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008B1 - 소형권상견인기 - Google Patents

소형권상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008B1
KR0169008B1 KR1019950011125A KR19950011125A KR0169008B1 KR 0169008 B1 KR0169008 B1 KR 0169008B1 KR 1019950011125 A KR1019950011125 A KR 1019950011125A KR 19950011125 A KR19950011125 A KR 19950011125A KR 0169008 B1 KR0169008 B1 KR 0169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verse rotation
chain
sheav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882A (ko
Inventor
요시오 우에노
에이키치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츠다 슈사쿠
조지루시 체인블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다 슈사쿠, 조지루시 체인블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다 슈사쿠
Publication of KR95003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4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ever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경량화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부녀자라도 손쉽게 짐의 오르내림과 짐조임 또는 로프 등을 팽팽히 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소형 감아올림·견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훅(8)을 갖는 본체(1)에 로드시브(2)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로드시브(2)를 구동하는 구동축(30)에 메커니컬 브레이크(3)를 부착하고, 이 메커니컬 브레이크(3)의 구동부재(34)에 육각형 등의 비원형 외주면(34a)을 설치하고, 이 외주면(34a)에 비원형 끼워 맞춤구멍(42a) 및 회전톱니(42b)를 갖는 래치트휠(42)과 전송부재(43)를 갖는 조작핸들(4)의 래치트휠(42)을 접합하고 빠짐방지체(5)로 이탈 불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권상견인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의 단면도.
제3도는 조작핸들을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체인도통로에 진입하는 체인이 엉킨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마찬가지로 체인이 엉킨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6도는 본체의 정면도.
제7도는 본체의 후면도.
제8도는 제6도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0도는 본체의 저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D-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2도는 체인안내체의 정면도.
제13도는 체인안내체의 저면도.
제14도는 로드시브 및 구동축의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생략 후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E-E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에 있어서의 훅의 부착축부를 중심으로 절개한 부분단면도.
제18도는 빠짐방지체의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만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로드시브
3 : 메커니컬 브레이크 4 : 조작핸들
5 : 빠짐방지체 6 : 로드시브 수용공간
7 : 개방부 8 : 훅
9 : 부착부 10 : 체인안내체
11,12 : 체인도통로 13 : 링크도통홈
22,23 : 세로홈부 24 : 내측 가로홈부
30 : 구동축 33 : 종동부재
34 : 구동부재 34a : 비원형 외주부
37 : 역회전방지기어 39 : 역회전방지부재
42 : 래치트휠 42a : 비원형 끼워 맞춤구멍
42b : 회전톱니 43 : 전송부재
48 : 관통부 49 : 천정벽
50 : 부착축부 54 : 제1가드체
55 : 제2가드체 57 : 축부받아들임 오목부
58 : 머리부 59 : 머리부받아들임 오목부
60 : 누름부
본 발명은 소형권상견인기, 상세하게는 짐을 올리고 내리고, 짐을 조이고, 로프 등을 팽팽히 하는 작업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소형경량의 권상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짐의 오르내림과 짐조임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권상견인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91-223097호의 제5도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사이드 플레이트간에 로드시브를 지지하고 또한 훅을 지지하고 상기 로드시브를 구동한 구동축에 메커니컬 브레이크를 장착하고, 이 메커니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커버에 한쌍의 레버 플레이트로 이루어져서 이들 레버 플레이트간에 전송부재를 축지지한 조작레버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구동축의 축단부에서 상기 구동축에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구동부재(전송기어)의 외측에 전송핸들을 서로회전 불가능하게 부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종래의 권상견인기에서는 소형경량화에 한도가 있었고, 또한 맞붙음성, 특히 조작레버의 맞붙음성에 난점이 있어서 제조비용을 낮추는데 한계가 있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소형화를 고려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로드시브를 소형으로 하거나 조작레버를 소형화하면 좋은 것인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시켜서 복수의 스테이볼트에 의해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경량화에 한도가 있으며, 따라서 로드시브를 소형화해도 전체로서는 대형이 되고, 중량도 무거워지는 것이며, 또 상기 구동축에 나사식으로 부착되어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구동부재는 외주에 톱니부를 설치한 이른바 전송기어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 구동부재의 톱니부에 맞물리는 전송부재를 갖고, 상기 구동부재를 조작하는 상기 조작레버는 한쌍의 레버 플레이트를 가장 중간에 겹쳐서 구성하도록 하고 한쪽의 레버 플레이트를 상기 브레이크 커버에 지지시킨 후에 상기 전송부재를 부착하고, 그 후에 다른쪽의 레버 플레이트를 겹쳐서 상기한 한쪽의 레버 플레이트에 결합하여 맞붙일 필요가 있으며, 이 결과 소형화가 어려울뿐만 아니라 상기 브레이크 커버가 상기 레버를 지지하기 위한 필수의 것이 되고 전체로서 소형경량화에 장해가 되고 있으며, 또 맞붙음성에도 문제가 있어서 비용을 낮추는데 장해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경량화가 가능하고 저비용으로 부녀자라도 가볍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권상견인기를 제공하려 하는 점에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은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훅(8)을 갖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로드시브(2)와, 상기 로드시브(2)를 구동하는 구동축(30), 이 구동축(30)에 고정된 종동부재(33)와, 상기 구동축(30)에 나사식으로 부착하는 구동부재(34)와 상기 본체(1)에 설치하는 역회전방지부재(37)와 이 역회전방지부재(37)가 맞물리는 역회전방지기어(39)를 갖는 메커니컬 브레이크(3)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재(34)에 비원형 외주부(34a)를 설치하며, 또한 중심부에 상기 구동부재(34)의 비원형 외주부(34a)에 상호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비원형 끼워 맞춤구멍(42a)을 갖고 외주부에 회전톱니(42b)를 갖는 래치트휠(42)과, 이 래치트휠(42)의 회전톱니(42b)에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맞물리는 전송부재(43)를 갖는 조작핸들(4)을 설치하고, 이 조작핸들(4)의 래치트휠(42)을 상기 구동부재(34)에 끼워 맞추고 상기 구동축(30)에 상기 조작핸들(4)의 이탈을 방지하는 빠짐방지체(5)를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은 상기 본체(1)에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일단측이 이 로드시브 수용공간(6)에 연통하고 타단측이 외부에 개방되는 체인도통로(11,12)와 훅(8)의 부착부(9)를 일체로 설치한 것이다.
즉 상기 본체(1)를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등의 경량재료를 이용하여 블럭상으로 일체 성형하고 상기 본체(1)에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체인도통로(11,12) 및 상기 훅 부착부(9)를 일체로 설치한 것이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본체(1)에 있어서의 로드시브 수용공간(6)의 내주면에 로드시브(2)에 걸어 설치되는 체인(C)을 안내하는 링크도통홈(13)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시브(2)에 구동축(30)을 일체로 설치하여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에 끼우는 상기 로드시브(2)를 체인도통로(11,12)의 한쪽으로부터 상기 링크도통홈(13)에 대한 체인(C)의 도통에 의해 상기 본체(1)에 지지한 것이며,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본체(1)의 로드시브(2)에 있어서의 부하측 접선상에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격리된 관통부(48)를 설치하고, 이 관통부(48)의 천정벽(49)에 부착축부(50)를 갖는 훅(8)의 상기 부착축부(50)를 끼워 통하고, 그 끼워 통함측 축부에 상기 관통부(48)에 삽입하는 너트(52)를 결합하여 상기 훅(8)을 상기 천정벽(49)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본체(1)의 로드시브(2)에 있어서의 부하측 접선상에 머리부 부착축부(50)를 갖는 훅(8)의 상기 부착축부(50)를 받아들이는 축부받아들임 오목부(57)와, 상기 부착축부(50)의 머리부(58)를 받아들이는 머리부받아들임 오목부(59)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본체(1)에 상기 부착축부(50) 및 그 머리부(58)를 상기 각 받아들임 오목부(57,59)에 지지하는 누름부(60)를 부착하고 상기 훅(8)을 본체(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본체(1)의 측벽에 메커니컬 브레이크(3)의 역회전방지기어(37)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위치하는 제1가드체(54)를 돌출설치한 것이며, 또 특허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본체(1)의 측벽에서 역회전방지부재(39)의 외측부위에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의 외면보다 높은 제2가드체(55)를 돌출설치한 것이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8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본체(1)에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이 로드시브 수용공간(6)에 연속하여 상기 공간(6)을 바깥쪽으로 개방하는 개방부(7)를 일체로 설치하고, 이 개방부(7)의 중앙부에 체인안내체(10)를 결합하고, 이 체인안내체(10)의 양측에 체인도통로(11,12)를 형성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본체(1)의 체인도통로(11,12)에 있어서의 바깥쪽에 대한 개방단측에 한쌍의 세로홈부(22,23)를 설치하며, 또한 이 세로홈부(22,23)에 직교하는 내측 가로홈부(24)를 설치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재(34)에 비원형 외주부(34a)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조작핸들(4)에 상기 구동부재(34)의 비원형 외주부(34a)에 끼워 맞추는 상기 래치트휠(42)과 이 래치트휠(42)에 맞물리는 전송부재(43)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핸들(4)의 래치트휠(42)을 상기 구동부재(34)에 끼워 맞추어 부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조작핸들(4)을 소형으로, 또한 유닛화할 수 있고, 종래예와 같이 브레이크 커버를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구동부재에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브레이크 커버를 생략할 수 있고, 또 시판하는 래치트 렌치를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조작핸들(4)의 맞붙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 제조비용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본체(1)에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상기 체인도통로(11,12) 및 상기 훅(8)의 부착부(9)를 일체로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본체(1)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종래예와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다수의 스테이 볼트가 필요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화가 용이하며, 또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등의 경량재를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고, 또 한쪽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합한 형상, 크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감아올림 또는 견인의 조작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의 내주면에 상기 링크도통홈(13)을 설치하고, 이 링크도통홈(13)에 대한 체인(C)의 도통에 의해 상기 로드시브(2)를 상기 본체(1)에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로드시브(2)를 상기 본체(1)에 지지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이 필요 없어지고, 따라서 그만큼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경량화,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에 상기 관통부(48)를 설치하고, 이 관통부(48)에 있어서 상기 훅(8)을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본체(1)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상기 훅(8)의 지지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도 경량·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에 상기 축부받아들임 오목부(57)와 머리부받아들임 오목부(59)를 설치하고, 상기 누름부(60)의 부착으로 상기 훅(8)을 본체(1)에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훅(8)은 그 부착축부(50)에 머리부(58)를 일체로 설치하는 것만으로 상기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훅(8)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또 상기 누름부(60)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상기 훅(8)을 본체(1)에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부착작업성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의 측벽에 상기 제1가드체(54)를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역회전방지기어가 노출되는 구성, 즉 종래예의 브레이크 커버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면서, 상기 본체(1)를 한쪽 손으로 파지하는 형상으로 해도 본체(1)를 파지하는 손을 상기 역회전방지기어(37)의 외측에서 막아서 이 기어(37)의 톱니부에 손이 닿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로드시브(2)의 구동조작에 악영향을 주는 일은 없고 파지하는 손에 고통을 주는 일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의 측벽에 상기 제2가드체(55)를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본체(1)를 파지하는 손이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를 상기 본체(1)의 측벽에 노출되게 설치해도, 즉 종래예의 브레이크 커버를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가 역회전방지기어(37)에 대하여 부주의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외부의 물체에 대해서도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8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에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상기 개방부(7)를 일체로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본체(1)를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에도 그 성형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또 상기 개방부(7)의 중앙부에 상기 체인안내체(10)를 결합하여 상기 체인도통로(11,12)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체인(C)을 엉킴없이 상기 로드시브(2)에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의 도통로(11,12)에 있어서의 바깥쪽에 대한 개방단부에 상기 세로홈부(22,23)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개방단 또는 상기 체인안내체(10)에 상기 내측 가로홈부(24)를 설치했기 때문에 체인(C)이 엉킨 상태로 상기 체인도통로(11) 또는 (12)에 진입하는 경우에도 위치가 어긋난 체인의 링크를 안내하고, 이 링크에 후속하는 링크를 상기 본체(1)의 개방단부에 걸어 고정하고 로드시브(2)에 대한 끌어들이는 힘에 의해 그 엉킴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체인(C)이 정상상태로 상기 체인도통로(11) 또는 (12)에 진입되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세로홈부(22,23) 및 내측 가로홈부(24)는 상기 본체(1)의 개방단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특별히 엉킴해소를 위한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에 따라서도 소형경량화,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정격부하 150kg이고 자체중량이 700g, 상하 길이 68mm, 좌우폭 42mm, 두께 20mm의 소형의 입방체이고 한쪽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소형경량의 본체(1)를 베이스로 하여 이 본체(1)에 후술하는 로드시브(2), 메커니컬 브레이크(3), 조작핸들(4)을 부착하고 빠짐방지체(5)로 상기 조작핸들(4)이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본체(1)는 주로 알루미늄합금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성형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제6도 내지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일단측이 이 로드시브 수용공간(6)에 연속하고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을 바깥쪽으로 개방하는 개방부(7)와, 훅(8)의 부착부(9)를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개방부(7)에 체인안내체(10)를 결합하여 이 체인안내체(10)의 양측에 체인도통로(11,12)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개방부(7)의 폭방향 양측과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의 내주면에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C)에 있어서의 세로링크를 안내하는 링크도통홈(13)을 연속상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또 상기 체인안내체(10)에도 제10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폭방향 양측에 상기 개방부(7)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하는 상기 링크도통홈(13)에 대향하는 링크도통홈(14,15)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체인안내체(10)를 상기 개방부(7)에 있어서의 개방단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도통로(11,12)에 십자형상 규제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체인안내체(10)에는 체인말려듬방지편(16)을 돌출설치하고, 또한 한쌍의 끼워 맞춤돌기(17,18)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 상기 본체(1)에 있어서의 상기 개방부(7)의 두께방향 내면에 끼워 맞춤홈(19,20)을 설치하고 상기 끼워 맞춤돌기(17,18)를 상기 끼워 맞춤홈(19,20)에 끼워 맞추고 고정핀(21)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상기 체인안내체(10)를 상기 본체(1)에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본체(1)의 체인도통로(11,12)에 있어서의 바깥쪽에 대한 개방단부에 상기 본체(1)의 두께방향 양측에는 각각 한쌍의 세로홈부(22,23)를 각각 형성하고, 또한 상기 체인안내체(10)의 외측단부에도 상기 세로홈부(22,23)에 직교하는 내측 가로홈부(24)를 상기 링크도통홈(14,15)간에 서로 연속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개방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1)의 폭방향 양측에는 제10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로홈부(22,23)에 직교하여 상기 내측 가로홈부(24)에 대향하는 외측 가로홈부(80)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세로홈부(22,23) 및 가로홈부(24)는 제4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C)이 엉킨 상태에서 상기 체인도통로(11) 또는 (12)에 진입할때 그 엉킴을 해소하는 엉킴해소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위치어긋난 체인(C)의 링크(CL1)가 상기 세로홈부(22,23)의 한쪽 또는 도시하지 않은 상기 가로홈부(24)에 개입하여 이 링크(CL1)에 이어지는 링크(CL2)의 진입전단부가 상기 세로홈부(22,23)의 한쪽 또는 가로홈부(24)의 홈사이에 걸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드시브(2)의 구동으로 상기 체인(C)은 상기 로드시브측, 즉 제4도, 제5도의 화살표시 방향으로 끌어들여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 끌어들여지는 힘에 의해 상기 후속링크(CL2)의 걸기점(S)을 지점을 중심으로 위치어긋난 상기 링크(CL1)가 제4도, 제5도의 화살표시 X방향으로 회전하여 점선과 같이 수정되면서 상기 체인도통로(11) 또는 (12)에 안내되어 그 엉킴이 해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의 로드시브 수용공간(6)에 수용하는 로드시브(2)는 외주에 체인걸어맞춤홈(25)을 설치하고, 또한 그 양측에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의 양측에 설치하는 축구멍(26)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한쌍의 축부(27,28)를 설치하고 한쪽의 축부(28)의 바깥쪽에는 구동축(30)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의 로드시브(2)를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에 수용하고 상기 체인도통로(11,12)의 한쪽으로부터 상기 링크도통홈(13)에 체인(C)을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로드시브(2)는 상기 본체(1)에 유지되게 되고, 따라서 로드시브(2)를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만큼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경량화,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구동축(30)은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축부(31)와 나사축부(32)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축부(31)의 받침부에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3)를 구성하는 원판상의 종동부재(33)를 일체로 돌출설치하고, 또한 제2도와 같이 상기 나사축부(32)에 플랜지(34a)를 갖는 구동부재(34)를 나사식으로 부착하고 상기 나사축부(32)의 축단부에 나사구멍(35)을 설치하고, 이 나사구멍(35)에 주로 볼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빠짐방지체(5)를 워셔(36)를 통하여 나사식으로 부착함에 의해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축부(31)에 있어서의 상기 종동부재(33)의 외측에 역회전방지기어(3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이 역회전방지기어(37)의 외측에 라이닝판(38)을 설치하고, 이들 역회전방지기어(37)와 라이닝판(38)을 상기 종동부재(33) 및 구동부재(34)의 플랜지(34a) 사이에 끼워 넣고, 또 상기 본체(1)의 측벽 외면에는 조작부(39a)를 갖고, 또한 부재스프링(40)으로 상기 역회전방지기어(37)를 향하여 힘을 가하는 역회전방지부재(39)를 부재축(41)을 통하여 지지하여 상기 각 부재에 의해 메커니컬 브레이크(3)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구동부재(34)는 그 보스부에 종래예와 같이 톱니는 아니고, 예를 들면 6각형 등의 비원형인 소정 길이의 외주부(34b)를 설치하고, 다음으로 설명하는 조작핸들(4)의 래치트휠(42)을 끼울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조작핸들(4)은 중심부에 상기 구동부재(34)의 비원형 외주부(34b)에 상호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비원형 끼워 맞춤구멍(42a)을 갖고 외주부에 회전톱니(42b)를 갖는 래치트휠(42)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또한 이 래치트휠(42)의 직경방향 한측에 전송부재(43)가 상기 회전톱니(42b)에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맞물리는 맞물림위치와 중간위치에 볼(44a) 및 스프링(44b)으로 이루어지는 유지기구(44)를 통하여 전환 가능하게 지지한 것으로,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래치트휠(42)의 상기 끼워 맞춤구멍(42a)을 상기 구동부재(34)의 비원형 외주면(34b)에 끼워 맞추는 것만으로 상기 조작핸들(4)을 상기 구동부재(34)에 지지할 수 있고, 따라서 종래예의 브레이크 커버를 생략할 수 있고, 또 상기 조작핸들(4)을 소형으로 유닛화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맞붙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전체의 소형화도 가능하고, 또 조작핸들(4)은 시판하는 래치트렌치를 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화도 가능하게 되고, 또 상기 빠짐방지체(5)를 떼어냄으로써 상기 조작핸들(4)의 교환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재(33)는 상기 구동축(30)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라이닝판(38), 역회전방지기어(37)를 상기 원형축부(31)에 지지했지만 상기 종동부재(33)를 별도부재로 하여 상기 구동축(30)에 톱니결합 등에 의해 결합하고, 이 종동부재의 통형상보스부에 상기 라이닝판(38), 역회전방지기어(37)를 지지해도 좋다. 또한 상기 라이닝판(38)은 상기 역회전방지기어(37)를 지지해도 좋다. 또한 상기 라이닝판(38)은 상기 역회전방지기어(37)와 구동부재(34)의 플랜지(34a)의 사이에만 끼워 넣었지만 상기 종동부재(33)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도 좋다.
또한 상기 부재축(41)은 육각형 머리부를 갖는 단부착된 볼트를 이용하고, 또한 상기 본체(1)에 상기 부재축(41)의 축구멍(45)을 관통된 형상으로 설치하고 너트(46)의 조임에 의해 상기 본체(1)에 고정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1)의 너트조임측에는 상기 너트(46)의 받침자리(47)를 관통상으로 설치하고 너트(46)의 조임에 의해 상기 본체(1)에 고정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1)의 너트조임측에는 상기 너트(46)의 받침자리(47)를 오목하게 들어간 모양으로 설치하고 상기 너트(46)가 상기 본체(1)의 너트조임 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에 설치하는 상기 훅(8)의 부착부(9)는 상기 본체(1)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시브(2)의 부하측 접선상, 즉 부하측 체인이 도통하는 상기 체인도통로(11)의 바로 윗쪽부에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격리된 관통부(48)를 설치하고, 이 관통부(48)에 있어서의 천정벽(49)에 상기 훅(8)의 부착축부(50)를 끼워 통하게 하는 끼워 통함구멍(51)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이 끼워 통함구멍(51)에 상기 부착축부(50)를 끼워 통하게 하고 그 끼워 통함측 축부에 나사부를 설치하고, 이 나사부에 상기 관통부(48)로부터 끼워 넣는 너트(52)를 나사식으로 붙이고 분할핀(53)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훅(8)을 상기 천정벽(49)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측벽에는 상기 역회전방지기어(37)의 주위에서 이 역회전방지기어(37)의 외주보다 약간 높이가 높고, 그 외주를 덮는 원호상의 제1가드체(54)를 돌출설치하고, 또한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의 외측부위에는 상기 역회전방지부재의 외면보다 높이가 높은 제2가드체(55)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가드체(54)에 의해 상기 본체(1)를 잡아서 감아올림·견인 조작하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1)를 잡는 손이 상기 역회전방지기어(37)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역회전방지기어(37)가 본체(1)의 측벽 외부에 노출되는 구성, 즉 종래예의 브레이크 커버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면서 역회전방지기어(37)에 손이 닿는 것에 의한 상기 로드시브(2)의 구동조작에 악영향을 주는 일은 없고 파지하는 손에 고통을 주는 불합리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제2가드체(55)에 의해 상기 본체(1)를 잡는 손이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에 접촉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를 상기 본체(1)의 측벽에 노출된 형상으로 설치하는 구성이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가 역회전방지기어(37)로부터 부주의하게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밖의 물건에 대해서도 역회전방지부재(39)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하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가드체(55)를 제1도와 같이 2분할하고 그 중간부를 상기 부재스프링(40)의 한쪽 스프링발을 걸어 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재스프링(40)의 다른쪽 스프링발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에 있어서의 조작부(39a)의 내측에 걸어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부재스프링(40)의 코일부는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의 보스부에 감아져서 외부로 노출되는데 상기 각 스프링발의 선단은 어느쪽도 상기 본체(1)의 외면에 돌출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소형이고 700g의 경량이며, 또한 메커니컬 브레이크(3)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짐의 오르내림에 이용할 수 있고, 또 짐조임작업과 로프를 팽팽히 하는 작업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짐조임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훅(8)을 짐에 걸어넘긴 로프와 밸트 등의 짐조임부재에 걸고, 또 상기 체인(C)의 로드측에 설치하는 아래훅(56)을 트럭의 짐받이훅 등의 고정측부재에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걸고, 상기 조작핸들(4)의 전송부재(43)를 래치트휠(42)에 있어서의 회전톱니(42b)에 대한 맞물림위치에 조작한 후 상기 조작핸들(4)을 왕복조작함으로써 로드측 체인을 견인하여 상기 짐의 짐조임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의 로드측 길이가 긴 경우에는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의 조작부(39a)를 조작하여 역회전방지기어(37)와의 맞물림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로드시브(2)를 자유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체인의 무부하측을 잡아당김으로서 용이하게 그 길이조절을 할 수 있고 핸들조작전에 미리 팽팽한 상태로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조작핸들(4)에 의한 조작량을 최소로 할 수 있고 상기 짐조임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조작핸들(4)의 조작시 상기 본체(1)를 잡아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들조작을 안정되게 실시할 수 있고, 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이상과 같이 잡아서 조작할 수 있으면서 상기 제1 및 제2가드체(54,55)에 의해 역회전방지기어(37) 및 역회전방지부재(39)가 가드되고 손에 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을 지장없이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과 같이 짐조임에 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3)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짐을 조여서 해제할 때 서서히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한번에 해제되어 짐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훅(8)의 부착은 상기 관통부(48)를 설치하고, 이 관통부(48)의 천정벽(49)에 상기 훅(8)의 부착축부(50)를 끼워 통하게 하고, 이 부착축부(50)에 너트(52)를 나사식으로 부착해서 분할핀(53)으로 고정함으로써 실시하고 있는데 제15도∼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로드시브(2)에 있어서의 부하측 접선상에 상기 훅(8)의 부착축부(50)를 받아들이는 축부받아들임 오목부(57)와 상기 부착축부(50)와 일체로 설치하는 머리부(58)를 받아들이는 머리부받아들임 오목부(59)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에 상기 부착축부(50)와 그 머리부(58)를 상기 각 받아들임 오목부(57,59)에 유지하는 누름부(60)를 볼트고정에 의해 부착하고 상기 훅(8)을 본체(1)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훅(8)의 부착축부(50)에는 상기 머리부(58)가 일체로 설치되기 때무에 상기 훅(8)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누름부(60)을 부착하는 것만으로 상기 훅(8)을 본체(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부착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60)의 본체(1)에 대한 부착은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재축(41)의 너트(46)에 의한 고정을 이용하여 상기 부재축(41)과 함께 조여도 좋다.
즉 상기 본체(1)에 상기 부재축(41)의 축구멍(45)과 평행상으로 볼트구멍(61)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누름부(60)에는 상기 부재축(41) 및 상기 볼트구멍(61)에 끼워 통하는 볼트(62)의 끼워 통함구멍을 설치하고, 그 외면에서 상기 끼워 통함구멍 주위에 상기 부재축(41)에 나사식으로 부착하는 너트(46) 및 상기 볼트(62)에 나사식으로 붙이는 너트(63)의 받침자리(64,65)를 오목하게 들어간 모양으로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훅(8)의 부착축부(50) 및 머리부(58)를 상기 각 받아들임 오목부(57,59)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60)를 그 외측에 대고,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 및 부재스프링(40)을 부착한 상기 부재축(41) 및 상기 볼트(62)를 끼워 통하고 상기 너트(46,63)를 나사식으로 조임으로써 상기 누름부(60)를 본체(1)에 고정하고, 이 고정에 의해 상기 훅(8)을 상기 본체(1)에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의 개방부(7)에 체인안내체(10)를 끼워 넣음고정하고 상기 체인도통로(11,12)를 형성했지만 상기 체인안내체(10)를 설치하는 일 없이 상기 체인도통로(11,12)를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빠짐방지체(5)의 결합은 이 빠짐방지체(5)를 볼트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30)의 나사축부(32)에 나사구멍(35)을 설치하고 상기 나사구멍(35)에 상기 빠짐방지체(5)를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실시했지만 제18도와 같이 상기 빠짐방지체(5)를 너트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30)에 있어서의 나사축부(32)의 축단부에 작은 직경의 결합나사축부(66)를 설치하고 이 나사축부(66)에 상기 빠짐방지체(5)를 나사식으로 부착해도 좋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워셔(36)를 상기 나사축부(32)의 축단면에 맞부착하여 결합하는 것인데, 상기 워셔(36)와 상기 구동부재(34)의 사이에는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3)의 해제를 할 수 있도록 간격을 설치하고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재(34)에 비원형 외주부(34a)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조작핸들(4)에 상기 구동부재(34)의 비원형 외주부(34a)에 끼워 맞추는 상기 래치트휠(42)과, 이 래치트휠(42)에 맞물리는 전송부재(43)를 설치하고, 이 조작핸들(4)의 래치트휠(42)을 상기 구동부재(34)에 끼워 맞추어서 부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조작핸들(4)을 소형화, 또한 유닛화할 수 있고, 종래예와 같이 브레이크 커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상기 구동부재에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브레이크 커버를 생략할 수 있고, 또 시판하는 래치트렌치를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조작핸들(4)의 맞붙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 저비용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본체(1)에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상기 체인도통로(11,12) 및 상기 훅(8)의 부착부(9)를 일체로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본체(1)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종래예와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복수의 스테이볼트도 필요 없기 때문에 구조간단하고 경량화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등의 경량재를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고, 또 한쪽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합한 형상, 크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감아올림 또는 견인의 조작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의 내주면에 상기 링크도통홈(13)을 설치하고, 이 링크도통홈(13)에 대한 체인(C)의 도통에 의해 상기 로드시브(2)를 본체(1)에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로드시브(2)를 상기 본체(1)에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따라서 그만큼 구조간단하게 할 수 있고 경량화,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에 상기 관통부(48)를 설치하고, 이 관통부(48)에 있어서 상기 훅(8)을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본체(1)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상기 훅(8)의 지지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도 경량·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에 상기 축부받아들임 오목부(57)와 머리부받아들임 오목부(59)를 설치하고, 상기 누름부의 부착으로 상기 훅(8)을 상기 본체(1)에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훅(8)은 그 부착축부(50)에 머리부(58)를 일체로 설치하는 것만으로 상기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훅(8)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 상기 누름부(60)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상기 훅(8)을 본체(1)에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부착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의 측벽에 상기 제1가드체(54)를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역회전방지기어가 노출되는 구성으로 하면서, 즉 종래예와 브레이크 커버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면서 상기 본체(1)를 한쪽 손으로 파지하는 형상으로 해도 본체(1)를 파지하는 손을 상기 역회전방지기어(37)의 외측에서 막아서 이 기어(37)의 톱니부에 손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로드시브(2)의 구동조작으로 악영향을 주는 일은 없고 파지하는 손에 아픔을 주는 일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의 측벽에 상기 제2가드체(55)를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본체(1)를 파지하는 손이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를 맞붙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를 상기 본체(1)의 측벽에 노출상으로 설치해도, 즉 종래예와 브레이크 커버를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가 역회전방지기어(37)에 대하여 부주의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밖의 물건에 대해서도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의 가이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8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에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상기 개방부(7)를 일체로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본체(1)를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에도 그 성형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또 그 후에 상기 개방부(7)의 중앙부에 상기 체인안내체(10)를 결합하여 상기 체인도통로(11,12)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체인(C)을 엉킴없이 상기 로드시브(2)로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의 체인도통로(11,12)에 있어서의 바깥쪽에 대한 개방단부에 상기 세로홈부(22,23)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개방단 또는 상기 체인안내체(10)에 상기 내측 가로홈부(24)를 설치했기 때문에 체인(C)이 엉킨 상태에서 상기 체인도통로(11) 또는 (12)에 진입하는 일이 있어도 위치어긋난 체인의 링크를 안내하고, 이 링크에 후속하는 링크를 상기 본체(1)의 개방단부에 걸어 고정하고 로드시브(2)에 대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그 엉킴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체인(C)이 정상상태로 상기 체인도통로(11) 또는 (12)에 진입시켜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로홈부(22,23) 및 내측 가로홈부(24)는 상기 본체(1)의 개방단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특별히 엉킴해소를 위한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에 의해서도 소형경량화,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0)

  1. 훅(8)을 갖는 본체(1); 상기 본체(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로드시브(2); 상기 로드시브(2)를 구동하는 구동축(30); 상기 구동축(30)에 고정된 종동부재(33)와, 상기 구동축(30)에 나사식으로 부착된 구동부재(34)와,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역회전방지부재(37)와, 이 역회전방지부재(37)가 맞물리는 역회전방지기어(39)를 갖는 메커니컬 브레이크(3)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재(34)에 비원형 외주부(34a)를 설치하고, 또한 중심부에 상기 구동부재(34)의 비원형 외주부(34a)에 서로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춘 비원형 끼워 맞춤구멍(42a)을 갖고 외주부에 회전톱니(42b)를 갖는 래치트휠(42)과, 이 래치트휠(42)의 회전톱니(42b)에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맞물리는 전송부재(43)를 갖는 조작핸들(4)을 설치하고, 이 조작핸들(4)의 래치트휠(42)을 상기 구동부재(34)에 끼워 맞추고 상기 구동축(30)에 상기 조작핸들(4)의 이탈을 방지하는 빠짐방지체(5)를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권상견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에, 로드시브 수용공간(6); 일단측이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에 연통하고, 타단측이 외부에 개방하는 체인도통로(11,12) 및 훅(8)의 부착부(9)를 일체로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권상견인기.
  3. 제2항에 있어서, 본체(1)의 로드시브 수용공간(6)의 내주면에 로드시브(2)에 걸어 설치되는 체인(C)을 안내하는 링크도통홈(13)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시브(2)에 구동축(30)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에 끼우는 상기 로드시브(2)를 체인도통로(11,12)의 한쪽으로부터 상기 링크도통홈(13)에 대한 체인(C)의 도통에 의해 상기 본체(1)에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권상견인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의 로드시브(2)의 부하측 접선상에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격리된 관통부(48)를 설치하고, 이 관통부(48)의 천정벽(49)에 부착축부(50)를 갖는 훅(8)의 상기 부착축부(50)를 끼워 통하게 하고 상기 끼워 통함측 축부에서, 상기 관통부(48)에 끼워넣는 너트(52)를 결합하고 상기 훅(8)을 상기 천정벽(49)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권상견인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의 로드시브(2)의 부하측 접선상에 머리부 부착축부(50)를 갖는 훅(8)의 상기 부착축부(50)를 받아들이는 머리부받아들임 오목부(57)와, 상기 부착축부(50)의 머리부(58)를 받아들이는 머리부받아들임 오목부(59)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본체(1)에 상기 부착축부(50) 및 그 머리부(58)를 상기 각 받아들임 오목부(57,59)에 지지하는 누름부(60)를 부착하고 상기 훅(8)을 본체(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권상견인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의 측벽에 메커니컬 브레이크(3)의 역회전방지기어(37)의 외주부에 위치하는 제1가드체(54)를 돌출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권상견인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의 측벽에서 역회전방지부재(39)의 외측부위에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의 외부면보다 높은 제2가드체(55)를 돌출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권상견인기.
  8. 제1항에 있어서, 본체(1)에 로드시브 수용공간(6)과, 상기 로드시브 수용공간(6)에 연속하여 상기 공간(6)을 바깥쪽으로 개방하는 개방부(7)를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개방부(7)의 중앙부에 체인안내체(10)를 결합하며, 상기 체인안내체(10)의 양측에 체인도통로(11,12)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권상견인기.
  9. 제1항, 제2항 및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의 체인도통로(11,12)의 바깥쪽에 대한 개방단측에 한쌍의 세로홈부(22,23)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세로홈부(22,23)에 직교하는 내측 가로홈부(24)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권상견인기.
  10. 제6항에 있어서, 본체(1)의 측벽에서 역회전방지부재(39)의 외측부위에 상기 역회전방지부재(39)의 외부면보다 높은 제2가드체(55)를 돌출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권상견인기.
KR1019950011125A 1994-05-09 1995-05-08 소형권상견인기 KR0169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94793A JP2612820B2 (ja) 1994-05-09 1994-05-09 小形巻上・牽引機
JP94-94793 1994-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882A KR950031882A (ko) 1995-12-20
KR0169008B1 true KR0169008B1 (ko) 1998-12-01

Family

ID=1411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125A KR0169008B1 (ko) 1994-05-09 1995-05-08 소형권상견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612820B2 (ko)
KR (1) KR0169008B1 (ko)
TW (1) TW34955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15Y1 (ko) * 2008-08-04 2011-01-07 한국철도공사 침목 인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846B2 (ja) * 1997-05-14 2000-07-04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小型の巻上・牽引機
KR100896193B1 (ko) * 2008-09-22 2009-05-11 최인순 유리자재용 리프트 장치
CN105129642B (zh) * 2015-09-01 2017-10-10 浙江冠林机械有限公司 一种手扳葫芦结构
CN105035992A (zh) * 2015-09-01 2015-11-11 浙江冠林机械有限公司 一种手扳葫芦的扳手装置
WO2021156911A1 (ja) * 2020-02-03 2021-08-12 元田技研株式会社 荷重取扱装置の操作部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15Y1 (ko) * 2008-08-04 2011-01-07 한국철도공사 침목 인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49551U (en) 1999-01-01
JPH07300296A (ja) 1995-11-14
JP2612820B2 (ja) 1997-05-21
KR950031882A (ko) 199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91649B2 (en) Winch assembly
US20160289053A1 (en) Winch assembly
KR0169008B1 (ko) 소형권상견인기
AU2011336495A1 (en) Winch assembly
JPS633837B2 (ko)
KR960005022B1 (ko) 레버식 권상견인기
CA2236731C (en) Hand operated chain block
JPS633838B2 (ko)
US6224039B1 (en) Chain block
US6406001B1 (en) Chain lever hoist
US5971364A (en) Hoist and traction apparatus
US4420144A (en) Manual hoisting and pulling apparatus
KR100795405B1 (ko) 권상견인기
KR100283349B1 (ko)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JPS58216895A (ja)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3953824B2 (ja) 巻上牽引機
JP5534805B2 (ja) 手動チェーンブロック
JP2927763B2 (ja) レバーホイスト
KR0135947B1 (ko) 권상·견인기
JPH0457591B2 (ko)
JP2689238B2 (ja) レバー式牽引巻上機における遊転装置
GB2233623A (en) Rope winch
SU1588700A2 (ru) Лебедка
JPS59163298A (ja)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
JPH07257121A (ja) タイヤチエ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