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912A -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예방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예방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912A
KR20040079912A KR10-2004-7009802A KR20047009802A KR20040079912A KR 20040079912 A KR20040079912 A KR 20040079912A KR 20047009802 A KR20047009802 A KR 20047009802A KR 20040079912 A KR20040079912 A KR 20040079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emulsifier
composition
plant
protein hydrolyz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423B1 (ko
Inventor
잉마 웨스터
패이비 쿠시스토
Original Assignee
라이시오 베네콜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시오 베네콜 오와이 filed Critical 라이시오 베네콜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04007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6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24Organic nitrogen compounds
    • A21D2/26Proteins
    • A21D2/268Hydrolysates from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68Particular types of cheese
    • A23C19/076Soft unripened cheese, e.g. cottage or cream cheese
    • A23C19/0765Addition to the curd of additives other than acidifying agents, dairy products, proteins except gelatine, fats, enzymes, microorganisms, NaCl, CaCl2 or KCl; Foamed fresh chees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9Other cheese preparations; Mixtures of cheese with other foodstuffs
    • A23C19/093Addition of non-milk fats or non-milk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05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7/0056Sprea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15Reducing calorie content; Reducing fat content, e.g. "halvar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60Salad dressings; Mayonnaise; Ketch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33/11Plant sterols or derivatives thereof, e.g. phytoster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2Comminuted fibrous parts of plants, e.g. bagasse or pul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식물 스테롤을 포함하고, 식물 스테롤: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150인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합성 유화제 및/또는 유화성을 지닌 지질계 곡물 분획을 포함하는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용 약제, 기능 식품 또는 식품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 예방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 함유하는 조성물{PROTEIN HYDROLYSATE AND PLANT STEROL CONTAINING COMPOSITION FOR IMPROVING SERUM LIPID PROFILE AND PREVENTING ATHEROSCLEROSIS}
심혈관 질환(CVD)은 서구 세계에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증가된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또는 LDL(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 및 트리아실글리세롤 수준, 뿐 아니라 LDL 콜레스테롤 대비 HDL(고밀도 지질단백질)의 낮은 비율은 CVD를 일으키는 주요 위험 인자 중 일부이다. 또한 최근에는 아포지질단백질 B 100(apo B)의 혈청 수준은 신뢰할만한 CVD 위험 표지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다수의 국민들이 권장 수준을 넘는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가지고 있다.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 중 하나는 규정식 및 운동 변화를 포함하는 생활 방식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식이 습관을 바꾸고, 규정식 권장 사항을 준수하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시킬 수 있는 규칙적인 규정식 및 생활 방식의 변화 이외의 해결 방법에 대한 명백한 요구가 있어 왔다.
정상 영양 상태 이상의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성분이 풍부한 식료품이 한동안 시판되어 왔다. 대표적인 예로서, 식물 스테롤 또는 스탄올 (stanol) 지방산 에스테르가 다량 함유된 식료품을 들 수 있다. 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와 함께 이들의 적절한 제조 방법이 미국특허 제 5,502,045호에 개시되어 있다. 식물 스테롤의 규정식 섭취량 2 내지 3g/일은 인간에 있어 HDL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주지 않고, 14%까지 혈청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혈중 동맥경화증 아포지질단백질 B 입자의 양 역시 감소되어 CVD 발병 위험을 감소시킨다.
일부 단백질이 또한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단백질은 대두(soy) 단백질(Anderson J. W., et al, New Engl. J. Medicine 1995 333(5) 276-282), 유장(whey) 단백질(Nagaoka et al. , Agric. Biol. Chem. 1991 (55) 813-818) 및 소맥 글루텐(gluten)(유럽특허 제 0 790 060Al호). FDA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킴으로써 CVD 발병의 위험을 낮추는 대두 단백질의 역할에 대한 건강 정보 표시(health claim)를 승인하였다. 이러한 건강 정보 표시를 유효하게 하기 위해, 식품은 매일 25그램의 유효 수준의 1/4에 해당하는 일회분 당(per serving) 대두 단백질 6.25그램 이상을 함유하여야 하며, 포화 지방 및 콜레스테롤이 낮은 규정식에 포함되어야 한다.
유럽특허 제 0 669 835 B1호는 천연물에서 유래하며 상승 작용적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갖는 대두 단백질 및 시토스테롤(sitosterol)을 함유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hypocholesterolemic) 식이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정제, 캡슐 또는 시럽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조성물의 유효 1일 섭취량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또한 유럽특허 제 1 046 396 A2호는 대두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대두 단백질 분리물 또는 대두 단백질 농축물, 및 상승작용적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갖는 식물 스테롤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승작용적인 효과는 단독으로 투여된 대두 단백질과 식물 스테롤 각각의 콜레스테롤-감소 활성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달성된다. WO 01/37681호는 피토스테롤(phytosterol) 및 대두 단백질 또는 카세이네이트(caseinate)와 같은 분리된 수용성 단백질, 및 경우에 따라 유화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료품에서 활용되어 입맛(mouthfeel)과 스테롤 함유 식품의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토스테롤 단독으로 달성되는 효과에 비해 특별히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가 개선되지 않는다.
미국특허 제 6,113,972호는 피토스테롤 단백질 착물을 개시하고 있는바, 상기 착물은 피토스테롤의 생체 이용률(bioavailability)을 증가시킨다. 어떠한 상기 조성물의 단백질 부분은 어떠한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단지 상기 단백질은 피토스테롤의 담체(carrier)로서만 작용한다. 실제로, 임의의 지방 결합 단백질,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난(egg) 단백질이 이러한 착물에서 사용될 수있다. 단백질-함유 산물로 혼합되는 식물 스테롤/스탄올 및 유화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WO 00/33669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단백질은 상기 조성물에서 어떠한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가지지는 못하지만, 유제 형성을 보조한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상응하는 비가수분해된 단백질 보다 큰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Sugano et al., J. Nutr. 1990 (120) 977-985).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는 예를 들면 나가오까 등에 의해 우유 β-락토글로불린(β-lactoglublin) 유래의 펩티드와 같은 일부 펩티드에 기인할 수 있다고 밝혀져 있지만(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1, 281(1), 11-17), 잘-조절된 임상 및/또는 동물 연구를 통해 계속해서 증명되고 있다. 유럽특허 제 0 790 060 Al호는 지질 신진대사를 개선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인지질 착물을 개시하고 있는 바, 상기 착물은 10% 이상의 결합된 인지질 특히 레시틴(lecithin) 또는 효소 변형된 레시틴을 함유하고 있다. 레시틴의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 특히 LDL-콜레스테롤 감소 및 HDL-콜레스테롤 상승 효과는 종래 기술에 이미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Childs et al., 1981, Atherosclerosis 38, 217). 유럽특허 제 0790 060 Al호에 기재되어 있는 착물에서, 일부 결합 인지질(레시틴 또는 효소 변형된 레시틴)은 상기 착물의 지질 신진대사 개선 효과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식물 스테롤에 대한 현재의 문헌 및 특히 FDA의 건강 정보 표시의 잠정적인 승인은 식물 스테롤을 이용하여 식품을 보조하는 식품 산업의 관심을 증가시켰다. 실제로, 이러한 다수의 식품 제품들이 최근에 시장에 공급되어 왔다. 새로운식물 스테롤 함유 식품들이 급속하게 시장에 출현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새로운 식물 스테롤 함유 식품의 활발한 출현은 일부 사람들이 적정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것 이상으로 높은 식물 스테롤의 1일 섭취량을 먹을 수 있다는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식물 스테롤을 단기간에 높은 섭취량으로 먹는 것은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식물 스테롤의 높은 1일 섭취량(>3g/일 이상)의 장기 부작용에 대한 믿을만한 데이터가 없다. 또한, 증가된 혈청 수준의 생물학적 영향, 따라서 스테롤이 풍부한 식품 특히 불포화 식물 스테롤이 풍부한 식품을 통해 섭취를 증가시킴으로써 유발되는 식물 스테롤의 전신(systemic) 이용률에 대한 명백한 이해가 현재 부족하다.
예를 들면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 수준의 감소 및/또는 HDL 콜레스테롤 수준의 증가 및/또는 트리아실글리세롤 수준의 감소 및/또는 아포지질단백질 B 수준의 감소와 같은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개선된 해결 방법에 대해 명백한 요구가 있어 왔다. 활성 성분 단독에 비해 강화된 첨가제 효과 또는 더 나아가 상승 효과를 갖는 활성 성분의 배합물을 기재로 하는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있어왔다. 또한, 현재 채택되고 있는 섭취량으로 얻을 수 있는 개선에 비해 개별적인 활성 성분의 보다 낮은 1일 섭취량으로 유의적이고 지속적인 혈청 지질 프로필의 개선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지방-가용성 산화방지제에 대한 가능성 있는 영향과 기타 소화 불량과 같은 활성 성분의 있을 수 있는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관능 특성에 대한 역효과 없이 활성 성분을 광범위한 식료품에 첨가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건들을 만족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인간 및/또는 동물에서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시키기 위한 개선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인간 및/또는 동물에 경구 투여함으로써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요지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또한 유화제(들) 및/또는 지방 및/또는 미네랄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리 형태 및/또는 에스테르화된 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식물 스테롤(스테롤 및/또는 스탄올), 및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또는 지방 및/또는 미네랄 염과 조합한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화제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또는 스테롤과의 착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2요지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합성 유화제(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또한 지방 및/또는 미네랄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요지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유제화 특성을 갖는 지질 기재 곡물 분획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또한 지방 및/또는 미네랄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그 자체로서 또는 약제 또는 기능 식품(nutraceuticals)으로서, 또는 가장 유리하게는 식료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개선된 조성물은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 유화제 및 식물 스테롤을 함유하는 착물로서,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시키기 위한 식료품에서 유리하게 사용된다.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 경우에 따라 유화제 및/또는 지방 및/또는 미네랄 염의 배합물은 개별적인 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더욱 강화시키고, 나아가 예를 들면, 혈중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 수준의 감소와 같은 전체 혈청 총 지질 프로필을 개선시키는데 있어 상승적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기대했던 첨가제 효과보다 더 큰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일부 배합물, 특히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배합물은 HDL 콜레스테롤 수준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러한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의 감소는 놀랄만큼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또한 성분 중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효과에 비해 활성 성분의 배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혈청 지질 프로필을 보다 더 개선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건강 권장 규정식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혈청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25% 이상까지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권장 범위를 넘는 혈청 지질 수준을 갖는 대상체에 있어서, 예를 들면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의 감소와 같은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시키기 위한 다용도 비-약물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혈압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갖는 활성 성분의 배합물, 특히 미네랄 염 및/또는 특정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배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의 배합물은 활성 성분 중 하나만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감소 효과 보다 CVD 발병 위험을 더욱 감소시킨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인간에게 있어서 식물 스테롤의 1일 섭취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시판 중인 식물 스테롤이 풍부한 제품으로부터 식물 스테롤의 1일 권장 섭취량으로 얻어지는 효과와 유사한 정도의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단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식물 스테롤의 1일 섭취량이 감소될 수 있어 식물 스테롤의 잠재적인 과소비를 방지하기 때문에 특별히 중요하다. 더욱이, 식물 스테롤의 상업적 이용성은 제한되어 있다. 또한, 시판 중의 조(crude) 식물 스테롤은 제한된 이용성 때문에 고가인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가능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착물에 대한 원료의 이용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식물 스테롤 공급은 대상체 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 있어서 CVD 발병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화된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 및 식물 스테롤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기재 성분만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효과와 유사한 정도의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특별하게는 더욱 낮은 식물 스테롤 및/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1일 섭취량만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기재로 하는 활성 성분은 식물 스테롤보다 저가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또한 비용면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적정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얻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기술 분야에 이미 공지되어 있는 식물 스테롤 및 비가수분해된 단백질의 배합물과 비교하면, 식물 스테롤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유화제 및/또는 지방 및/또는 미네랄 염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강화된 혈청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가지며, 광범위한 소비자층에 의해 광범위한 식료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가수분해된 단백질에 비해 보다 큰 콜레스테롤감소 효과를 갖는 것 이외에도,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또한 비가수분해된 단백질 보다 약한 알레르기 발생원(allergen)이기 때문에 광범위한 소비자층으로 하여금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비가수분해 단백질에 비해 일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낮은 점도에 의해 질감(texture)에 대한 부작용 없이 음료수와 같은 식료품에 보다 쉽게 혼입될 수 있다.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이를 식품 제품에 혼입하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점은 종종 가수분해물의 두드러진 쓴맛이다. 쓴맛은 소수성 측쇄가 달린 아미노산에서 단백질의 절단으로 인한 것으로, 이러한 절단으로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가 노출된 펩타이드가 형성된다. 가수분해물은 따라서 이들이 혼입되는 식품 제품의 맛에 악영향을 미친다. 단백질 가수분해물 외에도, 또한 일부 단백질 가수분해물/인지질 복합체는 쓴맛을 띠고 이들을 함유하는 제품의 맛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취(off-flavor) 외에도, 일부 단백질 가수분해물/인지질 복합체, 특히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레시틴 또는 변형 레시틴을 함유하는 복합체 또한 진한 황색 또는 갈색을 띠며, 따라서 일부 유제품 같은 담색 제품에 사용할 경우 제품에 색 바램을 초래할 수 있다.
식품과 같은 지질 프로필 개선 제품에서 식물 스테롤과 단백질 가수분해물, 임의로는 유화제 및/또는 지방 및/또는 미네랄 염을 배합함에 의한 본 발명은 단백질 가수분해물만으로 수득될 수 있는 것과 적어도 유사한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특히 콜레스테롤 강하 효과를 수득하면서도, 단백질 가수분해물 함량을 좀더 낮고 따라서 식품 제품의 맛에 대한 악영향이 덜하게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합성 유화제와 또는 식물 스테롤과 또는 유리하게는 유화제와 식물 스테롤 양자 모두와 복합체를 형성시키면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불쾌한 맛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부드러운 맛을 띤 것을 포함시키기 위해 혼입될 수 있으면서 여전히 적어도 유사한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달성하는 식품 제품의 범위를 확대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담색 제품을 포함시키기 위해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가 혼입될 수 있는 식품 제품의 범위를 확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를 함유하는 지질 프로필 개선 식품의 관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영양학 및 건강학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별하게는, 본 발명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 및/또는 아포지질단백질 B (apolipoprotein B)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기에 적합한 개선된 경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식물 스테롤을 포함하고, 식물 스테롤: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150인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화제 및/또는 지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미네랄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내 식물 스테롤: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중량비는 1:0.2 내지 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12.5,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백질 가수분해물"이란 단백질 분해 효소 제제, 적합한 단백질 분해 활성을 함유하는 미생물 또는 산 가수분해 또는 이들의 임의조합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지닌 단백질의 모든 가수분해 산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가수분해물은 분자량이 300 내지 100,000 D,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0 D,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0 D이고/이거나 이들은 아주 약간 수용성이다.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 단백질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가수분해물용 단백질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식물성 기원의 단백질이 바람직하다. 곡물 또는 콩류 기원의 단백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적합한 식물성 단백질원은 예를 들면, 대두 단백질, 소맥 단백질, 특히 소맥 글루텐, 콘 단백질, 귀리 단백질, 호밀 단백질, 평지씨 단백질 또는 캐놀라 단백질, 대맥 단백질, 벼 단백질, 아마씨 단백질, 감자 단백질, 완두 단백질, 루피너스 단백질, 옥수수 단백질 및 메밀 단백질이다. 동물성 기원 중에서 적합한 예로는 우유 단백질, 유장 단백질, 및 이들의 분획이 포함된다. 이들 단백질 모두는 가수분해물용 공급원으로서 다양한 시판되고 있는 정제 또는 비정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단백질 및 기타 주 성분, 예를 들면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물질도 가수분해물용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 익히 공지된 방법과 공정에 의해 효소 가수분해를 통해 제조되지만, 산 가수분해와 같은 기타 공지된 가수분해술을 사용하여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EP 0 790 060 A1은 적합한 단백질 가수분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전형적인 제조방법은 단백질 잔기를 수성 매질에서 단백질 효소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수성 매질에서 단백질 또는 단백질 함유 물질은 수중에 분산되고 pH는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효소의 최적 pH 범위로 조정된다. 효소는 기질 단백질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의 양으로 첨가되며, 반응은 효소와 원하는 가수분해도에 따라 필요한 시간 동안 최적 온도와 pH에서 수행된다. 반응은 전형적으로,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로 혼합물을 가열함으로써 종결된다. 반응 혼합물은 적합한 산, 예를 들면, 염산, 또는 염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가열 단계 전이나 후에 임의로 중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지닌 분획을 이어서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시킨다. 반응 혼합물의 불수용성 또는 약 수용성 분획을 원하는 경우에, 본원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 슬러리로 언급되는 것을 수득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원심분리 또는 여과술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다. 단백질 가수분해물 슬러리는 그 자체로 또는 수-세척하고/하거나 건조시켜 사용될 수 있다. 건조에 사용된 과정은 중요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여타 공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분말이 직접 또는 분쇄 단계를 통해 생성된다. 건조된 분말상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지질을 효율적으로 포획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수분해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단백질분해 효소는 유전자 조작 유기체로부터의 효소도 아울러 포함하여, 적합한 반응조건에서 단백질을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지닌 가수분해물로 가수분해하는, 식물, 미생물 및 동물로부터의 효소를 포함한다. 적당한 단백질 분해 효소는 예를 들면, 펩신, 트립신, 판크레아틴 및 파파인이다. 또한, 상이한 효소를 순차적으로, 예를 들면, 펩신과 트립신 또는 펩신과 판크레아틴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간의 장내에서 아주 불충분하게 소화될 수 있거나 더 이상 소화가 가능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내성 단백질"로 언급될 수 있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생성하는 효소 또는 효소 배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물 스테롤"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지닌 임의 스테롤을 말한다. 식물 스테롤은 스테롤과 포화 스테롤, 즉 이들의 유리된 형태 또는 지방산 (컨쥬게이트 지방산, 예를 들면, CLA, 및 EPA와 DHA와 같은 특수 지방산도 포함한, 탄소수 2 내지 24의 포화, 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지방산), 하이드록시벤조산 또는 하이드록시신남산 (페루린산 또는 쿠마르산) 또는 예를 들면 디- 또는 트리카복실산 및/또는 하이드록시산 같은 기타 유기산과 또는 그러한 산의 임의 배합물과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스탄올 모두 포함한다. 또한, 식물 스테롤의 정의에는 또한 글리코시딕 스테롤과 이의 유도체도 포함된다. 유리된 형태와 각종 에스테르화되고 글리코실화된 형태의 임의 배합물도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 또는 "식물 스테롤 에스테르"란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을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를 함유하는 식물 스테롤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스테롤은 4-데스메틸 스테롤, 4-모노메틸 스테롤 및 4,4-디메틸 스테롤(트리테르펜 알콜 포함)을 포함하고 스탄올은 4-데스메틸 스탄올, 4-모노메틸 스탄올 및 4,4-디메틸 스탄올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4-데스메틸 스테롤은 시토스테롤, 캠프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브라시캐스테롤, 22-디하이드로브래시캐스테롤, Δ5-아베나스테롤이다. 전형적인 4,4-디메틸 스테롤은 사이클로아르텐올, 24-메틸렌사이클로아르덴올 및 사이클로브란올이다. 전형적인 스탄올은 시토스탄올, 캠프스테롤과 이들의 24-에피머, 사이클로아르탄올 및 예를 들면, 트리테르펜 알콜의 포화에 의해 수득된 포화형(사이클로아르텐올, 24-메틸렌사이클로아르텐올 및 사이클로브란올)이다. "식물 스테롤"의 정의에는 거론된 스테롤 및/또는 스탄올의 모든 가능한 천연 블렌드 또는 임의 혼합물 및 임의의 개별적인 스테롤 또는 스탄올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식물 스테롤의 양은 식물 스테롤 당량, 즉 유리 식물 스테롤의 양으로서 계산된다.
유리된 형태 또는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시판 식물 스테롤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다. 유리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이 사용될 때, 식물 스테롤의 분산성, 가용성 및 용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식물 스테롤의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감소된다. 입자 크기의 감소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수의 기술에 의해, 예를 들면, US 6 129 944, WO 98/58554 및 EP 1 142 494 A1에 기재된 상이한 건식 또는 습식 분쇄 또는 마이크로밀링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적당한 혼합물과 같은 타 성분도 식물 스테롤과 함께 분쇄시킬 수 있으며, 타 성분의 선택은 활성 성분이 첨가될 식재료, 기능 식품 또는 약제에 따라 좌우된다. 혼합물의 예로는 다양한 구조 및 향미 증진제, 및 활성 성분이 제빵 제품에 첨가될 경우에 특히 소맥분이 포함된다.
유리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은 또한 용융시켜서, 특히 유화제 및/또는 지방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용이하게사용되는 균질 혼합물은 식물 스테롤과 유화제 및/또는 지방으로부터 식물 스테롤을 이의 융점, 60 내지 150℃, 전형적으로 130 내지 150℃로 가열하고, 가열 전이나 후에 유화제 및/또는 지방을 스테롤에 첨가함으로써 형성된다.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기술은 예를 들면, US 6,190,720 B1에 기재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물 스테롤 및 유화제(들) 및/또는 지방의 블렌드를 성분이 용해될 때까지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이를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하기에 앞서 교반하에 냉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식물 스테롤은 에스테르화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물 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지방산 에스테르는 광범위의 상이한 산물에 혼입시키기에 매우 적합한 기술이며, 매우 양호한 관능성을 지니고 있어, 양호한 관능성을 지닌 본 발명 조성물의 생산을 가능케 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식물 스테롤은 스탄올인데 이유는 이의 흡수가 무시될 정도이고 따라서 스탄올의 사용이 좀더 안전하기 때문이다. 또한, 콜레스테롤 강하 효과도 스탄올의 경우가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화제"란 에멀션의 형성을 촉진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유화제는 천연 물질 또는 천연 산물의 화학적 변형을 통해 합성적으로 생산되거나 유도된다. 유화제의 특징을 규정짓는 특질은 분자의 일부가 극성을 띠고(친수성) 나머지가 비극성(소수성)이어서, 유화제로 하여금 에멀션의 두 비혼화성 상의 접촉 표면을 정렬하여 안정화시키도록 허용하는 구조이다. 다른 요인 중에서도 분자의 극성 및 비극성 부분의 상대적인 크기와 특성은 생성되는 에멀션의 유형과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HLB(소수성 친유성 밸런스) 스케일은 유화제의 유화성을 일반적으로 기술하는 데 통용된다. HLB 값이 낮은(약 6 이하) 유화제는 W/O 에멀션을 촉진하고, 중간 HLB 값을 갖는 유화제는 W/O 또는 O/W 에멀션을, 높은 HLB 값(약 8부터)을 갖는 유화제는 O/W 에멀션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화제 또는 유화제의 혼합물은 식물 스테롤 및/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과의 복합체 생성에 사용된다. 적합한 유화제의 전형적인, 그러나 비-제한적인 예는 증류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유도체, 예를 들면,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아세트산, 락트산, 석신산 또는 시트르산 에스테르, 레시틴, 변형 레시틴, 예를 들면, 효소 변형 레시틴, 예를 들면 라이소레시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리시놀리에이트, 솔비탄 에스테르 폴리솔베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예를 들면, 나트륨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및 칼슘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디아세틸 타타르산 에스테르, 디아세틸 락트산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및 이들이 혼합물이 포함된다. 또한, 유화성을 지닌 지질계 곡물 분획도 유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로는 예를 들면, 귀리로부터의 지질 분획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유화제 또는 유화제의 혼합물은 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의 HLB 값에 해당하는 HLB 값 또는 유화성을 지닌 것들이다. 바람직한 유화제의 예로는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아세트산, 석신산, 락트산과 시트르산 에스테르, 레시틴, 변형 레시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솔베이트, 디아세틸 타타르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합성 유화제"란 천연 물질의 화학적 변형을 통해 합성적으로 생산되거나 유도되는 유화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합성 유화제는 레시틴 및 효소 변형된 레시틴과 같은 일부 천연 유화제와 달리, 진한 색상을 띠지 않는다. 따라서, 합성 유화제는 담색 제품에 또한 첨가된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유화제는 종종 천연 유화제보다 더 순도가 높다. 합성 유화제의 적합한, 그러나 비-제한적인 예는 모노글리세라이드 유도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솔베이트, 솔비탄 에스테르, 스테아로일 락툴레이트, 디아세틸 타타르산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합성 유화제 또는 합성 유화제의 혼합물은 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의 HLB에 상당하는 HLB 값 또는 유화성을 지닌 것들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복합체"란 "유리된 지질"의 추출에 통용되고 있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유화제(들) 및/또는 지방 및/또는 식물 스테롤의 일부만이 추출 가능한 조성물이다. 이러한 비극성 용매로는 예를 들면, 석유 에테르 및 헥산이 포함된다. 유화제(들) 및/또는 지방 및/또는 식물 스테롤의 나머지는 예를 들면, AOAC 922.06 같은 산 가수분해를 포함한 방법을 사용하여 가수분해 후에 추출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지방"이란 식용 가능한 고체 지방, 반-고체 지방, 액상 오일 및 이들의 임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당 폴리에스테와 같은 지방 대용물도 포함된다. 사용 가능한 고체 및 반-고체 지방의 예로는 우지, 돈지, 버터, 마가린과쇼트닝 및 코코넛유 및 야자 핵유(kernel oil) 같은 반-고체 열대유가 포함된다. 액상 오일의 전형적인 예는 캐놀라/평지씨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야자유, 콘 오일, 호마유, 면실유, 소맥 배(germ)유, 땅콩유 및 어유가 포함된다. 액상 식물성 오일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은 천연 또는 변형, 예를 들면, 수소화, 트랜스에스테르화될 수 있으며, 구조화된 트리아실글리세롤 또는 증가된 양의 디아실글리세롤을 함유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네랄 염"은 통상의 염과 비교하여 향상된 K 및/또는 Mg 및/또는 Ca 함량 및/또는 감소된 Na 함량을 지닌 영양상 유익한 미네랄 염을 포함한다. US 특허 6,136,349에서, 이러한 종류의 미네랄 염은, 특히 식물 스테롤과 함께 투여되고/되거나 식품 항목내 통상적인 염을 대체하는 데 사용될 때, 상승된 혈압을 낮추는 것과 같은 유익한 건강 효과를 불러오기 위해 제안되고 있다. 적당한 미네랄 염 조성물의 예로는 PansaltR또는 CardiaR염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미네랄 염이 포함된다. 미네랄 염은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슬러리 또는 세척된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첨가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 전형적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좀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하나 이상의 식물 스테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자체로 또는 약제나 기능 식품으로서 또는 가장 유리하게는 인간에서의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시키기 위한 식품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 식물 스테롤(들)은 성분으로서 별도로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첨가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형성 전에 조성물 또는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적당히 배합될 수 있다. 조성물의 제조 및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 중으로의 혼입은 조성물 또는 이의 성분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분쇄 또는 마이크로밀링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물 또는 미네랄 염 같은 타 성분도 첨가될 수 있다. 조성물 및 복합체 제조의 전형적인, 그러나 비-제한적인 예가 하기 양태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 식물 스테롤(들)은 성분으로서 별도로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첨가된다. 활성 성분은 이들 제품의 생산을 위한 통상의 공정에 의해 식재료, 약제 또는 기능 식품 중으로 첨가된다.
유리된 형태의 시판 식물 스테롤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 스테롤의 분산성과 용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식물 스테롤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킨다. 유리된 형태의 용융된 식물 스테롤도 첨가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식물 스테롤의 주된 부분은 에스테르화된 형태로 있고, 바람직하게는, 필요에 따라,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 중으로의 첨가 전에 용융된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단백질 가수분해물 슬러리, 세척되고/되거나 건조된 단백질 가수분해물, 수용액 중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크기를 감소시킨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당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 식물 스테롤(들)은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약제 또는 기능 식품 또는 식품 제품 중으로 첨가될 수 있는 조성물에 배합된다. 유리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이 사용될 경우, 이들은 건조된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혼합되어 균질 조성물을 형성하거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슬러리 또는 수-세척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균질화시켜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 복합체를 형성한다. 혼합물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방법, 예를 들면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분말을 직접 또는 분쇄 단계를 통해 형성시킬 수 있다. 시판 식물 스테롤은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입자 크기를 감소시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식물 스테롤의 주된 부분은 에스테르화된 형태로 있다. 에스테르화된 식물 스테롤은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분말상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혼합되어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 복합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 식물 스테롤(들), 미네랄 염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거나 약제 또는 기능 식품 또는 식품 제품 중으로 첨가될 수 있는 조성물에 배합된다. 미네랄 염은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슬러리 또는 세척된 단백질 가수분해물 중으로 첨가되고 혼합물은 식물 스테롤과 배합된다.
이와 달리,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 식물 스테롤(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가수분해 단백질(들)과 식물 스테롤(들)의 혼합물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과 공정에 의해 가수분해, 바람직하게는 효소 가수분해에 노출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또는 지방과 하나 이상의 식물 스테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자체로 또는 약제나 기능 식품으로서 또는 가장 유리하게는 인간의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시키기 위한 식품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식물 스테롤(들) 및 유화제(들) 및/또는 지방(들)은 성분으로서 별도로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첨가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 중으로 혼입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형성 전에 조성물 또는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적당히 배합될 수 있다. 조성물의 제조 및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 제품 중으로의 혼입은 조성물 또는 이의 성분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분쇄 또는 마이크로밀링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물 또는 미네랄 염 같은 타 성분도 첨가될 수 있다. 조성물 및 복합체 제조의 전형적인, 그러나 비-제한적인 예가 하기 양태에서 설명된다.
바람직하게는 유화제는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또는 식물 스테롤(들)과의 복합체 생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 유화제(들)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며, 복합체와 식물 스테롤은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성분으로서 별도로 첨가된다. 활성 성분이 이들 제품의 생산을 위한 통상의 공정에 의해 식재료,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첨가된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는 예를 들면, 고속 혼합기에 의해 유화제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혼합함으로써,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의 존재하에 성분을 혼합시켜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화제를 수중에 분산시키고,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가한 다음 실온에서 혼합시킨다. 임의로는, 복합체는 예를 들면,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와 같은 통상의 건조술로 건조시켜 직접적으로 또는 분쇄 단계를 통해 분말을 형성시킨다. 복합체는 또한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유화제와 지방의 혼합물로 물의 존재하에 또는 부재하에 제조될 수 있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는 건량 기준으로, 적어도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유화제를 함유한다. 또한, 임의의 시판 단백질 가수분해물/인지질 복합체도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단백질/인지질 및 10% 이상의 결합 인지질(EP 0 790 060 A1), 특히 레시틴 또는 효소 변형 레시틴을 함유하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인지질 복합체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인지질 양자 모두는 지질 대사 개선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에서, 광범위의 유화제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복합체가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첨가될 때 특히 유익하며, 여기에서 유화제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 증진에만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최종 제품의 성질, 예를 들면 질감이나 맛에 유리한 효과를 가져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유리된 형태의 시판 식물 스테롤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더욱바람직하게는 식물 스테롤의 분산성과 용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식물 스테롤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킨다. 입자 크기 감소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수의 기술, 예를 들면, 분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식물 스테롤의 주된 부분은 에스테르화된 형태로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필요에 따라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의 첨가에 앞서 용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 형태의 식물 스테롤, 또는 지방에 용해되거나 현탁된 식물 스테롤,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성분으로서 별도로 첨가된다. 활성 성분은 이들 제품의 생산을 위한 통상의 공정에 의해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첨가된다.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 또는 식물 스테롤과 지방을 함유하는 현탁액 또는 용액은 유리된 형태의, 바람직하게는 입자 크기가 감소된 식물 스테롤을 유화제, 지방 또는 유화제와 지방의 혼합물의 용융물에, 승온, 바람직하게는 60℃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해시키거나 현탁시키고, 혼합하여 균질 분산액 또는 용액을 형성한 다음 교반하에 냉각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용융된 식물 스테롤이 사용될 수 있다. 식물 스테롤:유화제의 중량비는 1:0.0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0.05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2일 수 있다. 식물 스테롤과 유화제를 제외한 조(crude) 지방 함량은 복합체 또는 분산액 또는 용액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주로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도 유리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단백질 가수분해물 슬러리, 세척되고/되거나 건조된 단백질 가수분해물, 수용액 중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입자 크기가 감소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를 포함한 임의 적당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식물 스테롤(들), 유화제(들)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들)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거나 약제 또는 기능 식품이나 식품 제품에 첨가될 수 있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로 배합될 수 있다.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먼저 식물 스테롤을 유화제, 지방 또는 유화제와 지방의 혼합물의 용융물에, 승온, 바람직하게는 60℃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해시키거나 현탁시키고, 혼합하여 균질 분산액 또는 용액을 형성한 다음 교반하에 냉각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식물 스테롤:유화제의 중량비는 1:0.0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0.05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2 범위일 수 있다. 식물 스테롤과 유화제를 제외한 지방 함량은 복합체 또는 현탁액 또는 용액의 중량의 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이다. 이어서, 슬러리로서 건조 형태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수-세척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수성 단백질 가수분해물 현탁액 또는 용액을 혼합시키고 냉각된 식물 스테롤/유화제 또는 식물 스테롤/지방 또는 식물 스테롤/유화제/지방 혼합물과 균질화시켜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제를 형성하거나 유화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 복합체를 형성한다. 균질화된 혼합물은 임의로 건조될 수 있고/있거나 이의 입자 크기는 사용에 앞서 감소시킬 수 있다. 유리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입자 크기가 감소된 유리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된 식물 스테롤이 사용될 수 있다. 주로 에스테르화된 형태로 있는 식물 스테롤이 사용될 수 있다. 복합체는 또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 및 식물 스테롤을 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유화제(들) 및/또는 지방(들) 및 식물 스테롤(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비-가수분해 단백질(들)/유화제 또는 비-가수분해 단백질/식물 스테롤 또는 비-가수분해 단백질/식물 스테롤/유화제(들)을 당업계에 공지되고 전술한 방법과 공정에 의해 가수분해, 바람직하게는 효소 가수분해에 노출시킨 다음, 가수분해된 복합체를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성분과 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면으로서, 인간의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유화제(들) 또는 유화제-지방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에서는 합성 유화제(들)이 사용된다. 합성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기인한 맛, 색상 및 불순물 문제가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유화성을 지닌 지질계 곡물 분획(들)이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유화제(들) 또는 유화제-지방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유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면으로서,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유화제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된다. 예를 들면, 귀리를 분획화시키고 단백질 풍부 분획을 가수분해하여 지질 풍부 분획과 배합하여 혼합물 또는 복합체를 수득한다. 이러한 배합에 따른 이점은 비-알레르기원 물질로 제조된다는 점이다.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하나 이상의 합성 유화제 및 임의로는 지방(들), 및/또는 유화성을 지닌 하나 이상의 지질계 곡물 분획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자체로 또는 약제 또는 기능 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가장 유리하게는 인간의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용 식품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 합성 유화제(들), 및 임의로는 지방(들),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 유화성을 지닌 지질계 곡물 분획이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성분으로서 별도로 첨가될 수 있거나 이들은 식품 제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혼입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형성에 앞서 조성물 또는 복합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 유화제 또는 지질계 곡물 분획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단백질 가수분해물(들)과의 복합체 생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초 영양 성분 및 전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품 제품이 제공된다.
조성물의 식물 스테롤 성분은 기초 영양 성분(들)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보다 많은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식품 제품은 식품 제품 생산을 위한 통상의 공정에 의해 식재료(들)에 상기 조성물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은 그 자체로(액체, 반-고체 또는 건조된 형태)로 첨가될 수 있거나 조성물의 성분은 성분으로서 별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제품은 하기를 포함한 다양한 식품 조성물 형태일 수 있으며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 제빵 제품 및 과자류(갓 구어낸 건조 제빵 제품, 예를 들면, 갓 구어낸 빵, 기타 빵 제품, 케이크, 머핀, 와플, 비스킷, 크래커, 단백질 강화 제빵 제품 등),
- 시리얼 제품 및 스낵류 (아침 식사용 시리얼, 뮤즐리, 바, 예를 들면 시리얼계 및 뮤즐리 바. 이러한 바는 가능하게는 쵸콜릿, 파스타 제품, 소맥분을 함유한다),
- 음료류 (예를 들면, 소프트 드링크, 주스 및 주스형 혼합 드링크, 단백질 또는 칼슘 보강 음료와 같은 보강 음료, 프로바이오틱 드링크, 스포츠 및 에너지 드링크, 음식물 보충물 및 식사 대용 드링크, 농축물 또는 본 발명 조성물의 함량이 즉석 사용 형태 등을 위해 산정되는 음료와 분말상 드링크용 프리믹스를 포함한 알콜성 및 비-알콜성 드링크),
- 유제품 (우유, 우유계 제품, 예를 들면, 치즈, 크림 치즈 등, 요구르트, 냉동 요구르트, 기타 냉동 유제품, 음용 가능한 요구르트, 기타 발효유 제품, 유제품 음료, 아이스크림, 디저트, 스프레드 등),
- 발효 시리얼 제품,
- 소스, 수프,
- 육류, 어류, 가금류 및 난 제품 (예를 들면, 소시지, 미트 볼 등),
- 예를 들면, 유제품 또는 육류 제품 (예를 들면, 치즈,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디저트 대용물, 우유 대체물 등), 비-유제품 냉동 디저트용 유사체,
- 대두계 제품,
- 식물성 오일계 제품 (예를 들면, 마가린, 스프레드, 드레싱, 마요네즈 등),
- 식품 제조에 사용될 즉석 믹스 (예를 들면, 빵, 케이크, 머핀, 와플, 피자, 팬케이크를 굽기 위한 또는 예를 들면, 수프, 소프, 디저트, 푸딩을 조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 제품은 또한 다른 영양적으로 유익한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중 일부는 본 발명 조성물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식품은 이들 성분으로 보강될 수 있거나 성분은 타 식품 성분의 고유 부분일 수 있다.
영양적으로 유익한 성분의 예로는 디아실글리세롤 및 예를 들면, 어유로부터의 n-3 지방산이 포함되며, 이들은 지질 대사에 유리한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N-3 지방산은 혈액 특성에 우호적으로 작용하며, 예를 들면, 이들은 저트리글리세라이드 혈증성이고 혈소판 응집을 감소시킨다. 디아실글리세롤은 혈청 트리아실글리세롤 수준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에 호적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n-3 지방산과 디아시글리세롤 양자 모두는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의 위험 및 CVC 치사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유익한 영양 성분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이 섬유 및 예를 들면, 이소플라본,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C, 폴레이트 및 플라보노이드 같은 유익한 부성분이 포함된다. 또한, 다른 비타민과 미네랄도 본 발명의식품 제품에 첨가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식이 섬유의 사용은 본 발명 조성물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식이 섬유란 인간의 소화 효소에 의한 소화 및 흡수에 저항성인, 식물 재료로부터 유도된 식품 성분, 또는 기타 공급원으로부터의 유사 탄수화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것들로는 각종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사카라이드, 리그닌 및 소화가 어려운 회합된 물질이 포함된다. 식이 섬유는 수용성 및 비수용성 분획으로 좀더 세분될 수 있다. 수용성 분획의 예는 예를 들면, 펙틴, 식물 검, β-글루칸 및 저항성 전분이 있으며 불용성 분획으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및 헤미셀룰로스가 있다. 적당한 섬유 섭취는 다수의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예를 들면, 점성을 띠는 가용성 섬유는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을 낮춤으로써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일면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용 약제 또는 기능 식품이 제공된다. 그러한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배합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배합제는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결합제,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코팅제일 수 있다. 제품은 임의의 적당한 형태, 예를 들면, 정제, 입제, 산제, 캡슐제, 시럽제, 분산액 또는 경구 투여용의 기타 액상 제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산물 및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활성 성분, 즉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 식물 스테롤(들)을, 혈청 지질 프로필의 개선, 예를 들면 혈청의 전체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 수준의 감소를 제공하기 위한 충분량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두 활성 성분, 즉 단백질 가수분해물(들)과 식물 스테롤(들)의 상승작용성 배합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배합물의 사용으로 성분 중 하나가 단독으로 사용될 때 수득되는 효과에 비하여 혈청 지질 프로필의 증진된 개선을 이끈다. 활성 성분의 최적 이용 가능성을 작용의 중요한 부위에서 보장함으로써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가 최적화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가 특히 유익하다. 혈청 전체 및 LDL 콜레스테롤 수준의 감소 외에도, 본 발명의 일부 조성물은 또한 혈청 HDL 콜레스테롤 수준의 목적하는 증가를 제공한다. 조성물 중 일부는 또한 혈압에 유익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은 또한, 활성 성분(들)과 작용 부위에서 활성 성분, 즉 단백질 가수분해물(들) 및 합성 유화제(들)의 최적 이용 가능성을 보장하는 성분(들)의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면, 식물 스테롤이 강화된 시판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식물 스테롤(2 내지 3 g)의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1일 섭취량으로 수득되는 것과 유사한 콜레스테롤 강하 효과를 여전히 달성하면서도 인간의 식물 스테롤 1일 섭취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그 자체로서 또는 식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사용될 때 본 발명 조성물의 최적 1일 섭취량은 0.4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g ,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 g의 식물 스테롤 1일 섭취량(스테롤 당량으로 계산)이 공급되도록 하는 양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그에 따라 식품의 관능성을 개선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함유 식품 제품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함량을 또한 저하시킬 수 있다. 그 자체로서 또는 식품, 약제 또는 기능 식품에 사용될 때 본 발명 조성물의 최적 1일 섭취량은 0.1 내지 60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 g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1일 섭취량이 공급되도록 하는 양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한 끼분 당 식물 스테롤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최적 1일 섭취량의 적어도 10%를 함유하는 식품 제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식품 제품은 한 끼분 당 식물 스테롤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최적 1일 섭취량의 10 내지 200%를 함유한다.
전형적으로, 식품 제품의 식물 스테롤 함량은 100 g 식품 제품 당 0.05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g/1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g/100 g,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g/100 g이며, 단백질 가수분해물 함량은 100 g 식품 제품당 0.0002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5 g/1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g/100 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g/100 g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면으로서, 피검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유효량으로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예를 들면 피검체의 전체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며, 트리아실글리세롤을 감소시키며, 아포지질단백질 B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HDL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의 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피검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유효량으로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의 발병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두 활성 성분의 섭치를 조합하여 수득되는 본 발명의 주된 이점은 다음과 같다:
- 식물 스테롤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상승작용성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
- 식물 스테롤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단독 사용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에 비해 증진된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
- 식물 스테롤 단독 사용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달성하는 데 식물 스테롤의 더 낮은 1일 섭취량이 필요함,
- 단백질 가수분해물 단독 사용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달성하는 데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더 낮은 1일 섭취량이 필요함,
- 혈청 지질 프로필을 향상시킴으로써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킴.
본 발명은 특히, 식물 스테롤과 단백질 가수분해물, 임의로는 유화제 및/또는 지방 및/또는 미네랄 염의 상승작용성 조합을 이용함에 의한 증진된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작용 부위에서 활성 성분, 특히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최적 이용 가능성을 보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가 활성 성분의 최적 이용 가능성을 보장함으로써 최적화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유화제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유화제와 식물 스테롤을 함유하는 특정 조성물이 특히 유익하다.
본 발명은 또한 구체적으로는, 1일 규정식의 일부로서 식품 제품의 형태로상당한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식물 스테롤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최적화된 1일 섭취에 관한 것이다. 식물 스테롤의 1일 섭취량은 식물 스테롤의 현재 권장되고 있는 1일 섭취량(2 내지 3 g/d)으로 수득되는 바와 유사한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식물 스테롤과 기타 지질 프로필 개선 식이 성분의 유익한 효과를 조합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유리하게는 식물 스테롤의 1일 섭취량을 감소시켜, 식물 스테롤의 좀더 균형잡힌 사용을 이끈다. 상승작용 효과는 기껏 2 g 식물 스테롤의 1일 섭취량으로도 특히 현저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조성물은 식물 스테롤과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 임의로는 유화제(들)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식물 스테롤은 식물 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당량의 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식물 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건강식의 일부가 되도록 디자인된 음식물에 혼입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면은 다음과 같다: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용, 특히 혈청 전체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 강하용, 및/또는 HDL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 비의 증가용, 및/또는 혈청 아포지질단백질 B 수준 강하용 약제, 기능 식품 또는 식품 제품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아테롬성동맥경화증 발병의 감소 또는 예방용 약제, 기능 식품 또는 식품 제품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상기 용도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1일 당 0.1 내지 60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 g의 비율로 투여되고, 식물 스테롤은 스테롤 당량으로 계산하여 1일 당 0.4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 g의 비율로 투여된다.
제 1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양으로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청 지질 프로필의 개선, 특히 혈청 전체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의 강하, 및/또는 HDL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 비의 증가, 및/또는 피검체에서의 혈청 아포지질단백질 B 수준의 강하 방법.
제 1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양으로 피검체에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에 의해 피검체내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의 발병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방법.
상기 방법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1일 당 0.1 내지 60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 g의 비율로 투여되고, 식물 스테롤은 스테롤 당량으로 계산하여 1일 당 0.4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 g의 비율로 투여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좀더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내지 4는 조성물의 구성성분의 제조를 설명하고, 실시에 5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를 설명하며, 실시예 9 내지 16은 식품 제품내 조성물의 사용을 설명하며 실시예 17은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효과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퍼센티지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
1500 g의 분리된 대두 단백질 (SUPROR브랜드의 분리된 대두 단백질,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을 물 15 리터에 분산시키고 pH를 HCl을 사용하여 2로 조정한 다음 펩신 (P7000, Sigma Aldrich, 활성 1:10,000)을 용액에 가하였다(분리된 대두 단백질 양의 1%). 반응을 37℃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고 반응 혼합물을 85℃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2 mol/l)으로 중화시킨 다음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물을 물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동결 건조시키고 분쇄하였다. 300 g의 건조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 가수분해로 수득된 펩타이드의 분자량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법으로 측정하였다. 가수분해물 중의 펩타이드의 분자량 범위는 3,000 내지 30,000 D였다.
실시예 2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의 제조
62 g의 유화제 (라이소레시틴, Precept 8160, Central Soya)를 실온에서물(2500 ml)에 분산시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한 500 g의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고속 혼합기 (10,000 rpm)로 혼합하고 혼합물을 동결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를 수득하였다.
복합체의 전체 지질 함량은 산 가수분해법(AOAC 922.06)으로 측정하였다. 복합체에 결합되지 않았거나 단지 느슨하게 결합된 지질을 직접 석유 에테르 추출(유리된 지질)로 측정하였다. 결합된 지질의 함량은 전체 지질과 "유리된" 지질의 차이로 계산되었다. 전체 지질 함량은 복합체의 11.0%, 유리된 지질의 함량은 복합체의 7.9%, 따라서 "결합된" 지질 함량은 복합체의 3.1%였다.
실시예 3
유리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을 사용한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의 제조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를 유리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 (Phytosterols,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나트륨 스테아릴 락틸레이트 (Grindsted SSL P 55, Danisco Cultor) 및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시트르산 에스테르(GrindstedTMCitrem P 70, Danisco Cultor)로 제조하였다. 나트륨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30 g, 비드) 및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시트르산 에스테르 (70 g, 페이스트)를 60℃에서 용융시키고 균질하게 혼합시켰다. 식물 스테롤 (100 g)을 유화제 혼합물에 첨가하고, 성분을 함께 혼합한 다음 교반하에 약 145℃로 가열시켰다. 이어서, 수득된 투명한 액체를 교반하에 70℃로 냉각시키고 샐러드 드레싱 제조용(실시예 11)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유리된 형태 및 에스테르화된 형태 모두의 식물 스테롤을 사용한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의 제조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를 유리된 형태와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과 레시틴의 혼합물로 제조하였다. 식물 스테롤 에스테르 (150 g, Sterol 에스테르-115, Raisio Benecol)를 80에서 용융시켰다. 입자 크기가 감소된 식물 스테롤 (100 g, Phytosterols, Arcer Daniels Midland Company), 및 레시틴 (100 g, Adlec,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를 용융 스테롤 에스테르에 혼합시킨 다음 혼합물을 교반하에 가열시켜 결정질 식물 스테롤을 용융시켰다. 산물을 고속 혼합기 (25,000 rpm)로 균질화하고 교반하에 60℃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5
합성 유화제를 사용함에 의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제의 제조
35 g의 유화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시트르산 에스테르, GrindstedTMCitrem P 70, Danisco Cultor)를 50℃에서 수중에 (1500 ml) 분산시키고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50 g의 대두 단배질 가수분해물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고속 혼합기 (25,000 rpm)로 혼합하고, 혼합물을 동결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
유리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을 사용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 복합체의 제조
분리된 대두 단백질 (500 g, SUPROR브랜드의 분리된 대두 단백질,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가수분해하고 가수분해 후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유리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40 g, Phytosterols,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를 첨가하고 고속 혼합기(25,000 rpm)를 사용하여 세척된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균질화시켰다. 조성물을 동결 건조시키고 분쇄하였다.
실시예 7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식물 스테롤을 사용한, 미네랄 염을 함유하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 복합체의 제조
분리된 대두 단백질 (500 g, SUPROR브랜드의 분리된 대두 단백질,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가수분해하고 가수분해 후 물로 2회 세척하였다. 미네랄 염 (5 g, PansaltR)을 세척된 가수분해물 슬러리에 가하고 슬러리를 동결 건조 및 분쇄하였다. 34.4 g의 식물 스테롤 에스테르 (스테롤 에스테르-115, Raisio Benecol)를 65.6 g의 건조된 가수분해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고속 혼합기 (25,000 rpm)로 균질화하였다.
실시예 8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의 제조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효소 변형된 레시틴 (20 g, Precept 8160, Central Soy Company) 및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시트르산 에스테르 (50 g GrindstedTMCitrem P 70, Danisco Cultor)를 60℃에서 용융시킨 다음 균질 혼합시켰다. 입자 크기가 감소된 식물 스테롤 (50 g, Phytosterols,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을 유화제 혼합물에 첨가하고, 성분을 함께 혼합한 다음 교반하에 10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수득된 투명한 액체를 교반하에 온도가 90℃에 이를 때까지 냉각시켰다. 건조되고 분쇄된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 (90 g)을 가하고 90℃에서 식물 스테롤 유화제 블렌드에 균질화시켰다. 혼합물을 70℃로 냉각시키고 우유 대용물 (실시예 15) 및 과일 음료 (실시예 16) 제조용으로 사용하였다.
복합체 중의 식물 스테롤: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중량비는 1:1.8이고 복합체는 23.8% 식물 스테롤 및 42.9%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9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 복합체를 사용한 식품 바
식품 바를 하기 성분으로 제조하였다:
300 g 귀리 플레이크
95 g 섬유질 풍부 귀리 왕겨
140 g 콘 시럽
50 g 흑설탕
40 g 농축 사과 주스
20 g 사과
30 g 레이신
100 g 식물성 지방
3 g 소금
8 g 향미제
110 g 실시예 6으로부터의 복합체
4 g 레시틴
A 45 g 식품 바는 1.6 g 식물 스테롤 및 3.9 g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0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와 식물 스테롤을 사용한 요구르트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 (STAEST-115, Raisio Benecol) 및 실시예 5로부터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를 요구르트 제조에 성분으로서 별도로 사용하였다.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 (STAEST-115)를 70℃에서 용융시켰다. 용융된 스탄올 에스테르 (110 g) 및 실시예 5로부터의 140 g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를 70℃에서 5.75 리터의 탈지유에 첨가하고 고속 혼합기로 혼합시킨 다음 혼합물을 저온 살균하였다. 통상의 요구르트 배양액 및 비피도박테리아를 혼합물중으로 교반하고 혼합물을 42℃에서 7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한 끼분의 산물 150 g은 1.7 g 식물 스탄올 및 3.0 g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1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사용한 저지방 샐러드 드레싱
실시예 3으로부터의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 및 실시예 1로부터의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저지방 샐러드 드레싱의 제조에서 성분으로서 별도로 사용하였다.
샐러드 드레싱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7.5 g 실시예 3으로부터의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
7 g 실시예 1로부터의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
16 g 대두유
56 g 물
6 g 식초
4.5 g 설탕
1.5 g 소금
0.1 g 잔탄 검
0.4 g 레몬 주스
1 g 스파이스
30 g 한 끼분의 샐러드 드레싱은 1.1 g 식물 스테롤 및 2.1 g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2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사용한 요구르트형 시리얼 제품
가수분해물을 건조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의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소맥 글루텐 (Raisio)으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물을 세척된 글루텐 가수분해물에 가하여 고형분 함량이 20%인 산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로부터의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 및 소맥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발효된 요구르트형 시리얼 제품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성분
45% 물
16.5% 글루텐 가수분해물과 물의 제조된 혼합물
8.9% 귀리 왕겨
28% 딸기 잼 (과당, 블루베리, 스트로베리, 래스프베리, 펙틴, 향미제 함유)
1.6 % 실시예 4로부터의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
비피도박테리아 배양액을 사용하여 물과 귀리 왕겨의 혼합물을 발효시켰다. 딸기 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 및 글루텐 가수분해물과 물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모든 성분을 함께 작업하였다.
150 g의 한 끼분의 산물은 1.3 g 식물 스테롤과 5.0 g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3
미네랄 염을 함유하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 복합체를 이용한 롤빵
실시예 7로부터의 복합체를 함유하는 롤빵을 하기 성분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800 g 소맥분
20 g 설탕
20 g 소금
10 g 마가린 (80% 지방 함량)
94 g 실시예 7로부터의 복합체
500 g 물
11 g 건조 이스트
24 반죽으로부터 롤빵을 수득하였다. 두 개의 50 g짜리 롤빵은 식물 스테롤 (1.3 g)과 단백질 가수분해물 (4.0 g)의 적당한 1일 용량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4
미네랄 염과 함께 식물 스테롤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사용한 크림 치즈 스타일 스프레드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 (STAEST-115, Raisio Benecol)과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미네랄 염과 함께 크림 치즈 스타일 스프레드의 제조에서 성분으로서 별도로 사용하였다. 건조되고 분쇄된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식물 스테롤 에스테르가 첨가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미네랄 염을 함유하는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실시예 7에서의 복합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건조된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4.8% 미네랄 염을 함유하였다.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를 우선, 조성이 59.7% 평지씨유, 야자수 스테아린과 코코넛유의 7% 상호 에스테르화된 블렌드 및 33.3%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 (STAEST-115, Raisio Benecol)인 지방 블렌드에 혼입시켰다. 용융된 스탄올 에스테르를 평지씨유 및 하드스톡(hardstock) 성분과 블렌딩함으로써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크림 치즈 스타일 스프레드를 하기 요리 비방에 따라 제조하였다:
51.3 % 응유
24.6 % 스탄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지방 블렌드
12.0 % 응축물
1.0 % 안정제
1.0 % 우유 단백질
7.9 % 4.8% 미네랄 염을 함유하는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
0.3 % 소금
0.1 % 소르빈산 칼륨
1.7 % 마늘향 제제
0.05 % pH-조절제로서 락트산
향미제
한 끼분의 크림 치즈 스타일 스프레드 20 g은 1 g 식물 스테롤 (식물 스탄올로서) 및 1.5 g 단백질 가수분해물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로서)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5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를 사용한 우유 대용물
실시예 8로부터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를 바닐라향 우유 대용물의 생산에 사용하였다.
5 리터 두유 (2% 지방)
94.5 g 실시예 8로부터의 복합체
바닐라향
실시예 8로부터의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를 격렬한 교반하에 70℃의 두유에 첨가하고 균질화하였다. 2 dl의 한 끼분의 두유는 0.9 g의 식물 스테롤 및 1.6 g의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6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를 사용한 과일 드링크
실시예 8로부터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를 하기 성분의 과일 드링크 제조에 사용하였다:
200 g 과일 주스 농축물 (오렌지, 파인애플, 시계풀 열매, 구아바, 망고)
776 g 물
8.5 g 과당
1.5 g 칼슘 락테이트
14 g 실시예 8로부터의 복합체
과일 주스 농축물, 물, 과당 및 칼슘 락테이트를 함께 혼합하여 70℃로 가열하였다. 실시예 8로부터의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를격렬한 교반하에 드링크에 첨가한 다음 균질화하였다.
드링크의 두 글래스 (2 dl)는 1.3 g의 식물 스테롤과 2.4 g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달성된 지질 프로필 개선
식물 스테롤 (식물 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 (실시예 2로부터의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라이소레시틴 복합체)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지질 프로필 개선 효과를 시험 동물로서 LDL-수용체 결손 마우스 암컷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시험 목적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아테롬발생성 규정식의 일부로서 단지 소량의 식물 스테롤(0.5 %, 스테롤 당량으로서)만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는 혈청 전체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강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이러한 동물 모델에서 가수분해물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여전히 마우스의 영양적 요구와 성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최대 콜레스테롤 강하 효과를 산출하는 양으로 투여되었다. 가수분해물의 적정량은 규정식의 전체 단백질 함량의 1/2 (N 당량으로서)인 것으로 밝혀졌다.
동물을 4개의 그룹으로 할당하고(각 그룹에서 n = 8 내지 10) 8주 동안 실험용 규정식을 먹였다.
모든 실험용 규정식은 20% 단백질을 함유하도록 제형되었다. 대조군과 시험군 2에서, 유일한 단백질원은 카제인(88% 순도)이었다. 시험군 3과 4에서, 단백질원은 카제인 절반과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 절반(N 당량으로서)이었다. 시험군 2와 4는 0.84% 식물 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롤 당량으로서 0.5%)를 함유하였다. 대조군과 시험군 3은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를 섭취한 시험군에 비하여, 등량의 칼로리 및 동등한 지방산 조성을 갖도록 0.35% 평지씨를 함유하였다.
실험용 규정식 및 결과:
성분 그룹 1 (대조) 그룹 2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 그룹 3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 그룹 4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
전체의 % 전체의 % 전체의 % 전체의 %
규정식 프리믹스* 58.72 58.22 55.44 54.95
코코아 버터 17.96 17.96 17.97 17.97
평지씨유 0.35 0.00 0.35 0.00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 0.00 0.84 0.00 0.84
카제인 분말 22.72 22.73 11.36 11.37
실시예 2로부터의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라이소레시틴 복합체 0.00 0.00 14.62 14.62
콜레스테롤 0.250 0.250 0.250 0.250
결과
혈청 전체 콜레스테롤 (mmol/l), 평균 20.6 14.7 15.5 11.4
대조군과 비교한 변화(%) - -28.5 -25.0 -44.5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 (mmol/l), 평균 2.2 2.4 1.9 1.3
대조군과 비교한 변화 (%) +8.8 -10.9 -39.1
* Research Diets Inc.로부터의 Clinton/Cybulsky (D12106px, 단백질 없음)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와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제 양자 모두는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효과(각각 그룹 2와 3)를 지녔다. 본발명의 조성물 (그룹 4), 즉 식물 스테롤과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의 배합물은 식물 스테롤 (그룹 2)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 (그룹 3) 단독에 비해 및 배합에 대해 예상된 것에 비해 일층 증진된 콜레스테롤 강하 효과를 지녔다. 따라서, 최대량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먹이에 첨가되었을 때 조차도, 식물 스테롤의 첨가는 혈청 전체 콜레스테롤 수준을 효과적으로 더욱 감소시켰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 (그룹 3)은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 감소 효과를 지닌 반면에, 식물 스테롤을 투여받은 그룹 2에서는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준이 다소 상승되었다. 놀랍게도, 식물 스테롤과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의 배합물은 강력한 상승작용성 트리글리세라이드 강하 효과를 지녔다.
본 발명에 따라, 식물 스테롤과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배합함으로써, 현저한 상승작용성 지질 프로필 개선이 나타날 수 있다.

Claims (28)

  1.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 포함하며, 식물 스테롤: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150인 치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유화제, 지방, 미네랄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부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식물 스테롤이 유리 스테롤, 유리 스탄올,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스테롤,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스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대두 단백질, 소맥 단백질, 콘 단백질, 귀리 단백질, 호밀 단백질, 평지씨 단백질, 대맥 단백질, 우유 단백질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원으로부터 유래되는 조성물.
  5. 제 2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가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유도체, 레시틴, 변형 레시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리시놀리에이트, 솔비탄 에스테르, 폴리솔베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디아세틸 타타르산 에스테르, 디아세틸 락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6. 제 2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가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의 친수성 친유성 밸런스(HLB)를 갖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스테롤: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중량비가 1:0.2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1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인 조성물.
  8. 제 2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단백질 가수분해물/유화제 복합체의 형태로 있는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복합체가 건량 기준으로,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유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 2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스테롤이 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체 형태로 있거나 지방 또는 지방과 유화제의 혼합물에 용해되거나 현탁되는 조성물.
  11. 제 2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이 단백질 가수분해물/식물 스테롤/유화제 복합제의 형태로 있는 조성물.
  12. 제 10 항 또는 11 항에 있어서, 식물 스테롤:유화제의 중량비가 1:0.0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0.05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2인 조성물.
  13. 제 2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 함량이 복합체 또는 현탁액 또는 용액 중량의 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인 조성물.
  14.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와 지방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유화제가 합성 유화제인 치료 조성물.
  15.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와 지방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유화제가 유화성을 지닌 지질계 곡물 분획인 치료 조성물.
  16.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과 적어도 하나의 기초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제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빵, 과자, 시리얼, 발효 시리얼, 스낵, 음료, 유제품, 소스, 수프, 육류, 어류, 가금류, 난, 대두계, 식물성 오일계 및 즉석 혼합 제품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의 형태인 식품 제품.
  18. 제 16 항 또는 17 항에 있어서, 스테롤 당량으로서 계산된 식물 스테롤 함량이 100 g 식품 제품 당 0.05 내지 20 g이고 단백질 가수분해물 함량이 100 g 식품 제품 당 0.0002 내지 20 g인 식품 제품.
  19.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약 또는 기능 식품 제품.
  20.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약 또는 기능 식품 제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21.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용, 특히 혈청 전체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 강하용, 및/또는 HDL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의 비 증가용, 및/또는 혈청 아포지질단백질 B 수준 강하용 약제, 기능 식품 또는 식품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22. 제 16 항 내지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의 양이,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1일 당 0.1 내지 60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 g의 비율로 소모되고, 식물 스테롤이 스테롤 당량으로서 계산하여 1일 당 0.4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 g의 비율로 소모되도록 하는 양인 식품 제품, 약제, 기능 식품 제품 또는 조성물.
  23.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용, 특히 혈청 전체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 강하용, 및/또는 HDl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의 비 증가용, 및/또는 혈청 아포지질단백질 B 수준 강하용 약제, 기능 식품 또는 식품 제품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24. 아테롬성동맥경화증 발병의 감소 또는 예방용 약제, 기능 식품 또는 식품 제품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25. 제 23 항 또는 24 항에 있어서,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1일 당 0.1 내지 60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 g의 비율로 투여되고, 식물 스테롤이 스테롤 당량으로 계산하여 1일 당 0.4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 g의 비율로 투여되는 용도.
  26.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유효량으로 피검체에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검체에서의 혈청 지질 프로필의 개선, 특히 혈청 전체 및/또는 LDL 콜레스테롤의 강하, 및/또는 HDl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 비의 증가, 및/또는 혈청 아포지질단백질 B 수준의 강하 방법.
  27.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혈청 지질 프로필 개선 유효량으로 피검체에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이 수단에 의해 피검체에서의 아테롬성동맥경화증 발병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방법.
  28. 제 26 항 또는 27 항에 있어서,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1일 당 0.1 내지 60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 g의 비율로 투여되고, 식물 스테롤이 스테롤 당량으로 계산하여 1일 당 0.4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 g의 비율로 투여되는 방법.
KR1020047009802A 2001-12-21 2002-12-20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예방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1007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12553A FI20012553A0 (fi) 2001-12-21 2001-12-21 Syötävät koostumukset
FI20012553 2001-12-21
PCT/FI2002/001053 WO2003055324A1 (en) 2001-12-21 2002-12-20 Protein hydrolysate and plant sterol containing composition for improving serum lipid profile and preventing atherosclerosi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832A Division KR20100047905A (ko) 2001-12-21 2002-12-20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 예방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912A true KR20040079912A (ko) 2004-09-16
KR101007423B1 KR101007423B1 (ko) 2011-01-12

Family

ID=85625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802A KR101007423B1 (ko) 2001-12-21 2002-12-20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예방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20107007832A KR20100047905A (ko) 2001-12-21 2002-12-20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 예방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 함유하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832A KR20100047905A (ko) 2001-12-21 2002-12-20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 예방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3) US20060182784A1 (ko)
EP (1) EP1455588B1 (ko)
JP (1) JP2005513143A (ko)
KR (2) KR101007423B1 (ko)
CN (1) CN100391354C (ko)
AT (1) ATE533534T1 (ko)
AU (1) AU2002352305B2 (ko)
CA (1) CA2470367A1 (ko)
ES (1) ES2376195T3 (ko)
FI (1) FI20012553A0 (ko)
IL (2) IL162590A0 (ko)
MX (1) MXPA04006143A (ko)
PL (1) PL209569B1 (ko)
RU (1) RU2325078C2 (ko)
WO (1) WO2003055324A1 (ko)
ZA (1) ZA2004049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31004A0 (fi) * 2003-07-03 2003-07-03 Raisio Benecol Oy Uusi syötävä koostumus
CA2531005A1 (en) * 2003-08-08 2005-02-17 Unilever Plc Fermented food product comprising soy protein
FR2866207B1 (fr) * 2004-02-16 2006-12-01 Gervais Danone Sa Procede de preparation de produit laitier
ATE392814T1 (de) * 2004-02-27 2008-05-15 Unilever Nv Altbackenwerden verhindernde zubereitung und diese zubereitung enthaltende backwaren
EP1742545A1 (en) * 2004-04-16 2007-01-17 Unilever N.V. Water continuous product comprising sterol or stanolester and a tocopherol
US20060035009A1 (en) * 2004-08-10 2006-02-16 Kraft Foods Holdings, In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water-dispersible phytosterols and phytostanols
WO2006053379A1 (en) * 2004-11-16 2006-05-26 Universal Food Solutions Pty Ltd Improved nutraceutical composition
GB0428515D0 (en) * 2004-12-30 2005-02-09 Unilever Plc Edible compositions and their preparation
BRPI0606355A2 (pt) * 2005-02-09 2009-06-16 Unilever Nv produto alimentìcio, uso de uma composição, uso de um éster de ácido graxo de esterol e bebidas
EP1879465A1 (en) * 2005-02-09 2008-01-23 Unilever N.V.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
JP2006333828A (ja) * 2005-06-03 2006-12-14 Sanei Gen Ffi Inc 植物性ステロール含有乳飲料及び当該乳飲料用乳化剤
BRPI0620537A2 (pt) * 2005-11-24 2011-11-16 Unilever Nv produto de bebida aquosa
AU2006326830A1 (en) * 2005-12-20 2007-06-28 Forbes Medi-Tech Inc.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phytosterols and/or phytostanols, or derivatives thereof, and high HLB emulsifiers
US8309156B2 (en) 2005-12-20 2012-11-13 Pharmachem Laboratori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phytosterols and/or phytostanols, or derivatives thereof, and high HLB emulsifiers
US20070196436A1 (en) * 2006-02-23 2007-08-23 Conopco, Inc., D/B/A Unilever Process for preparing an edible composition comprising steroidal glycosides
DE602006007846D1 (de) * 2006-08-31 2009-08-27 Nestec Sa Interaktion zwischen Nahrungeiweiss und geladene Emulgator
JP4803392B2 (ja) * 2007-04-25 2011-10-26 キユーピー株式会社 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食品
EP2067410A1 (en) * 2007-12-07 2009-06-10 Cognis IP Management GmbH Water-dispersable sterol containing dispersion
EP2123166A1 (en) 2008-05-15 2009-11-25 Unilever N.V. Edible emulsions with citric acid ester
FI122054B (fi) * 2008-08-29 2011-08-15 Valio Oy Menetelmä tuotteen maun parantamiseksi
GB0820846D0 (en) * 2008-11-14 2008-12-24 Carson John W Improved proteinaceous digestates
FI20090023A0 (fi) 2009-01-26 2009-01-26 Ravintoraisio Oy Uusi elintarvike
FI123374B (fi) * 2011-03-25 2013-03-15 Ravintoraisio Oy Uusi syötävä koostumus
EP2744355B1 (en) * 2011-08-15 2016-09-21 Unilever N.V. Edible composition comprising sterol
FI126342B (en) * 2012-09-24 2016-10-14 Ravintoraisio Oy Snack with LDL cholesterol lowering effect
NZ711956A (en) 2013-03-08 2018-06-29 Axiom Foods Inc Rice protein supplements
US9820504B2 (en) 2013-03-08 2017-11-21 Axiom Foods, Inc. Rice protein supple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645950B2 (en) 2017-05-01 2020-05-12 Usarium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products from material comprising oilcake, compositions produced from materials comprising processed oilcake, and systems for processing oilcake
WO2018209131A1 (en) 2017-05-12 2018-11-15 Axiom Foods, Inc. Rice product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CN110897164A (zh) * 2019-12-26 2020-03-24 广州莱可福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植物甾醇的组合物及其改善血糖的用途
CN111011850A (zh) * 2019-12-26 2020-04-17 广州莱可福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植物甾醇的组合物的用途
KR20240004256A (ko) * 2021-02-23 2024-01-11 업필드 유럽 비.브이. 스테롤을 포함하는 스프레드 조성물
US11839225B2 (en) 2021-07-14 2023-12-12 Usarium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lternative meat from liquid spent brewers' yeast
CN116574521B (zh) * 2023-05-20 2023-10-27 广州宏度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植物水解蛋白氨基酸衍生物表面活性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425A (ja) * 1983-06-30 1985-01-21 Fuji Oil Co Ltd コレステロ−ル低下性蛋白加水分解物及びその製造法
JPS60114252A (ja) 1983-11-25 1985-06-20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義歯床製作法
US5023084A (en) * 1986-12-29 1991-06-11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Transdermal estrogen/progestin dosage unit, system and process
JP2885430B2 (ja) 1989-08-16 1999-04-26 旭松食品株式会社 凍豆腐
JPH0570323A (ja) 1991-09-12 1993-03-23 Kose Corp 乳化化粧料
US5514655A (en) * 1993-05-28 1996-05-07 Abbott Laboratories Enteral nutritional with protein system containing soy protein hydrolysate and intact protein
CH685283A5 (it) * 1993-09-21 1995-05-31 Inpharma Sa Composizioni dietetiche ipocolesterolemizzanti.
US5523087A (en) * 1995-02-15 1996-06-04 Bio-Virus Research Incorpor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male sexual dysfunction
JP3599347B2 (ja) * 1995-09-06 2004-12-08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脂質代謝改善剤
JPH09157179A (ja) * 1995-12-04 1997-06-17 Terumo Corp 液状栄養組成物
JPH1156295A (ja) * 1997-08-25 1999-03-02 Kuretsusendo Corp:Kk ある種のオリゴ糖によるドレッシングへの応用
US6063776A (en) * 1998-05-26 2000-05-16 Washington University Sitostanol formulation with emulsifier to reduce cholesterol absorp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use of same
AU754448B2 (en) * 1998-07-29 2002-11-14 Fuji Oil Company Limited Soybean protein hydrolysates, their production and use
NZ511812A (en) * 1998-11-25 2003-11-28 Nutri Pharma As Method of lowering 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serum levels and increasing the HDL/LDL cholesterol ratio thereby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ID24148A (id) * 1998-11-26 2000-07-13 Hoffmann La Roche Turunan-turunan fitostfrol dan/atau fitostanol
US6113972A (en) * 1998-12-03 2000-09-05 Monsanto Co. Phytosterol protein complex
US6544566B1 (en) * 1999-04-23 2003-04-08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sterol, soy protein and isoflavone for reducing LDL cholesterol
US6267963B1 (en) * 1999-06-02 2001-07-31 Kraft Foods, Inc. Plant sterol-emulsifier complexes
US6316041B1 (en) * 1999-10-26 2001-11-13 Liferight Foods, L.L.C. Poultry egg with beneficial health and nutritive values
JP2003512850A (ja) * 1999-11-03 2003-04-08 フォーブス メディ−テッ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食用油または脂肪と、その中に実質的に溶解したフィトステロールおよび/またはフィロスタノールとを含む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心血管疾患およびその根底にある状態を治療または予防することにおけるその使用
US6677327B1 (en) * 1999-11-24 2004-01-13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Phytosterol and phytostanol compositions
EP1121928B1 (en) 2000-01-31 2008-01-23 Härting S.A. Compositions containing phytosterol and policosanol esters of fatty acids for reducing bloo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CA2415470A1 (en) * 2000-06-02 2001-12-06 Jerzy Zawistowski Oil compositions comprising short, medium and long chain triglycerides and use thereof in reducing weight gain
US20060121176A1 (en) * 2004-12-06 2006-06-08 Solae, Llc Soy protein-contai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function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25078C2 (ru) 2008-05-27
US8192769B2 (en) 2012-06-05
JP2005513143A (ja) 2005-05-12
ES2376195T3 (es) 2012-03-09
ZA200404920B (en) 2005-10-26
US20110301085A1 (en) 2011-12-08
KR101007423B1 (ko) 2011-01-12
WO2003055324A1 (en) 2003-07-10
KR20100047905A (ko) 2010-05-10
EP1455588A1 (en) 2004-09-15
PL370533A1 (en) 2005-05-30
MXPA04006143A (es) 2005-03-31
US20100130401A1 (en) 2010-05-27
IL162590A (en) 2009-07-20
RU2004121968A (ru) 2005-08-20
AU2002352305A1 (en) 2003-07-15
US20060182784A1 (en) 2006-08-17
CN100391354C (zh) 2008-06-04
CA2470367A1 (en) 2003-07-10
IL162590A0 (en) 2005-11-20
EP1455588B1 (en) 2011-11-16
ATE533534T1 (de) 2011-12-15
AU2002352305B2 (en) 2008-04-17
FI20012553A0 (fi) 2001-12-21
PL209569B1 (pl) 2011-09-30
CN1617670A (zh)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423B1 (ko)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예방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함유하는 조성물
AU2002246174B2 (en) Improved edible compositions for lowering cholesterol
EP1414314B1 (en) Composition for lowering blood cholesterol
JP4422726B2 (ja) 満腹促進食品組成物
EP1662903B1 (en) Food composition
AU2002246174A1 (en) Improved edible compositions for lowering cholesterol
EP1959746B1 (en) Improved fat composition
AU2006326830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phytosterols and/or phytostanols, or derivatives thereof, and high HLB emulsifiers
EP1641359B1 (en) Compositions and food products from oat
EP1815745A1 (en) Cholesterol-lowering dairy product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EP2897473B1 (en) Serum cholesterol lowering snack product and an improved method for lowering cholesterol
CN103648306A (zh) 降低血清胆固醇的饮品和用于降低胆固醇的改进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