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305A - 로드용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로드용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305A
KR20020062305A KR1020027006610A KR20027006610A KR20020062305A KR 20020062305 A KR20020062305 A KR 20020062305A KR 1020027006610 A KR1020027006610 A KR 1020027006610A KR 20027006610 A KR20027006610 A KR 20027006610A KR 20020062305 A KR20020062305 A KR 20020062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ifting device
longitudinal beam
receiving mean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0180B1 (ko
Inventor
롤란트 아스만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2006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 B65G49/0409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 B65G49/043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 B65G49/04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 B65G49/04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the circuit being fixed
    • B65G49/045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the circuit being fixed by means of containers -or workpieces- carriers
    • B65G49/0459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the circuit being fixed by means of containers -or workpieces- carriers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is caused by self-contain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20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용 리프팅 장치, 특히 차량 또는 차량 부품용 서스펜션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리프팅 장치는 로드 수용 수단(14)을 포함하는데, 이 로드 수용 수단은 이 로드 수용 수단(14) 상에 장착되고 실질적으로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S)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빔(17)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15)와 로드 수용 수단(14)을 리프팅 및 로워링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리프팅 기어(19)를 포함하는데, 이 가이드 요소는 종방향 빔을 그리고 로드 수용 요소(14)를 횡방향으로 가이딩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5)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팅 장치의 전반적인 높이는 상당히 감소시키는 반면, 로드의 리프팅/로워링 동작은 상당히 크게 실행하는 피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방향 빔(17)은 링크 체인 방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섹션(17a, 17b, 17c)으로 분리된다. 상기 섹션들은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에 횡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다. 로드 수용 수단(14)이 리프팅된 상태에서, 종방향 빔(17)의 상부 섹션(17b, 17c)은 접혀지고, 그리고 로드 수용 수단(14)이 로워링된 상태에서는 상기 종방향 빔(17)의 상부 섹션(17b, 17c)은 펼쳐진다.

Description

로드용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 WITH A GUIDE DEVICE FOR LOADS}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로드용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일 실용 신안 DE 94 08 847은 예를 들어 C-훅(C-hook)형 또는 가위형 서스펜션 리프트(scissors-type suspension lift)와 같은 높이-조정 가능한 지지 장치를 기술한다. 이러한 지지 장치는 오버헤드 전기식 컨베이어의 레일 차량의 일부인데, 오버헤드 전기식 컨베이어는 그 중에서도 개개의 조립 위치 사이에서 조립하는 동안 개개의 조립 단계에서 제작되는 차량의 부품과 차량을 이송하기 위한 자동차 제조 공정에 사용된다.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그리고 레일을 단순하게 수평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지지 장치가 레일 차량과 함께 조립 영역으로 로워링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되는 차량용 지지 장치는 높이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형의 조립 장치는 종종 자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 차량의 정확한 위치 선정 및 이로 인한 지지 장치의 정확한 위치 선정이 요구된다. 지지 장치를 레일 차량의 이동 방향으로 안내하고 또한 횡으로 지지 장치를 안내하는 것은 가이드 요소를 통하여 확보되어야 한다; 단순하게 트랙션 수단에 지지 장치를 현가시키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높이 조절 가능한 지지 장치는 이미 앞서 언급한 독일 실용 신안 DE 94 08 847에 기술되어 있다. 제작될 차량 및 차량 부품용 로드 수용 수단은 여기서는 리프팅 및 로어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서로 변위될 수 있는 세 개의 텔레스코픽 섹션(telescopic section)을 통하여 횡방향으로 가이드된다. 그러므로, 연장된 상태에서 가장 안쪽의 텔레스코픽 섹션의 최하단부가 로드 수용 수단에 연결되고, 최외각 텔레스코픽 섹션의 상단부는 레일 차량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텔레스코픽 섹션은 필수적으로는 이들의 종방향 범위와 수직으로 정렬된다. 트랙션 케이블을 통하여 텔레스코픽 섹션이 수축되어 로드 수용 수단이 리프팅될 수 있는데, 이 트랙션 케이블은 가장 안쪽의 텔레스코픽 섹션에 작용하고 레일 차량 상에 배치되는 리프팅 기어에 연결된다. 텔레스코픽 섹션과 로드 수용 수단에 작용하는 중력의 동시 효과로 완화되는 트랙션 수단에 의하여 로드 수용 수단이 로워링되고 텔레스코픽 섹션이 연장된다.
세 개의 부분 텔레스코픽 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팅 장치의 설계에 관하여, 비록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큰 리프팅이 이루어지지만 로드 수용 수단이 거의 움직임 없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텔레스코픽 섹션이 서로에 대하여 복잡한 방식으로 안내되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레일 차량 상의 텔레스코픽 장치의 중심 배치에 의하여 오버헤드 모노레일 컨베이어는 로드 수용 수단의 뚜렷한 편심 배치에 연결된다. 이는 가이드 요소에 큰 모멘트를 가하여 레일 차량의 베이스 프레임이 적합한 강성을 가질 것을 요구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텔레스코픽 장치 상에 배치되며 차량 및 차량 부품을 위한 프레임-형상 수용 수단은 외관상 로드 아래에 배치되는 크로스 빔을 구비한다. 이러한 크로스 연결은 특히 제조 시에 샤시 상의 차량 바디를 로워링하는 경우 불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중앙 텔레스코픽 섹션은 예를 들어 수용 수단을 로워링하는 동안 이것이 슬랙-케이블 단선(slack-cable disconnection)에 의하여 인식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가이드되지 않고 고정된 채로 유지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독일 실용 신안 DE 94 08 846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진 또 다른 높이 조정 가능한 지지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텔레스코픽 장치 대신에 가위형 장치가 레일 차량과 로드 수용 수단 사이에 제공된다. 레일 차량 상에 배치되는 리프팅 기어와 상호 작용하고 로드 수용 수단 상에 작용하는 트랙션 수단을 통하여 리프팅 및 로워링 운동을 위한 구동이 다시 일어난다.
가이드 힘을 로드 수용 수단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후자는 구조적으로 복잡한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가위형 시스템을 구비하는 리프팅 장치를 설계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후자는 길이가 거의 6 m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4 m 이상의 큰 리프트 크기가 요구되는 경우 가위형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증명되었다. 또한, 가위형 요소의 하부 단부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하부 프레임이 요구되는데, 이 프레임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레일 차량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하며, 그리고 차량 바디의 엔진 및 트렁크로의 접근을 방해한다. 더욱이, 이동 경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가위형 시스템용 리프팅 기어를 후방 단부에 배치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레일 차량의 길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불리하다고 증명되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리프팅 케이블용 디플렉션풀리(deflection pulley)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로드용 가이드 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이러한 장치는 전반적으로 리프팅 장치의 높이가 작지만 동시에 로드를 크게 리프팅/로워링 운동시키는 것을 구비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에 언급된 특징을 구비하는 리프팅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점은 종속항 2항 내지 제 14항에 의하여 기술된다.
이하 논의되는 로드용 리프팅 장치는, 첫째로는 로드 수용 수단이 로워링된 상태에서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으로 이어지는 강성 종방향 빔에 의하여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에 횡으로 로드 수용 수단이 가이드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두번째로는 이 강성 종방향 빔은 링크 체인 방식으로 각각의 조인트를 통하여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에 횡으로 접혀질 수 있게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섹션으로 분할된다는 점에서 유리한 방식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것은, 큰 리프팅 경로에 대하여 로드 수용 수단이 리프팅되는 것을 허용하나 동시에 리프팅 장치의 전체적인 높이는 작게 하기 위하여 로워링된 로드 수용 수단의 강성 가이딩과 더불어 종방향 빔이 횡방향으로 접히는 것도 가능한 효과를 구비한다. 종방향 빔의 상부 섹션의 접혀짐 및 펼쳐짐 동작은 리프팅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특히 단순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레일은 직선 섹션을 구비하는데, 이 직선 섹션은 가이드 요소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여 시작하고 필수적으로 수직으로 이어지며 그리고 곡선 섹션에 인접하고, 상기 곡선 섹션은 횡방향과 로워링 방향에 필수적으로 횡으로 정렬되는 추가적인 직선 섹션으로 이어진다. 종방향 빔의 상부 섹션(upper sections)의 개개의 상부 단부에 배치되는 지지-동반 요소(carry-along elements)는 이러한 가이드 레일에 맞물린다. 로드 수용 수단이 리프팅되는 경우, 지지-동반 요소가 가이드 레일에서 가이드되어 상기 섹션이 가이드 요소를 떠나 더이상 로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시점에서 종방향 빔의 섹션의 접힘 동작을 초기화한다. 이 시점에서 추가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위치 선정되는 종방향 빔의 섹션은 가이딩 작업을 실현한다. 지지-동반 요소는 롤러를 구비한 핀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롤러는 그 단부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한다.
차량 바디를 리프팅하고 로워링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평행하고 이격되며 각각의 경우에 세 개의 섹션을 구비하는 두 개의 종방향 빔의 배치가 유리한 것으로 증명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경우에 크로스 빔을 통하여 바람직하게는 상부 단부 영역에서 하부 섹션이 서로 연결된다. 로드용 수용 수단은 종방향 빔의 하부 섹션의 하부 단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크로스 빔과 종방향 빔의 하부 섹션의 일부의 수용 요소에 의하여 역 U-형상의 로드 수용 수단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로드 수용 수단과 그리고 접혀질 수 있는 종방향 빔을 구비하는 연계된 리프팅 장치는 특히 자동차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 적합한데, 자동차 제조 시에 "조립"("coming together")의 시점에 로드 수용 수단 상에 서스펜션되는 차량 바디는 는 샤시 상에 로워링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립 프로세스는상기한 리프팅 장치를 사용하는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량 바디 가이드 시에 필요한 정확성은 두 개의 강성 가이드 종방향 빔에 의하여 달성된다.
더욱이, 종방향 빔을 위한 가이드 요소는 각각의 경우에 이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후자 주변을 완벽하게 잡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증명되었다. 원주형 틈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종방향 빔은 단지 대략 230 에서 310°, 바람직하게는 300°의 영역에서 잡힌다. 이에 의하여, 원주형 틈의 영역에서 가이드 요소를 통하여 상기 크로스 빔이 안내되기 때문에,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고 크로스 빔에 연결되는 두 개의 종방향 빔으로 크로스 빔이 가이드 요소의 레벨 이상으로 올려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리프팅 기어용 트랙션 수단의 중심 맞물림(central engagement)에 크로스 빔이 적합하다.
가이드 요소에는 수평 축 주변으로 회전 가능하고 편심 축을 통하여 종방향 빔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가이드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를 통한 가이던스 대신에, 여기서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고려할 수도 있다. 종방향 빔의 프로파일은 라운드 튜브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방향 빔을 다면적인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여기서 롤러는 측면을 따라 구름 운동한다.
종방향 빔의 섹션이 서로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는 동작을 위하여, 상기 섹션은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에 횡으로 정렬되는 피벗 축을 구비하는 조인트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상기 기술된 사용을 위하여, 리프팅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은 레일 차량의 부분인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레일 차량은 서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수직 축에 대하여 피벗될 수 있는 주행-기어 메카니즘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곡선-주행 레일 차량(curve-going rail vehicle)을 구비하는 이중-레일 오버헤드 전기식 컨베이어의 일부로서의 리프팅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로드 수용 수단이 리프팅된 도 1의 또 다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5는 절단선 Ⅰ-Ⅰ를 따른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은 곡선-주행 레일 차량을 구비하는 이송 시스템의 일부로서의 리프팅 장치(1)를 도시한다. 이송 시스템은 "이중-레일 오버헤드 전기식 컨베이어(double-overhead electric conveyor)"로 설계되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고 가능한 한 서로 평행한 두 개의 레일(3)이 제공되는데, 이 두 개의 레일 상으로 레일 차량(2)이 이동한다(도 4 참조). 통상적으로 레일(3)은 서스펜션 수단(4)을 통하여 제조 홀(manufacturing hall)의 천장 구조(ceiling structure)에 고정된다(도 2를 참조).
무엇보다도,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레일 차량(2)을 설명할 것인데,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레일 차량(2)은 필수적으로 베이스프레임(base frame, 5)을 포함하는데, 이 베이스 프레임은 여덟 개의 피동(driven) 및 비-피동(non-driven) 주행-기어 메카니즘(running-gear mechanism, 6)을 통하여 레일(3) 상에 지지된다. 비-피동 주행-기어 메카니즘(6b)은 각각의 경우에 필수적으로 주행 휠(running wheel, 7b)과 네 개의 가이드 휠(guide wheels, 8)로부터 구체화된다. 피동 주행-기어 메카니즘(6a)은 각각의 경우에 필수적으로 하나의 구동 휠(driving wheel, 7a)과 여덟 개의 가이드 휠(8)을 포함한다. 가이드 휠(8)은 레일(3)의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 상에서 측면으로 주행하는데, 이 레일은 I-빔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휠(7a)들과 주행 휠(7b)들은 레일의 상부 플랜지를 따라 주행한다. 두 개의 주행-기어 메카니즘(6)은 각각의 경우에 수직 축(10)에 대하여 피벗될 수 있는 방식으로 중간 빔(intermediate beam, 9)에 연결된다. 레일 차량(2)의 한 쪽 측면에서, 중간 빔(intermediate beam, 9)은 이동 방향(F)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의 중심으로 직접 또 다른 수직 축(11)을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5)의 전방 단부 영역 및 후방 단부 영역에 장착된다. 레일 차량(2)의 다른 측면에서는, 중간 빔(9)이 직접 베이스 프레임(5)에 장착되지 않고, 추가적인 피벗 아암(12)을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5)에 연결된다. 이 측면에서 피벗 아암(12)을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5)에 중간 빔(9)이 연결되는 것은 레일 차량(2)이 수평 곡선부를 이동하는 것과, 그리고 주행하는 동안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놓인 레일(3) 사이의 거리에 관하여 불규칙함을 보상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레일 차량(2)은 주행-기어 메카니즘(6a)에 수평하게 플랜지된 전기식 구동부(13)를 통하여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식 구동부(13)는 전류집전기(current collector, 도시 안됨)를 통하여 레일(3)을 따라 배치된 접촉 라인에 전기식으로 연결된다.
원칙적으로, 모노레일 오버헤드 컨베이어 상에서 또는 스테이셔너리 방식(stationary manner)으로 리프팅 장치(1)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드 수용 수단(14)용 리프팅 장치(1)는 레일 차량(2)의 베이스 프레임(5) 상에 현가된다. 리프팅 장치(1)는 필수적으로 슬리브 형태의 가이드 요소(15)를 포함하는데, 이 가이드 요소(15)는 스트러트(struts, 16)를 통하여 레일 차량(2)의 베이스 프레임(5)의 하부 상에 현가된다. 종방향 빔(17)이 슬리브 형태의 가이드 요소(15)를 거쳐 예를 들어 필수적으로는 수직 방향과 같이 리프팅/로워링되는 방향(S)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리고 상기 가이드 요소에 의하여 가이드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이드 요소(15)의 정렬(alignment)이 선택되는 것을 도 1에서 볼 수 있다. 종방향 빔(17)은 가이드 요소(15)로부터 멀어지는 단부에서는, 예를 들어 차량과 같은 로드(18)를 위한 로드 수용 수단(14)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펠릿(pallets), 스켈레튼 컨테이너(skeleton containers) 또는 컨테이너와 같은 다른 로드 등이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이송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1에는 베이스 프레임(5)에 장착된 리프팅 기어(19)가 배치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리프팅 기어에 의하여 로드 수용 수단(14)이 리프팅되거나 로워링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프팅 기어(19)는 트랙션 수단(20)을 통하여 종방향 빔(17)의 하부 영역에 연결된다. 트랙션 수단(20)과 같은 체인 또는 스트랩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크로스 빔(22) 상에 작동하는 디플렉션 풀리(21)를 통하여 로드 수용 단부(14)가 연결된다. 트랙션 수단(20)의 단부는 리프팅 기어(19)의 영역에서 베이스 프레임(5)에 고정된다.
리프팅 장치(1) 및 그 더욱 정확한 구조와 그리고 종방향 빔(17)의 가이딩은 다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에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며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종방향 빔(17)이 도시된다. 각각의 종방향 빔(17)은 종방향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링크 체인 방식으로 세 개의 섹션(17a, 17b, 및 17c)으로 세분된다. 단지 두 개의 또는 세 개의 섹션(17a, 17b, 및 17c)보다 더 많이 각각의 빔(17)을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섹션(17a, 17b, 및 17c)은 조인트(24 및 2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조인트(24 및 25)는 각각의 경우에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S)에 횡으로 이어지는 피벗 축(34)을 구비하는데, 그 결과 로드 수용 수단(14)을 리프팅시키는 동안 상부 섹션(17b 및 17c)은 측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종방향 빔(17)의 하부 섹션(17a)은 크로스 빔을 통하여 이들 상부 단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스틸 케이블로 설계되는 트랙션 수단(20)용 디플렉션 풀리(21)는 크로스 빔(22) 상에 장착되는 것을 볼 수도 있다. 각각의 수용 수단(23)은 종방향 빔(17)의 하부 섹션(17a) 상에 배치되는데, 상기 수용 수단(23)은 각각의 경우에 강성이거나 또는 수직 축에 대하여 피벗되어, 적절한 방식으로 차량 또는 차량의 부분의 형태인 로드(18)를 지지하여 로드 수용 수단(14)의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로드 수용 수단(14)은 종방향 빔(17)의 하부 섹션(17a), 크로스 빔(22) 및 수용 수단(23)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레일 차량(2)의 이동 방향(F)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역 U 자 형이다. 로드 수용 수단(14)은 리프팅 장치(1)를 통하여 종방향 빔(17)의 하부 섹션(17a)이 거의 완전하게 가이드 요소(15)로 이동하는 정도까지 또는 가이드 요소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정도까지 리프팅될 수 있다(도 3을 참조). 도 3은 단지 리프팅되는 위치를 도시할 뿐, 로드 수용 수단(14)의 최상단 위치를 도시하지는 않는다. 로드 수용 수단(14)은 종방향 빔(17b 및 17c)이 가능한 정도까지 수평으로 놓이도록 배치되도록, 그리고 수용 수단(23)이 가이드 요소(15)의 하부 측면에 인접하도록 충분히 높이 리프팅될 수 있다.
종방향 빔(17)의 하부 섹션(17a)은 종방향 빔(17)의 추가적인 두 개의 섹션(17b, 17c)에 의하여 위쪽으로 인접한다. 섹션(17a)의 상부 단부는 조인트(24)를 통하여 연결되는데, 이 조인트는 수평하게 그리고 이동 방향(F)의 방향으로 정렬되는 피벗 축(34)을 구비하는 힌지 조인트의 방식으로 설계된다. 종방향 빔(17)의 두 번째 섹션(17b)의 상부 단부는 순차로 조인트(24)에 대응되는 다른 조인트(25)를 통하여 종방향 빔(17)의 세 번째 섹션(17c)의 하부 단부에 연결된다. 조인트(24 및 25)는 힌지 조인트로 설계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접혀진 위치와 같이 종방향으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뒤에 배치되는 이들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단지 횡방향 바람직하게는 내측 방향으로 - 로드 수용 수단(14)에 대하여- 섹션(17b 및 17c)이 지시된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다. 종방향 빔(17)의 접혀진 상태에서, 섹션(17a, 17b 및 17c)의 인접 상부 표면은 서로 안착한다. 지지 표면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튜브식 섹션(17a, 17b 및 17c)의 단부에 단부 플레이트(도시 안됨)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직 위치에서, 로드 수용 수단(14)이 이동 방향(F)으로 그리고 레일 차량(2)의 이동 방향(F)에 가로질러 가이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된 종방향 빔(17)은 일체형 빔으로서 작동한다. 첫째로는 로드 수용 수단(14)을 가능한 한 멀리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둘째로는 상대적인 길이가 긴 종방향 빔(17)에도 불구하고 레일 차량(2)의 방향으로 로드 수용 수단(14)이 가능한 한 크게 리프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방향 빔(17)이 펼쳐질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된다.
로드 수용 수단(14)이 리프팅된 상태에서 섹션(17b 및 17c)이 접혀지는 리프팅 장치(1)를 작동시키는 방식은 도 3을 참조하여 보여질 수 있다. 롤러(27)가 제공될 수 있는 개개의 핀-형상 지지-동반 요소(pin-shaped carry-along element, 26)는 두 번째 및 세 번째 섹션(17b 및 17c)의 개개의 상부 단부에 배치된다. 가이드 요소(15)의 위에서 이러한 지지-동반 요소(26)가 가이드 레일(28)과 맞물리는데, 이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요소(15)의 상부 단부에서 시작된다. 로드 수용 수단(14)이 하부 위치로부터 리프팅되는 경우, 이러한 영역에서 중간 및 상부 섹션(17b 및 17c)의 지지-동반 요소(26)는 결과적으로 가이드 레일(28)로 이동한다. 가이드 레일(28)은 초반부에 직선 섹션(28a)을 구비하는데, 이는 리프팅/로워링 방향(S)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제 1 직선 섹션(28a)은 곡선 섹션(28b)에 의하여 인접하는데, 로드 수용 수단(14)에 대하여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곡선 섹션은 내측으로 지향되며, 그리고 추가적인 직선 및 수평 섹션(28c)이 뒤따른다. 그러나, 운동학(kinematics)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러한 추가적인 수평 섹션(28c)이 비스듬하게 상부를 향하도록 이어질 수도 있다.
로드 수용 수단(14)이 도 2에 도시된 하부 위치로부터 리프팅 기어(19)를 통하여 리프팅되는 경우, 무엇보다도 종방향 빔(17)의 상부 섹션(17c)은 가이드 요소(15)를 통하여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 3 섹션(17c)의 상부 단부에 배치되는 지지-동반 요소(26)는 가이드 레일(28)의 제 1 섹션(28a)으로 이동한다. 종방향 빔(17)의 제 3 섹션(17c)의 상부 단부가 레일 차량(2)의 베이스 프레임(5)의 영역에 도달하고, 그리고 레일(3)의 인접부에 이미 배치되는 경우, 가이드 레일(28)의 곡선 섹션(28b)이 로드 수용 수단(14)의 추가적인 리프팅을 시작하여 결과적으로 이들 조인트(25)를 중심으로 제 3 섹션(17c)은 내측으로 접혀진다. 지지-동반 요소(26)는 종방향 빔(17)의 제 2 섹션(17b)의 상부 단부에도 배치되기 때문에, 이 지지-동반 요소(26)가 가이드 레일(28)의 곡선 섹션(28b)에 도달하는 경우 이러한 제 2 섹션(17b)은 조인트(24)의 축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혀진다. 그러므로 로드 수용 수단(14)은 동시에 리프팅 장치의 높이는 전반적으로 낮게 하면서 강성 종방향 빔(17)으로보다 훨씬 높게 리프팅된다.
로드 수용 수단(14)이 리프팅된 위치로부터 그 하부 위치로 낮아지는 경우, 종방향 빔(17)의 제 2 및 제 3 섹션(17b, 17c)은 가이드 레일(28)과 지지-동반 요소(26)를 통하여 이들의 수직 위치로 외측으로 펼쳐진다. 그러므로, 로드 수용 수단(14)이 하강된 상태에 있는 경우, 종방향 빔(17)의 섹션(17a 내지 17c)은 수직 방향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종방향 빔을 형성한다.
가이드 요소(28)의 수평 섹션(28c)과 상부 섹션(17b 및 17c)은 이동 방향(F)에 정확히 횡으로 정렬되지 않고 각각의 경우에 약간 비스듬히 오프셋되어, 상부섹션(17b 및 17c)이 서로 비껴가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는 것을 도 4로부터 더 알 수 있다. 두 개의 종방향 빔(17)이 이동 방향(F)에 약간 오프셋되고 이동 방향에 횡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로부터, 이동 방향(F)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지향되는 개개의 연결 로드(31)는 각각의 경우에 베이스 프레임 상의 중심에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커넥팅 로드(31)는 "동기화 영역(synchronous regions)"에서 레일 차량을 구동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 동기화 영역에서는 작업 스테이션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동시에 다수 개의 차량이 이동한다. 이 경우에 커넥팅 로드(31)는 마찰 휠 구동 스테이션(獨: Reibrad-Antriebsstationen, 도시 안됨)을 구동하는 마찰 휠을 통하여 이동한다. 개개의 레일 차량은 커넥팅 로드(31)의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로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주행-기어 메카니즘(6a)은 아이들링 모드 상태에 있다.
도 5는 섹션 라인 Ⅰ-Ⅰ을 따른 도 2의 단면도이다. 종방향 빔(17)은 튜브식 프로파일(tubular profile)로서 설계되고, 그리고 한 평면 내에 배치되고 수평 축(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네 개의 가이드 롤러(29)를 통하여 가이드 요소(15) 내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종방향 빔(17)의 가이던스를 정확하게 그리고 가능한 한 거의 움직임없이 세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 롤러(29)는 편심 축(30)을 통하여 종방향 빔(17)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310°의 영역에서 가이드 요소(15)는 원주 갭(32)을 보유하는 원형 튜브식 종방향 빔(17)의 주변을 단지 부분적으로 잡는 것을 볼 수 있다.종방향 빔(17)은 프로파일에서 각 설계될 수도 있다.
도면 부호 목록
1리프팅 장치
2레일 차량
3레일
4서스펜션 수단
5베이스 프레임
6a피동 주행-기어 메카니즘
6b비-피동 주행-기어 메카니즘
7a구동 휠
7b주행 휠
8가이드 휠
9중간 빔
10수직 축
11수직 축
12피벗식 아암
13전기식 구동부
14로드 수용 수단
15가이드 요소
16스트러트
17종방향 빔
17a,b,c17의 섹션
18로드
19리프팅 기어
20트랙션 수단
21디플렉션 풀리
22크로스 빔
23수용 수단
24조인트
25조인트
26지지-동반 요소
27롤러
28가이드 레일
28a28의 수직 섹션
28b28의 곡선 섹션
28c28의 수평 섹션
29가이드 롤러
30편심 축
31커넥텡 로드
32원주 갭
33축
34피벗식 축
F이동 방향
S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

Claims (18)

  1. 로드용 리프팅 장치, 특히 차량 또는 차량 부분용 서스펜션 리프트로 로드 수용 수단(14)을 구비하고, 상기 로드 수용 수단(14) 상에 배치되고 필수적으로는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S)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빔(17)을 구비하고, 베이스 프레임(5) 상에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 빔을 횡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로드 수용 수단(14)을 횡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15)와, 그리고 상기 로드 수용 수단(14)의 리프팅 및 로워링 운동을 위한 리프팅 기어(19)를 구비하는 로드용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빔(17)이 링크 체인의 방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섹션(17a, 17b, 17c)으로 분할되며, 상기 로드 수용 수단(14)이 리프팅된 상태에서는 상기 종방향 빔(17)의 상부 섹션(17b, 17c)이 접혀질 수 있는 방식으로 그리고 상기 로드 수용 수단(14)이 로워링된 상태에서는 상기 종방향 빔(17)의 상부 섹션(17b, 17c)이 펼쳐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섹션이 접혀질 수 있게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S)에 횡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17b, 17c)의 접혀짐 작동 및 펼쳐짐 작동을 위하여, 상기 상부 섹션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5)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8)을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혀짐 작동 및 펼쳐짐 작동을 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28)에서 맞물리는 개개의 지지-동반 요소(26)가 상기 로드 수용 수단(14)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상부 섹션(17b, 17c)의 단부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28)은 필수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요소(15)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고 직선인 섹션(28a)을 포함하고 그리고 필수적으로 상기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S)에 횡으로 정렬되는 또 다른 직선 섹션(28c)으로 이어지는 인접 곡선 섹션(28b)을 포함하여 상기 로드 수용 수단(14)의 리프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섹션(17b, 17c)이 거의 수평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동방 요소(26)는 상기 가이드 레일(28)에 맞물리는 롤러(28)를 구비하는 핀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고 이격된 두 개의 종방향 빔(17)으로 그 하부 섹션(17a)이 크로스 빔(2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종방향 빔이 제공되는 리프팅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17b 및 17c)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에 인접하게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28)의 거의 수평으로 정렬된 섹션(28c)과 상기 상부 섹션(17b, 17c)이 상기 이동 방향(F)에 횡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종방향 빔(17)이 상이한 횡 평면에서 이동 방향(F)으로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18)용 수용 수단(23)은 상기 종방향 빔(17)의 하부 섹션(17a)의 각각의 하부 단부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수용 수단(23), 각각의 경우에 상기 종방향 빔(17)의 하부 섹션(17a)과 상기 하부 섹션의 상부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크로스 빔(22)이 역 U 형상 로드 수용 수단(1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15)는 바람직하게는 약 230° 내지 310°의 영역에서 상기 종방향 빔(17) 주변을 부분적으로 잡고 원주 간격(32)을 보유하며, 그리고 상기 크로스 빔(22)이 상기 가이드 요소(15)의 원주 간격을 거쳐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기어(19)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5)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트랙션 수단(20)을 통하여 상기 크로스 빔(2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15)가 필수적으로는 상기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S)에 횡으로 정렬되는 축(3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가이드 롤러(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29)가 편심 축(30)을 통하여 상기 종방향 빔(17)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종방향 빔(17)은 세 개의 섹션(17a, 17b, 17c)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17a, 17b, 17c)이 상기 리프팅 및 로워링 방향(S)에 횡으로 정렬된 피벗 축(34)을 구비하는 조인트(24, 2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빔(17)이 원형 튜브식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빔(17)은 단면이 다면인 튜브식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5)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레일(3) 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레일 차량(2)의 부분이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5) 상에 배치되고 수직 축(10)에 대하여 피벗될 수 있는 주행-기어 메카니즘(6a, 6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이 지지 레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KR1020027006610A 1999-11-24 2000-11-09 로드용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리프팅 장치 KR100800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7468.5 1999-11-24
DE19957468A DE19957468A1 (de) 1999-11-24 1999-11-24 Hebevorrichtung mit einer Führung für Las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305A true KR20020062305A (ko) 2002-07-25
KR100800180B1 KR100800180B1 (ko) 2008-02-01

Family

ID=793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610A KR100800180B1 (ko) 1999-11-24 2000-11-09 로드용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128226B2 (ko)
EP (1) EP1240071B1 (ko)
KR (1) KR100800180B1 (ko)
AT (1) ATE252012T1 (ko)
AU (1) AU2349201A (ko)
BR (1) BR0015792A (ko)
DE (2) DE19957468A1 (ko)
ES (1) ES2208456T3 (ko)
MX (1) MXPA02005167A (ko)
WO (1) WO2001038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4932A1 (de) * 2001-07-18 2003-02-06 Apl Weis Gmbh Vorrichtung zum Anheben eines havarierten oder nicht ordnungsgemäß abgestellten Fahrzeuges
EP1378480A1 (de) * 2002-07-03 2004-01-07 TMS Produktionssysteme GmbH Transportfahrzeug zum Transport von Bauteilen
EP1408000A3 (de) * 2002-07-03 2004-11-03 TMS Produktionssysteme GmbH Hängebahnwagen
DE10257108B4 (de) * 2002-12-05 2008-05-21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Fahrbare Hubvorrichtung
US20060056951A1 (en) * 2004-09-15 2006-03-16 Jeffrey Todd Williamson Material handling system
DE602005003920T2 (de) * 2005-03-22 2008-04-30 Rofa Rosenheimer Förderanlagen GmbH Hebevorrichtung und diese enthaltender Hebeträger
JP4822734B2 (ja) * 2005-04-12 2011-11-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フター装置
CN100400408C (zh) * 2006-04-10 2008-07-09 江苏天奇物流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发动机自动旋转式吊具
US9228451B2 (en) 2011-05-03 2016-01-05 Pratt & Whitney Canada Corp. Gas turbine engine module adapter to a carrier
CN102765670B (zh) * 2012-07-17 2014-03-05 衢州市依科达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组合型检修搬运车
CN102795533B (zh) * 2012-08-29 2014-10-15 常州市茂源科技有限公司 加气混凝土吊具
DE202013104354U1 (de) 2013-09-24 2013-10-10 Torsten Hösker Überflurfördereinrichtung zur Lagerung an der Decke einer Montageanlage
DE202013104353U1 (de) 2013-09-24 2013-10-09 Torsten Hösker Überflurfördereinrichtung zur Lagerung an der Decke einer Montageanlage
CN103538648A (zh) * 2013-11-06 2014-01-29 奇瑞万达贵州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身与底盘的组装方法及组装吊具
DE102016001695B4 (de) 2016-02-13 2018-06-07 CEMTEC Cement and Mining Technology GmbH Hubvorrichtung
DE202016000961U1 (de) 2016-02-13 2016-04-19 CEMTEC Cement and Mining Technology GmbH Hubvorrichtung
DE102018100776A1 (de) * 2018-01-15 2019-07-18 Dürr Systems Ag Hubsystem, Hängebahn mit einem Hubsystem sowie Fertigungs- und/oder Montageanlage mit einer Hängebahn
CN112572213B (zh) * 2019-09-27 2022-09-09 许继电气股份有限公司 车辆充电装置的升降机构
CN112850457B (zh) * 2020-12-30 2023-11-28 芜湖中瑞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柔性保护吊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51858A (en) 1946-05-25 1951-04-11 Ulvsunda Sagverks Aktiebolag Arrangement in trolleys with hanging load
GB923442A (en) * 1959-02-27 1963-04-10 Rolls Roy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ndling apparatus
CH433645A (it) * 1966-05-27 1967-04-15 Bottinelli Erminio Braccio portante di lunghezza variabile e relativo supporto, segnatamente per grues
US3580804A (en) * 1969-03-07 1971-05-25 Atomic Energy Commission Lifting mechanism and refueling machine
SU806587A1 (ru) 1979-05-30 1981-02-23 Филиал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Проектно-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го Института"Союзпроммеханизация" Кран дл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хОпЕРАций HA пОдВЕСНОМ КОНВЕйЕРЕ
US4360110A (en) * 1980-08-18 1982-11-23 Amca International Corporation Positive grip lifting mechanism
SU988747A1 (ru) 1981-04-06 1983-01-15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рыбопромыслового флота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меньшени раскачивани грузозахватного органа с грузом,подвешенного на грузовой тележке
DE3414701A1 (de) * 1984-04-16 1985-10-24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Positioniereinrichtung mit teleskopartig ausfahrbarem mast
DE4219370A1 (de) * 1992-06-13 1993-12-16 Krupp Industrietech Hubeinrichtung für Lasten
AT403259B (de) * 1993-08-09 1997-12-29 Vaillant Gmbh Wärmetauscher
DE9408846U1 (de) * 1994-05-30 1994-09-01 Ehrenleitner Franz Tragvorrichtung
DE4326563A1 (de) * 1993-08-07 1995-02-09 Rainer F Tracksdorf Fördereinrichtung für Fahrzeugkarosser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2005167A (es) 2002-11-07
EP1240071B1 (de) 2003-10-15
US7128226B2 (en) 2006-10-31
US20050186058A1 (en) 2005-08-25
DE50004109D1 (de) 2003-11-20
EP1240071A1 (de) 2002-09-18
WO2001038162A1 (de) 2001-05-31
KR100800180B1 (ko) 2008-02-01
BR0015792A (pt) 2002-07-09
DE19957468A1 (de) 2001-06-13
ATE252012T1 (de) 2003-11-15
AU2349201A (en) 2001-06-04
ES2208456T3 (es)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226B2 (en) Lifting device with a guide device for loads
US7866445B2 (en) Lift machine
CN102991978B (zh) 自行小车系统
US9944336B2 (en) Part installation machine
US6712230B2 (en) Perfected device to transport vehicles in assembly lines
CN210064259U (zh) 一种涂装生产线地面台车输送系统
CN112177401A (zh) 一种新型立体车库
US20040037687A1 (en) Transport system for the transport of components
CN210617950U (zh) 一种平移卸载系统
CN220826933U (zh) 一种集装箱底横梁进料小车
JP2831032B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装置
JPH03178859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における被搬送物の姿勢制御装置
JP4450200B2 (ja) 昇降機能付き搬送台車
JP2580328B2 (ja) 昇降作業台付き搬送装置
FI85570C (fi) Taket i en jaernvaegsvagn.
CN220562610U (zh) 一种平板车及具有其的搬运装置
CN220218525U (zh) 换电机器人
CN113942597B (zh) 一种用于新能源汽车生产的装配设备
CN220744533U (zh) 一种向高工位输送物料的装置
CN220562620U (zh) 一种车载货物装卸系统
CN219259460U (zh) 一种双机独立顶升伸缩平台机构
CN211643907U (zh) 一种平移式驮背车装卸车的站场设备系统
JPH03178860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における被搬送物の姿勢制御装置
CN210973746U (zh) 搬运机器人
JP2819945B2 (ja) ハンガー使用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