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338B1 - 광디스크드라이브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드라이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338B1
KR100484338B1 KR1019970704380A KR19970704380A KR100484338B1 KR 100484338 B1 KR100484338 B1 KR 100484338B1 KR 1019970704380 A KR1019970704380 A KR 1019970704380A KR 19970704380 A KR19970704380 A KR 19970704380A KR 100484338 B1 KR100484338 B1 KR 100484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disk
optical disc
disc
optical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7001121A (ko
Inventor
기요시 오모기
히데까즈 세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8700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700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이며, 이 장치는 표준기록밀도를 가지는 제1 광디스크와, 고기록밀도화를 도모한 제2 광디스크상에 선택적으로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현하기 위해서, 광디스크와 대물렌즈의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의 제어를 행하는 스큐잉 제어기구를 구비하며, 제2 광디스크가 장착되어 이 제2 광디스크상에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한해서, 스큐잉 제어기구로 대물렌즈와 제2 광디스크의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본 발명은, 기억용량 등의 사양을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광빔을 사용하여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광디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광디스크로서는 미리 음악데이터나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정보데이터를 기록한 재생전용형의 CD(컴팩트 디스크)나 CD-ROM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표준기록밀도를 가지는 CD나 CD-ROM에 비하여 기록밀도를 2 내지 3배로 한 광디스크인 HD(High Density)-CD나 HD(High Density)-CD-ROM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CD나 CD-ROM과 크기는 같으면서도, CD나 CD-ROM에 비하여 기록밀도를 7 내지 8 배로 한 광디스크로서, DVD(Digital Versatile Disc/Digital Video Disc)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CD나 CD-ROM과 크기가 같으면서도, 데이터의 재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재생형의 광디스크인 광자기 디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광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사용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스핀들 모터에 의해서 회전 조작되는 디스크 테이블 상에, 광디스크를 수평으로 장착하여 회전 조작한다. 광디스크의 내외주에 걸쳐 광픽업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을 주사함으로써, 이 회전 조작되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 즉, 광디스크 상에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광픽업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은,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촛점맞춤(合焦)하도록 수렴되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수직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광디스크 상에 양호한 기록재생특성을 취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기 위해서는, 광픽업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빔을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수직으로 입사하므로서, 대물렌즈에 의해 수렴되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조사되는 광빔의 빔스폿은 완전한 원이 된다. 그 결과 빔스폿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형성된 하나의 기록트랙을 정확히 주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양호한 기록재생특성을 가지고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하여지게 된다.
그런데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는, 광디스크의 휘어짐이나 스핀들 모터 또는 광픽업의 설치정밀도를 고려하여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과 이 광디스크에 광빔을 수렴시켜 조사시키는 대물렌즈의 광축이 이루는 상대적인 경사에 일정한 허용범위가 규격으로서 인정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직경을 12cm로 하는 CD나 CD-ROM과 같은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는, 광디스크와 대물렌즈의 광축과의 상대적인 경사의 허용범위를 1.2°이내로 규격 통일하고 있다. 즉,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수직인 대물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광디스크와 대물렌즈의 광축이 상대적으로 1.2°이내의 범위에서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광디스크의 경사의 허용범위를 0.6°이내로 하고, 장치 측의 스핀들 모터나 대물렌즈의 경사의 허용범위를 0.6°이내로 하고 있다.
한편, 표준기록밀도를 가지는 CD나 CD-ROM에 비하여, 고밀도화를 도모한 HD-CD나 HD-CD-ROM등의 광디스크는, 기록밀도의 향상을 실현하기 위해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트랙 폭이 좁게 되거나 소피치화되어 단위면적당의 기록밀도의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고밀도화를 실현한 광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사용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는, 광디스크에 대한 대물렌즈의 수직도를 한층 더 고정밀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고밀도화를 도모한 광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사용하는 경우에, 광디스크에 대한 대물렌즈의 수직 정도가 고정밀도로 유지되지 않으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조사되는 광빔의 빔스폿의 형상이 비뚤어지게 되고 폭이 좁게 이루어져 소피치화가 도모된 기록트랙을 정확히 주사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빔스폿이 상호 인접하는 기록트랙간을 동시에 조사하여, 소정의 기록트랙에 조사되는 광빔의 에너지밀도가 감소하는 등으로 인하여 정확한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표준기록밀도를 가지는 CD나 CD-ROM을 기록매체로서 사용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고밀도화를 실현한 광디스크 상에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나타내며, 디스크트레이가 광디스크의 장치 이탈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디스크트레이가 장치 본체의 안쪽에 삽입된 광디스크의 적재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디스크트레이와 디스크클램퍼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승강프레임 및 장치의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광픽업과 승강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적재구동기구 및 섀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디스크트레이 배출상태를 나타내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측단면도.
도 8은 디스크 적재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측단면도.
도 9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스큐잉 제어기구를 설명하는 도 11에 있어서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상기 스큐잉 제어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 11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상기 스큐잉 제어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상기 스큐잉 제어기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3은 상기 스큐잉 제어기구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캠의 확대측면도.
도 14는 상기 스큐잉 제어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상기 스큐잉 제어기구의 사시도.
도 16은 상기 스큐잉 제어기구를 구성하는 회전지점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7(A) 내지 17(C)는 상기 회전지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8(A) 내지 18(C)는 상기 회전지점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9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제어회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은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워킹 디스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디스크트레이 및 디스크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디스크구동부가 초기상태에 있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평면도.
도 25는 디스크구동부가 초기상태에 있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정면도.
도 26은 디스크트레이가 적재위치로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평면도.
도 27은 디스크트레이가 적재위치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정면도.
도 28은 디스크 회전장치가 설치된 제1 지지프레임과 광픽업이 지지된 제2 지지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9는 제2 지지프레임이 회전 조작되어 스큐잉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제어회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1은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2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종류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광디스크가 장착되었을 때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표준기록밀도를 가지는 CD나 CD-ROM등의 제1 광디스크와, 이 제1 광디스크보다 고기록밀도화를 도모한 HD-CD나 HD-CD-ROM 또는 DVD나 광자기 디스크 등의 제2 광디스크 상에 선택적으로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되는 광디스크가 표준기록밀도를 갖는 제1 광디스크인지 고기록밀도화를 도모한 제2 광디스크인지를 판별하여, 장착되는 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라서 광디스크에 대한 대물렌즈의 경사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여 고정밀도의 스큐잉(Skew)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준기록밀도를 가지는 제1 광디스크와 고기록밀도화를 도모한 제2 광디스크상에 선택적으로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현하기 위해서, 광디스크와 대물렌즈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의 조정을 행하는 스큐잉 제어기구를 구비하면서, 장치 자체의 박형화(薄型化)를 실현할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표준기록밀도를 가지는 제1 광디스크와 고기록밀도화를 도모한 제2 광디스크상에 선택적으로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현하기 위해서, 광디스크와 대물렌즈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 제어를 행하는 스큐잉 제어기구를 구비하는 것이고, 제2 광디스크가 장착되어 이 제2 광디스크상에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한해서, 스큐잉 제어기구로 대물렌즈와 제2 광디스크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계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스큐잉 제어기구는, 광디스크를 회전 조작하는 스핀들 모터의 경사를 제어하므로써 대물렌즈와 제2 광디스크 사이의 상대적 경사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계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스큐잉 제어기구는, 광디스크를 회전 조작하는 스핀들 모터를 고정하여 대물렌즈를 포함한 광픽업측의 경사를 제어함으로써, 대물렌즈와 제2 광디스크 사이의 상대적 경사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직경을 12cm로 하는 CD나 CD-ROM과 같이 표준 기록밀도를 가지는 제1 광디스크(1a)와, 동일한 12cm직경을 갖는 HD-CD나 HD-CD-ROM과 같이 고밀도화를 도모한 제2 광디스크(1b)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장치 본체의 내외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는 디스크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디스크트레이를 사용하여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적재를 행한다.
또한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컴퓨터의 외부기억장치로서 사용된다.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개요)
우선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5)의 내외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는 디스크트레이(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디스크트레이(2)는 상면에 오목형상을 이루는 디스크유지부(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서 재생되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는, 디스크트레이(2)의 디스크유지부(3) 저면상에 적재되도록 수납된다. 이 디스크유지부(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가 장치본체(5)의 바깥쪽으로 인출되었을 때, 장치본체(5) 밖으로 제 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조작이탈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적재를 행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를 장치본체(5) 밖으로 인출하고, 디스크유지부(3)에 재생하고자 하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1b)를 유지한다. 이 장치본체(5)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디스크트레이(2)의 전면부(2a)를 도 1중 화살표(A1)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디스크트레이(3)가 장치본체(5)내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적재스위치를 조작한다. 적재스위치가 조작되면 디스크트레이(2)는, 후술하는 적재구동기구에 의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5)의 전면패널(5a)에 설치한 트레이 출입구(4)를 통해 장치본체(5)의 안쪽을 향하는 도 1에서 화살표(A1)방향으로 수평하게 밀어 넣어진다. 디스크트레이(2)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5)내에 완전히 수납되면, 디스크유지부(3)에 유지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디스크테이블상에 수평으로 자동적으로 적재된다.
그리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적재가 행하여 진 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재생지령신호가 입력되면, 스핀들 모터가 구동을 개시하여 디스크테이블상에 적재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가, 일정선속도(CLV) 또는 일정각속도(CAV)에 의해서 회전 조작된다. 이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회전의 개시와 동시에, 광픽업이 구동을 개시한다. 광픽업은, 반도체 레이저 등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에 의해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신호기록영역을 주사함으로써, 이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에 기록된 원하는 데이터의 재생이 행하여진 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배출지령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크트레이(2)는 트레이 출입구(4)로부터 장치본체(5)의 바깥쪽에 향하는 배출방향인 도 1중 화살표(A2)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배출조작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유지부(3)가 장치본체(5)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로 완료한다.
(적재기구의 개요)
다음에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적재조작하는 적재기구를 설명한다.
적재기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서 재생되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장치본체(5)의 내외에 걸쳐서 이송하기 위한 디스크트레이(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디스크트레이(2)는 합성 수지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유지부(3)의 중앙부에서 장치본체(5)의 안쪽에 위치하는 후단부(2b)측에 걸쳐서, 트레이센터(P1)를 따라서 긴 구멍형상의 저면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트레이(2)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는, 트레이센터(P1)와 평행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레일(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디스크트레이(2)의 저면의 한쪽측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부(2a) 측에 반원상의 원호부를 형성하여, 전체로 J자 형상을 이루는 래크 기어(10) 및 가이드홈(11)이 디스크트레이(2)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이들 래크 기어(10) 및 가이드홈(11)은 트레이센터(P1)와 평행하게 형성된 직선부(10a, 11a)와, 이 직선부(10a, 11a)의 전면부(2a)측의 말단부에 형성된 원호부(10b, 11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5)의 내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직사각형형상을 이루는 얕은 상자형을 이루는 섀시(14)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트레이(2)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레일(9)을 섀시(14)의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측판(14a, 14a)의 안쪽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복수의 트레이가이드(15)로 지지됨과 동시에 이들 트레이가이드(15)에 안내되어 도 1 중 화살표(A1, A2)방향의 장치본체(5) 내외에 걸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섀시(14)의 저부(14b)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된 승강프레임(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프레임(16)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5)의 안쪽에 위치하는 후단부(16a)측의 좌우 양측의 2개의 장소와, 장치본체(5)의 전면부측에 위치하는 전단부(16b) 측의 중앙부와의 3군데에 인슐레이터(17, 18)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것들의 인슐레이터 부착부(17,18)를 통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된 3개의 인슐레이터(19, 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프레임(16)의 후단부(16a)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인슐레이터(19)는, 도 4,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것들의 중앙에 통과된 멈춤나사(21)에 의해서 섀시(14)의 저부(14b)상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프레임(16)의 전단부(16b)에 설치된 1개의 인슐레이터(20)도, 도 4,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에 통과된 멈춤나사(22)에 의해서 승강구동레버(23)의 선단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승강구동레버(2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센터(P1)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승강구동레버(23)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부의 양측에 돌출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수평인 지점핀(24)을 통해, 섀시(14)의 저부(14b)상에 상하방향인 도 6중 화살표(B1, B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구동레버(23)가, 도 6중 화살표(B1, B2)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승강프레임(16)이 그 후 말단부(16a)측의 좌우 한 쌍의 인슐레이터(19, 19)를 지점으로서, 상하방향의 도 7중 화살표(C1)방향 또는 도 8중 화살표(C2)로 회전되어 승강조작된다.
또한, 승강프레임(16) 상면에는 오목형상을 이루는 디스크구동부 설치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트레이(2)를 이동조작함과 동시에, 승강프레임(16)을 승강조작시키는 적재구동기구(27)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14)의 저부(14b)상에서, 승강프레임(16)의 전단부(16b)측의 한쪽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적재구동기구(27)는, 적재모터(28)와, 이 적재모터(28)에 의해서 정/역회전 구동하는 피니언 기어(29)와, 이 피니언 기어(29)의 중심축(29a)에 수직인 지점축(30) 주위의 수평면내에서, 도 6중 화살표(D1, D2)방향으로 요동(搖動)운동시키는 피니언레버(31)와, 이 피니언레버(31)에 의해서 한 쌍의 부채형 기어(32)를 통해 구동되어, 수직인 지점축(33)방향으로 수평면내에서, 도 6중 화살표(E1, E2)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캠레버(34)와, 이 캠레버(34)의 지점축(33)의 주위에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단차를 가지는 캠홈(35)과, 승강구동레버(23)의 선단의 한쪽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캠홈(35)내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진 캠 종동핀(3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기어(29)가 디스크트레이(2)의 래크기어(10)에 맞물려 결합되고, 피니언기어(29)의 중심축(29a)이 가이드홈(11)내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적재구동기구(27)는, 피니언기어(29)의 중심축(29a)을 디스크트레이(2)에 설치한 J자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홈(11)으로 유도함으로써, 피니언기어(29)를 디스크트레이(2)의 J자 형상을 이루는 래크기어(10)를 따르도록 하고 있다.
즉, 디스크트레이(2)의 적재시에는, 적재모터(28)에 의해서 정회전구동되는 피니언기어(29)로 래크기어(10)의 직선부(10a)를 디스크트레이(2)의 후단부(2b)측에서 전면부(2a)측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구동함으로써, 디스크트레이(2)를 장치본체(5) 내를 향하는 도 4중 화살표 A1방향으로 수평으로 밀어 넣은 것이다.
그리고 적재모터(28)에 의한 피니언기어(29)가 잇따르는 정회전구동에 의해서, 피니언기어(29)가 래크기어(10)의 원호부(10b)를 따라서, 도 4중 화살표(D1)방향으로 요동운동되면, 피니언레버(31)가 한 쌍의 부채형 기어(32)를 통해 캠레버(34)를 도 4중 화살표(E1)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캠레버(34)가 도 4중 화살표(E1)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캠레버(34)에 설치한 캠홈(35)에 의해, 승강구동레버(23)의 캠 종동핀(36)을 상방인 도 8중 화살표(B1)방향으로 상승구동시켜, 승강구동레버(23)에 의해 인슐레이터(20)를 통해 승강프레임(16)을 도 7에 나타낸 경사 하방의 경사된 하강위치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되어 수평이 되는 상승위치까지 좌우 한 쌍의 인슐레이터(19)를 중심으로 도 8중 화살표(C1)방향으로 상승구동한다.
또한, 디스크트레이(2)의 배출 때에는, 적재시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적재모터(28)에 의해서 역회전구동되는 피니언기어(29)가 래크기어(10)의 원호부(10b)를 따라서 도 4중 화살표(D2)방향으로 요동운동하는 사이에, 캠레버(34)를 도 4중 화살표(E2)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이 캠레버(34)에 설치한 캠홈(35)에 의해 캠 종동핀(36)을 하방인 도 7중 화살표(B2)방향으로 하강구동시켜, 승강구동레버(23)에 의해 인슐레이터(20)를 통해 승강프레임(16)을 좌우 한 쌍의 인슐레이터(19)를 중심으로 도 8에 나타내는 상승위치에서 도 7에 나타내는 하강위치까지 도 7중 화살표(C2)방향으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적재모터(28)에 의한 피니언기어(29)의 계속하는 역회전구동에 의해서, 피니언기어(29)로 래크기어(10)의 직선부(10a)를 디스크트레이(2)의 전면부(2a) 측에서 후단부(2b)측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구동하도록 하여, 디스크트레이(2)를 장치본체(5)의 바깥쪽을 향하는 도 4중 화살표(A2)방향으로 끌어낸다.
(디스크구동부의 개요)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적재기구에 의해서 적재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재생하는 디스크구동부를 설명한다.
이 디스크구동부는, 적재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회전 조작하는 스핀들 모터(39), 이 스핀들 모터(39)에 의해서 회전조작되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광픽업(41) 및 스핀들 모터(39)에 의해서 회전조작되는 디스크테이블(40)에 적재되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디스크테이블(40)과 공동하여 클램프하는 디스크클램퍼(53)를 주된 구성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스핀들 모터(39)는, 도 4,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6)의 디스크구동부 유지부(25)내에서, 전단부(16b)측에 편위된 위치에 스핀들 모터(39)가 수직하게 설치되고 있다. 이 스핀들 모터(39)의 모터축(39a)의 상단에는, 디스크테이블(40)이 수평하게 일체로 설치되고 있다. 또한 디스크테이블(40)의 상부중앙에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중심구멍(1c)이 결합하는 센터링부재(40a)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승강프레임(16)의 디스크구동부 유지부(25)내에서 스핀들 모터(39)보다 후방측에 광픽업(41)이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 광픽업(4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물렌즈(42) 및 광반사형의 스큐잉센서(43)가 상향으로 수직상으로 설치된 캐리지(44)를 가지고 있고, 대물렌즈(42)에 대하여 광빔이 입사되어, 대물렌즈(42)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는 광학블럭(45)이 그 캐리지(44)의 측면에 일체로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승강프레임(16)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44)를 좌우 한 쌍의 가이드축(46)을 따라서, 도 4중 화살표(A1, A2)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캐리지 이동기구(4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캐리지 이동기구(47)는, 캐리지구동모터(48)에 의해서 기어트레인(49)을 통해 정/역회전구동되는 피니언기어(50)와, 캐리지(44)의 한측면에 설치되고 피니언기어(50)에 의해서 직선구동되는 래크기어(5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핀들 모터(39) 및 대물렌즈(42)는, 트레이센터(P1)상에 배치되고, 대물렌즈(42)는 그 트레이센터(P1)를 따라서 도 4중 화살표(A1, A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광픽업(41)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트레이(2)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하고, 섀시(14)의 좌우양측판(14a)의 상단부사이에 디스크클램퍼 지지판(52)이 수평으로 가설되어 있다. 이 디스크클램퍼 지지판(52)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테이블(40)의 바로 위의 위치에서, 디스크클램퍼 지지판(52)의 중앙위치로 디스크클램퍼(53)가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일정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디스크테이블에 대한 광디스크의 탈착 및 재생동작)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2)에 의해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가 장치본체(5)내로 밀어 넣어지고, 디스크테이블(40)에 장착된 뒤, 승강프레임(16)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위치까지 상승되어 수평으로 된 때, 디스크테이블(40)이 디스크트레이(2)의 저면구멍(8)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센터링부재(40a)가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중심구멍(1c)에 하방으로부터 결합한다. 그리고 그 디스크테이블(40)에 의해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가 디스크트레이(2)의 디스크유지부(3)내에서 상방으로 들뜸과 동시에, 디스크클램퍼(53)에 의해서 디스크테이블(40)상에 수평으로 클램프되는 것에 의해 적재가 완료한다.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가 적재된 후,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재생지령신호가 입력되면, 스핀들 모터(39)가 구동을 개시하여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가 일정선속도(CLV) 또는 일정각속도(CAV)로 고속으로 회전 조작된다. 이 스핀들 모터(39)의 구동의 개시와 동시에, 캐리지 이동 기구(47)에 의해서 광픽업(41)의 캐리지(44)가 도 4중 화살표(A1, A2)방향으로 이동되고, 대물렌즈(42)가 트레이센터(P1)를 따라서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대물렌즈(42)를 도 9에 일점쇄선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광학디스크(1)의 최내주위치(ID)와 최외주위치(OD) 사이의 기록영역(RA)내에서, 트레이센터(P)를 따라서 화살표(A1, A2)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광학블럭(45)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이 대물렌즈(42)에 의해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신호기록면에 조사됨과 동시에, 신호기록면으로부터 반사된 귀환광이 대물렌즈(42)를 통해 광학블럭(45)에 입사되고, 광픽업(41)에 설치한 광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되는 것에 의해,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이 행하여진다.
또한, 캐리지 이동기구(47)는, 캐리지구동모터(48)에 의해서 기어트레인(49)을 통해 정/역회전구동되는 피니언기어(50)가 래크기어(51)를 직선구동함으로써, 캐리지(44)를 좌우 한 쌍의 가이드축(46)을 따라서, 도 9중 화살표(A1, A2)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에 기록된 원하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 후에,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배출지령신호가 입력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6)이 하강위치까지 화살표(C2)방향으로 하강되어, 디스크테이블(40)이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에서 하방으로 이탈된 후,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가 디스크트레이(2)의 디스크유지부(3)내에 수평으로 적재되어, 이 디스크트레이가 장치본체(5)의 바깥쪽으로 인출됨에 의해 배출조작이 완료한다.
(스큐잉 제어기구)
다음에, 광픽업(41)의 대물렌즈(42)와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 사이가 상대적인 경사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스큐잉 제어기구(61)를 설명한다.
이 스큐잉 제어기구(6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모터(39)의 축심(P2)을 통하여, 트레이센터(P1)에 대하여 직각으로 수평인 기준선(P3)상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39)의 좌우양측위치에 배치한 좌우 한 쌍의 회전지점(62)을 중심으로, 그 스핀들 모터(39)를 트레이센터(P1)를 따라서 도 9중 화살표(F1, F2)방향으로 경사 조정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하여, 스핀들 모터(39)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6)의 전단부(16b)에 형성한 원통형의 개구부(63)내에 설치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회전지점(62)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볼(64)을 좌우 한 쌍의 볼 홀더(65)에 의해서 개구부(63)의 좌우양측위치에 하향으로 수직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압착수단을 구성하는 제1 판스프링(66)을, 도 10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39)의 베이스판(39b)의 하부에 기준선(P3)과 평행하게 수평상으로 배치하고, 이 제1 판스프링(66)의 좌우방향의 양단을 승강프레임(16)의 하면에 좌우 한 쌍의 멈춤나사(67)에 의해서 하방으로부터 고정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볼(6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스프링(66)에 위로 향하여 조임 가공하여 형성한 좌우 한 쌍의 볼록부(66a)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39)의 베이스판(39b)의 수평인 하면(39c)을 하방으로부터 강하게 눌러, 그 베이스판(39b)의 상면인 수평인 기준면(39d)의 좌우양측에 기준선(Pa)상의 2점을 좌우 한 쌍의 볼(64)로 하방으로부터 강하게 압착하고 있다.
따라서, 스핀들 모터(39)의 베이스판(39b)의 기준면(39d)의 2점이 하방으로부터 압착된 좌우 한 쌍의 볼(64)의 아래쪽 정점이, 좌우 한 쌍의 회전지점(62)을 구성한다.
그리고 스핀들 모터(39)의 베이스판(39d)의 좌우양측위치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선(P3)을 따른 좌우 한 쌍의 가이드홈(68)을 형성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63)의 양측위치에서 승강프레임(16)에 수평상태로 서로 대향시켜, 기준선(P3)과 평행하게 설치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핀(69)을 그 좌우 한 쌍의 가이드홈(66)내에 유동 가능하게 끼우고 있다.
이상에 의해 스핀들 모터(39)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핀(69)에 의해서 승강프레임(16)에 대한 도 9중 화살표(A1, A2)방향 및 화살표(A1, A2)방향으로 직교하는 좌우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로, 승강프레임(16)에 대하여 좌우 한 쌍의 회전지점(62)을 중심으로 도 9중 화살표(F1, F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 스큐잉 제어기구(61)에 있어서의 스큐잉 구동기구(71)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6)의 하면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핀(72)과 가이드구멍(73)을 따라서 안내되어 기준선(P3)과 평행하게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캠(74)과, 스핀들 모터(39)의 베이스판(39b)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슬라이드캠(74)에 하방으로부터 압착된 캠 종동자인 캠 종동롤러(75)와, 승강프레임(16)에 설치된 스큐잉 모터(76) 및 그 스큐잉 모터(76)에 의해서 정/역회전구동되는 피니언기어(77)와, 슬라이드캠(74)에 일체로 성형되고, 도 11 및 도 14중 화살표(G1, G2)방향으로 직선구동되는 래크기어(78)와, 캠 종동롤러(75)를 슬라이드캠(74)에 하방으로부터 수평으로 눌러 붙이는 압착수단인 제2 판스프링(79)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판스프링(79)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스프링(66)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 제2 판스프링(79)의 좌우방향의 양단부가 좌우 한 쌍이 멈춤나사(80)에 의해서 승강프레임(16)의 하면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판스프링(79)의 거의 중앙부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 향하여 조임 가공된 볼록부(79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판스프링(79)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79a)가 스핀들 모터(39)의 베이스판(39b)의 하면(39c)에서, 캠 종동롤러(75)의 부근 위치를 하방으로부터 강하게 누르는 것에 의하여, 캠 종동를러(75)는 슬라이드캠(74)에 하방으로부터 강하게 압착되어 있다.
또한, 캠 종동롤러(75)는, 도 9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조정판(8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높이조정판(81)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판(39b)에 멈춤나사(82)에 의해서 고정부착되어, 부착판(83)에 높이 조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캠(74)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슬라이드 방향인 화살표(G1, G2)방향을 따라서 느슨하게 경사된 길이(L1)의 스큐잉 제어용캠면(85)과, 그 스큐잉 제어용캠면(85)의 화살표(G1)방향의 말단부에 형성된 길이(L2)의 수평한 높은자리인 워킹 디스턴스 확대용 정면(86)과, 이들 스큐잉 제어용캠면(85)과 워킹 디스턴스 확대용 정면(86)을 접속하는 길이(L3)의 경사면(87)을 가지고 있다. 이때, 스큐잉 제어용캠면(85)과 워킹 디스턴스 확대용 캠면(86)의 사이에 단차(Y1)가 구성되고, 스큐잉 제어용 캠면(85)의 단차(Y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캠(74)의 슬라이드 위치에 의해서 스큐잉 초기위치인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스큐잉 초기위치 센서(88)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6)의 하면에 멈춤나사(89)에 의해서 설치되어 있다.
(스큐잉 제어동작의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큐잉 제어기구(61)에 의한 스큐잉 제어동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밀도가 도모된 제2 광디스크(1b)가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장착된 경우에 행하여진다. 즉, 제2 광디스크(1b)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테이블(40)상에 디스크클램퍼(53)에 의해서 클램프되어, 스핀들 모터(39)가 구동되어 회전 조작된 재생모드의 상태로 행하여진다.
이 재생모드로, 스핀들 모터(39)가 구동되어, 제2 광디스크(1b)가 회전 조작되면, 광반사형의 스큐잉센서(43)에 의해서 대물렌즈(42)에 대한 제2 광디스크(1b)의 경사가 검출된다.
그리고 이 스큐잉 제어기구(61)는, 대물렌즈(42)로부터 광학디스크(1)에 조사하는 광빔의 광축(F0)이 광학디스크(1)에 대하여 수직(90°)이 되도록, 대물렌즈(42)에 대한 광학디스크(1)의 경사를 제어하는 것이다.
즉, 스큐잉센서(43)로부터의 검출출력에 기초하여, 스큐잉 구동기구(71)의 스큐잉 모터(76)에 의해서 정/역회전구동되는 피니언기어(77)가 래크기어(78)를 직선구동하여, 슬라이드캠(74)을 도 12 및 도 15중 화살표(G1, G2)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정한다.
그렇게 하면, 슬라이드캠(74)의 스큐잉 조정용 캠(85)에 의해서 캠 종동롤러(75)가 상하방향인 도 9중 화살표(H1, H2)방향으로 미량의 스트로크로 승강구동되어, 스핀들 모터(39)가 좌우 한 쌍의 회전지점(62)을 중심으로 하여 도 9중 화살표(F1, F2)방향으로 경사 제어된다.
그리고 디스크테이블(40)상에 수평으로 클램프되는 제2 광디스크(1b)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기준면(P11)에 대하여 상하방향인 화살표(I1)방향 또는 화살표(I2)방향으로 경사 제어된다.
그리고 이 제2 광디스크는 (1b)의 경사 제어에 의해서, 대물렌즈(42)에 광빔의 광축(F0)에 대하여 광학디스크(1)가 수직(90°)이 되도록 방사상 스큐잉 제어가 행하여지게 된다.
결국, 이 방사상 스큐잉 제어동작은, 스큐잉센서(43)로부터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제2 광디스크(1b)가 대물렌즈(42)에 대하여 도 9중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기준면(P11)에 대하여 (+)방향인 화살표(I1)방향으로 기울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제2 광디스크(1b)의 경사를 수평기준면(P11)측을 향하여 (-)방향인 화살표(I2)방향으로 교정하도록 방사상방향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광학디스크(1)가 대물렌즈(42)에 대하여 도 9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기준면(P11)에 대하여 (-)방향인 화살표(I2)방향으로 기울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제2 광디스크(1b)의 경사를 수평기준면(P11)측을 향하여 (+)방향인 화살표(I1)방향으로 교정하도록 방사상방향의 제어를 행한다.
이 결과, 대물렌즈(42)의 광빔의 광축(F0)에 대하여 제2 광디스크(1b)가 항상 수직(90°)으로 유지된 상태로, 데이터의 재생이 행하여지게 되고, 그 데이터의 고밀도, 고정밀도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스큐잉 제어기구(61)에 의하면, 스핀들 모터(39)의 도 9중 화살표(F1, F2)방향의 경사 제어에 의해서 제2 광디스크(1b)의 화살표(I1, I2)방향의 방사상 스큐잉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광픽업(41)전체의 경사 제어를 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구동력도 작게 끝나기 때문에 소형, 저비용, 절전타입의 광디스크 장치(5)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스큐잉 제어기구(61)는, 스핀들 모터(39)의 베이스판(39b)의 기준면(39d)의 좌우양측의 2점을 좌우 한 쌍의 회전지점(62)을 구성하고 있는 좌우 한 쌍의 볼(64)에 판스프링(66)에 의해서 하방으로부터 눌러 붙여, 스핀들 모터(39)를 그 좌우 한 쌍의 회전지점(62)을 중심으로 도 9중 화살표 (F1, F2)방향으로 경사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대물렌즈(42)에 대한 제2 광디스크(1b)의 화살표(I1, I2)방향의 경사 제어동작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스핀들 모터(39)의 도 9중 화살표(F1, F2)방향의 경사 제어에 요하는 구동력도 작게 끝나기 때문에, 스큐잉모터(76)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소스페이스화, 절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스큐잉 제어기구(61)는, 스큐잉 모터(76)에 의해서 슬라이드캠(74)을 도 15중 화살표(G1, G2)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하여, 그 슬라이드캠(74)의 스큐잉 제어용 캠면(85)에 의해서 캠 종동롤러(75)를 상하방향인 도 13중 화살표(H1, H2)방향으로 승강구동함으로써, 스핀들 모터(39)의 도 9중 화살표(F1, F2)방향의 각도조정을 행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특히, 슬라이드캠(75)의 슬라이드 구동에 요하는 구동력이 매우 작게 끝나, 스큐잉모터(76)의 소형화에 의한 소스페이스화 절전효과의 향상을 더 한층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광학디스크(1)를 적재 및 배출하는 디스크트레이(2)와, 장치본체(5)내에서 도 8 및 도 9중 화살표(C1, C2)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프레임(16)을 구비하고, 그 승강프레임(16)에 스핀들 모터(39), 광픽업(41) 및 스큐잉 제어기구(61)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디스크트레이 방식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대물렌즈(42)에 대한 제2 광디스크(1b)의 경사 제어를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스큐잉 제어기구에 있어서의 회전지점의 구성)
여기에서, 스큐잉 제어기구(61)를 구성하는 회전지점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이 회전지점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65a)와 캡(65b)으로 이루어지는 볼홀더(65)의 하단에 직경 약 5mm의 큰직경 볼(64)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큰직경 볼(64)의 상측의 안쪽에, 직경 약 0.5mm의 초소직경볼(64a)을 약 100 개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볼홀더(65)의 본체(65a)의 상부중앙에 일체로 형성한 나사(65c)에 의해서, 도 10에 나타낸 승강프레임(16)에 하방으로부터 수직으로 나사멈춤하여, 큰 직경 볼(64)의 정점인 회전지점(62)에서, 도 10중 화살표(H1)방향에서 압착되는 스핀들 모터(39)의 모터 베이스(39b)의 기준면(39d)을 받아 내고, 그 회전지점(62)을 중심으로 스핀들 모터(39)를 도 16중 화살표(F1, F2)방향으로 경사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회전지점에 의하면, 약 100개의 초소직경볼(64a)에 의한 볼베어링 기능에 의해서, 큰직경 볼(64)을 저마찰로 안정감있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방사상 스큐잉 조정동작을 부드럽게 또한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7에 나타내는 회전지점은, 판금으로 구성된 본체(65a)와 캡(65b)으로 이루어지는 볼홀더(65)의 하단에 직경 약 5mm의 큰직경 볼(64)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큰직경 볼(64)의 상측에 직경 약 3mm의 소직경 볼(64b)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들 큰직경 볼(64)와 소직경 볼(64b)의 중심(P21, P22)을 조금 오프셋(G0)한다. 그리고 볼홀더(65)에 큰직경 볼(64)과 소직경 볼(64b)의 외주면을 따라서 거의 원추형상의 테이퍼면(65d)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테이퍼면(65d)의 적어도 소직경 볼(64b)의 접점부분에 몰리브덴등의 윤활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볼홀더(65)를 승강프레임(16)에 형성한 부착구멍(97)내에 압입등으로써 설치하여, 큰직경 볼(64)의 정점인 회전지점(62)에서, 화살표(h)방향에서 착되는 스핀들 모터(39)의 데이터 베이스(39b)의 기준면(39d)을 받아 내어, 그 회전지점(62)을 중심으로 스핀들 모터(39)를 도 17중 화살표(F1, F2)방향으로 경사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회전지점구조에 의하면, 사용하는 볼이 2개로 끝나, 볼홀더(65)도 판금으로 간단히 가공할 수 있는 본체(65a)와 캡(65b)의 2부품으로 구성되는 위에, 볼홀더(65)를 모터 베이스(39b)의 부착구멍(97)내에 압입 등으로써 간단히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 및 제조가 간단하고, 매우 저비용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큰직경 볼(64)과 소직경 볼(64b)은 상호의 구름(rolling)에 의해서 저마찰로 회전할 수 있는 위에, 상호 오프셋(Go)된 큰직경 볼(64)과 소직경 볼(64b)은 회전지점(62)에 화살표(H1)방향에서 가해지는 베이스판(39b)의 압착력의 분력에 의해서, 볼홀더(65)의 테이퍼면(65d)의 상호 반대측으로 눌려져 안정회전되기 때문에, 이들 큰직경 볼(64)과 소직경 볼(64b)을 덜거덕거림이 완전히 없는 상태로 안정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퍼면(65d)에 몰리브덴등의 윤활제를 도포해두면, 이들 큰직경 볼(64)과 소직경 볼(64b)을 더 한층 부드럽게 안정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방사상 스큐잉 제어동작을 부드럽게 또한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회전지점은, 도 17에 나타낸 소직경 볼(64b)을 소직경 롤러(64c)로 치환한 것이고, 그 밖의 구성은 도 17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도 18에 나타내는 회전지점도, 도 17에 나타낸 회전지점과 동등의 기구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이 도 18에 나타내는 회전지점을 구성하는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볼홀더(65)의 본체(65a)는, 큰직경 볼(64)과 소직경 롤러(64c)와의 오프셋(G0)의 방향의 양측에 거의 V홈상의 테이퍼면(65d)이 형성되어 있고, 그 본체(65a)의 오프셋(G0)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는 테이퍼면(65d)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경우도, 테이퍼면(65d)의 적어도 소직경 롤러(64c)와의 접점부분에 몰리브덴등의 윤활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킹 디스턴스)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모드로 이루어졌을 때, 도 13중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큐잉 제어기구(61)의 슬라이드캠(74)의 스큐잉 제어용캠면(85)에 의해서 캠 종동롤러(75)를 화살표(H1, H2)방향으로 승강조작함으로써, 스핀들 모터(39)의 경사를 제어를 행함에 따라,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제 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경사제어를 행하는 방사상 스큐잉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모드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주면과 대물렌즈(42)의 상면의 사이의 워킹 디스턴스(WD1)를 약 1.2mm까지 대폭 축소할 수 있다.
(워킹 디스턴스의 제어)
상술한 스큐잉 제어기구(61)를 구성하는 도 13에 나타낸 슬라이드캠(74)이, 스큐잉 모터(76)에 의해서 도 1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방사상 스큐잉 동작위치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까지 동 도면중 화살표(G1)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캠 종동롤러(75)가 이 슬라이드캠(74)의 스큐잉 제어용 캠면(85)으로부터 경사면(87)을 타고 올라가 워킹 디스턴스 확대용 캠면(86)까지 동 도면중 화살표(H1)방향으로 상승된다.
그렇게 하면, 스핀들 모터(39)가, 도 9중 화살표(F1)방향의 초기위치까지 회전되어,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가 도 9중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P12)까지 동 도면중 화살표(I1)방향으로 상승되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와 대물렌즈(42)의 사이의 워킹 디스턴스가, 재생모드에서의 약 1.2mm인 소치수의 워킹 디스턴스(WD1)로부터,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와 동일 치수인 약 2.0mm로 확대한 대치수의 워킹 디스턴스(WD2)로 확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제어회로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회로부(90)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CPU(91)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보회로(92)에 의해, 스핀들 모터(39)의 회전을 제어하여, 광픽업(41)에 의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재생을 제어하고, 스큐잉 제어기구(61)의 스큐잉 모터(76)의 회전제어를 행하고 있다. 제어회로부(90)의 CPU(91)에 대한 제어신호의 입출력이나, 재생회로(94)로부터의 재생신호의 출력등은, RAM회로(95)에 일단 기억시킨 뒤, 외부인터페이스(93)를 통해,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접속되는 호스트 컴퓨터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그리고 이 제어회로(90)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재생모드로 설정되면, 도 9에 나타낸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와 광픽업(41)의 대물렌즈(42)의 사이의 상대 거리인 워킹 디스턴스를 약 1.2mm의 소치수의 워킹 디스턴스(WD1)로 축소하고, 전원 오프시에는, 이 워킹 디스턴스를 약 2.0mm로 확대한 대치수의 워킹 디스턴스(WD2)로 자동적으로 확대한다.
결국 CPU(91)는, 도 20의 흐름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재생모드로 설정되면, S1단계로 외부 인터페이스(93)를 통해,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스톱지령을 받았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S1단계에서 스톱지령을 받은 때에는, 두 번째 단계에서 스핀들 모터(39)를 정지시키고, 이 스핀들 모터(39)의 정지에 계속되는 세 번째 단계에서 스큐잉 모터(76)를 구동시켜 슬라이드캠(74)을 도 9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까지 동 도면중 화살표(G1)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도 9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P12)까지 동 도면중 화살표(I1)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서보회로(92)를 제어한다.
또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재생모드로 설정되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재생을 행하고 있는 도중의 네 번째 단계에서, 정전 등에 의해서 돌연히 전원이 오프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스톱지령을 받고 있지 않았는데 전원이 오프된 때에는, 다섯 번째 단계에서 스핀들 모터(39)의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스큐잉 모터(76)를 구동함으로써, 슬라이드캠(74)을 도 13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까지 화살표(G1)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도 9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P12)까지 화살표(11)방향으로 상승구동시킨다.
또한, 이 워킹 디스턴스의 확대동작은, 상술한 경우의 이 외에도, 재생모드로 전원은 온 상태이지만, 광픽업(41)에 의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재생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때나,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디스크테이블(40)상에 적재하고 있는 도중에서 정전 등으로써 돌연히 전원이 오프되었을 때 등이 있다.
그리고 전자인 경우는, 스큐잉 모터(76)를 회전 구동하여, 슬라이드캠(74)을 도 13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까지 화살표(G1)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또한, 후자인 경우는, 스핀들 모터(39)의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스큐잉모터(76)를 구동함으로써, 슬라이드캠(74)을 도 13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까지 화살표(G1)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도 9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P12)까지 화살표(I1)방향으로 상승구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모드에서는 워킹 디스턴스를 소치수의 워킹 디스턴스(WD1)로 축소하고, 전원 오프시에는, 워킹 디스턴스를 대치수의 워킹 디스턴스(WD2)로 확대하도록 구성하면, 전원 오프시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어떠한 큰 외부충격등을 받더라도,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가 대물렌즈(42)에 충돌되는 위험이 없어지기 때문에, 내충격성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다.
더욱이, 재생모드에서는 워킹 디스턴스(WD2)가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약 2.0mm에서 약 1.2mm까지 대폭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자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어회로(90)에 의해서 1개의 스큐잉 제어기구(61)를 제어함에 의해, 대물렌즈(42)에 대한 디스크테이블(40)상의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방사상 스큐잉 제어동작과,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초기위치(P12)로 이동시켜 워킹 디스턴스를 소치수(WD1)에서 대치수(WD2)로 확대하게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1개의 스큐잉 제어기구(61)를 방사상 스큐잉 제어용과, 워킹 디스턴스 확대용의 두 종류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핀들 모터(39)가, 회전지점(62)을 중심으로 하여 도 9중 화살표(F1, F2)방향으로 회전제어되는 것에 의해, 방사상 스큐잉 제어동작과, 워킹 디스턴스 확대동작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방사상 스큐잉 제어동작과, 워킹 디스턴스 확대동작을 동시에 간단하고 또한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캠(74)의 스큐잉 제어용캠면(85)에 워킹 디스턴스 확대용 캠면(86)을 일련으로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1개의 슬라이드캠(74)에 의해서 방사상 스큐잉 제어동작과, 워킹 디스턴스 확대동작을 행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동작이 확실하게 된다.
(표준기록밀도의 제1 광디스크와 고밀도기록이 실현된 제2 광디스크의 선택)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경을 12cm로 하는 CD나 CD-ROM과 같이 표준기록밀도를 가지는 제1 광디스크(1a)와, 동일하게 직경을 12cm로 하는 HD-CD나 HD-CD-ROM과 같이 고기록밀도화를 도모한 제2 광디스크(1b)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HD-CD나 HD-CD-ROM와 같은 고기록밀도를 도모한 제2 광디스크(1b)는, 평탄도 등의 치수정밀도가 고정밀도인데 대하여, CD나 CD-ROM등의 표준기록밀도의 제1 광디스크(1a)는, 제2 광디스크(1b) 정도의 정밀도가 요구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스큐잉 제어기구(61)에 의해서, 고정밀도의 치수정밀도가 요구되고 있지 않은 제1 광디스크(1a)의 방사상 스큐잉 제어를 행하고자 하면, 그 방사상 스큐잉의 제어범위, 즉 도 9에 나타낸 디스크테이블(40)상에 적재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상하방향인 같은 도면중 화살표(I1, I2)방향의 경사 제어범위를 크게 취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방사상 스큐잉 제어를 행하기 위한 장치본체(5)내에서의 두께 방향의 스페이스를 크게 채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큐잉 제어기구(61)에 있어서의 슬라이드캠(74)의 슬라이드 방향의 길이, 즉 도 13중 화살표(G1, G2)방향의 길이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스큐잉 제어기구(61) 그 자체도 대형화한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치수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은 제1 광디스크(1a)의 방사상 스큐잉 제어를 행하고자 하면, 적어도 장치본체(5)의 두께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장치 자체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리하여,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고정밀도의 치수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은 제1 광디스크(1a)와, 고정밀도의 치수정밀도가 요구되는 고기록밀도화가 도모된 제2 광디스크(1b)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때에, 이들 두 종류의 광디스크(1a, 1b)의 종류를 판별하여, 제1 광디스크(1a)가 장착된 때에는, 방사상 스큐잉 제어를 정지하고, 고기록밀도화가 도모된 제2 광디스크(1b)가 장착된 경우에 한해서 방사상 스큐잉 제어를 행하도록 하여, 장치 자체의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이 동작을 도 19에 나타내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블록도 및 도 21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전원이 투입되어, 장치본체(5)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디스크트레이(2)의 디스크유지부(3)에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유지시키고, 디스크트레이(2)를 장치본체(5)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적재조작을 행한다.
디스크트레이(2)의 적재조작이 행하여지면, S11단계에서, CPU(91)는, 디스크트레이(2)가 적재위치로 이동된 것을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크트레이(2)의 적재가 행하여진 것이 검출되면, 스핀들(2)에 있어서, CPU(91)에 의해, 스큐잉센서(43)에 의해서 검출되는 검출신호의 검출출력이 일정 레벨 이상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이 때, 스큐잉센서(43)로부터의 검출신호의 검출출력이 일정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13에서, 캐리지구동모터(48)가 구동되어, 광픽업(41)을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최내주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스큐잉센서(43)로부터의 검출신호의 검출출력이 일정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14에서, 어느 쪽의 광디스크(1a, 1b)가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아무런 처리도 행하여지지 않는다.
단계 13에서, 광픽업(41)이 광디스크(1a, 1b)의 최내주 내경(ID)까지 이동되면, 단계 15에서, CPU(9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서보회로(92)에 의해 스큐잉의 초기화가 행하여진다. 즉, CPU(91)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6)에 설치한 스큐잉 초기위치 센서(88)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스핀들 모터(39)의 축심(P2)이 설계값으로 거의 0(거의 수직상태를 말한다)이 되는 스큐잉 초기위치에 슬라이드캠(74)을 이동하는 제어를 행한다.
스큐잉의 초기위치에의 제어는, 도 12에 나타낸 스큐잉 초기위치 센서(88)가 슬라이드캠(74)에 의해서 조작되어 온으로 되어 있으면, 이 스큐잉 초기위치 센서(88)가 오프가 될 때까지, 스큐잉 모터(76)에 의해서 슬라이드캠(74)을, 도 15중 화살표(G2)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스큐잉 초기위치 센서(88)가 슬라이드캠(74)에 의해서 조작되는 일없이 오프로 되어있으면, 이 스큐잉 초기위치 센서(88)가 온이될 때까지, 스큐잉모터(76)에 의해서 슬라이드캠(74)을 도 15중 화살표(G1)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따라 행하여진다.
스큐잉의 초기위치에의 설정이 행하여지면, 단계 16에 있어서, CPU(91)는, 스큐잉 서보를 온으로 한다. 이어서, CPU(91)는, 단계 17에서, 스핀들 모터(39)를 구동시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회전 조작시킨다.
다음에, CPU(91)는, 단계 18에서, 광픽업(41)의 광원인 반도체 레이저를 온으로 하여, 광빔의 방출을 행한다. 그리고 S19단계에서, 광픽업(41)에 의해, 회전조작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최내주 내경(ID)측에 기록되어 있는 종류식별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광픽업(41)에 의해서 판독된 종류판별 데이터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회로(96)에 입력되어, 이 데이터 처리회로(96)를 통해 CPU(91)에 입력된다.
CPU(91)는, 단계 20에서, 데이터 처리회로(96)로부터 입력된 종류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어느 것인가를 판별한다.
그리고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표준기록밀도의 제1 광디스크(1a)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91)는 단계 21에서, 스큐잉 서보를 오프로 설정하여, 제1 광디스크(1a)의 방사상 스큐잉 제어를 정지한다.
또한, CPU(91)는, 스텝한 상태로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또는 1b에 의함에 따라, 적재되어 있는 광학디스크(1)가 표준의 광학디스크인지, 또는 고밀도의 광학디스크인지의 종류의 판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0에서,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고밀도기록이 도모된 제2 광디스크(1b)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91)는 단계 22에서, 스큐잉 서보를 온 하면서 동시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고밀도기록이 도모된 제2 광디스크(1b)인 것의 데이터를 RAM(95)에 기억한다.
그리고 CPU(91)는, 단계 23에서,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1 광디스크(1a)인 경우에는, 방사상 스큐잉 제어를 금지한 상태로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또한,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2 광디스크(1b)인 경우에는, RAM(95)으로부터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2 광디스크(1b)인 것의 데이터가 CPU(91)에 입력되어, CPU(91)는 제2 광디스크(1b)의 방사상 스큐잉의 제어를 행하면서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또한, 광픽업(41)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회로(96)에 입력되고, 이 데이터 처리회로(96)로 제어데이터등과의 분리가 행하여져, 재생데이터로서 출력된다.
그리고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에 기록된 원하는 데이터의 재생이 완료하면, 단계 23에 있어서,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배출조작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단계 24에 있어서, CPU(91)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배출조작을 행하고, 단계 25에서, 스큐잉 제어기구(61)의 것을 초기화를 도모하여, 재생동작을 완료시킨다.
그런데 상술한 구체적인 동작의 설명은,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의 최내주위치(ID)에 종류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이지만,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에 이러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각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의 기록밀도의 차이에 의한 반사율의 차이나, 대물렌즈(42)의 초점거리를 검출하고, 이 거리의 차이를 검출함으로써 디스크종류 판별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하면, 기록밀도를 달리하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a, 1b)를 한 개의 장치로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하면, 데이터의 단위면적이 작은 고밀도의 광디스크를 방사상 스큐잉 제어동작에 의해서 고밀도 및 고정밀도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밀도의 치수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 표준기록밀도의 제1 광디스크(1a)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방사상 스큐잉 제어동작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자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테이블(40)상에 적재된 광디스크의 최내주위치(ID)를 광픽업(41)에 의해서 판독하는 것에 의해, 그 적재된 광디스크가 제1 광디스크(1a)인지, 고밀도기록이 도모된 제2 광디스크인지를 판별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광디스크의 종류의 판별에 특별한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조의 간소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과 관계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직경을 12cm로 하는 CD나 CD-ROM과 같이 표준기록밀도를 가지는 제1 광디스크(101a)와, 동일하게 직경을 12cm로 하는 DVD와 같이 고밀도화를 도모한 제2 광디스크(1101b)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개요)
우선,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105)의 내외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디스크트레이(1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디스크트레이(102)는, 상면에 오목형상을 이루는 디스크유지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서 재생되는 제 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b)는 디스크트레이(102)의 디스크유지부(103)의 저면상에 적재되도록 수납된다. 이 디스크유지부(103)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102)가 장치본체(105)의 바깥쪽으로 인출되었을 때, 장치본체(105)의 바깥쪽에 면하여,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101b)의 조작이탈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의 적재를 행하기 위해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102)를 장치본체(105)의 바깥쪽으로 인출하고, 디스크유지부(103)에 재생하고자 하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를 유지한다. 이 장치본체(105)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디스크트레이(102)의 전면부(102a)를 눌러, 장치본체(105)의 안쪽을 향하여 밀어 넣으면, 디스크트레이(103)가 장치본체(105) 내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적재스위치를 조작한다. 적재스위치가 조작되면, 디스크트레이(102), 즉 후술하는 적재구동기구(106)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105)의 전면패널(107)에 설치한 트레이 출입구(104)를 통해 장치본체(105)의 안쪽을 향하여 수평으로 밀어 넣어진다. 디스크트레이(102)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105)내에 완전히 수납되면, 디스크유지부(3)에 유지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디스크테이블상에 수평으로 자동적으로 적재된다.
그리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의 적재가 행하여진 후,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재생지령신호가 입력되면, 스핀들 모터가 구동을 개시하여, 디스크테이블상에 적재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가, 일정선속도(CLV) 또는 일정각속도(CAV)에 의해서 회전 조작된다. 이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의 회전의 개시와 동시에, 광픽업이 구동을 개시한다. 광픽업은, 반도체 레이저등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에 의해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의 신호기록영역을 주사함으로써, 이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그리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에 기록된 원하는 데이터의 재생이 행하여진 후,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배출지령신호 또는 전면패널(10)에 설치된 배출강철(108)을 누르면, 디스크 이동조작기구가 구동되어, 디스크트레이(102)는 트레이 출입구(104)로부터 장치본체(105)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배출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배출조작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유지부(103)가 장치본체(105)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로 완료한다.
(디스크트레이 및 적재구동기구)
다음에, 디스크트레이(102) 및 이 디스크트레이(102)를 장치본체(105)의 내외에 걸쳐서 이동조작하는 디스크트레이(102)의 적재구동기구(106)를 설명한다.
이 적재구동기구(106)에 의해서 장치본체(105)의 내외에 걸쳐서 이동조작되는 디스크트레이(102)는, 합성수지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유지부(103)의 중앙부에서 장치본체(105)의 안쪽 측에 위치하는 후단부측에 걸쳐서 긴 구멍형상의 저면구멍(10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트레이(102)가 장치본체(105)내의 재생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이 저면구멍부(108)를 통해 디스크구동부를 구성하는 디스크테이블 및 광픽업이 면하게 된다.
디스크유지부(103)는, 직경을 12cm로 하는 제1 및 제2 광디스크(1a, 1b)를 유지할 만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안쪽에는 이 디스크유지부(103)와 중심을 일치시켜, 소직경의, 예를 들면 직경을 8cm로 하는 광디스크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 디스크유지부(10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 디스크유지부(103a)는, 디스크유지부(103)의 저면부에 오목부를 설치하는 것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트레이(102)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레일(10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디스크트레이(102)의 저면측의 한쪽측부에는 적재구동기구(106)의 이송기어(110)와 맞물리는 래크기어(10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105)내에는, 얇은 금속판을 꿰뚫어 구부려 형성한 섀시(114)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트레이(102)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114)의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측판(114a, 114a)의 안쪽에 설치한 합성수(合成樹)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트레이가이드부(115)에 좌우 한 쌍의 가이드레일(109)이 지지되고, 이들 트레이가이드부(115)로 안내되어 장치본체(105)의 내외에 걸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디스크트레이(102)를 장치본체(105)의 내외에 걸쳐서 이동조작시키는 적재구동기구(106)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10)내에 설치된 섀시(114)의 트레이 출입구(104)측에 위치하는 전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적재구동기구(106)는,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114)의 전면측의 저면에 설치된 적재모터(116)와, 이 적재모터(116)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117)에 맞물려, 적재모터(116)에 의해서 회전 조작되는 트레이 이송기어(118)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기어(117)는, 트레이 이송기어(118)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연결기어(118a)에 맞물려, 적재모터(116)의 구동력을 트레이 이송기어(118)에 전달하고 있다. 트레이 이송 기어(118)는, 이 기어(118)에 일체로 설치된 가장 큰 직경의 제2 연결기어(118b)를 래크기어(108)에 맞물려 결합시켜 디스크트레이(10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트레이(102)는, 적재모터(116)가 구동함에 의해, 트레이 이송 기어(118)를 통해 장치본체(105)의 내외에 걸쳐서 이송 조작된다.
또한 적재구동기구(10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섀시(114)에 설치되는 디스크구동부(120)를 구성하는 스핀들 모터를 승강조작하는 승강조작판(121)을 이동조작하는 요동기어(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기어(122)는 트레이 이송기어(118)의 지축(119)에 중도부를 지지시켜, 이 지축(119)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요동레버(124)의 일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요동기어(122)는 트레이 이송기어(118)에 일체로 설치한 제 3 의 연결 기어(118c)에 맞물려 결합시키는 것에 따라, 이 요동기어(122)에 일체로 설치한 소직경의 연결 기어(124)를 트레이 이송 기어(118)에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적재모터(116)가 구동되어 트레이 이송 기어(118)가 회전되면, 요동기어(122)는, 트레이 이송 기어(118)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트레이 이송 기어(118)의 외부주위를 회전하여, 요동레버(124)를 트레이 이송 기어(118)의 지축(119)을 중심으로, 도 24중 화살표(R1, R2)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그리고 요동레버(123)의 중도부의 한측에는, 승강조작판(121)의 기단부측의 한측에 설치한 래크기어(14)에 맞물리는 부채형 기어(12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조작판(121)은, 요동기어(123)가 도 24중 화살표(R1, R2)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그 회전방향을 따라서, 도 24중 화살표(S1, S3)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승강조작판(121)의 섀시(114)의 저면에 수직으로 시작 형성된 시작편(121a)에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캠홈(126)이 뚫려 있다. 이 경사캠홈(126)에는, 디스크구동부(120)에 설치한 승강조작핀(127)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조작판(121)이, 도 24 중 화살표(S1)방향 또는 화살표(S2)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승강조작핀(127)이 경사캠홈(126)을 따라서 이동하여, 디스크구동부(120)측의 스핀들 모터가 섀시(114)상을 이동하는 디스크트레이(102)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는 방향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런데 디스크구동부(120)측의 스핀들 모터의 승강조작은, 디스크트레이(102)가 장치본체(105)내에 수납된 상태로 행하여진다. 즉, 디스크트레이(102)가 이동하는 도중에서 스핀들 모터가 디스크트레이(102)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디스크트레이(102)와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그리하여 승강조작판(121)을 이동조작하는 요동레버(123)는, 디스크트레이(102)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회전조작이 규제된다. 이 요동레버(123)의 회전의 규제는, 디스크트레이(102)에 의해서 회전 조작되는 로크레버(128)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이 로크레버(128)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114)에 직립한 지축(129)에 지지되고, 이 지축(12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크레버(128)는 지축(129)에 감겨지고, 이 로크레버(125)와 섀시(114)의 사이에 아암부를 걸리게 한 비틀림 코일스프링(130)에 의해, 선단의 로크부(128a)가 요동레버(123)의 타단측에 설치한 걸림부(123a)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회전부세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레버(128)는, 디스크트레이(102)가 장치본체(105)의 안쪽의 적재위치까지 이동되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디스크트레이(102)의 저면측의 한측의 전면측에 설치한 누름부(132)에 의해, 기단측에 직립한 누름핀(128b)이 눌려져, 비틀림 코일스프링(13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전되고, 요동레버(123)의 걸림부(123a)에 결합하고 있는 로크부(128a)의 로크를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디스크트레이(102)가 장치본체(105)내로 이동되고 로크레버(128)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면, 요동레버(123)는 트레이 이송기어(118)의 회전에 의해 회전조작되어 승강조작판(121)을 이동조작한다. 이 승강조작판(121)이 이동조작되면, 승강조작핀(127)이 승강캠홈(126)을 따라서 도 25에 나타내는 강하위치와 도 27에 나타내는 상승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이동한다. 또한, 섀시(114)상에는 디스크트레이(102)가 장치본체(105)내의 적재위치로 이동된 것을 검출하여, 적재모터(116)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적재검출 스위치(133) 및 승강조작판(121)의 이동위치를 검출하는 승강조작판 검출스위치(134)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구동부)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크트레이(102)에 유지되어, 장치본체(105)내로 이송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가 장착되고, 이 광디스크(101a, 101b)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스크구동부(120)를 설명한다.
이 디스크구동부(140)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114)로 지지되어 장치본체(105)내에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구동부(140)는, 도 23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102)를 통해 장치본체(105)내로 반송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가 장착되고, 이 광디스크(101a, 101b)를 회전조작하는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와, 이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에 의해서 회전조작되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의 신호기록면을 광빔에 의해서 주사하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는 광픽업(142)과,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의 디스크테이블(143)상에 적재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를 디스크테이블(143)과 공동으로 하여 클램프하는 디스크클램퍼(143)를 주된 구성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와 광픽업(142)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독립한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44, 145)에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가 설치되는 제1 지지프레임(144)은, 얇은 금속판을 꿰뚫어 주변가장자리를 구부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지지프레임(144)은, 중앙부에 제2 지지프레임(145)에 설치된 광픽업(142)을 면하게 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개구부(146)가 잘려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는, 제1 지지프레임(144)의 전단측 즉, 제1 지지프레임(144)이 섀시(114)에 지지되어 장치본체(105)내에 설치되었을 때, 트레이 출입구(104)측에 위치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는, 스핀들 모터(147)와, 이 스핀들 모터(147)의 구동축(148)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디스크테이블(149)로 이루어진다. 이 디스크테이블(148)의 상부중앙에는, 디스크테이블(149)상에 적재되는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의 중심구멍(101c)이 결합하는 센터부재(150)가 구동축(148)의 축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148)을 제1 지지프레임(144)에 수직이 되도록 하여, 스핀들 모터(147)의 외부 주위에 설치한 부착판(151)을 제1 지지프레임(144)에 고정하여 설치되고 있다.
제1 지지프레임(144)의 한쪽측부에는, 제2 지지프레임(145)에 설치된 광픽업(142)을 디스크테이블(149)상에 적재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또는 101b)의 직경방향에 걸쳐서 이송 조작하는 픽업이송 기구(1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픽업이송 기구(152)는, 픽업이송 모터(153)와, 이 이송 모터(153)에 의해서 회전조작되는 상호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구동력전달 기어(154, 155, 156)를 구비한다. 제1의 구동기어(154)는, 이송 모터(153)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157)에 연결되어, 재3 의 구동기어(156)가 광픽업(142)에 설치한 래크기어(158)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지지프레임(144)의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가 설치된 전단측과 대향하는 후단측에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지프레임(145)을 회전조작하여 광픽업(142)의 디스크테이블(149)상에 적재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에 대한 경사를 제어하는 스큐잉 제어기구(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큐잉 제어기구(160)는, 스큐잉 모터(161)와 이 스큐잉 모터(161)에 의해서 회전조작되는 캠 기어(162)를 구비한다. 스큐잉모터(161)와 캠 기어(162)는, 제1 지지프레임(144)의 후단측으로 상승하도록 설치한 부착판(163)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즉, 스큐잉모터(161)는, 구동축(164)이 스핀들 모터(147)의 구동축(148)과 직교하도록 즉, 광픽업부(142)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대물렌즈(165, 166)의 광축과 직교하도록 부착판(163)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 기어(162)도, 부착판(163)에 직립한 지축(167)을 통해, 회전면이 광픽업(142)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대물렌즈(165,166)의 광축과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캠 기어(162)의 주면에는, 원호상을 이루는 캠홈(16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홈(168)은 캠 기어(162)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끝측에서 다른쪽끝측을 향하여 서서히 반경을 달리하는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홈(168)에는, 제2 지지프레임(145)의 후단측의 단면에 돌출 설치한 결합핀(170)이 결합된다.
또한 제1 지지프레임(144)의 전단측의 단면의 거의 중앙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섀시(114)상에 설치된 승강조작판(121)에 설치한 경사캠홈(126)에 통과결합되는 승강조작핀(127)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지프레임(144)의 후단측의 양측에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 부착부(171, 172)가 설치되고,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인슐레이터(173, 174)가 설치된다. 제1 지지프레임(144)은, 이들 인슐레이터(173, 174)를 섀시(114)에 직립한 지지축(173a, 174a)에 지지시키는 것에 따라, 섀시(114)상에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단측의 양측을 탄성 변위 가능한 한 쌍의 인슐레이터(173, 174)를 통해 섀시(114)상에 지지되고, 전단측에 설치한 승강조작핀(127)을 승강조작판(121)에 설치한 경사캠홈(126)에 통과결합시킨 제1 지지프레임(144)은, 승강조작판(121)이 도 24중 화살표(S1, S2)방향으로 이동조작되어, 승강조작핀(127)이 경사캠홈(126)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인슐레이터(173, 174)를 지점으로서 회전조작된다. 제1 지지프레임(144)이, 후단측에 설치한 한 쌍의 인슐레이터(173, 174)를 지점으로서 회전조작되는 것에 의해, 전단측에 설치한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는, 디스크트레이(102)에 대하여 승강조작된다.
한편, 광픽업(142)이 설치되는 제2 지지프레임(145)은, 제1 지지프레임(144)과 같이, 얇은 금속판을 꿰뚫어 주변가장자리를 구부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지지프레임(145)은, 중앙부에 광픽업(142)을 설치하기 위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개구부(175)가 노치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지지프레임(145)에 설치되는 광픽업(142)은, 광학소자를 수납한 광학블럭(176)의 한측에 즉, 개구부(175)의 한쪽의 측에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픽업(142)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축(17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축(176)이 설치된 측에 대향하기 위한 다른 쪽의 측에는, 개구부(175)의 측테두리와 결합하는 단면 ㄷ자형을 하는 가이드 지지부(17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광픽업(142)은, 가이드 지지부(177)를 개구부(175)의 측테두리와 결합시켜, 가이드축(177)의 양단을 제2 지지프레임(145)에 설치한 지지편(179, 180)에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축(177)을 기준이 가이드축(177)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2 지지프레임(145)에 설치된다. 광픽업(142)의 가이드축(177)이 설치된 측의 바깥쪽측의 측면에는, 래크기어(15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래크기어(158)에는, 제2 지지프레임(145)을 제1 지지프레임(144)에 지지시키었을 때, 픽업이송 기구(152)의 제3 의 구동력전달 기어(156)에 맞물린다.
따라서 광픽업(142)은, 픽업이송 기구(152)의 구동모터(172)가 구동함에 의해, 이 구동모터(172)의 구동력이 제1, 제2 및 제3 구동력전달 기어(154, 155, 156)를 통해 래크기어(158)에 전달되고, 도 28 중 화살표(T1, T2)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즉, 광픽업(42)은, 제2 지지프레임(145)이 제1 지지프레임(144)에 지지된 때,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에 근접 이간하는 방향인 디스크테이블(149)상에 장착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의 직경방향에 걸쳐서 이동조작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표준기록밀도의 제1 광디스크(101a)와 DVD와 같은 고기록밀도화가 도모된 제2 광디스크(101b)를 선택적으로 재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 장치에 사용되는 광픽업(142)은, 제1 광디스크(101a)에 최적화된 광학계 및 레이저광원을 구비한 제1 픽업부(181)와, 제2 광디스크(101b)에 최적화된 광학계 및 레이저광원을 구비한 제2 픽업부(182)가 상호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레이저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빔을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에 수렴하여 조사시키는 제1 및 제2 대물렌즈(165, 166)도, 도 24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픽업부(181, 182)마다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광픽업(142)은, 제2 대물렌즈(166)를 광픽업(142)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제1 대물렌즈(165)를 제2 대물렌즈(166)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오프셋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것은, 제2 대물렌즈(166)를 통해 방출되는 제2 광디스크(101b)를 주사하는 광빔이, 고정밀도로 기록트랙을 주사하도륵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광픽업(142)의 광학블럭(176)의 상면에는, 광픽업(142)과, 디스크테이블(149)상에 장착된 제2 광디스크(101b)와의 상대적인 경사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스큐잉센서(183)가 탑재되어 있다. 이 스큐잉센서(183)는,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이 디스크테이블(149)상에 장착된 제2 광디스크(101b)에 반사되어 수광소자에 의해서 수광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스큐잉상태가 검출된다.
그리고 제2 지지프레임(145)의 광픽업(142)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서로 대향하는 측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핀(184, 185)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제2 지지프레임(145)은, 한 쌍의 지지핀(184, 185)을 제1 지지프레임(144)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186, 187)에 천공설치한 삽입통과구멍(188, 189)에 통과시키고, 후단측의 단면에 돌출설치한 결합핀(170)을 스큐잉 제어 기구(160)의 캠 기어(162)의 캠홈(168)과 결합시켜 제1 지지프레임(144)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 지지프레임(144)에 지지된 제2 지지프레임(145)은, 캠 기어(162)가 스큐잉 모터(161)에 의해서 회전조작되고, 결합핀(170)이 캠홈(168)의 편심량에 따라서 도 29중 화살표(Y1)방향 및 (Y2)방향으로 상하 동작함에 의해, 지지핀(184, 185)을 중심으로 하여 도 29중 화살표(X1, X2)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광픽업(142)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기준면(P21)에 대하여 화살표(Y1, Y2)방향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제2 의 대물렌즈(166)의 광축(O1)이, 디스크테이블(149)상에 적재된 제2 광디스크(101b)의 주면에 대하여 도 29중 화살표(Q1, Q2) 방향으로 경사 제어되어, 광픽업(142)의 제 2 의 대물렌즈(166)의 광축이 제2 광디스크(101b)의 신호기록면에 수직이 되도록 방사상 스큐잉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 방사상 스큐잉의 제어는, 스큐잉센서(183)에 의해서 얻어지는 검출출력에 따라서 행하여진다.
또한, 스큐잉 제어기구(160)에 의한 방사상 스큐잉의 제어는, 제2 광디스크(101b)가 장착된 경우에 한해서 행하여진다.
제2 지지프레임(145)의 회전지점을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핀(184, 185)은, 디스크테이블(149)상에 장착된 광디스크(101b)의 반경(R1)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에 지지핀(184, 185)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제2 지지프레임(145)의 회전량을 적게 하여 광디스크(101b)에 대한 광픽업(142)의 방사상 스큐잉의 제어를 행할 수 있어, 디스크구동부(140)의 박형화를 도모하고, 장치 자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디스크구동부(140)는, 디스크테이블(149)상에 적재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를 디스크테이블(149)과 공동하여 클램프하는 디스크클램퍼(1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디스크클램퍼(143)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114)의 좌우양측벽(114a, 114b)의 상단부사이에 수평으로 가설되어 디스크클램퍼 지지판(191)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의 재생동작)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를 재생하는 동작을, 도 30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블록도 및 도 31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1 광디스크(101a)는, 직경을 12cm로 하는 CD나 CD-ROM과 같이 표준기록밀도를 가지는 광디스크가 사용되고, 제2 광디스크(101b)로서, 동일하게 직경을 12cm로 하는 DVD와 같이 고밀도화를 도모한 광디스크(1101b)가 사용된다.
우선,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전원을 투입하여, 디스크트레이(102)를 장치본체(105)의 바깥쪽으로 인출하고, 디스크유지부(3)에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를 유지시켜, 디스크트레이(102)를 장치본체(5)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적재조작을 행한다.
디스크트레이(102)가 장치본체(105)의 안쪽으로 이동되면, 적재검출 스위치(133)에 의해서, 적재위치로 이동된 것이 검출되고, 적재모터(116)가 일단 정지된다.
그리고 디스크트레이(102)의 적재위치에의 이동이 검출되면, 적재모터(116)가 일단 정지된 후, 적재모터(116)가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 때, 디스크트레이(102)에 설치한 누름부(132)에 의해 로크레버(128)가 비틀림 코일스프링(13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전되고,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레버(123)의 로크가 해제되어 있다. 그리하여, 적재모터(116)가 역회전구동하면, 요동레버(123)가 도 24중 화살표(R1)방향으로 회전하고, 승강조작판(121)을 도 24중 화살표(S1)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조작판(121)이 이동하면, 디스크구동부(140)의 제1 지지프레임(145)에 설치한 승강조작핀(127)이 도 25에 나타내는 경사캠홈(126)의 하방측 위치에서 도 27에 나타내는 상방측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1 지지프레임(145)이 한 쌍의 인슐레이터(173, 174)를 지점으로서 디스크트레이(102)측을 향하여 상승되어, 디스크트레이(102)에 유지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가 디스크테이블(149)상에 적재됨과 동시에 디스크클램퍼(143)가 디스크테이블(149)측으로 눌러 붙여져,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를 클램프하여, 디스크테이블(149)과 일체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승강조작판(121)이 제1 지지프레임(145)을 상승위치까지 이동시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101a, 101b)를 디스크테이블(149)에 클램프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승강조작판 검출스위치(134)가 조작되고, 적재모터(116)가 정지되어, 적재의 완료가 검출된다. 이 승강조작판 검출스위치(134)에 의해 적재의 완료가 검출되면, 디스크 회전조작기구(141)의 스핀들 모터(147)가 구동을 개시함과 동시에, 스큐잉센서(183)가 온 된다.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로부터 실제 데이터를 재생하기 전에, 재생의 대상이 되는 광디스크가 표준기록밀도의 제1 광디스크(101a)인지 고밀도기록의 제2 광디스크인지를 판정하여, 각각의 광디스크에 알맞은 조건하에서, 즉 제1 광디스크(101a) 용의 제1 픽업부(181)와 고밀도기록의 제2 광디스크(101b)용의 제2 픽업부(182)의 교체, 스큐잉 서보의 온/오프 등을 설정하여,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여기에서, 제1 광디스크(101a)는, CD 또는 CD-ROM이고, 제2 광디스크(101b)는, DVD이다.
이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재생동작을, 도 30에 나타내는 블록도 및 도 31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1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30)는, 상술한 적재검출 스위치(133)가 디스크트레이(102)가 적재위치로 이동된 것을 검출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보프로세서(231)를 동작시킨다.
단계 S2에 있어서, 서보프로세서(231)는, 스큐잉센서(183)의 출력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디스크트레이(102)에 어느 한 항에 광디스크가 탑재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큐잉센서(18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기록면까지의 거리를 검출하여, 예를 들면 그 거리에 반비례한 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디스크트레이(102)에 광디스크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그 검출신호의 레벨은 작게 되어, 서보프로세서(231)는, 스큐잉센서(183)의 검출신호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정하여, 광디스크가 탑재되어 있는지를 결정하여, "예"일 때는, 단계 4로 진행하고, "아니오"일 때는 S3단계로 진행한다.
S3단계에서, 서보프로세서(231)는, 광디스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시스템 컨트롤러(230)로 이송하고,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이 이상의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것과 동시에, 호스트 컴퓨터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한편, S4단계에서, 서보프로세서(231)는, 광픽업(1)을 광디스크의 최내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픽업이송 기구(152)의 이송 모터구동부(217)로 이송하고, 이 이송모터 구동부(217)는, 이 신호를 증폭하여 이송모터(153)를 구동한다. 이렇게 하여, 광픽업(142)은, 광디스크의 최내주에 위치한다.
다음에, S5단계에서, 서보프로세서(231)는, 스큐잉을 초기화한다. 즉, 서보프로세서(231)는, 광픽업(1)을 수평상태로 하는 신호를 스큐잉 조정기구(160)의 스큐잉 구동부(216)에 이송하고, 스큐잉 구동부(216)는, 이 신호를 증폭하여 스큐잉모터(9)를 구동한다. 이렇게하여 광픽업(142)은 수평상태가 된다.
S6단계에서 서보프로세서(231)는 스큐잉 서보를 온으로 한다. 즉, 서보프로세서(231)는, 스큐잉센서(183)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이 검출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되는 신호를 스큐잉 구동부(216)로 공급한다.
대략 동시에 S7단계에서, 서보프로세서(231)는, 스핀들 모터(147)를 CD플레이어로 표준으로 되어 있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신호를 스핀들 모터구동부(219)로 공급하고, 스핀들 모터구동부(219)는, 이 신호를 증폭하여 스핀들 모터(147)를 구동한다. 이렇게 하여 광디스크가 회전한다. 또한 이 때, 예를 들면 스핀들 모터(147)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회전이 선속도 일정으로 되도록 서보제어를 행한다(회전검출기구등은 도시하지 않음).
S8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전환접점(TCD)이 접속되도록 전환스위치(222, 223, 224)를 제어하고, 서보프로세서(231)는, CD용의 레이저 다이오드(181a)를 발광시키는 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20a)로 공급하고,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20a)는, 이 신호를 방출광의 레벨이 재생에 알맞은 레벨이 되도록 증폭하고 레이저 다이오드(181a)를 구동한다. 그리고 레이저 다이오드(181a)에서 방출된 레이저광은, 대물렌즈(165)로 집광되어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조사되고, 반사된다. 이 반사광, 즉 귀환광의 레벨은,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예를 들면 피트의 유무에 의해서 변화한다. 귀환광은, 빔 분할기(이제부터 이하의 부품은 도시하지 않음)로 분리된 후, 광디텍터로 입사된다. 그리고 광디텍터는, 귀환광의 광량에 따른 RF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광픽업(142)으로부터는,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데이터)에 따른 EF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광픽업(142)은, 예를 들면 이른바 비점수차법, 차동증폭법등에 의해, RF신호 이외에 포커스오류신호, 트래킹오류신호도 출력한다.
S9단계에서, 광픽업(142)이 광디스크의 최내주에, 즉 TOC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광픽업(142)으로부터는, TOC에 대응한 RF신호가 출력되고, RF신호증폭기(221a)는, 이 신호를 예를 들면 파형등화하는 것과 동시에 증폭하여, 상술한 전환스위치(222)를 통해, 2진화회로(225)로 공급하여, 포커스오류신호, 트래킹오류신호를 서보프로세서(231)로 공급한다. 2진화회로(225)는, RF신호를 식별하여 EFM변조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고, 이 데이터를 디코더(26)로 공급한다. 디코더(226)는, 변조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얻어지는 재생데이터를 시스템 컨트롤러(230)로 공급한다. 이 재생데이터는 TOC에 대응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 재생데이터에는, 광디스크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종류식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디코더(226)는, 후술하는 광디스크의 판정이 종료하여 통상의 재생동작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는, 재생된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에 출력한다.
S10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디코더(226)로부터 공급되는 종류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디스크트레이(102)에 탑재되어 있는 광디스크가 고기록밀도의 광디스크(101b), 즉 DVD인지를 판정하여, "예"일 때는 단계 12로 진행하고, "아니오"일 때는 S11단계로 진행한다.
S11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디스크트레이(102)에 탑재되어 있는 광디스크가 제1 광디스크(101a), 즉 CD 또는 CD-ROM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서보프로세서(231)로 공급하고, 서보프로세서(231)는, 스큐잉 서보를 정지(오프)하여, 즉 스큐잉센서(183)로부터의 검출신호의 값에 관계 없이 스큐잉 구동부(216)에 값이 0인 신호를 공급한다(아무것도 보내지 않는다).
한편 S12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탑재되어 있는 광디스크가 제2 광디스크(101b)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서보프로세서(231)로 공급하고, 서보프로세서(231)는, 스큐잉 서보의 온상태를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스핀들 모터(147)를 DVD에서 표준으로 되어 있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신호를 스핀들 모터 구동부(219)로 공급한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전환접점(TDV)가 접속되도록 전환스위치(222, 223, 224)를 제어한다.
단계 13에서, 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른 광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재생이 행하여진다. 즉, 탑재되어 있는 광디스크가 제2 광디스크(101b) 일 때는, 서보프로세서(231)는, 전환스위치(223)를 통해, 제2 광디스크(101b) 용의 레이저 다이오드(182a)를 발광시키는 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20b)로 공급하고,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20b)는, 이 신호를 방출광의 레벨이 재생에 알맞은 레벨이 되도록 증폭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82a)를 구동한다.
또한, 탑재되어 있는 광디스크가 CD, 즉 제1 광디스크(101a) 일 때는, 서보프로세서(231)는, 상술한 단계 S8의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에 관하여는 생략한다. 또한 서보프로세서(231)는, 전환스위치(222)를 통해 공급되는 포커스오류신호 및 트래킹오류신호에 기초하여, 이것들의 신호가 0이 되도록, 전환스위치(224)를 통해 2축 구동부(218a) 또는 2축 구동부(218b)에 제어신호를 이송하고, 포커스 및 트래킹서보를 거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S14단계에서, 이용자가 데이터재생을 종료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고, 디스크트레이(102)가 인출되면,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적재검출 스위치(133)가 디스크트레이(102)의 적재위치에의 이동이 행하여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서보프로세서(231)등의 재생동작을 정지한다.
S15단계에서, 서보프로세서(231)는, 상술한 단계 S5의 동작을 행하여, 스큐잉을 초기화한다.
상술한 구체적인 동작의 설명에서는, 광디스크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종류 식별 데이터가 TOC로서 미리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여기에서, 광디스크에 종류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을 때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도 32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S21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서보프로세서(231), 전환스위치(222, 223, 224)를 제어하여,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CD모드로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서보프로세서(231)는, 스핀들 모터(147)를 CD와 같은 속도로 회전시켜, 레이저 다이오드(181a)를 발광시키고, 전환스위치(222, 223, 224)의 전환단자(TCD)를 접속시켜, 트래킹서보를 온으로 한다.
S22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대물렌즈(165)의 촛점맞춤점(合焦点) 거리를 검출하는 명령을 서보프로세서(231)에 이송하고, 서보프로세서(231)는, 예를 들면 대물렌즈(165)를 서서히 광디스크에 접근시키거나 또는 이간시키는 그 레벨이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신호를, 전환스위치(224)를 통해 2축 구동부(218a)로 공급한다. 또한, 이 때, 서보프로세서(231)는, 전환스위치(222)를 통해 공급되는 포커스오류신호를 감시하여, 이 포커스 오류신호가 0이 되었을 때의 2축 구동부(218a)로 공급하고 있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한다. 그리고 서보프로세서(231)는, 이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 즉 광디스크의 기록면에서의 대물렌즈(165)의 촛점맞춤점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시스템 컨트롤러(230)로 공급한다.
단계 S23에 있어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서보프로세서(231)로부터 공급되는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소정값이상인지를 판정하여, "예"일 때는 단계 S24로 진행하고, "아니오"일 때는 S26단계로 진행한다.
S24단계에서, 서보프로세서(231)는, 광픽업(142)을 직선적으로 보내기 위해서 이송 모터구동부(217)로 공급하고 있는 신호의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 즉 트랙피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시스템 컨트롤러(230)에 이송하고,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이 데이터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정하여, "예"일 때는 단계 S25로 진행하고, "아니오"일 때는 S26단계로 진행한다.
S25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디스크트레이(102)에 탑재되어 있는 광디스크가 CD, 즉 제1 광디스크(101a)로서, 도 31에 나타내는 D13단계 이후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S26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서보프로세서(231),전환스위치(222, 223, 224)를 제어하여,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DVD모드로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서보프로세서(231)는, 스핀들 모터(147)를 제2 광디스크(101b), 즉 DVD와 같은 속도로 회전시켜, 레이저 다이오드(182a)를 발광시켜, 전환스위치(222, 223, 224)의 전환단자(TDV)를 접속시켜, 트래킹서보를 온으로 한다.
S27단계에 있어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대물렌즈(166)의 촛점맞춤점 거리를 검출하는 명령을 서보프로세서(231)에 이송하고, 서보프로세서(231)는, 예를 들면, 대물렌즈(166)를 서서히 광디스크에 접근시키거나 또는 이간시키는 그 레벨이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신호를, 전환스위치(224)를 통해 2축 구동부(218b)로 공급한다. 또한 이 때 서보프로세서(231)는, 전환스위치(222)를 통해 공급되는 포커스오류신호를 감시하여, 이 포커스오류신호가 0이 되었을 때의 2축 구동부(218b)로 공급하고 있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한다. 그리고 서보프로세서(231)는, 이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 즉 광디스크의 기록면에서의 대물렌즈(166)의 촛점맞춤점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시스템 컨트롤러(230)로 공급한다.
S28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서보프로세서(231)로부터 공급되는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소정범위내인지를 판정하여, "예"일 때는 S29단계로 진행하고, "아니오"일 때는 S31단계로 진행한다.
S29단계에서 서보프로세서(231)는, 광픽업(142)을 직선적으로 보내기 위해서 이송 모터구동부(217)로 공급하고 있는 신호의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 즉 트랙피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시스템 컨트롤러(230)에 이송하고,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이 데이터가 소정범위내인지를 판정하여, "예"일 때는 S30단계로 진행하고, "아니오"일 때는 S31단계로 진행한다.
S30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디스크트레이(102)에 탑재되어 있는 광디스크가 DVD, 즉 제2 광디스크(101b)로서, 도 30에 나타내는 S13단계 이후의 동작을 행한다.
S31단계에서 시스템 컨트롤러(230)는, 디스크트레이(102)에 광디스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가 또는 CD, DVD 이외의 광디스크가 탑재되고 있는가를 판정하여, 이 이상의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전체를 제어함과 동시에, 호스트 컴퓨터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본 발명과 관계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기록매체로서 광디스크를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트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술의 각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오로지 재생하는 장치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데이터의 기록수단을 구비한 기록재생형의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계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기록 및/또는 재생방법은, 데이터의 기록밀도가 표준의 제1 광디스크와, 디스크의 고기록밀도화가 도모된 제2 광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장착되는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여, 고기록밀도화가 도모된 제2 광디스크상에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한해서, 스큐잉 제어기구를 동작시켜, 대물렌즈와 제2 광디스크와의 상대적인 경사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2 광디스크와 대물렌즈의 수직도를 고정밀도로 설정하고, 고기록밀도화가 도모된 제2 광디스크상에 양호한 기록 및/또는 재생특성을 취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기록밀도가 표준의 제1 광디스크상에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대물렌즈와 광디스크와의 상대적인 경사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스큐잉 제어기구에 의한 대물렌즈에 대한 경사 제어의 범위를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장치 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7)

  1. 데이터의 기록밀도가 제1 기록밀도인 제1 광디스크와, 데이터의 기록밀도가 상기 제1 광디스크보다 고밀도의 제2 기록밀도인 제2 광디스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디스크 회전조작수단과,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을 수렴시켜 상기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대물렌즈를 구비한 광픽업과,
    상기 디스크 회전조작수단에 장착되는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수단과,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디스크 회전조작수단에 장착되는 광디스크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를 제어하는 스큐잉 제어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이 제1 광디스크를 검출하였을 때, 상기 스큐잉 제어수단에 의한 스큐잉 제어를 정지하는 스큐잉 제어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잉 제어수단은 상기 디스크 회전조작수단의 상기 광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테이블을 회전조작하는 스핀들 모터의 경사를 제어하여, 상기 대물렌즈에 대한 상기 제2 광디스크의 경사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모터는 구동축의 축심에 직교하는 양측의 위치에 배치한 한 쌍의 회전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경사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모터의 경사 방향이 상기 광픽업이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잉 제어수단은 스큐잉 제어의 동작시와 스큐잉 제어의 정지시에 상기 스핀들 모터의 높이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잉 제어수단은 상기 광픽업의 경사를 제어하여, 상기 대물렌즈에 대한 상기 제2 광디스크의 경사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의 경사 방향이 상기 광픽업이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의 판별을 행하는 수단은 상기 광픽업에 의해서 판독되는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디스크종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의 판별을 행하는 수단은, 상기 디스크 회전조작수단에 장착된 상기 광디스크에 대하여 상기 광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광빔이 상기 광디스크의 표면에 촛점맞춤한 상태로 얻어지는 상기 광디스크로부터의 귀환광정보와,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촛점맞춤한 상태로 얻어지는 상기 광디스크로부터의 귀환광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크 회전조작수단에 장착된 광디스크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광정보는 상기 광디스크로부터의 귀환광의 광량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광정보는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되는 광빔의 촛점상황에 따른 포커스오류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상기 제1 광디스크에 광빔을 조사하기 위한 제1 대물렌즈와, 상기 제2 광디스크에 광빔을 조사하기 위한 제2 대물렌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3. 데이터의 기록밀도가 제1 기록밀도인 제1 광디스크와, 데이터의 기록밀도가 상기 제1 광디스크보다 고밀도의 제2 기록밀도인 제2 광디스크를 유지하고, 장치본체의 내외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를 이송하는 디스크 이송수단과,
    상기 디스크 이송수단에 의해서 이송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 회전조작수단과,
    상기 디스크 회전조작수단을 상기 디스크 이송수단에 대하여 근접 또는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제1 지지수단을 회전조작하는 회전조작수단과,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을 수렴시켜 상기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대물렌즈를 구비한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수단에 지지된 제2 지지수단과,
    상기 디스크 회전조작수단에 장착되는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수단과,
    상기 제2 지지수단을 회전하는 것에 따라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디스크 회전조작수단에 장착된 제1 또는 제2 광디스크의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를 제어하는 스큐잉 제어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이 제1 광디스크를 검출하였을 때, 상기 스큐잉 제어수단에 의한 스큐잉 제어를 정지하는 스큐잉 제어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의 경사 방향이 상기 광픽업이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의 판별을 행하는 수단은 상기 광픽업에 의해서 판독되어지는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디스크종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의 판별을 행하는 수단은 상기 디스크 회전조작수단에 장착된 상기 광디스크에 대하여 상기 광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광빔이 상기 광디스크의 표면에 촛점맞춤한 상태로 얻어지는 상기 광디스크로부터의 귀환광정보와,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촛점맞춤한 상태로 얻어지는 상기 광디스크로부터의 귀환광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크 회전조작수단에 장착된 광디스크의 판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상기 제1 광디스크에 광빔을 조사하기 위한 제1 대물렌즈와, 상기 제2 광디스크에 광빔을 조사하기 위한 제2 대물렌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19970704380A 1995-10-26 1996-10-28 광디스크드라이브장치 KR100484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00524 1995-10-26
JP30052495 1995-10-26
PCT/JP1996/003150 WO1997015922A1 (fr) 1995-10-26 1996-10-28 Unite de disque 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7001121A KR987001121A (ko) 1998-04-30
KR100484338B1 true KR100484338B1 (ko) 2005-08-31

Family

ID=1788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380A KR100484338B1 (ko) 1995-10-26 1996-10-28 광디스크드라이브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70035A (ko)
EP (1) EP0806767A4 (ko)
KR (1) KR100484338B1 (ko)
CN (2) CN1136557C (ko)
MY (1) MY132591A (ko)
WO (1) WO1997015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9613A4 (en) 1995-02-06 1997-12-17 Sony Corp RECORDING-REPRODUCING DEVICE
WO1997042632A1 (fr) * 1996-05-09 1997-11-13 Sony Corporation Tete de lecture optique et lecteur de disque
JPH1196560A (ja) * 1997-09-19 1999-04-09 Kenwood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US6151174A (en) * 1997-10-06 2000-11-21 U.S. Philips Corporation Device for optically scanning a record carrier
US6324134B1 (en) * 1998-08-05 2001-11-27 Seiko Instruments Inc.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6426925B1 (en) * 1998-10-09 2002-07-30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tilt adjustment mechanism
JP2000132855A (ja) * 1998-10-27 2000-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4075174B2 (ja) * 1998-12-25 2008-04-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そのヘッド送り機構
JP2000228017A (ja) * 1999-02-08 2000-08-15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再生装置
JP4125458B2 (ja) * 1999-10-28 2008-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1307340A (ja) * 2000-04-21 2001-11-02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2170266A (ja) 2000-12-01 2002-06-14 Pioneer Electronic Corp チルトサーボ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391043B1 (ko) * 2001-01-15 2003-07-12 주식회사 Dm테크놀로지 디스크 플레이어의 틸트조정장치
JP3568124B2 (ja) * 2001-03-21 2004-09-22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421007B1 (ko) * 2001-07-13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큐 조정기능을 갖춘 광디스크 드라이브
JP3539414B2 (ja) * 2001-09-25 2004-07-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装置
JP2003162836A (ja) * 2001-11-28 2003-06-06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チルト調整方法
EP1481394B1 (en) * 2002-02-26 2008-04-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for reading information, supporting means for use i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a data carrier
JP2003249041A (ja) * 2002-02-26 2003-09-05 Citizen Watch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4103189A (ja) * 2002-09-13 2004-04-02 Hitachi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4272956A (ja) * 2003-03-05 2004-09-30 Sanyo Electric Co Ltd 再生装置
JP2005063560A (ja) * 2003-08-12 2005-03-10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TWM256947U (en) * 2004-03-09 2005-02-11 Lite On It Corp Electronic apparatus with level detecting function
JP4285327B2 (ja) * 2004-05-21 2009-06-24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KR100613611B1 (ko) 2004-07-07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주파 신호의 인벨롭을 이용하여 틸트/스큐를 보정하는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방법
DE602005008453D1 (de) * 2004-09-13 2008-09-0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ptisches plattensystem mit einstellbarer position der drehenden platte
KR20070087629A (ko) * 2004-11-30 2007-08-2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자동 디스크 기울기 교정 방법 및 장치
KR20070116833A (ko) 2005-02-28 2007-12-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 디스크 드라이브 시스템에서 디스크 런아웃을 제어하는장치 및 방법
US7892618B2 (en) * 2005-03-21 2011-02-22 Sony Corporation Deterring theft of optical media
TWI266283B (en) * 2005-03-30 2006-11-11 Lite On It Corp Method for detecting an optical disc
US8258481B2 (en) * 2005-04-25 2012-09-04 Sony Dadc U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enabling or disabling an optical device
US20070050585A1 (en) * 2005-08-24 2007-03-01 Sony Dadc Us Inc. Selectively enabling playback of content on an optical medium
US7733659B2 (en) 2006-08-18 2010-06-08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JP4253673B2 (ja) * 2006-09-11 2009-04-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駆動装置
JP4375470B2 (ja) * 2007-09-28 2009-12-02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駆動装置、カメラ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のスキューに追従した光ビームの傾き制御方法
JP5481878B2 (ja) * 2009-02-25 2014-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ディア処理装置、メディア処理システム、メディア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702266A (zh) * 2014-11-27 2016-06-2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光盘驱动器托盘弹出方法
CN105702268A (zh) * 2014-11-27 2016-06-2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光盘驱动器托盘弹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700255A (ko) * 1986-12-27 1989-03-10 광디스크 판별장치
EP0400949A2 (en) * 1989-06-01 1990-12-05 Sony Corporation Disc loading apparatus
JPH0620294A (ja) * 1992-07-03 1994-01-28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チルトサー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678A (en) * 1977-12-12 1990-04-17 Dolby Ray Milton Disc reproducing system for compensating mechanical imperfections
JPH0351781Y2 (ko) * 1984-09-20 1991-11-07
JP2565238B2 (ja) * 1987-10-15 1996-12-18 ソニー株式会社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
JPH0337611U (ko) * 1989-08-10 1991-04-11
JP2583645B2 (ja) * 1990-06-13 1997-02-1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JP2550772B2 (ja) * 1990-10-26 1996-11-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光学的情報記録媒体円盤の再生装置
JPH05325398A (ja) * 1992-05-27 1993-12-10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960000268B1 (ko) * 1992-12-30 1996-01-04 엘지전자주식회사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리프트 및 틸트 장치
US5729510A (en) * 1994-01-19 1998-03-17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 head used for recording o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various thicknesses, warpage and the lik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700255A (ko) * 1986-12-27 1989-03-10 광디스크 판별장치
EP0400949A2 (en) * 1989-06-01 1990-12-05 Sony Corporation Disc loading apparatus
JPH0620294A (ja) * 1992-07-03 1994-01-28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チルトサー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15922A1 (fr) 1997-05-01
CN1176013A (zh) 1998-03-11
MY132591A (en) 2007-10-31
EP0806767A1 (en) 1997-11-12
AU705986B2 (en) 1999-06-03
CN1136557C (zh) 2004-01-28
US5970035A (en) 1999-10-19
EP0806767A4 (en) 1999-09-29
CN1447317A (zh) 2003-10-08
KR987001121A (ko) 1998-04-30
AU7337796A (en) 199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338B1 (ko) 광디스크드라이브장치
US6122237A (en) Disc drive apparatus with optical axis inclination adjustment based on a skew sensor and reference
KR20060046289A (ko) 디스크 구동 장치, 디스크 구동 유니트, 광학 픽업장치
US7489601B2 (en) Disk drive
US6654326B1 (en) Automatic tilt compensator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856641B2 (en) Disk drive device and centering members therefor
US7191455B2 (en) Disk-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judging disc-shaped recording medium of disc-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7398539B2 (en) Height-variable type turntable assembly and optical disk device including the same
JP3813604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08543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958273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854260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11167759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EP1471511A1 (en) Driving apparatus for moving an optical pickup
US67479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enter error signal in an optical storage system
JP380983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WO2000022616A1 (fr) Appareil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JP200511603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9120567A (ja) 光ディスク装置
CA2208532A1 (en) Optical disk driving device
JPH10134387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のスキュー調整機構
JP2005116032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9120624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9980030564A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니트
JP2003022553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