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082A -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082A
KR20040070082A KR1020040006083A KR20040006083A KR20040070082A KR 20040070082 A KR20040070082 A KR 20040070082A KR 1020040006083 A KR1020040006083 A KR 1020040006083A KR 20040006083 A KR20040006083 A KR 20040006083A KR 20040070082 A KR20040070082 A KR 2004007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engagement
recording
disc tray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모리기요시
야마모토히데히코
시오자와마사즈미
다니구치히토시
스나미가즈야
가와시마히로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2523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38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15741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2439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08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2Aligning the head or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e.g. adjusting tilt set screw during assembly of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박형 설계의 스큐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크 기록기/재생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디스크 기록기/재생기는 베이스(101), 광 디스크(4)용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102), 광 픽업(103), 상기 광 픽업(1030)의 대향 단부에서 상기 광 픽업(103)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105, 106), 상기 광 픽업(103)을 상기 광 디스크(4)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105, 106)에 의해 가이드되는 광 픽업 이동 수단(104),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105, 106)와 접촉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105, 106)를 상기 광 디스크의 주면(main side)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126), 상기 탄성 부재(126)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와 접촉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105, 106)를 상기 탄성 부재(126)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정 스크루(127), 및 상기 조정 스크루(127)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 조정 수단(109)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RECORDING AND/OR PLAYBACK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에서 정보 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픽업 유닛을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3년 1월 31일자 일본특허출원 제P2003-025239호 및 2003년 12월 12일자 일본특허출원 제P2003-415741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이들 전체를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하였다.
최근, 노트북 컴퓨터 등의 기능적으로 개선된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CD-R/RW 또는 DVD-ROM 드라이브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적으로 개선된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들 CD-R/RW 또는 DVD-ROM 드라이브가 향상된 속도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거나, DVD-ROM 드라이브가 DVD에 데이터를 재기록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소형 노트북 컴퓨터(예를 들어 B-5 사이즈)는 대형 노트북 컴퓨터(예를 들어B-4 사이즈)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휴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소형 노트북 컴퓨터는 그 기능이 향상되었지만 두께와 무게가 더욱 작다.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되는 CD-R/RW 또는 DVD-ROM 드라이브 또한 가급적 박형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CD-R/RW 및 DVD-ROM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의 일 예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를 참조 부호 300으로 표시한 이러한 유형의 디스크 드라이브는 본체(301), 외측과 내측의 2위치 사이에서 이동식으로 제공되며 DVD 등의 광 디스크(302)가 수용되는 오목부를 갖는 디스크 트레이(303), 및 디스크 트레이(303)의 배면으로부터 수납되고 디스크 트레이(303) 상에 탑재된 광 디스크(302)로부터 정보 신호를 재생하는 광 픽업 유닛(304)을 포함한다.
도 2는 디스크 드라이브(300)의 본체(301)를 나타내며, 장치 본체(301)의 상부 반쪽은 생략하였다. 장치 본체(301)는 서로 맞대어 맞물리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반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참조 부호 307로 표시한 하부 반쪽은 디스크 트레이(303)의 이동을 위해 전방 단부(307a)가 개방되어 있고, 디스크 트레이(303)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서로 대면하는 측부 에지(307b, 307c) 각각을 따라 가이드 부재(308)가 제공되어 있다. 하부 반쪽(307)에는 다양한 회로 패턴 상에 호스트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와 같은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소위 단단한 기재로 형성되는 인쇄배선판(309)이 그 후방 단부(307d)에 배치되어 있다. 인쇄배선판(309)은 디스크 트레이(303) 내에 수납되는 광 픽업 유닛(304)과 연결하기 위해 연결되는 FPC(가요성 인쇄회로)(310)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픽업 유닛(304)은 철로 만들어진 본체인 베이스 섀시(315)를 포함하며, 베이스 섀시(315)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316), 가이드 샤프트(316)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되는 대물 렌즈(312)가 제공되는 픽업 베이스(317), 및 가이드 샤프트(316)를 따라 픽업 베이스(317)를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 기구(318)가 제공되는 디스크 테이블 어셈블리(313)를 갖는다.
커버 부재(320)는 결합 스크루 등에 의해 광 디스크(302)가 위치될 광 픽업 유닛(304)의 측부에 고정된다. 커버 부재(320)에는 개구부(321)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대물 렌즈(312) 및 광 픽업 유닛(304)에 포함되는 디스크 테이블(313)이 노출된다. 커버 부재(32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다. 광 픽업 유닛(304)은 저부에 제공되는 금속제 바닥판(322)을 갖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바닥판(322)은 디스크 트레이(303)의 수납부에 결합 스크루에 의해 고정된다. 광 픽업 유닛(304)은 바닥판(322)과 디스크 트레이(303) 사이에서 유지된다.
상기 베이스 섀시(315)는 철제 프레임(327)을 포함한다. 프레임(327)은 대략 사각형 형태를 갖도록 하는 형상이며, 개구부(328)를 가져서 이를 통해 픽업 베이스(317) 상의 대물 렌즈(312)가 광 디스크(302)의 신호 기록면과 직접 대면한다. 개구부(328)는 대략 사각형 형태를 갖는 형상이며, 픽업 이동 기구(318)가 픽업 베이스(317) 및 픽업 베이스(317)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316)를 이동시킨다. 또한 개구부(328)는 종 방향의 일 단부에서 대략 원형의 절단 형태(329)로 연장되어 여기에 광 디스크(302)가 위치되는 원형 디스크 테이블(313) 및 디스크 테이블(313)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미도시)가 배치된다. 베이스 섀시(315)에는 디스크 드라이브(300)의 본체(301) 내에 배치되는 인쇄배선판(309)과 광 픽업 유닛(304)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FPC(310)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354)를 갖는 단단한 기재(미도시)가 고정된다.
디스크 테이블(313) 상에 놓인 광 디스크에서 정보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픽업 베이스(317)에는 반도체 레이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미도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을 광 디스크(302)의 신호 기록면 상에 집중시키기 위한 대물 렌즈(312), 광 디스크(302)의 기록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기(미도시), 및 대물 렌즈(312)를 광 디스크(302)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초점 방향) 및 광 디스크(302)를 가로지르는 방향(트래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시스템이 장착된다. 픽업 베이스(317)는 한쪽 종 방향 단부(317a)에 형성되는 삽입 구멍(317b)을 가지며, 이를 통해 가이드 샤프트(316)가 통과하고, 단부(317a)의 반대쪽 단부(317c)에는 결합편(330)이 형성되어 가이드 샤프트(316) 상에 결합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픽업 베이스(317)는 가이드 샤프트(316) 근처에 결합 부재(332)를 포함하여 픽업 베이스(317)를 이동시키기 위한 픽업 이동 기구(318)에 포함되는 리드 스크루(331)와 결합한다. 결합 부재(332)는 삽입 구멍(317b)이 형성된 단부(317a)로부터 리드 스크루(331) 아래로 돌출되며, 리드 스크루(331)와 결합하는 트랜스미션 부재(333)를 갖는다. 트랜스미션 부재의 일 단부에는 리드 스크루(331) 상의 나선과 맞물리는 맞물림 돌출부(334)가 제공된다. 트랜스미션 부재(333)는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어서 맞물림 돌출부(334)가 리드 스크루(331) 상의 나선과 항상 맞물려 있도록 한다. 리드 스크루(331)의 회전을 선형 이동으로 변환하는 트랜스미션 부재(333)를 고정함으로써 픽업 베이스(317)는 리드 스크루(331)가 회전됨에 따라 광 디스크(30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베이스 섀시(315) 내의 개구부(328)의 상호 대면하는 측 방향 에지를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316) 상에 지지되는 픽업 베이스(317)는 가이드 샤프트(316)에 의해 가이드되어 광 디스크의 내측 원주와 외측 원주 사이에서 이동하고 대물 렌즈(312)는 개구부(328)를 통해 광 디스크(302)의 신호 기록면에 노출되어 유지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픽업 이동 기구(318)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316) 근처에 제공되며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드 스크루(331), 및 리드 스크루(331)를 회전시키기 위해 리드 스크루(331)의 기단부(331a)에 연결되는 DC 모터(335)를 포함한다.
리드 스크루(331)는 기단부(331a) 및 베어링(336)에 의해 프레임(337)에서 그 단부(331b)가 지지된다. 프레임(337)이 결합 스크루 등에 의해 광 픽업 유닛(304)의 베이스 섀시(315)에 고정됨으로써, 픽업 이동 기구(318)는 한쪽 가이드 샤프트(316)의 근처에 제공된다. 리드 스크루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픽업 베이스(317)의 결합 부재(332)는 리드 스크루(331) 상의 나선과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리드 스크루(331)가 DC 모터(335)에 의해 회전되면, 광 디스크(302)의 픽업 베이스(317)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드 스크루(331)는 DC 모터(335)에 의해 회전되고, DC 모터는 고속으로 회전하지 않으면 어떠한 토크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픽업 이동 기구(318)의 다양한 접촉점이 무겁게 마찰된다. DC 모터(335)가 기어 기구를 통해 리드 스크루(331)에 연결되어 픽업 베이스(317)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작동 소음이 증가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DC 모터(335)로서 스텝 모터가 사용되고, 픽업 베이스(317)는 단계적으로 가동하는 사각형 파형을 가진 DC 모터(335)를 제공함으로써 광 디스크(30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광 픽업 유닛(304)이 수납되는 디스크 트레이(303)는 트레이 대략 사각형인 본체(340)의 주면(main side)(340a)에 광 디스크(302)가 수용되는 오목부(341)를 갖고, 트레이 본체(340)의 배면에 광 픽업 유닛(304)이 수납되는 수납부(325)를 갖는다. 수납부(325) 내에 수납되는 광 픽업 유닛(304)에는 커버 부재(343)가 고정된다. 오목부(341)는 저부에 커버 부재(343)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344)를 갖는다. 따라서, 커버 부재(343)는 오목부(341)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대물 렌즈(312)를 지지하는 디스크 테이블(313)은 광 픽업 유닛(304)에 포함되고, 회전 가능한 광 디스크(302)는 커버 부재(343)의 개구부(344)를 통해 노출된다.
디스크 트레이(303)의 오목부(341)는 대략 원형이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벽(345 내지 348)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벽들 중에서 제1 벽(345)은 디스크 트레이(303)의 후방 단부(303a) 측에 형성되어 오목부(341)의 저부에 형성되는 개구부(344) 전체로 연장된다. 제1 벽(345)은 오목부(341)의 반대쪽 하부 에지(345a)와 오목부(341)의 개구부(344)를 통해 노출되는 커버 부재(343) 사이에서 일정한 간극 C를 갖는다.
제2 내지 제4 벽(346 내지 348)은 대략 원형이고 오목부(341)로부터 상승되어 있다.
디스크 트레이(303)는 예를 들어 PPE(폴리페닐렌에테르)와 같은 고강성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 함으로써 성형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1) 내부의 디스크 트레이(303)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 기구(360)는 광 픽업 유닛(304)을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트레이(303)의 배면에 형성되는 수납부(325) 내에 형성된다. 홀딩 기구(360)는 디스크 트레이(303)를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 기구(361), 및 디스크 트레이(303)와 장치 본체(301) 사이에서 결합을 이루기 위해 장치 본체(301)의 하부 반쪽(307) 상에 직립하여 제공되는 맞물림 돌출부(326) 상에 맞물리는 맞물림 기구(362)를 포함한다.
압박 기구(361)는 장치 본체(301)의 후벽(301a)이 눌려졌을 때 디스크 트레이(303)를 장치 본체(301)의 외측으로 압박하는 배출 부재(365), 및 배출 부재(365)를 후벽(301a) 측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366)을 포함한다.
배출 부재(365)는 대략 막대 형상이며 길이 방향 중간 근처에 플랜지(36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 부재(365)는 디스크 트레이(303)에 형성되는 수납부(368) 내에 배치된다. 수납부(368)는 디스크 트레이(303)의 한쪽 근처에 형성되어 디스크 트레이(303)의 삽입 또는 배출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납부(368)는 디스크 트레이(303)의 후단부(303a)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368a) 및 배출 부재(365)의 플랜지(365a)를 지지하기 위해 중간 근처에 형성되는 지지단(retention step)(368b)을 갖는다. 또한, 수납부(368)는 코일 스프링(366)의 일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벽(368b)보다 내측 위치이고 따라서 디스크 트레이(303)의 전단부(303b) 근처에 형성되는 지지벽(369)을 갖는다. 지지벽(369)에는 배출 부재(365)용 삽입 구멍 및 배출 부재(365)의 수용을 위한 삽입 공간(370)이 형성된다. 삽입 구멍은 지지벽(369)보다 내측이고 디스크 트레이(303)의 전단부(303b)에 더욱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366)은 수납부(368)의 지지단(368a)과 지지벽(369) 사이에 배치된다. 배출 부재(365)는 중공 공간 내에 삽입되어 일 단부가 배출 부재(365)의 플랜지(365a) 상에 지지되고 타 단부는 지지벽(369) 상에 지지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성된 압박 기구(361)에서, 코일 스프링(366)은 배출 부재(365)의 플랜지(365a)를 디스크 트레이(303)의 후단부(303a)로 압박하고, 따라서 배출 부재(365)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단부(303a)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배출 부재(365)의 플랜지(365a)는 수납부(368)의 지지단(368b)에 지지된다.
다음에,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에 수납되면, 디스크 트레이(303)로부터 돌출하는 배출 부재(365)는 장치 본체(301)의 후벽(301a)과 접하고 코일 스프링(366)의 압박에 저항하여 디스크 트레이(303)의 전단부(303b)로다시 가압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366)은 배출 부재(365)의 플랜지에 가압되고 전단부(303b)로 압축된다. 디스크 트레이(303)가 상세하게 후술되는 맞물림 기구(362)에 의해 장치 본체(301) 상에 맞물리는 경우, 코일 스프링(366)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부재(365)의 후단부(303a) 측으로의 압박을 유지한다. 이 때, 배출 부재(365)는 지지벽(369)에 형성되는 삽입 구멍을 통해 삽입 공간(370)으로 통과한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303) 및 장치 본체(301)는 맞물림 기구(362)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코일 스프링(366)은 배출 부재(365)의 플랜지(365a)를 후단부(303a)로 압박한다. 배출 부재(365)는 관통 구멍(368a)을 통해 디스크 트레이(303)의 후단부(303a)로부터 돌출하게 되고, 장치 본체(301)의 후벽(301a)과 접촉한다. 배출 부재(365)가 더욱 압박되면, 코일 스프링(366)은 장치 본체(301)의 후벽(301a)과 접촉된 배출 부재(365)의 플랜지(365a)로부터 디스크 트레이(303)의 전단부(303b)로 연장된다. 따라서, 지지벽(369)이 전단부(303b)에 압박되면, 코일 스프링(366)은 디스크 트레이(303)를 장치 본체(301)의 외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다음에,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 디스크 트레이(5) 및 장치 본체(7)와 맞물리는 맞물림 기구(362)를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물림 기구(362)는 장치 본체(301)에 맞물리는 디스크 트레이(303)를 지지하기 위해 디스크 트레이(303)와 맞물리도록 장치 본체(301)의 하부 반쪽(307) 상에 제공되는 맞물림 돌출부(326), 및 디스크 트레이(303) 상에 제공되어 맞물림 돌출부(326) 상의 맞물림을 위한 방향으로 피봇되는 맞물림편(371)을 포함한다.
맞물림 돌출부(32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1)의 하부 반쪽(307)의 일 단부 근처에 제공된다. 맞물림 돌출부(326)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 내부에 삽입되면, 맞물림 돌출부(326)는 디스크 트레이(303)에 형성된 맞물림편(371) 상에 맞물려서 장치 본체(301) 내부의 디스크 트레이(303)를 홀딩하게 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물림 돌출부(326) 상에 맞물리는 맞물림편(371)은 맞물림 돌출부(326)를 캐치하기 위해 훅 모양으로 형성되는 지지부(372), 단부에 지지부(372)가 형성되는 본체(373), 본체(373)의 베이스 단부 측에 제공되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맞물림편(371)이 피봇되는 스터드(374), 및 상세하게 후술하는 배출 버튼(375)과 접촉되는 접촉부(376)를 포함한다. 맞물림편(371)은 스터드(374)를 중심으로 하여 도 9의 화살표 D 방향 또는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77)이 스터드(374) 상에 감겨서 맞물림편(371)이 도 9의 화살표 D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항상 압박한다. 맞물림편(371)이 도 9의 화살표 D 방향으로 피봇됨으로써, 지지부(372)는 장치 본체(301) 상에 제공되는 맞물림 돌출부(326)의 이동 궤도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접촉부와 접촉되어 있는 배출 버튼(375)은 장치 본체(301)의 전단부(301b)에 형성되는 제어 패널(미도시)에 제공된다. 사용자가 디스크 트레이를 인출하기 위해 배출 버튼(375)을 누르면, 접촉부(376)가 눌려져서 맞물림편(371)이 도 9의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된다.
맞물림편(371)에는 본체(373)의 단부로부터 맞물림 돌출부(326)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고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경사부(373a)가 형성된다. 경사부(373a)의 돌출 단부에는 훅 형상의 지지부(372)가 형성된다. 또한, 맞물림편(371)의 경사부(373a)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에는 접촉부(376)가 형성된다. 즉, 스터드(374)는 접촉부(376)와 경사부(373a)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접촉부(376)가 배출 버튼(375)에 의해 눌려지면, 맞물림편(371)이 도 9의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된다. 그러므로 지지부(372)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피봇되면, 맞물림 돌출부(326)를 캐치하고 장치 본체(301) 내부의 디스크 트레이(303)를 홀딩한다. 지지부(372)가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어 맞물림 돌출부(326)를 해제하면, 디스크 트레이(303)는 전술한 코일 스프링(366) 및 배출 부재(365)에 의해 장치 본체(301)의 내부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 내부에 삽입되면, 장치 본체(301)의 하부 반쪽에 제공되는 맞물림 돌출부(326)는 도 9의 화살표 H 방향으로 이동하여 경사부(373a)와 접촉하고, 따라서 맞물림편(371)이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된다. 맞물림 돌출부(326)가 경사부(373a)의 단부 상으로 이동되면, 맞물림편(371)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377)의 압박에 의해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피봇되고, 지지부(372)는 다시 맞물림 돌출부(326)의 이동 궤도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맞물림편(371)은 맞물림 돌출부(326) 상에 맞물리는 지지부(372)를 가지며 디스크 트레이(303)는 장치 본체(301)와 맞물린다.
디스크 트레이(303)를 장치 본체(30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접촉부(376)를 누르게 되는 배출 버튼(375)을 조작한다. 접촉부(376)가 배출 버튼(375)에 의해 눌려지면, 맞물림편(371)은 도 9의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된다. 따라서, 맞물림편(371)이 화살표 D 방향으로 피봇되면, 지지부(372)는 맞물림 돌출부(326)의 이동 궤도로부터 후퇴되고 따라서 맞물림 돌출부(326)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디스크 트레이(303) 및 장치 본체(301)는 서로 분리되고, 디스크 트레이(303)는 전술한 압박 기구(361)에 의해 장치 본체(301)로부터 추출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디스크 트레이(303)는 또한 트레이 본체(340)의 양 측부 각각에 형성되어 하부 반쪽(307)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308)와 맞물리는 맞물림부(349)를 갖는다. 맞물림부(349)가 가이드 부재(308) 상에 슬라이드식으로 맞물리기 때문에, 디스크 트레이(303)는 장치 본체(301) 쪽이나 반대쪽으로 가이드되어 이동하고, 따라서 광 픽업 유닛(304)을 따라 장치 본체(301) 쪽이나 반대쪽으로 이동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303) 내에 수납되는 광 픽업 유닛(304)과 장치 본체(301)의 하부 반쪽(307) 상에 제공되는 인쇄배선판(309)을 서로 연결하는 FPC(가요성 인쇄회로)(310)는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며, 서로 근접하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선형 암부(350, 351), 및 제1 및 제2 암부(350, 351)를 서로 결합하는 원형부(352)를 포함한다.
제1 암부(350)의 단부는 하부 반쪽(307)의 후단부(307d) 측으로 향하고 인쇄배선판(309)의 저부에 제공되는 커넥터(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암부(350)는 하부 반쪽(307)의 저부에 고정된다. 원형부(352)를 통해 제1 암부(350)와 접촉되어 결합하고 있는 제2 암부(351)는 하부 반쪽(307)의 전단부 측으로 뒤로 접어지고 디스크 트레이(303) 내에 수납되는 광 픽업 유닛(304) 상에 제공되는 커넥터(354)에 연결되는 단부(351a)를 갖는다. 제2 암부는 장치 본체(301) 및 디스크 트레이(303)에 고정되어 있지 않지만, 디스크 트레이(303)가 이동함에 따라 제2 암부(351)는 기준부로서 취해지는 원형부(352)에 의해 장치 본체(301) 측이나 반대측으로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 측이나 반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FPC(310)는 또한 도 11A 내지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1) 내부로 이동되는 제2 암부(351)를 갖는다. 이 때, 제2 암부(351)는 반쪽 하부(307)의 전단부(307a) 측을 향하여 뒤쪽으로 접어져서 굴곡부(355)를 형성한다. 디스크 트레이(303)가 이동됨에 따라, 굴곡부(355)는 디스크 트레이(303)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의 외부로 배출되면, FPC(310)의 제2 암부(351) 또한 원형부(352) 근처의 위치에서 뒤로 굴곡되어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1)의 외부로 배출되는 단부(351a)를 갖는다. 따라서, 굴곡부(355)는 원형부(352) 근처의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FPC(310)의 제2 암부(351)의 굴곡부(355)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단부(351a) 측으로 이동한다.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 내에 완전히 수납되면,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픽업 유닛(304) 상에 제공되는 커넥터와 연결되는 위치 근처에 FPC(310)의 제2 암부(351)의 굴곡부(355)가 형성된다.
CD-R/RW 또는 DVD-ROM에 사용되는 광 디스크에서 정확한 기록 또는 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광 픽업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빔이 광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직각으로 입사되어야 한다. 이러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관련된 표준이 광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과 광 디스크 상에 광빔을 집중시키는 대물 렌즈의 광축 사이에서 형성되는 고정된 각도 범위를 허용한다.
또한 이러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광빔이 광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직각으로 입사되지 않는 경우에, 신호 기록면과 관련한 광빔의 각도가 검출되고, 광빔을 집중시키는 대물 렌즈와 광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 사이의 각도 관계가 스큐 조정 기구에 의해 조정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큐 조정 기구(400)는 내부에 픽업 베이스(317)가 제공되는 베이스 섀시(315) 내부에 제공된다. 그리고 광 디스크(302)의 반경 방향 이동에서 광 베이스(317)를 가이드하는 각각의 가이드 레일(316)의 양 단부 각각에 제공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큐 조정 기구(400)는 가이드 레일(316)의 일 단부 상에 끼워지는 홀더(401)에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316)의 상부를 지지하는 스프링(402), 및 가이드 레일(316)의 하부 측과 접촉하고 가이드 레일(316)을 수직으로 눌러 가이드 레일(316)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 스크루(403)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401)는 베이스 섀시(315)에 포함되는 메인 플레이트(405)의 이면(405a)에 장착되고, 가이드 레일(316)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부(406)를 갖는다. 홀더(401)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개구부(406)를 통해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316)의 단부, 및 스프링(402)을 갖는다. 홀더(401)는 또한 삽입 개구부(406)의 저부에 형성되어 조정 스크루(403)가 삽입되는 스크루 구멍(407)을 갖는다.
스프링(402)은 원통형 코일 스프링이며 가이드 레일(316)을 하방으로 압박한다. 조정 스크루(403)는 홀더(401)의 저부에 형성되는 스크루 구멍(407) 내에 삽입되며 그 상단부가 가이드 레일(316)의 하측과 접촉한다.
상기 스큐 조정 기구(400)는 홀더(401) 측으로 돌출된 조정 스크루(403)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가이드 레일(316)의 높이를 조정한다. 따라서, 광빔을 집중시키는 대물 렌즈(312)와 광 디스크(302)의 신호 기록면 사이의 각도 관계는 조정될 수 있어서 광빔이 신호 기록면에 직각으로 입사될 수 있다.
그러나, 스큐 조정 기구(400)의 두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보다 박형이고 콤팩트한 설계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된다.
즉, 예를 들어 DVD-ROM 드라이브 케이싱의 두께가 디스크 드라이브 자체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9.5mm의 두께를 갖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싱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크 드라이브는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316)의 두께에 대한 여유를 조정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거의 곤란하다.
픽업 이동 기구(318)에 포함되는 DC 모터(335)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을 포함하여 전체가 베이스 섀시(315)를 덮는 대략 사각형 하우징(338)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하우징(338)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섀시(315)의 두께에 해당하는 폭(예를 들어 6mm)을 갖는다.
또한, 픽업 이동 기구(318)의 두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보다 박형이고 콤팩트한 설계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된다. 즉, 예를 들어 DVD-ROM 드라이브 케이싱의 두께가 디스크 드라이브 자체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9.5mm의 두께를 갖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싱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크 드라이브는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 플레이트로 DC 모터(335)의 전체 하우징(338)을 덮는 것으로 디스크 드라이브의 두께를 9.5mm로 감소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전술한 광 픽업 유닛(304)에서, 트랜스미션 부재(333)는 판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고 맞물림 돌출부(334)는 항상 리드 스크루(331) 상의 나선과 맞물리도록 판스프링에 의해 강압된다. 그러므로, 소정의 사각 파형 펄스가 제공되는 DC 모터(335)에 의해 픽업 베이스(317)를 소정 위치에 단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맞물림 돌출부(334)가 리드 스크루(331) 상의 나선으로부터 해제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트랜스미션 부재(333)는 강한 압박 하에서 리드 스크루(331) 상의 나선에 맞물리는 맞물림 돌출부(334)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스텝 모터인 DC 모터(335)는 약한 토크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트랜스미션 부재(333)가 매우 강한 압박에 의해 리드 스크루(331) 상의 나선에 맞물리는 경우, 리드 스크루(331)는 회전될 수 없고, 따라서 픽업 베이스(317)는 신속하게 이동될 수 없다.
한편, 트랜스미션 부재(333)에 인가되는 힘이 약해지면, 맞물림 돌출부(334)는 리드 스크루(331) 상의 나선으로부터 해제되고, DC 모터(335)로의 소정 단계 수에 대한 사각 파형 펄스의 공급은 픽업 베이스(317)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고, 따라서 픽업 베이스(317)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디스크 드라이브(300)에서, PPE로 성형되는 디스크 트레이(303), 철제 광 픽업 유닛(304), 및 알루미늄제 커버 부재(343)가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서로 상이한 선형 열팽창계수는 고온에서 뒤틀리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303)는 PPE와 같은 강성 소재로 형성되고, 디스크 트레이(303) 내에 수납되는 광 픽업 유닛(304)의 베이스 섀시(315)는 철로 성형되며, 베이스 섀시(315)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디스크 트레이(303) 내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커버 부재(343)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즉, 이들 디스크 트레이(303), 베이스 섀시(315), 및 커버 부재(343)는 선팽창계수가 서로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PPE의 선팽창계수는 2.8×10-5/mm℃인 반면, 알루미늄의 선팽창계수는 2.4×10-5/mm℃이고 철의 선팽창계수는 1.2×10-5/mm℃이다.
디스크 트레이(303), 베이스 섀시(315), 및 커버 부재(343) 각각은 이러한 선팽창계수의 차이 때문에, 즉 열수축의 차이 때문에, 디스크 드라이브(300)가 구동되면 이들의 온도가 상승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제 커버 부재(343)는 개구부(344)의 측부 에지로부터 광 디스크(302) 쪽으로 뒤틀려서 경우에 따라 오목부(341) 내에 수용되는 광 디스크(302)의 신호 기록면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특히, 제1 벽(345)의 하부 에지와 커버 부재(343) 사이에는 간극 C가 형성되기 때문에(도 3 참조), 커버 부재(343)는 간극 C 측으로 굴곡되게 된다. 또한, 제1 벽이 광 디스크(302)의 외주를 따라 위치되고 따라서 비교적 커다란 축 방향 런아웃(runout)이 발생하기 때문에, 커버 부재(343)와 슬라이딩 접촉을 갖게 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크 드라이브(300)에서, 장치 본체(301) 내부의 디스크 트레이(303)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 기구(360)는 배출 버튼(375)에 의해 맞물림 기구(362)를 맞물림 돌출부(365)로부터 해제하도록 제공된다. 광 디스크(302)에서 데이터가 기록 또는 재생되는 중에 실수로 배출 버튼(375)이 눌려지는 경우, 디스크 트레이(303) 및 장치 본체(301)는 서로 분리되어 데이터 기록 또는 재생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 내부에 수납되어 있을 때 FPC(310)가 장치 본체(301)와 디스크 트레이(303)의 배면(302a) 사이에서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FPC(310)는 여러 곳에서 강성이 변화되는 제1 암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의 외부에 있는 경우, 간극(356)은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303)와 장치 본체(301)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 내부에 수납되었을 때, 가요성 FPC(310)의 단부(351a)가 간극(356) 아래로 굴곡되면, FPC(31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303)와 장치 본체(301) 사이에 걸리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FPC(310)는 제2 암부(351)의 단부(351a) 상에 부착되는 커버 레이(cover lay)(357)를 갖는다. 커버 레이(357)는 후단부(351b)에 비해 제2 암부(351)의 단부(351a) 강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FPC(310)는 일단 장치 본체(301)의 외부로 배출된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 내부로 다시 수납될 때 고강성 단부(351a)에서 간극(356) 아래로 굴곡되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제2 암부(351)의 저강성이고 가요성인 후단부(351b)가 굴곡되어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 내부로 양호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그러나, 디스크 트레이(303)가 장치 본체(301)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면, 제2 암부(351)의 단부 상에 부착되는 커버 레이(357)를 갖는 FPC(310)는 단부(351a) 측으로 이동되는 제2 암부(351)의 굴곡부(355)를 가짐으로써 굴곡부(355)가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픽업 유닛(304) 상에 제공되는 커넥터(354)와 연결되는 위치 근처에 형성되게 된다. 커넥터(354)와의 연결부에 가까울수록 굴곡부(355)의 하중은 커진다. 그러나, 커넥터(354)와의 연결부와 굴곡부(355) 사이의 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FPC(310)는 별도의 길이를 가져야 하며, 이것은 제조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2 암부(351)의 단부(351a) 상에 부착되는 커버 레이(357)는 강성을 증가시켜서 단부(351a)의 하중을 증가시킨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300)가 사용될 호스트 장치의 박형 설계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300)의 장치 본체(301)의 두께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장치 본체(301)가 박형으로 설계될수록 굴곡부(355)의 곡률은 더욱 커지게 된다.
디스크 트레이(303)가 반복적으로 삽입 및 배출됨에 따라 FPC(310)의 제2 암부(351)에는 매번 커다란 하중이 인가되고, 제2 암부(351)의 단부(351a)는 균열되며 FPC(310) 내에 형성된 회로 패턴이 손상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광 디스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을 대물 렌즈에 의해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면 상으로 집속하고,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의 귀환 광(return light)을 검출하는 광 픽업; 상기 광 픽업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광 픽업의 타 단부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 샤프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가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 수단; 상기 광 픽업을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가이드되는 광 픽업 구동 수단; 및 상기 광 디스크의 주면(main side)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에 힘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대향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와 접촉하는 조정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스크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의 경사를 조정하여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 조정 수단(skew adjusting means)을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광 디스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을 대물 렌즈에 의해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면 상으로 집속하고,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의 귀환 광(return light)을 검출하는 광 픽업; 상기 광 픽업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광 픽업의 타 단부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 샤프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가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 수단; 상기 광 픽업을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가이드되는 광 픽업 구동 수단; 및 상기 광 디스크의 주면(main side)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에 힘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대향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와 접촉하는 조정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스크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의 경사를 조정하여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 조정 수단(skew adjusting means)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스크루가 전기 전도성을 가지거나 또는 전도 전도성을 가지도록 도금된 것으로서 접지 전위를 갖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스텝 모터(step motor)를 사용하는 픽업 이동 기구를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 모터가, 픽업 섀시(pickup chassis) 내에 결합되는 리드 스크루로서, 그 상부는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픽업 섀시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feeding member)와 맞물림 결합되어 있는 리드 스크루(lead screw); 상기 리드 스크루를 따라 회전하는 자석; 상기 리드 스크루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자석에 대해서 작동하는 자기 코일; 및 상기 자석과 자기 코일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자신의 상부측 및 하부측 각각에, 그리고 상기 픽업 섀시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트레이 내의 오목부(concavity)와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판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대물 렌즈를 구비하는 광 픽업 유닛; 상기 광 픽업 유닛을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 메커니즘; 및 상기 광 픽업 유닛의 픽업 베이스와 상기 픽업 이동 메커니즘을 서로 맞물림 결합시키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리드 스크루 상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는 맞물림 돌출부; 및 상기 픽업 베이스와 연속하여 설치되는 수납부로서, 상기 맞물림 돌출부와 상기 리드 스크루의 맞물림 결합을 보장하는 거리로 상기 맞물림 돌출부를 유지하는 간극 형성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compartment)를 포함하되, 상기 간극 형성 부재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가 상기 리드 스크루 상의 나사부와 결합하는 깊이보다 작은 간극(clearance) 만큼 상기 수납부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수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또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픽업 베이스를 포함하는 광 픽업 유닛; 상기 픽업 베이스를 이동시키는 리드 스크루를 포함하는 픽업 이동 메커니즘; 및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픽업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리드 스크루 상에 맞물림 결합되는 맞물림 돌출부를 자신의 외부측에 구비하는 측벽(side wall); 상기 맞물림 돌출부와 상기 리드 스크루 간의 결합을 보장하는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벽의 내부 표면을지지하는 간극 형성 부재(clearance definition member)를 수납하는 수납부(compartment); 및 상기 측벽의 베이스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측벽이 상기 리드 스크루 쪽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리드 스크루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요성(flexible)을 갖는 힌지(hinge)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 형성 부재는 상기 수납부 외부를 향하여 상기 측벽의 내부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편(support piece)을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또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광 픽업, 픽업 이동 기구, 및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픽업 섀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부재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광 픽업 및 디스크 테이블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기록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가 수납되는 오목부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픽업 섀시에 연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부재; 및 통상 원형의,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 수납 오목부와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트레이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기록 표면이 직접 마주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픽업 섀시에 연결될 때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디스크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 섀시,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디스크 트레이는 열팽창계수가 서로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트레이는 상기 오목부의 외주 면에 구비된 외주 벽 상에 제공되는 돌출부로서, 상기 외주 벽과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 상부까지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또는 외부로 이동되는 디스크 트레이; 상기 디스크 트레이 상에 제공되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및/또는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 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광 픽업; 상기 광 픽업을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내주와 외주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 기구;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지지하는 디스크 트레이 지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 지지 기구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상기 장치 본체 외부로 밀어내는 가압 부재; 상기 장치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크 트레이와 결합하는 맞물림 돌출부; 상기 디스크 트레이 상에 제공되며, 상기 맞물림 돌출부가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피봇되는 맞물림편(engagement piece); 상기 맞물림편을 상기 맞물림 돌출부 상으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맞물림편을 상기 맞물림 돌출부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맞물림편의 피봇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맞물림편과 접촉하는 피봇편(pivoting piece); 상기 맞물림편에 결합되며, 상기 피봇편을 피봇하도록 자기 코일 내로 삽입되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맞물림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피봇편과 접촉 상태에 놓여, 상기 맞물림편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 상으로 맞물리게 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봇편을 가압하는 가압편(pressing piece)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트레이가 상기 가압 부재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맞물림편은 상기 가압편을 가압하고, 그에 따라 상기 피봇편은 상기 맞물림편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 상으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피봇되는 상기 가압편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맞물림 결합편은 상기 맞물림 돌출부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디스크 트레이가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유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상기 피봇편을 피봇하는 경우, 상기 맞물림편은 상기 맞물림편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디스크 트레이가 상기 가압 부재의 힘에 의해 상기 장치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또한, 기록 및/재생 장치에 있어서, 섀시; 기록 매체가 상기 섀시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기록 매체 변동 위치와 상기 섀시 내의 기록 매체 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섀시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기록 매체가 놓이게 되는 기록 매체 지지대(recording medium mount)를 포함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암부(arm portion)를 구비하며, 평평하고 대체로 U자형인 가요성 케이블(flexible cable)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암부는 상기 제1 암부의 자유 단부가 상기 섀시의 뒤쪽으로 향하도록 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제2 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될 때 쉽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케이블 중에서,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기록 매체 변동 위치와 상기 기록 매체 홈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부분은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얇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스큐 조정기구를 포함하는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있어서, 가이드 샤프트의 높이는 광 픽업 유닛을 지지하는 가이드 수단에 포함된 가이드 샤프트의 단부를 원뿔형의 탄성 부재와 조정 스크루 사이에 협지시킴으로써 조정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샤프트와 접하는 탄성부재의 자유 단부는 더 큰 직경을 가진, 베이스 단부의 보어(bore)로 들어가면서 압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재는 실린더형 탄성 부재에 비해 압착된 길이로 보다 작게 만들어 질 수 있어서, 전체 스큐 조정 기구의 높이가 작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섀시가 박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큐 조정기구를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샤프트를 협지시키는 조정 스크루가 전기전도성을 가진 것으로 또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도록 도금되고 접지 전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큐 조정기구는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접지 전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샤프트의 충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텝 모터는 그 하우징이 상, 하면에서 모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박형으로 설계된다. 상기 하우징은 광 픽업 유닛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커버 부재와 바닥판 사이에서 긴밀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에 위치하는 자석 코일의 자기장이 폐색될 수 있으므로, 스텝 모터로부터의 주변 자기장이 광디스크에 정보 신호를 기록하거나 광디스크로부터 정보 신호를 재생하는데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텝 모터 하우징이 그 상, 하면에서 모두 개방되어 있어서, 하우징 내부의 열이 쉽게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대물 렌즈가 구비된 픽업 베이스에 연결된 맞물림 부재의, 수납부에 형성된 맞물림 돌출부가 리드 스크루 상의 나사부와 나사 깊이 만큼 맞물려 있고, 탄성 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측벽 사이에, 상기 리드 스크루상의 나사부에 상기 맞물림 돌출부가 맞물림 결합하는 깊이보다 작은 간극만큼 상기 맞물림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다.
그러므로, 탄성 부재는, 수납부 벽 상에 형성된 자신의 맞물림 돌출부가 리드 스크루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채로, 수납되므로, 리드 스크루의 회전을 원활하지 않게 하는 과잉의 힘이 리드 스크루에 인가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어서, 픽업 베이스의 이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픽업 베이스의 이동 과정에서 맞물림 부재 등의 치수 공차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맞물림 돌출부와 리드 스크루 상의 나사부 사이에 부정합 조차도 탄성 부재의 측벽과 수납부의 수납벽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내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맞물림 부재의 맞물림 돌출부는 리드 스크루 상의 나사부에서의 맞물림 깊이보다 큰 정도로는 어떠한 부정합도 가지지 않으므로, 픽업 베이스의 이동 과정에서 리드 스크루와 맞물림 돌출부가 서로 결합 해제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간극 형성 부재가 맞물림 부재의 수납부에 수납될 때, 지지편이 수납부의 측벽을 좌, 우 폭에 걸쳐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픽업 베이스가 이동 상태에 있거나, 또는 맞물림 부재를 가진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떨어뜨리는 경우, 리드 스크루에 맞물림 결합되는 맞물림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을 지지하는 픽업 베이스와 일체로 장착된 맞물림 부재에 형성된 힌지에 집중되는 하중이 상기 간극 형성 부재에 의해 경감될 것이다. 그러므로, 간극 형성 부재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 베이스 섀시 및 커버 부재가 선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다. 데이터가 광디스크에 기록되거나 또는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되는 동안, 이들 부품이 각각 열변형되는 경우에도, 커버 부재가 디스크 트레이의 수납부 벽의 본체의 하부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돌출부와 접하게 되어, 광디스크 쪽으로 편향되는 경우가 방지된다. 그러므로, 커버 부재가 광디스크와 미끄럼 접촉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맞물림 기구를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가 장치 본체로부터 배출될 때, 철심에 전류가 공급되어 자기의 자력을 소거한다. 피봇편이 피봇 영역을 개방하여, 그것의 맞물림부가 맞물림 돌출부의 이동 궤도 상에서 물러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맞물림 돌출부가 피봇편의 맞물림부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디스크 트레이가 장치 본체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그러므로, 플런저를 자기적으로 흡인하는 자기의 자력이 철심 코일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소거되기 때문에, 데이터가 광디스크에 기록되거나 또는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의 오작동으로 인해 디스크 트레이가 인출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트레이가 제 위치로 확실하게 삽입 및 배출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동 부재가 섀시에 수납될 때, 가요성 케이블의 제2 암부가 커넥터와의 접속부 근방 부분에서 구부러진다. 그러나, 제2 암부 중 접속부 근방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강도가 작기 때문에, 구부러짐으로 인해 제2 암부에 야기되는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암부의 자유 단부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어서, 회로 패턴이 단선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제2 암부 중 굴곡가능 부분은, 제2 암부가 커넥터와의 접속부 근방 부분에서 구부러지는 경우에, 구부러짐으로 인한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접속부와 굴곡부 사이의 거리는, 이동 부재가 섀시로 수납될 때 제2 암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제2 암부는 지나치게 길게 형성되지 않아도 되며, 이는 제조 비용의 줄이는데 유리하다.
또한, 박형 설계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이동 부재가 섀시에 수납될 때 가요성 케이블의 높이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케이블의 굴곡부의 곡률이 커지게 되고, 더 큰 하중이 굴곡부에 인가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부재가 섀시에 수납될 때 제2 암부의 굴곡부에 대한 하중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섀시의 박형 설계에도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그 외의 목적과, 기술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크 드라이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되는 디스크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스큐 조정 기구를 구비한 광 픽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되는 픽업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픽업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디스크 트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디스크 트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되는 맞물림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되는 가요성 인쇄배선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디스크 드라이브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나타낸 스큐 조정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사이에 위치되는 가요성 인쇄배선판을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와 장치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내장된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디스크 트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나타낸 디스크 트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나타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맞물림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맞물림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5에 나타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광 픽업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15에 나타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스큐 조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스큐 조정 장치의 변형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나타낸 스큐 조정 장치의 다른 변형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5에 나타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픽업 이동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15에 나타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결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결합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나타낸 결합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커버 부재가 부착된 광 픽업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6에 나타낸 결합 부재의 변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수납부 내에 수납된 간극 형성 부재를 갖는 결합 부재(도 30에 나타냄)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나타낸 결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26에 나타낸 결합 부재의 다른 변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수납부 내에 수납된 간극 형성 부재를 갖는 결합 부재(도 33에 나타냄)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나타낸 결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6은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디스크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디스크 트레이와 장치 본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가요성 인쇄배선판의 평면도이다.
도 38은 가요성 인쇄배선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디스크 트레이 및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디스크 트레이가 장치의 내부 및 외부의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경우의 가요성 인쇄배선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1은 광 픽업 유닛이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2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시동 시에 광 픽업 유닛의 펄스 구동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의 순서도이다.
도 43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 디스크 배출 시에 광 픽업 유닛의 펄스 구동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이하에서 "디스크 기록기/재생기"라 함)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대체로 참조 부호 1로 지시되는 상기 기록기/재생기는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과 같은 광 디스크(optical disk)의 재생용 디스크 드라이브이다. 상기 기록기/재생기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호스트(host) 장치의 드라이브 베이(drive bay)에 설치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크 기록기/재생기(1)는 분해 사시도의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기록기/재생기(1)는 그 내부에 위치되는 DVD 등과 같은 광 디스크(4)를 가지는 디스크 트레이(disk tray)(5), 및 상기 디스크 트레이(5)에 위치되는 광 디스크(4)로부터 정보 신호를 판독하도록 상기 디스크 트레이(5)에 연결되는 광 픽업 유닛(optical pickup unit)(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 기록기/재생기(1)가 설치되는 호스트 장치(2)의 소형이고 박형 구조에 대응하게, 상기 디스크 기록기/재생기(1)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동일한 높이인 대략 9.5mm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본체(이하에서 적당한 곳 어디에서나 "장치 본체"라 함)(7)를 구비한다. 9.5mm의 높이 또는 두께를 가지는 상기 장치 본체(7)에서, 각 구성요소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광 디스크(4)는 1.2mm의 높이 또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광 디스크(4)의 축방향 런아웃(runout)이 ±0.5mm이고, 상기 광 픽업 유닛(6)에 연결되는 디스크 트레이(5)는 5.2mm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광 디스크(4)가 위치되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와 광 디스크(4)의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0.4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디스크 트레이(5)와 상기 장치 본체(7)의 바닥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0.4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장치 본체(7)의 외측 케이스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상부 반쪽(8) 및 하부 반쪽(9)은 각각 0.4mm 및 0.5mm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디스크 기록기/재생기(1)의 본체(7)는 서로 맞대어 연결되는 상부 반쪽(8) 및 하부 반쪽(9)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반쪽(8) 및 하부 반쪽(9)은 금속판을 펀칭(punching) 또는 드릴링(drilling)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장치 본체(7)의 하부 반쪽(9)은 상기 디스크 기록기/재생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상기 호스트 장치(2)에 상기 디스크 기록기/재생기(1)의 접속을 위한 상호 연결 커넥터 등이 형성되는 회로기판(circuit board)(17)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반쪽(9)은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장치 본체(7) 외측으로 인출되는 일단부에서 개구되고, 상기 개구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후벽(rear wall)(9a)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반쪽(9)은 상기 개구 단부 및 후벽(9a)이 제공되는 사이에 대향 에지를 따라서 형성되는 돌출 측벽(9b, 9c)을 구비한다.
상기 대향 측벽(9b, 9c) 상에, 상기 장치 본체(7) 내부에 삽입, 및 상기 장치 본체(7)로부터 배출을 위하여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2)이 상기 하부 반쪽(9)의 후벽(9a)으로부터 개구 단부로 뻗어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2) 각각은 대체로 C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치 본체(7)를 향하여 그 내부에 형성되는 C자 형상의 오목부(concavity)(12a)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2)은 상기 디스크 트레이(5)에 연결되는 가이드 부재(13)에 대한 오목부(12a)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2)은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미리 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상기 장치 본체(7)의 밖으로 끌어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13)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14)를 그 위에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2)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13)는 대체로 C자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대향 측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장치 본체(7)로부터 배출되거나,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 부재(13)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매끄러운 이동으로 가이드하도록 가이드 레일(12)을 슬라이드한다.
또한, 상기 하부 반쪽(9)은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유지하는 홀딩 기구(holding mechanism)(18)에 결합되는 돌출 맞물림 돌출부(11)를 제공한다. 상기 홀딩 기구(18)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반쪽(9)은 후벽(9a) 근처에 그에 형성된 드라이브 회로를 가지는 인쇄배선판(printed wiring board)(17)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배선판(17)은 소위 견고한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배선판(17)은 그에 형성되는 배선 패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배선 패턴에 외부 기구에 접속을 위한 커넥터와 같은 다수의 전자 부품을 장착한다. 또한, 상기 인쇄배선판(17)은 상기 광 픽업 유닛(6)에 연결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23)을 장착한다. 상기 FPC(23)는 뒤에서 상세하게설명된다.
상기 장치 본체(7) 외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삽입되는 디스크 트레이(5)는 상기 광 디스크(4)가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15)를 그 내부에 형성한다. 상기 오목부(15)는 대체로 원형이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 내에 수용되는 광 픽업 유닛(6)의 대물 렌즈 및 디스크 테이블이 바로 상기 광 디스크(4)를 향하는 개구(16)를 그 주면에 형성한다. 상기 개구(16)는 대략 상기 오목부(15)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정면(5a)으로 뻗어 있다. 또한, 상기 광 픽업 유닛(6)의 베이스 섀시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를 통하여 위쪽으로 향하고 상기 베이스 섀시에 설치되는 대물 렌즈 및 디스크 테이블이 상기 개구(16)를 통하여 상기 광 디스크(4)에 노출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20%의 유리를 포함하는 강성 PPE(polyphenylene ether)로 형성된다. 상기 광 디스크(4)가 수용될 수 있는 대체로 원형의 오목부(15)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주면(5b)에 형성되고, 상기 광 픽업 유닛(6)이 수용되는 수납부(compartment)(21) 및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결합되는 디스크 트레이(5)를 지지하는 홀딩 기구(18)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후면(5c)에 형성된다. 상기 광 픽업 유닛(6)은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수납부(21)는 그 내부에 상기 광 픽업 유닛(6)과 결합되는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25)를 제공한다. 상기 맞물림 돌출부(25)가 상기 광 픽업 유닛(6)의 베이스 섀시에 형성된 복수의 맞물림 구멍에 결합되면, 상기 수납부(21)는 상기 광픽업 유닛(6)에 연결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삽입되고, 상기 장치 본체 외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3)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 돌출부(22)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22)는 상기 장치 본체(7)에 대하여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삽입 및 배출을 가이드하도록 상기한 가이드 부재(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출부(22)는 상기 장치 본체(7)에서 그 후방 단부(5d) 및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향하여 전방 단부(5a)에서 단부의 각각에 제공되는 멈춤편(stop piece)을 가지고 있다. 상기 멈춤편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상기 멈춤편은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가이드 부재(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3)의 전방 단부(5a)로 돌출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유지하는 홀딩 기구(18)를 제공한다. 상기 홀딩 기구(18)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후면(5c)에서 하나의 에지 근처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상기 장치 본체(7) 외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19) 및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결합하는 맞물림 기구(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상기 장치 본체(7) 외측으로 가압하는 상기 가압 기구(19)가 설명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기구(19)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상기 장치 본체(7)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후면(5c)에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28)을 사용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28)은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장치 본체(7)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장치 본체(7) 외측으로 배출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 돌출부(22) 중 하나의 가이드 돌출부 근처에 형성되는 스프링 수납부(29)에 수용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28)은 바형 배출부재(30)가 삽입되는 중공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배출부재(30)는 상기 스프링 수납부(29)의 전방 단부(5a) 및 후방 단부(5d) 각각에서 벽(29a)에 형성되는 삽입 구멍(29b)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30)는 대체로 그 길이의 중간에 형성된 플랜지(flange)(30a)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플랜지(30a)가 상기 코일 스프링(28)의 단부에 의하여 그 일 측면에서 가압되면, 상기 배출부재(30)는 상기 후방 단부(5d)로 가압되고 상기 플랜지(30a)는 상기 스프링 수납부(29)의 후방 단부(5d)에 형성된 단차(step)(29c)에 의하여 그 다른 측면에서 지지된다. 이 때, 상기 플랜지(30a)로부터 상기 후방 단부(5d)로 뻗어 있는 상기 배출부재(30)의 일부는 상기 스프링 수납부(29)의 벽(29a)에 형성된 삽입 구멍(29b)을 통하여 상기 장치 본체(7)로 돌출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장치 본체(7)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배출부재(30)의 상기 장치 본체(7)로 돌출하는 부분은 상기 하부 반쪽(9)의 후벽(9a)에 접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더 삽입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재(30)는 상기 후벽(9a)으로부터 뒤쪽으로 가압되고 전방 단부(5a)로 이동되고 상기 플랜지(30a)에 의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28)을 후방 단부(5a)로 압축한다. 이 때 상기 코일 스프링(28)은 상기 스프링 수납부(29)의 벽(29a)에 의하여 전방단부(5a)에서 그 일 단부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플랜지(30a)에 의하여 압축되고 상기 플랜지(30a)를 후방 단부(5d)로 가압하는 힘이 유지된다. 그 후,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디스크 트레이(5) 상에 제공되는 맞물림 기구에 의하여 상기 장치 본체(7) 내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28)은 상기 플랜지(30a)를 후방 단부(5d)로 가압하는 힘을 지지한다. 상기 맞물림 기구(20)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이후 상기 맞물림 기구(20)에 의하여 분리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28)에 의하여 가압되는 배출 스프링(30)은 상기 후벽(9a)으로부터 상기 코일 스프링(28)의 힘에 상당하는 반작용을 받고 상기 플랜지(30a)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28)을 전방 단부(5a)로 반대로 가압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28)의 전방 단부(5a)에서 상기 단부는 상기 스프링 수납부(29)의 벽(29a)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코일 스프링(28)은 상기 벽(29a)을 전방 단부(5a)로 가압하는 동시에 감압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상기 장치 본체(7)의 개구 단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전방 단부(5a)는 상기 장치 본체(7)의 개구 단부로 돌출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따라서 끌어내질 수 있다. 상기 배출부재(30)는 상기 코일 스프링(28)에 의하여 플랜지(30a)에서 후방 단부(5d)로 가압되고, 상기 배출부재(30)의, 플랜지(30a)로부터 후방 단부(5d)로 뻗어 있는 부분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 본체(7)를 향하여 스프링 수납부(29)의 벽(29a)에 형성된 삽입 구멍(29b)을 통하여 돌출된다는 것을 알아야 된다.
다음에,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상기 장치 본체(7) 내의 결합을 위한 맞물림 기구(20)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 기구(20)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와 결합하고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결합되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유지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7)에 제공되는 맞물림 돌출부(11), 상기 디스크 트레이(5) 상에 제공되고 상기 맞물림 돌출부(11)를 디스크 트레이(5)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가압하는 맞물림편(engagement piece)(41), 상기 맞물림편과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편(41)의 피봇(pivoting)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맞물림편(41)을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맞물림편을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와 분리하는 피봇편(pivoting piece)(42), 상기 피봇편(42)과 결합되고 상기 피봇편(42)을 피봇하도록 자기 코일(44) 내에 삽입되는 플런저(plunger)(45), 및 상기 피봇편(42)과 접촉하고 상기 피봇편(42)을 상기 맞물림편(41)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에 의하여 가압되는 가압편(pressing piece)(46)을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는 상기한 하부 반쪽(9) 상에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개구 단부 근처로 돌출된다. 상기 맞물림 돌출부(11)는 대체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장치 본체(7)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상기 장치 본체(7) 내부에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크 트레이(5) 상에 형성되는 맞물림편(41)에 결합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에 결합되는맞물림편(41)은 훅(hook)형상을 갖고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에 결합되는 맞물림부(48), 그 자유단에 형성되는 맞물림부(48)를 가지는 본체(49), 상기 맞물림편(41)을 위한 피봇으로서 작용하도록 상기 본체(49)의 베이스 단부에 제공되는 스터드(stud)(50), 및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피봇편(42)과 접촉되는 접촉부(abutting portion)(51)를 포함한다. 상기 맞물림편(41)은 도 19의 화살표 D의 방향 또는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스터드(50)를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50)이 도 19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피봇하기 위하여 상기 맞물림편(41)을 항상 가압하도록 상기 스터드(50)에 감긴다.
상기 맞물림편(41)은 상기 본체(49)의 단부로부터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bevel)(49a)를 구비하고, 상기 훅 형상 맞물림부(48)는 상기 경사부(49a)의 돌출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맞물림편(41)은 상기 경사부(49a)가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쪽 측면에 형성되는 접촉부(51)를 구비한다. 즉, 상기 스터드(50)는 상기 접촉부(51)와 상기 경사부(49a)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접촉부(51)가 상기 피봇편(42)에 접촉하도록 가압되기 때문에, 도 19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피봇의 범위가 제한된다.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피봇되면, 상기 맞물림부(48)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상기 장치 본체(7) 내부에 지지한다. 반대로, 도 19의 화살표 D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면, 상기 맞물림부(48)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와 분리되어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한 코일 스프링(28) 및 배출부재(30)에 의하여 상기 장치 본체(7) 내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맞물림편(41)의 피봇 범위를 제한하는 상기 피봇편(42)은 상기 피봇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맞물림편(41)의 접촉부(51)를 가압하는 피봇 범위 제한 돌출부(pivoting-range limiting projection)(55), 상기 피봇편(42)용 피봇으로서 스터드(56), 가압편(46)과 접촉되고 상기 가압편에 의하여 가압되는 접촉부(57), 및 상기 플런저(45)와 연결되는 연결부(58)를 포함한다.
상기 피봇편(42)은 도 19의 화살표 E의 방향 또는 화살표 E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스터드(56)를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형성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59)이 도 19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피봇되는 피봇편(42)을 항상 가압하도록 상기 스터드(56)에 감긴다.
상기 맞물림편(41)이 도 19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가압되며, 따라서 상기 접촉부(51)와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화살표 E의 방향이나 또는 화살표 E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면, 피봇 범위 제한 돌출부(55)는 상기 접촉부(51)에 의하여 상기 맞물림편(41)의 피봇 범위를 제한한다.
상기 접촉부(57)는 상기 가압편(46)과 그 접촉부에 형성되는 돌출부(60)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60)는 상기 가압편(46)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피봇편(42)을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시킨다.
상기 플런저(45)가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58)는 그 일 측면에서 상기 플런저(45)에 형성되는 연결구멍(45a)을 통하여 삽입되는 돌출부(58a)를 형성한다. 상기 피봇편(42)이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가압편(46)에 의하여 피봇되면, 상기 연결부(58)는 상기 플런저(45)를 자기 코일(44)로 이동시킨다. 상기플런저(45)가 상기 자기 코일(44) 내에 지지되면, 상기 피봇편(42)은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여 지지된다.
또한, 슬릿(slit)(61)이 상기 접촉부(57)와 연결부(58)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편(46)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접촉부(57)를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57) 상에 형성되는 돌출부(60)는 상기 가압편(46)이 상기 피봇편(42)을 확실하게 피봇되게 하고 상기 피봇편(42)이 상기 플런저(45)를 상기 자기 코일(44) 내에 지지되게 하고, 상기 슬릿(61)은 상기 접촉부(57)가 상기 가압편(46)에 의하여 지나치게 가압되면 상기 접촉부(57)를 편향시킴으로써 압력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9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9)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피봇편(42)은 화살표 D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맞물림편(41)을 피봇하도록 상기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상기 맞물림편(41)의 접촉부(51)와 접촉하는 상기 피봇 범위 제한 돌출부(55)를 피봇시킨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편(41)의 맞물림부(48)는 상기 장치 본체(7)의 하부 반쪽(9)에 수직으로 제공되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1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7)는 상기 장치 본체(7)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장치 본체(7) 내부에 삽입되고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가압편(46)에 의하여 가압되면, 상기 피봇편(42)은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된다. 상기 접촉부(57)에 연결되는 플런저(45)가 상기 자기 코일 내에 지지되면, 상기 피봇 범위 제한 돌출부(55)는 상기 맞물림편(41)을도 20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피봇하도록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된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편(41)의 맞물림부(48)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상기 장치 본체(7) 내부에 지지된다.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피봇편(42)을 지지하는 상기 플런저(45)는 대체로 U자 형상의 자기 부재이다. 상기 플런저(45)는 상기 자기 코일(44) 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 샤프트(63)를 가지며, 그 베이스 단부 부분에 형성되는 연결구멍(45a)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구멍(45a) 내에 삽입되는 피봇편(42)의 연결부(56) 상에 형성되는 돌출부(58)를 이용하여, 상기 플런저(45)는 상기 피봇편(42)에 연결된다.
상기 플런저(45)의 삽입 샤프트(63)가 통과되는 상기 자기 코일(44)은 상기 삽입 샤프트(63)가 삽입되는 중공의 코어(65)에 감기는 코일(66)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자기 코일(44)은 상기 삽입 샤프트(63)를 도 19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상기 삽입 샤프트(63)의 삽입 단부로부터 멀리 자기적으로 끌어당기는 자석(도시 않음)을 통합한다. 상기 피봇편(42)이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고 상기 플런저(45)의 삽입 샤프트(63)가 상기 자기 코일(44) 내에 더 깊이 삽입되면, 상기 삽입 샤프트(63)는 도 20에 도시된 상기 자기 코일(44) 내에 자석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전류가 코일(66)로 공급되면, 상기 자기 코일(44)은 상기 플런저(45)를 구속 해제하도록 상기 삽입 샤프트(63)를 자기적으로 끌어당기는 자석의 자력을 상쇄할 것이다. 상기 플런저가 따라서 구속 해제되면, 상기 피봇편(42)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9)의 힘을 받아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피봇가능하다.
상기 피봇편(42)을 가압하도록 상기 피봇편(42)의 접촉부(57)와 접촉하는 가압편(46)은 상기 장치 본체(7)에 수직으로 제공되는 맞물림 돌출부(11)에 의하여 가압되는 암 부분(arm portion)(70), 상기 가압편(46)이 피봇되고 상기 암 부분(70)의 베이스 단부에 제공되는 스터드(71), 및 상기 피봇편(42)을 가압하도록 상기 피봇편(42)의 접촉부(57)를 가압하는 가압부(72)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편(46)은 도 19의 화살표 G의 방향 또는 화살표 G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스터드(71)를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형성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73)이 상기 암 부분(70)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를 교차하는 위치에서 상기 가압편(46)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터드(71)에 감긴다. 즉, 상기 암 부분(70)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에 의하여 가압되며 따라서 상기 피봇편(42)을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하도록 화살표 G의 방향으로 피봇된 후, 또는 상기 접촉부(57)가 상기 피봇편(42)을 화살표 G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시키도록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피봇되는 상기 피봇편(42)과 부딪힐 때에도, 상기 가압편(46)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73)에 의하여 홈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가압편(46)의 위치를 제한하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73)은 상기 스터드(71)에 감기고 상기 가압편(46)에 의하여 지지되는 그 일 단부 및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후면(5c)에 형성되는 지지부재(retaining member)(75)에 의하여 지지되는 타 단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75)는 반원형 지지편(retentionpiece)(75a) 및 그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는 직사각형 지지편(75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73)은 그 타 단부에서 간극 내에 삽입되고 반원형 지지편(75a)에 감긴다. 상기 지지편(75a)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75b)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73)은 상기 지지편(75b)에 감길 수 없지만 상기 반원형 지지편(75a)에만 감긴다. 따라서,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또는 화살표 G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하도록 상기 맞물림 돌출부(11) 및 상기 피봇편(42)에 의하여 한 번 가압되는 상기 가압편(46)은 상기 암 부분(70)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를 교차하는 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암 부분(70)이 피봇되는 영역 근처 위치에 및 화살표 G의 방향과 반대 측면에, 상기 암 부분(70)이 지나치게 피봇되는 것을 정지시키는 스토퍼(stopper)(80)가 제공된다. 상기 스토퍼(80)는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후면(5c)에 제공되는 원통형 돌출부이다.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피봇되는 상기 피봇편(42)의 접촉부(57)가 화살표 G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따라서 피봇될 상기 가압편(46)과 부딪치면, 상기 암 부분(70)은 상기 스토퍼(80)에 의하여 도 19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G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나치게 피봇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편(46)은 상기 암 부분(70)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로 본래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특히, 상기 암 부분(70)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로 복귀되지 않는다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장치 본체(7)내에 삽입될 때 상기 암 부분(70)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압편(46)은 상기 피봇편(42)을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피봇할 수 없고, 상기 맞물림편(41)은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에 결합하도록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피봇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가압편(46)의 상기 암 부분(70)은 상기 암 부분(70)이 실패 없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로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제공된 상기 스토퍼(80)에 의하여 제한되는 그 피봇 범위를 가지고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 맞물림편(41), 피봇편(42), 플런저(45) 및 가압편(46)을 포함하는 맞물림 기구에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장치 본체(7) 외측에 있으면, 상기 피봇편(42)은 화살표 E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 상에 제공되는 멈춤벽(stop wall)(81)에 의하여 지지되며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피봇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맞물림편(41)은 상기 피봇편(42)의 피봇 범위 제한 돌출부(55)에 의하여 화살표 D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는 접촉부(51) 및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로부터 들어가게 되는 위치에 유지되는 맞물림부(48)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에 수직으로 제공된 맞물림 돌출부(11)를 가지는 장치 본체(7)의 하부 반쪽(9)과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하부 반쪽(9)의 후벽(9a)은 상기 디스크 트레이(5)에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28)에 의하여 가압되는 배출부재(30)에 의하여 가압되며, 따라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상기 장치 본체(7) 외측으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오목부(15)에위치되는 광 디스크(4)와 함께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삽입하면, 상기 하부 반쪽(9)에 제공되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11)는 도 19의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전진하고, 상기 가압편(46)의 상기 암 부분(70)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암 부분(70)은 도 20의 화살표 G의 방향으로 피봇된다. 상기 암 부분(70)이 따라서 피봇되면, 상기 가압편(46)의 가압부(72)는 도 20의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따라서 피봇되는 상기 피봇편(42)의 접촉부(57)를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피봇편(42)의 연결부(58)에 연결되는 상기 플런저(45)는 자기 코일(44) 내에 깊이 삽입되고 상기 자기 코일(44) 내에 배치되는 자석에 의하여 자기적으로 끌리게되는 삽입 샤프트(63)를 가진다.
이 때, 상기 가압편(46)은 상기 피봇편(42)을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확실하게 피봇하도록 상기 가압편(46)의 가압부(72)와 접촉하는 접촉부(57) 상에 형성되는 돌출부(60)를 가압하여, 상기 플런저(45)가 상기 자기 코일(44) 내에 배치되는 자석에 의하여 자기적으로 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편(42)의 접촉부(57)와 연결부(58)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61)은 상기 접촉부(57)를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편(46)에 의하여 지나치게 가압되면, 상기 접촉부(57)는 과대한 압력을 흡수하도록 편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45) 및 피봇편(42)은 도 20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주어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59)의 힘에 반하여 도 20의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어 유지된다. 상기 피봇편(42)의 피봇 범위 제한 돌출부(55)가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면, 상기 맞물림편(41)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증가되는 그 피봇 범위를 가지고 도 20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주어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52)의 힘은 상기 맞물림부(48)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에 위치시킨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가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더 깊이 삽입되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는 상기 경사부(49a)를 화살표 D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맞물림편(41)의 본체(49)의 자유단 부분으로 피봇하면서 도 20의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전진하고, 상기 맞물림부(48)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5)와 상기 장치 본체(7)의 하부 반쪽(9)이 서로 결합된다.
이 때, 상기 배출부재(3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반쪽(9)의 후벽(9a)으로부터 뒤쪽으로 가압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28)을 플랜지(30a)에 의하여 전방 단부(5a)로 가압하면서 상기 전방 단부(5a)로 이동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28)이 상기 스프링 수납부(29)의 후벽(29a)에 의하여 지지되는 전방 단부(5a)에서 그 단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 스프링은 플랜지(30a)에 의하여 가압되고 따라서 플랜지(30a)가 후방 단부(5d)로 가압되는 상태로 힘을 유지하도록 압축된다. 즉,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상기 맞물림편(41)을 상기 하부 반쪽(9)에 제공되는 맞물림 돌출부(11)에 결합하도록 상기 하부 반쪽(9)을 상기 후방 단부(5d)로 가압하면서 상기 장치 본체(7) 내에 적소에서 지지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상기 장치 본체(7)로부터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크 트레이(5)에 제공되는 사용자의 제어 유닛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공급받는 제어 회로는 상기 자기 코일(44)에 조립된 자석의 자력을 상쇄하도록 상기 자기 코일(44)에 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45)는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봇편(42)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59)의 힘을 받는 상태에서 도 19의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된다. 상기 피봇 범위 제한 돌출부(55)가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피봇되면, 상기 맞물림편(41)은 화살표 D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고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로부터 들어가는 그 맞물림부(48)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 돌출부(11)는 상기 맞물림부(48)와 분리되어, 상기 디스크 트레이 및 상기 장치 본체(7)의 하부 반쪽(9)은 서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반쪽(9)의 후벽(9a)으로 밀리는 그 자유단을 가지고 있는 상기 배출부재(30)는 상기 후벽(9a)으로부터 상기 코일 스프링(28)의 힘에 상당하는 반작용을 주고,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28)을 플랜지(30a)에 의하여 상기 전방 단부(5a)로 본래 위치로 가압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28)은 상기 스프링 수납부(29)의 후벽(29a)에 의하여 지지되는 전방 단부(5q)에서 그 단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 스프링은 후벽(29a)을 전방 단부(5a)로 가압하지만 감압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상기 장치 본체(7)의 개방 단부로 외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장치 본체(7)의 개방 단부로 배출되는 그 전방 단부(5a)를 가지고 있다.
상기 암 부분(70)은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피봇편(42)의 피봇이 상기 가압편(46)의 가압부(72)를 상기 피봇편(42)의 접촉부(57)와 부딪히도록 하고 따라서 상기 가압부(72)를 화살표 G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시키면 상기 스토퍼(80)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암 부분이 지나치게 피봇되고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에 위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가압편(46)에 감기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3)은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후면(5c)에 형성되는 지지부재(75)에 의하여 적당한 위치에 지지될 수 있고 따라서 최적의 힘을 상기 가압부재(46)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 돌출부(11) 및 피봇편(42)에 의하여 가압되고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또는 화살표 G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될 때에도, 상기 가압편(46)은 도 19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암 부분(70)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를 교차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피봇편(42)의 접촉부(57)에 형성되는 돌출부(60)는 상기 가압편(46)의 가압부(72) 또는 상기 피봇편(42)뿐만 아니라 가압편(46)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후면(5c)에 제공되는 수납부(21)에 설치되는 광 픽업 유닛(6)이 설명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픽업 유닛(6)은 유닛 본체를 형성하는 베이스 섀시(101), 상기 광 디스크(4)가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섀시(101)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크 테이블(102), 상기 디스크 테이블(102)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광 디스크(4)에 또는 광 디스크(4)로부터 정보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광 픽업(103), 상기 광 픽업(103)을 상기 광 디스크(4)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 기구(104),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에 의하여 상기 광 픽업(10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105, 106),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광 픽업(103)에 제공되는 대물 렌즈(108)와 상기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 사이의 각도 관계를 조정하는 스큐 조정 기구(skew adjusting mechanism)(109)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섀시(101)는 철제 프레임(iron-made frame)(11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 픽업(103)의 대물 렌즈(108)가 바로 상기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을 향하는 개구(112)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개구(112)는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구(112)에는, 상기 광 픽업(103),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105, 106)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에 지지되는 광 픽업(103)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 기구(104)가 배치된다. 상기 개구(112)는 그 길이 방향 일 단부에 형성되는 대체로 원형의 절단부(cut)(113)를 가지고 있다. 또한, 광 디스크(4)가 위치되는 상기 원형의 디스크 테이블(102) 및 상기 디스크 테이블(102)의 회전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도시 않음)가 상기 개구(112)에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디스크 트레이(5)의 후면(5c)에 형성되는 수납부(21)에 제공되는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25)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구멍(111)을 가지고 있다. 대응하는 결합 구멍(111)에 결합되는 맞물림 돌출부(25)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수납부(21)에 수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테이블(102)에 위치되는 광 디스크(4)에 또는 상기 광 디스크(4)로부터 정보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광 픽업(103)은 대체로 직사각형 케이스로 형성되는 픽업 베이스(114)를 포함한다. 상기 픽업 베이스(114)에는, 반도체 레이저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도시 않음), 상기광원으로부터 상기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으로 방사되는 광빔(light beam)을 집중시키는 대물 렌즈(108), 상기 광 디스크(4)의 기록면으로부터 복귀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도시 않음), 및 상기 대물 렌즈(108)를 광 디스크(4)를 집중하고 트래킹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브 시스템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광 픽업(103)은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길이 방향 단부에 가이드 샤프트(105)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16)을 형성하고, 그 타 단부에 상기 가이드 샤프트(106)에 결합되는 맞물림편(117)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픽업 베이스(114)는 상기 대물 렌즈(108)용 드라이브 시스템 등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그에 형성하고 있는 가요성 인쇄배선판(119)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광 픽업(103)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상기 픽업 베이스(114)를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 기구(104)의 리드 스크루(104)와 결합되는 맞물림 부재(120)를 그에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개구(112)의 대향 에지를 따라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105, 106)에 지지되는, 상기 광 픽업(103)은 상기 광 디스크(4)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상기 개구(112)를 통하여 상기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을 노출하는 대물 렌즈(108)를 가지고 있다.
상기 광 픽업(10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105, 106)는 쌍으로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개구(112)에 대항하게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샤프트(105)(106)는 주요부보다 그 대향 단부가 더 얇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의 단부 직경은 예를 들면, 대략 1.2mm이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수직 경사를 조정하는 스큐 조정 기구(109)에 의하여 그 대향 단부에서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각각의 가이드 샤프트와 함께 사용되는 조정 나사는 전기 전도성 재질로 또한 형성되고, 상기 조정 나사의 접지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에 전하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큐 조정 기구(109)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대향 단부를 4개소에 대응하게 제공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큐 조정 기구(109)는 상기 베이스 섀시(101) 내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25),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를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125) 내부에 제공되는 탄성부재(126), 및 상기 탄성부재(126)에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를 가로질러 상기 탄성부재(126)에 대향하는 측면에 제공되는 조정 나사(127)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5)은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상면(101a)과 하면(101b)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5)은 그 내우에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5)에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를 가압하는 상기 탄성부재(126)가 수용된다.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하면(101b)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129)에 삽입되는 조정 나사(127)는 상기 하우징(125) 내에 노출된다.
상기 탄성부재(126)는 예를 들면, 대체로 원뿔형 나선 스프링이다. 상기 탄성부재(126)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의 상면과 접촉되는 소직경 단부(126a) 및 상기 하우징(125)의 상벽과 접촉되는 대직경 베이스 단부(126b)를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가 상기 조정 나사(127)에 의하여 가압되면, 상기 탄성부재(126)는 압축되고 따라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와 상기 하우징(125)의 내벽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126)는 1mm 이하의 길이로 압축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와 접촉하는 그 소직경 단부(126a)는 상기 대직경 베이스 단부(126b) 내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성부재(126)는 1mm 이상의 길이로 압축될 수 있는 원통형 탄성부재에 비하여 축소된 길이로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25)은 전체로서 예를 들면, 대략 4mm의 두께까지, 축소된 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섀시(101)는 더 얇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나사(127)는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하면(101b)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129)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의 하면과 접촉하는 자유 단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125) 내에 상기 조정 나사(127)의 돌출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경사가 예를 들면, ±0.4mm의 단차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정 나사(127)는 전도성을 갖도록 니켈 또는 구리 도금된다. 또한 상기 조정 나사(127)는 접지 전위에서,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하면(101b)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의 하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용 접지 컨덕터(grounding conductor)로서 작용한다.
상기한 스큐 조정 기구(109)는 4개소에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각각의 대향 단부에 대응하게 제공된다. 상기 광 픽업 유닛(6)의 조립 동안, 상기 스큐 조정 기구(109)의 조정 나사(127)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경사를 조정하도록 스큐 조정 디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대물 렌즈(108)로부터 방사되는 광빔이 상기 스큐 조정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수직하게 입사되고, 따라서 상기 대물 렌즈(108)와 상기 스큐 조정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 사이의 경사 관계를 조정한다.
상기 스큐 조정 기구(109)를 이용하여 스큐 조정의 완료 후, 상기 탄성부재(126)는 스큐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큐 조정 기구(109)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상면(101a) 및 하우징(125)에 형성되는 접착제 주입 구멍(131, 132)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접착제 주입 구멍(131, 132)은 상기 탄성부재(126)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자외선 세팅 타입의 접착제(133)가 상기 접착제 주입 구멍(131, 132) 내에 주입된다.
상기 광 픽업 유닛(6)의 조립 동안, 상기 스큐 조정 기구(109)의 조정 나사(127)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경사를 조정하고 그 다음 상기 탄성부재(126)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접착제 주입 구멍(131, 132)으로부터 접착제(133)를 주입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26)는 상기 접착제(133)로 경화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큐 조정 기구(109)는 상기 탄성부재(126)가 압축 때문에 소성 변형되어도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적당한 경사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섀시(101) 및 하우징(125)에 형성되는 접착제 주입 구멍(131, 132)은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접착제 주입 구멍을 통하여 주입되는 액체 상태의 접착제(133)는 그 표면장력 때문에 상기 베이스 섀시(101) 밖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큐 조정 기구(109)는 탄성부재로서 원뿔형 나선 스프링을 이용하지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고무의 중공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의 중공형 실린더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의 상면과 접촉하는 그 일 단부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25)의 내벽과 접촉하는 그 타 단부를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가 상기 조정 나사(127)에 의하여 가압되면, 상기 실리콘 고무의 탄성부재(126)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와 상기 하우징(125)의 내벽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126)는 상기 탄성부재(126) 내에 압축되는 그 부품의 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압축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26)는 상기 스큐 조정의 완료 후 상기 접착제 주입 구멍(131, 132)을 통하여 주입되는 자외선 세팅 타입의 접착제(133)로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26)는 상기 접착제(133)로 경화되기 때문에, 상기 스큐 조정 기구(109)는 상기 탄성부재(126)가 상기 조정 나사(127)에 의한 압축 때문에 소성 변형되어도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적당한 경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는 상기 탄성부재(126)를 접지 전위에서,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하면(101b)에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106)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탄성부재(126)를 전도성 있게 하도록 상기 탄성부재(126)에 접착제를 첨가함으로써 접지 컨덕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스큐 조정 기구(109)에서, 상기 탄성부재(126) 및 조정 나사(127)가 배치되는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상면(101a)과 하면(101b) 사이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26)의 설치용 공간이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것은 스큐 조정 기구의 가이드 샤프트용 지지체가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하여 형성되는 종래의 베이스 섀시에 비하여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제조 공정을 더욱 간단하게 하고 더 박형의 구조로 되게 한다.
상기 광 픽업(103)을 상기 광 디스크(4)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에 인접되게 제공된다. 도 21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는 상기 광 디스크(4)의 반경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에 평행하고 인접한 베이스 섀시(101)에 설치되는 리드 스크루(140), 및 상기 리드 스크루(140)를 회전시키는 이송 모터(feed motor)(141)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 스크루(140)는 베어링(143)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자신의 샤프트부(140a)의 단부에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리드 스크루(140)의 샤프트부(140a)는 상기 픽업 베이스(pickup base)(114)에 구비된 상기 맞물림 부재(120)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나사부(144)를 상기 샤프트부(140a) 상에 형성하였다. 상기 이송 모터(141)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리드 스크루(140)는 상기 맞물림 부재(120)에 의해 상기 픽업 베이스(114)를 상기 광 디스크(4)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드 스크루(140)를 회전시키는 상기 이송 모터(141)는 스텝 모터로서 구성되는 DC 모터이다. 사각형 펄스(rectangular pulse)가 제공되면, 상기 이송 모터(141)는 상기 픽업 베이스(114)를 상기 광 디스크(4)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리드 스크루(14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단계적으로 가동된다.
상기 리드 스크루(140)를 회전시키는 상기 이송 모터(141)는 DC 모터이다. 상기 DC 모터는 고속으로 주행하지 않으면 어떠한 토크도 제공하지 않으므로,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의 여러 접촉부가 많이 마모될 것이다. 또한, 상기 픽업 베이스(114)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 모터는 기어 기구를 통하여 상기 리드 스크루(140)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이송 모터는 많은 작동 소음을 방출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이송 모터(141)는 스텝 모터를 사용한다. 사각 파형 펄스가 제공될 때, 상기 이송 모터(141)는 상기 픽업 베이스(114)를 상기 광 디스크(4)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모터(141)는 상벽 및 하벽을 구비하지 않는 모터 하우징(145)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 하우징(145)은 그 내부에 개구(142)를 형성하는 데, 내부에 장착된 코일(146)이 상기 개구(142)를 통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145)의 상측 및 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벽 및하벽을 구비하지 않은 상기 개구(142)로 인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145)은 상기 벽의 두께에 비하여 얇게, 예컨대 5.1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 모터(141) 및 상기 리드 스크루(140)는 프레임(148)에 장착되며, 또한 상기 이송 모터(141) 및 상기 리드 스크루(140) 사이의 상기 프레임(148)을 가진 상기 베이스 섀시(101)에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148)은 상기 모터 하우징(145)의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드 스크루(140)가 돌출되어 나오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연결부(148a)와, 상기 리드 스크루(140)의 단부를 지지하는 상기 베어링(143)과, 상기 연결부(148a)의 구부러진 부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섀시(101)에의 고정을 위한 체결 스크루가 삽입되는 체결 스크루 구멍(149)을 자신의 내부에 형성한 고정 측부(148b)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스크루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섀시(101)에 상기 리드 스크루(140) 및 상기 리드 스크루(140)에 장착된 이송 모터(141)를 구비하는 상기 프레임(148)을 고정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8)이 상기 베이스 섀시(101)에 고정되는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에 있어, 상기 베이스 섀시(101)가, 나중에 상세히 설명될 상기 광 픽업 유닛(6)을 위로부터 커버하는 상기 커버 부재(90)와, 상기 광 픽업 유닛(6)을 위로부터 커버하는 바닥판(91) 사이에 지지될 때, 상기 모터 하우징(145)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상기 개구(142)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90) 및 상기 바닥판(91)에 의해 닫힌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90) 및 상기 바닥판(91)은 상기 모터 하우징(145)에 수납된 상기 코일(146)의 자장을 닫는 요크(yoke)로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와 같은 임의의 이물질이 상기 모터 하우징(145)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 모터(141)로부터의 상기 주변자장이 상기 광 디스크(4)로의 정보 신호의 기록이나 상기 광 디스크(4)로부터의 정보 신호의 판독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하우징(145)의 개구(142)는 상기 커버 부재(90) 및 상기 바닥판(91)에 의해 충분히 닫힐 수 있으며, 여러 파트들의 치수 공차로 인한 상기 커버 부재(90) 및 상기 바닥판(91)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약간의 간극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모터(141)를 위한 상기 모터 하우징(145)은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 내에서 상측 및 하측에서 개구되어 있어, 상기 모터 하우징(145) 내에서 발생된 열은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에서, 상기 픽업 베이스(114)가 정지 상태로부터 이동될 때, 상기 마찰 계수가 중요하며, 따라서 큰 토크가 요구된다. 그러나, 일단 상기 픽업 베이스(114)가 이동되면, 상기 마찰 계수는 더 작으며, 상기 토크는 상응하여 낮아진다. 그 다음, 상기 픽업 베이스(114)(홀딩 토크)의 임의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에서 상기 픽업 베이스(114)에 충분한 토크가 가해진다. 상기 홀딩 토크는 상기 기록기/재생기(1)의 작동 동안에는 항시 가해지며, 상기 이송 모터(141)에는 전류가 항시 공급된다. 이 때문에, 상기 이송 모터(141)를 위한 상기 모터 하우징(145)은 상기 이송 모터(141)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도록 설계됨으로써, 상기 픽업 베이스(114)를 이동시키는 작동이 상기 이송 모터(141)로부터 방산된 열에 의해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에서, 상기 이송 모터(141)를 위한 상기 모터 하우징(145)은 그 상측 및 하측에서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터 하우징(145)은 상기 베이스 섀시(101)보다 박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록기/재생기(1)는 상기 베이스 섀시(101)에 고정된 상기 픽업 이동 기구(104)를 구비하는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두께를 제한함으로써 보다 박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에 형성된 상기 나사부(144)와 맞물리는 상기 맞물림 부재(120)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의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그 일단에서 체결 스크루에 의해 상기 픽업 베이스(114)에 고정되고, 그 타단에서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에 맞물린다.
상기 맞물림 부재(120)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에 형성된 상기 나사부(144)에 맞물리는 맞물림 돌출부(151)와, 상기 픽업 베이스(114)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수납부(compartment)(153)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153) 내에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151)를 소정 거리로 유지하기 위하여 간극 형성 부재(152)가 수납되며, 상기 맞물림 돌출부(151)는 상기 거리에 걸쳐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에 맞물린 채로 지지된다.
상기 맞물림 돌출부(151)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쪽으로 돌출 되도록 상기 리드 스크루(140)의 측면에서, 상기 수납부(153)의 측벽(153a) 상에 구비된다. 상기 맞물림 부재(151)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의 경사와 동일하게 경사져 있다. 또한, 상기 맞물림 부재(151)는 일반적으로 상기 나사부(144)와 같은 폭을 형성한다.
상기 맞물림 돌출부(151)는 상기 나사부(144)에서 상기 나사부(144)의 깊이, 예컨대 0.3mm의 깊이로 맞물려 있다. 상기 리드 스크루(140)가 회전할 때, 상기 맞물림 돌출부(151)는 상기 나사부(144)를 따라 상기 리드 스크루(140)의 샤프트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수납부(153) 상에 형성된 상기 맞물림 돌출부(151)를 구비하는 상기 수납부(153)는 그 단면이 일반적으로 C 형상이며 그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오목부이다. 상기 수납부(153)에서, 상기 맞물림 돌출부(155, 156)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의 측벽(153a)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의 측벽(153b) 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돌출부(155, 156)는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가 상기 수납부(153)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는 나중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상기 맞물림 부재(120)를 상기 픽업 베이스(114)에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면(157)이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의 측벽(153b)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면(157)은 상기 리드 스크루(140) 및 상기 픽업 베이스(114) 사이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를 넘어 상기 픽업 베이스(114) 위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체결 스크루에 의해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상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측벽(153a, 153b)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153)에 수납된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는 강성의, 일반적으로 C 형상의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된다.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는 상기 지지벽(158, 159)의 중앙 가까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슬릿(158a, 158b)을 구비한다. 상기 슬릿(158a, 158b)은 상기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벽(153a, 153b) 상에 각각 구비된 상기 맞물림 돌출부(155, 156)가 상기 슬릿(158a, 158b)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는 상기 수납부(153)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저지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가 상기 수납부(153)에 수납될 때, 상기 수납부(153)의 측벽(153a, 153b) 및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의 지지벽(158, 159) 사이에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151) 및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나사부(144) 사이의 맞물림 깊이, 예컨대 깊이 0.1mm보다는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는 상기 수납부(153)의 측벽(153a)을 상기 리드 스크루(140) 쪽으로 강제함이 없이 수납된다. 또한,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강성이므로,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이동 동안에 상기 맞물림 부재(120)의 치수 공차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151) 및 상기 나사부(144) 사이의 오정렬(misalignment)은 상기 수납부(153)의 측벽(153a) 및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의 지지벽(158) 사이에 형성된 간극(0.1mm)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 부재(120)는 상기 픽업 베이스(144)의 이동 동안에 상기 맞물림 돌출부(151)가 상기 나사부(144)의 깊이(0.3mm)보다 더 오정렬 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리드 스크루(140) 및 상기 맞물림 돌출부(151)가 서로로부터 오정렬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록기/재생기(1)에 있어, 상기 맞물림 부재 및 상기 맞물림 부재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간극 형성 부재는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220으로 지시된 맞물림 부재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에 맞물리는 한 쌍의 맞물림 돌출부(221a, 221b)를 자신의 외측에 형성하는 수납부(222)와, 체결 스크루에 의해 상기 픽업 베이스(114)에 상기 수납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한 쌍의 상기 픽업 베이스(114)에 고정되는 연결면(225)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222)에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간극 형성 부재(223)가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와 맞물리게 지지된다.
상기 수납부(222)는 상부가 개방된 일반적으로 C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오목부이다. 상기 수납부(222)는 상기 픽업 베이스(114)에 있는 제1 측벽(226)과, 상기 제1 측벽(226)에 반대편에 구비되고 상기 리드 스크루(140)에 있는 제2 측벽(227)과, 상기 제1 측벽(226)으로부터 융기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간극 형성 부재(223)가 수납되는 영역을 함께 형성하는 한 쌍의 수납부 벽(228, 229)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벽(226, 227)은 그 내부에 상기 수납부(222)의 내측에 있는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를 지지하는 지지 돌출부(231, 232)를 상기 제1 및 제2 측벽(226, 227) 상에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 측벽(227) 상에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에 맞물리는 한 쌍의 맞물림 돌출부(221a, 221b)가 상기 리드 스크루(140)의 상기샤프트부(140a)의 연장 방향으로의 상기 나사부(144) 사이의 간격에 일반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의 각도에 일반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는 상기 나사부(144)의 깊이, 예컨대 0.3mm의 깊이로 상기 나사부(144)에 맞물려 있다. 그러므로, 상기 리드 스크루(140)가 회전될 때,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는 상기 나사부(144)를 따라 상기 리드 스크루(140)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222)는 상기 제2 측벽(227)에 닿지 않게 돌출 되도록 형성된 상기 수납부 벽(228, 229)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벽(227)은 얇게 형성된 베이스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측벽(227)을 상기 리드 스크루(140) 쪽으로 또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로부터 멀어지게 변형되도록 하는 힌지(2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 측벽(227)은 상기 수납부(222)의 내측으로 변형하며, 따라서 상기 맞물림 부재(220)의 치수 공차, 이동 동안에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진동 등으로 인하여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가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로 가압되더라도, 상기 리드 스크루(140)에 과도한 하중을 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리드 스크루(140)의 부드러운 회전과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신속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222)는 그 저부에 형성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개구(235)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측벽(227)은, 한 쌍의 힌지(233a, 233b)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상기 리드 스크루(140)를 따라 연장되는 측면 모서리(227a,227b)의 베이스 단부를 구비하므로, 일 모서리(227a)에 있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및 다른 모서리(227b)에 있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b)가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에 분리되게 맞물릴 수 있다.
다른 한편, 한 쌍의 맞물림 돌출부(221a, 221b)가 하나의 힌지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상기 맞물림 부재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에서 함께 맞물릴 수 있다. 그러므로, 만일 상기 맞물림 부재(220)의 치수 공차 또는 이동 동안의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진동이 상기 리드 스크루의 나사부의 사면 및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 중 하나의 사면 사이에 충돌을 야기하거나, 상기 나사부에 상기 맞물림 돌출부의 강한 맞물림을 야기한다면, 나머지 맞물림 돌출부는 상기 나사부에 맞물리지 않거나, 작은 깊이로 상기 나사부에 맞물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상기 맞물림 돌출부(220)에서, 상기 제2 측벽(227)의 모서리(227a, 227b)가 상기 힌지(233a, 233b)에 의해 각각 자신의 베이스 단부에서 지지되고, 쌍을 이루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에 분리되게 맞물린다. 그러므로,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 중 어떤 하나가 상기 나사부(144)에 잘 맞물리지 않더라도, 나머지 맞물림 돌출부(221a 또는 221b)는 상기 하나의 맞물림 돌출부의 양호하지 않은 맞물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나사부(144)에 확고하게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수납부(222)에 수납된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는 강성이며, 일반적으로 C형상의 금속 플레이트이다.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는 상기 간극 형성부재(223) 상에 쌍으로 제1 및 제2 지지벽(237, 238)을 형성하며, 그 각각은 상기 수납부(222) 내에 수납될 때, 상기 제2 측벽(227)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222) 내에 수납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사이즈를 가진다. 제1 및 제2 지지벽(237, 238)은 상기 수납부(222)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측벽(226, 227) 상에 각각 형성된 상기 지지 돌출부(231, 232)에 상응하여 일반적으로 중앙에 형성된 수직 슬롯(237a, 238a)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가 상기 수납부(222)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측벽(226, 227) 상에 각각 형성된 상기 지지 돌출부(231, 232)는 상기 슬롯(237a, 238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수납부(222)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를 상기 수납부(222)에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1 지지벽(237)의 수평 길이는 상기 제1 측벽(226)으로부터 융기되는 상기 수납부 벽(228, 229) 사이의 공간보다 짧다. 다른 한편, 상기 리드 스크루(140)의 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2 지지벽(238)은 상기 제1 측벽(237)을 지나 상기 수납부(222)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좌측, 우측 지지편(support piece)(240)을 상기 제2 지지벽(238) 상에 형성하며, 상기 제2 측벽(227)의 수평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는 상기 수납부(222)에 수납될 때, 상기 수납부(222)의 제1 및 제2 측벽(226, 227)과,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의 제1 및 제2 지지벽(237, 238) 사이에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에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의 맞물림 깊이보다 짧은 깊이, 예컨대 0.1mm 깊이보다 짧은 간극이 형성될 것이다(도 28에 도시). 그러므로,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는 상기 수납부(222)의 제2 측벽(227)을 상기 리드 스크루(140) 쪽으로의 압박 없이, 상기 수납부(222) 내로 수납된다. 또한,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강성이므로,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이동 동안에 상기 맞물림 부재(220)의 치수 공차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 및 상기 나사부(144) 사이의 오정렬은 상기 수납부(222)의 제2 측벽(227) 및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의 제2 지지벽(238)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0.1mm)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 부재(220)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가 상기 나사부(144)의 깊이(0.3mm)보다 더 오정렬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리드 스크루(140) 및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가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이동 동안에 서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가 상기 수납부(222) 내에 수납될 때, 상기 제2 측벽(238) 상에 형성된 상기 지지편(240)은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수평 폭에 걸쳐 상기 수납부(222)의 제2 측벽(227)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이동 동안에, 또는 만일 상기 맞물림 부재(220)를 포함하는 상기 기록기/재생기(1)가 실수로 떨어졌을 때,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에 맞물린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에 의해 상기 제2 측벽(227)을 지지하는 상기 힌지(233)에 집중되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맞물림 부재(220)는 상기 제2 측벽(227)이 상기 리드스크루(140)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가요성을 가지도록 상기 제2 측벽(227)의 베이스 단부의 두께를 줄여 형성되는 상기 힌지(233)를 구비한다. 만일 상기 기록기/재생기(1)가 실수로 떨어뜨려지고, 상기 픽업 베이스(114)가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 상에서 신속하게 슬라이딩되면, 상기 픽업 베이스(114) 상에 설치된 상기 맞물림 부재(220)는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에서 신속하게 슬라이딩된다. 이 경우,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낙하 충격은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상기 나사부(144)에 맞물린 한 쌍의 맞물림 돌출부(221a, 221b)를 통하여,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a, 221b)를 구비하는 상기 제2 측벽(227)을 지지하는 상기 힌지(233)에 집중될 것이다. 상기 낙하 충격은 상기 제2 측벽(227), 특히 상기 제2 측벽(227)의 상기 좌측, 우측 모서리(227a, 227b)를 적절한 변형 방향으로부터 다소 벗어난, 도 32의 화살표 I 또는 J 방향으로 굴곡시킬 것이다. 상기 제2 측벽(227)의 상기 모서리(227a, 227b)의 굴곡된 방향으로의 변형은 파손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과도한 하중을 상기 힌지(233)에 야기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록기/재생기(1)에 있어,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의 제2 지지벽(238)은 상기 제2 측벽(227)의 모서리(227a, 227b)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벽(238) 상에 상기 지지편(240)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록기/재생기(1)가 떨어졌을 때, 도 32에서 화살표 I 또는 J 방향으로의 하중이 상기 제2 측벽(227)의 모서리(227a, 227b)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의 지지편(240)은 상기 제2 측벽(227)을 지지하여, 상기 힌지(223)에 대한 상기 하중을 경감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힌지(22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한다.
또한, 상기 간극 형성 부재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편의 자유 단부를 상기 제2 측벽(227) 쪽으로 구부려 상기에 언급된 간극 형성 부재(223)에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참조부호 250으로 지시된 이 간극 형성 부재는 상기에 언급된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에 유사한 일반적으로 C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222) 상에 형성된 제1 및 제2 측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간극 형성 부재 상에 쌍으로 제1 및 제2 지지벽(251, 252)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벽(251, 252)은 상기 수납부(222)의 제1 및 제2 측벽(226, 227) 상에 각각 형성된 맞물림 돌출부(231, 232)에 상응하는 슬릿(251a, 252a)을 상기 제1 및 제2 지지벽(251, 252)의 거의 중앙에 각각 형성하였다. 상기 슬릿(251a, 252a)은 상기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간극 형성 부재(250)에 있어, 상기 제1 지지벽(251)의 수평 길이는 상기 제1 측벽(226)으로부터 융기되도록 구비된 상기 수납부 벽(228, 229)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다른 한편, 상기 제2 지지벽(252)은 상기 제1 지지벽(251)을 지나 상기 수납부(222) 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좌측, 우측 지지편(253)을 구비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제2 측벽(227)의 수평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긴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지지편(253)은 그 좌측, 우측 단부에 상기 제2 측벽(227) 쪽으로 구부려진 폴드(fold)(254)를 형성한다. 상기 간극 형성 부재(250)가 상기 수납부(222) 내에 수납될 때, 상기 폴드(254)는 상기 제2 측벽(227) 쪽으로 연장되고,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드 사이에 상기 제2 측벽(227)의 대향 단부(227a, 227b)를 홀딩한다.
상기에 언급된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에 유사하게, 상기 간극 형성 부재(25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기/재생기(1)가 실수로 떨어뜨려지고, 상기 픽업 베이스(114)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 상에서 신속하게 슬라이딩되며, 낙하 충격은 적절한 변형 방향으로부터 다소 벗어난, 도 35의 화살표 K 또는 화살표 L 방향으로 가해진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맞물림 부재(220)의 제2 측벽(227)의 우측 단부(227a) 또는 좌측 단부(227b)는 상기 지지편(25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픽업 베이스(114)가 신속하게 슬라이딩하고, 상기 픽업 베이스가 슬라이딩하는, 도 35의 화살표 M 방향의 반대 방향 또는 화살표 M 방향으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2 측벽(227)의 모서리(227a, 227b)는 상기 지지편(253)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 상기 폴드(254)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 측벽(227)의 모서리(227a, 227b)를 지지하는 상기 힌지(233a, 233b)에 대한 하중은 경감되고, 상기 맞물림 부재(22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상기 간극 형성 부재(152)에 유사하게, 상기 간극 형성 부재(25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는 것을 주목하자. 즉, 상기 간극 형성 부재(250)가 상기 수납부(222)에 수납될 때, 상기 제2 지지벽(252) 및 상기 맞물림 부재(220)의 제2 측벽(227) 사이에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 및 상기 리드 스크루(140) 상의 나사부(144) 사이의 맞물림 깊이, 예컨대 0.1mm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간극 형성 부재(250)에 있어, 상기 맞물림 부재(220)의제2 측벽(227)은 상기 맞물림 부재(220)의 제2 측벽(227)을 상기 리드 스크루(140) 쪽으로 강제함이 없이 수납된다. 또한, 상기 간극 형성 부재(250)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강성이므로,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이동 동안에 상기 맞물림 부재(220)의 치수 공차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 및 상기 나사부(144) 사이의 오정렬조차도 상기 제2 측벽(227) 및 상기 간극 형성 부재(250)의 제2 지지벽(252)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간극(0.1mm)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 부재(220)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가 상기 나사부(144)의 깊이(0.3mm) 이상으로 오정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이동 동안에, 상기 리드 스크루(140) 및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가 서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측벽 상에 제공된 상기 맞물림 돌출부(221)를 구비하는 상기 제2 측벽이 상기 리드 스크루(140) 쪽으로, 그리고 상기 리드 스크루(14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맞물림 부재(220) 상에 제공된 상기 힌지(233)는 상기 수납부(222) 상에서 상기 제2 측벽(227)의 베이스 단부 이외의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 250)가 상기 수납부(2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 돌출부(231, 232)가 상기 간극 형성 부재(223, 250)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슬릿이 상기 간극 형성 부재를 파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벽(226, 227)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섀시(101)에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인쇄배선판(printed wiring board)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쇄배선판(161)은회로 패턴(wiring pattern)을 가지는 소위 경성 회로 기판(rigid circuit substrate)을 구비하며, 상기 장치 본체(7)의 하부 반쪽에 배치된 상기 인쇄배선판(17)에 장착된 상기 FPC(flexible printed circuit)(23)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162)와 같은 여러 전자부품을 상기 회로 패턴 상에 장착한다.
도 15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90)는 체결 스크루에 의해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91)은 하측에서 체결 스크루에 의해 상기 디스크 트레이(5)에 고정되어, 상기 광 픽업 유닛(6)은 상기 커버 부재(90) 및 상기 바닥판(91) 사이에서 타이트하게 지지된다.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기 광 픽업 유닛(103) 상에 구비된 상기 대물 렌즈(108) 및 디스크 테이블(18)이 상방으로 노출되는 개구(166)를 상기 커버 부재(90) 내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개구(166)는 상기 광 디스크(4)의 내주로부터 외주로 연장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베이스(114)의 이동 범위에 상응하여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개구(166a)와, 상기 디스크 테이블(18)의 형상에 상응하여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 개구(166a)의 내주 단부에 접촉되게 형성된 개구(166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기 베이스 섀시(101) 상에 형성된 상기 픽업 베이스(114) 상의 상기 이송 모터(141)를 위한 상기 모터 하우징(145)의 상부가 접촉하는 접촉부(167)를 상기 커버 부재(90) 상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커버 부재(90)는 스크루(135)에 의해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크 테이블(18) 및 상기 픽업 베이스(114) 상의 상기 대물렌즈(108)는 상기 개구(166)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배향된다. 또한, 상기 이송 모터(141)를 위한 상기 모터 하우징(145)이 상기 접촉부(167)의 배면에 접촉할 때,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기 모터 하우징(145)의 상측의 상기 개구(142)를 닫아, 상기 모터 하우징(145)에 수납된 상기 코일(146)의 자장을 닫는다.
상기 베이스 섀시(101)가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위한 상기 수납부(21)에 수납될 때, 상기 커버 부재(90)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상기 개구(16)를 통하여 상기 광 디스크(4)를 직접 대향한다. 즉,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기 오목부(15)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기 베이스 섀시(101)에 스크루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기 베이스 섀시(101)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기 오목부(15)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커버 부재(90)의 주면 및 상기 개구(166)의 단부가 상기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을 스크래칭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 부재(90)는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펀칭하여 형성된다. 상기 커버 부재(90)의 하측에는, 상기 픽업 베이스(114)에 연결되는 상기 가요성 인쇄배선판이 배치된다. 이 때문에,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기 가요성 인쇄배선판(119)을 망칠 수 있는 임의의 버어(burr)를 대비 고려하여,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펀칭하여 마련된다. 이후,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기 개구(166)의 모서리 및 상기 개구(166)의 주변을 따라 디버링된다.
상기 바닥판(91)도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펀칭하여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91)은 스크루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수납부(21)에 수납된 상기 베이스 섀시(101)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수납부(21)에 스크루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91) 그 자체는 상기 베이스 섀시(101)가 상기 바닥판(91) 및 상기 커버 부재(90) 사이에 타이트하게 홀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섀시(10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픽업 베이스(114) 및 상기 디스크 테이블(18)이 상기 커버 부재(90)의 개구(166)를 통하여 대향하도록 배향되어 있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를 수납하기 위한 상기 오목부(15)는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5)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제1 내지 제4 벽(170 내지 173)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벽(170)은 상기 오목부(15)에 형성된 상기 개구(16)를 넘어 연장되게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전단(5a)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벽(170)은 상기 오목부(15)와 대향하는 벽체(170a)의 하부 모서리와 상기 오목부(15)의 개구(16)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커버 부재(90) 사이에 형성된 일정 간극(C)을 구비한다. 상기 간극(C)에는, 상기 장치 본체(7)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기 오목부(15)로 연장하는 돌출부(17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75)는 상기 개구(16)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커버 부재(90)가 상기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 쪽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는 유리를 20% 함유하는 강성 PPE(polyphenylene ether)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에 수납된 상기 광 픽업 유닛(6)의 상기 베이스 섀시(101)는 철(Fe)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섀시(101)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상기 개구(16)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커버 부재(90)는 알루미늄(Al)으로부터 형성된다. 즉, 상기 디스크 트레이(5), 상기 베이스 섀시(101), 및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이한 소재로 각각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선형 열팽창계수가 서로 상이하다. PPE의 선형 열팽창계수는 대략 2.8×10-5/mm℃, 알루미늄의 선형 열팽창계수는 대략 2.4×10-5/mm℃, 철의 선형 열팽창계수는 대략 1.2×10-5/mm℃ 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록기/재생기(1)가 작동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 상기 베이스 섀시(101), 및 상기 커버 부재(90)는 보다 높은 온도를 가질 때, 이러한 구성부품은 서로 다른 선형 열팽창계수로 인하여 서로 상이하게 뒤틀린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알루미늄제 커버 부재(90)는 상기 광 디스크(4) 쪽으로 편향된 상기 직사각형 개구(166)의 벽(166a)을 구비한다. 상기 편향된 벽(166a)은 상기 오목부(15)에 수납된 상기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과 슬라이딩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1 벽(170)은 상기 벽체(170a)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175)를 구비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커버 부재(90)는 상기 돌출부(175)에 접촉하는 데, 이것은 상기 커버 부재(90)가 상기 광 디스크(4) 쪽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 부재(90)를 상기 베이스 섀시(101)에 고정하는 상기 스크루(135)는 수축비율이 보다 낮은 액정 폴리머로 제조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크루(135)는 상기 베이스 섀시(101) 및 상기 커버 부재(90)가 열적으로 뒤틀리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제2 내지 제4 벽(171 내지 173)은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상기 오목부(15)로부터 융기되도록 형성된다.
다음, 상기 광 픽업 유닛(6)을 수납하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와 상기 하부 반쪽(9) 상에 구비된 상기 인쇄배선판(17)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FPC(23)가 설명될 것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PC(23)는 일반적으로 U 형상이며, 서로에 대해 선형이고 인접하고 평행인 제1 및 제2 암부(arm portion)(180, 181)와, 상기 제1 및 제2 암부(180, 18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암부(180)는 그 자유 단부에, 상기 인쇄배선판(17)의 저부에 구비된 커넥터(미도시)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83)를 형성하고, 그 단부(180a)에 상기 암부(18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커버 레이(184)를 부착한다.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암부(180)는 상기 하부 반쪽(9)의 후벽(9a) 쪽으로 배향된 상기 커버 레이(184)에 의해 강화된 상기 단부(180a)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배선판(17)의 저부에 구비된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암부(180)는 부착되어 있는 상기 커버 레이(184)에 의해 강성에 있어 향상된 단부(180a)를 구비하므로, 상기 연결부(183)는 상기 인쇄배선판(17)의 저부에 존재하는 상기 커넥터에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부(180)는 상기 하부 반쪽(9)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82)에 의해 상기 제1 암부(180)에 연결된 상기 제2 암부(181)는 그 단부에, 상기 디스크 트레이(5)에 수납된 상기 광 픽업 유닛(6)에 구비된 상기 커넥터(162)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86)를 형성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암부(181)는 그 단부(181a)에서 상기 하부 반쪽(9)의 개방단 쪽으로 접혀 있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5)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186)는 상기 광 픽업 유닛(6)의 연결부(16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암부(181)는 일 지점(참조부호 187로 표시됨)에서 상기 하부 반쪽(9)의 개방단 쪽으로 접혀 있다.
또한, 제2 암부(181)는 그 상부에 말단부(181a)로부터 접속부(182) 쪽으로 다소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 암부(181)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부착되어 있는 커버 레이(188)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제2 암부(181)는 접속부(186)로부터 접속부(182) 쪽으로 다소 이격되어 있는 부분의 강도가 접속부(186)를 포함하고 있는 부분의 강도보다 크다. 커버 레이(188)는, 접속부(186, 182)를 포함하는 부분들과 비교하여 상기 제2 암부(181)에서 상기 커버 레이(188)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2 암부(181)의 대략 중간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 암부(181)는 도 38A 및 3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반쪽(9)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디스크 트레이(5)가 이동함에 따라 접속부(182)로부터 장치 본체(7) 쪽으로 및 본체(7) 바깥쪽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제2 암부(181)의 굴곡부(187)는 도 39A 내지 39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5)가 이동할 때 디스크 트레이(5)의 이동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
여기서 제2 암부(181) 중 하부 반쪽(9)의 바닥에 고정되지 않고 융통성 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부분의 길이는 디스크 트레이(5)의 이동 거리의 대략 절반이며, 접속부(182)에 대한 그것의 경계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5)의 이동 범위의 대략 중간에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제2 암부(181)는 디스크 트레이(5)의 이동을 위해 필요한 최소의 길이, 또는 그것 보다 약간 더 큰 길이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 트레이(5)가 이동할 때, 상기 제2 암부(181)는 하부 반쪽(9)의 바닥에 고정된 접속부(192)에 대해 그 경계로부터 하부 반쪽(9)의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그것의 베이스 말단부(181b)에서 구부러진 다음 장치 본체(7)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암부(181)가 하부 반쪽(9) 내로 이동할 때는 접속부(186)가 형성되어 있는 말단부(181a)가 구부러지면서 제2 암부(181)가 장치 본체(7)에 수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바깥쪽으로 배출될 때, 상기 제2 암부(181)는 도 3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말단부(181a)는 장치 본체(7) 바깥쪽으로 배출되고, 굴곡부(187)가 접속부(182) 근방에 형성된다. 이어서,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내로 이동하고, 또한 제2 암부(181)가 장치 본체(7) 내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굴곡부(187)는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181a) 쪽으로 변위하게 된다. 그런 다음,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내에 완전히 수납될 때, 상기 제2 암부(181)는 도 3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186) 근방에 형성된 굴곡부(187)를 갖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암부(181) 중에서, 접속부(186) 근방의 부분은, 접속부(182) 쪽으로 다소 이격되어 있으면서 커버 레이(188)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에 비해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므로, 도 28B 및 39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에 수납되어 상기 제2 암부(181)의 굴곡부(187)가 접속부(186)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굴곡부로 인해 제2 암부(181)에 걸리는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암부(181)는 FPC(23) 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이 말단부(181a)에서 발생하는 균열로 인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암부(181)가 접속부(186) 근방에 형성되는 굴곡부로 인해 제2 암부(181)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 트레이(5)를 장치 본체(7)에 수납할 때, 굴곡부로 인해 제2 암부(181)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속부(186)와 굴곡부(187)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상기 제2 암부(181)는 여분의 길이를 전혀 가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제조비용을 줄이는데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기록기/재생기(1)의 장치 본체(7)는 이용가능한 많은 호스트 장치들이 보다 박형으로 설계되므로 두께 면에서 제한되어야 한다. FPC(23)이 위치하는 공간의 높이가 제한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굴곡부(187)가 보다 큰 곡률(curvature)을 갖도록 만들어져야 하며, 그에 따라 굴곡부(187)에 걸리는 하중은 더 커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내로 수납될 때 제2 암부(181)가 굴곡부(187)에 걸리는 하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장치 본체(7)의 박형 설계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FPC(23)가 그것의 제2 암부(181)의 대략 중간에 부착된 커버 레이(188)를 가지고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에 수납될 때, FPC(23)가 장치 본체(7)와 디스크 트레이(5)의 후단부(5d) 사이에 걸리지 않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바깥쪽으로 이동하면, 도 3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5)와 장치 본체(7) 사이에 간극(clearance: 190)이 생긴다. 그러므로,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내로 수납될 때 가요성 제2 암부(181)가 그것의 대략 중간 부분에서 상기 간극(190) 하방으로 구부러지게 되면, 디스크 트레이(5)의 후단부(5d)와 장치 본체(7) 사이에서 그 중간 부분이 걸리게 될 것이다.
여기서, FPC(23)에 있어서, 제2 암부(181)의 대략 중간 부분에 제공되는 커버 레이(188)는 상기 제2 암부(181)의 중간 부분의 강도를 상기 후단부(5d)의 강도보다 높게 만든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일단 장치 본체(7) 바깥으로 배출된 디스크 트레이(5)가 다시 장치 본체(7) 내로 수납될 때, 제2 암부(181) 중에서 강도가 보다 높은 중간 부분이 상기 간극(190) 아래로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상기 제2 암부(181) 중 강도가 보다 낮고 가요성이 큰 후단부(181b)가 구부러지게 되어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로 확실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기록기/재생기(1)의 회로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기/재생기(1)는 광빔을 광 디스크(4)에 조사함으로써 광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광 디스크(4)로부터의 회귀광을 검출함으로써 광 디스크(4)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기/재생기(1)는 광 디스크(4)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201), 상기 스핀들 모터(201)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 회로(202), 상기 스핀들 모터(201)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광 디스크(4)에 광빔을 조사하여 광 디스크로부터의 회귀광을 검출하는 광 픽업(103), 상기 광 픽업(103)으로부터의 전기 신호 출력값을 증폭시키기 위한 RF 증폭기(203), 대물 렌즈(108)를 위한 포커싱 서보 신호와 트래킹 서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서보 회로(204), 및 서브코드를 추출하기 위한 서브코드 추출 회로(20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록기/재생기(1)는 기록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2)에 연결된 입력 단자(206), 에러를 정정하고 상기 입력 단자(206)에서 공급되는 기록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에러 정정/부호화 회로(207), 상기 회로(207)로부터의 에러 정정 및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회로(208), 및 상기 변조된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처리 회로(209)를 포함하는 기록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록기/재생기(1)는 광 디스크(4)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 회로(210), 상기 복조된 재생 데이터의 에러 정정/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에러 정정/복호화 회로(211), 및 에러 정정 및 복호화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단자(212)를 포함하는 재생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록기/재생기(1)는 또한 장치에 명령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용 제어 유닛(213), 다양한 제어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4), 및 시스템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215)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핀들 모터(201)는 그것의 스핀들 상부에 디스크 테이블(102)을 구비하며, 디스크 테이블(102) 상부에는 광 디스크(4)가 위치하게 되며, 스핀들 모터(201)는 디스크 테이블(102) 상의 광 디스크(4)를 회전시킨다. 모터 제어 회로(202)는 상기 스핀들 모터(201)가 상기 광 디스크(4)를 일정 선속도(CLV:constant linear velocity)로 회전시키도록 스핀들 모터(201)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터 제어 회로(202)는 수정 발진기로부터의 기준 클럭(reference clock)과 PLL로부터의 클럭에 따라 광 디스크(4)가 CLV로 회전하도록 스핀들 모터(201)를 제어한다. 물론, 광 디스크(4)는 일정 각속도 (CAV: constant angular velocity) 또는 CLV와 CAV의 조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광 픽업(103)은 기록기/재생기(1)에 장착된 광 디스크(4)의 종류에 대응하는 파장을 가진 광빔을 방출할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 상기 광 디스크(4)의 종류에 대응하는 개구수(numerical aperture)를 가지며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방출된 광빔을 포커싱하는 대물 렌즈(108), 상기 광 디스크(4)로부터의 회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광 디스크(4)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때, 광 픽업(103)은 반도체 레이저의 출력을 표준 레벨(standard level)로 설정하고 상기 반도체 레이저가 레이저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반도체 레이저를 제어한다. 데이터 기록 및 재생 모두를 위해, 광 픽업(103)은 광 디스크(4)에 광빔을 조사하여,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으로부터의 회귀광을 광검출기로 검출하고, 검출된 광의 광전 변환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대물 렌즈(108)는 2축 액추에이터 (biaxial actuator) 등과 같은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의해 지지되고, 포커싱 서보 신호에 따라 광축에 평행한 포커싱 방향과, 트래킹 서보 신호에 따라 광축에 수직인 트래킹 방향으로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해 이동한다.
상기 RF 증폭기(203)는 RF신호 및 상기 광 픽업(103)에 포함된 광검출기로부터의 전기 신호 출력에 따라 포커싱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포커싱 에러 신호는 비점수차 법(astigmatism method)에 의해 발생되며, 트래킹 에러 신호는 3빔 법(three-beam method) 또는 푸쉬-풀 법(push-pull method)에 의해 발생된다. 재생 모드에 있는 경우에, RF 증폭기(203)는 포커싱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상기 서보 회로(204)로 제공하고, RF 신호를 상기 복조 회로(210)에 제공한다.
상기 서보 회로(204)는 광 디스크(4)의 재생을 위해 서보 신호를 발생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서보 회로(204)는, RF 증폭기(203)로부터 공급된 포커싱 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싱 에러 신호를 제로로 설정하는 포커싱 서보 신호와, 상기 RF 증폭기(203)로부터 공급된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트래킹 에러 신호를 제로로 설정하는 트래킹 서보 신호를 발생한다. 그런 다음, 상기 서보 회로(204)는 상기 광 픽업(103)에 포함된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포커싱 및 트래킹 서보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 회로는, 포커싱 서보 신호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108)의 광축에 평행한 포커싱 방향으로 상기 대물 렌즈(108)를 이동시키고, 트래킹 서보 신호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108)의 광축에 수직인 트래킹 방향으로 상기 대물 렌즈(108)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2축 액추에이터를 구동한다
상기 서브코드 추출 회로(205)는 RF 증폭기(203)로부터의 RF 신호 출력으로부터 서브코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서브코드 데이터를 제어 회로(215)에 제공하며, 따라서 상기 제어 회로(215)는 어드레스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입력 단자(206)는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호스트 장치(2)의 SCSI(smallcomputer system interface), ATAPI(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packet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1394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호스트 장치(2)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무비 데이터,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등에 대한 기록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공급된 기록 데이터를 에러 정정/부호화 회로(207)에 제공한다.
상기 에러 정정/부호화 회로(207)는 CIRC(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ing) 또는 RPC(Reed-Solomon Product Coding)과 같은 에러 정정/부호화를 수행하여, 에러 정정 및 부호화된 기록 데이터를 변조 회로(208)에 제공한다. 상기 변조 회로(208)는 8-10 및 8-16 변환 테이블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급된 8-비트 기록 데이터를 14-비트 또는 16-비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기록처리 회로(209)에 제공한다. 기록처리 회로(209)는 NRZ(non-return to zero), NRZI(non-return to zero inverted) 등과 같은 기록 보상(recording compensation)을 수행하여 처리된 데이터를 광 픽업(103)에 제공한다.
복조 회로(210)는 상기 변조 회로(208)의 변환 테이블과 유사한 변환 테이블을 가지고 RF 증폭기(203)로부터 공급된 RF 신호를, 14-비트 또는 16-비트 데이터에서 8-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된 8-비트 재생 데이터를 에러 정정/복호화 회로(211)에 제공한다. 에러 정정/복호화 회로(211)는 상기 복조 회로(21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 및 복호화를 수행하여, 출력 단자(212)에 제공한다. 출력 터미널(212)은 상기 호스트 장치(2)의 상기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출력 터미널(212)부터 제공된 재생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2)에 연결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고 스피커에 의해 청취가능한 소리로 전환된다.
사용자용 제어 유닛(213)은 기록기/재생기(1)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명령 신호를 발생하며, 이러한 명령 신호를 제어 회로(215)에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용 제어 유닛(213)은 배출 버튼(eject button: 213a)과 또한 디스크 테이블(102) 상에 놓인 광 디스크(4)에 기록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게 하기 위한 기록 버튼(213b), 광 디스크(4)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하게 하기 위한 재생 버튼(213c), 및 기록 및 재생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버튼(213d)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2)의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작동시키는 경우에, 배출 버튼(213a), 기록 버튼(213b), 재생 버튼(213c) 및 정지 버튼(213d)이 기록 개시 신호, 재생 개시 신호, 정지 신호 등을 상기 호스트 장치(2)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회로(215)에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214)는 예를 들어 다양한 제어 데이터 및 제어 회로(215)에 이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과 같은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메모리(214)에 저장된 데이터는 디스크 테이블(102) 상에 위치하는 광 디스크(4)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모터(feed motor: 141) (스텝 모터)에 대한 다양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 디스크(4)는 광 디스크의 내주 쪽에 형성되는 시작 영역(lead-in area), 상기 시작 영역 바깥쪽에 형성되는 프로그램 영역, 상기 프로그램 영역 바깥쪽, 즉 광 디스크의 가장 외주 쪽에 형성되는 종료 영역(lead-out area)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시작 영역의 서브코드 데이터에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터 및 종료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터와 같은 저장된 TOC(table of contents) 데이터가 있다. 또한, 이송 모터(141)에는 광 픽업(103)에 단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펄스 전압이 공급된다. 이로 인해, 메모리(214)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픽업(103)이 광 디스크(4)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부터 종료 영역의 종료 위치(OUT)까지의 범위에서, 광 픽업(103)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수많은 기록 및 재생 단계들(A)을 저장한다. 광 픽업(103)이 종료 위치(OUT)에 도달한 경우에는 광 픽업(103)의 이동이 기계적으로 제한되어 광 디스크(4)가 원주 밖으로 더 이동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광 픽업(4)의 이동가능한 범위는 광 디스크(4)의 시작 영역보다 더 안쪽으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광 픽업(103)이 시작 영역의 TOC 데이터를 확실하게 재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메모리(214)는 광 픽업(103)의 최내주 위치(IN)로부터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까지 광 픽업(103)의 이동에 필요한 수많은 단계들(B)을 추가로 저장한다. 광 픽업(103)이 IN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광 픽업(103)의 이동이 기계적으로 제한되고 더 안쪽으로 이동할 수 없다.
광 픽업(103)의 이동가능한 범위는 최내주 위치(IN)부터 종료 영역의 종료 위치(OUT)까지 걸쳐 있으며, 이 범위에서 광 픽업(103)이 광 디스크(4)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광 픽업(103)은 기계적인 방식으로 정확하게 위치되어야한다. 이로 인해, 메모리(214)는 스텝 모터 또는 이송 모터(141)에 대한 최대 스텝수(C)를 저장한다. 최대 스텝수(C)는 최내주 위치(IN)에 광 픽업(103)이 확실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내주 위치(IN)보다 안쪽의 영역에 적용되고 또한 끝 지점(OUT) 위치에 광 픽업(103)이 확실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료 위치(OUT)보다 바깥쪽의 영역에 적용되는 과잉 스텝수(D)를 포함한다. 과잉 스텝수(D)가 적용되는 영역에서, 광 픽업(103)은 그 이동이 기계적으로 제한되어, 즉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동불가능한 상태에서, 스텝 모터(141)에는 리드 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펄스 전압이 공급된다. 이러한 리드 스크루의 공회전(idle rotation)은 소음을 야기한다.
도 4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215)는 사용자용 제어 유닛(213)으로부터 공급된 명령 신호에 반응하여 시스템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 컴퓨터,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한다. 도 4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215)는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를 취하고 있는 광 픽업(103)의 위치를 "0"으로서 카운트(count)한다. 또한, 광 디스크(4)가 배출되면, 제어 회로(215)는 철심 코일(44)에 전력을 공급하여 플런저(45)를 자기적으로 흡인하는 자석의 자력을 소거함으로써, 장치 본체(7)의 맞물림 오목부(11)로부터 디스크 트레이(5)의 맞물림 기구(20)가 해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기록기/재생기(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용한다.
기록기/재생기(1)에 있어서, 스큐 조정 기구(109)가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105, 106)의 양쪽 단부에서 이들 샤프트를 일차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스큐 조정 기구(109)는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대물 렌즈(108)로부터 조사된 광빔이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에 수직으로 입사하게 된다. 스큐 조정 기구(109)의 하우징(125)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6)는 접착제(133)에 의해 경화된다. 그러므로, 상기 탄성 부재(126)가 조정 스크루(127)에 의한 압축으로 인해 소성 변형된다고 하더라도, 스큐 조정 기구(109)가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 106)의 적절한 경사를 유지할 수 있다.
기록기/재생기(1)에 있어서, 광 디스크(4)를 디스크 트레이(5) 상에 장착시키기 위해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봇편(42)이 화살표 "E"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따라서 장치 본체(7)가 디스크 트레이(5) 상에 구비된 정지 벽(81)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맞물림편(41)의 인접부(51)는 피봇편(42)의 피봇 범위 제한 돌출부(55)에 의해 화살표 "D"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고, 그에 따라 맞물림편(41)의 맞물림부(48)가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로부터 물러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맞물림 돌출부(11)가 직립으로 구비되어 있는 장치 본체(7)의 하부 반쪽(9)과 디스크 트레이(5)의 결합이 풀리게 되고, 디스크 트레이(5) 상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28)에 의해 힘을 받는 배출 부재(30)가 하부 반쪽(9)의 후벽(9a)에 힘을 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광 디스크(4)가 디스크 트레이(5)의 오목부(15)에 적절하게 위치하고, 디스크 트레이(5)가 사용자에 의해 장치 본체(7) 내로 도입될 때, 하부 반쪽(9)상에 직립으로 구비된 맞물림 돌출부(11)가 가압편(46)의 암부(70)와 접촉하여, 상기 암부(70)가 도 20에 도시된 화살표 "G" 방향으로 피봇될 때까지, 상기 맞물림 돌출부(11)가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H" 방향으로 진행, 이동한다. 암부(70)가 그와 같이 피봇됨에 따라, 가압편(46)의 가압부(72)가 피봇편(42)의 접촉부(57)를 가압하게 되어 도 20의 화살표 "E"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편을 피봇시키게 된다. 피봇편(42)의 접속부(58)에 연결된 플런저(45)는, 철심 코일(44)로 깊숙이 삽입되어 철심(44)에 위치하는 자기에 의해 자기적으로 흡인되는 삽입 샤프트(63)를 가지고 있다.
가압편(46)의 가압부(72)와 접촉하는 상태의 접촉부(57)는 돌출부(60)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압편(46)이 상기 돌출부(60)를 가압하여 화살표 "E"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편(42)을 확실하게 피봇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플런저(45)가 철심 코일(44)로 형성된 자기에 의해 흡인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57)와 접속부(58) 사이에 슬릿(61)이 형성되어 있고, 접촉부(57)가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므로, 피봇편(42)이 압축편(46)에 의해 과도하게 힘을 받는 경우에도 피봇편(42)이 접촉부(57)가 구부러지도록 함으로써, 압력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플런저(45)와 피봇편(42)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59)의 힘에 대항하여 도 20의 화살표 "E"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어 유지된다. 피봇편(42)의 피봇 범위 제한 돌출부(55)가 화살표 "E"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됨에 따라, 맞물림편(41)이 화살표 "D" 방향으로 더 증가된 범위에서 피봇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맞물림부(48)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 상에 위치하게된다.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내로 보다 깊숙이 삽입됨에 따라, 맞물림 돌출부(11)는 맞물림편(41)의 본체(49)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부(49a)를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시키면서 도 20의 화살표 "H" 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물림부(48)에 맞물리게 된다. 그러므로, 디스크 트레이(5)와 장치 본체(7)의 하부 반쪽(9)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부재(30)는 하부 반쪽(9)의 후벽(9a)으로부터 밀어 제쳐져서, 플랜지(30a)가 코일 스프링(28)을 전단부(5a) 쪽으로 미는 동안, 전단부(5a) 쪽으로 이동한다. 전단부(5a)의 측부의 단부가 스프링부(29)의 수납벽(29a)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8)이 눌리게 되고 따라서 플랜지(30a)에 의해 압축되어 플랜지(30a)를 후단부(5d) 쪽으로 미는 힘이 유지된다. 즉, 디스크 트레이(5)가, 하부 반쪽(9)을 후단부(5d) 쪽으로 미는 동안, 하부 반쪽(9)에 직립으로 구비된 맞물림 돌출부(11)를 맞물림편(41) 상에 결합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장치 본체(7) 내에 유지되어 있게 된다.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내로 수납될 때, 디스크 트레이(5)에 수납된 광 픽업 유닛(6)과 장치 본체(7)의 하부 반쪽(9) 상에 위치하는 배선판(17)을 연결하는 FPC(23)가 제2 암부(181)의 단부(181a) 위치에서 구부러지게 되고, 후단부(181b)에 형성된 굴곡부(187)는 단부(181a) 쪽으로 이동하면서 장치 본체(7) 내로 변위한다. FPC(23)이 제2 암부(181)의 대략 중간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커버 레이(188)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2 암부(181)는 후단부(181b)에 비해 대략 그중간 부분이 강도가 더 크다. 그러므로, 장치 본체(7) 외부로 일단 배출된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내로 다시 수납될 때, 제2 암부(181) 중에서 강도가 더 큰 중간 부분이 이 간극 부분(190) 아래로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제2 암부(181) 중에서 강도가 더 낮고 가요성이 더 큰 후단부(181b)가 구부러져서 장치 본체(7) 내로 확실하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에 완전히 수납될 때, 제2 암부(181)는 도 38B 및 3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62)와의 접속부(186) 근방에서 구부러지게(참조번호 "187"로 표시되어 있음)된다. 그러나, 제2 암부(181) 중에서 접속부(186) 근방 부분의 강도가 접속부(186)로부터 다소 이격되어 있는, 커버 레이(188)가 부착된 부분의 강도보다 작기 때문에, 굴곡으로 인해 제2 암부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암부(181)는 그것의 단부(181a)의 균열이 방지되고 FPC(23)에 형성된 회로 패턴의 단선이 방지된다.
또한, 제2 암부(181)는 접속부(186) 근방에 형성되는 굴곡부(187)로 인해 제2 암부(181)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디스크 트레이(5)를 장치 본체(7)에 수납할 때 굴곡으로 인해 제2 암부(181)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속부(186)와 굴곡부(187)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제2 암부(181)는 과잉 길이를 전혀 가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할 것이다.
또한, 박형으로 설계된 기록기/재생기(1)에 있어서, FPC(23)의 배설 공간의 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굴곡부(187)의 곡률이 보다 크게 만들어져야 하며, 따라서 굴곡부(187)에 걸리는 하중이 더 커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 내로 수납될 때 제2 암부(181)가 굴곡부(187)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보다 박형의 장치 본체(7)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기록기/재생기(1)에 있어서, 광 픽업(103)은 보통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에 위치한다. 기록기/재생기(1)가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장치에 도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동 또는 이와 유사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휴대용 장치에 진동이 인가될 수 있다. 기록기/재생기(1)l 내장되어 있는 호스트 장치(2)가 디스크 트레이(5)에 광 디스크(4)가 장착된 채로 이동상태에 있는 경우에, 호스트 장치(2)에 인가되는 모든 진동은 광 디스크(4)에 흔들림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흔들림으로 인한 광 디스크(4)의 변위량은 외주 쪽에서 보다 커진다. 이로 인해, 기록기/재생기(1)는, 흔들림으로 인한 변위량이 작은, 광 디스크(4)의 내주에 광 픽업(103)이 위치함으로써 광 디스크(4)와 광 픽업(103)의 대물 렌즈(108) 등의 상호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기/재생기(1)가 단계 S1에서 스위칭된 후, 제어 회로(215)는 단계 S2에서 스텝 모터(141)를 구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회로(215)가 최대 스텝수(C)에 상당하는 펄스 전압을 스텝 모터(141)에 인가한다. 그런 다음, 스텝 모터(141)에 연결된 리드 스크루(140)가 회전하고, 광 픽업(103)이 광 디스크(4)의 외주의 종료 위치(OUT)까지 단계적으로 이동한다.
기록기/재생기(1)에 있어서, 이동 상태에서 진동이 기록기/재생기(1)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광 픽업(103)이 광 디스크(4)의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로부터 내주 또는 외주로 점프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스텝 모터(141)에는, 도 41의 기록 및 재생 스텝수(A)에 광 픽업(103)이 최내주 위치(IN)로부터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스텝수(B)와 내주 및 외주에서의 과잉 스텝수(D)를 추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최대 스텝수(C)에 상당하는 펄스 전압이 인가된다. 즉, 광 픽업(103)이 종료 위치(OUT)를 넘어 이동하는 것이 기계적으로 제한된 후 리드 스크루(140)가 공회전할 때까지 스텝 모터(141)가 구동되기 때문에, 광 픽업(103)의 종료 위치(OUT)가 확실하게 확인될 수 있다.
리드 스크루(140)가 공회전하는 경우에, 소음을 야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소음은 단지 광 픽업(103)이 최내주 위치(IN)에서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스텝수(B)와 내주 및 외주에서의 과잉 스텝수(D)의 합에 해당하는 기간동안만 발생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소음은 예를 들어 스텝 모터(141)에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로부터 최내주 위치(IN) 방향으로 최대 스텝수(C)에 상당하는 음의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의 소음에 비해 더 작은 수준으로 억제될 수 있다.
광 픽업(103)의 종료 위치(OUT)가 단계 S2에서 확실하게 확인될 때, 단계 S3에서 제어 회로(215)에는 최대 스텝수(C)에 상당하는 음의 펄스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최내주 위치(IN)를 넘어서는 광 픽업(103)의 이동이 기계적으로 제한된 후, 리드 스크루(140)가 공회전 함으로써 광 픽업(103)의 최내주 위치(IN)가 확실하게 확인될 때까지 스텝 모터(141)가 구동된다.
리드 스크루(140)가 공회전하는 경우에, 소음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소음은 단지 내주에서의 과잉 스텝수(D)에 해당하는 기간동안만 발생되며, 소음 발생 시간은 최소화될 수 있다.
광 픽업(103)의 최내주 위치(IN)가 단계 S3에서 확실하게 확인될 때, 단계 S4에서 제어 회로(215)는 광 픽업(103)이 최내주 위치(IN)에서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스텝수(B)에 상당하는 음의 펄스 전압을 스텝 모터(141)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제어 회로(215)는 광 픽업(103)을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215)는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를 제로로 설정하고 펄스의 카운트를 개시하며, 광 픽업(103)의 위치에 대한 위치 관리를 개시한다.
기록기/재생기(1)는 광 디스크(4)에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사용자의 제어 유닛(213) 상의 기록 버튼(213a)을 누르면, 기록기/재생기(1)의 입력 단자(206)에 기록 데이터가 제공된다. 기록 데이터는 에러 정정/부호화 회로(207)에서 기록기/재생기(1)에서 현재 이용되는 광 디스크(4)의 종류에 대응하는 에러 정정 및 부호화를 거치게 되고, 그 다음에는 변조 회로(208)에서 광 디스크(4)의 종류에 따른 변조를 거치게 된다. 변조된 데이터는 기록처리 회로(209)에 기록된 다음 광 픽업(103)에 제공된다. 그런 다음, 광 픽업(103)은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방출되며 광 디스크(4)의 종류에 대응하는 파장을 가진 광빔을 광 디스크(4)의 기록면에 조사하여, 광 디스크(4)의 반사층으로부터의 회귀광을검출하고, 검출된 광의 광전변환을 수행한 다음 얻어지는 전기 신호를 RF 증폭기(203)에 제공한다. RF 증폭기(203)는 포커싱 에러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 및 RF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서보 회로(204)는 RF 증폭기(203)로부터 제공되는 포커싱 에러 신호와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싱 서보 신호와 트래킹 서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서보 신호들을 광 픽업(103)에 포함된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제공한다. 그러므로,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의해 지지되는 대물 렌즈(108)는 대물 렌즈(108)의 광축에 평행한 포커싱 방향과 대물 렌즈(108)의 광축에 수직인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모터 제어 회로(202)는 그루브의 워블 컴포넌트(wobble component)와 어드레싱 피트로부터 발생된 클럭을 수정 발진기로부터의 기준 클럭과 동기화시키는 회전 서보 신호를 발생하며, 회전 서보 신호에 따라 광 디스크(4)를 회전시키도록 스핀들 모터(201)를 구동한다. 또한, 서브 코드 추출 회로(205)는 RF 신호로부터 워블된 그루브와 피트 패턴으로부터 시작 영역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제어 회로(215)에 제공한다. 제어 회로(215)의 제어 하에 기록처리 회로(209)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 광 픽업(103)은 추출된 어드레스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기록 수준에서 반도체 레이저를 구동하고, 광 디스크(4)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4)의 기록면에 광빔을 조사한다. 광 픽업(103)이 기록 데이터를 기록함에 따라, 광 픽업(103)은 광 디스크(4)의 내주 및 외주 사이의 영역에 걸쳐 기록 데이터의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스텝 모터(141)에 의해 단계적으로 이동한다.
기록기/재생기(1) 은 광 디스크(4)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사용자의 제어 회로(213) 상의 재생 버튼(213c)을 누르면, 광 픽업(103)이 광 디스크(4)의 기록면에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방출되며 광 디스크(4)의 종류에 대응하는 파장을 가진 광빔을 광 디스크(4)의 기록면에 조사하여, 광 디스크(4)의 반사층으로부터의 회귀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광의 광전변환을 수행한 다음 얻어지는 전기 신호를 RF 증폭기(203)에 제공한다. RF 증폭기(203)는 포커싱 에러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 및 RF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서보 회로(204)는 RF 증폭기(203)로부터 제공되는 포커싱 에러 신호와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싱 서보 신호와 트래킹 서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서보 신호들에 따라 대물 렌즈(108)의 포커싱과 트래킹을 제어한다. 또한, 모터 제어 회로(202)는 동기(sync) 신호로부터 발생된 클럭과 수정 발진기로부터의 기준 클럭을 동기화시키는 회전 서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회전 서보 신호에 따라 광 디스크(4)를 CLV로 회전시키도록 스핀들 모터(201)를 구동한다. 또한, 서브 코드 추출 회로(205)는 RF 신호로부터 서브 코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제어 회로(215)에 제공한다.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서, 광 픽업(103)은 추출된 서브 코드 데이터에 포함된 어드레스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재생 수준에서 반도체 레이저를 구동하고, 광 디스크(4)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광 디스크(4)의 기록면에 광빔을 조사한다. 광 픽업(103)이 광 디스크(4)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함에 따라, 광 픽업(103)은 광 디스크(4)의 내주 및 외주 사이의 영역에 걸쳐 데이터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스텝 모터(141)에 의해 단계적으로 이동한다.
RF 증폭기(103)에 의해 발생된 RF 신호는 기록을 위한 데이터 변조에 이용된 방법에 상응하여 복조 회로(210)에서 복조되고, 에러 정정/복호화 회로(211)에서 에러 정정/복호화를 거친 다음, 출력 단자(212)에 제공된다. 그런 다음, 출력 단자(212)에 제공된 데이터는 그대로, 디지털 형태 또는 예를 들어 D-A (digital-to-analog)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 변환된 형태로 출력되어, 스피커, 모니터 등에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4)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광 디스크(4)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대물 렌즈(108)를 구비한 픽업 베이스(114)에 연결되어 있는 맞물림 부재(120)는, 수납부(153)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 돌출부(151)가 리드 스크루(140)의 나사홈부(144)와, 나사홈(144)의 깊이, 예를 들면 0.3 mm의 깊이로 맞물려있는 것과 동시에, 수납부(153) 내에 강성을 가진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간극 형성 부재(152)가 수납부(153)의 양 측벽(158, 159) 사이에서 맞물림 돌출부(151)와 리드 스크루(140)의 나사홈부(144)에 맞물려 있는 깊이보다 짧은 간극, 예를 들면 0.1 mm의 간극을 두고 수납되어 있다.
그러므로, 간극 형성 부재(152)가 측벽(153a) 상에 형성된 맞물림 돌기(151)를 가압하지 않은 채 리드 스크루(140)에 수납된다. 즉, 리드 스크루(140)에 과잉의 힘이 인가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리드 스크루(140)의 회전의 지연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리드 스크루(140)의 원활한 회전이 보장된다. 또한, 간극 형성 부재(152)는, 픽업 베이스(114)의 이동 과정에서 맞물림 부재(120)의 치수공차(dimensional tolerance)에 의해 야기되는, 나사홈부(144)에 대한 맞물림 돌기(151)의 부정합을 수납부(153)의 측벽(163a)과 간극 형성 부재(152)의 지지벽(158) 사이에 생긴 간극(0.1 mm)보다 작게 제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맞물림 부재(120)와 맞물림 돌기(151)의 부정합을 나사홈부(144)의 깊이(0.3 mm)보다 작게 제한함으로써 리드 스크루(140)와 맞물림 돌기(151)가 픽업 베이스(114)의 이동 중에 서로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간극 형성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 부재(120)는 다음과 같이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기록기/재생기(1)를 실수에 의해 떨어뜨리는 경우 등, 픽업 베이스(114)가 가이드 샤프트(105, 106) 상에서 급격하게 미끄러짐으로써 픽업 베이스(114)에 설치된 맞물림 부재(220)가 리드 스크루(140) 상에서 급격하게 미끄러진다고 하더라도, 리드 스크루(140) 상의 나사홈부(144)와 톱니방식으로 맞물려 있는 맞물림 돌기(221)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227)의 양쪽 가장자리(227a, 227b)가 모두 간극 형성 부재(220 (250))의 지지편(240 (253))에 의해 또는 폴드(254)에서 지지된다. 그러므로, 제2 측벽(227)을 지지하는 힌지(223)에 집중되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힌지(223)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드 스크루(14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픽업 베이스(114)를 사각 파형(rectangular wave)으로 이송하는 이송 모터(141)는, 모터 하우징(145)의 상,하면 측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박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145)은 광 픽업 유닛(6)의 상부와 바닥에 각각 위치하는 커버 부재(90)와바닥판(9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45)에 수납된 코일(146)의 자기장이 폐색될 수 있어서, 이송 모터로부터의 주변 자기장(fringe magnetic field)이 광 디스크(4)에 정보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광 디스크(4)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데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송 모터(141)에 대한 모터 하우징(145)이 그 상부와 바닥에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하우징(145) 내부의 열이 쉽게 방출될 수 있다.
또한, 기록기/재생기(1)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5), 베이스 섀시(101) 및 커버 부재(90)가 선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4)에 대한 기록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 중에 이들 부품들이 고온으로 되어도 선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양상으로 변형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커버 부재(90)는 사각형의 개구부(166)의 벽(166a)이 광 디스크(4) 쪽으로 편향되어, 상기 편향된 벽(166a)이 오목부(15)에 수납된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과 미끄럼 접촉할 수도 있다.
제1 벽(170)은 벽 본체(170a)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부(175)를 가지고 있어서, 커버 부재(90)가 상기 돌출부(175)에 접하게 되며, 이로 인해 광 디스크(4) 쪽으로의 커버 부재(90)의 편향이 방지되고, 따라서 광 디스크(4)와 커버 부재(90)의 미끄럼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광 디스크(4)의 배출을 위해 배출 버튼(213a)을 누르는 경우의 기록기/재생기(1)의 동작에 대해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1에서, 제어 회로(215)는 배출 버튼(213a)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눌려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회로(215)가 단계 S12로 진행한다. 제어 회로(215)가 배출 버튼(213a)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것으로 검출하는 경우에는 제어 회로(215)가 스텝 모터(141)에 음의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광 픽업(103)을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까지 이동시킨다.
광 픽업(103)을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까지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최대 스텝수(C)에 상당하는 음의 펄스 전압을 스텝 모터(141)에 인가하여, 광 픽업(103)을 그것의 최내주 위치(IN)로 이동시킨 다음, 광 픽업(103)을 최내주 위치(IN)로부터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까지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스텝수(B)에 상당하는 양의 펄스 전압을 스텝 모터(141)에 인가하여 광 픽업(103)을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까지 이동시켜도 된다.
광 픽업(103)이 시작 영역의 개시 위치(HOME)에 도달하면, 제어 회로(215)가 단계 S13으로 진행하고, 단계 S13에서는 제어 회로(215)가 플런저(45)를 자기적으로 흡인하는 자기의 자력을 소거하기 위해 철심(144)에 전력을 공급하여, 디스크 트레이(5)의 맞물림 기구와 장치 본체(7)의 맞물림 돌출부(11)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4)가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 트레이(5)가 코일 스프링(28)의 힘에 의해 장치 본체(7) 외부로 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치 본체(7)로부터 디스크 트레이(5)를 배출시키기 위해, 디스크 트레이(5)에 구비된 사용자의 제어 유닛(213)으로부터의 명령 신호를 접수한 제어 회로(215)가 철심(44)에 내장된 자기의 자력을 소거하도록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59)의 힘에 의해 피봇편(42)이 도 19의 화살표 "E" 방향으로 피봇된다. 피봇 범위 제한 돌기(55)는 화살표 "E" 방향으로 피봇됨으로써 맞물림편(41)이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어, 맞물림부(48)가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궤도로부터 벗어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맞물림 돌출부(11)가 맞물림부(48)로부터 해제되고,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의 하부 반쪽(9)으로부터 해제된다.
이때, 배출 부재(30)는 코일 스프링(28)의 힘과 동등한 반력(反力)을 후벽부(9a)로부터 인가하여, 플랜지(30a)에 의해 코일 스프링(28)을 전단부(5a)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전단부(5a)의 측단부가 코일부(29)의 벽(29a)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벽(29a)을 전단부(5a) 쪽으로 밀면서 코일 스프링(28)이 신장될 것이다. 그러므로, 디스크 트레이(5)가 장치 본체(7)의 개방 단부 쪽으로 밀려지고, 전단부(5a)의 측면이 장치 본체(7)의 개방 단부 쪽으로 배출된다.
피봇편(42)이 화살표 "E" 방향으로 피봇되는 것에 의해 가압편(46)의 가압부(72)가 피봇편(42)의 접촉부(57)와 충돌하여 화살표 "G"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는 경우에도 암부(70)가 스토퍼(8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암부(70)의 과잉 피봇이 방지되며, 따라서 암부(70)가 과잉 피봇으로 인해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 상에 위치하게 되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가압편(46)에 감겨 있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3)이 디스크 트레이(5)의 후단부(5c) 상에 형성된 지지 부재(75)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지지되어 가압편(46)에 최적의 힘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가압편(46)이 맞물림 돌출부(11)와 피봇편(42)에 의해 가압되고 화살표 "G" 방향또는 "G"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는 경우에도, 가압편(46)은 암부(70)가 맞물림 돌출부(11)의 이동 궤도와 교차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광 디스크(4)가 배출될 때, 진동에 의해 광 디스크(4)가 흔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흔들림으로 인한 광 디스크(4)의 변위량은 외주 측에서 더 크다. 이 때문에, 기록기/재생기(1)는, 본 발명에 따라, 광 픽업(103)을 흔들림에 의한 변위량이 작은 광 디스크(4) 내주 측에 위치시켜 광 디스크(4)와 광 픽업(103)의 대물 렌즈(108) 등이 서로 접촉하여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후속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CD (compact disk), CD-ROM, CD-R/RW, DVD-ROM 또는 DVD-RAM과 같은 광 디스크를 이용하는 기록기/재생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기/재생기가 탑재되는 호스트 장치는 노트북형 개인용 컴퓨터 및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휴대형 기록기/재생기, 데스크-탑형 개인용 컴퓨터 및 서버 장치 등의 거치형 (stationary) 기록기/재생기 또는 차량 탑재용 기록기/재생기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기록기/재생기에 대해 전술한 치수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임의의 다른 치수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큐 조정기구를 포함하는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샤프트의 높이는 광 픽업 유닛을 지지하는 가이드 수단에 포함된 가이드 샤프트의 단부를 원뿔형의 탄성 부재와 조정 스크루 사이에 협지시킴으로써 조정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샤프트와 접하는 탄성부재의 자유 단부는 더 큰 직경을 가진, 베이스 단부의 보어(bore)로 들어가면서 압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재는 실린더형 탄성 부재에 비해 압착된 길이로 보다 작게 만들어 질 수 있어서, 전체 스큐 조정 기구의 높이가 작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섀시가 박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큐 조정기구를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샤프트를 협지시키는 조정 스크루가 전기전도성을 가진 것으로 또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도록 도금되고 접지 전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큐 조정기구는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접지 전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샤프트의 충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텝 모터는 그 하우징이 상, 하면에서 모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박형으로 설계된다. 상기 하우징은 광 픽업 유닛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커버 부재와 바닥판 사이에서 긴밀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에 위치하는 자석 코일의 자기장이 폐색될 수 있으므로, 스텝 모터로부터의 주변 자기장이 광디스크에 정보 신호를 기록하거나 광디스크로부터 정보 신호를 재생하는데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또한, 스텝 모터 하우징이 그 상, 하면에서 모두 개방되어 있어서, 하우징 내부의 열이 쉽게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대물 렌즈가 구비된 픽업 베이스에 연결된 맞물림 부재의, 수납부에 형성된 맞물림 돌출부가 리드 스크루 상의 나사부와 나사 깊이 만큼 맞물려 있고, 탄성 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측벽 사이에, 상기 리드 스크루상의 나사부에 상기 맞물림 돌출부가 맞물림 결합하는 깊이보다 작은 간극만큼 상기 맞물림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다.
그러므로, 탄성 부재는, 수납부 벽상에 형성된 자신의 맞물림 돌출부가 리드 스크루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채로, 수납되므로, 리드 스크루의 회전을 원활하지 않게 하는 과잉의 힘이 리드 스크루에 인가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어서, 픽업 베이스의 이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픽업 베이스의 이동 과정에서 맞물림 부재 등의 치수 공차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맞물림 돌출부와 리드 스크루 상의 나사부 사이에 부정합조차도 탄성 부재의 측벽과 수납부의 수납벽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내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맞물림 부재의 맞물림 돌출부는 리드 스크루 상의 나사부에서의 맞물림 깊이보다 큰 정도로는 어떠한 부정합도 가지지 않으므로, 픽업 베이스의 이동 과정에서 리드 스크루와 맞물림 돌출부가 서로 결합 해제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간극 형성 부재가 맞물림 부재의 수납부에 수납될 때, 지지편이 수납부의 측벽을 좌, 우 폭에 걸쳐 지지할수 있다. 그러므로, 픽업 베이스가 이동 상태에 있거나, 또는 맞물림 부재를 가진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떨어뜨리는 경우, 리드 스크루에 맞물림 결합되는 맞물림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을 지지하는 픽업 베이스와 일체로 장착된 맞물림 부재에 형성된 힌지에 집중되는 하중이 상기 간극 형성 부재에 의해 경감될 것이다. 그러므로, 간극 형성 부재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 베이스 섀시 및 커버 부재가 선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다. 데이터가 광디스크에 기록되거나 또는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되는 동안, 이들 부품이 각각 열변형되는 경우에도, 커버 부재가 디스크 트레이의 수납부 벽의 본체의 하부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돌출부와 접하게 되어, 광디스크 쪽으로 편향되는 경우가 방지된다. 그러므로, 커버 부재가 광디스크와 미끄럼 접촉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맞물림 기구를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가 장치 본체로부터 배출될 때, 철심에 전류가 공급되어 자기의 자력을 소거한다. 피봇편이 피봇 영역을 개방하여, 그것의 맞물림부가 맞물림 돌출부의 이동 궤도 상에 물러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맞물림 돌출부가 피봇편의 맞물림부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디스크 트레이가 장치 본체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그러므로, 플런저를 자기적으로 흡인하는 자기의 자력이 철심 코일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소거되기 때문에, 데이터가 광디스크에 기록되거나 또는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의 오작동으로 인해 디스크 트레이가 인출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트레이가 제 위치로 확실하게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동 부재가 섀시에 수납될 때, 가요성 케이블의 제2 암부가 커넥터와의 접속부 근방 부분에서 구부러진다. 그러나, 제2 암부 중 접속부 근방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강도가 작기 때문에, 구부러짐으로 인해 제2 암부에 야기되는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암부의 자유 단부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어서, 회로 패턴이 단선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제2 암부 중 굴곡가능 부분은, 제2 암부가 커넥터와의 접속부 근방 부분에서 구부러지는 경우에, 구부러짐으로 인한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접속부와 굴곡부 사이의 거리는, 이동 부재가 섀시로 수납될 때 제2 암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제2 암부는 지나치게 길게 형성되지 않아도 되며, 이는 제조 비용의 줄이는데 유리하다.
또한, 박형 설계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이동 부재가 섀시에 수납될 때 가요성 케이블의 높이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케이블의 굴곡부의 곡률이 커지게 되고, 더 큰 하중이 굴곡부에 인가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부재가 섀시에 수납될 때 제2 암부의 굴곡부에 대한 하중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섀시의 박형 설계에도 유리할 것이다.

Claims (26)

  1.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광 디스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을 대물 렌즈에 의해 상기 광 디스크의 표면 상으로 집속하고,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귀환 광(return light)을 검출하는 광 픽업;
    상기 광 픽업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광 픽업의 타 단부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 샤프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가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 수단;
    상기 광 픽업을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가이드되는 광 픽업 구동 수단; 및
    상기 광 디스크의 주면(main side)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에 힘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대향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와 접촉하는 조정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스크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의 경사를 조정하여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 조정 수단(skew adjusting means)
    을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원뿔형 나선 스프링(conical helical spring)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중공형 실린더인 (hollow cylinder)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 조정 장치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의 대향 단부 각각에 제공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스큐가 조정된 상태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7.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광 디스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을 대물 렌즈에 의해 상기 광 디스크의 표면 상으로 집속하고,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귀환 광(return light)을 검출하는 광 픽업;
    상기 광 픽업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광 픽업의 타 단부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 샤프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가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 수단;
    상기 광 픽업을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가이드되는 광 픽업 구동 수단; 및
    상기 광 디스크의 주면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에 힘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대향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와 접촉하는 조정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스크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샤프트의 경사를 조정하여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 조정 수단(skew adjusting means)
    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스크루는 전기 전도성이거나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도금되고, 접지 전위(ground potential)를 갖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8. 스텝 모터(step motor)에 있어서,
    픽업 섀시(pickup chassis)에 맞물림 결합되고, 자신의 상부는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픽업 섀시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feeding member)와 맞물림 결합되어 있는 리드 스크루(lead screw);
    상기 리드 스크루를 따라 회전하는 자석;
    상기 리드 스크루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자석에 대해서 작동하는 자기 코일; 및
    상기 자석과 자기 코일을 수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자신의 상부측 및 하부측 각각에, 그리고 상기 픽업 섀시가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 트레이 내의 오목부(concavity)와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판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스텝 모터.
  9. 스텝 모터(step motor)를 사용하는 픽업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 모터는
    픽업 섀시(pickup chassis)에 맞물림 결합되고, 자신의 상부는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픽업 섀시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feeding member)와 맞물림 결합되어 있는 리드 스크루(lead screw);
    상기 리드 스크루를 따라 회전하는 자석;
    상기 리드 스크루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자석에 대해서 작동하는 자기 코일; 및
    상기 자석과 자기 코일을 수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자신의 상부측 및 하부측 각각에, 그리고 상기 픽업 섀시가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 트레이 내의 오목부(concavity)와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판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0.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배치된 대물 렌즈를 구비하는 광 픽업 유닛;
    상기 광 픽업 유닛을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 기구; 및
    상기 광 픽업 유닛의 픽업 베이스와 상기 픽업 이동 기구를 서로 맞물림 결합시키는 맞물림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리드 스크루 상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는 맞물림 돌출부; 및 상기 픽업 베이스와 연속하여 설치되는 수납부로서, 상기 맞물림 돌출부와 상기 리드 스크루의 맞물림 결합을 보장하는 거리로 상기 맞물림 돌출부를 유지하는 간극 형성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compartment)를 포함하되, 상기 간극 형성부재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가 상기 리드 스크루 상의 나사부와 결합하는 깊이보다 작은 간극(clearance) 만큼 상기 수납부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수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이동 기구는 상기 리드 스크루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스텝 모터를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2.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픽업 베이스를 포함하는 광 픽업 유닛;
    상기 픽업 베이스를 이동시키는 리드 스크루를 포함하는 픽업 이동 기구; 및
    맞물림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픽업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리드 스크루 상에 맞물림 결합되는 맞물림 돌출부를 자신의 외부측에 구비하는 측벽(side wall);
    상기 맞물림 돌출부와 상기 리드 스크루 간의 결합을 보장하는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벽의 내부 표면을 지지하는 간극 형성 부재(clearance definition member)를 수납하는 수납부(compartment); 및
    상기 측벽의 베이스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측벽이 상기 리드 스크루 쪽으로이동하거나 상기 리드 스크루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요성(flexible)을 갖는 힌지(hinge)
    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 형성 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외부를 향하여 상기 측벽의 내부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편(support piece)을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측벽의 외부로 휘어진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형성 부재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를 상기 리드 스크루 상의 나사부와 결합하는 깊이보다 작은 간극만큼 상기 수납부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수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자신의 바닥 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6.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광 픽업, 픽업 이동 기구, 및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픽업 섀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부재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광 픽업 및 디스크 테이블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기록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가 수납되는 오목부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픽업 섀시에 연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부재; 및
    통상 원형의,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 수납 오목부와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트레이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기록 표면이 직접 마주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픽업 섀시에 연결될 때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디스크 트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 섀시,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디스크 트레이는 열팽창계수가 서로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트레이는 상기 오목부의 외주 면에 구비된 외주 벽 상에 제공되는 돌출부로서, 상기 외주 벽과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 상부까지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섀시는 철(iron)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트레이는 폴리페닐렌 에테르(PPE)로 형성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8.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또는 외부로 이동되는 디스크 트레이;
    상기 디스크 트레이 상에 제공되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및/또는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 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광 픽업;
    상기 광 픽업을 상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내주와 외주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 기구;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지지하는 디스크 트레이 지지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 지지 기구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상기 장치 본체 외부로 밀어내는 가압 부재;
    상기 장치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크 트레이와 결합하는 맞물림 돌출부;
    상기 디스크 트레이 상에 제공되며, 상기 맞물림 돌출부가 상기 장치 본체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피봇되는 맞물림편(engagement piece);
    상기 맞물림편을 상기 맞물림 돌출부 상으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맞물림편을 상기 맞물림 돌출부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맞물림편의 피봇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맞물림편과 접촉하는 피봇편(pivoting piece);
    상기 맞물림편에 결합되며, 상기 피봇편을 피봇하도록 자기 코일 내로 삽입되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맞물림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피봇편과 접촉 상태에 놓여, 상기 맞물림편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 상으로 맞물리게 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봇편을 가압하는 가압편(pressing piece)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트레이가 상기 가압 부재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장치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맞물림편은 상기 가압편을 가압하고, 그에 따라 상기 피봇편은 상기 맞물림편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 상으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피봇되는 상기 가압편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맞물림 결합편은 상기 맞물림 돌출부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디스크 트레이가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유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상기 피봇편을 피봇하는 경우, 상기 맞물림편은 상기 맞물림편이 상기 맞물림 돌출부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디스크 트레이가 상기 가압 부재의 힘에 의해 상기 장치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과 접촉하는 상기 피봇편의 일부에 상기 피봇편이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릿이 형성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 또는 피봇편이 상기 가압편 또는 피봇편의 접촉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피봇편 또는 가압편과 접촉되어 형성되는 돌출부(protrusion)를 구비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 근처에 상기 결합 돌출부가 가압될 수 있는 범위까지 상기 가압편의 피봇 영역을 제한하는 제한 돌출부(limiting projection)가 형성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은 미리 정해진 피봇가능 범위 내에서 비틀림 코일(torsion coil)에 의해 피봇 방식으로 가압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3.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섀시;
    기록 매체가 상기 섀시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기록 매체 변동 위치와 상기 섀시 내의 기록 매체 홈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섀시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기록 매체가 놓이게 되는 기록 매체 지지대(recording medium mount)를 포함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암부(arm portion)를 구비하며, 평평하고 대체로 U자형인 가요성 케이블(flexible cable)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암부는 상기 제1 암부의 자유 단부가 상기 섀시의 뒤쪽으로 향하도록 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제2 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될 때 쉽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케이블 중에서,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기록 매체 변동 위치와 상기 기록 매체 홈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부분은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얇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부분의 길이는 대체로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거리의 절반이고,
    상기 제2 암부 중 얇은 부분은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기록 매체 홈 위치로이동된 경우 상기 커넥터와의 연결 부분 근처에 위치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부분의 베이스 단부 및 자유 단부는 더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암부의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상기 얇은 베이스 단부는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기록 매체 홈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쉽게 구부러지면서 상기 섀시 내로 이동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가 자신의 자유 단부에서 자신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얇게 형성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1020040006083A 2003-01-31 2004-01-30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20040070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25239A JP3873895B2 (ja) 2003-01-31 2003-01-31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光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
JPJP-P-2003-00025239 2003-01-31
JPJP-P-2003-00415741 2003-12-12
JP2003415741A JP3852439B2 (ja) 2003-12-12 2003-12-12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光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415A Division KR101128786B1 (ko) 2003-01-31 2011-02-24 기록 재생 장치 및 광픽업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082A true KR20040070082A (ko) 2004-08-06

Family

ID=326586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083A KR20040070082A (ko) 2003-01-31 2004-01-30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1020110016415A KR101128786B1 (ko) 2003-01-31 2011-02-24 기록 재생 장치 및 광픽업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415A KR101128786B1 (ko) 2003-01-31 2011-02-24 기록 재생 장치 및 광픽업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7342849B2 (ko)
EP (1) EP1443506B1 (ko)
KR (2) KR20040070082A (ko)
CN (1) CN1328727C (ko)
DE (1) DE602004031795D1 (ko)
MY (1) MY137482A (ko)
SG (2) SG137662A1 (ko)
TW (1) TWI3087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3559B2 (ja) * 2003-10-21 2009-04-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4445964B2 (ja) * 2004-03-31 2010-04-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駆動装置
JP2009503759A (ja) * 2005-07-28 2009-01-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空気流案内素子を有する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7058955A (ja) * 2005-08-23 2007-03-08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TWI312988B (en) * 2005-08-25 2009-08-01 Quanta Storage Inc Auxiliary method for searching track in an optical drive
KR20070038721A (ko) * 2005-10-06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광픽업장치의 락킹해제 방법
JP4561662B2 (ja) * 2006-03-22 2010-10-1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7257805A (ja) * 2006-03-27 2007-10-04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光学素子送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20070245361A1 (en) * 2006-04-18 2007-10-18 Chien-Kuo Chen Flat Cable Device For Optical Pickup Heads
US8108884B2 (en) * 2006-08-24 2012-01-31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optical head
US20080166904A1 (en) * 2006-10-16 2008-07-10 Quanta Storage Inc. Flexible cable for optical disk drive
JP4221612B2 (ja) * 2006-11-06 2009-02-12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内蔵の再生装置
TWI338885B (en) * 2006-12-08 2011-03-11 Asustek Comp Inc Optical disk drive
JP2008276866A (ja) * 2007-04-27 2008-11-13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US8208352B2 (en) * 2008-11-25 2012-06-26 Sanyo Electric Co., Ltd. Optical disc apparatus
US8555301B2 (en) * 2010-03-04 2013-10-08 Lg Innotek Co., Ltd. Integrated disk driving module including a lateral surface plate bent from an upper plate
JP5399437B2 (ja) * 2011-04-05 2014-01-29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光ピックアップ
JP2012221529A (ja) * 2011-04-08 2012-11-12 Sony Corp ディスク装置
KR101330819B1 (ko) * 2012-05-11 2013-11-15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KR20140106774A (ko) 2013-02-25 2014-09-04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틸트 조정장치 및 이를 채용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WO2019021368A1 (ja) * 2017-07-25 2019-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情報機器
CN112807879B (zh) * 2020-12-21 2023-04-18 重庆鑫洲人防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人防滤毒室及人防设备
CN115437467A (zh) * 2021-06-01 2022-12-06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托盘组件与包括托盘组件的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3180A (ja) 1982-08-18 1984-02-22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紙の製造法
US4998232A (en) * 1988-11-30 1991-03-05 Hewlett-Packard Company Optical disk handling apparatus with flip latch
JPH06338185A (ja) 1993-05-25 1994-12-06 Sony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とディスク装置
JPH0745016A (ja) 1993-08-03 1995-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332470A (ja) 1994-06-07 1995-12-22 Olympus Optical Co Ltd 精密駆動用ラックとその加工方法
JPH0814364A (ja) 1994-06-30 1996-01-16 Pentel Kk 歯車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構造
JPH08102153A (ja) 1994-09-30 1996-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記録再生装置
JP3079959B2 (ja) 1995-07-28 2000-08-21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MY122078A (en) * 1996-10-02 2006-03-31 Sony Corp Disk cartridge
JPH10283756A (ja) 1997-04-09 1998-10-23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US6426932B2 (en) * 1997-06-06 2002-07-30 Sony Corporation Disk device
JP3714779B2 (ja) 1997-11-04 2005-11-0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11149724A (ja) 1997-11-17 1999-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の組立方法
JP3000984B2 (ja) * 1997-11-28 2000-01-1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光学式ディスク装置
US5982735A (en) 1997-12-29 1999-11-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ilt angle adjustable mechanism for compact dis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H11203801A (ja) 1998-01-13 1999-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憶装置
US6249506B1 (en) * 1998-01-27 2001-06-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dium attaching device and disk drive apparatus
JPH11238232A (ja) * 1998-02-19 1999-08-31 Nec Home Electron Ltd ディスク装置
JP2000057715A (ja) 1998-08-05 2000-02-25 Pioneer Electron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0137937A (ja) 1998-10-30 2000-05-16 Toshiba Corp ディスク装置
JP2000215586A (ja) * 1998-12-23 200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多様な大きさおよび種類の記録媒体を使用できる光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情報記録/再生方法
JP2000339947A (ja) 1999-05-28 2000-12-08 Nec Corp ドロアー式ディスク装置
JP2000339882A (ja) * 1999-05-31 2000-12-08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JP4067256B2 (ja) * 1999-11-25 2008-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のピックアップ移動機構
JP2001307438A (ja) * 2000-04-21 2001-11-02 Sony Corp 板ばね機構と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307405A (ja) 2000-04-21 2001-11-02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731445B2 (ja) * 2000-06-13 2006-01-0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初期調整方法
WO2001097222A1 (fr) 2000-06-15 2001-12-20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ositif de reglage de la tige de guidage du capteur
JP2002015434A (ja) 2000-06-29 2002-01-18 Toshiba Corp ディスク装置
JP2002050101A (ja) 2000-07-28 2002-02-15 Kenwood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2117565A (ja) * 2000-08-03 2002-04-19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EP1189214A3 (en) 2000-09-19 2003-05-07 Mitsumi Electric Company Ltd. Mechanism for adjusting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 position of a guiding shaft for guiding an optical pickup
JP2002109839A (ja) * 2000-10-02 2002-04-12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2230922A (ja) * 2001-01-31 2002-08-16 Sanyo Electric Co Ltd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有する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JP4366559B2 (ja) 2001-02-02 2009-11-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トレー組込み型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2269767A (ja) * 2001-03-12 2002-09-20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のスキュー調整装置
JP2002269935A (ja) 2001-03-12 2002-09-20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
JP3916409B2 (ja) 2001-04-11 2007-05-16 シンワ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2342389A (ja) 2001-05-17 2002-11-29 Fuji Xerox Co Ltd 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これ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100439977B1 (ko) 2001-12-07 2004-07-12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픽업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KR100450796B1 (ko) * 2002-01-05 200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커버 플레이트
JP2002324389A (ja) 2002-03-20 2002-11-08 Teac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4071018A (ja) * 2002-08-05 2004-03-04 Pioneer Electronic Corp ピックアップのスキュー調整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8727C (zh) 2007-07-25
DE602004031795D1 (de) 2011-04-28
EP1443506B1 (en) 2011-03-16
TWI308743B (en) 2009-04-11
KR20110028608A (ko) 2011-03-21
EP1443506A3 (en) 2007-05-16
US20070186220A1 (en) 2007-08-09
US7411874B2 (en) 2008-08-12
US7342849B2 (en) 2008-03-11
MY137482A (en) 2009-01-30
US20070186226A1 (en) 2007-08-09
EP1443506A2 (en) 2004-08-04
US20040208093A1 (en) 2004-10-21
US20070162917A1 (en) 2007-07-12
SG137662A1 (en) 2007-12-28
KR101128786B1 (ko) 2012-03-23
CN1558417A (zh) 2004-12-29
SG124423A1 (en) 2006-08-30
US7362666B2 (en) 2008-04-22
US7359292B2 (en) 2008-04-15
TW200425089A (en)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786B1 (ko) 기록 재생 장치 및 광픽업 유닛
US6388980B2 (en) Disc drive
KR101050832B1 (ko) 디스크 구동 장치, 디스크 구동 유니트, 광학 픽업장치
KR100467601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틸트 조정장치
JP4566517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873895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光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
JP2004234803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075629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4234802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315163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852439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光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
JP4251876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7461389B2 (en) Adaptor member for a disc drive
JP200103514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
KR20040043941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JP2006216150A (ja) ディスクドライブユニットベースと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224

Effective date: 2011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