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963A - 좌석 벨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좌석 벨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963A
KR20030020963A KR10-2003-7001554A KR20037001554A KR20030020963A KR 20030020963 A KR20030020963 A KR 20030020963A KR 20037001554 A KR20037001554 A KR 20037001554A KR 20030020963 A KR20030020963 A KR 20030020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tongue
seat belt
presenter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9544B1 (ko
Inventor
코른도퍼케네스에이치
그레이마크에프
사이츠만마켈
무라드모하나드에프
알마스리호쌈
고스크랜달
레피오르로렌스엠
Original Assignee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2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3Means for presenting the belt or part thereof to the wearer, e.g. foot-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좌석 벨트 시스템(20)은 버클 프리젠터(100) 및/또는 텅 프리젠터(200)와 각 프리젠터를 기동시키고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버클 프리젠터와 텅 프리젠터는 좌석 벨트 버클(26)과 상응하는 텅(24)을 수용 위치로부터 대체로 차량 탑승자의 전방에 있는 활동 위치로 각각 이동시키는데 사용되어 텅을 버클내로 삽입하는 절차를 보다 편리하게 한다.

Description

좌석 벨트 시스템{SEAT BELT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벨트 버클 제공 시스템은 피벗 지점을 중심으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좌석 벨트 버클을 갖는다. 제 1 위치에서 버클은 비상시 차량 좌석 탑승자를 보호하고, 제 2 위치에서 버클은 텅의 버클에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 1 위치보다 전방으로 높이 위치한다. 텅 제공 시스템(tongue presenting system)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좌석 벨트 수축기(seat belt retractor)내에 합체되며, 연장 및 후퇴 가능하고, 반강성인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은 차량의 탑승자(seat occupant)가 보다 용이하게 텅(tongue)을 버클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로 좌석 벨트 버클 및/또는 텅을 이동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2개의 수축기를 구비한 종래 기술의 좌석 벨트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좌석 벨트 버클 프리젠터(presenter)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버클 프리젠터의 측면도,
도 4는 좌석 벨트 버클 프리젠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좌석의 사시도로서 랩벨트 수축기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좌석 벨트 수축기 프레임의 사시도,
도 7은 좌석 벨트 수축기의 도면,
도 8은 텅 프리젠터의 측면도,
도 9는 테이프를 안내하는 변형예의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텅 프리젠터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11-1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테이프가이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컨트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9a 내지 도 19g는 컨트롤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2개의 좌석 벨트 수축기(22a, 22b)를 갖는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좌석 벨트 시스템을 도시한다. 제 1 수축기(22a)는 텅(24)에 연결되어 있는 랩벨트(lap belt)(30a)용 랩벨트 수축기이다. 제 2 수축기(22b)는 어깨벨트(shoulder belt)용 어깨벨트 수축기이다. 어깨벨트는 D링 웹가이드(32)를 통해 연장되며 텅(24)에 연결되거나, 변형예로서, 랩벨트(30a)의 단부(25)에 재봉될 수 있다. 웹가이드(32)는 차량 좌석(40)의 외부에 있을 수 있거나 차량 좌석내에 합체될 수 있다. 버클은 일반적으로 가상선의 버클(26)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 좌석의 경우 좌석의 쿠션의 내부에 인접하게, 또는 좌석 등받이와 좌석 바닥의 교차부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한다.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탑승자가 버클 및/또는 텅을 찾아서 텅을 이 버클내에 삽입하는 것이 다소 불편하다.
일반적인 좌석 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버클(26)은 케이블 또는 일정 길이의 좌석 벨트(29)를 거쳐 앵커(28)에 고정된다. 도 1은 보관 위치(stored position)에 있는 텅을 도시한다. 텅(26)이 버클(26)로부터 해제될 때, 랩벨트 수축기(22a)는 랩벨트(30a)를 되감아 텅을 랩벨트 수축기(22a) 부근에 위치시킬 것이다. 일부 설치예에서는, 랩벨트 수축기(22a)는 차량 좌석의 외부에 위치하고, 다른 사용예에서는 수축기는 좌석내에 위치하며, 보관 위치에 있을 때 텅은 좌석 쿠션상에 위치한다. 텅이 더 이상 버클에 부착되지 않을 때, 어깨벨트 수축기(22b)가 어깨벨트를 끌어들일 것이다. 일부 설치예에 있어서, 좌석과 차량의 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거의 없어서, 탑승자가 텅을 찾아서 버클 쪽으로 텅을 끌어오는 것을 어렵게 한다.
도 2 및 도 3은 하나의 또는 다수의 좌석 벨트 수축기를 갖는 좌석 벨트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벨트 프리젠터(seat belt presenter)(100)의 특징을 도시한다. 도 2는 좌석 쿠션(44)과 좌석 등받이(42)의 일부와, 버클 프리젠터(buckle presenter)(100)를 도시한다. 좌석 벨트 버클 프리젠터는 피벗 고정점(106)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 1 단부를 갖는 레버(102)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의 다른 쪽 단부(108)는 부착형 풀리 휠 또는 풀리 휠의 세그먼트, 또는 홈이 형성된 에지(110a)를 갖는 풀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정 길이의 반강성 케이블(112)이 풀리의 하측을 돌아서 구부러져 있고 케이블의 한 쪽 단부(114)는 그 하측을 따라서 레버(102)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블의 다른 쪽 단부(116)는 버클에, 일반적으로 버클의 프레임에 용접 또는 크림프(crimp) 가공과 같은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된다. 도 3에 있어서, 케이블(112)은 홈이 형성된 에지(110a)의 일부내에 수용된다. 케이블(112)은 하나 이상의 클립(113) 또는 브래킷에 의해 풀리(110)내에 수용된다. 클립의 설치가 또한 케이블(112)이 풀리 휠(110)로부터 이탈하는 도 4에 도시된 출구각(A)을 조절한다. 소망의 경우, 케이블(112)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버는 L자형 일 수 있고 버클은 L자형 레버의 연장부에 고정될 수 있다. 버클 프리젠터(100)는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보관 위치로부터 활동 위치(activated position)로 레버(102)를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피벗시킬 수 있는 조절 메커니즘(120)을 구비한다. 이것이 버클(26)을 좌석 쿠션과 좌석 등받이의 교차부 부근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보관 위치로부터, 탑승자의 전방으로 탑승자의 측면의 활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버클 프리젠터는 좌석내에 또는 좌석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버클의 설치에 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 메커니즘(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 기어(122)와 나사가 형성된 너트(124)를 포함하는 웜 기어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웜 기어는 너트의 나사형성 보어(124a)내에 수용되며, 웜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너트는 웜 기어의 길이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된다. 너트는 단부(108)에 개구(108a)를 구비하는 풀리(110)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파스너(144)가 개구(108a)내에 느슨하게 수용되며 너트(124)내의 나사(146)로 고정된다.
웜 기어(122)는, 예컨대 기어박스를 통해 모터(130)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된다. 도 2에서, 모터 하우징은 웜 기어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은 피벗 연결부(134)상에서 피벗 운동하는 피벗 단부(132)를 구비한다.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나사가 형성된 너트(124)는 피벗 지점(132)에 가깝게 또는 피벗 지점(132)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레버(102)는 나사가 형성된 너트(124)에 고정되어 있는 파스너(144)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피벗 운동한다. 너트가 이동할 때, 너트는 레버를 함께 이동시켜 레버를 피벗(106)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레버(102)의 운동이 버클(26)을 탑승자의 둔부 부근의 보관 위치 또는 작용 위치로부터 보다 더 전방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리밋(limit) 스위치(105)는 레버가 소망의 위치를 도달할 때 모터의 작동을 중지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는 경우 모터(130)가 기동되어 버클을 그 전방 또는 활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버클이 이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탑승자가 텅을 버클에 고정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게 될 것이다.버클(26) 및/또는 텅(24)은 텅이 버클내에 연결되어 있는가를 판정하기 위해, 홀 효과(Hall Effect) 센서 및 자석과 같은 공지된 유형의 감지 메커니즘 또는 스위치 메커니즘(105a)을 갖는다. 텅이 체결되면, 신호가 모터에 일반적으로 컨트롤러를 통해 전송되어, 모터를 되감아 버클과 텅을 도 2에 도시된 소망의 필요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3에서, 모터(130)는 기어박스(136)를 통해 웜 기어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와 기어박스는 참조부호(132)에서 피벗 링크(134)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2a에 있어서, 버클 프리젠터는 도 2의 레버(102)의 기능을 피벗 운동하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로 대신하고 있으며, 이 프리텐셔너는 또한 당해 분야에 벨트 타이트너(belt tightener)로 불려지고 있다. 프리텐셔너(160)는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는 하우징(162)을 구비한다. 제 1 부분(162a)은 풀리 휠(110)을 고정식 또는 회전식으로 지지한다. 파스너(144)는 풀리 휠의 중심에 있는 개구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기술된 방식으로 너트(124)에 연결된다. 하우징(162)의 제 2 부분(162b)은, 점화시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소정양의 추진제(propellant)(164)를 구비하는 공지된 구성의 점화기(ignitor)를 구비한다. 하우징(162)은 피벗(106)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단부(104)를 갖는 튜브(166)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112)의 단부(114)는 피스톤(168)에 연결되어 있다. 충돌시 컨트롤러는 튜브(166)를 따라서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가스를 방출시키는 신호를 프리텐셔너(160)에 전송한다. 피스톤(168)이 튜브를 따라서 추진됨에 따라 피스톤과 함께케이블(112)이 이동되어 버클(26)을 화살표(170)의 방향으로 하측 위치로 잡아당겨 좌석 벨트를 탑승자에 대하여 조이게 된다. 피스톤은, 탑승자가 좌석 벨트, 벨트 및 케이블에 하중을 가하는 것에 응하여 피스톤이 튜브를 따라서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톱니 또는 다른 결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위급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버클 프리젠터는 도 2의 프리젠터의 방식으로 작동한다. 프리젠터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정지 위치로부터 이동할 것이고, 프리텐셔너 튜브는 버클이 전방으로 제공되는 상승된 위치에 대체로 수평이다. 모터가 웜 기어 또는 리드 스크루를 회전시켜 너트(124)가 기어를 상하로 운동시킨다.
도 4는 케이블(112)과 버클(26)을 지지하는 레버(102)가 톱니(152)가 형성된 섹터 기어(sector gear)(150)에 장착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모터(130)는 보다 작은 피니언 기어(154)를 통해 섹터 기어에 결합되어 있다.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버클은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된다. 리밋 스위치(105)는 섹터 기어가 소망의 위치에 있을 때 모터를 정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케이블(112)을 레버(102)에 연결하는 변형예의 방식을 도시하는 것으로, 레버의 단부(108)는 레버(102)의 축에 대하여 소망의 각도(A)로 배향된 보어(108b)를 그 안에 갖는다. 케이블(112)은 케이블이 레버로부터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말단(112a)을 구비한다. 레버의 단부는 케이블이 보어를 통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크림핑(crimping)되어 있다.
도 4a에 있어서, 섹터 기어(154)는 프리텐셔너(160)에 장착되어 있고모터(154)는 좌석 쿠션(44)내의 상승된 위치에 장착된다. 모터 톱니와 섹터 기어의 톱니의 구동 결합이 프리텐셔너(160)(레버)와 버클(26)을 도시된 정지 위치와 활동 위치 사이에 위치시켜, 텅과의 연결과 그 후 텅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정지 또는 결합 위치로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탑승자를 위해 버클을 보다 편리한 위치에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탑승자가 텅을 보다 용이하게 찾아 쥐고 상응하는 버클내로 삽입할 수 있도록 텅을 그 보관 또는 수용 위치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텅 프리젠터(200)는 특정 사용예에 따라서 버클 프리젠터(100)와 조합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버클 프리젠터(100)와는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텅 프리젠터(200)는 랩벨트 수축기(22a)가 텅 프리젠터(200)의 일부인 2수축기 좌석 벨트 시스템과 함께 사용된다. 도 5는 좌석(40)의 사시도로서 랩벨트 수축기(22a)의 바람직한 위치와 배향을 도시하고 있다. 어깨벨트 수축기(22b)의 위치가 또한 도시되어 잇다. 랩벨트에 고정되어 있는 텅(24)은 수축기(22a) 부근의 수용 위치 또는 수축기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수축기(22a)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 텅의 수용 위치는 수축기 상부 또는 그 부근이 될 것이다. 수축기가 차량 좌석(40)내에 설치되는 경우, 랩벨트는 실내장식부(upholstery) 또는 내장(trim)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될 것이다. 이 경우, 수축기의 되감기 스프링이 랩벨트를 수축시켜 텅을 실내장식부 또는 내장에 대하여 또는 그 부근에 수용한다. 실선으로 표시한 것은 텅이 그 수용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또한 텅이 텅 프리젠터(200)의 기동에 응답하여 수용 위치로부터 활동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랩벨트 수축기가 좌석(50)에 대하여 또한 탑승자에 대하여 비스듬히 장착된 상태에서, 텅 프리젠터(200)는 텅을 탑승자(55)의 둔부의 전방의 보다 편리한 위치에 제공하기 위해 텅을 텅의 수용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직선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기(22a)는 수평으로부터 약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로 배향되어 있다. 수축기(22a)는 일정 길이의 좌석 벨트(30a)가 감겨있는 스풀(222)과 프레임(220)과 같은 다수의 종래의 좌석 벨트 수축기의 다수의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수축기(22a)는 종래 기술과 같이, 그 일 측면상에 되감기 스프링(224)을 구비하고 다른 측면상에 로킹 메커니즘(226)을 구비한다. 메커니즘(226), 스프링(224) 및 스풀(222)은 프레임의 여러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도 6은 프레임(220)을 도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은 U자 형상이며 측면(220a, 220b)과 배면(220c)을 구비한다. 각 측면은 스풀 샤프트의 상응하는 측면 또는 단부에 대한 부싱으로 작용하는 각각의 개구(221)를 갖는다. 프레임은 프레임을 좌석 프레임 또는 차량의 필러(pillar)와 같은 장착면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장착 형상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프레임은 2개의 추가적인 측부 또는 돌출부(220d, 220e)를 구비하며, 이들 각각은 그 안에 개구(221a)를 갖는다. 측부(220d, 220e)는 텅 프리젠터(200)의 샤프트, 기어 및 모터를 지지한다.
도 1, 도 5 및 도 8에 있어서, 랩벨트(30a)는 스풀(222)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종래의 방식으로 슬롯(24a)을 거쳐 텅에 고정된다. 어깨벨트(30b)가슬롯(24a)을 거쳐 고정되어 있어 텅이 이동할 경우 랩벨트(30a)와 어깨벨트(30b)가 모두 이동된다.
도 7에 있어서, 랩벨트 수축기(22a)는 텅 프리젠터 메커니즘으로서 작용하는 가동 또는 피동 프리젠터 부재(230)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 부재(230)는 다수의 구멍 또는 슬롯(232)이 관통해 있는 반강성, 가요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 테이프의 형태이다. 프리젠터 부재(230)는 스풀 및 그 위의 좌석 벨트 웨빙의 롤과 도 10의 프레임(220)의 배면(220c) 사이에 위치한다. 구멍이 형성된 테이프와 같은 프리젠터 부재(230)는 수축기 프레임의 배면(220c)에 위치한다. 스풀과 좌석 벨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하지 않았다. 도 7은 수축 또는 수용 위치에 있는 텅(24)을 도시한다. 랩벨트(30a)는 슬롯(24a)을 통해 텅에 고정된다.
부재(230)는 수축기 프레임(220)에 대하여 테이프를 상하로 이동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슬롯(232)의 열(row)을 구비한다. 이것이 텅을 그 수용 위치로부터 그 활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랩벨트(30a)가 그것을 통해 연장되는 베젤(bezel) 또는 연장부 또는 가이드(242)는, 부재(230)의 상부(240)에서 부재(230)에 고정되거나 또는 부재(230)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도 8은 폭이 좁은 타원형 슬롯(242a)을 갖고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되는 베젤 또는 가이드(242)를 도시하며, 렙벨트는 이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텅은 베젤(240)상에 놓인다. 수축기 프레임은 도 8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7은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되고 프리젠터 부재(2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 메커니즘(300)을 도시한다. 메커니즘(300)은 모터(302)와 샤프트(304)를구비한다. 샤프트는 프레임 부분(220d, 220e)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모터가 또한 프레임 부분(220e)에 의해 지지된다. 샤프트는 2개의 톱니 기어(310a, 310b)를 지지하며, 이들 각각은 테이프 슬롯(232)과 결합하는 다수의 구동 톱니(312)를 갖는다. 테이프(230)가 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리젠터(200)는 가이드(320)를 구비한다.
도 6은 가이드(320)의 예를 도시한다. 다수의 좌석 벨트 수축기는 수축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웹가이드(322)를 구비한다. 웹가이드(322)는 좌석 벨트(30a)를 수용할 만큼 충분한 크기이고 수축기로부터 나오는 좌석 벨트를 안내하는 개구(324)를 구비한다. 도시된 좌석 벨트 가이드(322)는 배면상에 추가의 노치(326)를 구비한다. 웹가이드(322)가 수축기 프레임상에 적소에 위치한 상태에서 노치(326)는 프레임의 배면과 함께 테이프를 수축기 프레임에 대하여 유지하는 가이드 또는 통로를 규정한다.
도 9는 테이프가이드(320)의 변형예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의 상부와 유사하지만, 프레임(220)의 일부를 절단 및 굽힘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탭(338)을 도시한다. 각 탭(338)은 프레임의 배면(220c)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탭이 이동할 때 탭을 유지하고 안내하는 가이드 또는 채널을 규정한다. 탭은 또한, 예컨대 클립방식(clip-on) 또는 스냅방식(snap-on)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조건 하에서는, 모터(130)가 기어(310a, 310b)를 회전시켜 테이프를 수축기 프레임으로부터 이동시킨다. 테이프가 이동함에 따라 이와 함께 베젤(242)이 운반되어 텅을 탑승자의 전방과 측면으로 밀어낸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배면, 예컨대 장착면(380)은 차량의 중심선과 교차하는 수직면에 평행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수축기(22a)는 수평에 대하여 약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로 장착될 수 있다. 테이프가 반강성이므로, 테이프가 연장될 때 테이프는 장착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유지된다. 일부 설치예에서는, 텅을 그 연장된 위치내에서 탑승자 쪽으로, 즉 수직 장착면 쪽으로 보다 가깝게 또는 더 멀리 위치되는 것이 소망될 수도 있다. 이것은 수축기를 장착면에 약간 비스듬히 장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수축기의 각도에 따라서, 텅의 활동 위치는 상기 수직 장착면에 보다 가깝게 또는 더 멀리 있게 된다.
프리젠터(200)는 텅이 제공된 후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해 여러 센서 또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는 모터가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한 후 정지될 수 있다. 텅의 활동 위치로의 이동은 단순히 모터의 회전수를 계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테이프는 약 13 내지 20㎝ 외측으로 이동될 것이다. 변형예로서, 모터의 속도가 공지된 것으로 가정할 때, 모터(230)는 테이프의 새로운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고정된 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거나 시간대(track of time)를 유지하는 대신, 수축기는 테이프상의 돌출부와 같은 형상에 의해 기동되는 마이크로스위치 또는 리밋 스위치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돌출부로 인해 마이크로스위치는 테이프가 외부로 이동된 후 모터를 작동시키기 않도록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테이프가 그 수용 위치로 후퇴할 때 테이프의 수축을 적합한 위치에서 정지시키는데 다른 마이크로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테이프, 베젤 및 텅이 활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는 텅(24)을 쥐고, 텅을 그 활동 위치로부터 또한 랩벨트 수축기(22a)로부터 당겨서, 텅을 좌석 벨트 버클로 삽입한다. 텅이 이동함에 따라 일정량의 웨빙이 스풀로부터 연장된다. 텅 프리젠터(200)는 테이프를 수축시키고 그 수용 위치로 복귀시키는 메커니즘(360)을 구비한다. 이것은, 예컨대 테이프를 텅이 버클내에 체결될 때까지 그 활동 위치에 유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버클은 텅이 버클내에 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105a)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신호는 또한 테이프 모터(302)를 역회전시켜 테이프를 그 수용 위치로 복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텅이 버클내에 삽입되는 것을 기다리는 대신, 바람직한 실시예는 텅이 프리젠터 메커니즘(240)의 활동 위치로 판정되는 그 활동 위치로부터 이동되자마자 테이프(240)를 수축시키기 시작한다.
도 10은 수축기(22a)의 단면도이며, 스풀(222)상에 감긴 랩벨트(30a)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240)는 이미 텅을 그 작동 또는 제공 위치로 연장시키고 있다. 베젤(242)이 연장되어 텅을 수축기로부터 이동시키고 있다. 메커니즘은 수축기에 장착된 마이크로스위치(362)를 구비하며, 마이크로스위치(362)는 스풀에 감긴 웨빙의 롤상에 놓이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는 필러 아암(filler arm)(364)을 갖는다. 텅이 그 활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풀(222)상에 남아있는 웨빙의 양은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텅이 이 활동 위치로부터 벗어날 때 추가의 웨빙이 롤로부터 연장되어, 스풀상의 롤의 직경을 감소시키게 된다. 마이크로스위치(362)와 그 레버(364)는 웨빙의 롤의 직경이 더 감소될 경우 상태를 변경(시동 또는 중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메커니즘(360)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테이프와 베젤이 그 수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모터(302)를 역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10은 기다란 하측 테이프가이드 메커니즘(370)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가이드 메커니즘(370)은 수축기 프레임으로부터 만곡되어 있는 관상 하우징(372)을 포함한다. 벽(370a, 370b)을 갖는 관상 하우징(372)은 테이프(240)가 연장되는 직사각형 개구(374)를 구비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일부 설치예에 있어서 테이프(240)는 활동 위치로 13 내지 22㎝ 연장된다. 수용 상태에서는 다량의 테이프가 수축기 아래로 연장될 것이다. 하우징(372)은 참조부호(40)로 도시된 차량 좌석의 아래에서 소망의 방향으로 이 연장된 길이의 테이프를 안내한다. 하우징(372)은 절두형일 수 있거나 또는 테이프가 항상 관상 하우징에 의해 에워싸인 상태로 유지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벽(370a)은 또한 수축기 프레임의 연장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좌석의 배면도이다. 일부 설치예에 있어서 수축기를 상기 언급한 장착면에 평행하게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도 12는 수축기(22a)가 좌석 쿠션(44)의 상당히 아래에 있는, 변형예의 장착 배치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배치를 달성하기 위해서, 도 10의 수축기는 축(37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것이 프레임(220)을 장착면으로부터 이동시키고 수축기는 쿠션내로 또는 쿠션 아래로 더 들어간다. 모터(302)가 테이프와 텅을 상기 기술된 방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기동되면, 텅은 좌석 쿠션의 측면으로부터 또한 탑승자로부터 이동될 것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여러 구성요소를 도시하며, 또한 좌석 쿠션(44)내에 위치하고 장착면(380)에 대하여 상당한 각으로 변위되어 있는 수축기를 도시한다. 상측 테이프가이드(390)가 수축기 프레임(220)으로부터 연장된다. 테이프가이드는 중공의 형태이며 좌석 벨트와 테이프(240)를 수용할 만큼 충분히 넓다. 테이프가이드(390)는 만곡되어 있으며 충분히 길어서 테이프는 장착면(380)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또는 소정의 각도로 쿠션을 빠져나온다. 도 14는 테이프가이드(390)가 전방으로 약 45°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도시한다. 모터(302)가 기동되면, 텅, 베젤 및 테이프는 가이드(390)의 출구 단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이동되어, 도 10의 프리젠터에 의해 달성된 배향으로 위치될 것이다. 테이프(240)는 가이드의 벽(290a, 290b)내에 있다.
도 15는 만곡되고 확대된 웹가이드로서 보일 수 있는 상측 테이프가이드의 변형예(392)를 도시한다. 도 6에서 개구(324)와 슬롯(326)을 형성하는 웹가이드(230)의 이들 부분 또는 벽(394, 296)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도 15의 신장되고 만곡된 가이드(292)를 형성한다. 이 경우, 테이프(24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396)의 외측상에 지지된다. 좌석 벨트는 기다란 개구 또는 채널(236)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텅 및/또는 버클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수축하기 위해 센서와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수의 제어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다수의 제어 신호를 사용한다. 도 18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파워온(power-on) 또는 파워오프(power-off) 신호를 발생시키는 점화 스위치(ignition switch)(400)와; 적어도 랩벨트가 랩벨트수축기(22a)로부터 연장되고 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언급한 마이크로스위치(362)와 같은 좌석 벨트 센서(402)와; 탑승자가 좌석내에 적합하게 착석하고 있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센서(weight sensor)(404)와; 도어의 개폐 여부를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스위치(406)와; 텅(24)이 버클(26)내에 체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클 스위치(105a) 및 여러 리밋 스위치(105)를 구비한다. 출력된 신호의 각각은 버클 모터(130) 및/또는 텅 모터(302)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420)에 의해 수신된다. 레버(102)와 테이프(240)의 위치를 감지하는 장치를 포함한, 다른 센서와 리밋 스위치가 또한 컨트롤러(42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은 좌석 벨트 수축기(22a)의 기능과 텅 프리젠터의 기능을 분리하고 있다. 텅 프리젠터(200a)는 테이프(240)를 그 위에 고정하기 위한 탭(338)을 구비한 얇은 플레이트(432)를 포함하는 프레임 또는 브래킷(430)을 구비한다. 프레임(430)은 소망의 각도와 위치에서 좌석 프레임에 고정된다. 테이프는, 상승되었을 때 텅(24)을 들어올리고 수축기(22a)의 스풀(22)로부터 웨빙을 연장시키는 베젤(242)을 구비한다. 베젤은 테이프에 대하여 비스듬히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베젤은 좌석의 상부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프리젠터(200a)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측 가이드 메커니즘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7의 하측 가이드 메커니즘(370a)은 탭(338)이 구비된 아치형 시트 또는 플레이트(440)를 구비한다.
제어 시스템의 기본적인 기능은, 탑승자가 텅을 잡고 버클내에 삽입하는 것을 보다 편리하게 하도록 적절한 시기에 텅 및 버클 프리젠터를 제공하는 것, 즉텅 및 버클 프리젠터를 올리고 낮추는 것이다. 특정 차량에 따라서는 1개 또는 2개의 프리젠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8에 도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20)은 중량 센서(400) 또는 일련의 중량 센서들을 사용하여 탑승자가 좌석 쿠션상에 착석한 때를 모니터링하거나 판정한다. 텅 프리젠터(200)와 텅은 수용 위치로부터 전방 또는 활동 위치로 이동되며 및/또는 버클 프리젠터(100)와 버클을 수용 위치로부터 상응하는 전방 또는 활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텅(24)이 버클내에 삽입되어 고정된 후, 홀 효과, 리드(reed) 또는 기계적 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공지된 유형의 버클 스위치(105)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 시스템은 텅이 그 안에 고정된 버클을 포함하여 버클 프리젠터를 수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또한 텅 프리젠터를 수용한다. 시스템이 프리텐셔너(160)를 구비하는 경우, 프리텐셔너는 적어도 버클과 텅이 수용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기동되지 않는다.
보다 완전한 시스템은, 착석한 탑승자가 차량을 운전할 의도가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단지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텅 및/또는 버클을 이들의 활동 위치로 제공하기 위한 충분한 지시가 될 수 없으며, 그것만으로 텅 프리젠터와 버클 프리젠터를 기동할 필요가 없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보다 완전한 시스템은 또한 도어 스위치(406)에 질문함으로써 인접한 차량 도어가 닫혀있는가를 질문하며, 텅과 버클 양자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로서 도어 폐쇄와 함께 착석한 탑승자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사용한다.
보다 진보된 시스템은 탑승자가 차량의 도어를 열었을 때를 감지하고 그에응답하여 버클을 그 활동 위치로 제공하여, 탑승자가 텅을 버클로부터 해제하고 차량을 빠져나가는 것을 보다 편리하게 한다. 따라서, 보다 진보된 시스템은 또한 도어 스위치의 임의의 상태 변화를 질문하여 버클과 고정된 텅을 활동 상황으로 한다.
차량의 엔진이 꺼졌을 경우 탑승자가 차량을 빠져나가려는 의도가 지시될 수도 있다. 엔진의 상태는 점화 스위치(400)의 상황을 질문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다른 차량 파라미터들이 버클과 텅을 제공하고 후퇴시키기 위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직 텅이 버클내에 삽입된 때 버클 프리젠터(100)를 후퇴하는 대신, 버클 프리젠터의 후퇴는 변속기 감지 센서(408)에 의해 차량의 변속기가 기어결합 상태에 있다고 감지될 때까지 지연될 수 있다.
이하에, 텅 및 버클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중량 센서(404), 도어 스위치(406), 점화 스위치(400), 웹 센서(스위치)(362), 버클 센서(스위치)(105) 및 변속기(408)의 상태를 포함하는, 제어 메커니즘을 질문한다.
2. 탑승자가 정확하게 좌석에 착석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중량 센서의 출력을 모니터링하여 탑승자가 좌석에 적합하게 착석하고 있는 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탑승자가 착석하고 있고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버클 프리젠터를 그 수용 위치로부터 그 활동 위치로 이동시키고 텅 프리젠터를 그 수용 위치로부터 그 활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들 신호에 의해 버클 프리젠터 모터가버클 프리젠터를 그 활동 위치로 회전시키고 텅 프리젠터 모터가 테이프를 수축기 프레임으로부터 이동시켜 텅을 들어올린다.
2a. 탑승자가 차량을 떠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지시가 되는, 탑승자가 도어를 열었는가를 판정한다. 이 상황이 탑승자가 텅을 버클내에 삽입하기 전에 일어나는 경우, 탑승자가 차량으로부터 용이하게 나갈 수 있도록 텅과 버클을 이들의 각각의 수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3. 텅이 그 활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가 텅을 텅 프리젠터로부터 당기기 시작했는가를 판정한다. 일단 탑승자가 수축기로부터 텅을 당기면, 웹 스위치(362)의 상태를 사용하여 텅 프리젠터 모터가 테이프를 그 수용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4. 탑승자가 랩벨트를 충분히 끌어내어 텅을 버클내로 고정했는가를 판정한다. 버클 스위치 또는 센서(105)를 모니터링하여 텅이 버클에 고정되어 있는가를 판정하고 버클 스위치 신호에 응답하여 버클 프리젠터 모터가 버클과 체결된 텅을 그 수용 위치에로 이동시키게 한다.
4a. 탑승자가 인접한 차량 도어를 열었는가를 판정한다. 텅이 버클내에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는 예컨대 차량을 빠져나가거나 또는 어떤 정보를 얻기 위해 또는 다른 이유로 인접한 도어를 여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도어 열림 상태를 판정하기 위해 도어 스위치(406)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탑승자가 텅을 버클로부터 해제하고 차량을 빠져나갈 것을 예상하여 버클 프리젠터를 그 활동 위치로 상승시킨다. 도어 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가 닫혀있는가를 판정하고, 버클 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텅이 버클로부터 해제되지 않았다면, 버클 프리젠터를 그 수용 위치로 복귀시킨다. 버클 스위치의 상태에 의해 감지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텅을 버클로부터 해제한 경우에는, 버클 프리젠터 모터를 기동시킴으로써 버클 프리젠터를 그 수용 위치로 복귀시킨다.
5. 점화 스위치가 활동 상황 또는 온(on) 상황인가를 판정한다. 점화 스위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 단계에서는, 점화 스위치의 상태는 버클 프리젠터 또는 텅 프리젠터의 상태를 바꾸지 않는다. 즉, 이들 프리젠터들이 이들의 수용 위치에 있는 경우 이들은 수용 위치에 유지되거나, 또는 텅이 아직 버클내에 체결되어 있다면, 이 프리젠터들은 이들의 각각의 활동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6. 점화 스위치가 꺼져 있는가를 판정한다. 점화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로 복귀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점화 스위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버클 프리젠터가 그 수용 위치에 있다면, 버클 스위치의 상태에 의해 감지된 바와 같이 텅이 버클내에 체결되어 있는 경우, 점화 스위치의 순환이 버클 프리젠터 모터로 하여금 버클 프리젠터를 그 활동 위치로 이동시키게 할 것이다.
6a. 텅이 버클로부터 해제되었는가를 판정한다. 텅이 버클내에 있는가를 판정하기 위해 버클 스위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텅이 버클로부터 해제된 경우에는, 버클 프리젠터는 그 수용 위치로 이동된다.
6b. 텅이 버클내에 유지된 상태에서 점화 스위치가 다시 복귀했는가를 판정한다. 점화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복귀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점화 스위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버클 프리젠터는 그 수용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도 19a 내지 도 19g는 버클 프리젠터(100)와 텅 프리젠터(200)의 모터(130, 302)를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420)내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단계 또는 로직을 도시한다. 이하의 기술에서는, 시스템(20)이 상기 기술된 것보다 정교한 중량 센서(404)를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면, 중량 센서는 3개의 감지 소자(404a, 404b, 404c)를 구비할 수 있다. 소자(404a, 404b)는 좌석의 쿠션내에 설치되는 중량 감지 소자이고, 소자(404c)는 좌석의 등받이내에 위치하는 중량 감지 또는 힘 감지 센서이다. 3개의 센서 모두가 한계치보다 큰 신호, 힘 또는 중량을 지시한다면, 이것은 탑승자가 좌석내에 정확하게 착석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프로세스는 블록(500)에서 시작하며, 컨트롤러에 각각의 중량 센서(404a, 404b, 404c)의 각각의 신호(W0, W1, W2)를 판독할 것을 지시하여 이들 신호가 각자의 소정의 한계치(Th0, Th1, Th2) 이상인가를 판정한다. 1개, 2개 또는 3개 이상의 중량 센서가 다음의 프로세스에 사용될 수 있다. 3개의 모든 센서가 이들의 각각의 한계치 이상인 경우[판정 블록(502)], 컨트롤러는 도어 스위치를 질문하여[블록(504)], 블록(506)에서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정한다.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도 19b에 계속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420)는 블록(508)에서 버클 스위치(105)의 상태를 판독한다. 그 후, 판정 블록(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스위치(105)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텅(24)이 버클(26)내에 있음을 지시하는, NO 로직 조건을 판정하거나, 또는 버클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YES 로직 조건을 판정한다. 그 후, 블록(512)에서 컨트롤러는 모터(105, 304)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프리젠터를 업(up) 또는 활동 상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420)는 탑승자의 동작을 예상하며 탑승자가 차량을 빠져나가려고 하는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는 블록(514)에서 도어 스위치(406)의 상황을 다시 한번 질문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정한다[블록(516)]. 블록(516)에서 도어가 닫혀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컨트롤러는 블록(519)에서 마이크로스위치(362)의 상황을 질문하여 블록(520)에서 추가의 웨빙이 좌석 벨트 수축기로부터 당겨져 있는가를 판정한다. 블록(516)의 판정이 도어가 닫혀있지 않다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블록(522)에서 컨트롤러는 탑승자가 차량을 막 빠져나가려는 것으로 가정하여 텅과 버클 프리젠터 양자를 이들의 수용 위치로 복귀시키며, 프로세스는 블록(500)에서 재개된다. 블록(520)으로 돌아와서, 컨트롤러가 텅이 그 활동 위치로 이동된 것을 판정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블록(524)에서 모터(304)에 신호를 발생시켜, 텅 프리젠터(200, 200a), 즉 테이프(240)를 그 수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시점에서, 컨트롤러는 텅이 그 활동 위치로부터 철수된 것으로 가정하고 블록(526)에서 텅이 버클내에 수용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는 블록(528)에서 버클 스위치가 폐쇄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 그 후, 컨트롤러는 블록(530)에서 모터(130)에 버클 프리젠터(100)를 그 수용 위치로 수축시키거나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여, 버클과 텅을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시점에서 좌석 벨트는 탑승자에 대하여 고정되며 차량은 운전될 준비가 된다.
도 19c에서 계속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블록(532)에서 점화 스위치의 상태를 질문하고, 점화 스위치가 온(on)인 경우[블록(534)] 프로세스는 블록(536)으로 나타낸 중간 조건으로 이동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조건은 또한 좌석 벨트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사용된다. 점화 스위치가 오프(off)이면 프로세스는 중간 조건(538)으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프로세스는 점화 스위치가 온(on)인 것으로, 즉 엔진이 작동한 것으로 가정하고, 블록(540)에서 좌석 벨트의 상태를 문의하여 블록(542)에서 판정되는 바와 같이 탑승자가 텅을 버클로부터 해제시켰는가를 알아본다. 그 후, 텅이 여전히 버클내에 체결되어 있다면, 또한 엔진이 꺼져있다는 것을 사전에 판정했다면, 컨트롤러는 블록(544, 546)에서 도어가 열려있는가를 질문한다. NO 로직 조건인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도 19d에 계속되는 중간 단계(548)로 계속되며, 여기서 컨트롤러는 차량 탑승자가 차량을 빠져나가기를 원하는 것으로 예상하여 버클 프리젠터를 업 또는 활동 위치로 이동시켜[블록(550)], 탑승자가 텅을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계속해서, 버클 스위치(105)의 상태가 판독되고[블록(552)], 텅이 버클로부터 제거된 경우[블록(554)], 즉 버클이 개방된 경우, 컨트롤러는 버클 프리젠터(100)를 다운(down) 또는 수용 상태로 다시 한번 이동시킨다. 이 시점에서, 도어가 열리고, 점화 스위치는 오프(off)로 되며 양 프리젠터는 수용 위치에 있게 된다. 그 후, 로직은 조건(536)으로 복귀한다. 블록(554)의 결과가 버클과 텅이 체결되어있음을 지시하면, 컨트롤러는 블록(556)에서 도어의 상태를 다시 질문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정한다.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 로직은 블록(552)으로 복귀한다.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컨트롤러는 버클 프리젠터를 다운 또는 수용 상태로 다시 한번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버클 프리젠터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버클과 고정되어 있는 텅은 탑승자 주위의 운전 위치로 이동된다. 그 후,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직은 점화 스위치의 상태가 다시 조사되는 중간 조건(560)으로 계속된다.
도 19e와 중간 로직 단계(536)를 참조한다. 그 후, 도어 스위치[블록(562)]가 다시 한번 판독되고, NO 로직 조건인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블록(562)], 버클 프리젠터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프로세스는 시작 조건인 블록(500)에서 재개된다.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좌석 벨트 스위치(105)의 상태는 블록(566)에서 다시 질문된다. 블록(570)에서와 같이, 좌석 벨트가 폐쇄되어 있고 점화 스위치가 온(on)인 경우, 버클 프리젠터는 버클과 텅이 탑승자 주위에 고정된 채로 수용 위치에 유지되며 로직은 중간 조건(572)에서 계속된다. NO 로직 조건인 좌석 벨트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블록(574, 576)에서 점화 스위치가 온(on)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좌석 벨트가 개방되어 있고 점화 스위치가 켜져 있는 경우에는, 블록(578)에서 버클 프리젠터는 업 위치로 이동된다. 점화 스위치가 꺼져 있는 경우에는, 블록(580)에서 버클 프리젠터는 다운 위치로 이동되고 로직은 조건(536)으로 복귀한다.
도 19g에 있어서, 텅이 버클내에 있는 상태에서 좌석 벨트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화 스위치 상태가 블록(582, 584)에서 판독된다. 점화 스위치가 오프(off)인 경우에는, 블록(586)에서 버클 프리젠터는 업 위치로 이동되며 그 후 블록(588, 590)에서 도어의 상황이 질문된다.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에, 블록(592, 594)에서 컨트롤러는 버클 스위치(105)를 다시 질문하여, YES 로직 조건인 텅이 버클내에 삽입되어 있음을 판정하거나, 또는 NO 로직 조건인 텅이 제거되어 있음을 판정한다. 텅이 버클로부터 제거된 경우에는, 컨트롤러는 블록(596)에서 버클 프리젠터(500)가 그 다운 상황에 있다는 것을 보증하고 로직은 중간 조건(598)에서 계속된다. 텅이 버클내에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는 블록(600, 602)에서 점화 스위치의 상태를 다시 질문한다. 점화 스위치가 온(on)인 경우에는 컨트롤러는 블록(604)에서 버클 프리젠터(100)를 그 다운 위치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내린다.
도 19f에 있어서, 도어의 상태는 블록(606, 608)에서 다시 한번 질문된다.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로직은 시작 블록(100)으로 복귀한다.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좌석 벨트의 상태가 블록(610, 612)에서 판정된다. 텅이 아직 좌석 벨트 버클내에 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조건(572)으로 복귀한다. 텅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화 스위치의 상태가 블록(614, 616)에서 다시 한번 판정된다. 점화 스위치가 온(on)인 경우에는 로직은 로직 조건(598)으로 복귀하고, 점화 스위치가 오프(off)인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로직 조건(536)으로 복귀한다.

Claims (10)

  1. 좌석 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피벗 지점(106)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한 좌석 벨트 버클(26)로서, 상기 버클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버클은 비상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버클은 텅(24)을 상기 버클에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제 1 위치보다 전방으로 높이 위치하는, 상기 버클과,
    상기 버클을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좌석 벨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26)을 상기 피벗 지점(106)에 연결시키는 레버(102)를 더 포함하는
    좌석 벨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26)을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 웜 기어(122)를 포함하는 웜 기어 메커니즘과,
    상기 웜 기어가 회전할 때 상기 웜 기어상에서 이동 가능한 나사가 형성된 너트(124)로서, 상기 너트는 상기 웜 기어의 제 1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웜 기어의 제 2 단부는 앵커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너트와,
    상기 웜 기어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피벗 수단(110)을 포함하는
    좌석 벨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수단(110)은 상기 버클(26) 부근의 상기 레버(102)의 일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버클을 상기 피벗 지점(106)에 연결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좌석 벨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웜 기어(112)를 회전시키는 모터(130)를 더 포함하는
    좌석 벨트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26)을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버클에 부착된 섹터 기어(150) 및 모터(130)를 포함하는
    좌석 벨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 기어는 상기 버클(26)을 상기 피벗 지점(106)에 연결하는 레버에 부착되며 상기 모터(130)에 의해 이동 가능한
    좌석 벨트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벨트 텅(24)은 상기 텅을 수용 위치와 활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200)에 의해 상기 수용 위치와 상기 활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좌석 벨트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벨트 텅(24)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 좌석 벨트 텅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석 벨트 텅과는 별개인 텅 프리젠터 메커니즘(tongue presenter mechanism)(200)을 구비하며, 상기 텅 프리젠터 메커니즘은 상기 텅을 상기 활동 위치에 제공하도록 이동 가능하고, 상기 좌석 벨트 텅이 상기 텅 프리젠터 메커니즘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수용 위치로 이동 가능한
    좌석 벨트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프리젠터 메커니즘(200)은 이동 가능한 테이프(230)를 구비하는
    좌석 벨트 시스템.
KR1020037001554A 2000-08-04 2001-06-29 좌석 벨트 시스템 KR100569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32,073 2000-08-04
US09/632,073 US6485058B1 (en) 2000-08-04 2000-08-04 Seat belt buckle and tongue presenter system
PCT/US2001/021053 WO2002012031A1 (en) 2000-08-04 2001-06-29 Seat bel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963A true KR20030020963A (ko) 2003-03-10
KR100569544B1 KR100569544B1 (ko) 2006-04-10

Family

ID=2453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554A KR100569544B1 (ko) 2000-08-04 2001-06-29 좌석 벨트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485058B1 (ko)
EP (1) EP1305194B1 (ko)
JP (1) JP3703802B2 (ko)
KR (1) KR100569544B1 (ko)
AU (1) AU2001270293A1 (ko)
DE (1) DE60109455T2 (ko)
MX (1) MXPA02011348A (ko)
WO (1) WO2002012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9716B2 (en) * 2001-01-05 2004-08-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belt restraint system with movable lap belt guides
JP4590801B2 (ja) * 2001-08-07 2010-12-0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席用シートベルト構造
DE10204940B4 (de) * 2002-02-07 2005-04-28 Autoliv Dev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Gurtbringer
US6676162B2 (en) * 2002-04-24 2004-01-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ccupant restraint belt presenter
US6969088B2 (en) * 2003-04-29 2005-11-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t belt buckle presenter and method of use therefor
DE10325473A1 (de) * 2003-06-05 2005-01-05 Keiper Gmbh & Co. Kg Gurtschloß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20311004U1 (de) * 2003-07-17 2003-12-04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US7110623B1 (en) 2004-01-23 2006-09-19 Ralph Kalibjian Temporally coherent depolarizer and a polarization transformer
US7407193B2 (en) * 2004-03-18 2008-08-05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buckle
US20060231317A1 (en) * 2004-03-18 2006-10-19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buckle
DE102004017457B4 (de) * 2004-04-08 2015-01-15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ßbringer
JP4041487B2 (ja) * 2004-10-21 2008-01-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装置の故障診断方法、及び、故障診断機能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4573296B2 (ja) * 2004-11-05 2010-11-04 タカタ株式会社 タング取出し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6131090A (ja) * 2004-11-05 2006-05-25 Takata Corp タング取出し補助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7370721B2 (en) * 2004-12-03 2008-05-13 Autoliv Asp, Inc. Seatbelt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JP4679125B2 (ja) * 2004-12-06 2011-04-27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US7408567B2 (en) * 2005-03-29 2008-08-05 Kabushiki Kaisha Toshiba Light beam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102005021281A1 (de) * 2005-05-09 2006-11-16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ßbringer für ein Kraftfahrzeug
JP2007001534A (ja) * 2005-06-27 2007-01-11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シートベルト装置、シートベルト装置付車両
US7797803B2 (en) * 2005-07-05 2010-09-21 Falb Margo B Seat belt buckle
US7178208B2 (en) * 2005-07-05 2007-02-20 Calvin R. Bentsen Seat belt with magnetically seated buckle and automatic release
US7458609B2 (en) * 2005-11-03 2008-1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ably positioning a restraint system in a motor vehicle
US7866703B2 (en) * 2007-05-23 2011-01-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ettable vehicle seat belt buckle pre-tensioner presen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DE102007037819B4 (de) * 2007-08-10 2017-12-07 Trw Automotive Gmbh Sitzbelegungserkennungseinheit
JP4981614B2 (ja) * 2007-10-15 2012-07-25 タカタ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US20090094807A1 (en) * 2007-10-16 2009-04-16 Takata Corporation Seatbelt buckle apparatus
JP5313540B2 (ja) * 2008-04-15 2013-10-0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ウェビングの配索方法並びに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DE602008006366D1 (de) * 2008-05-14 2011-06-01 Ford Global Tech Llc Sicherheitsgurtsystem für ein Fahrzeug
JP2010095080A (ja) * 2008-10-15 2010-04-30 Tokai Rika Co Ltd プリテンショナ
US7967339B2 (en) * 2009-01-13 2011-06-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material based safety belt buckle presenter
DE102009033631A1 (de) * 2009-07-17 2011-01-20 Trw Automotive Gmbh Gurtstraffer
KR20110025532A (ko) 2009-09-04 2011-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벨트 장치
JP5638788B2 (ja) * 2009-11-09 2014-12-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ートベルト装置
FR2953470A3 (fr) * 2009-12-04 2011-06-10 Renault Sa Dispositif de bouclage d'une ceinture de securite a une place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KR101241158B1 (ko) 2010-12-08 2013-03-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앵커 프리텐셔너 구조
DE102011011779A1 (de) * 2011-02-18 2012-08-23 Trw Automotive Gmbh Steuerung für eine Sicherheitsgurt-Positioniervorrichtung sowie Sicherheitsgurt-Positioniervorrichtung
US20120279794A1 (en) * 2011-05-06 2012-11-08 Joshua Jeffrey Clayton Vehicle Controlled Automatic Seat Belt
KR101305812B1 (ko) * 2011-10-05 2013-09-0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 회전장치 및 그 회전 제어방법
CN103213558A (zh) * 2012-01-20 2013-07-24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安全带带扣组件
KR20140038218A (ko) * 2012-09-20 2014-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JP5576453B2 (ja) * 2012-10-16 2014-08-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4148270A (ja) * 2013-02-01 2014-08-21 Autoliv Development Ab シートベルト装置
JP6310350B2 (ja) * 2014-07-18 2018-04-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JP2016022855A (ja) * 2014-07-22 2016-02-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バックル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6113874B1 (ja) * 2016-02-10 2017-04-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US10583805B2 (en) * 2016-09-06 2020-03-10 Honda Motor Co., Ltd. Vehicle including controller
JP6791023B2 (ja) * 2017-06-06 2020-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制御装置
DE102017223333A1 (de) 2017-12-20 2019-06-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Gurtschlossbaugruppe mit Gurtkraftbegrenzer sowie Verfahren zur Montage der Gurtschlossbaugruppe
US11535191B2 (en) 2019-10-24 2022-12-27 Autoliv Asp, Inc. Seatbelt assembly with enhanced shoulder belt positioning
US11904796B2 (en) * 2020-02-14 2024-02-20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eat belt pretensioner system
US11584334B2 (en) * 2020-08-14 2023-02-21 APV Corporation Pty Ltd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102021127809B4 (de) 2021-10-26 2023-12-21 Audi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anordnung und Kraftfahrzeug
DE102021127812B4 (de) 2021-10-26 2023-05-25 Audi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anordnung und Kraftfahrzeug
KR102699170B1 (ko) * 2023-10-31 2024-08-28 부성스틸(주) 차량의 차속 연동형 안전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3623A (en) * 1965-08-09 1967-09-26 Irwin C Porter Auto-lock seat belt
US3653714A (en) * 1970-02-24 1972-04-04 Michael Gentile Automatic safety seat belts
US3613819A (en) * 1970-03-20 1971-10-19 Walter H Maloney Retractable seatbelt assembly
IT962603B (it) * 1971-08-21 1973-12-31 Recaro Gmbh U Co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sedili di veicolo
IT974005B (it) * 1971-12-21 1974-06-20 Gen Motors Corp Perfezionamento nelle disposizioni di sicurezza per autoveicoli
JPS5339652B2 (ko) * 1972-12-05 1978-10-23
JPS5416086B2 (ko) * 1972-12-16 1979-06-20
GB2126077B (en) * 1982-09-04 1987-05-28 Britax P M G Ltd Passive safety belt system
EP0323877B1 (en) * 1984-08-23 1992-10-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eat belt device for a vehicle
JPS6271739A (ja) * 1985-09-24 1987-04-02 Saburo Shimizu 運転席安全ベルト自動着脱装置
GB2183560B (en) * 1985-11-29 1989-10-0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H0771919B2 (ja) 1988-10-21 1995-08-02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DE3909360C1 (ko) * 1989-03-22 1990-09-20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US5236220A (en) * 1992-04-30 1993-08-17 Allied Signal Inc. Stowable telescoping seat belt mechanism
US5431446A (en) * 1992-08-05 1995-07-11 Ford Motor Company Seat belt presenter
JP3395085B2 (ja) * 1993-03-31 2003-04-07 保雄 北田 乗用車用シートベルト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置
WO1996004154A1 (en) * 1994-08-04 1996-02-15 Alliedsig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ccupant injury in frontal collisions
US5639120A (en) * 1995-09-27 1997-06-17 Ford Motor Company Seat belt buckle pretensioner with end cap
US5709408A (en) * 1996-06-12 1998-01-20 Carraway, Jr.; Bruce H. Motorized safety belts for vehicles
DE29613427U1 (de) * 1996-08-02 1996-11-28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Einrichtung zum Bewegen einer Steckzunge eines Sicherheitsgurtes in eine ergonomisch günstige Präsentationsstellung
JPH10194081A (ja) * 1997-01-06 1998-07-28 Asako Hanno 自動車用自動着脱シートベルト装置
US5887897A (en) * 1997-02-06 1999-03-30 Breed Automoive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pretensioning a vehicular seat belt
US5871236A (en) * 1997-05-13 1999-02-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pretensioning seat belt webbing
US6293588B1 (en) * 1998-03-09 2001-09-25 Elmer F. Clune Safety enhanced center unbuckling restraint equipment (secure)
AU4243000A (en) * 1999-04-16 2000-11-02 Joalto Design, Inc. Improved restraint belt presenter
US20020043872A1 (en) * 2000-04-17 2002-04-18 Joalto Design Inc. Seat belt buckle receptacle presenter assembly
US6655744B2 (en) 2000-12-13 2003-12-02 Lear Corporation Seat bel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544B1 (ko) 2006-04-10
DE60109455D1 (de) 2005-04-21
EP1305194A1 (en) 2003-05-02
JP2004505830A (ja) 2004-02-26
JP3703802B2 (ja) 2005-10-05
US20030075914A1 (en) 2003-04-24
EP1305194B1 (en) 2005-03-16
US6669234B2 (en) 2003-12-30
MXPA02011348A (es) 2004-09-06
WO2002012031A1 (en) 2002-02-14
AU2001270293A1 (en) 2002-02-18
DE60109455T2 (de) 2006-04-13
US6485058B1 (en) 200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544B1 (ko) 좌석 벨트 시스템
US6827308B2 (en) Controlling method of seat belt retractor
KR101759822B1 (ko) 웨빙 권취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US7237640B2 (en) Vehicle seat belt apparatus
US20040036345A1 (en) Four-point seat belt having electric motor driven retractor
US6213512B1 (en) Seat belt tightening apparatus
US7631720B2 (en) Seatbelt retractor
JPH09272401A (ja) 超音波モータ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6702326B1 (en) Passenger restraining protective system
JP2000513291A (ja) 可変角度のウェブガイド開口を有する安全拘束装置
JP3454790B2 (ja) 多点プレテンショナ・システム
US20060108786A1 (en) Tongue retrieval system and a seatbelt apparatus
US6106013A (en) Controlled force shoulder belt system
JPH0776258A (ja) 安全装置
EP1300303B1 (en) Seat belt control device and method
EP1324901B1 (en) A safety-belt arrangement
US5054574A (en) Control for automotive passive restraint system with manual retrigger
US4676444A (en) Webbing driving apparatus
JP5620321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2012128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05286410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のプリテンショナー構造
JP2001114070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車両衝突時の乗員保護方法
JPH02102851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