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786A -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 Google Patents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786A
KR20020091786A KR1020020029448A KR20020029448A KR20020091786A KR 20020091786 A KR20020091786 A KR 20020091786A KR 1020020029448 A KR1020020029448 A KR 1020020029448A KR 20020029448 A KR20020029448 A KR 20020029448A KR 20020091786 A KR20020091786 A KR 20020091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ewing
needle
cloth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707B1 (ko
Inventor
오노야스시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보턴과 옷감을 따로따로 반송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봉제에 대응가능한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단부에 재봉바늘(5)을 구비한 바늘봉(9)을 대략 수평하게 설치된 주축(7)에 의해 상하로 구동하는 바늘 상하이동기구(10)와, 바늘봉을 X방향으로 흔드는 바늘진동기구(11)와, 윗면에 하 보턴 및 봉제물을 대략 수평하게 올려놓는 밑판(56)을 X방향으로 직교하고 Y방향으로 구동하는 하 Y이송기구(50)와, 상 보턴을 파지하는 척부(90)를 Y방향으로 구동하는 상 Y이송기구(30)와, 상 보턴 파지부를 X방향으로 평행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보턴차동기구(70)와, 상기 각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CPU(102)를 구비하는 재봉틀(1)이다. 재봉틀(1)에 의하면 상 보턴과 천(하 보턴)을 각각 독립적으로 XY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NECK-WRAPPING BUTTON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적으로 천위에 보턴(이하 상 보턴)을 봉제하고, 또한 상 보턴과 천사이의 봉제실(다음 목(neck)실이라 함)의 주변에 실을 감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에서는 베드부 등에 XY이송장치를 부착하고, 이 XY이송장치에 의해 천과 상 보턴을 일체로 반송하면서 바늘봉의 상하운동과 베드부내의 루퍼와의 협동에 의해 천에 상 보턴을 달았다.또 다른 예로서는 예를들면 바늘봉을 X방향으로 바늘을 흔들어 구동하고, 천과 상 보턴을 Y이송으로 하는 것으로 바늘봉에 대해 천과 상 보턴을 상대적으로 XY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 보턴과 천을 일체로 반송하는 타입이면 여러가지 제약이 발생하여 다양한 봉제상황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었다. 예를들면 다음의 (1)~(3)으로 도시하는 문제가 있었다.
(1) 코드등에서는 상 보턴과 함께 천의 뒤쪽에 보강용의 힘보턴을 봉제하는 경우가 많다. 힘보턴은 상 보턴에 비교하여 작게 형성됨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상 보턴과 힘보턴 각각의 보턴구멍의 크기도 구멍사이의 핏치도 다르다. 그러나 상하 보턴도 천도 일체로 반송하는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천을 통한 상태로 핏치가 다른 상 보턴과 힘보턴을 동시에 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일부러 상 보턴과 같은 핏치의 힘보턴을 작제하여 그것을 이용하는 방법도 취해졌지만 실제로는 거의 손바느질로 하여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국 특개평 8-117465호 공보에는 상 보턴과 힘보턴을 각각 독립적으로 반송하기 위해 2대의 XY테이블을 배치한 재봉틀이 기재되어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2대의 XY테이블을 배치하면 양자를 구동했을 때의 진동이나 소음이 커지는 데다가 재봉틀 전체의 중량이 무거워져 실용적이지 못했다. 또한 XY테이블은 재봉바늘이 빠져있을 때에만 즉 간헐적으로 동작하게 되므로 고속화에 한계가 있다.
(2) 천에 상 보턴을 달 때에는 외관면에서 천측의 바늘낙하위치는 대략 1개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으로 봉제할 경우에는 도 19(a)와 같이 천(S)에 대해서는 대략 1개소에 바늘을 떨어뜨려 이 상태에서 목감기를 하면 도 19(b)와 같이 천에서 이어지는 실은 직선적이 되어 외관이 좋아진다.
그러나 종래의 재봉틀로 봉제하면 상 보턴과 천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는 늘 같기 때문에 결국 상 보턴의 구멍의 핏치는 그 대로 천의 바늘낙하위치가 되었다. 즉 도 19(c)와 같이 보턴(B)과 천(S)에 이어지는 실은 보턴구멍의 핏치폭(W)에 대응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고, 목감기를 하면 도 19(d)와 같이 목감는 부분의 상하에 있어서 봉제실이 퍼진 상태가 되어 버려 외관이 좋지 않았다.
또한 천에 대한 바늘낙하위치를 상황에 따라서는 약간 비키게 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보턴다는 봉제의 개시시나 종료시에는 같은 구멍에 여러번 재봉바늘을 떨어뜨리는 「락스티치」를 행하지만 같은 구멍의 같은 위치에 바늘을 수회 떨어뜨리는 경우와, 천의 상처를 방지하는 등의 이유로 같은 구멍의 약간 다른 위치에 떨어뜨리는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종래의 재봉틀에서도 문제는 없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들면 보턴구멍의 직경 2mm에 대해 재봉바늘의 직경이 1mm이면 재봉바늘은 계산상 0.5mm, 실제로는 0.3mm정도밖에 비키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하나의 보턴구멍안에서 천의 위치를 비키게 하면서 락스티치를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3) 통상 수작업으로 상 보턴을 목감기용 보턴을 다는 경우에는 상 보턴과천에 이어지는 목 실이 천의 뒤쪽으로 나오지 않도록 봉제하지만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1바늘만 천뒤쪽을 지나게 한다. 이 뒤쪽을 지난 실을 「역(力)실」이라 하고, 이에 따라 상 보턴은 천에 충분한 강도를 갖고 봉제된다. 그리고 그 후 목감기를 행한다.
한편 종래의 재봉틀에 의한 목감기용 보턴다는 봉제는 우선 도 20(a)과 같이 뒤집은 상태의 천(S)의 위쪽에 보턴(B)이 절반 걸리는 상태로 구멍(h1)에 바늘을 떨어뜨릴 때에는 천 안에 바늘을 떨어뜨리고, 구멍(h2)에 바늘을 떨어뜨릴 때에는 천에는 바늘은 떨어지지 않도록 봉제한다. 전자를 「블라인드 스티치(공그르기)」, 후자를 「 공(空) 봉제」라 한다. 그리고 블라인드 스티치와 공 봉제를 반복하는 것으로 보턴(B)과 천(S)사이에 목 실(T)을 형성하고 일단 실을 끊는다.
이어서 도 20(b)과 같이 보턴(B)의 방향을 90도 바꾸고, 이 상태에서 목 실(T) 주변에 목감는 실을 감는다. 이 때 목감는 실 중 1바늘분을 역실(t)로 하여 천(S)의 뒤쪽을 지나게 한다. 따라서 여기서의 역실(t)은 본래의 손바느질시의 역실과는 다르고, 보턴(B)과 천(S)을 직접 연결하는 목 실(T)이 아니며, 단순히 목 실에 감겨져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강도가 약하다. 도 20(a)의 봉제시에 천(S)이동시킬 수 있으면 목 실을 역실로 할 수 있지만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천과 보턴의 위치관계가 고정이기 때문에 그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일본국 특공평 2-45913호 공보에는 목 실 봉제시에 실린더로 천을 이동시켜 역실을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일정한 거리밖에 이동할 수 없어 보턴의 크기 등의 봉제조건이 바뀌면 수작업으로 조절해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1)~(3)에 덧붙여 종래의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도 있었다. 봉제공장의 라인생산에 있어서 보턴다는 봉제를 할 경우 하나의 옷으로 여러종류의 보턴다는 봉제가 행해진다. 예를들면 하나의 슈트라도 도 20과 같이 「블라인드 스티치 목감기 봉제」, 블라인드 스티치만 행하는 「블라인드 스티치 컨택트 봉제(contact sewing - 목감기의 전단계에서 직접 보턴을 다는 것을 의미함)」, 상 보턴, 천, 힘보턴(하 보턴)을 상하로 배열하여 봉제하는 「하 보턴 다는 봉제」등이 혼재한다. 지금까지는 각각의 봉제마다 전용의 기종을 나열했다. 따라서 한벌의 옷을 봉제할 경우에 보턴다는 종류마다 천을 떼어 전용의 기종에 셋트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고, 작업자에 의한 취급공정이 많아져 작업효율이 좋지 못했다. 또 보턴다는 종류마다 전용기를 갖추므로 고가의 설비투자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보턴과 천을 따로따로 반송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봉제조건에 대응가능하며,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목감기용 단추다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의 일예인 재봉틀의 외관의 개략을 제어프로그램도와 함께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바늘진동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바늘진동기구 각각의 구동모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바늘진동기구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상 Y이송기구와 척유닛을 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상 Y이송기구와 척유닛을 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척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척유닛의 저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척유닛을 모터유닛이 빠진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밑판과 하 Y이송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하 Y이송기구를 밑판을 떼어낸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하 Y이송기구의 저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a)는 4개구멍 상 보턴과 4개구멍 하 보턴의 봉제를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며, (b)는 4개구멍 상 보턴과 2개구멍 하 보턴의 봉제(세로 주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4는 4개구멍 상 보턴과 2개구멍 하 보턴의 봉제(가로 주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는 (a)는 2개구멍 상 보턴과 2개구멍 하 보턴을 예시한 도면이며, (b)는 2개구멍 상 보턴과 4개구멍 하 보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16은 (a)블라인드 스티치(공그르기)의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b)는 역사(力絲)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17은 생크(shank button)보턴과 4개구멍 하 보턴의 봉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8은 척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9는 상 보턴을 천에 봉제하는 모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목감기용 보턴다는 봉제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블라인드 스티치를 도시하고, (b)는 목감기 봉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재봉틀(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5: 재봉바늘
7: 주축9: 바늘봉
10: 바늘 상하이동기구(바늘 상하구동수단)
11: 바늘진동기구(바늘진동 구동수단)
30: 상 Y이송기구(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
40: 보턴 상하이동기구46: 보턴 회전기구(회전수단)
50: 하 Y이송기구(천이송 구동수단)
53: 타이밍 벨트56: 밑판(천이송 판)
57: 탕그
70: 보턴 차동기구(제 2보턴 이송구동수단)
71,200: 척 유닛72: 차동모터
101: 전장(電裝) 박스102: CPU(제어수단)
102a: 메모리103: 조작패널
B,B1~B5: 상 보턴C1~C6: 하 보턴
E: 생크보턴S: 천(봉제물)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예를들면 도 1 ~ 도 17과 같이,
하단부에 재봉바늘(5)을 구비한 바늘봉(9)을,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주축(7)에 의해 상하로 구동하는 바늘상하 구동수단(바늘 상하이동기구(10))과,
주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바늘봉을 흔드는 바늘진동 구동수단(바늘진동기구(11))과,
윗면에 하 보턴 및 봉제물을 올려놓는 천이송 판(밑판(56))을, 바늘진동 구동수단의 바늘진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천이송 구동수단(하 Y이송기구(50))과,
상 보턴을 대략 수평하게 파지하는 상 보턴 파지부(척부(90))를 천이송 구동수단의 천이송 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상 Y이송 기구(30))과,
상 보턴 파지부를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의 구동방향으로 직교하고 또한 바늘진동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보턴 이송구동수단(보턴 차동기구(70))과,
상기 각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PU(1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재봉틀(1))이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재봉바늘은 바늘진동 구동수단에 의해 주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직교하는 면내에 있어서 요동운동한다. 또 상 보턴에 관해서는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에 의해 천이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에 직교하는 제 2보턴 이송구동수단에 의해 바늘진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하 보턴 및 천에 관해서는 천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바늘진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재봉바늘의 요동운동을 이용하면 결국 하 보턴 및 천을 상 보턴에 대해 상대적으로 천이송 구동수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 보턴과, 천(하 보턴)을 각각 수평면내에 있어서 서로 직행하는 2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구동수단을 조합하는 것으로 상 보턴과, 천(하 보턴)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고, 종래는 불가능하였던 각종 보턴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 보턴과, 천(하 보턴)을 각각 서로 직행하는 2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하 보턴에 대해서는 바늘진동기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2대의 XY테이블을 배치하여 이들을 구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바늘봉의 요동이나 XY테이블의 이동도, 바늘이 바늘판 보다 위쪽에 위치할 때만 동작시키므로 어떠한 경우라도 간헐적인 운동이지만 실제 구성상 바늘봉의 요동운동쪽이 테이블을 구동하는 것보다 빨라 고속운전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효율이 좋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예를들면 도 18과 같이,
하단부에 재봉바늘을 구비한 바늘봉을, 대략 수평하게 설치된 주축에 의해 상하로 구동하는 바늘 상하구동수단과,
주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직교하는 면내에 있어 바늘봉을 흔드는 바늘진동 구동수단과,
윗면에 하 보턴 및 봉제물을 올려놓는 천이송판을, 바늘진동 구동수단의 바늘진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천이송 구동수단과,
상 보턴을 대략 수평으로 파지하는 상 보턴 파지부를 천이송 구동수단의 천이송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과, 상 보턴 파지부를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의 구동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바늘진동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보턴 이송구동수단 중 어느 한쪽과,
상기 각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이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재봉바늘은 바늘진동 구동수단에 의해 주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요동운동한다. 상 보턴에 관해서는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 또는 제 2보턴 이송구동수단에 의해 천이송 방향 또는 바늘진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하 보턴 및 천에 관해서는 천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바늘진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 보턴, 천(하 보턴), 재봉바늘을 각각 일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되므로 이들의 구동수단을 조합시키는 것으로 상 보턴과, 천(하 보턴)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어느 정도 자유롭게 바꿀 수 있고 종래는 불가능하였던 각종 보턴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에 있어서,
천이송판은,
봉제물을 절곡한 상태로 고정하고 블라인드 스티치를 가능하게 하는 천 고정부(천 협지부(60), 포지션(A))와,
봉제물의 아래쪽에서 하 보턴을 고정하고, 하 보턴 다는 봉제를 가능하게 하는 하 보턴 고정부(포지션(B))와,
봉제물의 윗면에 상기 상 보턴을 컨택트 봉제하는 컨택트 봉제를 가능하게 하는 상 보턴 컨택트(contact) 봉제부(포지션(C))를 구비하고,
천이송 구동수단은 천고정부와 하 보턴 고정부와 상 보턴 컨택트 봉제부의 각각이 거의 재봉바늘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천이송 판을 구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천이송판에 각종 보턴다는 봉제에 대응한 포지션으로서 천고정부, 하 보턴 고정부, 상 보턴 컨택트 봉제부를 배치하고, 천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천고정부와 하 보턴 고정부와 상 보턴 컨택트 봉제부의 각각은 거의재봉바늘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천이송판이 구동된다. 따라서 하나의 옷에 블라인드 스티치, 하 보턴다는 봉제, 컨택트 봉제의 3종류의 보턴을 다는 경우에 한대의 재봉틀로 대응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보턴다는 종류마다 작업자가 재봉틀에서 재봉틀로 봉제물을 이동시키거나 부착물의 교환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 보턴다는 종류마다 재봉틀을 구입하는 것에 비해 원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과 같이 종래는 블라인드 스티치에 있어서는 역실을 형성할 수 없어 목감기시에 천 뒤쪽을 통과하게 하여 역실 대신으로 했다. 그러나 청구항 3의 재봉틀에서는 천 고정부에서의 블라인드 스티치로 목 실을 형성하는 공정 중에, 상 보턴에 대해 천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블라인드 스티치안에 천 뒤쪽에봉제실을 통과하게 하여 역실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 보턴에 충분한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프로그램 봉제가 가능하게 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블라인드 스티치, 하 보턴다는 작업 및 컨택트 봉제를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보턴다는 봉제의 2종류 이상을 연속하여 봉제하는 사이클 봉제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수단(메모리(102a))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상기 사이클 봉제의 프로그램에 따라 사이클 봉제를 행하도록 상기 각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서, 기억수단에 기억된 사이클 봉제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 구동수단을 동작하고, 구체적으로는 천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천이송 판을 구동하며, 재봉바늘 하의 소정위치에 천 고정부, 하 보턴 고정부, 상 보턴 컨택트 봉제부를 적절한 순서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더욱 더 종류가 다른 보턴다는 봉제를 연속봉제하는 경우의 시간 간격을 적게할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 또는 2의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이면 상 보턴과 하 보턴과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고, 청구항 5와 같이 상하의 보턴의 종류나 구멍 핏치에는 관계없이 봉제할 수 있다.
즉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목감기용 보턴다는재봉틀에 있어서,
구멍의 개수와 구멍의 핏치와 구멍의 배치의 최소한 하나가 다른 조합의 상보턴 및 하 보턴에 의한 하 보턴 다는 봉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상하 보턴을 재봉틀로 봉제할 경우에는 구멍핏치가 완전 동일한 상하의 보턴을 이용해야 한다는 등의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재봉틀에서는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하의 보턴에 대해서는 제약이 없고 여러가지 조합을 선택할 수 있어 보턴다는 봉제의 폭이 넓어진다.
여기서 「구멍의 개수와 구멍의 핏치와 구멍의 배치의 최소한 하나가 다르다」이기 때문에 전부가 달라도 좋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틀이면 상 보턴과 천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블라인드 스티치나 컨택트 봉제라도 청구항 6의 재봉틀과 같이 바늘낙하 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 보턴의 보턴 구멍을 통한 재봉바늘의 봉제물로의 바늘낙하위치는 1점에 집중하는 솔기와, 소정의 2점에 집중하는 솔기와, 소정의 3점 이상으로 하는 솔기의 각각이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늘낙하점을 한 점에 집중시키면 보턴과 천을 옆쪽에서 본 경우에 양자에 이어지는 봉제실이 「V자형」이 된다. 이 후에 목감기 봉제를 하면 외관이 좋은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봉제실이 굵고 천의 동일 개소에 바늘이 낙하하는 것으로 봉제매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소정이 3점 이상의 점에 바늘을 낙하시키면 된다. 또는 목 실에 의해 상 보턴이 천에 대해 지지되도록 안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턴구멍의 구멍 핏치보다도 큰 간격을 갖도록 소정의 2점에 바늘을 낙하시켜도 좋다. 물론 보턴구멍의 구멍핏치와 동일 간격으로써 소정의 2점에 바늘낙하시켜도 좋고 구멍핏치보다도 좁게 소정의 2점에 바늘낙하시켜도 좋다.
또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재봉틀이면 상 보턴에 대해 천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청구항 7의 재봉틀과 같이 락스티치시의 바늘낙하점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기재의 목감기용 보턴을 다는 재봉틀에 있어서,
동일한 보턴구멍에 연속하여 여러번 재봉바늘을 지나게 하는 락스티치에 있어서, 보턴구멍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봉제물 상의 임의의 여러 위치에 바늘낙하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하나의 보턴구멍에 여러번 바늘을 낙하시키는 경우, 천의 거의 같은 개소에 바늘을 낙하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 보턴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봉제물을 움직임으로써 하나의 보턴 구멍을 통과하면서 다른 개소에 바늘을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봉제 상황에 따라 예를들면 천의 올에 대해 봉제실이 상당히 굵고 동일 개소에 바늘을 낙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는 경우에 적당하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 7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 보턴이 연직으로 지지되도록 상 보턴 파지부를 90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보턴 회전수단(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회전수단에 의해 상 보턴파지부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목감기 봉제나 생크보턴의 봉제시에 상 보턴을 세운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의 일예로서의 재봉틀(1)의 외관의 개략구성을, 제어회로의 블록도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재봉틀(1)은 베드부(2)와, 베드부(2)로부터 입설하는 종동부(3)와, 종동부(3)로부터 베드부(2)에 대향하도록 연설하는 암부(4)로 구성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재봉틀(1)의 전후방향, 상하방향은 도 1과 같으며 각각 Y방향, Z방향으로 한다. 또 도 1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좌우방향(X방향, 도 2)으로 하고 있다.
재봉틀(1)은 암부(4)의 선단에 배치된 바늘봉(9)의 선단에 고정되고, 실이 지나간 재봉바늘(5)과, 베드부(2)안에 재봉바늘(5)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루퍼와의 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천(봉제물)에 보턴을 다는 것이다. 루퍼의 동작 등의 솔기의 형성에 대해서는 주지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재봉틀(1)은 상 보턴이나 천 등을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반송함으로써 다양한보턴다는 봉제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서는 보턴 등을 반송하는 각종 기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이른바 바깥 보턴을 상 보턴, 역 보턴과 같이 바깥 보턴에 대해 천의 뒤쪽에 부착된 보턴을 하 보턴으로서 설명하고 있다.
도 2 ~ 도 4는 재봉틀(1)에 배치되는 바늘 상하이동기구(10) 및 바늘진동기구(1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바늘 상하이동기구(바늘 상하구동수단)(10)는 재봉바늘(5)을 상하로 구동하는 것으로 재봉틀(1)내부에 고정된 주축모터(14)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다. 주축모터(14)의 출력축에는 베어링(7a)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축(7)이 접속된다. 또한 이 주축(7)의 선단에는 균형추(18)가 부착된다. 이 균형추(18)에 인접하여 천칭링크(16) 및 천칭(25)이 배치된다. 천칭링크(16)의 일단부와 천칭(25)의 기부는 각각 균형추(18)에 대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 지지되고, 균형추(18)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궤적을 따라 상하이동한다.
천칭링크(16)의 타단부는 균형추(18)의 편심위치에 고정된 바늘봉 클랭크(19)의 일단부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부착되고, 바늘봉 클랭크(19)의 타단부에는 바늘봉 클랭크 로드(26)의 상단부가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부착된다. 바늘봉 클랭크 로드(26)의 하단부에는 축공(26a)이 형성된다. 바늘봉 클랭크 로드(26)의 뒤쪽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29a)이 형성된 안내부재(29)가 배치되고, 가이드홈(29a)에 각구(角駒)(27)가 접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게 된다. 각구(27)에는 수평방향으로 축공(27a)이 형성된다.
한편 바늘봉 클랭크로드(26)의 앞쪽에는 상하로드(28)가 배치된다. 상하로드(28)에는 상하로 늘어서는 2개의 축공이 형성되고, 위쪽의 축공(도시생략)에는 바늘봉(9)을 고정지지하고 있는 바늘봉 감싸는 부(8)에 고정된 축이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지나가고 있다. 그리고 상하로드(28)의 아래쪽의 축공(28a)과, 바늘봉 클랭크 로드(26)의 축공(26a)과, 각구(27)의 축공(27a)에는 도시하지 않은 축이 지나며, 이에 따라 바늘봉 클랭크 로드(26)의 상하이동이 각구(27)와 상하로드(28)에 전달된다. 또한 도 4에서는 설명의 사정 상, 축공(27a)(26a)(28a)이 보이도록 편리하게 상하방향으로 비키게 한 상태로 도시하지만 실제로는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늘어서 있다.
이상의 구성의 바늘 상하이동기구(10)에서는 주축 모터(14)의 회전에 의해 주축(7)이 회전하면 균형추(18)가 회전하고, 바늘봉 클랭크(19)의 일단부가 주축(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바늘봉 클랭크 로드(26)가 상하한다. 이 상하이동은 상하로드(28), 바늘봉 감싸는 부(8)를 통해 바늘봉(9)에 전달되고 재봉바늘(5)이 상하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바늘진동기구(바늘진동 구동수단)(11)는 재봉바늘(5)을 좌우로 왕복요동하는 것으로 펄스모터인 바늘진동모터(20)를 구동원으로 한다. 바늘진동모터(20)는 재봉틀(1)의 기틀에 고정되고 주축모터(14)와 동기하여 회전한다. 그 출력축에 제 1링크(24)가 접속되고, 이 제 1링크(24)에 제 2링크(23)가, 제 2링크(23)에 제 3링크(22)가 순서대로 연결되고 있다. 제 3링크(22)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바늘봉 요동간(桿)(12)의 후단부가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접속된다. 바늘봉요동간(12)의 앞단부에는 대략 L자모양을 갖는 요동팔(13)이 고정되고 또한 요동팔(13)의 선단에는 요동 각구(15)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바늘봉(9)은 그 중간부와 상부에 있어서 바늘봉 요동대(6)에 대해 상하로 접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이 바늘봉 요동대(6)는 지점핀(17)을 중심으로 X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구성된다. 바늘봉 요동대(6)의 하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홈(6a)이 형성되고 이 홈(6a)에 요동각구(15)가 상하로 접동이 자유롭도록 끼워지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바늘진동기구(11)에 있어서는 바늘진동모터(20)가 작동하면 그 회전이 제 1링크(24), 제 2링크(23), 제 3링크(22)를 통해 바늘봉 요동간(12)에 전달되어 왕복요동한다. 이 요동이 요동각구(15)를 통해 바늘봉 요동대(6)에 전해지고 바늘봉 요동대(6)는 지점핀(17)을 중심으로 바늘봉(9)마다 X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재봉바늘(5)이 바늘진동된다.
그러나 상기 상하로드(28)는 그 상하의 축공을 지나가고 있는 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하는 것으로 축공(28a)을 중심으로 연직면 내에서 바늘봉(9)의 요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바늘봉(9)은 바늘봉 감싸는 부(8)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면서 바늘봉 감싸는 부(8)와 함께 바늘봉 요동대(6)에 의해 X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된다.
또 바늘진동모터(20)는 상술과 같이 주축모터(14)와 동기하여 작동하지만구체적으로는 재봉바늘(5)가 베드부(2) 윗면의 바늘판(도시 생략)보다도 위쪽에 위치할 때만 바늘봉(9)이 요동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 바늘 상하이동기구(10)의 바늘봉 클랭크 로드(26)에는 바늘봉 클랭크(19)의 클랭크 운동에 의한 관성력의 횡방향의 분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그 횡방향의 힘은 각구(27)에 전달되어 가이드홈(29a)에 있어 흡수되고, 결과적으로 바늘봉(9)측에는 횡방향으로 벗어나는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바늘봉 요동간(12)에는 바늘 상하이동기구(10)측에서 발생하는 부하에 맞서는 힘은 걸리지 않고, 바늘봉(9)과 바늘봉 요동대(6)와 요동팔(13)의 요동의 관성에 의한 부하만 걸려 바늘봉 요동간(12)에 걸리는 부하가 그 만큼 커지지 않아 고속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는 척부(90)에 파지된 상 보턴(B)을, Y방향으로 반송하는 상 Y이송기구(30)와 X방향으로 반송하는 보턴차동기구(70)를 도시했다.
상 Y이송기구(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30)는 암부(4) 중앙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상 Y이송모터(32)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다. 상 Y이송모터(32)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 출력축에는 피니온(32a)이 고정된다.
암부(4)의 중앙부에는 이른바 안쪽 부분으로 돌출하도록 상 Y이송베이스(36)가 배치된다. 이 상 Y이송 베이스(36)의 윗면(36b)위에는 암부(4)에 고정되는 암가이브부(31)(31)와 결합하는 베이스 가이드부(36a)(36a)가 배치된다. 암가이드부(31)(31)와 베이스 가이드부(36a)(36a)는 서로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요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있다.
상 Y이송베이스(36)의 테두리부에는 윗면에 랙(33)을 지지하는 랙지지대(36c)가 배치되고, 이 랙(33)에 대해 상기 피니온(32a)이 맞물린다. 따라서 상 Y이송 모터(32)가 일방향으로 회전동작하여 피니온(32a)이 회전하면 랙(33)을 통해 상 Y이송베이스(36)가 전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암부(4)내부로서 랙지지대(36c) 근방에는 포트인터럽트로 이루어지는 위치센서(42)가 배치된다. 한편 랙(33)의 측면에는 피센서판(33a)이 고정된다. 랙(33)이 소정 거리 앞쪽으로 이동해 오면 피센서판(33a)이 포트인터럽트인 위치센서(42)사이를 지나고, 이에 따라 랙(33)이 앞쪽에서의 한계위치에 달한 것을 검출하여 다시 전진하면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접촉하며, 이 이상 앞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 Y이송베이스(36)에는 후술의 척유닛(71)을 상하시키는 보턴 상하이동기구(40)가 배치된다. 보턴 상하이동기구(40)는 상 Y이송베이스(36)내부에 부착되고, 정역 양회전이 가능한 상하구동모터(35)와, 이 상하구동모터(35)의 출력축에 고정된 상하 피니온(35a)과, 상 Y이송베이스(36)의 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부착된 상하랙(41)으로 이루어진다. 상하랙(41)은 척유닛(71)을 지지하는 척지지팔(34)에 대해 랙지지판(41a)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하구동모터(35)가 일방향으로 회전동작하여 상하피니온(35a)이 회전하면 상하랙(41)이 상하 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랙지지판(41a)을 통해 척지지팔(34)이 상하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하피니온(35a)에 근접하고 랙지지판(41a)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 가이드봉(43)이 배치된다.
보턴 상하이동기구(40)의 근방에는 척유닛(71)을 90도 회전시키는 보턴회전기구(회전수단)(46)가 배치되고, 척지지팔(34)의 상부 측면에 배치된회전실린더(37)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다. 이 회전실린더(37)는 2개의 에어입구(37a)(37a)를 구비한 복동(複動)형의 에어실린더로 출력로드(37b)를 전후로 왕복구동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출력로드(37b)의 선단에는 거의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삼각링크(38)의 1정점이 회동가능하게 접속된다. 삼각링크(38)의 2개째의 정점에는 척지지팔(34)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가늘고 긴 주 링크(39)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또 삼각링크(38)의 3개째의 정점은 척지지팔(34)에 접속된다. 주 링크(39)의 타단부는 도 7 등과 같이 척지지팔(34)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체(45)에 접속된다. 이 회전체(45)에, 척유닛(71) 전체를 지지하는 유닛지지팔(81)로부터 뻗어나오는 유닛축(81a)이 고정된다. 또한 척지지팔(34)의 하단부에는 축공(도시생략)이 형성되고, 이 축공에 유닛축(81a)이 회동가능한 상태로 관통하고 있다.
보턴회전기구(46)에 있어서는 삼각링크(38), 주 링크(39), 회전체(45), 척지지팔(34)에 의해 척지지팔(34)을 고정링크로 하는 4절(節) 링크가 구성된다. 그리고 출력로드(37b)가 전후로 움직이는 것으로 회전체(45)가 90도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로써 유닛축(81a)을 통해 척유닛(71)이 90도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로드(37b)가 압출된 상태에서 척유닛(71)은 상 보턴(B)을 수평방향으로 파지하고(도 5, 도 6의 상태), 출력로드(37b)가 인입되면 척유닛(71)은 도 6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 보턴(B)이 서도록 파지한다. 목감는 공정은 이 상태에서 행해진다.
다음에 도 7~도9를 기초로 척유닛(71)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모터유닛(77)을 떼어낸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척유닛(71)은 상 보턴(B)을 척하는 척부(90)와, 척부(90)를 X방향으로 구동하는 보턴 차동기구(70)로 구성된다.
척부(90)는 좌우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척편(91a)(91b)을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서 상 보턴(B)을 사이에 두어 파지하도록 되어있다. 척편(91a)은 L자형으로 형성되는 척가동부재(92)의 하부에 배치된 척부착부(92a)에 고정된다. 한편 척편(91b)은 척가동부재(92)보다도 짧은 L자형으로 형성되는 척가동부재(93)의 하부에 배치된 척부착부(93a)에 고정된다.
그리고 척 가동부재(92)(93)는 도 7, 도 8과 같이 각각 척편(91b)과 상기 지지팔(81) 사이에 배치된 기대(74)의 밑면에 형성된 가이드홈(74a)(74b)에 대해 접동가능하게 끼워진다. 기대(74)의 밑면에는 나사(83)에 의해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레버(82)(도 8에서는 파선으로 도시함)가 나사(83)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척가동부재(92)(93)의 밑면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핀(92b)(93b)이 고정되고, 이들은 수동레버(82)에 형성되는 소정형상을 갖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수동레버(82)가 나사(83)를 중심으로 도 8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척가동부재(92)는 핀(92b)을 통해 왼쪽으로 눌리고, 척가동부재(93)는 핀(93b)을 통해 오른쪽으로 인장되며, 이들에 의해 양 척편(91a)(91b)의 간격이 벌어져 상 보턴(B)을 벗어나는 상태가 된다. 또 수동레버(82)가 나사(83)를 중심으로 도 8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척가동부재(92)는 핀(92b)을 통해 오른쪽으로 끌리고, 척가동부재(93)는 핀(93b)을 통해 왼쪽으로 눌리는 것으로 이들 양척편(91a)(91b)의 간격이 다가가 상 보턴(B)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기대(74)의 앞테두리부에는 나사(74)로 수동레버(82)의 스토퍼판(9)이 고정된다. 장공(79a)은 양 척편(91a)(91b)의 간격조절용의 장공이다.
보턴차동기구(제 2보턴이송 구동수단)(70)는 척부(90)를 좌우로 구동하는 것으로 주로 상기 유닛지지팔(81)에 고정된 차동베이스(80)와, 차동모터(72)와 스토퍼부재(78)로 구성된다. 차동베이스(80)에는 도 9와 같이 중앙에 좌우로 긴 장공(80a)이 형성되고, 이 장공(80a)중 2개소가 더욱 가늘게 형성된 가는 구멍(80b)(80b)이 된다. 가는 구멍(80b)(80b)은 소정의 폭으로써 소정 길이를 갖고, 각각에 기대(74)에 고정된 단나사(75)(75)가 끼워진다. 단나사(75)(75)가 가는 구멍(80b)(80b)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차동베이스(80)에 대해 기대(74)가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차동베이스(80)상에는 단면형상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모터유닛(77)이 나사고정되고, 이 모터유닛(7)을 구성하는 좌우의 벽부(77a)(77b) 사이에 리니어 모터인 차동모터(72)가 고정 지지된다. 차동모터(72)의 출력축(72a)은 벽부(77a)(77b)를 관통하고, 좌우양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출력축(72a)은 차동모터(72)가 동작하면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직진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기대(74)의 좌부 윗면에는 스토퍼부재(78)가 나사고정에 의해 입설된다. 스토퍼부재(78)와 벽부(77a)사이에는 양자를 근접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73)(73)이 걸쳐져 있다. 이 스프링(73)(73)에 의해 스토퍼부재(78)가 출력축(72a)에 대해 늘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이상 구성의 보턴차동기구(70)에서는 차동모터(72)가 일 방향으로 동작하면 출력축(72a)이 왼쪽으로 직진한다. 이 출력축(72a)의 직진에 의해 스토퍼부재(78)가 왼쪽으로 밀리고 스토퍼 부재(78)를 고정지지하는 기대(74)는 차동베이스(80)에 대해 왼쪽으로 접동한다. 기대(74)에는 척가동부재(92)(93)가 결합하는 것으로 기대(74)마다 척부(90)가 왼쪽으로 이동한다. 역으로 차동모터(72)의 역방향으로의 동작에 의해 출력축(72a)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스프링(73)(73)의 부세력에 의해 스토퍼부재(78)도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기대(74)마다 척부(90)도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도 10~도 12를 기초로 베드부(2)에 배치되고, 천 및 하 보턴을 Y방향으로 반송하는 하 Y이송기구(50)에 대해 설명한다.
하 Y이송기구(천이송 구동수단)(50)는 하 Y이송모터(51)를 구동원으로 하고, 이 모터(51)의 출력축에 스프로켓 휠(52)이 고정된다. 또한 이 스프로켓 휠(52)에 전후방향으로 걸쳐지는 타이밍 벨트(53)가 맞물리도록 걸려있다. 또 타이밍 벨트(53)는 회전이 자유로운 종동롤러(58)에도 걸리고, 하 Y이송모터(51)가 회전하면 스프로켓 휠(52)을 통해 회전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53)의 근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루퍼를 구동하는 하축(69)이 배치된다. 상기 주축모터(14)의 회전은 타이밍 벨트(68a)(68b)등을 통해 하축(69)에 전달되고 상기 루퍼가 주축(7)과 동기하여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타이밍 벨트(53)에는 도 12와 같이 고정판(63a)(63a)을 통해 Y이송베이스(54)(54)가 나사고정된다. 그리고 베드부(2)내의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대해 타이밍 벨트(53)에 평행하도록 가이드 샤프트(55a)(55b)가 고정된다. 가이드 샤프트(55a)는 Y이송 베이스(54)(54)의 기부(54a)(54a)를 관통하고, 가이드 샤프트(55b)는 Y이송 베이스(54)(54)의 선단부(54b)(54b)를 관통하며, 이들 가이드 샤프트(55a)(55b)에 의해 Y이송 베이스(54)(54)가 지지된다.
선단부(54b)(54b)의 윗면에는 나사구멍(54c)(54c)이 형성된다. 이들 나사구멍(54c)(54c)에, 밑판(56)에 형성되는 나사구멍(도시생략)을 맞추고, 멈춤나사(56c)(56c)로 멈추는 것으로 도 10과 같이 Y이송 베이스(54)에 대해 밑판(56)이 고정된다. 따라서 하 Y이송모터(51)가 작동하고 타이밍 벨트(53)에 의해 Y이송 베이스(54)가 이동하는 데 따라 밑판(56)도 Y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밑판(천이송 판)(56)은 그 윗면에 천이나 하 보턴을 올려놓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밑판(56)은 여러 종류의 보턴다는 봉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개의 보턴다는 포지션 A,B,C를 갖는다.
포지션 A는 블라인드 스티치, 목감기 봉제, 또는 그 양쪽의 봉제를 행하는 개소이다. 밑판(56)에는 대략 L자모양의 큰 개구(56a)가 형성된다. 한편 밑판(56)의 최앞부에는 좌우로 늘어서 있는 2개의 스프링 협지부(60a)(60a)로 이루어지고, 천을 텅그(tongue)(57)마다 협지하는 천 협지부(천 고정부)(60)가 배치된다. 각 스프링 협지부(60a)는 상하로 대향하는 가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천 협지부(60)의 후연부에는 개구(56a)를 향하도록 바늘구멍(60b)이 배치된다.
여기서 천을 천 협지부(60)에 셋트하기 위한 텅그(57)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Y이송 베이스(54)(54)의 하부의 텅그(57)를 구동하는 텅크 실린더(66)를 지지하는 실린더 베이스(65)가 고정된다. 텅그 실린더(66)의 출력로드(66a)는 텅그링크(67)에 접속된다. 한편 텅그(57)은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텅그지지부(59)의 선단에 나사고정된다. 텅그지지부(59)의 기단부와, 텅그링크(67)에 대해 텅그축(59a)이 삽통하고, 텅그링크(67)와 텅그지지부(59)는 텅그축(59a)과 함께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작업자는 텅그(57) 선단부를 감싸도록 천을 셋트하고, 그 상태에서 밑판(56)에 다가가도록 수동으로 텅그(57)의 손으로 미는 부(57a)를 밀어 움직인다. 밑판(56)의 근방에는 텅그센서(64)(도 1)가 배치되어 텅그(57)가 다가 오면 텅그검출신호를 CPU(102)에 출력한다. 이를 받아 CPU(102)의 제어하에서 텅그실린더(66)가 ON상태가 되고, 출력로드(66a)가 인입되며 이에 따라 텅그(57)가 천협지부(60)로 전진하고 마지막에는 천을 절곡한 상태로 좌우의 스프링 협지부(60a)(60a)에 끼워지도록 되어있다. 이 때 텅그(57) 선단에 형성된 바늘구멍(57b)은 상하방향에서 보면 상기 바늘구멍(60b)에 대해 거의 일치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셋트된 천에 대해 상기 척부(90)에 척된 상 보턴은 도 10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바늘구멍(60b)이 그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밑판(56) 위쪽에 셋트된다. 이와같이 천과 상 보턴을 셋트하는 것으로 도 20(a)과 같은 블라인드 스티치가 가능하게 된다.
블라인드 스티치후 목감기 봉제를 행할 경우에는 상술과 같이 상 보턴을 회전실린더(37)에 의해 도 10에서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이와같이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 보턴은 개구(56a)를 향한 상태로 세워지고, 상 보턴과 천사이의목 실이 전후방향을 향하게 되어 목감기 봉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텅그실린더(66)는 봉제가 종료하면 자동적으로 OFF가 되고 텅그(57)는 원래의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개구(56a) 뒤쪽에는 포지션 B,C를 구성하는 바늘판(61)이 그 기부에 있어 고정된다. 바늘판(61)의 앞테두리부에는 오목부(61a)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바늘구멍(61b)이 형성된다. 밑판(56)에 있어서 오목부(61a) 및 바늘구멍(61b)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바늘구멍이 되는 장공(56b)이 형성된다.
오목부(61a)가 포지션 B로서 오목부(61a)와 밑판(56)사이에 하 보턴을 셋트하고, 그 위에 천을 올려놓으며 또한 그 위에 척부(90)에 의해 파지된 상 보턴을 셋트하여 하 보턴다는 봉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포지션 B가 본 발명의 하 보턴고정부이다.
또 바늘구멍(61b)이 포지션 C로서 이 바늘구멍(61b)위에 천을 올려놓고 그 위쪽에 척부(90)에 파지된 상 보턴을 셋트하며 하 보턴이 없는 컨택트 봉제에 의해 보턴다는 봉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포지션 C가 본 발명의 상 보턴 컨택트 봉제부이다.
또한 포지션 B,C에서의 봉제의 경우, 천은 도시하지 않은 천누름부에 의해 눌리게 되고 이 천 누름부는 천누름 실린더(107)(도 1)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밑판(56)은 3종류의 보턴다는 봉제의 포지션을 갖고,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포지션 A,B,C의 각각이 재봉바늘(5)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밑판(56)이 구동된다. 포지션 A,B,C 각각에 기준위치(원점)나 초기위치가 설정된다.
다음에 재봉틀(1)의 제어회로에 대해 도 1을 기초로 설명한다. 재봉틀(1)에는 본 발명의 제어수단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102)을 구비하는 전장박스(101)가 배치되고, 이 전장박스(101)에 각 부가 접속된다.
예를들면 전장박스(101)에는 조작패널(103), 전원스위치(104), 스타트 페달(105), 일시정지 스위치(106)가 접속된다.
조작패널(103)은 작업자가 목감기 봉제가 없는 블라인드 스티치, 블라인드 목감기 봉제, 하 보턴다는 봉제, 컨택트 봉제 등에서 보턴다는 종류를 선택하거나 선택한 보턴다는 봉제의 봉제조건 등을 입력하거나 또는 설정되는 봉제조건이나 봉제상황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조작패널(103)에는 외부 메모리(103a)가 접속가능하고 외부메모리(103a)로부터의 봉제데이터를 읽어들여 봉제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CPU(102)에는 메모리(기억수단)(102a)가 배치되고 이 메모리(102a)에 각종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특히 메모리(102a)에는 연속하여 다른 종류의 보턴을 다는 사이클 봉제의 프로그램이 기억되고, 이 프로그램을 불러내는 것으로 밑판(56)을 하 Y이송기구(50)로 구동하면서 재봉바늘(5)의 아래쪽에 포지션 A,B,C를 이동시키도록 되어있다.
전원스위치(104)는 재봉틀(1)을 통전상태로 하기 위한 ON/OFF스위치이다. 스타트 페달(105)은 봉제를 스타트할 때 조작하는 페달로서 이를 조작하면CPU(102)의 제어에 의해 봉제를 개시한다. 일시정지 스위치(106)는 봉제개시후에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 전장박스(101)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터페이스가 배치되고, CPU(102)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구동원에 출력되도록 되어있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술한 주축모터(14), 바늘진동모터(20), 상 Y이송모터(32), 상하구동모터(35), 차동모터(72), 하 Y이송모터(51)가 접속된다. 또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밸브(108)가 접속되고 이 전자밸브(108)를 통해 회전실린더(37), 텅그실린더(66), 천누름 실린더(107)가 접속된다. 또한 재봉틀(1)에는 도시하지 않은 실절단기구가 배치되어 봉제도중이나 봉제후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실이 절단되도록 되어있으며 그 구동원으로서 실절단 모터(109)나 실절단 실린더(110)가 배치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재봉틀(1)은 상 보턴에 관해서는 보턴차동기구(70) 및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하 보턴 및 천에 관해서는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Y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덧붙여 X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바늘진동기구(11)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 보턴 및 천을 상 보턴에 대해 상대적으로 X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 보턴에 대해서는 보턴 상하이동기구(40)에 의해 상하이동이 자유롭고 회전실린더(37)에 의해 90도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들의 기구를 조합시키는 것으로 종래 곤란하였던 각종 보턴다는 것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에서는 도 13~ 도 17을 기초로 재봉틀(1)에서의 보턴을 달 때의 동작을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1) 4개구멍 상 보턴 및 4개구멍 하 보턴의 경우
재봉틀(1)에서의 보턴다는 동작 전에 보턴 및 천을 셋트한다. 즉 수동 또는 주지한 보턴피더장치 등에 의해 척부(90)에 4개구멍을 갖는 상 보턴(B1)을 공급하고, 상 보턴을 척부(90)에 파지시킨다. 척부(90)가 상 보턴(B1)을 척하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상 보턴(B1)은 보턴 상하이동기구(40)에 의해 소정의 원점위치까지 하강한다. 한편 소정의 원점위치에 있는 밑판(56)의 포지션 B에 4개 구멍을 갖는 하 보턴(C1)을 셋트하여 그 상부에 천을 올려놓은 상태로 한다.
이와같이 상 보턴(B1), 하 보턴(C1)을 셋팅한 초기상태를 도 13(a)에 도시한다. 편의적으로 천은 도시하지 않는다. 이 때 재봉바늘(5)은 도 13(a)의 P1점의 위쪽에 있어 즉 상 보턴(B1) 및 하 보턴(C1)의 중심과 재봉바늘(5)이 일치하는 상태이다.
A: 세로 주름
우선 Y방향으로 실을 걸치는 「세로 주름」봉제 예를들면 상 보턴(B1)의 구멍(b1) 및 하 보턴(C1)의 구멍(c1)에 제 1바늘을 떨어뜨리고 이어서 구멍(b2) 및 구멍(c2)에 제 2바늘을 떨어뜨리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a)과 같이 셋트한 상태에서 조작패널(103)상에 배치된 준비키(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각 기구가 동작한다.
1. 바늘진동기구(11)에 의해 P1점의 재봉바늘(5)이 하 보턴(C1)의 좌우로 늘어서는 구멍의 중심 사이의 거리(w1)(c1-c3, c2-c4)의 절반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P2점으로 이동한다.
2.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하 보턴(C1)(천)이 전후로 늘어선 구멍의 중심간의 거리 w2(c1-c2,c3-c4)의 절반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구멍(c1)이 P2점으로 이동한다(점선으로 도시함).
3.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상 보턴(B1)이 전후로 늘어선 구멍의 중심간의 거리 W2(b1-b2, b3-b4)의 절반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어서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상 보턴(B1)이 상하 보턴의 중심간의 거리(m1)만큼 이동하고 구멍(b1)이 P2점으로 이동한다(점선으로 도시함).
이상의 1~3의 동작은 거의 동시에 행해지고 이에 따라 P2점에 재봉바늘(5), 구멍(b1),구멍(c1)이 모인다.
이어서 스타트 페달(105)을 밟는 것에 의해 주축모터(14)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1땀의 재봉바늘(5)이 하강하여 구멍(b1), 천, 구멍(c1)을 관통하며, 실이 상기 루퍼에 엉키고 그 후 재봉바늘(5)이 상승한다. 바늘 끝이 상 보턴(B1) 보다도 위쪽으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이 각 기구가 동작한다.
4.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하 보턴(C1)(천)이 거리 w2만큼 이동하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c2)이 P2점으로 이동한다.
5,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상 보턴(B1)이 거리 W2만큼 이동하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b2)이 P2점으로 이동한다.
이상의 4 및 5의 동작이 동시에 행해지고 이에 따라 P2점에, 재봉바늘(5),구멍(b2), 구멍(c2)이 모인다. 이어서 재봉바늘(5)이 하강하고, 2땀이 봉제된다. 2땀의 바늘이 상승하면 다시 P2점에 구멍(b1), 구멍(c1)이 모이도록 각 기구가 동작하고, 3땀이 봉제된다. 이상의 동작을 수회 반복하는 것으로 b1-b2간, c1-c2사이에 세로 주름의 솔기가 형성된다. 이 솔기의 마지막에 봉제시작위치와 같은 구멍(b1), 구멍(c1)에 재봉바늘(5)이 떨어지고 루퍼에 실이 엉키면 재봉바늘(5)은 상승한다. 여기서 일단 주축모터(14)는 정지한다. 또한 설정에 따라 상기 실절단 수단에 의해 봉제실이 절단된다.
다음에 b3-b4(c3-c4)사이에 솔기를 형성하기 위해 각 기구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6. 바늘진동기구(11)에 의해 P2점의 재봉바늘(5)이 w1만큼 이동이고 P3점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c3)위에 재봉바늘(5)이 위치한다.
7.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상 보턴(B1)이 상기 거리 m1의 2배길이 움직이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b3)의 중심이 P3점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P3점에 재봉바늘(5), 구멍(b3), 구멍(c3)이 모이고, 여기서 주축모터(14)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후는 b1-b2(c1-c2)사이와 완전 동일하게 동작이 계속되고, b3-b3(c3-c4)사이에 세로실의 솔기가 형성되며, 마지막으로 봉제실이 상기 실절단 수단에 의해 절단되어 봉제가 종료한다.
B: 가로 주름
가로 주름의 경우도 세로 주름과 마찬가지로 도 13(a)에 도시하는 초기상태로부터 준비키를 조작하는 것으로 세로 주름 일 때의 상기 1~3이 동작이 행해지고 이에 따라 P2점에 재봉바늘(5), 구멍(b1), 구멍(c1)이 모인다(도 13(a)의 점선 상태).
다음에 스타트 페달(105)을 조작하고, 1땀이 P2점으로 떨어지며 재봉바늘(5)이 상승하여 바늘 끝이 상 보턴(B1)의 위쪽에 이르고 나서 각 기구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8. 바늘진동기구(11)에 의해 P2점의 재봉바늘(5)이 거리 w1만큼 이동하고, P3점으로 이동한다. 하 Y이송기구(50), 상 Y이송 기구(30)는 움직이지 않는다.
9.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상 보턴(B1)이 거리 m1의 2배길이 이동하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b3)이 P3점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P3점에 재봉 바늘(5), 구멍(b3), 구멍(c3)이 모이고, 재봉바늘(5)이 하강하여 2땀이 봉제된다. 2땀의 바늘이 재차 상 보턴(B1)의 위로 상승하면 다시 P2점에 구멍(b1), 구멍(c1)이 모이도록 각 기구가 동작하고, 3땀이 봉제된다. 이상의 동작을 여러번 반복하는 것으로 b1-b3사이, c1-c3사이에 가로 주름의 솔기가 형성된다. 이 솔기의 마지막에 봉제시작 위치와 같은 구멍(b1), 구멍(c1)에 재봉바늘(5)이 떨어지고, 루퍼에 실이 엉키면 재봉바늘(5)은 상승한다. 여기서 일단 주축모터(14)는 정지한다. 또한 설정에 따라 상기 실절단 수단에 의해 봉제실이 절단된다.
다음에 b2-b4(c2-c4) 사이에 솔기를 형성하기 위해 각 기구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10. 바늘진동기구(11), 보턴차동기구(70)는 움직이지 않는다.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하 보턴(C1)이 거리 w2만큼 움직이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c2)이 P2점으로 이동한다.
11.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상 보턴(B1)은 거리 W2만큼 움직이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b2)이 P2점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P2점에 재봉바늘(5), 구멍(b2), 구멍(c2)이 모이고, 여기서 주축모터(14)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후는 b1-b3(c1-c3)사이와 완전 동일하게 동작이 계속되고 b2-b4(c2-c4)사이에 가로 실의 솔기가 형성되며 마지막으로 봉제실이 상기 실절단 수단에 의해 절단되어 봉제가 종료한다.
C: 크로스 봉제
크로스 봉제의 경우도 세로 주름 및 가로 주름과 마찬가지로 도 13(a)으로 도시하는 초기상태로부터 준비키를 조작하는 것으로 세로 주름일 때의 상기 1~4의 동작이 행해지고, 다음에 스타트 페달(105)을 조작하면 1땀이 P2점으로 떨어져 재봉바늘(5)이 상승하며, 바늘 끝이 상 보턴(B1) 위쪽에 이르고 나서 각 기구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12. 바늘진동기구(11)에 의해 P2점의 재봉바늘(5)이 거리 w1만큼 움직이고 P3점으로 이동한다.
13.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하 보턴(C1)이 거리 w2만큼 움직이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c4)이 P3점으로 이동한다.
14.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상 보턴(B1)이 거리 W2만큼 이동한다. 이어서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상 보턴(B1)이 거리 m1의 2배 길이 이동하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b4)이 P3점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P3점에 재봉바늘(5), 구멍(b4), 구멍(c4)이 모여 재봉바늘(5)이 하강하고, 2땀이 봉제된다. 2땀의 바늘이 재차 상 보터(B1)의 위로 상승하면 재차 P2점에 구멍(b1), 구멍(c1)이 모이도록 각 기구가 동작하고, 3땀이 봉제된다. 이상의 동작을 수회 반복하는 것으로 b1-b4간, c1-c4간에 비스듬한 솔기가 형성된다. 이 솔기의 마지막에 봉제시작위치와 같은 구멍(b1)(c1)에 재봉바늘(5)이 떨어지고 루퍼에 실이 엉키면 재봉바늘(5)은 상승한다. 여기서 일단 주축모터(14)는 정지한다. 또한 설정에 따라 상기 실절단 수단에 의해 봉제실이 절단된다.
다음에 b2-b3(c2-c3)사이에 솔기를 형성하기 위해 각 기구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15. 바늘진동기구(11), 보턴차동기구(70)는 움직이지 않는다.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하 보턴(C1)은 거리 w2만큼 움직이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c2)이 P점으로 이동한다.
16.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상 보턴(B1)이 거리 W만큼 움직이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b2)이 P2점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P2점에 재봉바늘(5), 구멍(b2), 구멍(c2)이 모이고 여기서 주축모터(14)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후는 b1-b4(c1-c4)사이와 마찬가지로 동작이 계속하고, b2-b3(c2-c3)사이에 경사진 솔기가 형성되며 마지막으로 봉제실이 상기 실절단 수단에 의해 절단되어 봉제가 종료한다.
재봉틀(1)에서는 상기(1) 외에 여러가지 보턴다는 봉제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주축모터(14)의 ON/OFF도 포함한 재봉바늘(5)의 상하이동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상하 보턴의 XY방향의 이동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2) 4개구멍 상 보턴 및 2개구멍 하 보턴의 경우
A: 세로 주름
이 경우에도 (1)과 마찬가지로 상하의 보턴을 셋트하면 도 13(b)과 같이 상 보턴(B2), 하 보턴(C2)의 중심위치 및 재봉바늘(5)의 축심이 P1점에 일치한 초기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준비키를 조작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3(b)에서 부호 w2,W1,W2는 도 13(a)과 동일하다. 또한 이 봉제에서는 바늘진동기구(11)는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
17. 하 보턴(C2)은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거리 w2 절반의 거리이동하고, 구멍(c1)이 P1점으로 이동한다.
18. 상 보턴(B2)은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거리 W2 절반의 거리 이동하고,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거리 W1의 절반 이동하며 구멍(b1)이 P1점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점선으로 도시하는 상태)에서 1땀이 낙하된다. 그리고 2땀 앞에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19. 하 보턴(C2)은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거리 w2만큼 이동하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c2)이 P1점으로 이동한다.
20. 상 보턴(B2)은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거리 W2만큼 이동하고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b2)이 P1점으로 이동한다.
이상을 수회 반복하고, b1-b2(c1-c2)사이에 세로 주름의 솔기를 형성한다. 이어서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상 보턴(B2)이 거리 W1만큼 이동한 후 19~20과 거의 동일하게 b3-b4(c1-c2)사이에 세로 주름의 솔기를 형성한다.
B: 가로 주름
이 경우 도 14와 같이 상 보턴 B3, 하 보턴 C3의 중심과, 재봉바늘(5)이 P1점에서 일치한 초기상태로 셋트된다. 이 봉제에서는 하 Y이송기구(50)는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
도 14의 초기상태에서 준비키를 조작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21. 바늘진동기구(11)에 의해 재봉바늘(5)은 구멍(c1)의 중심과 일치하는 P2점으로 이동한다.
22. 상 보턴(B3)은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거리 W2 절반의 거리 이동하고 또한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상하의 보턴 길이 m1만큼 이동하며 구멍(b1)이 P2점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점선으로 도시하는 상태)에서 1땀이 낙하된다. 그리고 2땀 앞에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23. 바늘진동기구(11)에 의해 재봉바늘(5)은 거리 w1만큼 이동하고 구멍(c2)의 중심과 일치하는 P3점으로 이동한다.
24. 상 보턴(B3)은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거리 m1의 2배 길이 이동하고 구멍(b3)이 P3점으로 이동한다.
이상의 수회 반복하고 b1-b3(c1-c2)사이에 가로 주름의 솔기를 형성한다.이어서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거리 W2만큼 이동한 후 23~24와 거의 동일하게 b2-b4(c1-c2)사이에 가로 주름의 솔기를 형성한다.
상기 (1)(2) 외에도 각종 보턴다는 봉제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도 15(a)와 같이 2개구멍(b1,b2)의 상 보턴(B4)과 2개구멍(c1,c2)의 하 보턴(C4)의 세로 주름 또는 가로 주름의 봉제나 도 15(b)와 같이 2개구멍(b1,b2)의 상 보턴(B5)과 4개구멍(c1,c2,c3,c4)의 하 보턴(C5)의 세로 주름 또는 가로 주름의 봉제 등도 가능하다.
(3) 하 보턴이 없는 컨택트 봉제(contact sewing)의 경우
밑판(56)의 포지션 C에서 행해지는 하 보턴이 없는 컨택트 봉제에 있어서도 각 기구를 자유롭게 구동하는 것으로 다양한 보턴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종래이면 천으로의 바늘낙하위치는 보턴구멍의 간격만큼 떨어져 버려 도 19(c)와 같이 되었다. 그러나 재봉틀(1)에서는 Y방향의 세로 주름이면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천을 Y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X방향의 가로 주름이면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보턴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다른 보턴구멍을 지난 바늘의 바늘낙하위치를 천의 1개소에 떨어뜨릴 수 있고, 도 19(a)에 도시하는 「V자」형의 양호한 솔기가 얻어진다.
(4) 블라인드 스티치의 경우
블라인드 스티치의 경우 도 16(a)과 같이 밑판(56)의 포지션 A에 상 보턴(B)을 셋트함과 동시에 천(S)을 텅그(57)로 접은 상태에서 천 협지부(60)에 셋트한다. 도 16(a)과 같이 셋트된 상태에서 예를들면 1땀에 블라인드 스티치를 행하면 다음의 2땀의 바늘낙하 전에 상 Y이송기구(30) 및 하 Y이송기구(50)를 구동하고, 1땀과는 다른 보턴구멍에 바늘늘 지나게 하며 또한 천에는 바늘이 꽂히지 않는 공(空) 봉제를 행한다. 이를 반복하는 것으로 Y방향으로 세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서 4개구멍의 상 보턴(B)에 세로 방향으로 솔기를 형성할 경우에는 1열째 L1의 봉제시부터 2열째 L2의 봉제로 이행할 때 바늘진동기구(11)에 의해 재봉바늘(5)을 적절한 각도 X방향으로 흔들고, 또한 소정각도 흔들린 재봉바늘(5)이 목적으로 하는 보턴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상 보턴(B)을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1열째 L1 및 2열째 L2의 블라인드 스티치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천 S위의 대략 동일한 점 R에 재봉바늘(5)을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9(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V자」형의 봉제형상이 형성되고, 이 후에 목감기 봉제하면 동 도면(b)과 같은 손바느질과 같은 외관이 양호한 솔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황에 따라 1열째 L1에서 2열째 L2로 이행할 때 보턴차동기구(70)만에 의해 구동해도 좋다.
또 블라인드 스티치의 경우 도 20(a)과 같이 천(S)안에 바늘을 떨어뜨리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들면 1바늘분 만큼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천(S)을 약간 Y방향에 있어서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16(b)와 같이 목 실(T)을 천(S)뒤쪽을 지나 「역실」을 형성할 수 있다.
(5) 생크 보턴의 경우
생크보턴을 봉제할 경우 밑판(56)의 포지션 B에 있어서 회전실린더(37)에 의해 보턴머리부를 90도 회전시키고, 수직으로 세운 상태 즉 목감기와 같은 상태로 봉제한다. 도 17에 셋트시의 초기상태의 모양을 모식적으로 도시했다. 초기상태에서는 재봉바늘(5)의 축선과 생크보턴(E)의 생크부(e) 및 하 보턴(C6)의 중심이 P1점에서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생크보턴(E)을 4개구멍 하 보턴(C6)과 함께 봉제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각 기구가 동작한다.
25. 바늘진동기구(11)에 의해 재봉바늘(5)은 P1점에서 거리 w1(c1-c3간, c2-c4간)의 절반 이동하고 P2점으로 이동한다.
26. 하 이송기구(50)에 의해 하 보턴(C6)은 거리 w2(c1-c2간, c3-c4간)의 절반 이동하고 구멍(c1)을 P2점으로 이동시킨다.
27. 상 Y이송기구(30)에 의해 생크보턴(E)은 소정거리 이동하고 생크부(e)는 점선으로 도시하는 구멍 c1-c2간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또한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거리 w1의 절반이동하고, 생크부(e)의 중심이 구멍 c1-c2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한다.
이상의 상태에서 구멍(c1)에 바늘낙하 1땀이 봉제되고 다음에 하 Y이송기구(50), 상 Y이송기구(30)가 동작하고, 생크부(e)를 넘도록 봉제실이 걸친 상태로 P2점에 있어 구멍(c2)에 바늘이 떨어진다. 이를 반복하여 c1-c2사이에 세로 주름의 솔기를 형성한다.
다음에 재봉바늘(5)이 P2점에서 바늘진동기구(11)에 의해 거리 w1만큼 이동하고, P3점으로 이동한다. 이후는 c1-c2간 마찬가지로 상기 26이후의 동작을 반복하여 구멍 c3-c4간에 세로 실의 솔기를 형성한다.
그 외 재봉틀(5)에서는 생크보턴과 2개구멍의 하 보턴의 봉제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6) 락스티치의 경우
블라인드 스티치나 컨택트 봉제라는 봉제방법의 종류에 상관없이 봉제의 마지막에는 수회 같은 보턴구멍에 바늘을 떨어뜨리는 「락스티치」를 행한다. 그 때 천에 대해 다른 위치에 바늘을 떨어뜨리고자 할 경우에는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천을 움직이는 것으로 같은 보턴구멍을 지나면서 천에 있어 완전 다른 개소에 바늘을 낙하할 수 있다.
이상의 재봉틀(1)에 의하면 상 보턴에 관해서는 상 Y이송기구(30) 및 보턴차동기구(70)에 의해 Y방향 및 X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하 보턴 및 천에 관해서는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Y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X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바늘진동기구(11)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 보턴 및 천을 상 보턴에 대해 상대적으로 X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 보턴과 하 보턴·천을 각각 독립적으로 XY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 보턴에 대해서는 보턴 상하구동기구(40)에 의해 상하로 이동이 자유롭고, 회전실린더(37)에 의해 90도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들 기구를 조합하는 것으로 외관이 깔끔한 각종 보턴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하의 보턴의 종류나 구멍의 개수 및 핏치에는 관계없이 봉제할 수 있다.
또 상 보턴에 대한 천의 바늘낙하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블라인드 스티치나 컨택트 봉제라도 천의 바늘낙하위치를 거의 1개소에 설정할 수 있고, 상 보턴과 천사이에 이른바 「V자형」의 솔기를 형성할 수 있어 이 후에 목감기 봉제를 하면 외관이 좋은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역으로 봉제실이 굵고, 천의 동일 개소에 바늘낙하하는 것으로 봉제 매듭이 생기는 경우나 목 실에 의해 상 보턴이 천에 대해 지지되도록 안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바늘낙하위치를 일부러 어긋나게 할 수도 있다.
또 블라인드 목감기 봉제에 있어서 블라인드 스티치시에 있어 보턴 상하이동기구(40)를 이용하여 목 실의 길이를 자유롭게 설정하고, 다음에 목감는 봉제에 있어서 하 Y이송기구(50)에 의해 일부러 목 실을 느슨하게 하고 나서 목감기 봉제를 하는 것으로 상 보턴의 바로 밑에서 천까지 실이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외관이 좋아진다.
또 상술과 같이 종래는 블라인드 스티치 공정에서는 역실을 형성할 수 없어 목감기시에 천을 관통시켜 역실 대신으로 했지만 재봉틀(1)에서는 블라인드 스티치의 공정중에 역실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 보턴에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밑판(56)에, 포지션 A,B,C를 배치한 것으로 각종 보턴다는 데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옷에 여러개 종류의 보턴을 달 경우 한대의 재봉틀로 대응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보턴다는 종류마다 재봉틀을 구입하는 것에 비해 원가를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작업자도 재봉틀에서 재봉틀로 봉제물을 이동시키거나부착물 교환등의 취급분이 적어져 작업효율도 향상한다.
또한 조작패널(103)로 사이클 봉제를 선택하면 하 Y이송 기구(50)에 의해 밑판(56)을 구동하고, 재봉바늘(5) 밑의 소정위치에 포지션 A,B,C를 적절한 순서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보턴다는 봉제를 연속하여 행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더 작업효율이 향상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 보턴과, 하 보턴(천)을 각각 독립적으로 XY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하 보턴에 대해서는 바늘진동기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XY테이블을 2대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바늘봉의 요동이나 XY테이블의 구동도 간헐적인 운동이지만 실제의 구성상 바늘봉의 요동은 예를들면 최고 5000rpm으로 구동가능한 데 대해 XY테이블쪽이 부하가 커서 최고 2700rpm정도밖에 구동할 수 없다. 따라서 XY테이블을 이용하는 것보다 고속운전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하 Y이송기구(50)에 대해서는 벨트구동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포지션 A,B,C사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바늘봉을 흔드는 바늘진동 구동수단으로서 설명했지만 주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바늘봉을 흔들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체적인 형상·구조 등에 대해 적절히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상기 예에서는 바깥 보턴을 상 보턴, 역 보턴과 같은 뒤쪽의 보턴을 하 보턴으로 했지만 상하 역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특징적인 상 Y이송기구, 보턴차동기구 및 하 Y이송기구 등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하 Y이송기구는 벨트구동을 이용했지만 랙과 피니온과 같은 기어기구로 구성해도 좋다. 역으로 상 Y이송기구나 보턴차동기구를 벨트구동으로 구성해도 좋고,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기어구조라도 좋다.
척부(90)는 수동레버에 의해 개폐했지만 실린더 등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보턴의 척 및 개방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보턴구멍의 봉제순서에 대해 도 13~도 17에서 설명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또 상 보턴, 하 보턴의 이동량에 대해서도 예를들면 상 보턴, 하 보턴의 구멍 핏치가 완전 같은 등의 상하 보턴의 구멍핏치의 관계가 다르면 적절히 변경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턴차동기구는 반드시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도 18에는 보턴차동기구가 배치되지 않는 척유닛(200)을 도시했다. 도 18에 있어서 도 7의 척유팃(71)과 완전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인다. 예를들면 상 보턴 B의 X방향으로의 구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8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암부(4)에 걸리는 중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재봉바늘은 바늘진동 구동수단에 의해 주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직교하는 면내에 있어서 요동운동한다. 또 상 보턴에 관해서는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에 의해 천이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에 직교하는 제 2보턴 이송구동수단에 의해 바늘진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하 보턴 및 천에 관해서는 천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바늘진동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재봉바늘의 요동운동을 이용하면 결국 하 보턴 및 천을 상 보턴에 대해 상대적으로 천이송 구동수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 보턴과, 천(하 보턴)을 각각 수평면내에 있어서 서로 직행하는 2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구동수단을 조합하는 것으로 상 보턴과, 천(하 보턴)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고, 종래는 불가능하였던 각종 보턴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상 보턴과, 천(하 보턴)을 각각 서로 직행하는 2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하 보턴에 대해서는 바늘진동기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2대의 XY테이블을 배치하여 이들을 구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바늘봉의 요동이나 XY테이블의 이동도, 바늘이 바늘판 보다 위쪽에 위치할 때만 동작시키므로 어떠한 경우라도 간헐적인 운동이지만 실제 구성상 바늘봉의 요동운동 쪽이 테이블을 구동하는 것보다 빨라 고속운전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효율이 좋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재봉바늘은 바늘진동 구동수단에 의해 주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요동운동한다. 상 보턴에 관해서는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 또는 제 2보턴 이송구동수단에 의해 천이송 방향 또는 바늘진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하 보턴 및 천에 관해서는 천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바늘진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 보턴, 천(하 보턴), 재봉바늘을 각각 일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되므로 이들의 구동수단을 조합시키는 것으로 상 보턴과, 천(하 보턴)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어느 정도 자유롭게 바꿀 수 있고 종래는 불가능하였던 각종 보턴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하단부에 재봉바늘을 구비한 바늘봉(9)을,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주축(7)에 의해 상하로 구동하는 바늘상하 구동수단과,
    주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바늘봉을 흔드는 바늘진동 구동수단과,
    윗면에 하 보턴 및 봉제물을 올려놓는 천이송 판을, 바늘진동 구동수단의 바늘진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천이송 구동수단과,
    상 보턴을 대략 수평하게 파지하는 상 보턴 파지부를 천이송 구동수단의 천이송 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과,
    상 보턴 파지부를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의 구동방향으로 직교하고 또한 바늘진동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보턴 이송구동수단과,
    상기 각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2. 하단부에 재봉바늘을 구비한 바늘봉을, 대략 수평하게 설치된 주축에 의해 상하로 구동하는 바늘 상하구동수단과,
    주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직교하는 면내에 있어 바늘봉을 흔드는 바늘진동 구동수단과,
    윗면에 하 보턴 및 봉제물을 올려놓는 천이송판을, 바늘진동 구동수단의 바늘진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천이송 구동수단과,
    상 보턴을 대략 수평으로 파지하는 상 보턴 파지부를 천이송 구동수단의 천이송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과, 상 보턴 파지부를 제 1보턴 이송구동수단의 구동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바늘진동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보턴 이송구동수단 중 어느 한쪽과,
    상기 각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천이송판은,
    봉제물을 절곡한 상태로 고정하고 블라인드 스티치를 가능하게 하는 천 고정부와,
    봉제물의 아래쪽에서 하 보턴을 고정하고, 하 보턴 다는 봉제를 가능하게 하는 하 보턴 고정부와,
    봉제물의 윗면에 상기 상 보턴을 컨택트 봉제(contact sewing - 목감기의 전단계에서 직접 보턴을 다는 것을 의미함)하는 컨택트 봉제를 가능하게 하는 상 보턴 컨택트 봉제부를 구비하고,
    천이송 구동수단은 천고정부와 하 보턴 고정부와 상 보턴 컨택트 봉제부의각각이 거의 재봉바늘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천이송 판을 구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4. 제 3항에 있어서,
    블라인드 스티치, 하 보턴다는 작업 및 컨택트 봉제를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보턴다는 봉제의 2종류 이상을 연속하여 봉제하는 사이클 봉제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상기 사이클 봉제의 프로그램에 따라 사이클 봉제를 행하도록 상기 각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구멍의 개수와 구멍의 핏치와 구멍의 배치의 최소한 하나가 다른 조합의 상보턴 및 하 보턴에 의한 하 보턴 다는 봉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6. 제 1항에 있어서,
    상 보턴의 보턴 구멍을 통한 재봉바늘의 봉제물로의 바늘낙하위치는 1점에집중하는 솔기와, 소정의 2점에 집중하는 솔기와, 소정의 3점 이상으로 하는 솔기의 각각이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동일한 보턴구멍에 연속하여 여러번 재봉바늘을 지나게 하는 락스티치에 있어서, 보턴구멍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봉제물 상의 임의의 여러 위치에 바늘낙하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 보턴이 연직으로 지지되도록 상 보턴 파지부를 90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KR1020020029448A 2001-05-31 2002-05-28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KR100876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65275 2001-05-31
JP2001165275A JP4660017B2 (ja) 2001-05-31 2001-05-31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786A true KR20020091786A (ko) 2002-12-06
KR100876707B1 KR100876707B1 (ko) 2008-12-31

Family

ID=1900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448A KR100876707B1 (ko) 2001-05-31 2002-05-28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60017B2 (ko)
KR (1) KR100876707B1 (ko)
CN (1) CN100540779C (ko)
DE (1) DE10224098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033B1 (ko) * 2006-03-16 2006-09-25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살수차용 방수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4368B2 (en) 2002-12-06 2011-02-22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VPN system, OVPN terminating device, collective controlling device, and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JP4213510B2 (ja) * 2003-05-02 2009-01-21 Juki株式会社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4445355B2 (ja) 2004-09-07 2010-04-07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707354B2 (ja) * 2004-09-07 2011-06-22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578992B2 (ja) * 2005-02-02 2010-11-10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4530867B2 (ja) * 2005-02-09 2010-08-25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DE102006011149B4 (de) * 2005-03-11 2019-10-31 Juki Corp. Stielumwickel- und Knopfannähmaschine sowie Knopfannähverfahren
JP4551805B2 (ja) * 2005-04-14 2010-09-29 Juki株式会社 差動送りミシン
JP4660295B2 (ja) * 2005-06-23 2011-03-30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769536B2 (ja) * 2005-10-07 2011-09-07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935179B2 (ja) * 2006-04-05 2012-05-23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877627B2 (ja) * 2006-06-27 2012-02-15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757903B2 (ja) * 2008-09-16 2011-08-24 Juki株式会社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5110491B2 (ja) * 2010-05-31 2012-12-26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ボタン付け方法及びボタン付けミシン
CN102454052A (zh) * 2010-10-29 2012-05-16 苏州优曼时装有限公司 纽扣缝合机
CN112553789A (zh) * 2020-12-07 2021-03-26 上海威士机械有限公司 西服假眼钉扣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1991A (ja) * 1986-05-30 1987-12-07 ジューキ株式会社 釦縫着機
DE3815561A1 (de) * 1987-05-11 1988-12-01 Yamato Sewing Machine Mf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naehen eines knopfes und zum umwickeln des stielfadens
JPH0749076B2 (ja) * 1988-11-07 1995-05-31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2659433B2 (ja) * 1989-05-31 1997-09-30 ジューキ株式会社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H0591570U (ja) * 1992-05-16 1993-12-14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H0780170A (ja) * 1993-09-20 1995-03-28 Tsuboi Sewing Mach Shokai:Kk 裏穴ボタン付け本縫いミシ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033B1 (ko) * 2006-03-16 2006-09-25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살수차용 방수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60017B2 (ja) 2011-03-30
DE10224098B4 (de) 2006-12-28
DE10224098A1 (de) 2003-02-13
CN100540779C (zh) 2009-09-16
JP2002355453A (ja) 2002-12-10
CN1389611A (zh) 2003-01-08
KR100876707B1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707B1 (ko) 목감기용 보턴다는 재봉틀
EP2226419B1 (en) Sewing machine
JP2019072466A (ja) ミシン
JPH02259154A (ja) ミシンにおける普通縫及び刺しゅう縫の切換装置
JP2010213767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CN103194860B (zh) 纽扣孔锁边缝纫机
KR20080039283A (ko) 단춧구멍박기 재봉기
JP2006187522A (ja) 玉縁縫いミシン
JP6045318B2 (ja) ミシン
JP5142454B2 (ja) ミシン
JP5241449B2 (ja) 鳩目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WO2019073922A1 (ja) ミシン
CN106400320B (zh) 孔锁边缝纫机
CN1831230B (zh) 绕根钉扣缝纫机及钉扣方法
KR20020090143A (ko)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
KR20090076821A (ko) 단추구멍박기 재봉기
JP2007215594A (ja) ミシン
JP3693323B2 (ja) ミシンにおけるスプレッダーの駆動装置
JP3866964B2 (ja) サイクル縫いミシン
KR101347087B1 (ko)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재봉기
JP4707354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2013252159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KR910001328Y1 (ko) 자수기 및 스팽글 (Spangle) 봉착장치
JP2877032B2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H0241197A (ja) 自動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