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849A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849A
KR20030069849A KR10-2003-0010390A KR20030010390A KR20030069849A KR 20030069849 A KR20030069849 A KR 20030069849A KR 20030010390 A KR20030010390 A KR 20030010390A KR 20030069849 A KR20030069849 A KR 20030069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thread
thread
sewing
needl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076B1 (ko
Inventor
닛토타카시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봉제개시전에 있어서 바늘구멍에서 윗실단까지의 길이를 짧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재봉틀(1)은 윗실에 압압력을 부여하는 실텐션 장치(17)와, 실텐션 장치(17)로부터 이끌리는 윗실을 당기는 윗실당김 부재(29)와, 윗실당김 부재(29)를 최전위치 P10~ 중간위치 P30~최후위치 P20으로 이동하는 에어실린더(26)(27)와, 윗실을 끊는 윗실절단 메스(14)와, 에어실린더(26)(27)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구비한다. 윗실은 윗실당김 부재(29)로부터 천칭(18)로 이끌려 최종적으로는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에 이르고 있다. 봉제개시 직전에 윗실당김 부재(29)가 최전위치 P10로부터 최후위치 P20로 이동한다. 봉제종료후 윗실당김부재(29)는 최후위치 P20로부터 중간위치 P30로 이동한다. 그 후 실텐션 장치(17)에 의해 윗실로의 압압력이 상승한다. 다음에 윗실당김 부재(29)는 중간위치 P30에서 최전위치 P10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재봉틀{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봉제종료후에 바늘의 눈 구멍에서 피봉제물까지 연결된 윗실을 절단하는 실절단 수단을 구비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절단 수단을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는 재봉틀의 봉제시작에 윗실에 가한 장력이 걸린 경우에는 봉제시작에 바늘이 하강할 때 윗실이 윗실공급원측으로 끌려버리기 때문에 윗실의 단부가 바늘의 눈 구멍에서 빠져버리거나 루퍼경로로부터 윗실이 빠져 윗실이 포착되지 않고, 첫바늘째의 솔기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 이른바 스킵스티치(skip stitch)가 발생한다.
그래서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봉제종료후에 윗실절단전에 실텐션장치와 바늘의 눈 구멍과의 사이에 있어서 윗실의 느슨함을 확보함으로써 다음의 봉제시에 스킵스티치를 방지한다.
예를들어 아일렛 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도 8와 같은 기구가 재봉틀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윗실에 느슨함을 확보하고 있다. 즉 재봉틀의 상단부에 실안내(101)가 배치되고,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도출된 윗실 T은 실안내(101)로 되돌아 오고 있다. 윗실 T는 실안내(101)로부터 실텐션(102)으로 이끌리고 있고, 윗실 T가 실텐션(102)에 의해 압압되는 것으로 윗실 T에 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윗실 T는 실텐션(102)으로 되돌아 오고 있고, 실당김 부재(103)로 이끌리고 있다. 그리고 윗실 T는 실당김 부재(103)로 되돌아 오고, 천칭(104)으로 이끌리고 있다. 윗실 T는 천칭(104)으로 되돌아 오고 최종적으로 바늘(105)(도 9에 도시)의 눈 구멍(105a)(도 9에 도시)으로 이끌리고 있다. 실당김 부재(103) 및 천칭(104)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아일렛 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재봉틀의 봉제종료후에 다음의 봉제개시전에서는 실당김 부재(103)는 천칭(104)으로부터 먼 위치 P1에 위치하고 있고, 실텐션(102)으로부터 천칭(104)까지 사이에 있어서 윗실 T는 뻗어있다. 그리고 도 8(a)과 같이 재봉틀의 다음의 봉제개시직전(아직 천칭(104) 및 바늘(105)은 구동되고 있지 않다)에서는 실당김 부재(103)가 천칭(104)에 가까운 위치 P2로 이동함으로써 실텐션(102)으로부터 천칭(104)까지 사이에 있어서 윗실 T가 느슨해진다. 윗실 T의 느슨함에 의해 다음의 봉제의 첫바늘 째에 솔기가 확실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봉제중, 실당김 부재(103)는 위치 P2에 위치한 상태이고, 천칭(104)은 재봉틀 동작에 동기하여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이에 따라 봉제중에 천칭이 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윗실공급원으로부터 윗실이 풀려짐과 동시에 바늘측에서 윗실을 끌어올려 바느질을 단단히 하고, 천칭이 앞방향으로 이동하면 풀어낸 윗실이 느슨해져 바느질의 진행에 따라 바늘로 윗실 T가 공급된다. 봉제종료 직후에 정지한 상태에서는 도 9(a)와 같이 바늘(105)은 상승한 위치에 있고, 루퍼(106)와 스프레더(107)에 의해 루퍼 L가 형성된다. 또 봉제종료 직후에서는 도 8(b)과 같이 실텐션(102)으로부터 천칭(104) 사이에 있어 윗실이 뻗고 있다.
그 후 도 8(c)과 같이 실당김 부재(103)가 위치 P2로부터 위치 P1으로 이동한다. 아직 윗실 T가 절단되지 않고 윗실 T가 피봉제물의 솔기에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실당김 부재(103)의 이동에 따라 윗실 T는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끌려나온다.
그 후 도 9(b)와 같이 루프(106) 및 스프레더(107)의 근방에 있어서 윗실절단 메스(108)에 의해 윗실 T가 절단된다. 그리고 다음의 봉제개시 직전에서는 도 8(c)과 같이 재차 실당김 부재(103)가 위치 P1으로 이동함으로써 윗실 T가 느슨해진다.
그러나 예를들어 상기한 아일렛 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실절단 직전에서는 피봉제물의 근방에 있어서 윗실 T는 루퍼(106) 및 스프레더(107)에 의해 루퍼 L이 형성된다(도 9(a)에 도시). 따라서 윗실 T가 절단되면 바늘(105)의 눈구멍(105a)에서 윗실 단까지의 길이가 매우 길어진다(도 9(c)에 도시). 바늘(105)의 눈 구멍(105a)에서 윗실단 까지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도 10과 같이 다음의 봉제전에 하강한 누름부(109)에 윗실 T가 끼워지게 되어 누름부(109)가 이동할 때 그에 추종하는 윗실 T에 의해 바늘(105)이 끌어당겨져 구부러질 염려가 있다. 또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사뜨기의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해 피봉제물의 봉제시작위치에서 뻗어나온 실단을 봉제종료후에 수작업으로 잘라내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이 작업을 없애기 위해 봉제시작의 윗실단을 클램프하는 클램프 장치를 재봉틀에 배치하고, 봉제시작의 윗실의 단부를 보턴구멍의 사뜨기 솔기의 밑에 꿰매어 넣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바늘(105)의 눈 구멍에서 윗실단까지의 길이가 너무길면, 윗실의 단부가 도11의 A부분과 같이 사뜨기 솔기의 중간에서 튀어나와 수작으로의 절단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 봉제시작부터 뻗어나온 실이 솔기에 봉입되지 않는다고 해도 도 12와 같이 그 뻗어나온 길이가 길기 때문에 그것을 봉제종료후에 수작업으로 절단해야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실절단 후의 바늘의 눈구멍에서 윗실단까지의 윗실길이를 짧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윗실에 부담을 주지 않고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단까지의 길이를 짧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일렛 구멍 보턴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새로운 기계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종래의 구성을 이용하여 제어에 의해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단까지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된 재봉틀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재봉틀의 이송대, 베드부 및 암부가 파단하여 도시된다.
도 2는 상기 재봉틀에 배치된 바늘, 윗실절단장치 및 루퍼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봉제종료후부터 다음의 봉제개시전까지의 과정이 도 2(a)~ 도 2(c)의 순으로 도시된다.
도 3은 상기 재봉틀의 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재봉틀에 배치된 실끄는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실끄는 기구의 동작상태가 도 4(a)~ 도 4(c)에 도시된다.
도 5는 상기 재봉틀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상기 재봉틀의 상부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봉제개시전부터 1사이클하여 다음의 봉제개시전까지의 과정이 도 6(a)~ 도 6(e)의 순으로 도시된다.
도 7은 별도 예의 재봉틀에 배치된 윗실안내기구를 도시하는 개략평면도.
도 8은 종래의 재봉틀의 상부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봉제개시전부터 1사이클하여 다음의 봉제개시전의 과정이 도 8(a)~ 도 8(c)의 순으로 도시된다.
도 9는 상기 종래의 재봉틀에 배치된 바늘, 윗실절단장치 및 루퍼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봉제종료후부터 다음의 봉제개시전까지의 과정이 도 9(a)~ 도9(c)에 순서대로 도시된다.
도10은 상기 종래의 재봉틀의 바늘 및 그 주변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1은 상기 종래의 재봉틀에 의해 형성된 솔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2는 상기 종래의 재봉틀에 의해 형성된 솔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재봉틀6: 바늘
6a: 실통과 구멍(눈구멍)15: 윗실 안내기구
17: 실텐션 장치(실텐션수단)19: 실끄는 기구(실끄는 수단)
23: 텐션접시 쌍24: 솔레노이드(실텐션 구동수단)
26: 에어실린더(실끄는 구동수단, 이동수단)
27: 에어실린더(실끄는 구동수단, 이동수단)
29: 윗실당김부재(실끄는 수단)
32: 윗실절단 구동기구(실절단 구동수단)
50: 제어장치(제어수단)60: 피봉제물
70: 윗실안내기구71: 실당김 부재(실끄는 수단)
72: 실당김 부재(실끄는 수단)
P10: 최전위치(제 2위치)P20: 최후위치(제 1위치)
P30: 중간위치(제 3위치)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1~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실텐션 수단에 연결하여 전기신호를 받아 윗실장력을 설정하는 실텐션 구동수단과,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봉제종료후에 상기 눈 구멍에서 피봉제물에 이어지는 윗실을 절단하는 실절단 수단과,
실절단 수단에 연결하여 전기신호를 받아 실절단 수단에 실절단 동작시키는실절단 구동수단과,
상기 실텐션 수단과 바늘 사이의 윗실 경로상에 배치되어 윗실 경로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이동가능하게 한 실끄는 수단과,
실끄는 수단에 연결하여 전기신호를 받아 실끄는 수단의 위치를 변경이동시키는 실끄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실끄는 수단에 의한 윗실경로의 길이변경에 의해 윗실을 바늘측 혹은 윗실공급원측에서 인출가능하게 한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종료시에 작용하여 상기 실끄는 수단에 의해 실끄는 동작을 하고나서 실절단 수단에 실절단을 행하고, 그 후 실텐션수단에 의한 윗실장력을 증대하고 나서 상기 실끄는 수단에 의해 실끄는 동작을 하도록 상기 실텐션 구동수단, 상기 실절단 구동수단 및 상기 실끄는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실공급원으로부터 바늘(바늘(6))에 배치된 눈 구멍(실통과 구멍(6a))에 이르는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텐션 수단(실텐션 장치(17))과, 실텐션 수단에 연결하여 전기신호를 받아 윗실장력을 설정하는 실텐션 구동수단(솔레노이드(24))과,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봉제종료후에 상기 눈 구멍에서 피봉제물에 이어지는 윗실을 절단하는 실절단 수단(윗실절단 메스(14))과, 실절단 수단에연결하여 전기신호를 받아 실절단 수단에 실절단 동작시키는 실절단 구동수단(윗실 절단 구동기구(32))과,
상기 실텐션 수단과 바늘 사이의 윗실경로상에 배치되어 윗실경로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이동가능하게 한 실끄는 수단(실끄는 기구(19))과,
실끄는 수단에 연결하여 전기신호를 받아 실끄는 수단의 위치를 변경이동시키는 경로의 길이 변경에 의해 윗실을 바늘측 혹은 윗실공급원측에서 꺼낼 수 있도록 한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종료시에 작용하여 상기 실끄는 수단에 의해 실끄는 동작을 하고 나서 실절단 수단에 의해 실절단을 행하며, 그 후 실텐션 수단에 의한 윗실장력을 증대하고나서 상기 실끄는 수단에 의해 실끄는 동작을 하도록 상기 실텐션 구동수단, 상기 실절단 구동수단 및 상기 실끄는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제어장치(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서는 봉제시작의 바늘의 눈구멍에서의 실빠짐이나 스킵스티치의 방지를 위해, 바늘의 눈구멍과 실공급원 사이에 실의 느슨함을 확보할 때 느슨함을 확보하기 위한 윗실을 실공급원측에서 꺼냄과 동시에 바늘의 눈 구멍측에서 꺼내기 때문에 바늘의 눈구멍에서 윗실의 절단까지의 길이를 종래에 비교하여 짧게할 수 있고, 봉제시작의 바늘의 눈 구멍에서의 실빠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늘의 눈 구멍에서의 윗실의 절단단까지의 길이가 긴 것에 의한 종래의 여러가지 결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다음의 봉제시에 바늘의 눈 구멍에서 절단단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윗실이 누름부에 끼워지지 않게 되고 또한 다음의 솔기의 봉제시작에서 뻗어나온 실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으며, 그 실이 다음의 솔기에 감겨들어가는 것도 방지되어 그 실을 다음의 봉제종료후에 절단한다는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서는 실의 느슨함을 확보하기 위한 기구 및 처리시간을 이용하여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의 단부까지의 길이를 짧게하고 있기 때문에 독립된 기구나 처리를 새로이 추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구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됨과 동시에 원가가 저감되며 또 처리시간을 저감하여 봉제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봉제종료후 윗실이 끌려나올 때 윗실이 절단되기 전 즉 윗실이 천에 이어져 구속되는 동안에 윗실이 실공급원측으로부터 끌려나오므로 이 때 바늘의 눈 구멍측에서 윗실이 끌려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윗실이 절단된 후 즉 윗실의 단부가 자유로와지고나서 바늘의 눈 구멍측에서 윗실이 인출되므로 무리없이 윗실이 끌려나와 윗실을 바늘의 눈 구멍에서 꺼낼 때의 실끊어짐이나 천에 대한 실의 인솔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4 및 도 5와 같이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로서,
상기 실끄는 수단이 상기 실공급원과 상기 눈 구멍과의 사이에 있어서 윗실을 당기는 실당김 부재(예를들어 윗실당김 부재(29))를 구비하고,
상기 실끄는 구동수단이 상기 실공급원에서 상기 당김부재를 통해 상기 눈 구멍까지의 윗실의 경로가 짧은 제 1위치(예를들어 최후위치 P20)와, 윗실의 경로가 상기 제 1위치보다 긴 제 2위치(예를들어 최전위치 P10)와, 상기 제 1위치에서의 윗실의 경로보다 길고 또한 상기 제 2위치에서의 윗실의 경로보다 짧은 제 3위치(예를들어 중간위치 P30)로 상기 당김부재를 이동하는 이동수단(예를들어 에어실린더(26)(27))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봉제중은 상기 제 1위치에 상기 당김부재가 위치하도록 봉제종료후 윗실절단전 까지는 상기 제 3위치에 상기 당김부재가 위치하도록 또한 윗실절단후는 상기 당김부재가 상기 제 3위치에 위치한 후 상기 제 1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서는 봉제종료후 윗실절단전에 당김부재가 제 1위치에서 제 3위치로 위치하므로 윗실의 경로가 길어지고, 당김부재에 의해 윗실이 인출된다. 이 때 윗실이 절단되지 않기 때문에 윗실은 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된다. 윗실절단후는 당김부재가 제 3위치로부터 제 2위치로 위치하므로 또한 윗실의 경로가 길어져 당김부재에 의해 윗실이 인출된다. 이 때 윗실이 절단되므로 윗실은 바늘의 바늘구멍에서 인출된다. 그 후 당김부재가 제 1위치로부터 제 3위치로 위치하므로 윗실이 느슨해진다. 이 구성은 당김부재를 제 3위치(중간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이외는 기계적으로 종래와 같다. 그 때문에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음의 봉제시에 소위 스킵스티치를 확실하게 방지하며 또한 다음의 솔기의 봉제시작부터 뻗어나온 실의 길이를 짧게 한다는 것이 종래와 비교하여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실현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로서,
상기 제어수단이 실절단 전의 실끄는 수단에 의한 이동량과, 실절단 후의 실끄는 수단의 이동량의 최소한 한쪽을 변경가능 하도록 상기 실끄는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서는 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 및 바늘의 눈 구멍에서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의 최소한 한쪽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윗실절단후의 눈 구멍에서 윗실의 절단단까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다음의 봉제의 봉제시작부터 뻗어나온 실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로서,
상기 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와, 상기 눈 구멍에서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와의 총 합계를 일정한 상태로, 상기 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 및 상기 눈 구멍에서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를 변경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서는 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와, 바늘의 눈 구멍에서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와의 총 합계가 일정한 상태로 실공급원에서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 및 바늘의 눈 구멍에서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를 변경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작업자는 봉제시작의 바늘의 눈 구멍에서 실빠짐이나 스킵스티치의 방지하는 데 대한 실의 헐거운 양의 변화를 신경쓰지 않고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의 절단단까지의 길이 즉 다음의 봉제의 봉제시작부터 뻗어나온 실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를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를 도시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되는 아일렛 구멍 사뜨기 봉제를 행하는 아일렛 구멍 사뜨기 재봉틀(1)은 대략 직사각형 상자모양을 이루는 베드부(2)와, 베드부(2)의 후단부에 입설된 종동부(3)와, 종동부(3)의 상부로부터 베드부(2)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앞쪽으로 뻗어나오는 암부(4)와, 암부(4)의 전단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바늘봉(5)과, 바늘봉(5)의 하단부에 부착된 바늘(6)과, 베드부(2)안에 있어서 바늘(6)의 바로 밑에 배치된 루퍼기구(7)와, 재봉틀(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도 5에 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베드부(2)의 윗면부에 배치되어 피봉제물(60)이 올려놓여지는 이송대(11)에는 한쌍의 누름부(12)가 배치된다. 누름부(12)는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 등을 구비한 상하이동 기구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하강시에 이송대(11)상의 피봉제물(60)을 압압한다. 또 이송대(11) 및 누름부(12)는 베드부(2)안에 배치된 모터등으로 이루어지는 이송기구에 의해 일체적으로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된다.
피봉제물(60)에 아일렛 구멍을 뚫기 위한 천절단 기구는 암부(4)의 아래쪽에 있어서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가동메스(13)와, 가동메스(13)의 바로 밑에 있어서 베드부(2)에 배치된 메스받이대와, 이 가동메스(13)를 상하구동하는 메스구동기구를 구비하고, 가동메스(13)를 메스구동기구로 하강하여 가동메스(13)와 메스받이로 피봉제물(60)을 눌러 자른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하이동 및 좌우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바늘봉(5)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윗실 T를 통과하도록 관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바늘봉(5)안을 지난 윗실 T는 바늘(6)의 실통과 구멍(눈 구멍)(6a)에 삽통하고 있다. 루퍼기구(7)는 바늘(6)로부터 윗실 T를 포착하여 윗실 T의 루프 L을 형성하는 루퍼(8)와, 윗실 T의 루프 L을 펼치는 스프레더(9)와, 루퍼(8) 및 스프레더(9)를 상부에 구비한 루퍼토대(10)를 구비한다.
재봉틀 모터(54)(도 5의 블록도에 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바늘봉(5)이 상하이동 및 요동하고, 바늘봉(5)에 동기하여 루퍼(8) 및 스프레더(9)가 구동되는 것으로 바늘봉(5), 루퍼(8) 및 스프레더(9)가 협동하여 솔기가 피봉제물(60)에 형성된다.
또 아일렛 구멍의 원호부의 주위에 방사모양의 솔기를 형성하므로 바늘봉(5) 및 루퍼토대(10)는 타이밍 벨트(41) 및 전동샤프트(42)를 구비한 회전기구에 의해수직인 회전축 둘레(바늘봉(5)의 축선둘레)에 회전된다. 상기 상하이동 기구, 이송기구, 회전기구 및 메스구동기구는 제어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봉제종료후에 윗실 T를 절단하는 윗실절단기구는 루퍼토대(10)의 상부에 구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윗실절단 메스(14)와, 솔레노이드 등을 갖는 윗실절단 구동기구(32)(도 5에 도시)를 구비한다. 윗실절단 메스(14)는 윗실절단 구동기구(32)에 의해 구동되어 루퍼(8) 및 스프레더(9)에 의해 형성된 윗실루프 L부분에 있어서 윗실 T를 절단한다.
또 도 1 및 도 3과 같이 윗실공급원인 실패로부터 바늘(6)의 실통과구멍(6a)으로 이끌기 위한 윗실 안내기구(15)는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바늘(6)의 실통과구멍(6a)까지의 윗실경로에 배치된 실안내부재(16)와,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바늘(6)까지 사이의 윗실경로에 있어서 윗실 T를 압압하여 윗실 T에 저항력을 주는 실텐션 장치(17)와,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까지 사이의 윗실경로에 있어서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바늘(6)로 윗실을 공급하는 천칭(18)과, 천칭(18)으로부터 바늘(6)까지의 윗실 T의 경로에 배치된 천칭 실안내(40)와, 봉제종료후에 윗실 T를 꺼내어 다음의 봉제개시시까지 윗실공급원에서 바늘(6)의 실통과구멍(6a)까지 사이의 윗실경로에 있어서 윗실 T를 느슨하게 해 두는 실끄는 기구(19)(도 4에 주로 도시)등을 구비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하기 위해 천칭 실안내(4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암부(4)의 상단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봉모양의 부재인 실안내 부재(16)에는 윗실공급원에서 도출된 윗실 T가 순차 삽통되는 실통과 구멍(16a)(16b)이 형성된다.
실텐션 장치(17)는 실안내 부재(20)와, 가동접시(21) 및 고정접시(22)로 이루어지는 텐션접시 쌍(23)과, 솔레노이드(24)(실텐션 구동수단)와, 단나사(25) 등을 구비한다. 실안내 부재(20), 텐션접시 쌍(23) 및 솔레노이드(24)는 실안내부재(16)보다 뒤쪽에 배치된다. 실안내 부재(20)는 암부(4)의 상단에 부착되고, 실통과 구멍(20a)(20b)이 형성된다. 고정접시(22)는 실안내부재(20)상에 배치된다. 가동접시(21)는 고정접시(22)에 대향배치된다. 가동접시(21) 및 고정접시(22)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가동접시(21) 및 고정접시(22)의 관통공에 단나사(25)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된다. 단나사(25)의 머리부는 가동접시(21)의 상부에 있고, 단나사(25)의 나사부분이 솔레노이드(24)의 플랜저(24a)에 조여지고 있다. 솔레노이드(24)는 암부(4)내에 고정되고 있다. 솔레노이드(24)는 전자액튜에이터로서, 전류가 흐름으로써 플랜저(24a)를 상하방향으로 진퇴하는 것이다.
실안내 부재(16)의 실통과 구멍(16b)으로 뒤로 되돌아 온 윗실 T는 실안내 부재(20)의 실통과 구멍(20a)을 거쳐 텐션접시 쌍(23)사이에서 끼워져 앞으로 되돌아 온다. 또한 윗실 T는 텐션접시 쌍(23)으로 부터 실안내 부재(20)의 실통과 구멍(20b)으로 이끌려 실통과 구멍(20b)에 삽입하고 있다.
플랜저(24a)가 밑으로 끌리면 텐션접시 쌍(23)에 추력이 작용하고, 텐션접시 쌍(23)에 끼워지고 있는 윗실 T에 저항력(압압력)이 작용하며, 이로써 윗실 T에 장력이 발생한다. 텐션접시 쌍(23)에 작용하는 추력의 크기 즉 텐션접시쌍(23)으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저항력의 크기는 솔레노이드(4)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에 비례한다. 제어장치(50)가 솔레노이드(24)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윗실 T에 작용하는 저항력의 크기, 즉 윗실장력이 제어된다. 또한 이 실텐션 장치(17)는 일본국 특개 2000-202183호 공보에 기재되는 실텐션 장치와 동일한 구성의 실텐션 장치로서, 솔레노이드(24)의 가동부(플랜저(24a))로부터 텐션접시 쌍(23)에 작용하는 추력이 가동부의 스트로크에 의하지 않는 구간을 갖고, 솔레노이드(24)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면 텐션접시 쌍(23)으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실장력(즉 압압력)이 윗실 T의 굵기에 의해 달라지지 않는다.
도 4와 같이 실끄는 기구(19)는 에어실린더(26)(27)와, 에어실린더(27)를 고정하는 실린더 브라켓(28)과, 윗실당김부재(29)를 구비한다. 한쪽의 에어실린더(26)는 암부(4)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암부(4)에 고정된다. 에어실린더(26)에 에어가 흡기되면 플랜저(26a)가 앞쪽으로 밀려나오고 에어실린더(26)로부터 에어가 배기되면 플랜저(26a)가 뒤쪽으로 인입한다.
다른쪽의 에어실린더(27)는 에어실린더(26)에 병렬로 암부(4)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에어의 흡배기에 의해 플랜저(27a)가 전후방향으로 진퇴한다.
실린더 브라켓(28)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한편 암부(4)의 윗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장공(31)이 형성되며, 실린더 브라켓(28)의 관통공과 상기 장공(31)을 나사(30)(30)가 관통하고 있다. 나사(30)(30)를 넛트에 의해 체결하고, 암부(4)에 대해 에어실린더(27) 및 실린더 브라켓(28)이 고정된다. 나사(30)(30)를 헐겁게 함으로써 장공(31)의 범위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에어실린더(27) 및 실린더 브라켓(28)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에서는 나사(30)(3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에어실린더(26)의 플랜저(26a)의 선단부에는 윗실담김부재(29)가 부착되고, 에어실린더(26)의 동작에 의해 윗실당김부재(29)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윗실당김부재(29)의 단편(29a)은 에어실린더(27)의 플랜저(27a)의 전후방향 궤도상에 대향하도록 뻗어나와 있다. 따라서 에어실린더(27)가 작동할 때 단편(29a)에 플랜저(27a)가 결합하여 윗실당김부재(29)는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에어실린더(27)의 스트로크는 에어실린더(26)의 스트로크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짧으며 에어실린더(26) 및 에어실린더(27)의 스트로크는 늘 일정하다. 또한 에어실린더(26)의 플랜저(26a)가 앞쪽으로 밀려나올 때는 에어실린더(27)가 전후방향의 어떤 배치위치에 있어도 플랜저(27a)가 밀려나올 때 그 선단은 단편(29a)에서 멀어지고 있다.
또 에어실린더(27)의 플랜저(27a)가 인입하고 있을 때에는 에어실린더(27)가전후방향의 어떤 배치위치에 있어도 플랜저(27a)의 선단은 단편(29a)에서 멀어지고 있다.
또 에어실린더(26)의 플랜저(26a)가 인입하는 경우에 에어실린더(27)의 플랜저(27a)가 밀려나오면 에어실린더(27)가 전후방향의 어떤 배치위치에 있어도 단편(29a)이 플랜저(27a)에 밀려 윗실당김부재(29)가 앞쪽으로 이동한다.
즉 도 4(c)와 같이 에어실린더(26)의 플랜저(26a)가 밀려나오고 있으면 윗실당김부재(29)는 전후방향 궤도의 최전단인 최전위치 P10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4(a)와 같이 에어실린더(26)의 플랜저(26a) 및 에어실린더(27)의 플랜저(27a)가 함께 인입하고 있으면 윗실당김부재(29)는 전후방향 궤도의 최후단인 최후위치 P20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4(b)와 같이 에어실린더(26)의 플랜저(26a)가 인입하고 있고 또한 에어실린더(27)의 플랜저(27a)가 밀려나오면 윗실당김부재(29)는 최전위치 P10와 최후위치 P20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위치 P30에 위치하고 있다.
에어실린더(26)의 스트로크는 늘 일정하므로 최전위치 P10로부터 최후위치 P20까지의 거리는 늘 일정하게 된다. 또 최후위치 P20에서 중간위치 P30까지의 거리는 에어실린더(27)의 전후방향 위치에 의해 정해지고, 에어실린더(27)가 더욱 뒤쪽에 있음에 따라 최후위치 P20에서 중간위치 P30까지의 거리는 짧아지며, 에어실린더(27)가 더욱 앞쪽에 있음에 따라 최후위치 P20에서 중간위치 P30까지의 거리는 길어진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윗실당김부재(29)의 윗편(29b)은 암부(4)안에서 암부(4)의 위쪽으로 뻗어나오고, 실텐션 장치(17)보다 앞쪽에 배치된다.윗편(29b)의 상단부분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실통과 구멍(29c)이 형성된다. 실안내 부재(20)의 실통과 구멍(20b)을 지난 윗실 T는 실당김 부재(29)의 실통과 구멍(29c)으로 이끌리고, 실통과 구멍(29c)에서 뒤로 되돌아 오고 있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단부에 실통과 구멍(18a)이 형성되는 천칭(18)은 암부(4)안에서 암부(4)의 위쪽으로 뻗어나오고, 윗실당김부재(29)의 윗편(29b)보다 뒤쪽에 배치된다. 또 천칭(18) 및 윗실당김부재의 앞쪽 또한 바늘봉(5)의 상단보다 뒤쪽에 천칭 실안내(40)가 배치된다. 윗실당김부재(29)의 실통과 구멍(29c)을 거친 윗실 T는 천칭(18)의 실통과 구멍(18a)에서 앞쪽으로 되돌아 오고 있기 때문에 천칭 실안내(40)를 거쳐 바늘봉(5)의 상단에 이르고, 바늘봉(5)안을 거쳐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에 이른다.
또 천칭(18)은 재봉틀 모터(54)에 연결한 클랭크 기구에 연결하고 있고, 봉제중에 전후방향으로 요동하여 윗실공급원에서 윗실 T를 인출하여 바늘(6)로 윗실 T를 공급한다.
다음에 재봉틀(1)의 제어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제어장치(50)는 CPU(51)와, RAM(52)과, ROM(53)과, 이들을 접속하는 시스템 버스를 갖는 연산처리장치를 기본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CPU(51)에는 시스템 버스 및 구동회로 등을 통해 재봉틀 모터(54), 솔레노이드 등의 윗실절단 구동기구(32)(실절단 구동수단), 솔레노이드(24) 및 전자밸브(56)(57)가 접속되고 있다. 전자밸브(56)는 에어실린더(26)에 에어의 주입·배출하기 위한 밸브로서, 전자밸브(57)는 에어실린더(27)에 에어의 주입·배출하기 위한 밸브이다.
ROM(53)에는 재봉틀(1)의 각 부(즉 재봉틀 모터(54), 윗실절단 구동기구(32), 솔레노이드(24) 및 전자밸브(56)(57) 등)를 제어하여 봉제동작 및 봉제에 부수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및 이 제어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제어데이터 등이 격납되고 있다. CPU(51)는 RAM(52)을 작업영역으로 하여 ROM(53)에 격납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연산을 행한다. 즉 제어장치(50)는 CPU(51)의 연산에 의해 재봉틀(1)을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재봉틀(1)은 아일렛 구멍의 둘레에 사뜨기 봉제를 행하여 바느질에 부수하는 동작도 행한다.
다음에 재봉틀(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재봉틀(1)이 동작을 행하기 전 즉 봉제개시전에서는 바늘봉(5) 및 바늘(6)은 상승한 위치에 있다. 또한 봉제개시전에서는 제어장치(50)에 의해 봉제되고, 에어실린더(26)의 플랜저(26a)가 밀려나오고 있으며, 도 6(a)및 도 4(c)와 같이 윗실당김 부재(29)는 최전위치 P10에 위치하고 있다. 윗실당김 부재(29)가 최전위치 P10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텐션접시 쌍(23)에서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까지 사이의 윗실 T경로가 더욱 길어진다.
또 봉제개시전에서는 통상, 소정의 장력이 윗실 T에 부여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어장치(50)는 솔레노이드(24)에 구동지령을 주고, 텐션접시 쌍(23)에서 윗실 T에 압압력(저항력)이 작용한다. 이 때 실안내 부재(16)로부터 천칭(18)에 걸어 윗실 T가 뻗고 있다.
이어서 피봉제물(60)이 이송대(11)상에 올려놓여져 누름부(12)가 하강하고,또한 제어장치(50)에 의해 제어되어 에어실린더(26)의 플랜저(26a) 및 에어실린더(27)의 플랜저(27a)가 인입한다. 이에 따라 도 6(b) 및 도 4(a)와 같이 윗실당김부재(29)는 최전위치 P10로부터 최후위치 P20으로 이동하고, 윗실당김부재(29)는 천칭(18)에 다가간다. 최후위치 P20에서는 텐션접시 쌍(23)에서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까지 사이의 윗실경로가 더욱 짧아지므로 윗실은 텐션접시 쌍(23)으로부터 실통과 구멍(6a)사이에 있어서 느슨해진다.
이어서 제어장치(50)로부터 재봉틀 모터(54)에 구동신호가 출력되고 재봉틀 모터(54)에 의해 천칭(28)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으로 윗실공급원에서 바늘(6)로 윗실 T이 공급됨과 동시에 재봉틀 모터(54)에 의해 바늘봉(5), 루퍼(8) 및 스프레더(9)가 협동하는 것으로 피봉제물(60)에 솔기가 형성된다. 봉제시 최초에 바늘(6)이 하강하는 시점에서 윗실 T가 느슨해 지고 있기 때문에(도 6(b)에 도시) 바늘(6)이 하강한 경우에도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에서 윗실 T가 빠지지 않고 윗실 T가 루퍼(8)에 의해 확실하게 포착되어 소위 스킵스티치가 일어나지 않는다.
솔기의 형성이 완료하면 제어장치(50)는 재봉틀 모터(54)를 정지시킨다. 도 2(a)와 같이 재봉틀 모터(54)가 정지한 시점에서는 바늘봉(5) 및 바늘(6)이 상승한 위치에 있고, 윗실 T는 스프레더(9) 계속해서 루퍼(8)에 걸려 루프 L이 되며 피봉제물(60)로 이르고 있다. 또 이 시점에서는 도 6(c)과 같이 텐션접시 쌍(23)으로부터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사이에 있어서 윗실 T는 뻗고 있다.
이어서 도 6(d) 및 도 4(b)와 같이 제어장치(50)에 의해 제어되고, 에어실린더(27)의 플랜저(27a)가 밀려나와 윗실당기부재(29)가 최후위치 P20에서 중간위치P30으로 이동한다. 윗실당김부재(29)가 천칭(18) 및 텐션접시 쌍(23)에서 멀어지므로 중간위치 P30에서의 텐션접시 쌍(23)에서 바늘(6)에 걸친 윗실 T의 경로는 최후위치 P20에서의 경로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윗실 T가 윗실당김부재(29)에 의해 인출된다. 이 때 텐션접시 쌍(23)에서 실통과 구멍(6a)에 걸쳐 윗실 T가 뻗고, 윗실 T가 피봉제물(60)의 솔기에 연결되어 인출되기 어려워 짐과 동시에 실텐션 접시에 의한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은 통상의 인출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윗실당김부재(29)가 중간위치 P30으로 이동하면 윗실 T는 실통과 구멍(6a)에서는 인출되지 않고 윗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된다.
이어서 제어장치(50)가 윗실절단 구동기구(32)에 구동지령을 출력하는 것으로 윗실절단 구동기구(32)가 윗실절단 메스(14)를 구동하고, 도 2(b)와 같이 윗실 T는 루프 L에 있어서 윗실절단메스(14)에 의해 잘린다. 이어서 제어장치(50)가 솔레노이드(24)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솔레노이드(24)의 추력이 상승하고, 텐션접시 쌍(23)에서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이 봉제시보다 증대하여 윗실 T의 장력이 증대한다.
이어서 도 6(e) 및 도 4(c)와 같이 제어장치(50)에 의해 제어되고, 에어실린더(26)의 플랜저(26a)가 밀려나와 윗실당김 부재(29)가 중간위치 P30에서 최전위치 P10으로 이동한다. 윗실당김부재(29)가 천칭(18) 및 텐션접시 쌍(23)에서 멀어지므로 최전위치 P10에서의 텐션접시 쌍(23)으로부터 바늘(6)에 걸친 윗실 T의 경로는 중간위치 P30에서의 경로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윗실 T가 윗실당김부재(29)에 의해 인출된다. 이 때 윗실 T가 절단되는 데다가 텐션접시 쌍(23)으로부터 윗실 T에봉제중 보다도 증대한 압압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윗실당김부재(29)가 최전위치 P10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윗실은 윗실공급원에서 인출되지 않으며,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에서 인출된다. 그 때문에 도 2(c)와 같이 실통과 구멍(6a)에서 윗실 T의 선단까지의 길이가 도 9(c)의 종래의 경우와 비교해도 짧아진다. 또한 이 때의 봉제중 보다도 증대한 압압력 즉 윗실당김부재(29)가 최전위치 P10으로 이동할 때의 텐션접시 쌍(23)으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은 윗실당김 부재(29)의 최전위치 P10로의 이동에 의한 윗실공급원에서의 윗실 T의 인출을 저지하는 데 충분한 크기이다.
이어서 제어장치(50)가 솔레노이드(4)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초기의 레벨로 하강시킨다. 이것으로 하나의 아일렛 구멍에 사뜨기 봉제를 실시하는 일련의 동작이 종료하고, 새로이 사뜨기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재봉틀(1)은 도 2, 도 4 및 도 6에서 설명한 동작을 반복한다. 즉 새로이 사뜨기를 실시하기 전에는 다시 윗실당김부재(29)가 최후위치 P20으로 이동한다(도 6(b). 다음의 새로운 사뜨기 봉제에서는 실통과 구멍(6a)에서 윗실 T의 선단까지의 길이가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누름부(12)에 의해 윗실 T가 끼워져 인장되는 것이 방지되며, 바늘(6)이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실통과 구멍(6a)에서 윗실단까지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새로운 사뜨기봉제의 봉제시작부터 뻗은 실도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그 뻗어나온 실이 새로운 솔기에 감겨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데다가 뻗어나온 실을 봉제종료후에 절단하는 작업도 행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새로운 사뜨기봉제를 실시할 때도 도 6(b)과 같이 윗실 T가 느슨해지고 있기 때문에 소위 스킵스티치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 이상의 재봉틀(1)에서는 작업자 등이 나사(30)(30)를 느슨하게 하고, 에어실린더(27)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중간위치 P30의 위치를 변경가능하며, 윗실절단후의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에서 끌리는 윗실 T의 양(길이)을 변경가능하다. 즉 중간위치 P30을 최후위치 P20에 다가가게 함에 따라 도 6(d)와 같은 윗실당김 부재(29)의 이동에 따라 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되는 윗실 T의 양이 적어짐과 동시에 도 6(e)와 같은 윗실당김부재(29)에 따라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에서 끌리는 윗실의 양이 많아진다. 중간위치 P30의 위치가 변경가능하기 때문에 윗실절단후의 실통과 구멍(6a)에서 윗실 T의 절단단까지의 길이를 조정가능하며, 다음 봉제의 봉제시작부터 뻗어나온 실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중간위치 P30의 위치를 바꾼 것으로 해도 최전위치 P10에서 최후위치 P20까지의 거리가 일정하므로 도 6(a)에서의 텐션접시 쌍(23)에서 실통과 구멍(6a)까지의 윗실 T의 경로의 길이는 바뀌지 않고 도 6(b)과 같은 윗실당김 부재(29)의 이동에 따른 소위 윗실의 느슨한 양은 바뀌는 경우는 없다. 즉 도 6(d)와 같은 윗실당김 부재(29)의 이동에 따라 윗실 T의 인출된 길이와, 도 6(e)의 윗실당김 부재(29)의 이동에 따라 윗실 T의 인출된 길이와의 총 합계는 늘 일정하다. 그러나 소위 윗실의 느슨한 양이 기준량보다 많아지면 새로운 솔기는 헐거워 지고, 윗실의 느슨한 양이 기준양 보다 적어지면 소위 스킵스티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이상의 재봉틀(1)에서는 중간위치 P30의 위치를 변경한 것으로 해도 소위 느슨한 양이 바뀌지 않기 때문에(즉 소위 느슨한 양은 기준량으로 일정하므로) 새로운 솔기의 느슨함 및 소위 스킵스티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행해도 좋다.
예를들어 봉제개시시에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으로부터 먼저의 윗실단을 클램프장치를 이용하여 누름부(12)의 바로 위쪽에서 고정시켜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봉제시작부터 뻗어나온 실을 솔기에 꿰매어 넣을 수 있고, 봉제시작부터 뻗어나온 실을 봉제종료후에 수작업으로 끊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최전위치 P10에서 최후위치 P20로의 구동을 에어실린더(26)로 행하고, 최후위치 P20로부터 중간위치 P30으로의 구동을 에어실린더(27)로 행하며, 중간위치 P30에서 최전위치 P10으로의 구동을 에어실린더(26)로 행하였다. 그러나 상술과 같이 최전위치 P10-> 최후위치 P20 -> 중간위치 P30 -> 최전위치 P10의 순으로 윗실당김 부재(29)가 이동할 수 있으면 에어실린더(26)(27)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솔레노이드, 모터 혹은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과 에어실린더의 조합에 의해 윗실당김부재(29)를 이동시켜도 된다. 예를들어 구동취출축의 회전각도를 제어가능한 펄스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전동기구를 통해 윗실당김부재(29)를 이동시켜도 된다. 이 경우 제어장치(50)가 펄스모터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윗실당김부재(29)가 상술과 같이 최전위치 P10 -> 최후위치 P20 -> 중간위치 P30 -> 최전위치 P10의 순으로 이동한다. 물론 이 경우도 최전위치 P10에서 최후위치 P20의 위치는 늘 일정하여 예를들어 조작패널 등에서의 설정에 의해 제어장치(50)는 중간위치 P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실텐션 장치(17)는 솔레노이드(24)를 이용하여 텐션접시 쌍(23)에서 윗실 T에 압압력(장력)을 작용시키고 있었지만 에어실린더 또는 모터를 이용하여 텐션접시 쌍(23)에서 윗실 T에 압압력을 작용시켜도 좋다. 이 경우도 봉제 공정에서부터 윗실당김 부재(29)가 중간위치 P30으로 이동하는 공정까지의 사이에 텐션접시쌍(23)에서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에서 중간위치 P30으로부터 최전위치 P10으로 이동하는 공정에서 텐션접시 쌍(23)에서 윗실에 작용하는 압압력이 커지도록 제어장치(50)는 에어실린더 또는 모터를 제어한다. 에어실린더의 경우에는 에어실린더에 주입하는 에어의 압력을 높게 하면 텐션접시쌍(23)에서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이 커진다.
또 실텐션 장치의 수 또는 위치도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의 ①~③과 같이 해도 좋다.
① …예를들어 윗실공급원에서 윗실당김 부재(29)까지의 사이의 윗실경로에 여러개의 실텐션 장치를 배치한 경우.
이 경우는 봉제 공정에서 윗실당김 부재(29)가 중간위치 P30으로 이동하는 공정까지의 사이에 여러개의 실텐션 장치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총 압압력보다 중간위치 P30에서 최전위치 P10으로 이동하는 공정에서 여러개의 실텐션 장치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총 압압력이 커지도록 제어장치(50)가 여러개의 실텐션 장치를 제어한다.
② …예를들어 윗실당김 부재(29)로부터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까지 사이의 윗실경로에 여러개(또는 단수)의 실텐션 장치를 배치한 경우.
이 경우는 봉제 공정에서 윗실당김 부재(29)가 중간위치 P30으로 이동하는 공정까지의 사이에 여러개(또는 단수)의 실텐션 장치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총압압력보다 윗실당김 부재(29)가 중간위치 P30으로부터 최전위치 P10으로 이동하는 공정에서는 여러개(또는 단수)의 실텐션장치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총압압력이 작아지도록 제어장치가 여러개(또는 단수)의 실텐션 장치를 제어한다.
③ …예를들어 윗실공급원에서 윗실당김 부재(29)까지의 사이의 윗실경로에 여러개(또는 단수)의 실텐션 장치(다음 상류측 실텐션 장치라 함)를 배치하고 또한 윗실당김 부재(29)로부터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까지 사이의 윗실경로에 여러개(또는 단수)의 실텐션 장치(다음 할측 실텐션장치라 함)를 배치한 경우.
이 경우는 봉제의 공정에서 윗실당김 부재(29)가 중간위치 P30로 이동하는 공정까지의 사이에서는 상류측 실텐션 장치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총압압력은 하류측 실텐션 장치로부터 밑실에 작용하는 총압압력보다 작아지도록 제어장치(50)는 하류측 실텐션 장치 및 상류측 실텐션 장치를 제어한다. 윗실당김 부재(29)가 중간위치 P30로부터 최전위치 P10으로 이동하는 공정에서는 상류측 실텐션 장치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총압압력은 하류측 실텐션 장치로부터 밑실에 작용하는 총압압력보다 커지도록 제어장치(50)는 하류측 실텐션 장치 및 상류측 실텐션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①~③의 어떠한 경우에서도 윗실당김 부재(29)가 최전위치 P10로부터 중간위치 P30으로 이동할 때에는 (도 6(d)에 도시하는 공정에서는) 윗실 T는 윗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되고, 윗실당김 부재(29)가 중간위치 P30으로부터 최후위치P20으로 이동할 때에는 (도 6(e)에 도시하는 공정에서는) 윗실은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에서 끌리게 된다.
또 실안내 기구(15)를 도 7과 같은 윗실안내기구(70)를 대신해도 좋다. 또한 윗실안내기구(70)를 구비하는 재봉틀은 윗실안내기구(15) 이외는 상기 실시예의 재봉틀(1)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7의 윗실안내기구(70)는 천칭(18)과, 암부(4)상에서 고정된 실안내 부재(74)와, 실안내 부재(74)보다 앞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암부(4)상에 배치된 실당김 부재(71)(72)와, 실당김 부재(71)를 전후방향 구동하는 제 1구동수단과, 실당김 부재(72)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제 1구동수단 및 제 2구동수단은 제어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윗실공급원에서 도출된 윗실 T는 실당김 부재(71)의 실통과 구멍을 거쳐 뒤로 되돌아오고, 실안내 부재(74)로 이끌리고 있다. 그리고 윗실은 실안내 부재(74)의 실통과 구멍을 거쳐 앞으로 되돌아 오고, 실당김 부재(72)에 이끌리고 있다. 또한 윗실 T는 실당김 부재(72)의 실통과 구멍을 거쳐 뒤로 되돌아 오고, 천칭(18)으로 이끌리고 있다. 그리고 천칭(18)의 실통과 구멍을 거친 윗실 T는 바늘봉(5)을 통해 실통과 구멍(6a)으로 이끌리고 있다. 또한 윗실공급원으로부터 실통과 구멍(6a)사이의 윗실경로에 실텐션 장치가 배치되고 있어도 된다. 또 실안내부재(74)를 대신하여 윗실 T를 압압하여 윗실 T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실텐션 장치가 실안내 부재(74)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어장치(50)가 제 1구동수단 및 제 2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 1구동수단 및 제 2구동수단에 의해 실당김 부재(71)(72)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봉제개시전에서는 실당김 부재(71)(72)는 자체의 전후방향 궤도범위에서 가장 앞에 위치하고 있으며, 윗실공급원에서 실통과 구멍(6a) 사이의 윗실경로에 있어서 윗실 T가 뻗고 있다. 봉제개시 직전에서 실당김 부재(71) 및 실당김 부재(72)가 자체의 전후방향 궤도범위에서 더욱 뒤(또한 실안내부재(74)보다는 앞쪽이다)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윗실 T가 느슨해진다. 그리고 재봉틀(1)에 의해 봉제가 행해지지만 이 때에도 당김부재(71)(72)는 더욱뒤에 위치하고 있다. 봉제시 최초에 바늘(6)이 하강하는 시점에서 윗실 T가 느슨해 지고 있기 때문에 소위 스킵스티치가 일어나지 않는다.
봉제가 완료하면 당김부재(71)가 더욱 뒤의 위치에서 더욱 앞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윗실 T가 피봉제물(60)에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윗실공급원에서 윗실 T가 인출된다. 이어서 윗실 T가 윗실절단 메스(14)에 의해 절단된다. 이어서 당김부재(72)가 더욱 뒤의 위치에서 더욱 앞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윗실 T는 절단되고 있기 때문에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에서 윗실 T가 끌린다. 이와같이 당김부재(71)(72)가 동작함으로써 봉제종료후 윗실절단전은 윗실공급원에서 윗실이 인출되고, 윗실절단후는 바늘(6)의 실통과 구멍(6a)에서 윗실이 끌린다. 또한 실안내 부재(47)를 대신하여 실텐션 장치가 배치되는 경우 봉제중에 실텐션 장치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보다 봉제종료후에 당김부재(71)(72)가 동작하고 있을 때 실텐션 장치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이 크다. 여기서 당김부재(71)(72), 제 1구동수단 및 제 2구동수단이 실끄는 수단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봉제종료후에 윗실이 느슨해 지고 있기 때문에 다음의 봉제시에 바늘이 최초로 하강해도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이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소위 스킵스티치가 방지된다. 또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이 인출되고 있기 때문에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의 절단단부까지의 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바늘의 눈 구멍 및 실공급원의 양쪽에서 윗실이 인출되므로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이 빠지는 경우가 방지되며 다음의 봉제시에 바늘이 최초로 하강해도 바늘의 눈구멍에서 윗실이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스킵스티치가 확실하게 방지됨과 동시에 다음의 봉제개시전에 있어서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의 절단단까지의 길이를 종래에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실의 느슨함을 확보하기 위한 기구 및 처리시간을 이용하여 바늘의 눈 구멍에서 윗실의 단부까지의 길이를 짧게하고 있기 때문에 독립된 기구나 처리를 새로이 추가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기구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됨과 동시에 원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 처리시간을 저감하여 봉제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실공급원으로부터 바늘의 눈 구멍에 이르는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텐션 수단과,
    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봉제종료후에 상기 눈 구멍에서 피봉제물에 이어지는 윗실을 절단하는 실절단 수단과,
    실절단 수단에 연결하여 전기신호를 받아 실절단 수단에 실절단 동작시키는 실절단 구동수단과,
    상기 실텐션 수단과 바늘 사이의 윗실 경로상에 배치되어 윗실 경로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이동가능하게 한 실끄는 수단과,
    실끄는 수단에 연결하여 전기신호를 받아 실끄는 수단의 위치를 변경이동시키는 실끄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실끄는 수단에 의한 윗실경로의 길이변경에 의해 윗실을 바늘측 혹은 윗실공급원측에서 인출가능하게 한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종료시에 작용하여 상기 실끄는 수단에 의해 실끄는 동작을 하고나서 실절단 수단에 실절단을 행하고, 그 후 실텐션수단에 의한 윗실장력을 증대하고 나서 상기 실끄는 수단에 의해 실끄는 동작을 하도록 상기 실텐션 구동수단, 상기 실절단 구동수단 및 상기 실끄는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끄는 수단이 상기 실공급원과 상기 눈 구멍 사이에 있어서 윗실을 당기는 당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실끄는 구동수단이 상기 실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당김부재를 거쳐 상기 눈 구멍까지의 윗실의 경로가 짧은 제 1위치와, 윗실의 경로가 상기 제 1위치보다 긴 제 2위치와, 상기 제 1위치에서의 윗실의 경로보다 길고 또한 상기 제 2위치에서의 윗실의 경로보다 짧은 제 3위치로 상기 당김부재를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봉제중은 상기 제 1위치에 상기 당김부재가 위치하도록 봉제종료후 윗실절단전 까지는 상기 제 3위치에 상기 당김부재가 위치하도록 또한 윗실절단후는 상기 당김부재가 상기 제 3위치에 위치한 후 상기 제 1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실절단 전의 실끄는 수단에 의한 이동량과, 실절단 후의 실끄는 수단의 이동량의 최소한 한쪽을 변경가능 하도록 상기 실끄는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와, 상기 눈 구멍에서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와의 총 합계를 일정한 상태로, 상기 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 및 상기 눈 구멍에서 인출되는 윗실의 길이를 변경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30010390A 2002-02-20 2003-02-19 재봉틀 KR101033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3474 2002-02-20
JP2002043474A JP4094867B2 (ja) 2002-02-20 2002-02-20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849A true KR20030069849A (ko) 2003-08-27
KR101033076B1 KR101033076B1 (ko) 2011-05-06

Family

ID=2778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390A KR101033076B1 (ko) 2002-02-20 2003-02-19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94867B2 (ko)
KR (1) KR101033076B1 (ko)
CN (1) CN100575588C (ko)
DE (1) DE1030702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6551B2 (ja) * 2004-01-29 2009-06-10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多頭ミシン
JP4552141B2 (ja) * 2005-07-21 2010-09-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工業用ミシン
JP5427438B2 (ja) * 2009-02-27 2014-02-26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16067696A (ja) * 2014-09-30 2016-05-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WO2019190195A1 (ko) * 2018-03-30 2019-10-03 박정현 재봉기
CN114302987A (zh) * 2019-10-16 2022-04-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缝制方法和缝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85061A (it) * 1967-09-20 1970-01-31 Rimoldi C Spa Virginio Dispositivo di manipolazione del filo in macchine per cucire con dispositivo tagliafilo
US3584589A (en) * 1970-01-27 1971-06-15 Clinton Ind Thread trimmer
DE3232813A1 (de) * 1982-08-26 1984-03-08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Tokyo Verfahren zum steuern des oberen fadens in einer naehmaschine
DE3604299A1 (de) * 1985-04-16 1986-10-16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Verfahren zum ziehen des freien fadenendes eines nadelfadens von der oberseite eines naehguts auf dessen unterseite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H06134162A (ja) * 1992-10-28 1994-05-17 Juki Corp ミシンの上糸供給制御装置
JPH08864A (ja) * 1994-06-20 1996-01-09 Juki Corp ミシンの糸制御装置
JP3877829B2 (ja) * 1997-03-31 2007-02-07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糸供給装置
JP4046431B2 (ja) * 1999-01-18 2008-02-1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DE29922786U1 (de) * 1999-12-22 2000-03-23 Pfaff Ag G M Nähmaschine mit einer Fadenrückzieheinrichtung
JP4450943B2 (ja) 2000-04-17 2010-04-14 Juki株式会社 鳩目穴かがりミシンの上糸案内装置
JP2002177678A (ja) * 2000-12-13 2002-06-25 Juki Corp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94867B2 (ja) 2008-06-04
KR101033076B1 (ko) 2011-05-06
CN100575588C (zh) 2009-12-30
DE10307022B4 (de) 2008-07-24
DE10307022A1 (de) 2003-10-16
JP2003236281A (ja) 2003-08-26
CN1439759A (zh)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5071A (ko) 재봉기
US10781544B2 (en) Quilting machine
CN110621819B (zh) 绗缝机
JP6530197B2 (ja) ミシン
KR20140085427A (ko) 이중 체인 스티치의 솔기의 풀림 방지 방법, 이중 체인 스티치 재봉틀의 솔기의 풀림 방지 장치 및 이중 체인 스티치의 솔기 구조
JP2013034812A (ja) 縫目のほつれ止め装置付二重環縫いミシン
JP3318482B2 (ja) 縫い目ほつれ防止方法及び装置
KR101033076B1 (ko) 재봉틀
JP2879399B2 (ja) 縫い目のほつれ防止方法及び装置
JPH0234194A (ja) 複数針偏平縫いミシンの縫製方向転換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5544056B2 (ja) 飾り縫いミシン
KR20010062287A (ko) 체인스티치 재봉틀
CN216838498U (zh) 一种缝纫机挑线机构
JPS6141594B2 (ko)
CN107663718A (zh) 缝纫机及缝纫机的控制方法
JP2001300169A (ja) 二重環縫いミシン
JPH05208082A (ja) 1層以上の被縫製物の縫製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縫製装置
CN112442798B (zh) 防线迹开线的方法及防线迹开线的装置
US1525643A (en) Thread-tension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CN112210894B (zh) 防线迹开线的方法及防线迹开线的装置
JPH0587278B2 (ko)
JP4862322B2 (ja) 鳩目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芯糸供給装置
JPH0662985U (ja) 偏平縫いミシン
JP2002126387A (ja) ミシン
JPH0739669A (ja) 刺繍ミシンの上糸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