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896A -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896A
KR20040036896A KR10-2004-7000210A KR20047000210A KR20040036896A KR 20040036896 A KR20040036896 A KR 20040036896A KR 20047000210 A KR20047000210 A KR 20047000210A KR 20040036896 A KR20040036896 A KR 20040036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trifluoromethylsulf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케마사히데
후지모토마사히사
고가히데유키
다루이히사키
후지타니신
이타야마사하루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89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In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2Room temperature molten sa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0Alloys based on alkali metals
    • H01M4/405Alloys based on 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01M6/162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 H01M6/16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by the 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정극과 부극과 비수 전해질을 구비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부극으로서 리튬을 흡장(吸藏)ㆍ방출하는 재료를 사용함과 아울러, 융점이 60℃ 이하인 실온 용융염과 리튬염을 함유하는 비수 전해질을 사용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Description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최근, 고출력, 고에너지 밀도의 신형 이차전지의 하나로서, 비수 전해질을 이용하고, 리튬의 산화, 환원을 이용한 고기전력의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가 이용되게 되었다.
여기서, 이러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는, 비수 전해질로서, 일반적으로 에틸렌 카보네이트나 디에틸 카보네이트 등의 유기용매에, LiBF4나 LiPF6등의 리튬염으로 된 용질을 용해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수 전해질에 사용하는 상기와 같은 유기용매는 가연성이어서 과충전 등의 이상한 조작시에는 연소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과충전되지 않도록 보호 회로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어, 이로 인하여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비수 전해질(非水電解質)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수 전해질을 개선하여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점에 특징을 가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실시예 5에서 제작한 시험 셀(test cell)의 개략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의 시험 셀을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1 사이클째의 충전시 및 방전시에 있어서의 참조극에 대한 부극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실시예 1의 시험 셀을 반복해서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사이클의 방전 용량과 충방전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실시예 2의 시험 셀을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1 사이클째의 충전시 및 방전시에 있어서의 참조극에 대한 부극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나타낸그래프.
도 5는, 실시예 2의 시험 셀을 반복해서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사이클의 방전 용량과 충방전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실시예 3의 시험 셀을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1 사이클째의 충전시 및 방전시에 있어서의 참조극에 대한 부극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실시예 3의 시험 셀을 반복해서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사이클의 방전 용량과 충방전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실시예 4의 시험 셀을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1 사이클째의 충전시 및 방전시에 있어서의 참조극에 대한 부극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실시예 5의 시험 셀을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1 사이클째의 충전시 및 방전시에 있어서의 참조극에 대한 부극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서 제작한 시험 셀의 개략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 6의 시험 셀을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초기 충전시 및 초기 방전시에 있어서의 참조극에 대한 정극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실시예 7의 시험 셀을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초기 충전시및 초기 방전시에 있어서의 참조극에 대한 정극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실시예 7의 시험 셀을 반복해서 충방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사이클의 방전 용량과 충방전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의 비수 전해질을 개선하여, 과충전 등의 이상한 조작시에도 연소할 우려가 없고, 보호 회로 등을 구성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극과 부극과 비수 전해질을 구비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 부극으로서 리튬을 흡장(吸藏)ㆍ방출하는 재료를 사용함과 아울러, 융점이 60℃ 이하인 실온 용융염과 리튬염을 함유하는 비수 전해질을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와 같이, 융점이 60℃ 이하인 실온 용융염과 리튬염을 함유한 비수 전해질을 사용하면, 상기의 리튬염에 의해, 리튬 이온이 정극과 부극의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충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온 용융염은 이온만으로 되어있는 액체이고, 증기압이 없으며 난연성이기 때문에, 과충전 등의 이상한 조작시에 있어서도 분해하거나, 연소하거나 하는 일이 없고, 더욱이 산소 라디칼에 의해서도 연소하는 일이 없어, 보호 회로 등을 구성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실온 용융염에 리튬염을 가했을 경우, 그 융점은 2종류의 염 단독의 융점보다 저하한다고 생각되므로, 이들은 액체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의 실온 용융염으로서는, 리튬염을 혼합한 상태에서 넓은 온도범위에서 액체인 것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는, -20℃ ~60℃ 의 범위에서 액체이면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도전율(導電率)이 10-4S/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실온 용융염은, 환원 전위가 비(卑; base)인 한편, 산화 전위가 귀(貴; noble)인 것이 바람직하고, Li 이온의 삽입ㆍ이탈이 가능한 부극의 작동 전위는 일반적으로 0.5~0V (vs. Li/Li+)이므로, 환원 전위는 0V (vs. Li/Li+)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산화 전위는 높은 쪽이 좋지만, 과충전시를 고려하여 5V (vs. Li/Li+)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V (vs. Li/Li+) 이상이다.
그리고 이러한 실온 용융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4급 암모늄염이나 이미다졸륨염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프로필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3H7)N-(CF3SO2)2, 트리메틸옥틸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8H17)N-(CF3SO2)2, 트리메틸알릴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Allyl)N-(CF3SO2)2, 트리메틸헥실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6H13)N-(CF3SO2)2, 트리메틸에틸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CH3)3N+(C2H5)(CF3CO)N-(CF3SO2), 트리메틸알릴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CH3)3N+(Allyl)(CF3CO)N-(CF3SO2), 트리메틸프로필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CH3)3N+(C3H7)(CF3CO)N-(CF3SO2), 테트라에틸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C2H5)4N+(CF3CO)N-(CF3SO2), 트리에틸메틸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C2H5)3N+(CH3)(CF3CO)N-(CF3SO2),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C2H5)(C3H3N2)+(CH3)(CF3CO)N-(CF3SO2)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실온 용융염과 혼합시키는 리튬염으로서는, 종래의 비수 전해액 이차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LiBF4, LiPF6, LiCF3SO3, LiC4F9SO3, LiN(CF3SO2)2, LiN(C2F5SO2)2, LiN(CF3SO2)(COCF3) 및 LiAsF6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 그 정극 재료로서는 리튬 함유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리튬 함유 산화물로서는, 종래의 비수 전해액 이차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극에 있어서의 정극 집전체로서는, 고전위를 견디어낼 수 있는 알루미늄박(foil)이나 탄탈 박(tantalum foil)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 그 부극의 재료로서는 리튬을 흡장ㆍ방출하는 재료인 흑연 등의 탄소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높은 에너지 밀도로 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를 얻기 위해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0-321200호 및 특허출원 제2000-321201호에 나온 바와 같이, 용량이 큰 규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규소에 구리를 확산시킨 것을 사용하면, 리튬 흡장시에 있어서의 응력이 완화되어 사이클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이 부극에 있어서의 부극 집전체로는 구리 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부극 재료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해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이 꺼칠꺼칠하게 조면화(粗面化)된 구리 박(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는, 아래의 실시예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비수 전해질로서, 실온 용융염인 트리메틸옥틸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8H17)N-(CF3SO2)2에, 리튬염으로서 LiN(CF3SO2)2를 1mol/l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비수 전해액의 도전율을 측정한 결과, 25℃ 에서 0.111mS/cm이어서 충방전하는데 필요한 도전율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부극으로서는, 표면을 전해 처리한 구리 박 위에 스퍼터법에 의해 아모르퍼스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고, 크기 2cm × 2cm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셀 용기(10) 안에 상기의 비수 전해액(14)을 주액(注液)함과 아울러 작용극으로서 상기의 부극(11)을 사용하는 한편,대극(對極)이 되는 정극(12a) 및 참조극(13)으로서 각각 리튬 금속을 사용해서 실시예 1의 시험 셀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렇게 제작한 시험 셀을 사용하고, 참조극(13)에 대한 부극(11)의 전위가 0.0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충전시킨 후, 참조극(13)에 대한 부극(11)의 전위가 2.0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방전을 하여, 이 1 사이클째의 충전시 및 방전시에 있어서의 부극(11)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1의 시험 셀에 있어서, 상기의 부극(11)에 있어서의 1 사이클째의 충전 용량은 3346mAh/g, 1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은 2976mAh/g이며, 이론 용량치인 4200mAh/g에 가까운 값이 되어 있어, 높은 용량으로 충방전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실시예 1의 시험 셀을 사용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충방전을 반복해서 하여,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충전 용량 Qa (mAh/g)와 방전 용량 Qb (mAh/g)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아래의 식에 의해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충방전 효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방전 용량(mAh/g)을 ○과 실선으로 나타내고,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충방전 효율(%)을 △과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충방전 효율(%)=(Qb/Qa) ×100
이 결과, 상기의 실시예 1의 시험 셀에 있어서는, 2 사이클 이후에 있어서도약 2400mAh/g의 높은 방전 용량이 얻어지고, 또한 충방전 효율도 극히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비수 전해질로서, 실온 용융염인 트리메틸프로필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3H7)N-(CF3SO2)2에, 리튬염으로서 LiN(CF3SO2)2를 0.3mol/l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 비수 전해액의 도전율을 측정한 결과, 25℃ 에서 2.75mS/cm이어서 충방전하는데 필요한 도전율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는 이외는, 상기의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2의 시험 셀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렇게 제작한 시험 셀을 사용하고, 참조극(13)에 대한 부극(11)의 전위가 0.0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충전시킨 후, 참조극(13)에 대한 부극(11)의 전위가 2.0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방전을 하여, 이 1 사이클째의 충전시 및 방전시에 있어서의 부극(11)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2의 시험 셀에 있어서, 상기의 부극(11)에 있어서의 1 사이클째의 충전 용량은 3370mAh/g, 1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은 2989mAh/g이며, 이론 용량치인 4200mAh/g에 가까운 값이 되어 있어, 높은 용량으로 충방전을 할 수있었다.
더욱이 이 실시예 2의 시험 셀을 사용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충방전을 반복해서 하여,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충전 용량 Qa (mAh/g)와 방전 용량 Qb (mAh/g)을 측정하고, 상기의 실시예 1의 시험 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사이클에서 있어서의 충방전 효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방전 용량(mAh/g)을 ○과 실선으로 나타내고,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충방전 효율(%)을 △과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이 결과, 상기의 실시예 2의 시험 셀에 있어서는, 9 사이클째에 있어서도 3183mAh/g의 높은 방전 용량이 얻어지고, 또한 충방전 효율도 대단히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비수 전해질로서, 실온 용융염인 트리메틸헥실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6H13)N-(CF3SO2)2에, 리튬염으로서 LiN(CF3SO2)2를 0.5mol/l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는 이외는, 상기의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3의 시험 셀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렇게 제작한 시험 셀을 사용하고, 참조극(13)에 대한 부극(11)의 전위가 0.0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충전시킨 후, 참조극(13)에 대한 부극(11)의 전위가 2.0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방전을 하여, 이 1 사이클째의 충전시 및 방전시에 있어서의 부극(11)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3의 시험 셀에 있어서, 상기의 부극(11)에 있어서의 1 사이클째의 충전 용량은 3133mAh/g, 1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은 2778mAh/g이며, 이론 용량치인 4200mAh/g에 가까운 값이 되어 있어, 높은 용량으로 충방전을 할 수 있었다.
더욱이 이 실시예 3의 시험 셀을 사용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충방전을 반복해서 하여,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충전 용량 Qa (mAh/g)와 방전 용량 Qb (mAh/g)을 측정하고, 상기의 실시예 1의 시험 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사이클에서 있어서의 충방전 효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방전 용량(mAh/g)을 ○과 실선으로 나타내고,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충방전 효율(%)을 △과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이 결과, 상기의 실시예 3의 시험 셀에 있어서는, 9 사이클째에 있어서도 341lmAh/g의 높은 방전 용량이 얻어지고, 또한 충방전 효율도 대단히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 있어서는, 비수 전해질로서, 실온 용융염인 트리에틸메틸암모늄ㆍ2,2,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C2H5)3N+(CH3)(CF3CO)N-(CF3SO2)에, 리튬염으로서 LiN(CF3SO2)2를 0.5mol/l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는 이외는, 상기의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4의 시험 셀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렇게 제작한 시험 셀을 사용하고, 참조극(13)에 대한 부극(11)의 전위가 0.O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충전시킨 후, 참조극(13)에 대한 부극(11)의 전위가 2.0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방전을 하여, 이 1 사이클째의 충전시 및 방전시에 있어서의 부극(11)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4의 시험 셀에 있어서, 상기의 부극(11)에 있어서의 1 사이클째의 충전 용량은 10504mAh/g, 1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은 1376mAh/g이며, 충방전을 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 있어서는, 비수 전해질로서, 실온 용융염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C2H5)(C3H3N2)+(CH3)(CF3CO)N-(CF3SO2)에, 리튬염으로서 LiN(CF3SO2)2를 0.5mol/l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는 이외는, 상기의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5의 시험 셀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렇게 제작한 시험 셀을 사용하고, 참조극(13)에 대한 부극(11)의 전위가 0.0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충전시킨 후, 참조극(13)에 대한 부극(11)의 전위가 2.0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방전을 하여, 이 1 사이클째의 충전시 및 방전시에 있어서의 부극(11)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5의 시험 셀에 있어서, 상기의 부극(11)에 있어서의 1 사이클째의 충전 용량은 16585mAh/g, 1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은 1537mAh/g이며, 충방전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 1~실시예 5의 결과로부터, 규소를 사용한 부극(11)과, 실온 용융염인 트리메틸옥틸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8H17)N-(CF3SO2)2이나, 트리메틸프로필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3H7)N-(CF3SO2)2이나, 트리메틸헥실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6H13)N-(CF3SO2)2이나, 트리에틸메틸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C2H5)3N+(CH3)(CF3CO)N-(CF3SO2)이나,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C2H5)(C3H3N2)+(CH3)(CF3CO)N-(CF3SO2)에 리튬염인 LiN(CF3SO2)2을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14)을 사용해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를 제작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적절히 충방전을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 있어서는, 정극 재료로서 LiCoO2분말을 사용하고, 이 LiCoO2분말과 결착제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가 95:5의 중량비가 되도록 하여 LiCoO2분말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5 중량% 함유한 N-메틸-2-피롤리돈 용액을 첨가하고, 이것을 교반기에서 30분간 교반하여 슬러리를 조제하고, 이 슬러리를 두께 20㎛의 알루미늄 박의 양면에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법에 의해 도포한 다음, 이것을 건조시켜서 정극을 제작하였다.
또한, 비수 전해질로서는 상기의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트리메틸옥틸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8H17)N-(CF3SO2)2에 LiN(CF3SO2)2를 1mol/l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셀 용기(10) 안에 상기의 비수 전해액(14)을 주액함과 아울러, 작용극으로서 상기의 정극(12)을 사용하는 한편, 대극(對極)이 되는 부극(11a) 및 참조극(13)으로서 각각 리튬 금속을 사용해서 실시예 6의 시험 셀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렇게 하여 제작한 시험 셀을 사용하고, 참조극(13)에 대한 정극(12)의 전위가 4.3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충전시킨 후, 참조극(13)에 대한 정극(12)의 전위가 2.75V (vs. Li/Li+)가 될 때까지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방전을 하여, 초기 충전시 및 초기 방전시에 있어서의 정극(12)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6의 시험 셀에 있어서는, 상기의 정극(12)에 있어서의 초기 충전 용량이 29.8mAh/g, 초기 방전 용량이 25.8mAh/g이며, 충방전을 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 있어서는, 정극으로는 알루미늄 박 위에 스퍼터링에 의해 LiCoO2의 층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비수 전해질로서는, 상기의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온 용융염인 트리메틸프로필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3H7)N-(CF3SO2)2에, 리튬염으로서 LiN(CF3SO2)2를 0.3mol/l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험 셀 용기(10) 안에 상기의 비수 전해액(14)을 주액함과 아울러, 작용극으로서 상기의 정극(12)을 사용하는한편, 대극으로서의 부극(11a) 및 참조극(13)으로서 각각 리튬 금속을 사용해서 실시예 7의 시험 셀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렇게 제작한 시험 셀을 사용하고,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참조극(13)에 대한 정극(12)의 전위가 4.2V (vs. Li/Li+)가 될 때까지 충전시킨 후, 전류밀도 0.025mA/cm2에서 참조극(13)에 대한 정극(12)의 전위가 2.0V (vs. Li/Li+)가 될 때까지 방전을 하여, 초기 충전시 및 초기 방전시에 있어서의 정극(12)의 전위와 용량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7의 시험 셀에 있어서는, 상기의 정극(12)에 있어서의 초기 충전 용량이 104mAh/g, 초기 방전 용량이 104mAh/g이며, 충방전을 할 수 있었다.
더욱이 이 실시예 7의 시험 셀을 사용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충방전을 반복해서 하여,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충전 용량 Qa (mAh/g)와 방전 용량 Qb (mAh/g)을 측정하고, 상기의 실시예 1의 시험 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사이클에서 있어서의 충방전 효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는,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방전 용량(mAh/g)을 ○과 실선으로 나타내고, 각 사이클에 있어서의 충방전 효율(%)을 △과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이 결과, 상기의 실시예 7의 시험 셀에 있어서는, 7 사이클째에 있어서도 95mAh/g의 높은 방전 용량이 얻어지고, 또한 충방전 효율도 극히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결과로부터, LiCoO2을 사용한 정극과, 실온 용융염인 트리메틸옥틸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8H17)N-(CF3SO2)2이나, 트리메틸프로필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CH3)3N+(C3H7)N-(CF3SO2)2에 리튬염인 LiN(CF3SO2)2을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14)을 사용해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를 제작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적절히 충방전을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실시예 7에 나온 바와 같은 실온 용융염에 리튬염인 LiN(CF3SO2)2을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을 사용하면, 과충전 등의 이상한 조작시에 있어서도 비수 전해액이 분해하거나, 연소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는, 융점이 60℃ 이하인 실온 용융염과 리튬염을 함유하는 비수 전해질을 사용했기 때문에, 상기의 리튬염에 의해 리튬이 정극과 부극과의 사이에서 이동해서 충방전을 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과충전 등의 이상한 조작시에 있어서도 비수 전해질이 분해하거나, 연소하거나 하는 일이 없으므로, 보호 회로 등을 구성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정극과 부극과 비수 전해질을 구비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부극으로서 리튬을 흡장ㆍ방출하는 재료를 사용함과 아울러, 융점이 60℃ 이하인 실온 용융염과 리튬염을 함유하는 비수 전해질을 사용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정극으로서 리튬 함유 산화물을 사용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부극으로서 규소를 사용한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비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리튬염이, LiBF4, LiPF6, LiCF3SO3, LiC4F9SO3, LiN(CF3SO2)2, LiN(C2F5SO2)2, LiN(CF3SO2)(COCF3) 및 LiAsF6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비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융점이 60℃ 이하인 실온 용융염이 제4급 암모늄염인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비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융점이 60℃ 이하인 실온 용융염이, 트리메틸프로필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옥틸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알릴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헥실암모늄ㆍ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에틸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트리메틸알릴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트리메틸프로필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테트라에틸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 트리에틸메틸암모늄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비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융점이 60℃ 이하인 실온 용융염이 이미다졸륨염인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비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융점이 60℃ 이하인 실온 용융염이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ㆍ2, 2, 2-트리플루오로-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세트아미드인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KR10-2004-7000210A 2001-10-25 2002-10-21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KR200400368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27418 2001-10-25
JP2001327418 2001-10-25
JPJP-P-2002-00125662 2002-04-26
JP2002125662 2002-04-26
PCT/JP2002/010901 WO2003036751A1 (fr) 2001-10-25 2002-10-21 Element accumulateur a electrolyte non aqueu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896A true KR20040036896A (ko) 2004-05-03

Family

ID=2662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210A KR20040036896A (ko) 2001-10-25 2002-10-21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7725B2 (ko)
JP (1) JP4187653B2 (ko)
KR (1) KR20040036896A (ko)
CN (1) CN1298073C (ko)
WO (1) WO2003036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2801A1 (en) * 2005-10-25 2007-04-26 Andrew Tipton Molten Salt Electrolyte for a Battery and Electrochemical Capacitor
JP5002952B2 (ja) * 2005-12-06 2012-08-1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
JP2008130229A (ja) * 2006-11-16 2008-06-0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リチウム二次電池
CN101488568B (zh) * 2008-01-14 2011-05-04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用于锂二次电池正极活性材料的表面修饰方法
JP5012909B2 (ja) * 2008-01-24 2012-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組電池、車両、電池搭載機器、電池システ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劣化検知方法
WO2011086664A1 (ja) * 2010-01-12 2011-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液状の疎水性相転移物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JP5779050B2 (ja) * 2010-11-30 2015-09-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溶融塩電池
JP5858234B2 (ja) * 2012-03-21 2016-02-10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解質
US20150132649A1 (en) 2013-11-13 2015-05-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egative electrode for power storage device, power storage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7843A (en) * 1983-10-26 1985-08-27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Secondary battery
JP3620559B2 (ja) 1997-01-17 2005-02-16 株式会社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非水電解質電池
EP0855752B1 (en) * 1997-01-28 2006-11-29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de structural body,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with said electrode structural body,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aid electrode structural body and said rechargeable battery
JPH10265673A (ja) * 1997-03-25 1998-10-06 Mitsubishi Chem Corp 高分子化合物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817045B2 (ja) * 1997-09-12 2006-08-30 四国化成工業株式会社 溶融塩型高分子電解質
WO1999030381A1 (en) * 1997-12-10 1999-06-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is(perfluoroalkylsulfonyl)imide surfactant salts in electrochemical systems
JP3060107B2 (ja) * 1998-01-28 2000-07-10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難燃性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2981545B2 (ja) * 1998-04-03 1999-11-22 工業技術院長 常温溶融塩
JP3587982B2 (ja) * 1998-04-17 2004-11-10 Tdk株式会社 高分子固体電解質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と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4085473B2 (ja) * 1998-06-18 2008-05-14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3715436B2 (ja) 1998-06-30 2005-11-09 株式会社東芝 塩、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デバイス
US6350545B2 (en) * 1998-08-25 2002-0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lfonylimide compounds
JP2000082494A (ja) * 1998-09-03 2000-03-21 Sanyo Chem Ind Ltd 難燃性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2000228223A (ja) 1999-02-05 2000-08-15 Tokuyama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1210315A (ja) 2000-01-25 2001-08-03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3869609B2 (ja) 2000-01-27 2007-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US7029793B2 (en) 2000-05-12 2006-04-18 Gs Yuasa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cell
JP4165854B2 (ja) * 2000-10-04 2008-10-15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非水電解質、非水電解質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2110230A (ja) * 2000-10-04 2002-04-12 Yuasa Corp 非水電解質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2251917A (ja) 2001-02-23 2002-09-06 Nippon Mitsubishi Oil Corp イオン伝導性シート
JP4016607B2 (ja) 2001-04-25 2007-12-05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非水電解質電池
JP2003203674A (ja) * 2001-10-29 2003-07-18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040038127A1 (en) * 2002-08-20 2004-02-26 Schlaikjer Carl Roger Small cation/delocalizing anion as an ambient temperature molten salt in electrochemical power 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07725B2 (en) 2008-08-05
JP4187653B2 (ja) 2008-11-26
JPWO2003036751A1 (ja) 2005-02-17
US20040241543A1 (en) 2004-12-02
CN1298073C (zh) 2007-01-31
CN1650465A (zh) 2005-08-03
WO2003036751A1 (fr)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680B1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CA2717503C (en) Method for preparing a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gel electrolyte
JP4215718B2 (ja) 非水系二次電池及びこれに用いるセパレータ
JP3675460B2 (ja) 有機電解液及びそ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JP2003203674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528933B1 (ko) 유기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20040108217A (ko)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JPH10154528A (ja) 非水電解液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EP0806804A1 (en) Fluorinated carbonate electrolytes for use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05190754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8306367A (ja) 非水系ポリマー電池
KR20040084858A (ko) 정극,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35222B1 (ko) 비수 전해액
JP4493197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液
KR20040036896A (ko)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KR20040037053A (ko) 팽윤억제용 리튬이차전지 전해액
JP3831550B2 (ja) 非水電解質電池
CN109994768A (zh) 电解液及二次电池
KR100592235B1 (ko)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JP4056278B2 (ja) 非水電解質電池
JP4076738B2 (ja) リチウム電池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解質、その電解液または固体電解質並びに、リチウム電池または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2001076756A (ja) 非水電解質電池
JP2003263984A (ja) 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法。
JP3258907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20040037054A (ko)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