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779A -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779A
KR20040075779A KR1020040011473A KR20040011473A KR20040075779A KR 20040075779 A KR20040075779 A KR 20040075779A KR 1020040011473 A KR1020040011473 A KR 1020040011473A KR 20040011473 A KR20040011473 A KR 20040011473A KR 20040075779 A KR20040075779 A KR 20040075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oard
holding
p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다카미히코
나카타니요시키
아이타테츠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77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3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substrat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7Grooves, ribs, or the like, situated on opposed walls and between which the articles are lo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는, 수납 본체의 외형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측면판이, 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을 협지함에 의해 만곡되게 하여 수납하도록, 그 수납 본체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플라스틱 기판 등의 플렉시블성을 갖는 기판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수납, 유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FLEXIBLE SUBSTRATE STORAGE EQUIPMENT AND FLEXIBLE SUBSTRATE STORING METHOD}
본 발명은, 액정 표시용, 일렉트로루미네슨트 표시용, 플라즈마 표시용, 형광 표시관용, 컬러 필터용, 태양전지용 등으로서 사용되는 플렉시블성을 갖는 박판 형태의 각종 기판이나 각종 시트 등의 기판(예컨대, 글라스 기판, 플라스틱 기판, 금속 박 등), 또는 이러한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된 완성 패널 등을 수납하기 위한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각종 OA 기기 단말기 또는 액정 텔레비전 등에 응용되는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평면 박형의 표시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글라스 기판이 사용되지만, 글라스 기판 메이커 및 액정 패널 메이커 상호간에서의 글라스 기판(완성 패널 포함)의 수납·반송을 위해, 수지 발포체로 구성되는 글라스 기판용 수납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995-132986호(1995년 5월 23일 공개)에서는, 바닥을 갖는 용기 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에는, 글라스 기판을 수직 자세 또는 수평 자세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해 유지부를 형성한 글라스 기판 수납 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15(a) 및 도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특히 널리 사용되고 있는 0.7밀리 두께 또는 1.1밀리 두께 등의 글라스 기판(104)은, 기판 수납 용기(101)에 수납·보관된다. 이 기판 수납 용기(101)에는, 상기 글라스 기판(104)을 수직 자세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해, 내측의 한 쌍의 면에 유지부(103,10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1매의 글라스 기판(104)은, 대향하는 2개의 유지부(103,103) 사이에 삽입됨에 의해, 기판 수납 용기(101)내에서 유지·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지부(103)와 기판 수납 용기(101)의 내측 측면이 이루는 각도인 유지 각도 θa는, 통상 90°로 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998-120074호(1998년 5월 12일 공개)에는,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즈가 다른 LCD 패널을 횡방향으로 하여 용기에 복수 매 수납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아래로 향하여 경사지는 유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낸 LCD 패널은, 만곡되어 있는데 이것은 자중에 의한 것이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낸 LCD 패널은, 유지부에 놓여져 있는 것뿐이고, LCD 패널의 단부는 용기의 측면 벽에 접해 있지 않다.
한편,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998-322056호(1998년 12월 4일 공개)에는, 유지하는 기판의 크기에 맞추어, 기판용 카세트의 폭을 신축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기판 등의 플렉시블성을 갖는 기판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수납, 유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납 본체의 외형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는, 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을 협지함에 의해 만곡되게 하여 수납하도록, 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은, 수납 본체의 외형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 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을 협지함에 의해 만곡되게 하는 방법에 의해 수납된다.
상기한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이, 만곡된 상태에서 수납된다. 이 때문에, 기판의 굽힘 강성이 커지는 것에 의해 기판이 갖는 유연성이 감소되고, 이른바 허리가 나오는 상태로 된다. 그 결과, 기판 자신이 자립하기 쉽게 되어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내에서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플라스틱 기판 등의 플렉시블성을 갖는 기판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수납, 유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에서의 수납 본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수납 본체에 수납되는 평탄한 상태의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1(b)는 상기 수납 본체에 수납된 때의 만곡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1(c)는 상기 수납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1(d)는 측면 판에 의한 기판의 협지 상태, 및 유지부에 의한 기판의 유지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2는 상기 수납 본체 및 뚜껑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상기 수납 본체에 기판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상기 수납 본체에 설치된 유지부에서의 기판 유지면의 경사 각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5는 기판이 횡 방향으로 수납되는 경우의 수납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a)는 본 발명에서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한 쌍의 접속봉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의 기판 수납용 카세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6(b)는 상기 한 쌍의 접속봉의 간격이 수축된 상태의 기판 수납용 카세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7은 상기 기판 수납용 카세트의 유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8(a)는 본 발명에서의 수납 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수납 본체에 수납되는 평탄한 상태의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8(b)는 상기 수납 본체에 수납된 때의 만곡된 상태의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8(c)는 바닥 면에 만곡 홈이 형성된 상기 수납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9는 도8(c)의 A-A선의 정면도이다.
도10(a)는 본 발명에서의 수납 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수납 본체에 수납되는 평탄한 상태의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1O(b)는 상기 수납 본체에 수납된 때의 만곡된 상태의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10(c)는 바닥 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상기 수납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1은 도10(c)의 B-B선의 정면도이다.
도12(a)는 본 발명에서의 수납 본체의 유지부의 경사 각도를 결정할 때의 실험을 나타낸 것으로서, 기판에 약한 축 방향의 압축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의 기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12(b)는 상기 기판에 약한 축 방향의 압축력을 가하는 경우의 기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12(c)는 상기 기판에 강한 축 방향의 압축력을 가한 경우의 기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3은 플라스틱 기판의 경우에서의 수납 본체의 유지부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14는 글라스 기판의 경우에서의 수납 본체의 유지부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15(a)는 종래의 수납 본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수납 본체에 수납된 평탄한 상태의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15(b)는 상기 수납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6은 상기 수납 본체에 제공된 유지부에서의 기판 유지면의 각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7은 종래의 다른 수납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해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 용기(10)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을 갖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로서의 수납 본체(1) 및 뚜껑부(2)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부재로서의 측면판(3a,3a)이, 그 측면판(3a,3a)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다른 쪽의 측면판(3b,3b)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납 본체(1)에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4)이 수직 자세로 삽입되어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 라인 등에서는, 이와 같은 수납 본체(1)에, 10매 내지 수십 매 정도의 플렉시블 기판으로서의 박형 글라스 기판이 수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플렉시블 기판은, 반드시 박형 글라스 기판으로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기판 등의 플렉시블성을 갖는 기판이면 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기판(4)은, 수지 재료 또는 수지와 무기의 복합 재료로 구성된 플라스틱 기판이고, 사이즈가 360mm x 465mm, 두께가 0.2mm이다. 또한, 이 플라스틱 기판에 질화 실리콘막이 부착된 기판(4)이라도 된다. 또한, 사이즈 및 두께는,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1)에는, 도1(a), 도1(b), 도1(c), 및 도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면판(3a,3a)이 기판(4)을 협지함에 의해 만곡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협지는, 보유와는 다른 개념이다. 협지는, 2개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사이에 끼워두고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보유는, 단지 지지하는 정도의 개념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4)을 강제로 만곡시켜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그러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 쌍의 측면판(3a,3a)의 간격인 수납 본체의 폭 Wa가, 상기 기판(4)의 기판 길이 Ws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기판의 길이 Ws는, 협지된 기판(4)의 협지 방향 길이를 말한다. 또한, 수납 본체의 폭 Wa에 대해서도, 수납 본체(1)에서의, 기판(4)의 협지 방향 폭을 말한다.
이와 같이, 기판(4)을 만곡시키는 이유는, 기판(4)이 얇은 경우에는,유연성이 크고 굽힘 강성이 적기 때문에, 수직 평면 상태에서 수납 본체(1)에 기판(4)을 수납하면, 기판(4)이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없고, 안정적으로 자립하기 어렵게 되는(또는 자립으로 될 수 없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4)을 만곡시켜서 수납함에 의해, 굽힘 강성을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4) 자신이 자립하기 쉬워지고, 수납 본체(21)내에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기판(4)의 단면 형상이 장방형보다도 만곡 형상인 쪽이 단면 2차 모멘트 Ⅰ가 커진다. 여기에서, 단면 2차모멘트 Ⅰ는, 재료 역학 등에서 사용되는 량이고, 역학적 조건이나 재질과는 무관하게 물체의 단면 형상만으로 결정되는것이다.
그 결과, 물체의 굽힘 난이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굽힘 강성(=종탄성 계수 E x 단면 2차 모멘트 Ⅰ)이 커지기 때문에, 기판(4)은 구부려지기 어려워진다. 즉, 기판(4)이 가진 유연성이 감소되고, 이른바 허리가 나오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판(4) 자신이 자립하기 쉬워지고, 수납 본체(1) 내에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4)을 측면판(3a,3a)에서 협지함에 의해, 강제로 기판(4)을 만곡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자중에 의해 기판(4)이만곡되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납 본체(1)의 측면판(3a,3a)에는, 도1(a), 도1(b), 도1(c), 및 도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4)을 수직 자세로 수납했을 때, 이들 기판(4…)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만곡 상태로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기판 유지면(6…)을 구비한 유지부(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판(3a,3a)에 형성된 유지부(5)의 기판 유지면(6)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된 기판(4)이 따르도록, 측면판(3a,3a)과 이루는 각도인 유지 각도 θa가 90°이외로 되도록 되어 있다. 즉, 유지부(5)의 기판 유지면(6)의 유지 각도 θa는, 측면판(3a,3a)에 대해 직각이 아닌 다른 각도로 되도록 기판(4)을 유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평탄한 판을 만곡시키면 굽힘 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만곡된 기판(4)은 만곡되어 있지 않은 기판(4)보다 자립하기 쉽게 되는 이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유지 각도 θa가 90°이외, 즉 유지 각도 θa가 0°<θa<89°또는 91°<θa<180°로 된다.
그러나, 이 기판(4)은 글라스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 기판(4)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 라인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기판(4)을 과도하게 만곡시키면, 기판(4)이 손상됨과 동시에 반발력도 커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유지 각도 θa는, 20°∼75°가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이 유지 각도 θa가 20°∼75°로 되도록 기판(4)을 만곡시키기 위해서는, 기판 길이 Ws와 수납 본체의 폭 Wa의 관계를, 210/360<Wa/Ws<358/36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지 각도 θa 또는 기판 길이 Ws와 수납 본체의 폭 Wa의 관계에 의해, 기판(4)이 손상받지 않고 또한 만곡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지고, 기판(4)과 유지부(5)의 접촉 개소에 있어서 쌍방에 걸리는 부하도 감소된다.
예컨대, 기판(4)으로서, 기판 길이 Ws를 360mm, 수납 본체의 폭 Wa를 340mm, 인접한 2개의 유지부(5,5)의 홈 간격 Wh를 2mm, 유지부(5)의 유지 길이 Wb를 8mm, 기판 유지면(6)의 유지 각도 θa를 60°로 하여, 360mm x 465mm의 플라스틱 기판을 인접한 기판 유지면(6,6)에 2매 수납하면, 어떠한 기판(4,4)도 수납 본체(1)내에서 안정성 양호하게 자립하여, 서로 접촉하지 않고 수납할 수 있었다.
다음에, 상기 2매의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기판(4)위에, 아모르퍼스실리콘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의 게이트 절연막용 또는 보호막용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질화 실리콘막을 형성한다. 또한, 질화 실리콘막은, 플라즈마 CVD법을 사용하여 성막 온도 200℃에서 형성된다.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질화 실리콘막은, 막두께가 350nm, 막 응력이 +270Mpa(인장 응력)이었다.
상기 질화 실리콘막이 형성된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기판(4)의 하나의 단변(360mm)의 모퉁이를 손으로 잡고, 장변 방향(465mm)을 수직으로 달아맨 상태로 하면, 기판(4)은 막면을 오목한 형태로 하여 25mm정도 휘었다.
그리고, 수납 본체(1)의 수납 본체의 폭 Wa를 340mm, 인접한 2개의 유지부(5,5)의 홈 간격 Wh를 2mm, 유지부(5)의 유지 길이 Wb를 8mm, 및 유지부(5)에서의 기판 유지면(6)의 유지 각도 θa를 60°로 한 수납 본체(1)에, 상기 질화 실리콘막이 부착된 플라스틱 기판인 기판(4)을 막면이 볼록한 형태로 만곡된 상태에서 2매 수납하면, 어떠한 기판(4)도 수납 본체(1)내에서 안정성 양호하게 자립하여, 서로 접촉하지 않고 수납할 수 있었다. 또한, 기판(4)을 수납 본체(1)내에 수납한 후에, 질화 실리콘막이 박리되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기판(4)이 자립하기 쉬워져 안정성이 증가한 결과, 수납 본체(1)내에서, 기판(4)이 절곡되고, 기판(4)이 자립되지 않고, 기판(4)이 유지부(5)로부터 어긋나게 되어, 인접한 기판(4,4) 끼리가 접촉하여 손상받는, 등의 단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구조의 수납 본체(1)는, 플렉시블성을 갖는 플라스틱 기판, 및질화 실리콘막이 부착된 플라스틱 기판을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4)을 수납 본체(1)에 대해 종 방향으로 설치하도록 수납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4)을 횡방향으로 수납하는 수납 본체(1)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도, 기판(4)을 횡방향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1)는, 수납 본체(1)의 외형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측면판(3a,3a)이 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4…)을 협지함에 의해 만곡시켜 수납하도록, 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은, 수납 본체(1)의 외형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측면판(3a,3a)에서, 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4…)을 협지함에 의해 만곡시켜서 수납한다.
이로써, 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4…)이, 만곡된 상태에서 수납된다. 이 때문에, 기판(4…)의 굽힘 강성이 커지게 됨에 의해 기판(4)의 유연성이 감소되고, 이른바 허리가 나오는 상태로 된다. 그 결과, 기판(4) 자신이 자립하기 쉬워져 수납 본체(1)내에서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플라스틱 기판 등의 플렉시블성을 갖는 기판(4)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수납, 유지할 수 있는 수납 본체(1)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1)는 한 쌍의 측면판(3a,3a)에서의 기판(4)의수납 상태의 간격인 수납 본체의 폭 Wa는, 협지된 기판(4)의 협지 방향 길이인 기판 길이 Ws보다 짧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은, 한 쌍의 측면판(3a,3a)에서의 기판(4)의 수납 상태의 간격인 수납 본체의 폭 Wa를, 협지된 기판(4)의 협지 방향 길이인 기판 길이 Ws보다 짧게 한다.
따라서, 기판(4)을 수납하면, 필연적으로 기판(4)이 만곡된다. 이 결과, 수납된 기판(4)을 용이하게, 또한 간단한 구조로 만곡되게 하는 수납 본체(1)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1)에서, 각 측면판(3a,3a)에는, 복수의 기판(4…)을 나란하게 보유하기 위한 유지부(5)가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기판을 나란하게 하여, 정리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1)에서, 유지부(5)는, 측면판(3a,3a)에 대해 직각과 다른 각도로 기판(4)을 유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판(3a,3a)과 유지부(5)의 기판 유지면(6)이 이루는 각도를 90°이외로 함에 의해, 만곡된 기판(4)이 유지부(5)에 따르도록 된다. 그 결과, 기판(4)의 만곡 형상을 보다 유지하기 쉬워지고, 기판(4)과 유지부(5)의 접촉 개소에 있어서 쌍방에 걸리는 부하도 감소된다. 또한, 접촉면에서의 쌍방의 마찰 등에 의한 먼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1)에서는, 기판(4)이 직립 설치되어 수납되기 때문에, 평탄한 형상의 기판(4)을 수납할 때, 만곡에 의해 기판(4)의 강성이 커진다. 이 때문에, 기판(4)을 안정적으로 자립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수납 본체(1)에 기판(4…)을 수납하여 운반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1)에서, 한 쌍의 측면판(3a,3a)은, 평판이므로, 수납 본체(1)를, 플렉시블 기판 수납 용기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운반이 용이한 플렉시블 기판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1의 도면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첨부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로서의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실시예1의 수납 본체(1)에 상당)는,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4)을 횡방향으로 수납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대향 부재로서의 접속봉(23a,23a)이, 기판(4)의 출입시에 그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실시예1과 동일하다.
즉, 상기 기판 수납용 카세트(20)는, 바닥판(27a,27b)에 8개의 접속
봉(23a,23a)을 직립 설치하여 고정하고, 그 위에, 천장판(28a,28b)을 설치하여 카세트 외형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접속봉(23a,23a)이 상기 접속봉(23a,23a)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바닥판(27a,27b) 및 천장판(28a,28b)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판(27a,27b) 및 천장판(28a,28b)은, 어느 것이나신축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로써, 한 쌍의 대향 부재인 접속봉(23a,23a)은, 기판(4)의 출입시에 그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변경 가능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판(4)이 수납되어 있을 때 바닥판(27a,27b) 및 천장판(28a,28b)이 수축된 상태에서는,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의 카세트 내부 폭은 Wc인 한편, 기판(4)을 수납할 때의 바닥판(27a,27b) 및 천장판(28a,28b)이 신장된 상태에서는,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의 카세트 내부 폭은 Wd로 된다. 따라서, 당연히, 카세트 내부 폭 Wc<카세트 내부 폭 Wd이다. 또한, 카세트 내부 폭 Wc 및 카세트 내부 폭 Wd는, 어느 것이나 기판(4)의 협지 방향의 폭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세트 내부 폭 Wc로 되어 있을 때, 상기 접속봉(23a,23a)에 의해 기판(4)을 만곡시키도록 협지하게 된다. 따라서, 기판 길이 Ws<카세트 내부 폭 Wc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세트 외형 부재인 접속봉(23a,23a)의 서로 대향하는 일면에, 플렉시블 기판으로 된 기판(4)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5)를 형성하고, 그 유지부(5)에 기판 유지면(6…)을 복수 개,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27a,27b) 및 천장판(28a,28b)은, 도6(a) 및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수 관계를 갖고 슬라이드 자재하게 되어 있고, 바닥판(27b) 및 천장판(28b)에 형성된 오목부에, 바닥판(27a) 및 천장판(28a)에 형성된 볼록부가 삽입 자재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27a,27b)끼리 및 천장판(28a,28b)끼리는, 예컨대 각각 도시 안된 스프링에 의해, 바닥판(27a,27b) 끼리 및 천장판(28a,28b)끼리가 각각 수축 방향으로 인장되어 있다. 다만, 반드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바닥판(27a,27b)끼리 및 천장판(28a,28b)끼리가 자유롭게 인출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바닥판(27a,27b)끼리 및 천장판(28a,28b)끼리가 수축될 때, 예컨대 도시 안된 로크 핀을 삽입하여 로크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상기 유지부(5)의 기판 유지면(6)은, 상기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만곡된 기판(4)이 따르도록, 접속봉(23a,23a)과 이루는 각도인 유지 각도 θa가 90°이외로 되도록 되어 있다. 즉, 유지부(5)의 기판 유지면(6)의 유지 각도 θa는, 접속봉(23a,23a)에 대해 직각이 아닌 각도로 기판(4)을 유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유지 각도 θa는 0°<θa<89°또는 91°<θa<180°이다. 또한, 이 유지 각도 θa에 대해서도,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유지 각도 θa는 20°∼75°가 바람직하다고 한다. 또한, 이에 따라,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 유지 각도 θa가 20°∼75°로 되도록 기판(4)을 만곡시키기 위해서는, 기판 길이 Ws와 카세트 내부 폭 Wc의 관계를, 210/360<Wc/Ws<358/36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기판(4)이 만곡 형상을 보다 유지하기가 쉬워지고, 기판(4)과 유지부(5)의 접촉 개소에 있어서 쌍방에 걸리는 부하도 감소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유지부(5)의 기판 유지면(6)에는,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기판용 굴곡부로서의 굴곡부(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굴곡부(7)의 굴곡 각도 θb는 180°와는 다른 각도로 되어 있다. 이로써 기판 유지면(6)에 굴곡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지부(5)의 기판 유지면(6)에는, 고정단측 유지면(6a) 및 자유단측 유지면(6b)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이 굴곡부(7)의 굴곡 각도 θb는, 상기 자유단측 유지면(6b)이 기판(4)의 협지 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고정단측 유지면(6a) 및 자유단측 유지면(6b)의 기능 차이에 대해, 상기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의 수납 동작을 설명함에 의해 행한다.
먼저, 기판(4)을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에 수납할 때는,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27a,27b) 및 천장판(28a,28b)을 신장시킨다.
이 때, 카세트 내부 폭은 Wd로 되고, 기판 길이 Ws보다 큰 형태이다. 이 때문에, 기판(4)을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평탄한 형상의 기판(4)의 협지 방향의 양단을 기판 유지면(6)의 입구측에 배치한다. 이 때, 서로 대향하는 기판 유지면(6,6)의 각 자유단측 유지면(6b)은, 기판(4)의 협지 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으로써, 평탄한 형상의 기판(4)은, 그의 평탄성이 유지되는 상태로 그의 이면이 각 자유단측 유지면(6b)에 접촉하고, 이로써 기판 유지면(6,6)의 각 자유단측 유지면(6b)에 유지된다.
이 결과, 평탄한 형상의 기판(4)을 슬라이드시킴에 의해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의 안쪽 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음, 이 상태에서, 바닥판(27a,27b) 및 천장판(28a,28b)을 수축시킨다. 이 수축 동작은, 도시 안된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삽입 후, 이들이 즉각 수축되지 않도록, 그리고 모든 기판(4)을 삽입한 후에, 이들을 수축시킬 수 있도록, 도시 안된 로크 핀에 의해 로크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27a,27b) 및 천장판(28a,28b)이 완전히 수축된 때, 기판(4)은 한 쌍의 접속봉(23a,23a)에 의해 협지되고, 그 결과 기판(4)은 기판 유지면(6)의 고정단측 유지면(6a)측으로 삽입된다. 이 때의 카세트 내부 폭 Wc는 기판 길이 Ws보다 작은 상태이고, 그 결과, 기판(4)의 이면이 기판 유지면(6)의 안쪽의 고정단측 유지면(6a)과 접촉한 상태에서, 기판(4)이 유지된다.
이 때, 기판(4)은 접속봉(23a,23a)에 의한 협지에 의해 만곡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그 만곡에 따르도록 유지 각도 θa가 결정되어 있다. 또한, 기판(4)을 취출할 때는, 다시, 도6(a)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에서는, 예컨대 기판(4)을 출입할 때의 카세트 내부 폭 Wd를 370mm로 하고, 기판 유지 모드에서의 카세트 내부 폭 Wc를 340mm로 하고, 유지부(5,5)의 홈 간격 Wh를 9mm로 하고, 유지 각도 θa를 60°로 하고, 굴곡 각도 θb를 210°로 하고, 자유단측 유지면(6b)의 길이를 20mm로 하고, 고정단측 유지면(6a)의 길이를 10mm로 하여, 실시예1과 같은 플라스틱 기판을 2매, 도6(a) 및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하면, 어느 기판(4…)도 기판 수납용 카세트(20)내에서 안정성 양호하게 유지되어, 서로 접촉하지 않게 수납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구조의 기판 수납용 카세트(20)는, 플렉시블성을 갖는 플라스틱 기판을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접속봉(23a,23a)의 양쪽의 유지부(5,5)에서의 기판 유지면(6,6)에 굴곡부(7,7)가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이것뿐 아니라,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접속봉(23a,23a) 중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5)에서의 기판 유지면(6)에 굴곡부(7)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한 쌍의 접속봉(23a,23a)의 유지부(5,5)에서의 기판 유지면(6)이 전혀 없는 것에 비교하면, 기판(4)의 출입시의 삽입, 취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판(4)을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에 대해 횡방향으로 만곡시켜 수납했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기판(4)을 종방향으로 직립 설치하여 수납하는 기판 수납용 카세트(20)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도, 기판(4)을 종방향으로 직립 설치하여 만곡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기판(4)의 출입 시에, 바닥판(27a,27b) 및 천장판(28a,28b)을 신장시켜 용이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에서, 한 쌍의 접속봉(23a,23a)은, 기판(4)의 출입시에는 그의 간격인 카세트 내부 폭 Wc가 카세트 내부 폭 Wd까지 넓어 지도록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음에 의해 기판(4)을 출입할 때는, 만곡된 기판(4)을 평탄한 형상으로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기판(4)을 만곡시켜 삽입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평탄한 형상의 기판(4)의 상태에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4)을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판 수납용 카세트(20)에서는, 한 쌍의 접속봉(23a,23a)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봉(23a)의 유지부(5)에는, 굴곡부(7)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유지부(5)의 자유단측을 기판(4)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기판(4)의 출입 시에, 한 쌍의 접속봉(23a,23a)의 카세트 내부 폭 Wc를 넓혔을 때, 확실하게, 만곡된 기판(4)을 평탄한 형상으로 하여 출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확실히, 기판(4)을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다.
〔실시예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도면에 도시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첨부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는, 상기 실시예1의 수납 본체(1)를 개량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로서의 수납 본체(30)는, 도8(a), 도8(b), 도8(c)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본체(30)의 안쪽 바닥판으로서의 바닥면(8)에 만곡 형상의 삽입 홈으로서의 만곡 홈(9)을 부가한 것 이외는, 상기한 실시예1의 수납 본체(1)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30)에는, 바닥면(8)에 복수의 만곡 홈(9…)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만곡 홈(9…)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유지부(5,5) 사이에, 기판 유지면(6)마다, 1개의 비율로 배치하고, 그 형상은 만곡 형상으로 된 플라스틱 기판으로 된 기판(4)의 형상에 잘 따르도록 결정된다.
그리고, 이 바닥면(8)에서의 만곡 홈(9…)에 기판(4…)이 각각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수납 본체(30)내에 기판(4)을 수납하면, 측면판(3a,3a)에서의 유지부(5,5)의 기판 유지면(6,6)에 의해 기판(4)의 서로 대향하는 2변이 유지되는 동시에, 또한 만곡 홈(9)에 의해서도 기판(4)의 다른 1변이 유지된다. 즉, 만곡 형상인 기판(4)에 대해, 합계 3변이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기판(4)은 보다 안정된 상태로 수납 본체(30) 내에 수납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1의 조건에 덧붙여, 만곡 홈(9)의 깊이를 3mm로 하고, 360mm x 465mm의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기판(4)을 대향하는 유지부(5,5)의 각 기판 유지면(6)에 2매 수납하면, 어떠한 기판(4,4)도 수납 본체(30) 내에 안정성 양호하게 자립하여, 서로 접촉하지 않고 수납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30)에서, 바닥면(8)에는, 기판(4)의 만곡을 안내하는 만곡 홈(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4…)을 수납했을 때, 기판(4…)의 삽입 방향 안쪽의 변을 만곡 홈(9·‥)에 삽입함에 의해, 기판(4…)의 삽입 방향 안쪽에 대해서도 유지 기능이 갖춰지게 되어, 기판(4…)은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되게 된다.
〔실시예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의 도면에 도시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첨부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는, 상기 실시예1의 수납 본체(1)를 개량한 것이고, 상기 실시예3에 유사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로서의 수납 본체(40)는, 도10(a), 도10(b), 도10(c) 및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3의 만곡 홈(9…) 대신에, 수납 본체(40)의 바닥면(8)에 만곡 형상의 돌기(41…)를 복수 개 부가한 이외는, 상기 실시예1의 수납 본체(1)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40)에는, 바닥면(8)에 복수의 돌기(41…)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41…)는 만곡 형상으로 배치되어, 기판(4)의 만곡 형상에 잘 맞도록 결정된다.
이들 돌기(41…)는, 대향하는 유지부(5,5) 사이에 예컨대 5개씩 형성되어 있다. 단, 반드시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개수로 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돌기(41…)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4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돌기(41…)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바닥면(8)에 형성하는 구멍(42…)의 장소 및 수를 선택함에 의해 돌기(41)의 장소 및 수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멍(42‥·)을, 바닥면(8)의 전면에 다수 설치함에 따라, 임의의 구멍(42…)에 돌기(41‥·)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시에, 만곡에 따라 배열을 결정하고, 돌기(4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본체(40)내에 기판(4)을 수납하면, 측면판(3a,3a)에서의
유지부(5,5)의 기판 유지면(6,6)에 의해 기판(4)의 서로 대향하는 2변이 유지되고, 또한 복수 개의 만곡 형상으로 배치된 돌기(41…)에 의해 기판(4)의 다른 1변이 유지된다. 즉, 만곡 형상인 기판(4)에 대해, 합계 3변이 유지됨으로써, 기판(4)은 보다 안정된 상태로 수납 본체(40)내에 수납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1의 조건에 덧붙여, 돌기(41…)의 높이를 3mm로 하고, 360mm x 465mm의 플라스틱 기판으로 된 기판(4)을 대향하는 유지부(5,5)의 각 기판 유지면(6,6)에 2매 수납하면, 어떠한 기판(4,4)도 수납 본체(30)내에 안정성 양호하게 자립하여, 서로 접촉하지 않고 수납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납 본체(40)에서, 바닥면(8)에는, 기판(4)의 만곡을 안내하는 돌기(41…)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4)을 수납한 때, 기판(4)의 삽입 방향 안쪽의 변을 돌기(41…)의 측면에 접하게 함에 의해, 기판(4)의 삽입 방향 안쪽에 대해서도 유지 기능이 갖춰지게 되어, 기판(4)은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예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는 수납 본체와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각도 θa의 최적치를 구하는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은, 기판(4)에 축 방향의 압축력을 가하여 기판 폭(=횡변 360mm)을 변화시키고, 그 때의 종변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기판은 이하의 2가지이다.
〔기판의 종류〕
·플라스틱 기판 1매
·글라스 기판 1매
〔기판의 치수〕
·플라스틱 기판은 0.2mm 두께
·글라스 기판은 0.7mm 두께
또한, 사이즈는 어떠한 기판도 동일하게, 횡방향 360mm ×종방향 465mm이다.
실험·측정 방법은, 도12(a), 도12(b), 및 도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1. 플라스틱 기판을 수직 자세에서 수평한 받침대 위에 세운다. 즉, 하나의 횡변(360mm)이 받침대의 면과 접한 상태.
2. 기판의 2개의 종변(465mm)에 힘을 가한다. 그 결과, 기판의 2개의 횡변(360mm)은 만곡한다.
3. 힘을 증가함에 따라 만곡의 정도는 커지고, 위에서 본 횡변의 형상은 「직선」→「호(궁형)」를 거쳐, 최후에는「U자」로 된다.
4. 횡변의 형상이 변화하여도, 「호」의 길이는 항상 360mm이다. 한편, 「현(코드)」의 길이(=종변과 종변을 잇는 직선 거리)는, 360mm보다 작아지게 된다.
5.「현」의 길이를 변화시키고(360mm→94mm), 그 때의 종변의 각도(실시예에서 기술한 유지 각도 θa)를 측정한다.
6. 다음, 글라스 기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1∼5를 실시한다. 단, 글라스 기판에는 플렉시블성이 대부분 없기 때문에,「현」의 길이는 360mm→358mm 까지 밖에 변할 수 없었다. 즉, 355mm까지 변화시키려고 하면, 글라스 기판은 갈라져 버렸다.
상기 실험·측정을 행하자, 플라스틱 기판에서는 도13에 나타낸 결과로 되고, 글라스 기판에서는 도14에 나타낸 결과로 되었다.
이상으로부터, 유지 각도 θa는, 바람직하게는, 20°∼75°가 좋은 것을 알았다.
또한, 이 유지 각도 θa가 20°∼75°로 되도록, 기판(4)을 만곡시키기 위해서는, 기판 길이 Ws와 수납 본체의 폭 Wa의 관계는, 210/360<Wa/Ws<358/36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았다. 이로써 기판(4)을 안정적으로 자립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는,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의 기판의 수납 상태의 간격은, 협지된 기판의 협지 방향 길이보다 짧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은,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의 기판의 수납 상태의 간격을, 상기 협지된 기판의 협지 방향 길이보다 짧게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의 기판의 수납 상태의 간격은, 협지된 기판의 협지 방향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기판을 수납하면, 필연적으로 기판이 만곡된다.
이 결과, 수납된 기판을 용이하게, 또한 간단한 구조로 만곡시키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는, 상기 각 대향 부재에, 상기 복수의 기판을 나란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 대향 부재에는, 복수의 기판을 나란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복수의 기판을 나란하게, 정리한 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에서, 상기 유지부는, 대향 부재에 대해 직각과 다른 각도로 기판을 유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지부는, 대향 부재에 대해 직각과 다른 각도로 기판을 유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부재와 유지부의 각도를 90° 이외로 함에 의해 만곡된 기판이 유지부에 따르도록 된다. 이 결과, 기판의 만곡 형상을 보다 유지하기 쉬워지고, 기판과 유지부의 접촉 개소에 있어서 쌍방에 걸리는 부하도 감소된다. 또한, 접촉면에서의 쌍방의 마찰 등에 의한 먼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에서,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는, 상기 기판의 출입시에 그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대향 부재는, 상기 기판의 출입시에 그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변경 가능하게 됨에 의해, 기판을 출입할 때는, 만곡된 기판을 평탄한 형상으로 출입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기판을 만곡시켜 삽입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평탄한 형상의 기판의 상태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을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는,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부재의 유지부에, 각 기판용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부의 자유단측을 기판의 삽입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기판의 출입시에, 한 쌍의 대향 부재의 간격을 넓어지게 할때, 확실하게, 만곡된 기판을 평탄한 형상으로 하여 출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하게, 기판을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에서는,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에,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에 안쪽 바닥판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상기 안쪽 바닥판에는,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는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을 수납했을 때,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의 변을 삽입 홈에 삽입함에 의해,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에 대해서도 유지 기능이 갖춰지고, 기판은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는,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에,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에 바닥 판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안쪽 바닥 판에는,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는 돌기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을 수납했을 때,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의 변을 돌기의 측면에 접하게 함에 의해,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에 대해서도 유지 기능이 갖춰지고, 기판은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에서, 상기 기판은 직립 설치되어 수납된다.
따라서, 평탄한 형상의 기판을 수납할 때, 만곡에 의해 기판의 강성이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기판을 안정적으로 자립시킬 수 있고, 특히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에 기판을 수납하여 운반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에서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는 평판이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를, 플렉시블 기판 수납 용기로서 형성
할 수 있다. 이 결과, 운반이 용이한 플렉시블 기판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백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그러한 구체예로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할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6)

  1. 수납 본체의 외형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대향부재는, 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을 협지함에 의해 만곡되게 하여 수납하도록, 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의 기판의 수납 상태의 간격은, 협지된 기판의 협지 방향 길이보다 짧은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향 부재는, 상기 복수의 기판을 나란하게 유지하기 위해 형성된 유지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향 부재는, 상기 복수의 기판을 나란하게 유지하기 위해 형성된 유지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대향 부재에 대해 직각과 다른 각도로 기판을 유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대향 부재에 대해 직각과 다른 각도로 기판을 유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는, 상기 기판의 출입시에는 그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부재의 유지부는, 각 기판용 굴곡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의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에 안쪽 바닥 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쪽 바닥 판은,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삽입 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의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에 안쪽 바닥 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쪽 바닥 판은,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삽입 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각 대향 부재에 상기 복수의 기판을 나란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 및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의 안쪽 바닥 판에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각 대향 부재에 상기 복수의 기판을 나란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 및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의 안쪽 바닥 판에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각 대향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부재에 기판용 굴절부를 포함하는 유지부, 및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의 안쪽 바닥 판에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각 대향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부재에 기판용 굴절부를 포함하는 유지부, 및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의 안쪽 바닥 판에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의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에 제공된 안쪽 바닥 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쪽 바닥 판은,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의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에 제공된 안쪽 바닥 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쪽 바닥 판은,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각 대향 부재에 상기 복수의 기판을 나란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 및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의 안쪽 바닥 판에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각 대향 부재에 상기 복수의 기판을 나란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 및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의 안쪽 바닥 판에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각 대향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부재에 기판용 굴절부를 포함하는 유지부, 및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의 안쪽 바닥 판에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는, 상기 각 대향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부재에 기판용 굴절부를 포함하는 유지부, 및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 안쪽의 안쪽 바닥 판에 상기 기판의 만곡을 안내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직립 설치되어 수납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직립 설치되어 수납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는 평판인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는 평판인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25. 수납 본체의 외형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플렉시블성을 갖는 복수의 기판을 협지함에 의해 만곡되게 하여 수납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 부재에서의 기판의 수납 상태의 간격을, 상기 협지된 기판의 협지 방향 길이보다 짧게 하는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
KR1020040011473A 2003-02-21 2004-02-20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 KR200400757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5059 2003-02-21
JP2003045059A JP2004250084A (ja) 2003-02-21 2003-02-21 フレキシブル基板収納具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収納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779A true KR20040075779A (ko) 2004-08-30

Family

ID=3286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473A KR20040075779A (ko) 2003-02-21 2004-02-20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31158B2 (ko)
JP (1) JP2004250084A (ko)
KR (1) KR20040075779A (ko)
CN (1) CN1266007C (ko)
TW (1) TWI2296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039A (ko) * 2016-03-31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의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0381B2 (en) * 2004-09-23 2009-06-02 Blasco Stanley J Reusable shipping container for fragile objects
JP4584023B2 (ja) * 2005-05-17 2010-11-1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21575A (ja) * 2005-05-17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0939621B1 (ko) * 2005-06-25 2010-0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카세트
JP4652177B2 (ja) * 2005-09-02 2011-03-16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の実施に用いられる製造装置
US7658055B1 (en) * 2006-10-01 2010-02-09 Nanosolar, Inc. Method of packaging solar modules
JP2011108715A (ja) * 2009-11-13 2011-06-02 Shin Etsu Polymer Co Ltd 基板収納容器
US20110272420A1 (en) * 2010-05-05 2011-11-10 Applied Materials, Inc. Enclosed vertical rack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large substrates
US8826693B2 (en) 2010-08-30 2014-09-09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 treating a glass substrate
US20140360552A1 (en) * 2012-07-19 2014-12-11 Brittmore Group LLC Solar Panel Field Array Support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Use
JP5773158B2 (ja) * 2011-11-10 2015-09-02 株式会社Ihi 薄板状ワーク保管装置
US9153466B2 (en) * 2012-04-26 2015-10-06 Asm Ip Holding B.V. Wafer boat
WO2014103808A1 (ja) * 2012-12-24 2014-07-03 淀川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板体収容用ボックス
KR102098306B1 (ko) * 2013-02-20 2020-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수납 장치
JP6104695B2 (ja) * 2013-04-30 2017-03-29 ミライアル株式会社 非対称溝形状ウェーハカセット
US9284211B2 (en) 2013-08-08 2016-03-15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post processing a glass sheet
US9558781B1 (en) 2014-10-16 2017-01-31 Flextronics Ap, Llc Method for selecting individual discs from tightly spaced array of optical discs
US9651360B1 (en) 2014-10-21 2017-05-16 Flextronics Ap, Llc Optical methods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optical discs in tightly packed cylindrical arrays
EP3085641A1 (en) * 2015-04-23 2016-10-26 AGC Glass Europe Container for transporting and/or storing a plurality of glass sheets
KR102446561B1 (ko) * 2015-12-11 2022-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US10068787B2 (en) 2016-12-30 2018-09-04 Sunpower Corporation Bowing semiconductor wafers
CN106944987B (zh) * 2017-05-23 2024-02-13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显示器作业工作台
CN109677781A (zh) * 2018-12-21 2019-04-26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曲面显示装置的缓冲组合结构及其周转包装箱
CN112278601A (zh) * 2020-10-27 2021-01-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昌邑市供电公司 一种可调节式的电能表周装箱
JP2022159782A (ja) * 2021-04-05 2022-10-18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パネル収納容器
CN115384856B (zh) * 2022-09-13 2023-12-22 河南汇达印通科技股份有限公司 放置件、装箱装置、整箱感光材料板和装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7360A (en) * 1956-01-11 1957-09-24 Int Paper Co Packing for frangible articles
DE2133843A1 (de) * 1971-07-07 1973-01-18 Siemens Ag Anordnung zum eindiffundieren von dotierstoffen in halbleiterscheiben
US5236094A (en) * 1991-05-06 1993-08-17 Condie Rex S Wiring panel rack apparatus
JP2552625B2 (ja) 1993-11-09 1996-11-13 淀川化成株式会社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H0853176A (ja) 1994-06-06 1996-02-27 Tenshiyou Denki Kogyo Kk 板体収納用ラック
JP3740722B2 (ja) 1995-09-22 2006-02-01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カセット
JPH10120074A (ja) 1996-10-16 1998-05-12 Sharp Corp パネル収納用カセット
JP3911765B2 (ja) 1997-05-22 2007-05-09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カセット
KR100247138B1 (ko) * 1997-11-20 2000-03-1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유리기판 적재용 카세트
JP4855569B2 (ja) * 2000-10-20 2012-01-1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基板を梱包するための容器
JP3685327B2 (ja) 2002-02-20 2005-08-1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収納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039A (ko) * 2016-03-31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의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6007C (zh) 2006-07-26
JP2004250084A (ja) 2004-09-09
TWI229651B (en) 2005-03-21
CN1522939A (zh) 2004-08-25
US20040163988A1 (en) 2004-08-26
TW200426089A (en) 2004-12-01
US7431158B2 (en) 200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5779A (ko) 플렉시블 기판 수납구 및 플렉시블 기판 수납 방법
US20020197139A1 (en) Transfer device for substrate and storing device therein
US759474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80056907A (ko) 기판 수납용 카세트
US72745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334691B2 (en) Glass substrate cassette
KR100282683B1 (ko) 광파이버 어레이 접속장치
US8227057B2 (en) Corrugated paper sheet buffer article
KR20040044706A (ko) Lcd용 글라스 적재 카세트
US20050040311A1 (en) Display apparatus
US7246708B2 (en) Adjustable cassette for substrates
US8861190B2 (en) Display device
KR20040044374A (ko) 기판 수납 트레이
JP2000172377A (ja) 電子機器
KR20000038536A (ko) 엘씨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엘씨디 모니터 장치
US8537300B2 (en) Display device
JPH10133050A (ja) 光ファイバ整列具
JPWO2008041711A1 (ja) ディスプレイ用部材搬送ケース
KR101928269B1 (ko)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CN113253505B (zh) 显示装置
CN219468414U (zh) 一种载玻片储存盒
JP4013224B2 (ja) 光ファイバ接続切替装置
KR200266538Y1 (ko) 글래스 셀 카세트
JP4578021B2 (ja) スプライスユニット
KR200357946Y1 (ko) 크기 가변식 카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712

Effective date: 2007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