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805B1 -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805B1
KR102369805B1 KR1020170106645A KR20170106645A KR102369805B1 KR 102369805 B1 KR102369805 B1 KR 102369805B1 KR 1020170106645 A KR1020170106645 A KR 1020170106645A KR 20170106645 A KR20170106645 A KR 20170106645A KR 102369805 B1 KR102369805 B1 KR 10236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operation mode
determining
candidate
operation m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646A (ko
Inventor
목승준
성민석
두르가 프라사드 주주루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805B1/ko
Priority to US16/057,817 priority patent/US10979637B2/en
Publication of KR2019002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4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06
    • H04N5/232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대 별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카메라가 복수의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후보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OPERATION MO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수의 카메라가 도처에 설치되어 있고,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을 녹화, 저장, 전송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의 설치 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송 받아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는 다채널 감시 시스템 등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다채널 감시 시스템이 포함된 카메라들은 설치 환경이 비슷하거나 유사함에도 각 카메라 별로 동작모드를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환경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장소에 설치된 카메라가 한 가지의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 특정한 시간대에서는 카메라가 영상을 제대로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간대 별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게 각각의 시간대 별로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설정하여, 카메라가 모든 시간대에서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시간대의 영상과 함께 후보 동작모드가 적용되었을 경우의 미리보기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각 시간대 별 동작 모드를 보다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의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대 별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카메라가 복수의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후보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치환경정보와 동작모드 결정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는 복수의 설치환경정보와 복수의 동작모드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기 학습된 데이터 세트일 수 있다.
상기 설치환경정보는 상기 카메라의 설치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치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와 인접하는 소정의 수의 인접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카메라의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시간대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와 상기 제1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에 대한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은,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대 별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복수의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후보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간대 별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간편하게 각각의 시간대 별로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설정하여, 카메라가 모든 시간대에서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시간대의 영상과 함께 후보 동작모드가 적용되었을 경우의 미리보기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각 시간대 별 동작 모드를 보다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의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도 3a 및 도 3b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되는 모드 결정 화면의 예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 및 하나 이상의 카메라(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가 시간대 별로 카메라(200)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하고, 카메라(200)의 시간대 별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00)는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일 수 있다. 렌즈는 1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군을 의미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이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즉 영상)로 변환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카메라(200)는 획득한 영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인코딩(Encoding)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00)는 복수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카메라(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한 개일 수도 있고 또는 여러 개 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200)의 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이 설치되는 환경 및/또는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시간대 별로 카메라(200)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하고, 카메라(200)의 시간대 별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제어부(110), 메모리(120), 통신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20)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가 카메라(200) 및/또는 다는 네트워크 장치(미도시)와 통신망을 통해 영상 신호 또는 제어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40)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가 생성한 전기 신호에 따라 도형,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0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카메라(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다른 외부 장치(가령 NVR)등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가 카메라(200) 및/또는 외부 장치와 별도로 구비되며, 카메라(200)가 한 대인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시간대 별 카메라(200)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카메라(200)가 복수의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포함하는 카메라(200)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설치환경정보'는 카메라(200)가 복수의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과 카메라(200)의 설치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설치환경정보는 카메라(200)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환경정보는 카메라(200) 주변의 밝기, 카메라(200) 주변의 온도, 습도, 안개유무 등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200)가 설치된 환경에 관한 정보이거나, 카메라(200) 그 자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라면 본 발명의 '설치환경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200)의 동작모드는 카메라의 설정 프로파일과 획득된 영상에 대한 분석 방법의 종류를 포괄하는 카메라(200)의 설정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프로파일은 노출감도, 조리개 수치, 화이트 밸런스 값 및 촬영 해상도 등과 같은 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들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카메라의 주차장 모드의 경우, 높은 노출 감도(ISO)와 높은 선명도(Sharpness)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설정과, 획득된 영상에서 번호판을 인식하는 영상 분석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람 감지 모드의 경우 낮은 노출 감도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설정과, 획득된 영상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영상 분석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획득한 카메라(200)의 설치환경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획득한 설치환경정보와 동작모드 결정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동작모드 결정기는 복수의 설치환경정보와 복수의 동작모드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기 학습된 데이터 세트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동작모드 결정기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법으로 생성된 복수의 설치환경정보와 복수의 동작모드 간의 상관관계, 즉 양자의 매핑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동작모드 결정기는 영상과 해당 영상과 같은 환경에서의 카메라(200)의 바람직한 동작모드가 표지 된 복수의 테스트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것 일 수 있다. 이때 영상은 설치환경정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설치환경정보가 카메라(200)의 설치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인접하는 다른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참조하여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어부(110)는 동작모드를 결정하고자 하는 카메라(200)의 설치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카메라와 인접하는 소정의 수의 인접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인접'의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0)는 동일한 공간(가령 동일한 방, 또는 동일한 층)상에 위치하는 것을 인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설치위치정보가 구체적인 좌표의 형태인 경우, 제어부(110)는 두 위치 간의 거리의 차가 소정의 임계거리 이하인 것을 인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10)는 인접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확인하고, 가장 인접한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후보 동작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인접한 카메라들의 동작모드 중 가장 많은 동작모드를 후보 동작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10)는 전술한 두 가지 동작모드 모두를 후보 동작모드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110)는 각 시간대 별로 카메라(200)의 동작모드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시간에 따라 카메라(200)가 설치된 주변 환경의 조건(가령 광량, 통행량 등)이 변화함에도, 한 가지의 동작모드로만 설정되어 특정 시간대에는 적절한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영상의 판독 불가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여, 감시 시스템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는 더 큰 문제를 야기시켰다.
본 발명은 각각의 시간대 별로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보다 간편하게 설정함으로써, 카메라(200)가 모든 시간대에서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간대'는 시점과 종점으로 정의되는 시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대는 일정한 크기(가령 10분 또는 1시간 등)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카메라의 후보 동작모드 및 그에 따른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는 설치환경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설치환경정보가 이전 시간대에서의 설치환경정보에서 일정한 비율 이상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새로운 시간대(즉 시구간)를 시작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후보 동작모드 및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후보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후보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동작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어부(110)는 표시부(140)를 통하여 어떤 시간대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와 해당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에 대응되는 미리보기 영상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가령 후보 동작모드가 3개인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 외에 3개의 후보 동작모드 각각을 카메라(200)에 적용시켰을 경우 예상되는 3개의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에 대한 선택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대의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어떤 시간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작업은, 모든 시간대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령 시간대가 총 3개인 경우, 사용자는 3개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동작모드를 선택함으로써 각각의 시간대에 대한 동작모드를 확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동작 모드의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먼저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제어부(110)가 동작모드 결정기에 기초하여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연관도가 높은 후보 동작모드가 가장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가 인접한 카메라들의 동작모드 중 가장 많은 동작모드를 후보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110) 가장 많은 상위 3개의 동작 모드를 후보 동작모드로써 가장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대응되도록 카메라(200)의 프로파일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프로파일은 노출감도, 조리개 수치, 화이트 밸런스 값 및 촬영 해상도 등과 같은 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들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도 3a 및 도 3b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 2, 도 3a 및 도 3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시간대 별 카메라(200)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카메라(200)가 복수의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포함하는 카메라(200)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0)
이때 '설치환경정보'는 카메라(200)가 복수의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과 카메라(200)의 설치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설치환경정보는 카메라(200)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환경정보는 카메라(200) 주변의 밝기, 카메라(200) 주변의 온도, 습도, 안개유무 등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200)가 설치된 환경에 관한 정보이거나, 카메라(200) 그 자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라면 본 발명의 '설치환경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200)의 동작모드는 카메라의 설정 프로파일과 획득된 영상에 대한 분석 방법의 종류를 포괄하는 카메라(200)의 설정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프로파일은 노출감도, 조리개 수치, 화이트 밸런스 값 및 촬영 해상도 등과 같은 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들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카메라의 주차장 모드의 경우, 높은 노출 감도(ISO)와 높은 선명도(Sharpness)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설정과, 획득된 영상에서 번호판을 인식하는 영상 분석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람 감지 모드의 경우 낮은 노출 감도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설정과, 획득된 영상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영상 분석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획득한 카메라(200)의 설치환경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S220) 이때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획득한 설치환경정보와 동작모드 결정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동작모드 결정기는 복수의 설치환경정보와 복수의 동작모드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기 학습된 데이터 세트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동작모드 결정기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법으로 생성된 복수의 설치환경정보와 복수의 동작모드 간의 상관관계, 즉 양자의 매핑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동작모드 결정기는 영상과 해당 영상과 같은 환경에서의 카메라(200)의 바람직한 동작모드가 표지 된 복수의 테스트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것 일 수 있다. 이때 영상은 설치환경정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설치환경정보가 카메라(200)의 설치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인접하는 다른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참조하여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동작모드를 결정하고자 하는 카메라(200)의 설치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카메라와 인접하는 소정의 수의 인접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S221) 이때 '인접'의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동일한 공간(가령 동일한 방, 또는 동일한 층)상에 위치하는 것을 인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설치위치정보가 구체적인 좌표의 형태인 경우,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두 위치 간의 거리의 차가 소정의 임계거리 이하인 것을 인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인접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확인하고, 가장 인접한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후보 동작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222) 또한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인접한 카메라들의 동작모드 중 가장 많은 동작모드를 후보 동작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전술한 두 가지 동작모드 모두를 후보 동작모드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각 시간대 별로 카메라(200)의 동작모드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시간에 따라 카메라(200)가 설치된 주변 환경의 조건(가령 광량, 통행량 등)이 변화함에도, 한 가지의 동작모드로만 설정되어 특정 시간대에는 적절한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영상의 판독 불가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여, 감시 시스템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는 더 큰 문제를 야기시켰다.
본 발명은 각각의 시간대 별로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보다 간편하게 설정함으로써, 카메라(200)가 모든 시간대에서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간대'는 시점과 종점으로 정의되는 시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대는 일정한 크기(가령 10분 또는 1시간 등)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카메라의 후보 동작모드 및 그에 따른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는 설치환경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설치환경정보가 이전 시간대에서의 설치환경정보에서 일정한 비율 이상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새로운 시간대(즉 시구간)를 시작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후보 동작모드 및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후보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230)
이때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후보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동작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표시부(140)를 통하여 어떤 시간대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와 해당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231)
이때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에 대응되는 미리보기 영상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가령 후보 동작모드가 3개인 경우,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해당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 외에 3개의 후보 동작모드 각각을 카메라(200)에 적용시켰을 경우 예상되는 3개의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에 대한 선택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대의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S232)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어떤 시간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작업은, 모든 시간대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령 시간대가 총 3개인 경우, 사용자는 3개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동작모드를 선택함으로써 각각의 시간대에 대한 동작모드를 확정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동작 모드의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먼저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가 동작모드 결정기에 기초하여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경우,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연관도가 높은 후보 동작모드가 가장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가 인접한 카메라들의 동작모드 중 가장 많은 동작모드를 후보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 가장 많은 상위 3개의 동작 모드를 후보 동작모드로써 가장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대응되도록 카메라(200)의 프로파일을 변경할 수 있다.(S240) 이때 카메라의 프로파일은 노출감도, 조리개 수치, 화이트 밸런스 값 및 촬영 해상도 등과 같은 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들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모드 결정 화면(400)의 예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어떤 시간대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와 해당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100)는 해당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 외에 후보 동작모드 각각을 카메라(200)에 적용시켰을 경우 예상되는 미리보기 영상 더 제공할 수 있다.
가령 00:00 ~ 07:00 시간대의 경우, 이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411)과, 획득한 영상(411)에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 각각을 카메라(200)에 적용시켰을 경우 예상되는 3개의 미리보기 영상(412 내지 414)가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07:00 ~ 20:00 시간대의 경우, 이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421)과, 획득한 영상(421)에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 각각을 카메라(200)에 적용시켰을 경우 예상되는 3개의 미리보기 영상(422 내지 424)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해당 시간대의 영상과 함께 후보 동작모드가 적용되었을 경우의 미리보기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각 시간대 별 동작 모드를 보다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200)의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
110: 제어부
120: 메모리
130: 통신부
140: 표시부
200: 카메라

Claims (6)

  1.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의 시간대 별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복수의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영상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후보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치환경정보와 동작모드 결정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는
    복수의 설치환경정보와 복수의 동작모드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기 학습된 데이터 세트인,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환경정보는 상기 카메라의 설치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치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와 인접하는 소정의 수의 인접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카메라의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시간대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와 상기 제1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에 대한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은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6.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의 시간대 별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복수의 시간대에 획득한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메라의 설치환경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영상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설치환경정보와 동작모드 결정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는 복수의 설치환경정보와 복수의 동작모드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기 학습된 데이터 세트이고,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한 후보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서의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장치.
KR1020170106645A 2017-08-23 2017-08-23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369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645A KR102369805B1 (ko) 2017-08-23 2017-08-23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US16/057,817 US10979637B2 (en) 2017-08-23 2018-08-08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645A KR102369805B1 (ko) 2017-08-23 2017-08-23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46A KR20190021646A (ko) 2019-03-06
KR102369805B1 true KR102369805B1 (ko) 2022-03-03

Family

ID=6543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645A KR102369805B1 (ko) 2017-08-23 2017-08-23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79637B2 (ko)
KR (1) KR1023698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8822B2 (ja) * 2019-05-31 2023-10-25 i-PRO株式会社 カメラパラメータ設定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パラメータ設定方法
US11792501B2 (en) * 2020-12-17 2023-10-17 Motorola Solutions, Inc.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ing video analytics parameters at a video analytics eng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8215A1 (en) * 2013-01-16 2014-07-17 Sherry Schumm Multiple camera systems with user selectable field of view and methods for their operation
JP2017124905A (ja) * 2016-01-13 2017-07-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13746T2 (de) * 2001-11-28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Sicherheitssystem für ein Haus
TWI399081B (zh) * 2006-10-16 2013-06-11 Casio Computer Co Ltd 攝像裝置、連續攝影方法、以及記憶有程式之記憶媒體
JP4930302B2 (ja) * 2007-09-14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605246A (zh) 2008-06-13 2009-12-16 索尼株式会社 监控设备计划的管理系统及方法
US9871959B1 (en) * 2014-01-11 2018-01-16 Joseph F Hlatky Adaptive trail cameras
KR102101445B1 (ko) * 2014-01-13 2020-04-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스마트로테이션 감시 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촬영장치에서 후보 감시영역을 자동으로 갱신하는 방법
KR102104410B1 (ko) 2014-01-20 2020-04-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프로파일 설정 방법 및 영상 수신 장치
KR102170691B1 (ko) * 2014-12-18 2020-10-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 감시용 기록 장치, 및 감시 시스템
KR101726315B1 (ko) 2015-05-28 2017-04-12 (주)지인테크 이벤트 알림 기능이 있는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 기반 감시 카메라
KR101698500B1 (ko) 2016-11-16 2017-02-01 (주)와이즈콘 지능형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WO2019014355A1 (en) * 2017-07-12 2019-01-17 Amazon Technologies, Inc. IMAGE CAPTURE BEFORE PROGRAM IMPLEMENTATION BY A LIMITED POWER FEATUR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8215A1 (en) * 2013-01-16 2014-07-17 Sherry Schumm Multiple camera systems with user selectable field of view and methods for their operation
JP2017124905A (ja) * 2016-01-13 2017-07-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46A (ko) 2019-03-06
US20190068882A1 (en) 2019-02-28
US10979637B2 (en)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0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9317910B2 (en) Defogging system and defogging method
US10477115B2 (en) Method for measuring ambient brightness value and photographing device
US1026139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rared illuminator and related image-recording device
EP29380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exposure setting
KR20160073866A (ko) 홍채 인식 장치, 이를 포함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 및 상기 홍채 인식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369805B1 (ko) 카메라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568996B1 (ko)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20053121A1 (en) A method, software product, camera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rtificial lighting and camera settings
US1117052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nalyzing an image to detect an object within the image
US2017001810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04510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180112335A (ko) 안개 제거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안개 제거 시스템
CN110996010A (zh) 一种摄像头及其图像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EP4055811B1 (en) A system for performing image motion compensation
CN107850991B (zh) 管理显示器的设备和方法
US20190238744A1 (en) Video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210155695A (ko) 화질 튜닝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화질 튜닝 방법
KR102415065B1 (ko) 멀티 센서 카메라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57619B1 (ko)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611423B2 (ja) 表示装置、管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79000B1 (ko) 프레임 그룹화를 이용한 이벤트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40020464A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
JP7052772B2 (ja) 画像センサ
JP6705486B2 (ja) 被写体検知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