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349B1 -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349B1
KR100283349B1 KR1019980048111A KR19980048111A KR100283349B1 KR 100283349 B1 KR100283349 B1 KR 100283349B1 KR 1019980048111 A KR1019980048111 A KR 1019980048111A KR 19980048111 A KR19980048111 A KR 19980048111A KR 100283349 B1 KR100283349 B1 KR 100283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main body
pulley
hoist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864A (ko
Inventor
요시오 우에노
에이키티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츠다 슈사쿠
엘리펀트 체인 블록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다 슈사쿠, 엘리펀트 체인 블록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츠다 슈사쿠
Priority to KR101998004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34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4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ev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 B66D5/34Detent devices having la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의 작동레버에 소형화를 통하여 향상된 가동성을 제공하도록 부드러운 작동을 확보하는 유닛으로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의 구동부재에는 비원형 형성부가 제공되며, 또한 상기 작동레버에는 비원형 형성부와 비회전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비원형 장착구멍과 그것의 외주에 전동 이를 갖는 톱니바퀴와; 이 톱니바퀴와 결합할 수 있는 피드폴과; 정상결합위치와, 역결합위치와, 정상방향과 역방향 중 어느 한쪽에서는 피드폴과 톱니바퀴가 결합되지 않는 자유회전위치에 피드폴을 선택적으로 스위치하는 스위칭수단이 제공된다. 유닛으로서 결합된 작동레버로써 상기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피드폴을 자유회전위치로 스위칭하므로써 작동레버가 화물도르래와 함께 회전할 수 없도록 한다.

Description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본 발명은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매달며 또는 로프 등을 잡아당기는 데 사용하는 경량의 소형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이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매달며 또는 로프 등을 잡아당기는 데 사용하는 경량의 소형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로서는, 일본 실개평공보 제 쇼 63-60575 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를 도 25에 도시한다. 도 25에 도시한 종래기술에서, 본체(1)는 화물도르래(2)가 삽입되어 있는 화물도르래 수용부(3)와, 화물도르래(2)를 통과하는 화물체인을 안내하기 위해서 한쪽 단부는 화물도르래 수용부(3)와 교통하며 다른쪽 단부는 외부로 개방되는 체인 안내통로(4)를 내부에 포함한다. 화물도르래 수용부(3)와 체인 안내통로(4)는 본체(1)와 일체로 형성된다. 화물도르래(2)는 화물도르래 수용부(3)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화물도르래(2)의 축방향 한쪽 단부의 외부에는 화물도르래(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톱니바퀴(5)가 제공되며, 톱니바퀴(5)의 축방향 한쪽 단부의 외부에는 육각형의 핸들고정부(6)가 제공된다. 또한 본체(1)에는 톱니바퀴(5)와 결합할 수 있는 역회전 차단폴(reverse rotation stop pawl)이 제공된다.
화물도르래(2)는, 핸들고정부(6) 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폐쇄렌치(closed wrench; 8)와 같은 지그(jig)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그리고 화물도르래(2)를 통과하는 화물체인을 들어올리고 내리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지그가 화물체인을 들어올리고 내리기 위해 회전하도록 작동되어야 하는 귀찮은 동작을 포함한다.
화물체인을 들어올리고 내리기 위해 폐쇄렌치 대신에, 핸들고정부(6) 상에 고정된 스윙식(swingably operated) 톱니바퀴렌치를 사용하므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실제적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전히 단점을 가지고 있는 데, 예를 들면 화물체인의 하역측(unloaded side) 상에서 화물체인의 호이스팅 작업을 가속시키기 위하여 적재측 상에서 미리 당겨져 화물체인의 처짐이 발생할 때, 역회전 차단폴(7)이 톱니바퀴(5)로부터 분리되어 자유회전위치 내에 놓인 화물도르래(2)로써 핸들고정부(6) 상에 고정된 톱니바퀴가 화물도르래(2)와 함께 회전되어 부드러운 동작을 방해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 장치의 소형화를 통하여 가동성(work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드러운 작동을 확보하기 위해서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용 작동레버가 단일체로서 결합되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는 후크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화물도르래와; 화물도르래를 구동하는 구동샤프트와; 비회전식으로 구동샤프트와 연결되는 피동부재와; 회전식으로 구동샤프트와 연결되는 구동부재와; 회전식으로 구동샤프트에 연결되는 역회전 차단기어(reverse rotation stop gear)와; 본체에 제공되며 이 역회전 차단기어와 결합할 수 있는 역회전 차단폴과; 비원형 형성부를 구비한 구동부재를 구동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는 비회전식으로 비원형 형성부와 결합할 수 있는 비원형 고정구와 외주에 제공된 전동 이를 구비한 톱니바퀴와; 이 톱니바퀴를 정상방향이나 역방향으로 추진시키기 위하여 톱니바퀴의 전동 이와 결합할 수 있는 피드폴과; 정상결합위치와, 역결합위치와, 피드폴이 정상방향과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서 톱니바퀴와 결합되지 않는 자유회전위치에 피드폴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이 구조는, 비원형 고정구에서 비원형 형상의 구동부재 상으로 작동레버를 고정하므로써 작동레버를 쉽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장치를 콤팩트화 할 수 있도록 작동레버를 단일체로서 결합할 수 있게 하며; 작동레버의 스윙동작에 의해 화물의 호이스팅과 하강을 실시할 수 있게 하며; 역회전 차단기어로부터 역회전 차단폴을 분리시키므로써 화물도르래가 자유회전상태 내로 진행한 후에 호이스팅작업을 가속시키기 위하여, 하역측에서 화물체인이 미리 당겨져 적재측에서 화물체인의 처짐이 발생할 때 조차도, 부드러운 동작을 보장하며 향상된 가동성을 제공하도록 피드폴을 자유회전위치 내로 이동시키므로써 작동레버가 화물도르래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작동레버는 한쌍의 측판들과 마진에서 이 한쌍의 측판들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스위칭수단은 전동 이를 향하여 피드폴을 편향시키는 스프링과 피드폴 상에 형성된 스위칭 작동부를 포함하며, 이 피드폴은 한쌍의 측판들 사이에 스윙식으로 피봇되며 정상결합위치와, 역결합위치와, 자유회전위치 중에서 스프링의 편향력에 의해 임의의 선택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적용되며, 상기 프레임은 스피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와 스위칭 작동부를 늘리는 창을 포함하며, 그리고 이들은 둘 다 프레임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스위칭수단을 갖는 작동레버가 단순구조로 실현될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 수용부와 창이 프레임 내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감소되어 작동레버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화물도르래가 삽입된 화물도르래 수용부와; 화물도르래를 거쳐 통과하는 화물체인을 안내하기 위해서, 한쪽 단부에서는 화물도르래 수용부와 교통하며 다른쪽 단부에서는 외부로 개방하는 체인 안내통로와; 후크 장착부가 본체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물도르래 수용부와, 체인 안내통로와, 후크 장착부가 본체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는 본체에 이들 부품들을 고정하기 위해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용과 장치의 크기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구성된 본체는 장치의 중량 감소를 얻기 위해서 알루미늄이나 합금과 같은 경량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로, 본체는 호이스트의 상승작업과 하강작업시 향상된 작동성(operability)을 제공하도록 한손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서, 화물도르래 수용부가 외부로 개방하기 위해 화물도르래 수용부와 교통하는 구멍이 본체 내에 형성되며, 화물도르래 내로 그리고 화물도르래로부터 체인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가이드가 구멍에 고정되어 체인 안내통로가 체인가이드의 양쪽에서 한정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화물도르래 수용부가 외부로 개방하기 위해서 화물도르래 수용부와 교통하는 구멍이 본체 내에 형성된 이 구조는, 본체가 다이캐스팅 등으로 형성될 때 그것의 몰딩툴(molding tool)은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쪽에서 체인 안내통로를 규정하도록 체인가이드가 본체 내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화물체인은 화물 도르래를 부드럽게 구동시킬 수 있도록 화물도르래 내로 그리고 화물도르래로부터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서, 한쌍의 수직 그루브와 이 수직 그루브와 똑바로 교차하는 한쌍의 수평 그루브를 갖는 체인 안내통로의 구멍쪽 단부에서 본체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는, 화물체인의 체인링크가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비틀림상태로서 화물체인이 체인 안내통로 내로 진행하기 전에, 이 벗어난 위치의 체인링크는 화물체인이 화물도르래 내로 당겨지는 힘에 의하여 화물체인 내의 비틀림을 바로잡기 위하여 구멍에서 본체의 가장자리 상에 인접될 수 있도록 안내되어 정상상태로 귀환되므로써 화물체인이 체인 안내통로 내로 진행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멍쪽 본체의 단부에 위치한 한쌍의 수직 그루브와 한쌍의 수평 그루브는 화물체인에서 비틀림을 제공하기 위한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장치의 크기와, 중량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서, 후크 장착부는 본체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와 화물도르래 수용부로부터 분리된 본체의 상부에서 제자리에 위치한 관통부의 상부벽에 뚫린 삽입구를 가지며, 후크는 삽입구에 삽입되며 삽입된 단부에서 관통부에 삽입된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장착샤프트를 가지며 그 결과 후크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후크가 본체의 관통부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후크의 홀딩은 본체의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고도 단순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크기와, 중량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구동샤프트가 화물도르래와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화물도르래는 이 화물도르래를 거쳐 통과하는 화물체인에 의하여 본체에 유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구동샤프트와 화물도르래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수와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화물도르래가 화물체인에 의하여 본체에 유지되기 때문에 본체에 화물도르래를 유지하기 위한 특정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단순구조와, 경량화와, 비용절감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서, 본체에는 이 본체의 측벽상에 역회전 차단기어 주위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가 제공된다. 제 1 돌출부를 설치하므로써, 본체를 쥐고 있는 작업자의 손이 역회전 차단기어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 돌출부의 측벽 상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본체를 확실하게 쥐게 되어 화물도르래를 부드럽게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본체에는 본체의 측벽 상에 역회전 차단기어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제 2 돌출부가 제공된다. 제 2 돌출부를 설치하므로써, 본체를 쥐고 있는 작업자의 손이 역회전 차단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2 돌출부의 측벽 상에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체가 작업자의 손으로 확실하게 쥐어져 있는 동안에 역회전 차단폴이 역회전 차단기어로부터 실수로 벗어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본체는 두 개 이상의 분할 본체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를 두 개 이상의 분할 본체로 형성하므로써 본체의 형성은 더욱 단순화되며 또한 부품들을 본체에 조립하는 것도 단순화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와 트래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작동레버가 제거된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의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1의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도 8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체인가이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체인가이드를 도시한 저면도.
도 12는 체인 안내통로 내로 진행할려고 하는 화물체인의 꼬인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체인 안내통로 내로 진행할려고 하는 화물체인의 꼬인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화물도르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작동레버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주로 피드폴이 역결합위치 내에 놓여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주로 피드폴이 자유회전위치 내에 놓여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구동샤프트의 축방향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제 1 분할본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20은 제 2 분할본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21은 함께 조립하고자 하는 제 1 분할본체와 제 2 분할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주로 피드폴이 정상결합위치 내에 놓여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주로 피드폴이 자유회전위치 내에 놓여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주로 피드폴이 역결합위치 내에 놓여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2 : 화물도르래
13 : 기계식 브레이크 14 : 작동레버
15 : 후크 16 : 화물도르래 수용부
17 : 화물체인 18, 19 : 통로
20 : 후크 장착부 22 : 체인가이드
37 : 체인링크 45 : 구동샤프트
이하에서 첨부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는 도시한 실시예로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는 150kg의 정격부하를 갖는 화물이 주어져 있으며 그 자신의 무게는 700g이다. 이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는 68mm 높이와, 42mm 폭과, 20mm 두께의 소형 입방체 내에 형성되어 한손에 쥐어지거나 들려질 수 있을 정도로 콤팩트하며 경량인 본체(11)를 포함한다. 본체(11)에는, 화물도르래(12)와, 기계식 브레이크(13)와, 작동레버(14)와, 본체(11)를 매달기 위한 후크(15)가 고정된다.
도 3은 작동레버를 제거한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체의 정면도; 도 5는 본체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체의 저면도; 도 9는 도 8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체(11)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체(11)는 주로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에 의해 주조된다. 이 본체(11)는 본체(11)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며 거기에 화물도르래(12)를 삽입하는 화물도르래 수용부(16)와; 화물도르래(12)를 거쳐 통과하는 화물체인(17)을 안내하기 위하여 한쪽 단부에서는 화물도르래 수용부(16)와 교통하며 다른쪽 단부에서는 외부로 개방하는 체인 안내통로(18, 19)와; 후크(15)가 장착된 후크 장착부(20)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된다. 화물도르래 수용부(16)와, 체인 안내통로(18, 19)와, 후크 장착부(20)가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이 구조는 본체에 이들을 고정하기 위한 특정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용을 절감하고 장치의 소형화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구성된 본체(11)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에 의하여 쉽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1)는 한 손으로 쥐어질 수 있는 적절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화물을 호이스팅하며 하강시킬 때 향상된 작동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체(11)에는, 화물도르래 수용부(16)를 외부로 개방하도록 화물도르래 수용부(16)와 교통하는 구멍(21)이 형성된다. 구멍(21)의 양 폭방향 측면들과 화물도르래 수용부(16)의 내주 상에는, 화물체인(17)의 수직 링크들을 안내하는 링크 안내그루브(23)가 계속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화물도르래 수용부(16)가 외부로 개방하도록 화물도르래 수용부(16)와 교통하는 구멍(21)이 본체(11)에 형성된 이 구조는, 본체(11)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에 의하여 형성될 때 몰딩툴은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화물체인(17)을 화물도르래(12) 내로 그리고 화물도르래(12)로부터 안내하는 체인가이드(22)는 구멍(21)에 고정되어 체인 안내통로(18, 19)가 체인가이드의 양쪽에서 규정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체인가이드(22)는 화물도르래(12)의 부드러운 구동동작을 확보하기 위해서 화물체인(17)이 체인 안내통로(18, 19)에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체인가이드(22)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체인가이드(22)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8과 도 11을 참조하여 체인가이드(22)를 설명한다.
도 8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가이드(22)의 양 폭방향 측면에서, 체인가이드(22)에는 구멍(21)의 양 폭방향 측면에 제공된 링크 안내그루브(23)를 마주하도록 링크 안내그루브(24, 25)가 제공되어, 체인가이드(22)가 개방단부에서 구멍(21)에 고정될 때 십자형상의 단속구멍(cross-shaped regulation hole)들이 체인 안내통로(18, 19)에서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체인가이드(22)에는 화물체인(17)이 화물도르래(12)로부터 부드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체인결합 방지 돌출부(26)가 체인가이드(22)의 상부에 제공된다. 추가로, 체인가이드(22)에는 한쌍의 고정 돌출부(27, 28)들이 제공되며, 본체(11)에는 구멍(21)의 두께 방향의 내면에 고정 그루브(29, 30)가 제공된다. 이 체인가이드(22)는 고정 그루브(29, 30) 내로 고정되는 고정 돌출부(27, 28)와 체인가이드와 본체를 꿰뚫는 고정핀(31)에 의하여 본체(11)에 고정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는 체인 안내통로(18, 19)의 구멍 단부에서 본체(11)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양 측면에 형성된 한쌍의 수직 그루브(32, 33)들을 갖는다. 또한, 체인가이드(22)는 체인가이드(22)의 단부에서, 한쌍의 수직 그루브(32, 33)들과 똑바로 교차하며 링크 안내통로(24, 25)들 사이에 계속해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수평 그루브(34)를 갖는다.
본체(11)에는 본체(11)의 개방 단부에 있는 본체(11)의 양 폭방향 측면에서, 도 8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수평 그루브(34)에 반대로 한쌍의 외부 수평 그루브(35)가 제공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체인(17)이 체인(36)의 체인링크(37)가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비틀림상태로써 체인 안내통로(18) 내로 진행할려고 할 때, 이 벗어난 위치의 체인링크(37)는 한쌍의 수직 그루브(32, 33)나 도시 하지 않은 수평 그루브(34) 중 어느 하나로 진행하며, 링크(37) 뒤의 다음 링크(38)의 앞쪽 가장자리는 한쌍의 수직 그루브(32, 33)들이나 수평 그루브(34)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게 된다. 화물도르래(12)를 구동하므로써 체인(37)이 화물도르래(12)를 향하여 또는 도 12와 도 13의 화살표(87)로 표시한 방향으로 당겨질 때, 벗어난 위치의 체인링크(37)는 도 12와 도 13에서 화살표(40)로 표시한 방향으로 견인력에 의해 결합부(39) 상에서 강제로 회전되며,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자세로 수정되므로써 체인 안내통로(18) 내로 안내된다. 그리하여 한쌍의 수직 그루브(32, 33)들과 수평 그루브(34)는 비틀리거나 꼬인 화물체인(17)을 펼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수직 그루브(32, 33)들과 수평 그루브(34)가 구멍 측부상에서 본체(11)의 단부 위치에 모두 제공되기 때문에, 화물체인(17) 내에서 비틀림을 풀기 위한 특정 부품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로써 장치의 크기와, 중량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4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 내의 후크장착부(20)는 화물도르래 수용부(16)로부터 분리된 본체(11)의 상부 내의 위치에서, 본체(11)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75)와, 본체(11)의 상부벽이 이 관통부(75)의 첨단벽과 교통하기 위해서 관통부(75)의 첨단벽(77)에 뚫린 삽입구(75)를 갖는다. 후크(15)는 후크의 하단부에서, 본체(11)에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15)용 장착샤프트(79)를 가지며, 장착샤프트(79)는 이 장착샤프트의 단부에서 나사부를 갖는다. 후크(15)의 장착샤프트(79)가 삽입구(78) 내에 삽입된 후에, 관통부(75) 내에 삽입된 고정부재의 너트(80)는 샤프트(79)의 단부에서 나사부에 대하여 죄어지며 분할핀(81)에 의하여 고정되며, 이로 인하여 후크(15)는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후크(15)가 본체(11)의 관통부(75)에서 본체(11)에 지지되는 이 구조는 후크(15)가 본체(11)의 강도를 잃지 않고도 단순구조로 유지될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하여 크기와, 중량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는 화물도르래(12)의 정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화물도르래 수용부(16)에 수용된 화물도르래(12)는 이 화물도르래의 주변 상에 형성된 체인결합 그루브(41)와; 이 체인결합 그루브(41)의 양쪽에 제공된 한쌍의 샤프트부(43, 44)들과; 화물도르래(12)와 일체를 이루기 위하여 하나의 샤프트부(44)의 외부에 형성되는 구동샤프트(45)를 포함한다. 화물도르래(12)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샤프트(45)의 배치는 부품수와 비용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와, 도 4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에는 이 본체(11)의 폭방향으로 화물도르래 수용부(16)의 양쪽으로 계속해서 형성되는 샤프트보어(42)가 제공되어, 화물도르래(12)의 샤프트부(43, 44)들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화물도르래(1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도르래 수용부(16) 내에 삽입되며 비록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물도르래(12) 주위에 감겨지도록 체인 안내통로(18, 19)들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링크 안내통로(23) 내로 삽입되는 화물체인(17)에 의해서 본체(11)에 유지된다. 그리하여, 본체(11)에 화물도르래(12)를 유지하기 위한 특정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단순 및 경량 구조와 비용절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샤프트(45)는 원형 샤프트부(46)와, 나사부(47)와, 구동샤프트(45)에 대하여 비회전식이며 상기 원형 샤프트부(46)의 기초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곳으로부터 돌출된 디스크형 피동부재(48)를 갖는다. 구동샤프트(45)의 나사부(47)의 축방향 단부에는 나사구멍(50)이 제공된다. 피동부재(48)의 외부에서 원형 샤프트부(46) 상에, 역회전 차단기어(53)가 구동샤프트(45)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또한, 역회전 차단기어(53)의 외부에서 원형 샤프트부(46) 상에, 디스크형 라이닝플레이트(disc-like lining plate; 54)가 역회전 차단기어(53)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샤프트(45)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56)를 갖는 구동부재(55)는 라이닝플레이트(54)의 외부에서 구동샤프트(45)의 나사부(47)로 죄여지며, 슬립방지부재로써 역할하는, 나사부(47)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와셔(52)가 구동부재(55)의 외부에서 나사구멍(50) 내로 볼트(51)를 조여 고정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폭방향으로 본체(11)를 관통하는 샤프트구멍(72)이 본체(11)의 측벽의 상부에 형성되고, 육각형 머리를 갖는 스텝볼트로 구성된 폴샤프트(60)가 본체(11)의 한쪽으로부터 샤프트구멍(72) 내로 삽입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삽입된 폴샤프트의 단부에 조여지는 너트(73)를 견고하게 하므로써 본체(11)에 고정된다. 또한 너트(73)용 리세스시트(74)가 너트의 한쪽에서 본체(11)의 측면에 단단하게 형성되어, 너트(73)가 단단하게 형성된 너트의 측면 상에서 본체(11)의 측면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57)를 갖는 역회전 차단폴(59)이 본체(11)의 측벽과 역회전폴(59) 사이에 삽입되어 폴스프링(60)에 의해 역회전기어(53)를 향하여 편향되므로써 폴샤프트(60) 상에 지지된다.
기계식 브레이크(13)는 피동부재(48)와, 역회전 차단기어(53)와, 라이닝플레이트(54)와, 구동부재(55)와, 역회전 차단폴(59)로 구성된다.
피동부재(48)가 구동샤프트(45) 및 역회전기어(53)와 일체로 형성되며 라이닝플레이트(54)가 원형 샤프트부(46) 상에 지지되는 상술한 구조는, 피동부재(48)가 실린더형 보스를 갖도록 분리되어 형성되며 톱니(serration) 등에 의해 구동샤프트(45)와 연결되어 구동샤프트(45)에 대하여 비회전식이며 역회전기어(53)와 라이닝플레이트(54)가 피동부재(48)의 실린더형 보스 상에 지지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음을 주목한다. 또한 역회전 차단기어(53)와 구동부재(55)의 플랜지(56) 사이에 삽입된 라이닝플레이트(54)에 추가하여, 다른 라이닝플레이트가 역회전 차단기어(53)와 피동부재(48)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55)는 비원형 형상부(61)처럼 육각형을 이루는 보스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동레버(14)의 톱니바퀴(62)는 보스의 비원형 형상부(61) 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작동레버(14)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과, 도 2와, 도 15를 참조하여, 작동레버(14)를 설명한다.
작동레버(14)는 한쌍의 측판(88, 89)들과 이 측판들 마진에서 한쌍의 측판들을 감싸는 프레임(90)을 포함한다. 프레임(90)의 내부에는, 톱니바퀴(62)와, 이 톱니바퀴(62)와 결합할 수 있는 피드폴(65)과, 톱니바퀴(62)를 향하여 피드폴(65)을 편향시키는 스프링(71)과, 피드폴(62)과 스프링(71) 사이에 삽입된 볼(70)을 수용한다.
톱니바퀴(62)는 이 톱니바퀴의 중심에서, 구동부재(55)의 보스의 비원형 형상부(61)가 이에 대해 비회전식으로 고정되는 십이각형 고정구(63)의 형상으로 비원형 고정구를 가지며 또한 이 고정구(63) 주위에 형성된 전동 이(64)를 갖는다. 정상방향과 역회전방향으로 톱니바퀴(62)를 추진시키기 위하여 전동 이(64)와 결합할 수 있는 피드폴(65)이 톱니바퀴(62)의 반경방향 외부위치에 배치된다. 피드폴(65)은, 톱니바퀴(62)가 정상회전방향(감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만 구동부재(55)에 작동레버(14)의 구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전동 이와 결합되는 정상결합 돌출부(66)와; 톱니바퀴(62)가 역회전방향(푸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만 구동부재(55)에 작동레버의 구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전동 이(64)와 결합되는 역결합 돌출부(67)와; 피드폴이 정상방향이나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톱니바퀴와 결합되는 자유회전위치에 피드폴을 위치시키는 자유회전 허용공동(68)을 포함한다. 또한 피드폴(65)에는 피드폴(65)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작동부(91)가 피드폴의 양 단부에서 제공된다. 또한 볼(70)과 스프링(71)은 톱니바퀴(62)를 한정하는 피드폴(65)의 측면에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쌍으로 된 측판(88, 89)들은 측판(88, 89)들 사이에 끼워 넣어진 프레임(90)으로서, 프레임(90) 내에 라이트닝홀(lightening hole; 92)들을 통하여 연장되는 고정핀(93)들에 의하여 프레임(90)에 고정된다. 고정핀(93)의 리벳팅으로, 톱니바퀴(62)가 쌍으로 된 측판(88, 89) 사이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피드폴(65)은 고정핀(93, 94)들 중 한쪽 고정핀(94) 상에서 피봇할 수 있도록 쌍으로 된 측판(88, 89)들 사이에서 지지된다. 프레임(90)은 스프링(71)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95)와, 피드폴(65)의 스위칭 작동부(91)를 통과시키는 창(96, 97)을 포함하며, 이 스프링 수용부(95)와 창(96, 97)들은 프레임(90) 내에 일체로 형성된다. 스프링(71)은 스프링 수용부(95) 내에 수용되며, 피드폴(65)의 스위칭 작동부(91)는 창(96, 97)으로부터 통과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스위칭 수단(69)은 정상결합 돌출부(66)와, 역결합 돌출부(67)와, 피드폴(65)과 일체로 형성되는 자유회전 허용공동(68)으로 구성된다. 피드폴(65)의 스위칭 작동부(91)는, 피드폴(65)이 정상방향으로 톱니바퀴(62)를 추진시키도록 전동 이(64)와 결합되는 정상결합위치와, 피드폴(65)이 역방향으로 톱니바퀴(62)를 추진시키도록 전동 이(64)와 결합되는 역결합위치와, 또는 피드폴(65)이 정상방향과 역방향 어느 쪽으로도 톱니바퀴(62)를 추진시키지 못하도록 전동 이(64)에 결합되지 않는 자유회전위치에 피드폴(65)을 선택적으로 스위치하도록 작동된다. 이 구조는, 스위칭수단(69)을 갖는 작동레버(14)가 단순구조로 실현될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 수용부(95)와 창(96, 97)들이 프레임(90) 내에서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작동레버를 감소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정도의 부품수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추가로, 작동레버(14)를 구동부재(55)에 부착 및 지지하므로써 비원형 형상 구동부재(55)를 갖는 비원형 고정구(63)의 단순 결합에 의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작동레버(14)가 단일체로서 콤팩트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하여 장치 전체의 크기의 감소와 동시에 향상된 조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작동레버(14)가 구동부재 상에 고정된 후에, 슬립방지부재로서 역할하는 와셔(52)가 나사구멍(50) 내로 조여지는 볼트(51)에 의해 고정되어 작동레버(14)가 구동부재(55)로부터 실수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1과,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정상결합위치와, 역결합위치와, 또는 자유회전위치에 스위치되는 피드폴(65)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정상결합위치 상태의 피드폴(65)을 도시한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왼쪽으로 돌출하는 스위칭 작동부(91)는, 피드폴(65)의 정상결합 돌출부(66)가 톱니바퀴(62)의 전동 이(64)와 결합하도록 화살표(98)로 표시한 방향으로 손으로 밀쳐지며, 이로 인하여 피드폴(65)은 정상결합위치 내에 배치된다. 정상결합위치 내에 배치된 피드폴(65)은 볼(70)에 의하여 피드폴(65)에 적용된 스프링(71)의 편향력에 의하여 유지된다. 도 16은 역결합위치 내에 있는 피드폴(65)을 도시한다. 도 1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돌출하는 스위칭 작동부(91)는, 피드폴(65)의 역결합 돌출부(67)가 톱니바퀴(62)의 전동 이(64)와 결합하도록 화살표(99)로 표시한 방향으로 손으로 밀쳐지며, 이로 인하여 피드폴(65)은 역결합위치 내에 배치된다. 역결합위치 내에 배치된 피드폴(65)은 볼(70)에 의하여 피드폴(65) 내에 배치된 스프링(71)의 편향력에 의해 유지된다. 도 17은 자유회전위치 내에 있는 피드폴(65)을 도시한다. 피드폴(65)은 정상결합위치와 역결합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 배치되어, 정상결합 돌출부(66)나 역결합 돌출부(67) 중 어느 것에도 톱니바퀴(62)의 전동 이(64)와 결합할 수 없다. 이 위치에 배치된 피드폴(65)은 자유회전 허용공동(68) 내에 포위된 볼(70)에 의하여 피드폴(65)에 적용된 스프링(71)의 편향력에 의하여 유지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에는 이 본체(11)의 측벽 상에서, 역회전 차단기어(53) 주위에 배치되고 역회전 차단기어(53)를 둘러싸기 위하여 거기서부터 축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아크형 제 1 돌출부(82)가 제공된다. 제 1 돌출부(82)는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돌출부(82)를 설치하므로써, 본체(11)를 쥐고 있는 작업자의 손이 역회전 차단기어(53)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하여 본체을 확실하게 쥐므로써 화물도르래를 부드럽게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에는 본체(11)의 측벽 상에서, 역회전 차단폴(59)의 바깥쪽 위치에 배치되며 역회전 차단폴(59) 이상으로 축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제 2 돌출부(83)가 제공된다. 제 2 돌출부(8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스프링(58)의 스프링 레그들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두 개의 스프링 레그들로 나뉜다. 폴스프링(58)의 다른 스프링 레그는 역회전 차단폴(59)의 작동위치(57)의 안쪽에 유지된다. 비록 역회전 차단폴(59)의 보스 주위에 코일형성된 폴스프링(58)의 코일형성부가 외부로 노출될지라도, 폴스프링(58)의 스프링 레그들 중 양 첨단들은 본체(11)의 외부면 이상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이용된다. 제 2 돌출부(83)를 설치하므로써, 본체(11)를 쥐고 있는 작업자의 손은 제 2 돌출부(83)의 측벽 상에 유지될 수 있으며 역회전 차단폴(59)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본체(11)가 작업자의 손으로 단단하게 쥐어 있는 동안, 역회전 차단폴(59)이 역회전 차단기어(53)로부터 실수로 분리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 이러한 구조의 호이스트와 트래션장치의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의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는 콤팩트하며 경량이고 기계식 브레이크(13)를 가지므로, 이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는 화물을 호이스팅 상승 및 하강작업하며 묶으며 로프 등을 인장하는 데 있어 쉽게 다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가 화물을 묶기 위해 사용될 때, 후크(15)는 로프나 화물 주위에 배치된 벨트와 같은 매는부재(tying member)로 구부려지며, 적재측 상의 화물체인(17)에 고정된 하부 후크(84)는 임의의 분리부재를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트럭베드에서 후크와 같은 고정부재로 구부러진다. 그후, 스위칭 작동부(91)는 피드폴(65)을 정상결합위치 내로 배치하기 위하여 손으로 작동되며, 그후 작동레버(14)는 화물을 묶기 위하여 화물 측상에 화물체인(17)을 집어들어 이리저리 흔들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 작업의 초기에, 적재측 상에서 화물체인(17)의 길이가 너무 길면, 하역측 상에서 화물체인(17)은 작업을 가속시키기 위하여 적재측 상에 화물체인(17)을 위쪽으로 인장하도록 미리 당겨질 수도 있으며, 역회전 차단기어(53)로부터 역회전 차단폴(59)을 해제하기 위하여 역회전 차단폴(59)의 작동부(57)를 작동시키므로써 자유회전상태로 화물도르래(12)를 배치한다. 이 경우에, 작동레버(14)가 화물도르래(12)와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드폴(65)은 손으로 스위칭 작동부(91)를 작동시키므로써 자유회전위치 내에 유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부드러운 작동을 통하여 향상된 가동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화물이 풀리면, 스위칭 작동부(91)는 역결합위치 내로 피드폴(65)을 배치하기 위해 손으로 작동되며, 그후 작동레버(14)는 적재측 상에서 화물체인(17)을 폴기 위해 이리저리 흔들리도록 작동되어 화물을 푼다. 이 경우에, 화물은 화물이 스트로크에서 풀리게 되는 화물 시프팅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식 브레이크(13)의 교호적인 작동과 정지에 의해 점진적으로 풀릴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14)가 작동될 때 본체(11)가 한 손으로 쥐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동레버(14)의 안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1 돌출부(82)와 제 2 돌출부(83)를 설치하므로써 본체를 쥐고 있는 작업자의 손이 역회전 차단기어(53) 및 역회전 차단폴(59)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드러운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는 두 개 이상의 분할 본체들, 예를 들어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로 구성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9는 제 1 분할 본체(101)의 정면도; 도 20은 제 2 분할 본체(102)의 정면도; 도 21은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가 함께 조립되어 있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19 내지 도 21을 참고하여,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분체(102)로 구성되도록 변용된 본체(11)를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서,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는 본체(11)가 폭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폭방향의 중간점에서 나뉘어진 두 개의 이등분으로 구성된다.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로 형성된 두 개의 이등분 중 한쪽은 제 1 분할 본체(101)를 형성하며, 폴샤프트(60) 상에 나사식으로 장착된 너트(73)용 리세스시트(74)를 형성하는 두 개의 이등분 중 다른쪽은 제 2 분할 본체(102)를 형성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분할 본체(101)에는 왼쪽으로 이 제 1 분할 본체(101)의 상부 및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03, 104)가 제공되며, 또한 오른쪽으로 이 제 1 분할 본체(10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05)가 제공된다. 돌출부(103, 104, 105)에는 내부에 삽입되는 볼트(106, 107, 108)용 삽입구(109, 110, 111)이 형성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분할 본체(102)에는 오른쪽으로 상부 및 하부에서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12, 113)가 제공되며, 왼쪽으로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14)가 제공된다. 돌출부(112, 113, 114)들에는 내부에 삽입되는 볼트(106, 107, 108)용 삽입구(115, 116, 117)들이 형성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는 앞뒤로 연결되어 제 1 분할 본체(101)의 돌출부(103, 104, 105)와 제 2 분할 본체(102)의 돌출부(112, 113, 114)가 서로에 대해 제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후 볼트(106, 107, 108)들은 배열된 삽입구멍(109, 115; 110, 116; 111, 117) 내에 각각 삽입되어 너트(118, 119, 120)로 단단히 죄여지며, 이로 인하여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에 의해 본체(11)를 형성한다.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 등으로 본체(11)를 형성하므로써, 본체(11)의 형성은 더욱더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의 변형은, 예를 들어 후크(15)의 장착샤프트(79)의 단부 상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를 간단히 제공하므로써 그리고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가 함께 연결될 때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 사이에서 돌출된 장착샤프트(79)를 끼워넣으므로써, 후크(15)는 장착샤프트(79)의 단부와 고정용 분할핀(81)에서 나사부에 조여진 너트(80)를 이용하지 않고도 본체(11)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하여 이러한 변용에서, 부품들을 본체(11)로 조립하는 것은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분할 본체(101)의 돌출부(103, 104, 105)에서 볼트(106, 107, 108)용 시트(121, 122, 123)들은 리세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분할 본체(102)의 돌출부(112, 113, 114)에서 너트(118, 119, 120)용 시트(124, 125, 126)들은 리세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시트(121, 122, 123, 124, 125, 126)들은 볼트(106, 107, 108)와 너트(118, 119, 120)가 돌출부(103, 104, 105, 112, 113, 114)들의 상부면으로부터 꿰뚫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세스되어, 본체(11)는 단단하게 그리고 편안하게 쥐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는 본체(11)가 폭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그것의 폭방향으로 중간지점에서 나뉘어지는 두 개의 이등분으로 구성되는 이러한 변형 구조에서, 본체(11)는 3개 이상의 분할 본체들로 구성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으며 임의의 선택된 형태로 나뉘어질 수도 있다. 추가로,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의 각각에서 3개의 위치에 제공된 돌출부(103; 104; 105와 112; 113; 114)들은 제 1 분할 본체(101)와 제 2 분할 본체(102)의 각각에 4개 이상의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위치들은 구체적으로 세분화되지는 않는다.
또한 체인가이드(22)가 체인 안내통로(18, 19)를 한정하도록 본체(11)의 구멍(21) 내에 고정되는 본 실시예는 체인 안내통로(18, 19)가 체인가이드(22)를 이용하지 않고도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나사구멍(50)이 구동샤프트(45)의 나사부(47) 내에 뚫려있으며 볼트(51)가 나사구멍(50) 내로 조여지는 본 실시예는, 소직경의 나사형 커플링 샤프트부(86)가 구동샤프트(45)의 나사부(47)의 축방향 단부에 제공되며, 너트(85)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형 커플링 샤프트부(86) 상에서 조여지는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양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서, 와셔(52)는 나사식 샤프트(47)의 축방향 단부와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기계식 브레이크(13)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클리어런스가 와셔(52)와 구동부재(55) 사이에 한정될 수 있다.
추가로, 도면에서 각각이 하나의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는 피드폴(65)의 정상결합 돌출부(66)와 역결합 돌출부(67)는, 예를 들어 도 22와, 도 23과,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두 개의 돌출부들로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2는 정상결합위치에 있는 피드폴(65)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한 상태에서, 정상결합 돌출부(66)로서 형성된 두 개의 돌출부들은 톱니바퀴(62)의 두 개의 전동 이(64)와 결합하며, 이것은 더 확실하게 피드폴과 톱니바퀴 사이를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구동력이 두 개의 돌출부들을 통하여 전동 이(64)에 분산하여 전달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상태에서, 피드폴(65)은 자유회전위치 내에 있다. 이 상태에서, 정상결합 돌출부(66)와 역결합 돌출부(67) 중 어느 것에도 톱니바퀴(62)의 전동 이(64)가 결합되지 않으며, 이것은 적재측 상의 화물체인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역측 상의 화물체인을 당기므로써 쉽게 미리 인장조건에 놓이도록 한다. 도 24는 역결합위치 내에 있는 피드폴(65)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4에 도시한 상태에서, 역결합 돌출부(67)로서 형성된 두 개의 돌출부들은 톱니바퀴(62)의 두 개의 전동 이(64)와 결합되며, 이것은 더 확실하게 피드폴과 톱니바퀴 사이를 결합시키며 또한 구동력이 두 개의 돌출부들을 통하여 전동 이(64)에 분산하여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두 개의 돌출부들로 각각 형성된 정상결합 돌출부(66)와 역결합 돌출부(67)의 이러한 변형은,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 주요한 톱니바퀴(62)의 직경을 정확하고도 확실하게 호이스팅작업과 하강작업을 통하여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에 있어서,
    후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화물도르래와;
    상기 화물도르래를 구동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에 대하여 비회전식으로 연결된 피동부재와;
    상기 구동샤프트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연결된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샤프트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연결된 역회전 차단기어와;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역회전 차단기어와 결합할 수 있는 역회전 차단폴(reverse rotation stop pawl)과;
    상기 구동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레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는 비원형 형성부(non-circular configured part)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비원형 형성부에 대하여 비회전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비원형 고정구와 외주에 제공된 전동 이(transmission tooth)를 갖는 톱니바퀴와;
    상기 톱니바퀴를 정상방향이나 역방향으로 추진시키기 위해 상기 톱니바퀴의 상기 전동 이와 결합할 수 있는 피드폴(feed pawl)과;
    정상결합위치 및 역결합위치와, 정상방향과 역방향 중 어느 한쪽에서 상기 톱니바퀴와 피드폴이 결합되지 않는 자유회전위치에 상기 피드폴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한쌍의 측판들과 이 측판의 마진에서 이 한쌍의 측판들을 포함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전동 이를 향하여 상기 피드폴을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피드폴 상에 형성된 스위칭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폴은 한쌍의 측판들 사이에서 흔들릴 수 있도록 피봇되며 상기 스프링의 편향력에 의하여 상기 정상결합위치 및 역결합위치와 자유회전위치 중에서 임의의 선택위치에 유지되도록 적용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스위칭 작동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창을 내부에 포함하며, 이 스프링 수용부와 창은 상기 프레임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도르래가 삽입되는 화물도르래 수용부와; 화물체인이 상기 화물도르래를 거쳐 통과하도록 안내하기 위해서 한쪽 단부에서는 상기 화물도르래 수용부와 교통하고 다른쪽 단부에서는 외부로 개방하는 체인 안내통로와; 후크장착부가 상기 본체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도르래 수용부를 외부로 개방하기 위해 상기 화물도르래 수용부와 교통하는 구멍은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며, 상기 화물도르래 내로 그리고 이 화물도르래로부터 상기 화물체인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가이드는 상기 구멍 내에 고정되어 상기 체인 안내통로는 상기 체인가이드의 양쪽에서 규정될 수 있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체인 안내통로의 구멍 측상의 단부에서 한쌍의 수직 그루브들과 이 수직 그루브들을 똑바로 교차하는 한쌍의 수평 그루브들을 갖추고 있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장착부는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penetration part)와, 상기 화물도르래 수용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제위치에 있는 상기 관통부의 상부벽 내에 뚫린 삽입구를 가지며, 상기 후크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부 내에 삽입된 고정부재에 의하여 삽입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본체에 회전식으로 지지될 수 있는 장착샤프트를 갖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샤프트는 상기 화물도르래와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화물도르래는 상기 화물도르래를 거쳐 통과하는 상기 화물체인에 의하여 상기 본체에 유지되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이 본체의 측벽 상에서, 상기 역회전 차단기어 주위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가 제공되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이 본체의 측벽 상에서, 상기 역회전 차단기어 외부로 돌출하는 제 2 돌출부가 제공되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두 개 이상의 분할 본체로 구성되는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KR1019980048111A 1998-11-11 1998-11-11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KR10028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111A KR100283349B1 (ko) 1998-11-11 1998-11-11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111A KR100283349B1 (ko) 1998-11-11 1998-11-11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864A KR20000031864A (ko) 2000-06-05
KR100283349B1 true KR100283349B1 (ko) 2001-04-02

Family

ID=1955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111A KR100283349B1 (ko) 1998-11-11 1998-11-11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614B1 (ko) * 2021-01-19 2021-09-17 대원전기 주식회사 역회전 방지 및 해제장치를 갖는 치차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가선 및 철거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864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8434B1 (en) Hand operated chain block
US5586752A (en) Load chain retainment for a chain block
KR100283349B1 (ko)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US6224039B1 (en) Chain block
US11118654B2 (en) Apparatus for timely and securely locking and releasing a rope
US5971178A (en) Impact driven hoist
US4576363A (en) Lever-operated hoist or puller
US5971364A (en) Hoist and traction apparatus
US20220380182A1 (en) Arrangement for Aligning a Raised Load
US5364073A (en) Free-chain device for a lever hoist
KR0169008B1 (ko) 소형권상견인기
KR100795405B1 (ko) 권상견인기
JPS58216895A (ja)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2689238B2 (ja) レバー式牽引巻上機における遊転装置
KR0135947B1 (ko) 권상·견인기
JP2927763B2 (ja) レバーホイスト
JP2781842B2 (ja) 巻上・牽引機
JP3016187U (ja) レバー式ホイスト
CN2213121Y (zh) 绳索张紧器
CA1319674C (en) Winch device
JP2020100462A (ja) レバーホイスト用動力伝達装置
JP2024011499A (ja) レバーホイスト
JP3299046B2 (ja) レバーホイスト
JPH025673B2 (ko)
JP2005170559A (ja) ベルトを用いたレバー式巻上並びに荷締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