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855A - 액상종균 접종장치 - Google Patents

액상종균 접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855A
KR20020079855A KR1020027010570A KR20027010570A KR20020079855A KR 20020079855 A KR20020079855 A KR 20020079855A KR 1020027010570 A KR1020027010570 A KR 1020027010570A KR 20027010570 A KR20027010570 A KR 20027010570A KR 20020079855 A KR20020079855 A KR 20020079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ultivation
closing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루야마유이치
오사베마사지
후지사와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8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배용기(8)를 가로세로로 복수 정렬하여 수납한 컨테이너(9)를 반입측으로부터 공급하고, 또한 상기 재배용기(8)를 간헐 이송하면서 반출측으로 컨테이너(9)를 반송하는 반송기구(2)와, 상기 반송기구(2)에 의해 간헐 이송된 상기 컨테이너(9)내의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 작동하고, 상기 가로 1열 단위를 1조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설치된 덮개개폐기구(12)와, 상기 복수열의 덮개개폐기구(12)에 의해 덮개(7)가 개방된 각각의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8)에 대해서 소정량의 액상종균(B)을 상기 재배용기(8)내에 각각 공급하는 복수열로 설치된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구비하여 형성됨으로써, 접종작업효율을 높이면서 재배용기(8)에 공급하는 액상종균(B)의 공급량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안정된 종균 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액상종균 접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종균 접종장치{LIQUID SPAWN INOCULATION DEVICE}
종래, 톱밥이나 쌀겨 등을 주성분으로 영양원을 배합한 배양기를 사용하여 버섯류를 인공배양하는 방법으로서는 배양기를 재배용기에 충전하여 살균처리하고, 상기 충전한 재배용기 속에 팽이버섯, 잎새버섯 등의 버섯류의 종균을 접종한 후에, 배양용기의 입구부에 덮개를 씌워 폐쇄하고, 미리 정해진 온도, 습도 조건하에서 균을 배양하여 공업적으로 재배하는 방법 등이 실시되고 있다.
이 경우, 종균을 접종할 때 상기 접종작업의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해, 재배용기를 작업자가 1개씩 컨테이너로부터 꺼내지 않고 컨테이너마다 반송 컨베이어에 얹으면서 접종할 수 있는 접종장치가,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63-258519호 공보나 일본 특개소63-258520호 공보 등에서 제안되어 있다.
상기 접종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는 종균자체는 톱밥이나 쌀겨 등을 주성분으로 양식원을 배합한 배양기에 종균을 종균병내에서 번식시키고 있는 것으로, 그 종균이 수용된 종균병을 거꾸로 한 상태로 하여 본체 프레임측에 장착하고, 상기 상태에서 종균병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종균병의 입구부로부터 긁어내기칼을 설치한 긁어내기축을 회전시키면서 종균병 내에 삽입하고, 상기 긁어내기축을 회전시키면서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긁어내기칼에 의해 종균을 긁어내고, 호퍼(hopper) 등을 통하여 재배용기내에 긁어 내어진 종균을 충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종균의 충전량은 일반적으로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상기 긁어내기축의 회전시간을 설정하고 있으므로, 거꾸로 세트된 종균병의 입구부의 외부직경 크기와 몸체부의 외부직경 크기의 차에 의해 종균의 긁어내기량이 달라지는 일이 있거나, 또한 종균병 내의 종균 자체가 고체형상이므로, 종균의 긁어내기시에 긁어 내어지는 종균(톱밥)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그 결과 종균의 충전량에 편차가 생기는 일이 있고, 특히 종균의 충전량이 소정량 이하였던 경우, 종균의 균사가 재배용기 내에 번식하기 어렵고 배양일수가 소요되는 것이 예상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 종균의 긁어내기량을 예를 들어 광전센서 등을 사용하여 종균량을 검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센서나 그 부착부분의 오염 등에 의해 검출정밀도에 편차가 생길 우려도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컨테이너 내에 세로열과 가로열에 각각 복수개의 재배용기의 덮개를 덮개개폐수단에 의해 개방하고, 그 덮개 개방상태 그대로 컨테이너를 재배용기와 함께 전진이송시키면서 종균충전기구의 설치위치로 반송하고, 그 종균충전기구에 의해 긁어내어진 종균을 재배용기내에 충전하여 접종하며, 그 접종후에 상기 컨테이너를 후퇴이송하면서 덮개를 폐쇄하는 공정을 거쳐 일련의종균접종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재배용기의 덮개의 개방, 종균의 충전, 재배용기의 덮개의 폐쇄 등의 각 공정의 전환시에 시간이 소요되므로, 그 결과 종균접종시에서 덮개개방시간이 길어지면, 재배용기 내에 외부 분위기에 부유하는 잡균이 침입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접종작업효율을 높이면서 재배용기에 공급하는 종균의 공급량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안정된 종균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액상종균 접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버섯 재배용기 내에 충전한 배양기에 버섯의 종균을 접종하는 종균 접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액상종균 접종장치의 전체구성 개요도,
도 2는 도 1의 액상종균 접종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액상종균 접종장치의 덮개개폐기구와 액상종균 공급기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액상종균 공급기구의 분사노즐을 재배용기측을 향하여 하부로 동작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정면도,
도 5는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재배용기측을 향하여 이동한 후, 분사노즐로부터 액상종균을 분사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2에 대응하는 덮개개폐시에서의 액상종균 공급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3에 대응하는 덮개 개방시에서의 액상종균 공급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4에 대응하는 액상종균 공급기구의 분사노즐을 재배용기측을 향하여 접근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측면도,
도 9는 도 5에 대응하는 액상종균 공급기구의 분사노즐에 의한 액상종균의 분사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측면도,
도 10은 도 2에 대응하는 덮개개폐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덮개개폐기구에서의 가동협착부재의 작동상태(덮개 협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덮개 협착상태로부터 재배용기의 덮개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측면도,
도 13은 최전방열의 재배용기를 기준으로 하여 최전방열의 재배용기와 제 3열째의 재배용기에 각각 액상종균을 접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접종공정 개략도,
도 14는 제 2 열째의 재배용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 2 열째의 재배용기와 제 4열재의 재배용기에 각각 액상종균을 접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접종공정 개략도,
도 15는 컨테이너내에 수납되어 있는 모든 재배용기의 접종공정 종료후에서의 컨테이터 반송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액상종균 접종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제 2 실시예에서의 최전방열의 재배용기를 기준으로 하여 최전방열의 재배용기와 제 4 열째의 재배용기에 각각 액상종균을 접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접종공정 개략도,
도 18은 제 2 실시예에서의 제 2 열째의 재배용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 2 열째의 재배용기와 제 5 열째의 재배용기에 각각 액상종균을 접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접종공정 개략도,
도 19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제 3 열째의 재배용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 3 열째의 재배용기와 제 6 열째의 재배용기에 각각 액상종균을 접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접종공정 개략도 및
도 20은 제 2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내에 수용되어 있는 모든 재배용기의 접종공정 종료후에서의 컨테이너의 반송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발명에서는 재배용기를 가로세로로 복수정렬하여 수납한 컨테이너를 반입측으로부터 공급하고, 또한 상기 재배용기를 간헐이송하면서 반출측으로 컨테이너를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에 의해 간헐이송된 상기 컨테이너 내의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고, 또한 상기 가로 1열 단위를 1조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배치된 덮개개폐기구와, 상기 복수열의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덮개가 개방된 각각의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에 대해서 소정량의 액상종균을 상기 재배용기내에 각각 공급하는 복수열로 설치된 액상종균공급기구를 구비하여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내에 수납되어 있는 재배용기의 덮개가 가로 1열 단위이고, 또한 상기 가로 1열 단위를 1조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배열된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각각 개방되고, 상기 복수열의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덮개가 개방된 각각의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에 대해서 소정량의 액상종균이 재배용기 내에 복수열로 설치한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통하여 각각 공급되어 접종되고, 상기 접종후에 덮개가 개방되어 있는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를 1조로 한 복수열로 이루어진 상기 재배용기의 입구부에 복수열로 설치된 상기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덮개가 폐쇄되므로 충전접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반송기구의 간헐이송에 따라 접종되어 있지 않은 다른 가로 1열 단위를 1조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설치된 재배용기에 대해서 차례로 덮개개폐기구에 의한 덮개의 개방동작, 액상종균 공급기구에 의한 액상 종균의 접종동작, 덮개개폐기구에 의한 덮개의 폐쇄 동작을 일련의 반복작동에 의해 실시함으로써, 컨테이너내에 수납되어 있는 재배용기는 가로 1열 단위를 1조로 하여 복수열의 재배용기를 각각 연속하여 접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접종공정 완료후에서 상기 반송기구에 의해 컨테이너 내의 재배용기가 반출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청구범위 제 2 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덮개개폐기구를,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2열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개폐기구에 맞추어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2열로 설치하여 형성함으로써, 가로 1열 단위로 2열을 동시에 덮개를 개방하고, 2열로 설치한 액상종균 공급기구에 의해 액상종균을 충전 접종한 후, 상기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개방된 2열의 재배용기에 대해서 덮개를 폐쇄할 수 있고, 접종효율을 높이면서 잡균침입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 2 항에 있어서, 청구범위 제 3 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반송기구의 작동에 의해 간헐이송된 최전방열의 가로 1열 단위로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와, 제 3 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를 2열로 설치한 상기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개폐작동하고, 다음에 반송기구에 의해 간헐 이송된 재배용기의 제 2 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와, 제 4 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를 2열로 설치한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개폐작동하여 형성함으로써, 반송기구의 간헐 이송에 맞추어 컨테이너내의 재배용기에 액상종균을 효율좋게 접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 2 항에 있어서, 청구범위 제 4 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컨테이너내에 수납되는 재배용기의 가로열의 수를 짝수개(N)로 하고, 최전방열에 위치한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제 1 덮개 개폐기구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제 2 덮개개폐기구의 위치관계를, (N/2)+1의 세로열의 위치로 설정하여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내에 수용되는 재배용기의 세로열 수가 바뀌었다고 해도 덮개개폐기구의 설치위치를 재배용기의 세로열의 수에 맞추어 설정함으로써, 컨테이너내의 재배용기를 간헐 이송하면서 재배용기를 가로 1열 단위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동적으로 2열씩 접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 1 항에서 청구범위 제 4 항에 있어서, 청구범위 제 5 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덮개개폐기구의 개방동작과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상기 재배용기의 입구부 상에 이동하는 동작을 동기하여 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개폐기구의 폐쇄동작과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상기 재배용기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이동동작을 동기하여 작동하도록 하여 형성함으로써 액상종균의 접종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고, 재배용기의 덮개의 개방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잡균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범위 제 1 항에서 청구범위 제 5 항에 있어서, 청구범위 제 6 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덮개개폐기구의 덮개 개폐동작에 맞추어 덮개개폐기구를 재배용기의 덮개폐쇄위치와 덮개 개방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덮개개폐 구동기구와,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상기 재배용기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이탈한 위치와 재배용기의 입구부 상의 위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종균공급 구동기구를 겸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덮개 개폐 및 액상종균의 접종동작 등의 일련의 작동을 안정시켜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 1 항에서 청구범위 제 6 항에 있어서, 청구범위 제 7 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로 액상종균을 공급하기 위해, 액상종균을 저장하여 형성하는 종균수납용기를 구비함으로써, 액상종균을 종균수납용기로부터 차례로 공급할 수 있고 종균의 보충이나 교환작업이라는 번거로운 작업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접종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액상종균 접종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 1에서 도 15를참조하여 설명한다. 액상종균 접종장치 본체의 기틀(1)의 거의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반송기구(2)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기구(2)는 조작패널(3)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기동, 정지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틀(1)의 양단측에 각각 복수개의 스프로킷 휠(sprocket wheel)(4)이 축 지지되고, 기틀(1)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스프로킷 휠(4) 사이에 엔드리스의 체인(5)이 평행하게 놓여져있고, 구동원측이 되는 상기 스프로킷 휠(4)에는 모터(6)에 의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톱밥이나 쌀겨 등의 배양기(C)가 충전되어 덮개(7)로 밀봉된 재배용기(8)를 예를 들어 세로열 4개, 가로열 4개를 수납한 플라스틱제의 컨테이너(9)를 이송 시작단측에서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반송기구(2)의 체인(5) 상에 얹고, 상기 반송기구(2)를 시동시키면 체인(5)의 주행에 의해 컨테이너(9)를 이송 종단측을 향하여 반송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틀(1)에 설치된 반송기구(2)에 의해, 재배용기(8)를 가로세로로 복수 정렬하여 수납한 컨테이너(9)를 반입측으로부터 종균을 접종하는 영역으로 이송하고, 또한 그 종균의 접종영역에서 상기 컨테이너(9)와 함께 재배용기(8)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재배용기(8)가 적정한 종균접종영역에 도달했을 때 반송기구(2)를 통하여 보내어 오는 컨테이너(9)를 정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토퍼핀(10A)을 구비한 스토퍼 기구(10)가 설치됨과 동시에, 컨테이너(9)내의 재배용기(8)를 위치규정하면서 덮개(7)를 개폐 작동할 때 재배용기(8)를 위치결정유지 가능하게 하는 용기위치결정 기구(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9)를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컨테이너(9)의 스토퍼 기구(10)에 설치된 스토퍼핀(10A)의 간격은 컨테이너(9)내에 수납되어 있는 재배용기(8)의 세로열에 정렬된 재배용기(8)의 간격에 맞추어 2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 기구(10)의 각 스토퍼핀(10A)은 구동수단인 에어 실린더(10B)를 통하여 상하작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각 스토퍼핀(10A)이 각각 독립하여 반송기구(2)의 반송면에서 위쪽을 향하여 상시 탄발 부세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용기위치 결정기구(11)에 의해 종균접종영역에서 위치결정 배열된 재배용기(8)는 종균접종영역의 위쪽 위치에서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개폐 작동하는 덮개개폐기구(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9)내에 세로열 4개, 가로열 4개를 수납한 재배용기(8)의 최전방열 위치에 배열된 가로 1열 단위의 덮개(7)를 개폐 작동하기 위한 덮개 개폐 기구(12)와, 컨테이너(9)내의 최전방열을 기준으로 하여 3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개폐 작동하는 덮개개폐기구(12)가 2열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2열로 배열된 덮개개폐기구(12)의 작동에 의해 재배용기(8)의 최전방열 위치에 정렬된 가로 1열 단위의 덮개(7)와, 3열째에 정렬된 가로 1열 단위의 덮개(7)의 개방시에, 최전방열과 3열째에 정렬된 가로 1열 단위로 덮개(7)가 개방된 최전방열과 3열째에 정렬되어 있는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8)내의 배양기(C)에 대해서, 각각의 열 단위로 액상종균(B)을 2열로 배열한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통하여 분사하고, 상기 개방된 재배용기(8) 내에 액상종균(B)을 충전하여 접종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접종후에 덮개개폐기구(12)의 복귀작동에 의해 덮개(7)를재배용기(8)에 폐쇄한 후, 반송기구(2)에 의해 컨테이너(9)를 간헐적으로 이송하여 컨테이너(9)내의 재배용기(8)의 제 2 열째와 제 4 열째에 정렬되어 있는 재배용기(8)의 덮개(7)를 상기 2열로 배열된 덮개개폐기구(12)에 의해 개폐 작동함과 동시에, 동일하게 2열로 배열된 액상종균 공급기구(13)에 의해 액상종균(B)을 분사하여 재배용기(8)내에 접종하여 컨테이너(9)내에 수용되어 있는 모든 재배용기(8)의 배양기(C)에 대하여 접종이 완료된 후, 반송기구(2)에 의해 컨테이너(9)를 반출측으로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종균(B)을 재배용기(8)내에 공급하는 2열로 배열된 액상종균 공급기구(13)로서는 각각의 액상종균 공급기구(13)에는 상기 재배용기(8)가 통과하는 상방측에 위치하여, 상기 가로 1열의 갯수인 4개의 재배용기(8)와 동일수의 분사노즐(14)을 구비한 액상종균 분사실린더(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액상종균분사실린더(15)에는 각각 유연성을 갖는 파이프(16)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파이프(16)는 액상종균(B)을 수용하는 종균수납용기(17)측과 접속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액상종균 분사실린더(15)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액상종균(B)의 공급, 차단을 하기 위한 분사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개폐밸브의 개폐용으로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튜브(18)가 분사 노즐(14)을 구비한 액상종균 분사실린더(15)에 부착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균수납용기(17)로부터 액상종균(B)을 파이프(16)를 통하여 분사노즐(14)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컴프레서 등으로 이루어진 가압기체 공급기구(19)에 의해 필터(20)를 통하여종균수납용기(17)내에 에어압을 가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액상종균 분사실린더(15)의 내부에 설치된 액상종균(B)의 공급, 차단을 실시하는 분사개폐밸브를 작동하기 위해, 그 분사개폐밸브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등으로 이루어진 가압기체 공급기구(19A)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기체 공급기구(19A)와 분사개폐밸브가 설치된 액체종균 분사실린더(15)의 사이에 필터(20A)를 통하여 상기 튜브(18)가 접속됨과 동시에, 필터(20A)와 액체종균 분사실린더(15) 사이에 가압기체인 에어의 공급, 차단을 실시하는 전자밸브(D)를 개재하고 있다.
이 경우, 각 필터(20,20A)는 가압기체 공급기구(19,19A)로부터 송출되는 에어를 정화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종균수납용기(17)내에 잡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거나, 액상종균 분사실린더(15)의 내부에 잡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재배용기(8)의 가로 1열 단위의 갯수에 맞추어,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13)에 설치된 4개의 분사 노즐(14)을 구비한 액상종균 분사실린더(15)는, 각각 노즐고정부재(21)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플레이트 형상의 노즐부착부재(22)에 고정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노즐부착부재(22)는 지지 플레이트(2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3)는 에어 실린더(24)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24)는 실린더 지지판(25)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지지판(25)의 하단측에 부착하여 고정된 바퀴부(25A)가 본체 프레임(1)측에 설치된 안내 로드(26)를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균접종영역에서 2열로 배열된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개폐작동하는 각각의 상기 덮개개폐기구(12)로서는 본원 출원인이 앞에서 제안한 일본 특개평5-103542호 공보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로 1열에 위치 결정 배열된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그 윗면측 및 아랫면측으로부터 협착 가능하게 하는 쌍을 이루는 고정협착부재(27)와 협착 샤프트로 이루어진 가동협착부재(28)를 설치하고, 상기 가동협착부재(28)를 진퇴이동 가능하게 하고, 가동협착부재(28)와 고정협착부재(27) 사이에 가로 1열 단위의 각 덮개(7)를 협착 및 그 해제를 실시하는 협착부재 개폐수단이 되는 에어실린더(2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실린더(29)는 접동장치 본체의 기틀(1)의 폭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실린더 유지판(30)상에 부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 유지판(30)의 단부에 역 T자 형상의 링크암 부재로 이루어진 전달 이동수단(31)이 부착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 유지판(30)상에 부착된 고정협착부재(27), 가동협착부재(28) 및 에어 실린더(29)는 상기 링크암 부재(31)(전달이동수단(31)을 통하여 상기 재배용기(8)의 덮개폐쇄위치와 덮개개방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는 것이고, 이 경우 상기 링크암 부재(31)는 기틀(1)에 설치된 지지축(32)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기구(2)의 아래쪽에는 구동실린더(33)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실린더(33)에 설치된 로드(34)의 선단부가 상기 링크암 부재(31)의 단부에 원추형 접합되어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링크암 부재(31)의 단부측과, 상기 안내로드(26)를 따라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 지지판(25)에 부착 고정된 바퀴부(25A)측의 사이에 연결로드(35)의 양단부가 원추형 접합되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실린더(33)에 의해 덮개개폐기구(12)의 덮개 개폐동작에 따라서 덮개개폐기구(12)를 재배용기(8)의 덮개 폐쇄위치와 덮개 개방위치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덮개 개폐구동수단과,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상기 재배용기(8)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이탈한 위치와 재배용기(8)의 입구부상의 위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종균공급 구동수단을 겸용하여 구성하고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덮개개폐기구(12)의 개방동작과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상기 재배용기(8)의 입구부 상에 이동하는 동작이 동기하여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덮개개폐기구(12)의 폐쇄동작과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상기 재배용기(8)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이동동작이 동기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액상종균 접종장치에서 종균접종장치의 본체의 거의 중앙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개폐작동하는 덮개개폐기구(12)와,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8)내에 액상종균(B)을 분사하여 접종하는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1조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2조의 덮개개폐기구(12)와 액상종균 공급기구(13)가 설치되고, 다시 말하면 종균접종영역에는 2열로 배열된 덮개개폐기구(12)와, 2열로 배열된 액상종균 공급기구(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대칭으로 설치하지 않고 동일형태의 덮개개폐기구와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1조로 하여 2그룹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액상종균 접종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소정수의 덮개(7) 부착의 재배용기(8)를 수납한 컨테이너(9)를 반송기구(2)상에 얹고 컨테이너(9)를 이송하고, 상기 컨테이너(9)가 종균접종영역에 도달하면, 반송기구(2)의 반송면상에 대해서 출몰 가능하게 상하작동하는 스토퍼 기구(10)에 설치된 스토퍼핀(10A)에 의해 컨테이너(9)의 전단측이 위치 규제되어 정지 유지되고, 상기 정지시에서 컨테이터(9)의 위치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검지하면, 일련의 접종공정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를 참조). 또한, 이 경우 용기위치 결정기구(11)에 의해 사전에 컨테이너(9) 내의 재배용기(8)의 어깨부를 위치규제하거나 또는 접종시에서 일련의 접종공정과 연동시켜 덮개(7)를 개폐작동할 때에 재배용기(8)를 위치 결정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재배용기(8)의 위치결정 고정시에, 에어 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도 10의 상태로부터 도 11의 상태로 이행하고, 최전방열에 위치한 가로 1열에 위치 결정 배열된 재배용기(8)의 덮개(7)와, 제 3 열째에 위치한 가로 1열 단위에 위치 결정 배열된 재배용기(8)의 덮개(7)가, 각각의 가동협착부재(28)에 의해 그 윗면으로부터 억압되고, 아랫면에 설치된 고정협착부재(27)와 상기 가동협착부재(28) 사이에서 덮개(7)가 협착 유지된다.
다음에, 용기위치 결정기구(11)에 의한 위치결정이 실시되고, 덮개(7)가 협착유지된 후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33)의 작동에 수반하여 지지축(32)을 기점으로 하여 링크암 부재(31)가 로드(34)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동하고, 상기 링크암 부재(31)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개폐기구(12)에 의해 덮개(7)가 덮개 개방위치까지 회동하고, 상기 덮개개방동작에 동기하여 링크암 부재(31)의 단부에부착된 연결로드(35)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 지지판(25)에 부착하여 고정된 바퀴부(25A)가 상기 본체 프레임(1)측에 설치된 안내로드(26)를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실린더 지지판(25)의 이동에 의해 액상 종균공급기구(13)에 설치된 4개의 분사노즐(14)은 재배용기(8)의 입구부 위치, 즉 덮개(7)를 떼어낸 재배용기(8)의 바로 위에 이행된다(도 3, 도 7, 도 12 등을 참조).
계속해서, 에어 실린더(24)의 동작에 의해 분사노즐(14)이 재배용기(8)의 입구부 위치로 접근 또는 그 입구부 내에 삽입 배치된다(도 4, 도 8을 참조).
그 후, 도 5, 도 9 및 도 1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개폐기구(12)에 의한 재배용기(8)의 덮개(7)의 개방시에, 덮개(7)가 개방된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8)내의 배양기(C)에 대하여 열 단위로 액상종균(B)이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통하여 분사되고, 상기 개방된 재배용기(8)내에 액상 종균(B)이 충전되어 접종된다.
이 때, 종균수납용기(17)내에는 컴프레서 등으로 이루어진 가압기체 공급기구(19)에 의해 공기압을 가함으로써 종균수납용기(17) 내의 내압이 높아지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상종균(B)이 분사노즐(14)측의 파이프(16)로 압출되고, 액상종균(B)의 분사시, 즉 도시하지 않지만 분사노즐(14)의 내부에 설치된 분사개폐밸브를 개방, 차단을 실시하기 위해 튜브(18)에 가압기체 공급기구(19A)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분사개폐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액상종균(B)이 분사노즐(14)로부터 분사된다.
액상종균(B)이 분사노즐(14)에 의해 소정량 충전된 후, 상기 에어실린더(24)의 복귀작동에 의해 분사노즐(14)이 재배용기(8)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멀어지고, 그 후 구동 실린더(33)의 로드(34)의 복귀작동에 의해 분사노즐(14)이 재배용기(8)의 위치로부터 퇴피(退避) 이동하여 복귀함과 동시에, 덮개개폐기구(12)의 회전복귀작동에 의해 액상종균(B)이 접종된 가로 1열의 재배용기(8)의 덮개(7)가 감긴다.
따라서, 상기 덮개개폐기구(12)와 액상종균 공급기구(13)에 의한 일련의 공정을 차례로 작동함으로써 종균접종영역에서 컨테이너(9)의 이송방향에 대해서 최전방열의 재배용기(8)와 제 3 열째의 재배용기(8)를 각각 가로 1열 단위로 접종할 수 있다.
그리고, 최전방열의 재배용기(8)를 기준으로 하는 일련의 접종공정이 종료되면, 컨테이너(9)의 전단부를 정지 유지하고 있던 스토퍼핀(10A)이 에어실린더(10B)를 통하여 일단 아래쪽으로 내려간 후 위쪽으로 복귀작동함과 동시에, 반송기구(2)가 작동함으로써 컨테이너(9)가 반출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컨테이너(9)의 이송동작에 의해, 최초로 컨테이너(9)의 전단부를 정지 유지하고 있던 스토퍼핀(10A)도 위쪽으로 복귀작동하려고 하지만 컨테이너(9)의 반송작동에 의해 지금까지 정지유지하고 있었던 스토퍼핀(10A)은 상기 상단부분이 컨테이너(9)의 저면부분에 충돌한다. 그러나, 스토퍼핀(10A)의 위쪽으로의 탄발부세력을 약하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컨테이너(9)의 반송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는 것이고, 스토퍼 기구(10)의 다음의 열에 설치된 다른 스토퍼핀(10A)에 의해 컨테이너(9)의 전단측이 정지 유지된다.
또한, 컨테이너(9)의 정지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개폐기구(12)와 액상종균 접종기구(13)에 의해 재배용기(8)의 제 2 열째를 기준으로 하는 일련의 접종공정이 실시됨으로써 제 2 열째의 재배용기(8)와 제 4 열째의 재배용기(8)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종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컨테이너(9) 내의 재배용기(8)의 모두를 접종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9)내에 수용되어 있는 모든 재배용기(8)의 접종공정이 종료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기구(10)의 스토퍼핀(10A)을 에어 실린더(10B)에 의해 일단 아래쪽을 향한 후에 위쪽으로 복귀 작동하고, 또한 반송기구(2)에 의해 접종이 끝난 재배용기(8)를 수용한 컨테이너(9)가 반출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새롭게 접종을 실시하는 재배용기(8)를 수납한 컨테이너(9)가 반송기구(2)의 반입측으로부터 공급됨으로써 연속하여 접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8)에 대해서 차례로 복수열(실시예에서는 2열)로 배열한 덮개개폐기구(12)에 의한 덮개(7)의 개방동작, 액상종균 공급기구(13)에 의한 액상종균(B)의 접종동작, 덮개개폐기구(12)에 의한 덮개(7)의 폐쇄동작의 반복 작동에 의해 컨테이너(9) 내에 수납된 재배용기(8)를 가로 1열 단위로 연속하여 접종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액상종균(B)의 접종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가로 1열을 열단위로 하여 재배용기(8)의 덮개(7)의 개폐동작과 접종동작을 실시하므로, 재배용기(8)의 덮개(7)의 개방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잡균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도 16에서 도 20은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제 1 실시예와 기본형태는 거의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고, 기틀(1)의 거의 중앙위치에는 재배용기(8)를 가로세로로 복수정렬하여 수납한 컨테이너(9)를 반입측으로부터 종균을 접종하는 영역으로 이송하고, 그 종균의 접종영역에서 상기 컨테이너(9)와 함께 재배용기(8)를 반송기구(2)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9)내에는 재배용기(8)가 세로열 6개, 가로열 4개 정렬하여 수납되어 있고, 상기 재배용기(8)가 적정한 종균접종영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반송기구(2)를 통하여 보내어 오는 컨테이너(9)를 정지하는 스토퍼 기구(10)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기구(10)에는 스토퍼핀(10A)을 반송방향에 대해서 3열로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3열로 나열된 각각의 스토퍼핀(10A)의 간격은 컨테이너(9)내에 수납되어 있는 재배용기(8)의 세로열에 정렬된 재배용기(8)의 간격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스토퍼핀(10A)은 반송기구(2)의 위쪽을 향하여 각각이 독립하여 상시 탄발 부세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동수단인 에어실린더(10B)를 통하여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9)내에 세로열 6개, 가로열 4개를 수납한 재배용기(8)의 최전방열 위치에 배열된 가로 1열 단위의 덮개(7)를 개폐 작동하기 위한 덮개 개폐기구(12)와, 컨테이너(9)내의 최전방열을 기준으로 하여 4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개폐 작동하는 덮개개폐기구(12)가 2열로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2열로 배열된 상기 덮개개폐기구(12)에 맞추어, 재배용기(8)의 최전방열 위치와, 컨테이너(9)내의 최전방열을 기준으로 하여 4열째 위치에 액상종균(B)을 분사하여 접종하기 위한 종균공급기구(13)가 2열로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액상종균 접종장치에서,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개폐작동하는 덮개개폐기구(12)와,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8)내에 액상종균(B)을 분사하여 접종하는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1조로 하여 동일한 형태의 덮개개폐기구 개방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잡균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9)내에 수납하는 재배용기(8)의 수로서 제 1 실시예에서는 세로열 4개, 가로열 4개로 하고, 제 2 실시예에서는 세로열 6개, 가로열 4개로서 설정하고 있던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 재배용기나 덮개의 크기, 형상 또는 컨테이너의 크기나 형태 등의 차이에 의해, 그 컨테이너내에 수납되는 수가 다른 것이 있지만, 상술한 각 실시예와 같이 가로 1열 단위로 2열로 배열하는 덮개개폐기구(12)에 있어서는 본원 발명에 의한 액상종균 접종장치에서의 컨테이너(9)내에 수용되는 수로서 가로열에 대해서는 짝수개(N)가 바람직하다.
즉, 2열에 의한 덮개개폐기구(12) 또는 액상종균 공급장치(13)에서는, 항상 짝수열씩 접종작업이 실시되므로, 접종처리를 위해 배열하는 세로열의 수도 짝수개(N)에 맞춤으로써 전환작동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고, 만약 재배용기(8)의 수가 홀수개였던 경우, 컨테이너(9)내에서의 최종공정시에서의 최후미측에서 동작하는 액상종균 공급기구(13)의 분사작동만을 정지시킴으로써 조달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와 같이, 2열로 배열하는 덮개개폐기구(12)에 있어서는 컨테이너(9)내에 수납되는 재배용기(8)의 세로열의 수를 짝수개(N)로 하고, 최전방열에 위치한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제 1 덮개개폐기구(12)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제 2 덮개개폐기구(12)의 위치관계를, (N/2)+1의 세로열의 위치에 설정하여 형성됨으로써, 컨테이너(9)내에 수용되는 재배용기(8)의 세로열의 수가 바뀌었다해도, 덮개개폐기구(12)의 설치위치를 재배용기(8)의 세로열의 수, 예를 들어 N=8개였던 경우, 제 2 덮개개폐기구(12)의 설치위치를 (8/2)+1=5 즉 5열째에 상당하는 재배용기(8)의 위치에 맞추어 설정함으로써 컨테이너(9)내의 재배용기(8)를 간헐 이송하면서 재배용기(8)를 가로 1열 단위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동적으로 2열씩 접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고, 실시예에서는 최전방열에 위치한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8)를 기준으로 하여 접종하기 위해, 반송기구(2)에 의해 컨테이너(9)를 송출하면서 간헐적으로 이송, 정지를 설정하는 수단으로서 컨테이너(9)의 전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정지하는 스토퍼 기구(10)에 의해 컨테이너(9)를 정지하도록 했지만, 예를 들어 상기 스토퍼 기구(10)를 사용하지 않고 반송기구(2)의 작동을 모터의 회전제어만으로 반송기구(2)의 정지위치를 산출해 내도록 설정해도 좋은 것이다.
또한, 종균의 접종영역에서 재배용기(8)를 소정위치에 정지하는 검출수단으로서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9)의 전단부의 위치를 검출 센서에서 판독하여 반송기구(2)의 작동제어를 실시하고 있었지만, 예를 들어 재배용기(8)가 반송되어 오는 위치관계로 검출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검출센서에서 재배용기(8)를 검지하여, 그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종균접종영역에 재배용기(8)가 도달된 시점에서 반송기구(2)의 이송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컨테이너(9)내의 재배용기(8)를 위치 규정하면서 덮개(7)를 개폐작동할 때에 재배용기(8)를 위치 결정 유지 가능하게 하는 용기위치 결정기구(11)가 설치되어 있지만, 그 위치결정수단으로서 재배용기(8)의 어깨부를 눌러 유지하는 레일형상의 유지부재이어도 좋고, 암형상의 누름판을 가동적으로 설치해도 좋은 것이고, 적어도 덮개(7)의 개폐작동시에서 재배용기(8)의 규정유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면 좋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덮개개폐기구(12)로서는 가로 1열에 위치 결정 배열된 재배용기(8)의 덮개(7)를 그 윗면 및 아랫면으로부터 협착 가능한 쌍을 이루는 고정협착부재(27) 및 협착 샤프트로 이루어진 가동협착부재(28)를 설치하고, 가동협착부재(28)를 전진후퇴시켜 상기 가동협착부재(28)와 고정협착부재(27)간에 가로 1열 단위의 각 덮개(7)를 협착 및 그 해제를 실시하는 에어실린더(29)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협착조로 이루어진 덮개개폐기구를 적용함과 동시에, 덮개(7)를 재배용기(8)에 대해서 이탈하기 위해 덮개체 상하작동 이동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덮개체 상하작동 이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이탈한 덮개(7)를 재배용기(8)의 덮개폐쇄위치와 덮개개방위치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재배용기(8)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이탈된 위치와, 재배용기의 입구부 상의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킬 때, 실시예에서는 덮개개폐기구(12)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액상종균 공급기구(13)에 설치된 분사노즐(14)을 구동 실린더(33)의 작동에 의해 안내 로드(26)를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재배용기(8)의 바로 위쪽 위치로부터 재배용기(8)로 접근, 이반(離反)하도록 에어실린더(2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구조만을 채용해도 좋은 것이고, 또한 컨테이너(9)내에 수용되어 있는 재배용기(8)의 가로 1열 단위에서의 종균접종영역의 위치관계에 맞추어 재배용기(8)의 바로 위쪽 위치에서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상하작동하는 구조를 채용해도 좋은 것이고, 그 때 덮개개폐기구(12)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정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보수, 점검 또는 살균처리를 위해 액상종균(B)을 공급하는 측인 분사노즐(14)이나 파이프(16), 튜브(18) 등은 부품교환작업 또는 세정작업, 소독작업 등을 실시할 필요(경우)가 있으므로, 착탈 손잡이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간단하게 수동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재배용기(8)의 높이, 크기, 컨테이너(9)내에 수납되는 위치관계 등에 맞추어 분사노즐(14)의 설세트위치를 조정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재배용기(8)내에 액상종균(B)을 양호하게 분사시켜 접종할 수 있다.
또한, 종균수납용기(17)내의 액상종균(B)이 없어졌을 때는 액상종균(B)이 충전되어 있는 별도의 종균수납용기(17)에 튜브나 파이프 등을 전환하여 접속함으로써 종균수납용기(17)의 교환작업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종균수납용기(17)를 준비하고, 종균수납용기(17)내의 액상종균(B)이 없어졌을 때, 밸브의 전환에 의해 간단하게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덮개개폐기구(12)를 재배용기(8)의 덮개 폐쇄위치와 덮개 개방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덮개 개폐구동수단과, 액상종균 공급기구(13)를 재배용기(8)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이탈한 위치와 재배용기(8)의 입구부 상의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액상종균 공급구동수단을 겸용하여 구동실린더(33)에 의해 구성하고 있었지만, 각각의 구동수단을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좋은 것이고, 또한, 그 구동수단으로서 캠 기구나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사용하여 작동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재배용기를 가로세로로 복수 정렬하여 수납한 컨테이너를 반입측으로부터 공급하고, 또한 상기 재배용기를 간헐 이송하면서 반출측으로 컨테이너를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에 의해 간헐 이송된 상기 컨테이너내의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 작동하고, 또한 상기 가로 1열 단위를 1조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설치된 덮개 계폐기구와, 상기 복수열의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덮개가 개방된 각각의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에 대해서 소정량의 액상종균을 상기 재배용기 내에 각각 공급하는 복수열로 설치된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종균 접종장치이고,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를 1조로 하여 복수열의 덮개개폐기구에의해 덮개가 개방된 각각의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에 대해서 소정량의 액상종균이 재배용기 내에 복수열로 배열된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통하여 각각 공급되어 접종되고, 상기 접종후에 덮개가 개방되어 있는 상기 재배용기의 입구부에 복수열로 배열된 상기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덮개가 폐쇄되므로, 액상종균의 충전접종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덮개의 개방시간을 크게 단축함으로써 잡균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반송기구의 간헐 이송에 따라서 접종되어 있지 않은 다른 가로 1열 단위를 1조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설치된 재배용기에 대해서 차례로 덮개개폐기구에 의한 덮개의 개방동작, 액상종균 공급기구에 의한 액상종균의 접종동작, 덮개개폐기구에 의한 덮개의 폐쇄동작을 일련의 반복작동에 의해 실시함으로써 컨테이너 내에 수납되어 있는 재배용기는, 가로 1열 단위를 1조로 하여 복수열의 재배용기를 각각 연속하여 접종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접종공정 완료후에 상기 반송기구에 의해 컨테이너 내의 재배용기를 반출측으로 양호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덮개개폐기구를,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2열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개폐기구에 맞추어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2열로 설치하여 형성함으로써, 가로 1열 단위로 2열을 동시에 덮개를 개방하고, 2열로 설치한 액상종균 공급기구에 의해 액상종균을 충전 접종한 후, 상기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개방된 2열의 재배용기에 대해서 덮개를 폐쇄할 수 있고, 접종효율을 높이면서 잡균침입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반송기구의 작동에 의해 간헐 이송된 최전방열의 가로 1열 단위로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와, 제 3 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를 2열로 설치한 상기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개폐작동하고, 이어서 반송기구에 의해 간헐 이송된 재배용기의 제 2 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와, 제 4 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를 2열로 설치한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개폐작동하여 형성됨으로써 반송기구의 간헐 이송에 맞추어 컨테이너 내의 재배용기에 액상종균을 효율좋게 접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테이너 내에 수납되는 재배용기의 세로열의 수를 짝수개(N)로 설정한 경우,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제 1열째의 덮개개폐기구를 기준으로 하여,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제 2 열째의 덮개개폐기구의 위치관계를 (N/2)+1의 세로열의 위치로 설정하여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내에 수용되는 재배용기의 세로열의 수가 바뀌었다고 해도 덮개개폐기구의 설치위치를 재배용기의 세로열의 수에 맞추어 설정함으로써 컨테이너내의 재배용기를 간헐 이송하면서 재배용기를 가로 1열 단위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동적으로 2열씩 접종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개폐기구에 의한 덮개의 개방동작에 따라서 액상종균 공급기구가 재배용기의 입구부상에 동기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다음에 액상종균 공급기구에 의해 액상종균을 재배용기에 공급한 후, 덮개개폐기구에 의한 덮개의 폐쇄동작과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상기 재배용기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이동동작을 동기하여 작동함으로써 액상종균의 접종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고, 재배용기의 덮개의 개방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잡균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덮개개폐기구의 덮개 개폐동작에 따라서 덮개개폐기구를 재배용기의덮개 폐쇄위치와 덮개 개방위치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덮개 개폐구동기구와,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재배용기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이탈한 위치와, 재배용기의 입구부 상의 위치와의 왕복이동시키는 종균공급 구동기구에 의해 덮개 개폐 및 액상종균의 접종동작 등의 일련의 동작을 안정시켜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로 액상종균을 공급하기 위해, 액상종균을 저장하여 형성된 종균수납용기를 구비함으로써 액상종균을 종균수납용기로부터 차례로 공급할 수 있고, 종균의 보충이나 교환작업이라는 번거로운 작업의 횟수를 종래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고, 종균의 공급을 안정시켜 접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종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내에 가로세로로 재배용기가 배열되고, 그 가로세로로 배열된 재배용기의 내부의 배양기에 버섯류의 종균을 접종하는 종균접종장치에 관해, 예를 들어 팽이 버섯, 만가닥 버섯, 잎새 버섯, 표고 버섯, 원형 느타리 버섯 등의 버섯류의 종균으로서 액상의 종균을 사용함과 동시에, 컨테이너 내에는 가로세로로 재배용기를 배열한 상태에서, 그 컨테이너내의 가로 1열 단위를 1조로 하여 복수의 열을 동시에 접종 가능하게 하는 종균접종장치를 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접종작업효율을 높이면서 재배용기내에 공급하는 액상종균의 공급량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안정된 종균의 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액상종균 접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재배용기를 가로세로로 복수 정렬하여 수납한 컨테이너를 반입측으로부터 공급하고, 또한 상기 재배용기를 간헐 이송하면서 반출측으로 컨테이너를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에 의해 간헐 이송된 상기 컨테이너내의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 작동하고, 또한 상기 가로 1열 단위를 1조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설치된 덮개개폐기구와, 상기 복수열의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덮개가 개방된 각각의 가로 1열 단위의 재배용기에 대해서 소정량의 액상종균을 상기 재배용기 내에 각각 공급하는 복수열로 설치된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종균 접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덮개개폐기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2열로 배열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개폐기구에 맞추어서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2열로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종균 접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의 작동에 의해 간헐 이송된 최전방열의 가로 1열 단위로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와, 제 3 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를 2열로 설치한 상기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개폐작동하고, 다음에 반송기구에 의해 간헐 이송된 재배용기의 제 2 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와, 제 4 열째에 정렬된 재배용기의 덮개를 2열로 설치한 덮개개폐기구에 의해 개폐작동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종균 접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내에 수납되는 재배용기의 세로열의 수를 짝수개(N)로 하고,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제 1 열째의 덮개개폐기구를 기준으로 하여, 재배용기의 덮개를 가로 1 열 단위로 개폐작동하는 제 2 열째의 덮개개폐기구의 위치관계를 (N/2)+1의 세로열의 위치에 설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종균 접종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개폐기구의 덮개 개방동작과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상기 재배용기의 입구부상에 이동시키는 동작을 동기하여 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개폐기구의 폐쇄동작과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상기 재배용기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이동동작을 동기하여 작동하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종균 접종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개폐기구의 덮개 개폐동작에 따라서 덮개 개폐기구를 재배용기의덮개 폐쇄위치와 덮개 개방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덮개 개폐구동기구와, 액상종균 공급기구를 재배용기의 입구부 위치로부터 이탈한 위치와 재배용기의 입구부상의 위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종균공급 구동기구를 겸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종균 접종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종균 공급기구로 액상종균을 공급하기 위해 액상종균을 저장하여 이루어진 종균수납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종균 접종장치.
KR1020027010570A 2000-12-19 2001-12-03 액상종균 접종장치 KR20020079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89972 2000-12-19
JP2000389972A JP2002186354A (ja) 2000-12-19 2000-12-19 液状種菌接種装置
PCT/JP2001/010562 WO2002049416A1 (fr) 2000-12-19 2001-12-03 Dispositif permettant l'ensemencement avec du mycelium liq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855A true KR20020079855A (ko) 2002-10-19

Family

ID=1885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570A KR20020079855A (ko) 2000-12-19 2001-12-03 액상종균 접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186354A (ko)
KR (1) KR20020079855A (ko)
CN (1) CN1404358A (ko)
WO (1) WO20020494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80B1 (ko) * 2010-09-10 2011-06-09 신근영 버섯종균 접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2203A (zh) * 2012-08-30 2013-03-20 上海雪榕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降低栽培瓶污染率的接种操作方法
CN103141304B (zh) * 2013-03-26 2014-05-14 连云港国鑫食用菌成套设备有限公司 袋栽食用菌菌包全自动液体接种机
CN103250569B (zh) * 2013-06-07 2014-05-07 淮海工学院 一种自动间歇式食用菌液体菌种接种系统
CN104718994B (zh) * 2015-04-12 2017-06-06 连云港国鑫食用菌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适用于菌棒的自动接种机
CN104737821A (zh) * 2015-04-22 2015-07-01 荆门市仙居乡廖梅子香菇种植专业合作社 一种食用菌开放式移动接种工艺
CN107135811B (zh) * 2017-06-14 2022-09-23 福建海源三维高科技有限公司 一种菌棒装料机构及食用菌菌棒加工机
CN109964737B (zh) * 2019-04-29 2023-06-02 大连富森智能科技有限公司 液体菌种智能定位净化传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08B2 (ja) * 1987-04-14 1995-03-22 株式会社近藤製作所 自動接種装置
JPH0523517Y2 (ko) * 1988-05-25 1993-06-16
JP2714827B2 (ja) * 1988-10-24 1998-02-16 株式会社イシダ 種菌充填装置
JP2661625B2 (ja) * 1991-10-11 1997-10-08 日本精機株式会社 きのこ種菌接種装置
JP2000125660A (ja) * 1998-10-16 2000-05-09 Compex Co Ltd 茸の自動植菌方法
JP2000175559A (ja) * 1998-12-15 2000-06-27 Ogiwara Seiki Kk 液体状種菌接種機
JP2001251958A (ja) * 2000-03-15 2001-09-18 Ogiwara Seiki Kk きのこ種菌接種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80B1 (ko) * 2010-09-10 2011-06-09 신근영 버섯종균 접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49416A1 (fr) 2002-06-27
JP2002186354A (ja) 2002-07-02
CN1404358A (zh)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482B1 (ko) 승강 식 버섯 종균 액 접종 기 및 이를 포함하는 버섯 종균 액 자동 정량분사 접종 장치
KR20020079855A (ko) 액상종균 접종장치
KR20020064921A (ko) 액상 종균접종장치
CN114868651B (zh) 一种金线莲种植用幼苗培育装置
JP2002051639A (ja) きのこの液体種菌の製造方法及び液体種菌の接種装置
KR100413516B1 (ko) 액체 버섯종균 자동접종장치
JP2017158501A (ja) きのこ種菌接種機
KR20000068790A (ko) 종균접종장치
KR100344031B1 (ko) 종균접종장치의종균용기공급기구
JP2890357B1 (ja) 種菌掻き取り装置
JP2002320411A (ja) 種菌接種装置
JP2002199815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JP2004180504A (ja) 液状種菌接種装置における殺菌処理方法および殺菌処理装置
JP2002354940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JP2003009657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JP2004057048A (ja) 種菌接種装置
JP2002291333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JP2002186355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CN113099916A (zh) 一种新型大豆新品种幼苗培育装置
KR101920162B1 (ko) 버섯 종균액 자동 접종 장치
JP3306841B2 (ja) 仮植装置
JP2003164224A (ja) 液状種菌接種方法およびその接種装置
JP2004180538A (ja) 液状種菌の接種方法およびその接種装置
JPH0870698A (ja) 人工榾木の植菌方法およびその植菌装置
JP2002223634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