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337A -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337A
KR20030088337A KR10-2003-0029686A KR20030029686A KR20030088337A KR 20030088337 A KR20030088337 A KR 20030088337A KR 20030029686 A KR20030029686 A KR 20030029686A KR 20030088337 A KR20030088337 A KR 20030088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itch
lever
lower limi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713B1 (ko
Inventor
카스가토시아키
이와타토시유키
곤노조무
쿠보타요시히코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2Work-feeding means with means for setting length of st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제조시의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제조원가의 삭감이 가능하며 또한 뛰어난 조작성을 갖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축(4)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바늘판위에 출몰하여 천을 보내는 이송톱니(11)와, 소정의 기준위치에 대한 경사각도를 변경하는 것으로 이송핏치를 변경하는 각구(30)와, 각구(30)의 경사각도를 변경하는 펄스모터(50)와,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CPU(80)를 갖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을 검출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70)와, 이송핏치의 초기치 및 하한치를 설정하는 조작패널(8)을 구비하고, CPU(80)는 조작레버(6)가 조작되었을 때 초기치로부터 하한치까지의 범위내에 있어서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에 따른 이송핏치로 하도록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CLOTH FEEDING APPARATUS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자유로운 이송핏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뛰어난 조작성을 갖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이송 장치로서는 대략 타원상의 이동궤적을 따른 이송운동에 의해 바늘판위에 출몰하여 바늘판위의 수평방향 이동량에 따른 이송량에 의해 천을 보내는 이송톱니와, 이 이송톱니의 이동궤적을 변경시키는 각구(角駒)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준위치에 대한 각구의 경사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이송톱니의 이동궤적을 변경하여 바늘판위의 수평방향 이동량 즉 이송핏치를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천이송 장치로서는 도11과 같이 재봉틀 두부(101)에 배치한 조작레버(110)와, 재봉틀 베드(200)내에 배치한 각구(210)를 소정의 링크기구(300)에 의해 기계적으로 접속하고, 이 조작레버(110)를 조작함으로써 각구(210)의 경사각도를 변경하여 이송핏치를 변경하는 수단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구에 있어서는 조작레버(110)는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고, 스토퍼(130)(140)에 의해 그 가동범위가 설정된다. 그리고 스토퍼(130)(14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작레버(110)의 가동범위를 변경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조작레버(110)와 각구(210)를 기계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이송핏치를 변경가능하게 한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는 조작레버(110)와 각구(210)를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링크기구를 부착하는 작업이 번잡하여 원가도 높아졌다.
또 조작패널(110)의 소정 조작량에 대한 각구(210)의 경사각도의 변화량이 일의적으로 정해져 버리므로 조작레버(110)의 소정조작량에 대한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여러가지 봉제상황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없었다.
또한 조작레버가 조작되었을 때의 이송핏치의 하한치를 변경할 때에는 스토퍼(140)의 기계적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어 조정하는 데 있어 번거로웠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조시의 번잡한 작업을 하지 않고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레버의 소정 조작량에 따른 이송핏치를 변경가능하게 하여 봉제조건 등에 따른 변경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뛰어난 조작성을 갖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변경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천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재봉틀 베드부(1)내에 배치된 천이송 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서의 지면 하측에서 본 상태의 도 1의 II-II부분의 단면에서의 베드부(1)의 단면도.
도 3은 천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전동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베드부(1)의 상측을 지면상측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의 III-III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천이송 장치의 펄스모터 근방의 구성을 도 2의 화살표 IV방향에서 본 설명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천이송 장치의 조작레버 근방의 구성을 도 1의 화살표 V의 방향에서 본 경우의 일부 투시도이고, 도 5(a)는 천이송 장치의 조작레버(6)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비조작 상태)를, 도 5(b)는 도 5(a)의 상태로부터 조작레버(6)를 아래쪽으로 눌러내린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천이송 장치를 구비한 재봉틀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천이송 장치를 사용한 제 1천이송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한 천이송 장치를 사용한 제 1천이송 제어동작에서의 조작레버의 조작위치와 이송핏치와의 상관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본 실시예에 관한 천이송 장치를 사용한 제 2천이송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1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천이송 장치를 사용한 제 2천이송 제어동작에서의 조작레버의 조작량과 이송핏치와의 상관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11은 종래의 천이송 장치의 조작레버와 각구를 접속하는 링크기구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베드부, 2: 암부, 3: 바늘봉, 4: 주축모터, 5: 제어장치, 6: 조작레버, 6a: 축부재, 6b: 제 1연결부재, 6c: 위쪽규제부, 6d: 아래쪽 규제부,
6e: 제 2연결부재, 6f: 제 3연결부재, 7: 조작페달, 8: 조작패널, 10: 하축, 11: 이송톱니, 20: 이송연결기구, 21: 수평이송캠, 22: 수평이송로드,
23: 수평이송 연결간(杆), 24: 수평이송 팔, 25: 수평이송 축,
26: 이송대 팔, 27: 이송대, 28: 상하이송 링크, 30: 각구,
40: 이송조절축, 40a: 홈, 41: 제 1이송조절 링크, 42: 제 2이송조절 링크,
43: 제 3이송 조절링크, 50: 펄스모터, 51: 구동취출축, 60: 코일스프링,
70: 엔코더, 80: CPU, 90: RAM, 100: ROM, 101: 재봉틀 두부,
110: 조작레버, 120: 회동축, 130,140: 스토퍼, 200: 재봉틀 베드,
210: 각구, 300: 링크기구
S1: 초기치 읽어들이는 공정
S2: 하한치 읽어들이는 공정
S3: 초기위치 설정공정
S4: 레버조작위치 읽어들이는 공정
S5: 레버조작 판정공정
S6: 지령이송핏치 산출공정
S7: 제 1차 핏치 판정공정
S8: 초기치 제한공정
S9: 제 2차 핏치판정공정
S10: 지령위치 설정공정
S11: 하한치 제한공정
S21: 초기치 읽어들이는 공정
S22: 하한치 읽어들이는 공정
S23: 도달조작량 읽어들이는 공정
S24: 초기위치 설정공정
S25: 레버조작량 읽어들이는 공정
S26: 레버조작 판정공정
S27: 조작량 판정공정
S28: 목표이송 핏치 산출공정
S29: 목표위치 설정공정
S30: 하한치 제한공정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1 내지 도10과 같이,
주축모터(4)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바늘판(12)위로 출몰하여 천을 보내는 이송톱니(11)와, 소정의 기준위치에 대한 경사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송톱니의 이동궤적을 변경하여 이송핏치를 변경하는 각구(30)와, 상기 각구의 상기 경사각도를 변경하는 구동모터(펄스모터(50))를 갖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
비조작시에는 일단측에 부세되고, 조작에 의해 타단측으로 이동하도록 전 스트로크 범위(Sa)에 걸쳐 수동조작 가능한 박음질용 조작레버(6)와,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을 검출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검출수단(엔코더(70))과, 상기 조작신호를 기초로 상기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지령이송핏치(Pb)를 산출하는 산출수단(CPU(80) 및 지령이송 핏치 산출수단 S6)과, 상기 조작레버가 조작되었을 때 이송핏치를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위치에 대응한 상기 지령이송 핏치로 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조작레버와 각구를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링크기구를 배치하지 않고 이송핏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기구를 배치하기 위한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시의 작업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링크기구가 불필요하게 되는 만큼 원가를저감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상한지령 핏치와 소정의 하한지령 핏치 범위에서 상기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지령이송 핏치를 산출하는 상기 산출수단과, 상기 조작레버의 전 스트로크 범위에서의 이송핏치의 위쪽 한계인 초기치를 설정하는 초기치 설정수단(조작패널 8)과, 상기 조작레버의 전 스트로크 범위에서의 이송핏치의 아래쪽 한계인 하한치를 설정하는 하한치 설정수단(조작패널 8)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조작레버의 가동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기계적인 스토퍼를 배치하지 않고 이송핏치를 초기치로부터 하한치까지의 범위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검출수단이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위치를 검출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모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레버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조작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조작위치에 따라 이송핏치를 상기 초기치로부터 상기 하한치까지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 조작검출수단이 상기 조작레버의 비조작 상태로부터의 조작량을 검출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모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레버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조작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조작량에 따라 이송핏치를 상기 초기치로부터 상기 하한치까지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조작레버와 각구를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링크기구를 배치하지 않고 이송핏치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기구를 배치하기 위한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제조시의 작업노력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링크기구가 불필요하게 된 만큼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기재의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 예를들어 도 1 내지 도10과 같이,
이송핏치가 상기 하한치(Pd)에 도달할 때의 조작레버(6)의 조작량인 도달조작량(Sl)을 설정하는 도달조작량 설정수단(조작패널(8))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 제어수단(CPU(80))은,
상기 조작레버를 비조작 상태로부터 상기 도달조작량까지 조작하는 동안에 이송핏치가 상기 초기치(Pu)로부터 상기 하한치(Pd)로 변경되도록 상기 구동모터(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의 단위조작량 당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의 단위조작량 당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여러가지의 봉제상황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극히 조작성에 뛰어나다. 예를들어 도달조작량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조작레버의 단위조작량당의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작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핏치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된다.한편 도달조작량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조작레버의 단위조작량 당의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이송핏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에 기재한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
봉제패턴마다 개별로 상기 초기치(Pu) 및 상기 하한치(Pd)를 설정하는 제한치 설정수단(CPU(8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봉제패턴이 바뀔 때 마다 초기치 및 하한치를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 재현성에 뛰어나다.
청구항 7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 예를들어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봉제동작중에 상기 조작레버(6)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변경된 이송핏치를 리얼타임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표시부(8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표시수단에 표시된 이송핏치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조작레버를 조작할 수 있어 극히 정확한 이송핏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다음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은 재봉틀 탁자(Z)상에 올려놓여져 윗면에 바늘판이 배치된(파선으로 도시함) 베드부(1)와, 베드부(1) 위쪽에 있어서 베드부(1)와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암부(2)와, 암부(2)의 앞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나와 상하이동이 자유로운 바늘봉(3)과, 도시하지 않은 상축(주축) 및 클랭크기구를 통해 바늘봉(3)을 상하이동시키는 재봉틀 모터(4)와, 베드부(1)상에 올려놓여진 천을 보내는 천이송 장치와, 재봉틀의 전 동작을 통합제어하는 제어장치(5)와, 천이송 장치를 조작하여 이송핏치를 변화시키는 수동조작이 가능한 조작레버(6)와, 밟는 양에 의해 재봉틀 모터(4)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조작페달(7)과, 천이송 장치의 이송핏치의 초기치 등의 설정이나 봉제패턴의 선택·설정을 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나 표시부(8a)를 갖는 조작패널(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6)는 조작범위를 크게함으로써 이송방향이 역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 재봉틀은 바늘봉(3)의 선단에 장착된 바늘을 재봉틀 모터(4)로 상하이동시키면서 천이송 장치에 의해 천을 소정의 방향으로 보내는 것으로 천에 솔기를 만드는 것이다. 또한 제어장치(5)는 천이송 장치의 제어장치를 겸하고 있다.
우선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천이송 장치의 기계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천이송 장치는 하축(10), 하축(10)의 회전운동을 이송톱니(11)에 전동하는 이송전동기구(20), 이송톱니(11)의 이송핏치(하축(10) 1회전당 이송톱니(11)에 의한 천이송량)를 변경하는 각구(30), 각구(30)를 끼워넣는 이송조절축(40), 이송핏치 설정용 구동모터인 펄스모터(50)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와 같이 베드부(1)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재하는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된 하축(10)이 부착되고 있다. 하축(10)은 도시되지 않은 링크기구를 통해 재봉틀 모터(4)의 구동취출축에 연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재봉틀 모터(4)가 구동되면 링크기구를 통해 하축(10)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하축(10)의 앞측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천누름부의 아래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바늘판에 대해 출몰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천을 보내기 위한 이송톱니(11)가 부착되고 있다. 하축(10)의 뒤쪽에는 하축(10)의 회전운동을 이송톱니(11)에 전달하여 이송톱니(11)를 구동하는 이송전동기구(20)가 부착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이송전동기구(20)는 수평이송캠(21), 수평이송로드(22), 수평이송 연결간(23), 수평이송 팔(24), 수평이송 축(25), 이송대 팔(26), 이송대(27), 상하이송 링크(2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수평이송 캠(21)은 하축(10)에 대해 편심한 편심캠을 갖고 있고, 이 편심캠은 베어링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수평이송로드(22)의 상측단부에 연결하고 있다. 수평이송로드(22)의 하측단부는 회전이 자유롭게 수평이송 연결간(23)의 좌우 중간부에 연결하고 있다.
수평이송 연결간(23)의 우측단부는 수평이송 팔(24)의 하측단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고 있다. 수평이송 팔(24)의 상측단부는 수평이송 축(25)의 후측단부에 고정되고 있다. 수평이송 축(25)은 전후방향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된 상태로 베드부(1)에 부착되고 있으며, 수평이송 축(25)의 앞측 단부는 이송대 팔(26)의 하측단부에 고정되고 있다. 이송대 팔(26)의 상측단부는 이송대(27)의 우측단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고 있다.
이송대(27)상에는 이송톱니(11)가 고정되고 있다. 이송대(27)의 좌측단부는 상하이송 링크(28)의 상측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있다. 상하이송 링크(28)의 하측단부는 하축(10)의 앞측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있다.한편 수평이송 연결간(23)의 좌측단부에는 각구(30)가 연결되고 있다.
각구(30)는 소정의 기준위치에 대한 경사각도(회동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이송톱니(11)의 이동궤적을 변경하여 이송핏치를 변경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각구(30)는 이송조절축(40)의 전후중간부에 형성된 홈(40a)에 끼워져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 일정각도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며, 소정의 이송조절덮개에 의해 홈(40a)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4에 있어서 베드부(1)의 상측을 지면상측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송조절축(40)은 전후방향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베드부(1)에 부착되고 있다. 이송조절축(40)의 뒤측단부에는 제 1이송조절 링크(41)의 상축단부가 고정되고 있다. 제 1이송 조절링크(41)의 하측단부는 제 2이송조절 링크(42)의 좌측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있다. 제 2이송조절 링크(42)의 우측단부는 제 3이송조절 링크(43)의 상측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있다. 제 3이송조절 링크(43)의 하측단부는 펄스모터(50)의 구동취출축(51)에 고정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조작레버(6)는 암부(2)에 축부재(6a)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있다. 축부재(6a)에는 조작레버(6)와 함께 회동하는 제 1연결부재(6b)가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있고, 이 제1 연결부재(6b)는 부세수단인 코일스프링(60)에 의해 아래쪽으로 부세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레버(6)는 위쪽으로 회동하도록 부세되지만 위쪽 접촉부(6c)에 의해 위쪽으로의 회동이 저지되고 있다. 또 암부(2)내에는 조작레버(6)의 조작량(아래쪽으로 눌러내리는 양)을 규제하기 위한아래쪽 접촉부(6d)가 배치되고 있다.
축부재(6a)에는 조작레버(6) 및 제 1연결부재(6b)와 함께 회동하는 제 2연결부재(6e)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있고, 이 제 2연결부재(6e)의 위쪽 단부에는 제 3연결부재(6f)의 위쪽 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있다. 제 3연결부재(6f)의 아래쪽 단부에는 그 회동각도를 검출하는 엔코더(70)가 접속되고 있다.
조작레버(6)를 아래쪽으로 눌러내리고, 제 2, 제 3연결부재(6e)(6f)를 순차로 도 5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3연결부재(6e)의 회동각도가 엔코더(70)에 의해 검출된다. 이 결과,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이 엔코더(70)에 의해 간접적으로 검출되게 된다. 엔코더(70)는 이와같이 검출된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을 소정의 전기신호인 조작신호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CPU(80)에 출력한다. 이 때의 조작신호는 조작레버(6)의 조작량의 증가에 따라 이송핏치를 부(負)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즉 엔코더(70)는 본 발명에서의 조작검출수단(조작위치 검출수단 및 조작량 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엔코더(70)가 조작위치 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하거나 조작량 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지는 그 후의 제어에 있어서 조작신호가 어떤 식으로 조작할지에 의해결정된다. 상세에 대해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엔코더(70)는 제 1천이송제어에 있어서 조작위치 검출수단으로서, 제 2천이송 제어에 있어서 조작량 검출수단으로서 각각 기능하게 된다.
또 이송핏치를 「부방향」으로 변경한다는 것은 이송톱니(11)가 정이송 운동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역이송 운동을 행하는 방향으로 점차 이송핏치를 변경하는것을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레버(6)가 도 5(a)에 도시한 초기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송톱니(11)가 정이송 운동을 행하도록 미리 설정되고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6)를 아래쪽으로 눌러 내리는 데 따라 이송톱니(11)의 정이송 운동의 이송핏치의 절대치가 점차 감소하고, 이송핏치 0 상태를 거쳐 역이송 운동의 이송핏치의 절대치가 점차 증가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천이송 장치의 기계적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재봉틀의 페달(7)을 밟아 재봉틀 모터(4)를 구동함으로써 하축(10)을 회전시키면 이 하축(10)의 회전운동이 수평이송 캠(21), 수평이송 로드(22), 수평이송 연결간(23) 및 수평이송 팔(24)을 통해 수평이송 축(25)에 전달되고, 수평이송 축(25)이 왕복회동운동을 행한다. 그리고 수평이송 축(25)의 왕복회동운동이 이송대 팔(26) 및 이송대(27)를 통해 이송톱니(11)에 전달되어 이송톱니(11)의 좌우방향의 왕복운동이 실현되게 된다.
한편 하축(10)의 회전운동이 상하이송 링크(28)를 통해 이송대(27)에 전달됨으로써 이송대(27)상에 고정된 이송톱니(11)의 상하방향의 왕복운동이 실현되게 된다.
이 결과 이송톱니(11)는 좌우방향의 왕복운동과 상하방향의 왕복운동과의 합성에 의해 원 내지 타원운동을 행하는 것으로 천누름에 의해 위쪽으로부터 눌려진 천을 소정 방향으로 보내는 천이송 운동을 행한다.
여기서 이송톱니(11)가 바늘판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동안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원 내지 타원운동을 행하면 천은 정이송된다. 한편이송톱니(11)가 바늘판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동안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도록 원 내지 타원운동을 행하면 천은 역이송된다.
이송톱니(11)의 정이송과 역이송의 변환은 하축(10)의 회전위상에 대한 수평이송 축(25)의 회동위상을 변경하는 것으로 행해지지만 하축(10)의 회전위상이나 수평이송 축(25)의 회동위상의 변경은 각구(30)의 경사각도(소정의 기준위치에 대한 회동각도)가 변경되는 것으로 실현된다. 즉 각구(30)가 도 3에 도시한 초기위치로부터 A방향으로 회동한 경우에는 이송톱니(11)가 정이송의 운동을 행하고, 각구(30)가 도 3에 도시한 초기위치로부터 B방향으로 회동한 경우에는 역이송의 운동을 행한다.
또 이송톱니(11)가 정이송하는 경우나 역이송하는 경우에서도 이송톱니(11)의 운동궤적은 상기와 같이 원형상 내지 타원형상이지만 좌우방향의 지름이 변경되는 것으로 이송핏치(하축(10)의 1회전당 이송톱니(11)에 의한 천이송량)이 변경된다. 즉 하축(10)의 1회전당 수평이송축(25)을 지점으로 한 이송대 팔(26)의 회동각도의 범위가 변경되는 것으로 이송대(27) 및 이송톱니(11)의 운동궤적에서의 좌우방향의 지름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이송핏치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각구(30)의 회동각도가 커짐에 따라 하축(10)의 1회전당 정역 천이송량(이송핏치)이 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각구(30)의 경사각도(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회동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이송톱니(11)의 이송방향이나 이송핏치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각구(30)의 경사각도의 변경은 펄스모터(50)에 의해 행해진다.
즉 조작레버(6)를 조작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펄스모터(50)를 작동시키고, 구동취출축(51)을 도 4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3, 제 2및 제 1이송 조절링크(43)(42) 및 (41)를 순차로 통하여 이송조절축(40)이 A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구동취출축(5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3, 제 2 및 제 1이송조절 링크(43)(42) 및 (41)를 순차로 통하여 이송조절 축(40)이 B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펄스모터(50)가 제 3, 제 2 및 제 1이송 조절링크(43)(42) 및 (41)를 통해 이송 조절축(40)을 회동시킴으로써 각구(30)의 경사각도를 변경하고, 이송톱니(11)의 이송방향이나 이송핏치를 변경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천이송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80), RAM(Random Access Memory)(90), ROM(Read Only Memory)(100)등을 구비하고 있고 ROM(100)에 격납된 각종 제어프로그램을 기초로 재봉틀 전체의 동작을 통합 제어한다는 기능을 한다.
제어장치(5)는 도시하지 않은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작레버(6), 조작페달(7), 조작패널(8)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다. 조작레버(6)의 조작량은 엔코더(70)에 의해 검출되어 전기적인 지령신호로 변환된 후 CPU(80)에 전송된다. 조작페달(7)의 조작량도 도시하지 않은 엔코더에 의해 전기적인 지령신호로 변환된 후 CPU(80)에 전송된다. 조작패널(8)에 배치된 각종 스위치의 눌러내리는 조작에 따른 설정신호도 CPU(80)에 전송된다.
조작페달(7)의 조작량에 관한 지령신호를 받은 CPU(8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회로를 통해 재봉틀 모터(4)를 구동하고, 상축을 회전구동하여 바늘 봉(3)을 상하이동시켜, 소정의 봉제작업을 행한다.
또 CPU(80)는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조작량)에 관한 지령신호나 조작패널(8)에 의한 각종 설정신호를 기초로 도시하지 않은 구동회로를 통해 펄스모터(50)를 구동하여 그 회전위치를 제어한다. 즉 CPU(80)는 본 발명에서의 구동모터 제어수단이다. CPU(80)에 의해 펄스모터(50)가 회전구동됨으로써 제 3, 제 2 및 제 1이송 조절링크(43)(43) 및 (41)를 순차로 통하여 각구(30)의 경사각도가 변경되고, 이송톱니(11)의 이송핏치가 변경되게 된다.
조작패널(8)에 배치된(도시하지 않음) 각 종 스위치는 그 눌러내리는 조작에 의해 이송핏치의 초기치 Pu 및 하한치 Pd나, 조작레버(6)의 도달조작량 Sl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조작스위치(9)는 본 발명에서의 초기치 설정수단, 하한치 설정수단 및 도달조작량 설정수단이다.
조작패널(8)의 각종 스위치의 눌러내리는 조작에 의한 설정신호를 받은 CPU(80)는 소정 범위내에서 이송톱니(11)의 이송핏치가 변경되도록 펄스모터(50)를 구동하여 그 회전위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CPU(80)는 조작레버(6)가 조작되었을 때 이송핏치를 초기치(Pu)로부터 하한치(Pd)까지의 범위내에서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조작량)에 대응하는 이송핏치로 하도록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제어한다.
또 CPU(80)는 봉제패턴이나, 봉제조건이나 봉제동작중의 주축모터(4)의 회전속도 등을 조작패널(8)의 표시부(8a)에 표시한다. 또한 CPU(80)는 봉제동작중에조작레버(6)가 조작되었을 때 조작레버(6)의 조작에 의해 변경된 이송핏치를 조작패널(8)의 표시부(8a)에 리얼타임으로 표시한다. 즉 표시부(8a)는 본 발명에서의 표시수단이다.
계속하여 본 발명에 관한 천이송 장치의 제어동작에 대해 플로우 챠트 및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천이송 제어동작>
최초에 조작패널(8)의 각종 스위치에 의해 초기치 및 하한치를 설정한 경우의 천이송 장치의 제어동작(제 1천이송 제어동작)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는 종축에 이송톱니(11)의 이송핏치(mm)를, 횡축에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를 각각 취하고 있다.
또한 이 플로우 챠트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조작패널(8)의 각종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어장치(5)의 전원 투입전 또는 투입후에 초기치 Pu 및 하한치 Pd가 미리 설정되는 것으로 하고, 그 설정처리에 관한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재봉틀의 전원스위치를 투입하여 제어장치(5)를 기동한다. 이어서 이송톱니(11)의 이송핏치의 초기치 Pu를 읽어들인다(초기치 읽어들이는 공정 : S1). 또한 「초기치 Pu」라 함은 조작레버(6)의 전 스트로크 범위 Sa의 조작에 있어서 변경가능한 이송핏치의 상한치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초기치 Pu가 「4mm」로 설정되고 있다(도 8).
이어서 하한치 Pd를 읽어들인다(하한치 읽어들이는 공정 : S2). 또한 「하한치 Pd」라 함은 조작레버(6)의 전 스트로크 범위(Sa)의 조작에 있어서 변경가능한 이송핏치의 하한치를 의미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의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한치(Pd)가 「-3mm」로 설정되고 있다.
이어서 CPU(80)는 펄스모터(50)를 구동하여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초기치 Pu에 대응하는 회전위치로 설정한다(초기위치 설정공정 : S3).
이어서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Sb)에 대응한 조작위치신호를 CPU(80)가 읽어들인다(레버조작위치 읽어들이는 공정 : S4). CPU(80)는 이 때 읽어들인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신호에 의해 조작레버(6)가 조작되었는 지의 판단을 행한다. 즉 이 조작위치 신호에 의해 구해진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Sb)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판정치를 넘고 있는 지를 판단하여 조작레버(6)가 조작되었는 지 여부가 판단된다(레버조작 판정공정 : S5).
조작레버(6)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80)는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Sb에 대응하는 이송핏치(다음 「지령이송 핏치」라 함)(Pb)를 산출한다(지령이송 핏치 산출공정, 지령이송 핏치 산출수단 : S6).
지령이송 핏치(Pb)의 산출방법으로서는 조작레버(6)가 비조작상태(도 5(a)참조)에 있을 때의 지령이송 핏치를 상한지령 핏치 Ph로 하고, 전 조작상태(도 5(b)참조)에 있을 때의 지령이송 핏치를 하한이송 핏치 Pl로 한 경우의 임의의 조작위치에서의 이송핏치를 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지령이송 핏치(Pb)는 연산에 의해 산출해도 되고, 미리 조작레버(6)의 각 조작위치 Sb에 따른 지령이송 핏치 Pb를 메모리(예를들어 ROM(100))의 테이블에 기억시켜 두어 조작레버(6)가 조작되었을때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Sb에 대응하는 지령이송 핏치 Pb를 이 테이블로부터 읽어내도록 해도 된다.
한편 조작레버(6)가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조작레버(6)가 조작될 때 까지 대기를 행한다(레버조작 판정공정 : S5).
이어서 CPU(80)는 지령이송 핏치 산출공정(S6)에서 산출된 지령이송 핏치 Pb가 초기치 Pu이상인 지를 판정한다(제 1차 핏치 판정공정 : S7). 제 1핏치 판정공정 S7에 있어서 지령이송 핏치(Pb)가 초기치 Pu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CPU(80)는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초기치 Pu에 대응하는 회전위치로 유지한다(초기치 제한공정 : S8).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레버(6)의 조작개시시의 조작위치(도 8의 범위 F)에서의 지령이송 핏치 Pb는 초기치 Pu보다도 큰 이송핏치에 대응하고 있지만 이 초기치 제한공정 S8에 의해 정이송 동작에서의 이송핏치가 초기치 Pu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한된다(도 8참조). 즉 도 8에 있어서 이송핏치가 초기치 Pu보다 커지는 영역 U는 데드존(불감대)이 된다.
제 1차 핏치 판정공정 S7에 있어서 지령이송 핏치 Pb가 상한치 Pu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CPU(80)는 지령이송 핏치 Pb가 하한치 Pd이상인 지 여부를 판정한다(제 2차 핏치판정공정 : S9).
제 2차 핏치 판정공정 S9에 있어서 지령이송 핏치 Pb가 하한치 Pd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CPU(80)는 펄스모터(50)를 구동하여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지령이송 핏치 Pb에 대응하는 회전위치로 설정한다(지령위치 설정공정, 이송핏치구동수단 : S10).
제 2차 핏치 판정공정 S9에 있어서 지령이송 핏치 Pb가 하한치 Pd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CPU(80)는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하한치 Pd에 대응하는 회전위치로 설정한다(하한치 제한공정 : S11).
본 실시예에서의 조작레버(6)를 아래쪽 접촉부(6d)에 접촉할 때 까지 눌러내린 상태(도 5(b)참조)에서의 지령이송 핏치는 이 하한치 Pd보다도 작은 이송핏치 P1에 대응하고 있지만 이 하한치 제한공정 S11에 의해 이송핏치가 하한치 Pd이하가 되지 않도록 제한된다(도 8참조). 즉 도 8에 있어서 이송핏치가 하한치 Pd보다도 작아지는 영역 D는 데드존(불감대)이 된다.
또한 초기치 제한공정(S8), 지령위치 설정공정(S10) 및 하한치 제한공정(S11)의 종료후는 재차 레버조작 위치 읽어들이는 공정(S4)으로 이행하고, 레버조작 판정공정(S5) 내지 하한치 제한공정(S11)까지의 처리가 재봉틀의 전원차단까지 반복된다.
이상에 의해 조작레버(6)가 전 스트로크범위 Sa에 조작되고, 이송핏치를 상한 지령핏치 Ph로부터 하한지령 핏치 Pl까지 변경하는 지령이 조작레버(6)의 조작에 의해 행해져도 이송핏치는 위쪽 한계인 초기치 Pu로부터 아래쪽 한계인 Pd의 범위에서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에 대응한 지령이송 핏치 Pb가 되도록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가 규제된다.
또 도 7의 플로우 챠트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재봉틀 모터(4)에 관한 제어동작을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초기치 읽어들이는 공정 S1 내지 하한치제한공정 S11의 어떠한 상태에 있어서도 재봉틀 모터(4)가 구동되면 그 시점에서 설정되고 있는 이송핏치로 천이 보내지는 것은 물론이다.
<제 2천이송 제어동작>
다음에 조작패널(8)의 각종 스위치에 의해 초기치 Pu, 하한치 Pd 및 도달조작량 Sl이 설정되는 경우에서의 천이송 장치의 제어동작(제 2천이송 제어동작)에 대해 도 9 및 도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0에 있어서는 종축에 이송톱니(11)의 이송핏치(mm)를, 횡축에 조작레버(6)의 조작량을 각각 취하고 있다.
이 제 2 천이송 제어동작에 있어서는 엔코더(70)는 조작량 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도 9의 플로우 챠트에 있어서는 도 7의 플로우챠트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조작패널(8)의 각종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어장치(5)의 전원 투입전 또는 투입후에 초기치 Pu, 하한치 Pd 및 도달조작량 Sl이 미리 설정되는 것으로 하고, 그 설정 처리에 관한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재봉틀 모터(4)에 관한 제어동작에 대해서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 2천이송 제어동작에 있어서는 초기치 Pu는 조작레버(6)의 비조작시의 이송핏치로서 설정되고 있다.
우선 재봉틀의 전원스위치를 투입하여 제어장치(5)를 기동한다. 이어서 제 1천이송 제어동작과 마찬가지로 초기치 Pu 및 하한치 Pd를 읽어들인다(초기치 읽어들이는 공정 : S21 및 하한치 읽어들이는 공정 : S22).
계속하여 이송핏치가 하한치 Pd에 도달할 때의 조작레버(6)의 조작량(도달조작량) S1을 읽어들인다(도달조작량 읽어들이는 공정 : S23). 도달조작량 Sl은 조작레버(6)의 전 스트로크 Sa이하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달조작량 Sl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도10과 같이 조작레버(6)의 단위조작량 당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크게할 수 있다.
이어서 CPU(80)는 펄스모터(50)를 구동하여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초기위치 Pu에 대응하는 회전위치로 설정한다(초기위치 설정공정 : S24). 이어서 조작레버(6)의 조작량 Sb에 대응한 조작신호를 CPU(80)가 읽어들이고(레버조작량 읽어들이는 공정 : S25), 제 1천이송 제어동작과 마찬가지로 조작레버(6)가 조작되었는 지의 판정을 행한다(레버조작 판정공정 : S26).
조작레버(6)의 조작이 있다는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CPU(80)는 조작레버(6)의 조작량 Sb가 도달조작량 Sl이하인지를 판정한다(조작량 판정공정 : S27). 한편 조작레버(6)의 조작이 있다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레버조작량 읽어들이는 공정 S25로 이행하여 조작신호가 검출될 때 까지 대기를 행한다.
조작량 판정공정 S27에 있어서 조작량 Sb가 도달조작량 Sl이하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CPU(80)는 도달조작량 Sl등을 기초로 조작량 Sb에 대응하는 이송핏치(다음 「목표이송 핏치」라 함) Pa를 산출한다(목표이송 핏치 산출공정, 목표이송 핏치 산출수단 : S28).
또한 목표이송 핏치 산출공정 S28에서의 Pa의 산출식은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Pa = Pu - (Pu-Pd) Sb/Sl
예를들어 Pu = 4, Pd= -3, Sb=3, Sl=7로 한 경우에는 목표이송 핏치 Pa=1로 산출되게 된다(도10참조).
목표이송 핏치 산출공정 S28을 거친 후, CPU(80)는 펄스모터(50)를 구동하고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목표이송 핏치 Pa에 대응하는 회전위치로 설정하여 제어동작을 종료한다(목표위치 설정공정 : S29).
제 2천이송 제어동작에 있어서는 이와같이 초기치 Pu, 하한치 Pd, 도달조작량 S1 및 조작레버(6)의 조작량 Sb를 기초로 목표이송 핏치 Pa를 산출하고, 이 목표이송 핏치 Pa에 대응하는 회전위치에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천이송 제어동작에서의 초기치 제한공정 S8과 같은 공정은 채용되지 않고, 조작레버(6)의 조작량 Sb가 검출되면 바로 목표이송 핏치 Pa가 산출되어 펄스모터(50)가 구동제어되고, 조작레버(6)의 조작량에 따른 만큼의 이송핏치가 초기치 Pu의 이송핏치로부터 감산되게 된다.
한편 조작량 판정공정 S27에 있어서 조작량 Sb가 도달조작량 Sl보다 크다고판정된 경우에는 CPU(80)는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하한치 Pd에 대응하는 회전위치로 설정하고 제어동작을 종료한다(하한치 제한공정 : S30).
본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는 수동조작이 가능한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을 검출함과 동시에 검출된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에 따른 이송핏치로 변경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70)를 구비하고, 구동모터 제어수단인 CPU(80)는 조작레버(6)가 조작되었을 때 이송핏치를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에 대응하는 이송핏치로 하도록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으므로 종래와 같은 조작레버와 각구를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링크기구를 배치하지 않고 이송핏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기구를 배치하기 위한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조시 작업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링크기구가 불필요하게 된 만큼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는 이송핏치의 초기치 Pu 및 하한치 Pd를 설정하는 조작패널(8)을 구비하고, 구동모터 제어수단인 CPU(80)는 조작레버(6)가 조작되었을 때 이송핏치를 초기치 Pu로부터 하한치 Pd까지의 범위내에 있어서 조작레버(6)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에 따른 이송핏치로 하도록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므로 조작레버(6)의 가동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기계적인 스토퍼를 배치하지 않고 이송핏치를 초기치 Pu로부터 하한치 Pd까지의 범위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는 이송핏치가 하한치 Pd에 도달할 때의 조작레버(6)의 조작량(도달조작량 Sl)를 설정하는 조작패널(8)을 구비하고, 구동모터 제어수단인 CPU(80)는 조작레버(6)를 비조작 상태로부터 도달조작량 Sl만큼 조작하는 동안에 이송핏치가 초기치 Pu로부터 하한치 Pd로 변경되도록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므로 조작레버(6)의 단위조작량 당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6)의 단위조작량 당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여러가지의 봉제상황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극히 조작성에 뛰어나다. 예를들어 도달조작량 Sl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조작레버(6)의 단위조작량 당의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작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핏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달조작량 Sl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조작레버(6)의 단위조작량당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이송핏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각구에 연결된 조작레버에 의해 각구의 경사각도를 바꾸어 이송핏치를 변경하는 종래의 기계식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는, 조작레버의 비조작시의 이송핏치의 설정치에 의해서는 조작레버의 초기조작시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의 제 1천이송 제어동작에서와 동일한 데드존(불감대 U : 도 8참조)이 존재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의 제 2천이송 제어동작에 있어서는 제 1천제어 동작과 달리 조작레버(6)의 초기조작시에서의 데드존(불감대 U : 도 8참조)이 존재 하지 않아 조작레버(6)의 조작범위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에 뛰어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들어 봉제패턴마다 초기치 Pu 및 하한치 Pd를 RAM(90)에 기록시켜 둘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조작패널(8)의 각종 스위치 등에 의해 봉제패턴(직선박음질, 2점 지그재그 사뜨기 등)을 선택하고, 이 선택에 따라 RAM(90)내의 봉제패턴에 따른 초기치 Pu 및 하한치 Pd를 CPU(80)가 자동적으로 읽어들임으로써 사용자가 봉제패턴이 바뀔 때 마다 초기치 Pu 및 Pd를 봉제패턴에 맞추어 설정할 필요가 없어져 조작성, 재현성에 뛰어난 재봉틀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CPU(80)는 본발명에서의 제한치 설정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 상기한 제 2천이송 제어동작에 있어서는 도달조작량 Sl을 설정하는 수단을 배치하고, 이를 설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도달조작량 Sl을 설정하지 않고 조작레버(6)의 조작량이 최대스트로크 Sa가 되었을 때 하한치 Pd가 되도록 펄스모터(50)의 회전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플로우챠트의 레버조작 판정공정 S26에 있어서, 제 1천이송 제어에서의 레버조작 판정공정 S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작레버(6)의 조작의 유무를 판정하고 있지만 이 조작레버(6)의 조작을 판단하는 상기 소정의 판정치를 약간 크게 설정하고, 조작레버(6)의 미동에 의해 조작있음으로 오판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재봉틀의 진동 등에 의해 조작레버(6)가 미동하여 이송핏치가 변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조작레버와 각구를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링크기구를 배치하지 않고 이송핏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기구를 배치하기 위한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시 작업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링크기구가 불필요하게 되는 만큼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의 가동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배치하지 않고 이송핏치를 초기치에서 하한치까지의 범위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가 조작되면 바로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따른 분만큼 이송핏치가 변경되므로 조작레버의 초기조작시에서의 불감대가 존재하지 않아 조작레버의 조작범위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의 단위조작량 당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의 단위조작량 당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여러가지의 봉제상황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극히 조작성에 뛰어나다. 예를들어 도달조작량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조작레버의 단위조작량 당의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작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핏치의 미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달조작량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조작레버의 단위조작량 당의 이송핏치의 변화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이송핏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봉제패턴마다 개별로 초기치 및 하한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패턴이 바뀔 때 마다 초기치 및 하한치를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 재현성에 뛰어나다.
청구항 7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표시수단에 표시된 이송핏치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조작레버를 조작할 수 있어 극히 정확한 이송핏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주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바늘판위로 출몰하여 천을 보내는 이송톱니와,
    소정의 기준위치에 대한 경사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송톱니의 이동궤적을 변경하여 이송핏치를 변경하는 각구와,
    상기 각구의 상기 경사각도를 변경하는 구동모터를 갖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에 있어서,
    비조작시에는 일단측에 부세되고, 조작에 의해 타단측으로 이동하도록 전 스트로크 범위에 걸쳐 수동조작이 가능한 박음질용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을 검출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검출수단과,
    상기 조작신호를 기초로 상기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에 대응하는 지령이송핏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조작레버가 조작되었을 때 이송핏치를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위치 또는 조작량에 대응한 상기 지령이송 핏치로 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상한지령 핏치와 소정의 하한지령 핏치 범위에서 상기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지령이송 핏치를 산출하는 상기 산출수단과,
    상기 조작레버의 전 스트로크 범위에서의 이송핏치의 위쪽 한계인 초기치를 설정하는 초기치 설정수단과,
    상기 조작레버의 전 스트로크 범위에서의 이송핏치의 아래쪽 한계인 하한치를 설정하는 하한치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검출수단은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위치를 검출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모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레버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조작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조작위치에 따라 이송핏치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검출수단은 상기 조작레버의 비조작 상태로부터의 조작량을 검출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모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레버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조작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조작량에 따라 이송핏치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이송핏치가 상기 하한치에 도달할 때의 조작레버의 조작량인 도달조작량을 설정하는 도달조작량 설정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레버를 비조작 상태로부터 상기 도달조작량까지 조작하는 동안에 이송핏치가 상기 초기치로부터 상기 하한치로 변경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제패턴마다 개별로 상기 초기치 및 상기 하한치를 설정하는 제한치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제동작중에 상기 조작레버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변경된 이송핏치를 리얼타임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KR1020030029686A 2002-05-14 2003-05-12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KR100993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8392 2002-05-14
JP2002138392A JP3867012B2 (ja) 2002-05-14 2002-05-14 ミシンの布送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337A true KR20030088337A (ko) 2003-11-19
KR100993713B1 KR100993713B1 (ko) 2010-11-10

Family

ID=2954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686A KR100993713B1 (ko) 2002-05-14 2003-05-12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867012B2 (ko)
KR (1) KR100993713B1 (ko)
CN (1) CN100516337C (ko)
DE (1) DE10321266B4 (ko)
TW (1) TW2004010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36B1 (ko) * 2007-11-06 2015-04-03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바느질 재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9627B2 (ja) * 2004-03-30 2010-07-21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06167069A (ja) * 2004-12-15 2006-06-29 Juki Corp ミシンの縫製記録装置
CN1926274B (zh) * 2005-02-11 2012-11-28 默利有限公司 缝纫机
JP4942960B2 (ja) * 2005-07-29 2012-05-30 Juki株式会社 布送り装置
DE102006061348A1 (de) * 2005-12-27 2007-08-23 Juki Corp., Chofu Nähmaschine
CN101008136B (zh) * 2006-01-25 2011-09-14 兄弟工业株式会社 电动机控制装置及具有电动机控制装置的缝纫机
CN101501263B (zh) * 2006-08-17 2012-07-04 兄弟工业株式会社 可编程电子缝纫机和可编程电子缝纫机的控制装置
DE102007026651A1 (de) * 2007-06-08 2008-12-18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sowie Betriebsverfahren für eine derartige Nähmaschine
CN101705585B (zh) * 2009-10-29 2013-02-13 王志革 缝纫机自动控制系统
JP2013202254A (ja) * 2012-03-29 2013-10-07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の制御プログラム
JP6382600B2 (ja) * 2014-06-30 2018-08-29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針振り機構を備えたミシン
JP6679158B2 (ja) * 2015-10-30 2020-04-15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送り歯調節機構および該調節機構を備えたミシン
JP6526310B1 (ja) 2018-12-25 2019-06-05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
JP6555629B1 (ja) * 2019-02-15 2019-08-07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
CN112899895B (zh) * 2021-01-08 2022-11-18 上海大学 一种布料压装步进式缝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813A (en) 1980-07-10 1982-02-02 Brother Ind Ltd Locating servo device in feed controlling device of sewing machine
JPS62393A (ja) 1985-02-28 1987-01-06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
JPH041904Y2 (ko) 1985-05-27 1992-01-22
JPS625388A (ja) 1985-06-29 1987-0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における布端部の定寸縫い装置
JPS62189087A (ja) 1986-02-15 1987-08-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柄合わせ縫製を行うためのミシン
DE4103276C1 (en) 1991-02-04 1992-05-14 G.M. Pfaff Ag, 6750 Kaiserslautern, De Feed adjustment for sewing machine - has adjusting shaft and component, control cam and lever
KR100373625B1 (ko) 2000-09-19 2003-02-26 박보인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36B1 (ko) * 2007-11-06 2015-04-03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바느질 재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1061A (en) 2004-01-16
JP3867012B2 (ja) 2007-01-10
KR100993713B1 (ko) 2010-11-10
DE10321266B4 (de) 2018-09-27
DE10321266A1 (de) 2003-12-18
CN100516337C (zh) 2009-07-22
JP2003326028A (ja) 2003-11-18
CN1458317A (zh) 200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713B1 (ko) 재봉틀의 천이송 장치
JP2691983B2 (ja) 縫製ミシン用の縫製品整列装置
EP2241661A2 (en) Upper-and-lower feed sewing machine
JP2002292175A (ja) ミシン
US67424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ed quantity and direction in sewing machine
CN108796838B (zh) 缝纫机
KR101027591B1 (ko) 재봉틀의 눌러올리는 장치
JP2004242814A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JPH0357483A (ja) 布縁倣い縫ミシン
US5063867A (en) Zigzag sewing machine
KR20040094372A (ko) 재봉기의 천 이송장치
JP2006181166A (ja) ミシン
JP2005137694A (ja) ミシン
JP2800415B2 (ja) ミシンの布送り量制御装置
JP2005080994A (ja) ミシン
US4589363A (en) Sewing machine for automatically making edge-parallel seams
JP7262323B2 (ja) ミシン及び調節方法
JPH11333169A (ja) ミシンの布切りメス制御装置
JP3943987B2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2005087336A (ja) ミシン
JP4509847B2 (ja) ミシン
JP2583786B2 (ja) ミシンの端縫い装置
JP4140718B2 (ja) ミシン
JP5037109B2 (ja) ミシン
JP4509627B2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