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609A -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609A
KR20040086609A KR1020040021390A KR20040021390A KR20040086609A KR 20040086609 A KR20040086609 A KR 20040086609A KR 1020040021390 A KR1020040021390 A KR 1020040021390A KR 20040021390 A KR20040021390 A KR 20040021390A KR 20040086609 A KR20040086609 A KR 20040086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recording
reproducing
shoot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883B1 (ko
Inventor
시부타니아츠시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Motion video recording combined with still video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specially treated, e.g. surfaced, parchmenti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5Recording a sequence of still pictures, e.g. burs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8Magnetic, para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7Data linking a set of images to one another, e.g. sequence, burst or continuous capture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화상을 재생할 수 있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동화상촬영 중에 촬영된 정지화상 및 촬영 중의 동화상의 기록에 있어서, 양쪽의 화상을, 다른쪽의 화상을 특정하는 링크정보와 정지화상의 촬영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에 관련지워서 기억해두고, 동화상재생 중에는 그 촬영 중에 촬영되어 있었던 정지화상이 있으면 그 촬영타이밍을 포함하는 전후의 재생기간에 정지화상마크(M1)를 표시시켜서 정지화상의 존재를 알리고, 또한 그 사이에 소정 조작이 있으면 해당 정지화상을 표시시키며, 또 정지화상의 재생시에는 그 촬영시에 촬영되어 있었던 동화상이 있으면 동화상마크(M2)를 표시시켜서 동화상의 존재를 알리고, 소정 조작이 있으면 대응하는 동화상을, 재생 중의 정지화상의 촬영타이밍에 대응하는 도중의 재생장소로부터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PHOTOGRAPHED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PHOTOGRAPHED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기록화상을 재생할 수 있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CCD 등의 고체촬상소자가 촬상한 피사체의 화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그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는, 통상의 정지화상촬영기능에 덧붙여서 동화상촬영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또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 동화상촬영 중에 정지화상촬영을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의 촬영지시조작에 따라서 동화상프레임주기로 동화상프레임을 촬상하여 메모리에 기억하는 동작을 실시하면서 정지화상의 촬영지시조작타이밍의 동화상프레임을 정지화상으로서 기록하는, 즉 동화상촬영처리와 정지화상촬영처리를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있다.
또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 동화상촬영 중에 정지화상촬영을 실시하는 다른방법으로서,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 정지화상의 촬영지시조작이 있었을 때 동화상프레임의 촬상 및 기억동작을 일단 중단하고, 그 동안에 정지화상을 촬영하여 기록한 후 동화상프레임의 촬상 및 기억을 재개하는, 즉 정지화상촬영을 인터럽트처리에 의하여 실시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동화상촬영 중에 정지화상을 동시촬영한 경우, 예를 들면 촬영 후에 사용자가, 예를 들면 임의의 동화상에 대하여 그것과 동시촬영된 정지화상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고 싶은 경우에는 기록되어 있는 정지화상을 하나하나 재생하여 확인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임의의 화상과 동시촬영된 다른 화상의 존재를 용이하게 아는 것이 가능한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촬영화상기록장치에,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라고 판별된 경우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시키도록 구성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으로서,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텝과, 재생된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재생된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라고 판별된 경우에 통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가 갖는 컴퓨터에,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데이터를 재생하는 처리와, 재생된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처리와, 상기 재생된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라고 판별된 경우에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디지털카메라의 블록도.
도 2는 디지털카메라의 촬영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도 2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4a, 도 4b는 촬영모드에서 기록되는 정지화상파일과 동화상파일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디지털카메라에 의한 재생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a∼도 6d는 정지화상 및 동화상의 재생시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지털카메라 2: CCD
3: DSP/CPU 4: TG
5: 유닛회로 6: 표시장치
7: 키입력부 8: 어드레스ㆍ데이터버스
9: DRAM 10: 내장플래시메모리
11: 카드ㆍ인터페이스 12: 메모리ㆍ카드
101: 정지화상파일 101a: 파일명
101b: 정지화상데이터 101c: 링크동화상파일명
101d: 정지화상촬영시간 102: 동화상파일
102a: 파일명 102b: 동화상데이터
102c: 링크정지화상파일명 102d: 정지화상촬영시간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의 정지화상촬영기능과 동화상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촬영이 가능한 디지털카메라(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카메라(1)는 CCD(2)와 DSP/CPU(3)를 가지고 있다. DSP/CPU(3)는 화상데이터의 압축ㆍ신장처리를 포함하는 각종의 디지털신호처리기능을 갖는 동시에 디지털카메라(1)의 각 부를 제어하는 원칩마이크로컴퓨터이다.
DSP/CPU(3)에는 CCD(2)를 구동하는 TG(Timing Generator)(4)가 접속되어 있고, TG(4)에는 CCD(2)로부터 출력되는 피사체의 광학상에 따른 아날로그의 촬상신호가 입력하는 유닛회로(5)가 접속되어 있다. 유닛회로(5)는 CCD(2)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를 상관이중샘플링하여 홀딩하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회로, 그 촬상신호를 증폭하는 게인조정앰프(AGC), 증폭 후의 촬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AD)로 구성되어 있으며, CCD(2)의 출력신호는 유닛회로(5)를 거쳐서 디지털신호로서 DSP/CPU(3)에 보내진다.
DSP/CPU(3)에는 표시장치(6), 키입력부(7)가 접속되는 동시에, 어드레스ㆍ데이터버스(8)를 통하여 DRAM(9), 내장플래시메모리(10), 카드ㆍ인터페이스(11)가 접속되어 있으며, 카드ㆍ인터페이스(11)에는 디지털카메라(1)의 본체의 도시하지 않는 스로틀에 장착된 착탈 자유로운 메모리ㆍ카드(12)가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ㆍ카드(12)는 촬영된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인 동시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들과 함께 후술하는 링크정보를 기억함으로써 본 발명의 소정 정보기록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표시장치(6)는 컬러LCD와 그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촬영대기상태에 있을 때에는 CCD(2)에 의하여 촬상된 피사체화상을 스루화상으로서 표시하고, 기록화상의 재생시에는 보존용의 메모리인 메모리ㆍ카드(12)로부터 판독되어 신장된 기록화상(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을 표시한다. 또 기록화상의 재생시에는 필요에 따라서 후술하는 정지화상마크(M1)나 동화상마크(M2)를 표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통지수단, 표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키입력부(7)는 셔터버튼, 동화상촬영에 사용하는 녹화개시/종료버튼, 기록화상의 재생시에 사용되는 링크파일의 호출키, 전원키, MENU키 등의 복수의 조작키를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키조작에 따른 키입력신호를 DSP/CPU(3)에 출력한다. 또한 링크파일의 호출키는 셔터버튼 등과의 병용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DRAM(9)은 CCD(2)에 의해 촬상된 후 디지털화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 등을 일시기억하는 버퍼메모리인 동시에, DSP/CPU(3)의 워킹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DRAM(9)에 일시기억된 화상데이터는 예를 들면 셔터버튼이 눌린 정지화상촬영시에는 DSP/CPU(3)에 의해 압축ㆍ신장처리를 포함하는 각종의 디지털신호처리가 실시된 후 최종적으로는 JPEG 등의 소정의 포맷형식의 화상파일로서 메모리ㆍ카드(12)에 기록된다.
내장플래시메모리(10)에는 DSP/CPU(3)에 의한 각 부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프로그램, 즉 AF(오토포커스제어)나 AE(자동노출제어) 등을 포함하는 각종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각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으며, DSP/CPU(3)는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본 발명의 판별수단, 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카메라(1)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사용자가 MENU키의 조작에 의하여 소정의 촬영모드를 설정했을 때의 DSP/CPU(3)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DSP/CPU(3)는 상기 촬영모드가 설정되면 CCD(2)에 의한 촬상을 개시하여 피사체의 스루화상을 표시장치(6)에 표시시키고(스텝SA1), 녹화개시버튼의 조작이나 셔터버튼의 조작이 있기까지의 동안 스루화상의 표시처리를 반복한다(스텝SA2, SA3이 모두 NO).
그 동안에 셔터버튼이 눌리면(스텝SA2에서 NO, SA3에서 YES) 통상의 정지화상촬영모드로 이행하고, AF 및 AE동작에 의한 촬영조건의 설정, CCD(2)에 의한 피사체화상의 기록용의 촬상이라는 정지화상촬영처리를 개시한다(스텝SA4). 그리고 관련되는 처리가 완료했다면(스텝SA5에서 YES) 버퍼메모리(DARM(9))상에서 정지화상파일을 생성하고, 그것을 메모리ㆍ카드(12)에 기록한 후(스텝SA6) 스텝SA1로 되돌아가서 스루화상을 표시한다.
또 스루화상을 표시하는 동안에 녹화개시버튼이 눌렸다면(스텝SA2에서 YES) 동화상촬영모드로 이행하고, 소정의 프레임레이트(1/30초 등의 고정주기)로 화상(동화상프레임)을 촬상하여 기억하는 동화상촬영처리를 개시하는 동시에(스텝SA7), 내부클록의 클록신호에 의거한 동화상촬영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스텝SA8). 또한 동화상촬영처리에 있어서의 동화상프레임의 촬상에 있어서는 CCD(2)에 비교적 짧은 출력타이밍으로 1화면 중의 홀수라인의 화소신호만을 출력시키고, 그 홀수라인의 화소데이터를 버퍼메모리(DRAM(9))에 받아들이며, 받아들인 화상데이터를 소정의 화소수로 솎아내는 처리를 실시한다. 이후 셔터버튼이 눌리거나, 녹화종료버튼이 눌리기까지는 동화상기록처리를 계속한다(스텝SA9, SA15가 모두 NO).
그리고 상기의 동화상기록처리를 실시하는 동안에 셔터버튼이 눌린 경우에는(스텝SA9에서 YES) 인터럽트처리에 의한 정지화상촬영모드로 이행하고, 이하에 서술하는 스텝SA14까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셔터버튼이 눌린 시점에서 통상의 동화상기록처리를 일시정지하고, 직전의 프레임화상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동화상기록처리로 전환한다(스텝SA10). 즉 후술하는 인터럽트에 의한 정지화상촬영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소정의 프레임레이트로 버퍼메모리에 축적해야할 프레임데이터를,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프레임데이터로부터 셔터버튼이 눌리기 직전에 축적한 프레임데이터의 복사인 대체프레임으로 하는 동화상기록처리로 전환한다.
계속해서 스텝SA4와 똑같은 정지화상촬영처리를 개시한 후(스텝SA11) 그것이 완료했다면(스텝SA12에서 YES) 버퍼메모리상에 있어서 도 4a에 나타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지화상파일(101)을 생성하고, 그것을 메모리ㆍ카드(12)에 기록한다(스텝SA13). 여기에서는 파일명(101a)과 압축 후의 정지화상데이터(101b)에 더하여 그 시점에서 기록 중의 동화상을 나타내는 링크정보, 즉 해당 동화상에 할당하는 파일명과 동일한 링크동화상파일명(101c)과, 동화상의 촬영개시시점으로부터 계측되고 있는 시간(경과시간)인 정지화상촬영시간(101d)을 포함하는 정지화상파일(101)을 생성하여 기록한다. 또한 상기한 스텝SA6에서 생성하여 기록하는 정지화상파일은 상기 링크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이다. 또한 스텝SA10에서 전환된 동화상촬영처리를 통상의 동화상촬영처리로 되돌려서(스텝SA14) 동화상촬영을 속행한다.
즉 그 동안에 녹화종료버튼이 눌렸다면(스텝SA15에서 YES) 동화상촬영처리 및 동화상촬영시간의 계측을 정지한다(스텝SA16, SA17). 그리고 동화상촬영 중에 상기한 인터럽트에 의한 정지화상촬영이 없었을 때에는(스텝SA18에서 NO) 그때까지의 동안에 버퍼메모리상에 전개되어 있는 동화상데이터, 즉 주기적으로 촬상된 복수의 프레임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동화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동화상파일(motion-jpeg형식 등의 파일)을 생성하고 메모리ㆍ카드(12)에 기록한다(스텝SA19). 즉 통상의 동화상촬영모드에서의 처리와 똑같은 동화상파일을 기록한다.
한편 동화상촬영 중에 정지화상의 인터럽트촬영이 있었을 때에는(스텝SA18에서 YES) 도 4b에 나타낸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화상파일(102)을 생성하고, 그것을 메모리ㆍ카드(12)에 기록한다(스텝SA20). 여기에서는 파일명(102a)과 압축 후의 동화상데이터(102b)에 더하여 인터럽트촬영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정지화상파일(101)을 나타내는 링크정보, 즉 도 4a에 나타낸 파일명과 동일한 링크정지화상파일명(102c) 및 정지화상촬영시간(102d)으로 이루어지는 링크정보를 상기 정지화상파일(101)의 수만큼 포함하는 동화상파일(102)을 생성하여 기록한다. 또한 상기 한 스텝SA19에서 생성하여 기록하는 동화상파일은 상기 링크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이다. 그리고 이상의 동작에 의해 동화상촬영처리를 일단 종료하고 스텝SA1로 되돌아가고 이후는 상기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 도 5는 사용자가 MENU키의 조작에 의하여 재생모드를 설정했을 때의 DSP/CPU(3)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DSP/CPU(3)는 재생모드가 설정되면 메모리ㆍ카드(12)에 기록되어 있는 정지화상 및 동화상 중에서 표시시키고 싶은 화상을 사용자에게 선택시킨다(스텝SB1).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표시장치(6)의 화면상에 기록화상을 일람표시하고, 소정의 키조작에 의해 임의의 화상을 선택시키거나, 기록화상을 수동조작에 따라서 차례로 전환표시시킴으로써 임의의 화상을 선택시킨다. 또한 기록되어 있는 전체화상 등을 자동적으로 연속하여 표시시키는 슬라이드쇼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는 표시개시조작에 동반하여 DSP/CPU(3)는 표시해야할 화상을 소정의 순서로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이 동화상이었을 때에는(스텝SB2에서 YES) 선택된 동화상파일을 메모리ㆍ카드(12)로부터 판독하여 동화상의 재생을 개시하고, 동화상데이터로서 기록되어 있는 복수장의 프레임화상을 DRAM(9)에 전개하는 동시에, 전개한 프레임화상을 소정의 프레임레이트로 표시장치(6)의 화면상에 차례로 표시시킨다(스텝SB3). 이것에 동반하여 표시장치(6)의 화면상에는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레임화상(F1)이 표시된다.
또 동화상재생 중에 있어서 DSP/CPU(3)는 재생시간이 동화상파일(102)에 링크정보로서 메워넣어져 있는 정지화상촬영시간(102d)의 5초 전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5초 전이 되기까지는(스텝SB4에서 NO) 그대로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계속한다. 또 재생 중의 동화상파일에 링크정보가 메워넣어져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B4의 판별결과가 항상 NO로 되고, 그대로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계속하여 동화상재생이 종료한 시점에서(스텝SB9에서 YES) 자동적으로 화상의 재생동작을 종료하고(사용자에 의한 종료조작을 대기하고 나서로 해도 좋다.) 스텝SB1로 되돌아가서 사용자에게 다른 화상을 선택시킨다.
한편 링크정보가 메워넣어져 있는 동화상파일의 재생 중에 있어서는 재생시간이 5초 전으로 되었다면(스텝SB4에서 YES) 표시장치(6)의 화면상에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시점에서 표시하고 있는 프레임화상(F2)에 겹쳐서 정지화상마크(M1)를 표시시킨다(스텝SB5). 이후 사용자에 의해 링크파일의 호출키의 조작이 없으면(스텝SB6에서 NO) 관련되는 정지화상마크(M1)를 10초간, 즉 재생시간이 정지화상촬영시간(102d)의 5초 후로 되기까지 표시하고(스텝SB7에서 NO) 5초 후로 된 시점에서 그 표시를 정지한다(스텝SB8).
또 정지화상마크(M1)를 표시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에 의한 링크파일의 호출키의 조작이 있으면(스텝SB6에서 YES) 그 시점에서 동화상재생을 중지하고, 정지화상촬영시간(102d)과 세트를 이루어서 동화상파일(102)에 메워넣어져 있는 링크정지화상파일명(102c)에 대응하는 정지화상파일, 즉 현재 재생하고 있는 동화상의 촬영 중이고, 그 시점에서 표시되어 있는 동화상(F2)과 서로 전후하는 타이밍(전의 5초간 또는 후의 5초간)으로 인터럽트촬영된 정지화상의 파일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메모리ㆍ카드(12)로부터 판독하고(스텝SB10) 스텝SB14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B14에서는 판독한 정지화상파일에 의거하여 정지화상을 재생해서 표시장치(6)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한 정지화상(S)에 겹쳐서 동화상마크(M2)를 표시시킨다(스텝SB14). 계속해서 사용자에 의하여 링크파일의 호출키의 조작, 또는 정지화상재생의 종료조작이 있기까지 정지화상(S) 및 동화상마크(M2)의 표시를 계속하고(스텝SB15, SB13이 모두 NO, 스텝SB11이 YES), 그 동안에 정지화상재생의 종료조작이 있으면(스텝SB13에서 YES) 그 시점에서 화상의 재생동작을 일단 종료하고 스텝SB1로 되돌아가서 사용자에게 다른 화상을 선택시킨다.
또 정지화상(S) 및 동화상마크(M2)를 표시하고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링크파일의 호출키가 조작되었을 때에는(스텝SB15에서 YES) 우선 표시 중의정지화상(S)의 파일에 링크정보로서 메워넣어져 있는 링크동화상파일명(101c)에 대응하는 동화상파일, 여기에서는 정지화상(S)을 표시하기 이전에 표시하고 있었던 동화상의 파일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메모리ㆍ카드(12)로부터 판독한다(스텝SB16). 다음으로 링크동화상파일명(101c)과 함께 메워넣어져 있는 정지화상촬영시간(101d)을 확인하는 동시에, 판독한 동화상파일(102)에 있어서의 상기 정지화상촬영시간(101d)에 나타내어지는 재생시간에 대응하는 프레임(F3)(도 6d)으로부터의 동화상재생을 개시한다. 즉 정지화상(S)이 촬영된 후에 촬영된 부분이고, 여기에서는 정지화상(S)의 표시에 있어서 중지된 동화상의 나머지의 부분에 대한 동화상재생을 개시하고, 동시에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화상마크(M1)를 다시 겹쳐서 표시시킨다(스텝SB17).
그러한 후 상기한 스텝SB7로 되돌아가고 5초 경과 후에 정지화상마크(M1)를 소거한다(스텝SB7에서 YES, 스텝SB8). 그 이후는 여기에서 재생 중의 동화상파일에 다른 링크정보가 있으면 상기한 스텝SB4∼SB7의 처리에 의해 소정 시간만큼 정지화상마크(M1)를 표시시키고, 또한 그 동안에 사용자에 의한 링크파일의 호출키의 조작이 있으면 동화상재생을 중지하고 다른 링크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정지화상을 표시한다. 또 다른 링크정보가 없으면 나머지의 부분의 동화상재생이 종료한 시점에서(스텝SB9에서 YES) 자동적으로(또는 사용자의 종료조작을 기다리고 나서) 화상의 재생동작을 일단 종료하고 스텝SB1로 되돌아가서 사용자에게 다른 화상을 선택시킨다.
또한 이상의 처리와는 별도로 스텝SB1에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화상이 정지화상인 경우에는(스텝SB2에서 NO) 우선 선택된 정지화상의 파일에 상기한 링크동화상파일명(101c)(도 4a 참조)이 메워넣어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B11). 그리고 관련되는 판별의 결과가 NO이었을 때에는 통상의 정지화상재생을 실시한 후(스텝SB12) 사용자에 의한 정지화상의 재생종료조작을 기다리고(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화상의 재생동작을 일단 종료하고 스텝SB1로 되돌아가서 사용자에게 다른 화상을 선택시킨다.
또 스텝SB11의 판별결과가 YES이고, 선택된 정지화상의 파일에 링크동화상파일명(101c)이 메워넣어져 있었을 때에는 정지화상을 재생하는 동시에 그것에 겹쳐서 동화상마크(M2)를 표시시킨 후(스텝SB14) 상기한 스텝SB15 이후의 처리를 실시한다. 즉 해당정지화상의 재생을 종료하기 이전에 사용자에 의한 링크파일의 호출키의 조작이 있으면 링크동화상파일명(101c)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는 동화상의 재생을, 정지화상촬영시간(101d)(도 4a 참조)에 나타내어진 타이밍에 대응하는 재생장소(도중)로부터 재생하는 처리로 이행한다. 이후 상기한 각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1)에 따르면, 사용자는 동화상의 재생 중에 있어서, 그 동화상의 촬영 중에 촬영되어 있었던(동시촬영된) 정지화상이 있는 경우 정지화상마크(M1)가 화면표시됨으로써 그 정지화상의 존재, 또는 그 정지화상의 촬영시기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화상과 동시촬영된 정지화상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간단히 알 수 있다.
게다가 정지화상마크(M1)가 화면표시되는 동안에는 링크파일의 호출키를 조작함으로써 동시촬영된 정지화상을 바로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정지화상을 재생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다. 특히 동화상의 촬영 중에 촬영되어 있었던 정지화상이 다수 존재해 있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현저하다.
또한 사용자는 정지화상의 재생 중에 있어서, 그 정지화상의 촬영시에 촬영중이었던(동시촬영된) 동화상이 있는 경우 동화상마크(M2)가 화면표시됨으로써 그 동화상의 존재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지화상과 동시촬영된 동화상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도 간단히 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정지화상의 각각에 대하여 동시촬영된 동화상을 알고 싶은 경우에는 그 효과가 현저하다.
게다가 동화상마크(M2)가 화면표시되는 동안에는 링크파일의 호출키를 조작함으로써 동시촬영되어 있었던 동화상을 바로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 동화상을 재생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다. 또한 동시촬영되어 있었던 동화상을, 자동적으로 정지화상의 촬영타이밍에 대응하는 도중의 재생장소로부터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지화상이 어떠한 시기에 촬영된 것인지도 알 수 있어서 편리하다.
여기에서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촬영 중에 정지화상촬영을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동화상촬영 중에 정지화상촬영이 지시된 경우에 동화상촬영처리를 일시중단하고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함(인터럽트촬영을 실시함)으로써 동시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동화상촬영처리를 중단하는 일 없이 정지화상촬영처리를 병행하여 실행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동화상촬영처리와 정지화상촬영처리를 병행하여 실행하는 방법의 한 예로서는 동화상촬영 중에 정지화상촬영이 지시된 경우에 지시타이밍의 프레임화상을 동화상중에서 추출하여 정지화상으로서 기록함으로써 동시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나, 정지화상촬영용의 촬상소자와 동화상촬영용의 촬상소자를 별개로 설치함으로써 동시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가 고안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지화상파일(101), 동화상파일(102)(이하 양쪽을 합쳐서 화상파일이라고 한다.)에 링크정보로서 링크파일명(전자에서는 링크동화상파일명(101c), 후자에서는 링크정지화상파일명(102c))을 메워넣도록 했는데, 링크파일(정지화상파일(101) 또는 동화상파일(102))의 유무를 알 수 있는 정도의 플래그정보를 메워넣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재생대상의 화상파일 중에 플래그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재생화상상에 동화상마크나 정지화상마크를 표시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양쪽의 화상파일을 자동적으로 호출할 수는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지화상파일(101), 동화상파일(102)의 양쪽에 링크파일명(또는 플래그정보)을 메워넣도록 했는데 어느 쪽인가 한쪽만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크정보(링크동화상파일명(101c), 링크정지화상파일명(102c))나 정지화상촬영시간(101d, 102d)을 화상파일 중에 메워넣도록 했는데, 화상파일 이외에 별개로 관리파일을 작성하여 링크정보, 정지화상촬영시간, 링크파일의 유무 등을 기억하도록 하거나, 링크시키는 정지화상파일과 동화상파일의 파일명을 같게 함으로써 링크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정지화상의 촬영일시, 동화상의 촬영개시일시 및 촬영종료일시를 기억하도록 하고, 이 동화상의 촬영개시일시와 촬영종료일시의 사이에 정지화상의 촬영일시가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함으로써 동화상과 정지화상의 링크관계를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촬영기록시에 특별한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재생 중, 정지화상촬영타이밍의 전후(5초간)에서만 정지화상마크(M1)를 표시시키고 링크하는 정지화상파일을 호출시키도록 했는데, 동화상재생 중, 항상 정지화상마크(M1)를 표시시키고 항상 링크하는 정지화상파일을 호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정지화상촬영시간을 화상파일 중에 메워넣을 필요가 없어진다. 다만 그 경우에는 DSP/CPU(3)를 본 발명의 재생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1개의 동화상파일에 링크하는 정지화상파일이 복수 있는 경우는 재생동화상상에 링크정지화상의 썸네일화상(축소화상)을 정지화상아이콘으로서 복수 표시시키고,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거나, 또는 링크하는 복수의 정지화상파일을 차례로 판독하여 멀티화면표시하거나 슬라이드쇼(또는 오토스크롤)표시한다는 고안이 필요해진다. 또 그 때에 표시하는 것은 정지화상아이콘이나 정지화상 이외에도 예를 들면 정지화상파일명이나 화상번호이어도 좋고, 요는 링크하는 복수의 정지화상을 특정할(식별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정보이면 다른 정보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마크(M2)가 표시되어 있는 정지화상재생 중에 링크파일호출키가 조작되면 그 정지화상의 촬영시간인 동화상의 도중으로부터 동화상재생을 개시하도록 했는데, 동화상의 최초부터 동화상재생을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정지화상촬영시간을 화상파일 중에 메워넣을 필요가 없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파일 중에 링크동화상파일명(101c, 102c)과 함께, 동화상의 촬영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정지화상촬영시간(101d, 102d)을 메워넣도록 했는데, 동화상촬영개시시각, 정지화상촬영시각, 정지화상촬영시에 있어서의 동화상촬영개시로부터의 동화상프레임수 등을 기억하도록 하고, 화상재생시 이들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동화상 중의 정지화상촬영타이밍을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의 재생화상상에 정지화상마크(M1)나 동화상마크(M2)를 표시시킴으로써 링크화상의 존재를 알리도록 했는데, 정지화상마크(M1)나 동화상마크(M2)를 대신하여 링크화상의 썸네일화상을 재생화상상의 일부에 표시시킴으로써 링크화상의 존재를 알리도록 하거나, 정지화상마크(M1)나 동화상마크(M2)를 대신하여 또는 더하여 링크파일명, 화상번호 등의 링크화상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표시시킴으로써 링크화상의 존재를 알리도록 하거나, 메시지표시, 화상강조, 음향출력, LED점등 등의 다른 통지수단을 이용하여 링크화상의 존재를 알리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재생 중에 링크화상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그 후 사용자가 수동조작을 실시한 경우에 링크하는 화상파일을 호출시키도록 했는데, 재생 중의 화상에 링크화상이 있는 경우 자동적으로 링크화상을 호출하고 자화면(thumbnail)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모드에 있어서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1개만 단독표시시키도록 했는데,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멀티화면표시(일람표시)시키고 각 화상상에 정지화상마크(M1)나 동화상마크(M2)를 표시시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링크화상의 유무를 한눈에 알 수 있는 동시에 링크화상을 바로 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촬영 중에 정지화상촬영한 경우에 얻어지는 동화상과 정지화상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CCD 등의 촬상소자를 2개 설치하고 이 2개의 촬상소자에 의한 동시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2개의 정지화상 또는 2개의 동화상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2개의 촬상소자에 의해 다른 해상도, 다른 화각(field angle), 다른 촬영범위의 촬영을 동시에 실시하고, 얻어진 복수의 화상을 관련지워서 기록한다는 것이 고안된다.
또한 촬상소자를 3개 이상 설치하고, 그들 복수의 촬상소자에 의한 동시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3 이상의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이나 정지화상과 동화상이 혼재하는 3 이상의 화상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동화상데이터와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정지화상데이터를 모두 동일한 메모리카드에 기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동화상데이터와 정지화상데이터를 각각 다른 기록미디어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동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동화상데이터를 자기테이프에 기록하고 있는 한 가운데에 정지화상촬영이 지시된 경우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정지화상데이터를 메모리카드에 기록한다는 것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촬영기능부착 디지털카메라에 본 발명을 적용했는데, 정지화상촬영기능부착 무비카메라, 카메라부착 휴대전화, 카메라부착 PDA,카메라부착 퍼스널컴퓨터 등이어도 좋고, 요는 동시촬영기능을 구비한 기기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4)

  1.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라고 판별된 경우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와 동시촬영된 촬영화상데이터가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가,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취득된 정지화상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가, 그 촬영 중에 정지화상촬영이 실시된 동화상촬영에 의해 취득된 동화상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 적어도 1개의 촬영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상기 소정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그 촬영 중에 정지화상촬영이 실시된 동화상촬영에 의해 취득된 동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시에, 상기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촬영의 타이밍을 특정하는 타이밍정보를 상기 동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기록하고,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한 동화상데이터의 재생 중에 있어서, 해당 동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타이밍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타이밍으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를 서로 관련지워서 기록하고,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다른 촬영화상데이터의 화상종별을 나타내는 종별정보를 표시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다른 촬영화상데이터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다른 촬영화상데이터를,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와 함께 표시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를 동시재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동시재생되는 각 촬영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동시재생되는 각 촬영화상데이터와 대응지워서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다른 촬영화상데이터의 유무를 표시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다른 촬영화상데이터가 복수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다른 촬영화상데이터가 복수 존재한다고 판별된 경우에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다른 촬영화상데이터가 복수 존재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를 서로 관련지워서 기록하고,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재생수단에 재생시키는 재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취득된 정지화상데이터 및 상기 동화상촬영에 의해 취득된 동화상데이터를 서로 관련지워서 기록하는 동시에, 상기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촬영의 타이밍을 특정하는 타이밍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정지화상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정지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동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타이밍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재생수단에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키입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한 키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촬영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재생수단에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취득된 정지화상데이터 및 상기 동화상촬영에 의해 취득된 동화상데이터를 서로 관련지워서 기록하는 동시에, 상기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촬영의 타이밍을 특정하는 타이밍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재생수단에 의한 동화상데이터의 재생 중에 있어서, 해당 동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타이밍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타이밍으로만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한 키입력의 접수를 허가하는 허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한 키입력을 접수한 경우에,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동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정지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재생수단에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한 동화상데이터의 재생 중에 있어서, 해당 동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타이밍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타이밍으로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기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 적어도 1개의 촬영화상데이터와 관련지워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촬영화상데이터를 관련지워서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취득된 정지화상데이터 및 상기 동화상촬영에 의해 취득된 동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동화상촬영 중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촬영의 타이밍을 특정하는 타이밍정보를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23.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텝과,
    재생된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재생된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라고 판별된 경우에 통지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
  24.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가 갖는 컴퓨터에,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데이터를 재생하는 처리와,
    재생된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처리와,
    상기 재생된 촬영화상데이터가 동시촬영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영화상데이터 중의 1개라고 판별된 경우에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040021390A 2003-03-31 2004-03-30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 KR100587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93562A JP2004304425A (ja) 2003-03-31 2003-03-31 電子カメラ
JPJP-P-2003-00093562 2003-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609A true KR20040086609A (ko) 2004-10-11
KR100587883B1 KR100587883B1 (ko) 2006-06-12

Family

ID=3284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390A KR100587883B1 (ko) 2003-03-31 2004-03-30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11623B2 (ko)
EP (1) EP1465402B1 (ko)
JP (1) JP2004304425A (ko)
KR (1) KR100587883B1 (ko)
CN (1) CN1254957C (ko)
DE (1) DE602004001900T2 (ko)
TW (1) TWI25457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55B1 (ko) * 2005-09-16 2008-03-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
KR100921349B1 (ko) * 2006-10-16 2009-10-13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US7659927B2 (en) 2005-09-16 2010-02-09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video camera and mode chang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188B1 (ko) * 2004-01-28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7529003B2 (en) * 2004-02-06 2009-05-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cann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4296501B2 (ja) * 2004-09-02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6074515A (ja) * 2004-09-02 2006-03-16 Sony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US9374494B2 (en) * 2004-09-08 2016-06-21 Sony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CN100562085C (zh) * 2004-09-08 2009-11-18 索尼株式会社 记录装置及方法、再生装置及方法以及程序
JP2006148683A (ja) * 2004-11-22 2006-06-08 Canon Inc 画像音声記録再生装置
US8606383B2 (en) 2005-01-31 2013-12-1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Audio sharing
US9082456B2 (en) 2005-01-31 2015-07-1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designation
US7920169B2 (en) 2005-01-31 2011-04-05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oximity of shared image devices
US9910341B2 (en) 2005-01-31 2018-03-06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designation
US9124729B2 (en) 2005-01-31 2015-09-01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synchronization or designation
US9325781B2 (en) 2005-01-31 2016-04-26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Audio sharing
US9489717B2 (en) 2005-01-31 2016-11-08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US8902320B2 (en) 2005-01-31 2014-12-0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synchronization or designation
US7876357B2 (en) 2005-01-31 2011-01-2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stimating shared image device operational capabilities or resources
US20060174203A1 (en) 2005-01-31 2006-08-0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Viewfinder for shared image device
JP4148228B2 (ja) 2005-02-10 2008-09-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画像再生制御装置、画像記録再生制御装置、これらの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6261953A (ja) * 2005-03-16 2006-09-28 Canon Inc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KR100713404B1 (ko) * 2005-03-24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녹화 중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JP4035543B2 (ja) * 2005-04-04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137085B2 (ja) 2005-04-21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7872675B2 (en) * 2005-06-02 2011-01-1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aved-image management
US9451200B2 (en) 2005-06-02 2016-09-20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torage access technique for captured data
US9942511B2 (en) 2005-10-31 2018-04-10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eservation/degradation of video/audio aspects of a data stream
US8964054B2 (en) 2006-08-18 2015-02-2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apturing selected image objects
US7782365B2 (en) * 2005-06-02 2010-08-24 Searete Llc Enhanced video/still image correlation
US9819490B2 (en) 2005-05-04 2017-11-14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Regional proximity for shared image device(s)
US9621749B2 (en) 2005-06-02 2017-04-11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apturing selected image objects
US10003762B2 (en) 2005-04-26 2018-06-19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s
US20070222865A1 (en) 2006-03-15 2007-09-2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Enhanced video/still image correlation
US8681225B2 (en) 2005-06-02 2014-03-25 Royce A. Levien Storage access technique for captured data
US9191611B2 (en) 2005-06-02 2015-11-17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nditional alteration of a saved image
US9001215B2 (en) 2005-06-02 2015-04-0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stimating shared image device operational capabilities or resources
US9967424B2 (en) 2005-06-02 2018-05-08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storage usage protocol
JP4902136B2 (ja) * 2005-04-28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86006B2 (ja) 2005-06-28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485423B2 (ja) * 2005-07-07 2010-06-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監視カメラ、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JP4574489B2 (ja) * 2005-08-12 2010-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74266A (ja) * 2005-09-06 2007-03-22 Fujifilm Corp 撮像装置、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サーバ
JP4525561B2 (ja) * 2005-11-11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637045B2 (ja) * 2006-03-27 2011-02-23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7336281A (ja) 2006-06-15 2007-12-27 Sony Corp 画像記録装置、画像再生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再生方法
JP2008011349A (ja) * 2006-06-30 2008-01-17 Nikon Corp 動画撮影が可能なカメラ
JP2008047957A (ja) * 2006-08-10 2008-02-28 Pentax Corp カメラ
JP2008228282A (ja) * 2007-02-13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
JP4818158B2 (ja) * 2007-02-20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301014A (ja) * 2007-05-30 2008-12-11 Fujifilm Corp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24228B2 (ja) * 2007-06-19 2012-04-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38649A (ja) * 2007-08-02 2009-02-19 Panasonic Corp 信号処理回路、及び撮影装置
BRPI0917242B1 (pt) * 2008-08-26 2019-12-10 Hitachi Ltd sistema e método de suporte de arranjo de operação
JP5436975B2 (ja) * 2009-08-21 2014-03-0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カメラの表示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11049882A (ja) * 2009-08-27 2011-03-10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US20110050942A1 (en) * 2009-08-28 2011-03-03 Nikon Corporation Image file data structure, image file generation device, image file gen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camera
US20110102616A1 (en) * 2009-08-28 2011-05-05 Nikon Corporation Data structure for still image file, image file generation device,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JP2011199465A (ja) * 2010-03-18 2011-10-06 Panasonic Corp 撮像装置
EP2590395A4 (en) * 2010-06-30 2014-02-19 Fujifilm Corp IMAGE PROCESSING AND DEVICE
JP2012065282A (ja) * 2010-09-17 2012-03-29 Panasonic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編集装置、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編集プログラム
US8681234B2 (en) * 2010-09-28 2014-03-2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System and methdod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still photo and video content
KR101739379B1 (ko) * 2011-01-11 2017-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37086B1 (ko) * 2011-01-17 201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520080B2 (en) 2011-01-31 2013-08-27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imaging assembly on mobile terminal
JP2012175533A (ja) * 2011-02-23 2012-09-10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JP5145444B2 (ja) * 2011-06-27 2013-02-2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239253B (zh) 2012-02-14 2015-07-15 株式会社东芝 医用图像诊断装置
JP2013172792A (ja) * 2012-02-24 2013-09-05 Toshiba Corp 医用画像診断装置
US20150202493A1 (en) * 2012-05-22 2015-07-23 Joseph P. Ganno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physical skills of a person
JP5975764B2 (ja) * 2012-07-06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4057174A (ja) * 2012-09-11 2014-03-27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14057169A (ja) * 2012-09-11 2014-03-27 Olympus Imaging Corp 画像生成装置、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JP6021594B2 (ja) * 2012-11-08 2016-11-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080746B1 (ko) * 2013-07-12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5896181B2 (ja) * 2014-01-23 2016-03-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10485A (ko) * 2015-07-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2298B2 (ja) 1996-04-01 2006-03-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
JPH09284692A (ja) 1996-04-10 1997-10-31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再生装置
US6606451B2 (en) 1997-02-12 2003-08-12 Minolta Co., Lt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image control method
JPH1155617A (ja) 1997-08-04 1999-02-26 Hitachi Ltd 撮影装置
JP2000069407A (ja) 1998-08-20 2000-03-03 Canon Inc 画像記録再生装置
EP1081946A3 (en) * 1999-09-03 2004-01-02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of video signal
JP2001111934A (ja) 1999-10-04 2001-04-20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JP3389545B2 (ja) 1999-12-27 2003-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装置、再生装置およびこれらを接続した記録再生装置
JP4213840B2 (ja) 2000-03-09 2009-0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型画像再生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ならびに携帯型撮像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7228061B2 (en) * 2000-11-17 2007-06-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system, image reproducing apparatus, digital television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based on additional information read from multiple image recording apparatuses
JP2002290908A (ja) 2001-03-28 2002-10-04 Minolta Co Ltd 撮影装置、動画および静止画の記録制御方法、画像編集装置
JP2003009044A (ja) 2001-06-26 2003-01-10 Canon Inc 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JP4541610B2 (ja) 2001-09-17 2010-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5303336A (ja) * 2001-10-25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記録装置および映像信号再生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55B1 (ko) * 2005-09-16 2008-03-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
US7659927B2 (en) 2005-09-16 2010-02-09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video camera and mode changing method
KR100921349B1 (ko) * 2006-10-16 2009-10-13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TWI399081B (zh) * 2006-10-16 2013-06-11 Casio Computer Co Ltd 攝像裝置、連續攝影方法、以及記憶有程式之記憶媒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65402A1 (en) 2004-10-06
US7411623B2 (en) 2008-08-12
TW200507645A (en) 2005-02-16
DE602004001900T2 (de) 2007-09-06
DE602004001900D1 (de) 2006-09-28
US20040189823A1 (en) 2004-09-30
CN1534986A (zh) 2004-10-06
EP1465402B1 (en) 2006-08-16
CN1254957C (zh) 2006-05-03
KR100587883B1 (ko) 2006-06-12
JP2004304425A (ja) 2004-10-28
TWI254578B (en) 200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883B1 (ko)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
KR100634565B1 (ko)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KR100899912B1 (ko) 영상 처리기, 영상처리 방법과 그에 대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JP477718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66501A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528655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653019B2 (ja) 表示制御装置
JP461287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218909B2 (ja) 撮影装置
US2004013063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3913046B2 (ja) 撮像装置
JP2004104534A (ja) 撮像装置
JP2010119139A (ja) 画像再生装置
JP5034969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4429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192096A (ja) 撮像装置、動画ファイル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79667A (ja) 撮影装置
JP200427460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086763A (ja) 画像表示制御装置、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830044B2 (ja) 表示制御装置
JP4300959B2 (ja) 電子カメラ並びに画像編集装置及び方法
JP2010074612A (ja) モニタ付カメラ装置、及びその画像表示方法と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6238194A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方法
JP200424806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911037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