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229A - 밸브 코어 - Google Patents

밸브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229A
KR20050005229A KR1020030064022A KR20030064022A KR20050005229A KR 20050005229 A KR20050005229 A KR 20050005229A KR 1020030064022 A KR1020030064022 A KR 1020030064022A KR 20030064022 A KR20030064022 A KR 20030064022A KR 20050005229 A KR20050005229 A KR 20050005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ealing member
movable shaft
main body
valv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652B1 (ko
Inventor
가유카와히사시
Original Assignee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3584Inflatable article [e.g., tire filling chuck and/or stem]
    • Y10T137/3786Removable valve head and seat unit [valve ins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504Removable valve head and seat unit
    • Y10T137/7613Threaded into valve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10T137/7929Spring coaxial with valve
    • Y10T137/7931Spring in inlet

Abstract

종래의 밸브 코어보다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는 밸브 코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밸브 코어에서는, 코어 본체의 선단 개구와 마개부의 간극을 실링하는 내측 실링부(34)와, 코어 본체의 외면과 코어 장착 구멍의 내벽(스템측 테이퍼부)과의 간극을 실링하는 외측 실링부가, 통형 실링 부재에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밸브 코어에 비해 시일 부품의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게다가, 코어 본체측에 통형 실링 부재를 끼워맞춤 장착했으므로, 가동 샤프트로부터 시일 누름용 부품을 없앨 수 있어, 가동 샤프트의 구조 간소화 및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 코어{VALVE CORE}
본 발명은, 밸브 코어에 관한 것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2-340206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밸브 코어(1)는, 코어 본체(2)에 삽입 통과한 가동 샤프트(3)의 일단측에 원판형상의 고무 마개(4)를 고정하여 구비하고, 코어 본체(2)내에 수용한 압축 코일 스프링(5)으로 가동 샤프트(3)를 일방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항상 고무 마개(4)를 코어 본체(2)의 선단 개구(8)의 가장자리부에 세게 누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코어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과의 간극을 막기 위한 실링재(6)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밸브 코어는 코스트 경쟁이 진행되고 있고, 상기한 종래의 밸브 코어(1)보다 부품점수를 삭감하여, 저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 밸브 코어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밸브 코어보다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는 밸브 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밸브 코어를 코어 장착구멍에 장착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는 밸브 코어가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밸브 코어의 측단면도,
도 4는 밸브 코어의 평면도,
도 5는 통형 실링 부재의 측단면도,
도 6은 제 2 실시예의 밸브 코어의 측단면도,
도 7은 변형예 1의 측단면도,
도 8은 변형예 2의 측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밸브 코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밸브 코어에 의하면, 코어 본체의 선단 개구와 마개부와의 간극을 실링하는 내측 실링부와, 코어 본체의 외면과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과의 간극을 실링하는 외측 실링부가, 통형 실링 부재에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밸브 코어에 비해 실링 부품의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게다가, 통형 실링 부재는, 코어 본체측에 끼워맞춤 장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가동 샤프트에 고무 마개를 설치한 것에 비해, 가동 샤프트의 구조의 간소화 및 부품점수의 삭감이 도모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코어 본체와, 가동 샤프트와, 통형 실링 부재와,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밸브 코어에 의하면, 통형 실링 부재에서의 내측 실링부를, 코어 본체의 일단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내측 실링부가, 코어 장착구멍중 밸브 코어보다 안쪽에 충전된 압축 유체의 압력을 받아서 마개부측에 세게 눌려져, 실링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본 발명의 밸브 코어에 의하면, 통형 실링 부재를 코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 장착함으로써 밸브 코어를 코어 장착구멍에 밀어 넣었을 때에, 통형 실링 부재가 코어 본체에 대해 회전하여, 코어 장착구멍의 내면과의 미끄럼 접촉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가동 샤프트와 코어 본체에 설치한 맞닿음 위치결정부의 서로의 맞닿음에 의해, 마개부가 내측 실링부에 과도하게 눌리는 것이 규제되어, 실링성이 안정된다.
또, 본 발명의 밸브 코어에 의하면, 가동 샤프트측에 설치한 맞닿음 테이퍼부와, 코어 본체에 설치한 맞닿음 에지부를 서로 맞닿게 하여, 코어 본체의 선단 개구를 밀폐하는 메탈실링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메탈실링과 통형 실링 부재에 의한 실링의 2중 실링 구조로 되어, 실링 성능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밸브 코어에 의하면, 밸브 코어를 코어 장착구멍에 삽입했을 때에, 코어 본체에 설치한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가,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에 부딪쳐, 그 이상 밸브 코어가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외측 실링부가,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에 과도하게 눌리는 일이 없게 되어, 실링성이 안정된다.
또, 가압 수단으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이, 코어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코어 본체의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의 삭감이 도모된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부호 50은, 밸브 스템으로서, 동도의 상하 방향으로 뻗은 관형상을 이루며, 이 밸브 스템(50)의 내측에 구비한 코어 장착구멍(52)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타이어의 내부공간에 연달아 통하여 있다. 그리고, 코어 장착구멍(52)중 동도의 상방측을 향해서 개방된 장입구(53)로부터 타이어내에 압축공기가 장입된다.
코어 장착구멍(52)중 장입구(53)근처 위치에는 암나사부(57)가 형성되고, 그 암나사부(57)로부터 안쪽에는, 암나사부(57)보다 내경이 작은 직경축소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암나사부(57)와 직경축소부(54) 사이에는, 직경축소부(54)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내경이 작아진 스템측 테이퍼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밸브 코어(10)가, 장입구(53)로부터 코어 장착구멍(52)내에 삽입되어서, 암나사부(57)에 나사결합 고정되어 있다.
밸브 코어(10)는, 도 3에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으며, 코어 본체(11)와 가동 샤프트(20)와 통형 실링 부재(30)와 압축 코일 스프링(29) 4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코어 본체(11)는, 예를 들면, 밸브 스템(50)과는 경도가 다른 금속으로 구성되고, 코어 장착구멍(52)으로의 삽입 방향의 선단측이 끝이 가늘게 된 통형상을 이루고, 내측에 축심 구멍(13)을 구비한다. 코어 본체(11)의 기단부에는, 축심구멍(13)의 기단 개구(27)를 넘어 걸치도록 하여 브리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브리지부(14)의 폭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심 구멍(13)의 기단 개구(27)의 내경보다 좁으므로, 기단 개구(27)의 일부는 상방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또, 기단 개구(27)중 브리지부(14)에 덮힌 부분은, 브리지부(14)의 하방 공간을 통하여 코어 장착구멍(52)에 개방되어 있다.
코어 본체(11)의 통형부분의 기단부와 브리지부(14)에는, 수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나사부(12)가 밸브 스템(50)의 암나사부(57)에 나사결합한다.
코어 본체(11)의 선단부에는, 코어 본체(11)의 전체보다 외경이 작은 통형상의 실링 부재 끼워맞춤부(19)가 형성되고, 실링 부재 끼워맞춤부(19)의 선단에는, 축심 구멍(13)이 선단 개구(28)로 되어서 개방되어 있다. 이 실링 부재 끼워맞춤부(19)의 선단부에는,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외측으로 밀고 나온 화살촉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실링 부재 끼워맞춤부(19)의 선단면(19A)은, 코어 본체(11)의 축방향과 직교해 있고, 이 선단면(19A)과 축심 구멍(13)의 내주면이 직각으로 교차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맞닿음 에지부(19C)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코어 본체(11)중 실링 부재 끼워맞춤부(19)로부터 기단측에는, 실링 부재 끼워맞춤부(19)에 대해 외경이 단부착 형상으로 커진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브리지부(14)중 축심 구멍(13)의 중심선과 교차하는 부분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 지지 구멍(14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샤프트지지 구멍(14A) 및 축심 구멍(13)을 가동 샤프트(20)가 관통하고 있다. 가동 샤프트(20)는, 예를 들면 코어 본체(11)와 경도가 다른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고, 봉체(26)의 일단부(도 3에서의 하단부)에 마개부(24)를 일체 형성하여 구비하고, 봉체(26)의 타단부에 스프링 걸음부(21)를 일체 형성하여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가동 샤프트(20)는, 예를 들면, 봉체(26)에 마개부(24)를 구비한 구조로 단조 형성된 것을, 코어 본체(11)에 삽입하고, 그 봉체(26)중 브리지부(14)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압축 코일 스프링(29)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봉체(26)의 단부에 스프링 걸음부(21)가 코킹 형성되고, 그 스프링 걸음부(21)와 브리지부(14) 사이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29)이 버티는 상태로 되어, 가동 샤프트(20)가 브리지부(14)측에 가압되어 있다.
마개부(24)는, 맞닿음 테이퍼부(25)와 원주부(23)와 축측 테이퍼부(22)를 축방향으로 줄지어 구비한다. 원주부(23)는, 축심 구멍(13)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원주형상으로 되어 있다. 맞닿음 테이퍼부(25)는, 그 원주부(23)로부터 봉체(26)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축측 테이퍼부(22)는, 원주부(23)중 봉체(26)와 반대측으로 이격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마개부(24)가 압축 코일 스프링(29)으로 코어 본체(11)의 선단 개구(28)를 향해서 가압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 테이퍼부(25)의 도중부분이 코어 본체(11)의 맞닿음 에지부(19C)에 맞닿는다. 여기에서, 코어 본체(11)와 가동 샤프트(20)는 경도가 다른 금속끼리이므로, 가동 샤프트(20)에 구비된 맞닿음 테이퍼부(25)와 코어본체(11)에 구비한 맞닿음 에지부(19C)의 맞닿음에 의해, 메탈실링이 행해진다.
통형 실링 부재(30)는, 그 자연상태의 단면구조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동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 실링 부재(30)의 내측에는, 대직경부(35)와 소직경부(36)가 축방향으로 줄지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직경부(35)의 내측에 코어 본체(11)에서의 실링 부재 끼워맞춤부(19)가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 대직경부(35)와 소직경부(36) 사이의 단차부(35A)(도 5참조)에 실링 부재 끼워맞춤부(19)의 선단면(19A)(도 3참조)이 맞대어지는 동시에, 통형 실링 부재(30)에서의 대직경부(35)측의 단면이, 코어 본체(11)에서의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15)와 실링 부재 끼워맞춤부(19) 사이의 단차부(17)에 맞대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 실링 부재(30)의 축방향에 위치가 정해져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 실링 부재(30)의 기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큰 외측 실링부(31)로 되어 있다. 또, 통형 실링 부재(30)중 코어 본체(11)의 선단면(19A)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은, 가동 샤프트(20)의 마개부(24)에 밀착하는 내측 실링부(34)로 되어 있다. 더욱이, 내측 실링부(34)는, 상술한 소직경부(36)를 내측에 구비한 원통부(32)와, 원통부(32)의 개방 가장자리를 개방구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넓힌 통측 테이퍼부(33)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밸브 코어(1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밸브 코어(10)를 코어 장착구멍(52)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밸브 코어(10)를 선단 개구(28)측으로부터 코어 장착구멍(52)내에 삽입하고, 코어 장착구멍(52)의 암나사부(57)와, 밸브 코어(10)의 수나사부(12)를 나사결합 한다. 이들 암수 나사부(57, 12)끼리의 나사결합을 깊게해 감으로써 밸브 코어(10)가 코어 장착구멍(52)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고, 통형 실링 부재(30)의 내측 실링부(34)가 직경축소부(54)내로 진입하는 동시에, 통형 실링 부재(30)의 외측 실링부(31)가 코어 장착구멍(52)의 내벽(스템측 테이퍼부(56))에 밀착하여, 코어 본체(11)와 코어 장착구멍(52)의 내면의 간극이 실링된다.
여기에서, 통형 실링 부재(30)는 코어 본체(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 장착되어 있으므로, 통형 실링 부재(30)가 밸브 스템(50)에 회전 미끄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마모가 억제된다. 또, 통형 실링 부재(30)가, 스템측 테이퍼부(56)와의 마찰에 의해 축방향으로 힘을 받아도, 통형 실링 부재(30)의 단부가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15)의 단차부(17)에 부딪치거나 또한, 통형 실링 부재(30)의 내측에 설치한 대직경부(35)와 소직경부(36)의 단차부(35A)에, 코어 본체(11)의 단면이 부딪쳐서, 축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암수 나사부(57, 12)의 나사결합을 깊게해 가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 본체(11)의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15)의 외측 가장자리 에지부(16)가 스템측 테이퍼부(56)에 맞닿는다. 여기에서, 밸브 스템(50)과 코어 본체(11)가 경도가 다른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메탈실링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메탈실링과, 외측 실링부(31)에 의한 실링의 2중의 실링에 의해, 코어 본체(11)의 외면과 코어 장착구멍(52)의 내면 사이의 간극이 막힌다.
또, 외측 가장자리 에지부(16)와 스템측 테이퍼부(56)의 맞닿음에 의해, 코어 본체(11)를 그 이상 밀어 넣는 것이 방지되고, 통형 실링 부재(30)에서의 외측 실링부(31)가, 코어 장착구멍(52)의 내벽(스템측 테이퍼부(56))에 과도하게 눌리는 일이 없게 되어, 통형 실링 부재(30)의 실링성이 안정된다. 이상에 의해, 밸브 코어(10)의 코어 장착구멍(52)에의 장착이 완료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코어(10)는, 항상, 압축 코일 스프링(29)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가동 샤프트(20)의 마개부(24)가 코어 본체(11)의 선단 개구(28)에 꼭 대어져서,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코어 장착구멍(52)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타이어내에 압축공기를 장입하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다. 즉, 밸브 스템(50)에서의 장입구(53)에, 예를 들면 장입 펌프를 연결하고, 코어 장착구멍(52)내에 압축공기를 넣는다. 그렇게 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가동 샤프트(20)가 압축 코일 스프링(29)에 저항하여 직동하고, 마개부(24)와 선단 개구(28) 사이에 간극이 생겨, 장입구(53)측으로부터 코어 장착구멍(52)의 안쪽으로 압축공기가 흘러 들어간다.
압축공기가 코어 장착구멍(52)의 안쪽에 충전된 시점에서, 장입 펌프를 장입구(53)로부터 떼면, 압축 코일 스프링(29)의 탄성 반발력 또는, 그 탄성 발발력과 코어 장착구멍(52)의 안쪽의 압력에 의해, 가동 샤프트(20)가 장입구(53)측으로 이동하고, 마개부(24)가 코어 본체(11)의 선단 개구(28)를 폐색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상세하게는, 마개부(24)가 코어 본체(11)의 선단 개구(28)측으로 밀림으로써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개부(24)의 축측 테이퍼부(22)가 통형 실링 부재(30)의 내측 실링부(34)에서의 통측 테이퍼부(33)에 밀착하여, 코어 본체(11)의 선단 개구(28)와 마개부(24)와의 간극이 실링된다. 또, 내측 실링부(34)에서의 원통부(32)내에는, 마개부(24)의 원주부(23)가 끼워맞추어져 있으므로, 코어 장착구멍(52)의 안쪽의 압력에 의해 원통부(32)가 원주부(23)에 밀착하도록 변형되어, 여기에서도 실링이 행해진다.
마개부(24)의 축측 테이퍼부(22) 및 원주부(23)가 통형 실링 부재(30)에 밀착한 상태에서, 마개부(24)의 맞닿음 테이퍼부(25)는, 코어 본체(11)의 맞닿음 에지부(19C)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통형 실링 부재(30)의 통측 테이퍼부(33)가, 마개부(24)의 축측 테이퍼부(22)에 의해 과도하게 밀리지 않게 되어, 실링성이 안정된다. 여기에서, 코어 본체(11)와 가동 샤프트(20)는, 경도가 다른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맞닿음 테이퍼부(25)와 맞닿음 에지부(19C) 사이에서 메탈실링이 행해진다. 즉, 통형 실링 부재(30)에 의한 실링과 메탈실링의 2중 실링 구조에 의해, 코어 본체(11)의 선단 개구(28)와 마개부(24)의 간극이 실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10)에서는, 코어 본체(11)의 선단 개구(28)와 마개부(24)의 간극을 실링하는 내측 실링부(34)와, 코어 본체(11)의 외면과 코어 장착구멍(52)의 내벽(스템측 테이퍼부(56))과의 간극을 실링하는 외측 실링부(31)가, 통형 실링 부재(30)에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밸브 코어에 비해 실링 부품의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게다가, 코어 본체(11)측에 통형 실링 부재(30)를 끼워맞춤 장착했으므로, 가동 샤프트(20)로부터 시일 누름용의 부품을 없앨 수 있어, 가동 샤프트(20)의 구조의 간소화 및 부품점수의 삭감이 도모된다.또, 압축 코일 스프링(29)은, 코어 본체(11)의 외측에 배치되었으므로, 압축 코일 스프링(29)을 코어 본체(11)의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의 삭감이 도모된다. 이것들에 의해, 밸브 코어(10)를, 코어 본체(11)와, 가동 샤프트(20)와, 통형 실링 부재(30)와, 압축 코일 스프링(29) 4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6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코어 본체(62)의 내부에 압축 코일 스프링(61)을 수용한 점이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코어 본체(62)는, 축방향의 도중부분에서 본체 제 1 구성부(40)와 본체 제 2 구성부(41)로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코어 본체(62)의 기단측을 구성하는 본체 제 1 구성부(40)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수나사부(12)와 브리지부(14)가 구비되어 있다. 또, 본체 제 1 구성부(40)중 브리지부(14)와 반대측의 단면에서는, 두께가 얇은 원통체(43)가 돌출해 있다.
코어 본체(62)의 선단측을 구성하는 본체 제 2 구성부(41)에는, 본체 제 1 구성부(40)측의 단부로부터 측방에 걸음 플랜지(44)가 내뻗어져 있다. 그리고, 걸음 플랜지(44)를 두께가 얇은 원통체(43)의 내측에 삽입해서 두께가 얇은 원통체(43)의 속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두께가 얇은 원통체(43)의 선단을 걸음 플랜지(44)의 이면측으로 절곡하고, 본체 제 1 구성부(40)와 본체 제 2 구성부(41)가 연결되어 있다.
본체 제 2 구성부(41)의 선단 개구(28)의 내측 가장자리부로부터는, 스프링걸음벽(45)이 내측을 향해서 내뻗어져 있다. 본 실시예의 가동 샤프트(63)에는, 축방향의 도중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스프링 걸음돌부(46)가 돌출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압축 코일 스프링(61)은, 소위 원추 코일 스프링 구조를 이루고 감긴 직경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서 서서히 커지고 있다. 그리고, 가동 샤프트(63)를 본체 제 2 구성부(41)의 선단 개구(28)측으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본체 제 2 구성부(41)내에 압축 코일 스프링(61)을 수용해서 그 대직경측 단부를 스프링 걸음벽(45)에 걸고, 봉체(26)의 도중부분에 스프링 걸음돌부(46)를 코킹 형성한다. 이어서, 본체 제 2 구성부(41)에 본체 제 1 구성부(40)를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샤프트(63)가 도 6에서의 상방으로 가압된 상태가 되어, 마개부(24)가 코어 본체(62)의 선단 개구(28)를 폐색한다.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60)의 구성은 이상과 같으며,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또,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60)에 의하면, 본체 제 1 구성부(40)가 본체 제 2 구성부(4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통형 실링 부재(30)와 코어 장착구멍(52)과의 마모를 억제하여, 실링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고, 게다가, 하기 이외에도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상기 제 1 실시예의 밸브 코어(10)에서는, 코어 본체(11)와 가동 샤프트(20)가 경도가 다른 금속부재를 구성하여 메탈실링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는데, 가동 샤프트와 코어 본체가 맞닿아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일뿐, 메탈실링이 행해지는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2) 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개부(24)와 코어 본체(11)를 맞닿게 하지 않고, 마개부(24)의 축측 테이퍼부(22)와 통형 실링 부재(30)의 통측 테이퍼부(33)의 맞닿음만으로 코어 본체(11)의 선단 개구(28)을 폐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3)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밸브 코어(10, 60)에 구비한 수나사부(12)가 코어 장착구멍(52)내의 암나사부(57)에 나사 결합해서 빠짐방지되는 구성이었는데, 밸브 코어와는 다른 나사결합 부품을 설치하여, 코어 장착구멍에 밸브 코어를 삽입하고 나서 그 나사결합 부품으로 빠짐방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4) 또, 나사결합 이외의 예를 들면, 접착제, 압입 등 기타의 걸음수단에 의해, 밸브 코어를 코어 장착 구멍내에 고정해도 좋다.
(5) 상기 제 1 실시예의 통형 실링 부재(30)의 내측 실링부(34)는, 코어 본체(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 있는데, 도 8에 도시한 통형 실링 부재(39)와 같이, 내측 실링부(38)를 코어 본체(11)에서의 선단 개구(28)의 내측에 부설한 구성으로 하여, 그 내측 실링부(39)에 마개부(24)를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6)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해서본 발명에 관계되는 밸브 코어가 사용되었는데, 압축공기의 유로에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유체를 흘리는 유로에 사용해도 좋고, 예를 들면, 질소, 산소, 또는, 에어컨용 냉매 등의 유로에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밸브 코어보다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는 밸브 코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6)

  1. 코어 장착구멍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코어로서,
    코어 장착구멍의 내측에 고정되는 통형의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를 관통해서 직동하는 가동 샤프트와,
    상기 가동 샤프트의 일단측에 일체 형성되어서, 상기 코어 본체의 선단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에 의해 상기 선단 개구가 닫히도록 상기 가동 샤프트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코어 본체의 외면에 끼워맞춤 장착되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에 끼워져서 밀착하는 외측 실링부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의 외면에 밀착하는 내측 실링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실링부는, 상기 코어 본체의 일단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실링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선단측 내경을 서서히 확장 개방한 통측 테이퍼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원통부의 내측에 끼워맞추는 원주부와, 상기 통측 테이퍼부에 밀착하는 축측 테이퍼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실링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선단측 내경을 서서히 확장 개방한 통측 테이퍼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원통부의 내측에 끼워맞추는 원주부와, 상기 통측 테이퍼부에 밀착하는 축측 테이퍼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는, 상기 코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는, 상기 코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는, 상기 코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코어 본체에는, 상기 마개부가 상기 내측 실링부에 밀착된 상태로 서로 맞닿는 맞닿음 위치결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코어 본체에는, 상기 마개부가 상기 내측 실링부에 밀착된 상태로 서로 맞닿는 맞닿음 위치결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코어 본체에는, 상기 마개부가 상기 내측 실링부에 밀착된 상태로 서로 맞닿는 맞닿음 위치결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코어 본체에는, 상기 마개부가 상기 내측 실링부에 밀착된 상태로 서로 맞닿는 맞닿음 위치결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샤프트 및 상기 코어 본체는, 서로 경도가 다른 금속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샤프트측의 상기 맞닿음 위치결정부는, 상기 마개부의 일부를 상기 코어 본체의 안쪽을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맞닿음 테이퍼부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코어 본체측의 상기 맞닿음 위치결정부는, 상기 코어 본체의 통구조의 개구 가장자리에 형성한 맞닿음 에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 테이퍼부와 상기 맞닿음 에지부 사이에서 메탈실링이 행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통형 실링 부재가 끼워맞추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내뻗고, 상기 코어 장착구멍으로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에 부딪치는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통형 실링 부재가 끼워맞추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내뻗고, 상기 코어 장착구멍으로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에 부딪치는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통형 실링 부재가 끼워맞추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내뻗고, 상기 코어 장착구멍으로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에 부딪치는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통형 실링 부재가 끼워맞추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내뻗고, 상기 코어 장착구멍으로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에 부딪치는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통형 실링 부재가 끼워맞추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내뻗고, 상기 코어 장착구멍으로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에 부딪치는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통형 실링 부재가 끼워맞추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내뻗고, 상기 코어 장착구멍으로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코어 장착구멍의 내벽에 부딪치는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의 외면중 상기 통형 실링 부재가 끼워맞추어지는 부분과, 상기 본체 위치결정용 맞닿음부 사이의 단차부에, 상기 통형 실링 부재를 맞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의 내측에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축방향으로 줄지어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내측에 상기 코어 본체를 끼워맞추는 동시에,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을 맞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의 내측에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축방향으로 줄지어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내측에 상기 코어 본체를 끼워맞추는 동시에,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을 맞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의 내측에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축방향으로 줄지어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내측에 상기 코어 본체를 끼워맞추는 동시에,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을 맞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의 내측에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축방향으로 줄지어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내측에 상기 코어 본체를 끼워맞추는 동시에,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을 맞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의 내측에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축방향으로 줄지어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내측에 상기 코어 본체를 끼워맞추는 동시에,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을 맞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의 내측에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축방향으로 줄지어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내측에 상기 코어 본체를 끼워맞추는 동시에,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을 맞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의 내측에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축방향으로 줄지어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내측에 상기 코어 본체를 끼워맞추는 동시에,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을 맞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링 부재의 내측에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축방향으로 줄지어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내측에 상기 코어 본체를 끼워맞추는 동시에,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을 맞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중 상기 코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서, 그 가동 샤프트의 단부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걸음부와,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2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중 상기 코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서, 그 가동 샤프트의 단부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걸음부와,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중 상기 코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서, 그 가동 샤프트의 단부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걸음부와,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중 상기 코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서, 그 가동 샤프트의 단부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걸음부와,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중 상기 코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서, 그 가동 샤프트의 단부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걸음부와,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중 상기 코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서, 그 가동 샤프트의 단부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걸음부와,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중 상기 코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서, 그 가동 샤프트의 단부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걸음부와,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중 상기 코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서, 그 가동 샤프트의 단부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걸음부와,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중 상기 코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서, 그 가동 샤프트의 단부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걸음부와, 상기 코어 본체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4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4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4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4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4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4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46.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본체와, 상기 가동 샤프트와, 상기 통형 실링 부재와,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 4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KR1020030064022A 2003-06-26 2003-09-16 밸브 코어 KR100604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82058 2003-06-26
JPJP-P-2003-00182058 2003-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229A true KR20050005229A (ko) 2005-01-13
KR100604652B1 KR100604652B1 (ko) 2006-07-25

Family

ID=3341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022A KR100604652B1 (ko) 2003-06-26 2003-09-16 밸브 코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74910B2 (ko)
EP (1) EP1491804B1 (ko)
KR (1) KR100604652B1 (ko)
CN (1) CN1318788C (ko)
DE (1) DE602004001552T2 (ko)
TW (1) TWI22554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163B1 (ko) * 2005-10-07 2006-03-30 (주)지구통신건설 (Gk) 가압구조가 보강된 진공 가압밸브.
CN112867885A (zh) * 2019-09-27 2021-05-28 太平洋工业株式会社 阀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4631B2 (ja) * 2006-04-20 2011-06-29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コア
US7658405B2 (en) * 2006-07-31 2010-02-09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tended inflator output
DE202007009175U1 (de) * 2007-06-29 2007-08-30 Dorma Gmbh + Co. Kg Regulierventil
ITVI20090288A1 (it) * 2009-11-30 2011-06-01 Revelin Evaristo & Figli Snc Valvola unidirezionale
ITBO20110599A1 (it) * 2011-10-21 2013-04-22 S T S R L Valvola oleo-idraulica
KR20150146278A (ko) * 2014-06-23 2015-12-31 주식회사 진성이앤지 방열 장치
US9989185B2 (en) * 2015-02-02 2018-06-05 Ricoh Company, Ltd. Socket tool for servicing fluid connectors
JP6636344B2 (ja) 2016-01-22 2020-01-29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コア
CN106439049A (zh) * 2016-12-05 2017-02-22 佛山市奥宾仕焊接科技有限公司 焊接用气体减压阀
CN107906805B (zh) * 2017-12-18 2023-07-28 浙江泽顺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膨胀阀
WO2019187177A1 (ja) * 2018-03-29 2019-10-03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コア及びタイヤバルブ
CN109538567B (zh) * 2019-01-04 2024-04-05 天津华宁电子有限公司 一种插装式换向阀芯
CN109780234A (zh) * 2019-02-13 2019-05-21 格力电器(合肥)有限公司 注氟嘴、截止阀及空调器
WO2020194561A1 (ja) * 2019-03-26 2020-10-01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
WO2022110533A1 (zh) * 2020-11-26 2022-06-02 皑壹智能汽车科技(嘉兴)有限公司 一种阀体的密封结构、阀及cflvv阀
US11318800B1 (en) * 2021-01-12 2022-05-03 Klemens Kreuzthaler Pressurizable adapter of bicycle valv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9321A (en) * 1921-05-02 1927-11-15 Overlander Jacob Alpheus Pneumatic-tire valve
US1714392A (en) * 1925-11-25 1929-05-21 George A Meek Tire valve
US1917499A (en) * 1928-02-14 1933-07-11 William T Conrad Automobile tire valve
US2126845A (en) * 1935-12-23 1938-08-16 Scovill Manufacturing Co Tire valve
US2188713A (en) * 1937-06-21 1940-01-30 Jonkins Bros Valve core, container, and stem
US2240096A (en) * 1940-05-23 1941-04-29 Jenkins Bros Valve stem of the capless type
US3310064A (en) * 1964-01-22 1967-03-21 Nat Distillers Chem Corp Valve core
US3207172A (en) * 1965-03-29 1965-09-21 Donald E Steer Valve core
DE1976938U (de) * 1967-09-30 1968-01-11 Alligator Ventilfabrik Ges Mit Ventileinsatz, insbesondere fuer luftreifenventile.
DE2205257C2 (de) 1972-02-01 1974-01-03 Horst-Guenter 1000 Berlin Rissmann Ventileinsatz für Ventile an Fahrzeugluftreifen
US4462449A (en) * 1982-02-02 1984-07-31 Zabel Jr John H Valve core for pneumatic tires
JPH0751681B2 (ja) 1986-10-20 1995-06-05 三菱化学株式会社 水溶性ジスアゾ色素
US5172720A (en) * 1992-02-03 1992-12-22 Eaton Corporation Single seal fluid control valve
JPH08200898A (ja) * 1995-01-26 1996-08-06 Fuji Koki Seisakusho:Kk チャージバルブ
US6050295A (en) * 1998-06-04 2000-04-18 Fastest, Inc. High flow valved fitting
JP2000213833A (ja) * 1999-01-26 2000-08-02 Pacific Ind Co Ltd チャ―ジバルブ用のバルブコア
AU1106001A (en) * 1999-09-02 2001-03-26 Xiayang Sheng Pressure regulator and method of use
JP2001248740A (ja) * 2000-03-07 2001-09-14 Pacific Ind Co Ltd チャージバルブ用のバルブコア
JP2002104143A (ja) * 2000-09-28 2002-04-10 Asahi Sangyo Kk タイヤバルブの給気用エアーチャック
JP2002340206A (ja) 2001-05-11 2002-11-27 Pacific Ind Co Ltd タイヤ用バルブ
US6719003B2 (en) * 2001-12-26 2004-04-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harge valve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163B1 (ko) * 2005-10-07 2006-03-30 (주)지구통신건설 (Gk) 가압구조가 보강된 진공 가압밸브.
CN112867885A (zh) * 2019-09-27 2021-05-28 太平洋工业株式会社 阀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61848A1 (en) 2004-12-30
TW200500562A (en) 2005-01-01
EP1491804B1 (en) 2006-07-19
US7174910B2 (en) 2007-02-13
KR100604652B1 (ko) 2006-07-25
CN1576670A (zh) 2005-02-09
TWI225540B (en) 2004-12-21
DE602004001552D1 (de) 2006-08-31
DE602004001552T2 (de) 2007-07-05
EP1491804A1 (en) 2004-12-29
CN1318788C (zh)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652B1 (ko) 밸브 코어
JP4629119B2 (ja) バルブを有する冷却スプレイヤ
KR100547004B1 (ko) 밸브 코어
US9371926B2 (en) Pressure relief valve with singular body
KR100558816B1 (ko) 밸브 코어
EP1491801B1 (en) Valve plug and valve provided therewith
CN210344303U (zh) 一种电动阀
KR100719272B1 (ko) 유체제어기
KR100558789B1 (ko) 릴리프 밸브
JP4478473B2 (ja) バルブコア
US6845969B2 (en) Valve and sealing structure therefor
US6722385B1 (en) Hydraulic valve repair kit and method of use
US6668862B2 (en) Fluid bearing mechanism
WO2004106782A3 (en) Rotating valve assembly
JP7133091B2 (ja) バルブコア
JPS6332467Y2 (ko)
US7178784B2 (en) Valve assembly and method
CN212130573U (zh) 用于气门机构的液压间隙调节器
CN216078529U (zh) 一种电磁阀
JP2004526920A (ja) 自閉連結装置用端部品及び対応する自閉連結装置
CN109578103B (zh) 用于凸轮轴的止推装置及发动机
CN213145372U (zh) 一种阀体密封组件
CN213011740U (zh) 一种带万向节孔镶钢套的千斤顶油泵
CN112240404A (zh) 一种控制阀
WO2013021789A1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