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28Y1 - 유지체, 유지체 유닛 및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 Google Patents

유지체, 유지체 유닛 및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28Y1
KR200492928Y1 KR2020190002275U KR20190002275U KR200492928Y1 KR 200492928 Y1 KR200492928 Y1 KR 200492928Y1 KR 2020190002275 U KR2020190002275 U KR 2020190002275U KR 20190002275 U KR20190002275 U KR 20190002275U KR 200492928 Y1 KR200492928 Y1 KR 200492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body
flat plate
hole
hold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17U (ko
Inventor
료스케 이가라시
신이치 가이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31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185End caps, plugs or ada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Landscapes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롤 부재를 유지체에 유지시킬 때에 롤 부재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킨다.
[해결 수단] 유지체(1)는, 평판부(10)와, 평판부(10)의 표면(20)으로부터 당해 표면(20)의 수직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롤 부재(300)의 권취 코어(301) 내에 감입 가능한 원주상의 원주 돌기부(11)와, 평판부(10)의 표면(20)의 수직 방향을 향해 원주 돌기부(11)와 평판부(10)를 통하여 관통하는 관통 구멍(12)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 구멍(12)은, 원주 돌기부(11)에 있어서 상면측이 결손되어 개구하도록 형성된 돌기부 구멍(50)과, 평판부(10)에 있어서 돌기부 구멍(50)에 연속되는 평판부 구멍(51)을 갖는다. 평판부 구멍(50)은,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가령 결손이 없다고 한 경우의 원주 돌기부(11)의 가상 외주 상면 R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면(70)을 갖는다.

Description

유지체, 유지체 유닛 및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HOLDER, HOLDER UNIT, AND HOLDER UNIT ASSEMBLY}
본 발명은, 롤 부재의 유지체, 유지체 유닛 및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지에 사용되는 절연 필름 등의 필름은, 제조 시에 권취 코어에 권회된다. 이 필름이 권취 코어에 권회되어 제조된 롤 부재는, 양단이 유지체에 의해 유지되고, 그 상태로 반송, 보관된다. 상술한 유지체는, 일반적으로 전체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부와, 평판부의 중앙에 마련된 원통상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돌기부의 중앙에는, 유지체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체는, 권취 코어의 양측으로부터 유지체의 돌기부를 감합함으로써 롤 부재를 유지한다.
일본 특허 공개 평1-294456호 공보
그런데, 롤 부재가 크게 무거운 경우에는, 전동의 리프터 장치를 사용하여 롤 부재를 유지체에 유지시킨다. 리프터 장치는, 전동으로 이동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부재(400)의 권취 코어(401)와 유지체(402)의 돌기부(403)의 관통 구멍(404)에 샤프트(405)를 통과시켜 샤프트(405)에 롤 부재(400)와 유지체(402)를 지지시키고, 샤프트(405) 상에서 롤 부재(400)를 슬라이드시켜, 롤 부재(400)의 권취 코어(401)를 유지체(402)의 돌기부(403)에 삽입함으로써, 롤 부재(400)를 유지체에 유지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터 장치를 사용하여 롤 부재(400)를 유지체(402)에 유지시키는 경우에도, 롤 부재(400)의 권취 코어(401)를 돌기부(403)에 삽입할 때에는, 샤프트(405) 상의 롤 부재(400)의 권취 코어(401)의 내주면과 그 롤 부재(400)가 삽입되는 돌기부(403)의 외주면의 사이에 돌기부(403)의 원통의 두께분의 단차가 생겨, 작업원이 그 돌기부(403)의 단차분만큼 롤 부재(400)를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롤 부재(400)를 유지체(402)에 유지시킬 때 작업원에게 부담이 된다. 특히 롤 부재가 크게 무거운 경우에는, 작업원의 부담이 증대된다.
본 출원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롤 부재를 유지체에 유지시킬 때에 롤 부재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그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롤 부재의 유지체가, 평판부와, 원주상의 원주 돌기부와, 평판부 및 원주 돌기부를 통하여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그 관통 구멍의 위치나 형상을 궁리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
(1) 롤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체로서,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표면으로부터 당해 표면의 수직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롤 부재의 권취 코어 내에 감입 가능한 원주상의 원주 돌기부와, 상기 평판부의 표면의 수직 방향을 향해 상기 원주 돌기부와 상기 평판부를 통하여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원주 돌기부에 있어서 상면측이 결손되어 개구하도록 형성된 돌기부 구멍과, 상기 평판부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구멍에 연속되는 평판부 구멍을 가지고,
상기 평판부 구멍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가령 결손이 없다고 한 경우의 상기 원주 돌기부의 가상 외주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면을 갖는 유지체.
(2) 상기 평판부 구멍의 상면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중앙이 최상부가 되도록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유지체.
(3) 상기 평판부 구멍의 좌우의 측면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상면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유지체.
(4) 상기 평판부 구멍의 하면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체.
(5) 상기 돌기부 구멍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상면측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체.
(6) 상기 돌기부 구멍의 상면측의 개구는,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상기 원주 돌기부의 중심축과 개구 양단부를 연결하는 내각이 10° 이상 180° 이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체.
(7) 상기 평판부의 이면에는, 상기 원주 돌기부가 삽입 가능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체.
(8) 상기 평판부는 상측면, 하측면, 우측면 및 좌측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상측면 및 상기 하측면은 서로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평판부는 상기 평판부의 표면의 네 코너로부터 당해 표면의 수직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다리부를 더 가지고,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은 상기 평판부의 외주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평판부의 외주면의 다른 부분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측면 및 상기 하측면의 감합부는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에도 마련되어 있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체.
(9) 상기 상측면의 감합부는 기준면에 대하여 돌출된 볼록부이며, 상기 하측면의 감합부는 기준면에 대하여 오목해진 오목부인, (8)에 기재된 유지체.
(10) 상기 상측면의 감합부의 면적의 합계의, 상기 상측면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이 10% 이상 80% 이하인, (8) 또는 (9)에 기재된 유지체.
(11) 상기 하측면의 최하단부면의 면적의, 상기 하측면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이 3% 이상 95% 이하인,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체.
(12) 상기 우측면 및 상기 좌측면은 서로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우측면 및 상기 좌측면의 감합부는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에도 마련되어 있는, 청구항 (8)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체.
(13) 상기 우측면 또는 상기 좌측면의 감합부의 면적의 합계의, 상기 우측면 또는 상기 좌측면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이 10% 이상 80% 이하인, (12)에 기재된 유지체.
(14) 상기 롤 부재는 직경이 15cm 이상, 또는 중량이 1kg 이상인,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체.
(15) 롤 부재와,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한 쌍의 유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롤 부재의 양측의 권취 코어 내에 상기 한 쌍의 유지체의 원주 돌기부가 각각 감입되어, 상기 롤 부재가 상기 유지체에 유지되어 있는 유지체 유닛.
(16) (15)에 기재된 유지체 유닛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유지체 유닛이 상하 또는 좌우의 적어도 한쪽에 배열되고, 인접하는 유지체끼리가 서로 감합된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17) 상기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를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유지체의 상측면에 감합되는 감합부를 갖는, (16)에 기재된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본 발명에 따르면, 롤 부재를 유지체에 유지시킬 때에 롤 부재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유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지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유지체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유지체의 하면도이다.
도 5는 유지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유지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유지체의 이면도이다.
도 8은 유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리프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샤프트에 유지체를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샤프트에 지지된 유지체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샤프트에 유지체와 롤 부재를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샤프트에 유지체와 롤 부재를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샤프트의 롤 부재에 유지체를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롤 부재에 유지체를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롤 부재의 양측을 유지체로 유지시킨 상태의 유지체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유지체 유닛을 옆으로 배열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유지체 유닛을 상하에 겹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를 커버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 21은 유지체를 겹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유지체를 롤 부재에 유지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상하 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을 그 실시 형태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롤 부재의 유지체(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지체(1)의 정면도, 도 3은 유지체(1)의 상면도, 도 4는 유지체(1)의 하면도, 도 5는 유지체(1)의 우측면도, 도 6은 유지체(1)의 좌측면도, 도 7은 유지체(1)의 이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체(1)는 전체가 대략 볼록 형상의 사각판 형상을 갖고 있다. 유지체(1)는 평판부(10)와, 평판부(10)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원주 돌기부(11)와, 평판부(10)와 원주 돌기부(11)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12)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체(1)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판부(10)는 사각판 형상을 갖고 있다. 평판부(10)는 표면(20)과, 이면(21) 및 외주면(22)을 갖고 있다. 외주면(22)은 4개의 면, 즉 상측면(30), 하측면(31), 우측면(32) 및 좌측면(33)을 갖고 있다. 표면(20) 및 이면(21)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변이 10cm 내지 100cm 정도인 정사각형이다.
평판부(10)는 평판부(10)의 네 코너로부터 표면(20)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다리부(40)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부(40)는, 예를 들어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40)의 외측면(22a)은 평판부(10)의 외주면(22)의 일부를 구성하고, 평판부(10)의 다른 외주면(주외주면)(22b)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주면(22)은 다리부(40)의 외측면(22a)과 주외주면(22b)을 포함한다.
원주 돌기부(11)는, 상부가 결손된 대략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평판부(10)의 표면(20)의 중앙으로부터 표면(20)의 수직 방향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원주 돌기부(11)의 중심축 C는, 평판부(10)의 표면(20)에 대하여 수직이며 표면(20)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판부(10)의 중심축과 일치하고 있다. 원주 돌기부(11)는, 유지하는 롤 부재의 권취 코어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권취 코어 내에 감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주 돌기부(11)는 후술하는 관통 구멍(12)에서 결손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두툼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2)은 평판부(10)와 원주 돌기부(11)를 표면(20)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2)은, 원주 돌기부(11)에 형성된 돌기부 구멍(50)과, 평판부(10)에 형성된 평판부 구멍(51)을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 구멍(50)은, 원주 돌기부(11)의 상면측이 결손되어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 구멍(51)은 돌기부 구멍(50)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 구멍(50)은,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상측면(30)측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구멍(50)은,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원주 돌기부(11)의 중심축 C를 통해 당해 중심축 C에 수직인 상하 방향의 중심선 H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구멍(50)의 상면측의 개구는,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원주 돌기부(11)의 중심축 C와 개구 양단부 E를 연결하는 내각 α가 10° 이상 18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90° 이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구멍(50)의 좌우의 측면(60)은,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예를 들어 개구 양단부 E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구멍(50)의 하면(61)은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구멍(50)의 하면(61)의 중앙은, 원주 돌기부(11)의 중심축 C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평판부 구멍(51)의 상면(70)은,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가령 원주 돌기부(11)의 결손이 없다고 한 경우의 원주 돌기부(11)의 가상 외주 상면 R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평판부 구멍(51)의 상면(70)은,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중앙이 최상부가 되도록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평판부 구멍(51)의 상면(70)의 곡률 반경은, 원주 돌기부(11)의 가상 외주 상면 R의 곡률 반경과 후술하는 리프터 장치(200)에 있어서의 샤프트(202)의 외주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다.
평판부 구멍(51)의 좌우의 측면(71)은,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상면(70)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 구멍(51)의 하면(72)은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 구멍(51)의 하면(72)은 원주 돌기부(11)의 중심축 C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돌기부 구멍(50)의 하면(61)과 평판부 구멍(51)의 하면(72)은, 거의 일치하고 있으며, 돌기부 구멍(50)의 측면(60)과 평판부 구멍(51)의 측면(71)은, 일부가 일치하고, 평판부 구멍(51)의 측면(71)쪽이 돌기부 구멍(50)의 측면(60)보다도 상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평판부 구멍(51)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후술하는 샤프트(202)의 직경보다도 0.5cm 이상 길고, 평판부 구멍(51)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샤프트(202)의 직경보다도 0.5cm 이상 길면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부(10)의 상측면(30) 및 하측면(31)은 서로 감합 가능한 감합부(90, 91)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면(30)의 상면 감합부(90)는 기준면 B1에 대하여 돌출된 볼록부를 가지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면(31)의 하면 감합부(91)는 기준면 B2에 대하여 오목해진 오목부를 갖는다. 또한, 상측면(30)의 기준면 B1은, 하측면(31)과 감합되었을 때에 하측면(31)의 최하단부면이 맞닿는 면이며, 하측면(31)의 기준면 B2는 최하단부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감합부(90)는, 예를 들어 상측면(30)의 다리부(40)의 외측면(22a)으로부터 주외주면(22b)에 걸친 대략 L자 영역으로 볼록 형상으로 돌출된 제1 감합 부분(100)과, 상측면(30)의 주외주면(22b)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어긋난 사각형 영역에서 볼록 형상으로 돌출된 제2 감합 부분(101)을 갖고 있다. 제1 감합 부분(100)과 제2 감합 부분(101)은, 각각이 상측면(30)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2군데에 마련되어 있다. 제1 감합 부분(100)과 제2 감합 부분(101)은, 예를 들어 각 부분의 영역의 전체면에서 볼록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각 부분의 영역의 외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서 돌조(突條)로 돌출되어 있다.
상측 감합부(90)(제1 감합 부분(100)와 제2 감합 부분(101)의 전체 영역(2개의 감합 부분의 영역의 전체면이며, 각 영역의 내측의 오목해진 부분도 포함한다.))의 면적의 합계의, 상측면(30)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은, 10% 이상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6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50%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 감합부(91)는, 예를 들어 하측면(31)의 다리부(40)의 외측면(22a)으로부터 주외주면(22b)에 걸친 대략 L자 영역에서 오목해진 제1 감합 부분(110)과, 하측면(31)의 주외주면(22b)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어긋난 사각형 영역에서 오목해진 제2 감합 부분(111)을 갖고 있다. 제1 감합 부분(110)과 제2 감합 부분(111)은, 각각이 하측면(31)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2군데에 마련되어 있다. 상측면(30)의 제1 감합 부분(100)은 하측면(31)의 제1 감합 부분(110)과 감합 가능하고, 상측면(30)의 제1 감합 부분(101)은 하측면(31)의 제2 감합 부분(111)과 감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유지체(1)는, 상하에 겹쳐졌을 때에 상부 유지체(1)의 하측면(31)과 하부 유지체(1)의 상측면(30)이 서로 감합되어, 상하 유지체(1)가 간극없이 겹쳐진다.
하측면(31)의 최하단부면(기준면 B2)의 면적(오목해지지 않은 부분의 면적)의, 하측면(31)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은, 3% 이상 95%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상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20%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10)의 우측면(32) 및 좌측면(33)은 서로 감합 가능한 감합부(120, 121)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우측면(32)의 우면 감합부(120)과 좌측면(33)의 좌면 감합부(121)는, 각각이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면 감합부(120)는, 우측면(32) 상의 다리부(40)의 외측면(22a)으로부터 주외주면(22b)에 걸친 대략 Z자 영역에서 볼록 형상으로 돌출된 제1 감합 부분(130)과, 우측면(32)의 주외주면(22b)의 상부의 사각형 영역에서 오목해진 제2 감합 부분(131)과, 우측면(32)의 주외주면(22b)의 하부의 대략 L자 영역에서 볼록 형상으로 돌출된 제3 감합 부분(132)과, 우측면(32) 하의 다리부(40)의 외측면(22a)으로부터 주외주면(22b)에 걸친 대략 L자 영역에서 오목해진 제4 감합 부분(133)을 갖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면 감합부(121)는, 좌측면(33) 상의 다리부(40)의 외측면(22a)으로부터 주외주면(22b)에 걸친 대략 Z자 영역에서 오목해진 제1 감합 부분(140)과, 좌측면(33)의 주외주면(22b)의 상부의 사각형 영역에서 볼록 형상으로 돌출된 제2 감합 부분(141)과, 좌측면(33)의 주외주면(22b)의 하부의 대략 L자 영역에서 오목해진 제3 감합 부분(142)과, 좌측면(33) 하의 다리부(40)의 외측면(22a)으로부터 주외주면(22b)에 걸친 대략 L자 영역에서 볼록 형상으로 돌출된 제4 감합 부분(143)을 갖고 있다.
우측면(32)의 제1 감합 부분(130)은 좌측면(33)의 제1 감합 부분(140)과 감합 가능하고, 우측면(32)의 제2 감합 부분(131)은 좌측면(33)의 제2 감합 부분(141)과 감합 가능하다. 우측면(32)의 제3 감합 부분(132)은 좌측면(33)의 제3 감합 부분(142)과 감합 가능하고, 우측면(32)의 제4 감합 부분(133)은 좌측면(33)의 제4 감합 부분(143)과 감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유지체(1)는, 좌우에 배열되었을 때에 왼쪽 유지체(1)의 우측면(32)과 오른쪽 유지체(1)의 좌측면(33)이 서로 감합되어, 인접하는 유지체(1)가 간극없이 접속된다.
우측면(32)의 감합부(120) 또는 좌측면(33)의 감합부(121)의 면적의 합계의, 우측면(32) 또는 좌측면(33)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은, 10% 이상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6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50%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10)의 이면(21)에는, 원주 돌기부(11)가 삽입 가능한 구멍(150)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150)은, 이면(21)측으로부터 보아 원주 돌기부(11)의 외형과 동일한, 두툼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면(21)에는, 다수의 리브(15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면(30), 하측면(31), 우측면(32) 및 좌측면(33)에는, 각각 유지체(1)를 벨트로 고정하기 위한 홈(오목부)(170)이 형성되어 있다. 홈(170)은, 예를 들어 상측면(30) 및 하측면(31)에 2군데, 우측면(32)과 좌측면(33)에 1군데 마련되어 있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지체(1)를 사용하여 롤 부재를 유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롤 부재를 유지할 때에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프터 장치(200)를 사용한다. 리프터 장치(200)는, 예를 들어 전동으로 상하 이동하는 승강체(201)를 가지고, 그 승강체(201)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202)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되는 롤 부재는, 예를 들어 직경이 15cm 이상, 또는 중량이 1kg 이상이다. 롤 부재는 더 중량이 무거워도 되고, 예를 들어 5kg 이상, 30kg 이상, 60kg 이상의 것이어도 된다.
우선,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202)에 유지체(1)의 관통 구멍(12)이 통과되고, 샤프트(202)에 유지체(1)가 지지된다. 이 때, 유지체(1)의 자중에 의해 샤프트(202)가 평판부 구멍(51)의 상면(70)의 중앙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샤프트(202)가 원주 돌기부(11)의 상단(개구 양단부 E)보다도 위로 나와, 샤프트(202)의 상단부면이 원주 돌기부(11)의 가상 외주 상면 R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도 위에 위치한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202)에 롤 부재(300)의 권취 코어(301)가 통과되고, 샤프트(202)에 롤 부재(300)가 지지된다. 롤 부재(300)가 샤프트(202) 상에서 슬라이드되어, 유지체(1)에 근접된다.
이어서, 롤 부재(300)와 유지체(1)가 근접한 상태로, 유지체(1)를 움직이게 하여,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체(1)의 원주 돌기부(11)가 롤 부재(300)의 권취 코어(301) 내에 감입된다. 이렇게 하여 롤 부재(300)의 한쪽 단부가 유지체(1)에 유지된다.
이어서, 롤 부재(300)의 반대측의 단부도 동일하게 유지체(1)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 롤 부재(300)가 반대의 단부측(샤프트(202)의 선단측)의 샤프트(202)에 유지체(1)가 지지되고, 롤 부재(300)에 근접되어, 유지체(1)의 원주 돌기부(11)가 롤 부재(300)의 권취 코어(301) 내에 감입된다. 이렇게 해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부재(300)의 양단이 2개의 유지체(1)에 의해 유지되고, 유지체 유닛(250)이 된다. 이 유지체 유닛(250)의 상태에서, 롤 부재(300)는 반송, 보관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체 유닛(250)은 예를 들어 좌우에 배열하여 적재되어도 된다(유지체 유닛의 집합체(260)). 이 때, 좌우에 인접하는 유지체(1)의 우측면(32)과 좌측면(33)끼리가, 감합부(120, 121)에 의해 서로 감합된다. 이 때 추가로, 좌우의 외측에 위치하는 유지체(1)의 홈(170)을 따라서 수평면 내의 환상으로 벨트(255)를 배치하고, 유지체 유닛(250)의 전체를 벨트(255)로 감아, 유지체 유닛(250)끼리를 고정해도 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체 유닛(250)은 예를 들어 상하에 적층되어도 된다(유지체 유닛의 집합체(260)). 이 때, 상하에 인접하는 유지체(1)의 상측면(30)과 하측면(31)끼리가, 감합부(90, 91)에 의해 서로 감합된다. 이 때 추가로, 상하에 위치하는 유지체(1)의 홈(170)을 따라서 연직면 내의 환상으로 벨트(255)를 배치하고, 유지체 유닛(250)의 전체를 벨트(255)로 감아, 유지체 유닛(250)끼리를 고정해도 된다. 또한, 유지체 유닛(250)의 유지체(1)의 하면에 미끄럼 방지용 러버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해도 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좌우에 배열된 유지체 유닛(250)(유지체 유닛의 집합체(260))에 커버(270)를 덮어도 된다. 커버(270)는, 예를 들어 유지체 유닛(250)의 우측면, 천장면 및 좌측면의 3면을 덮는 우측면(270a)과 천장면(270b)과 좌측면(270c)을 갖고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70)의 천장면(270b)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는, 유지체(1)의 상측면(30)의 감합부(90)에 감합되는 감합부(28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260)에 커버(270)를 덮었을 때, 천장면(270b)의 감합부(280)가 최상층의 유지체(1)의 감합부(90)와 감합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체(1)가 롤 부재(300)를 유지하지 않을 때에는, 유지체(1)는 원주 돌기부(11)를 위로 한 상태에서 상하에 겹칠 수 있다. 이 때, 하부 유지체(1)의 원주 돌기부(11)가 상부 유지체(1)의 이면(21)의 구멍(150)에 삽입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지체(1)가, 원주 돌기부(11)와 평판부(10)를 통하여 관통하는 관통 구멍(12)을 구비하고, 관통 구멍(12)이, 원주 돌기부(11)에 있어서 상면측이 결손되어 개구하도록 형성된 돌기부 구멍(50)과, 평판부(10)에 있어서 돌기부 구멍(50)에 연속되는 평판부 구멍(51)을 가지고, 평판부 구멍(51)이,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가령 결손이 없다고 한 경우의 원주 돌기부(11)의 가상 외주 상면 R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면(70)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롤 부재(300)와 유지체(1)가 샤프트(202)에 지지되었을 때, 롤 부재(300)의 권취 코어(301)에 대한 원주 돌기부(11)의 상대적인 위치가 내려가므로, 샤프트(202) 상에서 롤 부재(300)를 들어올리지 않고, 유지재(1)의 원주 돌기부(11)를 롤 부재(300)의 권취 코어(301) 내에 감입할 수 있다. 이 결과, 롤 부재(300)를 유지체(1)에 유지시킬 때의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평판부 구멍(51)의 상면(70)은, 유지체(1)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중앙이 최상부가 되도록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으므로, 샤프트(202)가 평판부 구멍(51)의 중앙을 지지한다. 이에 의해, 유지체(1)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샤프트(202)에 대하여 유지체(1)가 좌우 대칭으로 지지되고, 또한 롤 부재(300)에 대한 유지체(1)의 상대적인 위치도 내려가므로, 유지체(1)의 원주 돌기부(11)를 롤 부재(300)의 권취 코어(301)에 감입하는 작업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평판부 구멍(51)의 좌우의 측면(71)은,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상면(70)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판부 구멍(51)을 통과하는 샤프트(202)에 대하여 유지체(1)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유지체(1)의 원주 돌기부(11)를 롤 부재(300)의 권취 코어(301)에 감입하는 작업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평판부 구멍(51)의 하면(72)은,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주상의 샤프트(202)가 평판부 구멍(51)의 하면(72) 부근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유지체(1)를 움직이게 하기 쉬워진다.
돌기부 구멍(50)은,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상면측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부 구멍(50)을 통과하는 샤프트(202)에 대하여 유지체(1)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쉬워지고, 이 결과, 유지체(1)의 원주 돌기부(11)를 롤 부재(300)의 권취 코어(301)에 감입하는 작업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돌기부 구멍(50)의 상면측의 개구는, 평판부(10)의 표면(20)측으로부터 보아, 원주 돌기부(11)의 중심축 C와 개구 양단부 E를 연결하는 내각 α가 10° 이상 180° 이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주 돌기부(11)가 롤 부재(300)의 권취 코어(301)에 감합되었을 때, 원주 돌기부(11)와 권취 코어(301)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 결과 유지체(1)가 롤 부재(300)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평판부(10)의 이면(21)에는, 원주 돌기부(11)가 삽입 가능한 구멍(1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롤 부재(300)를 유지하지 않을 때, 복수의 유지체(1)를 겹쳐 보관해둘 수 있다.
다리부(40)의 외측면(22a)은 평판부(10)의 외주면(22)의 일부를 구성하고, 평판부(10)의 주외주면(22b)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고, 상측면(30) 및 하측면(31)의 감합부(90)는 주외주면(22b)뿐만 아니라 다리부(40)의 외측면(22a)에도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하에 겹칠 수 있는 유지체(1)끼리의 감합 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상측면(30)의 감합부(90)는 기준면 B1에 대하여 돌출된 볼록부이며, 하측면(31)의 감합부(91)는 기준면 B2에 대하여 오목해진 오목부이므로, 유지체(1)를 상하에 적층할 때에 하측면(31)을 아래로 하여 유지체(1)를 안정되게 둘 수 있다.
상측면(30)의 감합부(90)의 면적의 합계의, 상측면(30)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이 10% 이상 80% 이하로 높으므로, 상하에 적층되는 유지체(1)끼리의 감합이 강해진다.
하측면(31)의 최하단부면의 면적의, 하측면(31)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이 3% 이상 95% 이하로 높으므로, 하측면(31)에 감합되는 기능을 갖는 유지체(1)여도, 하측면(31)을 아래로 하여 유지체(1)를 안정되게 둘 수 있다.
우측면(32) 및 좌측면(33)은 서로 감합 가능한 감합부(120, 121)를 각각 구비하고, 우측면(32) 및 좌측면(33)의 감합부(120, 121)는, 주외주면(22b)뿐만 아니라 다리부(40)의 외측면(22a)에도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에 배열되는 유지체(1)끼리의 감합 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우측면(32) 또는 좌측면(33)의 감합부(120, 121)의 면적의 합계의, 우측면(32) 또는 좌측면(33)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이 10% 이상 80% 이하로 높으므로, 좌우에 배열하여 배치되는 유지체(1)끼리의 감합이 강해진다.
유지체(1)로 유지되는 롤 부재(300)는, 예를 들어 직경이 15cm 이상 또는 중량이 1kg 이상이므로, 이 경우 작업원이 롤 부재(300)를 들어올리지 않고 유지체(1)를 롤 부재(300)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크다.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260)를 덮는 커버(270)가, 유지체(1)의 상측면(30)에 감합되는 감합부(280)를 가지므로, 커버(27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유지체(1)의 형상이나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주 돌기부 구멍(50)이나 평판부 구멍(51)의 형상도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측면(30)이나 하측면(31)의 감합부(90, 91)의 형상이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우측면(32)이나 좌측면(33)의 감합부(120, 121)의 형상이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합부(90, 91, 120, 121)는 없어도 되고, 감합부(90, 91)가 있고 감합부(120, 121)가 없어도 된다. 다리부(40)도 없어도 된다. 유지체(1)가 유지하는 롤 부재(300)의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절연 필름, 보호 용도의 시트 필름, 전극 필름, 금속 필름, 원주상의 권취물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롤 부재를 유지체에 유지시킬 때에 롤 부재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킬 때에 유용하다.
1 유지체
10 평판부
11 원주 돌기부
12 관통 구멍
50 돌기부 구멍
51 평판부 구멍
202 샤프트
300 롤 부재
301 권취 코어

Claims (17)

  1. 롤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체로서,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표면으로부터 당해 표면의 수직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롤 부재의 권취 코어 내에 감입 가능한 원주상의 원주 돌기부와,
    상기 평판부의 표면의 수직 방향을 향해 상기 원주 돌기부와 상기 평판부를 통하여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원주 돌기부에 있어서 상면측이 결손되어 개구하도록 형성된 돌기부 구멍과, 상기 평판부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구멍에 연속되는 평판부 구멍을 가지고,
    상기 평판부 구멍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가령 결손이 없다고 한 경우의 상기 원주 돌기부의 가상 외주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면을 갖는 유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 구멍의 상면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중앙이 최상부가 되도록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유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 구멍의 좌우의 측면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상면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 구멍의 하면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구멍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상면측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지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구멍의 상면측의 개구는, 상기 평판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상기 원주 돌기부의 중심축과 개구 양단부를 연결하는 내각이 10° 이상 180° 이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유지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의 이면에는, 상기 원주 돌기부가 삽입 가능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유지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상측면, 하측면, 우측면 및 좌측면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상측면 및 상기 하측면은 서로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평판부는 상기 평판부의 표면의 네 코너로부터 당해 표면의 수직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다리부를 더 가지고,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은 상기 평판부의 외주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평판부의 외주면의 다른 부분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측면 및 상기 하측면의 감합부는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에도 마련되어 있는 유지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의 감합부는 기준면에 대하여 돌출된 볼록부이며, 상기 하측면의 감합부는 기준면에 대하여 오목해진 오목부인 유지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의 감합부의 면적의 합계의, 상기 상측면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이 10% 이상 80% 이하인 유지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면의 최하단부면의 면적의, 상기 하측면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이 3% 이상 95% 이하인 유지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면 및 상기 좌측면은 서로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우측면 및 상기 좌측면의 감합부는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에도 마련되어 있는 유지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면 또는 상기 좌측면의 감합부의 면적의 합계의, 상기 우측면 또는 상기 좌측면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이 10% 이상 80% 이하인 유지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부재는 직경이 15cm 이상, 또는 중량이 1kg 이상인 유지체.
  15. 롤 부재와,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한 쌍의 유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롤 부재의 양측의 권취 코어 내에 상기 한 쌍의 유지체의 원주 돌기부가 각각 감입되어, 상기 롤 부재가 상기 유지체에 유지되어 있는 유지체 유닛.
  16. 제15항에 기재된 유지체 유닛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유지체 유닛이 상하 또는 좌우의 적어도 한쪽에 배열되고, 인접하는 유지체끼리가 서로 감합된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를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유지체의 상측면에 감합되는 감합부를 갖는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KR2020190002275U 2018-06-08 2019-06-04 유지체, 유지체 유닛 및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KR20049292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0624 2018-06-08
JP2018110624A JP6974259B2 (ja) 2018-06-08 2018-06-08 保持体、保持体ユニット及び保持体ユニットの集合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17U KR20190003117U (ko) 2019-12-18
KR200492928Y1 true KR200492928Y1 (ko) 2021-01-05

Family

ID=6884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75U KR200492928Y1 (ko) 2018-06-08 2019-06-04 유지체, 유지체 유닛 및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74259B2 (ko)
KR (1) KR200492928Y1 (ko)
CN (1) CN21012227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52B1 (ko) * 2020-03-05 2023-11-06 유명일 롤필름 홀더
JP2022086712A (ja) 2020-11-30 2022-06-09 旭化成株式会社 保護部材、保持体ユニット及び保持体ユニットの集合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6917B2 (ja) * 1990-11-29 2001-09-10 京セラ株式会社 軸受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回転装置
JP2010058825A (ja) * 2008-09-05 2010-03-18 Sanko Co Ltd 芯材キャップ及びロール保護具
JP2013067395A (ja) * 2011-09-21 2013-04-18 Sanko Co Ltd ロール状資材の運搬保管用部材
JP2013184736A (ja) * 2012-03-09 2013-09-19 Sanko Co Ltd ロール収容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8064C1 (ko) 1988-03-11 1989-03-30 Hoechst Ag, 6230 Frankfurt, De
JP3978593B2 (ja) * 2002-06-04 2007-09-19 三甲株式会社 ロール部材用プロテクター
JP2004010216A (ja) * 2002-06-04 2004-01-15 Sanko Co Ltd ロール部材用プロテクター
JP2013100133A (ja) * 2012-03-16 2013-05-23 Asahi Kasei E-Materials Corp 巻回体支持構造体
JP6386705B2 (ja) * 2013-08-29 2018-09-05 村角株式会社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JP6183853B2 (ja) * 2014-03-26 2017-08-23 三甲株式会社 ロール保持盤
JP3206917U (ja) * 2016-07-29 2016-10-13 株式会社積水技研 ロール体輸送用ホル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6917B2 (ja) * 1990-11-29 2001-09-10 京セラ株式会社 軸受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回転装置
JP2010058825A (ja) * 2008-09-05 2010-03-18 Sanko Co Ltd 芯材キャップ及びロール保護具
JP2013067395A (ja) * 2011-09-21 2013-04-18 Sanko Co Ltd ロール状資材の運搬保管用部材
JP2013184736A (ja) * 2012-03-09 2013-09-19 Sanko Co Ltd ロール収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4259B2 (ja) 2021-12-01
CN210122278U (zh) 2020-03-03
KR20190003117U (ko) 2019-12-18
JP2019210043A (ja)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928Y1 (ko) 유지체, 유지체 유닛 및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JP5711327B2 (ja) 変圧器
US20070108679A1 (en) Spring core
JP5806896B2 (ja) ロール状資材の運搬保管用部材
JP583733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配索構造
KR102541759B1 (ko) 권철심 및 변압기
US10358262B2 (en) Shaft packaging body
JP6792118B2 (ja) 低圧引留がいし、及び、低圧引留がいし用アタッチメント
CN208954763U (zh) 双器身整流变压器
KR102446561B1 (ko) 커브드 기판용 카세트
JP5342308B2 (ja) 緩衝体及び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載置方法
US10858173B2 (en) Strap guide and pail pack having the same
US11155441B2 (en) Buffer cap for elevator
KR101487707B1 (ko) 염색용 보빈
JP2021054441A (ja) 支持部材および浴槽段積み構造
JP6888823B2 (ja) 柱状体支持具
JP7235448B2 (ja) 静止誘導機器
KR102098727B1 (ko) 이차전지
JP2016078917A (ja) 蓋部材
KR101873436B1 (ko) 선박
CN108987038A (zh) 磁性组件
CN211858359U (zh) 核电站用变压器
JP2012230957A (ja) 静止誘導機器
KR101511287B1 (ko) 전기화학 셀
KR20110000346A (ko) 소방차용 사다리 조립체의 이동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