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715Y1 - 침목 인상장치 - Google Patents

침목 인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715Y1
KR200451715Y1 KR2020080010364U KR20080010364U KR200451715Y1 KR 200451715 Y1 KR200451715 Y1 KR 200451715Y1 KR 2020080010364 U KR2020080010364 U KR 2020080010364U KR 20080010364 U KR20080010364 U KR 20080010364U KR 200451715 Y1 KR200451715 Y1 KR 200451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rail
rod
present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564U (ko
Inventor
문성환
이광용
최용근
임근영
이재호
오치원
박종원
안용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2020080010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71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7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 E01B29/09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 E01B29/14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for lifting sleepers up to th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신선 건설시 궤도부설과, 운행선에서 궤도 절체작업시 레일과 침목의 단차가 심해 궤광조립이 안될 때, 침목 상면을 레일 저부에 밀착시켜 레일에 침목을 코일스프링에 의해 체결 가능하도록 침목을 레일저부까지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작업인원을 최소화하고,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인 침목 인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는 레일 두부를 감싸는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삽입됨과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로드와; 상기 거치대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로드의 상면에 용접 고정되는 래치부로 구성됨을 한다.
레일, 침목, 코일스프링크립, 래치

Description

침목 인상장치{Tie lifter}
본 고안은 침목 인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의 신선 건설시 궤도부설과 열차가 운행중인 운행선에서 PC침목 교체 작업 및 궤도 절체작업시 레일과 침목을 결합시켜야 하나, 레일과 침목의 단차가 심해 궤광조립이 안될 때, 침목 상면을 레일 저부에 밀착시켜 레일과 침목을 코일스프링크립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침목을 레일 저부까지 수직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침목 인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신설 건설시 궤도부설과 열차가 운행중인 운행선에서 PC침목 교체작업 및 궤도 절체작업시 레일과 침목을 결합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레일과 침목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선로의 궤광에 도상 자갈이 살포되기 이전의 작업 과정에서 침목과 노반의 단차(약 30cm) 때문에 기존에는 침목 저부에 두 개의 직선형의 노루발 못 뽑기를 삽입 및 전후 침목 상부에 거치하여 침목을 레일에 밀착시켰다.
그러나 침목 저부에 직선형의 노루발 못뽑기 사용시 노루발 못뽑기의 삽입각도가 낮아서 작업자세가 불량하고, 노루발 못뽑기의 손잡이와 침목의 간격이 좁아 작업자의 손을 다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철도 신선 건설시 궤도부설과, 운행선에서 궤도 절체작업시 레일과 침목의 단차가 심해 궤광조립이 안될 때, 침목 상면을 레일 저부에 밀착시켜 레일에 침목을 코일스프링에 의해 체결 가능하도록 침목을 레일저부까지 수직으로 들어올리기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작업인원을 최소화하고,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인 침목 인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는 레일 두부를 감싸는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삽입됨과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로드와; 상기 거치대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로드의 상면에 용접 고정되는 래치부로 구성됨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레일 저부에 있는 침목을 단차의 크고 작음을 구분하지 않고, 최소의 인원과 적은 힘으로 인상시켜 침목과 레일을 밀착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레일을 지지점으로 하여 힘을 배가시켜 중량물인 침목을 효율적으로 인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는 레일(R) 두부를 감싸는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대(10)와; 상기 거치대(10)의 상부에 삽입됨과 볼트(22) 및 너트(24)로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로드(20)와; 상기 거치대(10)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로드(20)의 상면에 용접 고정되는 래치부(30)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A)는 거치대(10)와 로드(20) 및 래치부(3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10)는 레일(R) 두부를 감싸는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철판의 양단을 하향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와 일체로 용접 접합됨과 동시에 양측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일정부분 돌 출 형성된 거치부(14)로 구성된다.
이러한 거치대(10)는 침목 인상장치(A)의 걸이부(46)를 코일스프링크립(C)에 걸어 로드(20)에 의해서 침목(T) 인상시 상기 지지대(10)의 지지부(12)를 레일(R) 두부에 거치하여 받침점(支點) 역할을 하여 손쉽게 침목(T)을 인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로드(20)는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와이어(44)가 삽입되도록 와이어 유도공(26)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로드(20)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인력에 의해 로드(20)에 가해지는 힘을 증대시켜 무거운 침목(T)을 손쉽게 들어올리도록 지지부(12)에 의해서 레일(R) 두부에 거치하여 지렛대의 힘점(力點)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30)는 거치대(10)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로드(20)의 상면에 용접 고정되며, 철판의 양단을 하향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간을 가로질러 관통 삽입되는 샤프트(34)와, 상기 샤프트(34)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래치기어(36)와; 상기 샤프트(34)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축받이(38)와; 상기 래치기어(36)의 상단부 하우징(32)에 고정 설치되는 멈춤쇠(40)와; 상기 래치기어(36)에 용접 설치되는 손잡이(42)와; 상기 샤프트(34)에 소정의 길이로 권취되는 와이어(44)와; 상기 와이어(44)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걸이부(4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래치부(30)는 레일(R)과 침목(T)의 높이차이의 길고 짧음을 손쉽게 조정이 가능하여 침목 인상장치(A)와 침목(T)을 연결하는 작용점(作用點) 역할 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침목을 인상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A)는 레일(R)의 두부 형상에 따라 제작된 거치대(10)의 지지부(12)를 레일(R) 상면에 거치하고, 침목(T)에 고정 설치된 코일스프링크립(C)에 걸이부(46)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침목 인상장치(A)의 래치부(30)의 손잡이(40)를 이용하여 걸이부(46)의 와이어(44)의 길이를 조정한 후, 상기 래치부(30)의 하우징(32) 상단에 멈춤쇠(40)를 래치기어(36)에 끼우고, 작업원이 래치부(30)의 손잡이(42)를 상향으로 하여 힘을 전달하면, 거치대(10)의 지지부(12)와 레일(R) 상면의 접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모멘트력에 의하여 힘이 배가되어, 와이어(44)와 걸이부(46)에 연결된 침목(T)을 상면으로 인상시킨다.
상기 침목(T)은 레일(R) 면과 일정거리를 두고 제작된 와이어 유도공(26)을 통해서 침목(T)을 인상하면 체결이 용이한 소정의 위치로 침목(T)이 올라오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20)에 힘을 가하면 거치대(10)와 레일(R)의 접촉면이 길어 로드(20)가 회전하지 않으며, 레일(R) 형상에 따라 제작된 지지부(12)가 레일(R) 두부를 감싸고 있어 침목 인상장치(A)가 레일(R)에서 탈락하게 되므로 작업원의 상 해 없이 침목(T) 인상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A)는 철도 신선 건설시 궤도부설과, 운행선에서 궤도 절체작업시 레일(R)과 침목(T)의 단차가 심해 궤광조립이 안될 때, 침목(T) 상면을 레일(R) 저부에 밀착시켜 레일(R)에 침목(T)을 코일스프링크립(C)에 의해 체결 가능하도록 침목(T)을 레일(R) 저부까지 수직 인상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도시한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침목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침목을 인상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거치대 12: 지지부
14: 거치부 20: 로드
22: 볼트 24: 너트
26: 와이어 유도공 30: 래치부
32: 하우징 34: 샤프트
36: 래치기어 38: 축받이
40: 멈춤쇠 42: 손잡이
44: 와이어 46: 걸이부
A: 침목 인상장치 C: 코일스프링크립
R: 레일 T: 침목

Claims (3)

  1. 레일(R) 두부를 감싸는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대(10)와; 상기 거치대(10)의 상부에 삽입됨과 볼트(22) 및 너트(24)로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로드(20)와; 상기 거치대(10)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로드(20)의 상면에 용접 고정되는 래치부(30)로 구성되고,
    상기 래치부(30)는 철판의 양단을 하향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간을 가로질러 관통 삽입되는 샤프트(34)와, 상기 샤프트(34)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래치기어(36)와; 상기 샤프트(34)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축받이(38)와; 상기 래치기어(36)의 상단부 하우징(32)에 고정 설치되는 멈춤쇠(40)와; 상기 래치기어(36)에 용접 설치되는 손잡이(42)와; 상기 샤프트(34)에 소정의 길이로 권취되는 와이어(44)와; 상기 와이어(44)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걸이부(4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인상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080010364U 2008-08-04 2008-08-04 침목 인상장치 KR200451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364U KR200451715Y1 (ko) 2008-08-04 2008-08-04 침목 인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364U KR200451715Y1 (ko) 2008-08-04 2008-08-04 침목 인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564U KR20100001564U (ko) 2010-02-12
KR200451715Y1 true KR200451715Y1 (ko) 2011-01-07

Family

ID=4419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364U KR200451715Y1 (ko) 2008-08-04 2008-08-04 침목 인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7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1216B (zh) * 2013-01-24 2014-12-17 中铁五局(集团)有限公司 地铁短轨枕整体道床道岔起道支架布置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5510U (ko) * 1974-10-23 1976-04-28
KR0169008B1 (ko) * 1994-05-09 1998-12-01 츠다 슈사쿠 소형권상견인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5510U (ko) * 1974-10-23 1976-04-28
KR0169008B1 (ko) * 1994-05-09 1998-12-01 츠다 슈사쿠 소형권상견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564U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715Y1 (ko) 침목 인상장치
CN201883922U (zh) 用于电力线路检修的工作平台
EA036462B1 (ru) Система и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для безболтового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8979253B (zh) 一种安全可靠的台板交换式立体车库
CN201634956U (zh) 有挡肩纵连式轨道板
KR20140144971A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JP2006348695A (ja) 可動クロッシング吊上金具及び可動クロッシング吊上方法
KR200342448Y1 (ko) 철도용 레일 고정지지구
CN109131425A (zh) 一种横移小车复轨装置
CN210526337U (zh) 一种坠砣限制架上的限制导管的固锁装置
KR200451872Y1 (ko) 레일 인상기구
CN210946306U (zh) 一种防护电务的整体式岔枕结构
CN208562997U (zh) 一种铁路用梯形尼龙挡板座
JP3655140B2 (ja) タイプレート式レール締結装置
RU2015143025A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установки рельсовой клеммы
CN212735911U (zh) 一种道钉起拔工具
US2480975A (en) Rail anchor
KR200422773Y1 (ko) 곡선부용 장대레일의 신축이음부에서 긴장기를 이용한재설정을 위한 횡방향 마찰력 저감장치
KR20120006328U (ko) 차상신호시스템용 발리스 설치대
CN219363110U (zh) 一种列车队旁承故障专修工具
CN2455757Y (zh) 挡肩加强型预应力混凝土轨枕
CN212560962U (zh) 一种用于道岔整体插铺的三维快速转换装置
CN209703204U (zh) 一种轨道交通导轨结构
CN110435484B (zh) 一种坠砣限制架上的限制导管的固锁装置
CN214992721U (zh) 一种配合机械牵引钢轨的端头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