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946U -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946U
KR19990017946U KR2019970031096U KR19970031096U KR19990017946U KR 19990017946 U KR19990017946 U KR 19990017946U KR 2019970031096 U KR2019970031096 U KR 2019970031096U KR 19970031096 U KR19970031096 U KR 19970031096U KR 19990017946 U KR19990017946 U KR 199900179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wire
slide member
steel pip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복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31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946U/ko
Publication of KR19990017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946U/ko

Link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을 오랜 기간동안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 및 고장이 적으며, 제품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는 윈도우 글라스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부재와, 도어 섀시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파이프와, 상기 안내 파이프의 양 단부 부분에 설치되는 와이어 안내 수단과, 상기 와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본 고안은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을 오랜 기간동안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 및 고장이 적으며,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키는 기구인 레귤레이터는 구동 수단의 힘을 레귤레이터로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 아암식과 와이어식으로 크게 구분되는바, 아암식은 구동 수단인 모터의 회전력을 X자형 아암 또는 싱글 아암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키는 방식이고, 와이어식은 와이어가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 구동 수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키는 방식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레귤레이터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1)는 설치 브래킷(8,8')에 의해 도어 섀시(미도시)에 고정 설치되는 레귤레이터 채널(2)과, 윈도우 글라스(미도시)가 고정 설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3)와, 캐리어 플레이트(3)에 부착설치되며 레귤레이터 채널(2)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제1 내지 제4 수지 조성물(4a-4d)들과, 레귤레이터 채널(2)상에서 캐리어 플레이트(3)를 상하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구동 수단(5)과, 레귤레이터 채널(2)의 양단 상부면에 설치되며 와이어(7)가 걸려지는 와이어 안내 수단(6,6')과, 캐리어 플레이트(3)와 와이어 구동 수단(5) 및 와이어 안내 수단(6,6')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7)로 이루어진다.
레귤레이터 채널(2)은 철판을 프레스한 후, 프레스한 철판을 도어 섀시(미도시)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벤딩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며, 제1 및 제2 수지 조성물(4a,4b)에는 캐리어 플레이트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캐리어 플레이트(3)가 끼워맞춤식으로 고정되고, 제1 내지 제4 수지 조성물(4a-4d)에는 캐리어 플레이트(3)가 레귤레이터 채널(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캐리어 플레이트(3)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레귤레이터 채널(2)의 측면부(9)와 절곡부(10)를 감싸는 부분(9',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캐리어 플레이트(3)의 중앙 부분에 고정된 제3 수지 조성물(4c)에는 와이어(7)의 일부분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 구동 수단(5)이 구동되면 와이어(7)의 일부분이 고정되어 있는 제3 수지 조성물(4c) 및 제3 수지 조성물(4c)이 고정되어 있는 캐리어 플레이트(3)가 레귤레이터 채널(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이로 인하여 윈도우 글라스(미도시)가 글라스 안내 수단(미도시)을 따라 승하강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귤레이터는 제1 내지 제4 수지 조성물(4a-4d)에 형성되어 있는 감싸는 부분(9',10')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수지 조성물(4a-4d)의 감싸는 부분(9')와 레귤레이터 채널(2)의 측면부(9) 및 감싸는 부분(10')와 레귤레이터 채널의 절곡부(10)와의 접촉 면적이 작으므로 제1 내지 제4 수지 조성물(4a-4d)의 감싸는 부분(9',10')이 쉽게 마모되고, 상기 감싸는 부분(9',10')이 마모된 경우에는 윈도우 글라스의 작동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레귤레이터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을 오랜 기간동안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불량 및 고장이 적으며,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레귤레이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도 4의 "B-B"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레귤레이터 12,12' : 스틸 파이프
13,14 : 슬라이더 15 : 와이어 구동 수단
16,16' : 도르레 17 : 와이어
18,18' : 스틸 파이프 설치 브래킷 19,19' : 철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는 윈도우 글라스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부재와, 도어 섀시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파이프와, 상기 안내 파이프의 양 단부 부분에 설치되는 와이어 안내 수단과, 상기 와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윈도우 글라스(미도시)의 하단부에는 제2 슬라이더(14)가 고정 설치되고, 제2 슬라이더(14)는 육면체의 제1 슬라이더(13)에 나사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 설치되며, 제1 슬라이더(13)에는 2개의 관통공(13',13")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더(13)의 관통공(13',13")에는 제1 및 제2 스틸 파이프(12,12')가 관통 설치되고, 제1 스틸 파이프(12)의 상단 부분과 제2 스틸 파이프(12')의 상단 부분은 상기 부분들에 용접된 제1 철판(19)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제1 스틸 파이프(12)의 하단 부분과 제2 스틸 파이프(12')의 하단 부분은 상기 부분들에 용접된 제2 철판(19')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철판(19,19')에는 와이어(17)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도르레(16,16')가 각각 설치되고, 제1 슬라이더(13)에 관통 설치된 제1 및 제2 스틸 파이프(12,12')는 설치 브래킷(18,18')에 의해 도어 섀시(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와이어 구동 수단(15)에 각기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17)는 와이어 구동 수단(15)의 구동에 따라 제1 및 제2 슬라이더(13,14)를 안내 파이프(12,12')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17)의 일부분이 제2 슬라이더(14)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와이어 구동 수단(15)의 구동시에 도르레(16,16')를 경유하여 안내 파이프(1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스틸 파이프(12,12')의 외주면에는 제1 슬라이더(13)와 스틸 파이프(12,12')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액이 도포된다.
이하, 도 4를 참조로 하여 레귤레이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스위치 버튼, 또는 조작 핸들을 조작하여 와이어 구동 수단(15)을 구동시키면 와이어(17)가 와이어 구동 수단(1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스틸 파이프(12,12')의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행되고, 와이어(17)의 일부분이 고정되어 있는 제2 슬라이더(14) 및 제2 슬라이더(14)가 고정되어 있는 제1 슬라이더(13)가 스틸 파이프(12,12')상에서 와이어(17)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2 슬라이더(14)에 고정되어 있는 윈도우 글라스(미도시)가 글라스 가이더(미도시)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에 의하면, 스틸 파이프와 상기 스틸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의 접촉 면적이 종래에 비해 증가되므로 제1 슬라이더의 마모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을 오랜 기간동안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 및 고장이 적으며,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 섀시에 설치되는 레귤레이터 채널이 스틸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상기 스틸 파이프가 도어를 보강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되어 충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여기에 서술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정신과 범주내에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0)

  1. 윈도우 글라스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부재와, 도어 섀시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파이프와, 상기 안내 파이프의 양 단부 부분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 수단과, 상기 와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파이프는 한쌍의 제1 및 제2 스틸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스틸 파이프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설치되며 윈도우 글라스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틸 파이프가 각각 관통 설치되는 제1 및 제2 스틸 파이프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틸 파이프가 철판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은 상기 제1 스틸 파이프의 상단 부분과 상기 제2 스틸 파이프의 상단 부분에 용접 설치되는 제1 철판과, 상기 제1 스틸 파이프의 하단 부분과 상기 제2 스틸 파이프의 하단 부분에 용접 설치되는 제2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에는 상기 와이어 안내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 수단은 상기 제1 철판에 설치되는 제1 도르레와, 상기 제2 철판에 설치되는 제2 도르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윤활액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KR2019970031096U 1997-11-05 1997-11-05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KR199900179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096U KR19990017946U (ko) 1997-11-05 1997-11-05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096U KR19990017946U (ko) 1997-11-05 1997-11-05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46U true KR19990017946U (ko) 1999-06-05

Family

ID=6967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096U KR19990017946U (ko) 1997-11-05 1997-11-05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9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00B1 (ko) * 2007-08-30 2008-08-26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도어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00B1 (ko) * 2007-08-30 2008-08-26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도어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2440B2 (ja) 摩擦力を減少されたエネルギ伝送装置
KR19990017946U (ko) 윈도우 장치의 레귤레이터
KR20030083096A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JPH078767Y2 (ja) ワイヤ式の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構造
JP2578881Y2 (ja) ウインドレギユレータ装置
KR0137358Y1 (ko) 도어 레귤레이터의 섹터기어 안내 클립
KR970010630A (ko) 슬라이더를 이용한 시저즈 리프트
KR100318603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0439964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
JP3616246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3781359B2 (ja) 車両用ドア
KR100861113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리프트 장치
KR0137359Y1 (ko) 도어 레귤레이터의 섹터기어 안내 클립
CN213449947U (zh) 一种滑动机构及汽车玻璃升降器
KR0162578B1 (ko)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JP4237598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0812449B1 (ko) 도어 레귤레이터 캐리어 스톱퍼구조
KR20030015024A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가이드장치
KR100482486B1 (ko)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JPH09189170A (ja) 窓ガラス昇降装置
KR100402866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200329883Y1 (ko) 자동차윈도우레귤레이터채널구조
KR100203126B1 (ko)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가이드 레일구조
KR100419512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100212750B1 (ko) 차량용 도어 글래스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