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144A -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지지부재의 제조방법,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 가공재료의제조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지지부재의 제조방법,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 가공재료의제조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144A
KR20030055144A KR1020020083336A KR20020083336A KR20030055144A KR 20030055144 A KR20030055144 A KR 20030055144A KR 1020020083336 A KR1020020083336 A KR 1020020083336A KR 20020083336 A KR20020083336 A KR 20020083336A KR 20030055144 A KR20030055144 A KR 20030055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support member
separating
display unit
displa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0222B1 (ko
Inventor
타지마히사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59Splitting sheet lamina in plane intermediate of 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26Using direct fluid current against work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32Using vacuum directly against work during delami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79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with poking during delaminating [e.g., jabbing, etc.]
    • Y10T156/1184Piercing layer during delaminating [e.g., cut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89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with shearing during delami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21Disassembling by altering or destroying work part or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74Means to disassemble electric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즉, 해체)방법,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지지부재와 화상표시부용의 제조방법 및 가공재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를,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사이에 물질을 삽입함으로써 행하는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지지부재의 제조방법,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 가공재료의 제조방법 및 화상표시장치{METHOD FOR DISASSEMBLING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PRODUCING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PRODUCING SUPPORT MEMBER, METHOD FOR PRODUCING IMAGE DISPLAY UNIT, METHOD FOR PRODUCING WORKING MATERIA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접착부재에 의해 접합해서 이루어진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즉, 해체)방법, 이러한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상기 지지부재의 제조방법,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 가공재료의 제조방법 및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방전을 이용하는 것, 액정을 이용하는 것, 형광체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것 등의 전자방출소자를 이용하는 화상표시장치 등의 박형의 평판형 화상표시장치가, 이미 텔레비전, 컴퓨터단말기, 광고매체, 간판 등의 각종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근년, 박형의 화상표시장치의 이점을 충분히 발휘하는 40인치이상의 화면크기의 벽걸이형 텔레비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표시장치는 기본적으로 화상표시부, 전기회로부, 이들 구성성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외장부로 이루어져 있다.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화상표시부를 지지부재에 양면점착테이프로 접합하는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평 11-119678호 공보에 화상표시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도 13은,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에는, 전기배선을 지니고 있는 2개의 유리기판(도시생략)을 대향시켜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는 표시패널(화상표시부)(60)와, 표시패널(60)을 지지하는 동시에 이면상에 전기장착영역을 지닌 표시패널(60)의 이면에 대향하는 프레임섀시(지지부재)(61)와, 표시패널(60)의 이면에 유리기판(도시생략)과 프레임섀시(61)를 접합시키기 위한 2중점착테이프(62)가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섀시(61)상에는, 표시패널(60)의 광방출을 구동 및 제어하는 신호처리 및 전력공급용의 회로보드(63)가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표시패널(60)을 포함한 이들 내부성분은, 해당 내부성분을 보호하기 위한 후면케이스(덮개)(64)와 앞면케이스(6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납되어 있다. 앞면케이스(65)에는 중앙부에 화상표시영역용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부에 있어서는, 내부성분을 보호하면서 표시패널(60)상에 표시된 화상을 외부에 나타내기 위한 투명부재(도시생략)가 장착되어 있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 평 11-272182호 및 제 2002-050294호 공보에는 화상표시장치로서 PDP(Plasma Display Panel)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평 11-119678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0-321989호 공보에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는,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신규의 방법 및 화상표시장치를 제조하는 신규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에는,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신규의 방법으로서, 표시부와 지지부재사이에 물질을 삽입함으로써 그들을 분리시키는 발명, 지지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표시부와 지지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힘을 인가하는 발명 및 이러한 발명을 이용한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구성하는 화상표시장치 및 해당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분해장치를 표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표시한 화상표시장치를 이용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표시한 분해장치에 의한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구성하는 화상표시장치 및 해당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분해장치를 표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표시한 화상표시장치 및 분해장치의 화상표시장치의 보다 짧은 변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은 도 4 등의 절삭부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7은 도 4 등에 표시한 분해장치에 의한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구성하는 화상표시장치 및 해당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분해장치를 표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표시한 화상표시장치 및 분해장치의 화상표시장치의 보다 긴 변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은 도 8 등에 표시한 분해장치에 의한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구성하는 화상표시장치를 표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표시한 화상표시장치의 변형예를 표시한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14는 워터젯장치에 의해 분해를 행한 경우의 형태를 표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 30, 40, 1401: 화상표시부2, 21, 31, 41: 접착부재
3, 22, 32, 42, 1402: 지지부재4: 구동회로
5: 전기회로6: 앞면덮개
7: 앞면덮개 장착부8: 후면덮개
9: 면판10, 23: 수용기재
11, 35: 제어부12, 24: 절삭부
13, 29, 35: 분리부14, 25: 절삭용 팔형상부
15, 28:분리용 팔형상부16, 26a: 안내부
22a: 관통구멍24a: 톱니형상의 절삭날
26: 수평방향의 구동부27: 수직방향의 구동부안내부
34: 부착/탈착용 기구1001: 손가락형상부
1002: 흡인컵1003: 구동부
1403: 테이블1404; 워터제트장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해방법은, 내부공간을 지닌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지니고,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사이에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물질의 삽입에 의해 절삭(혹은 절단)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 상기 물질이, 상기 접착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해당 접착부재를 절삭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또한, 상기 물질이 고체인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선형 부재를 삽입하는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절삭날을 삽입하는 공정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삽입할 물질을 가열상태에서 삽입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삽입할 물질이 전류의 공급에 의해 발열가능한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공정이 전류의 공급하에 수행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 삽입할 물질이, 해당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절삭날을 구비한 동시에 해당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위치결정된 길이방향으로 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에 삽입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유리하다.
또한, 삽입할 물질이 해당 부재의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절삭날을 구비한 동시에 해당 부재의 길이방향을따라 위치결정된 길이방향으로 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부재를 그의 축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에 삽입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유리하다.
또, 상기 물질이 액체인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유리하고, 해당 액체는 물 혹은 용매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으로서, 접착부재에 액체를 토출하는 공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질이 상기 접착부재를 연화시킬 수 있는 물질인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 고체물질에 의한 절삭과 용매에 의한 접착부재의 연화를 조합해서 행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유리하다.
접착부재에의 용매의 공급에 대해서는, 미리 혹은 용매공급공정전에, 표시부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반대쪽의 면까지,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통해 용매를 접착부재에 접촉 혹은 함침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또, 상기 분리공정은, 표시부와 지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표시부와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공정 및 상기 물질의 삽입공정은, 동시에 혹은 시차를 두고 행해도 되며, 표시부와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힘은, 상기 물질의 삽입에 의해 인가시켜도 된다.
상기 분리방향에 있어서의 힘은, 삽입될 물질과는 다른 분리수단에 의해 인가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리방향에 있어서의 힘은, 상기 분리수단으로서 삽입할 선단부보다도 폭이 큰 부분을 지닌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부여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삽입될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쪽을 향해 폭이 점차로 증가하는 쐐기형상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을 삽입해서 접착부재를 절삭하고, 해당 물질과는 다른 또 다른 분리수단의 삽입에 의해 분리방향의 힘을 인가할 경우, 절삭용 물질의 삽입방향과 분리수단의 삽입방향은 거의 평행하다.
분리방향의 힘을 인가하는 형태로서는, 지지부재와 표시부의 어느 한쪽에 대해 흡인을 행함으로써, 다른 쪽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다른 쪽을 분리하는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의 어느 한쪽에 대해 흡착하는 흡인컵을 이용해서, 해당 흡인컵이 부착되지 않은 화상표시부 혹은 지지부재를 고정하고, 해당 흡인컵을 잡아 당김으로써 분리방향의 힘을 인가할 수 있다. 흡인컵을 잡아당기는 방향은, 화상표시부 혹은 지지부재의 표면에 거의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직사각형의 화상표시장치의 경우, 물질의 삽입방향은, 직사각형 모양의 긴 변에 대해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설명한 분해방법은, 화상표시장치가 서있는 위치에 있는 형태, 혹은 화상표시장치가 수평방향으로 누워있는 상태에 있는 형태로 이용해도 된다. 수평방향으로 누워있는 상태에서 실행할 경우, 해당 방법은, 화상표시부가 지지부재상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경우 혹은 지지부재가 화상표시부상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경우에 행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분해방법의 발명은,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지니고,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화상표시부에 대향하는 표면으로부터 반대족 면까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개구부는 복수의 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압공정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부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를 고정하고 개구부에 가동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지지부재와 표시부간의 힘을 상호 분리방향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될 혹은 삽입된 부재를 고정하고 지지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화상표시부를 가압하는 것은, 지지부재를 고정하고 해당 지지부재에 대해서 그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화상표시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형태 뿐만 아니라, 표시부에 대해서 지지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형태도 포함된다.
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개구부를 통해 화상표시부를 가압하는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부재로서, 화상표시부의 한 변(특히 짧은 변)근방을 가압하는 부재의 높이가 반대쪽 변의 근방을 가압하는 부재의 높이와 다른 부재, 특히 높이가 한 변에서 다른 변으로 점점 낮아지는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형태에 있어서, 접착부재로서 점착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기재의 양면상에 점착재료를 도포해서 형성된 양면점착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고정은, 지지부재 혹은 표시부상에 직접 액체의 접착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도, 접착부재의 가열하에 분리공정을 행해도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실 혹은 분리장치내의 분위기를 가열하는 형태, 또는 외부로부터 전자파(광 혹은 적외선)의 조사에 의한 가열을 이용하는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지닌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구비한 지지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사이에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지닌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구비한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사이에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지닌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구비한 지지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화상표시부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반대쪽 면까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지닌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구비한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화상표시부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반대쪽 면까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표시부를 준비하는 공정 A;
상기한 분해방법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지지부재를 얻는 공정 B; 및
상기 공정 A에서 준비된 화상표시부와 상기 공정 B에서 얻어진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공정 A;
상기한 분해방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화상표시부를 얻는 공정 B; 및
상기 공정 A에서 준비된 지지부재와 상기 공정 B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분해방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얻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분해방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지지부재를 얻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지지부재를 용이하게 가공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분해방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화상표시부를 얻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를 용이하게 가공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지닌 화상표시부; 및
상기 화상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의 외주부에 의해 규정된 평면과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부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서,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의 돌출부가 거의 직사각형이고; 상기 거의 직사각형 영역의 일부에 접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접착부재가 거의 없는 영역이 상기 거의 직사각형 영역의 서로 대향하는 두 변중 한쪽의 중앙부로부터 다른 쪽의 중앙부를 향해 존재하고; 상기 접착부재가 거의 없는 영역이 상기 한쪽 변으로부터 상기 두 변사이의 거리의 2/3과 적어도 동일한 거리에 걸쳐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접착부재가 없는 영역의 폭은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그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구성하는 화상표시장치와 해당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기 위한 분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상표시장치를 채용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 내지 (9)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성분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0) 내지 (16), (1001) 내지 (1003)은 분해장치의 구성성분을 나타낸다.
먼저, 도 2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에는, 전기배선을 지닌 2개의 유리기판이 상호 접착되어 진공용기를 구성하고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화상표시부(1)와, 알루미늄합금을 소정의 형상으로 다이캐스트해서 구성되어, 화상표시부(1)의 후면쪽에 대향해서 위치된 지지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표시부(1)의 후면쪽의 유리기판과 지지부재(3)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재의 기재의 양면상에 아크릴계 점착재를 두께 약 1㎜로 도포해서 형성된 접착부재(2)로 상호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와 지지부재와의 접합용의 접착부재를 구성하는 점착부재로서는, 조립시 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완전히 경화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점성을 유지해서 표시부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응력의 영향을 완화하는 점착부재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제한적이지 않고, 화상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접착부재는, 조립시에 요구될 경우에는 점성을 나타내고 조립후에는 경화되는 점착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화상표시부(1)를 지지하는 면의 반대쪽의, 지지부재(3)의 표면상에는, 화상표시부(1)상에 화상표시를 행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구동회로(4)와, 해당 구동회로(4)를 제어해서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종 구성부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회로(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3)는, 해당 지지부재(3)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기계적 부하로부터 화상표시부(1)를 보호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리브(rib)와 보스(boss)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표시장치는, 알루미늄합금을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스해서 구성한 앞면덮개(6)와 알루미늄합금을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스해서 구성한 후면덮개(8)로 형성된 공간에 수납되어 있다. 이들 덮개(6), (8)는 내부에 수납된 화상표시장치와 기타 전기부품을 기계적 부하, 수분이나 먼지로부터 보호하고, 텔레비전 수상기의 외장을 형성한다.
지지부재(3)는 해당 지지부재(3)의 주변부에 설치된 복수의 앞면덮개 장착부(7)에 의해 덮개(6), (8)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앞면덮개 장착부(7)는 지지부재(3)와 앞면덮개(6)를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결합한다.
앞면덮개(6)는, 화상표시부(1)에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 화상표시용 개구를 지니고 있고, 이러한 개구부에는 투명한 면판(9)이 설치되어 있다. 면판(9)은, 덮개(6), (8)내의 화상표시장치 및 기타 전기부품을 기계적 부하나 수분,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지니고, 화상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화상의 화질, 특히 콘트라스트를 향상하는 기능성 필름(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분해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표시한 분해장치는,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가 접착부재(2)에의해 접합되어 구성된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할 때 이용되는 수용기재(10)와, 화상표시장치의 접착부재(2)를 절삭하는 공정을 제어하는 동시에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를 분리하는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한다. 분해장치는, 화상표시장치의 지지부재(3)를 지지하는 구조를 지닌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기재(10)와 밀착한 상태에서 지지부재(3)를 지지하는 구조로서, 지지부재(3)의 단부를 4곳에서 지지하는 손가락형상부(1001)가 형성되어 있다. 절삭동작은 지지부재(3)가 이러한 손가락형상부(1001)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행한다. 이들 손가락형상부(1001)는, 수용기재(10)상의 소정의 위치에 분해될 표시장치를 놓은 후, 지지부재(3)가 손가락형상부(1001)에 의해 죄어지도록 수용기재(10) 및 제어부(11)에 삽입한다. 특히, 상부의 2개의 손가락형상부(1001)는, 절삭부(12)가 접착부재(2)의 상부에 위치된 후 삽입한다.
제어부(11)의 측면에는, 직경 0.3㎜의 전도성 철함유 금속으로 구성된 철사모양(선형상)의 절삭부(12)가, 제어부(11)상에 수직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설치된 안내부(16)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가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11)에는, 절삭용 팔형상부(14)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도시생략)와, 절삭부(12)에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류를 제어하는 열제어회로(도시생략)가 구비되어 있다. 절삭용 팔형상부(14)에는, 절삭부(12)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절삭부(12)에의 발열을 위한 전류를 안내하는 배선부(도시생략)와, 제어부(11)의 안내부(16)내부에 위치된 지지부(도시생략)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절삭용 팔형상부(14)는 안내부(16)를 따라 모터에 의해 상하구동되고, 절삭부(12)는 열제어회로의 제어하에 공급된 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한다.
제어부(11)의 상부면에는, 화상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분리용 팔형상부(15)는, 제어부(11)안쪽에 위치된 지지부(도시생략)와 분리부(1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을 수직으로 가동가능하게 한다. 분리부(13)는 앞쪽 단부에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내열수지로 이루어지고, 해당 분리부(13)가 소정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 경우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사이의 간극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 분해 장치에 의해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작업을 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표시한 분해장치에 의한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작업을 표시한 순서도이다.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시, 텔레비전수상기의 전기회로와 덮개로부터 분리된 화상표시장치는, 화상표시부(1)의 짧은 변이 수직방향에 있고, 지지부재(3)가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손가락형상부(1001)에 의해 수용기재(10)상에 지지되도록 수용기재상에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킨다(공정 1).
다음에, 제어부(11)를 작동시켜, 절삭부(12)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발열시켜 절삭부(12)를 약 200℃까지 가열한다(공정 2)
다음에, 절삭부(12)를 접착부재(2)의 짧은 변을 따른 위치에서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사이의 간극에 삽입하고(공정 3), 제어부(11)를 작동시켜 절삭용 팔형상부(14)를 하강시킨다(공정 4). 이 상태에서, 절삭부(12)는 직사각형 형상의 화상표시부(1)의 긴 변에 평행인 가동방향을 지닌다. 절삭부(12)가 접착부재(2)상에 충돌하면, 접착부재(2)에 있어서의 아크릴재료로 이루어진 점착층과 폴리올레핀계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가, 가열된 절삭부(12)로부터의 열전도에 의해 연화됨으로써, 접착부재(2)는 절삭부(12)의 하강에 의해 발생된 기계적 전단력에 의해 절단된다. 접착부재(2)는 느린 하강운동에 따라 상단부로부터 점차적으로 절단된다. 본 실시예는 접착부재를 구성하는 접착부재(2)의 절삭구성을 채용해서, 접착부재의 이러한 절삭을 위해서는, 예를 들면, 접착부재를 그의 중간위치(중앙 위치로 제한되지 않음)에서 절단하는 경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단된 접착부재(2)의 일부가 절단후 지지부재(3) 및 화상표시부(1)의 양쪽에 남게 된다. 이 접착부재의 절단은, 접착부재(2)와 지지부재(3)가 접착되어 있는 위치를 절삭함으로써, 즉, 접착부재(2)와 지지부재(3)를 박리함으로써 성취해도 된다. 또, 접착부재(2)와 화상표시부(1)가 접착되어 있는 위치를 절단하는 것, 즉, 접착부재(2)와 화상표시부(1)를 박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절삭부(12)를 지지부재(3) 혹은 화상표시부(1)와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접착부재의 절단을, 접착부재(2)와의 사이의 위치 혹은 접착부재(2)와 화상표시부(1)와의 사이의 위치에서 성취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접착부재(2)는 절단후 지지부재(3)와 화상표시부(1)의 어느 쪽에도 남지 않게 된다.
다음에, 접착부재(2)의 절단이 화상표시부(1)의 긴 변의 길이의 약 1/4정도까지 진행한 경우, 접착부재(2)의 절단작업은 여전히 유지하면서, 제어부(11)는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사이의 간극에 분리부(13)를 삽입시켜(공정 5), 분리용팔형상부(15)를 하강시킨다(공정 6). 이 때, 분리부(13)의 삽입방향은, 절삭부(12)의 삽입방향과 일치한다. 분리부(13)가 하단부에 날카로운 쐐기형상을 지니고, 분리부(13)의 하강시 화상표시부(1) 및 지지부재(3)에 인가된 힘은 지지부재(3)로부터 화상표시부(1)를 분리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달리 말하면, 분리용 팔형상부(15)의 하강시, 화상표시부(1)는, 지지부재(3)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게 된다. 이 동작에 따라, 접착부재(2)의 분리방향으로 접착부재(2)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절삭부(12)에 의한 접착부재(2)의 절단은 촉진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3)로부터 분리한 후 표시부(1)의 텀블링을 방지하기 위해 화상표시부(1)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절삭용 팔형상부(14)가 가동스트로크의 최하단부에 이르러 절삭부(12)가 접착부재(2)를 모두 절단한 경우, 절삭용 팔형상부(14)의 하강동작을 종료한다(공정 7). 그 직후, 분리용 팔형상부(15)도 가동스트로크의 최하단부에 이르게 됨으로써 하강동작을 종료한다(공정 8). 다음에, 제어부(11)가 절삭부(12)에의 전류공급을 종료한다(공정 9).
상기 동작을 통해서, 화상표시부(1)가 지지부재(3)로부터 완전히 분리(해체)된다(공정 10).
분리된 화상표시부(1)는, 수용기재(10)로부터의 제거시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해, 화상표시부(1)에 대해서 가압된 시판의 흡인컵(1002)에 의한 흡인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표시부(1)를 유지하고 있는 흡인컵(1002)의 흡인력을 없애기 위해, 수용기재(10)로부터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재(3)는, 화상표시부(1)를 수용기재(10)로부터 제거한 후 수용기재(10)로부터 떼어내고, 분리용 팔형상부(15)와 절삭용 팔형상부(14)를 제어부(11)의 동작에 의해 각각의 이동스트로크의 최고위치까지 승강시키고, 손가락형상부(1001)를 화상표시부(1)의 고정을 없애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시, 전술한 바와 같이, 절삭부(12)를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사이에 삽입해서 접착부재(2)를 절단함으로써,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를 부하없이 상호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를 파손없이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분리된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를 재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를 2개로 분리하기 위해 해당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사이에 분리부(13)를 삽입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분리부(13)대신에,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의 어느 쪽을 흡인에 의해 부착가능한 흡인컵(1002),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중에서 흡인컵(1002)에 부착되지 않은 다른 것을 고착시켜, 해당 다른 것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중의 한 쪽을 잡아당기는 고정수단을 이용함으로써, 화상표시부(1)와 지지부재(3)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흡인컵(1002)은 화상표시부(1) 혹은 지지부재(3)의 표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표시부(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흡인컵(1002)을 잡아당기기 위한 구동부(1003)를 도시한 것이다.
또, 상기에서, 화상표시장치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화상표시장치는, 분해장치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위치시켜도 된다. 화상표시장치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있을 경우, 화상표시부(1)는 지지부재(3)의 상부 혹은 하부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 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구성하는, 화상표시장치와 해당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분해장치를 표시한 사시도, 도 5는 화상표시장치의 짧은 변의 방향을 따라 도 4에 표시한 화상표시장치 및 분해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4 등에 표시된 절삭부의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20) 내지 (22)는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23) 내지 (29)는 분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도 4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에는, 전기배선을 지닌 2개의 유리기판이 상호 접착되어 진공용기를 구성하고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화상표시부(20)와, 알루미늄합금을 소정의 형상으로 다이캐스트해서 구성되어, 화상표시부(20)의 후면쪽에 대향해서 위치된 지지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표시부(20)의 후면쪽의 유리기판과 지지부재(22)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재의 기재의 양면상에 아크릴계 점착재를 두께 약 1㎜로 도포해서 형성된 점착부재(21)로 상호 접합되어 있다.
지지부재(22)는, 해당 지지부재(22)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기계적 부하로부터 화상표시부(20)를 보호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리브와 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부재(22)에 있어서는, 접착부재(21)가 접하고 있는 후면에서부터 그에 대향하는 앞쪽면에까지 침투하는 직경 약 10㎜의 복수의 관통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22a)은, 지지부재(22)의 다이캐스팅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화상표시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은, 제 1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므로, 해당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본 실시예의 분해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분해장치는, 화상표시부(20)와 지지부재(22)가 접착부재(21)에 의해 접합되어 구성된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데 사용되고, 또한 화상표시장치의 지지부재(22)를 밀착상태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지닌 2개의 수용기재(23)와, 화상표시장치의 긴 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화상표시장치의 양쪽의 긴 변근방에 설치된 수평방향의 구동부(26)와, 폭 0.8㎜, 두께 0.3㎜의 철함유 금속으로 구성된 판형상의 길이가 긴 부재로 이루어진 절삭부(24)를 유지하는 절삭용 팔형상부(25)와, 분리용 팔형상부(28)를 통해 분리부(29)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표시부(20)를 접촉·유지하는 수직방향의 구동부(27)를 포함하고 있다.
접착부재(21)와 접촉하게 되는 절삭부(24)의 표면에는,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삭부(24)의 전체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걸쳐서 톱니형태의 절삭날(24a)이 형성되어 있다. 절삭용 팔형상부(25)는, 각각 절삭부(24)의 단부에 고정되고, 절삭용 팔형상부(25)의 적어도 1개는, 길이방향(긴쪽 방향)에 있어서 절삭부(24)의왕복운동을 일으키는 구동부(도시생략)를 내장하고 있다. 화상표시장치의 긴 변을 따른 절삭용 팔형상부(2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방향 구동부(26)에는, 각각, 절삭용 팔형상부(2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동시에 화상표시장치의 긴 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은 안내부(26a)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방향의 구동부(27)는, 화상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20)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분리용 팔형상부(28)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와, 공기의 흡인 혹은 배기를 위한 진공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분리용 팔형상부(28)의 내부에는, 진공기구에 의해 흡인된 혹은 배기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방향의 구동부(27)에 있어서의 구동기구와 진공기구가 결합되어 있다. 분리부(29)에는,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진 흡인컵과, 분리용 팔형상부(28)에 대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분리용 팔형상부(28)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분리부(29)에는, 분리용 팔형상부(28)의 측면에서의 접속부의 단부로부터 흡인컵의 흡인면까지, 분리용 팔형상부(28)내의 관통구멍에 연통하고 있는 공기흐름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직방향의 구동부(27)의 구동기구에 의해 분리용 팔형상부(28)를 상승시켜 분리부(29)를 화상표시부(20)와 접촉시키고, 수직방향의 구동부(27)의 진공기구를 활성화시켜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화상표시부(20)를 분리부(29)에 의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실시예의 분해장치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분해장치는, 수평방향의 구동부(26)의 구동기구, 수직방향의 구동부(27)의 구동부와 진공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지니고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분해장치에 의해 화상표시장치용의 분해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4 등에 표시된 분해장치에 의해 화상표시장치용의 분해동작을 표시한 순서도이다.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시, 텔레비전수상기의 전기회로와 덮개로부터 분리된 화상표시장치는, 화상표시부(20)의 짧은 변이 각각 2개의 수용기재(23)에 대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놓고, 지지부재(22)를, 고정수단에 의해 수용기재(23)에 고정시킨다(공정 21).
다음에, 수직방향의 구동부(27)의 구동기구를 활성화해서, 분리용 팔형상부(28)를 상승시키고, 수직방향의 구동부(27)의 구동기구의 기능은, 분리부(29)가 화상표시부(20)와 밀접하게 될 경우 종료한다. 이어서, 수직방향의 구동부(27)의 진공기구를 활성화시켜 공기를 흡인시킴으로써, 화상표시부(20)의 흡인에 의해 분리부(28)를 부착한다(공정 23).
다음에, 접착부재(21)를 연화시키는 탄화수소계 용매인 아세톤을 지지부재(22)의 관통구멍(22a)에 적하하고, 접착부재(21)에 침투시킴으로써, 접착부재(21)를 연화시킨다(공정 24). 그 후, 접착부재(21)를 연화시키는 데 필요한 약 5분경과후, 절삭용 팔형상부(25)내의 구동기구를 활성화시켜, 절삭부(24)의 길이방향의 왕복운동을 개시시킨다(공정 25). 이 왕복운동은 1분당 200 내지 300사이클의 속도로 행한다.
다음에, 수평방향의 구동부(26)의 구동기구를 활성화시켜, 화상표시부(20)와지지부재(22)사이의 간극의 위치에 접착부재(21)의 짧은 변부를 따라 절삭부(24)를 정렬시키고, 절삭용 팔형상부(2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간극내로 절삭부(24)를 삽입한다(공정 26). 이 동작시, 절삭부(24)의 길이방향의 왕복운동으로 용매에 의해 연화된 접착부재(21)를 절삭하면서, 절삭용 팔형상부(25)를 수평방향으로 더욱 이동시킨다(공정 27). 이러한 이동중에도, 지지부재(22)의 관통구멍(22a)을 통해 용매를 적절하게 적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부재(21)의 절삭이, 화상표시부(20)의 긴 변의 길이의 약 1/4정도까지 진행하면, 수직방향의 구동부(27)의 구동기구를 활성화시켜, 분리용 팔형상부(28)를 약간 하향 이동시키는 한편, 접착부재(21)의 절삭동작은 유지시킨다(공정 28). 이와 같이 해서, 화상표시부(20)와 접촉한 분리부(29)는 지지부재(22)로부터 화상표시부(20)를 분리하기 위한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접착부재(21)가 이미 절단된 영역내의 화상표시부(20)와 지지부재(22)사이에 빈 간극이 생성된다. 접착부재(21)의 절삭동작이 더욱 진행됨에 따라, 화상표시부(20)와 지지부재(22)간의 빈 간극의 영역이 점차로 퍼지게 된다.
절삭용 팔형상부(25)가 수평이동의 최종단부에 이르고, 절삭부(24)가 접착부재(21)를 완전히 절삭한 경우, 절삭용 팔형상부(25)의 구동기구가 비활성시켜 절삭부(24)의 길이방향 이동을 종료시키고, 수평방향의 구동부(26)의 구동기구를 비활성화시켜 절삭용 팔형상부(25)의 이동을 종료시킨다(공정 29). 다음에, 수직방향의 구동부(27)의 구동기구를 재차 활성화시켜 분리용 팔형상부(28)를 해당 이동이 정지되는 최하단 위치까지 하강시킨다(공정 30).
상기 동작을 통해, 화상표시부(20)가 지지부재(22)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공정 31).
그후, 지지부재(22)를 수용기재(23)로부터 떼어낸 후, 절삭용 팔형상부(25)를 수평방향의 구동부(26)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원시키고, 수직방향의 구동부(27)의 진공기구를, 진공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절환함으로써, 화상표시부(20)를 분리부(29)로부터 떼어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시, 전술한 바와 같이, 절삭부(24)를 화상표시부(20)와 지지부재(22)사이에 삽입해서 접착부재(21)를 절삭함으로써, 부하없이 화상표시부(20)와 지지부재(22)를 상호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표시부(20)와 지지부재(22)를 파손없이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이 분리된 화상표시부(20)와 지지부재(22)를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톱니형상의 절삭날(24a)을 지닌 절삭부(24)의 왕복운동으로 접착부재(21)의 절삭을 통해 접착부재(21)를 신속하게 절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착부재를 연화시킬 수 있는 용매의 첨가에 의해 접착부재(21)를 연화시켜, 용이하게 절삭가능하게 할 수 있어, 접착부재(21)를 보다 신속하게 절삭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판형상의 절삭부의 왕복운동에 의해 접착부재(21)를 절삭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접착부재(21)의 절삭수단은, 이러한 예로 제한되지 않고,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해서 거의 전체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걸쳐 외주부상에 절삭날을 지닌 길이가 긴 부재에 의해 구성된 절삭부를 회전시키는 형태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표시한 절삭용 팔형상부(25)를, 길이가 긴 부재에 의해 구성된 절삭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화상표시장치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절삭부와 함께 수직방향으로 화상표시장치를 위치시키고, 수평방향으로 분리부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 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구성하는, 화상표시장치와 해당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분해장치를 표시한 사시도, 도 9는 화상표시장치의 긴 변의 방향을 따라 도 8에 표시한 화상표시장치 및 분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화상표시장치는, 해당 화상표시장치의 구조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상표시부가 위쪽으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9는 화상표시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30) 내지 (32)는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33) 내지 (36)은 분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도 8 및 도 9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는, 전기배선을 지닌 2개의 유리기판이 상호 접착되어 진공용기를 구성하고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화상표시부(30)와, 알루미늄합금을 소정의 형상으로 다이캐스트해서 구성되어, 화상표시부(30)의 후면쪽에 대향해서 위치된 지지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표시부(30)의 후면쪽의 유리기판과 지지부재(32)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재의 기재의 양면상에 아크릴계 점착재를 두께 약 1㎜로 도포해서 형성된 점착부재(31)로 상호 접합되어 있다.
지지부재(32)는, 해당 지지부재(32)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기계적 부하로부터 화상표시부(30)를 보호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리브와 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부재(32)에 있어서는, 접착부재(31)가 접하고 있는 후면에서부터 그에 대향하는 앞쪽면에까지 침투하는 직경 약 10㎜의 복수의 관통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32a)은, 지지부재(32)의 다이캐스팅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화상표시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은, 제 1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므로, 해당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해서,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본 실시예의 분해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분해장치는, 화상표시부(30)와 지지부재(32)가 접착부재(31)에 의해 접합되어 구성된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는 데 사용되는 수용기재(33)와, 수용기재(33)를 유지하고 또한, 화상표시장치의 양쪽의 횡방향 변상에 지지부재(32)를 고정시키는 부착/탈착용 기구(34)와, 제어부(36)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복수의 분리부(35)를 포함하고 있다.
수용기재(33)는, 지지부재(32)와 접촉해서 지지부재(32)를 하부쪽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열전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가열수단을 구성하는 히터(도시생략)를 내장하고 있다. 수용기재(33)는 내장된 히터의 열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열되고, 접착부재를 구성하는 접착부재(31)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구성한다. 수용기재(33)에는, 또한 그 위에 지지된 지지부재(32)의 관통구멍(32a)에 대향된 위치에, 관통구멍(32a)과 거의 유사한 치수의 관통구멍(33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부착/탈착기구(34)는, 지지부재(32)의 고정 혹은 해방을 절환하는 구조(도시생략)를 지니고, 가열용의 전력을 수용기재(33)내의 히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배선을 내장하고 있다.
가동부재로서 구성된 분리부(35)는, 대략 원형 단면을 지니고, 지지부재(32) 및 수용기재(32)의 관통구멍(32a), (33a)을 통과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들 분리부(35)는, 직사각형 모양의 화상표시부(30)의 짧은 변에 가까운, 도면에서 오른쪽의 것이 가장 높고, 그 높이는 다른 짧은 변에 가까운 도면에서 왼쪽의 것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6)는 분해될 화상표시장치의 아래쪽에 있고, 그 내부에는, 수용기재(33)내의 히터를 가열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도시생략)과, 수용기재(33)의 히터의 온도제어용의 온도제어회로(도시생략)와, 분리부(35) 및 그의 제어기구(도시생략)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36)의 상부면상에는, 부착/탈착기구(34)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분리부(35)를 미끄럼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36)를 작동시키는 작동손잡이와 그의 전원케이블은 도면 및 설명에서 생략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분해장치에 의한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8 등에 도시한 분해장치에 의한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시,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기회로와 덮개로부터 분리된 화상표시장치를, 화상표시부(30)를 위쪽으로 지지부재(32)를 아래쪽으로 수용기재(33)상에 수평방향으로 놓고(공정 41), 지지부재(32)를 부착/탈착 기구(34)에 의해 고정한다(공정 42).
다음에, 제어부(36)의 제어하에, 수용기재(33)내의 히터를 활성화시켜 그의 가열을 개시한다(공정 43). 히터로부터의 열은 수용기재(33)내의 열전도부재로 전달된 후, 수용기재(33)의 상부면과 접촉상태로 유지된 화상표시장치의 지지부재(32)로 전달된다.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32)는, 지지부재(32)와 접촉해서 접착부재(31)에 그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해서, 수지재료의 접착부재(31)는 온도의 점차적인 상승에 따라, 연화되어 점차적으로 점착력을 잃게 됨으로써, 지지부재(32)와 화상표시부(30)간의 점착력을 약화시킨다(공정 44).
이 때, 제어부(36)내의 제어기구와 모터기구를 활성화시켜 분리부(36)를 상승시킨다(공정 45). 상승이동과정에서, 분리부(35)는 수용기재(33)의 관통구멍(33a)을 통과한 후, 지지부재(32)의 관통구멍(32a)을 통과해서, 접착부재(31)의 하부면에 도달한다. 분리부(35)는, 더욱 상승해서 접착부재(31)와 화상표시부(30)를, 서로 밀착상태에서 상승시킴으로써, 접착부재(31)를 지지부재(32)로부터 박리시켜(공정 46), 화상표시부(30)를 지지부재(32)로부터 분리시킬수 있다(공정 47).
이 동작에서 여기에 큰 부하가 인가되면 화상표시부(30)의 유리판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화상표시부(30)의 지지부재(32)로부터의 분리는, 제한된 부하하에 행해야만 한다. 이와 관련해서, 분리부(35)는 일정한 높이가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있어서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점차로 하강시켜, 접착부재(31)와 화상표시부(30)의 지지부재(32)로부터의 분리동작을 도 9에 표시한 오른쪽으로부터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32)의 관통구멍(32a)안으로 복수의 분리부(35)를 삽입해서 접착부재(31)를 가압할 때, 접착부재(31)와 화상표시부(30)상에 작용하는 압력의 활동점이, 도면의 오른쪽의 화상표시부(30)의 짧은 변근방으로부터 도면의 왼쪽의 다른 짧은 변근방을 향해서 변위된다. 이러한 활동점의 변위에 따라, 접착부재(31)는 지지부재(32)로부터 점차적으로 박리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착부재(31)와 화상표시부(30)에 가해지는 부하를 억제하면서, 접착부재(31)를 지지부재(32)로부터 효과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인가된 부하를 억제함에 따라, 화상표시부(30)의 파손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분리부(35)가 접착부재(31)에 도달한 후 분리부(35)의 상승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화상표시부(30)에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표시부(30)가 지지부재(32)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후, 수용기재(33)내의 히터를 비활성화시키고(공정 48), 접착부재(31)가 부착된 화상표시부(30)를 분리부(35)로부터 제거한다(공정 49). 다음에, 제어부(36)를 활성화시켜,분리부(35)의 하강을 개시하고, 해당 하강동작은, 분리부(35)의 상단부가 수용기재(33)의 관통구멍(33a)으로부터 추출된 후 종료시킨다(공정 50). 다음에, 부착/탈착기구(34)를 방출상태로 절환해서, 수용기재(33)로부터 지지부재(32)를 제거하고(공정 51), 이 때, 분해동작이 종료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32)는, 접착부재(31)가 접합되어 있는 면으로부터 그의 대향하는 다른 쪽 면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32a)을 지니고 있고, 부착/탈착기구(34)에 의해 고정되어, 해당 복수의 관통구멍(32a)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분리부(35)에 의해 접착부재(31)를 가압함으로써, 접착부재(31)의 양단에 상호 접합된 화상표시부(30) 및 지지부재(32)를 접착부재(31)가 더이상 부착되어 있지 않은 화상표시부(30)로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재(31)의 가압구성에 의하면, 화상표시부(30)와 지지부재(32)의 박리의 경우와 비교해서, 화상표시부(30)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화상표시부(30)의 파손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화상표시장치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표시부(30)와 지지부재(32)를 접착부재(31)를 절삭하는 일없이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접착부재(31)를 절삭하는 경우에 대해서 접착부재(31)의 절삭 쓰레기를 발생시키지 않아, 절삭 쓰레기를 처리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점착부재를 구성하는 접착부재(31)를 가압해서 지지부재(32)로부터의 분리방향의 힘을 화상표시부(30)에 제공하였으나, 접착부재(31)가 분리부(35)에 의해 충돌하는 위치에 없을 경우에는, 분리부(35)가 접착부재(31)를 걸치는 일없이, 지지부재(32)로부터 분리방향의 힘을 화상표시부(30)에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부재(32)를 유지하기 위한 수용기재(33)내에 히터를 내방하여 접착부재(31)를 가열하였으나, 가열장치(가열로)내에 분해장치를 설치해서 해당 분해장치와 화상표시장치를 전체적으로 가열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리부(35)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화상표시부(30)를 상승시켰으나, 분리부(35)대신에 흡인컵(도시생략)을 이용해서 위쪽으로부터 화상표시부(30)를 잡아당기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분해장치와 화상표시장치를, 수직방향으로 세운 위치로 설치해서, 화상표시부(30)에 흡인컵(도시생략)을 부착시키고, 분리부(35)를 수평방향으로 활성화시켜, 수용기재(33)의 관통구멍(33a)과 지지부재(32)의 관통구멍(32a)을 통과시킴으로써, 접착부재(31)를 가압함으로써, 지지부재(32)로부터 화상표시부(30)를 분리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흡인컵과 분리부(35)의 이동은, 화상표시부(30)의 원활한 분리동작을 얻고 또한 분리후 낙하에 의한 화상표시부(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표시부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그의 반대쪽 면까지 지지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32a)이 지지부재의 형성전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이러한 관통구멍이 없는 지지부재를 이용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의 경우, 이러한 지지부재에 관통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설명한 분해방법을 행하는 것고 가능하다.
(제 4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구성하는 화상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표시한 화상표시장치는, 특히, 상기 제 1실시예의 분해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하다. 도 11에 있어서, 화상표시장치는, 구조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상표시부가 위쪽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에는, 전기배선을 지닌 2개의 유리기판이 상호 접착되어 진공용기를 구성하고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화상표시부(40)와, 알루미늄합금을 소정의 형상으로 다이캐스트해서 구성되어, 화상표시부(40)의 후면쪽에 대향해서 위치된 지지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재(42)는, 해당 지지부재(42)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기계적 부하로부터 화상표시부(40)를 보호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리브와 보스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표시부(40)의 후면쪽의 유리기판과 지지부재(42)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재의 기재의 양면상에 아크릴계 점착재를 두께 약 1㎜로 도포해서 형성된 접착부재(41)로 상호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부재(41)는, 화상표시부(40)의 2개의 긴 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접착부재(41)사이에는, 접착재료가 없다. 2개의 접착부재(41)사이의 영역(접착부재가 거의 없는 영역(42a))은, 분리부삽입위치(분리부가 제 1실시예의 분해장치의 분리부(13)와 유사해도 됨)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접착부재가 절삭시 점착성을 지닐 경우(조립시의 점착성이 이미 잔존할 경우 혹은 점착성이 분해시 이미 상실되었으나, 분해시 가열이나 접촉에 의해 회복된 경우), 분리부의 삽입은, 점착성을 지닌 접착부재(41)와삽입된 분리부가 접촉하게 되면 곤란해진다.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분리부용의 삽입위치로서 접착부재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42a)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접착부재가 실질적으로 없는 이러한 영역(42a)은, 특히, 지지부재(42)의 외주부에 의해 규정된 평면상에 화상표시부(40)의 외주부에 의해 규정된 평면을 돌출(이러한 돌출부는,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파선으로 표시하고 있고; 후자(지지부재(42))가 전자(화상표시부(40))보다도 작을 경우, 후자가 전자상에 돌출해도 됨)시킴으로써 형성된 직사각형에 있어서 한 변(바람직하게는, 짧은 변)으로부터 반대쪽 변까지의 영역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변의 중앙에서 분리부의 삽입위치를 선택함으로써, 화상표시부(40)와 지지부재(42)를 박리하는 힘이 균일하게 인가될 수 있으므로, 점착부재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42a)은, 적어도 한 쪽변(바람직하게는, 짧은 변)의 중심으로부터 반대쪽 변까지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화상표시장치를 내장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은, 제 1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므로, 해당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제 1실시예의 분리장치를 채용하므로, 분해장치의 구성에 대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표시부(40)의 긴 변을 따라 뻗어 있는 2개의 접착부재(41)는, 화상표시부(40)의 양쪽의 긴 변 근방에 위치되므로, 화상표시부(40)와 지지부재(42)사이에 접착부재(41)가 없는 영역(42a)은 그의 긴 변과 평행한 화상표시부(40)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영역의 폭은 5㎝이상으로, 화상표시부(40)의 짧은 변의 중앙부로부터 다른 쪽의 짧은 변의 중앙부까지 뻗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접착부재(41)와 절삭부(12)와의 접촉면적은, 도 1 등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부가 전체 영역에 걸쳐 접착부재에 의해 지지부재에 접착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적으므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손없이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행하는 외에, 접착부재(41)를 절삭부(12)로 절삭할 때(도 1 비교) 절삭용 팔형상부(도 1 비교)의 이동속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접착부재(41)의 절삭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화상표시부(40)와 지지부재(42)사이의 접착력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정도내에서 접착부재(41)가 없는 상기 영역의 폭을 증대시키는 데 더욱 효과적인 것은 당연하다.
또한, 화상표시부를 접착부재에 의해 그의 전체 면에 걸쳐 지지부재에 접착시킨 경우, 접착부재를 절삭부(12)에 의해 절삭한 후 접착부재의 나머지부분이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중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남게 되므로, 분리부(13)가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사이의 삽입시 덜 미끄럽게 되어, 화상표시부(40)상에 부가적인 부하가 인가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표시부(40)와 지지부재(42)사이에 접착부재(41)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42a)이 존재하기 때문에, 화상표시부(40)와 지지부재(42)사이에 분리부(13)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어 화상표시부(40)에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표시한 화상표시부(40)의 변형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도 12에 있어서, 화상표시장치는, 해당 화상표시장치의 구조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상표시부가 위쪽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도시하였다.
본 변형예의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도 11에 표시한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에 부가해서, 2개의 접착부재(41)사이에, 해당 접착부재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42a)을 지닌 짧은 변에 대향한 화상표시부(40)의 짧은 변 근방에 제 2의 접착부재(4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의 접착부재(41a)도, 폴리올레핀계 발포재로 이루어진 기재의 양면상에 약 1㎜의 두께로 아크릴계 점착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접착부재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한 쪽 변(바람직하게는, 짧은 변)으로부터 반대쪽 변까지 뻗어 있는 영역이 바람직하다고 했으나, 분리부가 점차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잔류하는 접착영역에 박리력이 보다 용이하게 인가될 수 있으므로, 접착부재가 실질적으로 없는 이러한 영역(42a)은, 반드시 돌출된 영역 쪽으로부터 그 반대쪽까지 연장시킬 필요는 없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된 영역의 한 쪽 변의 중앙부로부터 반대쪽 변의 중앙부까지의 영역내에, 이러한 반대쪽의 근방에 접착부재를 존재시켜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재는, 상호 대향하는 두 변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이러한 상호 대향하는 두 변의 거리의 1/3까지의 정도내에, 상호 대향하는 두 변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영역에 존재시켜도 된다. 환언하면,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착부재가 없는 영역(42a)은, 파선으로 표시한 돌출된 영역의 한 변으로부터 해당 대향하는 두 변의 거리(L)의 적어도 2/3의 거리에 걸친 반대쪽 변까지 뻗어, k/L/3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표시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제 2의 접착부재(41a)가 접착부재로서 짧은 변의 한쪽의 중앙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1에 표시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접착부재(41), (41a)용의 절삭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분리부(13)의 삽입시의 화상표시부(40)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제 2의 접착부재(41a)의 부가에 의해 화상표시부(40)와 지지부재(42)의 접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화상표시부(40)가 직사각형 모양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화상표시부(40)의 모양은 정사각형(이 경우, 4변을 모두 짧은 변으로서 간주해도 됨)이어도 된다.
(제 5실시예)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사이에 삽입될 물질로서 길이가 긴 절삭부를 이용하였고, 이러한 절삭부는, 두 점(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절삭용 팔형상부)사이에 장력이 인가된 경우 절삭부로서 작용가능한 유닛 혹은 단독으로 강성을 지닌 유닛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사이에 소정의 에너지를 지닌 액체 혹은 입상 물질을 도입하고, 이러한 에너지에 의해,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와의 접속을 접착부재에 의해 분리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해당 도 14에는, 상기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 형태의 화상표시부(1401)와 지지부재(1402)가 표시되어 있다. 지지부재(1402)를 지지해서 이동시키는 데는 테이블(1403)을 이용한다. 워터제트장치(1404)가 노즐로부터 물을 토출하고,(1405)는 워터제트장치(1404)로부터 토출된 물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분해방법은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한다.
먼저, 테이블(1403)상에 화상표시장치를 놓고, 이어서, 워터제트장치(1404)로부터 토출한 물이 화상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1401)와 지지부재(1402)사이에 위치된 접착부재(도시생략)상에 충돌하도록 화상표시장치의 위치를 조정한다.
다음에, 워터제트장치(1404)로부터의 물의 토출을 개시해서, 물이 충돌하는 영역이 화상표시장치의 긴 변을 따라 이동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접착부재에 의한 접속을 해방한다.
화상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1401)와 지지부재(1402)사이의 영역내에, 특히, 중앙 영역에는,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접착부재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물질의 토출에 의한 분리의 깊이, 즉, 토출위치(워터제트의 경우 물토출용 노즐의 위치)로부터 분리위치까지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4변에서 토출을 행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지 두 변에서만 토출을 행할 경우, 2개의 긴 변상에 토출을 행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워터제트장치(1404)로부터만 물을 토출하는 구성에 부가해서, 물과 함께 미립자(연마제)를 토출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물이외의 액체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예에 의해 분리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분해방법에 대한 방법외에,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도 포함한다. 화상표시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분해방법의 수행결과로서 얻어진 지지부재 혹은 화상표시부를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대상인 화상표시장치의 지지부재로서 혹은 화상표시부로서, 상기 분해방법에서 얻어진 지지부재 혹은 화상표시부재를 이용해서 화상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해방법에서 얻어진 지지부재와 별도로 준비한 화상표시부를 조립하는 공정;
상기 분해방법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와 별도로 준비한 지지부재를 조립하는 공정; 및
상기 분해방법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와 상기 분해방법에서 얻어진 지지부재를 조립하는 공정중의 어느 공정을 이용해도 화상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분해방법의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 혹은 지지부재의 제조방법의 발명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분해방법 혹은 화상표시부 혹은 지지부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부 혹은 지지부재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해방법(혹은 화상표시부 혹은 지지부재의 제조방법)에서 얻어진 지지부재 혹은 화상표시부를, 용이하게 가공하는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이러한 가공공정이란, 다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얻어진 지지부재 혹은 화상표시부에 대한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공정의 구체예를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상기 분해방법에서 얻어진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절삭해서 알루미늄의 작은 조각을 얻는 공정; 및
2) 상기 분해방법에서 얻어진 지지부재를 용융시켜 금속잉곳을 얻는 공정.
이러한 금속조각 혹은 잉곳은, 구성성분을 제조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표시부를 유리로 형성할 경우, 상기 분해방법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는, 유리캐럿(caret)을 얻기 위한 원료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 표시부에 사용된 금속은 용융에 의해 회수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의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지지부재와 화상표시부용의 제조방법 및 가공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시, 절삭부를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사이에 삽입해서 접착부재를 절단함으로써,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부하없이 상호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파손없이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분리된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재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부재의 가압구성에 의하면,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의 박리의 경우와 비교해서, 화상표시부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화상표시부의 파손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화상표시장치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접착부재를 절삭하는 일없이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접착부재를 절삭하는 경우에 대해서 접착부재의 절삭 쓰레기를 발생시키지 않아, 절삭 쓰레기를 처리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26)

  1. 내부공간을 지닌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지니고,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사이에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물질의 삽입에 의해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상기 접착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해당 접착부재를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이, 선형 부재를 삽입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이, 절단날을 삽입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이 상기 접착부재에 액체를 토출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상기 접착부재를 연화시킬 수 있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힘을 인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11.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지니고,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화상표시부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반대쪽 면까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12. 내부공간을 지닌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구비한 지지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사이에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의 제조방법.
  13. 내부공간을 지닌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구비한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사이에 물질을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
  14.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구비한 지지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화상표시부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반대쪽 면까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의 제조방법.
  15. 화상표시부와, 해당 화상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접착부재로 접착되어 있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구비한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정은, 상기 화상표시부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화상표시부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반대쪽 면까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
  16. 화상표시부를 준비하는 공정 A;
    제 1항에 의한 분해방법에 의해 지지부재를 얻는 공정 B; 및
    상기 공정 A에서 준비된 화상표시부와 상기 공정 B에서 얻어진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7. 화상표시부를 준비하는 공정 A;
    제 11항에 의한 분해방법에 의해 지지부재를 얻는 공정 B; 및
    상기 공정 A에서 준비된 화상표시부와 상기 공정 B에서 얻어진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공정 A;
    제 1항에 의한 분해방법에 의해 화상표시부를 얻는 공정 B; 및
    상기 공정 A에서 준비된 지지부재와 상기 공정 B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9.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공정 A;
    제 11항에 의한 분해방법에 의해 화상표시부를 얻는 공정 B; 및
    상기 공정 A에서 준비된 지지부재와 상기 공정 B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0. 제 1항에 의한 분해방법에 의해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얻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1. 제 11항에 의한 분해방법에 의해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얻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와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2. 제 1항에 의한 분해방법에 의해 지지부재를 얻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지지부재를 용이하게 가공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재료의 제조방법.
  23. 제 11항에 의한 분해방법에 의해 지지부재를 얻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지지부재에 용이하게 가공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재료의 제조방법.
  24. 제 1항에 의한 분해방법에 의해 화상표시부를 얻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를 용이하게 가공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재료의 제조방법.
  25. 제 11항에 의한 분해방법에 의해 화상표시부를 얻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화상표시부를 용이하게 가공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재료의 제조방법.
  26. 내부공간을 지닌 화상표시부; 및
    상기 화상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의 외주부에 의해 규정된 평면과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부에 의해 규정된 평면중에서,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의 돌출부가 거의 직사각형이고; 상기 거의 직사각형 영역의 일부에 접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화상표시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접착부재가 거의 없는 영역이 상기 거의 직사각형 영역의 서로 대향하는 두 변중 한쪽의 중앙부로부터 다른 쪽 변의 중앙부를 향해 존재하고; 상기 접착부재가 거의 없는 영역이 상기 한쪽 변으로부터 상기 두 변의 거리의 2/3과 적어도 동일한 거리에 걸쳐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020083336A 2001-12-25 2002-12-24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지지부재의 제조방법,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 가공재료의제조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KR100560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91644 2001-12-25
JPJP-P-2001-00391644 2001-12-25
JPJP-P-2002-00018493 2002-01-28
JP2002018493 2002-01-28
JP2002363559A JP2003288028A (ja) 2001-12-25 2002-12-16 画像表示装置の分解方法、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支持体の製造方法、画像表示部の製造方法、加工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JP-P-2002-00363559 2002-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144A true KR20030055144A (ko) 2003-07-02
KR100560222B1 KR100560222B1 (ko) 2006-03-10

Family

ID=2734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336A KR100560222B1 (ko) 2001-12-25 2002-12-24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지지부재의 제조방법,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 가공재료의제조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50804B2 (ko)
EP (1) EP1324294A3 (ko)
JP (1) JP2003288028A (ko)
KR (1) KR100560222B1 (ko)
CN (1) CN1265626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536B1 (ko) * 2005-08-01 2007-08-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dp 패널조립체를 위한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40545B1 (ko) * 2005-12-13 2008-06-2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dp용 섀시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100911288B1 (ko) * 2002-04-26 2009-08-11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해체 방법
KR101304142B1 (ko) * 2005-11-07 2013-09-04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기판 적재 부재의 분해 방법 및 재이용 방법
KR20170113187A (ko) * 2016-03-29 2017-10-12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지장치의 분리방법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9346B2 (ja) * 2004-02-05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解体方法
JP2006320783A (ja) * 2005-05-17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
JP2006330205A (ja) * 2005-05-24 2006-12-07 Kyokuhei Glass Kako Kk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保持板分離装置
JPWO2007023534A1 (ja) * 2005-08-24 2009-02-26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パネル装置
US8603288B2 (en) 2008-01-18 2013-12-10 Rockwell Collins, Inc. Planarization treatment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rigid-to-rigid substrate lamination
CN100524583C (zh) * 2005-11-22 2009-08-05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等离子体显示面板分离方法
EP2025650A1 (en) * 2006-05-08 2009-02-18 Asahi Glass Company, Limited Thin-sheet glass laminate, process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laminate, and supporting glass substrate
KR100891384B1 (ko) * 2007-06-14 2009-04-0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접합 및 탈착장치
WO2008152806A1 (ja) * 2007-06-15 2008-12-18 Panasonic Corporation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解体方法
TW200934662A (en) * 2007-12-28 2009-08-16 Du Pont Method for reworking adhesively bonded liquid crystal displays
KR101625880B1 (ko) 2008-01-18 2016-05-31 로크웰 콜린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적층 시스템 및 방법
JP2009216889A (ja) 2008-03-10 2009-09-24 Canon Inc 表示装置
CN101990498B (zh) * 2008-04-11 2013-10-30 亚利桑那董事会代表亚利桑那州立大学行事的亚利桑那州法人团体 用于松解下部安装的基底的方法和设备
JP2010010207A (ja) * 2008-06-24 2010-01-14 Tokyo Ohka Kogyo Co Ltd 剥離装置および剥離方法
CN102216834B (zh) * 2008-11-20 2015-05-13 E.I.内穆尔杜邦公司 用于脱粘显示器的半自动再加工性
KR20110086621A (ko) * 2008-11-20 2011-07-2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디스플레이를 접합 해제하기 위한 반-자동화된 재가공성 장비
US9409383B2 (en) * 2008-12-22 2016-08-09 Apple Inc. Layer-specific energy distribution delamination
TWI350790B (en) * 2009-02-10 2011-10-21 Htc Corp Cutting apparatus
US8950459B2 (en) 2009-04-16 2015-02-10 Suss Microtec Lithography Gmbh Debonding temporarily bonded semiconductor wafers
DE102009018156A1 (de) 2009-04-21 2010-11-18 Ev Group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ennen eines Substrats von einem Trägersubstrat
US8486535B1 (en) 2010-05-24 2013-07-16 Rockwell Colli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herable and removable thin flexible glass
US8261804B1 (en) * 2011-10-28 2012-09-11 Meicer Semiconductor Inc. IC layers separator
EP2774176B1 (en) 2011-10-31 2016-08-10 MEMC Electronic Materials, Inc. Clamping apparatus for cleaving a bonded wafer structure and methods for cleaving
FR2995441B1 (fr) * 2012-09-07 2015-11-06 Soitec Silicon On Insulator Dispositif de separation de deux substrats
US10220537B2 (en) 2012-10-17 2019-03-05 Saxum,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screen shield replacement
CN102923364B (zh) * 2012-11-09 2015-03-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薄膜拆卸机构
CN102929027B (zh) * 2012-11-27 2015-02-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偏光片去除刀具及去除方法
US9254636B2 (en) * 2013-09-24 2016-02-09 Apple Inc. Display module reworkability
CN103522729B (zh) * 2013-10-24 2016-01-06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拆除触摸面板的系统
US9682451B2 (en) * 2014-03-21 2017-06-20 Apple Inc. Disassembly fixture,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US9981460B1 (en) 2014-05-06 2018-05-29 Rockwell Colli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bstrate lamination
CN106463077B (zh) 2014-07-01 2019-05-17 三菱化学株式会社 光学构件的再利用方法和光学层叠体的再加工性评价方法
CN104503623A (zh) * 2015-01-06 2015-04-08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触摸面板与显示模组的分离方法及系统
KR102283920B1 (ko) * 2015-01-16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박리 장치
US9862115B2 (en) 2015-03-27 2018-01-09 Intel Corporation Hidden feature for accessing or repairing mobile devices
US9517615B2 (en) * 2015-04-21 2016-12-13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backing film removal
JP6566702B2 (ja) * 2015-04-24 2019-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端末装置の分解方法、及び端末装置の分解装置
JP6873986B2 (ja) * 2015-10-30 2021-05-1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第2基板に接合された第1基板を加工する方法
US10377118B2 (en) * 2016-12-05 2019-08-13 The Boeing Company Preparing laminate materials for testing
US20180169804A1 (en) * 2016-12-16 2018-06-21 Caterpillar Inc. Control panel dis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US10913254B2 (en) * 2017-03-15 2021-02-09 Didrew Technology (Bvi) Limited Method for debonding temporarily adhesive-bonded carrier-workpiece pair by using chemical and mechanical means
US10211077B2 (en) 2017-03-17 2019-02-19 Didrew Technology (Bvi) Limited Method for debonding temporarily adhesive-bonded carrier-workpiece pair by using high pressure solvent
CN110431648B (zh) * 2017-03-29 2022-05-13 日本瑞翁株式会社 层叠体和有机系太阳能电池的制造方法
KR102035053B1 (ko) * 2017-08-04 2019-10-22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화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US10374161B2 (en) * 2017-08-16 2019-08-0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Glass substrate separation method and glass substrate separation device
US11177153B2 (en) * 2018-03-20 2021-11-16 Chengdu Eswin Sip Technology Co., Ltd. Method of debonding work-carrier pair with thin devices
CN109143627A (zh) * 2018-09-14 2019-01-04 盐城华昱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模组的背光源拆卸辅助装置
CN110969931B (zh) * 2018-09-29 2022-08-23 杰宜斯科技有限公司 显示部模块的返工装置及方法
USD939931S1 (en) * 2019-03-07 2022-01-04 Whitestone Co., Ltd. Jig for attaching display protection film
USD940536S1 (en) * 2019-03-07 2022-01-11 Whitestone Co., Ltd Jig for attaching display protection film
USD939930S1 (en) * 2019-03-07 2022-01-04 Whitestone Co., Ltd. Jig for attaching display protection film
USD939929S1 (en) * 2019-03-07 2022-01-04 Whitestone Co., Ltd. Jig for attaching display protection film
KR102501770B1 (ko) * 2021-12-17 2023-02-21 이상헌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US11571883B1 (en) * 2021-12-30 2023-02-07 Rohr, Inc. Thermoplastic laminate induction weld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0785A (en) * 1962-05-01 1965-06-22 Ralph L Comet Dispenser for masking tabs
JPS62208525A (ja) 1986-03-07 1987-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の再生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525183A (en) * 1992-01-27 1996-06-11 Bay-Br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ditioning and resealing a toner cartridge
JP3401841B2 (ja) 1993-07-09 2003-04-28 ソニー株式会社 Crtの分割方法、分割装置および再生処理方法
JPH0745198A (ja) 1993-07-30 1995-02-14 Nec Kansai Ltd Crtバルブ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US5971566A (en) 1996-07-23 1999-10-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785719B2 (ja) 1997-02-20 2006-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233497B1 (en) 1997-09-18 2001-05-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act detecting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JPH11119678A (ja) 1997-10-17 1999-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
US5976307A (en) * 1998-03-13 1999-11-02 Dupont Photomas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pellicle frame from a photomask plate
JP3747306B2 (ja) 1998-03-25 2006-02-22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3428931B2 (ja) 1998-09-09 2003-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解体処理方法
DE69933915T2 (de) * 1998-09-29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Plasma-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Zerlegung
JP3581627B2 (ja) 1999-02-24 200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140887C (zh) 2000-02-01 2004-03-03 达碁科技股份有限公司 等离子显示模组件
JP2002050294A (ja) 2000-08-04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リサイクル装置
KR100354929B1 (ko) * 2000-10-16 2002-10-11 엘지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방열 시스템
CN1301528C (zh) * 2002-04-26 2007-02-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装置的制造方法及其拆解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288B1 (ko) * 2002-04-26 2009-08-11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해체 방법
KR100745536B1 (ko) * 2005-08-01 2007-08-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dp 패널조립체를 위한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04142B1 (ko) * 2005-11-07 2013-09-04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기판 적재 부재의 분해 방법 및 재이용 방법
KR100840545B1 (ko) * 2005-12-13 2008-06-2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dp용 섀시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20170113187A (ko) * 2016-03-29 2017-10-12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지장치의 분리방법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5626C (zh) 2006-07-19
US20030121601A1 (en) 2003-07-03
KR100560222B1 (ko) 2006-03-10
CN1431640A (zh) 2003-07-23
EP1324294A3 (en) 2006-01-11
EP1324294A2 (en) 2003-07-02
JP2003288028A (ja) 2003-10-10
US7150804B2 (en)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222B1 (ko) 화상표시장치의 분해방법,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지지부재의 제조방법, 화상표시부의 제조방법, 가공재료의제조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US20090032186A1 (en) Vibration-induced die detachment system
JP4956986B2 (ja) 表示パネルの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JP2003255852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分解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4327935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接続装置
JP3757193B2 (ja) 半導体チップのボンデ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KR101187230B1 (ko) 터치패널 리페어 장치
JP200411109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
JP2016029411A (ja) 表示装置の分離装置及び表示装置の分離方法
CN101180665A (zh) 具有玻璃制面板的显示装置及其分离方法
US20130174411A1 (en) Disassembly method and disassembly device for display device
JP445755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基板の回収方法
JP2002144287A (ja) 樹脂被加工品の切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142565A (ja) 基板ホルダ
JP4883183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
JP505055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CN218254935U (zh) 一种屏幕拆卸设备
CN217255967U (zh) 一种手机屏幕电动拆卸工具
CN218428090U (zh) 电子屏幕拆卸设备
CN106414078B (zh) 丝网印刷装置及方法
JP2009217205A (ja) 表示装置の分解方法および分解装置
CN108539050B (zh) 柔性面板的分离方法
CN213956093U (zh) 一种具备快速拆装的散热片组
JP2004327587A (ja) 電子部品製造方法および電子部品の集合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部品の集合体
JP2008103183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