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780A - 실리콘화합물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실리콘화합물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780A
KR20030007780A KR1020027016277A KR20027016277A KR20030007780A KR 20030007780 A KR20030007780 A KR 20030007780A KR 1020027016277 A KR1020027016277 A KR 1020027016277A KR 20027016277 A KR20027016277 A KR 20027016277A KR 20030007780 A KR20030007780 A KR 2003000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acid
compound
group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347B1 (ko
Inventor
사쿠타코지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6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저융점이고 또한 친수성이며, 유화적성이 우수한, 일반식 R1 aR2 bSiO(4-a-b)/2로 표시됨과 동시에, 융점이 40℃ 이하인 스테롤변성 실리콘화합물 및 상기 실리콘화합물을 배합한 안정성 및 보습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한다.
다만, 일반식중의 R1은,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동종 또는 이종의, 탄소수가 1∼10이고, 1가인 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또는 불소치환 알킬기, R2는 일반식 -(CpH2p)O(CqH2qO)r-X로 표시되는 유기기, X는 스테롤의 수산기를 제외한 1가의 잔기이고, a, b는 각각 1.0 ≤a ≤2.5, 0.001 ≤b ≤1.0, 1.5 ≤a + b ≤2.6을 만족시키는 정수, p는 2∼6의 정수, q는 2∼4의 정수, r은 3∼200의 정수이다.

Description

실리콘화합물 및 화장료{SILICONE COMPOUND AND COSMETIC PREPARATION}
피부 또는 모발의 보습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피지성분의 하나인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등의 스테롤화합물을 배합한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스테롤화합물은, 콜레스테롤을 예로 하면 그 융점이 149℃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고융점 화합물이므로 화장료 조성물로 하기 위해서는 일단 가열용해하여 분산시키거나, 용제를 사용하여 액상화하므로써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용해하여 배합하는 경우에는 열안정성이 부족한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없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액상화하여 배합하는 경우에는, 용제로의 용해성이 부족하므로 저농도 용액으로 밖에 조정할 수 없어서, 한정된 화장료 조성물밖에 얻어질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더욱이,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결정성이 높은 것이 결점이고, 보존중에 스테롤화합물의 결정이 분리, 석출하기 때문에 보존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결정성을 저하시킬 목적으로, 스테롤화합물과 고급지방산을 반응시켜액상 에스테르화합물을 얻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스테르화합물을 화장료에 함유시킨 경우에는,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 끈적임을 생기게 하므로, 관능특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스테롤화합물의 보습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등의 유화 화장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테롤화합물 자신은 물론 이고, 상기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도 친수성이 낮으므로, 유화조성물로 하는 데에는 별도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이 활성제에 기인하는 관능특성의 저하는 피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테롤화합물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결정성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유화기능을 갖는 화합물로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피부의 끈적임을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관능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테롤변성 실리콘화합물도 개발되고 있지만(일본국특개평 4-145097호 공보), 아직 만족할 수 있는 화장료는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결정성이 낮고, 피부로의 끈적임을 부여하지 않으며, 관능특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친수성을 또한 갖는 스테롤 골격 함유 실리콘화합물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저융점이면서 친수성이고, 유화조성물로 하는데 적합한, 스테롤변성 실리콘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안정성 및 보습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저융점의 스테롤변성 실리콘화합물 및 상기 실리콘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정성, 보습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제조용이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식 R1 aR2 bSiO(4-a-b)/2로 표시됨과 동시에, 융점이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이다.
다만, 상기 일반식중의 R1은,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동종 또는 이종의, 탄소수가 1∼10이고, 1가인 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또는 불소치환알킬기, R2는 일반식 -(CpH2p)O(CqH2qO)r-X로 표시되는 유기기, X는 스테롤의 수산기를 제외한 1가의 잔기이다. a, b는 각각 1.0 ≤a ≤2.5, 0.001 ≤b ≤1.0, 1.5 ≤a + b ≤2.6을 만족시키는 정수, p는 2∼6의 정수, q는 2∼4의 정수, r은 3∼2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리콘화합물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 피부로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끈적임도 없으며 감촉이 우수하고, 또한 제품의 제조가 용이한 화장료가 얻어지는 한편,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가 없어, 상당히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리콘화합물의 평균조성식 R1 aR2 bSiO(4-a-b)/2에 있어서, R1은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동종 또는 이종의, 탄소수가 1∼10이고, 1가인 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또는 불소치환알킬기이고, R2는 일반식 -(CpH2p)O(CqH2qO)r-X로 표시되는 유기기, X는 스테롤의 수산기를 제외한 1가의 잔기이다. a, b는 각각 1.0 ≤a ≤2.5, 0.001 ≤b ≤1.0, 1.5 ≤a + b ≤2.6을 만족시키는 정수이고, p는 2∼6의 정수, q는 2∼4의 정수, r은 3∼200의 정수이다.
R1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의 알킬기 ;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포화지환식 탄화수소기 ; 페닐기, 토릴기 등의 아릴기 ;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노나플루오로헥실기, 헵타데실플루오로데실기 등의 불소치환 알킬기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메틸기가 5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리콘화합물은, 수산기함유 스테롤화합물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퓨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산화알킬렌을 부가반응시킨 후, 말단을 알케닐에테르 봉쇄하여 얻은 중간체를, Si-H함유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 부가반응시키므로써 얻을 수 있다.
원료인 스테롤화합물로서는, 그 수산기가 스테로이드골격의 3위치, 16위치 또는 17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스테롤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콜레스테롤, 엘고스테롤, 라노스테롤, 피토스테롤, 에스트라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화장료용 유제로서의 이용성 및 생산성을 고려하면, 콜레스테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a는 1.0∼2.5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2∼2.2이고, b는 0.001∼1.0이지만, 바람직하게는 0.005∼0.5이다. 또한, a+b는 1.5∼2.6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8∼2.2이다. 이것은 a가 1.0보다 작으면 실록산함유량이 적게 되므로, 결정성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작게 되고, 2.5보다 크면 스테롤기 함유량이 적게 되므로 피부로의 부착성이 낮게 된다. 또한, b가 0.001보다 작으면 스테롤기의 함유량이 적게 되므로 피부로의 부착성이 낮게 되고, 1.0보다 크면 실록산 함유량이 적게 되므로, 결정성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작게 된다. p는 2∼6의 정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3 또는 4, q는 2∼4의 정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r은 3∼200의 정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5∼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본 발명의 스테롤변성 실리콘화합물을 필수성분으로 하여 함유하지만, 이 스테롤변성 실리콘화합물을 (a)성분으로서 0.1∼70.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성분으로서 인지질, 분자구조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유제, 물, 분체, 착색제, 계면활성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실리콘수지 및 자외선방어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시키므로써, 보다 바람직한 화장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함유되는 본 발명의 실리콘화합물(a)의 함유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0.1∼7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1.0∼5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는 그들을 사용한 화장료에 보습성을 부여하는 것이곤란하게 되고, 70.0중량%를 넘으면 끈적임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b)의 구성성분의 하나인 인지질(b-1)로서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스핀콜린 지질 등을 들 수 있는 데다가, 이들의 유사물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조성물, 즉 대두레시틴, 난황레시틴 등 또는 그들의 수소첨가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인지질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b)의 구성성분의 하나인 분자구조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b-2)로서는 하기의 것이 예시된다.
알코올류로서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알코올 ;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코올 ;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 소르비톨, 만니톨 등의 당알코올 ;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등이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아라비아고무, 트라가트검, 아라비노갈락탄, 로카스토빈검(캐로브검), 구아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루메로),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알게콜로이드, 트란트검, 로커스트빈검 등의 식물계 고분자 ;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아르긴산계 고분자 ;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폴리머,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고분자 중에는,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피막형성제도 포함된다.
이들 분자구조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서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사용하는 분자구조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b-2)의 함유율은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서 다르지만, 0.1∼7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5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이하에서는 보습성, 방균, 항생성 등의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70.0중량%를 넘으면 끈적임이 증대하므로 화장료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b)의 구성성분의 하나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유제(b-3)로서는 하기의 것이 예시된다. 천연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류(油類)로서는, 아보카드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백랍, 들기름, 올리브유, 카카오유, 카폭왁스, 카야유, 칼노바왁스, 간유, 칸데릴라왁스,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우지, 행인유, 경랍유, 경화유, 밀배아유, 참기름, 미배아유, 쌀겨유, 사탕수수왁스, 사잔카유, 홍화유, 시아버터, 중국오동유, 시나몬유, 호호바왁스, 쉘락왁스, 거북유, 대두유, 차실유, 동백유, 월견초유, 옥수수기름, 라아드, 유채유, 일본오동유, 쌀겨왁스, 배아유, 마지, 퍼식유, 야자유, 야자핵유, 피마자유, 경화피마자유,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베이베리왁스, 호호바유, 마카다미아너트유, 비드왁스, 밀크유, 면실유, 면왁스, 일본왁스, 연무핵유, 몬탄왁스, 코코넛유, 경화코코넛유, 트리코코넛유지방산글리세라이드, 양지,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라놀린, 환원라놀린, 라놀린알코올, 경질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린산헥실, POE라놀린알코올에테르(다만,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한다. 이하, 동일), POE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난황유 등 ;
탄화수소유로서는, 지랍, 스쿠알란, 스쿠알렌,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왁스, 유동파라핀, 프리스탄, 폴리이소부틸렌,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바세린 등 ; 고급지방산으로서는, 라우릴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이소스테아린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등 ;
고급알코올로서는,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피토스테롤, POE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세라킬알코올) 등 ;
에스테르유로서는,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아디핀산2-헥실데실, 아디핀산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린산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티롤프로판,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2-에틸헥산산세틸,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티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옥탄산세틸, 옥틸도데실검에스테르, 올레인산올레일, 올레인산옥틸도데실, 올레인산데실, 디카프리산네오펜틸글리콜, 시트르산트리에틸, 숙신산2-에틸헥실,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스테아린산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2-에틸헥실, 젖산세틸, 젖산미리스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2-에틸헥실, 팔미틴산2-헥실데실, 팔미틴산2-헵틸운데실,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2-옥틸도데실,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라우린산에틸, 라우린산헥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덱스트린팔미틴산에스테르, 덱스트린스테아린산에스테르 등, 덱스트린2-에틸헥산산팔미틴산에스테르, 자당팔미틴산에스테르, 자당스테아린산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
글리세라이드유로서는, 아세토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글리세릴 등 ;
실리콘유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페닐실록산공중합체 등의 저점도로부터 고점도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시클로테트라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실록산, 고중합도의 검모양 디메틸폴리실록산, 검모양의 디메틸실록산ㆍ메틸페닐실록산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고무 및 실리콘고무의 환상실록산용액, 트리메틸실록시규산,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의 환상실록산용액, 스테아록시실리콘 등의 고급알콕시변성실리콘, 고급지방산변성실리콘, 알킬변성실리콘, 아미노변성실리콘, 불소변성실리콘, 실리콘수지 등 ;
불소계 유제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카린, 퍼플루오로옥탄, 불화피치, 플루오로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유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특히 대부분이 -[Si-O]n- 골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분자내의 일부에 -Si-(CH2CH2)m-Si-결합을 갖고 있어도 바람직하다.
이들 유제는 필요에 따라서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사용량은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은 0.1∼50.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이다. 0.1중량% 미만에서는 유제의 효과가 발휘될 수 없는 것이 있고, 50.0중량%를 넘으면 본 발명의 스테롤변성 실리콘화합물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장료의 구성성분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물(b-4)을 더 가할 수 있다. 그 함유율은 0.1∼90.0중량%이고, 화장료의 형태에 따라 적당하게 증감하여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구성성분 (a) 및 (b-1)∼(b-4)만으로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이하의 성분 (b-5), (b-6), (b-7), (b-8), (b-9)를 더 가할 수 있다.
상기 성분내, (b-5)성분은 하기에 예시되는 분체 및/또는 착색제이다. 분체로서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 형상(구상, 봉상, 침상, 판상, 부정형상, 비늘편상, 방추상 등)이나 입자경(연무상, 미립자, 안료급 등), 입자구조(다공질, 무공질 등)를 불문하고, 모두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분체로서는, 예컨대 무기분체, 유기분체, 계면활성제금속염분체, 유색안료, 펄(pearl)안료, 금속분말안료, 천연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무기분체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륨, 탄산마그네슘,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백운모, 합성운모, 금은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운모, 규산,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버미큘라이트, 하이디라이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스파우더, 제2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분체로서는 폴리아미드파우더, 폴리에스테르파우더, 폴리에틸렌파우더,폴리프로필렌파우더, 폴리스티렌파우더, 폴리우레탄파우더, 벤조구아나민파우더,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파우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파우더, 셀룰로오스파우더, 실크파우더, 나일론파우더, 12나일론파우더, 6나일론파우더, 실리콘파우더, 실리콘고무파우더, 실리콘엘라스토머구상분체, 스티렌ㆍ아크릴산공중합체, 디비닐벤젠ㆍ스티렌공중합체,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의 분체, 미결정섬유분체, 전분분말, 라우로일리딘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실리콘수지, 실리콘엘라스토머를 골격으로 하는 분체 및 분자골격에 -[Si-O]n-의 반복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분자내의 일부에 -Si-(CH2CH2)m-Si-결합을 갖고 있어도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금속염분체(금속석영)로서는,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미리스틴산아연, 미리스틴산마그네슘, 세틸인산아연, 세틸인산칼슘, 세틸인산아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유색안료로서는, 산화철, 수산화철, 티탄산철의 무기적색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블랙 등의 무기흑색안료, 망간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안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계 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청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천연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및 이들의 분체를 복합화한 합성수지분체 등을 들 수 있다.
펄안료로서는 산화티탄피복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피복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피복탈크, 생선비늘박(魚鱗箔), 산화티탄피복착색운모 등 ; 금속분말안료로서는, 알루미늄파우더, 구리파우더, 스테인레스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타르색소로서는 적색3호, 적색104호, 적색106호, 적색201호, 적색202호, 적색204호, 적색205호, 적색220호, 적색226호, 적색227호, 적색228호, 적색230호, 적색401호, 적색505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2호, 황색203호, 황색204호, 황색401호, 청색1호, 청색2호, 청색201호, 청색404호, 녹색3호, 녹색201호, 녹색204호, 녹색205호, 등색201호, 등색203호, 등색204호, 등색206호, 등색207호 등 ; 천연색소로서는, 카르민산, 라카인산, 카르타민, 브라딜린, 크로신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분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복합화한 분체나, 일반유제, 실리콘유, 불소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으로 처리한 분체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불소화합물처리, 실리콘수지처리, 펜던트처리, 실란커플링제처리, 티탄커플링제처리, 유제처리, N-아실화리딘처리, 폴리아크릴산처리, 금속석영처리, 아미노산처리, 무기화합물처리, 플라즈마처리, 메카노케미칼처리 등에 의해 사전에 표면처리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분체중, 실리콘엘라스토머 구상분체, 폴리에틸렌파우더, 폴리프로필렌파우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파우더, 실리콘고무파우더, 폴리우레탄파우더 등의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면, 제품의 경일안정성이나 감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분체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2종 이상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체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서 다르지만, 화장료의 총량에 대해서 0.1∼5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5∼30중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분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한 착색제로 치환할 수 있다.
(b-6)성분은 하기에 예시되는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성인 것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계면활성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스테아린산나트륨이나 팔미틴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비누, 알킬에테르카본산 및 그 염, 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축합물 등의 카본산염, 알킬설폰산, 알켄설폰산염, 지방산에스테르의 설폰산염, 지방산아미드의 설폰산염, 알킬설폰산염과 그 포르말린축합물의 설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제2급고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알킬 및 아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에스테르의 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알키롤아미드의 황산에스테르염, 로트유 등의 황산에스테르염류, 알킬인산염, 에테르인산염, 알킬아릴에테르인산염, 아미드인산염, N-아실아미노산계 활성제 등이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및 아미노알코올지방산유도체 등의 아민염, 알킬4급암모늄염, 방향족4급암모늄염, 피리듐염, 이미다졸륨염 등이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탄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탄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변성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ㆍ알킬공변성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알칸올아미드, 당에테르, 당아미드 등이 있다.
양성계면활성제로서는, 베타인, 아미노카본산염, 이미다졸린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의 총량에 대해서 0.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중량%이다.
(b-7)성분은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다. 이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0.65∼100㎟/초(25℃)의 저점도 실리콘에 대해서, 자체중량 이상의 저점도 실리콘을 포함하여 팽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가교제는 분자중에 평균 1.5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부위를 갖고, 또한 규소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원자와의 사이에서 반응하는 것에 의해,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폴리옥시알킬렌부분, 알킬부분, 알케닐부분, 아릴부분 및 플루오로알킬부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가교분자중에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에 대해서 0.1∼30.0중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중량%이다.
(b-8)성분은 아크릴/실리콘그라프트공중합체 또는 블록공중합체나 실리콘망상화합물 등의 실리콘수지이지만, 특히 아크릴실리콘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리콘수지는 피롤리돈부분, 장쇄알킬부분, 폴리옥시알킬렌부분 및 플루오로알킬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분자중에 함유하는 아크릴실리콘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 실리콘수지는 실리콘망상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아크릴/실리콘그라프트공중합체, 블록공중합체 또는 실리콘망상화합물 등의 실리콘수지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에 대해서 0.1∼2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중량%이다.
(b-9)성분은 자외선방어성분으로, 상기에서 언급한 무기계의 안료, 금속분말 등의 자외선산란제 이외에 유기계의 자외선흡수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글리세릴,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옥틸, 4-[N,N-디(2-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벤조산에틸 등의 벤조산에스테르계 자외선흡수제 ;
살리실산에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벤질, 살리실산p-tert-부틸페닐, 살리실산호모멘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흡수제 ; 유로카닌산,유로카닌산에틸 등의 유로카닌산계 자외선흡수제 ;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설폰산나트륨,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계 자외선흡수제 ; 안트라닐산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흡수제 ;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벤조트리아졸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고분자유도체, 실란 또는 실록산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흡수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에 대해서 0.1∼2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중량%이다. 또한 이들 유기계 자외선흡수제중에서,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유기계 자외선흡수제가 폴리머분말중에 봉지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의 폴리머분말은 중공(中空)이어도 바람직하다. 폴리머분말의 평균1차입자경으로서는 0.1∼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입도분포는 넓거나 좁아도 상관 없다. 폴리머의 종류로서는 아크릴수지, 메타크릴수지, 스티렌수지, 우레탄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실리콘수지, 나일론수지, 아크릴아미드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머분말중에 상기 분말중량의 0.1∼30.0중량%의 범위에서 유기계 자외선흡수제를 넣은 분말이 바람직하고, 특히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피막형성제, 유용성겔화제, 유기변성점토광물, 수지, 보습제, 방부제, 항균제, 향료, 염류, 산화방지제, pH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미용성분(미백제, 세포부활제, 피부트러블개선제, 혈행촉진제, 피부수렴제, 항지루제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抱接)화합물, 수렴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유용성 겔화제로서는,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징크미리스테이트 등의 금속비누,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α,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유도체, 덱스트린팔미틴산에스테르, 덱스트린스테아린산에스테르, 덱스트린2-에틸헥산산팔미틴산에스테르 등의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팔미틴산에스테르, 자당스테아린산에스테르 등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의 벤질리덴유도체, 디메틸벤질도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클레이,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클레이 등의 유기변성점토광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겔화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유용성 겔화제는 필요에 따라서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바람직하다.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루코오스, 크실리톨, 말티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아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본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등이 있다.
방균방부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페녹시에탄올 등, 항균제로서는 벤조산, 살리실산, 석탄산, 소르빈산,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로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잘코늄, 염화클로로헥시딘, 트리클로로칼바닐리드, 트리크로산,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이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토코페롤,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피틴산 등, pH조정제로서는, 젖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dl-말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 킬레이트제로서는, 알라닌, 에데트산나트륨염,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등, 청량제로서는 L-멘톨, 캠포 등, 항염증제로서는, 알란토인, 글리틸레틴산, 트라넥삼산, 아즈렌 등을 들 수 있다.
피부미용 성분으로서는, 태반추출액, 알부틴, 글루타티온, 유키노시타 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유도체, 어린소혈액추출액 등의 세포부활제, 피부트러블개선제, 노닐산바니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캅사이신, 징게론, 칸타리스틴키, 이크타몰, 카페인,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안리딘,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라틴, γ-오리자놀 등의 혈행촉진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피부수렴제, 유황, 틴안트롤 등의 항지루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A유,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등의비타민A류, 리보플라빈, 부티르산리보플라빈, 프라빈아데닌뉴클레오티드 등의 비타민B2류, 피리독신염산염,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B6류, 비타민B12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B15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B류,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디팔미틴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2-황산나트륨, L-아스코르빈산인산디에스테르디칼륨 등의 비타민C류, 엘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D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아세트산d1-α-토코페롤, 니코틴산d1-α-토코페롤, 숙신산d1-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E류, 비타민H, 비타민P, 니코틴산,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등의 니코틴산류, 판토텐산칼슘,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텐산류, 비오틴 등이 있다.
아미노산류로서는, 글리신, 바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등, 핵산으로서는 데옥시리보핵산 등, 호르몬으로서는 에스트라디올, 에테닐에스트라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수렴제 성분으로서는,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지르코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이고,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드라이UF, REACH101, REACH103, REACH301, REACH301 용액, REACH501, REACH501 용액, REHYDOL II, REACH AZP902, REACH 908, REACH 855, REACH AZZ902, REACH 855, REACH AZN885, REZAL 36P, REACH36 용액, REACH36GP, REACH36G 용액, REACH67P, REACH67 용액(모두 REHEIS사 상품명)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적인 용도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스킨케어제품, 두발제품, 제한제 제품, 메이크업제품, 자외선방어제품, 향료용제 등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예컨대, 유액, 크림, 로션, 컬러밍로션, 선스크린제, 선탠제, 애프터셰이브로션, 프리셰이브로션, 팩료, 크렌징료, 세안료, 여드름대책화장료, 에센스 등의 기초화장료, 파운데이션, 백분, 아이샤도우,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치크(cheek), 립스틱, 네일컬러 등의 메이크업화장료, 샴푸, 린스, 콘디셔너, 헤어컬러, 헤어토닉, 세트제, 보디파우더, 데오드란트, 탈모제, 석영, 보디샴푸, 입욕제, 핸드소프, 향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품의 형태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다층상, 무스상, 스프레이상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특히 단정하지 않는 한, 이하에 기재되는 「%」는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반응기중에 하기의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200중량부와,
하기 평균조성식(2)로 표시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 98중량부(여기에서 유기기 A는 콜레스테롤 잔기를 나타낸다),
및 에탄올 90중량부를 혼합하고, 염화백금산 2중량%의 에탄올 용액 0.1중량부를 더 가하여, 용제의 환류하에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제거한 후 여과를 행하여, 하기의 평균조성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이 화합물은 담황색투명하고, 25℃에서의 점도는 1200㎟/초이었다.
실시예 2
반응기에 하기의 평균조성식(3)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20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평균조성식(2)로 표시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 65중량부 및 2-프로판올 80중량부를 혼합하고, 염화백금산 2중량%의 에탄올 용액 0.1중량부를 더 가하여, 용제의 환류하에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제거한 후, 연속하여 여과를 행하여, 하기의 평균조성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이 화합물은 담황색투명하고, 25℃에서의 점도는 2200㎟/초이었다.
실시예 3
반응중에 하기의 평균조성식(4)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00중량부와,
하기 평균조성식(5)로 표시되는 피토스테롤 유도체 150중량부(여기에서 유기기 B는 피토스테롤 잔기를 나타낸다),
및 2-프로판올 80중량부를 혼합하고, 염화백금산 2중량%의 에탄올 용액 0.1중량부를 더 가하여, 용제의 환류하에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증류제거하고, 연속하여 여과를 행하여, 하기의 평균조성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이 화합물은 담황색 고체이고, 융점은 30℃이엇다.
실시예 4
반응기에 하기의 평균조성식(6)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25중량부와,
하기 평균조성식(7)로 표시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 110중량부(여기에서 유기기 A는 콜레스테롤 잔기를 나타낸다),
및 2-프로판올 50중량부를 혼합하고, 염화백금산 2중량%의 에탄올 용액 0.1중량부를 더 가하여, 용제의 환류하에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증류제거한 후, 연속하여 여과를 행하여, 하기의 평균조성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이 화합물은 담황색 투명하고, 25℃에서의 점도는 590㎟/초이었다.
다음에, 실시예 1∼4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사용하여 각종 화장료를 조제하여,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관능특성 평가방법
전문패널 10명을 사용하여 시험 작품의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각 관능특성에 관해서 우수한 경우를 +5점, 열세한 경우를 0점으로 하고, 그 사이를 계 4단계로 평가하여, 전원의 점수의 합계를 가지고 평가결과로 하였다.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5, 6 및 비교예 1, 2
하기의 처방에 따라서 화장수를 얻었다. 배합량은 중량%를 나타낸다 .
평가결과를 이하에 나타내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외관의 투명성이 높고, 더구나 보존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피부에 도포한 때에도산뜻감이 얻어지고, 부착성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7 및 비교예 3, 4
하기의 처방에 의해 립스틱을 얻었다. 배합량은 중량%이다.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침입하중(針入荷重)을 측정하고, 립스틱의 경도변화를 조사한 결과, 및 관능평가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또, 관능평가방법은 상술한방법에 따른다.
그 결과 5℃ 및 20℃에서는 거의 동등한 침입하중치이었지만, 40℃에서는 본 발명품은 비교예에 대해서 약 1.5배의 하중치를 나타내었다. 즉, 저온에서도 단단하게 되기 어렵고, 고온에서도 연화하기 어려운 립스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술 위에서의 펴짐, 부착감도 우수하였다.
실시예 8 : 선탠크림
(성분) (%)
1. 실시예 4의 실리콘화합물 15.0
2. 디메틸폴리실록산(100cs) 5.0
3. 실리콘왁스 0.5
4.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6.0
5. 팔미틴산 0.2
6. 디메틸옥틸파라아미노벤조산 0.5
7.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0.5
8. 카올린 0.5
9. 벵갈라 0.2
10. 황산화철 0.3
11. 흑산화철 0.1
12. 산화티탄코티드마이카 1.0
13. L-글루타민산나트륨 3.0
14. 1,3-부틸렌글리콜 5.0
15.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1
16. 산화방지제 적량
17. 방부제 적량
18. 향료 적량
19. 정제수 잔량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7 및 16 및 17을 가열용해하였다.
B : 성분 15 및 19의 일부를 가열교반후, 성분 8∼12를 첨가하여 분산처리하였다.
C : 성분 13∼14 및 19의 잔부를 균일하게 용해하고, B로 혼합하였다.
D : 교반하, A에 C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18을 첨가하여 선탠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탠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며,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피트(fit)감이 우수하여 화장효과도 양호하다.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해 분리하거나 분체가 응집하는 등의 변화가 없어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9 : 파운데이션
(성분) (%)
1. 실시예 1의 화합물 45.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5.0
3. 폴리에테르변성실록산*1.5
4.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0.5
5. 옥타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염변성몬모릴로나이트 4.0
6. 소수화처리산화티탄***10.0
7. 소수화처리탈크***6.0
8. 소수화처리마이카***6.0
9. 소수화처리벵갈라***1.6
10. 소수화처리황산화철***0.7
11. 소수화처리흑산화철***0.2
12. 디프로필렌글리콜 5.0
13. 파라옥시벤조산메틸에스테르 0.3
14.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0.2
13. 염산 0.1
14. 향료 적량
15. 물 잔량
*: KF-6017(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소수화처리 ; 분체에 대해서 2%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첨가한 후, 가열처리한 것.
(제조방법)
A : 성분 1∼5를 가열혼합하고, 성분 6∼11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B : 성분 12∼15 및 17을 가열용해하였다.(수계의 pH는 9.0)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16을 첨가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운데이션은 감촉이 섬세하고, 펴짐이 가벼워서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화장효과도 양호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 헤어크림
(성분) (%)
1. 실시예 2의 화합물 10.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0
3. 스쿠알란 4.0
4. 실리콘수지 1.0
5. 디올레인산글리세릴 2.0
6.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4.0
7. 소르비톨황산나트륨 2.0
8.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1.0
9. 히아루론산나트륨 0.5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방부제 1.5
12. 비타민E아세테이트 0.1
13. 산화방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5. 정제수 잔량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6 및 11∼12를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7∼10 및 15를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4를 첨가하여 헤어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헤어크림은,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내수성, 발수성, 내한성이 있어 효과도 양호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 아이링클크림
(성분) (%)
1. 실시예 3의 실리콘화합물 20.0
2.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5.0
3.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5.0
4.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2.0
5. 젖산나트륨 1.0
6. 글리세린 50.0
7. 방부제 적량
8. 산화방지제 적량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3 및 8을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4∼7 및 10을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9를 첨가하여 아이링클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링클크림은,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며,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효과도 양호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2 : 크림
(성분) (%)
1. 실시예 4의 실리콘화합물 20.0
2. 트리옥탄산글리세릴 10.0
3.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4.0
4. 페닐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1.0
5.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6. 말티톨 10.0
7. 사포나이트 1.5
8. 방부제 적량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4 및 8을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5∼7 및 10을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9를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은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내수성이나 발수성이 양호하여 효과도 양호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3 : 핸드크림
(성분) (%)
1. 실시예 1의 실리콘화합물 12.0
2. 유동파라핀 10.0
3. 유기실리콘수지*5.0
4.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4.0
5.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8
6. 비타민E아세테이트 0.1
7. 폴리에틸렌글리콜4000 1.0
8. 글리세린 10.0
9. 수멕톤 1.2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잔량
*: 유기실리콘수지 ; 평균식이 (CH3)1.60SiO1.20이고, 분자량은 3,000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6 및 10을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7∼9 및 12를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1을 첨가하여 핸드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핸드크림은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내수성이나 발수성이 양호하여 효과도 양호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4 : 선스크린(sunscreen)크림
(성분) (%)
1. 실시예 2의 실리콘화합물 20.0
2. 유동파라핀 10.0
3.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4.0
4.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7.0
5.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8
6. 비타민E아세테이트 0.1
7. 에탄올 1.0
8. 수멕톤 1.2
9. 방부제 적량
10. 향료 적량
11. 정제수 잔량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6 및 9를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7, 8 및 11을 가열하여 균일하게 분산혼합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1을 첨가하여 선스크린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스크린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펴짐이 가벼우며,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고, 더욱이 끈적임이 없으므로 모래가 전혀 붙지 않고, 사용성이 상당히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장효과도 양호하므로, 자외선방지효과도 지속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5 : 크림
(성분) (%)
1. 실시예 3의 실리콘화합물 10.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5.0
3. 유동파라핀 5.0
4.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5.0
5. 시트르산나트륨 2.0
6. 1,3-부틸렌글리콜 5.0
7. 방부제 적량
8. 향료 적량
9. 정제수 잔량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성분 1∼4를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5∼7 및 9를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8을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은,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내수성이나 발수성이 양호하여 효과도 양호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6 : 아이샤도우
(성분) (%)
1. 실시예 4의 실리콘화합물 15.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10.0
3.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2.0
4. PEG(10)라우릴에테르 0.5
5. 실리콘처리산화크롬**6.2
6. 실리콘처리군청**4.0
7. 실리콘처리티탄피복마이카**6.0
8. 염화나트륨 2.0
9. 프로필렌글리콜 8.0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잔량
*: KF-6012(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실리콘처리 ; 분체에 대해서 3%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첨가한 후, 가열처리한 것.
(제조방법)
A : 성분 1∼4를 혼합하고, 성분 5∼7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B : 성분 8∼10 및 12를 균일하게 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성분 11을 첨가하여 아이샤도우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샤도우는, 펴짐이 가벼워서 유분감이나 분말감이 없고,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내수성이나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여 효과도 양호하고, 화장이 흐트러지기 어렵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7 : 아이라이너
(성분) (%)
1. 실시예 1의 실리콘화합물 22.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5.0
3. 호호바유 2.0
4.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1.0
5. 실리콘처리흑산화철**20.0
6. 에탄올 5.0
7. 방부제 적량
8. 정제수 잔량
*: KF-6017(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실리콘처리흑산화철 ; 흑산화철에 대해서, 2%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첨가한 후, 가열처리한 것.
(제조방법)
A : 성분 1∼4를 가열혼합하고, 성분 5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B : 성분 6∼8을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여,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라이너는, 펴짐이 가벼워서 유분감이나 분말감이 없고,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내수성이나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여 효과도 양호하고, 화장이 흐트러지기 어렵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8 : 립크림
(성분) (%)
1. 실시예 2의 실리콘화합물 40.0
2. 이소파라핀(비점 155℃) 10.0
3. 스쿠알란 10.0
4. 라놀린 2.0
5.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3.0
6.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3.0
7.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3.0
8. 라우로일글루타민산디부틸아미드 5.0
9. 젖산나트륨 0.3
10. L-글루타민산나트륨 0.3
11. 히아루론산나트륨 0.1
12. 소르비톨 0.5
13. 글리세린 5.0
14. 적색202호 적량
15. 멘톨 적량
16. 방부제 적량
17. 향료 적량
18. 정제수 잔량
*: KF-6017(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8을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9∼16 및 18을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성분 17을 첨가하여 캅셀에 충진하여, 립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고형상의 유중수형 립크림은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화장효과도 양호하고, 트리트먼트효과도 높으며,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9 : 액상유화파운데이션
(성분) (%)
1. 디메틸폴리실록산(6cs) 5.0
2. 실시예 3의 실리콘화합물 15.0
3. 스쿠알란 4.0
4.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3.0
5.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라이드 2.0
6. α-모노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1.0
7.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1.0
8. 디스테아린산알루미늄염 0.2
9. 소수화처리산화티탄**5.0
10. 소수화처리세리사이트**2.0
11. 소수화처리탈크**3.0
12. 소수화처리벵갈라**0.4
13. 소수화처리황산화철**0.7
14. 소수화처리흑산화철**0.1
15. 황산마그네슘 0.7
16. 글리세린 3.0
17. 방부제 적량
18. 향료 적량
19. 정제수 잔량
*: KF-6015(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소수화처리분체 ; 분체에 대해서 2% 스테아린산 처리를 실시한 것
(제조방법)
A : 성분 1∼8을 가열혼합하고, 성분 9∼14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B : 성분 15∼17 및 19를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8을 첨가하여 액상유화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액상유화파운데이션은, 점도가 낮고 감촉이 섬세하고,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화장효과도 양호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0 : 발한억제제
(성분) (%)
1. 실시예 4의 실리콘화합물 30.0
2.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1.0
3.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E. O.) 0.5
4. 알루미늄지르코늄사염화수화물의 글리신염 20.0
5. 정제수 잔량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2를 혼합하였다.
B : 성분 4를 5에 용해하여, 성분 3을 가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여, 발한억제제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발한억제제는,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더구나 그다지 희어지지 않으며,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1 : 투명겔화장료
(성분) (%)
1. 실시예 1의 실리콘화합물 10.0
2.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10.0
3. 1,3-부틸렌글리콜 10.0
4. 폴리에틸렌글리콜400 9.0
5. 2-히드록시옥탄산 1.0
6. 소르비톨(70% 수용액) 10.0
7. 시트르산 적량
8. 시트르산나트륨 적량
9. 방부제 적량
10. 향료 적량
11. 정제수 잔량
*: KF-615A(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3∼11을 균일하게 용해하였다.
B : 성분 1∼2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 유화하여 투명겔화장료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투명겔화장료는,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피부에 융합하기 쉽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 선스크린화장수
(성분) (%)
1. 실시예 2의 실리콘화합물 14.0
2.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10.0
3. 스쿠알란 1.5
4.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3.0
5. 소수화처리초미립자산화티탄**2.0
6. 1,3-부틸렌글리콜 10.0
7. 염화나트륨 2.0
8. L-프롤린 0.1
9. 2-히드록시옥탄산 1.0
10. 2-히드록시프로판산 5.0
11. 수산화나트륨 적량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4. 정제수 잔량
*: KF-615A(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소수화처리 초미립자산화티탄 ; 티탄TTO-S2(사카이가가꾸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6∼14를 균일하게 용해하였다.
B : 성분 1∼4를 혼합하고, 성분 5를 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 유화하여 선스크린화장수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스크린화장수는,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피부에 융합하기 쉽고, 선스크린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3 : 크림
(성분) (%)
1. 실시예 3의 실리콘화합물 20.0
2. 유동파라핀 5.0
3.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1.0
4. L-아스코르빈산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염 3.0
5. 디프로필렌글리콜 5.0
6. 글리세린 5.0
7. 방부제 적량
8. 향료 적량
9. 정제수 잔량
*: KF-615A(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3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 성분 5∼7을 가온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C : 성분 4, 9를 균일하게 용해하였다.
D : 교반하, A에 B를 첨가한 후 C를 더 가하여 유화하고, 다음에 성분 8을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은 감촉이 섬세하여 펴짐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피부에 융합하기 쉽고, 미백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4 : 유액
(성분) (%)
1. 실시예 4의 실리콘화합물 18.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6.0
3. 스쿠알란 5.0
4.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3.0
5. α-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 1.0
6.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2.0
7. 디스테아린산알루미늄염 0.2
8. 황산마그네슘 0.7
9. 글리세린 5.0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잔량
*: KF-6017(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7을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8∼10 및 12를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1을 첨가하여 유액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액은, 저점도이고 감촉이 섬세하고,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화장효과도 상당히 양호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5 : 유액
(성분) (%)
1. 실시예 1의 실리콘화합물 15.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6.0
3. 스쿠알란 5.0
4.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3.0
5. α-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 1.0
6.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1.5
7.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1.0
8. 알루미늄디스테아레이트 0.2
9.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1.0
10. 황산마그네슘 0.7
11. 글리세린 5.0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4. 정제수 잔량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KF-6017(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9를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10∼12 및 14를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3을 첨가하여 유액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액은, 저점도이고 감촉이 섬세하며, 펴짐이 가벼워서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며,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화장효과도 상당히 양호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6 : 선스크린크림
(성분) (%)
1. 실시예 2의 실리콘화합물 18.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2.0
3. 유동파라핀 1.5
4.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4.0
5.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5.0
6. 1,3-부틸렌글리콜 4.0
7. 염화나트륨 1.0
8. 방부제 적량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 KF-6012(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5를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6∼8 및 10을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9를 첨가하여 선스크린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스크린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펴짐이 가벼우며,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고, 유분감이나 끈적임이 없으며, 사용성이 상당히 양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내수성이나 내한성이 우수하므로 화장효과도 양호하고, 자외선방지효과도 지속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도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7 : 크림
(성분) (%)
1. 실시예 3의 실리콘화합물 20.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0
3.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1.0
4.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1.0
5. 글리세린 5.0
6. 염화나트륨 1.0
7. 방부제 적량
8. 향료 적량
9. 정제수 잔량
*: KF-6012(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4를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5∼7 및 9를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8을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펴짐이 가벼우며,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고, 유분감이나 끈적임이 없고, 사용성이 상당히 양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내수성이나 내한성이 우수하여 화장효과도 양호하고, 자외선방지효과도 지속되며,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8 : 파운데이션
(성분) (%)
1. 실시예 4의 실리콘화합물 18.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0
3. 모노이소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4. 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0.5
5.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1.0
6.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3.0
7. 산화티탄 10.0
8. 벵갈라 0.13
9. 황산화철 0.3
10. 흑산화철 0.07
11. 탈크 2.5
12. 소르비톨 2.0
13. 황산마그네슘 0.1
14. 에탄올 10.0
15. 방부제 적량
16. 향료 적량
17. 정제수 잔량
* : KF-6012(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7∼11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 성분 1∼6 및 15를 가열혼합하고, A를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혼합하였다.
C : 성분 12∼13 및 17을 가온한 후 B에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4 및 16을 가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우며, 더구나 산뜻한 높은 청량감을 갖고, 유화상태가 양호하며, 온도에 따른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아서, 경시적으로 분리되거나, 응집되거나 하지 않고, 상당히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9 : 액상 파운데이션
(성분) (%)
1. 실시예 1의 실리콘화합물 15.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5.0
3. 유동파라핀 3.0
4.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3.0
5. 팔미틴산 0.5
6. 소수화실리카**5.0
7. 산화티탄 6.0
8. 벵갈라 0.25
9. 황산화철 0.6
10. 흑산화철 0.12
11. 세리사이트 8.03
12.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13. 황산마그네슘 2.0
14. 방부제 적량
15. 산화방지제 적량
16. 향료 적량
17. 정제수 잔량
*: KF-6015(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소수화실리카 ; 에어로겔RY200(니뽄에어로겔(주)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8∼12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 성분 1∼7 및 16을 70℃로 가열혼합하고, A를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혼합하였다.
C : 성분 13∼18을 70℃로 가열한 후 B에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7을 가하여, 액상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액상 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우며, 더구나 산뜻한 높은 청량감을 갖고, 유화상태가 양호하며, 화장효과도 우수하고, 또한 온도에 따른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아서, 경시안정성이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0 : 선스크린 유액
(성분) (%)
1. 실시예 2의 실리콘화합물 25.0
2. 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1.5
3. 펜타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 1.5
4.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0.5
5. 올리브유 1.0
6. 미립자산화티탄 7.0
7. 글리세린 5.0
8. 염화나트륨 1.5
9. 방부제 적량
10. 향료 적량
11. 정제수 잔량
*: KF-6012(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5를 가열혼합하고, 성분 6을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B : 성분 7∼9 및 11을 가열혼합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0을 첨가하여 선스크린 유액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스크린 유액은 점도가 낮고, 감촉이 섬세하며 펴짐이 가볍고, 끈적임이 없으며,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한 사용성을 가짐과 동시에, 화장효과가 우수하므로, 자외선방지효과도 지속되었다.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고, 분체분산안정성 및 유화안정성도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1 : 선스크린 유액
(성분) (%)
1. 실시예 3의 실리콘화합물 20.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3.0
3. 모노이소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4.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0.5
5.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0
6.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4.0
7. 미립자산화티탄 8.0
8. 소르비톨 2.0
9. 염화나트륨 2.0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잔량
*: KF-6012(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6을 가열혼합하고, 성분 7을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B : 성분 8∼10 및 12를 가열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1을 첨가하여 선스크린 유액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스크린 유액은 감촉이 섬세하고, 펴짐이 가벼우며, 끈적임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여 화장효과도 양호하므로, 자외선방지효과도 지속되고,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상당히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2 : 미용액
(성분) (%)
1. 실시예 4의 실리콘화합물 12.0
2.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10.0
3.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2.0
4. 실리콘겔**0.2
5. 글리세린 10.0
6. 아스코르빈산인산마그네슘염 3.0
7. 염화나트륨 2.0
8. 방부제 적량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 KF-6017(신에쓰가가꾸고교(주)제)
**: 실리콘겔 ; KSG21(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4를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5∼8 및 10을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하였다.
C :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9를 첨가하여 미용액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미용액은 감촉이 섬세하고, 펴짐이 가벼우며, 끈적임이 없고, 촉촉하여 윤이나고 싱싱하며,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상당히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3 : 크림
(성분) (%)
1. 실시예 1의 실리콘화합물 18.0
2. 디메틸폴리실록산(100cs) 2.0
3. 폴리프로필렌글리콜(3)미리스틸에테르 0.5
4.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2.5
5. 소수화처리미립자산화티탄**1.0
6. 글리세린 3.0
7. 70% 소르비톨 5.0
8. 시트르산 25.0
9. 염화나트륨 0.6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32% 암모니아수 4.5
13. 정제수 잔량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소수화처리미립자산화티탄 ; 스테아린산알루미늄처리 미립자산화티탄
(제조방법)
A : 성분 1∼4 및 11을 혼합한 후, 성분 5를 혼합교반하였다.
B : 성분 6∼10 및 12∼13을 균일하게 용해하였다.
C :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은, 대량의 시트르산을 함유하는 것에도 상관 없이, 도포중에는 펴짐이 가볍고, 끈적임이 없으며, 사용후에도 촉촉하여 끈적이지 않고,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4 : 애프터셰이브크림
(성분) (%)
1. 실시예 2의 실리콘화합물 35.0
2.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5.0
3.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 400) 5.0
4. L-글루타민산나트륨 2.0
5. 알란토인 0.1
6. 알로에추출물 적량
7. 방부제 적량
8. 산화방지제 적량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3 및 9, 10을 가열혼합하였다.
B : 성분 4∼8을 가열혼합하였다.
C :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여, 애프터셰이브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애프터셰이브크림은 고점도이어서 떨어지지 않고, 도포중에는 펴짐도 가벼우며, 끈적임도 없고, 도포후에는 보송보송하면서 산뜻감도 상당하며,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 또한 안정성도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5 : 탈취제
(성분) (%)
1. 실시예 3의 실리콘화합물 12.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4.0
3.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1.0
4. 프로필렌글리콜 31.0
5. 트리클로산 0.1
6. 글리세린 15.0
7. 방부제 적량
8. 향료 적량
9. 정제수 잔량
*: KF-615A(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3을 혼합하였다.
B : 성분 5를 4에 용해하여, 성분 6∼9를 혼합하였다.
C : A를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B를 가하여 유화하였다.
D : 에어졸캔에 C를 65부, 분사제(n-부탄, 이소부탄, 프로판혼합물) 35부를 가하여, 탈취제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탈취제는, 고농도로 사용하여도 떨어지지 않고, 끈적임도 없으며, 보송보송한 효과가 지속되는 상당히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6 : 액상 파운데이션
(성분) (%)
1. 실시예 4의 실리콘화합물 16.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8.0
3.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3.0
4.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1.0
5. 불소변성실리콘*15.0
6. 불소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5.0
7. 구상실리콘수지분체***3.0
8. 불소화합물처리 미립자산화티탄****8.0
9. 불소화합물처리 운모티탄****1.0
10. 불소화합물처리 산화티탄****5.0
11. 불소화합물처리 벵갈라****0.9
12. 불소화합물처리 황산화철****2.0
13. 불소화합물처리 흑산화철****1.0
14. 에탄올 15.0
15. 글리세린 3.0
16. 황산마그네슘 1.0
17. 방부제 적량
18. 향료 적량
19. 정제수 잔량
*: FPD-6131(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FL-100(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KMP590(신에쓰가가꾸고교(주)제)
****: 불소화합물처리 ; 퍼플루오로알킬에틸인산디에탄올아민염으로 5% 피복한 것
(제조방법)
A : 성분 7∼13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 성분 1∼6을 70℃로 가열혼합하고, A를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혼합하였다.
C : 성분 14∼17 및 19를 40℃로 가온한 후, B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 18을 가하여, 액상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액상 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우며, 더구나 산뜻한 높은 청량감을 갖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이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7 : 유액
(성분) (%)
1. 실시예 1의 실리콘화합물 15.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0
3. 스쿠알란 5.0
4.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5.0
5.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3.0
6.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엘라스토머구상분체**2.0
7. 소수화실리카***0.5
8. 아스코르빈산인산마그네슘 1.0
9. 염화나트륨 1.0
10. 폴리에틸렌글리콜11000 1.0
11. 프로필렌글리콜 8.0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4. 정제수 잔량
*: KF-6017(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KMP594(신에쓰가가꾸고교(주)제)
***: 에어로젤R972(니뽄에어로젤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5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성분 6∼7을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B : 성분 14에 성분 8∼10을 가하여 용해하고, 성분 11, 12를 균일하게 한 후 더 첨가하였다.
C : B를 A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 후 냉각하고, 성분 13을 가하여 유액을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액은 펴짐도 가볍고, 산뜻하여, 끈적임이 없으며, 온도나 경시에 의한 변화도 없고, 사용성과 안정성도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8 : 보습크림
(성분) (%)
1. 실시예 2의 실리콘화합물 10.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3.0
3. 유동파라핀 5.0
4.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3.0
5. 2-에틸헥산산세틸 5.0
6.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1.0
7.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엘라스토머구상분체**2.5
8. 소수화실리카***2.0
9. 스테아린산아연 2.0
10. 비타민E아세테이트 3.0
11. 폴리에틸렌글리콜400 1.0
12. 젖산나트륨 1.0
13. 1,3-부틸렌글리콜 5.0
14. 방부제 적량
15. 향료 적량
16. 정제수 잔량
*: KF-6017(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KMP594(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에어로젤R972(니뽄에어로젤사제)
(제조방법)
A: 성분 1∼6 및 9∼10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성분 7∼8을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B : 성분 11∼14 및 16을 가하여 용해하였다.
C : B를 A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 후 냉각하고, 성분 15를 가하여 보습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보습크림은 펴짐도 가볍고, 윤이나고 싱싱하며, 산뜻하여 끈적임이 없고, 온도나 경시에 의한 변화도 없어, 사용성 및 안정성도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9 : 핸드크림
(성분) (%)
1. 실시예 3의 실리콘화합물 30.0
2. 유동파라핀 10.0
3. 아미노변성실리콘검*15.0
4.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4.0
5.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8
6. 비타민E아세테이트 0.1
7. 폴리에틸렌글리콜4000 1.0
8. 글리세린 10.0
9. 수멕톤 1.2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잔량
*: 아민당량 70000g/mol
**: KF-6017(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 3을 가열혼합 용해하고, 성분 2, 4∼6, 10을 가열첨가하였다.
B : 성분 7∼9 및 12를 가열혼합하였다.
C : B를 A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 후, 냉각하고, 성분 11을 가하여 핸드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핸드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우며, 더구나 산뜻한 사용감을 갖고, 물일로부터 효과적으로 피부를 보호하고, 온도안정성이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0 : 아이라이너
(성분) (%)
1. 실시예 4의 실리콘화합물 22.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5.0
3. 실리콘처리흑산화철 20.0
4. 비타민E아세테이트 0.2
5. 호호바유 2.0
6. 벤토나이트 3.0
7.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2.0
8. 에탄올 10.0
9. 1,3-부틸렌글리콜 10.0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잔량
*: KF-6012(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2, 4∼7을 혼합하고, 성분 3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분산하였다.
B : 성분 8∼10 및 12를 혼합하였다.
C : B를 A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 후 냉각하고, 성분 11을 가하여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라이너는, 펴짐이 가벼워서 그리기 쉽고, 청량감이 있고 산뜻하여 끈적임이 없는 사용감으로, 온도나 경시에 의한 변화도 없고, 사용성과 안정성도 상당히 우수하며, 내수성, 내한성은 모두 우수하고, 화장효과도 상당히 양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1 : 크림
(성분) (%)
1. 실시예 1의 실리콘화합물 16.0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4.0
3.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5.0
4. POE(5)옥틸도데실에테르 1.0
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E.O.) 0.5
6. 무수규산처리산화아연**2.0
7. 실리콘처리 미립자산화티탄 10.0
8. 유동파라핀 2.0
9. 마카데미아너트유 1.0
10. 황금 추출물***1.0
11. 겐티아나 뿌리 추출물****0.5
12. 에탄올 5.0
13. 1,3-부틸렌글리콜 2.0
14. 방부제 적량
15. 향료 적량
16. 정제수 잔량
*: KF-6012(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무수규산처리산화아연 ; 산화아연을 50% 내포한 입자경 0.01∼10㎛의 실리카 ; 선스페어SZ-5(아사히글래스사제)
***: 황금 추출물 ; 50% 1,3-부틸렌글리콜수로 추출한 것
****: 겐티아나 뿌리 추출물 ; 20% 에탄올수로 추출한 것
(제조방법)
A : 성분 6∼9를 균일하게 혼합분산하였다.
B : 성분 1∼5를 혼합하고, A를 가하였다.
C : 성분 10∼14 및 16을 혼합한 후, B를 가하여 유화하였다.
D : C를 냉각하고, 성분 15를 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우며, 더구나 밀착감이 우수하고, 안정성도 양호하며, 윤기 있는 마무리가 얻어져서 화장효과도 상당히 우수하고,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2 : 파운데이션
(성분) (%)
1. 실시예 2의 실리콘화합물 27.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3.0
3.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10.0
4.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1.0
5. 모노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3.0
6. 소수화처리혼합분체(주1) 18.0
7. 벵갈라 1.2
7. 황산화철 2.6
8. 흑산화철 0.2
9. 1,3-부틸렌글리콜 7.0
10. 염화나트륨 0.5
11. 방부제 적량
12. 향료 적량
13. 정제수 잔량
(주1) 소수화처리혼합분체 (%)
a. 미립자산화티탄 8.0
b. 미립자산화아연 4.0
c. 탈크 3.0
d. 마이카 3.0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a∼d를 혼합하고, 그들의 분체에 대해서, 1%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첨가후, 가열처리하였다.
B : 성분 1∼5를 혼합하여 가온용해하고, 성분 6∼9를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C : 성분 10∼12 및 14를 혼합한 후, B를 가하여 유화하였다.
D : C를 냉각하고, 성분 13을 가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우며, 더구나 밀착감이 우수하고, 진정성도 양호하고, 윤기있는 마무리로 화장효과도 상당히 우수하고,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화하지 않아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3 : 선컷크림
(성분) (%)
1. 실시예 3의 실리콘화합물 17.5
2. KP545*12.0
3.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5.0
4.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6.0
5. KSG21**5.0
6. 폴리에테르올레일공변성실리콘***1.0
7. 친유화처리산화아연 20.0
8. 염화나트륨 0.5
9. 1,3-부틸렌글리콜 2.0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잔량
*KP545 : 아크릴실리콘수지/50%-D5용액(신에쓰가가꾸고교(주)제)
**: KSG21 ; 실리콘겔(신에쓰가가꾸고교(주)제)
***: KF-6026(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의 일부에 성분 2를 가하여 균일하게 하고, 성분 7을 첨가하여 비즈밀에서 분산하였다.
B : 성분 1의 잔부 및 3∼6을 혼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 성분 8∼10 및 12를 혼합, 용해하였다.
D : B에 C를 가하여 유화하고, A 및 성분 11을 첨가하여 선컷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컷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우며, 더구나 밀착감이 우수하고, 진정성도 양호하며, 윤기가 있는 마무리로 화장효과도 상당히 우수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상당히 안정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4 : O/W 핸드크림
(성분) (%)
1. 실시예 4의 실리콘화합물 10.0
2. KSG16*2.0
3. 이소파라핀 5.0
4. 바세린 5.0
5.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3.0
6.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0.5
7.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8. 세피겔305***2.0
9. 1,3-부틸렌글리콜 5.0
10. 글리세린 5.0
11. 방부제 적량
12. 향료 적량
13. 정제수 잔량
*: KSG16 ; 실리콘겔(신에쓰가가꾸고교(주)제)
**: KF-6017(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 세피겔305 ; (SEPPIC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7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 성분 8∼11 및 13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 A에 B를 가하여 유화하고, 성분 12를 첨가하여 O/W 핸드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핸드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우며, 더구나 밀착감도 우수하고, 진정성도 양호하며, 윤기가 있는 마무리로 화장효과도 상당히 우수하고, 온도나 경시에 의해 변하지 않고 상당히 안정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5 : O/W 핸드크림
(성분) (%)
1. 실시예 1의 실리콘화합물 10.0
2. 스테아릴변성아크릴실리콘 8.0
3. 세타놀 1.0
4. 트리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5.0
5. 스테아린산 3.0
6.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 1.5
7.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0.7
8.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5
9.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10. 수산화나트륨(1%수용액) 10.0
11. 1,3-부틸렌글리콜 5.0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4. 정제수 잔량
*: KF-6015(신에쓰가가꾸고교사제)
(제조방법)
A : 성분 1∼9를 혼합, 가열용해하였다.
B : 성분 10∼12 및 14를 혼합, 가열하였다.
C : A에 B를 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13을 첨가하여, O/W 핸드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핸드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우며, 더구나 밀착감이 우수하고, 진정성도 양호하며, 윤기가 있는 마무리로 화장효과도 상당히 우수하고, 온도나 경시에 대해서도 상당히 안정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6 : 에어로졸 조성물
(성분) (%)
1. 실리콘처리 마이카 3.0
2. 크롤히드록시알루미늄 2.0
3. 이소프로필메틸페놀 0.3
4.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2
5.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5.0
6. 실시예 2의 실리콘화합물 5.0
7. 향료 적량
8. 분사제 잔량
(제조방법)
A : 성분 1∼7을 혼합한다.
B : A를 에어졸용 캔에 넣은 후, 성분 8을 충진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품의 에어로졸 조성물은, 방취효과가 높고, 도포시의 끈적임이나 중량감이 없고, 펴짐이 가벼우며, 산뜻하고 매끄러운 감촉을 갖고, 또 재분산성이 양호하므로 상당히 사용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리콘화합물을 배합하므로써, 피부로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끈적임도 없어 감촉이 우수하며, 또한 제품의 제조가 용이한 화장료가얻어지는 한편, 온도나 경시에 의해서 변화하지 않아서, 상당히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5)

  1. 일반식 R1 aR2 bSiO(4-a-b)/2로 표시되고, 융점이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화합물 ;
    다만, 일반식중의 R1은,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동종 또는 이종의, 탄소수가 1∼10이고, 1가인 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또는 불소치환알킬기, R2는 일반식 -(CpH2p)O(CqH2qO)r-X로 표시되는 유기기, X는 스테롤의 수산기를 제외한 1가의 잔기이고, a, b는 각각 1.0 ≤a ≤2.5, 0.001 ≤b ≤1.0, 1.5 ≤a + b ≤2.6을 만족시키는 정수, p는 2∼6의 정수, q는 2∼4의 정수, r은 3∼200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기재된 실리콘화합물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
  3. 화장료 성분으로서,
    (a) 제 1항에 기재된 실리콘화합물 0.1∼70.0중량% 및 (b) 인지질, 분자구조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유제, 물, 분체, 착색제, 계면활성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실리콘수지 및 자외선방어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의 함유량이 0.01∼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자구조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0.1∼7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자구조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이 수용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의 함유량이 0.1∼5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상온에서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의 적어도 일부가 휘발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실리콘유, 분자골격에 -[O-Si-]n-의 반복구조를 갖는 유제, 및 불소기 또는 아미노기를 갖는 유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0. 제 3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및 착색제의 적어도 일부가 실리콘수지, 실리콘엘라스토머를 골격으로 하는 분체 및 분자골격에 -[O-Si-]n-의 반복구조 단위를 갖는 유기분말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1. 제 3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계면활성제가 분자중에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변성실리콘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2. 제 3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계면활성제의 HLB가 2∼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3. 제 3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0.65㎟/초∼10㎟/초의 저점도 실리콘에 대해서, 자체중량 이상의 저점도 실리콘을 함유하여 팽윤할 수 있는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4. 제 3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 분자중에 2 이상의 비닐성 반응부위를 갖는 가교제와의 반응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5. 제 3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폴리옥시알킬렌부분, 알킬부분, 알케닐부분, 아릴부분, 플루오로알킬부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의 부분을 함유하는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6. 제 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수지가 아크릴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실리콘수지가, 피롤리돈부분, 장쇄알킬부분, 폴리옥시알킬렌부분, 플루오로알킬부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의 부분을 분자중에 함유하는 아크릴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8. 제 3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수지가 실리콘 망상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망상화합물이 피롤리돈부분, 장쇄알킬부분, 폴리옥시알킬렌부분, 플루오로알킬부분 및 아미노부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부분을 함유하는 실리콘 망상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20. 제 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에 있어서, 특히 스킨케어용으로서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케어화장료.
  21. 제 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에 있어서, 특히 두발화장용으로서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화장료.
  22. 제 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에 있어서, 특히 제한제용으로서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제료.
  23. 제 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에 있어서, 특히 메이크업용으로서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화장료.
  24. 제 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에 있어서, 특히 자외선방어용으로서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방어화장료.
  25. 제 2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품의 형태가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다층상, 무스상, 스프레이상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027016277A 2000-06-01 2001-05-25 실리콘화합물 및 화장료 KR100754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64337 2000-06-01
JP2000164337A JP4920815B2 (ja) 2000-06-01 2000-06-01 化粧料
PCT/JP2001/004422 WO2001092376A1 (fr) 2000-06-01 2001-05-25 Compose de silicone et preparation cosme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780A true KR20030007780A (ko) 2003-01-23
KR100754347B1 KR100754347B1 (ko) 2007-08-31

Family

ID=1866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277A KR100754347B1 (ko) 2000-06-01 2001-05-25 실리콘화합물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84390B2 (ko)
EP (1) EP1291377B8 (ko)
JP (1) JP4920815B2 (ko)
KR (1) KR100754347B1 (ko)
DE (1) DE60127551T2 (ko)
WO (1) WO20010923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9239A1 (de) * 2000-11-29 2002-06-06 Cognis Deutschland Gmbh Kosmetische und/oder pharmazeutische Emulsionen
JP3670211B2 (ja) * 2000-12-25 2005-07-1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粉体を含有するローション製剤
US20040202627A1 (en) * 2001-08-10 2004-10-14 Akihiro Kuroda Cometics and makeup method
WO2003024413A1 (fr) * 2001-09-14 2003-03-27 Shin-Etsu Chemical Co., Ltd. Composition et preparation cosmetique contenant ladite composition
GB0205531D0 (en) * 2002-03-08 2002-04-24 Unilever Plc Hair treatment compositions
WO2003075863A1 (fr) 2002-03-11 2003-09-18 Kanebo Cosmetics Inc. Cosmetiques
JP2003286125A (ja) * 2002-03-28 2003-10-07 Kose Corp 油中水型乳化化粧料
GB0209485D0 (en) * 2002-04-25 2002-06-05 Procter & Gamble Durable fiber treatment composition
EP1534224A1 (en) * 2002-07-22 2005-06-01 Unilever N.V. Hair care composition
EP1523300B1 (en) * 2002-07-22 2007-10-03 Unilever N.V. Hair care method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of specific 2-hydroxyalkanoic acids
AU2002950308A0 (en) * 2002-07-23 2002-09-12 Phoenix Eagle Company Pty Ltd Topically applied composition
JP4504310B2 (ja) * 2003-05-14 2010-07-14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US20050257718A1 (en) * 2004-05-22 2005-11-24 Engelhard Corporation Natural Pearl in Butylene Glycol
US8357360B2 (en) * 2005-04-23 2013-01-22 E-L Management Corp.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dispersion of silicone elastomers and methods of use
DE102005056497A1 (de) * 2005-11-28 2007-05-31 Beiersdorf Ag Transparente oder transluzente Gele
JP4957001B2 (ja) * 2006-01-30 2012-06-20 日油株式会社 末端アルケニル基含有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ステロ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EA017935B1 (ru) 2006-05-19 2013-04-30 Мэри Кэй Инк.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US7912875B2 (en) * 2006-10-31 2011-03-22 Business Objects Softwar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data using nested panels
US7493330B2 (en) * 2006-10-31 2009-02-17 Business Objects Softwar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ategorical filtering of data
US7906671B2 (en) * 2006-11-03 2011-03-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luids having silicone groups and organic groups containing esters
JP5441899B2 (ja) * 2007-06-29 2014-03-12 ダウ・コーニ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リアルキルオキシレン架橋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を有するシリコーン‐有機ゲル
US20090081316A1 (en) * 2007-09-20 2009-03-26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Boron nitride-containing silicone gel composition
WO2009042732A1 (en) * 2007-09-26 2009-04-02 Dow Corning Corporation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phobic silicone-organic gel blends
US8481006B2 (en) * 2008-04-25 2013-07-09 New Sunshine, Llc Melt formula
EP2415802B1 (en) 2009-03-31 2018-10-17 Ajinomoto Co., Inc. Novel acyl acidic amino acid ester
JP5568247B2 (ja) * 2009-05-11 2014-08-06 ロート製薬株式会社 苦味の低減方法
JP5409287B2 (ja) * 2009-11-16 2014-02-05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2011190177A (ja) * 2010-03-11 2011-09-29 Kao Corp 皮膚外用剤組成物
FR2992174B1 (fr) * 2012-06-21 2014-10-24 Oreal Emulsion huile-dans-eau de maquillage de la peau
US9089131B2 (en) 2013-03-12 2015-07-28 Mary Kay Inc. Preservative system
JP2015003930A (ja) * 2014-10-08 2015-01-08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組成物
WO2018079568A2 (ja) 2016-10-24 2018-05-03 味の素株式会社 ゲル状組成物
JP7047327B2 (ja) * 2016-10-24 2022-04-05 味の素株式会社 ゲル状組成物
JP6994318B2 (ja) * 2017-08-01 2022-01-14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変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
JP6503107B1 (ja) * 2018-03-16 2019-04-17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固形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5734A (en) * 1967-12-01 1970-06-02 Gen Electric Cholesterol-substituted siloxanes
JP2665799B2 (ja) * 1989-05-31 1997-10-22 花王株式会社 エステル変性シリコー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3086241B2 (ja) * 1990-10-03 2000-09-11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JP2631772B2 (ja) 1991-02-27 1997-07-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シリコーン重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水分散能を有するペースト状シリコーン組成物
JPH0525280A (ja) * 1991-07-19 1993-02-02 Kao Corp 新規シリコー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EP0545002A1 (en) * 1991-11-21 1993-06-09 Kose Corporation Silicone polymer, paste-like composition and water-in-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H07238009A (ja) * 1994-02-24 1995-09-12 Kao Corp 皮膚保護化粧料
JPH07278308A (ja) * 1994-04-11 1995-10-24 Kao Corp 環状シリコー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JP2850753B2 (ja) * 1994-04-19 1999-01-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化合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
JP3451724B2 (ja) * 1994-05-26 2003-09-29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3493535B2 (ja) * 1995-08-25 2004-02-03 株式会社コーセー シリコーン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EP0849166A1 (en) * 1996-12-20 1998-06-24 TRW Inc. Modular spacecraft architecture
JP2000034215A (ja) * 1998-07-17 2000-02-0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3639985B2 (ja) * 1998-07-30 2005-04-20 株式会社コーセー 固形状油中水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91377A4 (en) 2003-07-09
EP1291377B1 (en) 2007-03-28
US6984390B2 (en) 2006-01-10
KR100754347B1 (ko) 2007-08-31
JP4920815B2 (ja) 2012-04-18
DE60127551D1 (de) 2007-05-10
US20030219395A1 (en) 2003-11-27
DE60127551T2 (de) 2008-01-31
JP2001342254A (ja) 2001-12-11
WO2001092376A1 (fr) 2001-12-06
EP1291377A1 (en) 2003-03-12
EP1291377B8 (en)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347B1 (ko) 실리콘화합물 및 화장료
KR100697054B1 (ko) 실리콘중합물 및 실리콘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료
KR100965027B1 (ko) 분체 조성물 및 유중 분체 분산물,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장료
KR101117850B1 (ko)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표면 처리제계 및 상기 처리제계로표면 처리된 분체, 및 상기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JP3724988B2 (ja)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JP3979922B2 (ja) 親水化処理粉体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組成物
JP3912961B2 (ja) 新規なシリコーン粉体処理剤及びそれを用いて表面処理された粉体、並びにこの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KR20070090823A (ko)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분체 처리제, 상기 처리제에 의해처리된 분체, 및 상기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JP2009256616A (ja) グリセリン変性シリコーン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JP4807867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粉体処理剤及びそれを用いて処理された表面処理粉体、並びにこの表面処理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3292415A (ja) 化粧料
KR20120015275A (ko)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JP2007269689A (ja) 油中粉体分散物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6213730A (ja) 化粧料
JP2009132638A (ja) 化粧料
JP5345309B2 (ja) 化粧料
KR100650479B1 (ko) 신규한 실리콘 분체 처리제, 이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된분체 및 이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JP2003081770A (ja) シリカ含有複合酸化物球状微粒子を含有する化粧料
WO2020129461A1 (ja)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それを含んだ化粧料
WO2023223800A1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粉体処理剤、並びに該粉体処理剤で処理された処理粉体及び化粧料
US20230172831A1 (en) Cosmetic
JP2009084188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