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349B1 -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349B1
KR100921349B1 KR1020070103844A KR20070103844A KR100921349B1 KR 100921349 B1 KR100921349 B1 KR 100921349B1 KR 1020070103844 A KR1020070103844 A KR 1020070103844A KR 20070103844 A KR20070103844 A KR 20070103844A KR 100921349 B1 KR100921349 B1 KR 10092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recording
scene
image
cond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410A (ko
Inventor
겐지 이와모토
오사무 노지마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816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991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559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160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2Image capture parameters, e.g. resolution, illumination conditions, orientation of the image captur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colour related metadata, e.g. colour, ICC profiles
    • H04N2201/325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colour related metadata, e.g. colour, ICC profiles relating to the image, page or document, e.g. intended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연속촬영모드로 설정되면,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을 입력시키기 위한 화면을 표시시키고(S1), 사용자에 의해서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이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S2),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이 입력되면 해당 입력된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을 기억하고(S3), 스루화상표시를 개시시킨다 (S4). 그리고 촬영이 지시되면(S5에서 YES), 해당 기억한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연속해서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는 연속촬영처리를 개시한다 (S6).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되면(S7에서 YES), 해당 얻어진 촬영조건이 다른 복수의 정지화상데이터를 기록한다(S8).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브래킷팅 촬영, 오토 브래킷, 촬영파라미터

Description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IMAGING APPARATUS, CONTINUOUS IMAG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본 발명은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관련되며, 상세하게는 연속해서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는 연속촬영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심사 일본국 특개 2005-35416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노출값 등의 특정의 촬영파라미터의 설정값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각 단계에서 촬영을 연속해서 실행하는 오토 브래킷(Auto bracket, 오토 브래킷팅) 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카메라 등의 촬상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오토 브래킷 기능에 있어서는 촬영할 때에 변화시키는 촬영파라미터가 노출값 등의 특정의 촬영파라미터에만 한정시킨 것인 것으로부터 촬영결과로서 얻어지는 복수장의 화상간에 있어서의 화질의 변화도, 그것에 준한 단조로운 변화에 지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화질이 보다 다양하게 변화한 복수장의 화상의 취득을 원할 경우에는 그러한 요구에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브래킷팅 촬영을 실행할 때의 사용 편리함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련되는 촬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과,
상기 각 정지화상촬영의 촬영조건을 각각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연사제어수단이 제어함으로써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실행한 각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이 기록하도록 제어 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사제어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이 설정한 각각 다른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련되는 연속촬영방법은,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의 촬영조건을 각각 설정하는 설정스텝과,
상기 설정스텝에서 설정한 각각 다른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는 연사제어스텝과,
상기 연사제어스텝에 있어서 다른 타이밍으로 실행한 각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제어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는 촬상장치가 갖는 컴퓨터를,
상기 촬상수단이 피사체를 촬상할 때의 촬영조건을 복수 설정하는 설정수단,
상기 촬상수단이, 상기 설정수단이 설정한 각각 다른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
상기 연사제어수단이 제어함으로써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실행한 각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를 기록수단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관련되는 촬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을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과,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1개의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에 의거한 단사촬영을 제어하는 단사제어수단과,
상기 복수의 촬영씬으로부터 복수의 촬영씬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촬영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새로운 촬영조건을 복수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촬영조건에 각각 의거한 연사촬영을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과,
상기 단사제어수단에 의한 단사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지화상, 및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한 연사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수장의 정지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화상기억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관련되는 연속촬영방법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을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을 구비하는 촬상장치의 연속촬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1개의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에 의거한 단사촬영을 제어하는 단사제어스텝과,
상기 복수의 촬영씬으로부터 복수의 촬영씬을 선택하는 선택스텝과,
상기 선택스텝에서 선택된 복수의 촬영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새로운 촬영조건을 복수 생성하는 생성스텝과,
상기 생성스텝에서 생성된 복수의 촬영조건에 각각 의거한 연사촬영을 제어하는 연사제어스텝과,
상기 단사제어스텝에 있어서의 단사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으로 얻어진 정지화상, 및 상기 연사제어스텝에 있어서의 연사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으로 얻어진 복수장의 정지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화상기억제어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을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과, 상기 복수의 촬영씬으로부터 복수의 촬영씬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촬상장치가 갖는 컴퓨터를,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1개의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에 의거한 단사촬영을 제어하는 단사제어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촬영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새로운 촬영조건을 복수 생성하는 생성수단,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촬영조건에 각각 의거한 연사촬영을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
상기 단사제어수단에 의한 단사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지 화상, 및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한 연사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수장의 정지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화상기억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관련되는 촬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촬영씬에 대응하는 제 1, 제 2 촬영조건을 복수조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과,
복수의 촬영씬으로부터 임의의 촬영씬을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선택제어수단과,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선택제어수단이 사용자에게 선택시킨 촬영씬에 대응하는 제 1 촬영조건에 의거한 단사촬영을 제어하는 단사제어수단과,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선택제어수단이 사용자에게 선택시킨 촬영씬에 대응하는 제 2 촬영조건에 의거한 브래킷팅 촬영을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과,
상기 단사제어수단에 의한 단사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지화상, 및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한 브래킷팅 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수장의 정지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화상기억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관련되는 연속촬영방법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촬영씬에 대응하는 제 1, 제 2 촬영조건을 복수조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연속촬영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촬영씬으로부터 임의의 촬영씬을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선택제어스텝과,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선택제어스텝이 사용자에게 선택시킨 촬영씬에 대응하는 제 1 촬영조건에 의거한 단사촬영을 제어하는 단사제어스텝과,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선택제어스텝이 사용자에게 선택시킨 촬영씬에 대응하는 제 2 촬영조건에 의거한 브래킷팅 촬영을 제어하는 연사제어스텝과,
상기 단사제어스텝에 있어서의 단사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으로 얻어진 정지화상, 및 상기 연사제어스텝에 있어서의 브래킷팅 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으로 얻어진 복수장의 정지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화상기억제어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관점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촬영씬에 대응하는 제 1, 제 2 촬영조건을 복수조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을 구비하는 촬상장치가 갖는 컴퓨터를,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제 1 촬영조건에 의거한 단사촬영을 제어하는 단사제어수단,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제 2 촬영조건에 의거한 브래킷팅 촬영을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
상기 단사제어수단에 의한 단사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지화상, 및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한 브래킷팅 촬영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수장의 정지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화상기억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래킷팅 촬영을 실행할 때의 사용 편리함을 대폭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해 본 발명의 촬상장치를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한 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디지털카메라의 구성
도 1은 디지털카메라(1)의 전기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카메라(1)는 촬영렌즈(2), 렌즈구동블록(3), CCD(4), 드라이버(5), TG(timing generator, 6), 유닛회로(7), 화상생성부(8), CPU(9), 키 입력부(10), 메모리(11), DRAM(12), 플래시메모리(13), 화상표시부(14), 버스(15)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렌즈(2)는 도시하지 않는 포커스렌즈, 줌렌즈를 포함하고, 렌즈구동블록(3)이 접속되어 있다. 렌즈구동블록(3)은 도시하지 않는 포커스렌즈, 줌렌즈를 각각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포커스모터, 줌모터와, CPU(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포커스모터, 줌모터를 각각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포커스모터드라이버, 줌모터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있다.
CCD(4, 촬상소자)는 드라이버(5)에 의해서 구동되고, 일정주기마다 피사체상의 RGB값의 각 색의 빛의 강도를 광전 변환하여 촬상신호로서 유닛회로(7)에 출력한다. 이 드라이버(5), 유닛회로(7)의 동작타이밍은 TG(6)를 통하여 CPU(9)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CCD(4)는 베이어 배열의 색필터를 갖고 있고, 전자셔터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이 전자셔터의 셔터속도는 드라이버(5), TG(6)를 통하여 CPU(9)에 의해 제어된다.
유닛회로(7)에는 TG(6)가 접속되어 있고, CCD(4)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를 상관이중샘플링해서 보관 유지하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회로, 그 샘플링 후의 촬상신호의 자동이득조정을 실행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회로, 그 자동이득조정 후의 아날로그의 촬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CCD(4)로부터 출력된 촬상신호는 유닛회로(7)를 거쳐 디지털신호로서 화상생성부(8)에 보내진다.
화상생성부(8)는 유닛회로(7)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데이터에 대해 γ보정처리, 화이트밸런스처리 등의 처리를 시행하는 동시에, 휘도색차신호(YUV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된 휘도색차신호의 화상데이터는 CPU(9)에 보내진다. 즉, 화상생성부(8)는 CCD(4)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터에 대해 화상처리를 시행한다.
CPU(9)는 화상생성부(8)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을 갖 는 동시에, 디지털카메라(1)의 각부를 제어하는 원칩 마이크로컴퓨터이다.
특히, CPU(9)는 적어도 CCD(4)를 이용하여 동화상을 촬상하고, 해당 얻어진 동화상을 화상표시부(14)에 표시시키는 기능(스루표시제어수단), CCD(4)를 이용하여 연속해서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는 기능(연사제어수단), 연속촬영의 촬영마다의 촬영조건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수단), 해당 연속촬영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하는 기능(기록제어수단)을 갖는다.
키 입력부(10, 입력수단, 선택수단)는 전원On/Off 키, 모드전환 키, 셔터버튼, 십자 키, 설정 키, 전송 키, 삭제 키, 취소 키 등의 복수의 조작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CPU(9)에 출력한다.
메모리(11)에는 CPU(9)가 각부를 제어하는데에 필요한 제어프로그램 및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며, CPU(9)는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DRAM(12)은 CCD(4)에 의해서 촬상된 후, CPU(9)에 보내져 온 화상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버퍼메모리(11)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CPU(9)의 작업메모리(11)로서 사용된다.
플래시메모리(13)는 압축된 화상데이터를 보존하는 기록매체이다.
화상표시부(14)는 컬러LCD와 그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촬영대기상태에 있을 때에는 CCD(4)에 의해서 촬상된 피사체를 스루화상으로서 표시하며, 동화상 촬영중일 때도 CCD(4)에 의해서 촬상된 피사체의 동화상을 표시시킨다. 또, 동화상 촬영중에 정지화상촬영처리가 실행되었을 경우는 동화상과 함께 촬영된 정지화상을 표시시킨다.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
이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을 도 2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사용자의 모드전환 키의 조작에 의해 연속촬영모드가 설정되면, CPU(9)는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을 입력시키기 위한 화면을 화상표시부(14)에 표시시킨다(스텝S1).
여기에서 촬영조건이란, 포커스제어, 셔터속도, 조리개, EV시프트량, 감도, 필터, 화이트밸런스(WB), 색 강조 등의 촬영파라미터를 종합한 것을 말하며, 각 장의 촬영파라미터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CPU(9)는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
여기에서, 사용자는 스텝S1에서 표시된 화면을 보면서, 십자 키 등을 조작함으로써, 촬영장수의 수를 입력할 수 있는 동시에, 현재의 촬영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촬영조건을 각 장마다 입력할 수 있다. 즉, 현재의 촬영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복수 패턴의 촬영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장수를 3장으로 입력할 경우에는 1장째의 촬영조건, 2장째의 촬영조건, 3장째의 촬영조건이라는 바와 같이 각 장의 촬영조건을 입력할 수 있고,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의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생각하면 사용자는 설정 키의 조작을 실행한다.
현재의 촬영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촬영조건은 반드시 1개는 아니고, 실제로 촬영을 해 보지 않으면, 어떤 것이 제일 좋은 촬영조건인지 모르기 때문이 다.
그리고 CPU(9)는 해당 설정 키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키 입력부(10)로부터 보내져 왔다고 판단하면,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의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입력하는 각 촬영파라미터는 값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오토」로 선택해서 값을 입력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오토가 선택된 경우는, CPU(9)는 촬영시에 자동적으로 오토가 입력된 촬영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 결정은 촬영시 직전에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촬영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의 입력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2; NO), CPU(9)는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때까지 스텝S2의 처리를 반복한다.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의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S2; YES), CPU(9)는 해당 입력된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을 버퍼메모리(DRAM(12))의 촬영조건기억영역에 기억시킨다(스텝S3)(설정수단). 즉, 입력된 복수 패턴의 촬영조건을 연속촬영의 각 촬영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한다.
다음으로, CPU(9)는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로 CCD(4)에 의한 촬상을 개시시키고, CCD(4)로부터 차례차례 출력되며, 화상생성부(8)에 의해서 차례차례 생성된 휘도색차신호의 화상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기억시켜 가고, 해당 기억시킨 화상데이터를 화상표시부(14)에 표시시켜 간다고 하는, 이른바 스루화상표시를 개시한다(스텝S4)(스루표시제어수단).
다음으로, CPU(9)는 사용자에 의해서 촬영의 지시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5).
CPU(9)는 셔터버튼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키 입력부(10)로부터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에 의해 촬영지시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촬영지시가 실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5; NO), CPU(9)는 촬영지시가 실행될 때까지 스텝S5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촬영의 지시가 실행되었다고 판단하면(S5; YES), CPU(9)는 스텝S3에서 기억한 촬영장수 및 각 장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연속촬영처리를 개시한다(스텝S6)(연사제어수단).
구체적으로는 촬영장수가 예를 들면 3장으로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기억되어 있는 1장째의 촬영조건하에서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고, 계속해서 기억되어 있는 2장째의 촬영조건하에서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며, 계속해서 기억되어 있는 3장째의 촬영조건하에서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는 연속촬영처리를 개시한다. 이 촬영처리에 의해 얻어진 정지화상데이터는 차례차례 버퍼메모리에 기억된다. 즉, 입력된 복수 패턴의 촬영조건으로 각각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촬영파라미터가 「오토」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촬영지시가 실행된 가장 최근에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결정한다.
연속촬영처리를 개시하면, CPU(9)는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7).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7; NO), CPU(9)는 연속촬영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스텝S7의 처리를 반복한다.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면(S7; YES), CPU(9)는 해당 연속촬영처리에 의해 얻어진 각 정지화상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한다(스텝S8)(기록제어수단). 이에 따라 촬영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촬영조건하에서 촬영된 화상이 기록되고,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현재의 촬영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복수 패턴의 촬영조건을 입력하고, 해당 입력된 복수 패턴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연속해서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므로, 얻어진 복수의 정지화상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즉, 단지 현재의 촬영상황에 적합한 바와 같은 촬영조건을 1개 입력해서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할 경우에는, 얻어진 정지화상데이터가 사용자가 소망하는 바와 같은 화상이 아닌 경우는(실패 화상의 경우는), 또 다시 고쳐서 촬영하지 않으면 안 되고, 또, 다시 고칠 수 없는 경우 등에는 대처할 수 없었는데,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현재의 촬영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촬영조건을 몇 개라도 입력하고, 해당 입력된 복수의 촬영조건하에서 연속촬영처리를 실행하므로, 사용자는 소망하는 복수의 후보화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그 중에서 실로 소망하는 화상을 선택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변형예도 가능하다.
연속촬영을 할 때에 촬영조건을 입력하도록 했는데, 입력되어 연속촬영된 복수 패턴의 촬영조건을 1개의 그룹으로서 메모리(11)에 기록시켜도 좋다. 또, 복수 패턴의 촬영조건을 1개의 그룹으로서 미리 메모리(11)에 기록시켜 두고, 해당 그룹 이 선택되면, 해당 그룹에 속하는 복수 패턴의 촬영조건으로 연속촬영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때, 해당 그룹명의 명칭을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야간촬영」이라고 하는 바와 같은 그룹의 명칭을 야간촬영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의 한 그룹에 대응시켜 입력시켜 둠으로써, 금후, 야간에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야간촬영」의 그룹을 선택하는 것으로, 야간촬영에 대응하는 각 촬영조건으로 연속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속촬영할 때마다 복수 패턴의 촬영조건을 입력한다고 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 해당 기록한 그룹에 속하는 촬영조건의 촬영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각 촬영파라미터를 입력함으로써 각 촬영조건을 설정하고, 디지털카메라(1)가 각 촬영조건에 의거하는 연속촬영을 실행했었다. 그러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촬상대상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각 촬영파라미터를 갖는 촬영조건에 대응하는 촬영씬을 임의로 복수 선택하고, 디지털카메라(1)가 해당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하에서 연속촬영을 실행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의 구성도,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1)의 구성과 똑같다.
단, 메모리(11)에는 미리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셔터속도, 조리개, 색 강조 등)이 포함되는 촬영조건데이터(103)와, 각 촬영씬의 타이틀과 그 설명과 샘플화상데이터가 포함되는 부가정보데이터(104)가 기억되어 있다. 또, 각 촬영씬에는 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이 번호순으로 촬영씬이 표시되게 된다.
도 3a는 촬영조건데이터(103)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각 촬영씬의 번호마다 셔터속도, 조리개, EV시프트, 색 강조 등의 촬영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다.
또, 도 3b는 부가정보데이터(104)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인물을 찍습니다」라고 하는 촬영씬의 내용을 나타낸 타이틀, 「색강조가 피부색으로 설정됩니다. 망원측으로 하면 배경이 아름답게 흐려집니다」라는 촬영씬의 설명 및 샘플화상데이터가 촬영씬의 번호마다 기록되어 있다.
이 촬영씬의 타이틀이나 설명, 샘플화상을 봄으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촬영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후보가 되는) 촬영씬을 복수 선택할 수 있고, 해당 선택된 복수의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으로 연속촬영할 수 있다.
도 3c에 나타내는 도면은 메모리(11)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씬을 화상표시부(14)에 표시시켰을 때의 화면이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화상과 씬 타이틀, 설명이 표시된다. 이 상세표시는 선택된 촬영씬(번호)에 의거하여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부가정보데이터(104)의 일부가 표시된다. 또한, 오른쪽 위의 숫자가 현재 표시하고 있는 촬영씬의 번호이다.
이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을 도 4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사용자의 모드전환 키의 조작에 의해 연속촬영모드가 설정되면, CPU(9)는 메모리(11)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씬 중, 처음의 촬영씬(번호가 1인 촬영씬)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한 촬영씬을 표시시킨다(스텝S11).
다음으로, CPU(9)는 십자 키의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2). 이때, CPU(9)는 십자 키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키 입력부(10)로부터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에 의해 십자 키의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십자 키의 조작이 실행되었다고 판단하면(S12; YES), CPU(9)는 해당 조작에 따라서 촬영씬을 새롭게 선택하고, 해당 선택한 촬영씬을 표시하며(스텝S13), 처리를 스텝S14로 진행한다. 즉, 선택 표시하는 촬영씬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번호 2의 촬영씬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십자 키의 「↓」키가 조작되면 번호 3의 촬영씬을 새롭게 선택하여 표시시키고, 반대로 번호 2의 촬영씬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십자 키의 「↑」키가 조작되면 번호 1의 촬영씬을 선택해서 표시한다.
또한, 마지막 번호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십자 키의 「↓」키가 조작된 경우나, 처음 번호(번호 1)의 촬영씬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키가 조작된 경우는 조작에 대응하는 다음의 번호가 없으므로 선택 표시를 변경하지 않도록 해도 좋으며, 처음 번호와 마지막 번호를 연속시켜서 조작에 대응하는 다음의 번호를 선택해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즉, 마지막 번호의 촬영씬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 「↓」키가 조작되면 처음 번호의 촬영씬을 선택해서 표시시키고, 처음 번호의 촬영씬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 「↑」키가 조작되면 마지막 번호의 촬영씬을 선택해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십자 키의 조작이 실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12; NO), CPU(9)는 처리를 스텝S14로 진행한다.
스텝S14에 있어서, CPU(9)는 설정 키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설정 키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키 입력부(10)로부터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에 의해 실행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소망의 촬영씬을 선택하도록 설정 키의 누름조작을 실행한다.
설정 키의 누름조작이 실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14; NO), CPU(9)는 처리를 스텝S12로 되돌린다.
설정 키의 누름조작이 실행되었다고 판단하면(S14; YES), CPU(9)는 처리를 스텝S15로 진행한다.
CPU(9)는 현재 선택하고 있는 촬영씬의 번호를 버퍼메모리에 기억한다(스텝S15). 즉, 설정 키의 누름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촬영할 촬영씬의 선택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CPU(9)는 설정 키의 누름조작이 오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6). 이 판단은 설정 키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 즉, 눌러지고 나서 그 누름을 해제시킬 때까지를 나타내는 조작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에 의해 실행된다.
설정 키가 오래 눌려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16; NO), CPU(9)는 처리를 스텝S12로 되돌린다.
즉, 설정 키를 오래 누름할 때까지는, 사용자는 임의로 현재의 촬영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촬영씬을 복수 선택할 수 있고, 또 선택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의 촬영상황이 복수의 촬영씬(예를 들면, 「야경」, 「불꽃」 등)에 해당한다고 생각되는, 또는 근사한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해당 또는 근사하는 촬영씬을 복수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선택된 촬영씬의 수에 따라서 연속촬영처리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장수가 정해진다.
한편, 설정 키가 오래 눌러졌다고 판단하면(S16; YES), CPU(9)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모든 촬영씬의 번호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메모리(11)의 촬영조건데이터(103)로부터 판독하여 버퍼메모리의 촬영조건기억영역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해당 선택되어 있는 촬영씬의 수도 기억시킨다(스텝S17)(설정수단). 즉, 선택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씬의 촬영조건을 연속촬영의 각 촬영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기억되는 촬영씬의 수가 그대로 연속촬영에 의해 촬영되는 횟수(장수)가 된다.
또한, 촬영씬의 촬영조건을 기억시킬 때에는 촬영씬의 번호와 촬영조건을 관련지어 기록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CPU(9)는 CCD(4)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시키고, 피사체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키는 처리를 개시시킨다(스텝S18).
스루화상표시가 개시되면, CPU(9)는 사용자에 의해서 촬영의 지시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9).
촬영의 지시가 실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19; NO), CPU(9)는 촬영의 지시가 실행될 때까지 스텝S19의 처리를 반복한다.
촬영의 지시가 실행되었다고 판단하면(S19; YES), CPU(9)는 스텝S17에서 기억한 촬영장수(횟수) 및 각 촬영(각 장)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연속촬영처리를 개시한다(스텝S20).
구체적으로는 촬영조건기억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각 촬영조건에 관련지어져 있는 촬영씬의 번호(촬영씬 번호) 중, 제일 작은 촬영씬 번호의 촬영조건하에서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고, 계속해서, 다음으로 촬영씬 번호가 작은 촬영조건하에서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한다고 하는 바와 같이, 촬영씬 번호가 작은 순으로 각 촬영씬의 촬영조건하에서 연속촬영처리를 실행한다고 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즉, 선택된 복수의 촬영씬의 촬영조건으로 각각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촬영씬 번호가 큰 순으로 연속촬영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사용자가 촬영씬을 선택한 순으로 연속촬영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랜덤으로 촬영씬 번호를 선택해서 연속촬영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CPU(9)는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1).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21; NO),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스텝S21의 처리를 반복한다.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면(S21; YES), CPU(9)는 해당 연속촬영처리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정지화상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시킨다(스텝 S21).
이때, 기록되는 각 화상데이터에 어느 촬영씬으로 촬영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촬영씬 정보(예를 들면, 촬영씬의 번호나 촬영씬의 타이틀 등)를 관련지어 기록시킨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현재의 촬영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촬영씬을 복수 선택하고, 해당 선택한 복수의 촬영씬에 의거하여 연속촬영처리를 실행하므로, 사용자는 소망하는 복수의 후보화상을 보다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그 중에서 실로 소망하는 화상을 선택해서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촬영씬을 선택하도록 했는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지털카메라(1)가 현재의 촬영상황(현재의 촬영환경)에 따라 복수의 촬영씬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도,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성을 갖는다.
단,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메모리(11)에는 미리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이 포함되는 촬영조건데이터(103)와, 각 촬영씬의 타이틀과 그 설명과 샘플화상데이터가 포함되는 부가정보데이터(104)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PU(9)는 현재 촬상되어 있는 화상데이터 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밝기, 피사체의 색조, 피사체의 이동량 등의 촬영상황을 검출하는 처리(검출수단)를 갖는다.
이 피사체의 밝기는 화상데이터의 휘도성분에 의거하여 검출되고, 피사체의 색조는 화상데이터의 R, G, B의 각 색의 색 성분에 의거하여 검출되며, 피사체의 이동량은 움직임 벡터 등을 산출함으로써 검출된다.
이하, 제 3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을 도 5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사용자의 키 입력부(10)의 모드전환 키의 조작에 의해 연속촬영모드로 설정되면, CPU(9)는 CCD(4)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시키고, 해당 촬상된 피사체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키는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31).
다음으로, CPU(9)는 가장 최근에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촬영상황을 검출한다(스텝S32)(검출수단). 여기에서는, CCD(4)에 의해 촬상된 화상데이터의 휘도성분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밝기를 검출하거나, 화상데이터의 R, G, B의 각 색 성분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색조를 검출하거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움직임 벡터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CPU(9)는 해당 검출된 촬영상황에 가까운 촬영씬을 자동적으로 선택한다(스텝S33)(자동선택수단). 이 선택된 촬영씬 번호는 버퍼메모리에 기억된다. 또한, 이미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덮어쓰기하여 기억된다.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CPU(9)는 스텝S32에서 검출된 밝기의 정도, 색조, 움직임 벡터의 상태 등의 촬영상황과, 상기 촬영조건데이터(103)의 각 촬영씬 의 유사도를 판정하고, 해당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복수의 촬영씬을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메모리(11)는 밝기의 정도, 색조, 움직임 벡터의 상태 등의 각 조건(촬영상황조건)에 대응하는 촬영씬(촬영씬의 번호)을 기록한 유사도 분류로서의 테이블을 미리 구비하고 있다. 즉, 해당 테이블에는 밝기의 정도에 대응하는 촬영씬, 색조에 대응하는 촬영씬, 움직임 벡터의 상태에 대응하는 촬영씬이라는 바와 같이 각 촬영상황조건에 대응하는 촬영씬이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밝기가 어둡다」에 대응하는 촬영씬으로서 「야경」, 「불꽃」 등의 촬영씬이 기록되어 있으며, 「색조가 붉다」에 대응하는 촬영씬으로서 「석양」, 「단풍」 등의 촬영씬이 기록되어 있고, 움직임 벡터의 크기, 변화량 등의 상태에 대응하는 촬영씬으로서 「스포츠」, 「물보라」, 「흔들림(blur)경감」 등의 촬영씬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CPU(9)는 스텝S32에서 검출된 촬영상황(현재의 밝기, 색조, 움직임 벡터 등)과 해당 테이블을 이용하여 촬영씬의 유사도를 판정하고, 해당 판정한 유사도에 의거하여 촬영씬을 자동적으로 복수 선택한다.
이 유사도의 촬영씬의 판정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텝S32에서 검출된 각 촬영상황조건에 대응하는 촬영씬에 대해서 유사포인트를 1포인트씩 부가하고, 해당 부가한 유사포인트가 높은 촬영씬일수록 유사도가 높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해당 판정된 유사포인트가 높은 쪽으로부터 소정수의 촬영씬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도록 해도 좋고, 소정의 유사포인트 이상의 유사포인트가 부가된 촬영씬을 자동적으로 복수 선택하도록 해도 좋으며, 포인트가 부가된 촬영씬을 모두 자동적으로 선택하 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스텝S32에서 검출된 밝기의 정도에 대응하는 촬영씬의 번호가, 번호 2, 번호 5, 번호 7, 번호 10, 번호 20으로 한 경우에는 해당 번호의 촬영씬에 유사포인트를 1포인트씩 부가한다. 또, 스텝S32에서 검출된 색조에 대응하는 촬영씬의 번호가, 번호 5, 번호 6, 번호 10, 번호 13, 번호 19로 한 경우에는 해당 번호의 촬영씬에 유사포인트를 1포인트 부가한다. 또, 스텝S32에서 검출된 움직임 벡터의 상태에 대응하는 촬영씬의 번호가, 번호 3, 번호 5, 번호 7, 번호 12로 할 경우에는 해당 번호의 촬영씬에 유사포인트를 1포인트씩 부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촬영상황조건에 대응하는 촬영씬에 유사포인트를 부가하고, 해당 부가된 유사포인트가 많은 촬영씬일수록 유사도가 높다고 판별한다.
또한, 테이블을 구비하는 일 없이 계산에 의해 그 유사도를 산출하고, 해당 유사도에 의거하여 촬영씬을 자동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 검출된 촬영상황에 의거하여(또는, 가장 최근에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종래와 같이, 직접, 각 촬영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촬영조건을 결정하고(촬영조건결정수단), 해당 자동적으로 결정한 촬영조건과 촬영조건데이터(103)의 각 촬영씬의 유사도를 판정하고, 해당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복수의 촬영씬을 선택한다. 즉, 해당 자동적으로 결정한 촬영조건과 유사, 또는 근사하는 촬영조건의 촬영씬을 자동적으로 복수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CPU(9)는 해당 선택한 모든 촬영씬의 타이틀이나 설명, 샘플화상을 기억한 촬영씬 번호에 의거하여 메모리(11)의 부가정보데이터(104)로부터 판독 하고, 해당 판독한 촬영씬을 축소 표시하여(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을 축소하여), 스루화상표시 위에 겹쳐서 표시시킨다(스텝S34). 이때, 촬영씬을 반투명으로 하여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촬영씬의 타이틀, 설명, 샘플화상을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시키는 것은 아니고, 타이틀만을 스루화상표시 위에 겹쳐서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CPU(9)는 사용자에 의해서 촬영의 지시가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35).
촬영의 지시가 실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35; NO), CPU(9)는 처리를 스텝S32로 되돌린다. 이에 따라, 촬영상황의 변화에 따라서 자동 선택되는 촬영씬도 변화하고(기억되는 촬영씬 번호도 바뀌고), 표시되는 촬영씬의 그것에 동반하여 변화한다.
한편, 촬영의 지시가 실행되었다고 판단하면(S35; YES), CPU(9)는 현재 기억하고 있는(현재 선택하고 있는) 모든 촬영씬 번호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메모리(11)의 촬영조건데이터(103)로부터 판독하여 버퍼메모리의 촬영조건기억영역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해당 선택되어 있는 촬영씬의 수도 기억시킨다(스텝S36)(설정수단).
즉, 선택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씬의 촬영조건을 연속촬영의 각 촬영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기억되는 촬영씬의 수가 그대로 연속촬영에 의해 촬영되는 횟수(장수)가 된다.
또한, 촬영씬의 촬영조건을 기억시킬 때에는 촬영씬의 번호와 촬영조건을 관련지어 기록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CPU(9)는 기억한 촬영장수(횟수) 및 각 촬영(각 장)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연속촬영처리를 개시한다(스텝S37).
구체적으로 촬영조건기억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각 촬영조건에 관련지어져 있는 촬영씬의 번호(촬영씬 번호) 중, 제일 작은 촬영씬 번호의 촬영조건하에서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고, 계속해서 다음으로 촬영씬 번호가 작은 촬영조건하에서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한다고 하는 바와 같이, 촬영씬 번호가 작은 순으로 각 촬영씬의 촬영조건하에서 연속촬영처리를 실행한다고 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즉, 자동 선택된 복수의 촬영씬의 촬영조건으로 각각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촬영씬 번호가 큰 순으로 연속촬영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고, 랜덤으로 촬영씬 번호를 선택해서 연속촬영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CPU(9)는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38).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38; NO), CPU(9)는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스텝S38의 처리를 반복한다.
연속촬영처리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면(S38; YES), CPU(9)는 해당 연속촬영처리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정지화상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시키고(스텝S39), 연속촬영모드에 의한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기록되는 각 화상데이터에 어느 촬영씬으로 촬영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촬영씬 정보(예를 들면, 촬영씬의 명칭이나 촬영씬의 번호 등)를 관련지어 기록시킨다.
이상과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된 화상데이터로부터 촬영상황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촬영상황에 적합한 촬영씬을 자동적으로 복수 선택하므로, 사용자가 촬영씬을 선택하고, 촬영조건을 입력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셔터찬스 등의, 서둘러 촬영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촬영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촬영씬을 복수 선택하고, 해당 선택 복수의 촬영씬에 의거하여 연속촬영처리를 실행하므로, 사용자는 셔터찬스를 놓치는 일 없이, 소망하는 복수의 후보화상을 보다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그 중에서 실로 소망하는 화상을 선택해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속촬영처리에 의해 촬영된 각 정지화상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하도록 했는데, 해당 연속촬영처리에 의해 얻어진 모든 정지화상데이터를 화상표시부(14)에 표시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지화상데이터만을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촬영장수와 각 장의 촬영조건을 입력하도록 했는데, 즉, 입력되는 촬영장수와 입력되는 촬영조건의 수는 같았었는데 , 입력되는 촬영장수와 촬영조건의 수를 다르게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장째의 촬영조건 A, 2장째의 촬영조건 B, 3장째의 촬영조건 C, 4장째의 촬영조건 D라는 바와 같이, 입력하는 촬영장수와 촬영조건의 수를 같게 했는데, 촬영장수를 4장으로 입력하고, 촬영조건을 A, B 로 2개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1장째를 촬영조건 A로 촬영하고, 2장째를 촬영조건 B로 촬영하며, 3장째를 촬영조건 A로 촬영하고, 4장째를 촬영조건 B라는 바와 같이 촬영하도록 해도 좋으며, 1장째와 2장째를 촬영조건 A로 촬영하고, 3장째와 4장째를 촬영조건 B로 촬영하도록 해도 좋다. 다른 촬영조건으로 연속해서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는 것이면 좋다. 또한, 촬영조건의 수는 촬영장수 이하일 필요가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서도 똑같이, 선택한 촬영씬의 수에 따라 서 촬영장수가 정해지도록 했는데, 선택한 촬영씬의 수 이상의 장수를 연속촬영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2,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씬 A, 촬영씬 B, 촬영씬 C, 촬영씬 D가 선택된 경우는, 촬영씬 A의 촬영조건에서의 촬영과, 촬영씬 B의 촬영조건에서의 촬영과, 촬영씬 C의 촬영조건에서의 촬영과, 촬영씬 D의 촬영조건에서의 촬영, 계 4번의 촬영을 연속해서 실행하도록 했는데, 연속촬영하는 촬영장수를 4장, 선택된 촬영씬을 촬영씬 A, 촬영씬 B라는 바와 같이, 촬영장수를 선택한 촬영씬의 수보다 많게 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1장째를 촬영씬 A의 촬영조건으로 촬영하고, 2장째를 촬영씬 B의 촬영조건으로 촬영하며, 3장째를 촬영씬 A로 촬영하고, 4장째를 촬영씬 B로 촬영하도록 해도 좋으며, 1장째와 2장째를 촬영씬 A의 촬영조건으로 촬영하고, 3장째와 4장째를 촬영씬 B로 촬영하도록 해도 좋다. 요는 다른 촬영조건으로 연속해서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는 것이면 좋고, 연속해서 정지화상촬영되는 각 장의 촬영조건이 모두 다를 필요는 없다.
또,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른 촬영조건을 입력하거나, 다른 촬영씬을 선택하도록 했는데, 완전히 같은 촬영조건을 입력하거나, 같은 촬영씬을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장째 촬영의 촬영조건과 동일한 촬영조건을 2장째의 촬영조건으로서 입력해도 좋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같은 촬영씬을 복수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요는 다른 촬영조건으로 연속해서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는 것이면 좋고, 연속해서 정지화상촬영되는 각 장의 촬영조건이 모두 다를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제 2,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속촬영에 의해 기록된 각 정지화상데이터를 표시시킬 경우에는 정지화상데이터의 표시와 함께, 해당 정지화상데이터에 관련지어 기록되어 있는 촬영씬 정보(촬영씬의 타이틀이나 번호)를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촬영씬의 촬영조건하에서 촬영된 정지화상데이터인지를 알 수 있고, 금후의 촬영에 있어서도 촬영상황에 따라서 어느 촬영씬이 적절한지를 학습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변형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속촬영처리에 의해 촬영된 각 촬영조건을 1개의 그룹으로서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 그룹이 선택되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각 촬영조건을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각 촬영조건으로 연속촬영을 실행한다.
또,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속촬영에 의해 촬영된 각 정지화상데이터 중, 사용자가 제일 소망하는 정지화상데이터를 선택하고, CPU(9)는 해당 연속촬 영되었을 때의 촬영상황과 촬영씬을 관련지어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디지털카메라(1)가 학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보통의 정지화상촬영모드에 있어서, 해당 기록된 촬영상황과 대략 같은 촬영상황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기록된 촬영상황과 관련지어 기록되어 있는 촬영씬이 최적 촬영씬으로서 표시시켜도 좋으며, 자동적으로 해당 촬영씬의 촬영조건에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연속촬영이 실행되었을 때의 촬영상황이란, 연속촬영처리가 실행되기 전에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검출된 밝기의 정도, 색조, 움직임 벡터 등이어도 좋고, 종래와 같이, 해당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직접, 각 촬영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결정된 촬영조건이어도 좋다. 그리고 보통의 정지화상촬영모드의 스루화상표시 중에,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검출된 밝기의 정도, 색조, 움직임 벡터 등, 또는 종래와 같이 해당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직접, 각 촬영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결정된 촬영조건과, 촬영상황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밝기의 정도, 색조, 움직임 벡터 등, 또는 촬영조건이 대략 같다고 판단된 경우는 해당 촬영상황과 관련지어져 기록되어 있는 촬영씬을 표시시키고, 촬영씬의 촬영조건을 자동적으로 결정한다.
(제 4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의 처리와, 단사로 촬영하는 처리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디지털카메라가 선택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도,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성을 갖는다.
단,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1)에는 동작모드로서 기본이 되는 촬영용의 기록모드, 및 기록화상의 재생용의 재생모드를 갖는 동시에, 기록모드의 하위모드로서 후술하는 베스트 샷 모드(best-shot mode)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드설정 키는 그들 설정에 사용된다. 또한, 베스트 샷 모드는 지금부터 촬영하려고 하고 있는 피사체, 및 그때의 촬영환경을 포함하는 촬영씬과 똑같은 씬, 혹은 기호에 따른 분위기의 씬을 촬영결과의 견본이 되는 샘플화상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고, 선택된 씬에 대응하는 셔터속도나 조리개 값, 색 밸런스 등을 촬영시에 있어서의 촬영조건으로서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모드이다.
또, 메모리(11)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13)의 빈 용량이 부족하고 있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화상데이터(101)와, 프로그램데이터(102), 도 3a에도 나타내어지는 촬영조건데이터(103), 도 3b에도 나타내어지는 부가정보데이터(104), 선택제한데이터(105), 그룹데이터(106), 씬 판정데이터(107)가 격납되어 있다.
상기 프로그램데이터(102)는 CPU(9)에 있어서의 각부의 제어 및 데이터처리에 필요한 각종의 제어프로그램, 및 촬영시의 적정한 노출값(EV)에 대응하는 조리개 값(F)과 셔터속도의 조합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선도를 구성하는 프로그램AE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른바 펌웨어이다.
또, 촬영조건데이터(103), 부가정보데이터(104), 선택제한데이터(105), 그룹데이터(106), 씬 판정데이터(107)는 상기 베스트 샷 모드에서의 촬영시에 사용되는 데이터이며, 각각이 이하와 같은 데이터로 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촬영조건데이터(103)에는 각 촬영씬의 번호마다 셔터속도, 조리개, EV시프트, 색 강조 등의 촬영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다.
또, 도 3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부가정보데이터(104)에는 「인물을 찍습니다」라고 하는 촬영씬의 내용을 나타낸 타이틀, 「색 강조가 피부색으로 설정됩니다. 망원측으로 하면 배경이 아릅답게 흐려집니다」라는 촬영씬의 설명 및 샘플화상데이터가 촬영씬의 번호마다 기록되어 있다.
도 7은 선택제한데이터(105)의 내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선택제한데이터(105)는 서로의 촬영조건이 상반되는 촬영씬의 조합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도시한 예에서는 교차위치에 「×」표가 기재되어 있는 세로의 촬영씬과 가로의 촬영씬이 서로의 촬영조건이 상반되는 촬영씬의 조합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촬영조건으로서 셔터속도를 빠름으로 설정하는 것이 정해져 있는 「스포츠」(씬 번호 8)나 「물보라를 정지시키고」(씬 번호 13)와, 촬영조건으로서 셔터속도를 늦음으로 설정하는 것이 정해져 있는「물의 흐름을 원활하게」(씬 번호 12)의 조합이 상기한 조합이다. 또한, 이 선택제한데이터(10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고, 또한 촬영씬의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이 선택되었을 때 사용된다.
도 8은 그룹데이터(106)의 내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그룹데이터(106)는 상기한 각각의 촬영씬이 속하는 그룹(도면에서 「A」∼「D」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촬영씬은 동일한 피사체를 베스트 샷 모드에서 촬영하는 경우에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것끼리가 미리 그룹화되어 있다. 또한, 이 그룹데이터(10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고, 또한 촬영씬의 선택방법으로서 「그룹」이 선택되었을 때 사용된다.
도 9는 씬 판정데이터(107)의 내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씬 판정데이터 (107)는 상기한 각각의 촬영씬에 대응해서 미리 정해져 있는 복수종의 판정항목에 걸치는 판정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판정항목은 밝기, 피사체의 색조, 광원종별, 피사체의 움직임, 얼굴부분 존재 등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취득 가능한 피사체 정보이다. 또, 판정 데이터는 각각의 촬영씬의 특징을 나타내는 값이며, 도시하지 않는데, 예를 들면 「밝기」에 대해서는 휘도범위, 「색조」에 대해서는 적색계나 청색계라고 하는 색 계통, 「광원종별」에 대해서는 태양광, 형광등, 흐린 하늘의 구별,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움직임의 정도, 「얼굴부분 존재」에 대해서는 유무의 구별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씬 판정데이터(10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고, 또한 촬영씬의 선택방법으로서 「자동」이 선택되었을 때 사용된다.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기록모드에서 상기한 베스트 샷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베스트 샷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사용자에게 1회의 촬영지시에 응답하여 복수회의 연속촬영을 실행하고, 복수장의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연사기능의 사용 유무를 선택시키며, 또한, 연사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촬영씬의 선택방법을 지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베스트 샷 모드가 설정되면, 디지털카메라(1)의 CPU(9)는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01).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한 경우에는(스텝S101; NO), CPU(9)는 단사촬영처리를 실행한다(스텝S102).
도 11은 단사촬영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CPU(9)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가정보데이터(104)로서 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동시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모든 촬영씬을 나타내는 샘플화상을 일람 표시한 씬 선택화면(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씬 선택화면(301))을 표시시킨다(스텝S201).
다음으로, CPU(9)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0)를 통하여 소망의 촬영씬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202). 또한, 촬영씬의 선택은 십자 키의 조작에 의한 선택커서의 이동조작, 및 설정 키의 조작에 의한 확정조작에 의해서 실행된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촬영씬 A, B를 단일 표시시키고, 십자 키의 조작에 의한 촬영씬의 표시전환조작, 및 설정 키의 조작에 의한 확정조작에 의해서 촬영씬의 선택을 실행시키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촬영씬이 선택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S202; YES), CPU(9)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촬영조건데이터(103)로부터 선택된 촬영씬(씬 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복수의 촬영파라미터의 설정값)를 판독하고, 그것을 촬영시의 촬영조건으로서 자동적으로 설정한다(스텝S203).
다음으로, CPU(9)는 스루화상의 표시를 개시하고, 촬영대기상태로 이행시키며(스텝S204), 셔터 키의 조작에 의한 촬영지시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S205).
촬영지시가 없었다고 판별한 경우에(S205; NO), CPU(9)는 처리를 스텝S204로 되돌린다.
촬영지시가 있었다고 판별한 경우에(S205; YES), CPU(9)는 미리 설정하고 있는 촬영조건에 따른 촬영처리,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한 셔터속도나 조리개 값, 색 밸런스 등의 여러 가지의 제어를 포함하는 촬영처리를 실행한다(스텝S206). 다음으로, CPU(9)는 얻어진 화상데이터를 압축하고, 정지화상파일로서 상기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한다(스텝S207).
그런 후, 도 10에 나타내는 메인 흐름으로 되돌아가고, 그대로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1회의 촬영동작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에 앞서서 소망하는 촬영씬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번잡한 촬영파라미터의 설정작업이나, 그들 설정값의 조합을 생각하거나 하는 일 없이 의도한 분위기의 촬영화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있어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된 경우(S101; YES), CPU(9)는 촬영씬의 선택방법을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지정화면을 화상표시부(14)에 표시한다(스텝S10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영씬의 선택방법(이하, 씬 선택방법이라고 한다.) 으로서 「수동」, 「그룹」, 「자동」의 3종류가 미리 준비되어 있다.
「수동」이 선택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S104; YES), 수동선택처리로 이행한다(스텝S105). 또 「그룹」이 선택되었을 때에는(S104; NO, S106; YES), 그룹선택처리로 이행한다(스텝S107). 또, 「자동」이 선택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S104; NO, S106; NO), 자동선택처리로 이행한다(스텝S108).
우선, 씬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이 선택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수동선택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수동선택처리로 이행하면, CPU(9)는 우선 선택불가 씬의 설정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스텝S301). 선택불가 씬에 대해서는 후술하는데, 동작개시 당초에는 선택불가 씬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S301; NO), CPU(9)는 상기한 단사촬영처리의 경우와 똑같이 등록되어 있는 모든 촬영씬(샘플화상)을 나열한 씬 선택화면을 화상표시부(14)에 표시시킨다(스텝S302). 여기에서, 사용자는 소망의 촬영씬을 선택한다. 또한, 상기한 단사촬영처리의 경우와 똑같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촬영씬 A, B를 1개만 표시시키고, 십자 키의 조작에 의한 촬영씬의 표시전환조작, 및 설정 키의 조작에 의한 확정조작에 의해서 촬영씬의 선택을 실행시켜도 좋다.
다음으로, CPU(9)는 사용자에 의해 키 입력부(10)를 통하여 어느 하나의 촬영씬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303).
어느 하나의 촬영씬이 선택되었다고 판별하면(S303; YES), CPU(9)는 선택된 촬영씬의 씬 번호를 기억하고, 그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촬영시의 사용할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한다(스텝S304).
계속해서, CPU(9)는 도 7에 나타내는 선택제한데이터(105)를 참조하여 선택된 촬영씬과 촬영조건이 상반되는 촬영씬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305).
선택된 촬영씬과 촬영조건이 상반되는 촬영씬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한 경우에는(S305; NO), CPU(9)는 처리를 스텝S301로 되돌린다. 이 경우, 스텝S301의 판별결과는 재차 NO이기 때문에 처리개시 당초와 똑같이 모든 촬영씬으로 이루어지는 씬 선택화면을 재차 표시한다(스텝S302). 단, 선택완료의 촬영씬에 대해서는 다른 촬영씬과 구별 가능한 상태로 표시한다.
한편, 선택된 촬영조건이 상반되는 촬영씬이 존재한다고 판별한 경우에는(S305; YES), CPU(9)는 그 촬영씬을 선택불가로 하는 촬영씬(선택불가 씬)에 설정하고(스텝S306), 처리를 스텝S301로 되돌린다. 이 경우, 스텝S301의 판별결과는 YES가 되기 때문에 CPU(9)는 상기의 선택불가 씬을 제외하는 촬영씬으로 이루어지는 씬 선택화면을 화상표시부(14)에 표시시킨다(스텝S307). 사용자는 선택불가 씬을 제외하는 씬 선택화면으로부터 소망의 촬영씬을 선택한다. 즉 2번째 이후의 촬영씬의 선택에 대해서는 이미 선택되어 있는 촬영씬에 따라서 선택대상이 되는 촬영씬을 규제한다.
이후, 상기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복수의 촬영씬을 선택시킨다. 또한, 이것과는 달리, 2번째 이후의 촬영씬의 선택에 대해서는 모든 촬영씬 중 선택불가 씬을 그레이 아웃(gray out) 시킨 상태의 씬 선택화면을 표시시키고, 촬영씬의 선택용 커서의 이동을 금지함으로써 선택불가 씬을 사용자에게 명시하도록 해 도 좋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키 조작에 의한 촬영씬의 선택종료가 지시되었으면(S303; NO, S308; YES), CPU(9)는 수동선택처리를 종료시키고, 처리를 도 10의 메인 흐름으로 되돌린다.
이 후, CPU(9)는 화상표시부(14)로의 스루화상표시를 개시시키고(스텝S109), 관련되는 촬영대기상태에 있어서는 셔터 키의 조작에 의한 촬영지시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S110).
촬영지시가 없다고 판별하면(S110; NO), CPU(9)는 촬영지시가 있을 때까지 스텝S110의 처리를 반복한다.
촬영지시가 있었다고 판별하면(S110; YES), CPU(9)는 그 시점에서 사용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씬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판독하고, 그것에 따른 촬영처리를 실시하며(스텝S111), 촬영에 의해 취득한 정지화상데이터를 DRAM(12)에 기억한다(스텝S112).
다음으로, CPU(9)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조건의 수(지정된 촬영씬의 수)에 따른 횟수의 촬영조건에 따른 촬영처리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13).
모든 촬영조건에 따른 촬영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면(S113; NO), CPU(9)는 처리를 스텝S111로 되돌린다.
모든 촬영조건에 따른 촬영처리가 종료되었다고 판별하면(S113; YES), CPU(9)는 DRAM(12)에 기억한 복수의 정지화상데이터를 각각 정지화상파일로서 상기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한다(스텝S114).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모든 촬영조건(씬 번호)에 따른 촬영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스텝S111, S112의 동작을 반복한다. 즉, 동일한 피사체에 대해 촬영조건을 변화시킨 연속촬영을 실행한다. 그 후, 설정되어 있는 촬영조건의 수(지정된 촬영씬의 수)에 따른 횟수의 촬영처리가 종료되면, CPU(9)는 DRAM(12)에 기억한 복수의 정지화상데이터를 각각 정지화상파일로서 상기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CPU(9)는 씬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이 선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15).
씬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이 선택되어 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S115; YES), CPU(9)는 이번 연속촬영에서 사용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었던 복수의 촬영씬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그룹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룹데이터(106)에 추가등록하고(스텝S116),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1회의 촬영동작을 종료한다.
씬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한 경우에는(S115; NO), CPU(9)는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1회의 촬영동작을 종료한다.
도 15는 상기와 같이 씬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인물」과 「아이」라는 2개의 촬영씬 A, B를 선택하여 촬영을 실행한 경우에는 1회의 촬영조작으로 「인물」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이 반영된 촬영화상(201a)과, 「아이」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이 반영된 촬영화상(201b)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301”은 모든 촬영씬으로 이루어지는 씬 선택화면, “302”는 선택불가 씬을 제외한 촬영씬으로 이루어지는 씬 선택화면이며, “401”은 스루화상이다.
이상과 같이, 씬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을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는 베스트 샷 모드에 있어서 상기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어 있지 않을 때, 즉 도 15의 단사촬영처리를 실행하는 베스트 샷 모드에 있어서의 통상의 정지화상촬영을 동일한 촬영씬으로 복수회 실행한 경우에 얻어지는 촬영화상과 똑같은 촬영화상을 1회의 촬영조작으로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조작에 앞서서 임의의 촬영씬을 복수 선택함으로써, 촬영화상으로서 종래의 오토 브래킷팅 촬영에 의해서 얻어지는, 예를 들면 단지 밝기 등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화상(화질변화가 단조로운 화상)과는 달리, 화질이 다양하게 변화한 복수장의 화상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게다가, 2번째 이후의 촬영씬의 선택에 대해서는 이미 선택되어 있는 촬영씬과 촬영조건이 상반되는 촬영씬의 선택을 규제함으로써, 복수의 촬영씬으로서 사용자의 의도를 존중하면서, 피사체의 종류나 촬영환경이 전혀 다른 촬영씬의 선택을 배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복수장의 촬영화상 중에 다른 촬영화상과 극단적으로 다른 촬영조건이 반영된 촬영화상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각의 촬영화상간에 있어서의 화질의 변화범위를 어느 정도의 범위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2번째 이후에 선택 가능한 촬영씬의 규제에 대해서는 그것을 반드시 실시하지 않아도 좋다. 또, 이것과는 별도로 촬영조작에 앞서서 선택할 수 있는 촬영씬의 수를 소정수로 제한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0의 스텝S106에 있어서, 씬 선택방법으로서 「그룹」이 선택된 경우(S106; YES)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그룹선택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룹선택처리로 이행하면, CPU(9)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룹데이터 (106)에 의거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촬영씬으로 이루어지는 씬 선택화면을 표시시킨다(스텝S401). 여기에서, 사용자는 씬 선택화면으로부터 소망의 촬영씬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CPU(9)는 키 입력부(1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촬영씬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402).
촬영씬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한 경우에(S402; NO), CPU(9)는 처리를 스텝S401로 되돌린다.
어느 하나의 촬영씬이 선택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S402; YES), CPU(9)는 선택된 선택씬과 그것과 동일그룹의 촬영씬의 씬 번호를 기억함으로써 그들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촬영시의 사용할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한다(스텝S403). 이에 따라 그룹선택처리를 종료하고, 도 10의 메인 흐름으로 되돌아간다.
이 이후는, CPU(9)는 상기한 스텝S109∼스텝S114의 처리에 의해 동일한 피사체에 대해 촬영조건을 변화시킨 연속촬영을 실행한다. 그리고 씬 선택방법으로서 「그룹」이 선택되어 있었던 경우에는(S115; NO), CPU(9)는 스텝S116의 처리를 건너뛰게 하고, 그대로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1회의 촬영동작을 종료시킨다.
도 16은 상기와 같이 씬 선택방법으로서 「그룹」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예를 들면 촬영씬으로서 「인물」을 선택하여 촬영을 실행한 경우에는 1회의 촬영조작으로 「인물」과 동일그룹 A에 속하는 복수의 촬영씬, 여기에서는 「풍경과 인물」, 「아이」, 「소프트포커스」, 「역광」이라는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이 각각 반영된 촬영화상(201a, 202b∼202e)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동일도면에 대해서도 “301”은 모든 촬영씬으로 이루어지는 씬 선택화면, “401”은 스루화상이다.
이상과 같이, 씬 선택방법으로서 「그룹」을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는 촬영조작에 앞서서 임의의 촬영씬을 선택함으로써, 씬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을 선택한 경우와 똑같이 도 11의 단사촬영처리를 실행하는 베스트 샷 모드에 있어서의 통상의 정지화상촬영을 동일한 촬영씬으로 복수회 실행한 경우에 얻어지는 촬영화상과 똑같은 촬영화상을 1회의 촬영조작으로 얻을 수 있다.
종래의 오토 브래킷팅 촬영에 따르면, 예를 들면 단지 밝기 등이 단계적으로 변화한 화상밖에 얻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오토 브래킷팅 촬영에 따르면, 화질이 다양하게 변화한 복수장의 화상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연속촬영시에 적용할 촬영조건을 사용자에게 선택된 촬영씬과 동일그룹에 속하는, 미리 정해져 있는 촬영씬에 대응한 촬영조건으로 함으로써 연속촬영횟수, 즉 1회의 촬영화상의 기록장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피사체를 베스트 샷 모드에서 촬영할 경우에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것끼리가 미리 그룹화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씬 선택방법으 로서 「수동」을 선택한 경우와는 달리, 촬영씬의 수동선택조작을 몇 번이나 실행하지 않고 끝난다. 그로 인해, 연속촬영에 앞서서 어느 씬을 선택하면 좋은 것인지 잘 모를 경우, 즉 씬을 1개 정도라면 수동 선택할 수 있지만, 복수의 씬을 수동 선택하게 되면 곤란해져 버리는 경우에는 특히 편리하다.
또한, 촬영씬의 그룹나누기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인물, 물, 야경, 자연」이라고 하는 바와 같은 피사체의 종류에 의해서 그룹나누기 해도 좋다. 그 경우, 미리 등록하여 두는 촬영씬이 도 8 등에 나타낸 씬이면, 인물 그룹에는 「인물」, 「인물과 풍경」, 「아이」 등의 촬영씬을, 물 그룹에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물보라를 정지시키고」등의 촬영씬을, 야경 그룹에는 「야경」, 「고감도」등의 촬영씬을, 자연 그룹에는 「풍경」, 「풍경과 인물」, 「녹색을 선명하게」, 「단풍」등의 촬영씬을 각각 넣어 두면 좋다. 또, 그 밖의 여러 종류의 촬영환경, 예를 들면 「옥외, 옥내」라고 하는 촬영장소나, 「춘, 하, 추, 동」이라는 촬영시기, 「아침, 저녁, 밤」이라는 촬영시간의 종류에 의해서 그룹나누기 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촬영씬이 복수의 그룹에 넣어져 있어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도 10의 스텝S106에 있어서, 씬 선택방법으로서 「자동」이 선택된 경우(S106; NO)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자동선택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자동선택처리로 이행하면, CPU(9)는 우선 화상표시부(14)에 촬영장수의 지정화면을 표시시키고, 그 표시화면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지정된 촬영 장수를 기억한다(스텝S501). 다음으로, CPU(9)는 스루화상표시를 개시시킨다(스텝S502). 여기에서, 사용자는 연속촬영의 대상으로 하는 피사체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의 지정은, 예를 들면 셔터 키가 반 누름 조작이 가능한 구성이면 셔터 키의 반 누름 조작에 의해 실행시킨다.
다음으로, CPU(9)는 사용자에 의한 연속촬영 대상의 피사체의 지정조작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S503).
사용자에 의한 연속촬영 대상의 피사체의 지정조작이 없다고 판별하면(S503; NO), CPU(9)는 그 지정조작이 있을 때까지 스텝S503의 처리를 반복한다.
사용자에 의한 연속촬영 대상의 피사체의 지정조작이 있었다고 판별하면(S503; YES), CPU(9)는 일단 소정의 프레임수의 화상을 받아들이고(스텝S504), 여기에서 취득한 복수 프레임 분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의 화상정보를 검출한다(스텝S505). 여기에서는, CPU(9)는 화상데이터의 휘도성분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밝기를 검출하거나, 화상데이터의 R, G, B의 각 색 성분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색조를 검출하거나, 화상데이터간의 내용을 비교해서 피사체의 움직임 벡터(피사체의 움직임 량)를 검출하거나, 얼굴 인식을 실행하여 얼굴부분 존재의 유무를 검출하거나 한다.
다음으로, CPU(9)는 상기와 같이 검출한 각각의 피사체 정보에 의거하여 스텝S501에서 사용자에게 지정시킨 지정장수를 상한으로 하여,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씬으로부터 피사체의 내용이나 현재의 촬영상황이 가까운, 즉 실제의 촬영씬 과 유사한 복수의 촬영씬을 검색한다(스텝S506).
여기에서는, CPU(9)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씬 판정데이터(107)를 이용하고, 각각의 촬영씬에 대해 판정항목마다 그 판정데이터와 먼저 검출한 화상정보를 비교하며 일치하는 판정항목의 수가 1 이상인 촬영씬을 후보로 하고, 그들에 대해 일치한 판정항목의 수를 유사 정도로 하며, 그것에 따른 우선순위부여를 실행한다. 그때 일치한 판정항목의 수가 같은 촬영씬에 대해서는 일치한 판정항목의 각각에 미리 정해져 있는 포인트수로서, 판정항목간의 우선순위에 따른 포인트수의 합계를 계산하고, 합계 포인트수가 보다 많은 촬영씬에 의해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또한, 합계 포인트수가 동일한 복수의 촬영씬에 대해서는 씬 번호가 보다 빠른 것에 의해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그 후 일치하는 판정항목의 수가 1 이상인 촬영씬 중에서 상기와 같이 부여한 우선순위(유사 정도)가 보다 높은 것으로부터 상기한 지정장수에 따른 수의 촬영씬을 취득한다.
다음으로, CPU(9)는 상기와 같이 취득(검색)한 복수의 촬영씬에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의 씬 번호를 기억함으로써, 그들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촬영시의 사용할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한다(스텝S507). 그리고 CPU(9)는 사용자에게 촬영준비의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표시하고(스텝S508), 자동선택처리를 종료시키며, 처리를 도 10의 메인 흐름으로 되돌린다.
그리고 자동선택처리의 종료 후에 대해서는, CPU(9)는 처리를 스텝S110으로 이행시키고, 촬영지시대기를 실행한다. 또한, 이 이후에 대해서는 상기한 스텝S111∼스텝S113의 처리에 의해 동일한 피사체에 대해서 촬영조건을 변화시킨 연속촬영을 실행하고,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1회의 촬영동작을 종료한다.
따라서, 씬 선택방법으로서 「자동」을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는 촬영조작에 앞서서 피사체를 지정함으로써, 씬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이나「그룹」을 선택한 경우와 똑같이 도 11의 단사촬영처리를 실행하는 베스트 샷 모드에 있어서의 통상의 정지화상촬영을, 동일한 촬영씬으로 복수회 실행한 경우에 얻어지는 촬영화상과 똑같은 촬영화상을 1회의 촬영조작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종래의 오토 브래킷팅 촬영에 따르면, 예를 들면 단지 밝기 등이 단계적으로 변화한 화상밖에 얻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오토 브래킷팅 촬영에 따르면, 화질이 다양하게 변화한 복수장의 화상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피사체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실제의 촬영씬과 유사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이 자동적으로 연속촬영시에 적용할 촬영조건으로서 설정되기 때문에 씬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이나「그룹」을 선택한 경우와는 달리, 연속촬영에 앞서서 실제의 촬영씬과 똑같은 씬을 선택하는 조작이 불필요하다. 그로 인해, 연속촬영에 앞서서 어느 씬을 선택하면 좋은 것인지 전혀 모르는, 또는 판단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경우에는 특히 편리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에게 미리 소망하는 촬영장수를 키 조작에 의해 지정시키기 때문에, 씬 선택방법으로서 「그룹」이 선택되어 있었던 경우와 똑같이, 연속촬영횟수, 즉 1회의 촬영화상의 기록장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스텝S505에서는 사용자에게 지정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로부터 본 발명의 씬 특정정보로서 피사체의 밝기나, 색조나, 움직임 량(움직임 벡터)이나 얼굴부분 존재의 유무라고 하는 화상정보를 검출(취득)하고, 계속되는 스텝S506에서는 취득한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실제의 촬영씬과 유사한 복수의 촬영씬을 검색하도록 했는데, 다음과 같이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스텝S505에서는 상기 화상정보와는 별도로, 화상데이터로부터는 얻을 수 없는 외부정보, 예를 들면 촬영일시나 촬영시기를 취득하고, 스텝S506에서는 그들의 외부정보와 상기의 화상정보의 쌍방 또는 한쪽에 의거하여 실제의 촬영씬과 유사한 복수의 촬영씬을 검색하도록 해도 좋다. 단, 그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씬 판정데이터(107)와는 달리, 상기한 판정항목으로서 상기 화상정보에 관한 판정항목과 상기 외부정보에 관한 판정항목의 쌍방 또는 한쪽이 포함되는 씬 판정데이터를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또, 상기한 스텝S503에서 피사체의 지정조작의 유무를 판별하도록 했는데, 피사체의 지정조작을 실행하는 일 없이, 스루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 스텝S504∼S507의 처리를 반복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한 스텝S505에서 복수 프레임분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의 화상정보를 검출할 때에 화상데이터 중의 미리 정해져 있는 소정영역(예를 들면 AF영역)이나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지정된 영역 내의 화상데이터만을 이용해서 화상정보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어느 피사체에 AF영역을 맞춘 다음에 셔터 키의 반 누름을 실행하는 것으로, AF영역 내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의 화상정보를 검출시킴으로써 소망의 피사체의 화상정보를 검출시킨다고 했던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었을 때, 그때에 씬 선택방법으로서 어느 방법이 선택된 경우에 대해서도 종래의 오토 브래킷팅 촬영에 의해서 얻어지는, 예를 들면 단지 밝기 등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화상과는 달리, 단사촬영용으로 준비되어 있는 각종의 촬영모드를 유효 이용함으로써 화질이 다양하게 변화한 복수장의 화상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브래킷팅 촬영을 실행할 때의 사용 편리함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씬 선택방법으로서 「수동」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촬영시에 적용할 촬영조건으로서 설정된 각각의 촬영조건이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씬으로부터 새로운 그룹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룹데이터(106)에 추가 등록된다. 따라서, 그 이후에 씬 선택방법으로서 「그룹」을 선택하고, 소망하는 촬영씬을 1개 선택하는 것만으로 그 이전에 수동으로 선택한 복수의 촬영씬(촬영모드)에 대응하는 각각의 촬영조건을 연속촬영시에 적용할 촬영조건으로서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이외의 씬 선택방법의 다름에 의한 각각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설한 대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씬 선택방법으로서 「자동」이 선택되었을 때에도 「수동」이 선택되었을 때와 똑같이 연속촬영시에 적용할 촬영조건으로서 설정된 각각의 촬영조건이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씬을 새로운 그룹으로서 등록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에 대해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지털카메라가 복수의 기존의 촬영조건을 조합하여 새로운 촬영조건을 작성하고, 사용자가 기존의 촬영조건과 새로운 촬영조건으로부터 1 또는 복수를 선택하며, 디지털카메라가 선택된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촬영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도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촬영을 할 때에 사용자가 연사기능 사용의 유무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 디지털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똑같으며, 또, 메모리(11)에는 상기한 촬영조건데이터(103), 부가정보데이터(104)가 격납되어 있다. 또, 메모리 (11)에는 CPU(9)를 본 발명의 단사제어수단, 연사제어수단, 선택제어수단, 생성수단, 화상기억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면, 디지털카메라(1)의 CPU(9)는 전체 촬영씬으로 이루어지는 씬 선택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 의한 1 또는 복수의 촬영씬의 기본씬으로서의 선택을 접수한다(스텝S601).
다음으로, CPU(9)는 1 또는 복수의 기본씬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602).
기본씬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면(S602; NO), CPU(9)는 처리를 스텝 S601로 되돌린다.
1 또는 복수의 기본씬이 선택되었다고 판별하면(S602; YES), CPU(9)는 선택된 기본씬을 DRAM(12)에 기억시키고(스텝S603),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본씬의 모두에 대해서 조합 가능한 촬영씬을 검색한다(스텝S604).
여기에서는, 등록되어 있는 모든 촬영씬 중에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기본씬의 각각에 대응하는 촬영조건과 오버랩하지 않는 내용의 촬영조건이 대응하고 있는 촬영씬을 검색한다. 즉 기본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에 셔터속도 등의 특정의 촬영조건항목이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촬영조건에 그것과 동일한 촬영조건항목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촬영씬, 바꾸어 말하면 촬영조건의 중점이 다른 촬영씬을 검색한다.
다음으로, CPU(9)는 검색한 조합 가능한 씬만으로 이루어지는 씬 선택화면을 표시시키고, 1 또는 복수의 기본씬에 합성시키는 합성씬으로서의 사용자가 소망하는 촬영씬의 선택을 접수한다(스텝S605).
다음으로, CPU(9)는 사용자에 의해 합성씬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606).
합성씬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면(S606; NO), CPU(9)는 처리를 스텝S605로 되돌린다.
합성씬이 선택되었다고 판별하면(S606; YES), CPU(9)는 기본씬마다 각각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에 합성씬의 촬영조건을 부가한 새로운 촬영조건을 개별로 작성하고, 작성한 새로운 촬영조건을 DRAM(12)에 기억시킨다(스텝S607).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씬에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와「물보라를 정지시키고」가 선택되고, 합성씬에 「인물」이 선택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새로운 촬영조건으로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인물」과「물보라를 정지시키고+인물」이라는 실제로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 가상적인 촬영씬에 대응하는 2 종류의 촬영조건을 작성한다.
다음으로, CPU(9)는 1 또는 복수의 기본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과, 작성한 새로운 촬영조건을 각각 촬영시의 사용대상으로 설정한다(스텝S608). 상기의 예에서는 2개의 기본씬에 대응하는 2종류의 촬영조건과 새롭게 작성한 2 종류의 촬영조건의 합계 4의 촬영조건을 촬영시의 사용대상으로서 설정한다. 이때, 기본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에 대해서는 씬 번호를 기억한다.
이 후, CPU(9)는 화상표시부(14)에 스루화상표시를 개시시켜서(스텝S609) 촬영대기상태로 이행시키고, 셔터 키의 조작에 의한 촬영지시의 유무를 판별한다(스텝S610).
촬영지시가 없다고 판별하면(S610; NO), CPU(9)는 촬영지시가 있을 때까지 스텝S610의 처리를 반복한다.
촬영지시가 있었다고 판별하면(S610; YES), CPU(9)는 그 시점에서 사용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촬영조건을 판독하고, 그것에 따른 촬영처리를 실행하며(스텝S611), 촬영에 의해 취득한 정지화상데이터를 DRAM(12)에 기억한다(스텝S612).
다음으로, CPU(9)는 사용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모든 촬영조건에 따른 촬영처리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613).
사용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모든 촬영조건에 따른 촬영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면(S613; NO), CPU(9)는 처리를 스텝S611로 되돌린다.
즉, 사용대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모든 촬영조건에 따른 촬영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스텝S611, S612의 동작을 반복한다. 동일한 피사체에 대해 촬영조건을 변화시킨 연속촬영을 실행한다.
설정되어 있는 촬영조건의 수에 따른 횟수의 촬영처리가 종료되었다고 판별하면(S613; YES), CPU(9)는 DRAM(12)에 기억한 복수의 정지화상데이터로서, 서로 다른 촬영조건에서의 촬영처리에 의해 취득한 각각의 정지화상데이터를 정지화상 파일로서 개별적으로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한다(스텝S614). 그리고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1회의 촬영동작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에서는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된 경우에는 촬영조작에 앞서서 사용자가 기본씬과 합성씬의 2종류의 촬영씬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적어도 직접 선택한 기본씬과 합성씬과 대응하는 1조의 촬영조건과, 그 1조의 촬영조건으로부터 생성된 새로운 촬영조건의 합계 3종류의 촬영조건을 각각 적용하는 연속촬영이 실행된다.
그 결과, 촬영화상으로서 종래의 오토 브래킷팅 촬영에 따르면, 예를 들면 단지 밝기 등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화상을 얻는 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오토 브래킷팅 촬영에 따르면, 단사촬영용으로 준비되어 있는 각종의 촬영모드를 유효 이용함으로써, 화질이 다양하게 변화한 복수장의 화상인 동시에,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선택씬을 바꾸어 통상의 정지화상촬영을 복 수회 실행했다고 해도 얻을 수 없는, 상기한 새로운 촬영조건이 반영된 촬영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장의 화상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팅 촬영을 실행할 때의 사용 편리함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스트 샷 모드에서의 연속촬영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직접 선택된 기본씬과 합성씬에 각각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적용하는 촬영을 실행하도록 했는데, 기본씬으로서 적어도 2 이상의 촬영씬을 선택시키는 동시에, 상기한 새로운 촬영조건을 적용하는 촬영만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예의 경우에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인물」과「물보라를 정지시키고+인물」이라고 한 가상적인 촬영씬에 대응하는 2종류의 새로운 촬영조건을 적용하는 촬영만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에게 기본씬과 합성씬의 2종류로 나누어 복수의 촬영씬을 선택시키고, 기본씬측에 있는 촬영조건과 합성씬측에 있는 촬영조건을 합성시켜서 연속촬영시에 적용할 새로운 촬영조건을 생성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사용자에게 3개 이상의 촬영씬을 선택시키고, 그들에 대응하는 3개 이상의 촬영조건(예를 들면 A, B, C)의 모두를 합성한 새로운 촬영조건(예를 들면 A+B+C)을 연속촬영시에 적용할 새로운 촬영조건으로서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연속촬영에 의해 화질이 다양하게 변화한 복수장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그 경우의 연속촬영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용자에게 직접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적용하는 촬영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고, 새로운 촬영조건을 적용하는 촬영만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에 대해 설명한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촬영씬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디지털카메라가 촬영씬에 적합한 촬영파라미터의 설정값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브래킷팅 촬영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도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촬영에 대해서 사용자가 연사기능의 사용의 유무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 디지털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똑같은데, 상기 메모리(11)에는 상기 CPU(9)를 본 발명의 단사제어수단과 선택제어수단, 변경수단, 연사제어수단, 화상기억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11)에는 상기한 선택제한데이터(105)와 그룹데이터(106)와 씬 판정데이터(107)에 대신해서, 도 19에 나타낸 내용의 브래킷팅데이터(108)가 격납되어 있다.
브래킷팅데이터(108)는 디지털카메라에 등록되어 있는 각각의 촬영씬에 대응하는 데이터로서,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연속촬영시에 설정값을 단계적으로 변경해야 할 촬영파라미터(이하, 조정파라미터라고 한다)의 종류와, 연속촬영시에 있어서의 각 조정대상파라미터의 1회분의 변화량인 조정간격(조정량)과, 조정횟수로 구성된다.
조정파라미터는 대응하는 촬영씬, 즉 촬영조건의 내용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것이며, 여기에서는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촬영조건데이터(103)에 있어서 그 설정이 오토나 표준으로 되어 있지 않은 특정의 촬영파라미터이다. 조정간격의 구체적인 설정값은, 예를 들면 촬영파라미터가 셔터속도나 조리개와 같이 설정 가능한 값이 단계적인 것이면 1단이나 2단 등의 조정단계이며, 또, 색 강조나, 샤프니스, 윤곽 강조, 색 필터와 같이 화상처리에 관한 것이면 조정강도이다. 조정횟수는 상기 조정간격으로 조정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횟수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회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도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촬영에 대해서 사용자가 연사기능 사용의 유무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0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었을 때의 디지털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면, 디지털카메라(1)의 CPU(9)는 전체 촬영씬으로 이루어지는 씬 선택화면을 표시시키고, 사용자에게 소망하는 촬영씬의 선택을 접수한다(스텝S701).
다음으로, CPU(9)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씬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702).
사용자에 의해 촬영씬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면(S702; NO), CPU(9)는 처리를 스텝S701로 되돌린다.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촬영씬이 선택되었다고 판별하면(S702; YES), CPU(9)는 우선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브래킷팅데이터(108)를 판독하고(스텝 S703), 상기한 조정량과 조정횟수에 의거하여 조정파라미터의 초기값을 연산하고, 조정파라미터에 초기값을 설정한다(스텝S704). 또한, 조정파라미터의 초기값은 조정파라미터를 상기한 조정량으로 조정횟수만큼 변화시켰을 때의 중앙값이, 조정파라미터를 AE제어나 AWB제어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설정값이 되는 바와 같은 값이다.
다음으로, CPU(9)는 상기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촬영조건에 따른 촬영처리를 실행하고(스텝S705), 촬영에 의해 취득한 정지화상데이터를 DRAM(12)에 기억한다(스텝S706).
CPU(9)는 촬영횟수가 조정파라미터의 조정횟수에 1을 더한 소정횟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707).
촬영횟수가 조정파라미터의 조정횟수에 1을 더한 소정횟수는 아니라고 판별하면(S707; NO), CPU(9)는 조정파라미터의 설정값을 상기 조정간격만큼 변화시킨 값으로 변경하고(스텝S708), 처리를 스텝S705로 되돌린다.
즉, 촬영횟수가 조정파라미터의 조정횟수에 1을 더한 소정횟수가 될 때까지는 조정파라미터의 설정값을 상기 조정간격만큼 변화시킨 값으로 변경한 후(스텝S708), 스텝S705, S706의 동작을 반복한다. 동일한 피사체에 대해 촬영조건을 변화시킨 연속촬영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촬영에 앞서서 사용자에게 선택되어 있었던 촬영씬이 「스포츠」나「물의 흐름을 원활하게」이었을 때에는 셔터속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킨 연속촬영을 실행하고, 또, 상기 촬영씬이 「꽃」이었을 때에는 채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 킨 연속촬영을 실행한다. 또, 상기 촬영씬이 「인물」이었을 때에는 피부색 강조 정도를, 마찬가지로 「녹색을 선명하게」이었을 때에는 녹색 강조의 정도를, 마찬가지로 「단풍」이었을 때에는 적색 강조의 정도를 각각 단계적으로 변화시킨 연속촬영을 실행한다.
그 후, 촬영횟수가 조정파라미터의 조정횟수에 1을 더한 소정횟수라고 판별하면(S707; YES), CPU(9)는 DRAM(12)에 기억한 복수의 정지화상데이터로서, 서로 다른 촬영조건에서의 촬영처리에 의해 취득한 각각의 정지화상데이터를 정지화상 파일로서 개별적으로 상기 플래시메모리(13)에 기록한다(스텝S709). 이에 따라, 베스트 샷 모드에 의한 1회의 촬영동작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에서는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을 선택한 경우, 단사촬영시와 똑같이 촬영조작에 앞서서 지금부터 촬영하려고 하고 있는 피사체, 및 그때의 촬영환경을 포함하는 촬영씬과 똑같은 씬, 혹은 기호에 따른 분위기의 씬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그때그때의 촬영씬에 적합한 촬영파라미터의 설정값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브래킷팅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단사촬영용으로 준비되어 있는 촬영씬(촬영모드)의 선택에 의해 브래킷팅 촬영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단사용의 촬영모드와 연사(브래킷팅 촬영)용의 촬영모드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동일한 촬영모드를 단사시와 연사시로 공통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나 사진 등에 관한 지식의 유무에 관계없이, 누구나가 오토 브래킷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브래킷팅 촬영을 실행할 때의 사용 편리 함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한 제 4∼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모드의 선택화면으로서 촬영모드에 대응하는 타이틀, 설명 및 샘플화상을 표시시키는 베스트 샷 모드가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카메라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촬영모드의 선택화면으로서 촬영모드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나 명칭만을 표시시키는 통상의 촬영모드가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카메라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를 디지털카메라(1)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 카메라 부착 PDA, 카메라 부착 PC,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에 적용해도 좋으며, 요는 피사체를 연속촬영할 수 있는 기기이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각 촬영씬의 촬영조건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각 촬영씬의 부가정보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촬영씬이 표시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내장메모리의 격납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선택제한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그룹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씬 판정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의 베스트 샷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베스트 샷 모드에서의 단사촬영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었을 때의 수동선택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었을 때의 그룹선택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었을 때의 자동선택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수동선택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의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그룹선택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의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기본씬 및 합성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과, 생성되는 촬영조건과, 연속촬영시에 사용되는 촬영조건의 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9는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브래킷팅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스트 샷 모드에서 연사기능의 사용이 선택되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지털카메라 2: 촬영렌즈
3: 렌즈구동블록 4: CCD
5: 드라이버 6: TG
7: 유닛회로 8: 화상생성부
9: CPU 10: 키 입력부
11: 메모리 12: DRAM
13: 플래시메모리 14: 화상표시부
15: 버스 101: 화상데이터
102: 프로그램데이터 103: 촬영조건데이터
104: 부가정보데이터 105: 선택제한데이터
106: 그룹데이터 107: 씬 판정데이터

Claims (31)

  1.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과,
    복수의 촬영씬과 복수의 촬영조건을 대응지어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피사체를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촬영상황을 검출하는 촬영상황검출수단과,
    상기 촬영상황검출수단이 검출한 촬영상황에 의거하여 조건기록수단이 기록하는 복수의 촬영씬 중에서 적어도 1씬 이상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자동선택수단과,
    상기 자동선택수단이 복수 선택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상기 조건기록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촬영조건을 상기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에 대한 촬영조건으로서 복수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사제어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이 설정한 각각 다른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상기 촬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촬영조건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이 입력한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정지화상촬영의 복수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상황검출수단은,
    상기 촬영상황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피사체의 밝기, 색조, 피사체의 이동량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선택수단은,
    상기 촬영상황검출수단이 검출한 촬영상황과 상기 조건기록수단이 기록하는 각 촬영씬의 상관관계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이 판정한 상관관계에 의거하여 촬영조건데이터로부터 촬영씬을 복수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연사제어수단이 제어함으로써 상기 촬상수단이 상기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할 때까지는 상기 촬상수단이 피사체의 동화상촬영을 실행하고, 상기 표시수단이 해당 동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동화상데이터에 의거하는 이미지동화상을 스루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스루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루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자동선택수단이 촬영씬을 선택한 경우에는 해당 선택된 촬영씬의 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이미지동화상 위에 겹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한 연속정지화상촬영으로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와 해당 각 화상데이터가 촬영되었을 때의 촬영조건에 대응하는 촬영씬의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 재생 표시시키는 재생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재생표시제어수단은,
    재생 표시시키는 화상데이터에 관련지어 촬영씬의 정보가 기록되고 있는 경우는 해당 화상데이터를 재생 표시시키는 동시에 해당 촬영씬의 정보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 기록수단과,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해 연속해서 실행되는 정지화상촬영의 각 촬영조건을 1개의 그룹으로서 상기 제 2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그룹기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기록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기록수단에 기록된 그룹마다 촬영조건을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기록수단으로부터 판독된 동일그룹내의 각각 다른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각 정지화상촬영의 복수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촬영조건의 설정대상을 이미 설정되어 있는 촬영조건에 따라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샘플화상을 기억하는 샘플화상기억수단과,
    상기 샘플화상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임의의 샘플화상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샘플화상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샘플화상표시제어수단이 표시시킨 임의의 샘플화상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샘플화상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수단이 제어하는 정지화상촬영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복수의 촬영씬과 복수의 촬영조건을 대응지어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단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사제어수단과,
    복수의 촬영씬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한 각 정지화상촬영에 대한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제 1 설정수단과,
    1개의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촬영조건을 상기 단사제어수단에 의한 단수회의 정지화상촬영에 대한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제 2 설정수단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 및 상기 단사제어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과,
    상기 복수의 촬영씬으로부터 기본씬으로 하는 촬영씬과, 합성씬으로 하는 촬영씬을 사용자에게 각각 선택시키는 선택제어수단과,
    상기 선택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기본씬으로서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과 상기 합성씬으로서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새로운 촬영조건을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설정수단은, 상기 선택제어수단이 사용자에게 선택시킨 촬영씬에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과, 상기 생성수단이 생성한 새로운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수단이 제어하는 정지화상촬영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며,
    상기 연사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설정수단이 설정한 복수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사제어수단은 상기 제 2 설정수단이 설정한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수단이 단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과,
    상기 각 정지화상촬영의 촬영조건을 각각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연사제어수단이 제어함으로써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실행한 각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사제어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이 설정한 각각 다른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며,
    복수의 촬영씬과 복수의 촬영조건을 대응지어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정보, 또는 해당 피사체의 촬상시에 있어서의 촬상환경으로 이루어지는 씬 특정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씬 특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조건으로부터 복수의 촬영조건을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한 연사촬영시에 적용되는 복수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되는 복수의 촬영조건의 수를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수로 제한하는 조건수제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샘플화상을 기억하는 샘플화상기억수단과,
    상기 샘플화상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임의의 샘플화상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샘플화상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샘플화상표시제어수단이 표시시킨 임의의 샘플화상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샘플화상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수단이 제어하는 정지화상촬영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6.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스텝과,
    상기 촬상스텝에서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스텝과,
    복수의 촬영씬과 복수의 촬영조건을 대응지어 기록하는 조건기록스텝과,
    상기 촬상스텝에서 피사체를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촬영상황을 검출하는 촬영상황검출스텝과,
    상기 촬영상황검출스텝에서 검출한 촬영상황에 의거하여 조건기록스텝에서 기록하는 복수의 촬영씬 중에서 적어도 1씬 이상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자동선택스텝과,
    상기 자동선택스텝에서 복수 선택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상기 조건기록스텝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촬영조건을 상기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에 대한 촬영조건으로서 복수 설정하는 설정스텝과,
    상기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스텝과,
    상기 연사제어스텝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스텝에서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연사제어스텝은 상기 설정스텝에서 설정한 각각 다른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상기 촬상스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는 촬상장치가 갖는 컴퓨터를,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과,
    복수의 촬영씬과 복수의 촬영조건을 대응지어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피사체를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촬영상황을 검출하는 촬영상황검출수단과,
    상기 촬영상황검출수단이 검출한 촬영상황에 의거하여 조건기록수단이 기록하는 복수의 촬영씬 중에서 적어도 1씬 이상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자동선택수단과,
    상기 자동선택수단이 복수 선택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상기 조건기록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촬영조건을 상기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에 대한 촬영조건으로서 복수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사제어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이 설정한 각각 다른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상기 촬상수단을 제어하도록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18.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스텝과,
    복수의 촬영씬과 복수의 촬영조건을 대응지어 기록하는 조건기록스텝과,
    상기 촬상스텝에서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스텝과,
    상기 촬상스텝에서 단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사제어스텝과,
    복수의 촬영씬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조건기록스텝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스텝에 의한 각 정지화상촬영에 대한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제 1 설정스텝과,
    1개의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상기 조건기록스텝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촬영조건을 상기 단사제어스텝에 의한 단수회의 정지화상촬영에 대한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제 2 설정스텝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스텝과,
    상기 연사제어스텝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 및 상기 단사제어스텝에 의해 얻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스텝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스텝과,
    상기 복수의 촬영씬으로부터 기본씬으로 하는 촬영씬과, 합성씬으로 하는 촬영씬을 사용자에게 각각 선택시키는 선택제어스텝과,
    상기 선택제어스텝에 의해 상기 기본씬으로서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과 상기 합성씬으로서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새로운 촬영조건을 생성하는 생성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설정스텝에 있어서, 상기 선택제어스텝은 사용자에게 선택시킨 촬영씬에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과, 상기 생성스텝이 생성한 새로운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스텝이 제어하는 정지화상촬영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며,
    상기 연사제어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스텝에서 설정한 복수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스텝에서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사제어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스텝에서 설정한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스텝에서 단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촬영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는 촬상장치가 갖는 컴퓨터를,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복수의 촬영씬과 복수의 촬영조건을 대응지어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단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사제어수단과,
    복수의 촬영씬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한 각 정지화상촬영에 대한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제 1 설정수단과,
    1개의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을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촬영조건을 상기 단사제어수단에 의한 단수회의 정지화상촬영에 대한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제 2 설정수단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 및 상기 단사제어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과,
    상기 복수의 촬영씬으로부터 기본씬으로 하는 촬영씬과, 합성씬으로 하는 촬영씬을 사용자에게 각각 선택시키는 선택제어수단과,
    상기 선택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기본씬으로서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과 상기 합성씬으로서 선택된 촬영씬에 대응하는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새로운 촬영조건을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설정수단은, 상기 선택제어수단이 사용자에게 선택시킨 촬영씬에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조건과, 상기 생성수단이 생성한 새로운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수단이 제어하는 정지화상촬영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며,
    상기 연사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설정수단이 설정한 복수의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사제어수단은 상기 제 2 설정수단이 설정한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수단이 단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20.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스텝과,
    상기 촬상스텝에서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스텝과,
    상기 각 정지화상촬영의 촬영조건을 각각 설정하는 설정스텝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스텝과,
    상기 연사제어스텝에서 제어함으로써 상기 촬상스텝에서 다른 타이밍으로 실행한 각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스텝에서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연사제어스텝에서 상기 설정스텝에서 설정한 각각 다른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며, 상기 연사제어스텝은
    복수의 촬영씬과 복수의 촬영조건을 대응지어 기록하는 조건기록스텝과,
    상기 촬상스텝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정보, 또는 해당 피사체의 촬상시에 있어서의 촬상환경으로 이루어지는 씬 특정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상기 취득스텝에 의해 취득된 씬 특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건기록스텝에서 기록된 복수의 촬영조건으로부터 복수의 촬영조건을 검색하는 검색스텝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설정스텝에서, 상기 검색스텝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스텝에 의한 연사촬영시에 적용되는 복수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촬영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는 촬상장치가 갖는 컴퓨터를,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사제어수단과,
    상기 각 정지화상촬영의 촬영조건을 각각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연사제어수단이 제어함으로써 상기 촬상수단이 다른 타이밍으로 실행한 각 정지화상촬영에 의해 얻어진 각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사제어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이 설정한 각각 다른 촬영조건에 의거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회의 정지화상촬영을 실행하며,
    복수의 촬영씬과 복수의 촬영조건을 대응지어 기록하는 조건기록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정보, 또는 해당 피사체의 촬상시에 있어서의 촬상환경으로 이루어지는 씬 특정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씬 특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건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조건으로부터 복수의 촬영조건을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촬영조건을 상기 연사제어수단에 의한 연사촬영시에 적용되는 복수의 촬영조건으로서 설정하도록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070103844A 2006-10-16 2007-10-16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100921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81656A JP2008099192A (ja) 2006-10-16 2006-10-16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JP-P-2006-00281656 2006-10-16
JP2006355942A JP4821604B2 (ja) 2006-12-28 2006-12-28 撮像装置、及びその静止画撮影プログラム
JPJP-P-2006-00355942 2006-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410A KR20080034410A (ko) 2008-04-21
KR100921349B1 true KR100921349B1 (ko) 2009-10-13

Family

ID=3930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844A KR100921349B1 (ko) 2006-10-16 2007-10-16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20080088710A1 (ko)
KR (1) KR100921349B1 (ko)
TW (1) TWI3990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2776B2 (ja) * 2007-10-31 2012-11-28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8525888B2 (en) * 2008-01-17 2013-09-03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with image sensor and rangefinding unit
US20090324098A1 (en) * 2008-06-27 2009-12-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phone with selective photographic system and method
EP2148499B1 (en) * 2008-07-25 2018-01-17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JP5263767B2 (ja) * 2008-09-26 2013-08-14 株式会社ザクティ 撮像装置及びモード適否判定方法
JP5370056B2 (ja) * 2008-11-04 2013-12-18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5321070B2 (ja) 2009-01-08 2013-10-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295966A1 (en) * 2009-05-19 2010-11-25 John Furlan Digital video camera with high resolution imaging system
JP5489636B2 (ja) * 2009-10-19 2014-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00357B1 (ko) * 2009-11-30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점프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5630991B2 (ja) * 2009-12-14 2014-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131286B2 (ja) * 2010-01-04 2013-01-30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737880B2 (ja) * 2010-08-20 2015-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780764B2 (ja) * 2011-01-17 2015-09-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5737977B2 (ja) * 2011-02-03 2015-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その画像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06435B2 (ja) * 2011-03-16 2016-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本体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
JP5136669B2 (ja) 2011-03-18 2013-0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14829B2 (ja) * 2011-12-22 2016-05-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130074299A (ko) * 2011-12-26 201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 조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촬영 장치
US9148582B2 (en) * 2012-06-29 2015-09-2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ect shot imaging from multiple images
KR20140021821A (ko) * 2012-08-09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캡처 장치 및 이미지 캡처 방법
KR102045957B1 (ko) 2013-01-18 2019-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촬영 방법 및 장치
JP5729407B2 (ja) 2013-02-28 2015-06-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59061B2 (ja) * 2013-06-11 2016-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れらの制御方法
JP5962600B2 (ja) * 2013-06-26 2016-08-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生成装置、動画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89979B2 (en) * 2013-08-06 2016-11-08 Casio Computer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time-lapse moving imag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271917B2 (ja) * 2013-09-06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撮像装置
US10931866B2 (en) * 2014-01-05 2021-02-23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toring in a camera a user controllable setting that is used to control composite image generation performed after image capture
US9678649B2 (en) * 2014-05-14 2017-06-13 Htc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photos and electronic device for using the same
EP3192429A4 (en) * 2014-07-29 2018-04-11 Olympus Corporation Video processor for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equipped with same
CN104125407B (zh) * 2014-08-13 2018-09-0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物体运动轨迹的拍摄方法和移动终端
CN105635575B (zh) * 2015-12-29 2019-04-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成像方法、成像装置和终端
JP6991733B2 (ja) * 2017-04-28 2022-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69805B1 (ko) * 2017-08-23 2022-03-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CN108322648B (zh) * 2018-02-02 2020-06-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292962B2 (ja) * 2019-05-08 202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292961B2 (ja) * 2019-05-08 202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0753187B (zh) * 2019-10-31 2021-06-01 芋头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控制方法及设备
CN114422682B (zh) * 2022-01-28 2024-02-02 安谋科技(中国)有限公司 拍摄方法、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488B1 (ko) 1996-07-13 1999-07-15 구자홍 연속 촬영 및 선택 저장 지능을 지닌 디지탈 스틸 카메라
KR20040086609A (ko) * 2003-03-31 2004-10-1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
KR20050024029A (ko) * 2003-09-04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의 자동 연속촬영 장치
KR20060102134A (ko) * 2005-03-23 2006-09-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793A (en) * 1996-05-06 1998-10-2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igital images having extended dynamic ranges
US6687400B1 (en) * 1999-06-16 2004-02-0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exposure and tone of a digital image
JP4018368B2 (ja) * 2001-10-30 2007-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の操作制御システム
US7777784B2 (en) * 2002-06-25 2010-08-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ple images from a single image
CN1501695A (zh) * 2002-11-18 2004-06-02 矽峰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码相机成像中内在延迟的修正方法
JP4289045B2 (ja) * 2003-07-01 2009-07-01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スチルカメラ、電子スチル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7142723B2 (en) * 2003-07-18 2006-11-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generating high dynamic range images from multiple exposures of a moving scene
JP4378141B2 (ja) * 2003-09-29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5354165A (ja) * 2004-06-08 2005-12-22 Canon Inc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293089B2 (ja) * 2004-08-05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77968B2 (ja) * 2004-08-30 2010-06-09 Hoya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US8081234B2 (en) * 2004-12-29 2011-12-20 Intel Corporation Technique for increased exposure range in image sensors
JP4534816B2 (ja) * 2005-03-16 2010-09-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837880B (zh) * 2005-03-25 2010-04-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JP4498236B2 (ja) * 2005-07-13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258927A (ja) 2006-03-22 2007-10-04 Seiko Epson Corp 撮像装置
JP2008042617A (ja) * 2006-08-08 2008-02-21 Eastman Kodak Co デジタル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488B1 (ko) 1996-07-13 1999-07-15 구자홍 연속 촬영 및 선택 저장 지능을 지닌 디지탈 스틸 카메라
KR20040086609A (ko) * 2003-03-31 2004-10-1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영화상기록재생장치 및 촬영화상기록재생방법
KR20050024029A (ko) * 2003-09-04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의 자동 연속촬영 장치
KR20060102134A (ko) * 2005-03-23 2006-09-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88710A1 (en) 2008-04-17
TW200830867A (en) 2008-07-16
KR20080034410A (ko) 2008-04-21
US20140218566A1 (en) 2014-08-07
US9386263B2 (en) 2016-07-05
US20110090368A1 (en) 2011-04-21
US8736703B2 (en) 2014-05-27
TWI399081B (zh)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349B1 (ko)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US7656451B2 (en) Camera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7839448B2 (en) Camera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mage pickup elements
US8098287B2 (en) Digital camera with a number of photographing systems
EP2131572B1 (en) Camera, camera control program, and camera control method
US7880926B2 (en) Imaging apparatus performing flash photography for persons
JP4395619B2 (ja) 撮像装置、撮影条件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222582B (zh) 摄像装置和连续摄影方法
EP1521455A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method
US801849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still image advancing/retreating manipulation function,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JP4200428B2 (ja) 顔領域抽出方法及び装置
JP5494744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45402A (ja) 日付ソート機能付き画像ファイル情報表示装置、画像ファイル情報表示方法及び撮像装置
JP482160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静止画撮影プログラム
JP4352554B2 (ja) 電子カメラ
JP394347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0196946A (ja) プログラム撮影方法および電子撮像装置
JPH0832847A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8054128A (ja) 撮像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210411A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2009017368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089669A (ja) 撮影装置、撮影モード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57649A (ko)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JP201124279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