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528A - 사륜 차량 - Google Patents

사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528A
KR20050026528A KR1020057001539A KR20057001539A KR20050026528A KR 20050026528 A KR20050026528 A KR 20050026528A KR 1020057001539 A KR1020057001539 A KR 1020057001539A KR 20057001539 A KR20057001539 A KR 20057001539A KR 20050026528 A KR20050026528 A KR 20050026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river
vehicle
disposed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자와에이지
이이다오우미
히가시하라세이지
시바따유미오
스기오까고오이찌
후지와라기요따까
알라시아파올로
페라리오마르코
베르가노라파엘
와취틀러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000687A external-priority patent/ITTO20020687A1/it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5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60J5/0487Special type simplified doors related to cabins of, e.g. golf carts, tractors, jeeps, cranes, forklift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handicapp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nvertible from one use to a different one
    • B60P3/423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nvertible from one use to a different one from transport of persons to transport of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vehicles, e.g. race, dune buggies, go-k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03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compact cars, e.g. city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7/00Motor vehicles or trailers predominantly for carrying passengers
    • B62D47/003Motor vehicles or trailers predominantly for carrying passengers convertible in order to modify the number of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2Box-shaped seats; Bench-type seats, e.g. dual or twi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62J25/04Floor-type foot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1Motor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3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ongitudinal arms only
    • B60G2200/132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ongitudinal arms only with a single trailing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3Small sized city mot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40Variable track or wheelbas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2Microcars, e.g. golf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60R2021/132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 B60R2021/134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movable from a retracted to a protectio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8Motor vehicles with short wheel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륜 차량(400)은 바아 핸들(404)을 갖는 조향 기구(405), 좌우 앞 바퀴(402, 402) 및 좌우 뒷 바퀴(403, 403)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은 바아 핸들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커버(432) 및 윈드실드(433)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은 운전석(411) 및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서 뒷 바퀴들 사이에 배치되는 후방 승객석(412)을 구비한다. 후방 승객석은 전방을 향한다. 차량은 후방 승객석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 유닛부(407) 및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디 커버(43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사륜 차량 {FOUR-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바아 핸들을 갖는 조향 기구(steering mechanism)를 구비한 차량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차량들은 바아 핸들을 갖는 조향 기구를 구비한다. 그러한 차량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고공보 SHO41-15969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는 두 개의 앞 바퀴, 하나의 뒷 바퀴, 바아 핸들을 갖는 조향 기구, 운전석 및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된 승객석을 갖는 3륜차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개시된 차량은 그 뒷 부분의 중앙에 배치되는 단일의 뒷 바퀴를 구비한다. 상기 뒷 부분은 뒷 바퀴가 대부분 차지하므로, 파워 유닛과 같은 구성요소는 그곳에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승객석은 불가피하게 상기 뒷 바퀴보다 높은 레벨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차량은 바람직하지 않게는 그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이 높아진다. 차량은 운전자와 승객이 자리에 앉았을 때 그 앞 부분과 뒷 부분이 상호 균형잡힌 무게를 갖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상기 차량은 그 대향측에 도어를 구비한다. 운전석과 승객석은 싯-인(sit-in) 형태의 것이다. 이는 운전자와 승객이 차량을 타거나 내리기가 곤란하고 번거롭다는 점에서 단점이 된다.
또한, 상기 차량은 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하도록 고려하여 설계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차량은 실제 사용을 위해 개선되지 않는다. 차량이 유리하게 주차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차량은 그 부근에 주차된 2륜차 또는 4륜차 사이의 이용가능한 공간에 유리하게 주차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보다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차량을 좌측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3-3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4a는 차량의 전방 커버와 바아 핸들을 구비하는 차량의 앞 부분과 운전자의 무릎의 평면도이며, 도4b는 도4a에 있어서 운전자가 자신의 무릎을 차량의 앞 부분에 부딪힌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1의 차량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1의 차량의 다른 변형예를 좌측에서 바라본 도시도이다.
도7은 도6의 차량의 운전석과 후방 승객석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6의 차량의 윈드실드의 평면도이다.
도9는 도1의 차량의 뒷 부분의 사시도로서 수납부가 개방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10은 긴 물체가 수납부에 배치된 상태의 도9의 도시도이다.
도11은 수하물을 운반하도록 수납부가 폐쇄된 상태의 도9의 도시도이다.
도12는 수납부가 폐쇄되고 등받이가 수평 위치로 유지된 상태의 도9의 도시도이다.
도13은 등받이와 수납부에 수하물이 적재된 상태의 도12의 도시도이다.
도14는 도1의 차량에 대한 다양한 옵션 품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는 도1의 차량의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5의 차량의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도17은 도1의 차량의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의 차량의 다른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도19a는 도1의 차량의 정면도이며, 도19b는 도1의 차량의 변형예의 정면도이고, 도19c는 도1의 차량의 평면도이며, 도19d 및 19e는 도19a 내지 도19c에 도시된 차량과 비교하기 위한 상이한 오토바이의 도시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의 차량을 위한 다양한 옵션 품목의 도시도이다.
도22는 도20의 차량의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도23은 도20의 차량의 다른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도24는 도20의 차량의 다른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26은 도25의 차량을 좌측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27은 도25의 차량의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28은 차량의 좌석에 승객이 앉아있는 상태의 도25의 도시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roofed contractable) 사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30은 도29의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31은 도29의 차량의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가이드 레일 및 슬라이드 로킹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32는 도31의 슬라이드 로킹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33은 도31의 33-33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34는 와이어 케이블을 통해 슬라이드 로킹 장치에 연결된 스윙 로킹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35는 도29의 차량의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좌석 및 수납 박스의 단면도이다.
도36은 차량이 신축된 상태에 있을 때 후방 프레임, 좌석 및 수납 박스가 전방 프레임 근처에 배치된 상태의 도35의 도시도이다.
도37은 신축된 상태에 있는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38은 전후로 줄지어 주차된 차량들 사이에 제공되는 공간에 도29의 차량이 주차되는 방법의 도시도이다.
도39는 도29의 차량의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도4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사륜 차량의 정면도이다.
도41은 도40의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42는 도40의 차량의 후방 프레임과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43은 계기판을 갖는 도40의 차량의 전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44는 운전자 뒤에 승객이 앉아있는 상태로 운전자에 의해 조향되는 도40의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45는 도44의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46은 전, 후방 서스펜션, 프레임 이동장치 및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내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기 위한 도40의 차량의 투명 사시도이다.
도47은 후방 서스펜션 및 프레임 시프터를 도시하기 위한 도40의 차량의 다른 투명 사시도이다.
도48은 도40의 차량의 신축된 상태에 있는 측면도이다.
도49는 전후로 줄지어 주차된 차량들 사이에 제공되는 공간에 주차된 도40의 차량의 도시도이다.
도5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사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51은 도50의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52는 도50의 차량을 평면도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53은 본50의 차량을 좌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54는 도50의 차량의 신축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55는 전후로 줄지어 주차된 차량들 사이에 제공되는 공간에 도50의 차량이 주차되는 방법의 도시도이다.
도56은 승객이 차량에 타거나 내릴 수 있도록 피봇되는 전방 루프를 갖는 차량의 도시도이다.
도57은 도50의 차량의 변형예를 좌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5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사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59는 도58의 차량의 다른 사시도로서 특히 차량의 후방 루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0은 도58의 차량을 우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61은 도58의 차량의 전방 루프 구동 장치(320)를 도시하기 위한, 도58의 차량의 다른 투명 사시도이다.
도62는 가동 피봇식 전방 루프, 중간 루프 및 상기 중간 루프 내로 이동가능한 후방 루프를 포함하는 루프를 갖는 차량을 우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63은 승객과 운전자가 좌우로 나란히 앉아있는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해 조향되는 도58의 차량의 도시도이다.
도64는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을 중지했을 때 도58의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65는 도64에서 전방 루프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후방 루프가 중간 루프 내로 이동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66은 도65에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릴 수 있도록 전방 루프가 후방으로 피봇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67은 도66에서 전방 루프가 그 본래의 위치로 다시 피봇되고 후방 루프가 중간 루프 내에 위치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68은 전후로 줄지어 주차된 차량들 사이에 제공되는 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전방 및 후방 루프가 도67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의 도시도이다.
도69는 도58의 차량의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도70은 도58의 차량의 다른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도71은 도58의 차량의 다른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들이 앞뒤로 배치된 그 각각의 좌석에 앉을 때 무게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낮은 무게중심을 제공하기에 유용한 공간을 갖는 사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객이 차량에 쉽게 타거나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된 사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객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설계된 사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바아 핸들을 갖는 조향 기구, 좌우 앞 바퀴를 갖는 앞 부분, 좌우 뒷 바퀴를 갖는 뒷 부분, 상기 앞 부분에 배치되는 운전석 및 상기 운전석 후방에서 상기 좌우 뒷 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하는 후방 승객석을 포함하는 사륜 차량이 제공된다.
상기 조향 기구는 작동이 용이한 바아 핸들을 구비한다. 바아 핸들의 조작은 종래의 조향 휠을 돌리는 것에 비해 적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네 개의 바퀴는 차량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차량이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그 종방향으로 긴 좌석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좌석에는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는 운전석과 승객석이 포함된다. 운전석과 승객석은 그 하부에 형성되는 유용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한 공간의 형성은 차량의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해 승객석이 낮게 위치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무게중심이 낮아지면 차량이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것을 돕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운전석은 대향측에 제공된 운전자용 발판을 갖는 앞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운전석은 운전자가 상기 발판에 발을 얹고 걸터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운전자는 운전석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등을 직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직립 자세로 앉아있는 운전자는 높은 시야가 유지된다. 직립 자세를 취하는 것은 운전자가 차량을 쉽게 타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발판의 각각은 상방 돌출되는 측방 에지를 갖는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측방 에지부는 차량이 깊은 웅덩이를 통과할 때 발판에 물이 거의 또는 전혀 튀기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우측 앞 바퀴와 상기 우측 뒷 바퀴는 이들을 통해 연장되는 제1 직선을 제공하고, 상기 좌측 앞 바퀴와 상기 좌측 뒷 바퀴는 이들을 통해 연장되는 제2 직선을 제공하며, 상기 측방 에지들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직선과 제2 직선 사이에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그렇게 배치된 상기 측방 에지부는 사람이 차량을 미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람은 차량을 밀면서 쉽게 걸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사륜 차량은 상기 운전자의 발판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승객용 발판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승객용 발판은 운전자용 발판에 연속해서 그 후방에 배치된다. 그러한 발판은 구조가 간단하다. 운전자용 발판이 승객용 발판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승객은 후방 승객석에 앉아서 발을 운전자용 발판에 얹어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운전석 및 상기 후방 승객석은 그 대향측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운전자와 승객이 차량을 쉽게 타거나 내릴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운전석 및 상기 후방 승객석은 승객이 걸터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모든 승객들은 좌석에 걸터앉을 수 있다. 좌석에 걸터앉는 것은 승객이 차량을 쉽게 타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운전석은 상기 후방 승객석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이는 운전석이 후방 승객석과 일체로 쉽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운전자 및 운전석의 중량이 승객 및 후방 승객석의 중량과 균형을 이룬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후방 승객석은 그 대향측에 상기 운전석보다 큰 폭을 제공하기 위한 팽출부(bulged portion)를 갖는다.
팽출부의 제공은 승객이 후방 승객석에 쉽게 앉거나 일어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팽출부를 갖는 후방 승객석은 폭이 넓어서 두 명의 승객이 옆으로 나란히 앉거나 대형 화물이 탑재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사륜 차량은 상기 바아 핸들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커버 및 윈드실드(windshield)와, 상기 운전석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는 보디 커버(body cover)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승객이 좌석에 앉거나 일어설 때 통과하는 임의의 측부에서 차량이 개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차량의 다른 측부들은 운전석에 앉아있는 운전자를 비, 진흙,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덮여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사륜 차량은 상기 윈드실드에 연속하여 상기 운전석 및 상기 후방 승객석의 상부에 배치되는 루프(roof)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루프 부재의 제공은 운전자 뿐 아니라 후방 승객석에 앉아있는 후방 승객도 비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루프 부재에 의해 비로부터 보호되는 후방 승객석에는 수하물이 놓일 수도 있다. 차량의 뒷 부분이 루프 부재에 의해 비로부터 보호되므로, 보호되는 뒷 부분은 상업적 물건이나 물품의 전시, 판매 또는 운송에 유용하다. 차량이 그 대향측에서 커버되므로, 승객은 차량에 쉽게 타거나 내릴 수 있다. 루프 부재는 승객이 차량에 타거나 내리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차량은 선택적으로, 그 양측이 추가적인 착탈식 커튼으로 커버된다. 그렇게 배치된 차량은 다양한 목적으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사륜 차량은 상기 운전석과 후방 승객석 중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 유닛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파워 유닛부는 토크 컨버터 기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배치는 추가 클러치에 대한 필요성이 없게 된다. 따라서, 파워 유닛부는 운전자가 클러치 조작을 할 필요없이 동력 전달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파워 유닛부는 뒷 바퀴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토크 컨버터 기구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좌우 뒷 바퀴로 전달하기 위한 변속 기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파워 유닛부가 이와 같이 배치되면, 운전자는 차량을 즐기기 위한 목적 또는 기타 다양한 목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사륜 차량은 상기 운전석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제1 측부 지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측부 지지 부재는 특히 차량이 선회하여 운전자에 원심력이 부여될 때 운전석에 앉아있는 운전자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그러한 측부 지지 부재는 특히 선회시에 운전자에 보다 큰 원심력을 가하도록 설계된 작은 트랙의 사륜 차량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사륜 차량은 상기 후방 승객석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제2 측부 지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측부 지지 부재는 특히 차량이 선회하여 후방 승객에 큰 원심력이 가해질 때 후방 승객석에 앉아있는 후방 승객을 유리하게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사륜 차량은 상기 후방 승객석의 후방에 제공되는 수납부, 롤 바아(roll bar) 및 루프 지지 포스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 롤 바아 및 루프 지지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측부 지지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측부 지지 부재들은 강성이 큰 부재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측부 지지 부재들은 보다 큰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다. 상기 측부 지지 부재들 자체는 큰 강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측부 지지 부재들은 콤팩트하며, 차량의 외관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사륜 차량은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부 지지 부재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등받이를 추가로 포함한다.
측부 지지 부재를 등받이와 일체로 형성하면 차량의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등받이가 본래 쿠션 역할을 하므로, 측부 지지 부재는 운전자를 지지하는 것에 더하여 쿠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측부 지지 부재에 의해 보다 유리하게 또는 보다 편안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운전석과 상기 후방 승객석은 그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운전석과 상기 후방 승객석은 단일 좌석을 제공하도록 상호 협력하고, 상기 부재는 상기 단일 좌석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다.
그러한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단일 좌석이 운전석과 후방 승객석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운전자용과 승객용의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좌석을 제공할 필요가 전혀 없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는 경량의 콤팩트한 차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청구항1에 따른 사륜 차량은, 상기 후방 승객석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 유닛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앞 바퀴와 상기 뒷 바퀴는 그 최상위 지점 근처를 통해 연장되는 직선을 제공하고, 상기 파워 유닛부는 상기 직선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석을 갖는 차량은 본 발명의 차량과 다른 공지의 사륜 차량보다 양호한 안정성을 갖고 조향될 필요가 있다. 보다 양호한 안정성을 위해서, 차량은 낮은 무게중심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호 밀착 배치되는 무거운 부재를 구비해야 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개선된 안정성으로 운전 또는 조향하도록 무거운 중량의 파워 유닛부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사륜 차량은 상기 후방 승객석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 유닛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파워 유닛부는 전방을 향하는 엔진을 구비한다.
그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석을 갖는 차량은 본 발명의 차량과 다른 공지의 사륜 차량보다 양호한 안정성을 갖고 조향될 필요가 있다. 보다 양호한 안정성을 위해서, 차량은 낮은 무게중심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호 밀착 배치되는 무거운 부재를 구비해야 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개선된 안정성으로 운전 또는 조향하도록 무거운 중량의 파워 유닛부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좌우 앞 바퀴를 갖는 앞 부분, 좌우 뒷 바퀴를 갖는 뒷 부분, 상기 앞 부분에 배치되는 운전석 및 상기 운전석 후방에서 상기 좌우 뒷 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하는 버킷 좌석(bucket seat) 형태의 후방 승객석을 포함하는 사륜 차량이 제공된다.
그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석을 갖는 종래의 사륜 차량에서는, 바람직하지 않게 좌석의 뒷 부분에 앉아있는 승객은 차량이 선회할 때 생성되는 큰 원심력을 받는다. 그러나, 버킷 좌석 형태의 후방 승객석을 갖는 차량에서는, 후방 승객석에 앉아있는 승객은 차량이 선회할 때 최소한의 원심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좌우 앞 바퀴를 갖는 앞 부분, 좌우 뒷 바퀴를 갖는 뒷 부분, 상기 앞 부분에 배치되는 운전석, 상기 운전석 후방에서 상기 좌우 뒷 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하는 후방 승객석, 상기 운전석의 전방에 직립 자세로 배치되는 전방 롤 바아 및 상기 후방 승객석의 후방에 직립 자세로 배치되는 후방 롤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롤 바아와 후방 롤 바아는 그 상단부 근처를 통해 연장되는 직선을 제공하며, 상기 직선의 하부에는 운전자와 후방 승객이 그 안에서 각각 운전석과 후방 승객석에 앉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사륜 차량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운전석에 앉아있는 운전자와 후방 승객석에 앉아있는 후방 승객을 유리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사륜 차량은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등받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운전석에 앉아있는 운전자의 허리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하도록 전방 롤 바아는 후방 롤 바아보다 낮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직선은 후방 롤 바아의 상단부로부터 전방 롤 바아의 상단부로 전방으로 하방 연장된다. 직립 자세에 있을 때, 운전자의 머리는 상기 직선보다 아래에 또는 직선 상에 위치된다. 운전석의 등받이는 운전자의 머리가 상기 직선 아래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들어가도록 낮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오토바이와 거의 동일한 전장 및 상기 전장의 거의 절반인 폭을 갖는 사륜 차량으로서, 좌우 앞 바퀴를 갖는 앞 부분, 좌우 뒷 바퀴를 갖는 뒷 부분, 상기 앞 부분에 배치되는 운전석 및 상기 운전석 후방에서 상기 좌우 뒷 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하는 후방 승객석을 포함하는 사륜 차량이 제공된다.
이렇게 배치된 차량은 오토바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공간에 주차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주차장에 맞게 설계된 사륜 차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사륜 차량(4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차량(400)은 차체(401)를 구비한다. 상기 차체(401)는 그 앞 부분의 좌우 측부에 제공되는 좌우 앞 바퀴(402, 402)와, 그 뒷 부분의 좌우 측부에 제공되는 좌우 뒷 바퀴(403, 403)를 구비한다. 상기 차체(401)의 중앙에는 좌석(seat)(406)이 제공된다. 상기 차체(401)의 앞 부분에는 조향 기구(405)가 제공된다. 상기 조향 기구(405)는 바아 핸들(404)을 구비한다. 상기 차체(401)의 뒷 부분에는 파워 유닛부(407)가 제공된다.
네 바퀴(402, 402, 403, 403)의 각각에는 예를 들어 12인치(30.48cm)의 직경을 갖는 타이어가 구비된다.
상기 좌석(406)은 차체(40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런 형태의 좌석은 종종 "탠덤형 좌석(tandem seat)"으로 지칭된다. 이 좌석(406)은 앞 부분에 제공되는 운전석(411)과 뒷 부분에 제공되는 후방 승객석(412)을 포함한다. 이들 좌석(411, 412)은 앞뒤로(in tandem) 배치된다. 좌석(406)의 중간 부분에는 운전석(411)과 승객석(412)을 규정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된다. 즉, 이 부재는 운전석(411)과 후방 승객석(412) 사이에 배치된다. 이 부재는 예를 들면, 운전석(411)용 등받이(413)이다. 운전석(411)은 승객석(412)과 협력하여 단일 좌석(406)을 제공한다. 운전석(411)의 뒷 부분에 제공되는 등받이(413)는 운전자가 운전석(411)에 앉을 때 운전자의 허리나 엉덩이와 같은 높이를 갖는다.
좌석(406)의 하부에는 낮은 깊이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운전석(411)의 좌우 측부는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운전석(411)의 높이는 승객석(412)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후방 승객석(412)은 운전석(411)보다 약간 높게 위치한다. 이들 좌석(411, 412)은 바퀴(402, 403)의 최상위 지점들 근처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직선(SL1)과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차량(400)은 낮은 무게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객석(412)은 전방을 향하며, 운전석(411)의 후방에서 좌우 뒷 바퀴(403, 403) 사이에 배치된다. 후방 승객석(412)의 좌우 측부에는 좌우 팽출부(414, 414)가 제공된다. 각각의 팽출부(414)는 승객석(412)과 대향하거나 그로부터 멀리있는 그 일 측부(414a)에서 개방되어 있다. 팽출부(414, 414)를 갖는 승객석(412)은 운전석(411)보다 폭이 넓다. 후방 승객석(412)의 좌우측에는 좌우 측부 지지 부재(제2 측부 지지 부재)(415, 415)가 제공된다.
팽출부(414, 414)의 제공은 승객이 승객석(412)에 타거나 내릴 때의 곤란함을 최소로 해줄 수 있다. 또한 두 명의 승객이 승객석(412)에 옆으로 나란히 앉을 수 있다. 아니면, 상기 승객석(412)에는 임의의 커다란 수하물이나 짐이 적재되거나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측부 지지 부재(415, 415)는 후방 승객석(412)의 후방에 배치되는 롤 바아(416)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롤 바아(416)는 직립 위치로 배치되며 차체(401)에 장착된다. 상기 롤 바아(416)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역U자 형상을 갖는다. 롤 바아(416)는 그 좌우 측부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하는 좌우 측부 지지 부재(415, 415)를 갖는다. 롤 바아(416)의 중앙에는 승객용 등받이(417)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이(417)는 롤 바아(416)의 좌우 측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운전석(411)의 길이 또는 거리는 그 전방 단부(411a)에서 운전자용 등받이(413)의 중간부(413a)까지 L21(도2 참조)이다. 승객석(412)의 길이 또는 거리는 중간부(413a)에서 승객용 등받이(417)의 후방 단부(417a)까지 L22이다.
등받이(417)는 뒷 바퀴(403, 403)의 최전방 지점 근처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축간거리(wheelbase, 軸距)(L23) 또는 앞 바퀴(402)와 뒷 바퀴(403) 사이의 거리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400)의 전후 길이 L24를 줄일 수 있다. 도2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길이 L24는 전방 펜더(fender, 흙받이)(437)의 최전방 지점과 후방 펜더(487)의 최후방 지점 사이의 거리로 규정된다.
상기 차체(401)는 운전석(411)의 앞 부분의 좌우 측부에 제공되는 좌우 운전자용 발판(421)(도면에는 좌측 발판만 도시됨)을 갖는다. 각각의 발판(421)은 운전석(411)에 앉아있는 운전자가 자신의 발을 얹는 플로어 역할을 한다. 이들 발판(421, 421)이 제공됨으로써 운전자는 운전석(411)에 걸터앉을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운전자용 발판(421)의 뒤쪽에는 승객용 발판(422)이 배치된다. 이 승객용 발판(422)은 운전자용 발판(421)과 연속된다. 각각의 발판(422)은 승객석(412)에 앉아있는 승객이 자신의 발을 얹는 플로어 역할을 한다. 승객용 발판이 제공됨으로써 승객은 승객석(412)에 걸터앉을 수 있게 된다.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발판(421)은 운전석(411)에 대향하거나 그로부터 먼 그 하나의 측방 에지에 제공되는 돌출 측방 에지부(423)를 갖는다. 우측 발판(421)(도시되지 않음) 또한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돌출 측방 에지부(423)는 상방으로 돌출한다. 평면도로 보았을 때, 좌측 돌출 측방 에지부(423)는 좌측 앞 바퀴(402)와 좌측 뒷 바퀴(403)를 통해 연장되는 좌측 제2 직선(SL2b)보다 차체(401)의 안쪽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평면도로 보았을 때, 우측 돌출 측방 에지부(423)(도시되지 않음)는 우측 앞 바퀴(402)와 우측 뒷 바퀴(403)를 통해 연장되는 우측 제2 직선(SL2a)보다 차체(401)의 안쪽에 위치한다. 즉, 좌우 돌출 측방 에지부는 직선(SL2a, SL2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또는 구역(R)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돌출 측방 에지부들 사이의 간격은 앞 바퀴(402, 402) 사이의 트레드(트랙)(W1)보다 작다.
추가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400)의 앞 부분에는 핸들 포스트(431), 바아 핸들(404), 전방 커버(432), 윈드실드(433), 내측 커버(434) 및 좌우 다리 보호구(435, 435)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 포스트(431)의 상단부에 바아 핸들(404)이 제공된다. 상기 전방 커버(432)는 차체(401)의 앞 부분을 커버한다. 상기 전방 커버(432)의 상부 에지에는 윈드실드(433)가 장착된다. 상기 내측 커버(434)는 전방 커버(432)의 내부에 배치되며 핸들 포스트(431)를 부분적으로 커버한다. 상기 내측 커버(434)의 좌우 측부에는 각각 좌우 다리 보호구(435, 435)가 배치된다(도4a 및 4b 참조). 상기 전방 커버(432)와 윈드실드(433)는 바아 핸들(404)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운전석(411)의 후방 하부에는 보디 커버(436)가 배치된다.
우측 다리 보호구(435)는 우측 전방 펜더(437) 및 전방 커버(43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다리 보호구(435)는 좌측 전방 펜더(437) 및 전방 커버(43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운전석(411)에 앉을 때 운전자의 좌우 무릎이 각각 좌우 다리 보호구(435, 435)로 커버된다.
상기 파워 유닛부(407)는 후방 승객석(412)의 하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워 유닛부(407)는 앞 바퀴(402)와 뒷 바퀴(403)의 최상위 지점 근처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직선(SL1)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파워 유닛부(407)는 유닛 스윙형 파워 유닛(유닛 스윙형 엔진)이며, 뒷 바퀴(403, 403)와 함께 피봇 샤프트(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수직으로 피봇되도록 차체(401)에 현가(suspend)된다. 상기 파워 유닛부(407)의 앞쪽에는 엔진(440)이 배치되고 그 뒷쪽에는 변속 기구(452)가 배치된다. 상기 변속 기구(452)는 엔진(440)의 후방에 위치한다. 그렇게 배치된 파워 유닛부(407)는 콤팩트하고 가볍게 만들어진다. 이는 파워 유닛부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파워 유닛부(407)는 차동 기어를 내장할 수 있으며, 차체(40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파워 유닛부(407)가 피봇하게 될 자유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공간은 어떤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엔진(440)은 125cc의 4행정 엔진이다. 이 엔진(440)은 수평 위치에서 전방을 향하고 있으며, 실린더(441), 실린더 헤드(442) 및 헤드 커버(443)를 구비한다. 파워 유닛부(407)는 차량(440)을 움직이기 위한 동력원을 생성하기 위해 엔진(440) 대신에 전동 모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엔진(440)은 차량(400)의 크기에 적합한 200cc 까지의 배기량을 가질 수도 있다.
파워 유닛부(407)는 추가로 토크 컨버터(토크 컨버터 기구)(451)를 구비한다. 변속 기구(452)는 토크 컨버터(451)로부터의 출력을 뒷 바퀴(403, 403)에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이 출력이 공급되면, 뒷 바퀴가 구동된다. 엔진(440)은 그 우측 단부에 토크 컨버터(451)를 갖는 크랭크샤프트(444)를 구비한다. 상기 크랭크샤프트(444)는 그 좌측 단부에 교류 발전기(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변속 기구(452)는 메인 샤프트(453)와 카운터 샤프트(454)를 갖는다. 파워 유닛부(407)는 출력 샤프트(455)를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453, 454)는 엔진(440)의 엔진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배열된 기어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들 기어는 출력 샤프트(455)가 전달하는 동력을 차축(axle)(456)의 차동 기어에 제공하기 위해 그렇게 감소된 엔진 속도로 회전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440)은 흡기계(460)를 갖는다. 흡기계(460)는 변속 기구(452)의 상부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461)를 갖는다. 상기 에어 클리너(46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에어 클리너(461)의 전방 단부에는 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 클리너(461)의 유출구는 연결 튜브(462), 스로틀 밸브(463) 및 유입 파이프(464)를 통해서 엔진(440)의 흡기구에 연결된다. 상기 흡기구와 유입 파이프(464)중 어느 하나에 연료 분사 장치(465)가 제공된다.
운전석(411)의 하부에는 연료 탱크(471)가 배치된다. 상기 연료 탱크(471)는 운전석(411)의 앞 부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디 커버(436)의 뒷 부분은 승객석(412)의 후방에서 뒷 바퀴(403, 403) 상부에 배치된다. 보디 커버(436)의 뒷 부분은 그 상부에 형성되는 수납부(후방 수납 박스)(472)를 갖는다. 상기 수납부(472)의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이 수납부(472)의 개구는 뚜껑(lid) 역할을 하는 데크(473)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수납부(472)는 등받이(417)의 바로 뒤에 위치한다. 데크(473)는 평탄한 판재이다. 데크(473)는 등받이(417) 근처에 배치되는 힌지(474)를 갖는다. 데크(473)는 수납부(472)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힌지(474) 상에서 수직으로 피봇될 수 있다. 데크(473)는 키이(475)로 로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납부(472)의 개구가 폐쇄 유지된다.
전방 커버(432)는 그 우측 에지로부터 우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팽출되는 우측 전방 펜더(437) 및 그 좌측 에지로부터 좌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팽출되는 좌측 전방 펜더(437)를 구비한다. 우측 전방 펜더(437)의 상부에는 우측 방향 지시등(481)이 형성된다. 좌측 전방 펜더(437)의 상부에는 좌측 방향 지시등(481)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482는 헤드램프를 지칭하고, 483은 사이드 미러를, 484는 탱크(471)에 급유 또는 공급될 연료를 취하기 위한 급유구를, 485는 엔진(440)용 배기관을, 486은 머플러(소음기)를 지칭한다. 차체(401)는 좌우 후방 펜더(도면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며 487로 지칭됨)를 구비한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커버(434)는 전방 수납 박스(491)를 구비한다. 전방 수납 박스(491)의 뒷 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전방 수납 박스(491)의 개구는 뚜껑(49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내측 커버(434), 전방 수납 박스(491) 및 뚜껑(492)은 예를 들면 경질 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차량(400)의 정면에 충돌 에너지가 작용되면, 운전석(411)에 앉아있는 운전자(M11)는 도4a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운전자(M11)의 무릎(Kn)(도면에는 한 쪽 무릎만 도시되었음)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수납 박스(491) 또는 뚜껑(492)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M11)가 더 이상 앞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변형예의 사륜 차량(400)을 도시한다. 변형예의 사륜 차량(400)은 그 좌우측에 각각 좌우 측부 지지 부재(제1 측부 지지 부재)(418, 418)를 갖는 운전석(411)을 구비한다. 상기 측부 지지 부재(418, 418)는 운전석(411)의 뒷 부분에 제공되는 등받이(413)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6 및 도7에는 다른 변형예의 사륜 차량(400)이 도시되어 있다. 차량(400)은 그 전방에 전방 롤 바아(501)가 제공되는 운전석(411)을 구비한다. 롤 바아(501)는 직립 자세로 배치된다. 차량(400)은 상기 운전석(411)의 후방에 배치되는 승객석(412)을 구비한다. 상기 승객석(412)의 후방에는 후방 롤 바아(503)가 배치된다. 상기 롤 바아(503)는 직립 자세로 배치된다. 상기 전방 롤 바아(501) 및 후방 롤 바아(503)의 상단부(502, 504)는 그 근처를 통해 연장되는 제3 직선(SL3)을 제공한다. 운전석(411)에 앉아있는 운전자(M11) 및 승객석(412)에 앉아있는 후방 승객(M12)은 상기 제3 직선(SL3)의 아래에 형성되는 공간 Sp 안에 위치된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사륜 차량(400)은 앞뒤로 앉아있는 운전자(M11)와 승객(M12)을 보다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차량(400)은 그 전방에 롤 바아(501)가 제공된 차체(401)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 롤 바아(501)는 내측 커버(434)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롤 바아(501)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역U자 형상을 갖는다. 차체(401)의 후방에는 롤 바아(503)가 제공된다. 상기 후방 롤 바아(503)는 보디 커버(43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승객석(412)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후방 롤 바아(503)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역U자 형상을 갖는다. 이들 롤 바아(501, 503)는 큰 강성을 갖는다.
롤 바아(501)의 높이는 상단부(502)가 운전자(M11)의 전방 시야를 차단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상단부(504)는 승객석(412)에 앉아있는 승객(M12)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공간(Sp) 내에서 운전석(411)의 뒷 부분 위에는 등받이(505)가 위치된다. 상기 등받이(505)는 운전자(M11)의 허리(Wa)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전방 롤 바아(501)가 후방 롤 바아(503)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제3 직선(SL3)은 상단부(504) 근처에서 상단부(502) 근처까지 전방으로 하향 연장된다. 제3 직선(SL3)은 공간(Sp) 내에 위치하는 운전자(M11)의 머리(Ha)에 접선적으로 또는 머리를 통해서 연장된다. 도6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M11)가 뒤로 기운 자세를 취하여 머리(Ha)를 공간(Sp) 내로 낮추도록 등받이(505)는 낮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운전자(M11)가 자세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게 해준다.
등받이(505)는 운전석(411) 위에 배치되는 수평 연장 바아이다. 등받이(505)는 그 좌우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연장되는 좌우 측부 지지 부재(제1 측부 지지 부재)(506, 506)를 갖는다. 즉, 상기 측부 지지 부재(506, 506)는 운전석(411)의 좌우 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측부 지지 부재(506, 506)는 운전석(411)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운전석(411)과 등받이(505)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운전자(M11)는 운전석(411)에 보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등받이(505)는 측부 지지 부재(506, 506)와 일체로 구성된다. 각각의 측부 지지 부재는 등받이(505)용 스테이(stay: 지지물) 역할을 한다.
후방 롤 바아(503)는 그 좌우 측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측부 지지 부재(제2 측부 지지 부재)(507, 507)를 갖는다. 즉, 측부 지지 부재(507, 507)는 후방 승객석(412)의 좌우 측부에 배치된다. 이들 측부 지지 부재(507, 507)의 앞 부분은 하향 연장되고 그 전방 단부는 차체(401)에 장착된다. 상기 측부 지지 부재(507, 507)는 승객(M12)이 손으로 쥐는 그립(grip)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승객(M12)은 승객석(412)에 보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후방 롤 바아(503)는 그 좌우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등받이(417)를 갖는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400)은 운전자(M11)용 발판(하나만 도시되어 있고 421로 지칭됨)과 상기 발판(421)의 후방에 배치되는 승객(M12)용 발판(하나만 도시되어 있고 422로 지칭됨)을 구비한다. 발판(422)은 발판(421)보다 높이 위치한다. 발판(421)과 발판(422) 각각은 계단 역할을 한다. 발판(421, 421)을 발판(422, 422)보다 낮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석(411)에 앉아있는 운전자(M11)는 다리(하나만 도시되어 있고 Le로 지칭됨)를 전방 하측으로 뻗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M11)는 운전석(411)에 보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다리(Le)를 전방 하측으로 뻗으므로 인해, 운전자(M11)는 차량(400)의 정면에 충돌 에너지가 작용된 후에라도 차량(400)으로부터 쉽게 내릴 수 있다. 발판(421)이 좌우 앞 바퀴(402, 402) 사이의 공간으로 더 확장된다면 운전자(M11)는 차량(400)으로부터 더 쉽게 내릴 수 있다.
발판(422)이 발판(421)보다 높게 제공됨으로써 승객(M12)은 그 위에 자신의 발을 별 어려움 없이 얹어놓을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롤 바아(501)의 상단부(502)보다 낮게 바아 핸들(404)이 위치된다. 핸들 포스트(431)는 내측 커버(434)의 상부에 형성된 데크 표면(438)의 후방에 위치된다.
전방 수납 박스(491)는 헬멧을 수납하기에 충분히 큰 공간을 갖는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6의 차량(400)의 정면에 충돌 에너지가 작용할 때, 운전석(411)에 앉아있는 운전자(M11)는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 결과, 운전자(M11)는 자신의 전방에 배치된 윈드실드(433)에 부딪히고 그로 인해 윈드실드(433)의 뒤쪽에 하중(load)이 가해진다. 하중이 가해지면, 윈드실드(433)는 전방 커버(432)로부터 분리되도록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M11)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1 및 도2의 차량(400)의 승객용 등받이(417), 수납부(472) 및 데크(473)의 다양한 이용에 대해 도9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473)가 개방된 위치에 있음으로써 수납부(472)의 개구가 개방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수납부(472)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수가 담긴 화분과 같은 긴 물체(G1)를 수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체(G1)는 그 하반부가 수납부(472)에 수납된다. 상기 물체(G1)의 상반부는 공기에 노출되도록 수납부(47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수납부(472)에 물체(G1)가 적재될 수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473)에는 백과 같은 짐 또는 수하물(G2)이 적재된다. 등받이(417)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511) 상에서 전후로 피봇하도록 차체(401)에 장착된다. 등받이(417)는 로크 핀(512)의 제거에 의해 수평 위치로 전방 피봇될 수 있다. 수평 위치에서, 등받이(417)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석(412) 위에 놓인다. 등받이(417)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위치로 다시 피봇될 때 승객석(412)의 등받이로서의 역할을 한다.
수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승객석(412)의 등받이(417)는 어떤 물체가 적재되는 표면을 제공하도록 데크(473)와 연속하는 뒷면(419)을 갖는다. 그러한 적재 표면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물체(G3)도 적재될 수 있도록 크기나 면적이 크다.
차량(400)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옵션 품목(521 내지 526)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등받이(413)는 운전자가 운전석(411)에 보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팔걸이(521)를 갖는 등받이(522)로 대체된다. 상기 팔걸이(521)는 도면에서는 운전석(411)의 우측에만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운전석(411)의 좌우 측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제공될 수 있다. 팔걸이(521)는 측부 지지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차량(400)은 어린이가 발을 얹을 수 있도록 그 좌우 측부에 각각 좌우 측부 패널(523, 523)을 구비할 수도 있다.
데크(473)는 배달물을 수납하기 위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하물 박스(524)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데크(473)는 늘어난 양의 수하물을 적재하기 위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대형 캐리어(525)를 구비할 수도 있다.
차량(400)은 더 많은 양의 물체를 적재하기 위해 그 뒷 부분에 연결되는 트레일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15 내지 도18에는 차량(400)의 다양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5는 도1의 차량(400)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체(401)의 앞 부분은, 좌우 방향 지시등(481, 481)이 각각 좌우 측부 미러(483, 483)에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변형된다. 또한, 운전자용 발판(421)은 후방 승객용 발판(422)보다 낮게 위치된다. 이들 발판은 계단 역할을 한다.
도16은 도15의 차량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400)의 앞 부분이 전체적으로 라운드 처리되었다. 방향 지시등(481, 481)은 도15에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헤드램프(482)는 구조가 변경된다. 등받이(417)는 구조가 변경된다.
도17은 도1의 차량(40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체(401)의 앞 부분은 각각의 전방 펜더(437)가 전방 커버(432)로부터 분리 제공되도록 변형된다. 후방 승객석(412)은 버킷 좌석으로 변형된다.
승객석(412)의 뒷 부분에 위치한 등받이(417)는 그 좌우 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라운드 형상의 좌우 측부 지지체(제2 측부 지지 부재)(528, 528)를 갖는다. 즉, 측부 지지체(528, 528)는 후방 승객석(412)의 좌우 측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승객석(412)에 앉아있는 승객은 제한된 거리만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탠덤형 좌석"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이 좌석의 뒤쪽에 앉는 승객은 차량이 선회할 때 불가피하게 더 큰 원심력을 받는다. 그러나, 차량(400)에서, 승객석(412)에 앉아있는 승객은 차량(400)이 선회할 때 최소한의 원심력을 받는다. 이는 승객석(412)이 버킷 좌석이기 때문이다.
도18은 도17의 차량(40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체(401)의 앞 부분이 전체적으로 라운드 처리되었다. 그러한 라운드형 구조의 앞 부분의 좌우측에는 좌우 헤드램프(482, 482)가 배치된다. 각각의 헤드램프(482)에는 방향 지시등(481)이 합체된다. 등받이(417)의 구조가 변형된다.
도19a 및 도19c에는 도1의 차량(400)이 도시되어 있다. 도19b는 차량(40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19d 및 도19e는 차량(400)과 비교될 수 있는 차량을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9a는 차량(400)의 정면도이다. 도19b는 변형된 차량(400)의 정면도이다. 도19c는 차량(400)의 평면도이다. 도19d는 제1 오토바이(531)의 평면도이다. 도19e는 제2 오토바이(532)의 평면도이다.
도19a 및 도19b의 각각의 차량은 동일한 트레드 W1과 폭 W2(대략 1100mm)를 갖는다. 도19b의 변형된 차량(400)은 높이 Hi(대략 1700mm)를 갖는다. 도19c의 차량(400)은 축간거리 L23(대략 1700mm)과 전장 L24(대략 2200mm)를 갖는다.
제1 및 제2 오토바이(531, 532)는 공지된 형태의 것이다. 제1 오토바이(531)는 폭 W3(대략 730mm)과 전장 L31(대략 2200mm)을 갖는다. 제2 오토바이(532)는 폭 W4(대략 960mm)와 전장 L41(대략 2020mm)을 갖는다.
길이 L24는 길이 L31, L41과 거의 동일하다. 폭 W2는 길이 L24의 거의 절반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L24는 전방 펜더(437)의 최전방 지점(402a 또는 402b)과 후방 펜더(487)의 최후방 지점(403a 또는 403b) 사이의 거리이다. 폭 W2는 도19a 및 도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앞 바퀴(402)의 최외측 지점(402c)과 좌측 앞 바퀴(402)의 최외측 지점(402d)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차량(400)은 오토바이(531, 532)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공간에 주차될 수 있다. 즉, 사륜 차량(400)은 기존의 주차장에 매치되는 크기를 갖는다.
도20 및 도21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륜 차량(550)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차량(550)의 부재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첨부되며,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550)은 윈드실드(433)와 연속하는 루프 부재(552)를 갖는다. 상기 루프 부재(552)는 운전석(411) 및 후방 승객석(412)의 위로 연장된다. 즉, 루프 부재(552)는 운전석과 후방 승객석(412)의 위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550)은 그 앞 부분에 제공되는 전방 커버(432)를 갖는 차체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 커버(432)는 그 상부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연장되는 좌우 전방 필러(pillar)(루프 지지 포스트)(551, 551)를 갖는다. 상기 루프 부재(552)는 필러(551, 551)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거의 평탄한 판재이다. 롤 바아(416)는 그 상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좌우 후방 필러(루프 지지 포스트)(553, 553)를 갖는다. 상기 후방 필러(553, 553)의 상단부가 루프 부재(552)의 후방 단부 근처에 장착된다. 상기 전방 필러(551, 551)와 후방 필러(553, 553)가 루프 부재(552)를 지지한다.
윈드실드(433)는 좌우 전방 필러(551, 551) 사이에 제공된다. 루프 부재(552)의 후방 단부는 승객용 등받이(417)의 뒤쪽에 위치된다. 상기 루프 부재(552)는 차량(550)의 전체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갖는다. 차량(550)의 좌우 측부는 운전자 또는 승객이 차량(550)에 자유롭게 타고 내리도록 개방되어 있다.
운전석(411)의 앞쪽은 윈드실드(433)로 커버된다. 운전석(411)과 후방 승객석(412)의 위쪽은 루프 부재(552)로 커버된다. 도면부호 554는 와이퍼를 지칭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승객과 운전자를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배치는 승객석(412)에 적재된 수하물이 비 등으로부터 보호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그렇게 배치된 차량(400)은 상업적인 상품의 운반 및 판매용 상품의 진열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차량(550)이 그 좌우 측부에서 개방되어 있으므로, 타거나 내리는 것이 용이하다. 루프 부재(552)는 승객이 차량을 타고 내리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차량(550)은 그 좌우 측부를 커버하기 위한 착탈가능한 커튼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차량(550)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550)은 다양한 옵션품목(561 내지 564)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550)은 그 좌우 측부를 커버하기 위한 착탈가능한 커튼(561, 561)(하나만 도시됨)을 추가로 구비한다. 따라서 각 좌석(411, 412)의 좌우 측부를 커버할 수 있다. 커튼을 제공함으로써 좌석(411, 412)에 앉아있는 운전자와 승객이 보다 효과적으로 비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차량(550)은 사용 목적에 따라 그 좌우 측부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전방 필러(551)에는 운전자를 강풍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바이저(visor)(562)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루프 부재(552)의 좌우 에지(하나만 도시되어 있고 552로 지칭됨)에는 차량(550)의 주위를 흐르는 바람의 스트림을 변경시키기 위한 루프 스포일러(roof spoiler)(563)가 장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차량(550)의 부상(float up)이 방지된다.
필요한 경우, 우측 전방 필러(551)와 우측 후방 필러(553) 사이에 바아(564)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전방 필러(551)와 좌측 후방 필러(553) 사이에 바아(564)가 장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55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바아(564, 564)는 고강성의 파이프이다.
도22는 도20의 차량(550)을 소매상의 배달용 차량으로 변형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22의 차량(550)은 그 뒷 부분의 좌우 측부를 각각 커버하는 좌우 후방 측부 패널(571, 571)을 구비한다. 후방 측부 패널(571, 571)이 제공됨으로써, 운전석(411)의 후방에 대용량의 밀폐 공간(5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572)에는 세탁된 의류와 같은 큰 수하물(573)이 다수 수납되어 청결하게 운반될 수 있다.
도20의 차량(550)의 뒷 부분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점(stall)(575)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운전석(411) 후방에 형성된 공간이 노점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간단한 구조의 노점(575)을 갖는 차량(550)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차량(550)이 루프 부재(552)를 구비하므로, 노점(575)은 비오는 날에도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20의 차량(550)의 뒷 부분은 도23의 것과 다른 노점(577)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운전석(411)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이 노점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간단한 구조의 노점(577)을 갖는 차량(550)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상품 판매를 위한 진열을 가능하게 한다. 차량(550)이 루프 부재(552)를 구비하므로, 노점(577)은 비오는 날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25 내지 도2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륜 차량(600)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차량(600)의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병기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600)은 버킷 좌석 형태의 후방 승객석(412)을 구비한다. 버킷 좌석은 도17의 것과 동일한 구조이며,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5 및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600)은 후방 승객석(4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 유닛부(601)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워 유닛부(601)는 앞 바퀴(402)와 뒷 바퀴(403)의 최상위 지점 근처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직선(SL1)의 아래에 위치한다.
파워 유닛부(601)는 유닛 스윙형 파워 유닛이며, 뒷 바퀴(403, 403)와 함께 피봇 샤프트(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수직으로 피봇되도록 차체(401)에 현가된다. 파워 유닛부(601)의 앞 부분에는 엔진(440)이 제공되고 그 뒷 부분에는 변속 기구(602)가 제공된다.
파워 유닛부(601)에는 차동 기어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파워 유닛부는 차체(40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워 유닛부(601)가 피봇하게 될 자유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공간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엔진(440)은 125cc의 4행정 엔진이며, 후방으로 상향 연장된다.
엔진의 파워 유닛부(601)는 파워 유닛부(407)처럼 토크 컨버터(451)를 구비한다. 토크 컨버터(451)는 변속 기구(602)를 거쳐서 뒷 바퀴(403, 403)로 전달될 출력을 생성한다. 그러한 출력이 공급되면, 뒷 바퀴(403, 403)가 구동된다. 파워 유닛부(601)는 체인(604)을 거쳐서 뒷 바퀴(403, 403)용 차축(456)에 전달될 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출력 샤프트(603)를 구비한다.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600)은 파워 유닛부(601)의 뒷 부분의 상부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461) 및 운전석(411)과 후방 승객석(412)의 아래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611)를 구비한다. 차량(600)은 수납 박스(611)의 아래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471)를 구비한다. 차량(600)은 그 뒷 부분이 후방 승객석(412)의 후방에서 뒷 바퀴(403, 403)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디 커버(436)를 구비한다. 보디 커버(436)의 뒷 부분은 그 상부에 제공되는 수납부(후방 수납 박스)(621)를 갖는다. 상기 수납부(621)의 뒷 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수납부(621)의 개구는 뚜껑(622)에 의해 폐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승객석(412)은 등받이(417)를 구비한다. 상기 수납부(621)는 등받이(417)의 바로 뒤에 형성된다. 등받이(417)는 수납부(612)와 일체로 구성된다. 수납부(621)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수납부(612)의 상부에는 힌지(623)가 장착된다. 뚜껑(622)은 수납부(621)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힌지(623) 상에서 수직으로 피봇할 수 있다. 상기 뚜껑(622)은 수납부(612)의 개구를 폐쇄 유지하는 키이(624)에 의해 로크될 수 있다. 보디 커버(436)의 우측에는 탱크(471)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급유구(631)가 구비된다.
도26 및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411)과 후방 승객석(412)이 좌석(406)을 형성한다. 수납 박스(611)의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좌석(406)은 도27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611)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뚜껑 역할을 한다. 박스(611)와 좌석(406)의 앞 부분의 우측 부분은 힌지(61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좌석(406)은 도27의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612) 상에서 전방으로 및 우측으로 피봇되어 박스(611)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도28은 운전석(411)에 앉아있는 운전자(M11)와 후방 승객석(412)에 좌우로 나란히 앉아있는 좌우 승객(M12, M12)을 도시한다. 도28에서 명백하듯이, 후방 승객석(412)은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을 태우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29 내지 도38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사륜 차량(10)이 도시되어 있다.
도29 및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의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은 2좌석 스쿠터형 사륜 차량이다. 차량(10)의 앞 부분에는 전방 프레임(20)이 제공되며, 그 뒷 부분에는 후방 프레임(30)이 제공된다. 전방 프레임(20)은 좌우 두 개의 앞 바퀴(11, 11)를 구비한다. 후방 프레임(30)은 좌우 두 개의 뒷 바퀴(12, 12)를 구비한다. 전방 프레임(20)과 후방 프레임(30)은 차량(10)을 신장된 상태에서 수축된 상태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화시키도록 상호 협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방 프레임(30)은 차량(10)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해 전방 프레임(20)에 대해 근접 및 이격 이동한다.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은 그 전장이 변경되도록 변화될 수 있는 축간거리를 갖는다.
전방 프레임(20)의 상단부에는 바아 핸들(21) 및 계기판(22)이 배치되고, 그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한 쌍의 좌우 가이드 레일(23, 23)이 연장된다. 전방 프레임(20)은 전방 커버(24)에 의해 둘러싸인다.
후방 프레임(30)은 그 하부에 배치되는 유닛 스윙형 엔진(31), 그 상부에 배치되는 좌석(35), 상기 좌석(35)의 아래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6), 상기 수납 박스(36)의 후방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37) 및 상기 후방 프레임(30)을 둘러싸는 후방 커버(38)를 구비한다. 상기 유닛 스윙형 엔진(31)은 엔진(32)과 (무단 변속장치와 같은) 변속장치(33)를 구비하는 형태의 파워 유닛이다. 엔진(31)은 뒷 바퀴(12, 12)와 함께 피봇될 수 있다. 엔진(32)은 차량(10)을 주행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으로서의 전동 모터로 교체될 수도 있다. 좌석(35)은 운전자가 앉게 될 전방 운전석(35a)과 후방 승객이 앉게 될 후방 승객석(35b)을 포함하는 "탠덤형 좌석"이다.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은 운전석(35a) 위에 제공되는 루프(40)를 갖는다. 상기 루프(40)는 제1 힌지(41) 상에서 차량(10)의 전후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전방 프레임(20)의 좌우 측부에 장착되는 좌우 전방 스테이(좌측 스테이만 도시되어 있으며 42로 지칭됨), 그 전방 하부가 상기 전방 스테이의 스윙 또는 피봇 단부에 장착되는 전방 루프(43), 그 전방 단부가 제2 힌지(44)를 거쳐서 전방 루프(43)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는 후방 루프(45), 상기 후방 루프(45)의 후방 하부에 장착되는 후방 스테이(46) 및 후방 프레임(30)의 후방 상부에 장착된 후방 스테이(46)가 차량(10)의 전후 방향으로 피봇되게 하는 제3 힌지(47)를 포함한다. 차량(10)이 신장된 상태에 있을 때,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40)는 볼록한 곡선 상태가 된다. 제1, 제2 및 제3 힌지(41, 44, 47)는 루프(40)를 후술하듯이 볼록한 곡선 상태에서 보다 볼록한 곡선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만들도록 배치된다.
전방 루프(43)는 전방 커버(24)의 앞 부분으로부터 운전석(35a) 위에 배치된 제2 힌지(44)로 후방으로 상향 연장되는 볼록한 곡선의 긴 부재이다. 전방 루프(43)는 윈드실드 역할을 한다. 후방 루프(45) 역시 제2 힌지(44)로부터 좌석(35) 위로 후방 프레임(30)의 후방 상부로 후방으로 하향 연장되는 볼록한 곡선의 긴 부재이다. 전방 및 후방 루프(43, 45)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힌지(41, 44, 47)는 루프(40)를 보다 볼록한 곡선 상태로 구부릴 수 있는 경질 고무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13은 헤드램프를 지칭하고, 14는 후방 승객용 스텝을, 15는 후방 그립을, 16은 전방 펜더를, 그리고 17은 후방 펜더를 지칭한다.
도31을 참조하면, 후방 프레임(30)은 전방 프레임(20)에 대해 근접 및 이격 이동하도록 좌우 가이드 레일(하나만 도시되어 있고 23으로 지칭됨)에 장착된다. 이로 인해 후방 프레임(30)은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화살표 a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좌우 가이드 레일(23)은 또한 운전석(35a)에 앉은 운전자가 발을 얹어놓는 스텝 역할을 한다. 가이드 레일(23)이 레일겸 발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발을 얹어놓을 수 있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발판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이로 인해 차량(10)의 부품 개수가 절감된다.
좌우 가이드 레일(23)은 전방 프레임(20)의 후방 단부 근처에 배치되는 전방 스토퍼(25)를 갖는다. 좌우 가이드 레일(23, 23)은 그 후방 단부에 배치되는 후방 스토퍼(26)를 갖는다. 후방 프레임(30)은 그 하부에 네 개의 슬라이더(39)(도면에는 두 개가 도시됨)를 갖는다. 이들 네 개의 슬라이더 중에, 두 개는 좌측 가이드 레일(23) 상에 전후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두 개의 슬라이더(39, 39)는 우측 가이드 레일(23) 상에 전후로 배치된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두 개의 슬라이더는 "전방 및 후방 슬라이더(39, 39)"로 지칭된다. 후방 슬라이더(39, 39)중 하나에는 슬라이드 로킹 장치(50)가 제공된다. 이 슬라이드 로킹 장치(50)는 슬라이더(39)의 이동을 방지한다.
도32와 도33을 참조한다. 가이드 레일(23)은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L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슬라이더(39)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홈(39a)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23)은 슬라이더(39)가 그것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상기 홈(39a)에 끼워진다. 슬라이더(39)는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9)의 하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의 폭은 상기 홈(39a)의 폭보다 작다. 상기 개구와 홈(39a)은 도3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T자 형상을 만들어낸다.
슬라이드 로킹 장치(50)는 가이드 레일(23)의 상면에 형성된 로크 리세스(23a), 슬라이더(39)의 상면에 장착된 케이스(51), 수직 이동하여 상기 로크 리세스(23a)와 결합 및 결합해제되도록 상기 케이스(51)에 수용되는 로크 핀(52), 상기 로크 핀(52)을 로크 리세스(23a)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53), 상기 압축 스프링(5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로크 핀(52)을 로크 리세스(23a)와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키는 로크해제 레버(54) 및 상기 로크해제 레버(54)를 피봇 또는 스윙 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55)를 포함한다. 상기 로크해제 레버(54)는 와이어 케이블(56)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로크해제 레버(54)를 화살표 a2 방향으로 피봇 조작하면 로크 핀(52)은 화살표 a3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리세스(23a)와의 결합에서 벗어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56)의 다른 단부는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테이(42)용 스윙 로킹 장치(60)에 연결된다. 스윙 로킹 장치(60)는 전방 스테이(42)가 앞뒤로 피봇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스윙 로킹 장치(60)는 제1 힌지(41)의 힌지 핀(41a)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에서 전방 스테이(42)에 형성되는 로크 구멍(42a), 제1 힌지(41)의 힌지 판(41b)의 측면에 장착되는 케이스(61), 상기 로크 구멍(42a)과 결합 및 결합해제되도록 이동하는 방식으로 케이스(61)에 수용되는 로크 핀(62) 및 상기 로크 핀(62)을 로크 구멍(42a)쪽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63)을 구비한다. 로크 핀(62)의 후방 단부는 와이어 케이블(56)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로크해제 레버(54)를 화살표 a2 방향으로 피봇 조작하면 로크 핀(62)은 화살표 34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구멍(42a)과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35를 참조하면, 운전석(35a)은 힌지(71)상에서 피봇하여 수납 박스(36)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도록 수납 박스(36)에 장착된다. 운전석(35a)이 박스(36)의 개구를 개방하도록 화살표 35 방향으로 피봇될 때, 헬멧 박스 등을 수납 박스(36)에 집어넣거나 꺼낼 수 있다. 상기 힌지(71)는 수납 박스(36)의 전방 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운전석(35a)은 후방 프레임(30)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 프레임(20)을 향하여 돌출하는 전방 단부(35c)를 갖는다. 전방 프레임(20)은 그 후방 단부에 격납 리세스(72)를 갖는다. 격납 리세스(72)는 전방 단부(35c)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방 프레임(30)이 화살표 a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하여 전방 프레임(20)에 근접하면,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부(35c)가 격납 리세스(72b)에 진입하여 운전석(35a)을 폐쇄된 상태로 로크시킨다. 운전석(35a)이 "폐쇄된 상태"에 있으면, 전방 단부(35c)는 격납 리세스(72)에 수용된다. 운전석이 폐쇄된 상태에 있으므로, 운전석(35a)은 피봇 또는 스윙 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이 수축된 상태가 되면, 운전석(35a)은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에 자동으로 로크된다. 운전석(35a)이 폐쇄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수납 박스(36)의 개구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운전석(35a)을 폐쇄 상태로 로크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용 로킹 기구가 필요하지 않다.
도30, 도32 및 도34를 참조한다.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이 수축 상태로부터, 운전자가 차량(10)을 운전하도록 운전석(35a)에 앉을 수 있는 신장 상태로 될 때, 슬라이드 로킹 장치(50)와 스윙 로킹 장치(60)의 각각은 로크 상태에 있다.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을 수축시키기 위해, 로크해제 레버(54)를 조작하여 슬라이드 로킹 장치(50)와 스윙 로킹 장치(60)를 로크해제하며, 이후 후방 프레임(30)은 전방 프레임(20)을 향하여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루프(40)는 제1, 제2 및 제3 힌지(41, 44, 47) 상에서 보다 볼록한 곡선 상태로 구부러지며 따라서 차량(10)이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다. 슬라이드 로킹 장치의 레버(54)를 조작하기 위한 로킹 기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수납 박스가 로크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제4 실시예에서의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은 차량(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운전석(35a) 및 상기 운전석(35a)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과 동기적으로 볼록한 곡선 상태와 보다 볼록한 곡선 상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루프(40)를 구비한다.
도38에서, 차량은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상태에 있을 때 그 전장 L1을 갖는다. 한편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상태에 있을 때, 차량은 전장 L2를 갖는다. 전장 L2는 전장 L1보다 훨씬 짧으며, 예를 들면 자동차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전후로 줄지어 주차된 차량(81, 82)이 길이 L3(예를 들면 대략 165cm)(차량(10)의 폭보다 약간 큼)만큼 상호 이격되어 자유 공간 S1이 제공될 때,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은 빈 공간 S1에 다음과 같이 주차될 수 있다.
우선,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은 화살표 a7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되고, 이어서 공간 S1에 진입하기 위해 차량(81, 8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차량(10)은 차량(81, 82)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주차된다. 이어서, 운전자와 승객이 차량(10)에서 내린 후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을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상태로 만든다. 이 때,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은 그 어떤 부분도 도로(83)의 중앙에 대해 차량(81, 82)의 측부(81a, 82a)보다 가깝게 위치하지 않는다. 즉, 차량(10)은 측부(81a, 82a)가 놓이는 평면을 통해서 도로(83)의 중앙 쪽으로 돌출하지 않고 공간 S1에 주차된다. 따라서, 차량(10)은 그러한 좁은 공간 S1에 효과적으로 주차될 수 있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은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35a)과, 상기 운전석(35a) 위에 배치되는 루프(40)를 구비한다. 운전석(35a)은 차량(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루프(40)는 운전석(35a)의 전후 방향 이동에 반응하여 볼록한 곡선 상태와 더 볼록한 곡선 상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운전석(35a)을 차량(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루프(40)가 볼록한 곡선 상태 또는 더 볼록한 곡선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차량(10)은 쉽게 수축 또는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차량(10)은 전장이 짧아지도록 수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10)은 좁은 공간에도 쉽게 주차될 수 있다.
또한, 힌지(41, 44, 47)를 제공함으로써 루프(40)는 운전석(35a)이 차량(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볼록한 곡선 상태 또는 더 볼록한 곡선 상태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루프(40)를 보다 쉽게 구부릴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륜 차량(10)은 바아 핸들(21)을 갖는 조향 기구, 좌우 앞 바퀴(11, 11), 좌우 뒷 바퀴(12, 12), 운전석(35a)의 후방에서 뒷 바퀴(12, 12) 사이에 배치되는 후방 승객석(35b)을 구비한다. 후방 승객석(35b)은 전방을 향한다.
도39는 도29에 도시된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의 루프(4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변형된 루프(40)는 후방 루프(45)의 전방 단부를 전방 루프(43)의 후방 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제2 힌지(94)를 갖는다. 제2 힌지(94)는 제1 및 제3 힌지(41, 47)와 마찬가지로 힌지 핀(94a)을 갖는다. 도39의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은 제2 힌지(94) 외에 다른 부재는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다른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병기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사륜 차량(100)에 대해 도40 내지 도49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4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병기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40 내지 도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서의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2인승 스쿠터식 사륜 차량이다.
차량(100)은 전방 프레임(20) 및 상기 전방 프레임(20)에 고정되는 좌우 전방 스테이(42, 42)를 갖는 루프(40)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루프(40)는 전방 프레임(20)에 장착되는 좌우 전방 스테이(42, 42), 그 전방 하부에서 상기 전방 스테이(42, 42)의 단부에 장착되는 전방 루프(43), 그 전방 단부에서 제2 힌지(94)를 통해서 전방 루프(43)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는 후방 루프(45) 및 그 후방 하부가 후방 프레임(30)의 후방 상부에 장착되는 후방 루프(45)가 차량(10)의 전후 방향으로 피봇하게 하는 제3 힌지(147)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및 제3 힌지(94, 147)는 루프(40)를 볼록한 곡선 상태로부터 더 볼록한 곡선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만들도록 배치된다.
도43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후술될 전동 모터의 회전수 또는 차속을 나타내기 위한 회전 카운터(10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디스플레이(102), 메인 스위치(103) 및 후방 프레임 슬라이딩 동작 스위치(104)를 갖는 계기판(22)을 구비한다.
차량(100)은 그 후방 단부면에 격납 리세스(172)가 형성된 전방 커버(24)를 구비한다. 격납 리세스(172)는 후방 프레임(30)이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방 프레임(20)에 가깝게 이동했을 때 운전석(35a)의 전방 단부(35c)를 수용하여 로크시킨다. 또한, 상기 리세스(172)는 그 안에 물건을 수납할 수도 있다.
도44 및 도45를 참조하면,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은 운전석(35a)에 앉아서 가이드 레일(23)에 발을 올려놓은 운전자(M1) 및 후방 좌석(35b)에 앉아서 후방 승객용 스텝(14)에 발을 올려놓은 승객(M2)을 태우고 주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46 및 도47을 참조하면, 전방 프레임(20)은 좌우 앞 바퀴(11, 11) 사이에 배치되는 전방 서스펜션(111, 111)을 구비하며, 후방 프레임(30)은 좌우 뒷 바퀴(12, 12) 사이에 배치되는 후방 서스펜션(112, 112)을 구비한다.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은 후방 프레임(30)을 차량(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 이동장치(frame shifter)(120), 후방 프레임(3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드 로킹 장치(130), 좌우 가이드 레일(23, 23)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 박스(151) 및 앞 바퀴 차축(152, 152)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전동 모터(153)를 구비하는 사륜 구동 차량이다. 배터리 박스(151)가 좌우 가이드 레일(23, 23)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차량(100)은 낮아진 무게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전동 모터(153)는 앞 바퀴 차축(152)을 통해서 앞 바퀴(11, 11)를 구동한다. 배터리 박스(151)는 전동 모터(15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수납하는 용기이다. 전동 모터(153)는 차량(100)을 주행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의 엔진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차량(100)의 앞쪽에 무거운 모터(153)와 배터리가 제공되므로, 차량(100)의 신장 및 수축을 위한 후방 프레임(30)의 전후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이동장치(120)는 한 쌍의 좌우 액압 실린더(121, 121) 및 액압 실린더(121, 121)용 저장 탱크(122)를 구비한다. 좌우 액압 실린더(121, 121)의 각각은 그 일단부가 전방 프레임(20)에 장착된다. 각 실린더(121)의 다른 단부는 후방 프레임(30)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로킹 장치(130)는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이 운전자가 차량(100)을 운전하기 위해 운전석에 앉을 수 있는 신장 상태에 있을 때 후방 프레임(30)의 위치를 로크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구비한다.
도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이 신장 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드 로킹 장치(130)는 로크된다.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을 수축시키기 위해, 후방 프레임 슬라이딩 동작 스위치(104)(도43 참조)는 슬라이드 로킹 장치(130)를 로크해제하여 액압 실린더(121, 121)를 단축시키도록 작동된다. 이로 인해 후방 프레임(30)은 전방 프레임(20)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후방 프레임(30)의 전방 이동은 루프(40)가 제2 및 제3 힌지(94, 147)에서 구부러져 보다 볼록한 곡선 상태로 되게 만든다. 이로 인해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은 도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의 사용으로 인해 차량(100)을 인력의 필요 없이 덜 번거롭게 신축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차량(100)은 신축이 매우 용이하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제5 실시예에서의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운전석(35a) 및 상기 운전석(35a)의 이동에 반응하여 볼록한 곡선 상태와 더 볼록한 곡선 상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루프(40)를 구비한다.
도49를 참조하면, 전후로 줄지어 주차된 차량(81, 82)이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의 폭보다 약간 큰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자유 공간 S1이 제공될 때,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은 상기 공간 S1 내에 다음과 같이 주차될 수 있다.
우선,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은 공간 S1에 진입하기 위해 차량(81, 8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차량(100)은 차량(81, 82)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주차된다. 이어서, 운전자와 승객이 차량(100)에서 내린 후 상기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을 수축시킨다. 이렇게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은 그 어떤 부분도 도로(83)의 중앙에 대해 차량(81, 82)의 측부(81a, 82a)보다 가깝게 위치하지 않는다. 즉, 수축된 차량(100)은 측부(81a, 82a)가 놓이는 평면을 통해서 도로(83)의 중앙 쪽으로 돌출하지 않고 공간 S1에 주차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100)은 운전자(M1)가 앉게 될 운전석(35a)과, 상기 운전석(35a)의 상부에 배치되는 루프(40)를 구비한다. 운전석은 차량(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루프(40)는 차량(1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운전석(35a)의 이동에 반응하여 볼록한 곡선 상태와 더 볼록한 곡선 상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운전석(35a)이 차량(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운전석(35a)의 위에 배치된 루프(40)는 볼록한 곡선 상태 또는 더 볼록한 곡선 상태로 된다. 따라서, 후방 프레임(30)이 전후로 이동되면 차량이 쉽게 수축 또는 신장될 수 있다. 즉, 차량(100)은 필요에 따라 수축되어 그 전장이 짧아질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차량(100)은 좁은 공간에도 쉽게 주차될 수 있다.
힌지(94, 147)의 제공으로 인해, 루프(40)는 운전석(35a)이 차량(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볼록한 곡선 상태 또는 더 볼록한 곡선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서의 차량(100)은 바아 핸들(21)을 갖는 조향 기구, 좌우 앞 바퀴(11, 11), 좌우 뒷 바퀴(12, 12), 운전석(35a)의 후방에서 상기 좌우 뒷 바퀴(12, 12) 사이에 배치되는 후방 승객석(35b)을 구비한다. 후방 승객석(35b)은 차량(100)의 전방을 향한다.
도50 내지 도56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사륜 차량(200)이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서의 차량(10)의 것들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병기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50 내지 도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은 4인승 전륜구동식 사륜 차량이다. 이 차량(200)은 차체 프레임(차체)(201) 및 상기 차체 프레임(201)의 위에 배치되는 루프(210)를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201)과 루프(210)의 사이에는 차실(캐빈)(213)로 사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차량의 전장이 변경되도록 차실(車室)(213)은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은 그 전장이 가변적임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축간거리를 갖는다.
차체 프레임(201)의 우측에는 두 개의 앞 바퀴 및 뒷 바퀴(202, 203)가 제공되며, 그 좌측에는 두 개의 앞 바퀴 및 뒷 바퀴(202, 203)가 제공된다. 차체 프레임(201)의 앞 부분에는 엔진 룸(205)이 형성된다. 엔진 룸(205)은 후드(보닛)(204)에 의해 개폐된다. 엔진 룸(205) 내에는 엔진(206)이 배치된다. 차체 프레임(201)의 앞 부분의 상부에는 조향 핸들(207)과 조향 칼럼 유닛(208)이 배치된다. 차체 프레임(201)은 커버(209)로 둘러싸인다.
루프(210)는 두 부재, 즉 전방 및 후방 루프(211, 212)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방 루프(211)는 차체 프레임(201)의 앞 부분에 피봇 장착된다. 후방 루프(212)는 차체 프레임(201)의 뒷 부분에 장착된다. 후방 루프(212)는 차량(20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전방 루프(212)는 후방으로 하향 개방된 제1 박스형 부재이다. 차체의 뒷 부분에는 피봇 샤프트 또는 힌지(214)가 제공된다. 전방 루프(211)는 도51의 화살표 b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상향 피봇될 수 있도록 샤프트(214)에 의해 지지된다. 후방 루프(212)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제2 박스형 부재이다. 후방 루프(212)는 도51의 화살표 b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거나 전방 루프(211)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즉, 루프(210)는 전방 루프(211) 및 상기 전방 루프(211)에 끼워질 수 있는 후방 루프(212)를 구비한다. 후방 루프(212)는 차체 프레임(201)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루프(210)는 후방 루프(212)의 이동에 관계없이 차실을 비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전방 루프(211)는 차량(200)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차량(200) 외부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이루어진다.
차실(213)의 앞쪽에는 두 개의 좌우 좌석(승객석(222)과 운전석(221))이 제공되고, 뒤쪽에는 두 개의 좌우 좌석(223, 224)이 제공된다. 좌석(223, 224)은 "후방 좌석(223, 224)"으로 지칭된다. 운전석(221)의 위에 루프(210)가 배치된다. 운전석(221)과 승객석(222) 사이에는 통로(225)가 형성되는 바, 이는 도5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통로(225)를 통해서 승객은 뒷 좌석(223, 224)으로 이동할 수 있다. 뒷 좌석(223, 224)이 제공됨으로써,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은 승객수를 늘릴 수 있다.
엔진(206)은 차량(200)을 주행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의 전동 모터로 교체될 수도 있다. 도50 및 도51에서, 도면부호 231, 231은 헤드램프를 지칭하며, 232, 232는 방향 지시등을 지칭한다.
도52 및 도53에서, 차체 프레임(201)의 하부에는 차량(20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가이드 레일(23, 23)이 구비된다. 후방 루프(212)는 좌우 앞 좌석(221, 222)(또는 운전석(221)과 승객석(222))과 그것에 고정되는 좌우 뒷 좌석(223, 224)을 구비한다. 후방 루프(212)는 차량(200)의 전후 방향으로 전방 루프(211)의 내외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23, 23)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후방 루프(212)의 이동으로 인해 앞 좌석(221, 222)과 뒷 좌석(223, 224)은 차량(2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좌우 가이드 레일(23, 23)의 앞쪽에는 전방 스토퍼(25)가 제공되고, 그 후방 단부에는 후방 스토퍼(26)가 제공된다. 후방 루프(212)는 하부에 네 개의 슬라이더(39)를 갖는다. 이들 네 개의 슬라이더중, 두 개는 우측 가이드 레일(23)에 전후로 배치된다. 나머지 두 개는 좌측 가이드 레일(23)에 전후로 배치된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23)에 장착된 두 개의 슬라이더는 "전방 및 후방 슬라이더"로 지칭된다. 좌우 가이드 레일(23, 23)에 장착된 후방 슬라이더중 하나는 슬라이드 로킹 장치(50)를 갖는다.
가이드 레일 및 슬라이드 로킹 장치(50)는 도32 및 도33에 관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며, 따라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52 및 도53에서,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이 운전자가 차량(200)을 운전하기 위해 운전석(221)에 앉을 수 있는 상태로 신장될 때, 슬라이드 로킹 장치(50)가 로크된다.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을 수축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로킹 장치(50)는 로크해제 레버(54)에 의해 로크해제되어 후방 루프(212)를 도53의 화살표 b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루프(211)내로 전방 이동시킨다. 이렇게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은 도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다. 슬라이드 로킹 장치(50)는 제4 실시예에서 기술된 로킹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제6 실시예에서의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은 차량(2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된 운전석(221) 및 상기 운전석(221)이 차량(2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운전석(221)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후방 루프(212)를 갖는 루프(210)를 구비한다.
운전석(221)은 도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 단부에 절취부(221b)가 형성된 시트 쿠션(221)을 구비한다. 상기 절취부(221b)는 평면도로 보았을 때 대체로 U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배치는 운전석(221)이 화살표 b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시트 쿠션(221a)이 조향 칼럼 유닛(208)을 때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은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상태에서 주행할 때 L11의 전장을 갖는다. 한편 차량(200)이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에서 주차될 때, 차량(200)은 L12의 전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전장 L11은 2.3m 정도이고, 전장 L12는 1.8m 정도이다. 전장 L12는 전장 L11보다 훨씬 짧으며, 예를 들면 자동차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전후로 줄지어 주차된 차량(281, 282)이 차량(200)의 폭보다 약간 큰 거리 L13만큼 상호 이격되어 자유 공간 S2가 제공될 때,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은 다음과 같이 상기 공간 S2내에 주차될 수 있다.
우선, 가상선으로 도시된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은 공간 S2에 진입하기 위해 차량(281, 28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화살표 b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된다. 이후 차량(200)은 차량(281, 282)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주차된다. 운전자가 차량(200)에서 내린 후 차량(200)을 수축시킨다. 이는 수축된 차량(200)의 어떤 부분도 도로(283)의 중앙에 대해 차량(281, 282)의 측부(281a, 282a)보다 가깝게 위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즉, 수축된 상태의 차량(200)은 측부(281a, 282a)가 놓이는 평면을 통해서 도로(283)의 중앙 쪽으로 돌출하지 않고 공간 S2에 주차된다.
도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루프(211)가 후방으로 상향 피봇되면, 차량(200)의 앞쪽과 좌우측이 개방된다. 이 조건에서, 승객(M3)은 개방된 앞쪽과 좌우측을 통해서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에 타거나 내릴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차량(200)을 내릴 때, 승객(M3)은 개방된 앞쪽을 통해서 직접 보도로 내릴 수 있다. 차량(200)의 좌우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는 오목부(201a)가 제공된다. 차량(200)을 타거나 내릴 때, 승객(M3)은 상기 오목부(201a)에 발을 얹고서 개방된 왼쪽 또는 오른쪽을 통과할 수 있다.
전술했듯이,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사륜 차량(200)은 운전자가 앉게 될 운전석(221)과, 운전석(221)의 상부에 배치되는 루프(210)를 구비한다. 운전석(221)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루프(210)는 차량(2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운전석(221)의 이동에 반응하여 운전석(221)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후방 루프(212)를 갖는다.
운전석(221)이 차량(2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운전석(221)의 위에 배치된 루프(210)의 후방 루프(212)는 차량(2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차량(200)이 쉽게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200)은 필요에 따라 수축되어 그 전장이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차량(200)은 좁은 공간에도 주차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200)은 두 개의 루프 절반부(즉, 전방 루프(211) 및 이 전방 루프(211)의 내외로 슬라이딩가능한 후방 루프(212))를 구비한다. 이러한 배치는 루프(210)가 차실 또는 캐빈(cabin)(213)을 후방 루프(212)의 이동에 관계없이 비로부터 보호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차량(200)은 제1 박스형 부재(전방 루프)(211) 및 상기 제1 박스형 부재(211)에 끼워질 수 있는 제2 박스형 부재(후방 루프)(212)를 갖는 루프(21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박스형 부재(211)는 샤프트(214)상에서 후방으로 상향 피봇될 수 있다. 제1 박스형 부재(211)가 후방으로 상향 피봇될 때 차량(200)의 전방이 개방되므로, 승객은 개방된 전방을 쉽게 통과함으로써 차실에 출입할 수 있다.
도57은 도51에 도시된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의 후방 루프(212)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변형된 후방 루프(212)는 후방으로만 개방되는 제2 박스형 부재이다. 즉, 후방 루프(212)는 그 후방에 형성되는 개구(212a)를 갖는다. 루프(212)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후미 게이트(tail gate)(뒷문)(291)를 갖는다. 후미 게이트(291)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개구(212a)가 개방된다. 한편 후미 게이트(291)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개구(212a)가 폐쇄된다. 루프(212)는 후미 게이트(291)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오픈 스테이(292)를 갖는다.
후미 게이트(291)를 화살표 b5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로 상방 피봇시키면 개구(212a)가 개방된다. 변형된 후방 루프(212)의 아래에는 큰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큰 공간은 상기 뒷 좌석을 수용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수납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앞쪽에만 좌석(221, 222)이 제공되는 후방 루프(212)를 구비하는 2인승 사륜 차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57의 차량은 후방 루프(212) 외의 다른 부재에 있어서 도50의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58 내지 도68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사륜 차량(300)이 도시되어 있다. 제6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차량(300)의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병기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58 내지 도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00)은 제6 실시예에서의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200)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2인승 사륜 차량이다.
차량(300)은 차체 프레임(201)과 루프(210)를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201)은 그 앞 부분에 수직으로 피봇 장착되는 전방 루프(311), 그 중앙 부분에 장착되는 중간 루프(312) 및 그 뒷 부분에 장착되는 후방 루프(212)를 갖는다. 후방 루프(212)는 차량(30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다.
상기 전방 루프(311)의 앞 부분은 조향 핸들(207)과 조향 칼럼 유닛(208)의 전방에 위치한다. 전방 루프(311)는 후방으로 상향 연장되어 운전석(221)의 상부에서 종료된다. 전방 루프(311)는 볼록한 곡선 형태이다. 차량(300)은 뒷 부분에 피봇 샤프트(323)가 제공되는 차체를 구비한다. 전방 루프(311)는 피봇 샤프트(323) 상에서 화살표 b6의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중간 루프(312)는 하방,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되는 박스형 부재이다. 중간 루프(312)는 차체 프레임(301)에 고정된다. 후방 루프(212)는 도57의 변형된 후방 루프와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개방되는 박스형 부재이다. 후방 루프(212)는 화살표 b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루프(312)내로 슬라이딩 또는 이동할 수 있다.
루프(210)는 중간 루프(312) 및 상기 중간 루프(312)에 끼워지도록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후방 루프(212)를 갖는다. 이는 후방 루프(212)가 차체 프레임(20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방 루프(311)는 차량(200)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차량(200) 외부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이루어진다.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은 차실(213)을 구비한다. 차실(213)의 앞쪽에는 두 개의 앞 좌석(운전자가 앉을 운전석(221)과 승객석(222))이 제공된다. 이들 좌석은 옆으로 나란히 위치된다. 차량(300)은 운전석(221) 위에 배치되는 루프(210)를 구비한다.
도60 내지 도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은 전방 루프(311)를 개방/폐쇄하기 위한 전방 루프 구동 장치(320), 후방 루프(212)를 차량(3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후방 루프 구동 장치(330) 및 후방 루프(212)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드 로킹 장치(340)를 구비한다.
전방 루프 구동 장치(320)는 전방 루프(311)용 전동 모터(321), 워엄 기어(322)를 거쳐서 루프 전동 모터(321)의 모터 샤프트에 연결되는 피봇 샤프트(323) 및 좌우 액압 실린더(324, 324)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321)는 차체 프레임(201)에 장착된다. 피봇 샤프트(323)는 차체의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액압 실린더(324)의 일 단부는 피봇 샤프트(323)에 고정 장착된다. 각각의 액압 실린더(324)의 다른 단부는 전방 루프(311)의 앞 부분에 연결된다. 각각의 액압 실린더(324, 324)는 전방으로 상향 연장된다. 액압 실린더(324, 324)는 화살표 b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을 갖는다. 피스톤이 최전방 위치로 이동하면 전방 루프(311)는 화살표 b9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상향 이동한다. 전동 모터(321)는 피봇 샤프트(323)를 화살표 b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며, 따라서 전방 루프(311)는 화살표 b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압 실린더(324, 324)와 함께 후방으로 상향 피봇된다.
도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루프 구동 장치(330)는 한 쌍의 좌우 액압 실린더(331, 331)를 구비한다. 액압 실린더(331, 331)의 각각은 그 일 단부가 차체 프레임(201)의 앞 부분에 장착되고 다른 단부는 후방 루프(212)의 뒷 부분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로킹 장치(340)는,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이 운전자가 차량(300)을 구동하기 위해 운전석에 앉을 수 있는 상태로 신장될 때 후방 루프(212)의 위치를 로크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구비한다.
도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칼럼 유닛(208)은 차량(300)의 전후 방향으로 힌지(351) 상에서 피봇하도록 설계된다. 조향 칼럼 유닛(208)은 이 유닛(208)을 직립 위치로 로크하기 위한 스윙 로킹 장치(352)를 구비한다. 상기 스윙 로킹 장치(352)는 고정 핀(353) 및 상기 핀(353)에 후크되거나 걸려서 조향 칼럼 유닛(208)을 직립 위치로 로크시키도록 설계된 로크 아암(354)을 구비한다. 상기 스윙 로킹 장치(352)는 로크 아암(354)을 핀(353)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조작가능한 해제 레버(355)를 구비한다. 로크 아암(354)이 핀(353)으로부터 분리되면 조향 칼럼 유닛(208)은 직립 자세를 벗어난다. 직립 자세를 벗어나면, 조향 칼럼 유닛(208)은 화살표 b1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의 작용에 대하여 도63 내지 도6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M4)와 승객(M5)은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에 탈 수 있다. 운전자와 승객(M4, M5)은 후술하는 단계를 통해서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을 내린다.
우선,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이 정지되고, 그 후 전방 루프(311)가 도64의 화살표 b9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상향 이동된다. 이후 후방 루프(212)가 도65의 화살표 b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차량(300)을 수축된 상태로 만든다. 이후, 전방 루프(311)가 도65의 화살표 b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상향 피봇된다. 후방 루프(212)가 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전방 루프(311)는 상당한 양 또는 거리만큼 피봇될 수 있다. 이후, 조향 칼럼 유닛(208)은 화살표 b1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기울어진다. 그 결과, 차량(300)은 도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이동된 후방 루프(212), 피봇된 전방 루프(311) 및 기울어진 조향 칼럼 유닛(208)을 구비한다. 이렇게 배치된 차량(300)은 그 전방에서 개방된다. 승객(M4, M5)은 개방된 전방을 통과함으로써 차실(213)을 쉽게 나와서 차량(300)을 내릴 수 있다. 이후, 도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칼럼 유닛(208)과 전방 루프(311)는 그 본래 위치로 복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방 루프(311)가 차량(300)의 전방에 가까워지도록 다시 피봇되는 동안 조향 칼럼 유닛(208)은 직립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로 인해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은 수축된 상태로 주차될 수 있다.
도68을 참조한다. 전후로 줄지어 주차된 차량(281, 281)이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의 폭보다 약간 큰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어 자유 공간 S2가 제공될 때, 차량(300)은 다음과 같이 상기 공간 S2 내에 주차될 수 있다.
우선,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은 공간 S2에 진입하기 위해 차량(281, 28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차량(300)은 차량(281, 282)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주차된다. 이어서 운전자가 차량(300)에서 내리고 그 후 상기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을 수축시킨다. 이렇게 수축된 차량(300)은 그 어떤 부분도 도로(283)의 중앙에 대해 차량(281, 282)의 측부(281a, 282a)보다 가깝게 위치하지 않는다. 즉, 차량(300)은 측부(281a, 282a)가 놓이는 평면을 통해서 도로(283)의 중앙 쪽으로 돌출하지 않고 공간 S2에 주차된다. 차량(300)에서 내릴 때, 승객은 개방된 전방을 통해서 도로로 직접 내릴 수 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제7 실시예에서의 루프부착된 신축가능한 차량(300)은 그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운전석(221) 및 상기 운전석(221)의 이동과 동시에 작동 또는 이동가능한 루프(210)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300)은 운전자가 앉게 될 운전석(221)과, 상기 운전석(221)의 상부에 배치되는 루프(210)를 구비한다. 운전석(221)은 차량(3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루프(210)는 운전석(221)과 함께 차량(2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후방 루프를 갖는다.
운전석(221)이 차량(3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운전석(221)의 위에 배치된 후방 루프(212)는 차량(3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차량(300)은 필요에 따라 수축되어 그 전장이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차량(300)은 좁은 공간에도 주차될 수 있게 된다.
차량(300)은 중간 루프(312)를 통해서 서로 연속되는 두 개의 루프 절반부(즉, 전방 및 후방 루프)(211, 212)를 구비한다. 후방 루프(212)는 중간 루프(312)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차실(캐빈)(213)은 후방 루프(212)의 슬라이딩 이동에 관계없이 비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차량(300)의 루프(210)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제1 박스형 부재(전방 루프)(311), 그 중앙에 위치되는 중간 루프(312) 및 제2 박스형 부재(후방 루프)(212)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박스형 부재(212)는 중간 루프(312) 및 제1 박스형 부재(311)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박스형 부재(212)는 중간 루프(312)를 통해서 제1 박스형 부재(311)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박스형 부재(311)는 차체의 뒷 부분에 제공되는 샤프트(323) 상에서 후방으로 상향 피봇하도록 배치된다. 제1 박스형 부재(311)가 피봇 이동되면 승객은 차량의 전방을 쉽게 통과해서 차실(213)을 타고 내리게 된다.
루프(210)는 중간 루프(312)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루프(210)는 그 사이에 중간 루프(312)를 개재시키지 않고서 두 개의 루프 절반부(전방 및 후방 루프)(311, 2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69 내지 도71에는 차량(300)의 후방 루프(212)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69 내지 도71에 도시된 차량은 후방 루프를 제외한 다른 부재에 있어서 차량(300)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부재들은 제7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후방 루프(212)는 아이스크림을 담기 위한 아이스크림 박스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361은 루프(212)에 장착된 도어를 지칭한다. 도어(361)가 개방되면, 아이스크림을 박스(212)로부터 꺼낼 수 있다.
도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루프(212)는 위쪽으로 개방된 캐리어로 변형된다. 그러한 변형된 후방 루프(212)를 갖는 차량(300)은 픽업 트럭으로 지칭된다.
도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루프(212)는 뒤쪽으로 개방되는 수납실로 변형된다. 즉, 수납실 형태를 취하는 후방 루프(212)는 그 뒤쪽에 형성되는 개구(212b)를 갖는다. 후방 루프(212)는 그 좌우 후방 에지에 장착되는 도어(363, 363)를 구비한다. 각각의 도어(363)는 개구(212b)를 개폐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피봇하도록 배치된다.
차량(300)은 도69 내지 도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물건의 배달 또는 운반과 같은 상업적 이용중에 작은 공간에 주차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서 간주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이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사륜 차량을 제공하도록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50 내지 도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을 갖는 차량의 후방 루프는 특히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용도로 변형될 수도 있다.
파워 유닛부(407(601))는 운전석(411) 및 후방 승객석(412)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은 안전 운전으로 이어지는 낮은 무게중심을 갖는 사륜 차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승객이 쉽게 차량을 타고 내릴 수 있고 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배치로 인해, 차량 제조 산업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Claims (24)

  1. 사륜 차량(400, 550, 600)이며,
    바아 핸들(404)을 갖는 조향 기구(405)와,
    좌우 앞 바퀴(402, 402)를 갖는 앞 부분과,
    좌우 뒷 바퀴(403, 403)를 갖는 뒷 부분과,
    상기 앞 부분에 배치되는 운전석(411) 및
    상기 운전석 후방에서 상기 좌우 뒷 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하는 후방 승객석(412)을 포함하는 사륜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은 그 양측에 운전자용 발판(421, 421)이 제공되는 앞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운전석은 운전자가 상기 발판에 발을 얹고 걸터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사륜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각각은 상방 돌출되는 측방 에지(423)를 갖는 사륜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앞 바퀴와 상기 우측 뒷 바퀴는 이들을 통해 연장되는 제1 직선(SL2a)을 제공하고, 상기 좌측 앞 바퀴와 상기 좌측 뒷 바퀴는 이들을 통해 연장되는 제2 직선(SL2b)을 제공하며, 상기 측방 에지는 평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직선과 제2 직선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R) 내에 배치되는 사륜 차량.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용 발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승객용 발판(422, 422)을 추가로 포함하는 사륜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및 상기 후방 승객석은 그 대향측에서 개방되어 있는 사륜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및 상기 후방 승객석은 승객이 걸터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사륜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은 상기 후방 승객석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사륜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승객석은 그 대향측에 상기 운전석보다 큰 폭을 제공하기 위한 팽출부(414, 414)를 갖는 사륜 차량.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핸들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커버(432) 및 윈드실드(433)와, 상기 운전석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는 보디 커버(436)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륜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실드에 연속하여 상기 운전석 및 상기 후방 승객석의 상부에 배치되는 루프 부재(552)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륜 차량.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과 상기 승객석 중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 유닛부(407, 601)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파워 유닛부는 토크 컨버터 기구(451)를 구비하는 사륜 차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유닛부는 뒷 바퀴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토크 컨버터 기구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좌우 뒷 바퀴로 전달하기 위한 변속 기구(452, 602)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륜 차량.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제1 측부 지지 부재(418, 418, 506, 506)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륜 차량.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승객석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제2 측부 지지 부재(415, 415, 507, 507, 528, 528)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륜 차량.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승객석의 후방에 제공되는 수납부(472, 621), 롤 바아(416, 503) 및 루프 지지 포스트(553, 553)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 롤 바아 및 루프 지지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측부 지지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사륜 차량.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부 지지 부재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등받이(413, 505)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륜 차량.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과 상기 후방 승객석은 그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413)를 구비하며, 상기 운전석과 상기 후방 승객석은 단일 좌석을 제공하도록 상호 협력하고, 상기 부재는 상기 단일 좌석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사륜 차량.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승객석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 유닛부(407)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앞 바퀴와 상기 뒷 바퀴는 그 최상위 지점 근처를 통해 연장되는 직선(SL1)을 제공하고, 상기 파워 유닛부는 상기 직선의 하부에 배치되는 사륜 차량.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승객석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 유닛부(407)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파워 유닛부는 전방을 향하는 엔진(440)을 구비하는 사륜 차량.
  21. 사륜 차량(400, 600)이며,
    좌우 앞 바퀴(402, 402)를 갖는 앞 부분과,
    좌우 뒷 바퀴(403, 403)를 갖는 뒷 부분과,
    상기 앞 부분에 배치되는 운전석(411) 및
    상기 운전석 후방에서 상기 좌우 뒷 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하는 버킷 좌석 형태의 후방 승객석(412)을 포함하는 사륜 차량.
  22. 사륜 차량(400)이며,
    좌우 앞 바퀴(402, 402)를 갖는 앞 부분과,
    좌우 뒷 바퀴(403, 403)를 갖는 뒷 부분과,
    상기 앞 부분에 배치되는 운전석(411)과,
    상기 운전석 후방에서 상기 좌우 뒷 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하는 후방 승객석(412)과,
    상기 운전석의 전방에 직립 자세로 배치되는 전방 롤 바아(501) 및
    상기 후방 승객석의 후방에 직립 자세로 배치되는 후방 롤 바아(503)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롤 바아와 후방 롤 바아는 그 상단부(502, 504) 근처를 통해 연장되는 직선(SL3)을 제공하며, 상기 직선의 하부에는 운전자와 후방 승객이 그 안에서 각각 운전석과 후방 승객석에 앉을 수 있는 공간(Sp)이 형성되는 사륜 차량.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등받이(505)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운전석에 앉아있는 운전자의 허리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사륜 차량.
  24. 오토바이와 거의 동일한 전장(L24) 및 상기 전장의 거의 절반인 폭(W2)을 갖는 사륜 차량(400)이며,
    좌우 앞 바퀴(402, 402)를 갖는 앞 부분과,
    좌우 뒷 바퀴(403, 403)를 갖는 뒷 부분과,
    상기 앞 부분에 배치되는 운전석(411) 및
    상기 운전석 후방에서 상기 좌우 뒷 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하는 후방 승객석(412)을 포함하는 사륜 차량.
KR1020057001539A 2002-07-31 2003-07-22 사륜 차량 KR200500265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687A ITTO20020687A1 (it) 2002-07-31 2002-07-31 Veicolo contrattile provvisto di tetto
ITTO2002A000687 2002-07-31
JP2003157359A JP4546045B2 (ja) 2002-07-31 2003-06-02 車両
JPJP-P-2003-00157359 2003-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528A true KR20050026528A (ko) 2005-03-15

Family

ID=3149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539A KR20050026528A (ko) 2002-07-31 2003-07-22 사륜 차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45075B2 (ko)
EP (1) EP1530536B1 (ko)
KR (1) KR20050026528A (ko)
CN (1) CN100402366C (ko)
AU (1) AU2003267815A1 (ko)
BR (1) BR0313134B1 (ko)
TR (1) TR200500256T2 (ko)
TW (1) TWI274006B (ko)
WO (1) WO20040129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58B1 (ko) * 2005-04-25 2007-04-30 주식회사 미래건설 세탁물도어를 포함하는 지능형 도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7117B2 (en) * 2002-06-28 2009-05-05 Integrated Vision, Inc. Vehicle with actively adjustable axle system
AU2005200455B2 (en) * 2004-02-06 2010-10-28 Honda Motor Co., Ltd. A fuel injection system for a saddle ride type four-wheel vehicle
ITMI20042390A1 (it) * 2004-12-15 2005-03-15 Galvano E C S R L Quadriciclo
US7390046B2 (en) 2005-07-12 2008-06-24 Polaris Industries Inc. Adjustable seating assemblies for vehicles
US7588110B2 (en) * 2005-09-01 2009-09-15 Marc Gregory Martino Three-wheeled vehicle with centrally positioned motor and driver's seat
US7624829B2 (en) * 2006-01-20 2009-12-0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addle ridden vehicle fuel tank structure
JP4755505B2 (ja) * 2006-02-27 2011-08-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ポンプの配置構造
JP4215103B2 (ja) * 2007-01-10 2009-01-28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リアスポイラー
US20080217100A1 (en) * 2007-03-08 2008-09-11 Norberto Mario Voltolini Motor vehicle
WO2008115461A2 (en) 2007-03-16 2008-09-25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US7717495B2 (en) * 2007-03-16 2010-05-18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with space utilization
US7871106B2 (en) * 2007-03-16 2011-01-18 Polaris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related to transportability of a vehicle
WO2008115459A1 (en) * 2007-03-16 2008-09-25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having modular components
US8167072B2 (en) * 2007-03-16 2012-05-01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with space utilization
WO2008115463A1 (en) 2007-03-16 2008-09-25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US7845452B2 (en) * 2007-05-16 2010-12-07 Polaris Industries Inc. Drivetrain for an all terrain vehicle
US7896120B2 (en) * 2008-04-02 2011-03-0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mall-sized vehicle with improved drivetrain
US8087694B2 (en) * 2008-04-29 2012-01-03 Jerry and Nadejda Johnson ATV roll bar system
US7806437B2 (en) * 2008-05-05 2010-10-05 Honda Motor Company, Ltd. Roll bar assembly
DE102008022418A1 (de) 2008-05-07 2009-1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itzeinrichtung
ES2388574T3 (es) * 2008-08-08 2012-10-1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Transmisión automática paso a paso para vehículo de tipo de montar en sillín, unidad de accionamiento equipada con la misma, y vehículo de tipo de montar en sillín equipado con la misma
US8936123B2 (en) * 2008-08-08 2015-01-20 Honda Motor Co., Ltd. Vehicle
DE102008046593A1 (de) * 2008-09-10 2010-03-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otorrad
JP5337540B2 (ja) * 2009-03-10 2013-1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カウリング構造
US8640814B2 (en) * 2009-06-15 2014-02-04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FR2947798B1 (fr) * 2009-07-10 2012-11-1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automobile dont les montants avant des cotes d'habitacle sont inclines vers l'avant
IT1397078B1 (it) * 2009-11-23 2012-12-28 Piaggio & C Spa Veicolo a quattro ruote
US20110168468A1 (en) * 2010-01-14 2011-07-14 Mazda Motor Corporation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JP5498812B2 (ja) * 2010-02-18 2014-05-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
CA2717163A1 (en) * 2010-10-07 2012-04-07 Andrew Simon Mynheer Modular electric vehicle
US9027692B2 (en) 2010-11-19 2015-05-12 Honda Motor Co., Ltd. Electric saddled vehicle and driv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DE102011112937A1 (de) * 2011-09-13 2013-03-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und Antriebseinrichtung
US9085335B2 (en) * 2011-10-14 2015-07-21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US8998253B2 (en) 2012-03-30 2015-04-07 Polaris Industries Inc. Folding cab frame
US9187128B2 (en) * 2012-08-23 2015-11-17 John K. Koberstein Hybrid vehicle and conversion kit
US9592782B2 (en) 2012-09-20 2017-03-14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US9623912B2 (en) 2012-09-20 2017-04-18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US9440671B2 (en) 2012-09-20 2016-09-13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FR2998532A1 (fr) * 2012-11-29 2014-05-30 Calo Guillaume Benoit Raymond Bele Chassis modulable voiture motoquad motocycle
JP5441044B1 (ja) * 2013-02-08 2014-03-12 サーチウェア株式会社 小型車両
FR3007343A1 (fr) * 2013-06-25 2014-12-26 Renault Sa Caisson de rangement pour vehicules biplaces en tandem
US20150217663A1 (en) * 2014-01-31 2015-08-06 Kuryakyn Holdings, LLC Motorcycle passenger arm rest
JP6129884B2 (ja) * 2015-01-23 2017-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サイドカバー構造
AU2016265556B2 (en) 2015-05-15 2019-05-02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US9884647B2 (en) 2015-12-10 2018-02-06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GB2545277A (en) * 2015-12-11 2017-06-14 Vukicevic Zivojin Small Electric Car 'S'
US10946922B2 (en) 2017-02-16 2021-03-16 Mattel, Inc. Ride-on toy vehicle configured to tilt and drift
WO2018150108A1 (fr) 2017-02-20 2018-08-23 Franck Guigan Véhicule à géométrie variable
US11046176B2 (en) * 2017-03-21 2021-06-29 Arctic Cat Inc. Off-road utility vehicle
US11014419B2 (en) 2017-03-21 2021-05-25 Arctic Cat Inc. Off-road utility vehicle
US10717474B2 (en) 2017-03-21 2020-07-21 Arctic Cat Inc. Cab and fasteners for vehicle cab
US11110977B2 (en) * 2017-12-19 2021-09-07 Oshkosh Corporation Off-road vehicle
US10960941B2 (en) 2018-01-10 2021-03-30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US10793181B2 (en) 2018-02-13 2020-10-06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WO2019213015A1 (en) * 2018-04-30 2019-11-07 Indigo Technologies, Inc. Articulated vehicles with payload-positioning systems
US10946736B2 (en) 2018-06-05 2021-03-16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US11352092B2 (en) * 2019-03-29 2022-06-07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Vehicle with variable overall length and method for selectively changing the length
US11767060B2 (en) * 2019-04-12 2023-09-26 Textron Innovations Inc. Lightweight vehicle
FR3098459B1 (fr) * 2019-07-09 2021-06-11 Psa Automobiles Sa Siège arrière de véhicule terrestre étroit et fermé, à pièces interchangeables
US11260803B2 (en) 2019-07-26 2022-03-01 Polaris Industries Inc. Audio system for a utility vehicle
US11718240B2 (en) 2019-12-20 2023-08-08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DE102020114696A1 (de) 2020-05-05 2021-11-11 Günter Rood Fahrzeug, insbesondere Leichtfahrzeug
USD937710S1 (en) 2020-07-24 2021-12-07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ES2953379A1 (es) * 2021-06-15 2023-11-10 Liberdade De Movimientos Unipessoal Lda Troticleta
JP2023067220A (ja) * 2021-10-29 2023-05-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5021A (en) * 1944-03-11 1948-01-27 Anthony F Seider Front and rear wheel driven motor vehicle
JPS4115969Y1 (ko) 1964-12-14 1966-07-25
US3776353A (en) * 1971-04-12 1973-12-04 E Roth Three wheeled motor vehicle
US4225183A (en) * 1979-01-11 1980-09-30 Corbin-Gentry, Inc. Motorcycle seat with pivotable armrests for the passenger
US4437535A (en) * 1980-08-29 1984-03-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ree-track motorcycle with cambering main frame
US4466660A (en) * 1982-02-22 1984-08-21 Earl Mabie Movable backrest for tandem seat motorcycles
US4506754A (en) * 1982-08-18 1985-03-2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otorcycle frame with adjustable and compact rider support
CA1173759A (fr) * 1983-03-21 1984-09-04 Pierre M. Ethier Vehicule a trois roues de type moto-motoneige
CA1173758A (fr) * 1983-03-21 1984-09-04 Pierre M. Ethier Vehicules a trois roues avec conducteur et passager rapproches
US4606429A (en) * 1983-04-26 1986-08-1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rive system
US4721178A (en) * 1985-08-08 1988-01-2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ulti-wheeled vehicle
JPS62191276A (ja) * 1986-02-17 1987-08-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用シ−ト
JPH02109774A (ja) * 1988-10-19 1990-04-23 Yamaha Motor Co Ltd 不整地走行車両の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支持構造
US5327989A (en) * 1991-03-20 1994-07-1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our-wheeled buggy
GB2254055B (en) * 1991-03-28 1995-04-05 Bothwell P W Vehicle
BE1005273A7 (nl) * 1991-08-22 1993-06-15 Wauters Ghislain Motorfiets met 4 of 3 wielen. het kantelpunt ligt tussen twee wielen, boven het wegdek.
US5174622A (en) * 1991-10-17 1992-12-29 Gutta Paul J Combination roll cage and cover for all-terrain vehicles
CN2209083Y (zh) * 1994-09-17 1995-10-04 于海生 全封闭双项操纵四轮摩托车
IT1279522B1 (it) * 1995-09-07 1997-12-16 Mario Infante Veicolo a carreggiata ridotta e ad assetto trasversale variabile con incremento di stabilita'in curva
DE19629879A1 (de) * 1996-07-24 1998-01-2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rahmen mit Durchstieg, insbesondere für ein Zweirad
CA2202330A1 (en) * 1997-04-10 1998-10-10 Bombardier Inc. All terrain vehicle
CN2303773Y (zh) * 1997-09-29 1999-01-13 赵荣章 一种新型二轮摩托车
US6131994A (en) * 1997-10-22 2000-10-17 Yates; Paul M. Bicycle saddle
US6068334A (en) * 1997-11-03 2000-05-30 Bonfilio; Paul Motorcycle structure incorporating rumble seat and directional signal lights
US5984356A (en) * 1997-11-05 1999-11-16 Uphaus; Roderick Unibody undercarriage and mounts
US6007150A (en) * 1998-03-08 1999-12-28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Motorcycle seat with adjustable backrest
JP4105276B2 (ja) * 1998-03-19 2008-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ステップ構造
ITMI980828A1 (it) * 1998-04-20 1999-10-20 Antonio Ceccotti Piccolo autoveicolo da citta'
US6270106B1 (en) * 1998-08-04 2001-08-07 Polaris Industries, Inc. All terrain vehicle with full platform style footrest and foot shifted manual transmission
JP4194005B2 (ja) * 1998-12-28 2008-1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停止始動制御装置を搭載した車両
US6203043B1 (en) * 1999-01-22 2001-03-20 James A. Lehman Four-wheel, human powered cycle
JP4394769B2 (ja) * 1999-03-30 2010-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ヘルメット収納装置
TW446664B (en) * 1999-05-25 2001-07-21 Honda Motor Co Ltd Scooter type motorcycle
CA2276648A1 (en) * 1999-06-23 2000-12-23 Bombardier Inc. Improved all terrain vehicle
US6273207B1 (en) * 1999-07-29 2001-08-14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Motorcycle seat
US6293616B1 (en) * 2000-01-10 2001-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odular rail for roof and windshield
JP3788155B2 (ja) * 2000-01-11 2006-06-21 スズキ株式会社 小型車両のエンジンユニット
US6412585B1 (en) * 2000-03-01 2002-07-02 Deanda Daniel Structure for an automobile body and chassis
JP4583541B2 (ja) * 2000-03-09 2010-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AT4357U1 (de) * 2000-06-28 2001-06-25 Avl List Gmbh Einspuriges kraftfahrzeug
US6857499B2 (en) * 2000-11-14 2005-02-22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Transmission and gear position detector for all-terrain vehicle
JP2002165309A (ja) * 2000-11-20 2002-06-07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式四輪自動車
US6755269B1 (en) * 2000-11-21 2004-06-29 American Off-Road Technologies Llc Two person RUV
JP2002302087A (ja) * 2001-04-09 2002-10-15 Yamaha Motor Co Ltd 小型車両のエンジン支持構造
USD480991S1 (en) * 2001-04-17 2003-10-21 Bombardier Inc. All terrain vehicle body
USD485788S1 (en) * 2002-02-23 2004-01-27 Bombardier Inc. Three-wheeled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58B1 (ko) * 2005-04-25 2007-04-30 주식회사 미래건설 세탁물도어를 포함하는 지능형 도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02366C (zh) 2008-07-16
EP1530536B1 (en) 2010-05-19
CN1671591A (zh) 2005-09-21
TW200415063A (en) 2004-08-16
BR0313134A (pt) 2005-07-05
AU2003267815A1 (en) 2004-02-23
TR200500256T2 (tr) 2005-04-21
US20040079561A1 (en) 2004-04-29
BR0313134B1 (pt) 2012-12-11
EP1530536A1 (en) 2005-05-18
TWI274006B (en) 2007-02-21
US7445075B2 (en) 2008-11-04
WO2004012985A1 (en)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6528A (ko) 사륜 차량
US4217970A (en) Configuration and construction of four wheeled motor vehicles
JPH0519275Y2 (ko)
US7748728B2 (en) Kid cab trike
US5312126A (en) Portable golf cart and riding apparatus
US7543836B2 (en) Flip-down footrest for an all-terrain vehicle
US5388660A (en) Motor bicycle
JP4546045B2 (ja) 車両
JP2001505157A (ja) 原動機駆動の3輪自動車
US4229018A (en) Torsionally resilient structure for a sidecar
US20040222679A1 (en) Motorcycle seat structure
JP2012502843A (ja) 人及び/又は荷物を運搬するための動力化された二輪車又は三輪車
JP2004330984A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JP3142736U (ja) 電動3人乗り3輪自転車
JP3324222B2 (ja) 自動二輪車の物品収納構造
JPH0541987Y2 (ko)
JP2020147154A (ja) ラゲッジライト構造
JP3691143B2 (ja) 鞍乗り型車両の荷台装置
JPH0471746B2 (ko)
JP2664308B2 (ja) 四輪立ち乗りゴルフカート
JPH0352395B2 (ko)
CN201092368Y (zh) 箱式折叠车
AU4742199A (en) Cee bike
JPH03132486A (ja) 二・三輪車の後部トランク構造
JPH0342388A (ja) 走行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