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547A -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547A
KR20040018547A KR10-2004-7001731A KR20047001731A KR20040018547A KR 20040018547 A KR20040018547 A KR 20040018547A KR 20047001731 A KR20047001731 A KR 20047001731A KR 20040018547 A KR20040018547 A KR 20040018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aple
sheet staple
cartridg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846B1 (ko
Inventor
하라미시키이치
Original Assignee
맥스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2741A external-priority patent/JP49233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5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4923356B2/ja
Application filed by 맥스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맥스 캄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1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8Staple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개구(23A)를 갖는 저벽(23)에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유무를 검지하는 시트 스테플 검지기구(60)를 구비하고, 이 시트 스테플 검지기구(60)는,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최상면 상에 놓여지며, 또, 저벽(23)에 시트 스테플(ST)이 놓여져 있지 않을 때 개구(23A)에 다리부(32,32,33,33)가 들어가는 안착대(30)와,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하방 이외에 배치되고, 안착대(30)의 다리부(32,32,33,33)가 개구(23A)에 들어갔을 때 회동하는 액추에이터(40)와, 이 액추에이터(40)가 회동한 것을 검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5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CARTRIDGE}
종래부터,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도시생략)내에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검지기구는,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하방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와 마이크로 스위치(2)로 구성되고, 액추에이터(1)는 시트 스테플(ST)이 없어지면, 축(3)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액추에이터(1)의 시계방향 회동을 마이크로 스위치(2)가 검지함으로써, 시트 스테플(ST)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시트 스테플 검지기구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1)나 마이크로 스위치(2)가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 호치키스의 소형화를 방해하고 있었다. 또, 드라이버 유닛과 클린처 유닛을 상하로 분리한 전동 호치키스에 있어서는, 드라이버 유닛과 클린처 유닛의 사이를 용지가 통과하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하방에 검지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도 24에 도시한 카트리지(5)에서는, 시트 스테플(ST)을 반송로(6)로 보내는 롤러(7)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6)의 선단부(도 24에서 좌측단부)의 상방에는 드라이버(DP)와 포밍 플레이트(FP)가 상하 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포밍 플레이트(FP)의 하강에 의해 스테플을 U자형으로 형성하고, 이 U자형으로 형성된 스테플이 드라이버(DP)의 하강에 의해서 시트다발(T)을 향해서 타출되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5)의 수납부(5A)에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스테플(ST)을 적층한 케이스(8)가 수납되어 있다.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은 테이프(TP)에 의해서 결속되어 있고, 이 테이프(TP)는 카트리지(5)의 수납부(5A)에 수납할 때에 꺼낸다.
이 카트리지(5)에서는, 적층된 최하층의 시트 스테플(ST)이 롤러(7)에 의해서 반송로(6)로 보내지지만, 시트 스테플(ST)이 전후방향에 대해서 그 중앙부가 밑으로 볼록 나오도록 젖혀져 있으면, 시트 스테플(ST)의 전단과 후단이 위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그 전단이 반송로(6)의 입구 상부 테두리에 걸려서, 시트 스테플(ST)을 반송로(6)로 보내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하 분리형의 전동 호치키스에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동 호치키스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스테플이 젖혀 있어도 확실하게 반송로로 보낼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은 시트 스테플을 수납하는 전동 호치키스의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에 관한 시트 스테플 검지기구를 설치한 드라이버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드라이버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안착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카트리지 본체의 저벽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시트 스테플이 1매 남겨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적층된 시트 스테플이 없어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제 2실시예의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2실시예의 카트리지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적층된 스테플 시트와 수납 케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지지 베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 2실시예의 카트리지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 2실시예의 카트리지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매거진에 장진된 카트리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지지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푸셔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의 (A)는 슬라이드 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B)는 슬라이드 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C)는 이송발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의 (A)는 하부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B)는 하부 플레이트에 상부 플레이트를 안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부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지지 베이스에 슬라이드판을 탑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지지 베이스에 슬라이드판, 상하부 플레이트를 탑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시트 스테플이 젖혀져 있어도 반송로에 보내지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검지기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카트리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5는 적층된 시트 스테플을 수납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서는, 개구를 갖는 저부에 적층된 시트 스테플의 유무를 검지하는 시트 스테플 검지기구를 구비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시트 스테플 검지기구는,
적층된 시트 스테플의 최상면 상에 다리부를 개재하여 놓여지고, 또 상기 저부에 시트 스테플이 안착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저부의 개구에 상기 다리부가 진입함으로써 내려앉는 상태가 되는 피검지부재와,
상기 피검지부재가 상기 개구에 내려앉았는지의 여부를 검지하여 시트 스테플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4에서는, 스테플을 타출하는 타출부와, 상기 시트 스테플을 타출부로 보내기 위한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스테플의 송출방향에 대해서 시트 스테플의 후부측을 들어올려서 그 시트 스테플을 경사시키는 경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이 발명은, 청구항 1에서는, 저부 시트 스테플이 놓여져 있지 않을 때 그 저부의 개구에 피검지부재의 다리부가 진입하여 피검지부재가 내려앉는 상태로 되고, 그 피검지부재가 내려앉은 것을 검지하여 시트 스테플이 없는 것을 검지수단이 검지한다.
이 발명은, 청구항 4에서는, 경사수단에 의해 시트 스테플의 후부측이 들어올려져 경사지고, 이 경사에 의해 시트 스테플의 선단측의 위치가 내려간다.
이하, 이 발명에 관한 카트리지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0은 상하 분리형의 전동 호치키스의 드라이버 유닛이다. 이 드라이버 유닛(10)은, 시트 스테플(ST)을 적층 수납한 카트리지(11)와, 이 카트리지(11)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매거진(12)과, 이 매거진(12)의 전방벽(14)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드라이버(15)와,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기구(60)등을 구비하고 있다. 16은 축(17)의 둘레에서 회동하는 링크부재로, 이 링크부재(16)는 드라이버(15)가 하강했을 때에 도시하지 않은 이송발톱(시트 스테플(ST)을 전방으로 보내는 발톱)을 스프링(도시생략)의 가압력을 이기고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1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20)와, 이 카트리지 본체(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케이스(21)와, 이 케이스(21)내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안착대(피검지부재)(30)등을 갖고 있다.
케이스(21)내에는 시트 스테플(ST)이 적층 수납되어 있고, 이 적층 시트 스테플(STA)상에 안착대(30)가 안착되어 있다. 안착대(30)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안착대(30)의 하면(31)에는 전후로 2조의 다리부(32,32,33,3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다리부(32,32,33,33)가 적층 시트 스테플(STA)의 최상층의 시트 스테플(ST)의 상면에 접촉하여, 적층 시트 스테플(STA)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안착대(30)의 전면(34)은 적층 시트 스테플(STA)의 일측면(전면)(STa)과 면일치되어 있다.
안착대(30)의 양측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한 돌출부(35, 3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부(35, 35)의 상부 외측면에는 걸림부(36, 36)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36, 36)가 케이스(21)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2(도 6참조))에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홈(2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22)을 따라서 안착대(30)는 상하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20)는, 케이스(21)내에 적층 수납된 시트 스테플(ST)을 수용함과 동시에 개구(23A)를 갖는 저벽(저부)(23)과, 이 저벽(23)의 전방부(23B)의 상방에 설치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벽(24)과, 케이스(21)를 카트리지 본체(20)에 고정하는 걸림벽(25)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저벽(23)의 전방부(23B)와 가이드벽(24)으로 시트 스테플(ST)을 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로(2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저벽(23)의 아래에는 시트 스테플(ST)을 전방으로 보내는 이송발톱(도시생략)을 갖는 이송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송발톱의 선단부는 저벽(23)의 개구(23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최하층의 시트 스테플(ST)의 스테플과 스테플의 사이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이드벽(24)의 후부에 기립한 기립벽(27)이 형성되고, 이 기립벽(27)에 개구(27A)가 형성되어 있다.
매거진(1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부재(16)의 축(17)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액추에이터(40)와, 이 액추에이터(40)가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하였을 때 그 회동을 검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50)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50)는 전방벽(14)의 내측에 설치된 유지부재(52)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40)와 마이크로 스위치(50)로 시트 스테플(ST)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수단(70)이 구성되고, 이 검지수단(70)은 적층 시트 스테플(STA)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에서는 액추에이터(40)와 마이크로 스위치(50)는 생략되어 있다.
액추에이터(40)는 C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접촉부(41)를 갖고 있다. 액추에이터(40)의 중간부에는 전방(도 2에서 우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45)가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45)에는 스프링(46)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46)의 일단이 전방벽(14)에 걸려있고, 이 스프링(46)의 타단은 액추에이터(40)에 걸려 있어, 액추에이터(40)는 스프링(46)의 가압력에 의해서 축(17)둘레에서 시계방향(도 2에서)으로 가압되어 있다.
접촉부(41)는, 카트리지 본체(20)의 기립벽(27)의 개구(27A)에 들어가 있고, 그 접촉부(41)의 접촉면(42)이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일측면(STa)에 접촉되어 있다. 접촉면(42)은 평탄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액추에이터(40)의 상부에는 전방(도 2에서 우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43)의 상면에는 마이크로 스위치(50)의 검출부(51)가 접촉되어 있어, 마이크로 스위치(50)는 온되어 있다. 스프링(46)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액추에이터(40)가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면, 검출부(51)가 하방으로 돌출하여 마이크로 스위치(50)는 오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스테플 검지기구(60)는 안착대(30)와 액추에이터(40)와 마이크로 스위치(50)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트 스테플 검지기구(6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1)내에 시트 스테플(ST)이 소정 매수 이상 적층되어 있을 때, 액추에이터(40)의 접촉부(41)의 접촉면(42)이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일측면(STa)에 접촉한다. 그리고,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매수가적어지게 되면, 그 높이가 낮아짐으로써, 액추에이터(40)의 접촉부(41)의 접촉면(42) 상부가 안착대(30)의 전면(34)에 접촉하게 된다.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이 수(數)매로 되면, 액추에이터(40)의 접촉부(41)의 접촉면(42)이 안착대(30)의 전면(34)에만 접촉한다. 그리고, 시트 스테플(ST)이 1매로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대(30)의 다리부(32,32,33,33)가 그 시트 스테플(ST)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액추에이터(40)의 접촉부(41)의 접촉면(42) 하부에 안착대(30)의 전면(34)이 접촉한다.
그 시트 스테플(ST)이 제로(zero)매가 되면, 즉,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이 없어지게 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대(30)의 다리부(32,32,33,33)가 카트리지 본체(20)의 저벽(23)의 개구(23A)내로 들어간다. 이 안착대(30)의 상면의 위치가 하방 다리부(32,32,33,33)의 높이분 만큼 낙하, 즉 1단 낮아진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해, 액추에이터(40)의 접촉부(41)의 접촉면(42)이 안착대(30)의 전면(34)으로부터 분리되고, 액추에이터(4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액추에이터(4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50)는 오프된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50)의 오프에 의해 시트 스테플(ST)이 없는 것이 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 스테플(ST)이 없어지게 되면, 안착대(30)의 다리부(32,32,33,33)가 카트리지 본체(20)의 저벽(23)의 개구(23A) 내로 들어가므로, 안착대(30)의 상면 위치가 하방 다리부(32,32,33,33)의 높이분 만큼 낙하하게 된다. 그로 인해, 액추에이터(40)의 접촉부(41)의 접촉면(42)이 안착대(30)의전면(34)으로부터 확실하게 떨어진다. 즉, 액추에이터(40)에 의한 안착대(30)로의 접촉 해제가 확실하게 행해져서, 시트 스테플(ST)의 유무를 확실히 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시트 스테플(ST)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수단(70)이 적층 시트 스테플(STA)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드라이버 유닛(10)은 상하방향으로 부피가 커지는 일이 없으며, 게다가 검지수단(70)인 액추에이터(40) 및 마이크로 스위치(50)를 전방벽(14)의 내측에 수납하였으므로, 드라이버 유닛(10)의 소형화, 즉 전동 호치키스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검지수단(70)이나 안착대(30)를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의 하방에 설치하지 않으므로써, 드라이버 유닛(10)과 클린처유닛을 상하로 분리하는 상하 분리형의 전동 호치키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카트리지 본체(20)의 하방에 검지수단(70)등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검지용 액추에이터의 선단부를 저벽(23)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카트리지(11)의 매거진(12)으로의 삽입이 간단히 행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40)와 마이크로 스위치(50)가 각 1개씩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을 복수개 설치하고, 접촉부(41)의 높이 위치를 각각 달리하도록 하면, 시트 스테플(ST)의 잔량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검지수단(70)의 마이크로 스위치(50)를 포트 인터럽터(photo interrupter)로 바꿀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검지수단(70)이 적층 시트 스테플(STA)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방 위치에 있어도 된다.
[제 2실시예]
도 8은 제 2실시예의 전동 스테플러용 카트리지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한 카트리지(120)는, 카트리지 본체 케이스(110)와, 이 본체 케이스(110)내에 설치된 가압수단(180)과, 본체 케이스(110)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수단(200)을 구비하고 있다. 또, 124B는 포밍 플레이트, C1은 클린처이다.
본체 케이스(110)내에는 시트 스테플(ST)을 적층한 적층 시트 스테플(STA)을 수납한 수납 케이스(126)가 수납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126)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측벽(126A)과 후벽(126B)을 갖고, 1쌍의 측벽(126A)의 하단 테두리부는 저벽(126C)에 의해 이어져 있다. 측벽(126A)에는 화살표 형상의 개구부(127)가 형성되어, 시트 스테플(ST)의 이송방향을 나타내며, 적층 시트 스테플(STA)의 장진시의 수납 케이스(126)의 자세가 적정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0)의 좌측면 하부에는 좌측방향(전방)으로 연장된 반송커버부(129)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반송커버(129)의 선단측에는 스테플을 타출하는 타출부(210)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0)의 하부는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에는 후술하는 하부 플레이트(167)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커버부(129)의 측벽(129A)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스 플레이트(131)가 핀(13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 반송 커버부(129)의 측벽(129A)의 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0)의 전벽부(128A) 앞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각형상의 걸림부(133)가 전벽부(128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33)와 대향하는 전벽부(128A)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134)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133)의 하단부는 개구부(134)의 내부에서 개구부(134)의 하단부 근방으로 진입하고 있다(도 8참조).
또, 전벽부(128A)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0)내에 시트 스테플(ST)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개구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38)에는, 도 14에 도시한 매거진(139)에 설치된 액추에이터(40)의 접촉부(41)가 진입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0)의 후부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2O)를 매거진(139)으로부터 꺼내기 위한 레버(143)가 돌출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0)의 좌우 측벽부에는, 후술하는 지지 베이스(130)의 걸림돌기(144)가 삽입되는 홈부(14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측벽부에는 카트리지(120)를 매거진(139)에 삽입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146)가 표시되어 있다.
이송수단(2OO)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0)의 하부에 장착된 지지베이스(130)와, 이 지지베이스(130)상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 슬라이드판(147)과, 지지베이스(130)에 안착된 하부 플레이트(167)(도 18참조)와, 이 하부 플레이트(167)에 안착된 상부 플레이트(16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베이스(130)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147)의 전단부측을 지지하는 리브(148A)와, 슬라이드판(147)의 좌우 양측테두리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1쌍의 리브(148B)와, 슬라이드판(147)의 후부를 지지하는 리브(148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베이스(130)에는, 리브(148A)의 앞쪽에서 슬라이드판(147)의 전방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리브(151A)와, 리브(148B)의 후단에서 슬라이드판(147)의 후방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리브(151B)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리브(151B)에는, 적층 시트 스테플(STA)을, 그의 후부를 들어올려서 경사시키는 경사수단의 주요소로서의 돌기부(15O)가 1쌍 돌출되어 있다.
또, 지지베이스(130)의 1쌍의 측벽부(158)의 앞쪽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27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베이스(130)의 후부의 양쪽에는 걸림돌기(1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실시예에서는, 1쌍의 돌기부(15O)와 상술한 가압수단(180)에 의해 경사수단을 구성하고 있으나, 적층 시트 스테플(STA)의 전단부를 하강하는데는, 돌기부(15O)만으로도 된다.
또, 1쌍의 돌기부(15O)를 지지베이스(13O)에 형성하였으나, 이 1쌍의 돌기부(15O)는, 후술하는 하부 플레이트(167)의 후단부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돌출시켜서 형성해도 된다. 하부 플레이트(167)에, 돌기부(15O)를 대신하는 돌기부를 형성할 경우에는, 해당 돌기부를 1쌍이 아니라 일련으로 설치한 구조로 하여 하부 플레이트(167)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지지베이스(130)의 전방부위에는, 도 16에 도시한 푸셔(152)가 배치된다.
푸셔(152)는 약간 커브되어 있는 테이퍼부(153)를 갖고, 이 테이퍼부(153)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걸림부(154)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부(154)의 후단부의 내측에는 후크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푸셔(152)를 지지베이스(130)에 장착하면, 테이퍼부(153)는 상술한 페이스 플레이트(131)와 대면하고, U자형으로 구부러진 스테플이 테이퍼부(153)와 페이스 플레이트(131)에 협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협지된 스테플은 드라이버(15)에 의해서 하방으로 타출된다.
테이퍼부(153)의 하부 양측에 돌출된 1쌍의 돌기(153A)는 지지베이스(130)의 선단에 형성된 안내홈(156)내로 삽입된다. 1쌍의 걸림부(154)는, 지지베이스(130)의 돌기(157)와 측벽(158) 사이로 삽입되고, 푸셔(152)는 지지베이스(130)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푸셔(152)의 후크부(155)가 돌기(157)에 걸어맞춤되어, 푸셔(152)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테이퍼부(153)의 후면에 설치된 축부(159)에는 스프링(260)이 장착되고, 이 스프링(260)의 후단이 규제리브(151A)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260)은 푸셔(152)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슬라이드판(147)은, 도 17(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1쌍의 걸어맞춤발톱(161)을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발톱(161)은, 매거진(139)을 횡으로부터 관통하는 축(162)에 가압되고, 걸어맞춤발톱(161)이 축(162)에 가압됨으로써 슬라이드판(147)은 후방으로 슬라이드된다. 슬라이드판(147)의 중앙부에는 개구부(163)가 형성되고, 개구부(163)에는 이송발톱(164)의 선단부가 밑에서 진입하여 위로 돌출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판(147)에는, 개구부(163)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1쌍의 개구(166)가 형성되고, 각 개구(166)의 측면테두리부에는 이송발톱(164)을 홀딩하는 고리부(16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송발톱(164)은,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스테플(ST)의 스테플과 스테플 사이에 걸리는 발톱부(164A)와, 고리부(165)의 홈(凹)부(165A)에 지지되는 돌기부(164B)와, 스프링(160)(도 8참조)을 유지하는 유지부(164C)를 갖는다. 이송발톱(164A)은 스프링(160)의 가압력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슬라이드판(147)의 고리부(165)의 홈부(165A)내에서 이송발톱(164)의 유지부(164C)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이송발톱(164A)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시계방향의 회동에 의해, 이송발톱(164)의 발톱부(164A)는 슬라이드판(147)의 개구부(16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160)은 지지베이스(130)의 1쌍의 리브(148C)(도 15참조)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160)의 후단부는, 지지베이스(130)의 규제리브(151B)에 걸려있다.
도 18(A)는, 반송로(171)의 하측을 형성하는 가이드부(167A)를 갖는 하부 플레이트(167)를 나타낸다. 이 하부 플레이트(167)는 개구(170)를 가짐과 동시에 적층 시트 스테플(STA)를 받는 수납면(174)을 갖는다. 이 수납면(174)은 가이드부(167)보다 1단 낮게 되어 있다. 또, 하부 플레이트(167)에는 수납면(174)에 수납되어 있는 시트 스테플(ST)을 가이드부(167A)로 안내하는 단차부(1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167)의 개구(170)와 슬라이드판(147)의 개구(166)에는, 하부 플레이트(167)의 수납면(174)에 안착되는 시트 스테플(ST)이 없어지면, 안착대(가압부재)(30)의 다리부(32, 32, 33, 33)가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도 19는 반송로(171)의 상측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168)를 나타낸다. 상부 플레이트(168)는 하부 플레이트(167)의 가이드부(167A) 위에 안착되어 있고, 이 하부 플레이트(167)와 상부 플레이트(168)에 의해 반송로(17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168)상에는 반송 커버부(129)가 덮혀져 있다(도 8참조).
그런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147)은 하부 플레이트(167)의 밑에 배치되어 있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경사수단의 돌기부(150)는 하부 플레이트(167)의 가이드부(167A)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하부 플레이트(167)의 개구부(170)에는, 슬라이드판(147)의 이송발톱(164)이 배치되어, 이송발톱(164)이 가이드판(147)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반송 커버부(129)의 측벽(129A)의 내측 걸어맞춤돌기(도시생략)가 지지베이스(130)의 측벽부(158)의 개구부(274)에 걸어맞춤되고, 지지베이스(130)의 지지돌기(144)가 본체 케이스(110)의 홈부(145)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지지베이스(130)가 본체 베이스(110)에 장착되어 있다.
가압수단(180)은 안착대(30)와, 이 안착대(3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가압부재)(1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착대(30)의 다리부(32)는 지지베이스(130)의 돌기부(150)의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해 있으므로, 적층 시트 스테플(STA)의 후부는 지지베이스(130)의 돌기부(150)에 의해 위로 들어올려져서, 적층 시트 스테플(STA)의 선단측이 밑으로 내려가도록 적층시트 스테플(STA)은 경사진다.
즉,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스테플(ST)이 경사지게 된다. 이 경사에 의해, 그 시트 스테플(ST)이 전후방향에 대해서 그 중앙부가 밑으로 볼록 나오도록 젖혀 있어도 시트 스테플(ST)의 선단부(STa)가 반송로(171)의 입구의 상단 테두리부(171a)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트 스테플(ST)을 확실하게 반송로(171)로 보낼 수가 있다.
그런데, 이송발톱(164)에 의해서 시트 스테플(ST)을 이송할 때에, 적층된 시트 스테플(ST)이 1매가 되면, 그 시트 스테플(ST)의 선단부측이 그 이송발톱(164)에 의해서 위로 들어올려지기 쉽게 되어버리지만, 안착대(30)의 다리부(33)가 이송발톱(164)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그 들어올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이송발톱(164)의 발톱부(164A)는 시트 스테플(ST)의 스테플과 스테플 사이에 확실하게 걸려있을 수 있고, 1매의 시트 스테플(ST)이라해도 이송발톱(164)에 의해서 그 시트 스테플(ST)을 반송로(171)로 확실하게 보낼 수가 있다.
이 제 2실시예의 카트리지(120)에 있어서, 경사수단은, 지지베이스(130)에 설치된 1쌍의 돌기부(150)와, 적층 시트 스테플(STA)을 위에서부터 지지베이스(130)측으로 가압시키는 코일스프링(137) 및 안착대(30)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령, 카트리지(120)가 상하 젖혀진 형상이 되도록 매거진(139)에 장진되어도, 시트 스테플(ST)을 반송로(171)에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액추에이터(40)와 마이크로 스위치(50)를 설치하고 있으나, 시트 스테플(ST)을 반송로(171)로 확실하게 보내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40)와 마이크로스위치(50)는 불필요하고, 안착대(30)의 다리부(32,32,33,33)가 하부 플레이트(167)의 개구(170)와 슬라이드판(147)의 개구(166)로 들어가게끔 할 필요도 없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상하 분리형의 전동 호치키스에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동 호치키스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시트 스테플이 젖혀 있어도 확실하게 반송로로 보낼 수 있다.

Claims (6)

  1. 개구를 갖는 저부에 적층된 시트 스테플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시트 피검지부재를 구비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부재는, 적층된 시트 스테플의 최상면 상에 안착되는 다리부를 갖고,
    상기 저부에 시트 스테플이 안착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저부의 개구에 상기 다리부가 진입하여 피검지부재가 1단 내려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부재가 1단 내려앉은 위치로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여 시트 스테플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부재는, 적층된 시트 스테플의 측면과 면일치되는 일측면을 갖고,
    상기 검지수단은,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타단에 적층된 시트 스테플의 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한 액추에이터와, 이 액추에이터가 회동한 것을 검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적층된 시트 스테플의 매수가 소정 매수 이하가 되었을 때피검지부재의 일측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저부에 시트 스테플이 안착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접촉부는 피검지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플을 타출하는 타출부와, 이 타출부로 상기 시트 스테플을 보내기 위한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스테플의 송출방향에 대해서 시트 스테플의 후부측을 들어올려서 그 시트 스테플을 경사시키는 경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수단은, 상기 저부에 형성한 돌기부와, 시트 스테플의 그 돌기부보다 앞쪽을 하방으로 가압시키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피검지부재와 이 피검지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KR10-2004-7001731A 2001-08-09 2002-08-09 카트리지 KR100524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42741 2001-08-09
JP2001242741A JP4923355B2 (ja) 2001-08-09 2001-08-09 シートステープル検知機構
JP2001245595A JP4923356B2 (ja) 2001-08-13 2001-08-13 電動ステープラ用カートリッジ
JPJP-P-2001-00245595 2001-08-13
PCT/JP2002/008183 WO2003013801A1 (fr) 2001-08-09 2002-08-09 Cartou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547A true KR20040018547A (ko) 2004-03-03
KR100524846B1 KR100524846B1 (ko) 2005-10-28

Family

ID=2662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731A KR100524846B1 (ko) 2001-08-09 2002-08-09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99258B2 (ko)
EP (1) EP1424169B1 (ko)
KR (1) KR100524846B1 (ko)
CN (1) CN1315620C (ko)
DE (1) DE60234524D1 (ko)
TW (1) TWI222397B (ko)
WO (1) WO2003013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248A (ja) * 2001-07-10 2003-01-29 Max Co Ltd シートステープルの送り機構
JP2003145506A (ja) * 2001-11-15 2003-05-20 Max Co Ltd ステープルパック
CN100371148C (zh) * 2002-04-19 2008-02-27 美克司公司 电动订书机
JP4300397B2 (ja) * 2002-11-26 2009-07-22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脚ガイド機構
EP2196290B1 (en) 2003-02-07 2011-08-31 MAX Kabushiki Kaisha Staple Refill, Stapler, Cartridge
EP1595662B1 (en) * 2003-02-14 2010-10-06 MAX Kabushiki Kaisha Stapler
JP4042154B2 (ja) * 2003-08-29 2008-02-06 マックス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4569257B2 (ja) * 2004-10-20 2010-10-27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のステープルコンテナ
US8006882B2 (en) * 2008-04-25 2011-08-30 Max Co., Ltd. Staple cartridge in stapler
JP5211830B2 (ja) * 2008-04-25 2013-06-12 マックス株式会社 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送り機構
JP4915443B2 (ja) * 2009-10-19 2012-04-11 マックス株式会社 リフィルケース
JP5954029B2 (ja) * 2011-10-13 2016-07-2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JP5954028B2 (ja) 2011-10-13 2016-07-2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EP3549735B1 (en) * 2017-11-10 2020-09-23 Max Co., Ltd. Refill
JP7043799B2 (ja) 2017-11-10 2022-03-3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及びステープラ
JP7003824B2 (ja) * 2018-04-17 2022-02-04 マックス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11524396B2 (en) 2019-02-28 2022-12-13 Black & Decker, Inc. Fastener too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977U (ko) * 1980-06-30 1982-01-30
US4623082A (en) * 1985-05-14 1986-11-18 Max Co. Ltd. Electronic stapler
JPS6279977A (ja) * 1985-09-24 1987-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テ−プラ−の針送り装置
JPS62110880U (ko) * 1985-12-28 1987-07-15
US5230457A (en) * 1987-11-16 1993-07-2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tapler
US5346114A (en) * 1990-09-14 1994-09-13 Max Co., Ltd. Electric stapler with unmovably fixed magazine
EP0579118B1 (en) * 1992-07-10 1995-09-27 Max Co., Ltd. A motor driven stapler
DE69406507T2 (de) * 1993-08-04 1998-03-05 Max Co Ltd Kassette für eine elektrische Klammermaschine
US5529235A (en) * 1994-04-28 1996-06-25 Ethicon Endo-Surgery, Inc. Identification device for surgical instrument
US6050471A (en) * 1996-10-23 2000-04-18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3508496B2 (ja) * 1996-11-13 2004-03-2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JP2000167782A (ja) * 1998-12-02 2000-06-20 Nisca Corp ステープラ用針パッケージ及びステープラ装置
JP3582418B2 (ja) * 1999-09-30 2004-10-27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のカバー機構
US6474633B1 (en) * 1999-10-04 2002-11-05 Canon Kabushiki Kaisha Stapler with interchangeable cartridges
JP2001347472A (ja) * 2000-06-05 2001-12-18 Nisca Corp ステープ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34524D1 (de) 2010-01-07
EP1424169A4 (en) 2007-09-05
US20040200875A1 (en) 2004-10-14
WO2003013801A1 (fr) 2003-02-20
CN1315620C (zh) 2007-05-16
KR100524846B1 (ko) 2005-10-28
EP1424169B1 (en) 2009-11-25
TWI222397B (en) 2004-10-21
EP1424169A1 (en) 2004-06-02
US6899258B2 (en) 2005-05-31
CN1538896A (zh)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4846B1 (ko) 카트리지
JP4857504B2 (ja) 電動ステープラのステープル検出機構
GB2275465A (en) Cassettes for piles of sheets
US4623137A (en) Paper feeder equipped with copying paper cassettes
EP2540447A2 (en) Stapler
WO2006126262A1 (ja) ステープラ
EP0637486B1 (en) Electric stapler
EP1112825B1 (en) Cartridge for a motor-operated stapler
JP4923356B2 (ja) 電動ステープラ用カートリッジ
US11813855B2 (en) Barcode printer
JPH033820A (ja) シート供給マガジン
JP2003053679A (ja) シートステープル検知機構
JP6696286B2 (ja) ステープラ
JP6645340B2 (ja) ステープラ
JP6645339B2 (ja) ステープラ
JP2631342B2 (ja) ステープラー
JP3193776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
JP2550888Y2 (ja)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マガジン前端部の閉鎖機構
JP2871018B2 (ja) 複写機の自動ステイプラ
JP3808944B2 (ja) 記録装置
JPH08133492A (ja) 自動給紙装置
JPH01192639A (ja) 給紙装置
JP2580495B2 (ja) 給紙装置
JP3438961B2 (ja) 給紙装置
JPH0551577U (ja) 電動ホッチキ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