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561B1 -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 Google Patents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561B1
KR102446561B1 KR1020150176707A KR20150176707A KR102446561B1 KR 102446561 B1 KR102446561 B1 KR 102446561B1 KR 1020150176707 A KR1020150176707 A KR 1020150176707A KR 20150176707 A KR20150176707 A KR 20150176707A KR 102446561 B1 KR102446561 B1 KR 102446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hole
disposed
protrusion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307A (ko
Inventor
구자흠
강민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561B1/ko
Priority to US15/222,112 priority patent/US10004153B2/en
Priority to CN201610852990.0A priority patent/CN107039318B/zh
Publication of KR2017007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26Horizontal carrier comprising wall type elements whereby the substrates are vertically supported, e.g. comprising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7Grooves, ribs, or the like, situated on opposed walls and between which the articles are loc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63Clos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aining substrates other than wa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8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ir tracks
    • H01L21/677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ir tracks the workpiece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는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홀 및 제2 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양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기 제1 홀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제3 홀을 갖는 프로텍터 및 상기 프로텍터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커브드 기판을 지지하는 리브, 상기 리브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홀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 상기 리브에서 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홀에 결합되는 제3 돌출부를 포함하는 리브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리브가 상기 프로텍터 평면의 방향에 대해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제3 홀이 상기 측벽의 두께 면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홀에 상기 제3 돌기부가 체결된다.

Description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CURVED SUBSTRATE FOR CASSETTE}
본 발명은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사용하는 기판을 복수개 동시에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운반 장치를 사용하여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판 수납용 카세트에 리브를 설치하여 리브 사이의 홈에 기판을 1매씩 끼워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이를 사용하여 운반함으로써, 복수 매의 기판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그러나, 기판을 1매씩 끼우는 기판 수납용 카세트에서는, 기판의 단부가 리브로 지지되어 있을 뿐이고, 중앙부는 어디에도 지지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의 경우, 기판이 휘어져, 기판의 중앙부가 다른 기판의 중앙부에 접촉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커브드 기판을 적재/이재하는 경우 상측의 기판과 하측의 기판이 걸려버리거나 접촉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커브드 기판을 적재할 수 있는 카세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금형이 필요하고 금형으로 제조되는 카세트는 그 사이즈 마다 각각 제조하게 되면 비용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금형으로 제작되는 카세트의 경우는 형상 구현에 상당한 제약이 뒤따라 적재 용량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울어진 리브를 배치시켜 커브드 기판들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출납이 용이한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종이로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를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적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는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홀 및 제2 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양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기 제1 홀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제3 홀을 갖는 프로텍터 및 상기 프로텍터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커브드 기판을 지지하는 리브, 상기 리브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홀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 상기 리브에서 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홀에 결합되는 제3 돌출부를 포함하는 리브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리브가 상기 프로텍터 평면의 방향에 대해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제3 홀이 상기 측벽의 두께 면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홀에 상기 제3 돌기부가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프로텍터 및 상기 리브 부재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는 복수의 라미네이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프로텍터의 몸체에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리브를 중심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리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의 체결 방향에 의해서 어느 방향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쪽 가장 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텍터의 몸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 배치되어 타측에 배치된 리부 부재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의 배치 기울기 방향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홀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는, 제1 라미네이트층에 배치되는 제3-a 홀, 제2 라미네이트층에 배치되는 제3-b 홀, 및 제3 라미네이트층(200c)은 제3-c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a 홀, 상기 제3-b 홀 및 상기 제3-c 홀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평행한 방향 또는 상기 프로텍터의 길이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a 홀, 상기 제3-b 홀 및 상기 제3-c 홀의 일부는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상기 제3 홀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a 홀, 상기 제3-b 홀 및 상기 제3-c 홀의 일부는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계단 형상으로 배치된 상기 제3 홀은 상기 프로텍터의 평면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리브 부재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1 리브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3 돌출부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프로텍터의 평면에 상기 확장부 및 상기 제1 리브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3 돌출부는 서로 상이한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3 돌출부는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상이한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 사이에는 접히는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제1 리브에 상기 제3 돌기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리브에는 제4 돌기부가 더 구비하며,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제4 돌기부에 결합되는 제4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와 제2 리브 사이에 제3 리브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리브는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커브드 기판들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출납이 용이한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이로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를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적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리브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프로텍터와 리브 부재의 체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프로텍터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리브 부재와 프로텍터의 체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리브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리브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프로텍터와 리브 부재의 체결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리브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은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홀(110) 및 제2 홀(120)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양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홀(110)에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제3 홀(230)을 갖는 프로텍터(200) 및 프로텍터(200)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커브드 기판(CS)을 지지하는 리브(310), 리브(310)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홀(120)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320), 리브(310)에서 타방향으로 돌출되어 제3 홀(230)에 결합되는 제3 돌출부(330)를 포함하는 리브 부재(300)를 포함한다.
먼저 커브드 기판(CS)은 핸드폰, 모니터, TV일 수 있다. 커브드 기판(CS)은 완제품일 수도 있지만, 반제품일 수도 있다. 상기한 커브드 기판(CS)을 기반으로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대형의 경우, 색재현성으로 인한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소형의 경우, 그립감을 향상시켜 주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커브드 기판(CS)을 적재/이재할 수 있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종이 재질로 배치될 수 있으며, 커브드 기판(CS)의 무게 등을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소정의 강도를 갖는 복수의 종이가 겹쳐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적재/이재하는 커브드 기판(CS)의 종류에 따라 적층 종이를 적층시켜 다양한 두께 및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평면 상에는 복수의 홀들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 영역에 인접하게 제1 홀(1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110)은 양쪽 변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쪽 가장 자리를 따라 프로텍터(200)가 배치되며, 복수의 제1 홀(110)들은 프로텍터(200)를 지지/고정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복수의 제1 홀(110)들에 인접하게 제2 홀(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120)에는 리브 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는 프로텍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텍터(200)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돌출된 제1 돌출부(210)를 구비한다. 제1 돌출부(210)는 상기 몸체의 평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어느 하나의 두께 면에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10)는 제1 홀(110)에 체결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쪽 가장 자리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평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텍터(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수용 공간에는 커브드 기판(CS)이 적재/이재될 수 있고, 프로텍터(200)는 커브드 기판(CS)을 적재/이재 후 운반 등이 용이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커브드 기판(CS)을 보호할 수 있다.
프로텍터(200)의 제1 돌출부(210)는 제1 홀(110)에 체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10)는 프로텍터(200)의 몸체에서 돌출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평면에 법선 방향으로 구멍난 제1 홀(110)에 체결되어 프로텍터(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고정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복수의 적층 종이가 겹쳐져 소정의 강도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적층 종이 각각의 층을 라미네이트층(200a, 200b, 200c)으로 정의한다.
프로텍터(200)에는 상기 복수의 라미네이트층 일부에 중첩되는 복수의 홀을 연결시켜 제3 홀(230)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홀(230)은 프로텍터(200)의 단면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의 단면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되는 제3 홀(230)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는 리브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 부재(300)는 커브드 기판(CS)을 지지하는 리브(310)와, 리브(310)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320), 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330)를 구비한다.
리브 부재(300)는 복수의 적층 종이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종이를 적층시켜 리브(310)가 커브드 기판(CS)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하는 것은 아니고, 종이를 반을 접거나, 서로 다른 형상을 종이를 이어 붙여 리브 부재(3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리브 부재(300)는 일부는 프로텍터(200)에 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될 수 있다.
리브 부재(300)의 제2 돌출부(3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며, 리브(310)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 부재(300)의 제3 돌출부(330)는 프로텍터(200)에 결합되며, 리브(310)에서 프로텍터(2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평면과 프로텍터(200)의 몸체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제2 돌출부(320)와 제3 돌출부(330)는 리브(310)를 중심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리브 부재(300)의 제3 돌출부(330)는 프로텍터(200)의 제3 홀(23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300)에 배치된 제2 돌출부(3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제2 홀(12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리브 부재(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쪽 가장 자리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로텍터(200)의 몸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 배치되어 타측에 배치된 리부 부재(300)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 부재(300)는 복수의 제2 홀(12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홀(120)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브(310)는 인접한 리브(310)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이격 간격 상에 커브드 기판(CS)은 적재 및 이재될 수 있다. 즉, 커브드 기판(CS)을 적재 및 이재하는 공간인 상기한 이격 간격은 적재 영역(L)으로 정의한다.
적재 영역(L)에서 리브(310)는 커브드 기판(CS)의 형상(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프로텍터(200)에서 돌출된 길이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형의 TV인 경우는 그 무게를 지지해 줄 수 있는 길이로 리브(310)가 프로텍터(200)에서 돌출 길이가 결정될 수 있고, 소형의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스마트 폰의 무게를 지지해 줄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리브(310)는 실질적으로 커브드 기판(CS)에 접촉되어 지지하기 때문에 리브(310)와 인접한 리브(310)의 이격 공간인 적재 영역(L)의 형성공간 및 리브(310) 돌출 길이는 커브드 기판(CS)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리브(310)는 커브드 기판(CS)의 오목면의 가장 자리에 접촉되어 커브드 기판(CS)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300)의 배치에 따라 배치되는 제2 홀(120)의 이격 간격은 적재 영역(L)에 따라 이격 간격이 다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적재 영역(L)에 커브드 기판(CS)을 적재함에 있어, 커브드 기판(CS)의 적재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커브드 기판(CS) 형상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도록 리브(310)를 기울어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돌출부(330)와 제3 홀(230)을 통해서 리브(310)를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홀(230)은 프로텍터(200)의 단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프로텍터(200)의 상기 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울어지게 배치된 제3 홀(230)에는 제3 돌출부(330)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돌출부(330)와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리브(310)는 제3 돌출부(330)와 제3 홀(230)에 의해서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 소정 간격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300)는 리브(310)의 기울기의 원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2 돌출부(320)에 체결되는 제2 홀(120)은, 리브(310)가 기울어진 방향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커브드 기판(CS)을 지지/고정하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2 홀(120)은 리브(310)가 기울어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돌출부(320), 제3 돌출부(330) 및 리브(3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리브(310)는 제2, 3 돌출부(320, 330)의 체결 방향에 의해서 프로텍터(200)의 평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커브드 기판(CS) 형상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즉,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리브(310)를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에 배치시켜 커브드 기판(CS)들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출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종이로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를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적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프로텍터와 리브 부재의 체결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프로텍터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여기서 용이한 설명 및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4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로텍터(200)는 복수의 라이미네이트된 종이가 적층 배치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는 제3 홀(230)을 구비하며, 제3 홀(230)은 복수의 라미네이트 종이 각각에는 홀이 배치되어 있다. 프로텍터(200)는 제1 라미네이트층(200a), 제2 라미네이트층(200b) 및 제3 라미네이트층(200c)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라미네이트층(200a)은 제3-a 홀(230a)을 구비하고, 제2 라미네이트층(200b)은 제3-b 홀(230b)을 구비하고, 제3 라미네이트층(200c)은 제3-c 홀(230c)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3단의 라미네이트층으로 이루어 진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4단, 5단의 라미네이트층으로 이루어진 프로텍터(2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3-a 홀(230a), 제3-b 홀(230b) 및 제3-c 홀(230c)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평행한 방향 또는 프로텍터(2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일부는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a 홀(230a), 제3-b 홀(230b) 및 제3-c 홀(230c)의 배치에 의해 제3 홀(230)은 계단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a 홀(230a), 제3-b 홀(230b) 및 제3-c 홀(230c)의 배치에 의해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3 홀(230)에 제3 돌출부(330)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돌출부(330)는 제3 홀(230)에 대해 억지 끼움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계단 형상의 제3 홀(230)에 의해 제3 돌출부(330)은 기울진 각도에 대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리브(310)가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서 소정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리브 부재(300)의 제2 돌출부(320)가 기울기를 갖는 제2 홀(120)에 체결되어 기울기 유지력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a 홀(230a), 제3-b 홀(230b) 및 제3-c 홀(230c)의 홀의 반경이 모두 동일하게 배치된다고 가정하면, 제3-a 홀(230a), 제3-b 홀(230b) 및 제3-c 홀(230c)은 모두 동일한 a의 반경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3-a 홀(330a)은 a의 반경을 갖도록 배치시킬 수도 있고, 제3-b 홀(330b)은 a'의 반경을 갖도록 배치시킬 수도 있고, 제3-c 홀(330c)은 a''의 반경을 갖도록 배치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a의 반경, a'의 반경 및 a''의 반경은 상이한 반경일 수 있다.
제3-a 홀(230a), 제3-b 홀(230b) 및 제3-c 홀(230c)이 동일한 a의 반경을 갖는 홀로 형성될 경우, 제3-a 홀(230a)에 대해 제3-b 홀(230b)은 일부 중첩되고 일부는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a 홀(230a)에 대해 제3-b 홀(230b)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영역을 b로 정의한다. 그리고 제3-b 홀(230b)에 대해 제3-c 홀(230c)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b 홀(230b)에 대해 제3-c 홀(230c)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영역을 c로 정의한다.
그리고 제3-a 홀(230a)에 대해 제3-b 홀(230b)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영역을 b영역 이외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영역을 T영역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제3-b 홀(230b)에 대해 제3-c 홀(230c)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영역을 c영역 이외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영역을 T' 영역으로 정의한다. 상기한 T영역 및 T' 영역은 예를 들어, 하부에 a영역에 침범한 영역 및 상부에 a영역에 벗어난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a영역에서 b영역에까지 가상선과, 프로텍터(200)의 단면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경사각(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b영역에서 c영역에서도 경사각(θ)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각(θ)는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서 리브(310)가 배치되는 경사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각(θ)으로 배치되는 리브(310)에는 커브드 기판(CS)이 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가진 커브드 기판(CS)은 경사각(θ)으로 배치되는 리브(310)에 거치되어 인접하게 거치되는 커브드 기판(CS)과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경사각(θ)은 제1 라미네이트층(200a), 제2 라미네이트층(200b) 및 제3 라미네이트층(200c)의 두께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으며, a영역, b영역, c영역의 배치 관계에 의해서 결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a영역, b영역, c영역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도 7에서 설명과 함께 표 1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프로텍터(200)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미네이트층(200a, 200b, 200c)에 복수의 홀(230a, 230b, 230c)을 어긋나게 배치시켜 프로텍터(200)의 평명에 대한 리브(310)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브드 기판(CS)의 곡률에 의해서 돌출된 영역에 대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리브 부재와 프로텍터의 체결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리브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리브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여기서 용이한 설명 및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6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프로텍터(200)는 복수의 라이미네이트된 종이가 적층 배치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는 제3 홀(230)을 구비하며, 제3 홀(230)은 복수의 라미네이트 종이 각각에는 홀이 배치되어 있다. 프로텍터(200)는 제1 라미네이트층(200a), 제2 라미네이트층(200b) 및 제3 라미네이트층(200c)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라미네이트층(200a)은 제3-a 홀(230a)을 구비하고, 제2 라미네이트층(200b)은 제3-b 홀(230b)을 구비하고, 제3 라미네이트층(200c)은 제3-c 홀(230c)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3단의 라미네이트층으로 이루어 진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4단, 5단의 라미네이트층으로 이루어진 프로텍터(2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3-a 홀(230a), 제3-b 홀(230b) 및 제3-c 홀(230c)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평행한 방향 또는 프로텍터(2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a 홀(230a), 제3-b 홀(230b) 및 제3-c 홀(230c)의 배치에 의해 제3 홀(230)은 계단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a 홀(230a), 제3-b 홀(230b) 및 제3-c 홀(230c)의 배치에 의해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3 홀(230)에 제3 돌출부(330)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돌출부(330)는 제3 홀(230)에 대해 억지 끼움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계단 형상의 제3 홀(230)에 의해 제3 돌출부(330)은 기울진 각도에 대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리브(310)가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서 소정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리브 부재(300)의 제2 돌출부(320)가 기울기를 갖는 제2 홀(120)에 체결되어 기울기 유지력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인용하여 설명하면, 제3-a 홀(230a), 제3-b 홀(230b) 및 제3-c 홀(230c)이 동일한 a의 반경을 갖는 홀로 형성될 경우, 제3-a 홀(230a)에 대해 제3-b 홀(230b)은 일부 중첩되고 일부는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a 홀(230a)에 대해 제3-b 홀(230b)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영역을 b로 정의한다. 그리고 제3-b 홀(230b)에 대해 제3-c 홀(230c)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b 홀(230b)에 대해 제3-c 홀(230c)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영역을 c로 정의한다.
그리고 제3-a 홀(230a)에 대해 제3-b 홀(230b)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영역을 b영역 이외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영역을 T영역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제3-b 홀(230b)에 대해 제3-c 홀(230c)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영역을 c영역 이외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영역을 T' 영역으로 정의한다. 상기한 T영역 및 T' 영역은 예를 들어, 하부에 a영역에 침범한 영역 및 상부에 a영역에 벗어난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a영역에서 b영역에까지 가상선과, 프로텍터(200)의 단면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경사각(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b영역에서 c영역에서도 경사각(θ)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각(θ)는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서 리브(310)가 배치되는 경사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각(θ)으로 배치되는 리브(310)에는 커브드 기판(CS)이 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가진 커브드 기판(CS)은 경사각(θ)으로 배치되는 리브(310)에 거치되어 인접하게 거치되는 커브드 기판(CS)과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리브 부재(300-1)는 리브(310)와 리브(310)에서 돌출배치된 제2 돌출부(320), 제3 돌출부(330)를 구비한다. 리브 부재(300-1)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종이로 형성된 리브(310)를 두 영역으로 배치시켜 접어서 리브 부재(300-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리브(310)는 제1 리브(310a)와 제2 리브(310b)를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310a)의 몸체에서 돌출된 제3-1 돌출부(330a)를 구비하고, 제2 리브(310b)의 몸체에서 돌출된 제3-2 돌출부(330b)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310a)와 제2 리브(310b)의 사이에는 접히는 영역(F)가 배치될 수 있다. 접히는 영역(F)는 제2 돌출부(320)가 배치된 영역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브(310a)와 제2 리브(310b)는 접히는 영역(F)에 의해 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제1 리브(310a)와 제2 리브(310b)는 몸체가 서로 형상이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리브(310b)는 제1 리브(310a)의 유사한 몸체에 확장부(E)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확장부(E)는 제1 리브(310a)의 몸체보다 더 확장되어 제1 리브(310a)와 제2 리브(310b)를 겹쳐을 경우, 제2 리브(310b)의 확장부(E)가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더 먼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E)로 인해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먼저 접촉하게 배치되어 자연스럽게 프로텍터(200)의 단면 방향에 대해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확장부(E)로 인해 제3-1 돌출부(330a) 및 제3-2 돌출부(330b)는 길이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1 돌출부(330a) 및 제3-2 돌출부(330b)의 길이가 동일하게 배치된 경우, 확장부(E)로 인해 제3-2 돌출부(330b)가 제3 홀(230)의 내부 방향으로 더 깊이 도달할 수 있다. 반면, 제3-1 돌출부(330a) 및 제3-2 돌출부(330b)의 길이가 상이하게 배치된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E)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제3-1 돌출부(330a) 및 제3-2 돌출부(330b)는 제3 홀(230)의 내부 방향으로 유사한 깊이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리브(310a)와 제2 리브(310b)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리브 부재(300-1)와 프로텍터(200)를 체결할 경우, 구체적으로 제3홀(330)과 제3 돌출부(230)를 체결할 경우, 확장부(E)의 배치로 인해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커브드 기판(CS) 형상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즉,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리브(310)를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에 배치시켜 커브드 기판(CS)들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출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종이로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를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적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과 7에서와 같이,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리브(310)의 경사각(θ)을 형성하기 위해 확장부(E)의 간격 또는 어긋나게 배치되는 T영역의 두께에 대해 표 1에서 정리하였다.
먼저, A, B, D는 각각 프로텍터(200) 또는 리브(300)의 종이 두께를 나타내며, A의 경우는 5mm의 두께이고, B의 경우는 3mm, D의 경우는 1.8 내지 2mm의 두께를 나타낸다. 그리고 AB의 경우는 A의 두께와 B의 두께의 종이를 적층시켜 형성된 종이의 두께를 나타낸다.
각도
(θ)
Value: E, T
D
(1.8~2)
B
(3)
A
(5)
BB
(6)
AB
(8)
AA
(10)
AAA
(15)
2AAA
(30)
0.1 0.1 0.1 0.2 0.2 0.3 0.4 0.8
R3000 0.1 0.2 0.3 0.3 0.4 0.5 0.8 1.6
0.2 0.3 0.5 0.8 0.8 1.1 1.6 3.2
R1800 0.2 0.4 0.6 0.7 1 1.2 1.8 3.7
0.3 0.5 0.8 1 1.3 1.6 2.4 4.8
20° 0.7 1.1 1.8 2.2 2.9 3.6 5.5 10.9
30° 1.2 1.7 2.9 3.5 4.6 5.8 8.7 17.3
45° 2 3 5 6 8 10 15 30
경사각(θ)은 tanθ= T/프로텍터의 두께 또는, tanθ= E/리브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tan 1은 약 0.0175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tanθ= 1(확장부 두께)/8(리브 두께)은 0.1225로 계산되어 θ는 7°의 값이 나올 수 있다. 이에 따라 1800mm의 곡률 반경을 갖는 커브드 구조체를 수용할 수 있는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부(E)의 두께를 조절하여 프로텍터(200)의 면에서 리브(300)가 경사지는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tanθ= 1.2(T영역 두께)/10(프로텍터 두께)를 계산하면 0.12로 θ는 7°의 근사값이 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텍터(200)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미네이트층(200a, 200b, 200c)에 복수의 홀(230a, 230b, 230c)을 어긋나게 배치시켜 리브(310)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리브(310c)와 제4 리브(310d)는 몸체가 서로 형상이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리브(310d)는 제3 리브(310c)의 유사한 몸체에 확장부(E)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확장부(E)는 제3 리브(310c)의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제3 돌출부 방향으로 더 확장되어 제3 리브(310c)와 제4 리브(310d)를 겹쳐을 경우, 제4 리브(310d)의 확장부(E)가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더 먼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E)로 인해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먼저 접촉하게 배치되어 자연스럽게 프로텍터(200)의 단면 방향에 대해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3 리브(310c)의 몸체에서 돌출된 제3-3 돌출부(330c)를 구비하고, 제4 리브(310d)의 몸체에서 돌출된 제3-4 돌출부(330d)를 구비할 수 있다. 제3-3 돌출부(330c) 및 제3-4 돌출부(330d)는 중복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도 7을 인용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히는 영역(F)이 제3 리브(310c) 및 제4 리브(310d)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브(310a)와 제2 리브(310b)는 접히는 영역(F2)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접힐 수 있다.
또한, 제3 리브(310c) 및 제4 리브(310d)에는 각각 제2-3 돌출부(320c) 및 제2-4 돌출부(320d)가 배치될 수 있다. 제2-3 돌출부(320c) 및 제2-4 돌출부(320d)는 상이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4 돌출부(320d)가 제2-3 돌출부(320c)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제2-3 돌출부(320c) 및 제2-4 돌출부(320d)가 결합되는 제2 홀(120)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홀(120)과 제2-3 돌출부(320c) 및 제2-4 돌출부(320d)로 인해 리브(310)는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커브드 기판(CS) 형상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즉,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리브(310)를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에 배치시켜 커브드 기판(CS)들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출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종이로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를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적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3 돌출부(330c) 및 제3-4 돌출부(330d)가 일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은 도 9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접히는 영역(F3)이 제3 리브(310c) 및 제4 리브(310d)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나, 접히는 영역(F2)와 다르게 소정의 영역에 일부만이 배치될 수 있다.
제3-3 돌출부(330c) 및 제3-4 돌출부(330d)가 비대칭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영역(G)을 G로 정의한다. 엇갈리게 배치된 영역(G)으로 인해 제3-3 돌출부(330c) 및 제3-4 돌출부(330d)은 제3 홀(23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홀(230)은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된 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홀(230)에 결합되는 돌출부는 억지 끼움으로 끼워졌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3-3 돌출부(330c) 및 제3-4 돌출부(330d)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영역(G)으로 배치됨에 따라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커브드 기판(CS) 형상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즉, 프로텍터(200)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리브(310)를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에 배치시켜 커브드 기판(CS)들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출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종이로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를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적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평면도이고, 도 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의 프로텍터와 리브 부재의 체결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1)는 프로텍터(200-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텍터(200-1)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도 1 내지 도 4를 인용한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평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00-1)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어느 하나의 두께 면에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제1 홀(110-1)에 체결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1)는 베이스 플레이트(100-1)의 양쪽 가장 자리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1)의 평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텍터(200-1)는 베이스 플레이트(100-1)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수용 공간에는 커브드 기판(CS)이 적재/이재될 수 있고, 프로텍터(200-1)는 커브드 기판(CS)을 적재/이재 후 운반 등이 용이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커브드 기판(CS)을 보호할 수 있다.
프로텍터(200-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복수의 적층 종이가 겹쳐져 소정의 강도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프로텍터(200-1)는 각각의 층을 라미네이트층(200a-1, 200b-1, 200c-1)으로 형성되는 도 1 내지 도 4를 인용한다.
프로텍터(200-1)에는 상기 복수의 라미네이트층 일부에 중첩되는 복수의 홀을 연결시켜 제3 홀(230-1)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홀(230-1)은 프로텍터(200-1)의 단면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1)의 단면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되는 제3 홀(230-1)에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1)는 리브 부재(300-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 부재(300-1)는 커브드 기판(CS)을 지지하는 리브(310-1)와, 리브(310-1)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320-1), 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330-1) 및 제4 돌출부(335-1)를 구비한다.
리브 부재(300-1)는 복수의 적층 종이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종이를 적층시켜 리브(310-1)가 커브드 기판(CS)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하는 것은 아니고, 종이를 반을 접거나, 서로 다른 형상을 종이를 이어 붙여 리브 부재(300-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리브 부재(300-1)는 일부는 프로텍터(200-1)에 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00-1)에 결합될 수 있다.
리브 부재(300-1)의 제2 돌출부(320-1)는 베이스 플레이트(100-1)에 결합되며, 리브(310-1)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1)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 부재(300-1)의 제3 돌출부(330-1) 및 제4 돌출부(335-1)는 프로텍터(200-1)에 결합되며, 리브(310-1)에서 프로텍터(2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00-1)의 평면과 프로텍터(200-1)의 몸체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제2 돌출부(320-1)와, 제3 돌출부(330-1) 및 제4 돌출부(335-1)는 리브(310-1)를 중심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리브 부재(300-1)의 제3 돌출부(330-1) 및 제4 돌출부(335-1)는 프로텍터(200-1)의 제3 홀(230-1)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300-1)에 배치된 제2 돌출부(320-1)는 베이스 플레이트(100-1)의 제2 홀(120-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리브 부재(300-1)는 베이스 플레이트(100-1)의 양쪽 가장 자리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로텍터(200-1)의 몸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 배치되어 타측에 배치된 리부 부재(300-1)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 부재(300-1)는 복수의 제2 홀(120-1)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홀(120-1)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브(310-1)는 인접한 리브(310-1)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이격 간격 상에 커브드 기판(CS)은 적재 및 이재될 수 있다. 즉, 커브드 기판(CS)을 적재 및 이재하는 공간인 상기한 이격 간격은 적재 영역(L)으로 정의한다. 적재 영역(L)은 도 1 내지 도 4를 인용한다.
따라서 리브(310-1)는 실질적으로 커브드 기판(CS)에 접촉되어 지지하기 때문에 리브(310-1)와 인접한 리브(310-1)의 이격 공간인 적재 영역(L)의 형성공간 및 리브(310-1) 돌출 길이는 커브드 기판(CS)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리브(310-1)는 커브드 기판(CS)의 볼록면의 가장 자리에 접촉되어 커브드 기판(CS)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300-1)의 배치에 따라 배치되는 제2 홀(120-1)의 이격 간격은 적재 영역(L)에 따라 이격 간격이 다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적재 영역(L)에 커브드 기판(CS)을 적재함에 있어, 커브드 기판(CS)의 적재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커브드 기판(CS) 형상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도록 리브(310)를 기울어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돌출부(330-1) 및 제4 돌출부(335-1)와, 제3 홀(230-1) 및 제4 홀(235-1)을 통해서 리브(310-1)를 프로텍터(200-1)의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홀(230-1)은 프로텍터(200-1)의 단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프로텍터(200-1)의 상기 몸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및 제4 홀(235-1)은 프로텍터(200-1)의 단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프로텍터(200-1)의 상기 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울어지게 배치된 제3 홀(230-1) 및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4 홀(235-1)에는 제3 돌출부(330-1) 및 제4 돌출부(335-1)가 각각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돌출부(330-1) 및 제4 돌출부(335-1)에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리브(310-1)는 제3 돌출부(330-1)와 제3 홀(230-1)에 의해서 프로텍터(200-1)의 평면에 대해 소정 간격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돌출부(335-1)와 제4 홀(235-1)에 의해서 프로텍터(200-1)의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리브(310-1)는 커브드 기판(CS)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돌출부(320-1), 제3 돌출부(330-1), 제4 돌출부(335-1) 및 리브(310-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리브(310-1)는 제2, 3, 4 돌출부(320-1, 330-1, 335-1)의 체결 방향에 의해서 프로텍터(200-1)의 평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돌출부(335-1)에 의해 리브(310-1)는 커브드 기판(CS)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커브드 기판(CS) 형상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즉, 프로텍터(200-1)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리브(310-1)를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1)에 배치시켜 커브드 기판(CS)들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출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종이로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1)를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적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형의 커브드 기판(CS)을 용이하게 적재/이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200)는 복수의 라이미네이트된 종이가 적층 배치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1)는 제3 홀(230-1) 및 제4 홀(235-1)을 구비하며, 제3 홀(230-1) 및 제4 홀(235-1)은 복수의 라미네이트 종이 각각에는 홀이 배치되어 있다. 프로텍터(200-1)는 제1 라미네이트층(200a-1), 제2 라미네이트층(200b-1) 및 제3 라미네이트층(200c-1)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라미네이트층(200a-1)은 제3-a 홀(230a-1) 및 제4-a 홀(235a-1)을 구비하고, 제2 라미네이트층(200b-1)은 제3-b 홀(230b-1) 및 제4-b 홀(235b-1)을 구비하고, 제3 라미네이트층(200c-1)은 제3-c 홀(230c-1) 및 제4-c 홀(235c-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3단의 라미네이트층으로 이루어 진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4단, 5단의 라미네이트층으로 이루어진 프로텍터(2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3-a 홀(230a-1), 제3-b 홀(230b-1) 및 제3-c 홀(230c-1)은 베이스 플레이트(100-1)에 평행한 방향 또는 프로텍터(200-1)의 길이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일부는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a 홀(230a-1), 제3-b 홀(230b-1) 및 제3-c 홀(230c-1)의 배치에 의해 제3 홀(230-1)은 계단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a 홀(230a-1), 제3-b 홀(230b-1) 및 제3-c 홀(230c-1)의 배치에 의해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3 홀(230-1)에 제3 돌출부(330-1)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돌출부(330-1)는 제3 홀(230-1)에 대해 억지 끼움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계단 형상의 제3 홀(230-1)에 의해 제3 돌출부(330-1)은 기울진 각도에 대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리브(310-1)가 프로텍터(200-1)의 평면에 대해서 소정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리브 부재(300-1)의 제2 돌출부(320-1)가 기울기를 갖는 제2 홀(120-1)에 체결되어 기울기 유지력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반면, 제4-a 홀(235a-1), 제4-b 홀(235b-1) 및 제4-c 홀(235c-1)은 베이스 플레이트(100-1)에 평행한 방향 또는 프로텍터(200-1)의 길이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 3홀(230-1)과 상이하게 일부가 엇갈린 부분 없이 모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a 홀(235a-1), 제4-b 홀(235b-1) 및 제4-c 홀(235c-1)의 배치에 의해 수평한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4 홀(235-1)에 제4 돌출부(335-1)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4 돌출부(335-1)는 제4 홀(235-1)에 대해 서로 매칭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제4 홀(235-1)에 의해 리브(310-1)은 커브드 기판(CS)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리브(310-1)는 제1-1 리브(310a-1), 제1-2 리브(310b-1) 및 제1-3 리브(310c-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 리브(310a-1), 제1-2 리브(310b-1) 및 제1-3 리브(310c-1)는 종이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1 리브(310a-1)는 제3 돌출부(330-1)에 연장되어 제3 홀(230-1)에 체결될 수 있다. 제1-3 리브(310c-1)는 제4 돌출부(335-1)에 연장되어 제4 홀(235-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리브(310b-1)는 제1-1 리브(310a-1)와 제1-3 리브(310c-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리브(310b-1)는 도 7 내지 도 9를 인용하며, 간략히 설명하면, 제1-1 리브(310a-1)가 프로텍터(200-1)의 평면에 대해 자연스럽게 경사각(θ)이 형성되도록 확장부(E)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각(θ)으로 배치되는 제1-1 리브(310a-1)에는 커브드 기판(CS)의 볼록면이 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가진 커브드 기판(CS)은 경사각(θ)으로 배치되는 제1-1 리브(310a-1)에 거치되어 인접하게 거치되는 커브드 기판(CS)과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에서와 상이하게 제1-2 리브(310b-1)를 에어 영역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돌출부(320-1), 제3 돌출부(330-1), 제4 돌출부(335-1) 및 리브(310-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리브(310-1)는 제2, 3, 4 돌출부(320-1, 330-1, 335-1)의 체결 방향에 의해서 프로텍터(200-1)의 평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돌출부(335-1)에 의해 리브(310-1)는 커브드 기판(CS)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커브드 기판(CS) 형상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즉, 프로텍터(200-1)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리브(310-1)를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1)에 배치시켜 커브드 기판(CS)들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출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종이로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10-1)를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적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형의 커브드 기판(CS)을 용이하게 적재/이재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00: 베이스 플레이트
110: 제1 홀 120: 제2 홀
200: 프로텍터 210: 제1 돌출부
230: 제3 홀 300: 리브 부재
310: 리브 320: 제2 돌출부
330: 제3 돌출부

Claims (20)

  1.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홀 및 제2 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양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기 제1 홀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제3 홀을 갖는 프로텍터; 및
    상기 프로텍터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커브드 기판을 지지하는 리브, 상기 리브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홀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 상기 리브에서 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홀에 결합되는 제3 돌출부를 포함하는 리브 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리브가 상기 프로텍터의 평면의 방향에 대해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제3 홀이 상기 프로텍터의 두께 면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홀에 상기 제3 돌출부가 체결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프로텍터 및 상기 리브 부재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복수의 라미네이트층을 포함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프로텍터의 몸체에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홀에 체결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리브를 중심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리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의 체결 방향에 의해서 어느 방향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쪽 가장 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텍터의 몸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 배치되어 타측에 배치된 리부 부재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배치 기울기 방향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홀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체결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제1 라미네이트층에 배치되는 제3-a 홀,
    제2 라미네이트층에 배치되는 제3-b 홀, 및
    제3 라미네이트층(200c)은 제3-c 홀을 구비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a 홀, 상기 제3-b 홀 및 상기 제3-c 홀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평행한 방향 또는 상기 프로텍터의 길이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a 홀, 상기 제3-b 홀 및 상기 제3-c 홀의 일부는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상기 제3 홀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a 홀, 상기 제3-b 홀 및 상기 제3-c 홀의 일부는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계단 형상으로 배치된 상기 제3 홀은 상기 프로텍터의 평면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1 리브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3 돌출부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프로텍터의 평면에 상기 확장부 및 상기 제1 리브가 접촉하게 배치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3 돌출부는 서로 상이한 크기로 배치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3 돌출부는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상이한 크기로 배치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 사이에는 접히는 영역이 배치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제1 리브에 상기 제3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리브에는 제4 돌출부가 더 구비하며,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제4 돌출부에 결합되는 제4 홀을 더 포함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와 제2 리브 사이에 제3 리브가 더 배치되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리브는 공기로 채워지는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KR1020150176707A 2015-12-11 2015-12-11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KR102446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707A KR102446561B1 (ko) 2015-12-11 2015-12-11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US15/222,112 US10004153B2 (en) 2015-12-11 2016-07-28 Cassette for curved substrates
CN201610852990.0A CN107039318B (zh) 2015-12-11 2016-09-26 用于弯曲基底的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707A KR102446561B1 (ko) 2015-12-11 2015-12-11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307A KR20170070307A (ko) 2017-06-22
KR102446561B1 true KR102446561B1 (ko) 2022-09-23

Family

ID=5902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707A KR102446561B1 (ko) 2015-12-11 2015-12-11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04153B2 (ko)
KR (1) KR102446561B1 (ko)
CN (1) CN1070393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798A (ko) 2020-02-06 2021-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용 카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084A (ja) 2003-02-21 2004-09-09 Sharp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収納具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収納方法
JP3740722B2 (ja) 1995-09-22 2006-02-01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カセット
KR100893163B1 (ko) 2008-11-05 2009-04-21 (주) 한국스치로폴 유리기판의 적재가 가능한 조립식 수납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1782A (en) * 1966-03-22 1968-05-07 Gerald S. Ikelheimer Carrying case construction
JP2539717Y2 (ja) 1992-06-26 1997-06-25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カセット
KR100246474B1 (ko) * 1997-10-22 2000-04-01 구본준 액정표시모듈용 패킹 장치
TW376171U (en) * 1998-11-24 1999-12-01 Foxconn Prec Components Co Ltd Radiating device
KR20050044989A (ko) * 2003-11-08 2005-05-16 내일시스템주식회사 액정 패널용 유리기판 운반용 트레이
TWM249927U (en) * 2004-02-06 2004-11-11 Au Optronics Corp Cushion structure and paper sheet therefor
TWI284108B (en) * 2005-02-17 2007-07-21 Au Optronics Corp Cushion structure
CN201321216Y (zh) * 2008-10-30 2009-10-07 富阳光电股份有限公司 易碎板片包装保护装置改良结构
KR20130016665A (ko) * 2011-08-08 2013-02-18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측면 보강장치
CN102582962B (zh) * 2012-03-09 2013-09-2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缓冲材
CN102785841B (zh) * 2012-08-28 2014-04-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包装缓冲结构
KR102304976B1 (ko) * 2015-01-13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카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0722B2 (ja) 1995-09-22 2006-02-01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カセット
JP2004250084A (ja) 2003-02-21 2004-09-09 Sharp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収納具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収納方法
KR100893163B1 (ko) 2008-11-05 2009-04-21 (주) 한국스치로폴 유리기판의 적재가 가능한 조립식 수납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72000A1 (en) 2017-06-15
CN107039318B (zh) 2021-07-09
US10004153B2 (en) 2018-06-19
KR20170070307A (ko) 2017-06-22
CN107039318A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17206S1 (en) Cushion with offset cells
US8722225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improved base plate
US20070095703A1 (en) Packing apparatus with internal partition layer
US20120204767A1 (en) Paper pallet structure
JP5806896B2 (ja) ロール状資材の運搬保管用部材
CA2557952A1 (en) Interlocking roll support and spacing structure
KR102446561B1 (ko)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CN110574184B (zh) 制造二次电池的方法、制造二次电池的袋的方法和二次电池的袋
KR102063938B1 (ko) 스트랩 타입의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
CN1857969B (zh) 板件承载托盘
US11112548B2 (en)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492928Y1 (ko) 유지체, 유지체 유닛 및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US20140099532A1 (en) Secondary battery
KR20120042160A (ko) 종이 파렛트
US10144577B1 (en) Support wedge and related assemblies
CN108657556B (zh) 一种周转箱
US11230428B2 (en) Nested dunnage arrangement
KR101658306B1 (ko) 반도체 칩 트레이
KR102551878B1 (ko) 트레이용 진공성형금형의 적층 스토퍼 성형유닛
CN219155059U (zh) 软包锂电池载具
US20240101309A1 (en) Reel pallet
KR102594367B1 (ko) 다른 색의 코팅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32882A (ko) 롤 거치판
KR200382909Y1 (ko) 음극선관용 넥크레스 훤넬 포장재
JP3213119U (ja) 中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