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451A -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451A
KR20040024451A KR1020030057463A KR20030057463A KR20040024451A KR 20040024451 A KR20040024451 A KR 20040024451A KR 1020030057463 A KR1020030057463 A KR 1020030057463A KR 20030057463 A KR20030057463 A KR 20030057463A KR 20040024451 A KR20040024451 A KR 20040024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recording
main body
camera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850B1 (ko
Inventor
유타카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여러 가지의 카메라 각도에서의 안정된 촬영과 피로가 적은 장시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렌즈부(1)와 본체 케이스부(2)를 직렬로 배치하고, 본체 케이스부(2)의 측면(2b)측에 그립부(3)를, 그 반대측 측면(2c)에 액정 모니터(4)를 구비하고, 그립부(3)는 기록 재생부(8)를 내장하여 본체 케이스부(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그립부(3)의 전단부(3a)를 렌즈군(1D)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에, 후단부(3e)를 촬상 소자(5A)보다도 후방에 위치시켰다. 또한, 본체 케이스부(2) 및 렌즈부(1)의 그립부(3)가 회동가능한 범위의 면을 오목부(1F, 2A)로 하였다. 더욱이, 그립부의 개폐 커버부(3C)와 그립 벨트(12)의 사이에 손을 삽입하여 개폐 커버부(3C)를 파지한 채로, 이 개폐 커버(3C)를 외측 방향으로 열고 그립부(3)의 천정면(3d)을 개구시켜 기록 매체(9)를 장전 또는 취출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INTEGRATED WITH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모니터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를 기록 재생 장치로 하고, 이것을 카메라부와 광축 방향으로 대략 병렬로 배치하여 일체화한 카메라 일체형 VTR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본체를 지지하기 위해서 파지하는 그립부(grip portion)에 액정 모니터를 내장하여 본체측면에 구비하고, 적절한 손목의 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이 그립부를 회동가능하게 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일체형 VTR의 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7-226871호 공보
그러나, 일반적으로, 통상의 촬영 각도를 포함시킨 여러 가지의 촬영 각도에 있어서, 손목의 최적 각도와 액정 모니터의 관찰 각도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니며, 이 예에 있어서도, 실용상 가능한 촬영 각도는 한정되고, 또한, 통상의 촬영 각도에 있어서도 손목이 피로하여 장시간의 촬영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액정 모니터로 모니터링하면서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렌즈부와 무거운 VTR이 광축에 대하여 병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본체의 중심 위치가 그립을 파지하는 손목으로부터 멀어지고,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하는 큰 회동 모멘트가 손목에 가해져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장시간의 소지 촬영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큰 회동 모멘트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본체의 중심 위치를 손목에 근접시키기 위해서 렌즈부와 무거운 VTR을 직렬로 배치하여 그립과 본체의 중심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근접시키면, 그립 위치가 후단측으로 치우쳐 극히 취급하기 어려운 형태로 되어 버린다. 또한, 그립을 본체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면, 통상적으로는 후방이 무겁기 때문에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는 큰 회동 모멘트가 손목에 가해져 장시간의 파지 촬영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러 가지의 카메라 각도에서의 안정된 촬영과 피로가 적은 장시간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장전과 취출에 대하여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매체의 장전과 취출에 대하여 설명하는 다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장전과 취출에 대하여 설명하는 배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립부의 회동에 대하여 설명하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심위치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립부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형태를 설명하는 모식적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렌즈부1A: 줌 링
1F: 오목부2: 본체 케이스부
2f: (본체의) 저면3: 그립부
3e: (그립부의) 배면4: 액정 모니터
7: 배터리8: 기록 재생부
9: 기록 매체9A: 테이프 카세트
12: 그립 벨트13: 카메라부
13A: 촬상 소자14: 카메라대(camera platfor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 구성을 제공한다.
즉, 청구항 1은 촬상 렌즈군(1D)을 내장한 렌즈부(1)와, 촬상 소자(13A)와 회로 기판(5A)을 내장하여 대략 직사각형체로 형성하고, 상기 렌즈부(1)의 반피사체측에 연접 배치한 본체 케이스부(2)와;
상기 본체 케이스부(2)의 일측면(2b)측에 구비된 파지가능한 그립부(3)와;
상기 본체 케이스부(2)를 끼우고 상기 일측면(2b)의 반대측에 구비된 액정모니터(4)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립부(3)에 기록 매체(9)를 사용하여 기록 재생을 하는 기록 재생부(8)를 내장하고, 상기 그립부(3)를 상기 렌즈군(1D)의) 광축(L)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회동축(3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이고,
청구항 2는 상기 그립부(3)의 길이 방향이 상기 광축(L) 방향이 되는 위치에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3)의 피사체측 단부(3a)를 상기 렌즈군(1D)의 반피사체측 단부보다도 피사체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그립부(3)의 반피사체측 단부(3e)를 상기 촬상 소자(13A)보다도 반피사체측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이고,
청구항 3은 상기 본체 케이스부(2) 및 상기 렌즈부(1)에 있어서의 상기 그립부(3)가 회동가능한 범위의 면을, 오목부(1F, 2A)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이고,
청구항 4는 상기 그립부(3)는 상기 그립부(3)를 파지하는 손을 가압하는 그립 벨트(12)와, 상기 그립부(3)의 측면(3b) 및 천정면(3d)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폐 커버부(3C)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 벨트(12)와 상기 개폐 커버부(3C) 사이에 조작자의 손이 삽입되어 상기 개폐 커버부(3C)가 상기 손으로 파지된 상태인 채로, 상기 개폐 커버부(3C)가 외측으로 열림으로써 상기 그립부(3)의 천정면(3d)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 부분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9)의 장전 또는 취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카메라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이고,
청구항 5는 상기 기록 매체(9)는 테이프 카세트(9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이다.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도 1 내지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의 각 투영도로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반피사체측으로 출광하는 렌즈군(1D)을 내장한 렌즈부(1)와, 이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13A)를 갖는 카메라부(13) 및 회로 기판(5A)을 갖고 이 재생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5)를 내장하여 렌즈(1)의 반피사체측에 연접 배치한 본체 케이스부(2)와, 본체 케이스부(2)의 좌측면(2b)측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기록 재생부(8)를 내장한 그립부(3)와, 액정 표시 소자(LED)를 내장하여 본체 케이스부(2)의 우측면(2c)에 개폐가능하게 배치된 액정 모니터(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액정 모니터(4)의 개폐 각도 범위에 대해서는 도 1b의 화살표(A)로 도시된다.
각 도면 중, 도 1a, 도 5a는 액정 모니터(4)를 닫은 상태를 도시하고, 또한, 도 1b, 도 5b는 액정 모니터(4)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각 부재에 대하여 상세한 것을 설명한다.
(1) 렌즈 경통(1)
렌즈부(1)는 렌즈군(1D)을 내장한 렌즈 경통(1C)으로 이루어지는 전동 줌 렌즈이고, 후술하는 전동 줌 버튼(3E4)의 조작 혹은 렌즈 경통(1C)에 장착된 줌 링(1A)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 배율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L은 렌즈군(1D)의 광축(L)이다.
이 렌즈부(1)의 선단에는 착탈가능하게 후드(1B)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렌즈부(1)의 좌측면의 본체 케이스부(2)측 부분에는 그 일부가 잘린 형상의 오목부(1F)가, 후술하는 본체 케이스부(2)의 오목부(2A)와 연속된 형상이 되도록 설치된다.
(2) 본체 케이스부(2)에 대하여
본체 케이스부(2)는 렌즈부(1)를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촬상 소자(13A)를 갖는 카메라부(13)와, 회로 기판(5A) 등을 갖는 제어부(5)를 내장하여 대략 상자형으로 구성된다.
그 천정면(2d)의 배면(2e)측의 부분에는 고정식 뷰파인더(6)가 구비되고, 뷰파인더(6)의 선단에는 아이 캡(6A)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부(2)는 그 내부에 강도 확보를 위해서 금속으로 형성된 섀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고, 마이크 유닛이나 운반용 핸들 등을 장착하기 위한 천정면(2d)의 전방 부분에 설치된 액세서리 슈(accessory shoe; 10)가이 섀시 프레임에 고정되고, 저면(2f)에는 3 다리(leg)에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11A)를 형성한 3 다리 베이스(11)가 이 섀시 프레임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배면(2e)에는 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7)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본체 케이스부(2)의 좌측면(2b)의 전방 부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잘린 형상의 오목부(2A)가 설치된다. 그리고, 그립부(3)는 오목부(1F, 2A)에 끼워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3) 그립부(3)
그립부(3)에는 도 1a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 매체(9)를 통해 영상 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을 하는 기록 재생부(8)가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 기록 매체(9; 도 1a, 도 7참조)로서 테이프 카세트(9A)를 사용한 기록 재생부를 탑재하고 있지만, 다른 기록 매체, 예를 들면 디스크(9B)나 고체 메모리(9C)를 사용하는 기록 재생부(8)라도 좋다. 기록 매체(9)로서 테이프 카세트(9A)를 사용한 경우, 기록 재생부(8)와는 적어도, 회동헤드와 테이프 카세트(9A)내에 수납된 테이프를 로딩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립부(3)는 광축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회동축(3B; 도 2 참조)을 중심으로, 본체 케이스부(2)에 대하여 소망의 각도로 회동하고, 그 임의의 위치에서 보유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그립부(3)를 파지하였을 때에 가해지는 본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질량을 지탱하기 위해서, 회동축(3B)은 섀시 프레임에 설치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이 그립부(3)의 회동 기구는 노이즈를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도록 슬라이딩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마찰에 의해 각 부재를 보유하는 구조를 다용하고 있다.
이 그립부(3)의 외관에 대하여 도 12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2a는 이것을 본체 케이스부(2)의 좌측 후방으로부터, 도 12b는 좌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립부(3)의 측면(3b)의 거의 중앙부에는 기록 재생부(8)에 기록 매체(9)가 장전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창부(3A)가 설치되고, 기록 매체(9)가 테이프 카세트(9A)의 경우에는 테이프 카세트(9A)내에 수납된 테이프의 주행 상태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그립부(3)의 케이스는 그 측면(3b)의 일부, 천정면(3d), 정면(3a) 및 배면(3e)의 일부가 일체로 된 개폐 커버부(3C)를 갖고, 이것과, 그 밖의 부분의 고정 커버부(3D)의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개폐 커버부(3C)는 도 12에 있어서 빗금으로 둘러싼 부분이다.
이들의 커버부(3C, 3D)는 파지력 등에 의한 변형의 방지와 경량화를 위해 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물론 다른 재료라도 좋지만, 강도면에서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 커버부(3C)의 천정면(3d)의 전면(前面)측에는 이들을 파지하였을 때 손가락을 걸기 위해서 오목부(3F1)와 볼록부(3F2)로 이루어지는 손가락 걸기부(3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커버부(3C)가, 측면(3b)의 하방에 설치한 광축 방향의 회동축 (3H; 도 9 참조)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외측으로 회동함으로써 그립부(3)의 천정면(3d)이 개구되고, 상방으로부터의 기록 매체(9)의 장전, 취출이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이 그립부(3)에는 이들을 파지한 상태로 여러 가지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소망의 스위치나 손잡이류 및 표시기가 집중적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정면(3a)에는 탤리(tally) 램프(3E1)와 리모콘 수광 창부(3E2)가 구비된다.
천정면(3d)에는 정지화 전환 버튼(3E3), 시소식의 전동 줌 버튼(3E4) 및 개폐 커버부(3C)의 개폐 슬라이드 손잡이(3E5)가 구비된다.
배면(3e)에는 전원 투입 표시 LED(3E6), 스타트/정지 스위치(3E7), 주요 기능 전환 스위치(3E8), 그립 벨트 고정 구멍(3E9) 및 그립부(3)의 회동 로크 혹은 해제하는 로크/릴리스 레버(3E12)가 구비된다.
측면(3b)에는 상술한 창부(3A)와 전방으로 돌출된 그립 벨트 반환용 구멍(3E10)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방위(azimuth) 조정 구멍이 개구되고, 그것을 막는 조정 구멍 캡(3E11)이 끼워져 있다.
이들의 스위치나 손잡이류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으로 이그립부(3)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걸리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줌 버튼(3E4) 및 정지화 버튼(3E3)은 집게손가락과 가운데손가락이 걸리는 위치에, 또한, 스타트/정지 스위치(3E7), 로크/릴리스 레버(3E12) 및 주요 기능 전환 스위치(3E8)는 엄지 손가락이 걸리는 위치에 배치된다.
물론, 그립부(3)에 설치하는 스위치나 손잡이류 및 표시기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파지 시에 손등을 적절하게 죄는 그립 벨트(12)가, 그립 벨트 고정 구멍(3E9)과 반환용 구멍(3E10) 사이에 장착된다(도 2, 도 5 및 도 8 참조).
따라서, 그립 벨트(12)로 통과한 손을 빼지 않고서 여러 가지 기능 제어가가능하고, 안정된 촬영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4) 액정 모니터(4)
액정 모니터(4)는 모니터 케이스(4A), 액정 표시부(4B) 및 힌지부(4C)로 구성된다(도 5b 참조).
힌지부(4C)는 도시하지 않는 섀시 프레임과 결합하여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하 방향의 회동축(4D1)을 중심으로 하여 약 90도의 범위(도 1b의 화살표(A)의 범위)로 회동가능하게, 그리고, 그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로 보유가능하게 구성된다.
더욱이, 모니터 케이스(4A)는 힌지부(4C)에 대하여,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좌우 방향의 회동축(4D2)을 중심으로 하여 액정 표시부를 상향으로 약 90도, 하향으로 약 90도의 합계 180도의 범위로 회동가능하게, 그리고, 그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로 보유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액정 모니터(4)는 상술한 그립부(3)와는 완전히 독립하여, 그 액정 표시부(4B)가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보유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각도에서의 촬영을 피로하지 않게 장시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A) 그립부(3)의 회동 동작(도 1, 도 10 및 도 11 참조)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립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각도에 따라서 최적의 자세로 촬영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10에 있어서는 액정 모니터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우선, 기본적인 촬영 시에 있어서는 액정 모니터(4)를 약 90도 열고, 그립부(3)를 수평 위치로 한다(이것을 정상 위치라고 부른다(도 10a 참조)).
그리고, 낮은(low) 각도 시에는 액정 모니터(4)를 상향으로 하여, 그립부(3)를 도 10에 있어서의 우측 주위의 임의의 각도로 회동시킨 위치로 한다(이것을 낮은 각도 위치라고 부른다(도 10b 참조)).
액정 모니터(4)와 그립부(3)를 이러한 위치로 함으로써 손목을 좌측 주위로 비틀 필요가 없어져, 항상 팔을 몸에 가까이한, 이른바 팔을 굳힌 자세에서의 안정된 촬영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높은 각도 시는 액정 모니터(4)를 하향으로 하여, 그립부(3)를 도10에 있어서의 좌측 주위로 회동시킨 위치로 한다(이것을 높은 각도 위치라고 부른다).
이 높은 각도의 촬영에서는 그립부(3)가 정상 위치라도, 팔을 늘림으로써 손목을 비틀지 않고서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립부(3)는 정상 위치에 대하여 적어도 우측 주위로 회동가능하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상 위치에 대하여 좌우 주위로 각각 90도의 범위로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90도 이상으로 설정하여도 좋고, 또한 90도 미만이더라도, 본 기록 재생 장치의 본체 형상이나 사용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c는 우측 방향으로 90도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는 그립부(3)의 회동축(3B)과, 액정 모니터(4)를 연 상태에서의 본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배터리(7)의 장착 상태)의 중심(G)과의 전후 방향 위치를 거의 일치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다(도 11 참조).
이것은 그립부(3)에 무거운 기록 재생부(8)를 내장한 것에 의해 가능한 구성이고, 파지하였을 때에 손목에 걸리는 회동축(3B) 주위의 회동 모멘트를 극소로 하여, 피로가 적은 장시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액정 모니터(4)의 개폐에 있어서의 회동축(4D1, 4D2)의 전후 방향 위치도 거의 일치시켜, 액정 모니터(4)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서 손목에 부담을 최소한으로 하고 있다.
또한, 렌즈부(1)와 본체 케이스부(2)를 광축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하고, 큰질량을 갖는 기록 재생부(8)를 그립부(3)에 내장함으로써, 손목에 가해지는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동 모멘트가 극히 작아지기 때문에, 피로가 적은 장시간 촬영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부(3)는 렌즈부(1)와 본체 케이스부(2)에 설치한 오목부(1F, 2A)로 끼워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목과 중심(G)의 위치가 보다 접근하여 더욱 피로가 적은 장시간 촬영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와 같이, 그립을 파지한 손목에 가해지는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동 모멘트가 없고,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동 모멘트가 극히 작기 때문에, 피로가 극히 적은 촬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효과는 기록 재생부(8)의 질량이 클수록 현저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로서 DVC(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테이프 카세트로 대표되는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한 비교적 무거운 기록 재생부의 경우에 특히 유효한 것이다.
(B) 기록 매체의 장전 및 취출(도 5, 도 7, 도 8 및 도 9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부(3)의 개폐 커버부(3C)는 그 측면(3b)의 하방에 설치한 커버 회동축(3H)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외측으로 회동함으로써 그립부(3)의 천정면(3d)이 개구되어, 상방으로부터의 기록 매체(9)의 장전이나 취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도 7 참조).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 커버부(3C)는 그 천정면(3d)을 포함하여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하고, 고정 커버(3D)측을 스테이(3G)로 연결시키고 있다. 이로써, 개폐 커버(3C)가 열린 상태에서 회동축(3H)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고, 개폐 커버(3C)만을 파지하더라도 본체 케이스부(2) 등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립 벨트 고정 구멍(3E9)과 그립 벨트 반환용 구멍(3E10)의 양쪽이 그립부(3)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 벨트(12)와, 이것과 개폐 커버의 사이에 삽입한 조작자의 손과의 위치 관계는 그립부(3)를 회동시키더라도 변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그립 벨트(12)는 손등을 항상 같은 상태로 죈다.
그 결과, 그립부(3)의 회동 위치가 어디라도, 그립 벨트(12)로부터 손을 빼지 않고서, 그립부(3)를 파지한 상태인 채로 기록 매체(9)의 장전이나 취출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를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이로써, 촬영 포지션을 바꾸거나, 그립을 파지하는 손을 바꿔 잡지 않고서 기록 매체의 교환 등을 신속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 타이밍을 놓치는 일이 없이 매끄러운 촬영이 가능하다.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3C)의 개폐는 본체 케이스부(2)의 저면(2f)보다 상측의 영역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3 다리의 카메라대(camera platform; 14)에 고정한 상태, 혹은 테이블 등이 평평한 장소에 놓인 채의 상태에서도, 그립부를 정상 위치에 두면 카메라대(14)로부터 빠지거나 가로 배치로 하지 않고서 기록 매체(9)의 장전이나 취출이 가능하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본 실시예의 주요부의 배치 구성을, 도 13a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은 렌즈부(1), 본체 케이스부(2) 및 그립부(3)의 광축 방향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렌즈부(1)와 본체 케이스부(2)를 광축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하여, 각각의 측면에 오목부(1F, 2A)를 설치하고 그 부분에, 기록 재생부(8)를 내장한 그립부(3)가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그립부(3)는 광축 방향에서 렌즈부(1)와 본체 케이스부(2)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부(3)의 회동축(3B)과 본 기록 재생 장치의 중심(G)의 광축 방향 위치를 근접시키거나 대략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렌즈부(1)와 본체 케이스부(2)의 경계는 렌즈 교환가능하고 구조적으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명확하다.
그러나, 구조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어도 그립부(3)의 정면(3a)이 렌즈부(1)가 내장하는 렌즈군(1D)의 최후방 렌즈(1E)의 최후방단보다도 전방(피사체측)에 위치하고, 또한, 그립(3)의 배면(3e)이 본체 케이스부(2)가 내장하는 촬상 소자(13A)의 전면보다도 후방(반피사체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그립부(3)는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 끼우지 않고서 배치하여도 좋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손목에 가해지는 광축 회동 방향의 회동 모멘트가 작아지기 때문에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F, 2A)를 설치하여 끼우도록 하고, 손과 중심(G)을 보다 접근시키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 케이스부(2)와는 독립된 개체인 고정 커버(3D)를갖는 그립부(3)에 기록 재생부(8)를 내장한 것으로, 또한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체 케이스부(2)의 액세서리 슈(10)에 마이크를 장착한 경우에, 기록 재생부(8)로부터 발생하는 잡음이 채음되기 어렵게 되어 있고, 기록하는 음성 품질이 향상된다.
회로 기판(5A)과 기록 재생부(8)간에 그립부(3)의 케이스로서 금속으로 형성한 고정 커버부(3D)가 존재하기 때문에, 차폐 효과가 향상되어 노이즈가 저감되고, 음성이나 영상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회로 기판(5A)과 기록 재생부(8)를 분리한 것으로 각각의 방열 효과가 높아져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그 결과, 제품 수명이 길어지고, 신뢰성도 향상된다.
본체 케이스부(2)에 기록 재생부(8)가 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부(2)를 비교적 경량으로 형성할 수 있는 만큼 렌즈부(1)에 중량을 주는 것이 가능해져, 높은 줌비로 하거나 대구경 렌즈를 탑재한 밝은 렌즈 구성으로 할 수 있고, 광학적으로 보다 고성능의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본체 케이스부와 렌즈부를 광축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하고, 본체 케이스부의 일측면측에 구비된 그립부에 큰 질량을 갖는 기록 재생부를 내장하고 이 그립부를 광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회동축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그립부를 파지하는 손목에 가해지는 회동 모멘트가 작아져서 피로가 적은 장시간 촬영이 가능하게 되고 여러 가지의 각도에서의 촬영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록 재생부를 내장한 그립부의 길이 방향을 광축 방향으로 하는 회동 위치에 있어서, 그립부의 피사체측 단부(전단부)를 렌즈군의 반피사체측 단부(후단부)보다도 피사체측(전방)에 위치시키고, 그립부의 반피사체측 단부(후단부)를 촬상 소자보다도 반피사체측(후방)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립부의 회동축과 본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중심과의 광축 방향 위치를 근접시키거나 또는 대략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그립부를 파지하는 손목에 가해지는 이 회동축 방향의 회동 모멘트가 극히 작아져서 피로가 적은 장시간 촬영이 가능해진다.
또한, 렌즈부 및 본체 케이스부의 측면에 그립부의 회동 범위를 오목부로서 설치하고, 그 오목부에 그립부를 끼우도록 배치하였기 때문에, 그립부를 파지하는 손목과 본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중심의 위치가 보다 접근하여 더욱 피로가 적은 장시간 촬영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그립부가 어떤 회동 위치에 있더라도, 그립부의 개폐 커버부와 그립 벨트의 사이에 손을 삽입하여 그립부를 파지한 채로, 개폐 커버부를 외측 방향으로 열어 그립부의 천정면을 개구시키고 기록 매체의 장전 또는 취출할 수 있다.
이로써, 촬영 포지션을 바꾸거나 그립부를 파지하는 손을 바꿔 잡지 않고서 기록 매체의 교환 등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 타이밍을 놓치는 일이없이 매끄러운 촬영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촬상 렌즈군을 내장한 렌즈부와;
    촬상 소자와 회로 기판을 내장하여 대략 직사각형체로 형성하고, 상기 렌즈부의 반피사체측에 연접 배치한 본체 케이스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부의 일측면측에 구비된 파지가능한 그립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부를 끼우고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에 구비된 액정 모니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립부에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기록 재생을 하는 기록 재생부를 내장하고, 상기 그립부를 상기 렌즈군의 광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광축 방향이 되는 위치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의 피사체측 단부를 상기 렌즈군의 반피사체측 단부보다도 피사체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그립부의 반피사체측 단부를 상기 촬상 소자보다도 반피사체측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부 및 상기 렌즈부에서의 상기 그립부가회동가능한 범위의 면을, 오목부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부를 파지하는 손을 가압하는 그립 벨트와;
    상기 그립부의 측면 및 천정면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폐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 벨트와 상기 개폐 커버부의 사이에 조작자의 손이 삽입되어 상기 개폐 커버부가 상기 손으로 파지된 상태인 채로, 상기 개폐 커버부가 외측으로 열림으로써 상기 그립부의 천정면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 부분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장전 또는 취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테이프 카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
KR1020030057463A 2002-09-13 2003-08-20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장치 KR100622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7959A JP4151003B2 (ja) 2002-09-13 2002-09-13 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JPJP-P-2002-00267959 2002-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451A true KR20040024451A (ko) 2004-03-20
KR100622850B1 KR100622850B1 (ko) 2006-09-18

Family

ID=3198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463A KR100622850B1 (ko) 2002-09-13 2003-08-20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39624B2 (ko)
JP (1) JP4151003B2 (ko)
KR (1) KR100622850B1 (ko)
CN (1) CN10040776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7382A (ja) * 2004-02-10 2005-08-25 Pentax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4481673B2 (ja) * 2004-02-10 2010-06-16 Hoya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KR20050090821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의 하우징 커버
KR100695075B1 (ko) * 2005-07-01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렌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JP2007166289A (ja) * 2005-12-14 2007-06-28 Sony Corp 撮像装置
EP1944965A4 (en) * 2005-12-26 2009-03-04 Panasonic Corp IMAGING DEVICE
JP2008022274A (ja) * 2006-07-12 2008-01-31 Sony Corp 撮像装置
KR20080061844A (ko) * 2006-12-28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JP5172610B2 (ja) * 2008-11-06 2013-03-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1795394B (zh) * 2009-02-03 2012-05-23 廖礼士 多区域监视系统
JP5398476B2 (ja) * 2009-10-29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765023B (zh) * 2010-02-08 2013-02-20 金凌实业(杭州)有限公司 一种3d系统
JP6289190B2 (ja) * 2014-03-19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3783B1 (en) * 1985-05-27 1992-08-26 Sony Corporation Video tape recorder having built-in camera
JPH02260771A (ja) * 1989-03-30 1990-10-23 Canon Inc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装置
CA2101040C (en) * 1992-07-30 1998-08-04 Minori Takagi Video tape recorder with a monitor-equipped built-in camera
JPH07226871A (ja) 1994-02-15 1995-08-22 Sony Corp カメラ一体型vtr
JP3496207B2 (ja) * 1994-06-22 2004-02-09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JP3417226B2 (ja) * 1996-08-22 2003-06-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モニター付きビデオカメラ
US6295088B1 (en) * 1997-02-17 2001-09-25 Nikon Corporation Portable display device
JPH1115072A (ja) * 1997-06-19 1999-01-22 Asahi Optical Co Ltd 可動グリップ付デジタルカメラ
JPH11275400A (ja) * 1998-03-20 1999-10-08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JP3549460B2 (ja) * 2000-05-11 2004-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モニタ部を備えた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51811A1 (en) 2004-03-18
JP2004112026A (ja) 2004-04-08
CN1494318A (zh) 2004-05-05
KR100622850B1 (ko) 2006-09-18
JP4151003B2 (ja) 2008-09-17
US7339624B2 (en) 2008-03-04
CN100407767C (zh)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850B1 (ko)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장치
JP4380475B2 (ja) 撮像装置
JP2001111877A5 (ko)
JP2006287288A (ja) 画像記憶装置付カメラ
JPH09163197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2006074695A (ja) 撮像装置及びシューアダプタ
JP2832098B2 (ja)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装置
JP2006072245A (ja) 撮像装置
JPH09163199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3846475B2 (ja) 撮像装置
JP4273610B2 (ja) 撮像装置
JP3713928B2 (ja) カメラ装置
JP2002195354A (ja) 多目的クランパ
JPH0686127A (ja) スチルカメラ付ビデオカメラ
JPH03102979A (ja) カメラ一体型vtr
JP2005050413A (ja) 記録再生装置
JP2015125314A (ja) 撮像装置のグリップ
JP2005109711A (ja) 携帯型カメラ
JP2006184815A (ja) グリップベルト
KR200153685Y1 (ko) 캠코더
JP2005071426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を用いた撮影装置
JPH04196773A (ja) Vtr一体形カメラ
JP2005184670A (ja) 撮像装置
JP2006073477A (ja) スライドスイッチのクリック機構及び撮像装置用のスライドスイッチのクリック機構
JPH04120881A (ja) Vtr一体形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