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3650A - 스태커 크레인 - Google Patents

스태커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650A
KR20030043650A KR1020020070303A KR20020070303A KR20030043650A KR 20030043650 A KR20030043650 A KR 20030043650A KR 1020020070303 A KR1020020070303 A KR 1020020070303A KR 20020070303 A KR20020070303 A KR 20020070303A KR 20030043650 A KR20030043650 A KR 20030043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er crane
mast
ladder
platform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111B1 (ko
Inventor
타이아키토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3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Abstract

종래의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의 마스트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강성이 불충분하면 주행·정지시에 마스트가 주행방향으로 흔들리지만, 강성을 높게 하고자 하면 마스트가 굵게 되어 스태커 크레인이 대형화하게 된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하부 프레임(45,145)으로부터 세워지는 마스트(46,146)와, 마스트(46,146)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34,134)를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3,103)으로서, 하부프레임(45,145)의 주행방향에서의 승강대(34,134)를 사이에 두고 마스트(46,146)와 대향하는 위치에 사다리(47,147)를 설치하고, 마스트(46,146)의 상부와 사다리(47,147)의 상부를 상부 프레임(48,148)으로 연결했다.

Description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본 발명은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세워지는 마스트와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를 구비하고, 한 쌍의 랙사이에 배치된 주행경로를 따라 자동주행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크린룸용의 자동창고로서, 한 쌍의 랙과, 랙사이에 배치된 주행경로를 따라 자동주행하는 스태커 크레인을 구비한 자동창고가 알려져 있다.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세워지는 마스트와, 마스트를 따라 승강가능한 승강대를 구비하고 있고, 주행수단 및 이송기구를 가지고 있다.
전술한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의 승강대를 지지하는 마스트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마스트 등의 강성이 불풍분하면 주행, 정지시에 마스트가 주행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가 있다. 이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마스트를 포함한 스태커 크레인의 프레임구조의 강성을 높게 할 필요가 있지만, 강성을 높게하고자 하면 마스트를 굵게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스태커 크레인이 대형화된다라는 문제가 생긴다.
또, 스태커 크레인을 구비한 자동창고는 구동원으로 전력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정전 등의 트러블이 발생하면 통전이 재개될 때까지 스태커 크레인이 움직이지 못하게 되고, 자동창고내에 매우 긴급히 처리하지 않으면 안되는 물품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트러블이 해소되어 스태커 크레인이 재기동할 때까지 특급의 물품을 꺼낼 수 없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콤팩트하게 구성하면서 프레임구조의 강성을 높인 스태커 크레인, 또는 정전이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라도 자동창고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을 꺼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다.
도 2는 자동창고의 스태커 크레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주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스태커 크레인을 수동조작해서 물품을 꺼내는 사다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승강기구의 전동모터 및 브레이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스태커 크레인의 사다리에 있어서의 상하요동가능한 횡목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의 스태커 크레인을 구비한 자동창고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의 스태커 크레인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의 스태커 크레인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2실시예의 스태커 크레인의 사다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2실시예의 스태커 크레인의 사다리를 나타낸 부분정면도이다.
도 12는 제2실시예의 스태커 크레인의 사다리를 나타낸 부분 측면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101:자동창고 3,103:스태커 크레인
7,107:이송장치 34,134:승강대
45,145:하부 프레임 46,146:마스트
47,147:사다리 47a,147a:종부재
47b,147b:횡목 28,148:상부 프레임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세워지는 마스트와,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를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하부 프레임의 주행방향에 있어서의 승강대를 사이에 두고 마스트와 대향하는 위치에 사다리를 설치하고, 마스트의 상부와 사다리상부를 상부 프레임으로 연결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사다리를 종부재와 횡목으로 구성하고, 종부재의 주행방향의 길이를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고, 횡목을 종부재의 하부프레임 가장자리부측에 배치했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사다리를 종부재와 횡목으로 구성하고, 횡목을 종부재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설치했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는 수동으로 해제가능한 브레이크기구를 갖는 주행수단과, 승강대를 수동으로 승강조작할 수 있는 승강기구를 구비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을 구비한 자동창고의 전체구성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자동창고(1)에는 다수의 물품수납선반(25,25,…)을 갖는 한 쌍의 수납부(20,20)와, 스태커 크레인(3)이 구비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수납부(20,20)는 바닥면에 매설되는 주행레일(38)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된다. 각 수납부(20)는 각각 전후방향(주행레일(38)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물품수납선반(25)을 구비하고 있다.
스태커 크레인(3)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대차가 되는 하부프레임(45)에는 주행레일(38)위를 주행하는 주행차륜(24a) 및 가이드륜(24b,24b)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차륜(24a)은 주행수단인 하부프레임(45)에 설치된 주행장치(51)에 의해 구동되며, 이것에 의해 스태커 크레인(3)이 주행레일(38)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수납부(20,20)의 상단부는 천정면(20a)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천정면(20a)에 가이드레일(39)이 매설되어 있다. 스태커 크레인(3)의 상단면에는 가이드롤러(22,22)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22,22)에 의해 가이드레일(39)의 양측을 가이드하고 있다.
스태커 크레인(3)은 마스트(46)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34)와, 승강대(34)위에 구성되는 이송장치(3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태커 크레인(3)은 예를 들면, 자동창고(1)에 구비하는 출입구(도시생략)로부터 웨이퍼가 수납된 밀폐가능한 카셋트 등의 물품(30)을 이송장치(7)를 이용해서 승강대(34)위에 수용한 후에, 비어 있는 물품수납선반(25)을 향해서 주행하고, 이송장치(7)를 이용해서 상기 물품수납선반(25)으로 물품을 입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대로, 이미 물품수납선반(25)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30)을 이송장치(7)를 이용해서 승강대(34)상에 수용한 후에, 상기 출입구를 향해서 주행하고, 이송장치(7)를 이용해서 상기 출입구로 물품(30)을 출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스트(46)는 하부프레임(45)의 주행방향에 있어서의 전후 한 쪽에 세워져 있다. 상기 승강대(34)는 이 마스트(46)에 상하승강구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승강대(34)위에 물품(30)의 이송을 행하는 이송장치(7)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하부프레임(45)의 전후 다른 쪽에는 마스트(46)와 대략 같은 높이의 사다리(4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다리(47)의 상단부와 상기 마스트(46)의 상단부는 이들의 연결면이 되는 상부프레임(4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스트(46)에 대향해서 설치한 사다리(47)의 상단부와, 상기 마스트(46)의 상단부를 연결함으로써, 마스트(46)를 보강할 수 있고, 스태커 크레인(3)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스태커 크레인(3)은 하부 프레임(45)의 주행장치(51)나승강대(34)의 동력원으로서 전력을 이용하고 있지만, 반도체제조공장 등의 크린룸에서는 청결을 철저히 하기 위해서, 급전선에 대해서 비접촉으로 급전을 행하는 비접촉급전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이 비접촉급전시스템에서는 전원을 구비한 1차측 회로로부터 전력부하를 구비한 2차측 회로로, 전자유도를 이용해서 비접촉으로 급전이 행해진다. 즉, 수납부(20)에 1차측 회로를 구성하는 급전선을 설치하고, 스태커 크레인(3)의 하부프레임(45) 등에 2차측 회로를 구성하는 수전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프레임(45)이 수전장치에 의해 급전선에 발생하는 자계로부터 전력을 얻어, 주행장치(51)의 전기모터(52) 및 승강대(34)의 전기모터(61)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먼지의 발생을 극력히 방지하기 위해, 스태커 크레인으로의 급전은 비접촉급전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지만, 비접촉급전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밀폐가능한 카셋트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트롤리를 이용한 급전시스템이어도 좋고, 또 굴곡가능한 케이블보호부재에 수납한 케이블을 이용한 급전시스템이어도 좋다.
자동창고(1)에 있어서, 정전 등의 스태커 크레인(3)으로의 전력공급이 행해지지 않게 되는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에는 스태커 크레인(3)의 주행이나, 승강대(34)의 승강구동을 못하게 되어 버린다. 또, 스태커 크레인(3)이 전기적으로 고장난 경우에는 스태커 크레인(3)을 자동창고(1)외부의 보수관리위치에서 수리한 후에, 다시 자동창고(1)내에 복귀시켜 재기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자동창고(1)내에 특급으로 처리하지 않으면 안되는 물품(30)이 제조품으로서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도, 트러블이 해소되어 스태커 크레인이 재기동될 때까지는 특급의 제조품을 꺼낼 수 없었다.
그래서, 본 안의 자동창고(1)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구성해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먼저, 하부프레임(45)의 주행장치(51)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내듯이, 상기 주행장치(51)에는 주행차륜(24a)을 회전구동하는 전동모터(52), 전동모터(52)의 회전을 감속해서 주행차륜(24a)에 전달하는 감속기(53), 및 주행차륜(24a)을 제동해서 스태커 크레인(3)을 확실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장치(5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장치(54)는 전동모터(52)의 출력축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주행차륜(24a)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장치(54)는 예를 들면 전자브레이크 등, 전력에 의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태커 크레인(3)으로의 전력공급이 중간에 중단되면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로 되어, 스태커 크레인(3)을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브레이크장치(54)는 브레이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브레이크해제레버(54a)를 구비하고 있고, 스태커 크레인(3)에 전력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라도, 브레이크해제레버(54a)에 의해 수동으로 브레이크장치(54)의 브레이크상태를 해제해서 주행차륜(24a)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장치(54)에는 수동핸들(54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수동핸들(54b)을 회전조작함으로써, 주행차륜(24a)을 회전구동할 수 있다.
즉, 수동핸들(54b)은 세워올린 자세(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자세)에 있을 때에는 브레이크장치(54)의 상기 입력축과 결합해서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며, 굴곡된 자세(도 3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자세)에 있을 때에는 전동모터(52)의 출력축과는 결합하지 않고 자유상태에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해제레버(54a)에 의해 브레이크상태를 해제한 후에, 굴곡자세에 있는 수동핸들(54b)을 당겨 올린 자세로 해서 회전조작함으로써, 주행차륜(24a)을 구동할 수 있고, 스태커 크레인(3)을 원하는 물품수납선반(25)의 앞까지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승강대(3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스태커 크레인(3)의 마스트(46)에는 승강대(34)의 승강기구(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기구(27)에는 감속기(62)가 부착된 전동모터(61)가 탑재되고, 상기 전동모터(61)의 회전구동력이 감속기(62)에 의해 감속된 후에 승강기구(27)로 전달되고, 승강대(34)가 승강구동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전동모터(61)에는 상기 전동모터(61)를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63)가 부설되어 있고, 상기 전동모터(61)를 제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장치(63)는 전동모터(61)의 출력축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승강대(34)를 정확한 위치에 확실하게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장치(63)에는 브레이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브레이크해제레버(65)를 구비하고 있으며, 스태커 크레인(3)에 전력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라도, 전자브레이크 등에 구성되는 브레이크장치(54)의 브레이크상태를 브레이크해제레버(65)를 수동으로 기울여서 해제하고, 전동모터(61)의 출력축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는 예를 들면 브레이크해제레버(65)를 통상 자세(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 자세)에서 경사자세(도 5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자세)로 수동조작하면 브레이크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브레이크장치(63)에는 수동핸들(6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동핸들(64)을 회전조작함으로써, 자유회전가능한 전동모터(61)를 통해 승강대(34)를 승강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수동핸들(64)은 수직자세(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 자세)에 있을 때에는 전동모터(61)의 출력축과 결합해서 일체적으로회전가능하며, 굴곡시킨 자세(도 5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자세)에 있을 때에는 전동모터(61)의 출력축과는 결합하지 않고 자유상태에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해제레버(65)에 의해 브레이크상태를 해제한 후에, 굴곡자세에 있는 수동핸들(64)을 수직자세로 해서 회전조작함으로써, 승강기구(27)를 구동할 수 있고, 승강대(34)를 원하는 높이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브레이크장치(63)의 브레이크상태를 해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동으로 승강대(34)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스태커 크레인(3)에 있어서는 정전으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전기적인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트러블이 발생했을 때에도 다음과 같이 해서 자동창고(1)내에 저장되어 있는물품(30)을 꺼낼 수 있다.
즉, 스태커 크레인(3)에 트러블이 발생해서 정지한 경우, 두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 자동창고(1)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30)을 꺼낼 수 있다.
먼저, 정지한 스태커 크레인(3)에 대해서, 한 쪽의 작업자가 주행장치(5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장치(54)의 브레이크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함과 아울러, 수동핸들(54b)을 수동회전조작해서 꺼내고 싶은 물품(30)이 수납되는 수납부(20)의 앞까지 상기 스태커 크레인(3)을 이동시킨다.
원하는 위치까지 스태커 크레인(3)을 이동하면, 다음에, 한 쪽의 작업자가 전동모터(61)에 부설되는 브레이크장치(63)의 브레이크해제레버(65)에 의해 브레이크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수동핸들(64)을 수동조작해서 목적으로 하는 수납부(20)의 선반의 높이까지 승강대(34)를 승강시킨다. 이 동안에, 다른 쪽의 작업자가 사다리(47)를 소정의 높이까지 올라간다.
사다리(47)를 올라간 다른 쪽의 작업자가 수납부(20)의 선반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물품(30)을 꺼내서 승강대(34)의 이송장치(7)에 적재하고, 한 쪽의 작업자가 수동핸들(64)을 수동조작해서 물품(30)이 적재된 승강대(34)를 하강시킨다.
다른 쪽의 작업자는 사다리(47)를 내려오고, 하강한 승강대(34)로부터 물품(30)을 꺼낸다.
이 경우, 사다리(47)의 하부에 위치하는 횡목(47b)은 도 6에 나타내듯이, 상기 횡목(47b)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하요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사다리(47)를 올라가고 내려올 때에는 하방회전해서 수평자세로 함으로써, 발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승강대(34)로부터 물품(30)을 꺼내는 경우에는 횡목(47b)을 상방회전시켜서 물품(30)이 통과할 수 있는 만큼의 공간을 사다리(47)의 종부재(47a,47a)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대(34)에 탑재된 물품(30)을 이 종부재(47a,47a)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꺼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횡목(47b)을 상하요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물품(30)이 통과가능하게 되는 공간을 사다리(47)에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물품(30)의 취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전술한 수납부(20)로부터 물품(30)을 꺼내는 경우의 조작과 반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수동으로 물품(30)을 원하는 수납부(20)의 선반으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주행장치(51)에 수동으로 브레이크상태를 해제가능한 브레이크장치(54)를 구비하고, 마스트(46)에 수동으로 승강대(34)를 승강할 수 있는 승강기구(27)를 구비하고, 스태커 크레인(3)에 사다리(47)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태커 크레인(3)에 전기적인 트러블이 있는 경우라도, 수납부(20)에 수납한 물품(30)을 손으로 용이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목적의 높이까지 승강된 탑재대(34)에 작업자가 물품(30)을 올려 놓은 후에는 상기 탑재대(34)를 승강기구(27)에 의해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물인 물품(30)을 든 상태에서 작업자가 사다리(47)의 높은 곳에서 내려 올 필요가 없고, 안전하고 확실하게 손으로 물품(30)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자동창고(1)에 작업자용의 입출고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태커크레인(3)을 그 입출고스테이션까지 수동으로 이동시키고, 입출고스테이션에서 작업자가 승강대(34)에 탑재되어 있는 물품(30)을 꺼내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브레이크장치, 특히 승강용의 전동모터에 부착되는 브레이크장치는 전동모터에 부착되어 있는 감속기의 감속비에 따라서는 완전하게 해제되는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 해제되도록(즉, 브레이크가 느슨하게 작용하고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브레이크장치는 해제레버를 작동시킴으로써 정해진 양만큼 해제되는 것은 아니고, 해제레버에 의해 브레이크의 기능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스태커 크레인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듯이, 스태커 크레인(103)을 구비하는 자동창고(101)에는 전술한 자동창고(1)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물품수납선반(125,125,…)을 갖는 한 쌍의 수납부(120,120)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레일(38)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되어 있다. 각 수납부(120)는 각각 전후방향(주행레일(38)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물품수납선반(125)을 구비하고 있다.
스태커 크레인(103)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145)은 대향해서 배치되는 한 쌍의 판프레임(145a,145a)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판 프레임(145a,145a)사이에 주행차륜(124a,124a)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주행차륜(124a,124a)은 주행모터(151)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이것에 의해, 스태커 크레인(103)이 주행레일(38)을따라 주행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하부프레임(145)에는 주행레일(38)을 양측방에서 끼우도록 한 쌍의 가이드륜(124b,124b)이 설치되어 있다.
수납부(120,120)의 상단부는 들보(120a)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들보(120a)에 가이드레일(139)이 매설되어 있다. 스태커 크레인(103)의 상단면에는 가이드롤러(122,122)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롤러(122,122)에 의해 가이드레일(139)의 양측을 가이드하고 있다.
스태커 크레인(103)은 하부프레임(145)에서 세워지는 마스트(146)와, 마스트(146)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13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태커 크레인(103)은 주행레일(38)을 따라 주행함과 아울러, 승강대(134)에 의해 이송장치(107)를 승강시킴으로써, 자동창고(101)에 구비된 출입구(도시생략)와 물품수납선반(125) 사이 등에서의 상기 물품(30)의 출입을 행한다.
상기 마스트(146)는 하부프레임(145)의 주행방향에서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대(134)는 하부프레임(145)에 설치되는 승강모터(161)에 의해 승강벨트(162)를 통해 상하승강된다.
마스트(146)에 승강가능하게 부착되는 승강대(134)는 하부프레임(145)의 주행방향에서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프레임(145)의 주행방향에서의 타단부, 즉 승강대(134)를 사이에 두고 마스트(146)와 대향하는 위치에 사다리(147)가 설치되어 있다.
사다리(147)는 마스트(146)와 대략 같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사다리(147)의 상단부와 상기 마스트(146)의 상단부가 상부프레임(14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다리(147)를 승강대(134)를 사이에 두고 마스트(146)에 대향해서 설치하고, 상기 사다리(147)의 상단부와 마스트(146)의 상단부를 상부프레임(148)으로 연결함으로써, 하부프레임(145)이나 마스트(146) 등으로 구성되는 스태커 크레인(103)의 프레임구조에 있어서의 주행방향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주행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트(146)를 전체적으로 가늘게 형성할 수 있고, 스태커 크레인(103)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에, 사다리(147)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사다리(147)는 하부프레임(145)에 세워서 설치되는 한 쌍의 종부재(147a)와, 한 쌍의 종부재(147a)사이에 걸쳐서 설치되는 복수의 횡목(147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듯이, 종부재(147a,147a)에는 각각 지지편(150,150)이 설치되어 있다. 횡목(147b)은 그 양단부를 지지편(150,150)에 결합함과 아울러, 볼트 등의 체결부재(149)로 체결함으로써, 종부재(147a,147a)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횡목(147b)은 체결부재(149)에 의한 지지편(150,150)으로의 체결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종부재(147a,147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횡목(147b)은 종부재(147a,147a)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횡목(147b)을 분리함으로써, 전술한 횡목(47b)을 상하요동가능하게 구성한 사다리(4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물품(30)이 통과가능하게 되는 공간을 사다리(147)에 형성할 수 있고, 정전시 등에 있어서의 손에 의한 물품(30)의 출입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종부재(147a)는 주행방향의 길이치수(Y)를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치수(X)보다 길게 형성하고 있고, 주행방향에 있어서의 스태커 크레인(103)의 상기 프레임구조의 주행방향의 강성을 효율좋게 높일 수 있으며, 주행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횡목(147b)은 주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종부재(147a)의 하부프레임(145)가장자리부측, 즉 종부재(147a)에 있어서의 승강대(134) 반대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횡목(147b)을 배치함으로써, 마스트(146)와 횡목(147b) 사이의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으며, 승강대(134)측에 사다리(147)를 보다 가깝게 해서 배치해도, 승강대(134)상에서 물품(30)을 선회시킬 때의 선회범위(G)(도 9참조)를 마스트(146)와 사다리(147)사이에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스태커 크레인(103)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 것이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세워지는 마스트와,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를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하부 프레임의 주행방향에 있어서의 승강대를 사이에 두고 마스트와 대향하는 위치에 사다리를 설치하고, 마스트의 상부와 사다리상부를 상부 프레임으로 연결했기 때문에, 하부프레임이나 마스트 등으로 구성되는 스태커 크레인의 프레임구조에 있어서의 주행방향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주행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트를 전체적으로 가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스태커 크레인의 콤팩트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사다리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곳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를 종부재와 횡목으로 구성하고, 종부재의 주행방향의 길이를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고, 횡목을 종부재의 하부프레임 가장자리부측에 배치했으므로, 주행방향에 있어서의 스태커 크레인의 프레임구조의 주행방향의 강성을 효율좋게 높일 수 있고, 주행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마스트와 사다리의 횡목 사이의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고, 승강대측에 사다리를 보다 가깝게 해서 배치해도, 승강대상에서 물품을 선회시킬 때의 선회범위를 마스트와 사다리 사이에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스태커 크레인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를 종부재와 횡목으로 구성하고, 횡목을 종부재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설치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횡목을 분리함으로써, 물품이 통과가능하게 되는 공간을 사다리에 형성할 수 있고, 정전시 등에 있어서의 손에 의한 물품의 출입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해제가능한 브레이크기구를 갖는 주행수단과, 승강대를 수동으로 승강조작가능한 승강기구를 구비했기 때문에, 스태커 크레인에 정전이나 전기계통의 고장인 전기적인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라도, 자동창고의 수납부에 수납한 물품을 손으로 용이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목적의 높이까지 수동으로 승강된 탑재대에 작업자가 물품을 탑재한 후에는 상기 탑재대를 승강기구에 의해 수동으로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물인 물품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사다리의 높은 곳에서 내려올 필요도 없고, 안전하고 확실하게 사람손으로 물품을 꺼낼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세워지는 마스트와,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를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하부 프레임의 주행방향에 있어서의 승강대를 사이에 두고 마스트와 대향하는 위치에 사다리를 설치하고, 마스트의 상부와 사다리상부를 상부 프레임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를 종부재와 횡목으로 구성하고, 종부재의 주행방향의 길이를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고, 횡목을 종부재의 하부프레임 가장자리부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를 종부재와 횡목으로 구성하고, 횡목을 종부재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수동으로 해제가능한 브레이크기구를 갖는 주행수단과, 승강대를 수동으로 승강조작할 수 있는 승강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KR1020020070303A 2001-11-28 2002-11-13 스태커 크레인 KR100591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62200 2001-11-28
JPJP-P-2001-00362200 2001-11-28
JP2002246580A JP3835377B2 (ja) 2001-11-28 2002-08-27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JP-P-2002-00246580 2002-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650A true KR20030043650A (ko) 2003-06-02
KR100591111B1 KR100591111B1 (ko) 2006-06-19

Family

ID=2662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303A KR100591111B1 (ko) 2001-11-28 2002-11-13 스태커 크레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17713B2 (ko)
JP (1) JP3835377B2 (ko)
KR (1) KR100591111B1 (ko)
CN (1) CN1422789A (ko)
TW (1) TW5502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699A (ja) * 2004-09-08 2006-03-23 Daifuku Co Ltd 物品搬送車
JP4689372B2 (ja) * 2005-07-04 2011-05-25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スタッカクレーンの走行駆動制御方法
JP4378659B2 (ja) * 2007-06-28 2009-12-0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JP2010006591A (ja) * 2008-06-30 2010-01-14 Sekigahara Seisakusho:Kk 船舶用クレーン装置
JP4962535B2 (ja) * 2009-06-29 2012-06-27 村田機械株式会社 昇降装置
WO2011066845A1 (de) * 2009-12-03 2011-06-09 Kardex Produktion Deutschland Gmbh Umlaufregal mit hilfsantrieb
CN101850884B (zh) * 2010-05-27 2012-03-07 南京音飞储存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垂直升降货柜
JP5110124B2 (ja) * 2010-07-15 2012-12-26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
JP5622003B2 (ja) * 2010-11-04 2014-11-12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トッカー
JP5590411B2 (ja) * 2011-02-14 2014-09-17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タッカークレーン
EP3015401B1 (en) * 2013-06-28 2018-07-04 Murata Machinery, Ltd. Automated warehouse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JP6128085B2 (ja) * 2014-09-10 2017-05-17 村田機械株式会社 昇降装置および補助駆動ユニット
DE102014220165A1 (de) * 2014-10-06 2016-04-07 Viastore Systems Gmbh Regalbediengerät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Regalbediengeräts
CN109914885A (zh) * 2019-04-18 2019-06-21 浙江工业大学 双车位节能汽车堆垛机
JP2022191535A (ja) * 2019-11-25 2022-12-28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
CN113511449B (zh) * 2021-08-06 2023-03-31 罗伯泰克自动化科技(苏州)有限公司 堆垛机用自动防摇摆装置、堆垛机及相应的防摇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7131A (en) * 1950-01-17 1958-08-12 Miller Leona Nell Automobile storage
US4319662A (en) * 1980-05-30 1982-03-16 Eaton Corporation Fire fighting apparatus for a storage/retrieval machine
JPH03133899A (ja) * 1989-10-20 1991-06-07 Hitachi Ltd スタッカクレーン
JP2734262B2 (ja) * 1991-12-12 1998-03-30 株式会社ダイフク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2506297B2 (ja) * 1992-06-12 1996-06-12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ンの着脱式梯子
JP2546118B2 (ja) 1992-12-22 1996-10-23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
JP2976742B2 (ja) * 1993-02-25 1999-11-10 株式会社ダイフク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H07223707A (ja) * 1994-02-09 1995-08-22 Murata Mach Ltd 自動倉庫の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H08157011A (ja) * 1994-12-05 1996-06-18 Murata Mach Ltd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ケージ昇降装置
JP2900844B2 (ja) * 1995-06-05 1999-06-02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ケージ昇降装置
JP3704859B2 (ja) * 1997-01-23 2005-10-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自動倉庫のスタッカクレーン
JPH10212004A (ja) * 1997-01-28 1998-08-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自動倉庫のスタッカクレーン
JPH11322011A (ja) * 1998-05-13 1999-11-24 Nippon Yusoki Co Ltd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2001261111A (ja) * 2000-03-21 2001-09-26 Nippon Yusoki Co Ltd スタッカークレ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98207A1 (en) 2003-05-29
JP2003226406A (ja) 2003-08-12
TW550223B (en) 2003-09-01
JP3835377B2 (ja) 2006-10-18
US7017713B2 (en) 2006-03-28
CN1422789A (zh) 2003-06-11
KR100591111B1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828B1 (ko) 물류 자동화 창고
KR100591111B1 (ko) 스태커 크레인
JP3832294B2 (ja) 荷保管設備
US8961095B2 (en) Article storag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in article storage system
JP2004284702A (ja) 物品搬送装置
JP2004284704A (ja) 物品搬送装置
JP2009249063A (ja) 上下コンベア間の荷移載装置
JPH0571483B2 (ko)
JP5622003B2 (ja) ストッカー
JP4085637B2 (ja) 物品移載装置
KR100661098B1 (ko) 스태커 크레인 및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JP4013558B2 (ja) 物品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
JP4258059B2 (ja) 倉庫設備における入出庫台車装置
JP2545276Y2 (ja) 自動倉庫の移載装置
KR101774156B1 (ko)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KR20170123542A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EP0560746B1 (en) A stacker crane transferable between warehouse aisles
JP2500805Y2 (ja) 手動昇降台を有するスタッカクレ―ン
CN116969374A (zh) 一种输送稳定的提升机
JPH10120117A (ja) 鋼板入出庫設備
JP2743624B2 (ja) 昇降搬送装置
JPH06219515A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2002145408A (ja) 立体自動倉庫の入出庫装置
JP3012155U (ja) 凹型パレットにおける台車逸脱防止機
JP3994744B2 (ja) 物品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