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052A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052A
KR20020057052A KR1020000087289A KR20000087289A KR20020057052A KR 20020057052 A KR20020057052 A KR 20020057052A KR 1020000087289 A KR1020000087289 A KR 1020000087289A KR 20000087289 A KR20000087289 A KR 20000087289A KR 20020057052 A KR20020057052 A KR 20020057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pump
level
unit
voltage
semiconducto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154B1 (ko
Inventor
김선민
박종훈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8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154B1/ko
Priority to US10/028,686 priority patent/US6765428B2/en
Publication of KR2002005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H02M3/077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with parallel connected charge pump s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am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파워 소모량에 따라 동작되는 챠지 펌프의 수를 가변시켜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로서, 복수의 단위 차지펌프로 구성되어 펌핑동작을 수행하는 차지펌프부와; 승압전압의 레벨을 다 단계로 감지하여, 디바이스의 파워소모량에 따라 산기 복수의 단위 차지펌프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멀티레벨 감지부와; 멀티레벨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와; 복수의 단위 차지펌프로 구성되어 펌핑동작을 수행하는 차지펌프부와; 오실레이터의 펄스신호와 멀티레벨 감지부에서 출력된 레벨감지 신호를 연산하여 복수의 단위 차지펌프로 출력하는 논리연산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CHARGE PUMP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승압전압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지 펌프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의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펌프 회로는 승압전압(VPP)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감지부(10)와, 레벨감지부(10)에서 출력된 레벨 감지신호(DET)에 따라 펄스신호(PUL)를 발생키는 오실레이터(20)와, 오실레이터(20)에서 출력된 펄스신호(PUL)에 따라 펌핑동작을 수행하여 승압전압(Vpp)을 출력하는 차지 펌프부(30)로 구성된다. 이때, 차지펌프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차지펌프(30-1∼30-n)들로 구성된다.
레벨 감지부(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압전압(VPP)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는 차동 증폭기로 구성되며, NMOS트랜지스터(NM3)의 게이트에는 펌핑 인에이블신호(PUMP_ON)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펌프 회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펌핑 인에이블신호(PUMP_ON)가 하이상태가 되어, 차지펌프회로가 동작되면 먼저 레벨감지부(10)는 VPP레벨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VPP의 레벨을 감지한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VREF의 레벨이 VPP보다 크면 레벨감지부(10)는인버터(INV)를 통하여 하이상태의 레벨 감지신호(DET)를 출력하고, VPP의 레벨이 VREF보다 크면 로우상태의 레벨 감지신호(DET)를 출력한다.
따라서, 오실레이터(20)는 레벨감지부(10)에서 출력된 레벨감지신호(DET)에 따라 동작되어, 차지펌프부(30)의 단위 차지펌프(30-1∼30-n)들을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즉, 레벨 감지부(10)에서 출력된 레벨 감지신호(DET)가 하이상태이면, 차지펌프부(30)의 단위 차지펌프(30-1∼30-n)들을 모두 동작시켜 VPP레벨을 증가시키고, 레벨 감지신호(DET)가 로우상태이면 차지펌프부(30)의 단위 차지펌프(30-1∼30-n)들을 모두 정지시켜 VPP레벨을 감소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차지 펌프회로는 디바이스가 저속동작(적은 파워소모) 또는 고속동작(많은 파워소모)에 관계없이 복수의 단위 차지펌프들을 모두 동작시켜 펌핑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적은 파워를 소모할 경우에도 단위 차지펌프들이 필요이상으로 동작되어 파워를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의 파워소모량에 따라 복수의 단위 차지펌프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는 디바이스에 전류 소모량에 따라 복수의 단위 챠지 펌프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유지하는데, 스텐바이시에는 한 개의 단위 차지펌프만을 구동시키고, 로우파워 소모시에는 두 개의 단위 차지펌프를 구동시키며, 하이 파워소모시에는 모든 단위 차지펌프들을 구동시킨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는 복수의 차지펌프로 구성되어 펌핑동작을 수행하는 차지펌프부와; 디바이스의 파워소모량에 따라 복수의 단위 차지펌프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다 단계로 감지하는 멀티레벨 감지부와; 멀티레벨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와; 오실레이터의 펄스신호와 멀티레벨 감지부의 레벨감지 신호를 연산하여 차지펌프부로 출력하는 논리연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멀티레벨 감지부는 승압전압을 복수의 전압레벨로 분배하는 전압 분배기와; 전압분배기에서 출력된 전압레벨들과 승압전압을 각각 비교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다단계로 감지하는 복수의 레벨감지기로 구성된다.
도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펌프회로의 블록도.
도2는 도 1에서 레벨감지부의 상세 회로구성도.
도3는 본 발명의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펌프회로의 블록도.
도4는 도 3에서 멀티레벨 감지부의 상세 회로구성도.
도5는 도 3에서 디바이스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단위 차지펌프를 나타내기 위한 각 부의 상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부호설명*****
100 : 멀티레벨 감지부100-1~100-n : 레벨감지기
101 : 전압분배기200 : 오실레이터
300 : 논리연산부400 : 차지펌프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펌프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펌프회로는 승압전압(VPP)의 레벨을 다단계로 감지하는 멀티레벨 감지부와(100); 멀티 레벨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제1레벨 감지신호(DET1)에 따라 펄스신호(PUL)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200)와, 오실레이터(200)의 펄스신호와 멀티레벨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제2-제n레벨 감지신호(DET2-DETn)들을 낸딩하여 차지펌프부(400)를 구동하는 논리연산부(300)로 구성된다. 이때, 차지펌프부(400)의 제1단위 차지펌프(40-1)는 펌프동작이 개시되면 항상 동작하고, 제2-제n 단위차지펌프(40-2∼40-n)들은 디바이스의 파워소모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멀티 레벨 감지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전압(VDD)을 복수의 전압레벨(DIV1∼DIVn)로 분배하는 전압 분배기(101)와, 상기 분배된 복수의 전압레벨(DIV1∼DIVn)과 승압전압(VPP)을 비교하여 승압전압(VPP)의 레벨을 감지하는 복수의 레벨감지기(100-1∼100-n)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벨 감지기(100-1∼100-n)는 공정변화나 온도에 덜 민감하도록 차동 증폭기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펌프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5의 (A),(B)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바이스가 파워-온되어 펌핑 인에이블신호(PUMP_ON)가 하이상태가 되면 멀티 레벨감지부(10)는 VPP레벨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제1-제n레벨 감지신호(DET1∼DETn)를 출력한다. 그런데, 동작초기에 차지펌프부(400)에서 출력되는 VPP의 레벨은 로우상태(VSS)이기 때문에 제1-제n레벨 감지신호(DET1-DETn)는 모두 하이상태가 된다.
따라서, 오실레이터에서 출력된 펄스신호(PUL)가 논리연산부(300)을 통하여 차지펌프부(400)로 인가되어, 도 5의 (C)와 같이 모든 제1-제n 단위차지펌프(40-1∼40-n)들을 동작시킴으로써 VPP레벨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VPP의 레벨이 상승하면 제1∼제n레벨 감지신호(DET1∼DETn)는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바뀌기 때문에 동작되는 단위 차지펌프(40-1∼40-n)들의 수가 줄어들게 되며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먼저, 스탠바이 상태에서는 제1단위 차지펌프(40-1)만을 동작시켜 승압전압(Vpp)레벨을 유지한다. 이것은 도 4의 전압 분배기(101)에서 분배전압(DIV1)의 레벨(DIV1=VPP*R0/R0+R1+..+Rn)을 기준전압(VREF)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가능하다.
액티브상태에서 디바이스(Device)가 파워를 소모하기 시작하면(저속동작) 승압전압(VPP)의 레벨이 낮아지기 시작하고, 승압전압(VPP)의 레벨이 낮아지면 기준전압(VREFf)과 비교되는 분배전압(DIV1)의 레벨도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레벨감지기(100-2)에서 출력되는 제2레벨 감지 신호(DET2)가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로 천이하며 제2단위 차지펌프(40-2)가 동작된다.
이후, 액티브상태에서 파워소모가 아주 많은 경우(고속동작)에는 승압전압(VPP)의 레벨이 아주 낮아져 레벨감지기(100-n)에서 출력되는 제n레벨 감지 신호(DETn)도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로 천이한다. 따라서, 멀티레벨 감지부(1000에서 출력되는 제1-제n레벨 감지신호(DET1∼DETn)가 모두 하이상태가 되어 모든 단위 차지펌프(40-1∼40-n)들을 동작시키기 된다.
이와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지펌프회로는 디바이스에 전류 소모량에 따라 복수의 단위 챠지 펌프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승압전압(VPP)의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즉, 스텐바이시에는 한 개의 단위 차지펌프(40-1)만을 구동시키고, 로우파워 소모시에는 두 개의 단위 차지펌프(40-1,40-2)를 구동시키며, 하이 파워소모시에는 모든 단위 차지펌프(40-1∼40-n)들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선행된 실시예들은 단지 한 예로서 청구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여러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들이 통상의 지식을 갖춘자에게 자명한 것이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지펌프회로는 승압전압 레벨을 다단계로 감지하여 디바이스의 파워 소모량 변화에 따라 동작되는 단위 차지펌프의 수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워 소모량 변화에 따라 단위 차지펌프의 수를 가변시킴으로써 각 단위 차지펌프의 펌핑 캐패시더의 크기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칭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제1-제n단위 차지펌프로 구성된 차지펌프부와;
    디바이스의 파워소모량에 따라 상기 단위 차지펌프들을 가변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다 단계로 감지하는 멀티레벨 감지부와;
    멀티레벨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와;
    오실레이터의 펄스신호와 멀티레벨 감지부에서 출력된 레벨감지 신호를 연산하여 차지펌프부로 출력하는 논리연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 차지펌프는
    멀티레벨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항상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n단위 차지펌프들은
    파워가 온되거나 또는 액티브상태에서 파워소모가 많을 때 모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위 차지펌프는
    액티브상태에서 파워소모가 적을 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레벨 감지부는
    승압전압을 제1-제n전압레벨로 분배하는 전압 분배기와;
    전압분배기에서 분배된 제1-제n전압레벨과 승압전압을 각각 비교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감지하는 제1-제n레벨감지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n레벨 감지기는
    차동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레벨은
    기준전압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8. 제1-제n단위 차지펌프로 구성된 차지펌프부와;
    디바이스의 파워소모량에 따라 단위 차지펌프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다 단계로 감지하는 멀티레벨 감지부와
    멀티레벨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와;
    오실레이터의 펄스신호와 멀티레벨 감지부의 레벨감지 신호를 연산하여 제1-제n단위 차지펌프로 출력하는 논리연산부로 구성되며, 상기 멀티레벨 감지부는
    승압전압을 제1-제n전압레벨로 분배하는 전압 분배기와;
    전압분배기에서 출력된 제1-제n전압레벨과 승압전압을 각각 비교하여 복수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감지하는 제1-제n레벨감지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n레벨 감지기는
    차동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레벨은
    기준전압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 차지펌프는
    멀티레벨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항상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n단위 차지펌프들은
    파워가 온되거나 또는 액티브상태에서 파워소모가 많을 때 모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위 차지펌프는
    액티브상태에서 파워소모가 적을 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KR10-2000-0087289A 2000-12-30 2000-12-30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KR10039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289A KR100390154B1 (ko) 2000-12-30 2000-12-30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US10/028,686 US6765428B2 (en) 2000-12-30 2001-12-28 Charge pump device for semiconductor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289A KR100390154B1 (ko) 2000-12-30 2000-12-30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052A true KR20020057052A (ko) 2002-07-11
KR100390154B1 KR100390154B1 (ko) 2003-07-04

Family

ID=1970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289A KR100390154B1 (ko) 2000-12-30 2000-12-30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65428B2 (ko)
KR (1) KR1003901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138B1 (ko) * 2002-11-28 2005-10-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펌핑전압 발생장치
KR100721899B1 (ko) * 2006-01-11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승압 전압 발생회로 및 승압 전압 발생방법
KR100735674B1 (ko) * 2005-08-04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승압 전압 발생장치 및 그에 따른 펌핑비율 제어방법
KR100816168B1 (ko) * 2006-09-29 2008-03-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고전압 발생 장치
KR20140075337A (ko) * 2012-12-11 2014-06-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압 생성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3945B2 (en) * 2002-06-17 2006-04-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jitter reduction in phase locked loops
KR100448246B1 (ko) * 2002-09-09 2004-09-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전압 제어 장치
JP2004147458A (ja) * 2002-10-25 2004-05-20 Elpida Memory Inc 昇圧回路
KR20040047173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노이즈를 감소시킨 전압 발생장치
KR100542708B1 (ko) * 2003-05-28 2006-01-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전압 발생기
JP4032066B2 (ja) 2003-06-27 2008-01-16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ITRM20030512A1 (it) * 2003-11-05 2005-05-06 St Microelectronics Srl Circuito a pompa di carica a basso tempo di assestamento
US8350616B1 (en) * 2003-11-12 2013-01-08 Intellectual Ventures Funding Llc Variable output charge pump circuit
KR100639208B1 (ko) * 2004-11-15 2006-10-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용 내부전압 발생기
US7898319B2 (en) * 2004-12-06 2011-03-01 Etron Technology, Inc. Efficiency improvement in charge pump system for low power application
KR100623598B1 (ko) * 2004-12-28 2006-09-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전원전압 발생장치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KR100605591B1 (ko) * 2005-01-31 2006-07-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승압전압 발생기
KR100713083B1 (ko) * 2005-03-31 2007-05-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원 생성장치
KR100748555B1 (ko) * 2005-06-28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판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
DE102005030372A1 (de) * 2005-06-29 2007-01-04 Infineon Technologi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gelung der Schwellspannung eines Transistors, insbesondere eines Transistors eines Leseverstärkers eines Halbleiter- Speicherbauelements
US7224207B2 (en) * 2005-09-20 2007-05-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Charge pump system with smooth voltage output
KR100763355B1 (ko) * 2006-03-22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넓은 범위 전원전압 하에서도 안정적인 레벨의 승압전압을발생하는 승압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US7626865B2 (en) * 2006-06-13 2009-12-01 Micron Technology, Inc. Charge pump operation in a non-volatile memory device
JP2008005374A (ja) * 2006-06-26 2008-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ストリーム対応マルチプレクサ及びデマルチプレクサシステム
US7443230B2 (en) * 2006-08-10 2008-10-28 Elite Semiconductor Memory Technology Inc. Charge pump circuit
KR100818710B1 (ko) * 2006-11-21 2008-04-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압펌핑장치
JP2009003991A (ja) * 2007-06-19 2009-01-0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メモリテスト装置
KR101484557B1 (ko) * 2009-01-07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발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US8315117B2 (en) * 2009-03-31 2012-11-2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Integrated circuit memory having assisted access and method therefor
US8379466B2 (en) * 2009-03-31 2013-02-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an embedded memory and method for testing the memory
US8634263B2 (en) * 2009-04-30 2014-01-2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memory repair information storage and method therefor
US8013666B1 (en) * 2009-07-31 2011-09-06 Altera Corporation Low ripple charge pump
TWI423572B (zh) * 2010-02-03 2014-01-11 Univ Nat Chiao Tung 高速升壓之充電泵電路
US9423814B2 (en) * 2010-03-16 2016-08-2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Apparatus of supplying power while maintaining its output power signal and method therefor
KR20130043476A (ko) * 2011-10-20 2013-04-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TWI481163B (zh) * 2012-02-24 2015-04-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充電幫浦裝置及其驅動能力調整方法
JP5915372B2 (ja) * 2012-05-21 2016-05-11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電圧生成回路
US9356506B1 (en) * 2015-04-01 2016-05-31 Ememory Technology Inc. Charge pump regu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65833B2 (en) 2016-01-22 2019-07-30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signal lines for multi-level communication architectures
US10637351B2 (en) * 2016-07-25 2020-04-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Regulated voltage systems and methods using intrinsically varied process characteristics
US20180315458A1 (en) * 2017-04-28 2018-11-01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Voltag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283187B2 (en) * 2017-07-19 2019-05-07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ditional drive to multilevel signals representing data
CN110168467A (zh) * 2019-04-10 2019-08-23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可重新配置的电压调节器
KR102450890B1 (ko) * 2020-09-11 2022-10-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휘발성 메모리 회로
US11916476B2 (en) * 2022-05-11 2024-02-27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Voltage generator and voltage generating method thereof
US11936293B2 (en) * 2022-06-17 2024-03-19 Infineon Technologies Ag Regulated charge pump with adaptive drive strengt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370B1 (ko) * 1995-12-30 1999-03-30 김광호 다단펌핑 머지드 펌핑전압 발생회로
TW423162B (en) * 1997-02-27 2001-02-21 Toshiba Corp Power voltage supply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including the same
US6208542B1 (en) * 1998-06-30 2001-03-27 Sandisk Corporation Techniques for storing digital data in an analog or multilevel memor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138B1 (ko) * 2002-11-28 2005-10-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펌핑전압 발생장치
KR100735674B1 (ko) * 2005-08-04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승압 전압 발생장치 및 그에 따른 펌핑비율 제어방법
KR100721899B1 (ko) * 2006-01-11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승압 전압 발생회로 및 승압 전압 발생방법
KR100816168B1 (ko) * 2006-09-29 2008-03-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고전압 발생 장치
US7499346B2 (en) 2006-09-29 2009-03-03 Hynix Semiconductor Inc. High voltage generating device of semiconductor device
US7623394B2 (en) 2006-09-29 2009-11-24 Hynix Semiconductor Inc. High voltage generating device of semiconductor device
KR20140075337A (ko) * 2012-12-11 2014-06-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압 생성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65428B2 (en) 2004-07-20
KR100390154B1 (ko) 2003-07-04
US20020084833A1 (en)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154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차지 펌프회로
US5396114A (en) Circuit for generating substrate voltage and pumped-up voltage with a single oscillator
KR960000837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471185B1 (ko) 내부 공급 전압의 파워-업 기울기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전압 변환기 구조
US7733162B2 (en) Plumping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5530640A (en) IC substrate and boosted voltage generation circuits
KR100386085B1 (ko) 고전압 발생회로
KR19980077728A (ko) I/o전압 감지형 기판전압 발생회로
US7642837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nal voltage therein
KR0142967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기판 전압 제어회로
US7518433B2 (en) Voltage pumping device
KR100616496B1 (ko) 동작모드에 따라 파워라인 연결 방식을 달리한 반도체메모리소자의 파워공급 제어장치
KR100762241B1 (ko) 반도체 메모리의 승압 전압 발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97853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090039948A1 (en) Charge pump circuit and charge pumping method thereof
KR100480555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승압전압클램프회로및승압전압클램프방법
KR940003397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백바이어스 제너레이터
KR20100013873A (ko) 반도체장치의 고전압제어회로
KR100224670B1 (ko) 승압 전압 제어방법 및 승압 전압 검출기 회로
KR19990053727A (ko) 고전압 발생장치
KR100792440B1 (ko) 반도체 장치의 승압전압 검출회로
KR20040002132A (ko) 플래쉬 메모리 장치
KR20040095893A (ko) 반도체 메모리의 고전압 발생장치
JP3089268B2 (ja) 半導体装置
KR2000000190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승압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