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457A -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전자식 키 시스템 및 기계식 키시스템을 갖춘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전자식 키 시스템 및 기계식 키시스템을 갖춘 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457A
KR20040103457A KR1020040038611A KR20040038611A KR20040103457A KR 20040103457 A KR20040103457 A KR 20040103457A KR 1020040038611 A KR1020040038611 A KR 1020040038611A KR 20040038611 A KR20040038611 A KR 20040038611A KR 20040103457 A KR20040103457 A KR 20040103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button
portable devic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무라도끼오
나까가와미쯔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4010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45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6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sliding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07C2009/00952Electronic keys comprising a mechanical key within their housing, e.g. extractable or retractable emergency ke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9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mechanical ke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80Parts, attachments, accessories and adjuncts
    • Y10T70/8432For key-operated mechanism
    • Y10T70/8676Key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휴대 장치(1)는 비상 키(5)와 수납부(7)를 갗춘 장치 본체(3)로 구성된다. 비상 키(5)는 보유 부재(17)와 비상 키(5)로부터 돌출되도록 보유 부재(5)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9)으로 구성된 로크 기구를 갖는다. 장치 본체(3)는 비상 키(5)가 수납부(7)에 수납된 때 버튼(9)과 결합하는 제1 보유 구멍(13)을 갖는다. 버튼(9)이 가압된 때, 비상 키(5)는 수납부(7)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비상 키(5)는 수납부(7) 내부로 삽입되어, 버튼(9)이 구멍(13)과 결합한다. 비상 키(5)는 로크 기구를 가져서, 전자식 키 시스템이 소형화된다.

Description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전자식 키 시스템 및 기계식 키 시스템을 갖춘 휴대 장치 {PORTABLE DEVICE WITH ELECTRONIC KEY SYSTEM AND MECHANICAL KEY SYSTEM HAVING DOWNSIZED STRUCTURE}
본 발명은 출입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전자식 키 시스템 및 기계식 키 시스템을 갖춘 모바일(mobile)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안 기능을 갖춘 전자식 키 시스템에서, 예를 들면 도어를 로크(lock) 및 언로크(unlock)하기 위해서 차량 등에 제공된 전자 장치와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휴대 장치 사이에서 무선 통신에 의해서 ID 코드가 식별된다. 특히 차량에서, 전자식 키 시스템은 휴대 장치와 차량의 키 기구의 전자 장치 사이의 ID 코드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엔진 시동 동작을 허가하기 위하여 실제로 사용되어, 차량의 도난방지 성능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전자식 키 시스템과 기계식 키 시스템을 갖춘 출입 시스템을 갖는다. 전자식 키 시스템은 휴대 장치와 차량의 전자 장치 사이의 ID 코드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기계식 키 시스템을 로크 및 언로크한다. 출입 시스템의 기계식 키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시스템의 기계식 키 플레이트에 의해서 로크 및 언로크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22841호에 따르면, 휴대 장치의 전지 전력이 바닥난 상황을 대비하여, 비상 키(기계식 키 플레이트)가 휴대 장치의 장치 본체 내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된다.
더욱이, 전자식 키 시스템용으로 사용되는 휴대 장치에서, 비상 키가 장치 본체의 수납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지 않도록 로크 기구가 장치 본체 내에 제공된다.
도9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9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휴대 장치(101)의 장치 본체(103)는 차량의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유닛(400)을 갖는다. 휴대 장치(101)의 장치 본체(103)는 로크 기구를 또한 갖는다. 로크 기구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활주 부재(105)와 스프링(107)을 포함한다. 스프링(107)은 활주 부재(105)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가압한다(편향시킨다). 활주 부재(105)의 스프링(107)에 대향 측에는 돌기(105a)가 형성된다. 돌기(105a)는장치 본체(103)의 수납부(109)에 수납된 비상 키(111)의 결합 슬롯(111a)과 결합하여, 비상 키(111)가 수납부(109)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구조에서, 활주 부재(105)가 스프링(10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활주될 때, 즉 활주 부재(105)가 도9a의 좌측 방향으로 활주될 때, 활주 부재(105)의 돌기(105a)와 비상 키(111)의 결합 슬롯(111a)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비상 키(111)는 장치 본체(103)의 수납부(109)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장치의 상기 구조에서, 로크 기구는 장치 본체의 수납부 내에 비상 키를 탈착 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하여 장치 본체 내에 제공된다. 따라서, 장치 본체가 로크 기구를 포함하기 때문에 휴대 장치의 소형화는 어렵다. 또한,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형 비상 키의 내부 공간은 사용되지 않고, 비상 키는 상기 구조에서 죽은 공간(dead space)이 된다.
전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기계식 키 시스템 및 전자식 키 시스템을 위한 소형화된 휴대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장치는 전자식 시스템 또는 기계식 시스템에 의해 로크 및 언로크되는 출입 시스템용으로 사용된다. 휴대 장치는 키, 장치 본체 및 로크 기구를 갖는다. 키는 출입 시스템을 로크 및 언로크하기 위해서 출입 시스템과 기계적으로 결합한다. 장치 본체는 출입 시스템을 로크 및 언로크하는 것을 전기적으로 지시한다. 장치 본체는 키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갖는다. 로크 기구는 수납부 내에 키를 탈착 가능하게 보유한다. 키는 로크 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행해진 후속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보통 상태의 휴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1b 내지 도1d는 휴대 장치 내에 수납된 비상키가 사용되는 사용 상태의 휴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a는 비상 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2b는 비상키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고, 도2c는 비상 키를 도시하는 배면도이고, 도2d는 도2a의 선ⅡD-ⅡD를 따라 취한 비상 키의 부분 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 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3b는 비상 키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고, 도3c는 비상 키를 도시하는 배면도이고, 도3d는 도3a의 선ⅢD-ⅢD를 따라 취한 비상 키의 부분 단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상 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4b는 비상 키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고, 도4c는 비상 키를 도시하는 배면도이고, 도4d는 도4a의 선ⅣD-ⅣD를 따라 취한 비상 키의 부분 단면도.
도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보통 상태의 휴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5b 및 도5c는 휴대 장치 내에 수납된 비상 키가 사용되는 상태의 휴대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5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상 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보통 상태의 휴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6b 및 도6c는 휴대 장치 내에 수납된 비상 키가 사용되는 상태의 휴대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6d는 본 발명의 비상 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 및 비상 키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8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비상 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8b는 비상 키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고, 도8c는 비상 키를 도시하는 배면도이고, 도8d는 도8a의 선ⅧD-ⅧD를 따라 취한 비상 키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9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키 시스템을 사용하는 휴대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9b는 휴대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식 키 시스템 및 전자식 키 시스템을 갖는 차량의 출입 시스템의 구성 및 출입 시스템과 기계식 키 및 장치 본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35, 41 : 휴대 장치
3 : 장치 본체
5, 5', 5" : 비상 키
7 : 수납부
9, 17, 17a, 19, 23 : 로크 기구
7a, 7b : 개구
K : 키 부분
9 : 버튼
9a : 돌기
11 : 링부
13, 33 : 구멍
15 : 키 본체
17 : 브라켓
37 : 슬릿
본 발명에서, 휴대 장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용으로 사용되는 소형 모바일 전자식 키 유닛으로 사용된다. 게다가, 휴대 장치는 기계식 키 시스템 및 전자식 키 시스템을 갖는 차량의 출입 시스템(도10)에 사용된다. 출입 시스템의 기계식 키 시스템은 기계식 비상 키가 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기계식 키 시스템과 결합한 때 로크 및 언로크된다. 전자식 키 시스템은 휴대 장치의 장치 본체와 전자 장치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차량의 무선 통신 회로 사이의 ID 코드의 식별 결과에 따라 출입 시스템의 기계식 키 시스템을 로크 및 언로크하는 것을 전기적으로 지시한다. 즉, 차량 도어를 로크 및 언로크하기 위하여, 휴대 장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한 소형 전자식 키 유닛(휴대 장치)의 ID 코드와 차량 전자 장치의 ID 코드 사이를 식별하고, ID 코드의 식별 결과에 따라 엔진 시동 등을 허가한다.
[제1 실시예]
휴대 장치(1)는 수지 재료로 대략 평행 6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장치 본체(3)를 갖는다. 장치 본체(3)는 안테나, ID 통신 처리부, 전지, 트랜스폰더 등이 설치된 통신 유닛(300)을 수납한다. 안테나는 차량 전자 장치 내에 제공된 통신 회로와 휴대 장치(1) 사이의 ID 코드를 식별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데 사용된다. ID 통신 처리부는 송신/수신 회로,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 전지는 ID 통신 처리부에 전류를 공급한다. 트랜스폰더는 전지 전력이 바닥난 때 전자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전자 장치 내에 제공된 트랜스폰더 송신/수신 회로와 트랜스폰더 사이의 ID 코드를 식별한다.
장치 본체(3)는 출입 시스템을 로크 및 언로크하기 위하여 출입 시스템과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전지 전력이 바닥난 때에 주로 사용되는 비상 키(5)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7)를 갖는다. 보통 상태에서는, 비상 키(5)는 수납부(7) 내에 수납되도록 수납부(7) 내에 삽입되어 있다. 수납부(7)는 장치 본체(3)의 측면(3a) 내부에 형성되고, 측면(3a)을 따라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비상 키(5)는 주로 휴대 장치(1)의 전지가 바닥난 때 차량 도어를 로크 및 언로크하기 위해서 차량 도어에 제공된 키 실린더 내부로 삽입된다. 출입 시스템의 전자식 키 시스템에서는, 비상 키(5)는 차량 전자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전자기식 통신 모드로 절환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차량의 승객실 내에 제공된 다른 키 실린더 내로 삽입된다. 전자기식 통신 모드에서, ID 코드는 휴대 장치(1)의 트랜스폰더와 차량 전자 장치의 트랜스폰더 송신/수신 회로 사이에서 식별된다.
비상 키(5)는 신장된 키 홈, 절결부 등과 같은 만입부(200)가 형성되지 않은 비상 키(5)의 후방 단부(도2a에서 상단부)의 근방에 버튼(9)을 갖는다. 즉, 버튼(9)은 비상 키가 차량 등의 키 실린더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측에 위치된다. 버튼(9)은 비상 키(5)의 두께 방향으로 비상 키(5)의 외측으로부터 비상 키(5)의 내측을 향해 가압된다(눌러진다). 이 상태에서, 버튼(5)은 버튼(5)이 비상 키(5)의 전면(도2d의 좌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기준 위치로부터 버튼(5)이 비상 키(5)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위치로 변위된다. 가압(누름)이 정지될 때, 즉 버튼(9) 상에 작용하는 누르는 힘이 해제될 때, 버튼(5)의 위치는 기준 위치로 복귀된다.
비상 키(5)는 이의 후방 단부에 링부(11)를 갖는다. 링부(11)는, 비상 키(5)가 휴대 장치(1)의 수납부(7)로부터 인출된 때 비상 키(5)가 보관되거나 휴대되는 동안 키 홀더 등에 걸리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장치 본체(3)의 측면(3a)은 수납부(7)의 측벽을 형성한다. 측면(3a)은 비상 키(5)가 수납부(7)에 수납될 때 비상 키(5)의 버튼(9)이 결합하는 구멍(제1 보유 구멍)(13)을 갖는다.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5)는 키 본체(15), 링부(11) 및 브라켓(17)으로 구성된다. 키 본체(15)는 비상 키(5)의 본체 부분이고, 예를 들면 신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라켓(17)은 키 본체(15)의 후방 단부의 근방에 위치된 버튼(9)을 지지하고, 키 본체(15)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 링부(11)를 보유한다.
키 본체(15)는 예를 들면 차량의 키 구멍 후방의 키 실린더 내에 제공된 출입 시스템의 키 기구와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만입부(200)가 형성된 키 부분(K)(도2a)을 갖는다. 키 부분(K)은 키 본체(15)의 전방 단부(도2의 하단부)에서 키 본체(15)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일 부분까지의 키 본체(15)의 부분이다.
키 본체(15)는 키 본체(15)의 후방 단부의 근방에서, 버튼(9)이 제공된 키본체(15)의 전면에 슬롯(15a)(도2d)을 갖는다. 키 본체(15)는 브라켓(17)을 보유하기 위해 키 본체(15)의 전면에 대하여 대향 측(배면) 상에 피팅 구멍(15b)을 갖는다. 키 본체(15)는 바람직하게는 수지(예를 들면, PA66)로 제조된다.
브라켓(17)은 블레이드 스프링으로 제조되고 키 본체(15)의 후방 단부의 근방에서 키 본체(15)의 전면 및 후면을 집도록(pinch) 이의 단면이 대략 U형으로 형성된다. 브라켓(17)은 이의 U형 상부 섹션에 링부(11)를 거는 동시에 키 본체의 전면 및 후면을 집도록 키 본체(15)의 후방 단부에 부착되어, 브라켓(17)이 키 본체(15)의 후방 단부와 연결된다.
브라켓(17)은 브라켓(17)이 키 본체(15)의 배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돌기(17b)를 갖는다. 브라켓(17)이 키 본체(17)의 후방 단부에 부착될 때 돌기(17b)는 키 본체(15)의 피팅 구멍(15b)과 결합한다. 블레이드 스프링부(17a)는 키 본체(15)의 슬롯(15a)에 끼워진다. 블레이드 스프링부(17a)의 바닥부인 L형 부분(17c)이 슬롯(15a)의 벽부(15c) 상에 걸려서, 브라켓(17)이 키 본체(15)에 고정된다.
버튼(9)은 키 본체(15)의 슬롯(15a)과 결합하는 블레이드 스프링부(17a)의 외주연 표면 상에 제공된다. 버튼(9)은 브라켓(17)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버튼(9)은 브라켓(17)과는 별도로 형성되어 브라켓(17)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누르는 힘이 버튼(9)에 가해지지 않을 때, 버튼(9)은 브라켓(17)(구체적으로, 블레이드 스프링(17a))에 의해 압박(편향)되어, 기준 위치(도2b 및 도2d)에 위치되게 된다. 기준 위치에서, 버튼(9)의 적어도 외면(도2b 및 도2d의 좌측의 면)이 키 본체(15)의 전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다.
버튼(9)이 키 본체(15)의 외측(도2d의 좌측)으로부터 키 본체(15)의 내측(도2d의 우측)으로 눌러진 때, 브라켓(17)의 블레이드 스프링부(17a)는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이 상태에서, 버튼(9)의 외면은 키 본체(15)의 전면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변위되거나 또는 키 본체(15)의 전면의 레벨을 초과하여 키 본체(15) 내부로 더 깊게 변위된다. 이 상태에서, 브라켓(17)의 블레이드 스프링부(17a)는 버튼(9)이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버튼(9)을 탄성적으로 보유하는 보유 부재로 사용된다.
도1a를 다시 참조하면, 비상 키(5)가 장치 본체(3)의 수납부(7) 내에 수납된 때, 비상 키(5)의 버튼(9)은 장치 본체(3)의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한다. 따라서, 비상 키(5)가 장치 본체(3)의 수납부(7)로부터의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하고 있는 버튼(9)이 Y1로 도시된 방향으로 장치 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눌러질 때, 결합 상태, 즉 버튼(9)과 제1 보유 구멍(13)의 로크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어서, 비상 키(5)의 후방 단부[링부(11)]는 비상 키(5)의 버튼(9)이 장치 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눌러지는 동안 도1b에서 Y2로 도시된 방향으로 당겨져서, 비상 키(5)는 장치 본체(3)의 수납부(7)로부터 빼낼 수 있다.
전지 전력이 예를 들면 바닥난 경우, 비상 키(5)는 장치 본체(3)의수납부(7)로부터 빼내져서 기계식 키 시스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예를 들면 호텔에서 다른 사람에서 차량을 이동시키도록 주문할 때 장치 본체(3)로부터 비상 키(5)가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상 키(5)는 장치 본체(3)로부터 빼내져서 불법적으로 복제되지 않을 수 있다.
비상 키(5)가 기계식 키 시스템용으로 사용될 때, 비상 키(5)는 전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장치 본체(3)의 수납부(7)로부터 빼내진다. 이어서, 비상 키(5)는 비상 키(5)의 후방 단부(링부(11))측으로부터 도1c에서 Y3으로 도시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장치 본체(3)의 수납부(7)의 제1 개구(7a)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도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장치(1)는 버튼(9)이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하는 사용 상태가 되고, 키 본체(15)의 키 부분(K)은 장치 본체(3)로부터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3)는 비상 키(5)를 돌리기 위한 파지부가 된다.
도1d에 도시된 비상 키(5)의 사용 상태가 도1a에 도시된 보통 상태로 변경될 때, 비상 키(5) 및 장치 본체(3)는 상기 조작 과정의 반대 순서로 조작된다. 즉, 도1d의 사용 상태에서, 비상 키(5)의 전방 단부가 비상 키(5)의 버튼(9)이 장치 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가압되는 동안 제1 개구(7a)로부터 인출되어, 비상 키(5)가 장치 본체(3)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장치 본체(3)의 수납부(7)로부터 인출된 비상 키(5)는 비상 키(5)의 전방 단부부터 수납부(7)의 제1 개구(7a)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5)는 장치 본체(3)의 수납부(7)에 수납되고, 버튼(9)은 장치 본체(3)의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된다.
제1 실시예에서, 브라켓(17)(보유 부재) 및 버튼(9)(버튼부)은 로크 기구를 구성하도록 비상 키(5) 상에 제공된다.
휴대 장치(1)의 상기 구조에서, 로크 기구가 비상 키(5)에 제공되어, 비상 키(5)가 장치 본체(3)의 수납부(7) 내에 탈착 가능하게 수납된다. 따라서, 오직 제1 보유 구멍(13)만이 비상 키(5)와 장치 본체(3) 사이의 탈착 가능한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서 장치 본체(3)에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외에, 수동으로 활주가능한 부재(도9a) 등은 장치 본체(3)에 제공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치 본체(3)[즉, 휴대 장치(1)]는 소형화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키(5)의 버튼(9)과 장치 본체(3)의 제1 보유 구멍(13) 사이의 결합 상태 및 비결합 상태는 휴대 장치(1)의 상기 구조의 로크 기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절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기계식 키 시스템이 로크 및 언로크될 때 비상 키를 돌리기 위한 조작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상 키의 폭은 확대될 필요가 있고 또는 큰 파지부(도9a)가 비상 키의 후방 단부에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반대로, 휴대 장치(1)의 상기 구조에서, 비상 키(5)는 비상 키(5)가 사용될 때 비상 키(5)의 후방 단부 측부터 장치 본체(3)의 수납부(7) 내부로 역으로 삽입되어, 장치 본체(3)가 비상 키(5)를 돌리기 위한 파지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키(5)[키 본체(15)]의 폭이 작고, 비상 키(5)의 후방 단부가 확대되지 않고, 또는 큰 파지부가 추가로 제공되지 않은 때에도, 비상 키(5)를 돌리는 조작성이 바람직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 장치(1)는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
더욱이, 비상 키(5)가 사용될 때, 비상 키(5)의 버튼(9)이 로크 상태가 되도록 장치 본체(3)의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한다. 따라서, 비상 키(5)는 파지 본체로서 사용되는 장치 본체(3)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비상 키(5)를 돌리는 조작성이 더욱 개선된다.
비상 키(5)의 키 본체(15)는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키 본체(15)가 수지 재료로 제조될 때, 키 본체(15)의 중량은 감소될 수 있고, 키 본체(15)는 장치 본체(3) 내에 제공된 무선 통선 회로의 통신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오직 비상 키(5)만이 제1 실시예의 휴대 장치(1)와 다르다. 도3a 내지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9)(버튼부), 버튼(9)을 지지하는 스프링부(19)(보유 부재) 및 링부(11)는 비상 키(5)의 수지제 키 본체(15)와 일체로 형성된다. 버튼(9) 및 스프링부(19)는 로크 기구를 구성하여, 장치 본체(5)의 수납부(7) 내에 수납된 비상 키(5)를 탈착 가능하게 보유한다.
제2 실시예의 비상 키(5)에서, 키 본체(15)의 후방 단부의 근방에 위치된 부분에 공간(21)이 형성된다. 공간(21)은 키 본체(15)를 이의 전면으로부터 이의 배면까지 관통한다. 공간(21)은 제1 실시예의 슬롯(15a)과 동등하다.
스프링부(19)는 키 본체(15) 및 버튼(9)과 일체로 형성되어, 키 본체(15)의 공간(21) 내에서 버튼(9)을 지지한다. 링부(11)는 키 본체(15)의 후방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비상 키(5)에서, 누르는 힘이 버튼(9)에 가해지지 않은 경우 버튼(9)은 스프링부(19)에 의해 가압되어 기준 위치(도3b 및 도3d)에 위치된다. 기준 위치에서, 버튼(9)의 적어도 외측면(도3b 및 도3d의 좌측의 면)은 키 본체(15)의 전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다.
버튼(9)이 키 본체(15)의 외측(도3d의 좌측)으로부터 키 본체(15)의 내측(도3d의 우측)으로 눌러질 때, 스프링부(19)는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이 상태에서, 버튼(9)의 외면은 키 본체(15)의 전면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변위되거나, 또는 키 본체(15)의 전면의 레벨을 초과하여 키 본체(15) 내부로 더 깊게 변위된다. 이 경우, 스프링부(19)는 버튼(9)이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버튼(9)을 탄성적으로 보유하는 보유 부재로서 이용된다.
제2 실시예의 구조는 로크 기구의 구성이 제1 실시예의 것과 상이하지만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오직 비상 키(5)만이 제1 실시예의 휴대 장치(1)와 다르다. 도4a 내지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9)(버튼부) 및 버튼(9)을 지지하는 스프링부(23)(보유 부재)는 키 본체(15)와 별도로 형성된다. 수지로 제조된 버튼(9) 및 스프링부(23)는 로크 기구를 구성하여, 장치 본체(3)의 수납부(7) 내에 비상 키(5)를 탈착 가능하게 보유한다.
제3 실시예의 비상 키(5)에는, 키 본체(15)의 후방 단부의 근방의 일부에 공간(25)이 형성된다. 공간(25)은 제1 실시예에서의 슬롯(15a)과 동등하다.공간(25)은 키 본체(15)를 이의 전면으로부터 이의 배면까지 관통하여, 전면에 전방 개구(25a)를 그리고 키 본체(15)의 배면에 후방 개구(25b)를 형성한다. 키 본체(15)에서 후방 개구(25b)는 전방 개구(25a)보다 크다. 전방 개구(25a)는 대략 원형 등으로 형성되어, 전방 개구(25a) 내에 위치된 버튼(9)이 전방 개구(25a)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키 본체(15)는 전방 개구(25a)에 대하여 키 본체(15)의 전방 단부측(도4의 하측) 상에 고정 구멍(27)을 갖는다. 고정 구멍(27)은 키 본체(15)를 키 본체(15)의 전면으로부터 후방 개구(25)까지 관통한다.
스프링부(23)는 이의 일 종방향 단부에 버튼(9)을 갖고, 버튼(9)에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다른 종방향 단부에 피팅 돌기(23a)를 갖는다. 피팅 돌기(23a)는 키 본체(15)의 피팅 구멍(27)에 억지 고정되어, 고정 구멍(27)과 결합된다.
스프링부(23)는 후방 개구(25b)측으로부터 키 본체(15)의 공간(25) 내부로 넣어져서 키 본체(15)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버튼(9)은 전방 개구(25a)로부터 돌출되도록 스프링부(23)에 의해 지지된다.
제3 실시예의 비상 키(5)에서, 누르는 힘이 버튼(9)에 가해지지 않을 때, 버튼(9)은 스프링부(23)에 의해 가압되어, 기준 위치(도4b 및 도4d)에 위치되게 된다. 기준 위치에서, 버튼(9)의 적어도 외측면(도4b 및 도4d)이 키 본체(15)의 전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다.
버튼(9)이 키 본체(15)의 외측(도4d의 좌측)으로부터 키 본체(15)의 내측(도4d의 우측)으로 가압될 때, 스프링부(23)는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이 상태에서, 버튼(9)의 외측면은 키 본체(15)의 전면의 레벨과 동일 레벨로 변위되거나 또는 키 본체(15)의 전면의 레벨을 초과하여 키 본체(15) 내부로 더 깊게 변위된다. 이 경우, 스프링부(23)는 버튼(9)이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버튼(9)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보유 부재로서 사용된다.
제3 실시예의 구조는 비록 로크 기구가 제1 실시예의 것과는 상이하지만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비상 키(5)의 키 본체(15)는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키 본체(15)가 수지 재료로 제조된 때 더욱 유리하다. 이 경우, 스프링부(23)는 바람직하게는 키 본체(15)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와 비교할 때 높은 탄성(높은 신축성)의 수지 재료로 제조된다. 키 본체(15)는 수십회 동안의 반복적인 사용에서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필요로 하지만, 스프링부(23)는 반복되는 굽힘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높은 탄성(높은 신축성)을 필요로 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의 휴대 장치(31)는 제1 실시예의 휴대 장치(1)의 것과 상이한 2개의 다음 구조를 갖는다.
첫번째로, 도5a 내지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5)는 장치 본체(3)의 수납부(7) 내에 수납된다. 장치 본체(3)는 수납부(7)의 제1 개구(7a)를 갖춘 측면(3b)의 대향 측에 측면(3c)을 갖는다. 측면(3c)은 수납부(7)를 통해 제1 개구(7a)와 연결되는 제2 개구(7b)를 갖는다. 즉, 제2 개구(7b)는 수납부(7)에 대해 제1 개구(7a)와 대향되고, 비상 키(5)는 장치 본체(3)의 종방향으로 장치본체(3)의 수납부(7)를 통과할 수 있다.
두번째로, 장치 본체(3)의 측면(3a)은 제1 보유 구멍(13)에 더하여 제2 보유 구멍(33)을 갖는다. 즉, 제1 보유 구멍(13) 및 제2 보유 구멍(33)은 동일 면 내에 위치된다. 제2 보유 구멍(33) 및 제1 보유 구멍(13)은 측면(3a)의 사실상의 종방향 중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위치된다. 제2 보유 구멍(33)은 제1 보유 구멍(13)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제4 실시예의 휴대 장치(31)에서, 비상 키(5)는 제1 실시예의 휴대 장치(1)의 것과 동일한 작동 과정에 더하여 다음의 작동 과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5)는 장치 본체(3)의 수납부(7)에 수납되고, 비상 키(5)의 버튼(9)은 장치 본체(3)의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비상 키(5)와 장치 본체(3) 사이의 로크 기구는 로크된다. 비상 키(5)의 버튼(9)이 장치 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눌러질 때, 비상 키(5)와 장치 본체(3) 사이의 로크 기구는 언로크된다. 도5a에서 Y4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5)의 후방 단부(즉, 링부(11))는, 비상 키(5)의 버튼(9)이 가압되는 동안, 비상 키(5)의 전방 단부가 수납부(7)의 제2 개구(7b)를 향해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장치 본체(3)를 향해 비상 키(5)의 후방 단부[즉, 링부(11)]가 가압된다. 따라서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5)는 수납부(7)에서 제2 개구(7b)로 활주되어, 비상 키(5)의 전방 단부가 수납부(7)의 제2 개구(7b)로부터 돌출한다. 이어서, 수납부(7)의 제2 개구(7b)로부터 돌출하는 비상 키(5)의 전방 단부는 도5b에서 Y5로 도시된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어서,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5)의 버튼(9)은, 비상 키(5)의 키 부분(K)이 수납부(7)의 제2 개구(7b)로부터 돌출하는 동안 장치 본체(3)의 제2 보유 구멍(33)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비상 키(5)의 키 부분(K)은 도1d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휴대 장치(1)와 비교할 때 반대측으로부터 돌출된다.
제4 실시예의 휴대 장치(31)에서, 비상 키(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장치(31)의 상업적 가치 및 고급스러움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상 키(5)는 도5c에 도시된 사용 상태로부터 다음의 방식으로 도5a에 도시된 보통 상태로 복귀된다. 도5c의 비상 키(5)의 전방 단부는 제2 보유 구멍(33)과 결합된 버튼(9)이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도록 장치 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가압되는 동안 도5b의 Y5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장치 본체(3)를 향해 가압된다. 비상 키(5)는 버튼(9)이 장치 본체(3)의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할 때까지 수납부(7) 내에서 제1 개구(7a)를 향해서 활주된다. 다르게는 도5c에 도시된 상태에서, 비상 키(5)의 전방 단부는 비상 키(5)의 버튼(9)이 장치 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가압되는 동안 도5b에서 Y5 방향으로 장치 본체(3) 밖으로 인출된다. 장치 본체(3)의 밖으로 인출된 비상 키(5)는 비상 키(5)의 전방 단부 측부터 수납부(7)의 제1 개구(7a) 내부로 삽입되어, 버튼(9)이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의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된다. 다르게는, 장치 본체(3)에서 인출된 비상 키(5)는 비상 키(5)의 전방 단부측부터 수납부(7)의 제2 개구(7b) 내부로 삽입될 수 있어, 비상 키(5)는 수납부(7) 내에 수납되고 버튼(9)은 제2 보유 구멍(33)과 결합된다.
도3a 내지 도4d에 도시된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비상 키(5)가 제4 실시예의 휴대 장치(31)의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의 휴대 장치(31)는 제4 실시예의 휴대 장치(31)의 것과 상이한 2개의 후속 구조를 갖는다.
첫번째로, 도6a 내지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의 측면(3a)은 제1 보유 구멍(13)과 제2 보유 구멍(33) 사이를 연결하는 선형 슬릿(37)을 갖는다.
두번째로, 장치 본체(35) 내에 수납된 비상 키(5')는 제1 실시예의 비상 키(5)에 부가하여 버튼(9)의 외측면 상에 돌기(9a)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돌기(9a)의 폭은 슬릿(37)의 갭보다 약간 작다. 비상 키(5')가 장치 본체(3)의 수납부(7) 내에서 활주되고 그리고 돌기(9a)가 제1 보유 구멍(13)과 제2 보유 구멍(33) 사이의 위치에 있을 때, 돌기(9a)는 슬릿(37)으로부터 외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돌출한다. 돌기(9a)의 높이는 슬릿(37)의 깊이보다 약간 크고, 즉 돌기(9a)의 높이는 장치 본체(3)의 측면(3a) 측의 측벽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
제5 실시예의 장치 본체(35)의 구성에서, 사용자는 장치 본체(3)의 제2 개구(7b)로부터 비상 키(5')의 키 부분(K)을 돌출시키도록 수납부(7) 내에서 비상 키(5')가 활주하도록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비상 키(5')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의 수납부(7) 내에 수납된 때,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한 버튼(9)의 돌기(9a)는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도록 장치 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가압된다. 사용자는 돌기(9a) 상에 손가락을 걸어서 슬릿(37)을 따라 도6b에서 Y6으로 도시된 방향으로 제2 보유 구멍(33)을 향해서 돌기(9a)를 활주시켜서, 비상 키(5')가 수납부(7)에서 활주될 수 있다. 따라서,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5')의 키 부분(K)은 장치 본체(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비상 키(5')가 도6c에 도시된 사용 상태로부터 도6a에 도시된 보통 상태로 복귀할 때, 제2 보유 구멍(33)과 결합하고 있는 버튼(9)의 돌기(9a)는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도록 장치 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가압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돌기(9a) 상에 손가락을 걸어 슬릿(37)을 따라 제1 보유 구멍(13)을 향해 돌기(9a)를 활주시켜서, 비상 키(5')가 수납부(7) 내에서 제1 개구(7a)로 활주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키(5')의 키 부분(K)은 장치 본체(3)에 수납되도록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돌기(9a)는 제5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구성에서 비상 키(5')로서 사용되도록 도3 및 도4에 도시된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비상 키(5)의 버튼(9)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휴대 장치(41)는 제1 실시예의 휴대 장치(31)의 구조와 상이한 2가지 후속 구조를 갖는다.
첫번째로, 장치 본체(3)는 장치 본체(3)의 제1 개구(7a)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된 수납부(7)의 단부에 스프링 부재 또는 고무 부재로 구성된 편향 부재(가압 부재)(43)를 갖는다. 비상 키(5)가 수납부(7) 내부로 삽입되고, 버튼(9)이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한 때, 편향 부재(43)는 비상 키(5)의 전방 단부와 접촉하여 비상 키(5)가 수납부(7)로부터 변위되는 방향으로 비상 키(5)를 가압한다.
제6 실시예의 휴대 장치(41)에서, 비상 키(5)가 수납부(7) 내에 수납되고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한 비상 키(5)의 버튼(9)이 장치 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가압될 때, 로크 기구는 언로크된다. 이 상태에서, 비상 키(5)의 후방 단부는 편향 부재(43)의 가압력에 의해서 수납부(7)의 제1 개구(7a) 밖으로 자동적으로 튀어나온다. 따라서, 비상 키(5)가 예를 들면 기계식 키 시스템을 로크 및 언로크하는 데 사용될 때, 비상 키(5)는 장치 본체(3)의 수납부(7)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도3a 내지 도4d에 도시된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비상 키(5)가 제6 실시예의 휴대 장치(41)의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8a 내지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5")는 비상 키(5")의 키 부분(K)의 표면으로부터 만입된 피트부(200')를 갖는다. 피트부(만입부)(200')는 차량 등의 키 구멍 후방의 키 실린더부 내에 제공된 출입 시스템의 기계식 키 시스템과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도3a 내지 도4d에 도시된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비상 키(5)의 보유 부재(9, 19, 23)의 구조가 제7 실시예의 비상 키(5")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장치의 구성은 휴대 장치 등의 다양한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상 키(5, 5', 5")의 버튼(9)은 버튼(9)이 가압될 때 버튼(9)을 초기 위치(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한 상기 실시예들의 것과는 상이한 다른 구조 또는 다른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상 키는 버튼(9)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보유 공간을 포함하여, 버튼(9)이 비상 키(5, 5', 5")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비상 키(5, 5', 5")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버튼이 비상 키(5, 5', 5")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버튼(9)을 가압하도록 보유 공간 내에 스프링이 추가로 제공된다. 이 경우, 보유 공간 및 스프링은 보유 부재로 사용된다.
휴대 장치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평행 6면체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비상 키(5, 5', 5")는 장치 본체(3) 내에 횡방향으로 수납될 수 있다. 비상 키(5, 5', 5")와 장치 본체(3) 사이의 물리적인 관계는 상기 실시예의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비상 키(5, 5', 5")의 구조가 로크 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갖는다면 임의의 구성의 비상 키(5, 5', 5") 및 장치 본체(3)가 사용될 수 있다.
만입부(200, 200')는 비상 키가 자석식 로크 키 등으로 사용될 때 비상 키(5, 5', 5") 내에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통신 유닛(300)의 위치는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유닛(300)은 장치 본체(3)의 임의의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출입 시스템은 차량 도어를 로크 및 언로크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출입 시스템은 엔진 시동 등을 허가하는 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전자식 키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주택 등의 임의의 전자식 키 시스템에서 마찬가지로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상기 실시예에행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계식 키 시스템 및 전자식 키 시스템을 위한 소형화된 휴대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1. 전자식으로 또는 기계식으로 로크 및 언로크되는 출입 시스템을 위한 휴대 장치이며,
    출입 시스템을 로크 및 언로크하기 위하여 출입 시스템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키(5, 5', 5")와,
    출입 시스템을 로크 및 언로크하는 것을 전기적으로 지시하고 그 내부에 키(5, 5', 5")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7)를 갖는 장치 본체(3)와,
    수납부(7) 내에 키(5, 5', 5")를 탈착 가능하게 보유하는 로크 기구(9, 17, 17a, 19, 23)를 포함하고,
    상기 키(5, 5', 5")는 로크 기구(9, 17, 17a, 19, 23)의 적어도 일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5, 5', 5")는 출입 시스템과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키(5, 5', 5")의 일 종방향 단부측 상에 신장된 키 부분(K)을 갖고,
    장치 본체(3)의 수납부(7)는 키 부분(K)이 위치되는 키(5, 5', 5")의 종방향 단부측 및 키 부분(K)에 종방향으로 대향되는 키(5, 5', 5")의 다른 종방향 단부 측 중 적어도 하나를 탈착가능하게 수납하고,
    키(5, 5', 5")가 키 부분(K)에 대향되는 종방향 단부측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수납부(7) 내에 수납될 때, 키 부분(K)은 장치 본체(3)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5, 5', 5")는 출입 시스템과 기계적으로 결합하기위하여 키(5, 5', 5")의 일 종방향 단부측 상에 신장된 키 부분(K)을 갖고,
    로크 기구(9, 17, 17a, 19, 23)는 키(5, 5', 5")의 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키 부분(k)과 종방향으로 분리되어 제공되는 버튼부(9)와, 버튼부(9)를 지지하는 보유 부재(17, 17a, 19, 23)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9)는 버튼부(9)가 키(5, 5', 5")의 외측으로부터 키(5, 5', 5")의 내측으로 가압될 때 버튼부(9)가 키(5, 5', 5")의 측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기준 위치에서 버튼부(9)가 키(5, 5', 5")의 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까지 변위되고,
    상기 보유 부재(17, 17a, 19, 23)는 버튼부가 키(5, 5', 5")의 외측으로부터 키(5, 5', 5")의 내측으로 가압될 때 기준 위치에 있도록 버튼부(9)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고,
    장치 본체(3)는 키(5, 5', 5")가 장치 본체(3)의 수납부(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된 때 키(5, 5', 5")의 버튼부(9)와 결합하는 제1 보유 구멍(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장치 본체(3)의 수납부(7)는 키 부분(K)이 위치되는 키(5, 5', 5")의 종방향 단부측 및 키 부분(K)에 종방향으로 대향되는 키(5, 5', 5")의다른 종방향 단부측 중 적어도 하나를 탈착 가능하게 수납하고,
    키(5, 5', 5")가 키 부분(K)에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측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수납부(7) 내에 수납된 때, 키(5, 5', 5")의 버튼부(9)는 장치 본체(3)의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하고 키 부분(K)은 장치 본체(3)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장치 본체(3)는 수납부(7)에 연결된 제1 개구(7a)와,
    수납부(7)에 대하여 제1 개구(7a)와 대향 측에서 수납부(7)와 연결된 제2 개구(7b)와,
    제1 보유 구멍(13)을 형성하는 면과 동일 면 내에 위치된 제2 보유 구멍(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유 구멍(33)은 제1 개구(7a)로부터 장치 본체(3)의 수납부(7) 내부로 삽입된 키(5, 5', 5")가 키(5, 5', 5")의 키 부분(K)이 장치 본체(3)의 제2 개구(7b)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있을 때 키(5, 5', 5")의 버튼부(9)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장치 본체(3)는 제1 보유 구멍(13)과 제2 보유 구멍(33)을 연결하는 슬릿(37)을 형성하고,
    키(5, 5', 5")의 버튼부(9)는 돌기(9a)가 제1 보유 구멍(13)과 제2 보유 구멍(33) 사이의 위치에 있을 때 장치 본체(3)의 슬릿(37)으로부터 활주가능하게 돌출하는 돌기(9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장치 본체(3)는 키(5, 5', 5")가 수납부(7)에 수납되고 버튼부(9)가 제1 보유 구멍(13)과 결합한 때 수납부(7)로부터 키(5, 5', 5")가 변위되는 방향으로 키(5, 5', 5")를 편향시키기 위하여 수납부(7) 내에 편향 부재(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키(5, 5', 5")의 적어도 키 본체(15)는 수지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키 부분(K)은 출입 시스템과 결합되는 신장된 홈(200)의 형상을 갖는 만입부(2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키 부분(K)은 출입 시스템과 결합하도록 피트부(200')의 형상을 갖는 만입부(2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KR1020040038611A 2003-05-30 2004-05-29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전자식 키 시스템 및 기계식 키시스템을 갖춘 휴대 장치 KR200401034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55104A JP2004353404A (ja) 2003-05-30 2003-05-30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JPJP-P-2003-00155104 2003-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457A true KR20040103457A (ko) 2004-12-08

Family

ID=3343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611A KR20040103457A (ko) 2003-05-30 2004-05-29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전자식 키 시스템 및 기계식 키시스템을 갖춘 휴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237613A1 (ko)
JP (1) JP2004353404A (ko)
KR (1) KR20040103457A (ko)
CN (1) CN1572997A (ko)
DE (1) DE102004026164A1 (ko)
FR (1) FR2855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8616A1 (de) * 2002-06-26 2004-01-15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onischer Schlüssel
DE10322853A1 (de) * 2003-05-21 2004-12-16 Volkswagen Ag Schlüssel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2005290905A (ja) * 2004-04-02 2005-10-20 Tokai Rika Co Ltd 携帯機のケース構造
US9963908B2 (en) 2004-09-10 2018-05-08 Hy-Ko Products Company Data key and method of using same
DE602005024629D1 (de) * 2004-09-10 2010-12-16 Hy Ko Products Co Hochfrequenzidentifikationssystem (rfid) zur herstellung, zur verteilung und zum einzelhandel von schlüsseln
DE102004049265A1 (de) * 2004-10-09 2006-04-1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Fernbedienungseinheit
DE102004049264A1 (de) * 2004-10-09 2006-04-1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Fernbedienungseinheit
JP4548206B2 (ja) * 2005-04-27 2010-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ヤレス送受信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4548205B2 (ja) * 2005-04-27 2010-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ヤレス送受信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09555A (ja) * 2005-06-30 2007-01-18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の通信機
JP4762639B2 (ja) * 2005-08-09 2011-08-3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4695463B2 (ja) * 2005-09-01 2011-06-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機
JP2007085028A (ja) * 2005-09-20 2007-04-05 Tokai Rika Co Ltd 携帯電話におけるケース構造体
JP4658764B2 (ja) * 2005-10-05 2011-03-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リンダ錠、キー、及び携帯機
JP4680756B2 (ja) * 2005-11-29 2011-05-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機及びメカニカルキー
EP1793351B1 (en) * 2005-11-29 2015-07-15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Portable device including mechanical key
JP4612531B2 (ja) * 2005-11-29 2011-01-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メカニカルキーの組立方法及びメカニカルキーの組立治具
DE102006021172B4 (de) * 2006-05-06 2020-07-2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ektronischer Schlüssel mit mechanischem Notschlüssel für Verschlüsse in Fahrzeugen
JP4956116B2 (ja) * 2006-09-25 2012-06-20 美和ロック株式会社 携帯機器の合鍵装備構造
DE102006046802A1 (de) * 2006-09-29 2008-04-0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Elektrische Bedieneinheit für ein Fahrzeug mit einem Notschlüsselschacht und einem Batteriefach
DE102006046801A1 (de) * 2006-09-29 2008-04-0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Elektrische Bedieneinheit für ein Fahrzeug mit einem Schacht zur Aufnahme eines Notschlüssels
DE112007000107A5 (de) * 2006-09-29 2008-10-02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Elektrische Bedieneinheit
JP4953244B2 (ja) * 2007-03-21 2012-06-13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携帯機
DE102007014179B4 (de) * 2007-03-24 2020-02-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ektronischer Schlüssel zur Fernbedienung von Fahrzeugen
JP4960190B2 (ja) * 2007-10-04 2012-06-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コード凹凸照合式キーシステム
JP2009091839A (ja) * 2007-10-10 2009-04-30 Tokai Rika Co Ltd コード凹凸キー
JP5271546B2 (ja) * 2008-01-15 2013-08-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コード凹凸照合式キーシステム
DE102008005840B4 (de) 2008-01-24 2018-07-19 HELLA GmbH & Co. KGaA Elektronischer Schlüssel mit einem mechanischen Notschlüssel
JP5344672B2 (ja) * 2008-03-18 2013-11-2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携帯機
WO2009127227A1 (de) * 2008-04-16 2009-10-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von schlössern, insbesondere an fahrzeugen
FR2936679A1 (fr) * 2008-10-01 2010-04-02 Valeo Securite Habitacle Clef electron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munie d'un bouton lateral a rappel par tige.
US8542119B2 (en) * 2009-01-13 2013-09-24 Invue Security Products Inc. Combination non-programmable and programmable key for security device
JP4743669B2 (ja) * 2009-03-16 2011-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子キー
DE102010014207B4 (de) * 2010-04-08 2015-11-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chlüsselvorrichtung
JP5163776B2 (ja) * 2010-07-13 2013-03-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ドキー
JP5168602B2 (ja) * 2010-08-02 2013-03-21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無線キー
DE102010061333A1 (de) * 2010-12-17 2012-06-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ombinierter mechanischer und elektronischer Schlüssel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Mitnehmer, der als Flügel wirkt
DE102010061457A1 (de) * 2010-12-21 2012-06-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ektronischer Schlüssel
JP5445977B2 (ja) * 2011-08-10 201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ドキー
JP5557829B2 (ja) * 2011-12-07 2014-07-23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用携帯機
KR101812251B1 (ko) * 2012-01-06 2017-1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카드 키
GB201218573D0 (en) * 2012-10-16 2012-11-28 Elevacion Ltd A case for releasably secur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sealed environment
JP5644848B2 (ja) * 2012-12-11 2014-12-24 Smk株式会社 車両用入力装置
CN104063917A (zh) * 2013-03-21 2014-09-24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电子钥匙及其安装方法
FR3010282B1 (fr) * 2013-09-09 2016-06-10 Valeo Securite Habitacle Boitier de cle
USD773406S1 (en) * 2015-02-03 2016-12-06 Lg Electronics Inc. Smart key for automobiles
JP2016188511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子キー
DE102015117632A1 (de) * 2015-10-16 2017-04-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üssel
JP6536487B2 (ja) * 2016-05-31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キー
NL2019150B1 (en) * 2016-06-30 2018-02-14 R J Van Geer Beheer B V Key wallet butterfly type
KR20210036076A (ko) * 2019-09-25 2021-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키 어셈블리
CN112878811A (zh) * 2021-01-15 2021-06-01 于春伟 一种防盗机械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5190A1 (de) * 1995-02-16 1996-08-22 Marquardt Gmbh Elektronischer Schlüssel
DE19605201B4 (de) * 1996-02-13 2007-04-12 Marquardt Gmbh Gehäuse für einen elektronischen Schlüssel
FR2783344B1 (fr) * 1998-09-16 2000-12-01 Valeo Electronique Telecommande plat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3751471B2 (ja) * 1999-05-11 2006-03-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部品内蔵キー装置
FR2794161B1 (fr) * 1999-05-28 2001-08-10 Siemens Automotive Sa Clef electron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US6386007B1 (en) * 1999-06-14 2002-05-14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Key fob with valet and car locator feature
DE19943498C2 (de) * 1999-09-10 2002-03-07 Kiekert Ag Fahrzeugschlüssel für fernbedienbare Fahrzeugschliesssysteme
JP2001146862A (ja) * 1999-11-22 2001-05-29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ケース
DE19962976C1 (de) * 1999-12-24 2001-09-20 Huf Huelsbeck & Fuerst Gmbh Kombinierter mechanischer und elektronischer Schlüssel, insbesondere für an Fahrzeugen befindliche Schlös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53404A (ja) 2004-12-16
DE102004026164A1 (de) 2004-12-16
CN1572997A (zh) 2005-02-02
FR2855544A1 (fr) 2004-12-03
US20040237613A1 (en)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3457A (ko)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전자식 키 시스템 및 기계식 키시스템을 갖춘 휴대 장치
US7892668B2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7690233B2 (en) Portable device and mechanical key
WO2015064034A1 (ja) 携帯型無線キー
WO2015064033A1 (ja) 携帯型無線キー
US7043282B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battery mounting device of the equipment
EP1052352B1 (en) Electronic key device
US20120031155A1 (en) Portable wireless key
JP4865390B2 (ja) 電子キー
JP2009293247A (ja) 電子キー
CN212074267U (zh) 电池结构及具有其的电动车
JP2015129388A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JP4130368B2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JPH1191510A (ja) イモビライザキー
JP2009057800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KR102042029B1 (ko) 차량의 포브 키
JP2008025145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JP2007284876A (ja) 電子キー
JP2007002499A (ja) 電子符号錠用キー
KR102474427B1 (ko) 차량용 수납형 키 유닛
JP2008008032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JP2006045857A (ja) 携帯機
JP3555504B2 (ja) 電子キイ構造
JP2007083769A (ja) エンジン始動装置のノブ構造
JP2000257313A (ja) 電子部品内蔵キ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