ja) 2001-08-28 2003-03-07 Sony Corp ディスク式記録再生装置
US7188349B2 (en) * 2001-10-03 2007-03-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device
JP2003217226A (ja) 2002-01-21 2003-07-31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4158080A (ja) * 2002-11-05 2004-06-03 Sharp Corp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のチルト補正方法
US7260041B2 (en) * 2003-05-20 2007-08-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49000B (zh) 2012-02-22
US20050132393A1 (en) 2005-06-16
TWI380295B (en) 2012-12-21
CN1649000A (zh) 2005-08-03
TW200705418A (en) 2007-02-01
US7489601B2 (en) 2009-02-10
JP2005116036A (ja) 2005-04-28
TW200515400A (en) 2005-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338B1 (ko) 광디스크드라이브장치
KR20050033491A (ko) 디스크 드라이브
KR19990044081A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3419735B2 (ja) 自動チルト補正装置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3813604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958273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854260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7486596B2 (en) Method and apparatus compensating for tilt
JP380983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511603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5116032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WO2004044906A1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のチルト補正方法
JPH09282671A (ja) 円盤状光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08543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604047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11167759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585671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자동 틸트 보정 장치
WO2000022616A1 (fr) Appareil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JP2007018578A (ja) チルト調整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0222859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321722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011415A (ja) スキュー検出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4110958A (ja) 光カードドライブ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9282672A (ja) 円盤状光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5063488A (ja) 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128

Effective date: 201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