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275A -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275A
KR20120015275A KR1020110079355A KR20110079355A KR20120015275A KR 20120015275 A KR20120015275 A KR 20120015275A KR 1020110079355 A KR1020110079355 A KR 1020110079355A KR 20110079355 A KR20110079355 A KR 20110079355A KR 20120015275 A KR20120015275 A KR 20120015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opolysiloxane
acid
group
oi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763B1 (ko
Inventor
마사나오 가메이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6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 안정성이 양호하고, 나아가서는 분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피부 친화성,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학식 1>
Figure pat00053

(식 중,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C1 -30 알킬기, C1 -30 불소 치환 알킬기, C6 -30 아릴기 및 C6 -30 아르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Y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 잔기, M은 수소, 알칼리 금속 원자, 암모늄 이온 및 알킬암모늄 이온 중 어느 하나이고, m은 0 내지 300의 정수를 나타냄)

Description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NOVEL ORGANOPOLYSILOXANE AND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수성기를 갖는 특정한 구조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며, 유화 안정성, 분체 분산성이 우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오일은, 그의 안전성 등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유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에 있어서도 다용되고 있으며, 스킨 케어, 메이크업 화장품 등의 용도에 있어서는 특히 100 mm2/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이 그의 우수한 신전성, 산뜻함 및 안전성에 의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실리콘 오일은 화장품 등의 용도에서 유화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많이 사용된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실록산의 말단이나 측쇄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5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주쇄의 실록산부가 분지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서 특허문헌 6이나, 하기 화학식 5와 같은 ABA형 공중합체로서 특허문헌 7도 알려져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식 중 Rb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 알킬렌기, 또는 페닐기이고, lb는 1 내지 5, mb는 40 내지 90, nb는 10 내지 40이고, Xb는 임의의 결합기이고, 우레탄, 요소, 아미드, 에스테르, 알킬에테르가 예시되어 있음)
기타 친수기로서, (폴리)글리세린기를 갖는 실리콘으로서 특허문헌 8, 실록산 부분이 분지된 특허문헌 9, 하기 화학식 6에 나타낸 ABA형 공중합체로서 특허문헌 10 등,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은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분체 분산 안정화제로서도 알려져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식 중, R1b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mb'은 10 내지 120, nb'은 1 내지 11이고, R2b는 탄소수 2 내지 11의 알킬렌으로 예시되어 있음)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의 종류, 결합 부위, 친수기/친유기(실리콘) 균형 등 각각 목적에 따라 사용되고 있지만, 특히 ABA(실리콘-친수기-실리콘)형 공중합체는 유화계 화장료나 분체 함유 화장료에서 안정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한 유화제나 분체 분산 안정화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에서는 피부 친화성이나 화장 지속성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유화 안정성, 분체 분산 안정성뿐만 아니라 피부 친화성 및 화장 지속성을 달성할 수 있는 실리콘이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고 (평)04-1576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평)04-204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평)05-131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평)06-6238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평)05-12979호 공보 일본 특허 제3724988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547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소)62-34039호 공보 일본 특허 제3976226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18472호
본 발명은, 비이온성 친수성기와 음이온성 친수기인 카르복실산 구조를 갖는 신규한 특정 구조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의해 유화 안정성이 양호하고, 나아가서는 분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피부 친화성,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3
(식 중,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C1 -30 알킬기, C1 -30 불소 치환 알킬기, C6 -30 아릴기 및 C6 -30 아르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Y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 잔기, M은 수소, 알칼리 금속 원자, 암모늄 이온 및 알킬암모늄 이온 중 어느 하나이고, m은 0 내지 300의 정수를 나타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을 갖는 신규한 특정 구조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유화 안정성이 양호하고, 나아가서는 분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피부 친화성,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Y로 표시되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 잔기는 (폴리)옥시알킬렌 잔기, (폴리)글리세린 잔기 및 폴리글리세린알킬에스테르 잔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 중의 Y로 표시되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 잔기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에서의 2개의 수산기가 제거된 형태로서 표시되지만, 이 중에서도 (폴리)옥시알킬렌 잔기, (폴리)글리세린 잔기 및 폴리글리세린알킬에스테르 잔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식 중, R1, M, m은 상기와 동일하고, n은 2 내지 6의 정수, a는 1 내지 50의 정수를 나타냄)
이와 같이, 상기 화학식 1 중의 Y가 (폴리)옥시알킬렌 잔기인 경우,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식 중, R1, M, m은 상기와 동일하고, R2는 수소이며, R2의 일부가 하기 화학식 4일 수도 있고, b는 1 내지 10의 정수임)
Figure pat00006
(식 중, R1, M, m은 상기와 동일함)
이와 같이, 상기 화학식 1 중의 Y가 (폴리)글리세린 잔기인 경우,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총 질량의 0.1 내지 40 질량%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상술한 카르복실산을 갖는 신규한 특정 구조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유화 안정성이 양호하고, 나아가서는 분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피부 친화성,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화장료는 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며, 에멀션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을 포함하여 에멀션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화장료는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유, 글리세라이드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며, 비수에멀션의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화장료에 관용되고 있는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유, 글리세라이드유 등의 극성 용매를 포함하는 비수에멀션 화장료의 유화제로서 특히 유효하다.
또한, 이 때, 상기 화장료는 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분체가 분산된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분체 분산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화장료가 분체를 포함하는 것이면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에서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배합하면, 분체 처리 효과(내수성, 내피지성, 유제로의 분산 안정성)에 의해 분체가 고도로 분산된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유화성, 분체 분산성이 우수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 및 피부 밀착성,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에서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배합하면, 분체 처리 효과(내수성, 내피지성, 유제로의 분산 안정성)에 의해 분체가 고도로 분산된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화 안정성이 양호하고, 나아가서는 분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피부 친화성,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면 유화 안정성이 양호하고, 나아가서는 분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는 피부 친화성, 화장 지속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식 중,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C1 -30 알킬기, C1 -30 불소 치환 알킬기, C6 -30 아릴기 및 C6 -30 아르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Y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 잔기, M은 수소, 알칼리 금속 원자, 암모늄 이온 및 알킬암모늄 이온 중 어느 하나이고, m은 0 내지 300의 정수를 나타냄)
이하,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1 중의 R1에 대하여, C1 -30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알킬기이고,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C1 -30 불소 치환 알킬기로서는 상기 알킬기 중 적어도 일부의 수소가 불소 치환된 것이며,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C6 -30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및 톨릴기를, C6 -30의 아르알킬기로서는 벤질기 및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1은 C1 -15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1 -6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및 부틸기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R1의 50 % 이상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R1의 70 % 이상이 메틸기이다. 특히 분자쇄 말단의 R1은 메틸기, 부틸기가 바람직하고, 그 이외의 R1은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 중의 Y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 잔기이고, 분자 중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에서의 2개의 수산기가 제거된 형태로서 표시되는 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로서 디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경우, Y는 -CH2-CH2-O-CH2-CH2-를 나타낸다.
Y로 표시되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 잔기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잔기, 폴리옥시프로필렌 잔기, 폴리옥시부틸렌 잔기, 폴리옥시펜틸 잔기 또는 이들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잔기, 글리세린 잔기, 디글리세린 잔기, 트리글리세린 잔기, 테트라글리세린 잔기 등의 (폴리)글리세린 잔기, 디글리세린모노알킬에스테르 잔기, 트리글리세린모노알킬에스테르 잔기, 트리글리세린디알킬에스테르 잔기 등의 폴리글리세린알킬에스테르 잔기, 펜타에리트리톨 잔기이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이다.
상기 화학식 1 중의 M은, 수소, 알칼리 금속 원자, 암모늄 이온, 알킬암모늄 이온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알칼리 금속 원자이다. m은 0 내지 300이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이다.
상기 화학식 1 중의 Y가 (폴리)옥시알킬렌 잔기인 경우,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식 중, R1, M, m은 상기와 동일하고, n은 2 내지 6의 정수, a는 1 내지 50의 정수를 나타냄)
상기 화학식 1 중의 Y가 (폴리)글리세린 잔기인 경우,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9
(식 중, R1, M, m은 상기와 동일하고, R2는 수소이며, R2의 일부가 하기 화학식 4일 수도 있고, b는 1 내지 10의 정수임)
<화학식 4>
Figure pat00010
(식 중, R1, M, m은 상기와 동일함)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가 알코올 잔기는 분자 중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에서의 2개의 수산기가 제거된 형태로서 표시되는 기일 수도 있고, 다른 일부의 수산기의 수소가 상기 화학식 4로 치환되어 있는 형태, 즉 다가 알코올 잔기로서 상기 화학식 3 중의 R2의 일부가 상기 화학식 4인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피부 밀착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인 카르복실기를 갖고, 폴리실록산과 (폴리)옥시알킬렌 잔기 등의 다가 알코올 잔기를 포함하는 ABA형 블록 공중합체이기 때문에, 유화 안정성 및 분체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피부 친화성,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된다.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이하의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공정 1)
한쪽 말단 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알릴숙신산 무수물을 백금 촉매 또는 로듐 촉매의 존재하에 부가 반응시켜,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합성한다.
Figure pat00011
(공정 2)
(공정 1)에서 합성된 한쪽 말단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다가 알코올 화합물의 알코올성 수산기를 개환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을 수 있다. 단, 산 무수물기 개환 반응시의 부생성물로서 결합이 상이한 이성체를 포함하고 있거나, 다가 알코올 중 하나의 알코올성 수산기와만 반응한 것도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공정 2)에서 얻어진 카르복실산을 수산화나트륨, 암모니아수 등과 반응시킴으로써, M이 알칼리 금속 원자, 암모늄 이온인 것을 얻을 수 있다.
(공정 1)에서 한쪽 말단 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 상기 화학식 7의 알릴숙신산 무수물로 표시되는 불포화기 함유 화합물의 합계의 반응 비율은, 한쪽 말단의 SiH기와 불포화기의 몰비로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이다.
또한, 상기 (공정 1)의 부가 반응은 백금 촉매 또는 로듐 촉매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염화백금산, 알코올 변성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 착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촉매의 사용량은 촉매로서 유효한 양일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백금 또는 로듐량으로 5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ppm 이하이다.
상기 부가 반응은 필요에 따라 유기 용제 중에서 행할 수도 있으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n-펜탄,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용제나 탄화수소 용제 또는 에테르계 용제를 사용한다.
부가 반응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의 환류하에 1 내지 10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2)에서, 한쪽 말단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다가 알코올 화합물의 반응 비율은 알코올성 수산기와 산 무수물기의 몰비로 0.5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0이다.
(공정 2)에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200 내지 2000),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200 내지 3000), 부틸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200 내지 4000), 폴리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100 내지 3000)의 랜덤,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틸렌부틸렌글리콜(분자량 100 내지 4000)의 랜덤, 블록 공중합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화합물,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분자량 1000 이하의 폴리글리세린 등의 이성체 혼합물인 (폴리)글리세린 화합물, 디글리세린모노올레일에스테르,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릴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린모노올레일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린디스테아릴에스테르 등의 폴리글리세린알킬에스테르화합물,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개환 반응은 무촉매여도 용이하게 진행되지만,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촉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용매 중에서 행할 수도 있으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n-펜탄,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무용제나 탄화수소 용제 또는 에테르계 용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피부나 모발에 외용되는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화장료에 관용되고 있는 실리콘과, 물, 글리콜, 에스테르유, 글리세라이드유 등의 극성 용제를 포함하는 화장료의 유화제로서,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의 분산제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 총 질량의 0.1 내지 4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질량%의 범위이다.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의 경우에는 분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0 질량부, 특히 1 내지 20 질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제를 배합할 수 있다.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고체, 반고체, 액상 중 어떠한 유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 탄화수소유,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유, 관용의 실리콘유, 불소계 유제를 사용할 수 있다.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백랍, 들깨유, 올리브유, 카카오 버터, 케이폭 왁스, 비자나무유, 카르나우바 왁스, 간유, 칸데릴라 왁스, 정제 칸데릴라 왁스,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 우지, 행인유, 경랍, 경화유, 소맥 배아유, 호마유, 쌀 배아유, 미강유, 사탕수수 왁스, 애기동백유, 홍화유, 시어 버터, 오동유, 시나몬유, 호호바 왁스, 스쿠알란, 스쿠알렌, 셸락 왁스, 거북유, 대두유, 다실유, 동백유, 달맞이꽃유, 옥수수유, 돈지, 유채씨유, 일본 동유, 쌀겨 왁스, 배아유, 마지, 퍼식 오일,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유, 포도유, 베이베리 왁스,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 너트유, 밀랍, 밍크유, 메도우폼 오일, 면실유, 면랍, 목랍, 목랍 핵유, 몬탄 왁스, 야자유, 경화 야자유, 트리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양지,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 알코올, 경질 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알코올,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POE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POE 라놀린 알코올 아세테이트,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난황유 등을 들 수 있다. 단,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한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직쇄상, 분지상, 나아가서는 휘발성의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오조케라이트,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스쿠알렌,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에틸렌ㆍ폴리프로필렌 왁스,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부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프리스탄, 폴리이소부틸렌,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미소 결정질 왁스, 바셀린 등;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에노산(DHA),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헥사데실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 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세라킬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서는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2-에틸헥산산세틸,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옥탄산세틸, 옥틸도데실검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올레산데실,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시트르산트리에틸, 숙신산 2-에틸헥실,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세박산디이소프로필, 세박산디-2-에틸헥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 2-에틸헥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라우르산에틸, 라우르산헥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에스테르,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세라이드유로서는 아세토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카프릴릴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헥실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저점도 내지 고점도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시클로테트라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고중합도의 검 형상 디메틸폴리실록산, 검 형상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검 형상의 디메틸실록산ㆍ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 고무, 및 실리콘검 또는 고무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용액, 트리메틸실록시규산,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의 환상 실록산 용액, 스테아록시 실리콘 등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장쇄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산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실리콘 수지 및 실리콘 레진의 용해물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제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옥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제의 배합량은 제계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화장료 전체의 1 내지 98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물을 배합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제계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화장료 전체의 1 내지 95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C2 -5 저급 알코올, C2 -10 다가 알코올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알코올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소르비톨, 말토오스 등의 당알코올 등이 있으며,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등의 스테롤,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이 있다.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98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식물계 고분자, 미생물계 고분자, 동물계 고분자, 전분계 고분자,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및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용성 증점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캔스, 갈락탄, 캐로브검, 구아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킨스 시드(마르멜로),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등), 알개 콜로이드(algae colloid), 트랜트검(trant gum), 로커스트빈검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염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중합체 등 다른 합성 수용성 고분자,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이 있다.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총 질량의 0.1 내지 25 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분체를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도 있다. 분체로서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 형상(구상, 침상, 판상 등)이나 입경(연무상, 미립자, 안료급 등), 입자 구조(다공질, 무공질 등)를 막론하고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기 분체, 유기 분체,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 유색 안료, 펄 안료, 금속 분말 안료, 타르 색소, 천연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무기 분체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마이커, 카올린, 견운모, 백운모, 합성 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규산, 무수 규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버미큘라이트, 하이길라이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 파우더, 제2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보론, 실리카 등; 유기 분체로서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폴리에스테르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폴리프로필렌 파우더, 폴리스티렌 파우더, 폴리우레탄, 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셀룰로오스, 실크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12 나일론, 6 나일론, 실리콘 파우더, 스티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비닐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규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미결정 섬유 분체, 전분 분말, 라우로일리신 등;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금속 비누)로서는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세틸인산아연, 세틸인산칼슘, 세틸인산아연나트륨 등; 유색 안료로서는 산화철, 수산화철, 티탄산철의 무기 적색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 블랙 등의 무기 흑색 안료,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보라색 안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 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불용화한 것, 천연 색소를 불용화한 것, 및 이들의 분체를 복합화한 합성 수지 분체 등; 펄 안료로서는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티탄 피복 마이커,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탈크, 어린박(魚鱗箔), 산화티탄 피복 착색 운모 등; 금속 분말 안료로서는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스테인리스 파우더 등; 타르 색소로서는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주황색 201호, 주황색 203호, 주황색 204호, 주황색 206호, 주황색 207호 등; 천연 색소로서는 카르민산, 락카인산, 카르타민, 브라질린, 크로신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이다.
이들 분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분체를 복합화한 것이나, 일반 유제, 실리콘유,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으로 처리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로 처리한 것,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갖는 직쇄상 및/또는 분지상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갖고, 장쇄 알킬로 공변성된 직쇄상 및/또는 분지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갖고, 폴리옥시알킬렌으로 공변성된 직쇄상 및/또는 분지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갖는 아크릴-실리콘계 공중합체 등도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체의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99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특히, 분말 고형 화장료인 경우의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80 내지 99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쪽성의 활성제가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스테아르산나트륨이나 팔미트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 비누,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축합물염, 알칸술폰산염, 알켄술폰산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술폰산염, 지방산 아미드의 술폰산염, 포르말린 축합계 술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제2급 고급 알코올 황산에스테르염, 알킬 및 알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 알킬올아미드의 황산에스테르염, 로트유 등의 황산에스테르염류, 알킬인산염, 에테르인산염, 알킬알릴에테르인산염, 아미드인산염, N-아실락트산염, N-아실사르코신염, N-아실아미노산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및 아미노 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등의 아민염, 알킬 4급 암모늄염, 방향족 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이미다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알킬렌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상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알칸올아미드, 당에테르, 당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베타인, 포스파티딜콜린, 아미노카르복실산염, 이미다졸린 유도체, 아미드아민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분자 중에 폴리옥시알킬렌쇄, 또는 폴리글리세린쇄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장쇄 알킬기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계면활성제에서 친수성의 폴리옥시알킬렌기, 또는 폴리글리세린 잔기의 함유량이 분자 중의 10 내지 70 질량%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총 질량의 0.1 내지 2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 및 메쉬형 실리콘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실리콘 수지는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또한, 피롤리디닐기, 장쇄 알킬기, 폴리옥시알킬렌기분 및 플루오로알킬기, 카르복실기 등의 음이온성의 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메쉬형 실리콘 수지는 R1s 3SiO0 .5 단위와 SiO2 단위로부터 구성되는 수지, R1s 3SiO0.5 단위와 R1s 2SiO 단위 및 SiO2 단위로부터 구성되는 수지, R1s 3SiO0 .5 단위와 R1sSiO1.5 단위로부터 구성되는 수지, R1s 3SiO0 .5 단위와 R1s 2SiO 단위 및 R1sSiO1 .5 단위로부터 구성되는 수지, R1s 3SiO0 .5 단위, R1s 2SiO 단위, R1sSiO1 .5 단위 및 SiO2 단위로부터 구성되는 수지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R1s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또한,피롤리디닐기, 장쇄 알킬기, 폴리옥시알킬렌기 및 플루오로알킬기, 아미노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메쉬형 실리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총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질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실온에서 액상인 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액상유에 대하여 자체의 중량 이상의 상기 액상유를 포함하여 팽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유로서는 상기 액상의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반합성유 등, 불소계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65 mm2/초(25 ℃) 내지 100.0 mm2/초(25 ℃)의 저점도 실리콘유,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등의 탄화수소유나 트리옥타노인 등의 글리세라이드유,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N-아실글루탐산에스테르, 라우로일사르코신산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등의 천연 동식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가교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 부위를 갖고,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와의 사이에서 반응함으로써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 부위를 갖는 것으로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알릴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알릴기를 갖는 폴리글리세린, α,ω-알케닐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기, 폴리글리세린 잔기, 장쇄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및 플루오로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갖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실온에서 액상인 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의 총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8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질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그 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과 디엔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불포화기를 갖는 올레핀 왁스와 1 분자에 1개 이상의 SiH 결합을 갖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실리콘 변성 올레핀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 1-펜텐 등의 탄소 원자수 2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고, 디엔으로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1,4-헥사디엔, 비닐노르보르넨,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이 바람직하다. SiH 결합을 갖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직쇄상이나 실록산 분지형 등의 구조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유용성 겔화제, 유기 변성 점토 광물, 제한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 산란제, 보습제, 방부제, 항균제, 향료, 염류,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 미용용 성분(미백제, 세포 부활제, 거친 피부 개선제, 혈행 촉진제, 피부 수렴제, 항지루제(抗脂漏劑)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 화합물, 모발용 고형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유용성 겔화제로서는,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아연미리스테이트 등의 금속 비누, N-라우로일-L-글루탐산, α,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 덱스트린 팔미트산에스테르, 덱스트린 스테아르산에스테르, 덱스트린 2-에틸헥산산팔미트산에스테르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팔미트산 에스테르, 자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프럭토 올리고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프럭토 올리고당 2-에틸헥산산에스테르 등의 프럭토 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의 벤질리덴 유도체, 디메틸벤질도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 클레이,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 클레이 등의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겔화제를 들 수 있다.
제한제로서는,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염화알루미늄, 알루미늄세스퀴클로로하이드레이트, 지르코닐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한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등의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산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우로칸산에틸 등의 우로칸산계 자외선 흡수제,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 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계 자외선 흡수제,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트리아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자외선 흡수 산란제로서는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철 함유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세륨 및 이들의 복합체 등, 자외선을 흡수 산란하는 분체를 들 수 있고, 이들 자외선을 흡수 산란하는 분체를 미리 유제에 분산시킨 분산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글루코오스, 자일리톨, 말티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스핑고 인지질 등이 있다.
항균 방부제로서는, 파라히드록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페녹시에탄올 등, 항균제로서는, 벤조산, 살리실산, 석탄산, 소르브산, 파라히드록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로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즈알코늄, 염화클로로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이 있다.
염류로서는 무기염, 유기산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탄산, 질산 등의 무기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지르코늄염, 아연염 등; 유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데히드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 등의 유기산류의 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의 염,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류의 염 등이 있다. 또한, 그 이외에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염,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이나, 나아가서는 화장품 처방 중에서 사용되는 산-알칼리의 중화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토코페롤, p-t-부틸페놀,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피트산 등, pH 조정제로서는, 락트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dl-말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 킬레이트제로서는 알라닌, 에데트산나트륨염,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등, 청량제로서는 L-멘톨, 캄포르 등, 항염증제로서는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염, 글리시르레틴산 및 글리시르레틴산스테아릴, 트라넥삼산, 아줄렌 등을 들 수 있다.
피부 미용용 성분으로서는, 태반 추출액, 알부틴, 글루타티온, 호이초 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얄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유우 혈액 추출액 등의 세포 부활제, 거친 피부 개선제,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 팅크, 익타몰, 카페인,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의 혈행 촉진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피부 수렴제, 황, 티안톨 등의 항지루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 A유,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리보플라빈, 부티르산리보플라빈, 플라빈 아데닌 뉴클레오티드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염산염,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B6류, 비타민 B12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15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디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황산나트륨, L-아스코르브산인산디에스테르디칼륨 등의 비타민 C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비타민 H, 비타민 P, 니코틴산,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등의 니코틴산류, 판토텐산칼슘, D-판토테닐 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텐산류, 비오틴 등이 있다.
아미노산류로서는 글리신,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등, 핵산으로서는 디옥시리보 핵산 등, 호르몬으로서는 에스트라디올, 에테닐에스트라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모발 고정용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양쪽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의 각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알킬 하프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산성 비닐 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등의 산성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고분자, (메트)아크릴산/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산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ㆍ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옥틸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양쪽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또는 그의 유도체, 케라틴 및 콜라겐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의 천연 유래 고분자 화합물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의 제형 또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수성, 유성, 유중수형 에멀션, 수중유형 에멀션, 비수에멀션, W/O/W나 O/W/O 등의 멀티 에멀션, 서스펜션, 페이스트상, 고체상일 수 있다.
화장료의 용도도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크림, 클렌징, 팩, 오일 리퀴드, 마사지료, 미용액, 미용 오일, 핸드 크림, 립 크림, 주름 커버제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메이크업 베이스, 컨실러, 백분, 파우더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유성 파운데이션, 볼터치, 아이 섀도우, 마스카라, 아이 라이너, 아이 블로우,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세팅제 등의 모발 화장료; 자외선 차단 오일이나 자외선 차단 유액, 자외선 차단 크림 등의 자외선 방어 화장료; 그 이외에 세정제, 탈취제, 제한제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반응기에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한쪽 말단 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241 질량부, 무수 알릴숙신산 14.7 질량부, 톨루엔 100 질량부를 투입하고, 염화백금산 0.5 중량%의 톨루엔 용액 0.1 질량부를 첨가한 후, 환류하에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하에 가열하여 용제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상기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 255 질량부에 HO(C2H4O)9H의 폴리에틸렌글리콜 20.7 질량부, 아세트산나트륨 0.01 질량부를 첨가하고, 80 ℃에서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 증류에 가하여,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Figure pat00014
(실시예 2)
반응기에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한쪽 말단 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463 질량부, 무수 알릴숙신산 14.7 질량부, 톨루엔 200 질량부를 투입하고, 염화백금산 0.5 중량%의 톨루엔 용액 0.1 질량부를 첨가한 후, 환류하에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하에 가열하여 용제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상기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 464 질량부에 디글리세린 7.6 질량부, 아세트산나트륨 0.01 질량부를 첨가하고, 80 ℃에서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 증류에 가하여,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Figure pat00017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산 무수물기 함유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2) 232 질량부와 HO(C2H4O)15(C3H6O)15H 38.7 질량부, 아세트산나트륨 0.01 질량부를 첨가하고, 80 ℃에서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 증류에 가하여,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Figure pat00018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산 무수물기 함유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9) 255 질량부, 모노스테아르산디글리세린 21.6 질량부, 아세트산나트륨 0.01 질량부를 첨가하고, 80 ℃에서 8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 증류에 가하여,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Figure pat00019
(실시예 5)
반응기에 하기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한쪽 말단 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229 질량부, 무수 알릴숙신산 1.5 질량부, 톨루엔 100 질량부를 투입하고, 염화백금산 0.5 중량%의 톨루엔 용액 0.1 질량부를 첨가한 후, 환류하에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하에 가열하여 용제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하기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상기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 230 질량부에 트리글리세린 1.2 질량부, 아세트산나트륨 0.01 질량부를 첨가하고, 80 ℃에서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 증류에 가하여, 하기 화학식 18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Figure pat00022
(실시예 6)
반응기에 하기 화학식 19로 표시되는 한쪽 말단 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583 질량부, 무수 알릴숙신산 14.7 질량부, 톨루엔 200 질량부를 투입하고, 염화백금산 0.5 중량%의 톨루엔 용액 0.1 질량부를 첨가한 후, 환류하에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하에 가열하여 용제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하기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상기 산 무수물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79 질량부에 트리글리세린 2.2 질량부, 아세트산나트륨 0.01 질량부를 첨가하고, 80 ℃에서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 증류에 가하여,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Figure pat00025
(실시예 7 내지 8,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w/o 유화물(배합량은 질량%를 나타냄)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
성분 1 내지 5를 디스퍼 믹서를 사용하여 1500 rpm으로 교반 혼합한 후, 성분 6, 7을 천천히 첨가하여 유화하였다.
얻어진 유화물 100 g을 밀폐 용이하게 넣어 50 ℃에서 1주일간 정치한 후, 그 유화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분리 없음, △: 다소 분리, ×: 2층 분리
Figure pat00026
ㆍ성분 2: 실시예 1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Na염
실시예 1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카르복실기를 당량의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
ㆍ성분 3: 실시예 2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Na염
실시예 2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카르복실기를 당량의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
ㆍ(주1)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Figure pat00027
ㆍ(주2)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Figure pat0002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르복실기를 갖는 실시예 1, 2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Na염을 사용한 유화물(실시예 7, 8)은, 50 ℃에서 1주일간 경과한 후에도 초기 유화 상태를 유지하였지만, 카르복실기를 갖지 않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한 비교예 1, 2는 유상이 충분히 균일하지 않고 유화계의 안정성이 결여되어 있다.
(실시예 9, 10, 비교예 3, 4)
실시예 1,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2의 조성으로 W/O형 파운데이션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29
(주1), (주2)는 상기와 동일
(주3) 소수화 처리; 분체에 대하여 2 %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첨가 후, 가열 처리한 것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7을 가열 혼합하고, 성분 8 내지 13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B: 성분 14, 15 및 17을 가열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16을 첨가함으로써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실시예 9, 10, 비교예 3, 4에서 얻어진 파운데이션에 대하여, 여성 50명의 전문 패널에 의해 사용 테스트를 행하고, 사용성의 양호함, 색조 균일성의 양호함, 화장 지속력의 양호함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5점: 매우 양호
4점: 양호
3점: 보통
2점: 약간 불량
1점: 불량
각 평가 항목마다 패널 전체의 평가점의 평균을 취하였다. 표 3에서의 각 부호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얻어진 평균점이 4.5점 이상 ◎
얻어진 평균점이 3.5점 이상 4.5점 미만 ○
얻어진 평균점이 2.5점 이상 3.5점 미만 △
얻어진 평균점이 1.5점 이상 2.5점 미만 ×
얻어진 평균점이 1.5점 미만 ××
Figure pat00030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3, 4의 파운데이션은 도포시의 색조는 양호하지만, 피부로의 친화성이 약하고, 화장 지속력이 열악하였다. 이에 비해 실시예 9, 10의 파운데이션은 사용성이 양호하고, 안료 분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감촉이 섬세하고, 색조도 균일하고, 피부와의 친화성이 우수하고, 화장 지속력도 양호하였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은 화장료를 밀폐 용기 내에 넣고 50 ℃에서 1개월간 방치한 후의 외관의 변화 유무에 따라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아이 라이너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4의 조성으로 아이 라이너를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31
(주4) 실리콘 수지: [Me3SiO1 /2]/[SiO2]비가 0.8인 실리콘 메쉬형 화합물의 50 %-D5 용액
(주5) 실리콘 처리 흑산화철; 흑산화철의 질량에 대하여 2 질량%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첨가 후, 150 ℃에서 가열 처리한 것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3을 혼합하고, 성분 4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켰다.
B: 성분 5 내지 7 및 9를 혼합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A에서 얻어진 분산물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 후, 성분 8을 첨가하여 아이 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 라이너는 퍼짐이 가벼워 그리기 쉽고, 끈적임이 없고, 온도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고, 화장 지속력도 매우 양호하였다.
(실시예 12) 선탠 크림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5의 조성으로 선탠 크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32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7, 16 및 17을 가열 용해하였다.
B: 성분 15 및 19의 일부를 가열 교반한 후, 성분 8 내지 12를 첨가하여 분산 처리하였다.
C: 성분 13, 14 및 19의 잔부를 용해하고, B에서 얻어진 분산물과 혼합하였다.
D: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C에서 얻어진 분산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18을 첨가함으로써 선탠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탠 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벼워 끈적임이 없고, 윤기가 있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또한, 화장 지속력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13) 크림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6의 조성으로 크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33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 및 8을 가열 혼합하였다.
B: 성분 5 내지 7 및 10을 가열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9를 첨가함으로써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은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기름기가 없고, 윤기가 있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실시예 14) 자외선 차단 크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7의 조성으로 자외선 차단 크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34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 및 9를 가열 혼합하였다.
B: 성분 7 내지 8 및 11을 가열하여 균일해지도록 분산 혼합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분산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10을 첨가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외선 차단 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볍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또한, 끈적임이 없기 때문에 모래가 전혀 붙지 않고, 사용성이 매우 양호하였다. 또한, 화장 지속력도 양호하기 때문에, 자외선 방지 효과가 지속되었다.
(실시예 15) 아이 섀도우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8의 조성으로 아이 섀도우를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35
(주6) 실리콘 처리; 분체 질량에 대하여 3 질량%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첨가 후, 150 ℃에서 가열 처리한 것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를 혼합하고, 성분 5 내지 7을 첨가하여 균일해지도록 분산시켰다.
B: 성분 8 내지 10 및 12를 균일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분산물에 B에서 얻어진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성분 11을 첨가하여 아이 섀도우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 섀도우는 퍼짐이 가볍고, 기름기나 가루기가 없고, 윤기가 있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내수성이나 발수성, 내한성(耐汗性)이 양호하고, 지속력도 양호하고, 화장이 지워지기 어렵고, 온도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6) 립 크림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9의 조성으로 립크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36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8을 가열 혼합하였다.
B: 성분 9 내지 16 및 18을 가열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성분 17을 첨가하여 캡슐에 충전함으로써 립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고형상의 유중수형 립 크림은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기름기가 없고, 촉촉하여 윤기가 있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고, 시여(施輿)된 립 크림은 지속력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17) 액상 유화 파운데이션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10의 조성으로 액상 유화 파운데이션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37
(주7) 소수화 처리 분체; 분체 질량에 대하여 2 질량%의 스테아르산으로 처리한 것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8을 가열 혼합하고, 성분 9 내지 14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B: 성분 15 내지 17 및 19를 가열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18을 첨가함으로써 액상 유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액상 유화 파운데이션은 점도가 낮고,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기름기가 없고, 촉촉하여 윤기가 있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피부상에서의 화장 지속력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18) 투명 겔 화장료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11의 조성으로 투명 겔 화장료를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38
(제조 방법)
A: 성분 3 내지 11을 균일 용해하였다.
B: 성분 1 내지 2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용액을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고, 유화하여 투명 겔 화장료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투명 겔 화장료는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기름기가 없고, 촉촉하여 윤기가 있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피부에 친화되기 쉽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실시예 19) 자외선 차단 화장수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12의 조성으로 자외선 차단 화장수를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39
(주8) 소수화 처리 초미립자 산화티탄; 티탄 TTO-V-4(이시하라 산교사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6 내지 14를 균일해지도록 용해하였다.
B: 성분 1 내지 4를 혼합하고, 성분 5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C: 교반하에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고, 유화하여 자외선 차단 화장수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외선 차단 화장수는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기름기가 없고, 촉촉하여 윤기가 있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피부에 친화되기 쉽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또한, 자외선 차단 효과도 우수하였다.
(실시예 20) 유액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13의 조성으로 유액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40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7을 가열 혼합하였다.
B: 성분 8 내지 10 및 12를 가열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11을 첨가함으로써 유액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액은 저점도이며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기름기가 없고, 촉촉하여 윤기가 있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또한, 피부상에서의 화장 지속력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21) 자외선 차단 크림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14의 조성으로 자외선 차단 크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41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가열 혼합하였다.
B: 성분 6 내지 8 및 10을 가열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9를 첨가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외선 차단 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볍고, 촉촉하여 윤기가 있고, 기름기나 끈적임이 없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또한, 시여된 자외선 차단 크림은 내수성, 내한성이 우수하여 화장 지속력도 양호하고, 자외선 방지 효과도 지속되었다.
(실시예 22) 액상 파운데이션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15의 조성으로 액상 파운데이션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42
(주9) 불소 변성 실리콘; FL-100(신에쓰 가가꾸 고교사 제조)
(주10) 구상 실리콘 수지 분체; KMP590(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11) 불소 화합물 처리; 퍼플루오로알킬에틸인산디에탄올아민염으로 5 % 피복한 것
(제조 방법)
A: 성분 7 내지 13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 1 내지 6을 70 ℃에서 가열 혼합하고, 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여 균일해지도록 분산 및 혼합하였다.
C: 성분 14 내지 17 및 19를 40 ℃로 가온하여 용액을 얻고, 이것을 B에서 얻어진 분산물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18을 첨가함으로써 액상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액상 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도 가벼울 뿐만 아니라, 산뜻함을 제공하였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실시예 23) 유액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16의 조성으로 유액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43
(주12)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구상 분체; KMP594(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13) 소수화 실리카; 에어로실 R972(닛본 에어로실사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성분 6 내지 7을 첨가하여 균일해지도록 분산시켰다.
B: 성분 14에 성분 8 내지 10을 첨가하여 용해하고, 성분 11, 12를 혼합한 것을 더 첨가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A에서 얻어진 분산물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 후 냉각하고, 성분 13을 첨가하여 유액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액은 퍼짐도 가볍고, 보송보송하여 끈적임이 없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실시예 24) 보습 크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17의 조성으로 보습 크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44
(주14)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구상 분체; KMP594(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15) 소수화 실리카; 에어로실 R972(닛본 에어로실사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 9 및 10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성분 7 내지 8을 첨가하여 균일해지도록 분산시켰다.
B: 성분 11 내지 14 및 16을 첨가하여 용해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용액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 후 냉각하고, 성분 15를 첨가하여 보습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보습 크림은 퍼짐도 가볍고, 끈적임이 없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실시예 25) 아이 라이너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18의 조성으로 아이 라이너를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45
(제조 방법)
A: 성분 1 및 2, 4 내지 7을 혼합하고, 성분 3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분산시켰다.
B: 성분 8 내지 10 및 12를 혼합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A에서 얻어진 분산물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 후 냉각하고, 성분 11을 첨가하여 아이 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라이너는 퍼짐이 가벼워 그리기 쉽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또한, 피부상에서의 내수성, 내한성이 우수하고, 화장 지속력도 매우 양호하였다.
(실시예 26) 자외선 방지 크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19의 조성으로 자외선 방지 크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46
(주16) KP545; 아크릴 실리콘(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17) KSG210; 실리콘 겔(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의 일부에 성분 2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고, 성분 7을 첨가하여 비드밀로 분산하였다.
B: 성분 1의 잔부와 3 내지 6을 혼합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성분 8 내지 10 및 12를 혼합, 용해하였다.
D: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C에서 얻어진 용액을 첨가하여 유화하고, A 및 성분 11을 첨가하여 자외선 방지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외선 방지 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도 가볍고, 밀착감을 제공하였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고, 피부상에서의 자외선 효과도 지속되었다.
(실시예 27) O/W 핸드 크림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20의 조성으로 O/W 핸드 크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47
(주18) KP545; 아크릴 실리콘(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19) KSG16; 실리콘겔(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20) 세피겔 305;(SEPPIC사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7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 8 내지 11 및 13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용액을 첨가하여 유화하고, 성분 12를 첨가하여 O/W 핸드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핸드 크림은 퍼짐도 가볍고, 우수한 밀착감을 제공하고, 집안일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실시예 28) O/W 핸드 크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표 21의 조성으로 O/W 핸드 크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48
(주21) KP545; 아크릴 실리콘(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22) KP561P; 스테아릴 변성 아크릴 실리콘(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9를 혼합, 가열 용해하였다.
B: 성분 10 내지 12 및 14를 가열 혼합하였다.
C: A에서 얻어진 용액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 13을 첨가함으로써 O/W 핸드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핸드 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도 가볍고, 우수한 밀착감을 제공하고, 집안일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떠한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학식 1>
    Figure pat00049

    (식 중,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C1 -30 알킬기, C1 -30 불소 치환 알킬기, C6 -30 아릴기 및 C6 -30 아르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Y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 잔기, M은 수소, 알칼리 금속 원자, 암모늄 이온 및 알킬암모늄 이온 중 어느 하나이고, m은 0 내지 300의 정수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로 표시되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 잔기는 (폴리)옥시알킬렌 잔기, (폴리)글리세린 잔기 및 폴리글리세린알킬에스테르 잔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학식 2>
    Figure pat00050

    (식 중, R1, M, m은 상기와 동일하고, n은 2 내지 6의 정수, a는 1 내지 50의 정수를 나타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학식 3>
    Figure pat00051

    (식 중, R1, M, m은 상기와 동일하고, R2는 수소이며, R2의 일부가 하기 화학식 4일 수도 있고, b는 1 내지 10의 정수임)
    <화학식 4>
    Figure pat00052

    (식 중, R1, M, m은 상기와 동일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총 질량의 0.1 내지 40 질량%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며, 에멀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유, 글리세라이드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며, 비수에멀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분체가 분산된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110079355A 2010-08-11 2011-08-10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KR101787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0421 2010-08-11
JP2010180421A JP5368394B2 (ja) 2010-08-11 2010-08-11 新規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275A true KR20120015275A (ko) 2012-02-21
KR101787763B1 KR101787763B1 (ko) 2017-10-18

Family

ID=4500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355A KR101787763B1 (ko) 2010-08-11 2011-08-10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12354B2 (ko)
EP (1) EP2418236B1 (ko)
JP (1) JP5368394B2 (ko)
KR (1) KR1017877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8150A (ko) * 2012-03-22 2013-10-02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제조 방법
KR20160070086A (ko) * 2013-10-31 2016-06-17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카르복시 작용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8839B1 (en) 2013-09-10 2015-07-14 Christian D Pascal, Sr. Treatment of ashy skin by a topical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6585066B2 (ja) 2013-10-31 2019-10-02 ダウ シリコーンズ コーポレーション 架橋組成物及びその生成方法
EP3063208B1 (en) 2013-10-31 2017-10-18 Dow Corning Corporation Cross-linked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6586554B2 (ja) 2014-04-15 2019-10-09 ジェイオーコスメティックス株式会社 化粧料
JP6280243B2 (ja) * 2014-04-28 2018-02-14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Dow Corning Corporation 架橋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6831672B2 (ja) * 2016-10-31 2021-02-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ヒドロキシル基含有シロキサン又はカルボキシ基含有シロキサンのエステル化方法
JP6718361B2 (ja) * 2016-10-31 2020-07-0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エーテル変性シロキサン及び増粘剤
WO2018165434A1 (en) 2017-03-08 2018-09-13 Dow Silicones Corporation Long last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 elastomer
EP3632961A4 (en) 2017-05-31 2020-12-16 Toray Industries, Inc. SEQUENCED COPOLYMER, PROCESS FOR PRODUCING IT, COMPOSITION OF EPOXY RESIN, CURED PRODUCT AND SEMICONDUCTOR ENCAPSULATION MATERIAL
US10752865B2 (en) 2017-07-19 2020-08-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ethylene glycol-based composition comprising functionalized siloxane polymers
US10752864B2 (en) * 2017-07-19 2020-08-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ethylene glycol-based laundry detergent comprising functionalized siloxane polymers
EP3787594B1 (en) 2018-04-30 2022-08-31 Dow Silicones Corporation Cross-linked composition, personal care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formation
US20210221959A1 (en) * 2018-08-10 2021-07-22 Toray Industries, Inc. Polysiloxane-polyalkylene glycol block copolyme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9290A (en) 1981-03-13 1982-09-14 Shin Etsu Chem Co Ltd Production of glycerol-modified silicone
JPH0663973B2 (ja) 1985-08-07 1994-08-22 東ソー株式会社 免疫反応測定に用いる蛍光検出装置
JPH0415762A (ja) 1990-05-02 1992-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図形編集システム
JPH0420407A (ja) 1990-05-14 1992-01-24 Daifuku Co Ltd コンベヤ使用の搬送設備
JPH0513126A (ja) 1991-06-28 1993-01-22 Nec Corp コネクタ
JPH0512979A (ja) 1991-07-02 1993-01-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US5420638A (en) 1992-04-14 1995-05-30 U.S. Philips Corporation Subassembly for coding images with refresh correction of the data to be coded, and subassembly for decording signals representing these images and previously coded by means of a subassembly of the former kind
JP3724988B2 (ja) 1999-07-30 2005-12-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JP3976226B2 (ja) 2000-12-08 2007-09-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多価アルコール変性シリコーン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4751570B2 (ja) * 2002-09-11 2011-08-17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変性多糖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37782B2 (ja) * 2003-07-07 2012-10-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グリセリン誘導体交互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4442883B2 (ja) * 2003-11-05 2010-03-31 株式会社資生堂 粉体分散安定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US8080239B2 (en) 2005-01-17 2011-12-20 Shiseido Co., Ltd. Cosmetic
JP4567584B2 (ja) * 2005-01-17 2010-10-20 株式会社資生堂 粉体分散安定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粉体分散組成物
JP4715772B2 (ja) * 2007-02-28 2011-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
JP5532648B2 (ja) * 2008-04-03 2014-06-2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ボキシル基を有す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で表面処理された粉体、該粉体の分散物および該粉体を含む化粧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8150A (ko) * 2012-03-22 2013-10-02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제조 방법
KR20160070086A (ko) * 2013-10-31 2016-06-17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카르복시 작용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8236A1 (en) 2012-02-15
JP5368394B2 (ja) 2013-12-18
US20120040931A1 (en) 2012-02-16
JP2012036348A (ja) 2012-02-23
KR101787763B1 (ko) 2017-10-18
US8912354B2 (en) 2014-12-16
EP2418236B1 (en)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027B1 (ko) 분체 조성물 및 유중 분체 분산물,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장료
JP5368394B2 (ja) 新規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化粧料
KR100697054B1 (ko) 실리콘중합물 및 실리콘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료
JP5532648B2 (ja) カルボキシル基を有す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で表面処理された粉体、該粉体の分散物および該粉体を含む化粧料
JP5402063B2 (ja) 化粧料
JP5575685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KR20110134301A (ko) 피막 형성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JP6560151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粧料、及び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
JP2003292415A (ja) 化粧料
JP6215719B2 (ja) 化粧料
JP2007269689A (ja) 油中粉体分散物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5223808B2 (ja) アミド基と水酸基を有す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JP5299147B2 (ja) エステル基含有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JP5196193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合物を含有する化粧料
JP5304515B2 (ja) アミド基を有す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WO2017169278A1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粧料、及び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
JP5795212B2 (ja) 新規なブロック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7048480B2 (ja)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それを含んだ化粧料
WO2021171735A1 (ja) 化粧料
JP4993509B2 (ja) 粉体表面処理剤、該処理剤で処理された粉体、及び該粉体を含む化粧料
JP6754346B2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