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499A -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 Google Patents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499A
KR20020070499A KR1020027009384A KR20027009384A KR20020070499A KR 20020070499 A KR20020070499 A KR 20020070499A KR 1020027009384 A KR1020027009384 A KR 1020027009384A KR 20027009384 A KR20027009384 A KR 20027009384A KR 20020070499 A KR20020070499 A KR 20020070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rotective film
sleeve
connecting cylind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050B1 (ko
Inventor
코바야시타츠야
스즈키에이지
Original Assignee
스즈키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Buffers therefor
    • F16L55/052Pneumatic reservoirs
    • F16L55/053Pneumatic reservoirs the gas in the reservoir being separated from the fluid in the pipe
    • F16L55/054Pneumatic reservoirs the gas in the reservoir being separated from the fluid in the pipe the reservoir being placed in or around the pipe from which it is separated by a sleeve-shaped membr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 Y10T137/3118Surge 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탄성완충체의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 탄성완충체로의 수밀성을 탄성특성을 갖는 보호막 통체로 높인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이다. 수도관 등의 유로 R의 중간에 유입측 접속통체(1)와 유출측 접속통체(3)를 연결하여 직렬배치하고, 이 중심통공(1C)(3C)에 슬리브(5)의 양단을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의 벽면에 뚫린 소공(5E)의 외주측에 공간을 통해 보호막 통체(7)가 포위됨과 동시에 그 양단 플랜지부(7A)(7B)를 유입측 접속통체(1)와 유출측 접속통체(3)와의 오목면좌(1D)(3D)와, 슬리브의 양단부근의 볼록면좌(5C)(5D)로 협지하고, 또한 슬리브(5)의 소공외주측에 배치하는 보호막 통체(7)의 외주측에 탄성완충체(8)를 배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SERIALLY CONNECTED FLUID HAMMER PREVENTER}
종래부터 급수급탕 시스템이나 액격기기의 관로내에서 발생하는 액격현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액격방지기가 보급되고 있다. 상기 액격방지기의 형식에는 수도배관등의 관로중간에서 분기하여 접속하는 분기타입과, 배관시스템에 연결부 형태로서 직렬배치되는 배관세워붙이는 타입이 있다.
특히 전자는 일본국 특허제 2908998호에 보는 것과 같이 오리피스와 보호막과 완충체를 대향시키고 또한 완충체에 실리콘 수지에 유탄성중공필러를 혼합한 신턱틱폼을 사용하며, 오리피스와 2단계적으로 배치한 것이 뛰어난 압력변동 흡수작용을 나타내고, 워터햄머(수격) 방지기로서 시장에 제품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그러나 현 상태의 분기타입은 배관경로에 대해 수직방향의 돌출물로서, 외관이나 의장성을 손상시킴과 동시에 일정 이상의 부착공간과 분기부재의 추가필요 등 시공면에서의 단점도 크다. 그 때문에 급수급탕 시스템이나 유체기기의 콤팩트화와 원가저감의 요청에 응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수격으로의 관심이 높아지고, 상기 분기타입의 제품이 보급됨에 따라 콤팩트하게 부착할 수 있는 액격방지기로서 배관시스템에 직렬배치시키는 배관세워붙이는 타입이 최근 주목되었다. 이 배관세워붙이는 타입의 아이디어로서는 도 17과 같이 일본국 특개평 3-186691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2-253099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평 6-147391호 공보, 일본국 실개평 7-28296호 공보에 보는 것이 미리 제안되고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평 3-186691호 공보중, 도 2에 기재된 액격방지기는 도 17(A)과 같이 입상(立上)관(3)의 중간, 바람직하게는 밸브(2)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는 중계관(8)의 내주면에 완충재(7)를 안으로 뻗도록 한 경우로, 중계관(8) 양단의 접속부(9)(10)사이의 내경을 입상관(3)의 내경보다 소정치수 대경으로 형성하고, 이 내주면에 완충재(7)가 안으로 뻗도록 되어있으며 그 내주면의 전 면이 수압면이 되고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2-253099호 공보중 도 1에 기재된 액격방지기에 대해서도 도 17(B)와 같이 압력완충체(2)와 케이싱(3)과 관연결부(4)(5)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완충체(2)는 원통부(6)와 그 주위에 형성한 완충실(7)로 이루어진다. 원통부(6)는 고무모양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압력파 완충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액격방지기는 모두 관로의 중간에 내경을 부풀게 한 완충실을 배치하고, 이 완충실에 원통모양의 완충체를 장착시키며, 완충체의 중심에 관통한 압력전파경로에 직접대상유체를 유통시킨 것이다. 이 때문에 압력변동은 오리피스부를 1개소도 지나지 않고 완충부에 직접 공급되는 것으로 압력변동에 따른 용적이 필요하게 되므로 실사용상의 용적에서는 충분한 압력변동 흡수작용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도 17(C)와 같이 일본국 특개평 6-147391호 공보중, 도 3에 기재된 액격방지기는 배관(a)의 중간에 연결부 관모양으로 접속하는 통모양의 케이스(3)의 내면측에 고무재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튜브(30)를 내통상(內筒狀)으로 끼워 장착하고, 그 튜브(30)의 외주면과 상기 통모양 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에 스폰지(31)를 장입해 두어 배관(a)내에 압력변동이 발생했을 때 튜브(30)가 스폰지(31)를 밀어누르면서 확장하여 압력변동(압력파)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 방식에 의하면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스폰지(31)는 튜브(30)에 의해 보호되므로 완충체의 내구성은 기대할 수 있지만 압력변동은 소공을 지나지 않고 튜브(30)를 통해 완충부에 직접 공급되는 것으로 압력변동에 따른 용적이 필요하게 되므로 실사용상의 용적에서는 변동흡수작용이 일부적인 것이 되고, 압력변동 흡수작용이 불완전하다는 문제점이 해소되지 않는다.
또 도 17(D)와 같이 일본국 특개평 7-28296호 공보중, 도 4(C)에 기재된 것은 관벽(52a)에 구멍(53)을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압력변동이 오리피스부를 거쳐 압축성 기체로 구성된 완충부에 작용하므로 충분한 압력변동 흡수작용을 얻을 수 있지만 압축성 기체로 구성된 완충부에 충전되는 압축성 기체가 경시적으로 유출하므로 내구성에 불안이 있다.
즉 배관세워붙이는 타입의 액격방지기에 있어서도 유로에 연결되는 소공과, 이 소공과 공간을 통해 외주에 대면하는 보호막 통체와, 보호막 통체의 외주에 배치한 완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생각되지만 이와같은 구성을 취하고자 할 때 완충체의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을 장기간 유지하는 데다 어떻게 하여 이 구성을 저가로 또한 간소하게 취할 지가 최대의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은 급수급탕 시스템이나 액체기기 등의 배관경로에 직렬배치되는 연결부형태의 액격방지기에 관하며, 탄성보호막에 의해 탄성완충체의 수밀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변환효율을 장기간 유지하는 고내구성을 발휘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작용면도이다.
도 6은 오목구면좌와 플랜지부의 외측면과의 곡율반경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부착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부착예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부착예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부착예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부착예의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일부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일부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하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와 종래형의 내구성능을 도시하는 특성선도이다.
도17은 종래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유로에 연결된 소공과, 소공에 공간을 통해 대면하는 보호막 통체와, 보호막 통체의 외주에 배치한 탄성완충체로 이루어지고, 탄성완충체의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 보호막 통체에 의해 수밀성을 높여 압력변동 흡수작용 혹은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을 향상시킨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는 관로의 중간에 직렬접속하는 유입측 접속통체와, 유출측 접속통체로 통상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와 유출측 접속통체와의 각 중심위치에 관로내의 유로와 연통하는 중심통공을 천설한 상호 대면하는 오목면좌를 형성하고, 상기 양 오목면좌의 중심통공 사이에 통모양의 슬리브의 양단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양단부 부근에 팽출형성한 볼록면좌를 상기 오목면좌와 간극을 남겨 대치시키며, 상기 슬리브의 외주측에 탄성특성을 갖는 보호막 통체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양 간극에서 보호막 통체의 양단에 내경측에 접어넣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압축. 협지시키고, 상기 슬리브의 벽면의 소공을 통해 슬리브와 보호막 통체의 내주측에서 형성하는 압력변동 예비실을 연통시키며, 또한 상기 통상 공간내의 보호막 통체의 외주측에 탄성완충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2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는 관로 중간에 직렬접속하는 유입측 접속통체와, 유출측 접속통체로 통상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와 유출측 접속통체와의 각 중심위치에 관로내의 유로와 연통하는 중심통공을 천설한 서로 대면하는 오목구면좌를 형성하며, 상기 양 오목구면좌의 중심통공 사이에 통모양 슬리브의 양단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양단부 부근에 팽출형성한 볼록구면좌를 상기 오목구면좌와 간극을 남겨 대치시키고, 상기 슬리브의 외주측에 탄성특성을 갖는 보호막 통체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양 간극에서 보호막 통체의 양단에 내경측으로 접어넣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압축·협지시키며, 상기 슬리브의 벽면의 소공을 통해 슬리브와 보호막 통체의 내주측에서 형성하는 압력변동 예비실을 연통시키고, 또한 상기 통상공간내의 보호막 통체의 외주측에 탄성완충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는 청구범위 제 2항 기재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구면좌의 곡율반경을, 보호막통체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외측면의 곡율반경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범위 4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는 청구범위 제 1항 기재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양 오목면좌는 보호막 통체측으로 돌출한 각형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5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는 청구범위 제 1항 기재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양 오목면좌는 약(略)직각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6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는 청구범위 제 1항 ~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완충체는 겔 또는 고무를 기재로 하여 이에 유탄성의 외각(外殼)을 갖는 미소중공체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신덕틱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제 7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는 청구범위 제 1항 ~ 제 5항 중 어느 한 항기재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완충체는 초기경도가 아스커 C30~85이며 또한 외관비중이 0.30~0.70의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경방지기에서는 배관시스템의 중간에 유입측 접속통체와 유출측 접속통체가 직렬접속되고, 이 각 중심위치에는 배관경로와 연통하는 중심통공이 천설되고 있기 때문에 유체가 유입한다. 그리고 서로 대면하는 오목면좌의 중심통공 사이에 슬리브가 배치됨과 동시에 이 양단부 부근에 팽출형성한 볼록면좌와 유입측 접속통체와 유출측 접속통체측의 오목면좌에 의해 보호막 통체의 양단을 내경측에 형성한 플랜지부에 대해 오목면좌를 볼록면좌에 접근하여 플랜지부를 압축·협지한다. 이에 따라 탄성완충체로의 수밀성이 유지되고 중심통공으로 유입한 유체는 보호막 통체의 외측으로 누수하지 않고 슬리브로 이동한다. 탄성완충체의 에너지 변환효율은 탄성완충체의 변위량과 내부마찰효과에 비례하는 것은 공지한 사실임과 동시에 유체경로내에 탄성완충체를 배치한 경우, 일정시간 경과후는 탄성완충체의 전 둘레방향으로 유체가 감아들어가고, 탄성완충체는 외관상 유체내에 배치된 것과 동일하게 된다. 이 경우 유체는 균일한 압력전파특성을 갖는 것으로 전 방향에서 압력에너지가 공급되는 에너지 분산작용이 일어나 효율적 에너지 변환작용에 필요한 변위량과 내부마찰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압력에너지를 일방향으로 집중시켜 에너지를 분산시키지 않는 방식이 소용적의 탄성완충체로 효율적인 에너지 변환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체경로에 대해 보호막 통체를 설치하여 탄성완충체의 수밀성을 확보하고, 장기간의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유지를 도모한다.
즉 상기 슬리브의 유로공과 보호막 통체내의 압력변동 예비실은 슬리브의 벽면에 뚫린 소공으로 연통되고 있기 때문에 압력변동이 발생하면 압력에너지가 소공을 통과하고, 이 소공에서 우선 일부 감압되어 보호막 통체내의 압력변동 예비실에 이른다. 여기서 압력에너지는 소공에 의해 감압후, 보호막 통체를 통해 탄성완충체에 전파된다. 보호막 통체는 저항을 일으키면서 뻗고, 탄성완충체는 저항을 일으키면서 압축변형하여 동시에 발생하는 내부마찰효과에 의한 복합적 에너지 변환을 행한다.
또 청구범위 제 2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서는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면좌와 슬리브의 양 단부 부근에 팽출형성한 볼록면좌를 구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 통체의 양 옆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출측 접속통체 및 유입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곡면과 밀착하도록 접촉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청구범위 제 3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서는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구면좌의 곡율반경을 보호막 통체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외측면의 곡율반경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 통체의 양 옆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출측 접속통체 및 유입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곡면의 일부와 밀착하도록 접촉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압력변동에 의한 탄성완충체의 압축변위량과 반발탄성에 추종한 외경방향으로의 팽창과 내경방향으로의 축소를 반복하는 보호막 통체는 그 플랜지부의 외측이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구면좌와 서로 스쳐 마모하는 것이 적게 되어 탄성완충체로의 수밀성과 내구성이 장기간에 걸쳐 보증·유지된다.
또 청구범위 제 4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서는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면좌를, 보호막 통체측에 돌출한 각형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 통체의 양 옆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출측 접속통체 및 유입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각형면과 밀착하도록 접촉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를 압축할 때 보호막 통체의 양 옆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외측면에 압축자리가 형성되므로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청구범위 제 5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서는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면좌를 약직각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 통체의 양 옆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출측 접속통체 및 유입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약직각면과 밀착하도록 접촉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청구범위 제 6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서는 상기 탄성완충체를 겔 또는 고무를 기재로 하여 이에 유탄성의 외각을 갖는 미소중공체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신턱틱폼을 형성하고, 이를 탄성특성을 갖는 보호막 통체로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뛰어난 압력변동 흡수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을 장기간 유지하게 된다.
또 청구범위 제 7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서는 상기 탄성완충체를 초기경도가 아스커 C30~85로서, 또한 외관비중이 0.30~0.70의 발포체로 형성하며, 이를 탄성특성을 갖는 보호막 통체로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뛰어난 압력변동 흡수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을 장기간 유지하게 된다.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 내지 도 6까지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7~도11은 수기기(水機器)로의 부착예의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 1표는 상기 실시예의 시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도 1과 같이 배관시스템의 관로 P에서의 중간에 유입측 접속통체(1)와, 유출측 접속통체(3)가 그 접속나사부(1A)(3A)에서 직렬접속함과 동시에 외주부(1B)와 몸통부(3B)를 나합·접속하여 내부에 통상공간 S를 형성하고 있다.
우선 상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해 도 2와 도 4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1)는 관로 P와 접속하는 접속나사부(1A)와, 이 중심위치에 관로 P내의 유로 R과 연통하는 중심통공(1C)이 천설되고, 내면측에 오목구면좌(1D)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대경으로 한 외주부(1B)의 선단에서의 내면에는 암나사(1E)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1)와 대향하여 나합하는 유출측 접속통체(3)는 관로 P와 접속하는 접속나사부(3A)와, 이 중심위치에 관로내의 유로 R과 연통하는 중심통공(3C)이 천설되고,내면측에 오목구면좌(3D)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대경으로 한 몸통부(3B)의 선단외면에 숫나사(3E)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1)와 유출측 접속통체(3)와는 스테인레스재도 포함한 배관시스템에 적합한 금속이나 고장력을 발휘하는 수지재 등으로 만들어진다. 또 상기 각 오목구면좌(1D)(3D)의 곡율반경은 최적인 곡율반경으로 설정되고, 보호막 성형의 용이성이나 내마모성을 가미하여 예를들면 5mm가 된다.
슬리브(5)는 내부에 유로공(5F)을 형성한 통모양을 이루고, 그 양측에 상기 중심통공(1C)(3C)에 감입하는 선단부(5A)(5B)를 형성하며, 이 양단부 부근에 볼록구면좌(5C)(5D)를 팽출형성하고, 중복부근에 2개소의 소공(5E)을 형성한다. 상기 볼록구면좌(5C)(5D)의 곡율반경은 예를들면 3mm로 작게 설정된다. 슬리브(5)의 재질은 스테인레스재도 포함한 배관시스템에 적합한 금속이나 고장력을 발휘하는 수지재 등으로 만들어진다.
보호막 통체(7)는 탄성특성을 갖고, 신축성을 갖는 통상체로서, 상기 슬리브(5)를 외측으로부터 포위하도록 부착된다. 이 보호막 통체(7)의 양단에는 내경측에 접어넣어 형성된 플랜지부(7A)(7B)를 형성하고 있다. 즉 보호막 통체의 외경은 20mm, 그 전 길이는 28mm, 플랜지부(7A)(7B)의 내경은 8mm, 플랜지부의 외측면의 곡율반경은 3.5mm로 하고 있다. 또 보호막 통체의 내경은 14mm가 된다. 그리고 보호막 통체(7)의 재질은 예를들면 내마모성이나 안전위생성에 뛰어난 고강도 미러블 실리콘고무가 적절히 사용되지만 대상유체의 성질이나 탄성완충체의 특성에 따라 EPDM등의 합성고무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탄성완충체(8)는 상기 보호막 통체(7)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압력변동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통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완충체(8)의 재질로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겔 또는 고무를 기재로 하여 이에 유탄성의 외각을 갖는 미소중공체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신턱틱폼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것은 신세틱폼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적절하게는 실리콘제 신덕틱폼이 이용된다. 이 경우 실리콘 겔 또는 실리콘 고무는 JIS K2207(50g 하중)에 의한 침입도(針入度) 200~JISK6301에 의한 고무경도가 50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용가능하며 또한 미소중공체는 직경수 +㎛~천㎛의 중공구체로서 이것이 중량비로 1~6%정도 첨가된 것이다.
적절한 실리콘 고무로서는 동레·다우코닝·실리콘(주)사의 CX 52-282가 있다. 이것이 아스커 C경도 50~55이다. 즉 아스커 C경도는 상기 JISK6031에 의한 고무경도보다 부드러운 고무나 발포엘라스토마, 스폰지 등을 측정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서 규정되는 SRIS0101(일본고무협회 규격)이나 JISS6050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또 실리콘 겔로서는 동레·다우코닝·실리콘(주)사의 CY52-276등이 있다. 물론 이들 실리콘 겔 또는 실리콘 고무가 아니라도 상기 경도를 구비하고, 온도특성이 뛰어나며, 용출점에서도 문제가 없고 변질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있는 등의 기본적인 제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면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첨가되는 미소중공체는 자기탄성변형할 수 있는 유탄성의 합성수지를 재료로 한 껍질을 갖는 직경수 +㎛~천㎛의 중공구체이며, 적절한 것으로서 일본페라이트(주)사의 엑스판셀(등록상표), 마츠모토 유지제약(주)사의 마츠모트 마이크록스 페어 등이 예시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마츠모토 마이크록스 페어 80ED시리스(직경 30~200㎛)를 사용하고 있다.
또 나머지 하나의 탄성완충체(8)로서 초기경도가 아스커 C30~85이며 또한 외관비중이 0.30~0.70의 발포체도 적절히 사용된다. 상기 발포체로서는 각 종의 고분자로 형성한 발포체가 적용가능하지만 구체예로서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사용된다. 이 것은 폴리우레탄 폼의 일종으로 무수한 미소독립발포를 갖는 탄성완충체로서 종류별로서는 반경질에 속하는 것이고, 그 중에서도 고경도형이다. 그 제조방법은 글리콜성분과 디이소시아네이트성분이 물에 의해 반응하여 교가(橋架)결합에 의해 망모양화할 때 발생하는 가스를 이용하여 발포시켜 제조되는 것이지만 철도용 탄성침목을 비롯한 옥외에 바로 노출되어 고하중의 구속하에 장기간 사용되며, 진동흡수성, 내구성에 뛰어난 철도용 방진재로서 실적이 있는 것을 사용한다. 그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탄성침목용 저발포 우레탄 엘라스토마로서 일본국 특공소 58-50590호 공보, 일본국 특공소 61-60202호 공보, 일본국 특공평 4-22170호 공보, 일본국 특공평 4-58494호 공보, 일본국 특공평 8-18391호 공보, 일본국 특허제 252183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 2973847호 공보 등에 상세하게 기재되어있다.
상기 발포체로서는 초기경도가 아스커 C30~85이며 또한 외관비중이 0.30~0.70의 것이 적절히 사용되지만 닛세이 보세키 주식회사제의 상품명인 고경도형 댐프론 ES202비중 0.3~0.4가 더욱 적절히 사용된다. 이는 탄성특성에 의한 일정변위량의 확보와 내부마찰(점탄성 특성)에 의한 압력에너지 변환매체로서 뛰어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고경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압축영구왜곡 등이 적은 등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에 뛰어나고 또한 고온, 고가압하의 액격방지기로서의 상정환경하의 더욱 과혹한 사용조건에 있어서도 압력변동에 의한 뛰어난 에너지흡수·감압기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으며 형상변경의 자유도가 높아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다. 이 고경도형 댐프론 ES202 비중 0.3~0.4가 에너지 변환효율을 발휘하는 것은 시험결과(후기함)로부터 확인되고 있다.
또 탄성완충체(8)의 다른 구체예로서는 주식회사 이노악 콤포레션제의 상품명인 셀단파 연경도형 BF-300, 경경도형 BF-500이 적절하게 사용가능하다. 이 것은 연속기포(오픈셀)구조를 갖는 발포우레탄 엘라스토마이며, 뛰어난 댐핑효과에 의해 진동을 저감하는 기능을 갖고, 압력에너지 변환매체로서 상기의 댐프론시리즈와 동등이상의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독립기포체인 댐프론 시리즈에 비해 일그러짐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피로가 거의 없고 형상의 자유도가 크며 또한 내열, 내한성에 뛰어나 온도의존성이 작고, 2차가공도 포함한 생산효율이 높은 것으로 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갖는다.
다음에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의 부착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유입측 접속통체(1)와 유출측 접속통체(3)가 그 외주부(1B)의 암나사(1E)와 몸통부(3B)의 숫나사(3E)를 나합하여 일체화하여 통모양공간 S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1)의 접속나사부(1A)와, 유출측 접속통체(3)의 접속나사부(3A)에는 관로 P의 중간이 직렬접속된다. 이에 따라 유입측 접속통체(1) 및 유출측 접속통체(3)의 중심통공(1C)(3C)은 관로내의 유로와 연결되어 있다. 또 중심통공(1C)(3C)의 둘레에는 서로 대면하도록 오목구면좌(1D)(3D)가 형성된다.
상기 양 오목구면좌(1D)(3D)는 이 중심통공(1C)(3C)사이에 슬리브(5)의 양단부(5A)(5B)가 삽입·배치되고, 이 양단부 부근에 팽출형성한 볼록구면좌(5C)(5D)와, 수 mm의 간극 G를 남기고 대치하고 있다. 상기 슬리브(5)의 외주측에는 탄성특성을 갖는 보호막 통체(7)를 피복하여 배치하고, 양 부재사이에 통모양 공간의 압력변동 예비실(E1)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막 통체(7)는 상기 양 간극 G에 보호막 통체의 양단에 형성한 플랜지부(7A)(7B)를 끼워넣고, 상기 오목구면좌(1D)(3D)를 볼록구면좌(5C)(5D)에 접근하여 플랜지부를 약 0.5mm정도는 압축하여 협지한다. 상기 플랜지부(7A)(7B)의 압축조절은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1)의 암나사(1E)와 유출측 액격흡수체(3)의 숫나사(3E)와의 나합정도를 미세조절하여 행해지지만 이는 더욱 최적위치에서 감아멈춰 고정된다. 이 조절에 의해 도 5와 같이 보호막 통체와 각 상기 오목구면좌(1D)(3D) 및 볼록구면좌(5C)(5D)와의 압접면에 적정한 수밀성이 유지되고, 압력변동에 의해 보호막 통체의 팽창·수축을 허용하고 있다.
상기 오목구면좌(1D)(3D)의 곡율반경과 보호막 통체에서의 플랜지부(7A)(7B)의 외측면의 곡율반경, 볼록구면좌(5C)(5D)의 곡율반경과의 관계는 각각이 같은 곡율반경으로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6에 일예로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기 오목구면좌(1D)(3D)의 곡율반경 5mm, 보호막 통체에서의 플랜지부(7A)(7B)의 외측면의 곡율반경 3.5mm, 볼록구면좌(5C)(5D)의 곡율반경 3mm로 하고, 오목구면좌(1D)(3D)의 곡율반경 > 보호막 통체에서의 플랜지부(7A)(7B)의 외측면의 곡율반경 > 볼록구면좌(5C)(5D)의 곡율반경의 관계로 한다. 이로써 보호막 통체에서의 플랜지부(7A)(7B)의 외측면과 상기 오목구면좌(1D)(3D)에, 공극(空隙)(G1)이 변형허용영역을 갖고 형성되므로 압력변동에 의한 완충체의 압축특성에 추종하여 보호막 통체가 팽창·수축해도 플랜지부(7A)(7B)가 상기 곡율반경의 큰 오목구면좌(1D)(3D)와 서로 스치는 경우가 적어지고, 보호막 통체단부(협지부)의 내구성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가능하다. 또 상기 오목구면좌(1D)(3D)에는 오목함환(陷環)부「a」가 요설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7A)(7B)와의 압착력으로수밀성을 한층 확실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5)의 유로공(5F)은 보호막 통체(7)내의 통상(筒狀)공간과, 슬리브의 벽면에 뚫린 소공(5E)에 의해 연통되며 또한 통상공간(S)의 보호막 통체의 외주측에 탄성완충체(8)가 배치된다. 슬리브의 벽면에 뚫린 소공(5E)은 오리피스의 감압효과와 압력파의 주파수 변환기능을 구비하고, 압력변동을 일부 감압시키는 작용을 발휘한다. 또한 슬리브의 벽면에 뚫은 소공(5E)은 대상유체, 용도, 유량범위, 배관재질 등에 의해 개수, 위치, 직경이 조정되는 것으로 일예로서 대향하여 2개소로 했지만 그 수와 배치 등은 임의이다.
상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수도관 등의 관로 P에서의 중간에 접속되고 또한 그 관로내는 유체의 유로를 겸하는 연결부 형태이며, 그 외형치수도 콤팩트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과 같이 배관경로의 내경에 대해 슬리브(5)의 유로공(5F)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압력변동이 슬리브(5)의 유로공(5F)에 들어가는 단계에서도 소공(5E)에 의한 감압효과와 압력파의 주파수 변환기능과 마찬가지로 유로공(5F)이 오리피스적인 작용을 하고, 압력변동을 일부 감압시킬 수 있다.
그 부착사례를 도 7~도11에서 설명한다. 도 7은 전 자동세탁기(200)의 급수구(20)에 접속하는 주름입구(23)로부터 호스(25)의 접속금구(27)에, 상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를 장착한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방의 벽면(30)에서의 내부에 배치한 배관(32)과 주름입구(35)를 접속하기 위한 필수접속부품과 치환하도록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를 장착한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혼합수전(水栓)(40)에 접속되는 2개의 배관(42)(45)과 역지밸브 기능을 갖는 급수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필수접속부품과 치환하도록 하여 각각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를 장착한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10은 배관의 굴곡부에 사용되는 수전엘보(55)내에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를 장착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11은 세탁기의 급수용에 사용되는 수전콘센트(57)에 있어 벽에 채워넣는측의 접속부(59)내에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를 장착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부착사례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필수부품으로의 부가형이기 때문에 기기선정시 또는 시공시에 액격대책이 종료하는 것과, 기존 공간의 유효이용이 가능한 것, 대상기기내의 구조등은 일체 불변하므로 기존/신형중 어디에도 대응가능 한 것, 액격방지에 영향을 주는 부착위치가 고정되므로 소형화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가 되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배관의 중간에 유입측 접속통체(1)와 유출측 접속통체(3)가 직렬 접속되고, 이 각 중심위치에는 배관의 유로 R과 연통하는 중심통공(1C)(3C)이 천설되는 것으로 유체가 유입한다. 그리고 서로 대면하는 오목구면좌(1D)(3D)의 중심통공(1C)(3C)사이에 슬리브(5)의 양단부가 배치된다. 이 양단부 부근에 팽출형성한 볼록구면좌(5C)(5D)와 상기 오목구면좌(1D)(3D)에 의해 보호막 통체(7)의 양단에 내경측으로 접어넣어 형성한 플랜지부(7A)(7B)에 의해 탄성완충체(8)로의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오목구면좌를 볼로구면좌에 접근하여 플랜지부를 압축·협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심통공(1C)(3C)에 유입한 유체는 오목구면좌(1D)(3D)와 보호막 통체(7)의 외측과의 간극을 거쳐 탄성완충체(8)로 누수하지 않고 슬리브(5)안으로 모두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5)의 유로공(5F)과 보호막 통체(7)안은 슬리브(5)의 벽면에 뚫린 소공(5E)으로 연통되는 것으로 압력변동이 발생하면 압력에너지가 소공(5E)을 통과하고, 이 소공(5E)에서 우선 감압되어 보호막 통체(7)안의 압력변동 예비실(E1)에 이른다. 압력에너지는 소공(5E)에 의해 감압후, 보호막 통체(7)를 통해 탄성완충체(8)에 전파된다. 보호막 통체(7)는 저항을 일으키면서 뻗고, 탄성완충체(8)는 저항을 일으키면서 압축변형하여 동시에 발생하는 내부마찰효과에 의한 복합적 에너지변환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수도관로 등의 중간에 직렬접속하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보호막 통체(7)를 개재하여 탄성완충체(8)로의 수밀성을 높이고 탄성완충체(8)측에 유체가 감아 들어가며, 탄성완충체(8)의 전 방향에서 압력에너지가 공급되거나 탄성완충체(8) 내부에 유체가 침입하여 에너지 변환이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한다. 또 슬리브(5)를 배치하고 이 소공(5E)에 의한 압력에너지의 감압효과와 압력파의 주파수 변환기능을 구비하며, 압력변동을 일부 감압시키는 작용을 부가하므로 소형으로 배관직렬형의 액격방지기라도 전체의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도 5와 도 6과 같이 유입측 접속통체(1) 및 유출측 접속통체(3)에 형성된 오목구면좌(1D)(3D)의 곡율반경을 5mm으로 하고, 보호막 통체(7)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부(7A)(7B)의 외측면의 곡율반경 3.5mm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통체(7)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 통체(7)의 양 옆의 플랜지부(7A)(7B)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출측 접속통체 및 유입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곡면의 일부와 밀착하도록 접촉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압력변동에 의한 탄성완충체(8)의 압축변위량과 반발탄성에 추종한 외경방향으로의 팽창과 내경방향으로의 축소를 반복하는 보호막 통체(7)는 그 플랜지부의 외측이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구면좌(1D)(3D)와 서로 스쳐 마모하는 경우가 적어져 탄성완충체(8)로의 수밀성과 내구성이 장기간에 걸쳐 보증·유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에서의 성능시험의 결과를 제 1표에 의해 설명한다. 제 1표는 평가시료의 개략과 평가판정을 나타내고, 종래형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와 본 발명이 되는 탄성완충체를 구비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의 성능비교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형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는 (주) 타부치 「Meson」피스톤 봉입기체 압축형으로 그 구성은 일본국 특허 제 2827160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즉 압력에너지에 비례하는 유량을 제한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바닥이 있는 통모양의 압력용기 및 이 압력용기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도록 삽통된 피스톤을 가지며, 그 내공부에 소정압력의 기체를 봉입하여 되는 수격방지기와, 이 수격방지기의 수용부를 갖고 이 수용부에 한쌍의 접속구를 배치하여 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격방지기는 상기 피스톤의 접동방향이 상기 접속구간 유로와 직교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내장함과 동시에 또한 하우징의 각 접속구의 안쪽면에는 각각 동 지름의 오리피스를 배치한 것이다.
본 발명이 되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탄성완충체를 주택설비 급수급탕 시스템의 실사용상 최적형상인 두께 : L = 20mm, 직경 : φ44mm, 슬리브(5)의소공지름 4.5mm X 2개로 설정한다. 또 재질은 하나가 겔 또는 고무를 기재로 하여 이에 유탄성의 외각을 갖는 미소중공체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신턱틱 폼이고, 또 하나는 일 예로서 폴리우레탄 독립발포체(댐프론 ES202비중 0.3~0.4)이며, 나머지 하나는 일 예로서 폴리우레탄 연속발포체(셀 댐퍼 BF500)이다.
그 내용은 (주) 타프치「Meson」피스톤 봉입기체 압축형 액격방지기에 있어서는 실측유량 12(L/Min), 최대액격압 억제율 64.7%이다. 본 발명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있어서는 탄성완충체가 신턱틱폼제인 경우는 실측유량 14(L/Min), 최대액격압 억제율 64.4%이다. 또 탄성완충체가 폴리우레탄 독립발포체제인 경우는 실측유량 14(L/Min), 최대액격압 억제율 64.8%이고, 탄성완충체가 폴리우레탄 연속발포체제의 경우는 실측유량 14(L/Min), 최대액격압 억제율 64.5%이다. 상기 평가판정에서 본 발명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최대액격압 억제율에 있어서, 종래의 분기형 액격방지와 동등한 성능을 갖고 실측유량에서는 유량저감을 억제하여 실사용상 문제없는 유량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6은 종래형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주) 타부치「Meson」)와 본 발명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탄성완충체 : 폴리우레탄 발포체, 댐프론 ES202 비중 0.3~0.4)에 대해 내구성능 비교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그래프에서 본 발명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탄성완충체 : 폴리우레탄 발포체, 댐프론 ES202 비중 0.3~0.4)는 연속액격 공급회수 10만회까지 최대액격압 억제율 64%이상의 뛰어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한편 종래형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주) 타부치 「Meson」)에 대해서는 압축성 가스의 경시적 유출로부터 연속액격 공급회수 10만회에서는 최대액격압 억제율의 저하를 볼 수 있다. 또 그 때 연속액격 공급회수 10만회 후에 본 발명의 배관직열형 액격방지기를 확인했지만 광체로부터의 누수는 것은 볼 수 없고 장기에 걸치는 수밀성의 유지에도 문제는 없었다.
(제 2실시예)
본 발명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 도시하는 제 2실시예의 것은 유입측 접속통체(1) 및 유출측 접속통체(3)에 형성된 오목면좌(1D)(3D)를, 보호막 통체(7)측에 돌출한 각형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7)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 통체(7)의 양 옆의 플랜지부(7A)(7B)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입측 접속통체(1) 및 유출측 접속통체(3)에 형성된 각형면과 밀착하도록 접촉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7)를 압축할 때 보호막 통체(7)의 양옆의 플랜지부(7A)(7B)에 형성된 외측면에 압축자리(61)가 형성되므로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 3실시예)
또 도 13에 도시하는 제 3실시예의 것은 유입측 접속통체(1) 및 유출측 접속통체(3)에 형성된 오목면좌(1D)(3D)에 흐름방향으로 연속하여 오목홈부(71)를 형성하고 한편 보호막 통체(7)의 양 옆의 플랜지부(7A)(7B)에 볼록부(73)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7)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통체(7)의 양 옆의 플랜지부(7A)(7B)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입측 접속통체(1) 및 유출측 접속통체(3)에 형성된 오목면좌(1D)(3D)와 밀착함과 동시에 오목홈부(71)에 볼록부(73)가 밀착하여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 4실시예)
또 도 14에 도시하는 제 4실시예의 것은 세탁기 호스용 연결부내에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를 짜 넣은 것이다. 유입측 접속통체(1)측에 형성된 오목면좌(1D)는 유입측 접속통체(1)의 오목부(81)와, 유입측 접속통체(1)에 회전가능하도록 달라붙은 호스접속파이프(83)의 오목부(85)에 의해 형성된다. 호스접속파이프(83)는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 유출측 접속통체(3)의 오목면좌(3D)는 구면으로 형서되고, 패킹(87)을 통해 세탁기측 호스부착구에 접속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7)를 압축함으로써 보막통체(7)의 양 옆의 플랜지부(7A)(7B)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입측 접속통체(1)의 오목부(81)와, 유입측 접속통체(1)에 회전가능하도록 달라붙은 호스접속파이프(83)의 오목부(85)와 밀착하는 것으로 수밀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호스접속파이프(83)는 360도의 임의방향으로 부착가능하게 된다.
(제 5실시예)
또 도15에 도시하는 제 5실시예의 것은 수전류 끝안에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를 짜 넣은 것이다. 유출측 접속통체(3)측에 형성된 오목면좌(3D)는 유입측 접속통체(3)의 오목부(91)와, 유출측 접속통체(3)내에 배치한 역지밸브(93)를 누르는 패킹(95)의 표면(97)에서 대략 직각면으로 형성된다. 또 유입측접속통체(1)의 오목면좌(1D)는 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7)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통체(7)의 양 옆의 플랜지부(7A)(7B)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입측 접속통체(3)의 오목부(91)와 패킹(95)의 표면(97)에서 구성되는 대갹 직각면과 밀착하는 것으로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좋다. 예를들면 상기 탄성완충체(8)는 통상을 이루는 것을 채용하고, 전 원주방향에서의 외경방향의 액격흡수작용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원주방향의 2개소나 3개소 등의 소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간헐적으로 배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 슬리브(5)의 볼록면좌(5C)(5D)에 대해서도 구면모양으로 하는 외에, 각형면으로 하거나, 약직각면으로 하는 등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또한 그 외의 부품구성이나 조합구성에 대해서도 적절한 설계변경이나 재질변경등이 행해진다. 또 상기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100)는 수도이외의 유체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것과 같이 청구범위 제 1항의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의하면 유로에 이어지는 슬리브의 소공과, 이 소공에 공간을 통해 외주측에 대면하는 보호막 통체, 보호막 통체의 외주에 배치한 탄성완충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력변동이 발생하면 소공에서 감압된 압력에너지는 소공을 통과하여 보호막 통체내의 압력변동 예비실에 이르고, 여기서 압력에너지는 소공에 의해 감압후, 보호막 통체를통해 탄성완충체에 전파된다. 보호막 통체는 저항을 일으키면서 뻗고, 탄성완충체는 저항을 일으키면서 압축변형함과 동시에 발생의 내부마찰효과에 의한 복합적 에너지 변환을 행하여, 소형·콤팩트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라도 뛰어난 압력변동 흡수작용이 발휘된다.
또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는 보호막 통체의 양단에 배치한 플랜지부가 유입측 접속통체의 오목면좌와, 유출측 접속통체의 오목면좌로 압축·고정되고 있기 때문에 보호막 통체를 개재하여 탄성완충체로의 수밀성을 높이고, 탄성완충체측으로 유체가 감아들어가 탄성완충체의 전 방향에서 압력에너지가 공급되거나 탄성완충체 내부에 유체가 칩입하여 에너지변환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 슬리브를 배치하고, 이 소공에 의한 압력에너지의 감압효과와 압력파의 주파수 변환기능을 구비하며, 압력변동을 일부 감압시키는 작용을 부가하기 때문에 소형으로 배관직렬형의 액격방지기라도 전체의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이 향상된다.
또 청구범위 제 2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의하면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면좌와 슬리브의 양 단부 부근에 팽출형성한 볼록면좌를 구면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보호막 통체와의 접촉이 매끄럽게 되고,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 통체의 양 옆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외측면이 유출측 접속통체 및 유입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곡면과 밀착하도록 접촉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청구범위 제 3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의하면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구면좌의 곡율반경을, 보호막 통체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외측면의 곡율반경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있기 때문에 액격을 받아 외경방향으로의 팽창과 내경방향으로의 축소를 반복하는 보호막 통체는 그 플랜지부가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구면좌와 서로 스쳐 마모하는 것이 적게 되어 탄성완충체로의 수밀성과 내구성이 장기간에 걸쳐 보증·유지된다.
또 청구범위 제 4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의하면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면좌를, 보호막 통체측에 돌출한 각형면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 통체의 양 옆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출측 접속통체 및 유입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각형면과 밀착하도록 접촉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를 압축할 때 보호막 통체의 양 옆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외측면에 압축자리가 형성되므로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청구범위 제 5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의하면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면좌를 약직각면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조립시에 흐름방향으로 보호막 통체를 압축함으로써 보호막 통체의 양 옆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외측면은 유출측 접속통체 및 유입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약직각면과 밀착하도록 접촉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청구범위 제 6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의하면 상기 탄성완충체를 겔 또는 고무를 기재로 하여 이에 유탄성의 외각을 갖는 미소중공체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신턱틱폼을 형성하고, 이를 탄성특성을 갖는 보호막 통체로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뛰어난 압력변동 흡수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된다.
또 청구범위 제 7항에 기재한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에 의하면 상기 탄성완충체를 초기경도가 아스커 C30~85로서, 또한 외관비중이 0.30~0.70의 발포체로 형성하며, 이를 탄성특성을 갖는 보호막 통체로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뛰어난 압력변동 액격흡수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압력에너지 변환효율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된다.

Claims (7)

  1. 관로의 중간에 직렬접속하는 유입측 접속통체와, 유출측 접속통체로 통상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와 유출측 접속통체와의 각 중심위치에 관로내의 유로와 연통하는 중심통공을 천설한 상호 대면하는 오목면좌를 형성하며, 상기 양 오목면좌의 중심통공 사이에 통모양의 슬리브의 양단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양단부 부근에 팽출형성한 볼록면좌를 상기 오목면좌와 간극을 남겨 대치시켜 상기 슬리브의 외주측에 탄성특성을 갖는 보호막 통체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양 간극에서 보호막 통체의 양단에 내경측에 접어넣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압축. 협지시키고, 상기 슬리브의 벽면에 뚫린 소공을 통해 슬리브와 보호막 통체의 내주측에서 형성하는 압력변동 예비실을 연통시키며, 또한 상기 통상 공간내의 보호막 통체의 외주측에 탄성완충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2. 관로의 중간에 직렬접속하는 유입측 접속통체와, 유출측 접속통체로 통상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와 유출측 접속통체와의 각 중심위치에 관로내의 유로와 연통하는 중심통공을 천설한 서로 대면하는 오목구면좌를 형성하며, 상기 양 오목구면좌의 중심통공 사이에 통모양 슬리브의 양단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양단부 부근에 팽출형성한 볼록구면좌를 상기 오목구면좌와 간극을 남겨 대치시켜 상기 슬리브의 외주측에 탄성특성을 갖는 보호막 통체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양 간극에서 보호막 통체의 양단에 내경측으로 접어넣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압축·협지시키며, 상기 슬리브의 벽면에 뚫린 소공을 통해 슬리브와 보호막 통체의 내주측에서 형성하는 압력변동 예비실을 연통시키고, 또한 상기 통상공간내의 보호막 통체의 외주측에 탄성완충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 접속통체 및 유출측 접속통체에 형성된 오목구면좌의 곡율반경을, 보호막통체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외측면의 곡율반경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오목면좌는 보호막 통체측으로 돌출한 각형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오목면좌는 약(略)직각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탄성완충체는 겔 또는 고무를 기재로 하여 이에 유탄성의 외각(外殼)을 갖는 미소중공체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신덕틱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탄성완충체는 초기경도가 아스커 C30~85이며 또한 외관비중이 0.30~0.70의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KR1020027009384A 2000-11-24 2001-11-22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KR100758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7754A JP2002206689A (ja) 2000-11-24 2000-11-24 配管直列型液撃防止器
JPJP-P-2000-00357754 2000-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499A true KR20020070499A (ko) 2002-09-09
KR100758050B1 KR100758050B1 (ko) 2007-09-11

Family

ID=1882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384A KR100758050B1 (ko) 2000-11-24 2001-11-22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72337B2 (ko)
EP (1) EP1336791B8 (ko)
JP (2) JP2002206689A (ko)
KR (1) KR100758050B1 (ko)
AU (1) AU2002224092A1 (ko)
CA (1) CA2403609A1 (ko)
DE (1) DE60121357T2 (ko)
WO (1) WO2002042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8335B2 (en) * 2000-07-14 2004-02-10 Suzuki Sogyo Co., Ltd. Liquid hammer prevention device
GB2379459B (en) * 2001-09-06 2005-01-19 Studor Sa Pressure relief device in drainage systems
DE50202054D1 (de) * 2002-09-09 2005-02-24 Frey Konrad Druckschlag- und Geräusch-Dämpfer, insbesondere für Anschlüsse von Sanitärarmaturen
JP5193415B2 (ja) * 2005-04-27 2013-05-08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パネル
US7874317B1 (en) * 2007-05-18 2011-01-25 Vadim Gennadyevich Kulikov Micro pipeline pressure stabilization apparatus
US7562678B1 (en) * 2007-05-18 2009-07-21 Vadim Gennadyevich Kulikov Pipeline pressure stabilizer
DE102007042278B4 (de) * 2007-09-06 2022-10-06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US9845900B2 (en) 2010-01-12 2017-12-19 Dale S. Cheney Water hammer prevention valve and method
US9163388B2 (en) * 2010-01-12 2015-10-20 Nichols-Ip Pllc Water hammer prevention valve and method
DE102010003132A1 (de) * 2010-03-23 2011-09-2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ulsationsdämpfungskapsel
DE102010045714A1 (de) * 2010-09-16 2012-03-22 Norma Germany Gmbh Leitungselement
US8757668B2 (en) * 2012-02-29 2014-06-24 Ti Automotive (Fuldabruck) Gmbh Connector with pressure equalization
JP5569573B2 (ja) * 2012-03-05 2014-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高圧ポンプ
US9273813B2 (en) 2013-03-15 2016-03-01 Lsp Products Group, Inc. In-line water hammer arrester
US8939177B2 (en) 2013-03-15 2015-01-27 Lsp Products Group, Inc. In-line water hammer arrester
CZ308291B6 (cs) * 2014-04-10 2020-04-22 Hanon Systems Tlumicí zařízení a způsob jeho výroby
US9702495B2 (en) 2014-05-20 2017-07-11 Amtrol Licensing Inc. Multi-layered gas-filled bladder for accommodating changes in fluid characteristics within a fluid delivery system
US9366373B2 (en) 2014-05-20 2016-06-14 Amtrol Licensing Inc. Pressure absorber for a fluid system and method of use
FR3033619B1 (fr) * 2015-03-13 2017-09-08 Coutier Moulage Gen Ind Dispositif d'amortissement
US11655816B2 (en) 2015-05-08 2023-05-23 Danfoss Power Solutions Gmbh & Co. Ohg Fluid working systems
CN106402479A (zh) * 2016-12-14 2017-02-15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水电站消防水泵水锤消除装置
CN107131383B (zh) * 2017-06-14 2019-12-24 西安交通大学 凝结水锤抑制结构及抑制系统
US10677363B2 (en) 2018-02-13 2020-06-09 Dale S. Cheney Water hammer prevention valve and method
JP7011311B2 (ja) * 2018-03-07 2022-01-26 株式会社ニチリン 脈動吸収機能付きコネクタ
JP2022531120A (ja) * 2019-04-23 2022-07-06 ジョージア テック リサーチ コーポレイション 水撃防止器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42561B1 (ko) * 2019-12-09 2020-08-07 정솔루션 유한회사 유압 배관 내부 청소 장치
JP7373195B2 (ja) 2020-03-03 2023-11-02 株式会社ニチリン 脈動吸収機能付きコネクタ
EP3940270A1 (en) * 2020-07-17 2022-01-19 Goodrich Corporation Mitigating ice build up in a fluid handling assembly
CN116293121B (zh) * 2023-05-22 2023-07-21 四川经准特种设备检验有限公司 一种压力气体管道法兰接头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039A (en) * 1897-11-23 Jean pierre serve
US2474512A (en) * 1945-11-27 1949-06-28 Fluor Corp Pulsation elimination in fluid streams
US2495693A (en) * 1946-03-26 1950-01-31 Jr William Byrd Hydraulic surge damper
US2609001A (en) * 1947-06-13 1952-09-02 Phillips Petroleum Co Surge absorbing chamber
US2875788A (en) * 1956-02-27 1959-03-03 Westinghouse Air Brake Co Pulsation dampener device
US3061039A (en) * 1957-11-14 1962-10-30 Joseph J Mascuch Fluid line sound-absorbing structures
US3066701A (en) * 1960-08-16 1962-12-04 Worthington Corp Surge depressor
US3665967A (en) * 1970-01-16 1972-05-30 Western Co Of North America Supercharge hose
DE2053945B2 (de) * 1970-11-03 1973-04-05 Einstueckiges wandanschlusstueck fuer wasserauslaufarmaturen
US4435703A (en) 1981-07-06 1984-03-06 Data Gener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characters of variable size and density
US4651781A (en) * 1984-02-02 1987-03-24 Northrop Corporation Distributed accumulator
JPS6160202A (ja) 1984-08-31 1986-03-27 Nippon Steel Corp 金属スラブの熱間圧延方法
JPH02253099A (ja) 1989-03-24 1990-10-11 Kajima Corp ウォータハンマ防止器
JPH03157598A (ja) * 1989-11-15 1991-07-05 Kitazawa Valve:Kk ウォータハンマ防止器
JPH03186691A (ja) 1989-12-15 1991-08-14 Masanobu Nakamura 水撃防止装置
JP2521837B2 (ja) 1990-03-30 1996-08-07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低発泡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
JPH0831539B2 (ja) 1990-05-17 1996-03-27 富士通株式会社 不揮発性メモリの製造方法
JPH0458494A (ja) 1990-06-25 1992-02-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調光装置
JP2691826B2 (ja) 1992-03-30 1997-12-17 エヌテーシー工業株式会社 ウオーターハンマー防止装置
JP3157598B2 (ja) 1992-04-21 2001-04-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H0728296A (ja) 1993-07-15 1995-01-31 Brother Ind Ltd 接触帯電装置
IT1261305B (it) * 1993-06-22 1996-05-14 Gevipi Ag Dispositivo smorzatore di vibrazioni e di rumore, per impianti idraulici
JPH0818391A (ja) 1994-06-29 1996-01-19 Hitachi Ltd 弾性表面波装置
JP2973847B2 (ja) 1994-12-16 1999-11-08 日清紡績株式会社 既設pcまくらぎの弾性化工法
JP2908998B2 (ja) * 1995-05-10 1999-06-23 鈴木総業株式会社 ウォータハンマ防止器
JP2827160B2 (ja) * 1995-08-11 1998-11-18 株式会社タブチ 水撃防止継手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配管構造
JP3186691B2 (ja) 1998-04-07 2001-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形成方法
EP1002984A3 (de) 1998-11-21 2000-12-13 Frey, Conrad Druckschlag- und Geräuschdämpfer für Wasserleitung und -armaturen
US6543485B2 (en) * 2001-02-26 2003-04-08 Westinghouse Electric Co. Llc Waterhammer suppress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42677A1 (fr) 2002-05-30
EP1336791B1 (en) 2006-07-05
DE60121357T2 (de) 2006-11-16
JP2002206689A (ja) 2002-07-26
JP4122223B2 (ja) 2008-07-23
EP1336791A4 (en) 2005-10-05
DE60121357D1 (de) 2006-08-17
AU2002224092A1 (en) 2002-06-03
EP1336791B8 (en) 2006-08-30
CA2403609A1 (en) 2002-09-17
US6672337B2 (en) 2004-01-06
KR100758050B1 (ko) 2007-09-11
JPWO2002042677A1 (ja) 2004-04-02
EP1336791A1 (en) 2003-08-20
US20030159743A1 (en)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050B1 (ko) 배관직렬형 액격방지기
CA1271686A (en) Device for damping pressure surges in pipelines, especially sanitary installations
US9777880B2 (en) Pressure absorber for a fluid system and method of use
US7143784B2 (en) Sanitary fitting
KR100488261B1 (ko) 액격방지기
JPS62118132A (ja) 液入り防振装置
KR0164645B1 (ko) 수격방지기
KR20090089621A (ko) 수격방지기
JPH03157598A (ja) ウォータハンマ防止器
CN114008368A (zh) 用于水锤消除器的系统和方法
JPH08166001A (ja) アキュムレータ
JPH02225802A (ja) アキュムレータ
KR200184207Y1 (ko)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JPH0421884Y2 (ko)
KR100542744B1 (ko) 수격방지기
JPH03186691A (ja) 水撃防止装置
JP2002147625A (ja) 三方逆止弁
JPH0326384Y2 (ko)
JP2002089775A (ja) 液撃防止器
CN110939614A (zh) 宽频带弹簧振子液压脉动衰减器
KR20000006445U (ko) 수도꼭지 체결 티자 관이음쇠 제조방법
CN116221519A (zh) 一种减震弯管快速三通接头
JPH04106581U (ja) 衝撃波吸収装置
JPH04106580U (ja) 衝撃波吸収装置
JPH04106579U (ja) 衝撃波吸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