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822A - 백색도가 우수한 비열처리 소수성 침강 실리카 - Google Patents

백색도가 우수한 비열처리 소수성 침강 실리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822A
KR20030012822A KR1020020045799A KR20020045799A KR20030012822A KR 20030012822 A KR20030012822 A KR 20030012822A KR 1020020045799 A KR1020020045799 A KR 1020020045799A KR 20020045799 A KR20020045799 A KR 20020045799A KR 20030012822 A KR20030012822 A KR 20030012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precipitated silica
precipitated
water
silica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647B1 (ko
Inventor
숄츠마리오
켐프미하엘
판츠크리스티앙
슈몰랄프
Original Assignee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1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09C1/30Silicic acid
    • C09C1/3081Treatment with organo-silico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01D19/04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by addition of chemical substances
    • B01D19/0404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by addition of chemical 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hemical substance
    • B01D19/0409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by addition of chemical 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hemical substance compounds containing Si-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3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using agents to prevent the granules sticking together;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0Solid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9Oil-absorption capacity, e.g. DBP 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2Magne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C01P2006/82Compositional purity water con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10T428/2995Silane, siloxane or silicone co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높은 백색도를 갖는 소수성 비열처리 실리카, 이의 제조방법 및 당해 소수성 실리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색도가 우수한 비열처리 소수성 침강 실리카{High-whiteness, non-heat-treated hydrophobic precipitated silica}
본 발명은 열처리없이 제조되며, 높은 수준의 백색도를 갖고, 실리콘 고무 제형화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실리콘 가황화물에서 높은 강화 작용을 유발시키는 소수성 침강 실리카에 관한 것이다.
오가노폴리실록산과 같은 오가노실리콘 화합물을 사용한 미분 고체, 금속 산화물 및 규산염의 처리는 예를 들면,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30 85 905호에 공지되어 있다. 열처리 공정은 질소의 불활성 대기 하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소수성 규산염은 예를 들면,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4 35 860호, 제22 42 728호 및 제25 13 608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서, 친수성 규산염 및 침강 실리카는 이들을 오가노실리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소수성화된다. 사용되는 소수성화제의 예는 오가노할로실란 및 오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한다.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6 28 975호 및 제27 29 244호에는 물 흡수도가 낮은 친수성 침강 실리카를 각각 실리콘 오일 또는 디메틸디클로로실란과 반응시킴에 의한 소수성 실리카의 제조를 기술하고 있다.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6 28 975호에 따르는 방법에서, 반응은 무수 침강 실리카에 소수성화제(실리콘 오일)를 첨가함으로써 수행되며,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7 29 244호에 따르는 방법에서, 소수성화제(디메틸디클로로실란)는 침강 실리카 현탁액으로 직접 도입된다. 양쪽의 경우에서, 소수성화 단계는 승온, 구체적으로 200 내지 400℃에서 열처리한 다음에 수행된다.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소수성화된 침강 실리카가 필요한 가공 온도에서 변색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리카의 변색은 실리콘 제형에 첨가되는 경우, 즉 이러한 소수성 침강 실리카가 실리콘 제형에 첨가되거나 실리콘 오일을 기재로 하는 소포제 혼합물에 첨가되는 경우에 특히 불편하다.
200 내지 400℃에서의 열처리의 추가의 단점은 비교적 고가의 소수성 실리카를 제조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든다는 것이다.
변색도의 측정법으로서, 반사율과 같은 공지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반사율의 측정에서, 샘플의 확산 반사력이 조사된다. 샘플의 높은 확산 반사력은 이의높은 반사율을 나타내며, 따라서 샘플의 높은 백색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침강 실리카는 97% 이하의 반사율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적으로는, 본래의 실리카가 보유하는 반사율 범위에서 실리카를 소수성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수준의 백색도를 가지며, 실리콘 고무 제형으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고, 실리콘 고무에서 양호한 강화 특성을 나타내는 소수성 침강 실리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친수성 침강 실리카에 폴리실록산을 적용시킨 다음, 컨디셔닝(conditioning)시킴으로써 앞서 요구된 특성을 갖는 소수성 실리카를 수득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도 1은 균일한 소수성화를 나타내는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가파른 메탄올 습윤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컨디셔닝 없이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가 실리카 상에 분산된 통상적인 소수성 실리카의 메탄올 습윤성을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침강 실리카를 제공한다:
- 탄소 함량1.0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 메탄올 습윤성20 내지 55%
- 반사율> 94%
- BET/CTAB 비율≤1
- DBP 흡수도250g/100g, 바람직하게는 200g/100g
- BET 표면적50 내지 110m2/g
- CTAB 표면적100 내지 150m2/g
- 시어 수(Sear number)< 13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범위는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카는 시판되는 표준 친수성 침강 실리카를 저가의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사용하여 200℃ 미만에서 소수성화시켜, 열처리에 의해 제조된 소수성 실리카보다 명확하게 더욱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200℃ 미만의 온도에서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사용하면, 어떠한 변색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추가로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아래의 특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 pH5 내지 9
- 수 함량< 7%
- 전도율< 200μS
- 연소 손실율3 내지 14%
전도율은 150, 100, 60 또는 심지어 40μS 미만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소수성 침강 실리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와 침강 실리카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a),
혼합물을 0.5 내지 72시간 동안 10 내지 150℃에서 컨디셔닝시키는 단계 (b).
단계 (b)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에서 0.5 내지 2시간 동안 열처리하거나, 실온(10 내지 30℃)에서 48시간 이상 저장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의 소수성 침강 실리카는 아래의 특징을 나타낸다:
- 대단히 높은 백색도(94% 이상의 반사율).
- 200℃ 이하의 온도에서 어떠한 변색 현상도 관찰되지 않음.
- 고도로 균일한 소수성화, 즉 가파른 메탄올 습윤성 곡선.
- 20 내지 55%의 메탄올 습윤성.
- 실리콘 고무 제형으로의 용이한 작업.
- 실질적으로 어떠한 이온성 불순물도 함유하지 않음, 즉, 낮은 전도율.
- 승온에서 변색을 유도할 수 있는 어떠한 계면활성제, 에멀젼화제 또는 유기 용매를 함유하지 않음.
- 수성 매질에 대한 안정성(어떠한 소수성화제의 제거도 없다).
본 발명의 실리카의 제조방법은 소수성화제의 균일한 분포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소수성화제중에 용매(물 제외), 에멀젼화제, 계면활성제 또는 기타 표면-활성 분자 잔기의 사용을 피함으로써, 생성된 실리카가 변색없이 저농조 특성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소수성화제의 효과적인 분포 및 침강 실리카의 균일한 소수성화는실리콘 고무 제형화 면에서, 실리카가 가황물의 양호한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과 결합하여 제형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라디칼로서 주로 메틸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처리되며, 이는 높은 열적 하중을 견디는 능력을 유도한다(200℃ 이하의 온도에서는 어떠한 변색 현상도 유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소수성 침강 실리카의 침강 실리카에 대한 낮은 흡수성은 매우 낮은 실란올 그룹 밀도를 갖는 친수성 침강 실리카의 선택 및 오가노실란 화합물을 사용한 매우 균일한 소수성화에 의해 가능하다. 실란올 그룹 밀도에 대해 사용되는 측정은 시어 수(Sear number)이며, 측정법은 실시예에 정의되어 있다.
액상 폴리실록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cSt의 폴리메틸실록산의 사용은 실리카 표면 상에 최적으로 분포되게 한다.
이러한 점도 범위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한편으로는 여전히 그들 자신이 실리카 상에 양호하게 분포되도록 충분히 유동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미 실리카 표면에 열적으로 결합하기에 충분히 크며 실리카의 실란올 그룹과 실록산 분자의 실록산 브릿지 사이에서 다중 수소 결합을 초래한다.
메탄올 습윤성, 즉 메탄올 농도 대 침전의 플롯은 균일한 소수성화의 척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수성 침강 실리카는 아래의 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다:
1. LSR, HTV 및 RTV 실리콘의 실리콘 고무 제형에서의 충전제.
2. 소포제 성분. 소포제 제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소성 실리카가 예를 들면,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8 29 906호, 미국 특허 제4,377,493호,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34 11 759호, 미국 특허 제4,344,858호 및 WO 제95/05880호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고성능 소포제의 장점은 특정 소수성 및 넓은 표면적이며, 비교적 큰 분자인 본 발명의 실리카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카의 높은 반사율은 변색이 없는 유용한 소포제 제형, 특히 광유 및 실리콘 오일을 기재로 하는 제형을 보증한다.
3. 자유 유동제
자유-유동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소수성 실리카가 공지되어 있다[참조: Degussa AG brochure series, Fallungskieselsauren und Silikate(Precipitated silicas and silicates), 1984]. 이의 낮은 흡수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실리카는 가수분해에 민감한 물질에 대한 자유-유동 보조제로서 특히 적합하다. 여기서 다시, 본 발명의 실리카의 고반사율은 추가의 장점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카는 캐리어 물질(특히, 살충제에 대한), 살충제 그 자체, 차단 방지 보조제, 타이어용 충전재 또는 에멀젼화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소수성 침강 실리카는 아래의 2 단계로 제조된다:
- 가장 먼저, 액상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초기에 실리카 표면 상에 물리적으로 분포시킨다. 이러한 초기 분포가 수성 매질, 즉 현탁액 또는 70% 이상의 물 함량을 갖는 실리카 중에서 수행되는 경우, 실리카는 전형적으로 불안정하다. 따라서, 초기 분포 직후에 여과에 의해 신속하게 분리하고/하거나 촉진 건조(예를들면, 스핀-플래쉬 건조기 또는 노즐 타워 건조기에서)를 수행해야만 한다. 이는 실리카 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방울을 일정하게 분포시키며, 물, 실리콘 오일 및 실리카로의 분리를 예방한다.
- 이어서, 조절된 컨디셔닝 단계- 가공 단계 b) -에서, 소수성화제의 분포를 추가로 개선시켜, 폴리실록산 유도체와 실리카 표면의 결합을 성취한다. 이러한 분포 상태는 심지어 수성 매질중에서도 안정하다. 단계 b) 이후에, 폴리실록산 유도체와 실리카는 더이상 분리되지 않는다. 3.1 이상의 탄소 함량에서, 컨디셔닝된 실리카는 55% 이하의 메탄올 습윤성으로 단계에 구애됨 없이 조정된다. 상기 단계 후의 BET/CTAB 비율은 1 미만이다. 실리카로의 폴리실록산의 결합은 폴리실록산 분자의 실록산 브릿지와 실리카 표면의 실란올 그룹 사이의 다중 수소 결합의 형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로서, 소수성 침강 실리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오가노실란 또는 오가노할로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중 단계 a)는 아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 물 함량 1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의 침강 실리카에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를 첨가한다.
- 침강 실리카의 분산액으로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를 첨가, 즉 예를 들면, 라인-휘테(Rhein-Hutte) 혼합기 또는 코트호프-미슈시렌(Kotthof-Mischsirene) 또는 울트라-터랙스(Ultra-Turrax)를 사용하여 산과 함께 규산염을 침전시킨다. 여기에서는 반응 후에 신속한 여과 및/또는 촉진된건조를 필요로 한다.
- 물 함량 70 내지 99중량%의 침강 실리카에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를 첨가한 다음, 물로부터 고체를 분리한다. 분리는 여과, 스핀-플래쉬 건조 또는 기타 촉진된 건조(예: 분무 건조 또는 노즐 타워 건조기를 사용하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물 함량이 높을수록 더욱 빠른 분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분해는 방지해야 한다.
- 침강 실리카, 함수 실리카 또는 실리카 현탁액과 오가노실록산 유도체를 스핀-플래쉬 건조기중에 동시에 공급한다.
- 무수 침강 실리카와 폴리실록산을 예를 들면, 게릭케(Gericke) 혼합기에서 혼합한다.
대안적인 가능성은 먼저 가공 단계 a) 및 b)에 따라 마스터배치(masterbatch), 즉 컨디셔닝된 침강 실리카를 제조하고, (친수성) 함수 침강 실리카와 혼합한다.
친수성 침강 실리카의 물 함량은 위에서 언급한 범위 내에서 매우 다양하다.
기재 실리카는 실리콘 오일[예: 다우 코닝(DOW CORNING) 200 FLUID 50 CS(50mPas의 트리메틸실릴 그룹으로 말단화된 디메틸폴리실록산, 약 33%의 탄소 함량)(단계 a)]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1:1 내지 1:3의 질량 비로 피복시킬 수 있다. 생성된 분말을 예를 들면, 30분 동안 100℃ 이상의 온도에서 컨디셔닝시킨다. 여기서, 컨디셔닝(단계 b)은 생성된 물질이 물에 의해 습윤가능하지만(메탄올 습윤성 < 20; 측정 기술 항목을 참고한 메탄올 습윤성의 정의를 고려한다), 물중에 도입되는 경우 실리카와 실리콘 오일 사이에서 어떠한 분리도 더이상 나타내지 않을 때까지 수행된다(만약, 단계 c)가 단계 b) 직후인 경우, 메탄올 습윤성은 20 이상이 바람직하다). 수성 실리카 분산액 또는 실리카 현탁액(예를 들면, 실리카 50중량% 및 실리콘 오일 50%)을 사용하는 마스터배치의 혼합은 실리콘 오일이 더이상 실리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안정한 혼합물을 생성한다. 전형적으로, 총 혼합물은 실리콘 오일 1중량부, 실리카 약 4 내지 8중량부 및 물 20 내지 60중량부를 함유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마스터배치(예를 들면, 실리카 50% 및 실리콘 오일 50%)를 약 10 내지 16배의 필터케이크(약 20%의 고체 함량) 및 약 10 내지 20배의 추가적인 물을 사용하여 철저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장점은 수 습윤 가능한 마스터배치를 에멀젼화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매우 미세하고 안정하게 실리카 침전 현탁액 또는 실리카 공급물중에 직접 분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혼합물을 건조, 여과한 다음 건조시킨 후, 수득된 오가노폴리실록산 함유 실리카를 다시 컨디셔닝(단계 b)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미리 적합한 연마를 사용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연마는 피복 단계 a) 전에 수행되서는 안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2가지 이상의 변형-즉, 동일하거나 상이한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의 아래의 양태를 고려할 수 있다:
- 단계 a) 또는 단계 b)중의 한가지를 연속적으로 수회(2 내지 5회) 수행한다.
- 단계 a) 및 단계 b)를 연속적으로 수회(2 내지 5회) 수행한다. 즉, 당해 방법을 수회 반복한다.
단계 b)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이상에서 0.5 내지 2시간 동안 열처리에 의해 수행된다. 컨디셔닝 후, 부분적으로 소수성화된 실리카는 20% 이상의 메탄올 습윤성을 가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차이점은 습윤 소수성화와 건조 소수성화 사이에서 제조될 수 있다.
습윤 소수성화는 규산염 출발 물질이 예를 들면, 오가노할로실란을 갖는 침전 현탁액에 대해 독일 특허 제27 29 24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상응하는 소수성화제를 사용하여 피복된 수성 실리카 현탁액, 실리카 공급물 또는 고 수 함량의 실리카 필터케이크임을 의미한다.
건조 소수성화는 규산염 출발 물질이 상응하는 소수성화제로 피복된 1 내지 75%의 상이한 수분 함량을 갖는 실리카 분말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은 독일 특허 제26 28 975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리카는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지만, 선택된 반응 조건 하에서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수득하기 위하여 반응하는 기타 실리콘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수성 환경 중의 디클로로디메틸실란).
사용되는 소수성화 반응제는 예를 들면, 화학식 R4-nSiXn(여기서, n은 1, 2 또는 3이다), [SiRXYyO]Z(여기서, 0 ≤x ≤2이며, 0 ≤y ≤2이고, 3 ≤z ≤10이되, x+y는 2이다), [SiRXXyN]Z(여기서, 0 ≤x ≤2이며, 0 ≤y ≤2이고, 3 ≤z ≤10이되,X+y는 2이다), SiRnXmOSiRoXp(여기서, 0 ≤n≤2이며, 0 ≤m ≤3이고, 0 ≤o ≤3이며, 0 ≤p ≤3이되, n+m은 3이며, o+p는 3이다), SiRnXmNSiRoXp(여기서, O ≤n ≤3이며, 0 ≤o ≤3이고, 0 ≤m ≤3이며, O ≤p ≤3이되, n+m은 3이고, o+p는 3이다) 및 SiRnXm[SiRxXyO]ZSiROXP(여기서, O ≤n ≤3이며, 0 ≤m ≤3이고, 0 ≤x ≤2이며, 0 ≤y ≤2이고, 0 ≤o ≤3이며, 0 ≤p ≤3이고, 1 ≤z ≤10000이되, n+m은 3이고, x+y는 2이며, o+p는 3이다)의 화합물과 같은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은 직쇄, 환형 및 측쇄 실란, 실라잔 및 실록산 화합물일 수 있다. R은 하이드록실 그룹 및 아미노 그룹과 같은 작용 그룹,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같은 폴리에테르, 및 플루오라이드와 같은 할라이드 그룹으로 치환될 수 있는 알킬 및/또는 아릴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은 하이드록실, 아미노, 할라이드,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및 알릴 그룹과 같은 그룹 및 황 함유 그룹을 함유할 수도 있다. X는 실란올, 아미노, 머캅토, 할라이드, 알콕시, 알케닐 및 수화물 그룹과 같은 반응성 그룹을 포함한다.
화학식 SiRnXm[SiRxXyO]ZSiROXp(여기서, 0 ≤n ≤3이며, 0 ≤m ≤3이고, 0 ≤x ≤2이며, 0 ≤y ≤2이고, 0 ≤o ≤3이며, 0 ≤p ≤3이고, 1 ≤z ≤10000이되, n+m은 3이고, x+y는 2이며, o+p는 3이고, R은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다)의 직쇄 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SiRnXm[SiRxXyO]zSiRoXp(여기서, 0 ≤n ≤3이며, 0 ≤m ≤1이고, 0 ≤x≤2이며, 0 ≤y ≤0.2이고, 0 ≤o ≤3이며, 0 ≤p ≤3이고, 1 ≤z ≤1000이되, n+n은 3이고, x+y는 2이며, o+p는 3이고, R은 메틸이 바람직하다)의 폴리실록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어떠한 작용 그룹도 함유하지 않는 낮은 휘발성의 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가능하다.
폴리실록산 내의 특정 작용 그룹의 존재로 인해, 염, 또는 NH3, 아민, 알콜 등과 같은 저분자량 물질이 형성되며, 분열성 불순물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예외는, 형성되는 불순물이 단지 물이기 때문에, 선택된 방법 조건 하에서 제거하기에 용이한 실란올-작용성 폴리실록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화제는 특히 30 내지 100mPas,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mPas를 갖는 메틸 말단화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실록산 오일의 예는 DOW CORNING (R) 200 FLUID 50 CS이다.
앞서 언급된 소수성화제가 저휘발성 화합물이기 때문에, 실리카 상에서 소수성화제의 초기 분포에서 중요한 부분은 액체/고체 상의 경계면에서 모세관 현상과 확산 현상에 의해 작용한다.
비록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소수성화제가 열처리 곡선에서 특정 휘발성을 나타내더라도, 액체/고체 분포는 여전히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물리적, 초기 분포, 컨디셔닝 및 열처리 사이의 차이점이 발생한다.
컨디셔닝 단계에 이어서, 소수성 실리카를 임의로 연마시킨다. 피복 단계 a) 이전의 연마는 적합하지 않으며, 불균일한 피복 및 소수성화를 유도한다. 연마는 평균 입자 크기 d4.3이 2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인 생성물을 수득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 고무 제형, 탄성중합체 혼합물, 중합체, 타이어 또는 밀봉제에서의 충전재, 소포제, 캐리어, 에멀젼화 또는 차단 방지 보조제, 안료, 자유 유동 보조제 또는 살충제로서 본 발명의 침강 실리카의 용도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이의 기계적 특성을 전체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실리콘 고무 제형은 활성 강화 충전재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고분산 실리카를 사용한다. 강화 충전재는 가황화물에서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어야만 하며, 실리콘 고무 제형으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어야만 한다.
HTV 및 LSR 제형은 100℃ 이상의 온도에서 가공된다. 이러한 온도에서, 함수 충전재는 실리콘 제형에서 증기 기포의 분열적인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리카에서의 낮은 수분 흡수도는 이들 실리콘 고무 제형에서 실리카의 가공성 면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특성은 사용되는 기재 실리카의 특성 및 수소성화의 특성으로부터 기인한다. 기재 실리카는 실란올 그룹 밀도(실란올 그룹 밀도에 대해 사용되는 측정은 시어 수와 BET 표면적의 비율이다)가 매우 낮은 침강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실리카의 낮은 실란올 그룹 밀도는 150 내지 170m2/g의 BET 표면적에서 3.0 ±0.5의 낮은 발화 손실율을 나타낸다.
공기를 도입시켜 거의 200℃에서 가공되는 실리콘 고무 혼합물에서, 실리카 상의 어떠한 유기 성분도 이들 온도에서 산소의 영향하에 변색되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전적으로 메틸, 페닐, 플루오로카본 또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만을 함유하는 오가노실리콘 화합물은 대기 산소의 존재 하에서도 높은 온도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이러한 변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변색 현상은 확산 반사를 기본으로 하는 광학 측정 기술을 사용한 반사율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다. 실리카의 반사율이 94% 이상인 경우, 실리카 충전된 실리콘 고무 화합물은 순수한 백색을 나타낸다. 실리카 및 실리콘 고무의 굴절 계수가 서로 밀접하기 때문에, 실리카 충전재의 매우 작은 불순물 및 변색도 실리콘 고무 내에서 명확하게 눈에 띄게 된다. 이미 실리콘 고무의 현저한 변색을 유도하는 93%의 반사율은, 혼입 전에 실리카 분말이 관찰자에게 순백색으로 보인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나안(naked eye)으로 관찰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소수성 침강 실리카는 실리코 고무 제형에서 5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를 수득하기 위해 경화시킬 수 있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TV 오가노폴리실록산 탄성중합체의 경우, 50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오가노폴리실록산, 본 발명의 소수성 침강 실리카, 가교결합제 및 가교결합 촉매에 더불어, 탄성중합체로 경화시킬 수 있는 조성물은, 탄성중합체로 경화시킬 수 있는 조성물 중에 통상적으로, 흔히 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는 50m2/g 이하의 표면적을 갖는 충전재(예: 석영 가루, 규조토), 비처리 발열성 실리카, 유기 수지(예: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분말,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지), 섬유상 충전재(예: 석면, 유리 섬유), 유기 염료, 가용성 안료, 방향제, 부식 억제제, 물에 대해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제제 뿐만 아니라, 아세트산 무수물, 경화 지연제(예: 벤조트리아졸) 및 가소제(예: 트리메틸실록시-말단 차단된 디메틸폴리실록산)이다.
본 발명의 소수성 침강 실리카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인용된 조합은 탁월한 강화 충전재를 발생시킨다. 공지된 침강 실리카보다 더 낮은 평형 수분 함량은 예를 들면, 공지된 함수 침강 실리카의 사용과 비교하여, 대기압에서 공극이 없는 가황화물을 제조하는 가황화 공정에 효과적이다. 최적화된 pH 및 낮은 DBP 수는 롤러-연화 시간의 상당한 감소를 유도한다. 낮은 수분 함량과 조합된 낮은 전해질 함량은 결국 가황화물 내의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유도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의도된다.
실시예 :
규산염 출발 물질로서, 매우 낮은 실란올 그룹 밀도, 즉 낮은 알칼리 소비/BET 표면적 비율, 대략적으로 동일한 BET 표면적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CTAB 표면적 및 높은 수준의 백색도 및 순도를 갖는 침강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바람직하다.
기재 실리카의 제조
물 50.0m3을 반응 용기에 충전시킨다. 서서히, 규산나트륨 용액 9.2m3및 H2SO40.9m3을 교반하면서 가하여 초기 충전시키고, 첨가동안 혼합물의 염기성 pH를 유지시킨다. 규산나트륨 및 H2SO4의 첨가가 끝난 후, 생성된 현탁액의 pH는 염기성 범위 내이다. 현탁액을 산성화시키고, 여과하고, 고체 생성물을 탈이온수로 세척한다. 친수성 기본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촉진된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시킬 수 있다. 아래의 데이터는 수득된 무수 침강 실리카에 대한 것이다.
BET 표면적[m2/g]150-170
CTAB 표면적[m2/g]150-170
물질을 기준으로 하는 발열 손실
105℃에서 2시간 동안 건조(DIN 55921)[%]3±0.5
pH 5%(메탄올/수용액)(DIN 53200)6-7
전도율(5% 수성 분산액)[μS]< 150
태핑 밀도> 250g/L
기재 실리카 및 폴리실록산을 정의된 탄소 함량이 수득될 때까지 혼합한다; 즉, 혼합 비율은 요구되는 탄소 함량을 세팅하기 위한 산술 비율의 함수이다.
1. 측정 기술
1.1 메탄올 습윤성
실리카의 표면을 일반적으로 물로 습윤되지 않는 비가수분해성 유기 그룹으로 개질시킨다.
그러나, 이들 소수성 실리카는 메탄올/물 혼합물에 의해 습윤된다. 이러한 혼합물중의 메탄올의 분획(중량%로 나타냄)은 개질된 실리카의 소수성의 척도이다. 높은 메탄올 분획은 물질이 더욱 소수성화됨을 나타낸다.
방법:
각각 200mg의 소수성 실리카 또는 규산염 샘플을 각각 15㎖ 용량의 원심분리 튜브에 칭량하고, 각각의 튜브를 상승된 메탄올 농도의 메탄올/물 혼합물 8㎖로 충전시킨다. 혼합물의 메탄올 농도는 예상되는 메탄올 습윤성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원심분리 튜브를 단단히 봉인한 다음, 격렬하게 교반한다(10회의 상하 운동). 습윤된 실리카/규산염 분획을 분리하기 위하여, 튜브를 25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침전물을 형성하는 습윤된 분획의 용적은 원심분리 튜브의 스케일에 따라 판독될 수 있다. 그래프 상에서, 침전물 용적은 메탄올/물 혼합물 농도에 대해 플로팅된다. 이들 각각의 점은 분석 하에서 샘플의 소수성 정도를 특징화 하는 곡선의 위치 및 경사를 생성한다.
장치:
정밀 저울
원심분리기
원심분리 튜브(눈금)
디스핀셋
1.2 DBP 흡수도
침강 실리카의 흡수력의 척도인 DBP 흡수도(DBP 수)는 하기와 같이 측정된다:
디부틸 프탈레이트 수를 브라벤더 플라스토그래피(Brabender plastograph)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DBP 수는 액체에 대한 분말상 생성물의 흡수력에 대한 척도이다. 흡수력은 수분 함량, 입자 크기 및 분석되는 물질의 양에 따른다.
장치 및 시약
플로터가 장착된 브라벤더 플라스토그래피
메트로(Metrohm)사의 Multi-Dosimat E 415 (50 1)
디부틸 프탈레이트
방법
실리카 12.5g을 브라벤더 플라스토그래피의 혼련기 중으로 도입한다. 연속적으로 혼합(혼련기 패들 속도 125rpm)하면서, 디부틸 프탈레이트를 4㎖/분의 속도로 혼합물중에 공급한다. 혼입에 필요한 힘은 작다. 측정의 마지막에서, 혼합물은 유리 유동성이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당해 스케일에 지시된 요구되는 힘이 증가함을 입증한다. 스케일이 300으로 움직이는 경우, DBP 측정은 자동적으로 중단된다.
평가
DBP 밀도는 1.047g/㎖이다. DBP 흡수도는 무수의 건조 물질을 기준으로 한다. 비교적 높은 수분 함량의 침강 실리카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 실리카가 DBP 수를 측정하기 전에 건조되지 않으면 하기 표를 사용하여 값을 교정해야 한다.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수도에 대한 교정 표(무수)
수% 수%
수% .0 .2 .4 .6 .8
0 0 2 4 5 7
1 9 10 12 13 15
2 16 18 19 20 22
3 23 24 26 27 28
4 28 29 29 30 31
5 31 32 32 33 33
6 34 34 35 35 36
7 36 37 38 38 39
8 39 40 40 41 41
9 42 43 43 44 44
10 45 45 46 46 47
물 함량에 상응하는 교정 값은 실험적으로 측정된 DBP 값에 첨가된다; 예를 들면, 5.8%의 수 함량은 DBP 흡수도에 대해 100g 당 33g이 추가됨을 의미한다.
1.3 입자 크기
입자 크기는 초음파 처리 후에 에탄올 중에서 맬버른 마스터사이저(Malvern Mastersizer)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측정은 자동적으로 수행되며, 용적 분포로부터 평균 입자 크기 d4.3을 제공한다.
1.4 DIN 5033에 따르는 삼자격치(tristimulus value) Rγ의 측정
적용
Datacolor 3890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실리카, 규산염 및 제올라이트(분말 현탁액)에 대한 삼자격치 Rγ를 측정한다.
분석 방법:
측정 전에, 샘플을 8 내지 15㎛의 평균 입자 크기로 분쇄한 다음, 분말 압축기를 사용하여 정제로 압축한다. 요구되는 양은 분말의 분말도에 따른다. 도입되는 분말의 양은 압축 종료의 스레드(thread)가 마지막에 도달하기 위한 양이다.
샘플을 측정기에 놓고, 조절 컴퓨터의 메뉴로부터 미백 측정 Rγ및 R460을 선택한다. 샘플 지정을 완료한 후, 측정을 시작하기 위하여 스페이스 키를 작동한다.
메모리 코드를 기재한 다음, 측정을 인쇄한다.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값을 자동적으로 산출한다:
위의 수학식 1에서,
Y(λ)는 표준 분포 상수이며,
S(λ)는 광원의 상대적 스펙트럼 방사 분포도이고,
R(λ)는 샘플의 스펙트럼 반사율이다.
1.5 실리카, 규산염 및 소수성 실리카의 시어 수 측정
1. 적용
pH 6 내지 pH 9의 범위에서 0.1N KOH를 사용하여 적정함으로써 유리 OH 그룹을 검출할 수 있다.
2. 장치
2.1 0.01g까지 정확한 정밀 측정기
2.2 10㎖ 및 20㎖ 뷰렛, 하나의 pH 전극 및 하나의 펌프(예: NOUBAG 펌프, type SP 40/6)가 장착된 메틀러(Mettler)사의 Memotitrator DL 70
2.3 프린터
2.4 250㎖ 적정 용기(제조원: 메틀러)
2.5 울트라-터랙스(Ultra-Turrax) 8000-24000 rpm
2.6 자동 온도 조절 수욕
2.7 메탄올 및 탈이온수를 측정하기 위한 10 내지 100㎖의 디스펜서 2개
2.8 탈이온수를 측정하기 위한 10 내지 50㎖의 디스펜서 1개
2.9 100㎖ 측정 실린더 1개
2.10 IKA 유니버셜 밀(universal mill) M 20
3. 시약
3.1 메탄올 p.A.
3.2 염화나트륨 용액(탈이온수 1000㎖중의 NaCl 250g p.A.)
3.3 0.1N 염산
3.4 0.1N 수산화칼륨 용액
3.5 탈이온수
3.6 pH 7 및 pH 9의 완충 용액
4. 방법
4.1샘플 제조
샘플 약 10g을 IKA 유니버셜 밀 M 20에서 60초 동안 연마한다.
주요점: 매우 미세하게 연마된 샘플만이 재현가능한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들 조건은 면밀하게 관찰되어야 한다.
4.2 분석 방법
4.2.14.1항에 따라 제조된 샘플 2.50g을 250㎖ 들이 적정 용기로 칭량한다.
4.2.2메탄올 p.A. 60㎖를 가한다.
4.2.3샘플을 완전히 습윤시킨 후, 탈이온수 40㎖를 가한다.
4.2.4울트라-터랙스를 사용하여 약 18000rpm에서 30초 동안 분산시킨다.
4.2.5 용기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샘플의 입자를 헹구고, 탈이온수 100㎖를 사용하여 현탁액으로 교반한다.
4.2.6자동 온도 조절 수욕에서 25℃로 샘플을 컨디셔닝시킨다(20분 이상)
4.2.7pH 7 및 pH 9의 완충 용액을 사용하여 pH 전극을 측정한다.
4.2.8샘플을 방법 S 911에 따라 Memotitrator DL 70에서 적정한다. 적정 과정이 불확실한 경우, 이어서 중복 측정을 수행한다.
결과를 하기와 같이 인쇄한다:
pH
V1㎖/5g
V2㎖/5g
5. 계산
V1= 물질 5g 당 pH 6까지 필요한 KOH(㎖) 또는 HCl(㎖)
V2= 물질 5g 당 pH 9까지 소비된 KOH(㎖)
E = 초기 질량
원리:
먼저 모든 현탁액의 초기 pH를 측정한 다음, 결과에 따라 KOH 또는 HCl을 사용하여 pH를 6으로 조정한다. 이어서, NaCl 용액 20㎖를 계량한다. 이어서, 0.1N KOH를 사용하여 pH 9까지 적정을 계속한다.
시어 수
Si-OH + NaCl →Si - ONa + HCl
HCl + KOH→KCl + H2O
1.6 DIN/ISO 787/11에 따르는 탬프 밀도(tamped density)의 측정
방법:
분석된 샘플 10g을 정밀 저울 상에서 0.01g까지 정확하게 칭량하고, 교반 용적계의 250㎖ 눈금 유리 실린더로 도입한다. 1250 교반한 후, 태핑된 물질의 용적을 판독한다.
계산:
태핑 밀도:g/ℓ=E·1000/I
E = 초기 질량(g)
I = 용적(㎖)
장치:
정밀 저울
교반 용적계제조원: 엥겔스만(Engelsmann), 루드비히샤펜(Ludwigshafen)
250㎖ 눈금 유리 실린더제조원: 엥겔스만, 루드비히샤펜
주의:
특정한 경우에서, 물질을 칭량하기 전에 500㎛ 체를 통해 통과시키거나, 초기 질량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시험 기록에서 명기해야 한다.
1.7 CTAB 표면적의 측정
1. 적용
당해 방법은 "외부" 표면상의 CTAB(N-세틸-N,N,N-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를 기초로 하며, "고무-활성 표면"으로서 고려된다.
CTAB의 흡수도는 교반 및 초음파 처리를 하면서 pH 9에서 수용액 중에 수행된다. 과량의 비흡수 CTAB를 적정프로세서를 사용하여 SDSS(디옥틸나트륨 설포숙시네이트 용액)을 사용한 역-적정에 의해 측정되며, 용액이 최고로 흐려짐에 의해 수득되는 종료점에서 포토트로드(phototrode)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계산을 위하여, CTAB 분자 당 0.35nm2의 점유를 가정한다.
측정은 ASTM 3765에 따라 수행된다.
각각의 일련의 측정을 사용하여, VN 3형 표준 샘플을 마찬가지로 시험한다.
2. 반응식(역-적정)
R1-SO3 -++N(CH3)3R2→R1SO3N(CH3)3R2
NDSS CTAB
3. 장치:
3.1밀(예: IKA, M 20형)
3.2 분석 저울
3.3 자기 교반기
3.4자기 교반기 로드
3.5적정프로세서[예: 메틀러(METTLER)사 제조, DL 55형 또는 DL 70형, pH 전극(에: 메틀러사 제조, DG 111형), 포토트로드(예: 메틀러사 제조, DP 550형), SDSS 용액용 20㎖ 용적의 뷰렛 및 0.1N KOH용 10㎖ 용적의 뷰렛이 장착됨]
3.6 100㎖ 적정 비이커,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
3.7 유리 적정 용기, 150㎖ 용적, 스냅-온(snap-on) 덮개로 밀착 가능.
3.8 원뿔형 플라스크, 100㎖ 용적, 스크류 덮개 또는 NS 마개로 밀착 가능.
3.9초음파 배치
3.10압력 여과 장치
3.11셀룰로즈 니트레이트의 멤브레인 여과기, 공극 크기 0.1㎛, Φ47mm[예: 사토리우스(Sartorius)형 113 58]
3.12피펫 5㎖ 및 100㎖
4. 시약:
4.1수산화칼륨 용액, 0.1N
4.2CTAB 용액, 0.0151mol/ℓ
CTAB 5.50g을 유리 비이커 중에서 교반(자기 교반기)하면서 따뜻한(약 30 내지 40℃) 탈염수 약 800㎖중에 용해시키고, 1ℓ눈금 플라스크로 옮기고, 23 내지 25℃로 냉각한 후에 탈염수로 표시하고, 저장병으로 옮긴다.
주의점:
CTAB가 23℃ 이하에서 결정화되기 때문에, 용액을 저장하고, 측정은 23℃ 이상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용액은 사용하기 10 내지 14일 전에 제조되어야 한다.
4.3SDSS 용액 0.00426mol/ℓ
유리 비이커 중에서 SDSS(디옥틸나트륨 설포숙시네이트) 1.895g를 탈염수 약 800㎖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모든 물질이 용해될 때까지 자기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한다. 이어서, 용액을 1ℓ눈금 플라스크로 옮기고, 탈염수로 표시하고, 저장병으로 옮긴다.
SDSS 용액은 용이하게 생분해된다. 따라서, 제조된 용액을 잘 밀봉해야만 하며, 3달 이상 저장해서는 않된다.
CTAB 용액의 농도는 정확한 것으로 가정한다: 0.0151mol/ℓ
SDSS 용액의 농도는 "블랭크(blank)" 적정에 의해 매일 측정한다.
5. 방법:
5.1블랭크 측정(SDSS 용액의 농도 측정)
5.2 CTAB 5㎖에 대한 SDSS 용액의 소비는 각각 일련의 측정 전에 1일 당 1회(블랭크 용적) 체크한다.
5.1.2CTAB 용액 5㎖를 적정 비이커중에 정확하게 피펫팅한다.
5.1.3탈염수 약 50㎖를 가한다.
5.1.4적정이 종료될 때까지 적정프로세서로 적정한다.
각각의 블랭크 적정은 중복 측정으로서 수행된다: 이 경우에서 값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결과가 재현될 수 있을 때까지 추가의 적정을 수행해야 한다.
5.2흡수
5.2.1과립화되고 거친 샘플을 밀중에서 연마한다(밀의 교반 블레이드는 덮개로 씌워져야 한다)
5.2.2연마된 샘플을 분석 저울 상에서 0.1mg까지 정확하게 칭량한다.
5.2.3분량적으로 칭량된 샘플을 자기 교반기 로드가 장착된 150㎖ 들이 적정 용기로 옮긴다.
5.2.4CTAB 용액 100㎖를 정확하게 가하고, 덮개로 적정 용기를 밀봉시키고, 자기 교반기 상에서 15분 동안 교반한다.
5.2.5적정프로세서 상에서 적정 용기를 회전시키고, KON(0.1mol/ℓ)를 사용하여 현탁액의 pH를 9.0 ±0.05로 조정한다.
5.2.6초음파 배치에서 현탁액을 4분 동안 처리한다.
5.2.7멤브레인 필터가 장착된 압력 여과기로 여과한다.
흡수 동안, 온도는 23℃ 내지 25℃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한다.
5.3적정
5.3.1여과물(5.2.7항 참조) 5㎖를 100㎖ 적정 비이커로 피펫팅하고, 탈염수를 사용하여 약 50㎖로 만든다.
5.3.2적정기 상에서 적정 비이커를 회전시킨다.
5.3.3정의된 방법에 따라 SDSS 용액으로 흐림도가 최고에 달할 때까지 적정을 수행한다.
각각의 적정은 중복 측정으로서 수행된다: 이 경우에서 값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결과가 재현될 수 있을 때까지 추가의 적정을 수행해야 한다.
6. 계산:
V1= 블랭크 샘플(CTAB 5㎖가 사용되는 경우의 SDSS(㎖))
V2= 소비(여과물 5㎖가 사용되는 경우의 SDSS(㎖))
E = CTAB초기 질량(g)/ℓ(5.5g)
578.435 = CTAB 1g의 점유(m2)
측정은 일반적으로 무수 물질을 기준으로 교정된다:
표준 샘플에 대해 측정된 값이 이론적인 값과 ±3m2/g 이상 상이한 경우, 일련의 전체 측정을 반복해야 한다.
7. 주석
참조 1문헌에서, SDSS(디옥틸나트륨 설포숙시네이트)는 에어로졸(Aerosol) OT로도 언급된다.
익스트루실(Extrusil)과 같은 pH 9 이상의 샘플에서, 산이 표면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pH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한다.
적정을 개시하기 전에, 포토트로드를 100%의 투명도에 상응하는 1000mV로 세팅한다.
참조 3CTAB 용액의 예정된 상이한 용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규칙적인 측정을 제공하는 디스펜서 또는 피스톤-스트로크 피펫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 4또한, 4.1항 및 4.3항에 지시된 용액은 시판 용액을 구입할 수도 있다. 제조원은 뒤스부르크 소재의 크라프트(Kraft)사이다.
전화: 0203-58-3025
- 주문 번호: 6056.4 CTAB 용액 0.0151mol/ℓ
- 주문 번호: 6057.4 SDSS 용액 0.00423mol/ℓ(2.5ℓ유리병)
참조 5.2.4교반 후에도 습윤되지 않는 소수성 샘플은 이들을 습윤시키기 위하여 pH를 조정하기 전에 울트라-터랙스를 사용하여 조심스럽게 분산시킨다.
참조 5.2.5pH를 조정하기 위하여, 적정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정은 종점(endpoint) 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참조 5.2.7여과를 위하여, 기체 병으로부터의 질소를 사용한다: 4 내지 6bar의 주입 압력으로 세팅된다.
참조 6일련의 측정을 반복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특히 pH를 세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pH 미터를 재측정해야 한다는 것을 주의한다.
1.8 수증기 흡수의 측정(수증기 등온선)
수증기 흡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샘플을 일정한 온도(30℃)에서 상이한 상대 습도에 노출시킨다. 항량의 설정은 대기한다.
개시에서 완전한 건조 공기(즉, 공기 습도가 대략 0)를 사용한다. 평형 중량에 도달한 후, 이러한 중량을 참조점으로 선택한다; 달리 말하면, 높은 공기 습도에서의 수증기 흡수는 완전한 건조 공기중의 샘플 중량(평형화 설정에 따르는)과 습한 공기중의 샘플 중량(평형화 설정에 따르는) 사이의 차이점으로서 표현된다. 공기 습도는 10% 범위 내에서 다양하다.
이력 현상의 효과를 제외시키기 위하여, 수 흡수와 수증기 탈착을 모두 측정한다.
실시예 1
실리콘 오일[예를 들면, 다우 코닝사의 200 FLUID 50 CS, 탄소 함량 약 33%, 50mPas의 점도]을 사용하는 기재 실리카의 건조 및 피복은 스핀-플래쉬 건조기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어서, 실리카를 메탄올 습윤성이 20% 이상이 될 때까지 컨디셔닝시킨다(실온에서 48시간 이상 숙성).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를 표 2에 기록한다.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
% 5.2
pH 6.1
전도율 μS 41
N2표면적 m2/g 84
CTAB 표면적 m2/g 132
태핑 필도 g/ℓ 317
Alpine SR > 180㎛ % 63
반사율 % 95.9
C 함량 % 4.12
메탄올 습윤성 % > 20
실시예 2
게리케(Gericke) 혼합기 중에서 기재 실리카를 실리콘 오일[디메틸폴리실록산, 50mPas, 다우 코닝사의 200 FLUID 50 CS, 탄소 함량 약 33%]를 사용하여 1:1의 질량비로 피복시킨다. 생성된 분말을 105℃에서 1시간 동안 컨디셔닝시킨다. 물에 습윤 가능하지만, 실리카와 실리콘 오일이 물 중에서 더이상 서로 분리되지 않는 물질이 생성된다. 이러한 마스터배치와 기재 실리카의 필터케이크와의 혼합은 친수성 필터케이크로부터 더이상 실리콘 오일이 분리되지 않는 안정한 제형을 생성한다. 따라서, 소수성 마스터배치와 친수성 필터케이크는 함께 스핀-플래쉬 건조기로 이동되어 혼합되고, 건조된다. 디메틸실록산-처리된 실리카를 메탄올 습윤성이 20% 이상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48시간 이상(약 4일) 숙성시킴으로써 컨디셔닝한다.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를 표 3에 나타낸다.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
% 3.4
pH 6.3
전도율 μS 100
N2표면적 m2/g 74
CTAB 표면적 m2/g 119
DBP 흡수도 g/100g 198
태핑 밀도 g/ℓ 323
반사율 % 95.9
C 함량 % 5.03
메탄올 습윤성 % > 20
실시예 3
스핀-플래쉬 건조기에서 실리카(필터케이크 형태) 상에 실리콘 오일[50mPas의 점도, 메틸-말단화, 다우 코닝사의 200 FLUID 50 CS, 탄소 함량 약 33%]을 초기에 분포시키고, 동시에 건조시킨다. 디메틸실록산 처리된 실리카를 메탄올 습윤성이 20% 이상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48시간(약 3일) 동안 숙성시킴으로써 컨디셔닝시킨다.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를 표 4에 나타낸다.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
% 5.2
pH 6.1
전도율 μS 41
N2표면적 m2/g 84
CTAB 표면적 m2/g 132
태핑 밀도 g/ℓ 317
반사율 % 95.9
C 함량 % 4.12
메탄올 습윤성 % > 20
실시예 4
게리케 혼합기 중에서 기재 실리카를 실리콘 오일[디메틸폴리실록산, 50mPas, 트리메틸실릴 그룹으로 말단화, 다우 코닝사의 200 FLUID 50 CS, 탄소 함량 약 33%]를 사용하여 1:1의 질량비로 피복시킨다. 생성된 분말을 105℃에서 1시간 동안 컨디셔닝시킨다. 물에 습윤 가능하지만, 실리카와 실리콘 오일이 물 중에서 더이상 서로 분리되지 않는 물질이 생성된다. 이러한 마스터배치(즉, 50% 실리카와 50% 실리콘 오일)와 수성 실리카 분산액과의 혼합은 실리카로부터 더이상 실리콘 오일이 분리되지 않는 안정한 제형을 생성한다. 전형적으로 전체 혼합물은 실리콘 오일 1중량1ㅜ, 실리카 약 4 내지 8중량부 및 물 20 내지 60중량부를 함유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마스터배치(즉, 50% 실리카 및 50% 실리콘 오일)약 14 내지 16배의 필터케이크 및 11 내지 13배의 추가의 물과 완전히 혼합한다. 분산액의 분석 데이터를 표 5에 나타내고, 상응하는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를 표 6에 나타낸다.
현탁액 데이터
고체 함량 % 12.8
pH 5.2
전도율 μS 382
점도 mPas 183
현탁액을 분무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다. 디메틸실록산-처리된 실리카를 메탄올의 습윤성이 20% 이상이 될 때까지 48시간(약 3일) 동안 실온에서 숙성시킴으로써 컨디셔닝한다.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를 표 6에 나타낸다.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
발화 손실율 % 12.4
% 2.2
pH 6.4
전도율 μS 135
N2표면적 m2/g 80
CTAB 표면적 m2/g 131
DBP 흡수도 g/100g 236
태핑 밀도 g/ℓ 256
반사율 % 94.5
C 함량 % 4.21
메탄올 습윤성 % > 20%
실시예 5
실리콘 오일[메틸-말단화된 폴리디메틸실록산, 50mPas, 다우 코닝사의 200 FLUID 50 CS, 탄소 함량 약 33%]을 기재 실리카(고체 함량 12.8%)의 현탁액중에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현탁시킨다. 실리카 현탁액 중의 실리콘 오일의 분포를 즉시 분무 건조기를 사용함으로써 보존시킨다. 디메틸실록산-처리된 실리카를 메탄올 습윤성이 20% 이상이 될 때까지 48시간(약 3일) 동안 실온에서 숙성시킴으로써 컨디셔닝시킨다.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를 표 7에 나타낸다.
컨디셔닝된 실리카의 분석 데이터
발화 손실율 % 13.0
% 2.2
pH 6.5
전도율 μS 100
N2표면적 m2/g 85
CTAB 표면적 m2/g 137
DBP 흡수도 g/100g 253
태핑 밀도 g/ℓ 270
반사율 % 94.2
C 함량 % 4.78
메탄올 습윤성 % > 20%
본 발명은 매우 높은 백색도를 갖는 소수성 비열처리 실리카를 제공한다.

Claims (25)

  1. 아래의 특성들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침강 실리카.
    - 탄소 함량1.0 내지 8.0%
    - 메탄올 습윤성 20 내지 55%
    - 반사율 > 94%
    - BET/CTAB 비율≤1
    - DBP 흡수도< 250g/100g
    - BET 표면적50 내지 110m2/g
    - CTAB 표면적100 내지 150m2/g
    - 시어 수(Sears number)< 13
  2. 제1항에 있어서, 평균 입자 크기가 2 내지 30㎛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pH가 5 내지 9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 함량이 7%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율이 200μS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화 손실율이 3 내지 14%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7.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와 침강 실리카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a) 및
    혼합물을 0.5 내지 72시간 동안 10 내지 150℃에서 컨디셔닝시키는 단계(b)를 포함하는, 소수성 침강 실리카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단계(a)가 수분 함량 1 내지 80%의 침강 실리카에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첨가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단계(a)가 수분 함량 70 내지 99%의 침강 실리카에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를 첨가한 다음, 물로부터 고체를 분리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가 침강 실리카 또는 함수 침강 실리카와 오가노폴리실록산 유도체를 스핀-플래쉬 건조기에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가 침강 실리카와 단계(a)와 단계(b)에 따라 수득된 예비 컨디셔닝된 침강 실리카를 혼합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와 단계(b) 중의 하나가 연속적으로 수회 수행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와 단계(b)가 연속적으로 수회 수행되는 방법.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b)가 0.5 내지 2시간 동안 100 내지 150℃에서 열처리시킴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15. 제7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b)가 실온에서 48시간 이상 동안 저장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16. 실리콘 고무 제형에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실리카의 용도.
  17. 소포제에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실리카의 용도.
  18. 자유 유동 보조제에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실리카의 용도.
  19. 중합체 중의 충전재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실리카의 용도.
  20. 탄성중합체 혼합물, 타이어 또는 밀봉제에서의 충전재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실리카의 용도.
  21. 캐리어 물질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실리카의 용도.
  22. 에멀젼화 보조제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실리카의 용도.
  23. 차단 방지 보조제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실리카의 용도.
  24. 안료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실리카의 용도.
  25. 살충제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실리카의 용도.
KR1020020045799A 2001-08-04 2002-08-02 백색도가 우수하고 열처리되지 않은 소수성 침강 실리카 KR100923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8492.0 2001-08-04
DE10138492A DE10138492A1 (de) 2001-08-04 2001-08-04 Hydrophobe, nicht getemperte Fällungskieselsäure mit hohem Weißgr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822A true KR20030012822A (ko) 2003-02-12
KR100923647B1 KR100923647B1 (ko) 2009-10-28

Family

ID=769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799A KR100923647B1 (ko) 2001-08-04 2002-08-02 백색도가 우수하고 열처리되지 않은 소수성 침강 실리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99951B2 (ko)
EP (1) EP1281733B1 (ko)
JP (1) JP4440520B2 (ko)
KR (1) KR100923647B1 (ko)
CN (1) CN1405085A (ko)
AT (1) ATE368708T1 (ko)
BR (1) BR0202882A (ko)
DE (2) DE10138492A1 (ko)
ES (1) ES2290216T3 (ko)
TW (1) TWI2969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8490A1 (de) * 2001-08-04 2003-02-13 Degussa Hydrophobe Fällungskieselsäure mit hohem Weißgrad und extrem niedriger Feuchtigkeitsaufnahme
JP2003155383A (ja) * 2001-11-21 2003-05-27 Toyo Tire & Rubber Co Ltd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DE10203500A1 (de) 2002-01-30 2003-08-07 Degussa Raumtemperaturvernetzende Einkomponenten-Silikonkautschukformulierungen mit hydrophoben Kieselsäuren
WO2003106339A1 (de) * 2002-06-14 2003-12-24 Degussa Ag Aluminium-haltige fällungskieselsäure mit einstellbarem bet/ctab-verhältnis
US8597425B2 (en) * 2003-01-22 2013-12-03 Evonik Degussa Gmbh Highly dispersible silica for using in rubber
PL210478B1 (pl) * 2003-01-22 2012-01-31 Degussa Strącane kwasy krzemowe, sposób wytwarzania strącanych kwasów krzemowych, ich zastosowanie oraz wulkanizowane mieszanki gumowe albo kauczuki
CN100363251C (zh) * 2003-02-18 2008-01-23 财团法人理工学振兴会 聚合物包覆金属氧化物及其制造方法
ATE368004T1 (de) 2003-05-14 2007-08-15 Degussa Oberflächenmodifizierte fällungskieselsäuren
DE102004012090A1 (de) * 2003-05-14 2004-12-09 Degussa Ag Oberflächenmodifizierte Fällungskieselsäuren
DE10337198A1 (de) * 2003-08-13 2005-03-17 Degussa Ag Träger auf Basis von Granulaten, die aus pyrogen hergestelltem Siliciumdioxiden hergestellt sind
JP4524565B2 (ja) * 2004-01-22 2010-08-1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湿式シリカ含有シリコーンゴム硬化物の発泡を抑制する方法
DE102004005409A1 (de) * 2004-02-03 2005-08-18 Degussa Ag Hydrophile Fällungskieselsäure für Entschäumerformulierungen
DE102004005411A1 (de) * 2004-02-03 2005-08-18 Degussa Ag Hydrophobe Fällungskieselsäure für Entschäumerformulierungen
DE102004005222A1 (de) * 2004-02-03 2005-08-18 Degussa Ag Silikonkautschuk
DE102004010755A1 (de) * 2004-03-05 2005-09-22 Degussa Ag Silikonkautschuk
DE102004029074A1 (de) * 2004-06-16 2005-12-29 Degussa Ag Lackformulierung zur Verbesserung der Oberflächeneigenschaften
DE102004029073A1 (de) * 2004-06-16 2005-12-29 Degussa Ag Lackformulierung mit verbesserten rheologischen Eigenschaften
DE102004029069A1 (de) 2004-06-16 2005-12-29 Degussa Ag Oberflächenmodifizierte Silicagele
FR2882272B1 (fr) * 2005-02-22 2007-05-18 Rincent Btp Services Soc En Co Procede de traitement de surface de granulats a base d'elastomere
JP4905652B2 (ja) * 2005-05-13 2012-03-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室温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US7276156B2 (en) * 2005-05-26 2007-10-02 Tony Mason Lockerman Storm drain filter
DE102005043202A1 (de) * 2005-09-09 2007-03-15 Degussa Ag Fällungskieselsäuren mit besonderer Porengrößenverteilung
DE102005043201A1 (de) * 2005-09-09 2007-03-15 Degussa Ag Fällungskieselsäuren mit einer besonderen Porengrößenverteilung
US7767180B2 (en) 2006-05-26 2010-08-03 Degussa Gmbh Precipitated silicas having special surface properties
DE102006048850A1 (de) * 2006-10-16 2008-04-17 Evonik Degussa Gmbh Amorphe submicron Partikel
DE102006024590A1 (de) * 2006-05-26 2007-11-29 Degussa Gmbh Hydrophile Kieselsäure für Dichtungsmassen
US8435474B2 (en) * 2006-09-15 2013-05-07 Cabot Corporation Surface-treated metal oxide particles
US8455165B2 (en) * 2006-09-15 2013-06-04 Cabot Corporation Cyclic-treated metal oxide
US8202502B2 (en) 2006-09-15 2012-06-19 Cabot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hydrophobic silica
US20080070146A1 (en) 2006-09-15 2008-03-20 Cabot Corporation Hydrophobic-treated metal oxide
DE102007025685A1 (de) * 2007-06-01 2008-12-04 Evonik Degussa Gmbh RTV-Zweikomponenten-Silikonkautschuk
DE102007052269A1 (de) * 2007-11-02 2009-05-07 Evonik Degussa Gmbh Fällungskieselsäuren für lagerstabile RTV-1 Siliconkautschukformulierungen ohne Stabilisator
US7985292B2 (en) 2007-11-26 2011-07-26 Evonik Degussa Corporation Precipitated silica for thickening and creating thixotropic behavior in liquid systems
CN101904802B (zh) 2009-06-03 2015-03-11 赢创德固赛有限公司 油包水乳液体系及其制备方法
DE102009045109A1 (de) * 2009-09-29 2011-03-31 Evonik Degussa Gmbh Oberflächenmodifizierte Semi-Gele
DE102009045104A1 (de) * 2009-09-29 2011-03-31 Evonik Degussa Gmbh Neuartige Mattierungsmittel für UV-Lacke
US20110244382A1 (en) 2010-04-06 2011-10-06 Christopher Alyson M Hydrophobic silica particl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DE102010029945A1 (de) * 2010-06-10 2011-12-15 Evonik Degussa Gmbh Neuartige Mattierungsmittel für UV-Überdrucklacke
WO2013148241A1 (en) 2012-03-26 2013-10-03 Cabot Corporation Treated fumed silica
US20140271900A1 (en) * 2013-03-15 2014-09-18 J.M. Huber Corporation High Cleaning Silica with Low Abrasi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509478B1 (ko) * 2013-07-22 2015-04-06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수분 함량이 조절된 실리카를 포함하는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JP6918825B2 (ja) * 2016-07-27 2021-08-11 ワッカー ケミ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Wacker Chemie AG 改質沈降シリカの製造方法および改質沈降シリカを含有する組成物
JP6884574B2 (ja) * 2016-12-28 2021-06-0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粉体粒子表面の改質方法
WO2018153493A1 (de) * 2017-02-27 2018-08-30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hydrophober silica granulate
JP6778662B2 (ja) * 2017-08-01 2020-11-0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造粒処理シリカの製造方法
EP3653673A1 (en) * 2018-11-16 2020-05-20 Rhodia Operations Organosilane-modified precipitated silica
US11597802B2 (en) 2020-02-20 2023-03-07 Dow Silicones Corporation Foam control composition
DE102020208510A1 (de) 2020-07-07 2022-01-13 Evonik Operations Gmbh Modifizierte Kieselsäuren, Verfahren zur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3453A (en) * 1954-12-14 1959-05-13 Columbia Southern Chem Corp Silica pigments
US3334062A (en) * 1965-03-01 1967-08-01 Dow Corning Process for rendering inorganic powders hydrophobic
US3830738A (en) * 1970-02-16 1974-08-20 Ici Ltd Surface treatment of particulate solids
DE2435860B2 (de) 1974-07-25 1977-10-20 Deutsche Gold- U. Silber-Scheideanstalt, Vorm. Roessler,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inteiligen hydrophoben kieselsaeuren oder silicaten
DE2513608C2 (de) 1975-03-27 1982-08-05 Degussa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ydrophobierung von Kieselsäuren und Silikaten mit Organosilanen
DE2628975A1 (de) 1976-06-28 1977-12-29 Degussa Faellungskieselsaeure
US4344858A (en) 1977-03-23 1982-08-17 Kalcor Coatings Company, Inc. Anti-foaming compositions
DE2729244A1 (de) 1977-06-29 1979-01-04 Degussa Faellungskieselsaeure
FR2471947A1 (fr) * 1979-12-20 1981-06-26 Rhone Poulenc Ind Silice de precipitation, notamment utilisable comme charge renforcante
US4377493A (en) 1981-06-26 1983-03-22 Drew Chemical Corporation Defoa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S636062A (ja) * 1986-06-25 1988-01-12 Toray Silicone Co Ltd シリカ微粉末の表面改質方法
FR2630722B1 (fr) * 1988-04-28 1990-09-07 Rhone Poulenc Chimie Silice de precipitation hydrophobe a proprietes ameliorees
DE3835592A1 (de) * 1988-10-19 1990-04-26 Degussa Insektizide
JPH06191826A (ja) * 1992-12-25 1994-07-12 Mitsui Toatsu Chem Inc 撥水性シリカの製造方法
JPH06316408A (ja) * 1993-05-06 1994-11-15 Nippon Shirika Kogyo Kk 疎水性湿式法合成珪酸の製造方法
WO1995005880A1 (en) 1993-08-20 1995-03-02 Henkel Corporation Defoamer
DE4419234A1 (de) * 1994-06-01 1995-12-07 Wacker Chemie Gmbh Verfahren zur Silylierung von anorganischen Oxiden
JP3534464B2 (ja) * 1994-12-22 2004-06-07 東ソー・シリカ株式会社 部分疎水性化沈降ケイ酸
IN191468B (ko) 1996-03-29 2003-12-06 Degussa
US6191122B1 (en) * 1996-03-29 2001-02-20 DEGUSSA HüLS AKTIENGESELLSCHAFT Partially hydrophobic precipitated silicas
DE19616781A1 (de) * 1996-04-26 1997-11-06 Degussa Silanisierte Kieselsäure
US5959005A (en) * 1996-04-26 1999-09-28 Degussa-Huls Aktiengesellschaft Silanized silica
US5908660A (en) * 1997-09-03 1999-06-01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hydrophobic precipitated silica
DE19828364A1 (de) * 1998-06-25 1999-12-30 Degussa Hydrophobe Fällungskieselsäure
US6184408B1 (en) * 1999-04-28 2001-02-06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ation of hydrophobic precipitated silica
US6736891B1 (en) * 1999-08-19 2004-05-18 Ppg Industries Ohio, Inc. Process for producing hydrophobic particulate inorganic oxides
AU6785900A (en) * 1999-08-19 2001-03-13 Ppg Industries Ohio, Inc. Hydrophobic particulate inorganic oxides and polymeric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99951B2 (en) 2005-05-31
JP2003160327A (ja) 2003-06-03
DE50210583D1 (de) 2007-09-13
TWI296995B (en) 2008-05-21
JP4440520B2 (ja) 2010-03-24
KR100923647B1 (ko) 2009-10-28
EP1281733A1 (de) 2003-02-05
ES2290216T3 (es) 2008-02-16
CN1405085A (zh) 2003-03-26
EP1281733B1 (de) 2007-08-01
BR0202882A (pt) 2003-06-03
ATE368708T1 (de) 2007-08-15
DE10138492A1 (de) 2003-02-13
US20030162881A1 (en)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647B1 (ko) 백색도가 우수하고 열처리되지 않은 소수성 침강 실리카
KR100899294B1 (ko) 흡습성이 매우 낮고 백색도가 높은 소수성 침강 실리카
KR100954969B1 (ko)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실온 가교결합성 일액성 실리콘 고무 조성물
US7074457B2 (en) Process for preparing high-whiteness hydrophobic precipitated silica with ultralow moisture absorption
US6846865B2 (en) Silicone rubber formulations with hydrophobic silicas
DE10200247A1 (de) Silikonkautschukformulierungen mit hydrophoben Kieselsäu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