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096A -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096A
KR20030083096A KR1020020021500A KR20020021500A KR20030083096A KR 20030083096 A KR20030083096 A KR 20030083096A KR 1020020021500 A KR1020020021500 A KR 1020020021500A KR 20020021500 A KR20020021500 A KR 20020021500A KR 20030083096 A KR20030083096 A KR 20030083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guider
roller
guide groove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152B1 (ko
Inventor
강희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152B1/ko
Priority to JP2002321577A priority patent/JP2003312254A/ja
Priority to CN02149330A priority patent/CN1451562A/zh
Priority to DE10254646A priority patent/DE10254646A1/de
Priority to US10/326,011 priority patent/US6857229B2/en
Publication of KR2003008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one or more lifting arms
    • E05F11/44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one or more lifting arms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의 반복적인 승강에 의해서도 롤러와 가이더간의 접촉 소음을 방지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따라 소비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1)의 하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그립과, 이 그립(20)의 하부에 용접 고정되며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 홈(31)이 형성된 가이더(30)와, 레귤레이터 모터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는 레귤레이터 아암(4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이더(30)의 가이드 홈(31)에 결합되는 롤러(10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에 있어서, 롤러(100)는, 중심 외주면과 일측 외주면에 소정깊이의 제 1, 2 환형 홈(111,112)이 형성된 바디(110)와; 바디(110)의 제 1, 2 환형 홈(111,112)상에 각각 소정높이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가이더(30)의 가이드 홈(31) 상,하 내측과 일측 내면에 접촉되는 제 1, 2 탄성패드(120,1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 CLOSEING A DOOR GLASS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면, 도어 글래스(door glass;1)의 하면에는 그립(holder;10)이 위치되며, 이 그립(10)의 하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 홈(31)이 형성된 가이더(guider;30)가 용접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더(30)의 가이드 홈(31)으로는 레귤레이터 모터(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는 레귤레이터 아암(regulator arm;40)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며, 레귤레이터 아암(40)의 단부에는 가이드 홈(31)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될 때 마찰력 감소를 위한 롤러(roller;4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레귤레이터 모터에 의해 레귤레이터 아암(40)이 상,하로 회동되면, 레귤레이터 아암(40)이 가이더(30)의 가이드 홈(31)을 따라 이송되고, 동시에 가이더(30) 및 그립(10)이 결과적으로 도어 글래스(1)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도어 글래스(1)는 그립(10)상에 직접 끼워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파손 방지 및 유동 방지를 위하여 러버 스트립(rubber strip;12)을 개재한채 끼워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에 있어서는 롤러(41)와 가이더(30)의 가이드 홈(31)을 따라 이동되면서 도어 글래스(1)를 승강시킬 때 심한 노이즈(noise)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의 발생원인은, 롤러(30)는 가이더(30)의 가이드 홈(31)상에서 직선 운동을 하기 때문에 상호간의 사이에는 갭을 부여하여야 한다.
이에따라 롤러(30)는 도어 글래스(1)가 상승될때에는 가이드 홈(31) 상부 내측면에 밀착되고, 도어 글래스(1)가 하강할때에는 가이드 홈(31)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이동한다. 이때 물론 롤러(30)의 일측면은 항시 가이드 홈(31) 일측면에 밀착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반복적인 승강동작에 의해 점차적으로 롤러(30)의 표면 마모가 발생되게 되고, 이에따라 갭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면, 도어 글래스(1) 승강에 따라 롤러(30)와 가이더(30)간의 접촉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의 반복적인 승강에 의해서도 롤러와 가이더간의 접촉 소음을 방지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따라 소비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의 하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그립과, 이 그립의 하부에 용접 고정되며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더와, 레귤레이터 모터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는 레귤레이터 아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이더의 가이드 홈에 결합되는 롤러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중심 외주면과 일측 외주면에 소정깊이의 제 1, 2 환형 홈이 형성된 경질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환형 홈상에 각각 소정높이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가이더의 가이드 홈 상,하 내측과 일측 내면에 접촉되는 제 1, 2 탄성패드;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B-B 선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은 롤러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선에 대응되는 종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도어 글래스10 : 그립30 : 가이더
31 : 가이드 홈40 : 레귤레이터 아암100 : 롤러
110 : 바디111,112 : 제 1, 2 환형 홈113 : 관통구멍
120,130 : 제 1, 2 탄성패드
도 1에 참조되고,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door glass;1)의 하면에는 그립(holder;10)이 위치되며, 이 그립(10)의 하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 홈(31)이 형성된 가이더(guider;30)가 용접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더(30)의 가이드 홈(31)으로는 레귤레이터 모터(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는 레귤레이터 아암(regulator arm;40)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며, 레귤레이터 아암(40)의 단부에는 가이드 홈(31)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될 때 마찰력 감소를 위한 롤러(roller;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롤러(10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크게 바디(body;110)와, 제 1, 2 탄성패드(rubber;120,130)으로 이루어진다.
바디(110)는 경질의 재질 예컨대 경질의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일측면 즉, 레귤레이터 아암(40)과 결합되는 부분과 대향되는 타측면과 중심 외주면에는 소정깊이의 제 1, 2 환형 홈(111,112)이 형성된다.
제 1, 2 탄성패드(120,130)는, 바디(110)의 제 1, 2 환형 홈(111,112)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특히 소정높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제 1, 2 탄성패드(120,130)는 플라스틱에 가까운 재질 예컨대 TPE(Thermo Plastic Elastomer)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TPE 즉, 서모 플라스틱 에라스토마는, 고온에서 가소화된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성형할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 탄성체의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모 발생이 적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경질의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제 1, 2 탄성패드(120,130)는 작업성의 측면에서 바디(110)상에 인서팅을 통해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바디(110)상에 제 1, 2 탄성패드(120,130)를 일체로 인서팅 하기 위해서, 바디(110)의 제 1, 2 환형 홈(111,112)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의 관통구멍(113)을 통해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인서팅시 관통구멍(113)을 통해 제 1, 2 환형 홈(111,112)으로 사출물이 유입되어 제 1, 2 탄성패드(120,130)가 바디(110)상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1)가 승강될 때 레귤레이터 아암(4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100)와 가이더(30)의 가이드 홈(31) 상호간에 갭이 발생되지 않게됨으로서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는다.
즉, 롤러(100) 바디(110)의 제 1, 2 환형 홈(111,112)에는 제 1, 2 탄성패드(120,130)가 인서팅을 통해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특히 소정높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1, 2 탄성패드(120,130)가 갭을 방지시킴으로써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또한 제 1, 2 탄성패드(120,130)가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가이더(30)의 가이드 홈(31)에 끼워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충분한 내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도어 글래스(1)의 반복적인 승강동작에 의해서도쉽게 마모되지 않는다. 즉, 마모에 따라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롤러를 구성하고 있는 바디상에 가이더와의 갭을 방지할 수 있는 제 1, 2 탄성패드를 마련함으로써 도어 글래스의 승강과정에서 갭 발생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탄성패드가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음으로써 즉, 마모가 쉽게 되지 않음으로써 이를 통해서도 마모에 따른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에 의한 탑승객의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채용한 자동차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도어 글래스의 하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그립과, 이 그립의 하부에 용접 고정되며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더와, 레귤레이터 모터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는 레귤레이터 아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이더의 가이드 홈에 결합되는 롤러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중심 외주면과 일측 외주면에 소정깊이의 제 1, 2 환형 홈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제 1, 2 환형 홈상에 각각 소정높이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가이더의 가이드 홈 상,하 내측과 일측 내면에 접촉되는 제 1, 2 탄성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탄성패드는 바디상에 인서팅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탄성패드를 바디상에 인서팅 하기 위하여, 바디의 제 1, 2 환형 홈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10-2002-0021500A 2002-04-19 2002-04-19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100463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500A KR100463152B1 (ko) 2002-04-19 2002-04-19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JP2002321577A JP2003312254A (ja) 2002-04-19 2002-11-05 自動車のドアガラス昇降装置
CN02149330A CN1451562A (zh) 2002-04-19 2002-11-07 车辆门窗玻璃升降装置
DE10254646A DE10254646A1 (de) 2002-04-19 2002-11-22 Türfensterscheiben-Heb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10/326,011 US6857229B2 (en) 2002-04-19 2002-12-18 Door window lifting apparatus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500A KR100463152B1 (ko) 2002-04-19 2002-04-19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096A true KR20030083096A (ko) 2003-10-30
KR100463152B1 KR100463152B1 (ko) 2004-12-23

Family

ID=2920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500A KR100463152B1 (ko) 2002-04-19 2002-04-19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57229B2 (ko)
JP (1) JP2003312254A (ko)
KR (1) KR100463152B1 (ko)
CN (1) CN1451562A (ko)
DE (1) DE10254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6450B2 (ja) 2004-03-29 2010-04-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摺動装置
DE102005020052A1 (de) * 2005-04-29 2006-11-02 Arvinmeritor Gmbh Scheibenhalterung für einen Fensterheber
CN102992197B (zh) * 2012-12-05 2015-11-18 宁夏电力公司检修公司 接地极极址盖板起重装置
DE102014204361A1 (de) 2014-03-10 2015-09-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nehmers für eine Fensterhebervorrichtung
CN105222682B (zh) * 2015-09-18 2017-12-19 瑞安市益华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叉臂式升降器检测设备
US9970226B2 (en) * 2016-10-05 2018-05-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window assembly
JP7147484B2 (ja) * 2017-12-08 2022-10-05 Agc株式会社 ホルダ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EP3724436B1 (de) * 2017-12-12 2021-10-27 Saint-Gobain Glass France Halteelement für eine heb- und senkbare fahrzeug-seitenscheibe
BR112020010810A2 (pt) * 2017-12-12 2020-11-10 Saint-Gobain Glass France janela lateral de veículo tendo um elemento de retenção acoplado em um lad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301C (de) 1921-08-02 1923-04-10 Maschf Flachminderstrickmaschine
US3466803A (en) * 1968-05-28 1969-09-16 Gen Motors Corp Guide arrangement
JPS57101274U (ko) 1980-12-15 1982-06-22
US4457109A (en) 1982-02-26 1984-07-03 Schlegel Corporation Flush glass window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
US4669222A (en) 1984-11-24 1987-06-02 Nissan Motor Co., Ltd. Window regulator
JPS6255389A (ja) 1985-09-05 1987-03-1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装置
IT1195125B (it) 1986-08-07 1988-10-12 Fiat Auto Spa Porta con cristallo scorrevole per veicoli
US4935986A (en) 1987-10-02 1990-06-26 Consolidated Industrial Corporation Window slider
US4829630A (en) 1987-10-02 1989-05-16 Consolidated Industrial Corporation Window slider
JPH0645031Y2 (ja) 1989-03-29 1994-11-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ユレータ装置
JPH0725420Y2 (ja) * 1989-07-17 1995-06-07 日本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用摺動部材
US5065545A (en) 1991-03-19 1991-11-19 Donnelly Corporation Panel assembly for vehicles with molded regulator attachment
US5243785A (en) 1991-03-19 1993-09-14 Donnelly Corporation Panel assembly for vehicles with molded regulator attachment
US5101596A (en) 1991-04-18 1992-04-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wnstop for window regulator
FR2690388A1 (fr) 1992-04-22 1993-10-29 Rockwell Abs France Dispositif support de vitre dans un lève-vitre de véhicule automobile et lève-vitre incorporant ce dispositif.
JP4005737B2 (ja) * 1999-03-01 2007-11-14 株式会社ニフコ ウインドガラスの昇降用スライダー
US6044589A (en) 1999-09-14 2000-04-04 Saturn Corporation Motor vehicle window mou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57229B2 (en) 2005-02-22
US20030196384A1 (en) 2003-10-23
JP2003312254A (ja) 2003-11-06
KR100463152B1 (ko) 2004-12-23
DE10254646A1 (de) 2003-11-06
CN1451562A (zh) 200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8562A (ja) 自動車用窓ガラスの昇降装置
KR100463152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20010063467A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유격 조정장치
US4782629A (en) Automobile window glass assembly
JPH0310527B2 (ko)
JP4156140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ストッパ構造およびスライダ
JP2002362161A (ja) 車両用シール部品
JP2672928B2 (ja) ウィンドガラスの昇降装置
GB2433295A (en) Vehicle window regulator
KR0119139Y1 (ko) 차량도어용 글래스의 취부구조
KR100812449B1 (ko) 도어 레귤레이터 캐리어 스톱퍼구조
KR200170203Y1 (ko) 소음개선용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캐리어플레이트 구조
KR101163473B1 (ko)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KR100452591B1 (ko) 차량의 도어글라스 가이드클립
JPH086527B2 (ja) 昇降装置
KR100310131B1 (ko) 자동차의 프론트도어용 웨더스트립
JP2538422Y2 (ja) ガイド機構
KR0137513Y1 (ko) 비마찰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494724B1 (ko) 자동차용 도어 글라스 가이드 장치
KR950023827A (ko) 차량용 도어유리 승강장치
JP3684473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のガイド機構
KR20040037321A (ko) 볼베어링을 구비한 차량의 윈도우글라스 구동장치
JPH10942A (ja) ドアガラスのガイド装置
KR19980041445U (ko) 차량 도어 레귤레이터
JP2007239349A (ja) 車両用ドアガラスのスライダ、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ガラス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