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619B1 -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619B1
KR102457619B1 KR1020180005510A KR20180005510A KR102457619B1 KR 102457619 B1 KR102457619 B1 KR 102457619B1 KR 1020180005510 A KR1020180005510 A KR 1020180005510A KR 20180005510 A KR20180005510 A KR 20180005510A KR 102457619 B1 KR102457619 B1 KR 10245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ing
masking area
area
input im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117A (ko
Inventor
정경전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6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3Deblurring; Sharpening
    • G06T5/75Unsharp masking
    • G06T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에 설정된 제2 마스킹(Masking)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1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1 입력 영상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영상 상에 상기 제2 마스킹 영역과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고려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영상에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TTING MASKING AREA}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에 대한 마스킹 설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에 설정된 제2 마스킹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1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1 입력 영상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감시카메라의 구성과 형태는 날로 다양해 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상에 대한 다양한 목적의 마스킹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여러 대의 감시카메라가 동일한 장면에 대해서 화각을 달리하여 촬영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화각이 중첩되는 범위에 마스킹이 필요한 장면 및/또는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여러 대의 감시카메라 각각에 대한 마스킹 설정을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을 공유하여 설정하되, 보다 정밀한 마스킹 영역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게 마스킹 영역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의 변경사항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으며, 특히 어느 하나의 영상 장치에 대한 마스킹 영역의 수정으로 다른 영상 장치에 대한 마스킹 영역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에 설정된 제2 마스킹(Masking)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1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1 입력 영상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영상 상에 상기 제2 마스킹 영역과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고려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영상에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영상 상에 폐곡선을 형성하는 도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형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상에 상기 제3 마스킹 영역과 대응되는 도형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도형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도형의 형상을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형상이 수정된 도형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장치는 복수이고,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영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 별로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마스킹 영역과 함께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는 상기 제2 영상 장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에 의해 처리된 영역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 영상에서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인 제2 부분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 영상에서 상기 제2 부분 영역과 대응되는 제1 부분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분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은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 장치의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상 장치가 획득한 상기 제2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 영상 상에 상기 제2 마스킹 영역 및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에 대응되는 제4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을 상기 제4 마스킹 영역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상기 제2 영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에 설정된 제2 마스킹(Masking)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1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1 입력 영상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영상 상에 상기 제2 마스킹 영역과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고려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영상에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영상 상에 폐곡선을 형성하는 도형을 생성하고, 상기 도형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상에 상기 제3 마스킹 영역과 대응되는 도형을 표시하고, 상기 도형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도형의 형상을 수정하여 표시하고, 상기 형상이 수정된 도형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장치는 복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영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 별로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마스킹 영역과 함께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는 상기 제2 영상 장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에 의해 처리된 영역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 영상에서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인 제2 부분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입력 영상에서 상기 제2 부분 영역과 대응되는 제1 부분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부분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 장치의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상 장치가 획득한 상기 제2 입력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입력 영상 상에 상기 제2 마스킹 영역 및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에 대응되는 제4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을 상기 제4 마스킹 영역으로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상기 제2 영상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을 공유하여 설정하되, 보다 정밀한 마스킹 영역의 설정이 가능하며, 간편하게 마스킹 영역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영상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의 변경사항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으며, 특히 어느 하나의 영상 장치에 대한 마스킹 영역의 수정으로 다른 영상 장치에 대한 마스킹 영역의 수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 및 제2 마스킹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1 입력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마스킹 영역이 표시된 제1 입력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사용자의 도형 생성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영상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표시된 도형에 대한 사용자의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영상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마스킹 영역과 부가정보가 함께 표시된 제1 입력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제2 마스킹 영역을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공유 시스템은 제2 영상 장치(200B)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에 설정된 제2 마스킹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1 영상 장치(200A)가 획득한 제1 입력 영상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공유 시스템은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 영상 장치(200A, 200B)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스킹 영역'은 영상의 적어도 일 부분 상에 다양한 목적을 위해 설정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마스킹 영역은 영상의 일 부분을 가리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마스킹 영역은 영상 내에서 특정 판단(어떤 영역을 지나는 개체의 수의 계수 등과 같은 판단)을 위한 기준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200A, 200B)는 영상을 다른 장치로 전송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가령 영상 장치(200A, 20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장치(200A, 200B)는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영상 장치(200A, 20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일수도 있고,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두 개 이상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영상 장치(200A, 200B)가 영상 획득 장치이며, 두 개 인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300)은 전술한 영상 장치(200A, 200B)와 후술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로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통신망(300)은 제2 영상 장치(200B)가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VMS(Video Management System), CMS(Central Management System), NVR(Network Video Recorder) 및 DVR(Digital Video Recorder)중 어느 하나이거나, 어느 하나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전술한 장치와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가 독립된 장치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복수의 영상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제어부(120)는 단일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단위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20)가 생성한 전기 신호에 따라 도형,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3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Touch) 좌표를 판독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타이저(Digitizer)를 더 구비하여,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패널(Touch Pannel)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일 수 있다. 이 때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 좌표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을 더 판독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입력 수단은 디스플레이부(13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수단은 디스플레이부(130)와 별도로 구비되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및 버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0)는 제어부(120)가 처리하는 데이터, 명령어(instructions),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또는 이들의 결합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4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20)가 처리하는 데이터, 명령어 외에 영상 장치(200A, 200B)가 획득한 영상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20)에 의해 수행되는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상 장치(200B)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310) 및 제2 마스킹 영역(311)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마스킹 영역'은 영상의 적어도 일 부분 상에 다양한 목적을 위해 설정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마스킹 영역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일 부분을 가리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스킹 영역은 영상과 무관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마스킹 영역은 특정 판단(어떤 영역을 지나는 개체의 수의 계수 등과 같은 판단)을 위한 기준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스킹 영역은 해당 영역을 나타내는 경계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마스킹 영역의 두 가지 목적은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상 장치(200A)가 획득한 제1 입력 영상(32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과 도 3b를 대비하여 살펴보면, 제1 영상 장치(200A)가 획득한 제1 입력 영상(320)과 제2 영상 장치(200B)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310)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영상 장치(200A)와 제2 영상 장치(200B)는 화각을 달리하여 동일한 장면을 촬영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영상 장치(200A) 및 제2 영상 장치(200B)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 영상(310, 320)을 획득하며, 제2 입력 영상(310)에 도 3a와 같은 제2 마스킹 영역(311)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전술한 가정 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제2 영상 장치(200B)로부터 제2 마스킹 영역(311)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20)는 마스킹 영역(311)을 구성하는 꼭지점에 대한 좌표의 형태로 마스킹 영역(311)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311)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영상(320) 상에 제2 마스킹 영역(311)과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제2 입력 영상(310)에서 제2 마스킹 영역(311)에 대응되는 영역인 제2 부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120)는 제2 입력 영상(310)에서 제2 마스킹 영역(311)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제어부(120)가 제2 마스킹 영역(311)의 정보와 더불어 제2 입력 영상(310)을 수신하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제1 입력 영상(320)에서 제2 부분 영역과 대응되는 제1 부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120)는 제2 입력 영상(310)에서 제2 마스킹 영역(311)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의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제1 입력 영상(320)에서 검색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제어부(120)가 전술한 제2 입력 영상(310)과 함께 제1 입력 영상(320)도 수신하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이러한 제1 부분 영역을 포함하도록(또는 제1 부분 영역과 대응되도록) 제3 마스킹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3 마스킹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 영상(320) 상에서 제2 마스킹 영역(311)과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서로 다른 영상 간의 마스킹 영역을 일치 및/또는 대응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마스킹 영역(321)이 표시된 제1 입력 영상(320)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제2 입력 영상(310)에 설정된 제2 마스킹 영역(311)과 대응되도록 제1 입력 영상(320)에 제3 마스킹 영역(32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a와 도 4를 대비하여 살펴보면, 각 영상(310, 320)의 화각은 상이하지만, 각 영상(310, 320)에 설정된 마스킹 영역(311, 321)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제1 입력 영상(320) 상에 표시된 제3 마스킹 영역(321)을 고려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영상(320)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가 사용자의 도형 생성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영상(320)에 제1 마스킹 영역(323)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영상(320) 상에 폐곡선을 형성하는 도형(322)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제3 마스킹 영역(321)을 고려하여 도형(322)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직선을 그리는 방식으로 제어부(120)가 도형(322)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고, 곡선을 그리는 방식으로 제어부(120)가 도형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제1 입력 영상(320)의 제3 마스킹 영역(321)과 대응되는 부분 내에서, 객체 인식을 통하여 해당 객체의 윤곽선으로 구성되는 도형을 생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도형은 폐곡선을 형성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과정에 따라 생성된 도형(322)에 대응되도록 제1 마스킹 영역(323)을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을 공유하여 설정하되, 보다 정밀한 마스킹 영역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가 표시된 도형(324)에 대한 사용자의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영상(320)에 제1 마스킹 영역(325)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제1 입력 영상(320) 상에 제3 마스킹 영역(도 4의 321)과 대응되는 도형(324)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형(3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형(324)의 형상을 편집하기 위한 복수개의 편집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편집 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도형(324)의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제3 마스킹 영역(도 4의 321)을 고려하여 도형(324)을 수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도형(324)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도형(324)의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과정에 따라 수정된 도형(324)에 대응되도록 제1 마스킹 영역(325)을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을 공유하여 설정하되, 간편하게 마스킹 영역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 영상 장치는 복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복수의 제2 영상 장치에 대해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복수의 제2 영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각각의 제2 영상 장치에 설정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복수의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두 개의 제2 영상 장치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이 일정 비율 이상 중첩되는 경우, 소정의 조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3 마스킹 영역의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20)는 중첩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의 표시 중, 면적이 더 넓은 제3 마스킹 영역만을 표시하고, 나머지 제3 마스킹 영역의 표시는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각각의 제3 마스킹 영역과 함께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는 제2 영상 장치의 식별정보 및 제2 마스킹 영역에 의해 처리된 영역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마스킹 영역(326 내지 328)과 부가정보가 함께 표시된 제1 입력 영상(320)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각각의 제3 마스킹 영역(326 내지 328)과 함께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는 해당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제2 영상 장치의 식별정보 및 제3 마스킹 영역에 의해 처리된(가령 가려진) 영역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가령 첫 번째 제3 마스킹 영역(326)을 살펴보면, 부가정보는 제3 마스킹 영역(326)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제2 영상 장치의 식별정보(192.168.1.10, CAM 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복수의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 별로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설정된 제1 영상 장치(200A)에 대한 제1 마스킹 영역(323 또는 325)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장치(200B)의 제2 마스킹 영역(311)을 갱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가 제2 마스킹 영역(311)을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제2 영상 장치(200B)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31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2 입력 영상(310) 상에 제2 마스킹 영역(311)과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설정된 제1 마스킹 영역(323 또는 325)에 대응되는 제4 마스킹 영역(312)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마스킹 영역(311)을 제4 마스킹 영역(312)으로 갱신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대해서 갱신 여부를 질의하는 버튼(313)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제2 마스킹 영역(311)을 제4 마스킹 영역(312)으로 갱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갱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제2 영상 장치(20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의 변경사항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으며, 특히 어느 하나의 영상 장치에 대한 마스킹 영역의 수정으로 다른 영상 장치에 대한 마스킹 영역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제2 영상 장치(200B)로부터 제2 마스킹 영역(311)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91) 가령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마스킹 영역(311)을 구성하는 꼭지점에 대한 좌표의 형태로 마스킹 영역(311)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311)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영상(320) 상에 제2 마스킹 영역(311)과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S92)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제2 입력 영상(310)에서 제2 마스킹 영역(311)에 대응되는 영역인 제2 부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제2 입력 영상(310)에서 제2 마스킹 영역(311)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는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가 제2 마스킹 영역(311)의 정보와 더불어 제2 입력 영상(310)을 수신하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제1 입력 영상(320)에서 제2 부분 영역과 대응되는 제1 부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제2 입력 영상(310)에서 제2 마스킹 영역(311)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의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제1 입력 영상(320)에서 검색할 수 있다. 물론 이는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가 전술한 제2 입력 영상(310)과 함께 제1 입력 영상(320)도 수신하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이러한 제1 부분 영역을 포함하도록(또는 제1 부분 영역과 대응되도록) 제3 마스킹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3 마스킹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 영상(320) 상에서 제2 마스킹 영역(311)과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서로 다른 영상 간의 마스킹 영역을 일치 및/또는 대응시킬 수 있다.
도 3a와 도 4를 대비하여 살펴보면, 각 영상(310, 320)의 화각은 상이하지만, 각 영상(310, 320)에 설정된 마스킹 영역(311, 321)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제1 입력 영상(320) 상에 표시된 제3 마스킹 영역(321)을 고려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영상(320)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93) 이때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도 5a 내지 도 6b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 영상(320) 상에 폐곡선을 형성하는 도형(322)을 생성할 수 있다.(S931a) 이때 사용자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제3 마스킹 영역(321)을 고려하여 도형(322)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직선을 그리는 방식으로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가 도형(322)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고, 곡선을 그리는 방식으로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가 도형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제1 입력 영상(320)의 제3 마스킹 영역(321)과 대응되는 부분 내에서, 객체 인식을 통하여 해당 객체의 윤곽선으로 구성되는 도형을 생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도형은 폐곡선을 형성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과정에 따라 생성된 도형(322)에 대응되도록 제1 마스킹 영역(323)을 설정할 수 있다.(S932a)
이로써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을 공유하여 설정하되, 보다 정밀한 마스킹 영역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제1 입력 영상(320) 상에 제3 마스킹 영역(도 4의 321)과 대응되는 도형(324)을 표시할 수 있다.(S931b) 이때 도형(3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형(324)의 형상을 편집하기 위한 복수개의 편집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편집 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도형(324)의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제3 마스킹 영역(도 4의 321)을 고려하여 도형(324)을 수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도형(324)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도형(324)의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S932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과정에 따라 수정된 도형(324)에 대응되도록 제1 마스킹 영역(325)을 설정할 수 있다.(S933b)
이로써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을 공유하여 설정하되, 간편하게 마스킹 영역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 영상 장치는 복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복수의 제2 영상 장치에 대해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복수의 제2 영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각각의 제2 영상 장치에 설정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복수의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두 개의 제2 영상 장치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이 일정 비율 이상 중첩되는 경우, 소정의 조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3 마스킹 영역의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가령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중첩되는 제3 마스킹 영역의 표시 중, 면적이 더 넓은 제3 마스킹 영역만을 표시하고, 나머지 제3 마스킹 영역의 표시는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3 마스킹 영역과 함께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는 제2 영상 장치의 식별정보 및 제2 마스킹 영역에 의해 처리된 영역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가령 도 7의 첫 번째 제3 마스킹 영역(326)을 살펴보면, 부가정보는 제3 마스킹 영역(326)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제2 영상 장치의 식별정보(192.168.1.10, CAM 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복수의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 별로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설정된 제1 영상 장치(200A)에 대한 제1 마스킹 영역(323 또는 325)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장치(200B)의 제2 마스킹 영역(311)을 갱신할 수 있다.(S94) 이하에서는 도 8을 다시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제2 영상 장치(200B)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310)을 표시할 수 있다.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제2 입력 영상(310) 상에 제2 마스킹 영역(311)과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설정된 제1 마스킹 영역(323 또는 325)에 대응되는 제4 마스킹 영역(312)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마스킹 영역(311)을 제4 마스킹 영역(312)으로 갱신할 수 있다. 가령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해서 갱신 여부를 질의하는 버튼(313)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제2 마스킹 영역(311)을 제4 마스킹 영역(312)으로 갱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장치(100)는 갱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제2 영상 장치(20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장치 간에 마스킹 영역의 변경사항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으며, 특히 어느 하나의 영상 장치에 대한 마스킹 영역의 수정으로 다른 영상 장치에 대한 마스킹 영역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영상 획득 장치
110: 광학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40: 메모리
200: 외부장치

Claims (17)

  1. 제2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2 입력 영상에 설정된 제2 마스킹(Masking)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1 영상 장치가 획득한 제1 입력 영상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제2 영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 영상 상에 상기 복수의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마스킹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마스킹 영역을 고려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영상에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마스킹 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부분 내에서 인식된 객체의 윤곽선으로 구성되는 도형을 생성하고, 상기 도형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3 마스킹 영역이 소정의 임계 비율 이상 중첩 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를 생략할 제3 마스킹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표시를 생략할 제3 마스킹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3 마스킹 영역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영상 상에 폐곡선을 형성하는 도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형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영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마스킹 영역의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3 마스킹 영역 별로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마스킹 영역과 함께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는
    상기 제2 영상 장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에 의해 처리된 영역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 영상에서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인 제2 부분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 영상에서 상기 제2 부분 영역과 대응되는 제1 부분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분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3 마스킹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은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마스킹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 장치의 상기 제2 마스킹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80005510A 2018-01-16 2018-01-16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5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10A KR102457619B1 (ko) 2018-01-16 2018-01-16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10A KR102457619B1 (ko) 2018-01-16 2018-01-16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17A KR20190087117A (ko) 2019-07-24
KR102457619B1 true KR102457619B1 (ko) 2022-10-24

Family

ID=6748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510A KR102457619B1 (ko) 2018-01-16 2018-01-16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6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745A (ja) * 2001-07-30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2095210A (ja) * 2010-10-28 2012-05-17 Canon Inc サーバ装置、映像データの配信方法
JP2012142995A (ja) * 2012-04-09 2012-07-26 Kyocera Corp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およ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
JP2013243543A (ja) * 2012-05-21 2013-12-05 Canon Inc 撮像装置、マスク画像の重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745A (ja) * 2001-07-30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2095210A (ja) * 2010-10-28 2012-05-17 Canon Inc サーバ装置、映像データの配信方法
JP2012142995A (ja) * 2012-04-09 2012-07-26 Kyocera Corp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およ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
JP2013243543A (ja) * 2012-05-21 2013-12-05 Canon Inc 撮像装置、マスク画像の重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17A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8049B1 (en) Calibration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extrinsic relationship between lidar and camera sensors
CN110062176B (zh) 生成视频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80075590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1274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rrects image distortion to set a passage detection lin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EP3392829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8217590A (ja) 情報共有支援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4003160B (zh) 数据可视化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70169595A1 (en) Information superimposed image display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hich records information superimposed image display program, and information superimposed image display method
US10878577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an image of a scene
KR20200014694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2019024604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9509526A (ja) 多数のカメラを用いた最適の球形映像獲得方法
US200201013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a point of interest of an object in front of a computer controllable display captured by an imaging device
US20150373283A1 (en)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mputer program
US20230360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video generation
US11100670B2 (en) Positioning method, positioning device and nonvolati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080066B2 (en) Rendering a virtual mark on a video frame
US20140198177A1 (en) Realtime photo retouching of live video
CN108076359B (zh) 业务对象的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1770551B2 (en) Object pose estimation and tracking using machine learning
KR102457619B1 (ko)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02603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915578B1 (ko) 시점 기반 오브젝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4685B1 (ko) 촬영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2100125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