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059A -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을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을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059A
KR20030045059A KR10-2003-7003416A KR20037003416A KR20030045059A KR 20030045059 A KR20030045059 A KR 20030045059A KR 20037003416 A KR20037003416 A KR 20037003416A KR 20030045059 A KR20030045059 A KR 20030045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istic curve
clutch
engine speed
start characteristic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315B1 (ko
Inventor
짐메르만마틴
모쉐이메르조한네스
에이치줄겐
쉬네이데르게오르그
쉬웨이제르아레잔데르
보르넴마틴
칼 지저스 페리아구리아노
Original Assignee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filed Critical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4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8Regulating clutch take-up on sta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8Feedback, closed loop systems or details of feedback error signal
    • B60W2050/0009Proportional differential [PD]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19Control system elements or transfer functions
    • B60W2050/0022Gains, weighting coefficients or weigh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19Control system elements or transfer functions
    • B60W2050/0042Transfer function lag; de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43Signal treatments, identification of variables or parameters, parameter estimation or state estimation
    • B60W2050/0052Filter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75Clutch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91Clutch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04Throttl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2Clutches
    • B60W2710/021Clutch engagement state
    • B60W2710/023Clutch engagement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2Clutches
    • B60W2710/027Clutch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06Clutch position
    • F16D2500/10412Transmission line of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04Clutch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7Speed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0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pedals
    • F16D2500/3144Accelerator ped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6Other signal inputs not covered by the groups above
    • F16D2500/3166Detection of an elapsed period of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24Driv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2Look-up tables
    • F16D2500/70252Clutch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2Look-up tables
    • F16D2500/70252Clutch torque
    • F16D2500/7027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22Clutch parameters
    • F16D2500/70432From the input shaft
    • F16D2500/70434Input shaf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6Strategy of control
    • F16D2500/70668Signal filtering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정격 토크를 조정하기 위해 스타트 특성곡선이 사용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특히 자동 트랜스미션 및/또는 자동 클러치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의 특징은 자동차의 스타트시 운전자의 의도가 고려되는 방식으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이 변동됨으로써 자동차의 상이한 구동 상태에 매칭된다는 점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을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nd/or regulating a starting process of a vehicle}
특히 자동 트랜스미션 또는 자동 클러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스타팅 과정에서는 예컨대 엔진 회전수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팅 특성곡선 상의 엔진 회전수에 따라 클러치의 적절한 클러치 토크가 조정된다. 스타팅 과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소위 표준 특성곡선 내지는 공친 스타팅 특성곡선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공칭 스타팅 특성곡선을 사용하는 공지된 방법에서는 운전자의 의도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특히 예컨대 전부하 스타팅이나 부분 부하 스타팅과 같은 자동차의 상이한 구동 상태 또는 운행 상태에서는 스타팅 엔진 회전수가 충분히 변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스타트 과정에서는 스타트가 가열된 엔진으로 실행되는지 아니면 냉각된 엔진으로 실행되는지의 여부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는다.
그 외에도 공지된 트랜스미션 제어 방법에서는 산길이나 오르막길에서의 스타트 과정에서 스타트 특성곡선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음으로 인해 운전자가 구동 상태에서 단지 가속 페달 각도를 높임으로써 자동차를 멈추려는 시도를 하게 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경우 클러치가 과열되고, 그로 인해 클러치가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러치 정격 토크를 조정하기 위해 스타팅 특성곡선이 사용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특히 자동 트랜스미션 및/또는 자동 클러치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이한 기어단에 대한 상이한 스타트 특성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상이한 구동 상태에서 시간 의존적 계수로 가중된(weighted) 2 개의 스타트 특성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엔진 회전수 및 시간 계수에 따라 클러치 규정 토크가 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스타트 특성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3 개의 스타트 특성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로, 본래 프로파일(삼각형) 및 본 발명에 따른 2 개의 프로파일(마름모 및 사각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스로틀 밸브 각도에 따른 계수의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전부하시 스타트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수가 고려된, 전부하시 스타트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백 아웃(back out) 구동 상태에서 가능한 스타트 전략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백 아웃 구동 상태에서의 개선된 스타트 전략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지수적 시간 요소로 필터링된 신호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시간 상수 170으로 필터링된 신호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구동 상태로의 팁핑(tipping)시 가능한 스타트 전략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구도 상태로의 팁핑시 개선된 스타트 전략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시간 상수 17로 필터링된 신호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도 7에 따른 스타트 전략을 이용한 전부하 스타트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또 다른 가능한 전부하 스타트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또 다른 가능한 전부하 스타트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백 아웃 구동 상태에서 본래 스타트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백 아웃 구동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자동차의 엔진 특성도 및 스타트 특성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파라미터가 변동된 경우의 자동차 엔진 특성도 및 스타트 특성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는 공회전 회전수가 정상인 경우의 스타트 특성곡선 및 공회전 회전수가 증가된 경우의 스타트 특성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엔진 회전수가 Nid일 때 동일한 프로파일을 갖는 2 개의 스타트 특성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스타트 과정에서 당시 운전자의 의도 및 구동 상태가 충분히 고려되는, 트랜스미션의 제어 및/또는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의 상이한 구동 상태에 매칭되기 위해 자동차의 스타트시 운전자의 의도가 고려되는 방식으로 스타트 특성곡선이 변동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타트 특성곡선이 상이한 구동 상태 및 운전자의 의도에 매칭될 수 있는, 트랜스미션 제어 및/또는 조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트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스타트 특성곡선이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계수의 영향을 받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계수의 시간 의존적 변동도 가능하다. 따라서 스타트 특성곡선 또는 스타트 함수에서 각각의 운전자의 정해진 스타트 의도가 간단하게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한데, 여기서는 계수가 가속 페달에 따라 및/또는 기어(단)에 따라 가중된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계수가 시간 함수를 통하여(에 대하여) 최종값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기울기, 예컨대 인터럽트당 약 1% 정도의 기울기를 갖는 선형 함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스타트가 시작된 후 약 1초만에 최종값에 도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예컨대 제 1단 기어에서의 스타트가 기본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운전자가 스타트의도를 알리기 위해 소위 공회전(LL)-스위치를 작동시키자 마자 경과시간 측정기가 "0"에서 시작될 수 있다. LL-스위치가 작동되면, 즉 운전자가 예컨대 스타트 중단시 가스를 공급하지 않으면, 상기 경과시간 측정기가 바람직하게는 인터럽트당 약 0.5%씩 감소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따라서 스타트시 계수 또는 가중 계수는 정지 상태가 매우 짧은 경우에도 "0"부터 증가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계수는 중립 상태에서 다시 "0"으로 세팅된다.
킥다운을 이용한 스타트 과정에서 운전자는 통상 고속으로 가속 페달을 밟는다. 그러나 가중 계수 및 클러치 토크는 일단 서서히 증가되기 때문에, 엔진이 스타트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 결과 클러치 토크의 증가 속도가 지연됨에 따라 엔진 회전수가 다시 제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예컨대 킥다운-스타트를 위한 스타트 특성곡선에 의해 신속한 가속이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스타트 함수가 적절하게 조정됨에 따라 클러치에 과도하게 부하가 가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정상 운행 상태에서 킥다운 구동 상태로 전환될 때 시간 슬로프(slope)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통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 규정 토크의 특성곡선이 바람직하게는 점프를 갖지 않는다. 이 경우 다른 시간 함수도 사용될 수 있다. 킥다운 구동 상태로의 전환시 사용된 계수가 바람직하게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부하가 높을 때 클러치의 보호를 위해 예컨대 클러치의 온도 등이 스타트 함수의 측정을 위한 파라미터로서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엔진 크기 및/또는트랜스미션 크기와 같은 다른 적절한 파라미터도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동 클러치 또는 자동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자동차에서의 스타트는 시스템의 내구성과 관련한 손실이 수반되지 않고도 현재 운전자의 의도를 더 강하게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 전략을 이용하여 최대 엔진 회전수 및 최대 엔진 토크를 구현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스타트 과정동안의 스로틀 밸브 각도 신호 또는 가속 페달 각도 신호 등에 따라 좌우되는 계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스로틀 밸브 각도가 높을 때 엔진 회전수뿐만 아니라 엔진 토크도 증가하고, 그로 인해 운전자의 의도가 고려된다.
예컨대 소위 팁-인(tip-in) 구동 상태 및 백-아웃(back-out) 구동 상태에서와 같이 특히 스로틀 밸브 각도가 빠르게 변동하는 경우 토크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스로틀 밸브 특성곡선의 양(+) 및 음(-)의 기울기 위상에서 상이한 시간 요소를 갖는 2 개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소위 일차 PT-1-필터 또는 그와 유사한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는 지수적 시간 요소 또는 그와 같은 것을 가질 수 있다.
토크의 심한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로틀 밸브 계수의 기울기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스로틀 밸브 계수의 변동이 사전 설정된 한계값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도고려될 수 있다. 스타트 특성곡선에서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스타트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엔진 회전수 및 엔진 토크는 전부하 스타트시 클러치에 유입되는 에너지와 똑같이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따라 변동된 이러한 스타트 전략을 통해 전부하 스타트 과정시 전력 소비량이 바람직하게 증가될 수 있는 한편, 공지된 스타트 전략에서는 그와 반대로 모든 방식의 스타트 과정에서 전력 소비량이 증가된다.
자동 클러치에서는 예컨대 스타트 과정동안의 엔진 회전수에 대한 함수로서 클러치 토크의 특성곡선이 제시될 수 있다. 스로틀 밸브 의존적 계수는 스로틀 밸브 각도의 적절한 변동을 기초로 하는 스타트 특성곡선의 중복(multiplication)을 일으킬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적어도 미리 정해진 부분에서 계수에 의해 변동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이한 구동 상태에서 변동 가능한 계수에 의해 상기 특성곡선이 적절하게 매칭된다.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가속 페달 의존성 내지는 스로틀 밸브 의존성의 상이한 구현이 방지됨으로써 운전자의 의도가 고려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하기의 함수에 의해 클러치 토크(Mk)가 측정될 수 있다.:
Mk= 스타트 특성곡선(nmotor- kαα)
여기서, Mk= 클러치 규정 토크
nmotor= 엔진 회전수
kα·α = 보정항(correction term)
α = 가속 페달 각도/스로틀 밸브 각도
이다.
위 방정식의 우측에 기입되어 있는 스타트 특성곡선의 함수는 여기서 공칭 스타트 특성곡선의 평가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보간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그 결과 특성곡선 평가의 인수(argument)가 가속 페달 의존적 항(Kα·α)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이 때 계수 Kα는 상수값을 가지며, 이 상수값으로 예컨대 10과 같은 수가 선택될 수 있다. 계수 Kα를 위해 다른 값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타트 특성곡선이 상이한 구동 상태에 매칭될 수 있다. 예컨대 출발시 가속 페달이 빠르게 변동하는 경우 클러치 토크의 바람직하지 않은 프로파일을 방지하기 위해 보정항(Kα·α)의 경우 기울기 제한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정항에 의해 스타트 특성곡선이 엔진 회전수의 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될 수 있다. 자동차의 스타트 과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또 다른 적절한 조치들도 가능하다.
적절한 보정항을 포함하는 상기와 같은 스타트 함수는 특히 전자 클러치 제어(ECM)에서의 자동 클러치 및/또는 자동 트랜스미션뿐만 아니라 CVT-트랜스미션에도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예컨대 공회전 회전수가 증가할 때 스타트 특성곡선의 변동과 관련된 것이다. 스타트 특성곡선은 전자 클러치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통해 및/또는 자동 트랜스미션의 제어를 통해 특히 공회전 회전수에 대한 함수로서 적어도 구간별로 이동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클러치 전략에서 회전수 및/또는 슬립 의존적 토크가 적절하게 변동되고, 그 결과 냉각 상태에 있는 자동차의 경우 스타트 회전수가 예컨대 증가할 수 있고, 시프팅 과정에서 슬립이 더 서서히 해제된다. 회전수 증가의 원인이 실수로 운전자에게 귀속되지 않게 하기 위해 엔진 공회전 범위 내에서 그러한 변위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공회전 회전수가 증가하는 경우, 즉 통상 엔진이 냉각되는 경우의 주행 특성이 자동차의 워밍업 상태에 맞추어질 수 있다.
예컨대 스타트 특성곡선은 엔진 가열 상태의 공회전 회전수와 실제 공회전 회전수 사이의 차만큼 더 높은 회전수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스타트 특성곡선의 이동은 엔진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으로 미리 정해진 엔진 회전수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될 수 있다. 엔진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엔진 회전수보다 더 큰 경우에는 공회전 회전수가 증가된 경우의 스타트 특성곡선과 공회전 회전수가 정상인 경우의 스타트 특성곡선이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스타트 특성곡선이 다른 방식으로 변동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음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산길 스타트 과정에서의 승차감 및 유용성과 관련하여 특히 자동 클러치 제어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산길 스타트에서 클러치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주행 상태 내지는 구동 상태에 따라 좌우되는 풀링 기능(獨: 풀링funktion, 英: pullingfunction)이 제공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클러치는 예컨대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이후에 미리 정해진 속도로 폐쇄(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유용성이 바람직하게 증가된다.
이러한 풀링 기능은, 전술한 주행 상황에서도 승차감을 바람직하게 향상시키기 위해, 미리 정해진 주행 상황에서는 활성화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컨대 후진 기어가 넣어지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어려운 상황에서 후진하는 경우에도 동급의 승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풀링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링 기능은, 적절하지 않은 주행 상황에서 상기 기능이 오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후진 기어가 넣어지면 예컨대 사전 설정된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예: 200℃)가 되어야 상기 풀링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한 방법은, 예컨대 주행 주기동안 정해진 수의 최초 스타트 상황에서는 상기 풀링 기능을 중단시키는 것이다. 최초 스타트 상황의 개수(N)는 예컨대 값 "3"이 될 수 있다. 상기 수(N)의 경우 다른 값도 사용될 수 있다.
제안된 조치들을 실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1. 주행 주기의 시작시 계수기가 값 "0"으로 초기화된다.
2. 스타트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예: 3초)이 지난 후에도 클러치 슬립이 아직 제거되지 않은 것이 인지되면 상기 계수기가 증분될 수 있다.
3. 상기 계수기가 미리 정해진 계수 상태를 아직 넘어가지 않은 경우 풀링 기능이 비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4. 상기 계수기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면 풀링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5. 상기 계수기는 스타트마다 지속적인 슬립(permanent slip)이 인지됨에 따라 동일한 크기만큼 증분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계수기가 예컨대 클러치 슬립의 지속 시간에 비례하여 증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조치들은 다른 조치들로 보완될 수 있고, 서로 임의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온도의 기울기가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클러치의 풀링(pulling)이 가속화되고 및/또는 더 이른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클러치의 더 이른 및/또는 더 빠른 풀링을 위해 다른 적절한 자동차 데이터도 사용될 수 있다. 클러치 온도의 기울기가 사용되는 경우, 예컨대 매 10초마다 클러치의 온도가 측정되거나 계산되고, 측정된 값은 예컨대 10초 이전에 측정 또는 계산된 값과 비교됨으로써 상기 클러치 온도의 기울기가 측정될 수 있다. 클러치 온도의 계산 및 비교를 위해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자동 클러치 또는 자동 트랜스미션의 제어를 개선시키기 위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치들은 특히 산길 스타트시 건식 클러치의 제어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서로 임의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의 제어 및/또는 조정 방법은 모든 시스템, 특히 모든 종류의 자동 클러치 및/또는 자동 트랜스미션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특정한 상황에 스타트 전략을 최적으로 매칭시키기 위한 보정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운전자의 의도가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그 밖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및 하기에 설명하는 도면에 제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자동차의 스타트를 위한 상이한 기어단에 대한 다수의 스타트 특성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1단 기어에 대한 스타트 특성곡선은 마름모로 표시된 프로파일로 도시되어 있다. 후진 기어의 스타트 프로파일의 경우 4각형으로 표시된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다. 2단 기어의 경우 스타트 특성곡선은 삼각형으로 표시된 프로파일로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계수가 증가된 경우의 스타트 특성곡선은 십자형으로 표시된 프로파일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방식으로 1단 기어에서의 스타트를 위해 바람직하게 소위 표준 특성곡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특성곡선은 예컨대 후진 기어에서 적절한 가중 계수(예: 0.75)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더 작은 클러치 토크를 설정할 수 있고 다시 더 높은 엔진 회전수로 스타트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2단 기어로 스타트되는 경우에도 제공되는데, 이 때 증가된 계수(예: 1.5)로 스타트 과정이 실현된다. 그럼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스타트 특성곡선이 산출되고, 이 때 클러치 규정 토크가 상이한 스타트 과정에 대한 엔진 회전수의 함수로서 명시된다.
도 2에는 2 개의 스타트 특성곡선이 시간에 대한 함수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0 내지 90°의 페달 위치에 대한 시간 의존적 스타트 특성곡선(마름모 표시)이고, 다른 하나는 1단 기어에서 스타트되는 경우 킥다운 위치에 대한 스타트 특성곡선(사각형 표시)이다.
이는 클러치 토크의 경우, 특성곡선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이 클러치에 곧바로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시간이 경과한 후 클러치 토크가 본래 특성곡선에 점차 근접해간다는 결과를 갖는다.
도 3에는 엔진 회전수 및 가중 계수에 대한 함수로서 클러치 규정 토크가 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스타트 특성곡선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름모로 표시된 프로파일은 1초 후 1단 기어의 경우 스타트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사각형으로 표시된 프로파일은 100 ms 후 1단 기어의 경우 스타트 특성곡선을 나타내며, 삼각형으로 표시된 프로파일은 500 ms 후 1단 기어의 경우 스타트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클러치 토크는 엔진 회전수 및 시간 계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때 시간 계수는 추가로 페달 위치 및/또는 선택된 기어단에 따라 좌우된다. 도 3에는 간략화를 위해 시간 의존도만 도시되어 있다.
스타트 특성곡선의 시간 의존적 변동에 의해 스타트 과정이 미리 정해진 주행 상황에 매칭될 수 있다. 예컨대 션팅(shunting) 모드에서 엔진 회전수가 낮으면 더 적은 부하로 스타트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운전자는 자동차를 션팅 모드로 구동하기 위해 가속 페달을 천천히 밟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운전자는 이미 1초 후에 완전한 클러치 규정 토크를 갖게 된다. 즉, 운전자는 특성곡선을 통해 공회전 회전수보다 약간 더 큰 스타트 회전수를 설정할 수 있다.
운전자가 예컨대 중간 부하 범위 또는 높은 부하 범위에서 스타트를 걸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는 적절한 페달 위치를 신속하게 조정할 것이다. 그러나 이 때, 클러치에서는 1초 이내에 특성곡선에 상응하는 최대 토크가 아직 세팅되지 않기 때문에, 엔진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상기 엔진의 스타트 회전수까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스타트 회전수에서 발생하는 클러치 토크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이 특수한 스타트 과정에서는 전술한 조치를 통해 스타트 과정이, 특히 하위 회전수 범위 내에서 토크가 상승한 후, 훨씬 더 부드럽게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이한 특성곡선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특성곡선으로서 기본(original) 스타트 특성곡선(마름모), 임의의 계수(0.277)와 곱해진 스타트 특성곡선(사각형) 및 전부하 스타트시 엔진 토크의 프로파일(삼각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로부터, 소정의 자동차에서 분당 회전수가 3000rpm인 경우 58 Nm 이상의 엔진 토크가 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클러치 토크가 마찬가지로 분당 3000회 회전시 상기 값을 취하는 경우, 더 개선된 스타트 특성곡선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사각형이 표시되어 있는 프로파일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스타트 특성곡선이 아래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환 내지는 이동은 계수 0.277에 의해 가능해진다. 표준 스타트 전략에서는 분당 회전수가 3000rpm인 경우 클러치 토크가 약 204.65 Nm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계수가 언제 세팅되고, 어느 정도의 크기로 선택되는지가 규정될 수 있다. 이 때, 스로틀 밸브 각도가 낮은 경우에도 스타트 특성곡선이 적절하게 매칭됨으로써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의 변조가 상기 범위 내에서 더욱 악화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 결과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에서 원하는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45°의 스로틀 밸브 각도까지 계수가 예컨대 대략 값 "1"을 취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전부하 스타트에서는 계수가 약 0.277이어야 했다. 상기 값은 스로틀 밸브 각도가 70°보다 큰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스로틀 밸브 각도의 값이 45°에서 70°사이인 경우에는 계수가 예컨대 선형 보간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계수의 경우 다른 값도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자동차의 경우 계수의 값이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계수의 값이 스로틀 밸브 각도에 대한 함수로서 표시되어 있다. 도 5로부터 스타트 특성곡선에 곱해지는 계수와 스로틀 밸브 각도 사이의 관계를 알 수 있다.
규정된 계수는 하기의 3 가지 항목과 관련하여 표준 소프트웨어와 비교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1. 전부하 스타트
2. 스타트시 백 아웃
3. 스타트시 팁-인
도 6 내지 도 9 및 도 11 내지 도 19에는 도시된 프로파일들이 다음과 같은약자로 표기되어 있다.
DKLW= 스로틀 밸브 각도
MR_IST= 실제 전송되는 클러치 토크
MM_ANSAUG= 흡입압을 기초로 하는 특성도에 따른 엔진 토크
n_MOT_neu= 새로 세팅된 엔진 회전수
n_GET_neu= 새로 세팅된 기어 입력 회전수
DKLW_FILT= 필터링된 스로틀 밸브 각도 신호
ME_0= 유효 엔진 토크
MR= 유효 클러치 토크
n_mot_0= 최초 엔진 회전수
n_Get_0= 최초 기어 입력 회전수
a_fzg= 자동차 가속도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상이한 스타트 전략들 간에 현저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스타트 전략이 임의의 계수와 곱해지지 않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전부하 스타트가 시뮬레이팅된다. 그에 비해 도 7에서는 적절한 계수가 고려되는 전부하 스타트가 시뮬레이팅된다.
엔진 회전수(n_MOT_neu), 엔진 토크(MM_ANSAUG) 및 클러치 토크(MR_IST)의 값은 동일한 시점에(스타트 시작 1초 후) 도 6에 따른 스타트 전략의 경우보다 더 나은 값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도 7에 따른 방법에서는 자동차가 매우 짧은 시간에 17 km/h의 속도에 도달하는데, 상기 속도는 기어 입력축에서의 회전수가 대략3000rpm인 것에 상응하며, 전략들 사이에서 비교 파라미터를 형성한다. 1초 후 전부하 스타트 과정동안 상이한 상기 두 스타트 전략의 값이 하기의 표에 제시 및 비교되어 있다.
도 6에 따른 스타트 전략:
엔진 회전수2100/min
엔진 토크50 Nm
클러치 토크50 Nm
17km/h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1.94 초
에너지 소비9.1 kJ
도 7에 따른 스타트 전략:
엔진 회전수3224/min
엔진 토크58 Nm
클러치 토크57 Nm
17km/h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1.80 초
에너지 소비17.1 kJ
상기 두 스타트 전략의 편차:
엔진 회전수53% 이상
엔진 토크15% 이상
클러치 토크16% 이상
17km/h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8% 이하
전부하 스타트 과정 동안의 에너지 소비는 상이한 스타트 과정의 시뮬레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따른 스타트 전략에서는 전부하 스타트 과정시 에너지 소비가 더 높은 것이 확인되는 한편, 도 6에 따른 스타트 전략에서는 모든 방식의 스타트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높기 때문에, 최대 엔진 토크에 도달할 수 있기 위해서는 추가로 보정(calibration)이 수행되어야 한다.
도 5에는 스로틀 밸브 각도(DKLW)와 계수 사이의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로틀 밸브 각도가 45°내지 70°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스로틀 밸브의 기울기가 양의 값이 되면 스타트 특성곡선이 계수와 일치되어 똑같이 0.277로 감소되기 때문에 클러치 토크가 감소된다. 다른 측면에서 스로틀 밸브 기울기의 음의 값이 동일한 간격으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이 그의 본래 위치로 되돌아가고, 클러치 토크는 다시 증가한다. 이러한 증가는 사전 설정된 자동차가 1600rpm보다 더 큰 엔진 회전수에 도달하게 되는 스타트 과정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상기 엔진 회전수부터는 스타트 특성곡선이 더 높은 기울기를 가지며, 그에 따라 토크의 변동도, 도 4에도 도시된 것처럼, 더 급격하게 나타난다.
소위 백 아웃(back-out) 상태 중에는 스타트 특성곡선이 변동하며, 이 때 엔진 회전수는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클러치 토크 프로파일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높은 기울기를 갖는다. 이는 운전자에게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운전자가 스타트 과정을 중단할 때 자동차가 갑자기 앞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부하 스타트 과정동안의 소위 백 아웃은, 스로틀 밸브값의 변동이 매우 크고 그에 따라 엔진 회전수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타트 전략에 있어서 가장 곤란한(어려운) 경우이다.
도 8에 상기와 같이 가능한 스타트 전략에 의한 상황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에 비해 도 9에는 (도 7에 따라) 더 개선된 스타트 전략에 의한 동일한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스로틀 밸브 각도가 변동함으로써 토크가 증가하면, 예컨대 상기 신호가 지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부하 스타트 과정이 중단되면, 예컨대 클러치 토크의 프로파일이 변동하고 토크가 대폭 증가하는 경우 엔진 회전수가 확실한(안전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스로틀 밸브의 값이 그에 상응하게 지연될 수 있다.
스로틀 밸브 신호가 적절하게 필터링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소위 일차 PT-1-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필터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특히 엔진 회전수가 감소되는 경우 토크의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로틀 밸브 신호를 적절하게 감쇠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PT-1)에 적절한 시간 요소는 다음 미분방정식을 충족시킨다:
u(n) = 스로틀 밸브 신호
y(n) = 필터링된 스로틀 밸브 신호
Konstante = 필터의 시간 상수
상응하는 전달 함수는 아래와 같다.
도 10에는 예컨대 필터의 지수적 특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입력 신호(a)와 출력 신호(b) 사이에 지연된 프로파일이 나타나 있다. 이 때,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적절한 계단식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데, 상기 계단식 신호는 스로틀 밸브값을 신호로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아래 방정식은 상기 그래프를 기초로 한다.:
y(t)=1-e^-t / τ
스로틀 밸브 계수가 70°내지 90°의 구간에서 0.277로 일정한 경우, 약 170의 값을 갖는 상수를 가진 PT-1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수의 경우 상기 값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시간 상수의 경우 다른 값도 사용될 수 있다. 필터링된 스로틀 밸브값의 지연에 의해 약 45°내지 70°의 구간에서 일정하고 완만한 곡선이 구현될 수 있는데, 이 때 클러치 토크의 증가는 지연되는 한편, 엔진 회전수는 감소된다.
전부하 스타트 상태동안 소위 백 아웃이 일어나면, 회전수가 가장 높을 때 스로틀 밸브값이 매우 크게 변동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은 도 11에도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필터에 의해 적절하게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필터의 시간 상수가 170보다 더 큰 경우, 소위 백 아웃 동안에는 클러치 토크가 증가되지 않는 것이 보증될 수 있다. 이는 도 11로부터도 추측할 수 있으며, 이 클러치 토크(MR_IST)와 마찬가지로 필터링된 스로틀 밸브 신호(DKLW_FILT)도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소위 팁-인(tip-in) 상태동안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로틀 밸브 각도가 약 45°내지 70°의 구간에서 증가하는 경우, 팁-인이 일어나면 클러치 토크가 감소된다. 도 12 및 도 13에는 팁 인 상태에서의 2 개의 스타트 전략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백 아웃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팁-인에서도 상이한 시간 상수가 사용될 수 있다. 스로틀 밸브 기울기가 음의 값을 갖는 동안과 양의 값을 갖는 동안 각각 상이한 시간 상수가 제공될 수 있다.
스로틀 밸브 기울기의 값이 양이면, 스로틀 밸브 각도(DKLW_FILT)가 45° 내지 70°사이의 값에서 가능한 한 일정하고 완만하게 전이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필터의 시간 상수는 대략 값 "17"을 취할 수 있다. 이는 도 14에 도시된 곡선들에서도 추론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러치 토크(MR_IST)의 지연이 아주 미미하게 감소된다.
기울기가 음인 동안에는 모든 스로틀 밸브 각도에 대해 필터의 시간 상수가 값 "170"에 세팅될 수 있고, 기울기가 양이면 시간 상수는 값 "17"을 취한다. 필터의 시간 상수의 경우 다른 값도 가능하다.
도 15에서는 도 7에 따른 스타트 전략에 의한 전부하 스타트 과정이 시뮬레이팅되고, 이 때 제공되는 데이터들은 다음과 같다.:
- 엔진 회전수 = 3224 rpm
- 엔진 토크 = 58.3 nm
- 클러치 토크 = 57.9 nm
- 17km/h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 1.89 초
- 에너지 소비 = 16.6 kJ
상기 두 스타트 전략 사이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아래와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엔진 회전수(n_MOT_neu), 클러치 토크(MR_IST) 및 엔진 토크(MM_ANSAUG)는 도 7에 따른 스타트 전략의 경우와 같은 높이를 갖게 된다.
- 17 km/h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상기 두 스타트 전략의 시간 사이의 값을 갖는다.
- 스타트 과정동안의 에너지 소비는 계수가 사용된 스타트 전략에서보다 2.57% 더 적다.
전술한 두 스타트 전략에 따른 전부하 스타트 과정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관련 양상(aspect)은 다음과 같다.:
정상(stationary) 상태에서는 엔진 회전수가 (제 2 스타트 전략, 도 7) 3037rpm인 한편, 제 1 스타트 전략에서는 엔진 회전수가 2172rpm이다. 이는 40% 이상 증가된 것이다. 20 km/h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제 2 스타트 전략에서 0.25초 더 단축된다. 스타트 과정동안의 승차 안락감은 감소되지 않으며, 이 때 자동차 가속도(a-fzg)가 비교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스로틀 밸브 계수의 프로파일을 변형시킴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스타트 회전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적절한 보정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서의 백 아웃 구동 상태와 관련하여, 토크의 완만한 증가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로틀 밸브값에 따라 좌우되는 계수를 도입하여 스타트 과정에 적절하게 영향을 줄 수 있다(도 19). 엔진 회전수 및 토크는 스타트 과정동안 클러치에서의 전력 소비량과 마찬가지로 상당히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한 스타트 전략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20 km/h의 속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 이는 도 18과 도 19를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 시간이 250 ms(도 18)로부터 170 ms(도 19)로 줄어들 수 있다.
팁-인 구동 상태 및 백 아웃 구동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는 필터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예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예컨대 스로틀 밸브 각도의 기울기가 양인 경우와 음인 경우에 상이한 시간 상수를 갖는, 소위 1차 PT-1 필터일 수 있다. 그로 인해 스로틀 밸브 각도의 프로파일에서 변량이 달라질 수 있다.예컨대 더 개선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 전략을 전체적으로 더욱 최적화 시키기 위해 다른 조치들도 가능하다.
자동차의 스타트 과정은 예컨대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공칭 스타트 특성곡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0에는 공칭 파라미터를 갖는 상이한 스타트 특성곡선들과 엔진 특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스타트 과정동안 스타트 회전수 내지는 엔진 회전수는 준 정상적으로 조정되며, 스로틀 밸브 각도(α)가 더 큰 경우 엔진 토크가 약간만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스타트 회전수 또는 엔진 회전수도 약간만 변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로틀 밸브 각도가 30°(부분부하 스타트, 점 A)에서 90°(전부하 스타트, 점 B)로 변동되어도, 엔진 특성도에서 상이한 스로틀 밸브 각도에 해당하는 라인들과 스타트 특성곡선의 교차점에 의해 정의되는 스타트 회전수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따라서 운전자의 의도가 더욱 강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속 페달 또는 스로틀 밸브 각도를 기초로 하여 스타트 회전수를 변동시키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예컨대 도 20에서 약화된 스타트 특성곡선으로서 도시되어 있는 더 완만한 특성곡선이 제공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특성곡선을 더 완만하게 하거나 더 약화시키는 것은 기본적으로 스로틀 밸브 각도에 따라 좌우되는 계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완만한 특성곡선이 사용되는 경우 파라미터를 변동시키는 것에 비해 시스템의 내구성은 더 떨어진다. 그러한 파라미터의 변동은 엔진에서는 예컨대 해발고도로 인해, 클러치에서는 예컨대 온도 영향에 따라 변동되는 마찰 계수로 인해발생할 수 있다. 이는 도 21에 명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엔진 특성곡선과 스타트 특성곡선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30%만큼 보정된다. 완만해진 스타트 특성곡선의 새로운 교차점은 공칭 상태의 점 "C"에 비해 약 400rpm 정도 변위되어 있다. 즉, 파라미터의 변동은 스타트 함수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에 따라 클러치 토크(Mk)가 아래의 함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Mk= 스타트 특성곡선(nmotor- kαα)
여기서, Mk= 클러치 규정 토크
nmotor= 엔진 회전수
kα·α = 보정항(correction term)
α = 가속 페달 각도/스로틀 밸브 각도
이다.
위 방정식의 우측에 기입되어 있는 스타트 특성곡선의 함수는 여기서 공칭 스타트 특성곡선의 평가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보간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그 결과 특성곡선 평가의 인수(argument)가 가속 페달 의존적 항(Kα·α)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이 때 계수 Kα는 상수값과 관련되며, 상기 상수값으로 예컨대 10과 같은 수가 선택될 수 있다. 계수 Kα를 위해 다른 값도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하에 예컨대 전부하 스타트(α=90°)에서 스타트 회전수가 점 "B"(종래 기술에 따른 스타트 함수)에 비해 약 900rpm 더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상관관계는 도 20에서 변위된 스타트 특성곡선에 의해 명백히 나타나 있다.
자동차 내에서 전술한 조치들을 구현하기 위해 보정항(Kα·α)의 기울기가 제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스타트시 예컨대 가속 페달이 빠르게 변동하는 경우 클러치 토크의 바람직하지 않은 프로파일이 방지된다. 여기서도 스타트 과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른 적절한 조치들이 가능하다.
적절한 보정항을 가진 스타트 함수에서는 파라미터를 변동시키는 방법에 비해 전체 시스템의 내구성이 더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특히 도 21에 잘 나타나 있다. 변위된 특성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한 특성곡선 내지는 약화된 특성곡선의 기울기보다 훨씬 더 급격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파라미터 비율의 변동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적다. 조정된 스타트 회전수와 공칭 스타트 회전수(도 20 내지는 점 C)의 편차는 약 100rpm 정도밖에 안 되는 한편, 완만해진 특성곡선의 경우 약 400rpm의 차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22에는 2 개의 스타트 특성곡선(1, 2)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타트 특성곡선 1은 공회전 회전수가 정상인 경우, 즉 엔진이 가열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여기서 엔진 토크의 프로파일을 가정해보면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스타트 회전수(N1)가 나온다.
또한 도 22에는 스타트 특성곡선 2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성곡선의 특징은 공회전 회전수가 높다는 것, 즉 엔진이 냉각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이 특성곡선은 회전수 축 상에서 냉각된 엔진에서의 공회전 회전수와 가열된엔진에서의 공회전 회전수의 차이만큼 더 높은 회전수 쪽으로 이동된다. 이로부터 스타트 회전수(N2)의 특징적인 프로파일이 나타난다. 이 때, 공회전 회전수가 400rpm 증가되면 스타트 회전수도 400rpm 만큼 이동된다는 점에 주의한다.
스타트 특성곡선은 예컨대 구간별로만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이는 예컨대 엔진 회전수가 실제 공회전 회전수와 같은 경우 특성곡선이 엔진 가열 상태의 공회전 회전수(LL1)와 실제 공회전 회전수(LL2) 사이의 차만큼 더 높은 회전수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스타트 특성곡선을 구간별로 적절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다른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엔진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특성곡선의 이동은 엔진 회전수가 Nid일 때 값 "0"에 도달할 때까지 선형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스타트 회전수의 차는 스타트 회전수가 높을수록 더 많이 감소된다. 그로 인해 엔진 냉각시와 엔진 가열시의 특성이 바람직하게 더 유사해진다. 엔진 회전수(Nid)보다 더 큰 회전수에서는 공회전 회전수가 증가된 경우와 정상인 경우의 특성곡선이 동일할 수 있다.
도 23에는 그러한 스타트 특성곡선의 이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엔진 회전수(Nid)가 더 낮게 선택될수록 스타트 특성곡선의 이동이 스타트 회전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적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엔진 회전수(Nid)가 임의로 낮게 선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공회전 회전수가 증가하는 경우 스타트 특성곡선이 부분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타트 특성곡선이 상승폭이 그에 상응하게 변동되고, 이는 경우에 따라 승차감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엔진 회전수(Nid)는 약 3000rpm의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임의의 값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서와 함께 제출된 특허 청구항은 포괄적인 특허권 보호의 획득을 위한 선례가 없는 작성 제안이다. 출원인 측은 지금까지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만 공개된 추가의 특징 조합을 청구하는 것을 보류하고 있다.
종속항에서 사용된 재인용은 독립 청구항의 대상을 각각의 종속항의 특징들을 통해 추가로 설명함을 가리키는 것이며, 재인용된 종속항의 특징 조합의 독립적이고 구체적인 특허권의 획득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종속항의 대상은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 우선권일에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출원인은 독립 청구항의 대상을 위한 발명 및 분할 선언을 보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속항의 대상은 선행 종속항의 대상에 종속되지 않는 형태를 가진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세서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명세서의 범주 내에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와 같은 변형물, 구성 요소 및 조합물 및/또는 재료들은 예컨대 일반적인 명세서와 실시예 및 청구항에 기술되고 도면에 제시되는 특징들이나 요소들 또는 공정 단계들과 연관된 개별적인 재료의 조합 또는 변형을 통해 매우 독창적이고, 조합 가능한 특징들을 통해 새로운 대상 또는 새로운 공정단계 내지는 공정 단계 시퀀스를 도출시키며, 또한 이들은 대체로 제조 방법, 검사 방법 및 작업 방법에 연관된다.

Claims (35)

  1.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특히 자동 트랜스미션 및/또는 자동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클러치 정격 토크의 조정을 위해 스타트 특성곡선이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자동차의 상이한 구동 상태에 매칭되기 위해 자동차 스타트시 운전자의 의도가 고려되는 방식으로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적절한 계수를 이용하여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는 가속 페달값 및/또는 기어단을 기초로 하여 가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는 시간 함수에 대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로서 미리 정해진 기울기를 갖는 선형 함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정상 주행 상태로부터 킥다운 구동 상태로 전환될 때 시간 등가속 함수에 대해 계수의 시간적 변동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의 온도가 상기 계수의 측정을 위한 파라미터로서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임의의 계수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고, 상기 계수는 적어도 자동차의 스로틀 밸브 각도 신호 또는 가속 페달 각도 신호와 같은 신호들에 따라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밸브 각도 신호나 가속 페달 각도 신호는 스로틀 밸브 각도 또는 가속 페달 각도가 빠르게 변하는 경우 엔진 토크의 과도한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적절한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이한 시간 요소를 갖는 2 개의 필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일차 PT-1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지수적 시간 요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서 다수의 상이한 시간 요소들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8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로서 스로틀 밸브에 따라 좌우되는 계수의 기울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는 미리 정해진 한계값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8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적어도 미리 정해진 구간에서 상기 계수에 의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8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상이한 구동 상태에서 변동 가능한 계수에 의해 적절하게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적어도 전부하 스타트, 스타트시 백 아웃(back-out) 및/또는 스타트시 팁-인(tip-in)과 같은 구동 상태에서 적절하게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토크(Mk)는 아래의 함수, 즉
    Mk= 스타트 특성곡선(nmotor- kαα)
    에 따라 계산되고,
    여기서, Mk= 클러치 규정 토크
    nmotor= 엔진 회전수
    kα·α = 보정항(correction term)
    α = 가속 페달 각도/스로틀 밸브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자동차의 상이한 구동 상태에 매칭되기 위해 상기 보정항에 의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은 클러치 토크의 바람직하지 않은 프로파일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된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9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스타트 회전수는 전부하 스타트시 분당 약 900회 정도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9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상기 보정항에 의해 적절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현재 엔진 회전수에 따라 적어도 구간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엔진 회전수가 현재 공회전 회전수와 거의 같은 경우 더 높은 엔진 회전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은 가열된 엔진에서의 공회전 회전수(LL1)와 현재 공회전 회전수(LL2) 사이의 차만큼 더 높은 엔진 회전수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4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특성곡선의 이동은 엔진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으로 미리 정해진 엔진 회전수(Nid)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엔진 회전수(Nid)보다 더 큰 엔진 회전수의 영역에서는 공회전 회전수가 증가된 경우에 대한 스타트 특성곡선과 정상 공회전 회전수에 대한 스타트 특성곡선의 프로파일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1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구동상태에서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해 풀링 기능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 기능은 후진 기어가 넣어질 때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29항 또는 제 30항에 있어서, 후진 기어가 넣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풀링 기능이 우선 사전 설정된 온도 임계값보다 높은 온도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29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행 주기동안 정해진 수의스타트 상황에서는 상기 풀링 기능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주행 주기의 처음에는 계수기가 값 "0"으로 초기화되고, 스타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에도 클러치 슬립이 아직 제거되지 않은 것이 인지되면 상기 계수기가 증분되며, 상기 계수기가 미리 정해진 계수 상태를 아직 넘어가지 않은 경우 클러치의 풀링 기능이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계수기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면 풀링 기능이 활성화되며, 상기 계수기는 자동차의 모든 스타트시 지속적인 슬립이 인지됨에 따라 동일한 크기만큼 증분되거나, 클러치 슬립의 지속 시간에 비례하여 증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29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온도의 기울기가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클러치의 풀링(pulling)이 가속화되고 및/또는 더 이른 시점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온도의 기울기는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에서 클러치의 온도가 측정되거나 계산되고, 측정된 값은 선행하는 시간 간격에서 측정된 값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7003416A 2001-07-11 2002-07-08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을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100885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3698 2001-07-11
DE10133698.5 2001-07-11
PCT/DE2002/002490 WO2003006842A1 (de) 2001-07-11 2002-07-08 Verfahren zum steuern und/oder regeln eines anfahrvorganges einesfahrzeu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059A true KR20030045059A (ko) 2003-06-09
KR100885315B1 KR100885315B1 (ko) 2009-02-25

Family

ID=769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416A KR100885315B1 (ko) 2001-07-11 2002-07-08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을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071065A1 (ko)
EP (1) EP1444448A1 (ko)
KR (1) KR100885315B1 (ko)
BR (1) BRPI0205734B1 (ko)
DE (3) DE10293056D2 (ko)
FR (1) FR2828659B1 (ko)
IT (1) ITMI20021513A1 (ko)
WO (1) WO20030068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788A (ko) * 2008-07-10 2010-01-22 마그나 파워트레인 아게 운트 코 카게 클러치 유닛 제어 방법
US9145933B2 (en) 2013-12-17 2015-09-2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adjusting characteristics of dry clut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6896B4 (de) * 2003-02-18 2019-01-24 Volkswag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des Betriebs einer Kupplung eines Kraftfahrzeuges
GB2399870A (en) * 2003-03-25 2004-09-29 Eaton Corp Hill start or aggressive clutch control
JP4357276B2 (ja) * 2003-11-27 2009-11-04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411988B2 (ja) * 2004-01-30 2010-02-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クラッチ制御装置
JP2005233356A (ja) * 2004-02-23 2005-09-02 Jatco Ltd 発進クラッチの制御装置
FR2866682B1 (fr) * 2004-02-25 2006-04-07 Renault Sas Procede de controle du couple transmis par un embrayage lors de la mise en mouvement d'un vehicule
DE102004012908A1 (de) * 2004-03-17 2005-10-06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mit einer Einheit zum Regeln einer Fahrgeschwindigkeit
DE102005013997B4 (de) 2004-04-22 2019-07-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fahrstrategie für ein Fahrzeug mit einer automatisierten Kupplung und/oder mit einem automatisierten Getriebe sowie Kupplungssteuereinrichtung zum Durchführen einer Anfahrstrategie
FR2870792B1 (fr) * 2004-05-28 2007-08-31 Renault Sas Procede de controle d'une consigne de couple a appliquer aux roues d'une transmission automatise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JP2006002900A (ja) * 2004-06-18 2006-01-05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発進摩擦要素制御装置
DE102004045269A1 (de) * 2004-09-17 2006-04-1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trieb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mit Hybridantrieb
DE102005026615A1 (de) * 2005-06-09 2006-12-1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ierten Reibkupplung zwischen einem Motor und einem Getriebe
DE502006002050D1 (de) * 2005-09-09 2008-12-24 Luk Lamellen & Kupplungs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s Betriebs einer Kupplung und eines Antriebsmotors im Antriebsstrang eines Fahrzeugs
EP1762740B1 (de) 2005-09-09 2014-04-2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s Betriebs einer Kupplung und eines Antriebsmotors im Antriebsstrang eines Fahrzeugs
DE102006010982A1 (de) * 2006-03-09 2007-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Reibungsstartsteuersystem füe ein Fahrzeug
WO2007124710A1 (de) * 2006-04-28 2007-11-0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daptieren der steuerung der kupplungen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DE102006035142A1 (de) 2006-07-29 2008-02-1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Anfahrvorganges eines Kraftfahrzeugs
DE102006052100A1 (de) * 2006-11-04 2008-05-21 Zf Friedrichshafen Ag Steuern und/oder Regeln eines Anfahrvorganges
FR2912792B1 (fr) * 2007-02-16 2009-04-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pilotage de l'organe de couplage d'une transmission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7043591B4 (de) 2007-09-13 2018-12-27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Verhindern des Abwürgens des Verbrennungsmotors während eines Anfahrvorgangs
DE102007046735B4 (de) 2007-09-28 2019-05-0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Verhinderung einer Überlastung der Anfahrkupplung
EP2063148B1 (de) 2007-11-26 2014-04-30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upplung
JP4957528B2 (ja) * 2007-12-03 2012-06-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容量制御式発進クラッチ付き変速機搭載車両の高応答発進制御装置
DE102008000327A1 (de) 2008-02-18 2009-08-20 Zf Friedrichshafen Ag Einrichtung zur Reduzierung des Zugkrafteinbruchs
FR2927964B1 (fr) * 2008-02-26 2010-02-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coordination moteur et embrayage sur un groupe moto-propulseur a boite de vitesses pilote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5025018B2 (ja) * 2008-09-30 2012-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クラッチ制御装置
DE102009027564B4 (de) * 2009-07-09 2022-02-03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strangs
DE102010053540A1 (de) 2009-12-14 2011-06-1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Kupplung
JP5652544B2 (ja) * 2011-03-25 2015-01-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変速制御装置
US8600636B2 (en) * 2011-04-12 2013-12-03 Chrysler Group Llc Method for determining wet clutch temperature
DE102011111226A1 (de) * 2011-08-20 2013-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tors
US9249882B2 (en) * 2012-01-12 2016-0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 clutch transmission
SE1250320A1 (sv) * 2012-03-30 2013-10-01 Scania Cv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reglering av ett motorvarvtal vidett fordon
DE102012019036A1 (de) * 2012-09-27 2014-03-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elektromechanischen Kupplungssystems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3216107A1 (de) * 2013-08-14 2015-02-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ystem zur Steuerung des Betriebs eines Kraftfahrzeugs mit turboaufgeladenem Verbrennungsmotor
FR3014394B1 (fr) * 2013-12-05 2017-03-24 Renault Sas Procede de gestion de passage de vitesse d’un vehicule automobile permettant la protection de son embrayage
US9181995B1 (en) * 2014-04-25 2015-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mission clutch
JP6137210B2 (ja) * 2015-01-29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6408507B2 (ja) * 2016-03-31 2018-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不整地走行車両
JP2018027743A (ja) 2016-08-17 2018-02-2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DE102017200982B4 (de) * 2017-01-23 2021-09-16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entsprechende Antriebseinrichtung
DE102017210567A1 (de) * 2017-06-22 2018-12-27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Antriebstrangs
DE102019201711A1 (de) * 2019-02-11 2020-08-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ntriebsstranges eines Fahrzeuges,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es
CN113335281B (zh) * 2020-02-17 2023-07-2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双离合器车辆起步控制方法及系统
CN112590762B (zh) * 2020-12-08 2021-12-31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基于ecms的车辆soc自适应能量管理方法
CN113276689B (zh) * 2021-05-21 2022-05-10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纯电动汽车的扭矩滤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2473A1 (de) * 1984-04-05 1985-10-24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Kanagaw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rosselklappeneinstellung bei kraftfahrzeugen
JPS62103236A (ja) * 1985-10-30 1987-05-13 Diesel Kiki Co Ltd クラッチ制御装置
DE4409122C2 (de) * 1993-08-10 1998-12-24 Porsche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geln einer Kupplung eines Fahrzeugantriebes
FR2746353B1 (fr) * 1996-03-21 2000-07-21 Luk Getriebe Systeme Gmbh Dispositif pour commander un systeme de transmission de couple
NO981839L (no) * 1997-04-30 1998-11-02 Luk Getriebe Systeme Gmbh Anordning for styring av et dreiemomentoverf°ringssystem
DE19957269A1 (de) * 1998-12-02 2000-06-08 Luk Getriebe Systeme Gmbh Kraftfahrzeu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788A (ko) * 2008-07-10 2010-01-22 마그나 파워트레인 아게 운트 코 카게 클러치 유닛 제어 방법
US9145933B2 (en) 2013-12-17 2015-09-2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adjusting characteristics of dry cl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93056D2 (de) 2004-05-27
BRPI0205734B1 (pt) 2016-02-10
EP1444448A1 (de) 2004-08-11
US20050071065A1 (en) 2005-03-31
KR100885315B1 (ko) 2009-02-25
DE10230612B4 (de) 2017-11-16
FR2828659B1 (fr) 2006-11-10
FR2828659A1 (fr) 2003-02-21
WO2003006842A1 (de) 2003-01-23
DE10230611B4 (de) 2017-11-16
BR0205734A (pt) 2003-06-03
DE10230612A1 (de) 2003-02-06
ITMI20021513A0 (it) 2002-07-10
DE10230611A1 (de) 2003-01-23
ITMI20021513A1 (it) 200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315B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을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
EP1857715B1 (en) Automatic gear control device
US8335621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7149616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EP024028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clutch for a motor vehicle
US8617029B2 (en) Shift control apparatu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GB2323650A (en) Clutch control with racing start means
JPH11311320A (ja) 無段変速機を備えた車両の制御装置
US20180372220A1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0527165B2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3313365B2 (ja) 車輛の始動時変速回転数特性可変機構の自動制御方法
KR101714239B1 (ko) 차량용 클러치 제어방법
US5209332A (en) Control system for a clutch of a motor vehicle
JPH0771492A (ja) 自動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2527938B2 (ja) 車両用自動クラツチの制御装置
JP3322110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724337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565122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クリープ力制御装置
US4848528A (en) Control system for an electromagnetic clutch for a vehicle
JP2844647B2 (ja) ロツクアツプクラツチを用いたエンジンブレーキ制御装置
US7278952B2 (en) Terminating or disallowing signals to increase a throttle opening
JP7119526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4954169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3890464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573533B2 (ja) 無段変速機のクラッチ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