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764A - 권상견인기 - Google Patents

권상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764A
KR20040081764A KR10-2004-7012234A KR20047012234A KR20040081764A KR 20040081764 A KR20040081764 A KR 20040081764A KR 20047012234 A KR20047012234 A KR 20047012234A KR 20040081764 A KR20040081764 A KR 20040081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brake
hoisting
sheav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5405B1 (ko
Inventor
시아데셍
나카무라타카요시
사카이토시아키
야마구치츠카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29925A external-priority patent/JP39538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2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40337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2306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03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23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1052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Publication of KR20040081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4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ev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0Constructional features with positive brakes or 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582Levers
    • Y10T74/20612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로드시브(10)를 구동하는 구동축(1)과,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수압부재(2)와, 수압부재(2)에 연접하여 구동축(1)에 끼워 장착된 브레이크판(3)과, 브레이크판(3)사이에 설치된 래칫(4)과, 브레이크판(3)에 압접, 이간되도록 구동축(1)에 나사결합된 구동부재(5)와, 구동축(1)과 구동부재(5) 사이에 설치된 아이들러 스프링(6)과, 레버(24)를 구비한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구동부재(5)의 끝면에 구동축(1)과 결합하는 스토퍼(7)를 설치하고, 스토퍼(7)의 외면에 아이들러 스프링(8)을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이며, 권상견인기의 구동축 단차부의 레버의 이탈방지 수단에 있어서, 체인길이의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짐과 아울러, 부품수가 적고, 또한 소형, 경량화를 꾀할 수 있는 염가의 권상견인기이다.

Description

권상견인기{WINCHING AND DRAWING MACHINE}
종래 부품수가 적고,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권상견인기로서 몇개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체인길이를 조정하는 아이들러 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도20에 나타낸 권상견인기가 알려져 있다.
이하, 도20을 이용하여 종래의 아이들러 그립에 의한 체인길이의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0에 나타낸 권상견인기는, 구동축(31)에 진퇴가능하게 나사결합하는 구동부재(35)에 구동축(31)을 관통하는 개구부(37)를 형성하고, 개구부(37)를 덮고, 또한 구동축(31) 단부에 아이들러 그립(41)을 설치, 아이들러 그립(41)과 구동축(31) 사이에, 구동부재(35)를 브레이크판(33)으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탄발 가압하는 스프링(40)과, 구동부재(35)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부재(39)를 설치한 것이다.
이 형식의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아이들러 그립(41)은 구동부재(35)의 볼록부(38)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나사고정되어 있고, 구동부재(35)와 아이들러 그립(41)의 접합부의 구동부재(35)의 외주면에, 핸들(43)부착용의 오목둘레홈(36)이 형성되어 있다. 또, 규제부재(39)는 스프링(40)에 의해, 구동축(31)의 숫나사부의 단차부(31a)에 있어서 압압되어, 구동부재(35)의 개구부(37)로부터 둘출되지 않도록 되고, 아이들러 그립(41)을 통하여, 구동부재(35)는 브레이크판(33)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 규제부재(39)의 볼록부(39a)와 구동부재(35)의 볼록부(38)가 접촉하고, 구동축(31)에 대하여 구동부재(35)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권상견인기의 부하동작시에 있어서는, 핸들(43)을 권상방향으로 반복요동시켜, 구동부재(35)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판(33), 브레이크받이(32) 등을 경유하여, 구동축(31)에 회전이 전달되고, 로드시브를 권상방향으로 회전하고, 체인을 권상한다.
또, 핸들(43)을 권하방향으로 반복요동시키면 체인이 권하되고, 무부하시에는, 스프링(40)의 작용에 의해, 구동부재(35)가 브레이크판(33)으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체인이 권회되어 있는 로드시브는 공전 가능한 유전(遊轉)상태가 된다. 이 유전 시에 있어서, 체인에 부하가 가해지면 나사 작용에 의해 구동부재(35)의 브레이크판(33)으로의 압접력이 발생하고, 제동상태가 되며, 로드시브의 권하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 유전 시에 있어서, 체인 길이의 조정은 직접 체인을 잡아당김으로써 행할 수 있지만, 아이들러 그립(41)을 회전시켜, 구동부재(35)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도 행할 수가 있다.
상기한 권상견인기는 구동부재(35)의 회전규제를 위해, 규제부재(39)를 설치하고, 규제부재(39)를 구동축(31)의 스플라인부에 끼워 넣는 구성이기 때문에, 구동축(31)및 규제부재(39)에는 스플라인 가공이 필요하게 되며, 또 규제부재(39)에는 볼록부(39a)를 형성하고, 구동부재(35)의 내측에는, 볼록부(39a)가 접촉하는 볼록부(38)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또한, 아이들러 그립(41)은, 구동부재(35)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나사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부재(35)에 나사구멍 가공이 필요하게 되며, 나사구멍에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 구동부재(35)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것이 필요하며, 그 때문에 구동부재(35)의 지름이 커져, 그 결과 레버(43)의 끼워맞춤부의 지름도 대경으로 되어, 권상견인기 전체가 대형화된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구동부재에 핸들을 끼워붙임과 아울러, 구동축 단차부에 이탈방지용 워셔를 설치하고, 워셔를 이탈방지체에 거는 것이나, 구동축의 단차부에 너트를 끼워장착하고, 구동축 단차부를 이탈방지핀으로 거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워셔나 너트는 모두 이탈방지를 위해 설치된 것이며, 체인 길이의 조정을 체인에 접촉하지 않고 아이들러 그립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것은 아니었다.
또, 권상견인기의 구동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는 구동부재와 구동축의 브레이크판 끼움장착측에 아이들러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고, 권상 조작시에는 레버 핸들을 왕복 회동하여 구동부재를 아이들러 스프링에 저항해서 브레이크판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고, 브레이크받이를 구동축의 축받이 단차부에 압접하여, 구동부재의 회동을 구동축에 전달하고 로드시브를 회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도 있다. 또, 무부하시에는 구동부재는 아이들러 스프링에 의해 느슨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브레이크판 등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체인을 조작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형식의 권상견인기에 있어서는, 구동부재측 장착부측과 구동축의 브레이크판측 장착부측의 아이들러 스프링의 지름은 같은 지름이기 때문에, 구동축의 아이들러 스프링 결착부에는, 아이들러 스프링을 결착시키기위해, 아이들러 스프링의 지름보다 대경의 단차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때문에 구동축의 지름이 커지게 되고, 구동축에 장착되는 브레이크판 등의 부품의 내경도 커지고, 그에 따라서 각각의 부품외형이 커지기 때문에, 권상견인기 본체도 대형화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부터 로드시브에 권회된 체인을 가이드하는 부하측 및 무부하측 가이드롤러를 구비한 권상견인기에서는, 각 가이드롤러는 각각 단독부품으로서 다른 부품으로부터 독립하여 프레임에 축이 걸쳐져 있기 때문에, 권상견인기를 소형화하는 장해가 되고, 중량도 무거워지며, 또한 비용이 비싸진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이하, 종래 권상견인기의 가이드롤러 구조에 대하여, 도2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50은 로드시브, 51은 로드기어(도시 없음)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52a는 체인에 외접하고, 외측으로부터 부하측 체인을 가이드하는 부하측 가이드롤러, 52b는 무부하측 가이드롤러, 53은 프레임, 54는 체인, 55는 구동축이다.
피니언기어(51)는 구동축(55)의 단차부에 설치되어, 구동부재, 브레이크판, 브레이크받이 및 다조나사 등의 공지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피니언기어(51)가 구동하면, 이것에 맞물리는 로드기어(도시없음)를 통하여, 로드시브(50)가 회동하고, 체인(54)의 권상을 행한다. 로드시브(50)에 의한 체인(54)의 권상 동작시에, 체인(54)은 로드시브(5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부하측, 무부하측의 한쌍의 가이드롤러(52a,52b)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처럼 가이드롤러(52a,52b)는 단독부품으로서 프레임(53)에 축이 걸쳐져 있다.
또한, 체인가이드에 관련되는 수단으로서, 체인의 권상동작시, 로드시브로부터 무부하측으로 풀려지는 링크체인은, 로드시브의 홈부에 끼워 넣어진 채, 로드시브에 감겨버린 상태로, 무부하측에 송출된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고,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22(a)에 나타냈듯이, 권상견인기의 무부하측에 로드시브(10)에 근접하여 세로링크(30b)를 가이드하는 오목홈(14c)을 갖는 무부하측 가이드(14a)와, 무부하측 가이드(14a)와의 사이에서 링크체인(30)을 끼우고, 링크체인(3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평면(60a)을 갖는 평판상의 내측가이드(60)로 이루어진 체인가이드를 설치, 로드시브(10)에서 풀려지는 무부하측 링크체인(30) 중, 세로링크(30b)를 내측가이드(60)의 선단에 형성한 돌출상(60b)에 의해 로드시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로드시브(10)의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로드시브 홈에 끼워 넣어져 있는 가로링크(30a)를 세로링크(30b)에 따라서, 로드시브 홈에서 이탈시켜 가로링크(30a)의 로드시브로의 감기를 규제하도록 한 것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평 5-123794호 공보에 나타나 있듯이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이 형식의 체인가이드를 이용하여, 링크체인의 권하동작을 행할 시, 즉, 무부하측에서 부하측으로 링크체인(30)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세로링크(30b)를 무부하측 가이드(14a)의 오목홈(14c)으로 가이드하고, 내측가이드(60)의 가이드 평면(60a)으로 누르면서, 링크체인(30)을 로드시브(10)의 부하측으로 송출한다.
하지만, 이 링크체인(30)의 송출 동작시에 있어서, 세로링크(30b)가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의 오목홈(14c)에 끼워진 상태로 송출되는 경우에는, 링크체인(30)의 송출동작은 원활하게 행해지지만, 도 22(b)에 나타냈듯이 링크체인(30)이 꼬여져서, 세로링크(30b)가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의 오목홈(14c)에 끼워지지 않고, 링크체인(30)이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와 내측가이드(60)의 가이드평면(60a) 사이에서 눌려진 상태로 로드시브(10)에 송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와 로드시브(10) 사이에서 링크체인(30)이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에 걸려, 로드시브(10)에 의한 원활한, 링크체인의 권회동작이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23에 나타냈듯이, 세로링크(30b)와 가로링크(30a)를 십자상 가이드(61a)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61)를 권상견인기의 무부하측에 설치하고, 링크체인(30)의 송출 동작시에 있어서 링크체인의 꼬임의 발생을 방지하는 체인가이드가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평 6-155325호 공보 참조)
하지만 상기 일본 특허 공개평 6-15532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가이드면이 십자상의 오목형상이고, 또한 전체가 일체 구조이기 때문에, 가공이 복잡하며 또한부품 비용이 비싸진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로드기어와 로드시브는 종래 도24, 도25에 나타냈듯이, 시브축에 설치된 스플라인 또는 세레이션에 의해 연결되어 있었다.
이하, 종래의 로드기어와 로드시브의 연결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4, 25에 있어서 도면부호 70은 구동축, 70a는 피니언으로, 각각 축받이로 축지지되어 있다. 71은 로드시브, 72는 로드시브(71)의 단차부에 설치된 시브축이며, 각각 축받이(75)로 축지지되어 있다. 73은 시브축(72)에 스플라인 또는 세레이션에 의해 연계되는 로드기어로, 상기 피니언(70a)과 맞물려, 구동축(70)의 회전을 로드시브(71)에 전달하며, 로드시브(71)를 회동한다. 피니언(70a), 로드기어(73), 시브축(72)은 기어케이스(74)로 커버된다. 로드시브(71)의 시브축(72)에는 도25에 나타냈듯이, 로드기어(73)를 끼워맞추는 스플라인(72d)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단은 일본 특허 공개 소63-3834호에 있어서 공지되어 있다.
이 스플라인(72d)은 절삭, 전조에 의해 홈가공이 되어지기 때문에, 시브축(72)에는 절삭공구의 여유부(releif area)가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시브축(72)에는 스플라인(72d)의 단차부와 시브축(72)의 규정면(72c)사이에는 도24, 도25에 나타내듯이, 로드기어(73)의 끼워맞춤에는 직접 기능하지 않는 여유부(72e)가 필요하게 되며, 여유부(72e)의 길이분 만큼, 로드기어는 폭이 두꺼워지며, 로드기어(73)와 맞물리는 피니언이나 감속기어 등도 폭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권상견인기의 폭이 커지며, 권상견인기를 소형화, 경량화하기 위한 장해가 되었다. 또, 스플라인은 상기한바와 같이, 절삭·전조 가공에 의한 홈가공이 실시되기 때문에, 가공비용 및 가공공수도 많아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권상견인기의 본 프레임은 종래 볼트,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공수가 증가하고, 또한 소형화의 장해가 되었다. 이하 도26에 의해 종래의 본체 프레임의 고정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6에 있어서, 로드시브(89)는, 볼트(85)의 단차부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위치 결정된 한쌍의 프레임(84)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볼트(85)의 양단의 소경부는 프레임(84)에 설치된 구멍부에 끼워삽입되어, 그 양단 소경부는 나사 가공되어 있고, 너트(86)에 의해 체결되어있다.
브레이크판(87), 브레이크받이(88)는, 브레이크커버(83)로 커버되며, 로드시브(89)측의 프레임(84)의 외측은 커버(82)로 커버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볼트(85)의 양단 소경부는 프레임(84)에 형성된 구멍부에 끼워삽입되지만, 양단의 나사부를 끼워삽입하기 때문에, 프레임(84)에 형성된 구멍부 지름은, 볼트(85)의 양단의 나사부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그 때문에, 너트(86)에 의해 볼트(85)를 체결하고, 프레임(84)과 브레이크커버(83), 기어케이스(82)를 고정하여도, 볼트(85)의 양단 나사부와 프레임(84)의 구멍부에는 약간의 간극이 생기기 때문에, 작업시 등에 권상기 본체가 큰 충격을 받은 경우에 있어서, 그 간극 만큼의 어긋남 등의 이상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또, 볼트(85)의 양단을 너트로 체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립시에 있어서, 한쪽측의 볼트단을 너트에 의해 체결한 후에, 본체를 반전시켜, 반대측의 볼트단을너트로 체결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동작을 위한 조립공수를 필요로 했다. 또한, 볼트의 끝단차부와 너트는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녹이 발생하거나, 손상되기 쉬워, 이러한 경우는 정비를 위한 분해가 곤란해진다. 또,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예를 들면 스패너 등의 너트부착용 공구가 사용가능한 스페이스를 브레이크커버(83)와 기어케이스(82)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소형화를 위한 장해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과제를 감안하여 소형, 경량화를 꾀함과 아울러, 견뢰하고 또한 조립, 분해가 용이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권상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부품수가 적고, 또한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한 권상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권상견인기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권상견인기의 측면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권상견인기의 저면단면도이다.
도4(a),(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스토퍼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아이들러 스프링 관련기구를 나타낸 확대정면도이다.
도6(a)는, 도5에 있어서 아이들러 스프링 장착부를 나타낸 정면도, (b)는 아이들러 스프링의 확대정면도이다.
도7(a)는, 다른 실시 형태의 아이들러 스프링 관련기구를 나타낸 확대정면도, (b)는 (a)에 있어서 미끄럼받이부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및 실시 형태 4의 체인가이드부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의 체인가이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0은, 체인가이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1(a)는, 도9의 내측 가이드부를 나타낸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 측면도이다.
도1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로드시브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13(a)는, 실시 형태 5의 로드기어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14는, 로드시브, 로드기어의 조립과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15는, 도14의 A - A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을 나타낸 확대측면도이다.
도17은, 브레이크장치의 스프링, 역전방지클로를 나타낸 확대측면도이다.
도18은, 브레이크장치의 스프링, 역전방지클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확대측면도이다.
도19는, 역전방지클로의 확대정면도이다.
도20은, 상기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종래예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21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종래예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22(a),(b)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종래예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23(a),(b)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종래예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24는,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종래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25는, 도24에 있어서 로드시브, 로드기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26은,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권상견인기의 종래예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종래의 권상견인기의 구동축 단차부에 설치한 아이들러 그립에서는, 구동축 및 규제부재에, 스플라인 가공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 아이들러 그립은 구동부재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나사고정되므로, 구동부재의 지름은 커지며, 권상견인기 전체가 대형화된다고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으며, 또 아이들러 스프링의 지름보다 구동축의 스프링결합부의 지름을 대경으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품외형이 커지며, 권상견인기 전체가 대형화되고, 또한 가이드롤러는 단독부품으로서 다른 부품으로부터 독립하여 프레임에 축이 걸쳐져 있기 때문에, 소형화의 장해가 되며, 또 종래의 체인가이드는, 가공이 복잡하고 부품비용이 비싸진다는 과제를 갖고 있고, 또한, 종래의 로드기어와 로드시브의 연결수단은 스플라인 가공용의 여유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로드기어는 폭이 두꺼워지고, 소형화, 경량화의 장해가 되며, 또한, 본체 프레임을 볼트, 너트로 고정하는 것에서는, 조립공수가 증가하고, 또 권상견인기 전체가 대형화된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로는 권상견인기의 구동부재의 단면에, 구동부재와 결합하고, 구동축에 결합하는 스토퍼를 설치함과 아울러, 스토퍼에 아이들러 그립을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아이들러 그립을 설치한 권상견인기에 있어서는, 구동부재의 회전규제용의 규제부재를 필요로 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의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규제부재를 불필요로 하고, 또한 아이들러 그립을 구동부재에 고정하지 않는 구조로 했기 때문에, 구동부재의 지름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권상견인기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권상견인기의 핸들부착부의 단면은 아이들러 그립으로 커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권상견인기에 비해서 미관을 드러내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 단차부에 구동부재 및 핸들 이탈방지용 워셔를 설치한 종래예에 비해서, 아이들러 그립에 의해 체인길이의 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기능화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로는, 본 발명은, 구동부재의 회동을 브레이크받이를 통하여 구동축에 전달하고, 로드시브를 회동하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아이들러 스프링의 브레이크판 끼움장착측을 구동부재측에 비하여 소경으로 하고, 상기 소경부를 구동축의 브레이크판 끼움장착측에 설치한 걸림부에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들러 스프링의 브레이크판 끼움장착측을 구동부재측에 비하여 소경으로 하고, 소경부를 브레이크판 끼움장착측에 설치한 걸림부에 결합했기 때문에 구동축의 지름을 종래예에 비하여 소경으로 할 수 있으며, 구동축에장착되는 부품의 지름도 소경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ㆍ경량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3으로는, 본 발명은 구동축의 일단에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연동하는 로드기어를 통하여 구동하는 로드시브와, 로드시브에 권회되는 체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설치한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구동축의 동축상에 가이드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를 로드시브에 귄회된 체인에 외접시킨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과 동축상에 가이드롤러를 설치했기 때문에, 가이드롤러를 단독부품으로서 프레임에 축이 걸쳐진 종래의 권상견인기에 비하여,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권상견인기 본체를 소형화하고, 경량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공수를 삭감하고, 저비용의 권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4로는, 본 발명은, 링크체인이 권회된 로드시브를 회동하여, 링크체인을 승강하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로드시브의 링크체인의 무부하측에서, 로드시브로 부터 수하되는 링크체인의 로드시브에 대하여, 링크체인의 외측에 링크체인의 세로링크를 가이드하는 오목홈을 갖는 외측 가이드를 링크체인 내측에, 링크체인의 가로링크를 위치결정하는 경사면을 갖는 내측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크체인의 권하동작시에 있어서, 체인가이드에 보내지는 링크체인 중, 가로링크의 경사를 내측가이드의 경사면으로 규제함으로써, 가로링크에 연속하여 체인가이드에 보내지는 세로링크의 경사도 규제되어, 세로링크는 외측 가이드의 오목홈에 끼워넣어지고, 가로링크에서 십자형을 이루어 송출되기때문에,링크체인은 외측가이드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권하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제5로는, 본 발명은 로드시브의 단차부에 설치되어, 로드기어를 끼워장착하는 시브축을 갖고, 로드기어를 통하여 로드시브를 회동하는 권상견인장치에 있어서, 시브축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축심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한 오목홈을 갖고, 로드기어는 내주면에 상기 오목홈의 경사면과 내접하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브축에 종래의 스플라인 등을 대신하여, 오목홈을 형성하고, 오목홈에 로드기어를 끼워장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시브축에 가공용의 여유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장치전체를 소형화, 경량화하고, 저비용을 가능하게함과 아울러, 오목홈은 시브축심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토크 전달방향이 원주방향이 되고, 토크전달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며, 시브축에 가해지는 무리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홈의 수를 적게, 또는 형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가공이 매우 용이해진다.
제6으로는, 본 발명은 기어케이스와 브레이크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임에 접촉하여 위치결정하는 단차부와, 기어케이스 및 브레이크커버의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소경부를 갖는 스페이서와 브레이크커버와 기어케이스에 관통해서 고정설치되는 볼트를 구비하고, 프레임을 스페이서의 단차부와 기어케이스 및 브레이크커버의 내측 단면에서 끼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상기 본체 프레임은, 스페이서의 단차부에 의해 간격이 규정되고, 위치결정됨과 아울러, 볼트에 의한 체결시에, 프레임은 스페이서에 형성된 단차부와 기어케이스 및 브레이크커버의 내측단면에서 끼워 고정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또한 프레임의 체결시에는, 부품간에 간극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과 다른 부품간에는 어긋남 등의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컴팩트하며 정교하고 치밀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인데, 이하에 도1 ~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권상견인기의 전체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권상견인기의 측면도, 도2는 정면도, 도3은 저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구동축으로 프레임(17a, 17b)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구동축(1)의 프레임(17a)측에는, 브레이크받이(2)가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고, 브레이크받이(2)에 이어져 한쌍의 브레이크판(3)에 의해 끼워진 래칫(4)이 끼워져 장착되고, 또한 단차부에는 구동부재(5)가 나사결합 하는 다조나사(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다른측에는, 프레임(17a, 17b)사이에 가이드롤러(14a)와 단차부에 피니언기어(13)를 구비하고 있다. 2는 구동축(1)에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외측에서 끼워진 브레이크받이, 4는 구동축(1)에 외측에서 끼워진 래칫, 3은 래칫(4)을 좌우에서 끼워 구동축(1)에 외측에서 끼워진 브레이크판, 13은 구동축(1)의 단차부에 설치된 피니언기어, 14a는 구동축(1)과 동축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7a, 17b) 사이에 구비된 무부하측 가이드롤러, 14b는 프레임(17a, 17b)사이에서 부하측에 축지지된 부하측 가이드롤러, 5는 구동축(1)의 다조나사(22)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23)를 구비한 구동부재, 6은 구동축(1)의 브레이크판 끼움장착부(1e)의 단차부와 구동부재(5)의 내측 단차부 사이에 장착되어, 구동부재(5)를 풀림 방향으로 가압 하는 아이들러 스프링, 22는 구동축(2)에 설치된 다조나사이다. 7은 구동축(1)의 단차부에 결합된 스토퍼, 8은 스토퍼(7)에 고정설치된 아이들러 그립, 12는 피니언기어(13)와 서로맞물리는 로드기어, 10은, 로드기어(12)를 외측에서 끼운 시브축(11)을 구비하고, 프레임(17a, 17b)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지된 로드시브이다. 구동부재(5)는, 구동축(1)의 단차부에 설치된 다조나사(22)에 나사결합 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 끼워맞춘 레버(24)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밀려 나가게 되어, 브레이크판(3)을 통하여 브레이크받이(2)를 구동축(1)의 축받이 단차부에 압접하고, 구동축을 회전구동시킨다.
또, 구동축(1)의 다른 쪽에는 프레임(17a, 17b) 사이에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가 구비되고, 피니언기어(13)는 지지프레임(17b)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고, 로드시브(10)의 시브축(11)에 외부에서 끼워진 로드기어(12)와 맞물리고 있다. 또, 부하측 가이드롤러(14b)는,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와 로드시브(10)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서, 프레임(17a, 17b)에 축지지되어 체인(30)을 가이드한다. 도면부호 15a, 15b는 프레임(17a, 17b) 사이의 간격을 규정하고, 프레임(17a, 17b) 사이를 고정하는 스페이서로 일단은 프레임(17b), 기어커버(18)에, 타단은 프레임(17a), 브레이크커버(19)에 끼워맞춰져 있다. 16은 볼트로 브레이크커버(19)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멍으로부터 중공 스페이서(15a,15b)에 삽입되고, 그 단부는 기어커버(18)에서 나사부착 되어 있다. 21은 중공 스페이서(15a)에 축부착된 역전방지클로, 20은 일단이 프레임(17a)에 걸리고, 타단이 중공 스페이서(15a)의 프렌지를 넘어, 역전방지클로(21)에 걸리고, 역전방지클로(21)를 래칫(4)의 외주에 형성한 톱니에 걸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중공 스페이서(15a)에 감겨서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이하, 도2, 도4(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a는 아이들러 그립(8)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고, 걸림홈(1b)보다 대경인 구동축 단부, 1b는 스토퍼와 결합하고, 스토퍼(7)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홈, 2는 수압부재인 브레이크받이, 3은 브레이크판, 4는 래칫, 21은 래칫과 걸리는 역전방지클로, 5는 구동부재, 6은 아이들러 스프링, 7은 구동부재(5)의 볼록부(5a)가 끼워맞춰지는 홈부(7c)와, 구동축과 결합하는 축지지홈(7a)을 갖는 판상의 스토퍼, 7b는 나사구멍, 8은 아이들러 그립, 8a는 아이들러 그립(8)의 내측에 설치된 축받이부, 9는 나사, 10은 체인을 귄회하는 로드시브, 17은 프레임, 18은 기어커버, 19는 브레이크커버, 24는 레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권상견인기는, 구동축(1)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끼워 장착된 브레이크받이(2)와, 브레이크받이(2)에 연접하여 구동축(1)에 끼워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판(3)과, 브레이크판(3) 사이에 설치된 래칫(4)과, 브레이크판(3)에 압접하여 제동하도록 구동축(1)에 나사식 전ㆍ후진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 구동부재(5)와, 구동축(1)의 단차부와 구동부재(5)의 내측 단차부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부재(5)를 브레이크판(3)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아이들러 스프링(6)과, 구동축(1)의 걸림홈(1b)과 결합하고, 걸림홈(1b)보다 대경인 구동축단차부(1a)에 의해 구동부재(5)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함과 아울러 구동부재(5)와 동시회전하기 위해 구동부재(5)의 볼록부(5a)와 끼워맞춰지는 홈(7c)을 갖는 스토퍼(7)와, 스토퍼(7)에 고정 장착되어, 구동축 단차부(1a)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축받이부(8a)를 내측에 설치한 아이들러 그립(8)과, 아이들러 그립(8)을 스토퍼(7)에 고정 장착하는 나사(9)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7)는도4에 나타냈듯이, 구동축(1)의 걸림홈(1b)이 결합하는 축지지홈(7a)과, 나사구멍(7b)을 갖는 것이라면, 도4(b)에 나타냈듯이, 그 형상은 분할된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또, 구동부재(5)가 브레이크를 해방하는 축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동부재(5)와 스토퍼(7)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구동부재(5)의 볼록부(5a)와 스토퍼(7)의 홈부(7c)에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당한 간극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 구동축(1)은 로드시브(10)와 연달아 설치되어 있고, 로드시브(10)의 축받이부는, 프레임(17a, 17b)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또, 구동부재(5)의 외주면은 비원형이며, 레버(24)가 부착되어, 스토퍼(7)에 의해 걸린다. 또, 권상견인기 본체는, 기어커버(18), 브레이크커버(19)로 커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권상견인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하동작시에 있어서, 레버(24)를 권상방향으로 반복요동하면, 구동부재(5), 브레이크판(3), 브레이크받이(2)를 통하여, 구동축(1)이 권상방향으로 회전되고, 로드시브(10)에 의해 체인의 권상동작이 행해진다.
부하시의 권하동작에 있어서는, 레버(24)에 설치되어 있는, 권상ㆍ권하 전환편을 권하방향으로 바꿔서, 핸들을 반복요동하면, 구동부재(5)가 브레이크(3)로부터 해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것에 의해 구동축(1)의 브레이크 작용이 해방되어, 구동부재(5)가 해방된 분 만큼 로드시브(10)가 구동축(1)과 함께 권하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이 일련의 동작의 반복에 의해, 체인의 권하동작이 행하여진다.
또, 무부하시에 있어서, 레버(24)의 전환편을 중립위치로 바꾸고, 아이들러스프링(6)의 작용에 의해, 구동부재(5)가 브레이크판(3)에 대하여 해방되면, 체인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아이들링 상태가 된다. 이 아이들링 상태에 있어서, 체인에 부하가 걸리면 나사 작용에 의해 구동부재(5)의 브레이크판(3)으로의 압접력이 발생하고, 로드시브(10)의 귄하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 회전상태에 있어서, 아이들러 그립(8)을 회동하는 것에 의해 구동부재(5)가 회전하고, 나사작용에 의해 브레이크판(3), 브레이크받이(2)를 통하여, 구동축(1), 로드시브(10)를 일체 회전하고 체인에 접촉하지 않고 체인길이를 필요 길이만큼 권상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아이들러 그립(8)을 구동부재(5)가 구동축(1)에 대하여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토퍼(7)의 규제작용에 의해 구동부재(5)의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구동부재(5)와 구동축(1), 로드시브(10) 등이 일체로 되어 권하방향으로 회전하고, 체인에 닿지 않고 체인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구동부재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볼록부를 스토퍼의 홈부에 끼워맞추고, 구동부재와 스토퍼를 결합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스토퍼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스토퍼의 볼록부를 구동부재의 오목부에 끼워맞추는 형태여도 좋고, 또 아이들러 그립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볼록부를 스토퍼에 관통하여, 구동부재와 결합하는 형태여도 좋고, 구동부재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볼록부를 스토퍼에 관통하여 아이들러 그립과 결합하는 형태여도 좋다.
또, 스토퍼의 형상으로서는, 구동축에 결합되는 축지지홈을 구비해 두면 좋고, 도4(a)에 나타내듯이, 1장의 판상체여도 좋고 또, 도4(b)에 나타내듯이 2장의판상체로 형성해도 좋다.
이처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구동부재(5)의 끝면에, 구동축(1)과 결합하고, 구동부재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함과 아울러, 구동부재(5)와 동시회전하고, 레버(24)의 이탈방지 작용을 행하는 스토퍼(7)를 설치하고, 상기 스토퍼(7)에 구동부재(5)를 회동하는 아이들러 그립(8)을 고정설치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구동부재의 회전규제용 규제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아이들러 그립을 구동부재에 고정하지 않는 구조로 했기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또, 권상견인기의 핸들 부착부의 끝면은 아이들러 그립으로 커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권상견인기에 비하여 미관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 단차부에 구동축 및 핸들 결합용 워셔를 설치한 것에 비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체인길이의 조정을 체인에 접촉하지 않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다기능화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2, 도3 및 도5~ 도7을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2인 아이들러 스프링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c는 구동축(1)의 브레이크판(3)의 끼움장착부(1e)의 단차부에 설치된 걸림용단차부, 1d는 구동축(1)의 소경부, 6a는 아이들러 스프링(6)의 소경부, 6b는 대경부, 23은 구동부재에 설치된 다조나사(22)에 나사부착된 암나사이다.
도5는 아이들러 스프링 기구를 나타낸 전체확대도, 도6(a)는 도5에 있어서구동축(1)의 아이들러 스프링 장착부의 확대도, 도6(b)는 아이들러 스프링의 확대도이다. 도시한 대로, 아이들러 스프링(6)은, 구동축(1)의 소경 걸림용단차부(1c)에 결합되는 소경부(6a)와, 구동부재(5)의 걸림용단차부(5b)에 결합되는 대경부(6b)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축(1)의 브레이크판 끼움장착부의 지름(d1), 구동축(1)의 소경(1d)의 지름(d2), 다조나사부의 외경(d3), 아이들러 스프링(6)의 지름부(6a)의 내경(d4), 대경부(6b)의 내경(d5), 아이들러 스프링(6) 선지름을 도면부호 d6으로 하면, 각각의 지름은, d1≒d3, d2<d4≤d1-2d6, d3<d5의 관계가 성립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아이들러 스프링(6)을 구동축(1)에 결합하는 경우는, 아이들러 스프링(6)의 소경부(6a)를 다조나사(22)의 나사홈을 따라서 회전시키면서 밀어 나가고, 아이들러 스프링(6)의 소경부(6a)를 구동축(1)의 소경부(1d)에 끼워 맞춰서 소경 걸림용단차부(1c)에 결합시킨다. 또, 대경부(6d)는 구동부재(5)의 걸림용단차부(5b)에 결합된다.
이처럼,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아이들러 스프링(6)의 브레이크판측 장착부의 지름을 구동부재측에 비하여 소경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것에 끼워장착되는 브레이크판(3), 브레이크받이(2) 등의 부품의 지름도 소경으로 할 수 있으며, 권상기 전체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다.
도7은, 다른 실시의 형태로, 도5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래칫(4) 및 브레이크판(3)을 구비한 브레이크 부재는 구동축(1)에 축이 부착되어 있고, 아이들러 스프링(6)의 소경부(6a)는, 구동축(1)의 걸림용 단차부(1c)에 결합되어 있는데, 도7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래칫(4) 및, 브레이크판(3)을 구비한브레이크부재와 구동축(1) 사이에, 도7(b)에 나타냈듯이 단면 2분할된 미끄러짐받이(27)가 끼워장착되어 있고, 아이들러 스프링(6)의 소경부(6a)를 미끄럼받이(27)의 끝면(27a)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도5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의 일단에 로드시브(10)에 권회되는 체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14a, 14b)를 설치하고, 가이드롤러(14a, 14b) 중 어느 한쪽을 구동축(1)과 동축상에 설치하고, 로드시브(10)에 권회된 체인(30)에 외접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가 갖는 작용에 더해져, 가이드롤러(14a, 14b)를 단독부품으로서 프레임(17a, 17b)에 축지지한 종래의 체인 권상기에 비하여, 부품수를 적게할 수 있고, 권상기 본체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공수를 삭감하고, 저비용의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부재(5)에 끼워맞춰진 레버(24)를 왕복회동하면, 다조나사(22)의 이송작용에 의해, 구동부재(5)를 아이들러 스프링(6)에 저항해서 브레이크판(3) 방향으로 이동시켜, 브레이크받이(2)를 구동축(1)의 축받이 단차부에 압압한다. 브레이크받이(2)는 구동축(1)의 축받이 단차부에 의해 축방향 이동에 방해받기 때문에, 구동부재(5)는 다조나사(22)의 체결작용에 의해, 브레이크판(3), 래칫(4), 브레이크받이(2), 구동축(1)과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한편, 무부하시에 체인(30)을 조작하면, 구동부재(5)는, 아이들러 스프링(6)에 의해 풀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브레이크판(3)과 래칫(4)은 개방되어 있기때문에, 로드시브(10), 로드기어(12)를 통하여, 구동축(1), 브레이크받이(2), 구동부재(5)는 일체로 회동하고, 체인(30)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아이들링 상태가 된다. 또 아이들링 시에 있어서 구동부재(5)의 지나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축(1)의 단차부에는 스토퍼(7)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들러 스프링의 브레이크판 끼움장착측의 지름을 구동부재측에 비하여 소경으로 하고, 소경을 브레이크판 끼움장착측에 설치한 걸림부에 결합했기 때문에, 구동축의 지름을 종래의 권상기에 비하여 소경으로 할 수 있으며, 구동축에 장착된 각 부품의 지름도 소경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 ㆍ경량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로드시브에 권회된 체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동축과 동축상에 일체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품수를 적게할 수 있고, 한층 더 권상기 본체를 소형화, 경량화 및 저비용화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2, 3 및 도8을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3인 가이드롤러와 구동축의 관련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17a, 17b)는 로드시브 및 구동축 등이 베어링되는 한쌍의 프레임, 1은 구동축이고, 프레임(17a)측에는, 브레이크받이(2)가 끼워맞춰져 있고, 브레이크받이(2)에 이어서 한쌍의 브레이크판(3)에 의해 끼워진 래칫(4)이 외장되고, 또한 다조나사(22)에는 구동부재(5)가 나사부착되고, 다른 측에는, 지지프레임(17a, 17b) 사이에 베어링된 가이드롤러(14a, 14b)와 피니언기어(13)를구비하고 있다. 피니언기어(13)는 구동축(1)의 단차부에 설치되어 외측 지지프레임(17b)에 베어링되어 있다. 14a는 피니언기어(13)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7a, 17b) 사이에 베어링되어, 무부하체인을 가이드하는 무부하측 가이드롤러, 14b는 지지프레임(17a, 17b)사이에 베어링되어, 부하체인을 가이드하는 부하측 가이드롤러, 2는 구동축(1)에 축방향 이동이 허용되어, 상대회전 불능하게 끼워맞춰진 브레이크받이, 4는 구동축(1)에 베어링된 래칫, 3은 래칫(4)을 좌우에서 끼워 구동축(1)에 베어링된 브레이크판, 6은 구동축단차부와 구동부재(5)사이에 장착된 아이들러 스프링, 5는 구동축(1)에 설치된 다조나사(22)에 나사부착된 구동부재, 22는 다조나사, 7은 구동축(1)의 단차부에 나사부착된 스토퍼, 12는 피니언기어(13)와 맞물리는 로드기어, 10은 로드기어(12)와 동축으로, 프레임(17a, 17b) 사이에 베어링된 로드시브, 30은 로드시브에 감겨장착된 체인이다.
프레임(17a, 17b)을 중심으로 해서, 구동축(1)의 한쪽에는, 브레이크받이(2)가 구동축(1)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능하게 끼워맞춰지고, 구동축(1)의 축받이 단차부에 접촉하고 있다. 브레이크받이(2)의 바로앞에는, 양측을 한쌍의 브레이크판(3)에 의해 끼워진 래칫(4)이 구동축(1)에 베어링되어, 래칫(4)의 외주부에 형성된 걸림톱니에 프레임(17a)에 피벗되어, 걸림톱니를 향해 가압된 역전방지클로(21)가 결합하고, 래칫(4)을 권상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재(5)는, 구동축(1)에 형성된 다조나사(22)에 나선장착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 끼워맞춰진 핸들(24)에 의해 회전된다.
또, 구동축(1)의 다른측으로, 프레임(17a, 17b)사이에는, 구동축(1)과 일체형성된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가 고정설치되고, 피니언기어(13)는 지지프레임(17b)의 외측에 돌출 설치 되어 있다.
피니언기어(13)는, 프레임(17b)의 외측에서, 로드시브(10)의 시브축(11)에 외부측에서 로드기어(12)와 맞물리고 있다. 또 부하측 가이드롤러(14b)는,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와 로드시브(10)를 사이에 둔 반대측에서, 프레임(17a, 17b)에 베어링되어 부하측체인(30)을 가이드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부재(5)에 끼워맞춰진 레버(24)를 왕복회동하면, 다조나사(22)의 이송작용에 의해, 구동부재(5)를 아이들러 스프링(6)에 저항해서 브레이크판(3) 방향으로 이동시켜, 브레이크받이(2)를 구동축(1)의 축받이 단차부에 압압한다. 브레이크받이(2)는 구동축(1)의 축받이 단차부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을 방해받기 때문에, 구동부재(5)는 다조나사(22)의 체결작용에 의해, 브레이크판(3), 래칫(4), 브레이크받이(2), 구동축(1)과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무부하측 가이드 롤러(14) 및 피니언기어(13)는 구동축(1)과 함께 회전하고, 로드기어(12)를 통하여, 로드시브(10)를 회동하고, 로드시브(10)에 권회되어 있는 체인(30)에 의해 권상 또는 견인을 행한다. 도8에 나타내듯이, 로드시브(10)에 의해 권회되는 체인(30)에는, 무부하측 및 부하측 가이드롤러(14a, 14b)가 외접하여, 체인(30)을 로드시브(10)에 가이드한다.
이상 상기한 대로, 본 발명의 권상견인기는, 로드시브(10)에 권회되는 체인(30)을 가이드하는 부하측 및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 14b)를 구비하고,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와 구동축(1)을 동축상에 설치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부품수 및 제조공수를 적게 할 수 있으며, 소형ㆍ경량으로 저비용의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를 구동축(1)과 일체 형성한 예로서 설명했지만, 무부하측 가이드롤러를 구동축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해도 좋고, 또 부하측 가이드롤러에 상기 구성을 적용해도 좋다. 또,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와 구동축(1)을 일체형성한 경우,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는 피니언(13)과 일체적으로 회동하지만, 가이드롤러(14a)에는 부하가 가해지지 않고 마찰력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피니언(13)과 일체적으로 회동해도, 가이드롤러(14a)는 마찰력 등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를 구동축(1)과 일체형성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과 동축상에 무부하측 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구동축의 일부를 가이드롤러로 했기 때문에, 가이드롤러를 단독부품으로서 프레임에 축을 걸친 종래의 체인 권상기에 비해,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권상기 본체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비용의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2 및 도8 ~ 도11를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4인 체인가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권상견인기는 상부에 상부클로(29a), 하부에 하부클로(29b)를 구비, 본체부에 로드시브(10)와, 로드시브(10)에 권회되는 링크체인(30)과, 상기 링크체인(30)의 로드시브(10)에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링크체인 외주에서 무부하측 링크체인의 이송부에 설치된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와,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와 협동하고, 무부하측 링크체인의 이송구를 형성하여, 로드시브(10)의 하부에 접근하여 설치된 내측가이드(25)를 구비한다.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는 구동부재(5)로부터 브레이크부(2 ~4)를 통하여 감속기부까지 회전가능하게 연장설치되어, 구동부재(5)의 구동력을 로드기어(12)에 전달하는 피니언기어(13)를 구비한 구동축(1)과 동축상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도면부호 30a는 링크체인(30)의 가로링크, 30b는 세로링크로,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는, 롤러형상으로 세로링크(30b)가 끼워넣어지는 오목홈(14c)을 구비한다. 내측가이드(25)의 가이드면은, 대략 V자 형상으로 가로링크(30a)와 접속하여 가로링크(30)가 로드시브(10)의 로드시브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위치결정용 경사가이드면(25a)과, 세로링크(30b)의 위치결정용 곡부(25b)를 구비, 곡부(25b)의 로드시브측 선단에는, 무부하측에 송출되는 링크체인의 로드시브(10)상에서의 감겨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선단 돌기부(25c)가 형성되어 있다. 25d는 내측가이드(25)의 단차부에 설치되어, 내측가이드(25)를 권상견인기 본체 프레임에 부착하는 부착부이다. 25e는 로드시브(10)의 하부로부터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의 방향으로, 로드시브(10)를 따라 인접하기 위한 경사부로,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에 접근시켜서 경사가이드면(25a)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링크(30a)의 가이드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14b는 부하측의 외측가이드이다.
또한, 내측가이드(25)는, 도9, 도11에 나타내듯이, 판상체를 프레스가공 등으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도10에 나타내듯이, 냉간단조나 정밀주조에 의해, 비판상체로서 일체성형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권상견인기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체인가이드는, 세로링크 가이드용의 오목홈(14c)을 갖는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와, 가로링크 가이드용의 경사면(25a)과 세로링크 가이드용의 곡부(25b)를 갖는 대략 V자형의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내측가이드(25)를 구비, 또한, 내측가이드(25)에는, 로드시브측 선단에, 로드시브(10)로부터 무부하측으로 송출되는 링크체인이 로드시브(10)에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선단 돌기부(2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링크체인(30)의 권하동작시에 있어서는, 체인가이드에 보내지는 무부하 링크체인 중, 가로링크(30a)는 내측가이드(25)의 경사면(25a)과 접속하고, 가로링크(30a)가 로드시브(10)의 시브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자동조정되고, 가로링크(30a)에 이어져 체인가이드에 보내지는 세로링크(30b)는,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의 오목홈(14c)과 내측가이드(25)의 곡부(25b)에 가이드되어서, 로드시브(10)로 송출된다. 그 때문에, 링크체인(30)은, 체인가이드와 로드시브(10)사이에 있어서, 무부하측 가이드롤러(14a)에 걸리는 등의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고, 로드시브(10)에 송출되기 때문에, 권하조작은 원활하게 행하여져, 권하동작시에 있어서, 체인의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권상동작시에 있어서는, 로드시브(10)로부터 무부하측으로 송출되는 링크체인 중, 로드시브(10)의 홈에 끼워져 있는 세로링크(30b)는, 내측가이드(25)에형성된 선단 돌기부(25)에 의해, 로드시브(10) 홈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압출되기 때문에, 권상동작시에 있어서, 링크체인(30)이 로드시브(10)에 감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크체인의 권하동작시에 있어서는, 체인가이드에 보내지는 링크체인 중, 가로링크는 그 기울기가 내측가이드의 경사면으로 규제되고, 로드시브에 대한 링크체인의 위치가 링크체인이 로드시브의 중심이 되도록 자동조정되고, 가로링크에 이어서 보내지는 세로링크의 기울기도 규제되고, 세로링크는 내측가이드의 오목홈과 내측가이드의 곡부에 끼워넣어져 송출되기 때문에, 링크체인은 체인가이드와 로드시브 사이에 있어서, 외측가이드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권하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링크체인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2, 3 및 도12~ 도14를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5인 로드기어와 로드시브축의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2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로드시브, 10a는 로드시브(10)를 프레임(13)에서 축지지하는 축받이, 11은 로드시브(10)의 선단에 설치된 시브축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드시브(10)의 축받이(10a)에 연속하여 시브축(11)의 축길이 방향으로 상하 한쌍의 오목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1a)는, 시브축(11)의 원주방향의 양측에, 시브축(11)의 축심을 통과하는 선(11e)에 의해 규정되어, 축심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1d)을 구비하고 있으며, 오목홈(11a)의 축받이(10a)측에는 로드기어(12)의 로드시브(10)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평면상의 규제면(11c)이 형성되어 있다. 도13은 로드기어(12)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2a는 시브축(11)의 오목홈(11c)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로, 시브축(11)의 오목홈(11a)의 경사면(11d)과 내접하는 경사면(12b)을 구비한다. 12c는 기어의 치저(齒底), 12d는 치선부(齒先部)를 나타낸다. 도14, 도15는 로드시브(10)에 로드기어(12)를 끼워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로드기어(12)는 볼록부(12a)가 시브축(11)의 오목홈(11a)에 끼워맞쳐줘, 각각의 경사면(11d와 12b)은 상호 내접하고 있다.
또, 로드기어(12)는, 로드시브(10)의 축받이(10a)의 단차부에 형성된 규제면(11c)에 의해 로드시브(10)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기어케이스(14)의 내측면에는, 로드기어(12)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로드기어(12)의 회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로드기어(12)의 기어케이스(14)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볼록상 링(18a)이 형성되어 있고, 로드기어(12a)는, 로드시브(10)의 규제면(11c)과 상기 기어케이스(14)의 볼록상 링(18a) 사이에서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돌출상 링(18a)은, 로드기어(12)를 원활하게 접속시키기 위해, 외경을 로드기어(12)의 치저(12c)의 지름보다 작게, 내경을 시브축(11)의 외경(11b)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종래는 시브축 전주에 스플라인 가공이 되어 있기 때문에, 시브축을 두껍게 하는 것 등으로 축강도를 확보하고 있었는데, 본 형태에서는 시브축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시브축의 전주에 걸쳐 홈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강도적으로 유리하며, 또한 오목홈은 시브축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에 의해 규정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토크 전달방향이 원주방향이 되고, 로드기어와의 결합면이 경사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토크전달의 손실을 적게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토크전달을 위해 시브축에 가해지는 무리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홈의 수는 적게 또, 형상을 작게할 수 있으며, 홈가공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 시브축에 스플라인 등을 설치한 것에 비하여, 시브축에 가공용 여유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권상견인기를 소형화, 경량화 및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또, 로드기어(12)를 끼워장착하는 오목홈은, 스플라인 등에 비해서 매우 간단한 구성이기 때문에, 로드시브의 주조가공시에 동시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브축의 가공비용은 종래 장치에 비해서 현격하게 저비용으로 할 수 있으며 또, 가공공수도 적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어케이스의 내측면에 볼록상 링을 형성하고, 로드기어의 기어케이스측으로의 이동규제 부재를 불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오목홈을 한쌍 형성한 예로 설명했지만, 오목홈은 한개여도 좋고, 또 필요에 따라 3 ~4개 형성해도 좋다.
또, 로드기어의 기어케이스측으로의 이동규제를 위한 볼록상 링을, 기어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하여 설명했는데, 오목상 링은 로드기어의 기어케이스측 단차부에 형성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시브축에 종래의 스플라인 등을 설치한 종래의 것에 비하여, 오목홈을 형성하고, 오목홈에 로드기어를 끼워 장착하도록했기 때문에, 시브축에 가공용의 여유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전체를 소형화, 경량화하고, 저비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오목홈에는 시브축심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토크전달방향이 원주방향이 되고, 토크전달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며, 시브축에 가해지는 무리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홈의 수를 적게 또는 형상을 작게 할 수 있으며, 홈가공이 매우 용이해지고, 또, 로드시브의 주조가공시에 오목홈도 동시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브축의 가공비용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기어케이스측에 로드기어의 이동규제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 삭감을 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이하, 도2 및 도16 ~ 도1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인 권상견인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8은 기어커버로, 권상견인기 본체의 로드기어(12)측의 기어를 덮고, 볼트(16)가 나사부착하는 나사구멍과 스페이서(15a, 15b)의 소경부(15d)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18b)가 형성되고, 또한 내측으로 돌출하고, 프레임을 끼우는 내측끝면(18c)이 형성되어 있다. 19는 프레임 커버로 권상견인기 본체의 브레이크 수단을 덮고, 후술하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 구멍(19a)과, 스페이서 소경부(15d)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19b)와 프레임을 끼우는 내측끝면(19c)이 형성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커버(19)에는, 브레이크 수단의 스페이스 분만큼 팽출하는 팽출부(19d)가 형성되고, 또한 볼트의 머리부를 수납하는 시트부(19e)를 갖는다. 권상견인기 본체의 지지 프레임(17a, 17b)은, 중공 스페이서(15a, 15b)의 소경부(15d)가 끼워맞춰지는 구멍부를 구비, 중공 스페이서(15a,15b)에 형성된 단차부(15f)에 의해, 프레임 간의 간격이 규정되고, 중공 스페이서(15a, 15b)에 관통 장착되는 볼트(16)에 의해 본체에 체결된다. 도면부호(15a, 15b)는, 프레임(17a, 17b)의 부착 위치 및 프레임(17a, 17b)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중공 스페이서로, 양단에 소경부(15d)를 갖고, 중공 스페이서(15a)의 로드기어측 소경부(15d)는, 프레임(17a)의 구멍부와 기어커버(18)의 내측오목부(18b)에 끼워맞춰지고, 브레이크 수단측 소경부(15d)는, 프레임(17b)의 구멍부와 브레이크커버(19)의 내측 오목부(19b)에 끼워맞춰져 고정된다. 중공 스페이서(15b)의 로드기어측 소경부(15d)는, 기어커버(18)의 내측오목부(18b)에 끼워맞춰지고, 브레이크 수단측 소경부(15d)는, 프레임(17b)의 구멍부와 끼워맞춰져 고정된다. 또, 래칫(4)에 결합하는 역전방지클로(21)를 끼워넣는 부분은 소경부(15i)로 되어 있고, 역전방지클로(21)를 베어링하고 있다. 중공 스페이서는 3개로 프레임(17a, 17b)의 간격을 규정함과 아울러, 중공 스페이서의 소경부(19b)를 프레임에 형성한 구멍부와, 기어커버(18)의 오목부(18b)에서 끼워맞춰져 고정하기 때문에, 프레임(17a, 17b)과 다른 부품을 간극없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또 스페이서(15)가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의 어긋남을 규제할 수 있다. 또 프레임(17a, 17b)은 중공 스페이서(15a, 15b)에 형성된 단차부(15f)와 기어커버(18) 및 브레이크커버(19)의 내측끝면(18c, 19c)사이에서 끼워고정된다. 또, 중공 스페이서(15b)는, 역전방지클로(21)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단차부(15g)를 갖고 있다. 16은 육각구멍을 단차부에 형성한 볼트로, 브레이크커버(19)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멍(19a)으로부터 중공 스페이서(15a, 15b)에 삽입되어, 그 단차부는 기어커버(18)의 나사구멍에 나사장착 고정된다. 따라서 볼트(16)를 체결하면, 프레임(17a, 17b)은 기어커버(18)의 내측단면(18c)과 중공 스페이서(15a, 15b)의 단차부(15f)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끼움고정된다.
상기한 대로, 본 발명은, 기어커버(18)와 브레이크커버(19)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임(17a, 17b)의 접합면에 형성된 단차부(15f)와 기어커버(18), 및 브레이크커버(19)의 오목부(18b, 19b)에 끼워맞춰지는 소경부(15d)를 갖는 스페이서(15a, 15b)와 스페이서(15a, 15b)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관통되고, 브레이크커버(19)와 기어커버(18)에 관통하여 고정설치된 볼트(16)를 구비, 프레임(17a, 17b)을 스페이서(15a, 15b)의 단차부(15f)와 기어커버(18) 및 브레이크커버(19)의 내측단면에서 끼워져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로드시브(10)가 축부착되는 본체 프레임(17a, 17b)은 중공 스페이서(15a, 15a)의 단차부에 의해 간격이 규정되어, 프레임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볼트(16)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17a, 17b)은 스페이서(15a, 15b)에 형성된 단차부(15f)와 기어커버(18) 및 브레이크커버(19)의 내측 끝면에서 끼움 고정되고, 또한, 스페이서(15a, 15b)의 소경부(15d)에 의해, 프레임(17a, 17b)의 구멍부와 기어커버(18)의 오목부(18b)와 브레이크커버(19)의 오목부(19b)를 끼워맞추기 때문에 프레임과 타 부품간에 간극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부품조립시에 어긋남 등의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컴팩트하고 정밀하고 섬세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볼트(16)를 브레이크커버(19)의 삽입구멍(19a)측으로부터 중공스페이스(15a, 15b)에 삽입하고, 단차부를 기어커버(18)의 나사구멍에 나사부착 고정하는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조립시에 있어서는, 기어커버(18)를 하측으로 하여, 기어나 브레이크 수단 등의 타 부품을 장착한 후, 브레이크커버(19)를 덮어 씌워, 상기 브레이크커버(19)의 상방으로부터 볼트(16)를 삽입하여 고정설치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를 반전시킬 필요 없고, 조립ㆍ분해가 용이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볼트(16)의 머리부를 브레이크커버(19)의 시트부(19e)에 수납하고, 단차부를 기어커버(18)의 나사구멍에 나사부착 했기 때문에, 너트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 볼트류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녹의 발생이나, 본체가 낙하했을 때의 볼트류의 손상에 의한 분해 등이 곤란해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머리부에 육각구멍을 형성한 볼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어케이스(1)와 브레이크커버 상의 스패너의 사용 스페이스를 억제한 컴팩트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중공 스페이서(15a, 15b)를 나타내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스페이서로서 중공 스페이서를 이용했는데, 중공이 아니더라도 프레임의 위치결정이 가능하고, 프레임을 기어케이스 및 브레이크커버의 내측끝면과의 사이에서 끼워장착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마찬가지로, 볼트는 스페이서에 관통되어 장착되는 형태로서 설명했는데, 스페이서에 관통 장착되지 않고도, 스페이서를 끼울 수 있는 형태라면 좋다.
다음으로, 도16 ~ 도1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부호 15e는 중공 스페이서(15b)의 소경부(15d)에 연접하여 설치된 스프링권착부로, 소경부(15d)와 동지름이어도 좋고, 소경부(15d) 보다 소경이어도 좋다. 15i는 클로(21)가 축장착되는 클로장착부로, 스프링권착부(15e) 보다 소경이어도 좋고, 스프링권착부(15e)와 동지름 이어도 좋다. 15h는 스프링권착부(15e)와 클로장착부(15i)사이에 설치된 플랜지부로, 스프링(20)의 클로(21)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21은 중공 스페이서(15a)의 클로장착부(15i)에 축이 장착되는 역전방지클로, 20은 도(19)에 나타내듯이, 프레임(17b)에 걸려지는 프레임측 걸림부(20a)와 플랜지(15h)를 넘어서 역전방지클로(21)에 걸리게 되는 클로측 걸림부(20b)를 갖고, 역전방지클로(21)를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중공 스페이서(15a)의 스프링권착부(15e)에 권착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중공 스페이서(15a)의 스프링권착부(15e)와 역전방지클로(21)가 축이 장착되는 클로장착부(15i) 사이에 플랜지(15h)를 설치했기 때문에, 스프링(20)의 역전방지클로(21)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역전방지클로(21)의 조립시에 있어서, 스프링(20)이 클로장착부(15i)에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탈방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도16에 나타내듯이, 중공 스페이서(15a)를 직접 브레이크커버(19)에 접촉시켜 역전방지클로를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7은, 스프링권착부(15e)에, 역전방지클로(21)측에 플랜지(28a)를 갖는 스프링 유지부재(28)를 고정 설치하고, 스프링 유지부재(28)에 스프링(20)을 권착하고, 역전방지클로(21)에 가압하도록 한 것이다. 이 형태에서는, 상기 형태와 같이, 플랜지(28a)에 의한 스프링(20)의 역전방지클로(21)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조립시에 있어서 이탈방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중공 스페이서(15a)를 직접 브레이크커버(19)에 접촉시켜 역전방지클로(21)를 규제할 수 있다.
도18은, 역전방지클로(21)에 스프링권착부(15e) 측으로 돌출하고, 스프링(20)의 측면에 당접하는 돌출부(21a)를 형성된, 상기 돌출부(21a)로 스프링(20)의 역전방지용클로(21)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형태와 같이, 스프링(20)의 역전방지클로(21)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조립시에 있어서, 이탈방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중공 스페이서(15a)를 직접 브레이크커버(19)에 부착하여 역전방지클로(21)를 규제할 수 있다.
또, 돌출부(21a)의 형태는 도18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 돌출부(21a)를 스프링(20)의 측면에 접촉시키지 않고, 스프링권착부(15e)와 스프링 사이에 삽입하여, 스프링(20)의 역전방지클로(21)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9는, 스프링(20)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19에 있어서, 도면부호 20a는 스프링(20)이 프레임(17b)에 걸리는 프레임측 걸림부, 도면부호 20b는 역전방지클로(21)에 걸리는 클로측 걸림부로, 스프링(20)에 의해 역전방지클로(21)는 도19에 나타내듯이, 화살표측 즉 시계방향으로 가압된다. 스프링(20)이 역전방지클로(21)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스프링의 가압작용의 반력에 의해, 스프링(20)의 클로측 걸림부(20b)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권회부(20c)에는, 스프링권회부(20c)를 스프링권착부(15e)에 탄발하는 힘이 작용하여, 스프링권회부(20c)는 스프링권착부(15e)측에 압접되고, 그 외의 부분은 도19의 상방으로 부풀어오른 상태즉 플랜지(15h) 또는 플랜지(28a, 21a)를 넘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불룩해진다. 따라서 플랜지(15h, 28a, 21a)는 스프링권회부(20c)만을 규제하는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플랜지(15h) 또는 도면부호 28a, 21a를 스프링 권회부(20c)만을 규제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플랜지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중공플랜지를 이용한 형상으로서 설명했는데, 중공플랜지에 한정되는 것만 아니라, 역전방지클로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장착할 수 있는 축체라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상견인기의 본체 프레임은, 중공 스페이서의 단차부에 의해 간격이 규정되어, 프레임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은 스페이서에 형성된 단차부와 기어케이스 및 브레이크커버의 내측단면 사이에서 체결 고정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프레임과 타 부품간의 어긋남 등의 이상이 없고, 견뢰, 소형, 경량, 컴팩트하고 또한, 조립, 분해가 용이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스페이서의 스프링권착부와 클로장착부사이에 플랜지 등의 규제부재를 설치하여, 스프링의 클로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했기 때문에, 클로의 조립시에 있어서, 스프링이 클로장착부에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장치와 같이, 이탈방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스페이서를 직접 브레이크커버에 접촉 시켜서, 클로를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대로, 종래의 아이들러 그립을 설치한 권상견인기에있어서는, 구동부재의 회전규제용의 규제부재를 필요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의 스토퍼를 설치한 것에 의해, 규제부재를 불필요로 하고, 또한 아이들러 그립을 구동부재에 고정하지 않는 구조로 했기 때문에, 구동부재의 지름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권상견인기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권상견인기의 핸들 부착부의 끝면은, 아이들러 그립으로 커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권상견인기에 비하여 미관을 띠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단차부에 구동부재 및 핸들 이탈방지용 워셔를 설치한 종래예에 비하여, 아이들러 그립에 의한 체인 길이의 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기능화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들러 스프링의 브레이크판 끼움장착측에 설치한 걸림부에 걸어 장착했기 때문에, 구동축의 지름을 종래예에 비하여 소경으로 할 수 있으며, 구동축에 장착된 부품의 지름도 소경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ㆍ경량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구동축과 동축상에 가이드롤러를 설치했기 때문에, 가이드롤러를 단독부품으로서 프레임에 축이 걸쳐진 종래의 권상견인기에 비하여,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권상견인기 본체를 소형화하고, 경량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직공수를 삭감해서, 저비용의 권상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링크체인의 권하동작시에 있어서, 체인가이드에 보내지는 링크체인 중, 가로링크의 기울기를 내측가이드의 경사면으로 규제함으로써, 가로링크에 이어서 체인가이드에 보내지는 세로링크의 기울기도 규제되어, 세로링크는 외측가이드의 오목홈에 끼워넣어지고, 가로링크와 십자형을 이루어 송출되기 때문에, 링크체인은 외측 가이드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권하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시브축에 종래의 스플라인 등을 대신하여 오목홈을 형성하고, 오목홈에 로드기어를 끼워장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시브축에 가공용의 여유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전체를 소형화, 경량화하고, 저비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오목홈은 시브축심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토그전달방향이 원주방향으로 되고, 토크전달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시브축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홈의 수를 적게, 또는 형상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공이 매우 용이해지고, 또한 권상기 본체 프레임은, 스페이서의 단차부에 의해 간격이 규정되어, 위치결정됨과 아울러, 볼트에 의한 체결시, 프레임은 스페이서에 형성된 단차부와 기어케이스 및 브레이크커버의 내측끝면에서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또한 프레임의 체결시에는, 부품간에 간극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과 타 부품간에는 어긋남 등의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컴팩트하고 정밀하고 섬세한 권상견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수압부재와, 수압부재에 연접하여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판과, 브레이크판 사이에 설치된 래칫과, 브레이크판에 압접, 이간되도록 구동축에 나사결합된 구동부재와, 구동축과 구동부재사이에 설치된 아이들러 스프링과, 구동부재의 외주에 끼워장착되어 구동부재를 회동하는 레버를 구비하고, 구동부재의 회동을 브레이크판을 통하여, 구동축을 회동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로드시브를 회동하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구동부재의 끝면에 구동축에 결합하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스토퍼의 외면에 아이들러 그립을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부재 또는 스토퍼 중 어느 한쪽에 볼록부를, 다른쪽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구동부재를 스토퍼에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아이들러 그립 또는 구동부재 중 어느 한쪽에 볼록부를, 다른쪽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볼록부를 스토퍼에 관통시켜 구동부재와 아이들러 그립을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4.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수압부재와, 수압부재에 연접하여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판과, 브레이크판 사이에 설치된 래칫과, 브레이크판에 압접, 이간되도록 구동축에 나사식 전ㆍ퇴진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 구동부재와, 구동축의 브레이크판 끼움장착부와 구동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부재를 브레이크판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아이들러 스프링을 구비한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아이들러 스프링의 브레이크판 끼움장착부측을 구동부재측에 비하여 소경으로 하고, 상기 소경부를 브레이크판 끼움장착부에 설치한 걸림부에 걸어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5. 제 4항에 있어서, 아이들러 스프링의 소경을, 구동축의 소경 걸림부에 걸어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권상견인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로드시브에 권회되는 체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동축과 동축상에, 또한 로드시브에 권회된 체인에 외접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7. 제 6항에 있어서, 가이드롤러와 구동축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8.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수압부재와, 수압부재에 연접하여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판과, 브레이크판 사이에 설치된 래칫과, 브레이크판에 압접,이간되도록 구동축에 나사결합된 구동부재와, 구동축의 일단에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연계되는 로드기어를 통하여 구동되는 로드시브와, 로드시브에 권회되는 체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한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구동축의 동축상에 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를 로드시브에 권회된 체인에 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9.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수압부재와, 수압부재에 연접하여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판과, 브레이크판 사이에 설치된 래칫과, 브레이크판에 압접 이간되도록 구동축에 나사결합된 구동부재와, 구동축의 일단에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연계되는 로드기어를 통하여 구동되는 로드시브와, 로드시브에 권회되는 체인을 가이드하는 무부하측 가이드롤러를 구비한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무부하측 가이드롤러와 구동축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10.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수압부재와, 수압부재에 연접하여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판과, 브레이크판 사이에 설치된 래칫과, 브레이크판에 압접, 이간되도록 구동축에 나사결합된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의 회동을 브레이크판을 통하여, 구동축을 회동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링크체인이 권회된 로드시브를 회동하고, 링크체인을 승강하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로드시브의 링크체인의 무부하측에서, 로드시브로부터 수하되는 링크체인의 로드시브에 대해서 외측에, 링크체인의세로링크를 가이드하는 오목홈을 갖는 외측가이드를, 링크체인의 내측에, 링크체인의 가로링크를 위치결정하는 경사면을 갖는 내측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내측가이드의 가이드면은 대략 V자 형상이며, 가로링크 위치결정용 경사가이드면과, 세로링크 위치결정용 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12.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수압부재와, 수압부재에 연접하여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판과, 브레이크판 사이에 설치된 래칫과, 브레이크판에 압접, 이간되도록 구동축에 나사결합된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의 회동을 브레이크판, 감속기어, 로드기어를 통하여 로드시브에 전달하여 회동하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로드시브의 단차부에 설치되어 로드기어를 끼워장착하는 시브축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축심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한 오목홈을 형성하고, 로드기어는 내주면에 상기 오목홈의 경사면과 내접하는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오목홈은 로드시브의 축받이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오목홈의 축받이측 단차부에 평면상의 로드기어 규제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14. 제 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로드기어는 기어케이스 내측에 형성된 볼록상 링에 의한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15. 로드시브를 지지하는 한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로드기어를 덮는 기어커버와, 다른측에 브레이크수단을 덮는 브레이크커버를 구비하고, 기어커버와 브레이크커버간에 형성되어, 프레임에 접촉하여 위치결정하는 단차부와, 기어커버 및 브레이크커버의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소경부를 갖는 스페이서와, 브레이크커버와 기어커버에 관통되어 고정설치된 볼트를 구비하고, 프레임을 스페이서의 단차부와 기어케이스 및 브레이크커버의 내측끝면에서 끼워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16.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수압부재와, 수압부재에 연접하여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판과, 브레이크판 사이에 설치된 래칫과, 브레이크판에 압접, 이간되도록 구동축에 나사결합된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의 회동을 브레이크판, 감속기어, 로드기어를 통하여 로드시브에 전달하여 회동하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로드시브를 지지하는 한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로드기어를 덮는 기어커버와, 다른측에 브레이크 수단을 덮는 브레이크커버와, 기어커버와 브레이크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프레임에 접촉하여 위치결정하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에 감아 장착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역전방지클로를 구비하고, 스페이서는스프링이 감아 장착되는 스프링권착부와, 역전방지클로가 장착되는 클로장착부와, 스프링권착부와 클로권착부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의 역전방지클로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갖고, 스프링의 일단을 프레임에, 타단을 클로에 걸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규제부재는 스페이서의 스프링권착부에 설치된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규제부재는, 스페이서의 스프링권착부에 외장된 스프링 유지부재에 설치된 플랜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
KR1020047012234A 2002-02-06 2003-01-14 권상견인기 KR100795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29925 2002-02-06
JP2002029925A JP3953824B2 (ja) 2002-02-06 2002-02-06 巻上牽引機
JP2002031767 2002-02-08
JPJP-P-2002-00031767 2002-02-08
JPJP-P-2002-00312681 2002-10-28
JP2002312681A JP4033755B2 (ja) 2002-10-28 2002-10-28 巻上牽引機
JPJP-P-2003-00002306 2003-01-08
JP2003002306A JP4090353B2 (ja) 2002-02-08 2003-01-08 巻上牽引機
JPJP-P-2003-00002317 2003-01-08
JP2003002317A JP2004210528A (ja) 2003-01-08 2003-01-08 巻上牽引機
PCT/JP2003/000209 WO2003066506A1 (fr) 2002-02-06 2003-01-14 Machine de treuillage et de tr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764A true KR20040081764A (ko) 2004-09-22
KR100795405B1 KR100795405B1 (ko) 2008-01-17

Family

ID=2773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234A KR100795405B1 (ko) 2002-02-06 2003-01-14 권상견인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01765B2 (ko)
EP (2) EP2154100B1 (ko)
KR (1) KR100795405B1 (ko)
CN (1) CN100354196C (ko)
AU (1) AU2003203157A1 (ko)
DE (1) DE60332103D1 (ko)
ES (1) ES2340764T3 (ko)
PT (1) PT1484276E (ko)
WO (1) WO2003066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3869B2 (en) * 2006-07-20 2009-05-19 Inspire Industries, Llc Ratcheted lift mechanism
CN102358588A (zh) * 2011-09-24 2012-02-22 丁绍勇 一种便携式提升机
JP5827188B2 (ja) * 2012-07-30 2015-12-02 株式会社キトー チェーンブロック
CN106043471A (zh) * 2016-07-06 2016-10-26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汽车备胎升降器
KR102479169B1 (ko) * 2020-02-03 2022-12-20 모토다기켄 가부시키가이샤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1060A (en) * 1977-12-20 1981-02-17 Kabushiki Kaisha Kito Hand hoist
ZA82830B (en) * 1982-02-09 1983-02-23 Aikoh Co A core for blow-forming the lining of vessel for molten metal, a lining method using said core, and a lining composition used in said lining method
JPS58157697A (ja) 1982-03-11 1983-09-19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
JPS58207299A (ja) * 1982-05-28 1983-12-02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S597695A (ja) * 1982-07-02 1984-01-14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S597696A (ja) * 1982-07-05 1984-01-14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S633834A (ja) 1986-06-24 1988-01-08 株式会社 メデイカルサイエンス 血管内視ビデオシステム
JPH03166197A (ja) * 1989-11-25 1991-07-18 Baitaru Kogyo Kk レバー式捲上機
JPH053516Y2 (ko) * 1989-12-20 1993-01-27
JPH0729754B2 (ja) * 1991-07-23 1995-04-05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捲上機
US5305989A (en) * 1991-09-20 1994-04-26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Hoist and traction machine with free rotation control
JPH05123794A (ja) 1991-10-04 1993-05-21 Mitsubishi Materials Corp プレス成形による成形品の製造方法
JPH0776078B2 (ja) * 1991-10-31 1995-08-16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レバー形牽引機
TW303879U (en) * 1992-08-17 1997-04-21 Hhh Mfg Co Ltd Chain lever hoist
JP2597273B2 (ja) * 1992-08-27 1997-04-02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捲上牽引機における遊転制御装置
JP2709883B2 (ja) 1992-11-19 1998-02-04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巻上・牽引機
US5364073A (en) * 1992-12-21 1994-11-15 Ingersoll-Rand Company Free-chain device for a lever hoist
AU666078B2 (en) * 1993-07-02 1996-01-25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Manual chain block
TW266198B (ko) * 1993-10-05 1995-12-21 Shoin Chain Block Kk
JPH07101693A (ja) * 1993-10-12 1995-04-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ラム装置
JPH08296717A (ja) * 1995-04-26 1996-11-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ギア構造
JP2782061B2 (ja) * 1996-08-13 1998-07-30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捲上機
JP2919809B2 (ja) * 1997-05-15 1999-07-19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JP3065049B2 (ja) * 1998-11-30 2000-07-12 株式会社 ニッチ 牽引巻上機
JP3086874B2 (ja) * 1998-12-02 2000-09-11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JP3111067B1 (ja) * 1999-09-02 2000-11-20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過負荷防止装置付きレバーホイスト
JP2001097679A (ja) * 1999-09-28 2001-04-10 Kito Corp レバーホイ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01765B2 (en) 2008-07-22
US20050087035A1 (en) 2005-04-28
CN100354196C (zh) 2007-12-12
EP1484276A1 (en) 2004-12-08
DE60332103D1 (de) 2010-05-27
AU2003203157A1 (en) 2003-09-02
EP1484276B1 (en) 2010-04-14
CN1628070A (zh) 2005-06-15
ES2340764T3 (es) 2010-06-09
WO2003066506A1 (fr) 2003-08-14
PT1484276E (pt) 2010-06-11
EP1484276A4 (en) 2008-03-26
KR100795405B1 (ko) 2008-01-17
EP2154100A1 (en) 2010-02-17
EP2154100B1 (en)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955244C2 (de) Hebevorrichtung
DE112010000456B4 (de) Stufenloses Getriebe
AU2009291649A1 (en) Winch assembly
DE3407164C2 (de) Mehrgang-Antriebsnabe für Fahrräder
WO2004018279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12006001371B4 (de) Hebe- und Zugvorrichtung
JPS633837B2 (ko)
KR100795405B1 (ko) 권상견인기
EP0878434A2 (en) Hand operated chain block
EP2824060B1 (en) Manually operated hoisting / towing device
EP0631973B1 (en) Manual chain block
EP2144838B1 (de) Hebezeug
CN112623983B (zh) 电动直驱制动器的环链牵引、提升机
KR0169008B1 (ko) 소형권상견인기
JP2000169091A (ja)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CN101168429A (zh) 无载快速升降手拉葫芦
KR100283349B1 (ko)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JPH0373796A (ja) レバー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過負荷防止遊転装置
DE102023200995B3 (de) Wellgetriebe für einen Antriebsstrang eines wenigstens teilweise elektrisch angetriebenen Fahrrades
JP6947716B2 (ja) レバーホイスト用動力伝達装置
KR20020021637A (ko) 감아올림 및 견인장치
JP2927763B2 (ja) レバーホイスト
JP2003034492A (ja) チェーン巻上機
JP2002154790A (ja) 巻上牽引機
JPH09151084A (ja) レバー式牽引巻上機における遊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