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656A - 물품의 합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물품의 합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656A
KR20020064656A KR1020020000672A KR20020000672A KR20020064656A KR 20020064656 A KR20020064656 A KR 20020064656A KR 1020020000672 A KR1020020000672 A KR 1020020000672A KR 20020000672 A KR20020000672 A KR 20020000672A KR 20020064656 A KR20020064656 A KR 2002006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arrival
empty space
interval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6755B1 (ko
Inventor
시오하라아키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2006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8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distinct, separate conveyor lanes

Abstract

메인라인(2) 상에 있어서, 반송되고 있는 물품(1)의 로트간 또는 물품(1)간에 소정길이 이상 빈 공간 (반출공간(S)) 을 검출하면, 물품(1)이 축적된 입하라인(3)에 이 검출된 빈 공간을 예약하고, 이 빈 공간이 예약한 입하라인(3)의 합류지점에 접근하면, 이 입하라인(3)으로부터 예약한 빈 공간의 길이에 따른 물품(1)을 메인라인(3)으로 반출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메인라인(2) 상에서 물품(1)이 반송되지 않는 빈 공간이 감소해서 합류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입하라인(3)측의 물품(1)의 축적이 저감되어, 입하라인(3)으로 물품(1)을 투입하는 작업의 대기시간이 저감되는 것에 의해 물품(1)의 투입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의 합류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ONVERGENCY OF ARTICLES}
본 발명은, 물품을 복수의 부반송로로부터 1개의 주반송로에 반송·합류시키는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1개의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으로는, 일정시간 경과할 때마다, 부반송로에 주반송로 상의 일정한 빈 공간을 할당해서, 부반송로 상에 축적(storage)되어있는 물품을 이 주반송로 상의 빈 공간에 합류시키고 있다. 상기 빈 공간이란 메인라인 상에 발생하는 물품간 또는 물품군 (이하, '로트'라 한다) 간의 간격이다. 이 합류제어방법으로는, 상기 일정 빈 공간이 부반송로 상에 축적된 물품이 만량으로 되었을 때의 일정 길이이고, 부반송로에 축적된 물품의 양에 무관하게 할당한다.
또한 공지의 다른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으로는, 주반송로 상에 부반송로 상에 축적된 물품의 양 (길이) 보다 짧은 빈 공간밖에 없는 경우에는, 그 빈 공간에는 합류시키지 않고, 그 물품간 또는 로트의 후방에서 빈 공간을 할당하여 합류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의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일정 빈 공간을 할당하는 공지의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으로는, 축적된 물품의 양에 관계없이 상기 만량시의 길이분을 할당해서 합류시키기 때문에, 주반송로 상에 물품이 반송되지 않는 빈 공간이 발생하고, 합류효율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주반송로 상에 부반송로 상에 축적된 물품의 양보다 짧은 빈 공간밖에 없는 경우에는, 그 빈 공간에는 합류시키지 않는 공지의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으로는, 빈 공간이 많이 발생해서 합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기고, 또한 부반송로에 물품의 축적이 발생하는 것 때문에, 부반송로에 물품을 반입하는 작업의 대기시간이 발생해서 작업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주반송로 상의 빈 공간을 적게해서 합류효율을 높이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부반송로로부터, 이 부반송로에 반입되는 축적된 물품을, 물품을 반송하고 있는 주반송로에 합류시키는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주반송로상에서 반송되고 있는 물품간 또는 물품군간에 소정길이 이상의 간격을 검출하면, 상기 부반송로로부터 이 간격의 길이에 따른 상기 축적된 물품을 주반송로에 반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주반송로 상에 있어서 물품이 반송되지 않는 빈 간격이 감소하여, 합류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부반송로측의 물품의 축적량이 저감되고, 투입작업의 대기시간이 저감되는 것에 의해 물품의 투입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을 사용하는 반송설비의 구성도,
도 2는 동 반송설비의 제어구성도,
도 3은 동 반송설비에서의 합류컨트롤러의 빈 공간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동 반송설비에서의 합류컨트롤러의 통괄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동 반송설비의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을 사용하는 반송설비는, 물품(1)을 반송하는 메인라인(주반송로의 일예)(2)과, 이 메인라인(2)에 물품(1)을 합류시키는 복수열 (도면에서는 4개 열) 의 입하라인(부반송로의 일예)(3)(3A,3B,3C,3D)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라인(2)은, 롤러컨베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라인(2)에는, 4개열의 입하라인(3)의 합류지점보다 상류에 상류통과센서(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류통과센서(5)는, 메인라인(2)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물품(1)의 반송방향의 길이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광전센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롤러컨베이어의 구동모터(6)에는, 로터리인코더(7)가 연결되고 있다.
상기 메인라인(2)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물품(1)은, 통상 복수의 물품(1)으로 되는 로트로 반송되고, 이들 로트간의 간격 (로트가 1개의 물품(1)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물품(1)의 간격) 은, 미리 설정된 간격(z)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간격(z)이 로트간의 간격 (이하, 로트간격이라고 약기한다) 의 최소길이 (예를 들면, 1m) 로 되어 있다. 이하, 설정된 간격(z)을 최소설정간격(z)이라 한다. 또한 로트 내의 물품(1)끼리의 간격 (간극) 은, 이 최소설정간격(z)보다 짧게 되어 있다.
상기 각 입하라인(3A,3B,3C,3D)은 각각, 순차로, 소정간격으로 물품(1)을 축적하고, 소정의 반출신호 (후술하는) 에 의해 축적된 물품(1)을 메인라인(2)으로 반출하는 반출장치 (축적·반출수단) (11)와, 이 반출장치(11)의 상류에 배치되어, 반출장치(11)에 물품(1)을 반입하는 반입컨베이어 (물품반입수단) (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반출장치(11)는, 고속 축적·컨베이어장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반출장치(11)에는 최하류 위치에 물품(1)을 검출하는 선두센서(14)가 설치되고, 최상류 위치에 물품(1)을 검출하는 만량센서(15)가 설치되고, 이들 선두센서(14)와 만량센서(15)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물품(1)을 검출하는 물품검출센서(16)가 설치되고, 또한 반출장치(11)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7) (도 2)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센서(14,15)는 각각, 광전센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반출장치(11)의 컨트롤러(17)는, 상기 각 센서(14,15,16)의 물품(1)의 검출신호에 기인하여 반입컨베이어(12)로부터 반입된 물품(1)을 순차로, 소정간격으로 축적시키고, 또한 소정의 검출신호 (후술하는) 에 의해 입력된 물품(1)의 수량만큼 반출하여 메인라인(2)으로 반출시킨다. 또한 이 컨트롤러(17)로부터 다음 신호와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다.
1. 선두센서(14)에 의해 물품(1)이 검출된 것에 의해, 물품(1)이 반출장치(11)의 최하류에 도착한 것, 즉 합류되는 물품(1)이 도착하여, 축적되고 있는 것을 알리는 도착신호.
2. 만량센서(15)에 의해 물품(1)이 검출된 것에 의해, 반출장치(11)에 물품(1)이 만량으로 되고 있는 것을 알리는 만량신호.
3. 물품(1)을 검출하고 있는 물품검출센서(16)의 수에 의해, 축적되고 있는 물품(1)의 수량, 즉 현재 축적되고 있는 물품(1)의 나란히 연속해 있는 길이 (이하, '축적길이'라 한다) 를 알리는 축적길이 (N)로 되는 물품수량데이터.
상기 구성에 의한 제어블럭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21은 4개 열의 입하라인(3A,3B,3C,3D)으로부터 메인라인(2)으로의 물품(1)의 합류제어를 행하는 합류컨트롤러이다. 합류컨트롤러(21)는 컴퓨터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합류컨트롤러(21)에, 상기 상류통과센서(5) 및 로터리인코더(7)가 접속되고, 또한 각 입하라인(3)의 반출장치(11)의 컨트롤러(17) 및 반입컨베이어(1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합류컨트롤러(21)는, 빈 공간 검출부(22), 각 입하라인(3A,3B,3C,3D)에 각각 대응한 입하라인제어부(23,24,25,26) 및 이들 빈 공간 검출부(22) 및 입하라인제어부(23,24,25,26)를 통괄제어하는 통괄제어부(27)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22∼27)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 빈 공간 검출부(22)
이 빈 공간 검출부(22)에, 상기 상류통과센서(5) 및 로터리인코더(7)가 접속되어 있다. 빈 공간 검출부(22)는, 상기 로트간격 중에서, 소정길이 이상의 로트간격 (이하, '빈 공간'이라 한다) 을 검출한다. 이 빈 공간 검출부(22)에 의한 빈 공간의 검출동작을 도 3의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빈 공간 검출부(22)에는 미리, 입하라인의 반출장치(11)에서의 최대 축적길이(p)와 입하라인의 반출장치(11)에 반입되어 오는 물품(1)의 최소길이 (최소 축적길이)(j)가 설정되어 있다.
상류 통과센서(5)가 오프해서 물품(1)의 통과를 검출하지 않게 되면, 즉 물품(1)간에 간극이 가능하면 (단계-1), 로터리인코더(7)의 출력펄스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단계-2).
다음, 상기 최대 축적길이(p)에 전후의 상기 최소 설정간격(z)을 가산한 길이에 상당하는 펄스수(x)(=p+2z)를 구하고, 상기 출력펄스의 카운트값(t)이, 이 펄스수(x) 이상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단계-3). 카운트값(t)이 펄스수(x) 미만일 때, 상류통과센서(5)가 온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단계-4), 온이 아닐 때 단계-2로 되돌아가서 카운트를 계속한다.
상류통과센서(5)가 온인 것을 확인하면, 상기 최소 축적길이(j)에 전후의 상기 최소 설정간격(z)을 가산한 길이 (청구범위의 소정길이) 에 상당하는 펄스수(y)(=j+2z)를 구하고, 상기 카운트값(t)이 이 펄스수(y) 이상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단계-5). 카운트값(t)이 펄스수(y) 이상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검출한 물품(1)간의 간극이, 로트 내의 물품(1)의 간극인지, 반출장치(11)로부터 물품(1)을 합류 가능한 빈 공간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카운트값(t)이 펄스수(y) 이상일 때, 또는 단계-3에서 카운트값(t)이 펄스수(x) 이상일 때, 로트 간에 반출장치(11)로부터 물품(1)을 합류 가능한 빈 공간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단계-6). 계속해서, 카운트값(t) 보다 전후의 상기 최소 설정간격(z)에 상당하는 펄스수를 감산하여, 이 빈 공간으로 실제 물품(1)을 반출하는 것이 가능한 반출공간(S)(=t-2z)을 구하고, 이 반출공간(S) 및 메인라인(2) 상의 좌표에서 표현되는 빈 공간의 선두위치데이터에 상당하는 카운트값(t) (상류통과센서(5)의 하류위치(t))을 통괄제어부(27)로 출력한다 (단계-7).
이와 같은 빈 공간 검출부(22)로서는, 상류통과센서(5)가 오프로 되어서, 다시 온으로 되기까지 로터리인코더(7)의 펄스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해, 물품(1)간의 간극이 구해지고, 이 구해진 물품(1)간의 간극이 로트 내의 물품(1)간의 간극인지, 물품(1)을 합류 가능한 빈 공간인지가 판단된다. 그리고, 물품(1)을 합류 가능한 빈 공간으로 판단되면, 카운트값(t)이 빈 공간의 길이로 판단되고, 실제 반출공간(S)(=t-2z)과 빈 공간의 선두위치데이터(t)가 구해져서, 통괄제어부(27)로 출력된다. 또한 상류통과센서(5)가 오랜시간 물품(1)을 검출할 수 없고(메인라인(2)에 있어서 물품(1)이 반송되지 않는 상태일 때), 카운트값(t)이 상기 최대 축적길이(p)에 전후의 상기 최소 설정간격(z)을 가산한 길이에 상당하는 펄스수(x) 이상으로 되면, 물품(1)을 합류 가능한 빈 공간이 발생했다고 판단되고, 마찬가지로, 실제 반출공간(S)과 빈 공간의 선두위치데이터(t)가 구해져서, 통괄제어부(27)로 출력된다.
B. 입하라인 제어부(23,24,25,26)
각 입하라인 제어부(23,24,25,26)에는 각각, 각 입하라인(3)의 반출장치(11)의 컨트롤러(17)와 반입컨베이어(12)가 접속되고, 담당하는 반출장치(11)의 컨트롤러(17)로부터 상기 도착신호, 만량신호 및 축적길이(N)(물품수량데이터)가 입력되고 있다.
각 입하라인 제어부(23,24,25,26)는 각각 3개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제1기능;타이머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타이머의 타임업 시간(T)이 설정됨으로써, 상기 도착신호를 입력하면 타이머가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된 타임업 시간(T)으로 되면, 타임업 신호와 이 때 입력하고 있는 축적길이(N)를 통괄제어부(27)로 출력한다.
제2기능;통괄제어부(27)로부터, 실제 메인라인(2)으로 물품(1)을 반출하는 반출길이(L)를 포함하는 반출신호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를 입력하면, 이 반출신호를 반출장치(11)의 컨트롤러(17)로 출력한다.
제3기능;오프 지연타이머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만량신호 또는 통괄제어부(27)의 반출신호가 온으로 되면, 반송컨베이어(12)로 정지신호를 출력하고,상기 만량신호 및 반출신호가 오프로 되면, 오프 지연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늦어지고, 상기 정지신호를 오프로 한다.
C. 통괄제어부(27)
통괄제어부(27)에는, 빈 공간 검출부(22)에 의해 상기 반출공간(S)과 빈 공간의 선두위치데이터(t)가 입력되고, 각 입하라인 제어부(23,24,25,26)로부터 상기 타임업 신호와 축적길이N이 입력되고 있다. 또한 통괄제어부(27)에는, 통과센서(4) 및 로터리인코더(7)가 접속되고 있다.
통괄제어부(27)의 동작을 도 4의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a. 반출공간(S)과 빈 공간의 선두위치데이터(t)를 입력할 때마다, 도 4의 a의 흐름도를 실행한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공간(S)과 빈 공간의 선두위치데이터(t)를 입력하면 (단계-a1), 이 입력한 반출공간 (S) 와 빈 공간의 선두위치데이터(t)를 기억하고 (단계-a2), 후술하는 카운트값(k)을 재설정한다 (단계-a3).
그리고, 로터리인코더(7)의 펄스수를 카운트 개시한다 (단계-a4). 이 카운트값을 k로 한다. 후술하는 반출신호를 입력하면 (단계-a5), 로터리인코더(7)의 펄스수를 카운트 종료한다.
b. 입하라인 제어부(23,24,25,26)로부터 타임업 신호와 물품수량데이터를 입력할 때마다, 도 4의 b의 흐름도를 실행한다.
입하라인 제어부(23,24,25,26)의 어느 한 쪽으로부터 타임업 신호와 축적길이(N)을 입력하면 (단계-b1), 이 타임업 신호와 축적길이(N)을 입력한 입하라인 제어부(23,24,25,26)로, 상기 반출공간(S)를 분배한다 (예약한다) (단계-b2).
지금, 입하라인 제어부(23)에 예약되었다라고 가정해서 설명한다. 현재, 빈 공간의 선두는 펄스수(t+k)의 액위에 있다. 또한 빈 공간 (예약된 반출공간(S)을 포함한다) 직전 로트의 최후미로부터 최소 설정간격(z)에 상당하는 펄스수의 위치에, 입하라인(3)으로부터 물품(1)을 합류시키는 빈 공간의 좌표(m) (메인라인(2)의 좌표) 는, 입하라인(3)의 합류지점의 상류에, 입하라인(3)과 메인라인(2)의 반송속도에 의해 미리 구해져서, 상류통과센서(5)로부터의 펄스수로 설정된다. 이 펄스수(m)에 빈 공간 (예약된 반출공간(S)을 포함한다) 이 도착한 때, 입하라인(3)에서 물품(1)이 반출되면, 예약된 반출공간 (S) 에 물품(1)이 합류된다.
다음, 입력하고 있는 축적길이(N)와 반출공간(S)을 비교해서, 반출공간(S)이 축적길이(N)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단계-b3), 확인되면, 축적길이(N)를 실제 메인라인(2)으로 물품(1)을 반출하는 반출길이(L) (=N) 로서 설정한다 (단계-b4).
또한 반출공간(S)이 축적길이(N) 미만일 때, 반출공간(S)을 반출길이(L)(=(S))로서 설정한다 (단계-b5). 이 때, 반출하지 못한 길이, 즉 N-S 길이분의 물품(1)이 입하라인(3)에 남는다.
계속되는 펄스수(t+k)가 상기 펄스수(m)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단계-b6), 확인되면, 반출길이L을 포함하는 반출신호를 예약된 입하라인 제어부(23)로 출력한다 (단계-b7).
상기 구성에 의한 작용을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메인라인(2)측에서는, 메인라인(2)의 입하라인(3)의 합류지점으로부터 상류측으로, 메인라인(1) 상의 로트간 또는 물품(1)간에 소정길이 (최소 축적길이(j)에 전후의 상기 최소 설정간격(z)을 가산한 길이) 이상의 빈 공간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로트 내의 물품(1)간의 간격으로는 구별하여, 로트 (또는 물품(1)) 간에 있어서 물품(1)을 합류 가능한 빈 공간이 구해진다. 그리고, 빈 공간으로부터, 실제 입하라인(3)으로부터 물품(1)을 합류 가능한 반출공간(S)과 빈 공간의 선두위치데이터(t)가 구해진다.
한편, 입하라인(3)측에서는, 반출장치(11) 상에 물품(1)이 축적을 개시하여 일정시간 경과한다면 (타임업 한다면), 합류하는 권리를 발생시켜, 순차발생하는 빈 공간은, 합류하는 권리가 발생한 순서대로 입하라인(3)으로 예약된다 (예약좌석이 설정된다).
또한 타임업으로 된 시점의 반출장치(11) 상의 축적길이(N)와 빈 공간의 반출공간(S)이 비교되어, 반출되는 물품(1)의 수량에 상당하는 반출길이(L)이 구해진다 (로트로서 할당된다). 도 5에 있어서, 입하라인(3A)에서는, 축적된 물품(1)의 5개 중 3개가 할당되고 (2개는 남겨진다), 입하라인(3D)에서는, 축적된 모든 물품(1)이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예약된 입하라인(3)의 합류지점의 상류의 상기 좌표(m)에, 예약좌석 (빈 공간) 이 도착하면, 반출길이(L)를 포함하는 반출신호가 출력되어, 반출장치(11)에서 반출공간(S)에 합류 가능한 길이 (반출길이L) 분의 물품(1) (의 열) 이 반출장치(11)로부터 반출되어 합류된다. 도 5에 있어서, 입하라인(3B)으로부터 축적된 물품(1)이 반출되어 메인라인(2)으로 합류되고 있다. 이 때, 로트 간격은 최소 설정간격(z)(도 5에서는 1m)으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물품(1)이 축적된 입하라인(부반송로)(3)으로부터 순서대로, 검출된 상기 물품(1)을 합류 가능한 빈 공간(간격)이 예약되어, 예약된 간격이 합류지점에 접근하면, 입하라인(3)으로부터 물품(1)이 반출되어 합류된다.
또한 입하라인(3)측에서는 반출신호가 입력되면, 일정시간 반입컨베이어(12)가 정지되어 반출장치(11)로의 물품(1)의 반입이 중지되고, 다음 반입컨베이어(12)로부터 반입되어 오는 물품(1)과의 간격이 띄워진다. 도 5에 있어서, 입하라인(3B)에서 일정시간 반입컨베이어(12)가 정지된다. 또한 반출장치(11)가 만량으로 되면, 반입컨베이어(12)가 정지되어, 반출장치(11)로의 물품(1)의 반입이 중지된다.
더욱, 반출하지 못한 길이, 즉 N-S 길이분의 물품(1)이 입하라인(3)에 남으면, 남겨진 물품(1)이 선두센서(14)에 의해 검출되면서 부터 다음 타이머의 카운트가 개시되고, 타임업으로 된 시점으로 다음 합류하는 권리가 발생한 좌석 (물품(1)을 합류 가능한 빈 공간) 이 예약된다.
이와 같이, 메인라인(2) 상의 로트간 또는 물품(1)간에 물품(1)을 합류 가능한 빈 공간이 발생하면, 이 빈 공간의 반출공간(S)분만큼 물품(1)이 할당되고, 입하라인(3)으로부터 물품(1)이 반출되어 합류되기 때문에, 로트 간의 일정 최소 설정간격(z)을 확보하면서 메인라인(2) 상의 물품열간의 빈 공간을 감소할 수 있어서, 합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입하라인(3)으로부터 반출이 실행되면, 반출을 실행한 입하라인(3)의 반출장치(11)로의 물품(1)의 반입이 중지되어, 다음 반입컨베이어(12)로부터 반입되어 오는 물품(1)과의 간격이 띄워지기 때문에, 반입된 물품(1)에 의해 선두센서(14)가 동작하는 타임업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고, 즉 합류하는 권리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고, 이 입하라인(3)으로부터 계속해서 물품(1)이 메인라인(2)로 반출되는 것을 적게할 수 있다. 그 결과, 1개의 입하라인 (부반송로) (3)으로부터만 계속해서 물품(1)이 메인라인 (주반송로) (2)으로 반출되어 다른 입하라인(3)으로부터 물품(1)이 합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출할 때 남은 물품(1)에는, 다음 타임업되고 나서 밖에 빈 공간이 할당되지 않지만, 이와 같이 남은 물품(1)이 발생한 때에는, 타임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다음에 발생하는 빈 공간을 예약할 수도 있다. 즉, 다음에 발생하는 빈 공간을 이 남은 물품(1)이 발생한 입하라인(3)에 우선적으로 예약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남은 물품(1)이 발생한 때에는, 남은 물품(1)이 발생한 입하라인(3)으로부터 상류측에 배치된 다른 입하라인(3)에 예약된 빈 공간으로의 예약을 취소하고, 이 빈 공간에 남은 물품(1)을 우선적으로 합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설명도이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입하라인(3)에 있어서, 선두센서(3)에 의해 물품(1)이 검출되면 타이머가 카운트를 개시한다.
그리고, 입하라인A(3)에 있어서 타이머가 타임업하면,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하라인A(3)에 축적된 양의 로트가 메인라인(2)에 반출되어, 로트가 통과하면,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은 정지되고, 본래의 축적동작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입하라인B(3)에 있어서 타이머가 타임업하면, 도 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하라인B(3)에 예약된 빈 공간의 반출공간 (S) 가 축적된 물품(1)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반출공간 (S) 분의 물품(1)이 할당되고, 도 6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하라인B(3)로부터 할당된 물품(1)이 메인라인(2)에 반출되어 빈 공간에 합류된다. 그리고, 남은 물품(1)이 발생한 입하라인B(3)에 다음 빈 공간이 예약되어, 메인라인(2) 상의 로트가 통과하면, 도 6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하라인B(3)로부터 남은 물품(1)이 메인라인(2)에 반출된다.
이와 같이 입하라인B(3)에서 합류하지 못한 남은 물품(1)이, 입하라인A(3)으로부터 우선하여 메인라인(2)으로 합류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입하라인(3)의 입하라인 제어부(23,24,25,26)에 있어서, 선두센서(14)가 동작해서 타임업하기까지의 타임업 시간(T)이 같지만, 이 타임업 시간(T)을 각 입하라인 제어부(23,24,25,26)마다 각각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가장 반입하는 물품(1)이 많은 입하라인(3)의 상기 타임업 시간(T)을 짧게 하면, 합류하는 권리가 빨리 발생하기 때문에, 이 입하라인(3)으로부터 메인라인(2)으로 물품(1)이 합류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이 입하라인(3)의 물품(1)의 축적이 저감되어, 가장 반입하는 물품(1)이 많은 입하라인(3)에서 물품(1)의 투입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통과센서(5)를 사용해서 로트 간의 빈 공간을 구하고 있지만, 메인라인(2) 상에 공업용 카메라를 설치하고, 그 촬상데이터에 의해 빈 공간을 구하여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에 의하면, 주반송로 상에 있어서 물품이 반송되지 않는 빈 간격이 감소하여, 합류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부반송로측의 물품의 축적량이 저감되고, 투입작업의 기다리는 시간이 저감되는 것에 의해 물품의 투입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복수의 부반송로로부터, 이 부반송로에 반입되어 축적된 물품을, 물품을 반송하고 있는 주반송로에 합류시키는 물품의 합류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주반송로 상에서, 반송되고 있는 물품간 또는 물품군간에 소정길이 이상의 간격을 검출하면, 상기 부반송로로부터 이 간격의 길이에 따른 상기 축적된 물품을 주반송로로 반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합류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 부반송로는 주반송로로의 합류지점 근방위치에 물품이 축적된 것을 확인하면, 검출된 간격을 예약하고, 이 예약된 간격이 상기 합류지점에 접근하면, 부반송로로부터 물품을 반출해서 합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합류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예약한 간격에 부반송로에 축적된 전체물품을 반출할 수 없을 때, 이 부반송로의 남은 물품을 반출하기 위한 간격이 다른 부반송로 보다 우선적으로 예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합류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각 부반송로는 물품을 반출해서 합류시키면, 다음 물품의 반입까지 간격을 비우는 것을 특징으로 물품의 합류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길이 이상의 간격은 전후의 물품군간에 미리 설정된 간격에 최소 축적된 물품의 길이를 가산한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합류제어방법.
KR1020020000672A 2001-02-02 2002-01-07 물품의 합류제어방법 KR100846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26193A JP4048029B2 (ja) 2001-02-02 2001-02-02 物品の合流制御方法
JPJP-P-2001-00026193 2001-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656A true KR20020064656A (ko) 2002-08-09
KR100846755B1 KR100846755B1 (ko) 2008-07-16

Family

ID=1889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672A KR100846755B1 (ko) 2001-02-02 2002-01-07 물품의 합류제어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08058B2 (ko)
EP (1) EP1228986B1 (ko)
JP (1) JP4048029B2 (ko)
KR (1) KR100846755B1 (ko)
CN (1) CN1204028C (ko)
DE (1) DE60200064T2 (ko)
ES (1) ES2210214T3 (ko)
TW (1) TWI2218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3641B1 (en) * 1999-10-12 2003-02-04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High rate induction system
US7832316B2 (en) * 2000-11-03 2010-11-16 Weber Maschinenbau Gmbh & Co. Kg Apparatus for the slicing of food products having two cutter heads
WO2004026737A1 (en) 2002-09-20 2004-04-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German Corporation Accumulating conveyor system
US6907978B2 (en) * 2003-10-09 2005-06-2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ducting articles onto a conveyor
US6978192B2 (en) * 2004-04-02 2005-12-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ingle pass sequencer and method of use
JP4345665B2 (ja) * 2004-12-27 2009-10-14 株式会社ダイフク 荷合流設備
JP4652849B2 (ja) * 2005-03-03 2011-03-1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装置
GB2429003A (en) * 2005-07-29 2007-02-14 Meadwestvaco Packaging Systems Merging accumulated articles from two conveyors
US20080023302A1 (en) * 2006-07-10 2008-01-31 Dematic Corp. Conveyor system with dynamic gapping and method of slug building
DE102007040367B4 (de) * 2007-08-17 2022-11-17 Ssi Schäfer Automation Gmbh Materialflusssteuerung zur Kollisionsvermeidung in einer Förderanlage
JP4962229B2 (ja) * 2007-09-04 2012-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トックコンベア上ワーク数検出方法
CA2639259C (en) * 2007-09-07 2014-03-11 Dematic Corp. Conveyor systems
CN102762469B (zh) 2009-03-19 2014-09-24 因特利格拉泰德总部有限责任公司 控制堆积传输器的方法
TWI525025B (zh) 2009-04-10 2016-03-11 辛波提克有限責任公司 儲存及取出系統
US9321591B2 (en) 2009-04-10 2016-04-26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s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DE102009041239A1 (de) * 2009-09-11 2011-03-24 Kron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ilden einer Gebindesequenz
US10822168B2 (en) 2010-12-15 2020-11-03 Symbotic Llc Warehousing scalable storage structure
US9187244B2 (en) 2010-12-15 2015-11-17 Symbotic, LLC BOT payload alignment and sensing
US8696010B2 (en) 2010-12-15 2014-04-15 Symbotic, LLC Suspension system for autonomous transports
US11078017B2 (en) 2010-12-15 2021-08-03 Symbotic Llc Automated bot with transfer arm
US8965619B2 (en) 2010-12-15 2015-02-24 Symbotic, LLC Bot having high speed stability
US9561905B2 (en) 2010-12-15 2017-02-07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 vehicle
US9499338B2 (en) 2010-12-15 2016-11-22 Symbotic, LLC Automated bot transfer arm drive system
CA2920806C (en) 2012-11-30 2017-05-16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Accumulation control
JP5850261B2 (ja) * 2013-03-01 2016-02-03 村田機械株式会社 仕分システム及び仕分システムでの荷物の投入制御方法
JP6374644B2 (ja) * 2013-08-23 2018-08-1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523296B2 (ja) 2013-09-13 2019-05-29 シムボティック エルエルシー 自動保管および取出システム
AT515991B1 (de) 2014-06-24 2021-11-15 Tgw Logistics Group Gmbh Verfahren und Fördertechnikelement zum Bündeln von Förderströmen in einer Förderanlage
DE102014224147A1 (de) * 2014-11-26 2016-06-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Packgutzusammenführung und Packgutfördervorrichtung
CN104555309A (zh) * 2014-12-12 2015-04-29 云南财经大学 一种多品种单元物料柔性自动分拣系统
CN105035718A (zh) * 2015-06-30 2015-11-11 伯曼机械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节约穿越空间的箱体输送合流系统
JP6355854B2 (ja) * 2015-08-28 2018-07-11 株式会社 エニイワイヤ 搬送システム
CN105217297B (zh) * 2015-09-14 2018-07-31 蒙娜丽莎集团股份有限公司 瓷砖输送设备
JP6677115B2 (ja) * 2016-07-21 2020-04-0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並べ替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保管設備
CN106997195B (zh) * 2017-03-22 2020-06-02 湖北九州通达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物流输送线控制方法
EP3381842B1 (de) * 2017-03-27 2020-01-15 BEUMER Group GmbH & Co. KG Fördervorrichtung zum zusammenführen von stückgutteilen von mehreren einschleusförderern
CN107185842B (zh) * 2017-06-27 2019-06-14 温州大学瓯江学院 一种基于认知无线电原理的轨道分配系统
JP6568163B2 (ja) * 2017-08-09 2019-08-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
CN107777219B (zh) * 2017-10-10 2020-01-14 浙江近点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smt自动化传输方法
CN109956111B (zh) * 2017-12-14 2022-01-14 湖南中联重科混凝土机械站类设备有限公司 包装机控制设备、系统、方法及工程机械
CN109956108B (zh) * 2017-12-14 2022-05-24 湖南中联重科混凝土机械站类设备有限公司 包装机控制设备、系统、方法及工程机械
CN109956109A (zh) * 2017-12-14 2019-07-02 湖南中联重科混凝土机械站类设备有限公司 一种包装机控制设备、系统、方法及工程机械
CN109956107B (zh) * 2017-12-14 2022-01-14 湖南中联重科混凝土机械站类设备有限公司 包装机控制设备、系统、方法及工程机械
CN109956110A (zh) * 2017-12-14 2019-07-02 湖南中联重科混凝土机械站类设备有限公司 一种包装机控制设备、系统、方法及工程机械
CN108466788A (zh) * 2018-02-07 2018-08-31 广东信源物流设备有限公司 一种邮袋进入带走输送线上的位置预约方法
SG11202010020PA (en) * 2018-05-01 2020-11-27 Murata Machinery Ltd Carrier system
CN109665296A (zh) * 2018-11-13 2019-04-23 南京赤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缓冲池注塑产品汇流输送线系统
CN109533914B (zh) * 2018-11-27 2020-12-22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软袋双线汇聚的输送系统及输送方法
JP7077975B2 (ja) 2019-01-23 2022-05-31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N110386432B (zh) * 2019-07-19 2021-10-01 北京旷视机器人技术有限公司 物料投送方法、装置、系统及控制设备
CN110641949A (zh) * 2019-08-22 2020-01-03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监测传送带上货物拥堵的设备及系统
EP3825263A1 (de) * 2019-11-20 2021-05-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computer-implementierten konfiguration einer geregelten antriebsapplikation eines logistiksystems
CN112340374B (zh) * 2020-10-22 2022-04-01 常州九天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焊带自动提升装置及控制方法
CN113477530A (zh) * 2021-07-02 2021-10-08 浙江凯乐士科技有限公司 包裹合流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2231A (en) * 1960-06-21 1964-02-25 Cutler Hammer Inc Memory type storage conveyor system
US3011621A (en) * 1960-06-21 1961-12-05 Cutler Hammer Inc Memory type order filling conveyor systems
US3279581A (en) * 1964-03-04 1966-10-18 Owens Illinois Inc Bottle metering mechanism
US5860504A (en) * 1994-11-16 1999-01-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ransfer buffer and inserter and method
DK0790947T3 (da) * 1995-09-08 2003-06-10 Siemens Schweiz Ag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indslusning af stykgodsdele
JPH09315559A (ja) * 1996-05-30 1997-12-09 Murata Mach Ltd コンベアシステムにおける物品合流装置
JP3794063B2 (ja) * 1996-08-21 2006-07-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搬送システム
WO1999067159A1 (en) 1998-06-23 1999-12-29 Crisplant A/S A conveyor system
JP3697907B2 (ja) * 1998-09-02 2005-09-21 株式会社ダイフク 合流コンベヤ装置
JP2000095327A (ja) * 1998-09-25 2000-04-04 Daifuku Co Ltd 搬送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08058B2 (en) 2004-10-26
TWI221825B (en) 2004-10-11
US20020112938A1 (en) 2002-08-22
DE60200064D1 (de) 2003-11-27
EP1228986B1 (en) 2003-10-22
CN1204028C (zh) 2005-06-01
JP4048029B2 (ja) 2008-02-13
KR100846755B1 (ko) 2008-07-16
EP1228986A1 (en) 2002-08-07
CN1369419A (zh) 2002-09-18
DE60200064T2 (de) 2004-07-15
JP2002226031A (ja) 2002-08-14
ES2210214T3 (es)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755B1 (ko) 물품의 합류제어방법
US7816617B2 (en) Configurable intelligent conveyor system and method
US4227607A (en) High volume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storing articles for sorting and routing
EP0310411B1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rticles conveyed by a conveyor system
US7793772B2 (en) Intelligent accumulation conveyor track
US7063206B2 (en) Accumulating conveyor system
WO2018204901A2 (en) Vision based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KR101351494B1 (ko) 컨베이어 장치
EP16585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 load on a conveyor system
US87858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orting objects by means of intermediate storage units
JP4779566B2 (ja) 物品の合流制御方法
KR101644077B1 (ko) 물품 자동 분류시스템의 인덕션-캐리어 실시간 동기제어방법
JP7375518B2 (ja) 搬送システム
CN108885441B (zh) 分拣输送物的方法、输送技术元件或节点和输送设备
EP17893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ffering products
CN109709619B (zh) 安检箱包输出报警系统
JP2547067B2 (ja) 物品仕分け設備
JP5680354B2 (ja) コンベヤを用いた物品の分岐合流設備
CN210437519U (zh) 一种离散物品的高效分配装置
JP7415492B2 (ja) 搬送システム
JPS58162433A (ja) 物品仕分け装置
JP7326904B2 (ja) 仕分け装置
JP2505242B2 (ja) 自動仕分け装置による搬送物の仕分け方法
JP2580241B2 (ja) 物品仕分け設備
JPH09173994A (ja) 農産物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