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092A - 사이드 록크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록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092A
KR20030094092A KR10-2003-0035431A KR20030035431A KR20030094092A KR 20030094092 A KR20030094092 A KR 20030094092A KR 20030035431 A KR20030035431 A KR 20030035431A KR 20030094092 A KR20030094092 A KR 2003009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ock
housing
holes
loc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4442B1 (ko
Inventor
세이지사와타니
히로아키이치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3009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5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inclined surfaces, e.g. spiral or helicoid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8Plastic latch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34Sliding
    • Y10T292/0836Ope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34Sliding
    • Y10T292/0836Operating means
    • Y10T292/084C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1Multiple head
    • Y10T292/0962Operating means
    • Y10T292/0964C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99Spring retracted
    • Y10T292/10Friction c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1014Operating means
    • Y10T292/1016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사이드 록크 장치는 제1부재를 제2부재에 부착한다. 상기 사이드 록크 장치는 한쌍의 록크 암들, 상기 록크 암들을 이동가능하게 유지시키는 하우징, 상기 록크 암들을 맞물리게 하고 상기 록크 암들을 출몰하게 하는 경사홀들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를 소정 방향으로 탄발적으로 미는 탄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탄발부재의 탄발부세력에 대해 작동될 때 상기 록크 암들은 접힌다.

Description

사이드 록크 장치{Side lock device}
본 발명의 개시내용은 2002년 6월 3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 2002-161139호에 포함된 내용에 관한 것으로, 그 전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병합되었다.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glove box) 자체를 록킹(locking)시키기 위한 사이드 록크 장치(side lock device)에 관한 것으로, 글로브 박스가 개폐되거나 글로브 박스의 단독 립(independent lid)을 록킹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측에 부착된다.
EP0850342B1 및 WO95/27115에는 이러한 종류의 사이드 록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종래 사이드 록크 장치는 글로브 박스가 개폐되는 동안 상기 글로브 박스 자체나 상기 글로브 박스의 단독 립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측에 록킹되는 회전 방식(rotary system)을 채용한다.
그리하여, 종래 사이드 록크 장치에 있어서, 회전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좌, 우 록크 암(lock arm)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싱글 록크(single lock)와 비교할 때, 록크 암을 연결하는 회전체의 크기 및 체적은 2배이다. 결과적으로, 그 장치 자체의 크기 및 체적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사이드 록크 장치의 상술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사이드 록크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a의 선 B-B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슬라이더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슬라이더의 배면도이다.
도 5a는 슬라이더의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a는 조작 레버의 배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a는 록크 암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록크 암의 핀이 캠 장공의 외단개구내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9는 슬라이더가 록크 암과 동시에 하우징 내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조작 레버가 하우징 측에 축지되어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록크 암의 선단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록크 홀에 맞물린 상태를보여주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11b는 상기 상태를 보여주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12a는 록크 암의 선단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록크 홀로부터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12b는 상기 상태를 보여주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실시형태의 사이드 록크 장치에 제공된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2실시형태의 사이드 록크 장치에 제공된 슬라이더의 진동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에 따르면, 사이드 록크 장치는 제1부재에 제2부재를 개방가능하도록 부착한다. 사이드 록크 장치는 한쌍의 록크 암, 하우징, 슬라이더, 탄성 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록크 암이 이동가능하도록 유지한다. 슬라이더는 경사 홀들을 가지고, 록크 암에 맞물려 상기 록크 암을 출몰시킨다. 슬라이더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그후 탄성 멤버는 슬라이더를 소정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펼친다. 슬라이더가 탄성 멤버의 탄발부세력에 대해 조작될 때, 록크 암이 접힌다.
본 발명의 제2목적에 따르면, 제1목적에 있어서, 상기 홀들은 록크 암의 돌기들에 맞물리고 역 V자 형상을 형성한다. 개구는 상기 홀의 각 외단부에 연속되도록 슬라이더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들은 하우징 내에 슬라이더를 조립하는 과정동안 개방된다. 상기 개구들은 슬라이더가 하우징 내에 조립되었을 때 폐쇄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에 따르면, 제2목적에 있어서, 평행부들은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홀들의 외단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평행부의 각 측면들은 각 개구들에 접한다.
본 발명의 제4목적에 다르면, 제3목적에 있어서, 평행부들의 하단벽은 슬라이더의 이동벽에 평행하거나 역V자 형상의 경사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다.
본 발명의 제5목적에 따르면, 제1목적에 있어서, 사이드 록크 장치는 조작 레버를 더 포함하고, 슬라이더를 조작한다. 상기 조작 레버는 지점부, 조작부 및 누름멈춤쇠(pushing pawl)를 포함한다. 지점부는 조작 레버가 요동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축지된다. 조작부는 조작 레버를 요동시킨다. 누름멈춤쇠는 탄성부세력에 대해 슬라이더를 이동시킨다. 슬라이더는 상방으로 뒤집어지는 외반부를 가지고, 누름멈춤쇠에 대해서 접한다.
본 발명의 제6목적에 따르면, 제2목적에 있어서, 록크 암의 돌기들에 끼워 맞춰지는 절반부(turning portions)는 홀들의 내단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7목적에 따르면, 제6목적에 있어서, 절반부 각각은 직교부를 포함하고,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직교한다.
제1목적에 있어서, 사이드 록크 장치의 크기와 체적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종래 회전방식과 비교할 때 소형화될 수 있다.
제2목적에 있어서, 개구는 홀들의 외단에 연장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개구는 하우징 내에 슬라이더를 조립하는 과정동안 개방된다. 상기 개구는 슬라이더가 하우징 내에 조립될 때 폐쇄된다. 그리하여, 상기 슬라이더는 반드시 록크 암과 함께 하우징에 조립된다. 일단 슬라이더가 록크 암과 함께 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록크 암이 그것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은 없다.
제3목적에 있어서, 평행부는 홀의 외단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하여, 록크암의 돌기가 심지어 각 홀의 개구 내에 강하게 눌러질 때에도, 록크암의 돌기는 평행부와 부딪쳐 상기 슬라이더를 정지시킨다.그 결과, 슬라이더는 상기 조건하에 하우징에 반드시 조립된다.
제4목적에 있어서, 평행부의 각 하단벽은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직교하거나 역 V형상의 경사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그리하여, 슬라이더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가 파손될 때조차도, 슬라이더가 하우징으로부터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록크 암은 반드시 맞물리지 않아도 된다.
제5목적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상방으로 뒤집어지는 외반부를 가지고, 누름 멈춤쇠에 대해 접한다. 그리하여, 접경부들 사이의 기계적 강도가 증대되는 동안 탄발부세력에 저항하는 상기 슬라이더를 확실히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6목적에 있어서, 절반부는 홀의 내단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하여, 록크 암의 돌기가 절반부에 맞물릴 때, 각 록크 암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이드 록크 장치 자체는 개폐체에 반드시 조립되고, 그 외형은 소형화될 수 있다.
제7목적에 있어서, 각각의 절반부는 직교부를 포함하고,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직교한다. 그리하여, 조작 레버의 상용범위 이상으로 록크암을 접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이드 록크 장치 자체는 개폐체에 더욱 반드시 조립되고, 그 외형은 소형화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제1실시형태의 사이드 록크 장치의 목적은 글로브 박스가 개폐되는 동안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된 글로브 박스 자체이다. 대안적으로, 제1실시형태의 사이드 록크 장치의 목적은 글로브 박스의 단독 립(independent lid)이다. 이 실시형태의 특징은 하기에 기술된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의 사이드 록크 장치는: 글로브 박스 자체 또는 단독 립에 고정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 내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슬라이더(2); 상기 하우징(1) 내에 상방으로 상기 슬라이더(2)를 탄발적으로 누르는 2개의 압축 스프링(3); 상기 압축 스프링(3)의 탄발부세력을 저지시키는 동안 하방으로 슬라이더(2)를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4); 및 상기 하우징(1) 측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된 록크 홀에 맞물리도록 돌출된 한쌍의 좌, 우 록크 암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은: 상면측에 개방되고 내부에 슬라이더(2)가 상,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2)가 이동가능하게 수납된 베이스 바디(base body; 6); 상기 베이스 바디(1)의 전면 양측에 배열되고 후술될 조작 레버(4)의 베어링(23)에 맞물리는 한쌍의 축부(7); 베이스 바디(6)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고 조작 레버(4)의 누름멈춤쇠(24)가 삽입되는 창부(windowprotion; 8); 및 상기 창부(8)의 상변측에 배열된 조작 레버(4)의 요동 스토퍼벽(9)을 포함한다.
그것에 추가로, 하우징(1)은 한쌍의 유지홈(holding groove; 10), 탄성편(11) 및 요부(13)를 포함한다. 한쌍의 유지홈(10)은 한쌍의 좌, 우 록크 암(5)을 이동가능하게 유지시키고 상방 너비 방향으로 베이스 바디(6) 전면측에 위치된다. 탄성편(11)은 각 유지홈의 상, 하변에 형성된다. 탄성편(11)은 록크 암(5)의 덜커덕거리는 소리의 횟수를 억제할 수 있도록 록크 암의 이동을 안내한다. 요부(13)는 후술될 록크 암(5)의 돌기(29)에 맞물리고 각 유지홈(10)의 개구의 후방에 설치된 벽면(12)에 형성된다. 이 요부(13)는 좌, 우에 대해서 대칭인 후술될 요부(13)와 록크 암(5) 사이의 관계 때문에 상기 요부(13)의 위치가 높이 방향으로 중앙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는 상기 슬라이더(2)가 하우징(1)의 베이스 바디(6) 내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더(2)는 공간부(14), 한쌍의 스토퍼 돌기(15), 한쌍의 캠 장공(long cam hole; 16)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14)는 조작 레버(4)의 누름멈춤쇠(24)에 접한다. 한쌍의 스토퍼 돌기(15)는 공간부(14)의 하단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15)가 하우징(1) 측의 창부(8)에 들어갈 때 상기 슬라이더(2) 자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쌍의 캠 장공(16)은 상기 슬라이더(2)의 양측부에 경사진 역 V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역 V자 형상은 일본어 글자 "八"자를 참조하고,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2개의 캠 장공(16)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다. 역 V자 형상은 하방으로 개방된 두개의 선형부로 형성된다. 두개의 선형부는 서로 대칭이고 대칭축으로서 수직축을 가진다. 선형부의 상단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서로 다소 떨어져 있다. 캠 장공(16)은 록크 암(5)의 핀들(28)이 하우징(1)으로부터 출몰할 수 있도록 상기 록크 암(5)의 핀(28)에 맞물린다. 조작 레버(4)의 누름멈춤쇠(24)와 접하면서 인입되는 공간부(14)의 저면 변은, 상기 누름 조작이 기계적 강도가 강화되는 동안 확실히 실행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방으로 외반된다.
한쌍의 역 V자 형상을 가진 캠 장공(16)의 각 외단은 슬라이더(2)의 측면으로 개방된다(개구 18). 하우징(1)의 베이스 바디(6)에 슬라이더(2)를 조립하는 과정의 위치에 있어서, 개구(18)는 폐쇄된다. 슬라이더(2)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평행부(19)는 캠 장공(16)의 외단측에 형성된다. 평행부(19)의 변을 형성하는 측면은 개구(18)와 마주한다. 평행부(19)의 하단벽(20)은 록크 암(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더(2)의 이동방향에 직교하거나 역 V자 형상에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 연결에 있어서, 개구변(18)은 록크 암(5)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모따기된다(모따기부 21). 도면의 참조번호 22는 덜커덕 소리의 횟수를 방지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4)는 외형처럼 평판에 형성된다. 조작 레버(4)는 그 양측의 베어링(23)과, 그 배면측의 누름멈춤쇠(24)를 포함한다. 하우징(1)의 축부(7)는 조작 레버(4)가 지점부(fulcrum)로 제공되는 맞물림부와 함께 요동하도록 하우징(1) 측에 축지되도록 베어링(23)과 각각 맞물린다. 누름멈춤쇠(24)는 저부 외반부(evaginating protion)를 누르도록 상기 슬라이더(2)의 공간부(14)의 내측에 접한다. 조작 레버(4)가 요동하도록 작동할 때, 노름멈춤쇠(24)는 압축 코일 스프링(3)의 누름력에 대해 하방으로 상기 슬라이더(2)를 이동시킨다.
한쌍의 록크 암(5)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록크 암(5)은 반드시 선단부(25)를 포함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 측에 형성된 록크 홀과, 하우징(1)의 유지홈(10)에 의해 유지되는 후단부(24)가 맞물리도록 돌출된다. 후단부(26)는 서로 마주하여 그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7)과, 그 전면측에 형성된 돌출 핀(28)과, 그 배면측에 형성된 돌기(29)를 포함한다. 슬라이더홈(27)은 유지홈(10)의 상, 하부변에 맞물린다. 핀(28)은 역V자 형상을 가진 캠 장공(16)에 맞물린다. 돌기(29)는 유지홈(10)의 후방에 벽면(12)에 형성된 요부(13)에 맞물린다. 록크 암(5)의 돌기(29)는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일측에 있어서, 선단부(25)는 후단부(26)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다. 따라서, 요부(13)에 맞물린 돌기(29)는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서 오프셋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한쌍의 좌, 우 록크 암(5)이 이탈되어 조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사이드 록크 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압축 스프링(3)은 하우징(1)의 베이스 바디(6)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receiving protion)에 부착된다. 슬라이더의 하단부측이 베이스 바디(6) 내부에 다소 삽입될 때 유지홈(10)과 캠 장공(16)의 외단 개구(18)는 서로 일치한다. 이 조건 하에, 서로 대칭인 한쌍의좌, 우 록크 암(5)은 대응 홈(10)에 눌러진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록크 암(5)의 핀(28)이 캠 장공(16)의 평행부(19)에 부딪힌 후 슬라이더(2)는 베이스 바디(6)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 측의 스토퍼 돌기(15)는 베이스 바디(6)의 창부(8)로 들어가고, 창부(8)의 상부변에 접촉하면서 인입된다. 상술한 바에 따라, 슬라이더(2)는 이탈되지 않으면서 하우징(1)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2)가 하우징(1)의 베이스 바디(6)에 다소 삽입된다는 조건하에, 캠 장공(16)의 외단 개구(18)가 개방된다. 그리하여, 록크 암(5)의 핀(28)은 캠 장공(16) 내부에 눌러지게 되고, 핀(28)은 캠 장공(16)의 평행부(19)에 부딪힐 때까지 눌러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더욱이, 일단 조립이 완료된 후, 외단 개구(18)는 슬라이더(2)가 어느 위치에 있던 상기 하우징(1)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하여, 좌, 우 대칭인 한쌍의 좌, 우 록크 암(5)은 유지홈(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는 상기 하우징(1)의 베이스 바디(6)에 잇어서 상부, 및 하부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슬라이더(2)는 글로브 박스의 전면 및/또는 립의 전면을 따라서 이동된다. 따라서, 사이드 록크 장치 자체의 그 크기 및 체적은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그 후, 상기 하우징의 축부(7)가 조작 레버(4)의 베어링(23)에 맞물릴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는 요동할 수 있는 하우징(1)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 조작 레버(4)의 누름멈춤쇠(24)는 창부(8)를 통해 슬라이더(2)의 공간부(14)에 접하고, 한쌍의 좌, 우 록크 암의 핀(28)은 경사진 캠 장공(16)의 외단측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록크 암(5)은 측면에 돌출되도록 설계된다.
결론적으로, 각 록크 암(5)의 선단부(25)가 글로브 박스나 립 측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 내로 삽입되는 동안 하우징(1)은 글로브 박스 전면측이나 단독 립 측에 고정된다. 이후, 사이드 록크 장치는 실제 사용(actual use)으로 끼워진다. 조작 레버(4)가 요동하도록 조작되지 않을 때, 한쌍의 좌, 우 록크 암(5)은 도 11에 도시된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록크 홀(H)이 끼워져 돌출된다. 그리하여, 그리로브 박스 자체와 단독 립은 폐쇄상태로 로킹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조건을 해제하는 경우, 조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이 경우, 즉 조작자(operator)가 조작 레버(4)의 조작부(4a)를 유지하는 동안 조작자는 작동레버(4)를 당진다. 이대, 조작 레버(4)의 누름 멈춤쇠(24)는 슬라이더(2)의 공간부(14)의 외반부(17)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2)는 압축 코일 스프링(3)의 누름력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2)의 이동에 따라, 역 V자 형상을 가진 캠 장공(16)의 작용에 의해 한쌍의 좌, 우 록크 암(5)의 핀(28)은 캠 장공(16)의 내단측으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록크 암(5)의 선단부(25)는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록크 홀(H)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글로브 박스 자체나 단독 립은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실시형태에 따른 사이드 록크 장치는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기본적인 관점에서, 제2실시형태의 상기 사이드 록크 장치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가정하에 설계되지만, 다른 유일하게 다른 점이 다음에서 기술된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전반부(29)는 역 V자 형상을 가진 한쌍의 장공(16)의 내단측에 형성된다. 각 록크 암(5)의 핀(28)은 절반부(turning portion; 29)에 맞물릴 때, 록크 암(5)은 접혀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록크 암(5)은 조작 레버(4)의 통상사용범위 내에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이드 록크 장치는 글로브 박스 자체나 단독 립 측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더욱이 그 외형은 축소될 수 있다. 접혀진 록크 암(5)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조작자는 조작 레버(4)를 다소 당겨 록크 암(5)을 외측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나, 스프링이 록크 암(5) 사이에 배열될 때, 단지 조작 레버(4)가 당겨질 때, 록크 암(5)은 스프링의 누름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 경우, 절반부(29)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부분(29a)에 제공될 때, 록크 암(5)은 조작 레버(4)의 통상사용범위 이상으로 하우징(1) 측에 당겨질 수 있다. 그리하여, 사이드 록크 장치는 글로브 박스 자체나 단독 립 측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또한 그 외형은 더 소형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은 본 발명에 적용될 때, 슬라이더는 개폐체의 전면을 따라 하우징 내에 이동된다. 그리하여, 내부에 회전체가 회전하는 종래 회전방식과 비교하여 사이드 록크 장치 자체의 그 크기와 체적은 감소된다.

Claims (8)

  1. 제1부재를 제2부재에 개방가능하게 부착하는 사이드 록크 장치로서, 상기 록크 장치는:
    한쌍의 록크 암;
    상기 록크 암을 이동가능하게 유지시키는 하우징;
    상기 록크 암에 맞물려 상기 록크 암을 출몰시키는 경사홀들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및
    소정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탄발적으로 미는 탄발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탄발부재의 탄발부세력에 대항하여 조작될 때, 상기 록크 암들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록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 암의 돌기와 맞물려 역 V자 형상을 형성하는 홀들;
    상기 홀들의 외단에 연속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개구;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하우징 내로 조립하는 과정동안 개방되는 개구들; 및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하우징 내로 조립될 때 폐쇄되는 개구들을 포함하는 사이드 록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각각 평행하도록 상기 홀들의 외단에 형성된 평행부들; 및 각각의 개구들에 접하는 상기 평행부들의 각 측면들을 포함하는 사이드 록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부의 각 하단벽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이나 역 V자 형상의 경사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록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조작 레버가 요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의해 축지되는 지점부;
    상기 조작 레버를 요동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탄발부세력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누름멈춤쇠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방으로 외반시키는 외반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멈춤쇠에 대해 모따기되는 상기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록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 암들의 돌기에 고정된 절반부들은 상기 홀들의 내단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록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절반부들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직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록크 장치.
  8. 제1부재;
    제2부재; 및
    제1부재를 제2부재에 개방가능하게 부착하는 사이드 록크 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사이드 록크 장치는:
    한쌍의 록크 암들;
    상기 록크 암들을 이동가능하게 유지시키는 하우징;
    제2부재에 형성된 상기 록크 홀들 내부 및 외부로 상기 록크 암들을 삽입 및 접히도록 상기 록크 암과 함께 맞물리는 경사홀들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를 소정 방향으로 탄발적으로 미는 탄발부재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탄발부재의 탄발부세력에 대하여 제1부재의 전면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록크 암들은 상기 록크 홀들로부터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록크 장치.
KR1020030035431A 2002-06-03 2003-06-02 사이드 록크 장치 KR100674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1139A JP3940318B2 (ja) 2002-06-03 2002-06-03 サイドロック装置
JPJP-P-2002-00161139 2002-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092A true KR20030094092A (ko) 2003-12-11
KR100674442B1 KR100674442B1 (ko) 2007-01-25

Family

ID=2954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431A KR100674442B1 (ko) 2002-06-03 2003-06-02 사이드 록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33582B2 (ko)
JP (1) JP3940318B2 (ko)
KR (1) KR100674442B1 (ko)
DE (1) DE103250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416A (ko) * 2014-09-23 2016-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 도어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762B1 (ko) * 2003-11-19 2005-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로드 고정구조
DE102004015068A1 (de) * 2004-03-25 2005-10-13 Siemens Ag Klappenanordung
DE102004025715A1 (de) * 2004-05-26 2005-12-22 Siemens Ag Klappenanordnung
US7475929B2 (en) * 2004-09-15 2009-01-13 Piolax Onc. Lid open-close apparatus
JP4518900B2 (ja) * 2004-10-05 2010-08-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リッド開閉装置
JP4489623B2 (ja) * 2005-03-25 2010-06-23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物入装置の膝入力エネルギー吸収構造
JP4594192B2 (ja) * 2005-08-26 2010-12-08 株式会社ニフコ 開閉体のロック装置
DE102007012616A1 (de) * 2006-03-16 2007-10-31 Southco, Inc. Drehklinkenverriegelung für ein Handschuhfach
DE102006038988B4 (de) * 2006-08-21 2014-05-28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Klappe mit einer Ver- und Entriegelungsvorrichtung
DE102008006110B4 (de) 2008-01-25 2024-01-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einrichtung
KR100881739B1 (ko) * 2008-02-26 2009-02-06 (주)세원이엔아이 커버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글러브 박스
TWI345442B (en) * 2008-06-10 2011-07-11 Compal Electronics Inc Locking device
JP5054657B2 (ja) * 2008-10-31 2012-10-2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WO2011017169A1 (en) * 2009-07-28 2011-02-10 A. Raymond Et Cie. Dual pawl glove box latch assembly
JP5415187B2 (ja) * 2009-09-01 2014-02-12 三甲株式会社 折り畳みコンテナー
CN102111979A (zh) * 2009-12-24 2011-06-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机箱
US8740262B2 (en) 2011-01-11 2014-06-03 Honda Motor Co., Ltd. Push button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a glovebox for a vehicle
JP5728281B2 (ja) * 2011-04-20 2015-06-03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ロック装置
DE112012003202T5 (de) 2011-08-02 2014-04-17 Piolax Inc.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Öffnungs-/Schließelement
JP5823792B2 (ja) * 2011-09-22 2015-11-25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JP5878732B2 (ja) * 2011-10-27 2016-03-08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ロック装置
US20150008680A1 (en) * 2012-02-06 2015-01-08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Interior apparatus of a vehicle
DE102012104714B4 (de) 2012-05-31 2023-03-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einrichtung
WO2015120034A1 (en) * 2014-02-04 2015-08-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compartment door
EP3105395A1 (en) 2014-02-12 2016-12-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compartment door
CN105980647B (zh) * 2014-02-13 2019-08-16 百乐仕株式会社 锁止装置以及锁止装置的安装方法
JP6043740B2 (ja) * 2014-02-17 2016-12-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102014102979A1 (de) * 2014-03-06 2015-09-10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Öffenbare Klappe
EP2944749A1 (en) * 2014-05-12 2015-11-18 Tofas Turk Otomobil Fabrikasi Anonim Sirketi A lock mechanism
EP3145754A1 (en) 2014-05-21 2017-03-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US20160168886A1 (en) * 2014-12-11 2016-06-16 Vision Industries Group, Inc. Screwless Mounted Short-Throw Lock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AU2016226784B2 (en) * 2015-03-02 2018-11-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407511B1 (ko) * 2015-09-04 202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GB2558853B (en) * 2015-11-20 2021-01-13 Piolax Inc Lock device
JP6599830B2 (ja) 2016-09-08 2019-10-30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US10851567B2 (en) 2017-05-08 2020-12-01 Snap-On Incorporated Front pull latch
EP3724431B1 (en) * 2017-12-15 2022-08-03 Southco, Inc. Multi-point latching system
CN112292499B (zh) 2018-04-03 2022-05-24 索斯科公司 车辆手套箱闩锁
CN110578432A (zh) * 2018-06-08 2019-12-17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手套箱锁、手套箱及车辆
FR3089243B1 (fr) * 2018-11-30 2021-01-01 Reydel Automotive Bv Mécanisme de verrouillage/déverrouillage d’une pièce mobile
RU189139U1 (ru) * 2019-02-07 2019-05-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атурн" Шпингалет накладной для распашных дверей
CN110644857A (zh) * 2019-10-09 2020-01-03 无锡巨日装备科技有限公司 联动型侧锁
CN214162868U (zh) * 2020-12-29 2021-09-10 余姚市大东园林工具厂 一种可更换作业工具的手持器具
CN117360944A (zh) * 2022-06-29 2024-01-09 邵晖 一种密封容器盖的紧固结构、密封容器盖及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9804A (en) * 1926-12-31 1928-10-30 Segal Lock & Hardware Co Inc Lock
US1670277A (en) * 1927-01-24 1928-05-15 Fred Medart Mfg Company Latching and locking mechanism
US1977853A (en) * 1930-10-11 1934-10-23 Kemp Lock Inc Lock
US3596952A (en) * 1970-05-15 1971-08-03 Shur Lok Corp Latch assembly
IL51464A (en) * 1977-02-16 1979-03-12 Illan Goldman Locking arrangements particularly for safes
US4639021A (en) * 1985-11-25 1987-01-27 Hope Jimmie L Door lock
DE3616020A1 (de) 1986-05-13 1987-11-19 Opel Adam Ag Verriegelungsmechanismus fuer den handschuhkastendeckel eines fahrzeuges
US4791756A (en) * 1988-03-11 1988-12-20 Ashland Products Company Latch for pivotal sash window
JPH0233755A (ja) 1988-07-25 1990-02-02 Fujitsu Ten Ltd スタートid記録装置
FI86907C (fi) * 1990-09-26 1992-10-26 Temet Oy Regelanordning
US5219195A (en) * 1992-03-30 1993-06-15 Lawrence Barry G Window closure mechanism
GB2280469B (en) * 1993-07-26 1996-11-20 Feneseal Ltd Shoot bolt mechanism
US5484178A (en) * 1994-03-28 1996-01-16 Nyx, Inc. Side pull latch mechanism
SE505730C2 (sv) 1994-03-31 1997-10-06 Volvo Ab Mekanism för låsning av en lucka sam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mekanismen
US5509700A (en) * 1994-06-06 1996-04-23 National Security Containers, Inc. Latch and lock for trailer doors
KR970000063A (ko) * 1995-06-08 1997-01-21 나동창 고열증기를 이용한 식물질의 팽화 및 토우스트(toast)방법
SE508131C2 (sv) 1995-09-11 1998-08-31 Volvo Ab Låsmekanism för handskfackslucka
JP3292038B2 (ja) 1996-05-31 2002-06-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物入れ
US5782510A (en) * 1996-08-21 1998-07-21 Illinois Tool Works Inc. Glove box latch
US5975592A (en) * 1998-07-11 1999-11-02 Lin; Joe Multi-component lock assembly
DE19831727C2 (de) 1998-07-15 2000-06-1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loß, insbesondere Handschuhkastenschloß eines Kraftfahrzeugs
US6094949A (en) * 1999-04-19 2000-08-01 Fluke Corporation Lock device for electronic test apparatus
US6152512A (en) * 1999-12-28 2000-11-28 Delphi Technologies, Inc. Glove box door latch assembly
IT251286Y1 (it) 2000-03-30 2003-11-19 Sapa Autoplastics S P A Sportello di chiusura di vano portaoggetti, o simile, in particolareper autoveicoli
DE10036945A1 (de) 2000-07-28 2002-02-07 Volkswagen Ag Verschluss, insbesondere Handschuhkastenverschluss für ein Kraftfahrzeug
US6527307B2 (en) * 2000-08-27 2003-03-04 Southco, Inc. Linear compression latch
KR100395067B1 (ko) * 2000-12-07 2003-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록킹장치
KR200233755Y1 (ko) * 2001-02-28 2001-09-26 청 도 이 비닐 하우스 지지간 연결구
US6669243B2 (en) * 2001-07-03 2003-12-30 Piolax Inc. Side lock assembly for storage b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416A (ko) * 2014-09-23 2016-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25099A1 (de) 2003-12-11
US20040017088A1 (en) 2004-01-29
JP2004003227A (ja) 2004-01-08
JP3940318B2 (ja) 2007-07-04
KR100674442B1 (ko) 2007-01-25
US8033582B2 (en)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442B1 (ko) 사이드 록크 장치
KR0139123Y1 (ko) 누름버튼식 평면핸들장치
US20070163310A1 (en) Side lock apparatus
US7007520B1 (en) Combination lock
CN113574238B (zh) 开闭体的锁定装置
CN113039337B (zh) 开闭体的锁定装置
KR101593118B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도어 잠금장치
KR100423108B1 (ko) 자물쇠부착식 캡
JPH0613976Y2 (ja) ラッチ装置
JP3618161B2 (ja) 軸ラッチ装置
JP2006076344A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H0717749U (ja) 蓋のロック装置
JP2001311330A (ja) 磁石利用のロック装置
KR100395360B1 (ko) 단일조작 로크장치
JP4858871B2 (ja) 開閉操作装置
JP2006233500A (ja)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JPH0611335Y2 (ja) ラツチ装置
JPH0752758Y2 (ja) ボックスにおけるドアの開閉装置
JPH0732182U (ja) 換気装置
JPH09250268A (ja) ロック装置
JP3062931U (ja) 開閉用のハンドル装置
JPS5930144Y2 (ja) 扉のロック装置
JPS63315786A (ja) 扉用ロツク装置
JP3685960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リッドロック装置
JPH0810639Y2 (ja) ラッ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1115

Effective date: 200712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