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621B1 - 카세트 - Google Patents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621B1
KR100939621B1 KR1020050055391A KR20050055391A KR100939621B1 KR 100939621 B1 KR100939621 B1 KR 100939621B1 KR 1020050055391 A KR1020050055391 A KR 1020050055391A KR 20050055391 A KR20050055391 A KR 20050055391A KR 100939621 B1 KR100939621 B1 KR 10093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ide plate
conversion
casset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5433A (ko
Inventor
손장헌
차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621B1/ko
Priority to US11/312,503 priority patent/US7508482B2/en
Priority to JP2005379409A priority patent/JP4532404B2/ja
Priority to CNB2005101365780A priority patent/CN100404389C/zh
Priority to TW094147627A priority patent/TWI283770B/zh
Publication of KR20060135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세트는 수납할 기판의 모델 변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의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내부 측면에 위치하며, 이동이 가능하고 다수의 슬릿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의 상, 하부의 소정 영역에 설치되는 모델 변환장치; 상기 모델 변환장치 내에 위치하며, 수납할 글라스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변환 레버;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통과하여 상부의 변환 레버에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변환 레버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변환 봉; 및 상기 변환 봉과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플레이트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판, 카세트, 사이드 플레이트, 모델 변환장치

Description

카세트{CASSETTE}
도 1은 일반적인 카세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카세트에 구비된 모델 변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세트에 있어서, III-I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카세트의 모델 변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카세트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카세트 103 : 프레임
103A : 측면 프레임 103B : 상부 프레임
103C : 후면 프레임 103D : 가이드 프레임
110 : 모델 변환장치 115 : 삽입구
116 : 변환 레버 121 : 변환 봉
125 : 사이드 플레이트
본 발명은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기판의 저장과 이송을 담당하는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기존의 표시장치인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하는 경량 박막형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에 대한 연구 및 상업화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중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치로서, 해상도와 컬러표시 및 화질 등에서 우수하여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하,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구동회로 유닛(unit)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backlight)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mold frame) 및 케이스(case)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크게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과 어레이(array) 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으로 구성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은 색상을 구현하는 적(Red; R), 녹(Green; G), 청(Blue; B)색의 서브컬러필터로 구성되는 컬러필터와 상기 서브컬러필터 사이를 구분하고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그리고 상기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투명한 공통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어레이 기판은 상기 기판 위에 종횡으로 배열되어 복수개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복수개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스위칭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상기 화소영역 위에 형성된 화소전극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은 화상표시 영역의 외곽에 형성된 실런트(sealant)에 의해 대향하도록 합착되어 액정표시패널을 구성하며, 두 기판의 합착은 상기 어레이 기판 또는 컬러필터 기판에 형성된 합착키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정표시패널의 제조공정은 크게 어레이 기판에 스위칭소자를 형성하는 어레이공정과 컬러필터 기판에 컬러필터를 형성하는 컬러필터공정 및 셀(cell)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의 액정표시패널의 제조공정은 서로 상이한 단위공정들로 연결되어 있고 각 단위공정을 수행하는 장비가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각 장비들로 액정표시패널의 기판(예를 들면, 글라스(glass))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상 기 기판을 수납하는 카세트(cassette)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생산하는 장소는 매우 청정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를 위한 기판들은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상태로 공정간 이동하거나 임시 저장을 위해 스토커(stocker)의 내부에 저장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카세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1)는 박스 형태의 프레임(frame)(3)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수의 글라스가 다층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2)에 다수의 슬릿(slit)(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는 상기 카세트(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3)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슬롯(4)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로부터 돌출하여 점 접촉 또는 면 접촉을 통해 카세트(1) 내에 수납된 글라스를 지지하게 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카세트에 구비된 모델 변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 변환장치(1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글라스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구(15)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모델 변환장치(10)는 카세트(1)의 상, 하부 네 모서리에 설치되며 그 사이의 카세트(1) 내부에는 이동이 가능하며 슬롯(4)을 구비한 사이드 플레이트(2)가 위치하게 되는데, 수납할 글라스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모델 변환장치(10)의 소정 삽입구(15)에 대응하도록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를 이동시키고 나사 (11)를 이용하여 상기 모델 변환장치(10)와 사이드 플레이트(2)를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참고로, 미설명부호 12는 와셔(washer)를 나타내며, 상기 모델 변환장치(10)의 표면에 도시된 14, 17, 19, 20.1은 글라스로 제작되는 액정표시패널의 사이즈를 인치로 나타낸 것으로 그 사이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나사 체결방식은 글라스의 모델 변경에 따라 상,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8개의 모델 변환장치(10)에서 나사 체결작업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여, 또한 상기와 같은 지속적인 변경 및 체결작업에 따라 모델 변환장치(10)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카세트(1)는 그 무게는 50Kg이상으로 글라스의 모델 변경시 작업자 1인의 대응이 불가능하며, 그 변경작업에 걸리는 시간도 길어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표시패널용 글라스의 모델 변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라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카세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세트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의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내부 측면에 위치하며, 이동이 가능하고 다수의 슬릿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의 상, 하부의 소정 영역에 설치되는 모델 변환장치; 상기 모델 변환장치 내에 위치하며, 수납할 글라스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변환 레버;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통과하여 상부의 변환 레버에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변환 레버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변환 봉; 및 상기 변환 봉과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플레이트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세트에 있어서, III-I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면에는 2개의 카세트가 결합하여 하나의 카세트 유닛을 구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세트(101)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프레임(103)과 상기 프레임(103)의 내부 측면에 위치하되, 이동이 가능하며 다수의 슬롯(104)을 구비한 사이드 플레이트(125)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프레임(103)은 외부 측면과 상부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3)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프레임(103A)과 상부 프레임(103B) 및 후면 프레임(103C)을 포함한다.
상기 카세트(101)의 프레임(103)은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박스 형태로 조립되 어지며, 상기 프레임(103)을 구성하는 측면 프레임(103A)과 상부 프레임(103B) 및 후면 프레임(103C)은 나사 또는 용접에 의해 프레임(103)에 결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슬롯(104)은 사이드 플레이트(125)의 내부 측면에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점 접촉 또는 면 접촉을 통해 상기 수납된 모기판, 예를 들면 글라스(미도시)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슬롯(104) 및 사이드 플레이트(125)는 글라스의 수납시 상기 글라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테프론(teflon)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슬롯(104) 및 사이드 플레이트(125)를 테프론으로 형성하게 되면 글라스와 슬롯(104) 및 사이드 플레이트(125)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해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글라스의 모델 변경시 서로 마주보는 좌, 우측의 슬롯(104)들 사이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카세트(101)는 프레임(103)의 상, 하부 네 모서리에 원 터치(one touch)방식의 모델 변환장치(110)를 설치하고, 상기 모델 변환장치(110)에 연결되어 모델 변환장치(11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롯(104)을 포함하는 좌, 우측의 사이드 플레이트(125)를 그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변환 봉(change rod)(120)을 구비하게 된다.
참고로, 여기서 설명하는 좌, 우측은 카세트(101)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서로 마주보는 좌, 우측을 의미하기로 한다.
이때, 도면에는 카세트(101)의 한 측면에 4개의 사이드 플레이트(125)와 두 개의 변환 봉(12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5)와 변환 봉(120)의 개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프레임(103)의 상, 하부 세 모서리에 모델 변환장치(110)가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 모델 변환장치(110)의 개수 및 형성 위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5)와 변환 봉(120)은 프레임(103)의 상, 하부에서 각각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103D)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변환 봉(1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5)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03D)에 의해 일체화되어 연결된 사이드 플레이트(125)와 변환 봉(120)은 수납할 글라스의 소정 사이즈(예를 들면, 상기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A, B 사이즈)에 따라 그 좌우 사이의 폭이 조정되게 되며, 이러한 조정은 본 실시예의 모델 변환장치(110)에서 변환 레버의 원 터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카세트의 모델 변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델 변환장치(110)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글라스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변환 레버(11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삽입구(115)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구(115)는 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델 변환장치(110)의 표면에는 수납할 글라스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가 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A~M의 알파벳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A~M의 알파벳은 삽입구(115)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수납할 글라스의 사이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변환 레버(116)는 그 하부의 가이드 프레임(103D)을 통과하여 변환 봉과 간접적으로 연결되게 되며, 상기 변환 레버(116)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103D)과 변환 봉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델 변환장치(110)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변환 레버(116)가 이동할 수 있는 제 1 통로(115A)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통로(115A)의 좌, 우측에는 가지 형태로 뻗은 제 2 통로(115B)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 통로(115B)들은 그 끝에 각각 삽입구(115)들이 위치하여 상기 제 2 통로(115B)들을 통해 변환 레버(116)가 상기 삽입구(115)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guide)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삽입구(115)에 변환 레버(116)가 삽입되어 모델 변환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변환 레버(116), 즉 하부의 가이드 프레임(103D)과 변환 봉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통로(115B)의 폭은 상기 삽입구(11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수납할 글라스의 사이즈에 따라 변환 레버(116)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변환 레버(116)를 상기 모델 변환장치(110)의 제 1 통로(115A)와 제 2 통로(115B)를 통해 이동시켜 상기 글라스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의 삽입구(115)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변환 레버(116)와 변환 봉 사이에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상부로 이동시킨 변환 레버(116)를 놓게 되면 상기 변환 레버(116)는 하부의 원래 위치로 자동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즉, 변환 레버(116)를 통한 원 터치방식의 조작으로 좌, 우측의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폭을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수납할 글라스의 사이즈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미설명부호 119는 본 실시예의 모델 변환장치(110)를 프레임(103)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카세트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환 레버(116)는 그 하부로 길게 형성된 지지대(1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는 변환 봉(120) 내부에 삽입되어 상, 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121)의 상부, 즉 가이드 프레임(103D)과 변환 봉(120) 사이에는 전술한 탄성부재(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는 상부의 변환 레버(116)와 가이드 프레임(103D) 및 변환 봉(12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하부에도 동일한 구조의 변환 레버(116)와 가이드 프레임(103D) 및 변환 봉(1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1)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03D)을 통과하여 상부의 변환 레버 (116)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대(121)는 상기 변환 레버(116)에 비해 그 직경이 작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지지대(121)의 직경이 상부 변환 레버(116)의 직경보다 작게 설계되고, 상기 모델 변환장치(110)의 제 2 통로의 폭이 상기 지지대(121)와 변환 레버(116)의 직경 사이에서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변환 레버(116)가 모델 변환장치(110)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모델 변환작업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제 2 통로를 통한 상기 변환 레버(116), 즉 지지대(121)와 변환 봉(120)과 가이드 프레임(103D) 및 사이드 플레이트(125)의 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수납할 글라스의 사이즈에 따라 변환 레버(116)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변환 레버(116)를 상기 모델 변환장치(110)의 제 1 통로와 제 2 통로를 통해 이동시켜 상기 글라스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의 모델 변환장치(110)의 삽입구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로 이동시킨 변환 레버(116)를 놓게 되면 상기 변환 레버(116)는 하부의 원래 위치로 자동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는 간편한 모델 변환작업으로 소요 시간을 감소시키며 변환작업에 필요한 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4)

  1.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의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내부 측면에 위치하며, 이동이 가능하고 다수의 슬릿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의 상, 하부의 소정 영역에 설치되는 모델 변환장치;
    상기 모델 변환장치 내에 위치하며, 수납할 글라스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변환 레버;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통과하여 상부의 변환 레버에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변환 레버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변환 봉; 및
    상기 변환 봉과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플레이트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및 사이드 플레이트는 테프론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변환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 하부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변환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1 통로;
    상기 제 1 통로의 좌, 우측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 2 통로; 및
    상기 제 2 통로들 끝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의 폭은 상기 삽입구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 2 통로와 삽입구는 수납될 글라스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레버는 수납할 글라스의 사이즈가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통로와 제 2 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글라스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의 삽입구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레버는 그 폭이 상기 모델 변환장치의 제 2 통로보다 크고 상기 모델 변환장치의 삽입구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모델 변환장치의 제 2 통로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변환 레버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용수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KR1020050055391A 2005-06-25 2005-06-25 카세트 KR10093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391A KR100939621B1 (ko) 2005-06-25 2005-06-25 카세트
US11/312,503 US7508482B2 (en) 2005-06-25 2005-12-21 Casset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5379409A JP4532404B2 (ja) 2005-06-25 2005-12-28 カセ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B2005101365780A CN100404389C (zh) 2005-06-25 2005-12-30 制造液晶显示器件的卡盒
TW094147627A TWI283770B (en) 2005-06-25 2005-12-30 Casset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391A KR100939621B1 (ko) 2005-06-25 2005-06-25 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433A KR20060135433A (ko) 2006-12-29
KR100939621B1 true KR100939621B1 (ko) 2010-02-02

Family

ID=3756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391A KR100939621B1 (ko) 2005-06-25 2005-06-25 카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8482B2 (ko)
JP (1) JP4532404B2 (ko)
KR (1) KR100939621B1 (ko)
CN (1) CN100404389C (ko)
TW (1) TWI2837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75832B (zh) * 2007-03-30 2012-02-2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玻璃基板篮具
JP5053956B2 (ja) * 2008-06-20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WO2011027823A1 (ja) * 2009-09-02 2011-03-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ラック、金属リングの保持方法及び熱処理方法
KR100977593B1 (ko) * 2009-12-03 2010-08-23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수납 공간 가변형 액정 패널 적재 카세트
US8826693B2 (en) 2010-08-30 2014-09-09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 treating a glass substrate
TWI396653B (zh) * 2010-12-10 2013-05-21 Au Optronics Corp 儲存盒
KR200474226Y1 (ko) * 2012-09-28 2014-09-23 장용진 너비조절이 용이한 글래스셀박스
TWM515418U (zh) * 2015-07-27 2016-01-1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用來清洗平板構件之槽體
CN108895613A (zh) * 2018-05-22 2018-11-2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适用多种显示的面板结构及空调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069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KR20040046872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기판을 수납하는 카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584A (ja) * 1994-12-27 1996-07-0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用コンテナ
JPH10203584A (ja) * 1997-01-22 1998-08-04 Nec Corp 基板用カセット
JP3911765B2 (ja) * 1997-05-22 2007-05-09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カセット
JPH11186374A (ja) 1997-12-17 1999-07-09 Starlite Co Ltd 基板用カセット
JP3384446B2 (ja) * 1999-01-08 2003-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パネル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移載方法
JP2000305068A (ja) * 1999-02-18 2000-11-02 Nec Corp 液晶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情報端末機器
CN2424674Y (zh) 2000-06-28 2001-03-28 代圣企业股份有限公司 组合式桌柜的可调整高低的结构
JP2002043406A (ja) * 2000-07-26 2002-02-08 Display Technologies Inc 基板収納カセット
WO2002040980A1 (fr) * 2000-11-17 2002-05-23 Ebara Corporation Procede et instrument d'inspection de tranches, et appareil a faisceau electronique
JP2002318545A (ja) * 2001-04-20 2002-10-31 Sony Corp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30077070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중력불량측정용 카세트
JP2003282695A (ja) * 2002-03-25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パネル板材収納カセット
US7295279B2 (en) * 2002-06-28 2007-11-13 Lg.Philips Lc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TW585823B (en) * 2002-10-04 2004-05-01 Sang A Flontec Co Ltd Glass cell box
TW549569U (en) * 2002-11-13 2003-08-21 Foxsemicon Integrated Tech Inc Substrate cassette
JP2004250084A (ja) * 2003-02-21 2004-09-09 Sharp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収納具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収納方法
KR20050003759A (ko) * 2003-07-04 2005-01-1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유리기판 수납용 카세트
TWI310850B (en) * 2003-08-01 2009-06-11 Foxsemicon Integrated Tech Inc Substrate supporting rod and substrate cassette using the same
US20050226779A1 (en) * 2003-09-19 2005-10-13 Oldham Mark F Vacuum assist for a micro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069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KR20040046872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기판을 수납하는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90876A1 (en) 2006-12-28
TWI283770B (en) 2007-07-11
JP4532404B2 (ja) 2010-08-25
TW200700809A (en) 2007-01-01
JP2007004115A (ja) 2007-01-11
KR20060135433A (ko) 2006-12-29
CN1884010A (zh) 2006-12-27
US7508482B2 (en) 2009-03-24
CN100404389C (zh)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621B1 (ko) 카세트
US676280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structure receiving a back light assembly and a display unit
US890239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10330997B2 (en)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57425B1 (ko) 타일드방식의 대면적 표시장치
CN211180468U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150362788A1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547245B2 (en) Substrate production apparatus for producing a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US812073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5739173A (zh) 模架及具有该模架的液晶显示模块
US2011027364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ram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134128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用枠体
US20140110852A1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00431158C (zh) 薄膜晶体管阵列基板、半穿透半反射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123072B1 (ko)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KR20110102678A (ko) 기판 저장용 카세트
KR101023285B1 (ko) 엘시디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086483B1 (ko) 이송장치 및 그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이송장치
KR100847814B1 (ko) 액정표시소자 제조 공정용 기판 보관 장치
KR101801397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
KR20050105598A (ko) 액정표시장치 운반용 트레이
KR20080075341A (ko) 평판표시모듈용 케이스 및 평판표시장치.
KR101084323B1 (ko) 액정패널 절단장치
KR20070088088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30208218A1 (en) Color filter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