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134A -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134A
KR20060102134A KR1020050024053A KR20050024053A KR20060102134A KR 20060102134 A KR20060102134 A KR 20060102134A KR 1020050024053 A KR1020050024053 A KR 1020050024053A KR 20050024053 A KR20050024053 A KR 20050024053A KR 20060102134 A KR20060102134 A KR 20060102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hooting
user setting
image processing
digit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409B1 (ko
Inventor
은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409B1/ko
Priority to US11/179,997 priority patent/US7433591B2/en
Priority to CN2005100916837A priority patent/CN1838736B/zh
Publication of KR2006010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3Bracketing, i.e. taking a series of images with varying exposure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미리 저장된 다양한 설정값에 의하여 동일한 장면의 영상을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은, 설정된 촬영 설정값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영상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설정값을 각각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 및 일회의 사진 촬영에 대하여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각각의 촬영 설정값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연속촬영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저장된 다양한 설정값에 의하여 동일한 장면의 영상을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apturing pictures by user setting continuous shooting mode,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윗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를 포함한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의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를 위한 카메라 설정 저장 및 저장된 카메라 설정의 불러오기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에서 연속촬영 단계를 포함한 촬영 시의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사용자 연사모드 촬영 단계의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서의 기본 촬영 단계의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6의 촬영 정보 판독 단계의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사용자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OPS: 광학계, OEC: 광전 변환부,
50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02: 타이밍 회로,
503: 실시간 클럭, 504: DRAM,
505: EEPROM, 506: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 디지털 신호 처리기, 508: RS232C 인터페이스,
509: 비데오 필터, 21a: USB 접속부,
21b: RS232C 접속부, 21c: 비데오 출력부,
510: 렌즈 구동부, 511: 플래시 제어기,
512: 마이크로제어기, INP: 사용자 입력부,
LAMP: 발광부, 513: 오디오 처리기,
514: LCD 구동부.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영상을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예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한 통상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는, 1회의 셔터 릴리즈 버튼 누름에 대하여 복수장의 사진을 연속하여 찍을 수 있는 연사모드 촬영 기능이 있다. 이러한 연사 모드 촬영 시에 시스템 내부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특정 사진 촬영을 위한 설정값에 의하여 사진 촬영이 이루어진다. 즉,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값을 통하여 현재 상태 및 설정값을 판단하여 적절한 화이트 밸런스, 노출 정도 등을 제어해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또는 자신이 즐겨 찍는 설정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구도에서 여러 가지 설정을 변경한 후에 사진을 찍고자 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사진에 대하여 여러 가지 설정값으로 설정하여 사진을 찍어보고서, 하나의 영상을 찍는 사진에 대하여 각각의 설정값에 의한 사진을 비교 분석하고자 할 수도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원하는 사진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하나의 영상을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설정값으로 변경하면서 연속적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자신이 원하는 설정값으로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번거롭게 모든 조건을 다시 설정해주고 다시 사진을 찍어야 하므로, 동일한 영상을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설정값으로 설정하여 사진을 찍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저장된 다양한 설정값에 의하여 동일한 장면의 영상을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은, 설정된 촬영 설정값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영상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설정값을 각각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 및 일회의 사진 촬영에 대하여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각각의 촬영 설정값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연속촬영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는, 각각의 설정값들을 설정하여 촬영 설정값을 설정하는 설정값 설정단계, 설정된 촬영 설정값에 대하여 하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설정값 저장단계, 및 사용자 설정 항목에 순서를 지정하는 순서 지정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연속촬영 단계는,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 선택단계, 한번의 사진 촬영에 대하여 연속하여 찍을 사진의 촬영 매수를 선택하는 촬영 매수 선택단계, 및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에 따른 촬영 설정값으로 촬영을 시작하여, 상기 촬영 매수만큼 연속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촬영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이 채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저장된 다양한 설정값에 의하여 동일한 장면의 영상을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윗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버튼(13), 뷰 파인더(17a), 플래시-광량 센서(19), 전원 스위치(31), 렌즈부(20), 및 원격 수신부(4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9)는 플래시(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도 3의 5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3의 507)에 입력시킨다. 원격 수신부(41)는 원격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명령 신호 예를 들어, 촬영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입력시킨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 버튼(37), 재생 모드 버튼(42), 스피커(SP),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 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칼라 LCD 패널(35),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모드 다이얼(14)은, 각종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컴퓨터 연결 모드, 및 시스템 설정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특히, 모드 다이얼(14)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연사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모드 다이얼(14)에서 사용자 연사모드를 선택하고 사진 촬영을 수행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항목에 따라 각각 카메라의 작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설정값들을 설정하여 미리 저장한 사용자 촬영 설정값에 따라, 일회의 사진 촬영에 대하여 복수장의 사진을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사용자 설정 항목에 따른 사용자 촬영 설정값에 따라 복수장의 사진을 촬영하여, 동일한 영상에 대하여 다양한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촬영 설정값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고리즘에 의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 설정 항목(MYSET1, MYSET2, MYSET3)에 따른 사용자 촬영 설정값의 저장을 위한 메뉴 화면의 일 실시예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으며, 미리 저장된 사용자 촬영 설정값의 불러오기 메뉴 화면의 일 실시예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연사 모드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 설정을 저장 및 불러오기가 가능하다.
이때, 저장되는 사용자 설정 항목(MYSET1, MYSET2, MYSET3)에 따른 사용자 촬영 설정값은, 카메라의 작동 및 사진에 다양한 사진 효과를 주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설정값이 될 수 있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특정 동작 모드들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한편, 방향-이동 버튼들로서 사용된다. 이때, 기능 버튼들(15)의 조작에 의하여 메뉴 화면을 조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뉴 화면 조작에 의하여 사용자 설정 항목(MYSET1, MYSET2, MYSET3)에 따른 사용자 촬영 설정값의 저장 및 불러오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능 버튼들 중의 중앙부의 입력완료 버튼(15a)을 핫-키(hot key)로 사용하여, 별도의 메뉴 조작 없이 현재의 설정값들을 하나의 설정 항목으로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포커싱을 하거나 삭제 조작을 하는 데에 사용된다. 수동-조정/재생 버튼(37)은 특정 조건들의 수동 조정, 및 재생 모드에서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재생 모드 버튼(42)은 재생 또는 촬영 모드로의 전환에 사용된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칼라 LCD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칼라 LCD 패널(35)에 피사체의 화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두번째로 누르면 칼라 LCD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어느 한 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재생되고 있는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가 칼라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 되고, 두번째로 누르면 순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상기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모니터 버튼(32)을 1초 이상으로 길게 누름으로써, 재생중인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를 차후 촬영 조건의 설정을 위한 사 용자 설정 항목의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 당시의 촬영 정보를 촬영 당시에 저장하지 않더라도 그 촬영 정보를 촬영 조건으로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초점이 잘 맞추어졌을 때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모드 지시 램프(14L)는 모드 다이얼(14)의 선택 모드를 가리킨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를 포함한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물질이 광학계(OPS)에 부착됨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 배리어(13)는 배리어 모터(MB)에 의하여 구동되어 열리거나 닫힌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여기서, 줌 렌즈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맨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화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 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33), 모드 지시 램프(14L) 및 플래시 대기 램프(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모니터 버튼(32),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 버튼(37),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 등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 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하고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 제어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제어장치 내의 주변 구성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제어기(512)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은, 설정된 촬영 설정값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영상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설정값을 각각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도 4)), 및 일회의 사진 촬영에 대하여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각각의 촬영 설정값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연속촬영 단계(도 7)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와 연속촬영 단계 각각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된다.
먼저,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에 대하여 도 4, 도 5a, 도 5b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살펴보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의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를 위한 카메라 설정 저장 및 저장된 카메라 설정의 불러오기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사용자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설정값을 각각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설정값 설정단계(S401), 설정값 저장단계(S403), 및 순서 지정 단계(S404)를 구비한다. 상기 설정값 설정단계(S401)에서는 각각의 설정값들을 설정하여 촬영 설정값을 설정한다. 상기 설정값 저장단계(S403)에서는 설정된 촬영 설정값에 대하여 하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한다. 상기 순서 지정 단계(S404)에서는 사용자 설정 항목에 순서를 지정한다.
상기 설정값 설정단계(S401)에서는 각각의 설정값들을 설정하여 촬영 설정값을 설정한다. 저장되는 사용자 설정 항목(MYSET1, MYSET2, MYSET3)에 따른 사용자 촬영 설정값은, 카메라의 작동 및 사진에 다양한 사진 효과를 주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설정값이 될 수 있다. 그 예들로는 매크로, 플래시, 화이트 밸런스, ISO, 조리개 값, 셔터 속도, 해상도, 화질, 측광, 사진 효과, 샤프니스, 야광촬영 모드, 장면촬영 모드 및 연속 촬영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값으로는 상기 열 거한 것들 이외에도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작동 및 화면 효과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것들이 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설정값들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제품인 삼성 디지털 카메라 케녹스 α5의 사용자 매뉴얼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 자세한 사항은 이를 참조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카메라에는 이들에 대한 기본 설정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이러한 설정값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새로이 설정한 값만을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자동 촬영을 위한 기본 설정값들에 의한 촬영 설정값이 하나의 사용자 설정 항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정값 저장단계(S403)에서는 설정된 촬영 설정값에 대하여 하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현재의 설정상태를 저장할 것인가 여부의 입력에 대하여 그 저장 여부를 판단(S402)하고, 저장을 선택하지 아니하면 설정값 저장단계(S403)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대기 모드(S405)로 들어가고, 저장을 선택하면 설정값 저장단계(S403)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설정 항목(MYSET1, MYSET2, MYSET3)에 따른 사용자 촬영 설정값의 저장을 위한 메뉴 화면의 일 실시예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으며, 미리 저장된 사용자 촬영 설정값의 불러오기 메뉴 화면의 일 실시예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연사 모드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 설정을 저장 및 불러오기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카메라 내의 다양한 작동 및 효과에 관한 다양한 기능을 각각 선택 및 설정하고, 사용자 설정항목(MYSET1, MYSET2, MYSET3)을 지정하여, 현재의 설정값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설정항목의 지정은 사용자가 현재의 설정값의 저장을 선택하면 현재 저장되어 있는 설정항목 다음 항목으로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 설정 항목이 지정되면서 사용자 연사 모드에서 촬영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순서가 지정되어, 설정값 저장단계(S403)에서 다음 단계인 순서 지정 단계(S404)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설정 항목의 순서는 도면상의 메뉴 화면에 도시된 MYSET 번호(MYSET1, MYSET2, MYSET3)에 의하여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메뉴 화면은 사용자 연사모드가 선택되지 아니한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을 저장 및 불러오기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내부에서는 저장을 위한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 현재 상태를 특정 메모리 버퍼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기존의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존재하면 다음 번지 메모리에 현재의 상태에 해당하는 설정값들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순서 지정 단계(S404)에서는 사용자 설정 항목에 순서를 지정한다.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된 설정값들에 대하여 사용자 연사 모드에서 연속 촬영 시에 촬영되는 순서를 지정하는 사용자 설정 항목의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 항목의 순서는 도면 상의 메뉴 화면에 도시된 MYSET 번호(MYSET1, MYSET2, MYSET3)에 의하여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설정 상태는 메모리 상에서 순서대로 정렬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에서 연속촬영 단계를 포함한 촬영 시의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셔터 버튼(1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을 조작한 후, 셔터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버튼(13)으로부터의 S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버튼(13)으로부터의 S2 신호가 온(On)된다. 따라서, 도 6의 촬영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셔터 버튼(13)을 1단으로 누르면 시작된다(단계 S601). 여기서, 줌 렌즈의 현재 위치는 이미 설정된 상태이다.
다음, 메모리 카드의 잔량이 검사되어(단계 S602), 디지털 영상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인지 확인된다(단계 S603). 기록 가능한 용량이 아닌 경우,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부족함이 표시된다(단계 S604). 기록 가능한 용량인 경우,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다음, 사용자 연사모드인가 검사되어(단계 S605), 사용자 연사모드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연사모드 촬영이 수행되고(단계 S606), 사용자 연사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현재 설정 또는 선택된 설정값에 따른 촬영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S607), 도 8에 도시된 기본 촬영이 수행된다(단계 S608). 기본 촬영 단계에서 수행되는 촬영 알고리즘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8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때, 촬영 정보 판독(단계 S607)에서는 자동 화이트 밸런스(AWB, Automatic White Balance) 모드가 수행되어 관련 파라미터들이 설정된다. 또한, 자동 노출(AE, Automatic Exposure) 모드가 수행되어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이 계산되고, 계산된 노광량에 따라 조리게 구동 모터(MA)가 구동된다. 또한, 자동 포커싱(AF, Automatic Fucusing) 모드가 수행되어 포커스 렌즈(MF)의 현재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기타 기본 촬영 모드를 위한 촬영 정보의 판독이 수행된다.
도 7은 도 6의 사용자 연사모드 촬영 단계의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속촬영 단계에서는 일회의 사진 촬영에 대하여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각각의 촬영 설정값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을 연속하여 촬영하는데,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에서의 사용자 설정 항목의 지정된 순서에 따라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각각의 상기 촬영 설정값에 따라 사진을 촬영한다.
상기 연속촬영 단계는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 선택단계, 촬영 매수 선택단계, 및 촬영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 선택단계에서는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상기 촬영 매수 선택단계에서는 한번의 사진 촬영에 대하여 연속하여 찍을 사진의 촬영 매수를 선택한다. 상기 촬영단계에서는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에 따른 촬영 설정값으로 촬영을 시작하 여, 상기 촬영 매수만큼 연속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상기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 선택단계에서는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데, 먼저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이 선택되었는가 검사하고(단계 S701),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촬영 정보가 선택되고(단계 S702),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이 선택되지 아니하면 첫 번째로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촬영 정보가 선택된다(단계 S703). 이때,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이 선택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기본 설정으로 저장된 자동 촬영 모드를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촬영 매수 선택단계에서는 한번의 사진 촬영에 대하여 연속하여 찍을 사진의 촬영 매수를 선택하는데, 먼저 촬영 매수가 선택되었는가 검사하고(단계 S704), 상기 촬영 매수가 선택되면 선택된 촬영 매수를 연속하여 찍을 사진의 촬영 매수로 하고(단계 S705), 상기 촬영 매수가 선택되지 아니하면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수를 연속하여 찍을 사진의 촬영 매수로 할 수 있다(단계 S706). 이때, 선택된 상기 촬영 매수가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수보다 크면,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수를 연속하여 찍을 사진의 촬영 매수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촬영단계에서는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에 따른 촬영 설정값으로 촬영을 시작하여 촬영 매수만큼 연속하여 사진을 촬영하는데,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촬영 설정값으로 설정된 촬영 정보에 의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 회수가 선택된 촬영매수보다 작으면 다음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촬영 설정값으로 설정된 촬영 정보에 의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을 위하여 먼저,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따른 촬영 설정값에 의하여 촬영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S70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 촬영을 수행한다(단계 S608). 이때,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촬영 설정값으로 설정된 촬영 정보에 의하여 영상을 촬영하는데, 기본 촬영 단계(단계 S608)에서 수행되는 촬영 알고리즘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8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다음, 선택된 촬영 매수만큼 기본 촬영을 수행하였는가를 검사하고(단계 S709), 선택된 촬영 매수만큼 기본 촬영이 수행되었으면 사용자 연사모드에 의한 촬영을 종료한다. 이때, 선택된 촬영 매수만큼 기본 촬영이 수행되지 못하였으면, 즉, 연속 촬영의 회수가 선택된 촬영매수보다 작으면 다음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촬영 설정값으로 설정된 촬영 정보에 의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다음 사용자 설정 항목에 따른 촬영 설정값을 선택하여(단계 S710), 선택된 촬영 설정값에 따른 촬영 정보를 판단하고(단계 S707), 다음 기본 촬영(단계 S608)을 수행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설정된 촬영 매수만큼 기본 촬영(단계S608)을 수행하여, 일회의 촬영 작동에 의하여 설정된 촬영 매수만큼 연속하여 촬영을 하게 된다. 그 결과 일회의 촬영 작동에 의하여 설정된 촬영 매수만큼의 사진을 얻게된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서의 기본 촬영 단계의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촬영 정보 판독 단계(도 6의 단계 S607, 도 7의 단계 S707)에서 판독된 촬영 정보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 모드가 수행되어 관련 파라메터들이 설정된다. 다음에, 촬영 정보 판독 단계(도 6의 단계 S607, 도 7의 단계 S707)에서 판독된 촬영 정보에 따라 노출 조정 모드가 수행되어, 조리개 구동 모터(MA)가 구동되고, 포커스 조정 모드가 수행되어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촬영 정보 판독 단계(도 6의 단계 S607, 도 7의 단계 S707)에서 판독된 촬영 정보에 따라 기타 카메라의 작동 및 사진 효과를 위하여 필요한 설정을 수행한다(S801).
다음에, 셔터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1 신호가 온(On) 상태인지 확인된다(단계 S802). S1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의 촬영 의도가 없는 상태이므로 종료한다. S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아래의 단계들이 계속 수행된다.
다음, S2 신호가 온(ON) 상태인지 확인된다(단계 S803). S2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버튼(13)의 2단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다음 단계로 진행되지 아니하고 대기하게 된다. S2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버튼(13)의 2단을 누른 상태이므로, 촬영 동작이 수행된다(단계 S804). 즉,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가 타이밍 회로(502)의 동작을 제어함에 의하여 광전 변환부(OEC)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가 동작한다.
다음에, 영상 데이터가 압축되어(단계 S805) 압축된 영상 파일이 생성된다(단계 S806). 그리고, 생성된 영상 파일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를 통하여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단계 S807) 후에 기본 촬영 단계를 종료한다.
도 9는 도 6의 촬영 정보 판독 단계의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 연사 모드가 아닌 경우에 있어서 기본 촬영을 수행하기(단계 S608) 위한 도 6의 촬영 정보 판독 단계(단계 S607)의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드 다이얼(14)의 모드들 중에서 모드 지시 램프(14L)의 방향으로 선택된 모드가 사용자 설정 불러오기("MYSET")인지 파악된다(단계 S901). 사용자 설정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현재의 촬영 정보가 판독된다(단계 S902). 사용자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먼저,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들이 도 5b에 도시된 경우의 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단계 S903). 다음에, 기능 버튼들(15)로부터 이동 버튼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904), 이동 버튼 신호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이 활성화된다(단계 S905).
다음에, 기능 버튼들(15)의 가운데에 위치한 "OK" 버튼으로부터 선택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906), EEPROM(도 3의 505)의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 정보가 판독된다(단계 S907).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미리 저장된 다양한 설정값에 의하여 동일한 장면의 영 상을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여러 가지 설정값으로 설정하여 사진을 찍어보고서,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각각의 설정값에 의한 사진을 비교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일한 영상에 대한 여러 가지 설정값으로 사진을 찍어 그 중에서 가장 원하는 사진을 선택할 수 있어, 원하는 품질의 사진을 더욱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설정된 촬영 설정값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영상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촬영 설정값을 각각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 및
    일회의 사진 촬영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각각의 상기 촬영 설정값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연속촬영 단계를 구비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에 따라 순서를 정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촬영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의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각각의 상기 촬영 설정값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저장단계가,
    각각의 설정값들을 설정하여 상기 촬영 설정값을 설정하는 설정값 설정단계,
    설정된 상기 촬영 설정값에 대하여 하나의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설정값 저장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에 순서를 지정하는 순서 지정 단계를 구비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이,
    매크로, 플래시, 화이트 밸런스, ISO, 조리개 값, 셔터 속도, 해상도, 화질, 측광, 사진 효과, 샤프니스, 야광촬영 모드, 장면촬영 모드 및 연속 촬영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것인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촬영 단계가,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 선택단계, 한번의 사진 촬영에 대하여 연속하여 찍을 사진의 촬영 매수를 선택하는 촬영 매수 선택단계, 및 상기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에 따른 촬영 설정값으로 촬영을 시작하여, 상기 촬영 매수만큼 연속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촬영단계를 구비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 선택단계에서,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으로 하고,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이 선택되지 아니하면, 첫번째로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첫번째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설정 항목이 선택되지 아니하면, 자동 촬영 모드를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매수 선택단계에서, 상기 촬영 매수가 선택되면, 선택된 촬영 매수를 연속하여 찍을 사진의 촬영 매수로 하고, 상기 촬영 매수가 선택되지 아니하면,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수를 연속하여 찍을 사진의 촬영 매수로 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매수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촬영 매수가 상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수보다 크면, 상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수를 연속하여 찍을 사진의 촬영 매수로 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가,
    상기 첫번째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촬영 설정값으로 설정된 촬영 정보에 의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 회수가 상기 선택된 촬영매수보다 작으면 다음 사용자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촬영 설정값으로 설정된 촬영 정보에 의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제어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20050024053A 2005-03-23 2005-03-23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086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053A KR101086409B1 (ko) 2005-03-23 2005-03-23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11/179,997 US7433591B2 (en) 2005-03-23 2005-07-12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o photograph in user set continuous photographing mode
CN2005100916837A CN1838736B (zh) 2005-03-23 2005-08-16 在连拍模式下拍摄的数字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053A KR101086409B1 (ko) 2005-03-23 2005-03-23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134A true KR20060102134A (ko) 2006-09-27
KR101086409B1 KR101086409B1 (ko) 2011-11-25

Family

ID=3701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053A KR101086409B1 (ko) 2005-03-23 2005-03-23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33591B2 (ko)
KR (1) KR101086409B1 (ko)
CN (1) CN18387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349B1 (ko) * 2006-10-16 2009-10-13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2667B2 (ja) * 2005-10-18 2010-0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JP4567593B2 (ja) * 2005-12-27 2010-10-20 三星デジタル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影方法
JP2008099192A (ja) * 2006-10-16 2008-04-24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049570B2 (ja) * 2006-11-29 2012-10-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装置及び該カメラ装置における撮影モード選択補助方法
US20080239100A1 (en) * 2007-03-30 2008-10-02 Broadcom Corporation Event Based Picture Storage
JP4799511B2 (ja) * 2007-08-30 2011-10-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41758B2 (ja) * 2007-09-11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5083090B2 (ja) * 2007-09-18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860680B (zh) * 2009-04-08 2011-12-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处理装置及其影像处理方法
JP5641743B2 (ja) * 2010-02-02 2014-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CN102572252A (zh) * 2010-12-28 2012-07-11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影像拍摄装置及其控制方法
US9148582B2 (en) * 2012-06-29 2015-09-2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ect shot imaging from multiple images
CN103856709B (zh) 2012-12-04 2017-08-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图像获取方法及装置
JP5859061B2 (ja) * 2013-06-11 2016-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れらの制御方法
US9503652B2 (en) * 2013-10-07 2016-11-2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generation of image capture device by determining one or more image capture settings used for generating each subgroup of captured images
EP3018892A1 (en) * 2014-10-31 2016-05-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869308A (zh) * 2015-04-29 2015-08-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拍摄照片的方法及装置
CN106331504B (zh) * 2016-09-30 2020-03-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拍摄方法及装置
WO2018085426A1 (en) * 2016-11-01 2018-05-11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video capture and sensor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2205A (en) * 1986-08-01 1989-08-29 Canon Kabushiki Kaisha Auto-bracket device for camera
US5903786A (en) * 1996-06-17 1999-05-11 Nikon Corporation Function setting device for photographic device
JPH11261882A (ja) * 1998-03-12 1999-09-24 Nikon Corp カメラ
CN2461018Y (zh) * 2001-01-04 2001-11-21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采用数字信号处理器的航空摄影相机控制器
JP2003060982A (ja) 2001-08-09 2003-02-28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518716B2 (ja) * 2001-09-25 2010-08-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03110917A (ja) * 2001-10-01 2003-04-11 Minolta Co Ltd 遠隔操作カメラシステム、撮影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468871B1 (ko) 2002-10-09 2005-01-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차 함수를 이용한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JP4532819B2 (ja) * 2002-11-20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125101B2 (ja) * 2002-12-06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並びにその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349B1 (ko) * 2006-10-16 2009-10-13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장치, 연속촬영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TWI399081B (zh) * 2006-10-16 2013-06-11 Casio Computer Co Ltd 攝像裝置、連續攝影方法、以及記憶有程式之記憶媒體
US8736703B2 (en) 2006-10-16 2014-05-27 Casio Computer Co., Lt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function for performing imaging in accordance with sets of imaging parameters corresponding to pre-registered imaging scene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on for the same
US9386263B2 (en) 2006-10-16 2016-07-05 Casio Computer Co., Lt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function for performing imaging in accordance with sets of imaging parameters corresponding to pre-registered imaging scene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on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6016A1 (en) 2006-09-28
CN1838736B (zh) 2010-09-01
CN1838736A (zh) 2006-09-27
US7433591B2 (en) 2008-10-07
KR101086409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409B1 (ko)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62704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KR101120027B1 (ko) 셔터 반누름 시에 osd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37458B1 (ko) 촬영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매체
US776024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058025B1 (ko)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05025479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7616236B2 (en) Control method used by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7450169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lay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100755821B1 (ko)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05480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JP2004032524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101058028B1 (ko)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JP2002344802A (ja) カメラ及びそのモード切換方法
KR100651812B1 (ko) 키 조합 단축키 설정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244913B1 (ko)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36453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7029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표시하는 방법
KR101058027B1 (ko) 이미지 저장 방법
KR10143683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58023B1 (ko)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KR20060053763A (ko) 선택된 여러 장의 이미지들을 한 장의 이미지로 저장할 수있는 카메라 동작 장치 및 방법
JP2005323142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