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819A - 정보 중개 시스템과 그것에 이용되는 정보 중개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중개 시스템과 그것에 이용되는 정보 중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819A
KR20020026819A KR1020010059693A KR20010059693A KR20020026819A KR 20020026819 A KR20020026819 A KR 20020026819A KR 1020010059693 A KR1020010059693 A KR 1020010059693A KR 20010059693 A KR20010059693 A KR 20010059693A KR 20020026819 A KR20020026819 A KR 20020026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unction
specific
user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3374B1 (ko
Inventor
시미즈아츠시
마스다키요시
야마토마사키
안도타니치
오야기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타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테이시 요시오
Publication of KR2002002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4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the source of the transmitted information selects which information to transmit to each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1Adding application-functional data or data for application control, e.g. addin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4Enhancement of application control based on intercepted appli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제공자로부터 보내진 정보중에서 목적 지정에 합치되는 정보만을 정보 이익자에게 중개, 배송하고, 또한 요금부과를 행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고, 지정 목적마다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를 재조합하면서 그 때마다, 정보 제공료와 정보 이용 대가인 플러스 요금부과와 마이너스 요금부과를 행하고 단말마다 누계처리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과, 해당 네트워크를 경유한 정보 중개 기능을 구비한 정보 중개자를 갖는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중개 기능을,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복수의 단말군을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기능과, 이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 기능으로서 구성한다.

Description

정보 중개 시스템과 그것에 이용되는 정보 중개방법 {System for intermediary of information and method for intermediary of informatio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다수의 정보 제공 단말과, 그 출력으로부터 일정한 유용 정보를 꺼내는 서버를 갖는 정보 중개자, 또한 그 유용 정보의 정보 이익자인 3자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정보 제공자/정보 이용자 사이에서 유용 정보를 서버에 의해 중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정보 중개 시스템은, 머신과 머신 사이에서, 서로 정보 부가가치의 교환을 중개하고, 그 중개 서비스에 대하여 요금부과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급속한 정보 네트워크의 발달에 따라, 많은 송신 기능을 가진 단말이 정보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 네트워크를 통하여 많은 단말에서 특정정보를 얻는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는, 정보 이용자가 정보 중개자에 대하여 미리 원하는 정보의 카테고리 또는 종류를 등록해 두고, 정보 제공자로부터 보내여진 다수의 정보로부터, 그 등록된 정보의 카테고리 또는 종류와 일치하는 정보만을 정보 중개자가 정보 이용자에게 보내는 방법이 채용하고 있다. 즉 정보 이용자가, 정보 중개자에게 정보의 중개를 위해 정보의 카테고리 또는 종류를 등록함으로써 정보 중개가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형의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측과 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측의 역할 분담이 고정되어 있어, 정보 중개자에게 등록된 정보의 카테고리 또는 종류에 따라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를 자유롭게 정보 중개자에 있어서 재조합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정보의 카테고리 또는 종류마다 정보 중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액의 개발 비용을 요하고, 또한 정보 중개를 위한 요금부과도 고정적으로 밖에 행하여지지 않는 불합리함을 갖고 있었다.
도 32에, 금후 점점더 많은 정보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의 문제점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중의 「네트워크 단말」(3210)이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종래의 단말로서, 대표적인 것으로서 PC나 휴대통신기기(휴대전화나 모바일통신 단말 등)가 있다. 이들은 인간이 직접 조작하는 것으로서, 금후의 네트 사회일 망정 그 총수는 인구의 몇배 정도에 불과하다.
한편 「네트워크 센싱기기」(3201)란, 센싱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기기인 것이다. 예를 들면, 이 범주에 들어가는 「설비정보 센싱 기기」(3202)의 「설비」라 함은 「어떤 목적 달성을 위해 고정된(비치된) 장치」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나 공장의 장치나 도로나 다리 등의 옥외시설 등인 것이고, 「설비정보 센싱 기기」란 그들 「설비」에 관한 센서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기기인 것이다. 또한 이 「설비정보 센싱 기기」는 경우에 따라서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설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주택정보 센싱 기기」(3203)란, 「주택」에 관한 센서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기기인 것이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소위 정보 가전(텔레비전, 비디오, 냉장고, 에어컨 등)이나 네트워크 대응형의 주택 설비(도어, 창문, 환기 선(扇), 가스, 수도 등)가 포함된다. 또한 「차량적재 정보 센싱 기기」(3204)란, 「차량적재」에 관한 센서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기기인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차량」 그 자체이다. 즉 기껏 인구의 수배 정도의 대수 밖에 이용되지 않는 네트워크 단말(3210)에 비한여, 많은 네트워크 센싱기기(3201)가 금후 점점더 설치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인구와는 관계 없이 각종의 시스템, 기계, 장치 내에 무한히 설치 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 이미, 어떤 시스템 내에서 대량으로 사용하는 각종 센서나 컴포넌트의 모두에 관해 개개에 통신 수단을 갖게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의 각종 센서에 통신 수단을 부가하고, 그 상태 감시를 행하기 위해서는, 이들 센서류에 통신 수단을 부가하고, 이들의 감시신호를 전용선이나 PHS에 의해, 그것을 관리 센터에 보내고 감시하는 것은 이미 가능하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현재의 네트워크 단말(3210)이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로부터, 금후 각종의 센싱 기기(3201)가 접속되는 네트워크로 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수가 네트워크 센싱기기(3201)에 속하는 기기의 수와, 네트워크 단말(3210)에 접속되는 기기의 수로가 각별히 다른 점이다. 즉 「네트워크 단말」은 많더라도(사람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사람에 대하여 각각 여러개의 레벨(인구의 몇배)인데 대하여, 「네트워크 센싱기기」는 사람이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존재하는 단위가 다를(예측으로서는 적어도 2자리수 이상)수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센서 개개가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사실상 그 수에 제한은 없어진다.
따라서 가까운 장래, 방대한 이들 네트워크 센싱기기(3201)가 사용되면, 그들로부터의 정보를 정리 활용하기 위한 「트래픽 컨트롤」이 필요하게 되고, 그 구체적 해결책이 본 발명의 주안인 「정보 중개」이다. 또한 이들의 네트워크 센싱기기를 포함하는 정보기기로부터 얻어진 각종의 정보에 대한 대가의 지불 처리도, 상술한 바와 같이 금후 이들의 정보기기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서 복잡, 다방면에 걸칠 것으로 생각된다. 즉 일의적으로 어떤 단말이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단말이 정보를 이용하는 종래의 관계가 아니라, 금후는 동일한 단말이 정보 제공자로도 되고, 또한 정보 이용자로 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대가의 지불 처리에 관해서도 트래픽 컨트롤이 필요하게된다. 그 구체적 해결책이 본 발명의 또하나의 주안인 「대가 중개」이다.
또한 「가치정보/무가치정보의 혼재」(0503)란, 동일 상대에 (상대가 인정하는) 가치를 판단하지 않는채로 제공하여 버리는 것과, 동일한 정보라도 상대가 다르면 가치가 다름(가치의 증감)을, 정보의 제공자측에서 모르고 있는 것을 말한다, 「대가 분배 룰의 미확립」(0504)이란, 상대가 인정하는 가치에 따라 분배되야하는 대가가 상기한 문제점에 의해, 가치 자체가 파악할 수 없게 되어 있고, 따라서, 적정한 분배(정보 제공자에의 대가의 환원)를 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좋다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는 단순한 정보 전달 수단(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활용할까의 사상이나 개념이 본 발명에서는 중요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도 3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의 네트워크 단말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많은 네트워크 센싱기기가 금후 출현하는 사회에서는 그들의 네트워크 센싱기기로부터의 정보를 정리하고,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 「트래픽 컨트롤」이 필요하게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은, 정보의 트래픽 컨트롤을 행하면서, 그 정보에 부가가치를 부여하고, 이 부가가치에 대하여 요금부과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은 한편으론 정보 제공자와 정보 중개자가 보유하는 서버를 인터넷 등의 정보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다른 한편으론 정보 중개자의 서버와 정보 이익자를 같이 정보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그리고 시스템의 기동자(起動者)에 의해 일정한 목적 지정을 중개자의 서버에 입력하고, 정보 제공자로부터 보내여진 정보중에서 목적 지정에 합치한 정보만을 정보 이익자에게 중개, 배송함으로써, 이 정보 제공자, 정보 이용자를 그 때마다 플렉시블하게 재조합하고, 상술한 트래픽 컨트롤을 행하는 정보 중개를 위한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때마다,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의 조합이 목적 지정에 의해 교체하기 때문에, 하나의 단말이 어느때에는 정보 제공자로서의 정보 대가의 수취측이 되고, 또한 다른 목적 지정에서는 정보 이용자로서 정보 이용료의 지불 의무가 생긴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정보 제공 대가와 정보 이용 대가의 플러스 요금부과와 마이너스 요금부과의 누계처리를 행함으로써, 각 단말에 대하여 대가 중개를 행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은,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과, 해당 네트워크를 경유한 정보 중개 기능을 구비한 정보 중개자를 갖는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정보 중개 기능을,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해당 복수의 단말군을 해당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해당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기능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 기능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예를 들면 자동차 와이퍼의 가동 상황을 센싱정보로서 무선으로 출력 가능한 복수의 차량이 일정 지구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기로한다. 이 와이퍼의 가동 상황 센싱정보는, 그 일정 지구에서 현재 비가 내리고 있다는 정보와 등가이며, 따라서 정보 중개자인 일기정보 센터로 보내여진 센싱정보는 강우정보로서 서버 내에 축적되어 있다. 가령 어느 차량의 운전수가 그 일정 지구의 일기를 알기 위해, 예를 들면 인터넷 경유로 정보 중개자의 서버에 접속하였다고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의하면, 그 일정 지구의 일기를 알고 싶다는 목적을 기준으로 하여, 각 자동차측을 정보 제공자, 그리고 상기한 운전수를 정보 이익자로 식별한다.
이와 같이 목적 지정에 의해, 각각 다른 정보 가치를 판단하고, 후술하는 요금부과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요금부과란, 본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이용 요금을 징수하는 것 및 반대로 정보 제공료의 지불을 받는다 라는 양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특정정보가, 상기 정보 제공자로서 재조합된 특정 단말에서의 특정 상황을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얻어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한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차의 와이퍼가 현재 가동중인지의 여부 또는 다른 예에서는 도어 록이 록되어 있는지의 여부 등의 특정 상황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 제공자로서 재조합된 특정 단말에서의 특정 상황을 검지한 정보가, 센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하고, 특정 상황이란 와이퍼가 가동되고 있는지, 록이 결려 있는지의 센싱정보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한 정보 중개 기능이 또한 정보 가공 기능을 내장하고, 검지한 센싱정보를 지정 목적을 충족시키도록 이 정보 가공 기능으로 정보를 가공하고, 이 가공 후의 정보를 상기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정보 배신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한다. 즉 정보 이용자는 그 센싱정보를 그대로 입수하고 싶은 경우에도, 또는 지정 목적에 따라서는 이 정보 중개 시스템은, 내장하는 정보 가공 기능으로 그 센싱정보를 가공하고, 가공 후의 정보를 정보 이용자에게 배신한다. 예를 들면 공장 내에 복수의 화재 검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고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그 복수의 센서중에서 하나의 센서만으로부터 화재 발생의 검지신호를 네트워크 경유로 수취하였다고한다. 이 경우, 상기 정보 가공 기능은 이 경우는 화재 발생이라고는 즉시 판단하지 않고, 경비 회사에 이 하나의 센서를 체크하도록 지령이 나간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복수의 센서로부터 동시에 화재 발생의 감지신호를 수취한 경우는, 경비 회사에의 통보를하는 일 없이 직접 소방서에 화재 발생을 통지한다. 또한 이 경우, 정보 가공 기능에는 If-then 형식으로 정의된 판단 기능을 갖게 하거나, 또는 자기 학습 기능을 부가하여도 좋다.
본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또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지정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정보를 검색하여 입수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검지한 센싱정보와 해당 외부정보를 상기 지정 목적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정보 가공 기능으로 정보를 가공하고, 해당 가공 후의 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정보 배신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고있다. 즉 내부에 미리 데이터베이스로서 축적된 지식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외부의 기업정보 등을 인터넷 포탈사이트 경유 또는 직접 인터넷상의 기업의 홈페이지 등을 검색함으로써 얻어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한다. 예를 들면 센싱정보가 있는 지구에서의 특정 차량의 고장정보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GPS 등으로 그 지구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지구 내의 차량 수리회사의 홈페이지를 검색함으로써, 그 고장 차량에 그 차량 수리회사까지의 도정을 카 네비게이션 등으로 안내한다. 또한 이 홈페이지 등에의 액세스는, 인터넷 포탈사이트라 불리는 액세스 서포트를 위한 사이트 경유로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중개 기능이, 상기 특정정보를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축적정보로서 일단 축적하고, 해당 특정정보의 2차 이용자에 의한 목적 지정에 의해 다시 검색하는 검색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정보 배신 기능에 의해 해당 검색된 특정정보를 해당 2차 이용자에게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여기서 가공이란 복수의 정보로부터 목적 지정에 가능한 한 합치하도록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복수의 정보를 선별, 합체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부가가치란, 그 복수의 정보에 대하여 별도의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 중개 기능은 또한, 정보의 송수신에 앞서서, 상기 복수의 단말군이 미리 인증을 받은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처리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것은 정보 제공에 있어서는, 그 제공되는 정보의 진위를 검증하고, 진정한 단말로부터의 정보만을 중개하기 위해 인증처리된다. 또한 정보 제공에 있어서도, 진정한 정보 이용자에게만, 정보가 송신 되도록 미리 인증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인증처리 기능에 의해, 상기 단말군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를 해당 단말의 인증 데이터에 의해 식별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 중개 기능은,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을, 해당 정보 중개자가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단위인 복수의 조건으로 목적 변환처리를 행함으로써 변환 후 목적을 구하는 목적 변환처리 기능을 가지며, 해당 변환 후 목적에 의해 상기 특정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복수의 조건이란, 예를 들면 일본을 10km 사방으로 구분하는 지리적 조건, 지금, 주행중인 차량을 일정 대수 추출한다는 머신 조건, 차량의 와이퍼가 가동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제공정보 조건, 추출 모수(母數)에 대하여 일정 비율 가동되고 있으면, 비가 내리고 있다고 판단하는 판정 조건, 판단 결과를 맵화하는 가공 조건, 그리고 정보 가공이 완료하자마자, 즉시 송신한다는 출력 조건 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정보 중개자는 상기 복수의 단말군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중, 상기 지정 목적을 충족시키지 않는 정보는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로써 지정 목적마다 정보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정 목적에는, 상기 단말을 특정하는 지역 등의 계층 어드레스, 단말 종별의 기종 어드레스 및 센서 종별, 혹은 이벤트 종별에 따른 복수의 계층 레벨에 관한 한정정보를 가지며, 해당 한정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를 선택하는 동시에, 해당 단말을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익자로 식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말군과 상기 정보 중개자가, 단독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있어도 좋고, 정보 제공자 및 정보 이용자로서의 상기 불특정 다수의 단말군이, 각각 동일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 중개자와 접속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은,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갖는 불특정 다수의 단말군과, 해당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정보 중개를 행하는 정보 중개자를 구비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에 따라서, 정보 중개자에게 미리 내장된 정보 중개 소프트에 의해 해당 불특정 다수의 단말군으로부터 특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를 식별하고,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만을 해당 정보 이용자에게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동시에, 배신된 특정정보의 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 제공자에게는 정보 제공료를 지불, 해당 정보 이용자로부터는 정보 대가를 수취할 수 있는 요금부과 모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 경우,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되는 상기 지정 목적마다 정보 중개된 상기 특정정보의 가치에 의해, 상기 정보 제공자와 상기 정보 이용자를 반전시키고, 합쳐서 요금부과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상기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송신되는 특정정보를 상기 정보 중개자에 의해 가공하여 또는 부가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얻는 가치 판정처리 기능을 가지며, 해당 가공 또는 부가가치가 부여된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상기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게 배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여기서 반전이란 예를 들면 어느 시점까지는 정보 제공자이던 단말이, 지정 목적이 변함으로써 그 시점에서는 정보 이용자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또한 상기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마다 청구 대가를 누계하는 청구 대가 산출처리 기능, 정보 제공료를 지불하는 상기 정보 제공자를 추출하는 정보 제공자 추출처리 기능, 제공된 정보가 상기 배신된 특정정보에 공헌하였는지의 공헌 정도를 비율로 구하는 배분비율 산출처리 기능, 상기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마다 분배 대가를 누계하는 분배 대가 산출처리 기능, 상기 정보 중개자로부터 동일 단말에의 상기 정보 대가의 요금부과와 상기 정보 제공료의 지불을 상쇄하는 대가 누계처리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목적 지정에 따라 다른 요금부과 모델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고, 상기 요금부과 모델은, 정보의 가치에 따라 변동시키고, 또한 정보 제공자수 또는 정보 이용자수의 변동에 따라 변동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요금부과 모델은, 시스템 밖의 외부 사상의 변동 또는 출현에 따라 변동시키고, 또는 정보 이용자측의 이용 목적 또는 이용 빈도에 따라 변동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요금부과 모델은, 정보의 가공 레벨에 따라 변동시켜도 좋고, 정보 이용자의 매상, 이익 또는 이들의 신장율에 따라 변동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요금부과 모델을 변동시킴으로써 정보 가치에 합치한 대가 중개가 가능하게된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자에게는 정보 제공료를 지불 및 상기 정보 이용자에의 정보 대가의 청구는, 상기 각각의 단말에 마련된 기억매체에 기록하여도 좋으며, 기록매체란 예를 들면 IC카드 등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상기 정보 중개 기능에 의해, 상기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송신되는 정보가, 상기 정보 중개자로부터의 정보 제공 요구에 의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정보가 송신되는 요감시형이거나, 해당 정보 제공자의 자발적 행위에 의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정보가 송신되는 자립형이거나, 또는 해당 정보 제공자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의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정보가 송신되는 이벤트형 중 어느 하나의 정보 송신 형태가 상기 지정 목적에 의해 선택되고, 해당 정보 송신 형태에 따라 상기 특정정보가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정보 제공을 실제적인 상황하에서 행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과, 해당 네트워크를 경유한 정보 중개 기능을 구비한 정보 중개자를 갖는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정보 중개 기능을,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해당 복수의 단말군을 해당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해당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기능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 기능으로 구성하고, 또한 해당 정보 이용자는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 제공자로서의 상기 단말군에 대하여 소정의 보수처리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여기서 말하는 보수처리 기능이란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거스름돈이 떨어졌을 때에 거스름돈을 보급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해당 정보 이용자는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 제공자로서의 상기 단말군에 대하여, 해당 특정정보에 이상 검지정보 또는 고장 통지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 소정의 보안처리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여기서 말하는 보안처리 기능이란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에 이상한 진동이 가해진 경우에 경비 회사 등에 통지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이용되는 정보 중개방법을 또한 이하에 개시한다.
정보제공자, 정보 이용자, 정보 중개자 및 목적에 관한 전체적인 블록도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관해, 도 1부터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기술한 정보 제공자, 정보 이용자, 정보 중개자, 그리고 목적 지정에 관해 각각 블록화하고, 더욱 상세히 이하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즉 네트워크(0102)에 접속된 「장치 또는 기기」(0103 내지 0106)와, 그들 「장치 또는 기기」 간의 정보를 정보 중개자 서버(0101)를 통하여 정보 중개를 행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0001)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시하는 장치 또는 기기(0103 내지 0106) 내의 송수신 기능(방법)은 무선으로도 유선으로도 좋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면 그 종류나 조합은 묻지 않는다. 「장치 또는 기기」(0103 내지 0106)에는 네트워크(0102)를 통하여, 정보 중개자 서버(0101)에 대하여, 송수신 기능을 갖는 것(0103, 0104), 송신 기능만을 갖는 것(0105), 수신 기능만을 갖는 것(0106)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의 「정보 중개자 서버」(0101)의 역할은, 정보 중개자 서버에 주어진 목적으로 따라, 임의로 선택한 「장치 또는 기기」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임의로 선택한 「장치 또는 기기」에 (취득한 정보 중에서 목적에 따른 정보를 선별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다. 이 목적에 따른 정보의 교환을 「정보 중개」라고 정의하고, 정보 중개 기능을 갖는 자(도면 예에서는 정보 중개 서버)를 「정보 중개자」라고 정의한다.
도 2는, 상술한 「목적」의 하나(도면중의 목적 A(0201))에 주목한 경우의 정보 중개를 설명하는 시스템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장치, 기기」인 도면중의 점선 내의 「장치·기기」(0103 내지 0106)가 「목적 A」(0201)에 「정보 중개자 서버」(0202)가 관련됨으로써 관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점선 밖의 0202 및 0203은 「목적 A」에는 관여하지 않지만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단지 이들의 「장치·기기」도, 「목적 A」 이외의 「목적」에 관여하고 있는 것도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기기」가 관여하는 「목적」은 하나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목적」에 관여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점은, 복수의 「목적」에 관여하는 경우는, 동일한 「장치·기기」가 「정보 제공자」가 되는 경우도 「정보 이용자」가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목적 내에서도 경우에 따라, 동일한 「장치·기기」가 「정보 제공자」가되는 경우도 「정보 이용자」가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정보 제공자」가 되는지 「정보 이용자」가 되는지는, 다시 별도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를 이미지화 한 전체도를 도시하고, 특히 정보 제공자의 타입에 관해서의 설명도이다. 「정보 중개자」(0101)의 「정보 중개 기능」이란, 주어진 「목적」(0301)에 대하여(도면에 도시한 이미지가 되도록) 각각 「역할」을 정하는 것이다. 「목적」(0201)를 「정보 중개자 서버」(0101)에 준다것을 「목적 지정」라고 정의한다. 이 목적 지정은 보통, 특정한 정보를 얻고 싶은 정보 이용자(0307)에 의해 행하여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정보 이용자 이외의 제삼자에 의해 행하여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정보 중개자 서버(0101)에의 목적 지정은, 정보 이용자가 필요로하는 정보를 특정하는 다종다양, 또한 복수의 특정 목적을 정보 중개자 서버(0101)에 입력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정보 제공자」에는, 정보 중개자에서의 감시가 필요한 「요감시형 정보 제공자」(0303)와, 「정보 중개자」에의 송신 타이밍을 스스로가 관리하는 「자립형 정보 제공자」(0304)와 「이벤트형 정보 제공자」(0305)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자립형 정보 제공자」는 「정보 중개자」와 비교적 상시, 또는 일정 시간마다, 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타입으로서, 예를 들면 센서에서의 검지정보를 정기적으로 보내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이벤트형 정보 제공자」는 어떤 미리 정하는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타입으로서, 예를 들면 돌발적인 고장정보 등이다.
「목적」에 관여하지 않는 「장치·기기」(0306)의 정보는 「정보 중개자」에 의해 파기된다. 물론 이 「장치·기기」가 다른 「목적」에 관여하고 있는 경우는 그 「목적」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자」나 「정보 이용자」로 되기 때문에, 이 도면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 경우, 도면중의 「장치·기기」란, 설명의 편의상 어떤 「목적」에도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면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목적(0201)마다 관여하는 정보 제공자가 재조합되게된다.
도 4는 「정보 제공자」(0401), 「정보 이용자」(0402), 및 「가치」를 갖는 「정보」의 정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동 도면중, 「가치」를 갖는 「정보」란, 정보를 이용하는 쪽(도면에서는 「정보 이용자」(0401))가 「대가」(0404)를 지불하더라도 취득하고자 한는, 또는 취득하는 「가치정보」(0403)인 것으로 정의한다. 이 「가치정보」를 매개로 하여, 그 제공자를 「정보 제공자」(0401), 그 이용자를「정보 이용자」(0402)라 정의한다. 이 경우의 「가치」란 「받는자(정보 이용자)」(0402)에 있어서의 「가치」로서, 그 판단은 「받는자, 즉 정보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에 맡기고 있다. 따라서, 「정보 제공자측」(0401)에 있어서만의 「가치」인 「정보」는, 이 경우의 「가치」에 상당하지 않는다.
또한 실제로는 여기서 말하는 「정보 이용자」(0402)는 「장치·기기」이기 때문에, 그 주관적 평가란 「장치·기기」의 존재 의의를 높이는지의 여부와 같은 의미가된다. 별도의 표현을 하면, 「장치·기기」의 존재 의의를 높이는 「부가가치정보」는 「대가」를 지불하더라도 취득할 가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이용자」(0402)가,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지불되는 「대가」(0404)는, 「정보 제공자」에 있어서 「이익」의 향수가된다. 따라서 「정보」를 제공하여 「대가」를 얻는 사업이 성립한다. 이 경우의 「정보」와 그 「가치」와의 관계는, 「정보」 자체(그 자체)가 「가치」와 등가물(等價物)인 「가치 등가물」이라고 간주할 수 있고, 「정보」 내부에 「가치」가 포함되는 (또는 부여되어 있는) 「가치정보」라고 간주할 수 도 있다. 다시 말하면 지금까지 도면으로 설명하는 「목적」이란, 「정보 이용자」가 「(「정보 이용자」에 있어서의) 가치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본 발명은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의 양자간에 배치되는 정보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정보 중개 시스템은 정보의 트래필 컨트롤을 행하면서, 그 정보에 부가가치를 주는 「정보 중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이미 기술하였다. 본 발명의 정보 중개 시스템이 가령 개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정보의보내는자와 받는자에게서는, 정보의 취급에 관해 혼란이 생기게된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 사이에서의 「정보」를 둘러싼 문제점을 정리한 개념도이다.
정보 제공자측에서는 단지 정보의 발생, 입수, 또는 축적이 있었다고는 하여도, 적절한 트래픽 컨트롤 수단이 없으면, 「가치를 인정하는 이용자의 미식별」, 「가치를 인정하는 리용저에 대한 무지」가 생기고, 또한, 대가 분배 룰의 미확립」으로 되어, 정보로서의 참된 의미를 가질 수 없다. 즉 여기서 「가치를 인정하는 이용자의 미식별」이란, 제공하는 정보의 가치를 인정하고 (가치를 인정한다는 것은 대가를 지불함과 같은 의미) 원하는 상대(본 발명에서는 장치·기기인 것)가 누구인지를 정보의 제공자측에서 모르고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가치를 인정하는 이용자에 대한 무지」란, 원하고 있는 상대를 알았더라도 무엇에 가치를 인정하고 있는지, 또는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를 정보의 제공자측에서 모르고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치정보/무가치정보의 혼재」란, 동일 상대에게 (상대가 인정하는) 가치를 판단하지 않은채로 제공하여 버리는 것과, 동일한 정보라도 상대가 다르면 가치가 달라지지만(가치의 증감), 정보의 제공자측에서 모르고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대가 분배 룰의 미확립」이란, 상대가 인정하는 가치에 따라 분배되어야 할 대가가 상기한 문제점에 의해, 가치 자체를 파악할 수 없게 되고 있고, 따라서, 적정한 분배(정보 제공자에의 대가의 환원)를 할 수 없음을 말한다. 환언하면,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가 단지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되는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는 단순한 정보전달 수단(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단지 정보를 갖는 정보제공자의 존재, 및 정보를 필요로하는 정보 이용자가, 정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더라도, 적절한 정보의 트래픽 컨트롤이 되지 않으면, 양자는 서로 무가치한 존재에 불과하다.
정보 중개자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에서 정보 중개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정보의 혼란에 관해 기술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제인 「정보 중개자」(0601)의 중개 기능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정보 중개자」의 「중개 기능」은, 「정보 중개 기능」(0602)과 「대가 중개 기능(대가 분배의 중개 기능)」(0603)의 둘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이 두개의 중개 기능을 합쳐서 광의의 「중개 기능」이라한다. 단지 편의상 「정보 중개 기능」만으로 협의의 「중개 기능」이라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 도 6에 관해서는, 도 7부터 도 12에서, 다시 차례로 상세히 설명을 가한다.
정보 중개자 - 정보 중개 기능
도 6에 있어서, 「정보 중개 기능」(0602)이란, 「정보 이용자」(0605)로부터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취득한 「이용 목적」에 따라,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를 선별하여 「정보 제공자」(0604)에 있어서 가치가 있는 정보만으로서 송신한다, 말하자면 정보의 「선별·송신 기능」인 것이다. 「목적」에 따른 정보로 될 때까지, 「정보 중개자」에서 정보를 축적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대가 중개 기능」(0603)이란, 「정보 이용자」로부터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불된 「대가」를, 제공한 정보의 가치에 따라 「분배하는 기능」인 것이다. 이 경우의 「정보 이용자」(0604)는 복수라도 좋다. 즉, 동일한 정보라도 「대가」를 지불하더라도취득하고자 하는 「장치·기기」는 모두 「정보 이용자」라고 간주할 수 있다.
도 7은 상술한 정보 중개자의 기본적인 역할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설명한 「정보 중개자」의 「정보 중개 기능」(0602)을 흐름도를 이용하여 우선 기본적인 것만 설명한다. 이 「정보 중개 기능」이란 이하의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 목적을 수취하는 기능
② 주어진 목적에 따라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를 선택하는 기능
③ 정보 제공자로부터 정보를 수취하는 기능
④ 수취한 정보가 목적을 충족시켰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⑤ 수취한 정보를 목적에 관련시켜 기억하는 기능
⑥ 목적을 충족시킨 정보를 정보 이용자에게 송신하는 기능
즉 「정보 중개 기능」이란 목적이 지정(목적 지정)됨에 의해 기동하는 기능으로서, 여기서 말하는 「목적」이란 「정보 이용자(인 장치·기기)」가 「정보 중개자」를 이용하기 위해 주어진, 말하자면 「정보 이용자」측에서 본 「(이용) 목적」인 것이다. 이하 이 「정보 중개 기능」(0602)에 관해 상술한다.
①의 목적을 수취하는 기능에 있어서 「목적」은 「정보 이용자」로부터 직접 주어지더라도, 「정보 이용자」이외의 제3자로부터 간접적으로 주어지더라도 좋다. 또한 ③의 정보 제공자로부터 정보를 수취하는 기능에 있어서 흐름도의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 제공이 있는지의 판단처리에 상당한다. 주의할 것은 「정보 중개자 서버」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기기로부터 여러가지 정보를 수취하고있지만, ②에서 선택한 「정보 제공자」이외로부터의 정보는, 「목적」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중개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다. 즉, 목적에 관여하지 않는 정보는 무시한다. 또한, 「정보 제공자」는 「목적」에 반드시 관여하고 있는 장치·기기이다. 즉, 「정보 제공자」는 「정보 중개자」에 의해 「목적」에 반드시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⑥의 목적을 충족시킨 정보를 정보 이용자에게 송신하는 기능에 있어서, 「정보 중개자」는,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를 수취하면 주어진 「목적」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충족된 경우에만 「정보 이용자」에 (목적을 충족시킨 정보로서) 송신한다.
다음에 도 7의 흐름도로 구체적인 정보 중개 기능(0602)에 관한 흐름도를 이하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정보 중개자(0601)에 있어서, 도 7에 있어서 원하는 취득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0701) 있으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임의의 장치·기기중에서 주어진 목적에 따라,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를 선택한다(0702). 그리고 취득한 목적과 선택 결과를 함께 「목적정보」로 하여 기억부에 기억한다(0703).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 제공있는지가 체크되고(0704), 정보 제공이 있은 정보 제공자에 관련되는 「목적정보」를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0705), 그 취득한 정보는 주어진 목적을 충족시켰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0706). 그 목적이 충족된 경우에는, 목적을 충족시킨 정보를 정보 이용자에게 송신한다(0707). 만약 0706에서 목적이 충족되지 못하면 취득한 정보를 「제공정보」라고 하여 「목적정보」에 관련시켜 기억부에 기억하고(0708), 다시 별도의정보 제공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0704).
또한 주어진 목적이 완전히 종료하였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0709), 완료하였으면, 송신한 정보를 「목적 완료정보」라고 하여 「목적정보」에 관련시켜, 기억부에 기억하고(0710), 또한 완료한 목적을 파기하고, 그 결과를 기억부에 기억하고(0712), 중개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0709에서 목적이 아직 완전하게는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송신한 정보를 「송신정보」라고 하여 「목적정보」에 관련시켜 기억부에 기억하고(0711), 또한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를 기다린다(0704).
정보 중개자 - 대가 중개 기능
상기에서는 도 6의 정보 중개 기능(0602)에 관해 상술하였지만, 다음에 동 도면의 대가 중개 기능(0603)에 관해 마찬가지로 상술한다. 도 8은 정보 중개자의 기본적인 역할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대가 중개 기능을 흐름도를 이용하여 우선 기본적인 것만 설명한다.
우선 「대가 중개 기능」이란 이하의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 송신된 가치정보의 가치로부터 정보 이용자에게 청구하는 「청구 대가」를 결정하는 기능
② 정보 제공자에게서 대가의 분배비율을 수신한 정보의 가치에 따라 산출하는 기능
③ 산출된 분배비율에 의해 「분배 대가」를 결정하는 기능
④ 결정된 「청구 대가」와 「분배 대가」에 의거하여 장치·기기마다 대가를 누계하는 기능
⑤ 누계한 대가를 기억부에 기억하는 기능
즉 도 6의 「대가 중개 기능」(0603)이란, 목적이 지정(목적 지정)됨에 의해 기동된 처리를 매듭짓는 기능으로서, 여기서 말하는 「가치」란 「정보 이용자(인 장치·기기)」와 「정보 중개자」가 정한 「목적」에 미리 관계되어 있는 요소인 것이다. 또한 각 기능에 관해 상술한다.
상기 ①의 송신된 가치정보의 가치로부터 정보 이용자에게 청구하는 「청구 대가」를 결정하는 기능에 있어서, 「목적」에 대하여, 정보의 「가치」의 개념이 미리 주어져 있다. 또한 정보 이용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관계가 맺어진 「목적」을 참조하고, 그 「목적」으로하는 「장치·기기」의 「내적 사상 및 외적 사상(별도로 다시 설명)」으로부터 「가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목적」에 따라 「가치」로부터 정보 이용자마다 산출된 대가의 합계가 「청구 대가」로된다. 즉, 「(정보 이용자가 정보 중개자를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청구되는 대가가 다른 것을 의미한다.
상기 ②의 정보 제공자에게서 대가의 분배비율을 수신한 정보의 가치에 따라 산출하는 기능에 있어서, 분배비율도 제공한 정보의 가치로 판정되고, 보다 가치가 높은 정보를 제공한 「정보 제공자」에게 많은 대가가 분배되기 위한 (대가의 분배) 비율이다.
③의 산출된 분배비율에 의해 「분배 대가」를 결정하는 기능에 있어서, 반드시 「청구 대가」와 「분배 대가」가 일치할 필요는 없고, 일반적으로 「분배 대가」= 「청구 대가」-[빼기]「정보 중개자의 경비(운용 코스트 및 이익)」인 것이많다.
④의 결정된 「청구 대가」와 「분배 대가」에 의거하여 장치·기기마다 대가를 누계하는 기능에 있어서, 「목적」에 따라 동일한 「장치·기기」가 「정보 제공자」로도 「정보 이용자」로도 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중개자」에서 상쇄처리(「정보 중개자」에 의한 내부처리)가 행하여진다.
⑤의 누계한 대가를 기억부에 기억하는 기능은, 요금부과처리의 근거가 되는 데이터가된다. 실제로는 「정보 제공자」도 「정보 이용자」도 「장치·기기」이기 때문에, 이 정보 중개 시스템을 현실에 운영하는 「관리자」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 「관리자」가 「정보 중개자 서버」에 「목적」을 지시(입력)하고, 「대가」를 청산한다(부족분을 지불하고, 과잉분을 수취한다). 또한 「관리자」는 「사람」이거나, 「사람」의 의지를 전하는 「단말(장치·기기)」이거나한다.
또한 도 8의 흐름도는 상술한 대가 중개 기능(0603)의 각 스텝을 상술한 상세 기능 ① 내지 ⑤와 관련시켜 설명한 것이다. 즉 스텝 0801의 정보 이용자에의 정보 송신이 있는지의 여부의 체크(예를 들면 도 7의 0707 또는 0710의 스텝) 후에, 송신 된 정보의 가치로부터 청구 대가를 정보 이용자마다 산출하고, 청구 대가를 결정한다. 이것은 상술한 ① 및 ②의 기능에 기초한다.
다음에 스텝 0803에 있어서, 송신된 가치정보를 제공한 정보 제공자를 전부 기억부에서 추출하고, 또한 스텝 0804에 있어서, 송신된 가치정보를 제공한 정보 제공자를 전부 기억부에서 추출한다. 이것은 상술한 ③의 기능에 기초한다.
마찬가지로 스텝 0805에 있어서, 결정된 청구 대가 및 분배 대가를 장치·기기마다 누계하여 기억부에 기억하고, 대가 중개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은 상술한 ④ 및 ⑤의 기능에 기초한다.
정보 중개자 - 정보 중개 기능의 기능 블록도
도 9는, 상술한 도 6에 도시한 「정보 중개자」의 「정보 중개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각 블록은 도 7의 흐름도에 대응하고 있다. 즉 정보의 입력부터 출력까지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도 9에서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이 정보 중개 기능(0602)이며, 도 6의 정보 중개 기능(0602)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임의의 장치, 기기(0901)에 설치된 예를 들면 센서류로부터 일정한 센싱정보가,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 내의 정보 중개 기능(0602)에 정보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입력된다. 단지 이 임의의 장치, 기기(0901)로부터의 정보는 센싱정보에 한하지 않고, 그 장치, 기기를 경유하는 특정 상황에 관한 모든 입력정보를 의미한다. 이 입력정보는 「정보 수신처리 기능」(0902)에 우선 입력된다. 「정보 수신처리 기능」이란, 임의의 「장치·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이다. 이 입력정보는 「선별 판정처리 기능」(0903)에 입력된다. 「선별 판정처리 기능」이란,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목적」(0920)과 대조하고, 그 정보의 취급을 선별하는 판정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목적에 관여하지 않는 정보는 「정보 파기처리 기능」(0904)에 보내여지고, 「정보 파기처리 기능」에서 파기처리된다. 선별처리만으로 「목적」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된 정보는, 그대로 그 정보의 가치를 인정하는 정보 이용자에게 「정보 송신처리기능」(0905)을 통하여 송신된다. 또한 선별처리만으로 「목적」이 충족되지 않는다고 판정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기억부(0906)에 기억되고, 그 후 수신한 정보와 「정보 결합처리 기능」(0907)에서 「정보군」으로 가공되고, 그 정보의 가치를 인정하는 정보 이용자(0930)에게 「정보 송신처리 기능(0905)」을 통하여 송신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정보 결합처리 기능」(0907)이란, 수신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는 정보를 조합하여 정보의 가치를 생기게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가치가 생긴다는 것은 목적을 충족시킨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단, 이미 목적을 충족시키고 있지만 보다 가치를 보다높이기 위해 정보가 결합되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는 새로운 가치가 생겼다고 해석하면 좋다.
목적 지정에 합치한 정보는 정보 이용자(0930)에게 보내여짐과 병행하여, 「목적 달성/완료처리 판정 기능」(0908)으로 보내여진다. 이 「목적 달성/완료처리 판정 기능」(0908)이란, 주어진 「목적」의 달성 정도 및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이다. 이 처리 결과가, 후술하는 「대가 중개 기능」에서 이용된다. 또한 완료하였다고 판정된 「목적」은, 「목적 파기처리 기능」(0909)으로 통지가 되어 파기된다.
「목표 달성/완료정보 기억처리 기능」(0910)이란, 「목표 달성/완료 판정처리 기능」(0908)에서 「목표」가 달성 또는 완료라고 판정된 정보를, 달성 또는 완료한 「목적」(0920)과, 정보를 제공한 「장치·기기」(0901)인 「정보 제공자」와, 정보를 이용한 「장치·기기」인 「정보 이용자」(0930)와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기능이다.
다음에 도 10은, 도 6의 「정보 중개자」의 「대가 중개 기능」(0603)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8의 흐름도에 대응하고 있다. 즉 목적 달성부터 대가처리까지를 설명하고 있다. 점선 내의 기능이 대가 중개 기능(0603)이다.
도 9에 도시한 정보 중개처리의 최후 단계에서, 정보 중개 기능의 일부인 「목표 달성/완료정보 기억처리 기능」(0910)에 정보 중개처리가 완료한 정보가 기억된다. 우선 이 기억된 정보는 가치 판정을 위해 이 대가 중개 기능 내(0603)에 있는 「가치 판정처리 기능」(1002)에서 가치 판정된다. 여기서 「가치 판정처리 기능」(1001)이란, 「목적」을 달성 또는 완료하여 「정보 이용자」에 송신된 정보의 「가치」를 판정하는 기능이다. 구체적인 대가가 「청구 대가 산출처리 기능」(1003)에서 산출된다. 이 「청구 대가 산출처리 기능」이란, 「목적」에 따라 「정보 이용자」마다 산출하고 (「정보 이용자」가 복수의 경우는) 누계처리에 의해 「청구 대가」를 구하는 기능이다.
한편 정보를 제공한 쪽의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정보 중개처리의 완료 후, 「정보 제공자 추출처리 기능」(1004)으로 처리가 옮겨진다. 「정보 제공자 추출처리 기능」이란, 「청구 대가」의 대상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 「정보 제공자」를 「정보 중개 기능(도 9 참조)」에서 정보를 기억한 데이터베이스(0906)로부터 추출하는 기능이다. 계속해서 「분배비율 산출처리 기능」(1005)에서 분배비율 산출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분배비율 산출처리 기능」이란, 「정보 제공자 추출처리 기능」(1004)에서 추출된 「정보 제공자」에 관하여 각각 제공한 정보가 얼마만큼 「목적」의 달성 또는 완성에 공헌하였는지의 공헌 정도를 (추출된 장치·기기 전부에 대하여) 비율로 구하는 기능이다.
청구 대가와 배분 대가, 즉 정보 중개라는 일종의 상행위에 대한, 정보 제공자의 원가에 대한 지불 및 정보 이용자에의 정보 제공료로서의 대금 청구가 「분배 대가 산출처리 기능」(1005)에서 처리된다. 이 「분배 대가 산출처리 기능」이란, 「청구 대가 산출처리 기능」에서 산출된 「청구 대가」의 총액(실제로는 정보 중개자가 수취하는 마진을 뺀 총액)과 「분배비율 산출처리 기능」에서 산출된 각 「정보 제공자」마다의 분배비율에 의해, 「정보 제공자」마다 산출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대가 누계처리가 「대가 누계처리 기능」(1006)에서 행하여진다. 이 「대가 누계처리 기능」이란, 「청구 대가 산출처리 기능」에서 구하여진 「청구 대가」와, 「분배 대가 산출처리 기능」(1005)에서 구하여진 「분배 대가」를 관여한 「장치·기기」마다 (동일한 장치·기기라도 「정보 제공자」가 되거나, 「정보 이용자」가 되거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대가」를 누계(상쇄를 포함한다)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이다. 또한 그 결과가 누계대가 기억처리를 하기 위해 「누계대가 기억처리 기능」(1007)에 보내여진다. 이 「누계대가 기억처리 기능」이란, 「대가 누계처리 기능」에서 「장치·기기」마다 누계된 「누계대가」를 기억하는 기능이다.
다음에 도 11은 정보의 가치를 판정하는 척도를 나타낸 개념도를 도시한다. 즉 도 10에 도시한 「가치 판정처리부」(1002)에서 판정처리할 때의 척도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가치」를 판정하는 척도에는 크게 나누어, 「정보 제공에 어느정도의 품이 들었느냐」에 의한 판매자측의 요소와, 「제공된 정보에 어느정도 매력을 느낄까」에 의한 구매자측의 요소인 2개이다.
우선 「목적」의 달성에 의해 「가치정보(목적을 충족시킨 정보)」가 발생하기(도 7, 9 참조) 때문에, 「목적」이 주어진 시점에서 상정되는 「가치」가 결정된다. 이 「목적」이 주어진 시점에서 결정할 수 있는 「가치」를 「(가치의) 고정 요소」라고한다. 또한 「목적」에 따라 「정보 중개자」에 의해 역할이 정하여진 「정보 제공자」로부터 정보 취득에 관한 곤란도나, (「정보 중개자」가 취득한) 모든 정보로부터 「목적」에 따라 엄선하는 송신정보(가치정보)에의 정보 엄선도, 및 송신하는 정보를 가공하여 부가가치를 붙이는 정보의 가공도 등에 의해서도 「가치」는 변동한다. 「목적」의 달성에 따르는 「가치」의 변화분을 「(가치의) 변동 요소」라한다. 또한 「가치정보」의 이용 빈도의 증가에 따라 불어나는 「정보 이용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이용 빈도에 대한 청구 대가의 할인이 이루어진 경우, 및 「정보 이용자」가 정보를 이용함에 의해 생성되는 부가가치에 따른 (제공되는 정보에 지불하는 대가가 타당, 또는 합리적이라고 느끼는지 아닌지의 여부) 부가가치 생성 기대도도 있다. 이것을 다시 도시하면 도 12에 도시한 각 요소로된다. 즉 가치 판정 요소란 크게 나누어, 정보의 판매자(정보 중개자)측의 요소와 구매자(정보 이용자)측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점에서는 일반의 상품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 중, 판매자측의 요소로서, 목적 설정시에 결정되는 고정적 요소와, 목적 달성시에 수정되는 변동 요소가 생각된다. 또한 이 변동 요소는 정보 제공자의 정보 제공에 따르는 정보 취득 곤란도, 목적에 따라 정보를 엄선하는 정보 엄선도,또한 정보를 가공하여 정보의 부가가치를 붙이는 정보 가공도에 따라 정보의 가치가 변하게된다. 한편, 정보의 구매자측의 요소로서는, 정보 이용 후에 생기는 가치에 기대한 부가가치 생성 기대도, 및 대가 총액에 관여하는 이용량의 총량이 되는 이용 빈도에 의한 변동 요소가 생각된다. 도 10에 도시한 가치 판정처리 기능(1002)에서는, 이들의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에 넣어 정보의 가치가 판단되게된다.
목적의 전환에 의한 정보 흐름의 반전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는 지정 목적에 따라 상기 단말 거점이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예를 들면 일정한 이벤트 조건에서는, 이벤트의 발생에 의해 그때까지의 정보 제공자가 정보 이용자로 역할이 전환된다. 하나의 예로 말하면, 상기 단말이 자동판매기라한다. 보통은 매상고를 정보 중개 서버에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계속 보내는 정보 제공자이다. 그런데 거스름돈 떨어짐이나 콜라캔의 잔량이 적어졌다는 이벤트정보(돌발적인 상황의 발생)가 일어난 경우에는, 그들 센싱정보는 이벤트적으로 정보 중개 서버에게 보내여지고, 거스름돈 보급, 콜라캔의 보급을 요구한다. 환언하면 그때까지 정보 제공자이던 자동판매기는, 그 시점에서는 이미 정보 이용자로 전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서는, 지정 목적에 따라 상기 단말 거점을 선택하는 동시에, 해당 단말에의 접속 스케줄을 상기 목적에 따라 다르게 한 타임 테이블을 중개자 거점측에 준비하고 있다. 즉 목적 지정의 긴급도나 빈도 등에 의해 각 단말에의 접속 우선도를 변경할 수 있다. 비교적 긴급도가 높은 정보라면 온디맨드적으로 단말에의 접속 스케줄을 꾸미고, 반대로 긴급성이 낮은 정보는 네트워크의 부하에 맞추어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을 때에 단말측으로부터의 정보를 모아놓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타임 테이블을 지정 목적에 따라 또는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종류에 따라 새치기를 허용 가능한 타임 테이블로 하여도 좋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정보 이용자에게 있어서 긴급성, 중요성이 높은 정보 제공자의 정보는 새치기 처리가 가능한 타임 테이블로 하여 우선도를 올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임 테이블은 단말 거점측에서 입력되는 신호 가치 변동에 따라 수정 가능하여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이벤트 조건에 따라 사후적으로 단말에의 접속 스케줄의 타임 테이블을 변경할 수 있다. 이 타임 테이블은, 지정 목적에 따라 상기 중개자가, 단말 거점의 특성을 미리 파악하고, 해당 특성에 따라 폴링을 중심으로하는 타임 테이블과 새치기 허용 가능한 타임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예 1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의 「목적」또는 「목적 지정」의 특이점을, 도 13부터 도 18의 구체예를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이하 개시한다.
도 13은 동일한 장치·기기가 정보 제공자였거나, 정보 이용자였었는데, 「목적」에 따라 변하는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의 특이점을 도시한 구체예이다. 이 예에서는 고속도로를 제1 차량(1301), 제2 차량(1302), 제3 차량(1303)의 3대가 주행하고 있다고한다. 각 차량의 와이퍼에는 현재 와이퍼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검지하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그 온/오프 상태는 차례로 정보 중개자 서버(1304)에 무선으로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보내지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제2 차량에 주목하면, 목적에 따라 역할(목적 A에서는 정보 제공자의 역할이며, 목적 B에서는 정보 이용자의 역할)이 변하는 것을 도시한다. 동 도면중, 화살표는 각 목적에 따른 「정보 중개 서버」를 통한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다. 또한 제1 지역에 있는 임의의 (노면을 주행중인) 주행 차량중의 1대를 제1 차량으로하고, 제1 차량과 제2 차량은 동일 진행방향을 주행중으로한다.
여기서 「목적 A」의 구체예는 예를 들면 「일본에서 현재 비가 내리고 있는 지역을 알고 싶다」이며, 「정보 이용자」는 일기정보 센터 서버로한다. 또한 「목적 B」의 구체예는 「진행방향이 지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고 싶다」이며, 「정보 이용자」는 제2 주행 차량이라고한다. 「목적 A」가 주어진 「정보 중개자 서버」는, 예를 들면 10km 사방의 지역에서 1대 내지 복수대라는 일정수의 주행 차량을 추출하고, 예를 들면 이 제1로부터 제3 차량으로부터, 비가 내렸을 때에 주행 차량의 드라이버가 SW를 킨 「와이파」가 가동하고 있는지(SW가 켜져 있는지) 여부의 센서정보를 검출하고, 비가 내리고 있는 지역을 일기정보 센터 서버에 송신한다. 이 송신되는 정보는 맵화되는(도 11의 정보의 가공에 상당)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제1부터 제3 차량 모두가 정보 제공자이다.
한편 「목적 B」가 주어진 「정보 중개 서버」는, 예를 들면 제2 주행 차량과 동일한 진행방향을 주행중인 주행 차량으로부터 1대 내지 복수대라는 일정수의주행 차량을 추출하고, 평균시속을 계측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체인지의 여부까지 판정하고) 계측 결과를 제2 주행 차량에 송신한다. 즉 이 도면의 경우라면, 제2 차량의 전방을 주행하고 있는 제1 차량으로부터, 그 속도 센서의 정보를 얻고, 이것을 기초로, 목적 B인 지체정보를 얻는다. 이 경우에는, 제1 차량은 목적 A의 경우와 같이 정보 제공자이지만, 제2 차량은 정보 제공자로 역할이 반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 B의 경우, 송신정보 외에 우회로(를 주행중인 차량에 관해서)의 평균시속을 계측하고, 추천 루트의 제안(평균시속과 주행거리로부터 최고속 루트를 산출한다) 등의 부가가치정보의 베리에이션이 생각된다. 부가가치정보의 정도에 따라, 정보 이용자가 지불하더라도 좋다고 판단하는 대가액을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이와 같이 정보 제공자 및 정보 이용자가 되는 장치·기기는 「정보 중개자 서버」와 정보통신하고 있을 뿐이지만, 「정보 중개자 서버」에서 정보의 중개(로부터 대가의 중개까지)의 배려가 이루어진다.
도 14는, 상기한 목적이 다름에 따라, 동일한 단말(이 경우는 차량)이, 정보 제공자가 되거나 정보 이용자가 되는 흐름을 정리한 차트이다. 즉 도 13에서 도시한 목적 A에 관해서는, 제1, 제2, 제3 주행 차량, 그리고 대상 지구를 주행하는 다른 주행 차량도 모두가 정보 제공자이며, 일기상태 센터만이 정보 이용자가된다. 한편 목적 B에 관해서는, 제1 및 대상 지구의 그 밖의 주행 차량이 정보 제공자가 되고, 제2 주행 차량은 이 경우에는 정보 이용자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제2 주행 차량과 같이, 목적 지정에 따라 정보 제공자가 되거나, 또는 정보 이용자가 되거나한다.
도 15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과, 종래 방식과의 비교를 도시한다. 동 도면의 하반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방식에서는, 제공자측에서는 정보 제공자 서버(1501)에, 소망의 정보를 취득하는 전용 센서(1502 내지 1504)를 고정적으로 각처에 배치하고, 그 정보를 모으는 전용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이용자측(1301 내지 1303)에서 정보 취득의 배려를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예를 들면 인터넷을 네트 서핑, 즉 필요로하는 정보 입수를 위해 정보 이용자 스스로가,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서치할 필요가 있었다. 이 예에서는 정보 제공자측에서는 제1 내지 제3 센서(1502 내지 1504)로서 차속 센서나 빗방울 센서, 노면 센서 등 전용의 센서를 각각의 에어리어에 미리 배치하고 이들의 고정화된 정보원에서의 정보를 입수하고, 그 정보를 가공, 정리하고 나서 정보 이용자에의 정보 제공을 일방적으로 행하고 있었다. 환언하면 종래의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정보 제공자, 정보 이용자의 역할 분담은 고정되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동 도면의 상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머신(기계. 즉 장치·기기인 것. 여기서는 제1 내지 제3주행 차량(1301 내지 1303))에는 각각 각종의 센서나 반대로 정보 입수를 위한 출력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그들의 머신이 장비하는 센서나 출력장치가, 정보 중개 시스템의 정보 중개자 서버(1304)와 항상 또는 필요시에만 정보의 교환을하고 있고, 목적마다 그들의 머신에 역할 분담을 주어 필요한 정보의 입수와 이용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이 구체적인 정보 중개자 서버(1304)는, 도 1 내지 도 3의 중개자 서버(0101)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 실현 수단의 구체예에 관해서는 뒤의 도면에서 다시 설명한다.
구체예 2
상기한 것은 「목적」이 이용자마다 단일한 경우를 난타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이용자가 복수의 이용 「목적」을 갖는 경우도 상정한다. 예를 들면 도 16에서는, 복수의 목적을 동일한 장치·기기를 대상으로 실행하고 있는 경우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중의 제1 내지 제3 「장치·기기」(1601 내지 1603)란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이다. 각각의 「장치·기기」는 그 내부상태를 검지하는 각종의 센서류를 장비하고, 이들의 검지 데이터는 내장하는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 중개자 서버」(1304)와 정보통신하고 있다. 「목적」은 「정보 중개자 서버」와 「장치·기기 관리자 서버」 사이에서 미리 정하여진 「(복수의) 목적」으로서, 예를 들면 「목적 C」는 거스름돈 떨어짐이나 잔량(이 소량인지의 여부)을 검출하고, 어떤 일정량 이하가 되면 연락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목적 D」는 마찬가지로 (외부에서의) 충격 검출(도난이나 방범에 관여)이다.
여기서 「목적 C」와 「목적 D」에서는 발생 빈도나 긴급도(물론 「목적 D」쪽이 긴급도가 높다)가 다르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개념에 의해) 대가도 변한다. 또한 이 경우의 정보 이용자인 「장치·기기 관리자 서버」(1605)는 「장치·기기」의 상태에 따라, 사람인 보수 담당자나 보안 담당자에게 통보(통지)하는 것이 주어진 역할이며, 적확(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통보함으로써 가치(존재 의의)가 높아진다. 따라서 「장치·기기 관리자 서버」는, 적확(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통보하기 위한 정보에는 가치를 인정하고, 정보 중개 시스템(서버)(1304)에 대하여 대가를 지불하는 구도가 성립한다.
구체예 3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장치·기기가 이벤트 발생(상태의 변화)에 의해 역할이 변하는 경우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중, 제1 주행 차량(1301)은 보통(여기서 말하는 이벤트 발생 전)은 다른 「목적」(「목적 C」)의 「정보 제공자」였지만, 이벤트(도면 예에서는 다른 주행 차량과의 사고)의 발생에 의해 보수자의 서비스(「목적 E」)를 받는 「(간접적) 정보 이용자」가된다. 즉 보통의 목적 A란,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주행 장소에서의 일기를 판정한다는 목적이며, 그 것을 위해서는 제1 주행 차량(13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의 온/오프 상황을 정보 중개 시스템에 정상적으로 계속 보내고 있는 정보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목적 E란 이 예에서는, 만약 어디에선가 사고가 일어나면 정보 중개자 서버(1304)는, 직접적 정보 이용자인 보수자 서버(1701)에 사고 발생을 연락하는 것이다. 이를 전제로, 제1 주행 차량(1301)이, 다른 차량과의 충돌사고가 있었다고한다. 이 돌발적인 사건이 있었다고하는 정보(이벤트정보)를 정보 중개자 서버(1304)에 통지하여 구조를 구한 시점에서, 제1 주행 차량(1301)은, 지금까지의 정보 제공자(와이퍼의 온/오프를 알린다고 하는)의 입장에서 바뀌어, 그 사고정보의 직접적인 정보 이용자의 보수 서비스를 받고 싶다는 간접적인 정보 이용자로 변신하게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보수자」란 「정보 제공자」의 상황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의 의미로서, 예를 들면 사고처리업자, 경찰, 구급대(앰블런스) 등인 것이다. 이 예에서는, 보수자가 보유하는 보수자 서버(1701)에 목적 E에 따라, 사고발생의 알림이 도착한 시점에서 보수자 서버로부터 보수자 단말(1702)에, 보수 차량을 제1 주행 차량(1301)으로 나타내게된다. 즉 도 13의 예에서는 제2 주행 차량(1302)이 「목적으로 역할이 변화되는 경우」, 즉 정보 제공자로부터 정보 이용자로 변화되는 예를 들었지만, 이 17도에서는 「상황으로 역할이 변화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8은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을, 별도의 도식으로 설명하는 블록도로서, 구체예의 도 16에 대응하여 이미지화 한 전체도이다. 여기서는 일정한 목적(1802)이 정보 중개자 서버(1304)에 입력 또는 주어지면, 정보 중개 서버로부터는, 목적으로 따라 정보 제공자로부터 정보를 얻는다. 이 목적(1802)이란 도 16의 구체예에서는 목적 C, 목적 D이다. 정보 제공자로부터 정보를 얻는 구체적인 수단은, 예를 들면 폴링적으로 정보 제공자(1803)로부터 얻는 방법, 온 디맨드적으로 정보 제공자(1804)로부터 얻는 방법, 또는 이벤트적으로 정보 제공자(1805)측에서 얻어지는 정보 등의 선택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입력된 요구 목적(1802)에 최적의 정보만이 정보 이용자(1806)에 주어진다. 도 16에서는 장치, 기기 관리자 서버(1605)의 보유자가 이 정보 이용자(1806)에 상당한다. 그 정보 이용자(1806)는 그 결과, 보수자(1807), 보안자(1808)에게 구체적인 액션을 취하도록 지시가 나오게된다. 여기서 「보수자」(1807)란 「보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를 의미하며, 「보수 서비스」란 「장치·기기」의 상태를 관리, 유지(메인티넌스), 복구를 (대상이 되는 「장치·기기」를 위해) 실행하는 서비스인 것이다. 도16의 자동판매기의 경우로 말하면, 거스름돈이나 상품인 쥬스나 담배 등을 보급하는 업자이다.
또한 「보안자」란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를 의미하며, 「보안 서비스」란 「장치·기기」의 안전을(「장치·기기」를 둘러싼) 외부 요인으로부터 지키는, 외부 요인의 위험 요소를 물리치는 (예방의 개념을 포함하는) 서비스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의 경우라면, 자동판매기의 안전 운용을 도모하는 경비회사이다. 또한 「정보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보수자(보수자의 서버, 단말)」이거나, 「보안자(보안자의 서버, 단말)」이거나 할 수도 있다. 도 17의 경우는, 「정보 이용자」가 「보수자 서버」인 경우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목적을 충족시킨 정보의 고도화/부가가치의 생성
상술한 구체예 1부터 구체예 3에 나타낸 「목적을 충족시킨 정보」는, 정보 중개자 서버(1304)에서 비교적 저레벨의 정보 가공이 행하여진 후에 각각의 정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정보 가공이란, 입력정보에 대하여 도 11에서 도시한 「부가가치의 생성」이 어느정도 행하여지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즉 구체예 1이라면, 고속도로를 주행중인 복수의 차량에 설치된 와이퍼가 현재 온인 것인지 오프인 것인지의 상태정보로부터, 그 지역에서 비가 내리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보 중개자 서버(1304)가 독자적으로 판단하고, 그 일기정보를 정보 이용자인 일기정보센터 또는 다른 주행 차량에 정보 중개를 행하고 있다. 환언하면, 정보 중개자 서버(1304)는 다수의 정보 제공자인 주행 차량으로부터의 와이퍼의 온/오프정보로부터 일기를 추측한다는 비교적 저레벨의 정보 가공을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상술한 구체예 2의 경우라면, 정보 중개자 서버(1304)는 도 16의 자동판매기 내에 설치된 충격 센서나 거스름돈 떨어짐을 검지하는 상태 센서로부터의 입력신호로부터, 각각 도난 발생, 거스름돈 떨어짐을 내부 판단하여 각각 보수자, 보안자에게 필요로하는 행동을 취하도록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구체예 3인 경우에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중개자 서버(1304)는, 주행 차량에 장비한 충격 센서의 출력신호로 사고발생을 내부 판단하고, 보수자로의 정보 송달을 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정보에 대하여 비교적 저레벨의 정보 가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고레벨의 정보 가공이 행하여진다. 이 고레벨의 정보 가공에는, 크게 나누어 정보 중개자 서버(1304) 내부에서의 고레벨의 정보 가공을 행하는 내부 고도정보 가공형과, 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외부에 대해 보다 고위의 정보 탐색을 행하는 외부 고도정보 가공형으로 분류된다. 전자의 내부 고도정보 가공형이란, 정보 중개자 서버(1304) 내부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목적(예를 들면 상술한 목적 A 내지 목적 E)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입력정보에 대하여 충분한 판단 소프트를 내장하고, 목적 조건에 합치하는 최적 정보를 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후자의 외부 고도정보 가공형이란, 외부의 인터넷 포탈이라고 불리는 정보에의 액셀을 쉽게하는 인터넷 사이트, 또는 특정한 고도정보를 갖고 있는 기업의 홈페이지 등의 전용 사이트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고도의 정보를 구하고, 그 얻어진 고도한 외부정보를 기초로 목적 조건에 합치하는 최적 정보를 구하고, 그 결과 얻어진 최적 정보를 정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을 말한다.
구체예 4
도 83 및 도 84는 상술한 내부 고도정보 가공형 및 외부 고도정보 가공형의 정보 중개 시스템의 특이점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정보 제공자로서의 기능을 갖는 복수의 센서(1) 내지 센서(n) 및 정보 이용자가 표시기(예를 들면 CRT)를 매체로 하여 정보 중개 서버(3600)에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보 중개 서버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지정 목적에 따라서는, 이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에의 정보의 흐름은 반전될 수 있음은 이미 말한 바와 같다.
도 83의 내부 고도정보 가공형의 정보 중개 서버에서는, 복수의 센서정보, 예를 들면 공장 내의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현장 상황을, 정보 중개 서버 내부의 지식 데이터베이스(도 36에 도시한 취득정보 DB(3604))에 축적된 지식 데이터로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공장 내부의 어디에서, 어떤 상태로 무엇이 일어났는가를 판단하여 그 최적화된 정보를 최적화 판단 기능(8301)에서 처리한다. 그 후에 얻어진 최적의 설루션을 정보 이용자로서의 표시기에 표시한다. 여기서 말하는, 최적 설루션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각 센서정보에 정보 가치로서의 가중치 부여, IF-Then 형식의 최적화 이론이 이미 많이 개시되어 있어 상세한 것은 여기서는 생략한다. 당연히 이 최적화 이론에도 자기학습 기능을 부가하여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의 레벨을 점차로 높이더라도 좋다.
구체예 5
도 84의 외부 고도정보 가공형의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복수의 센서정보, 예를 들면 공장 내의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현장 상황을, 정보 중개 서버 내부의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지식 데이터 및 외부의 지식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최적의 설루션을 정보 이용자로서의 표시기에 표시한다. 즉 내부의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지식 데이터에 의한 일시판단 후에, 또한 고도의 외부지식을 구하여 인터넷 포탈사이트나 그 정보를 특화한 기업의 홈페이지 등에 적극적으로 액세스하여 필요로하는 정보를 얻는다. 이로써, 정보 중개 서버는 자기의 폐색된 정보 루프로부터, 외부의 정보 루프로의 확대가 가능하게 되어, 보다 최적의 설루션을 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본 발명에 관한 고도정보 가공형의 정보 중개 시스템의 다른 특징점은, 정보 제공자로서의 센서가 정보 발신원이 되고, 정보 중개 서버가 일차판단을 행하고 외부의 인터넷 폴더 등에 접속을 행하는 점이다. 이와 같이 센서로 검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외부의 정보 루프에 접속하는 접속 형태에서는, 어느 폴더 사이트에 접속할지는, 정보 중개 서버(3600)가 선택권을 쥐게 되고, 예를 들면 포탈사이트측으로부터 접속료를 정보 중개 서버가 얻는다고하는 새로운 비지니스 찬스를 창조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목적을 충족시킨 정보에 의거하여 각종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것은, 도 11에서 도시한 「부가가치의 생성」에 상당한다. 이것은 보다 고도한 서비스가 생성되는 것이던지, 「정보 중개 서버」에 지불하는 대가가 증가함과 같다. 이 대가의 요금부과처리에 관해서는 다음에 더욱 상세히 말한다.
요금부과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의 「대가」 또는 「요금부과」의 특이점을, 도 19 및 도 20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이하 개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의 「대가」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상술한 도 13에 있어서의 제1 주행 차량(1301), 제2 주행 차량(1302), 제3 주행 차량(1303), 및 일기정보 센터 서버(1305)에 관한 대가의 누계를 도시한다. 즉 제1 주행 차량은 목적 A 및 목적 B의 양쪽에 대하여 정보 제공자이며, 양쪽의 목적 달성에 대하여 기여하고 있기 때문에, 두개의 정(正)의 대가(1901)가 주어지고 있다. 여기서 「정 대가」란 「장치·기기」에 분배되는 대가이며, 도 10의 「분배 대가」에 상당한다. 또한 「부 대가」란 「장치·기기」에 청구되는 대가이며, 도 10의 「청구 대가」에 상당한다.
또한 동 도면중에서는, 제2 주행 차량(1302)에 대해서는, 일기정보를 정보 중개자 서버(1304)에 준다고하는 정의 대가와, 제1 주행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지역의 도로 상황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고하는 목적 B에 관한 부(負)의 대가의 누계가 합계 대가(1902)로 계산된다. 환언하면, 정보 제공료와 정보 대가가 상쇄되게된다. 또한 제3 주행 차량(1303)은 목적 A만에 관여하기 때문에 정의 대가(1903), 또한 일기정보센터 서버(1305)는 목적 A만의 정보 이용자만으로의 역할 분담이기 때문에, 부의 대가가 주어지게된다. 또한 이들의 대가에는 「정보 중개자」에 대한 대가가 관여하여도 좋다. 이 「정보 중개자」에 대한 대가란, 예를 들면 정보 중개자의 경비나 이익 등을 의미한다.
도 20에는, 같은 관점에서 자동판매기에 관한 1예를 도시한 도 16의 장치, 기기 관리자 서버(1605)에 대한 대가를 도식하고 있다. 즉 장치, 기기 관리자 서버는, 목적 C(보수)와 목적 D(보안)에 관해 더블의 정보 이용자로서의 이익을 향수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 대한 더블의 부의 대가(2001)가 부과되어 있다. 여기서는 「목적」에 따라 「청구 대가」가 다른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면 예의 「보수」보다 「보안」쪽이 큰 「대가」인 것은, 「정보 이용자」가 느끼는 중요도(예를 들면, 긴급성이나 손실의 크기 등에 의한)가 다르기 때문이다. 환언하면 보통의 거스름돈 떨어짐의 정보보다도, 자동판매기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 있다고하는 정보쪽이 가치가 있고, 그 때문에 큰 대가를 지불하더라도 좋음의 사전 결정이 있기 때문이다. 도면 예에서는 「부 대가」의 대상이 「장치·기기 관리자 서버」로 되어 들어가지만, 이 「대가」가 「장치·기기 관리자 서버」의 경비가 되지만, 그와 동시에 다른 「장치·기기 관리자 서버」가 만들어내는 서비스 등에 덧붙여 최종 유저에 청구됨도 당연하다.
지정 목적의 구체적 처리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목적」지정에 의해, 정보 중개 서버는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각종 정보를 취사선택을 행한다. 이 취사선택처리의 구체적인 수단에 관해 도 21부터 도 26에서 상세히 설명을 가한다. 또한 이 처리에 관해, 장치, 기기의 인증처리가 관련되지만, 이에 관해서는 도 27부터 도 3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1은 어떻게 하여 「목적 지정」이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 내에서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언어처리되는 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미 도 3에서 기술한 목적(0301)에 관해, 「목적 지정(「목적」을 「정보 중개자」에 주는 것)」을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이것은 구체 예로는 도 13의 「목적 A」를 이용한다). 이 목적 A란 「일본에서 현재 비가 내리고 있는 지역을 알고 싶다」고하는 구체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도면중에서는 「목적 지정」된 「목적」을 「지정 목적」(2101), 「정보 중개자」 내부의 변환처리에 의해 변환된 후의 「목적」을 「변환 후 목적」(2102)이라하고있다. 즉 지정 목적이 지역 조건, 머신 조건, 제공정보 조건, 판정 조건, 가공 조건, 출력 조건의 각각으로, 후술하는 지식정보를 이용하여 분해되고, 이후의 처리에 이용된다. 이를 위한 실현 수단의 구체예를 도 22에 도시한다.
도 22는, 상술한 도 21에 도시한 지정 목적을 어떻게 하여 분해하고, 정보 중개하기 위한 「변환 후 목적」으로 하는지의 실현 수단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이 기능 블록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자 서버(0302)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기동자(起動者)」(2201)란, 「정보 중개자」즉 구체적으로 말하면 정보 중개 서버에, 「목적」을 주는 자이며, 또는 그 「정보 중개자」에 「목적」이 주어지는 장치라 하여도, 또한 사람이라도 좋다. 대가의 지불이 「정보 이용자」가 아니라, 이 「기동자」에 요구되는 일도 있다. 이 기동자는 정보 이용자와 같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메이커가 기동자이며, 그 지정 목적이 예를 들면 「 고속도로 내에서 엔진 스톱되어 있는 자사제의 차를 알고 싶다」이며, 정보 이용자는 그 지구의 견인차의 회사인 경우 이다. 또한 반대로 기동자와 정보 이용자가 같은 것도 당연히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 고속도로 내에서, 제2 지구를 주행하고 있는 제2 주행 차량이, 전방 지구인 제1 지구의 일기를 알고 싶다」라는 지정 목적인 경우에는, 그 정보 이용자인 제2 주행 차량이 기동자이며, 또한 정보 이용자이다.
「목적 접수처리 기능」(2202)이란, 「기동자」(2201)로부터 주어진 「목적」을 접수하는 기능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목적」을 수취하는 경우에는 수신 기능을 겸비하여도 좋다. 「지식정보 등록자」(2203)란, 「정보 중개자」에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지정 목적) 변환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지식정보를 등록하는 자로서, 「정보 중개자」에 지식정보가 주어지는 장치라도 사람이라도 좋다. 「지식정보 등록처리 기능」(2204)이란, 「지식정보 등록자」(2203)로부터 주어진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기능으로서, 등록하여야하는지까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더불어 갖는다.
「지식정보 기억처리 기능」(2205)이란, 「지식정보 등록처리 기능」(2204)에서 등록하여야 할 「지식정보」라고 판단한 정보를 기억처리하는 기능이다. 「목적 변환처리 기능」(2206)이란,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2205)에 기억되는 지식을 이용하여 「지정 목적」을 「변환 후 목적」으로 변환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복수의 조건의 조합으로하는 처리인 것이다.
「장치·기기 인증용 정보 입력자」(2207)란, 「장치·기기」가 네트워크를통하여서도 「정보 중개자」로 인증할 수 있도록하는 인증처리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자로서, 「정보 중개자」에 인증용의 정보가 주어지는 장치라도 사람이라도 좋다. 이 인증 기능에 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장치·기기 인증처리 기능」(2208)이란, 「장치·기기 인증용 정보 입력자」(2207)로부터 주어진 인증용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 인증이란 「정보 중개자」와 「장치·기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상태로 하기 위해, 접속을 허가하는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것을 말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허가된 단말만이 정당하게 접속되는 것을 담보하기 위해 이 인증은 필요하게된다. 또한 이들 단말이,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의 「정보 제공자」 및 「정보 이용자」가된다.
「장치·기기 인증정보 기억처리 기능」(2209)이란, 「장치·기기 인증처리 기능」(2208)에서 인증처리된 「장치·기기」의 인증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이다. 「장치·기기 추출처리 기능」(2210)이란, 「목적 변환처리 기능」(2206)에서 변환처리된 「목적」에 합쳐서, 「장치·기기 인증처리 정보 데이터 베이스」(2209)에 기억되는 「장치·기기」 중에서 (목적」에) 알맞은 것을 「정보 제공자」 및 「정보 이용자」로 하여 추출(도 2에 개념도를 도시한다)하는 기능이다. 「목적정보 기억처리 기능」(2211)이란, 「장치·기기 추출처리 기능」(2210)에서 추출된 「정보 제공자」 및 「정보 이용자」를, 「목적 변환처리 기능」에서 변환처리된 「목적」과 함께 기억하는 기능이다.
다음에 도 23부터 도 26까지는, 지정 목적을 변환처리하는 구체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들은 도 13의 「목적 B」의 경우의 「목적 지정」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목적 지정이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정보 중개자」에 주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는 지정 목적이 복수의 조건으로 분해되고, 그 각각의 조건마다 정보 제공자로부터 보내여진 정보와의 매칭되게된다. 따라서 이 각 「조건」이란, 도 22의 목적정보 기억처리 기능(2211)의 목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단위이며, 또한 그것을 이용한 판정 가능한 요소마다와 같은 의미이다. 예를 들면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가 고속도로 주행중의 차량 스피드라고 하면, 도 23에 도시한 제공되는 정보는 차량 스피드이며,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시속이 산출된다. 따라서 지정 목적을 변환하는데 있어서는 이 평균시속의 데이터와 매칭 가능한 레벨까지 분해하여 목적하는 변환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전처리 조건」으로서 「정보 이용자(차량)」의 진행방향을 경과시간마다의 이동지점에서 산출할 수 있지만, 정차중인 차량 등의 경우를 고려하면 (어디로 가고 싶은지의 설문을 송신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정보 이용자인 유저에 직접 물어도 좋다. 도 23의 예에서는, 지정 목적인 「진행방향이 지체하고 있는지를 지금 알고 싶다」를 「진행방향이」, 「지체하고 있는지를」, 「지금 알고 싶다」로 나누고, 그들은 도 22의 지식정보 기억처리 기능(2205)의 목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단위인 전처리 조건, 지역 조건, 머신 조건, 제공정보 조건, 판정 조건, 그리고 출력 조건으로 분해되어 다음 처리를 행하기 위해 선별 판정처리 기능(2212)으로 보내여진다.
도 24는 마찬가지로, 도 16의 「목적 C」인 경우의 「목적 지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즉 이 지정 목적은 「관리하고 있는 자동판매기가 거스름돈 떨어짐을 일으키면 가르쳐 주었으면 좋겠다」라는 것이다.
도 25도 마찬가지로, 도 16의 「목적 D」인 경우의 「목적 지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지정 목적은 「관리하고 있는 자동판매기에, 외부로부터 이상한 충격을 가해지면 가르쳐 주었으면 좋겠다」라는 것이다. 이 경우, 자동판매기의 진동·충격의 감시는 「정보 제공 서버」부터의 액세스에 의한 감시이지만, 자동판매기의 진동·충격 센서가 이벤트형(도 3 참조)이면, 센서로부터의 통지를 기다리면좋다.
또한 도 26도 마찬가지로, 도 17의 「목적 E」인 경우의 「목적 지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지정 목적은 「등록된 차량이, 트러블(사고, 고장)을 일으키면 가르쳐 주었으면 좋겠다」라는 것이다. 또한 상술이 접수한 목적 지정을 정보 중개자 서버가, 어떻게 변환하여 처리하는지는, 해당 출원인이 이미 출원 한 일본특허 제3, 151, 951 및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7-160, 514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머신 인증
다음에 도 27은, 「머신 인증」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이 기능 블록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자 서버(0302)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능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현실로는 통신 기능을 갖은 「장치·기기」가 「정보 중개자」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이미 도 22에서 그 개략에 관해 기술한 바와 같이, 이들의 「장치·기기」의 말하자면호적으로서 미리 정보 중개 서버에 등록을하는 것이 머신 인증이다. 이 인증에 의해 각각의 「장치·기기」의 속성이 파악될 수 있고, 또한 부정한 「장치·기기」의 본 시스템에의 진입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머신 인증은 정보 중개자와의 교환을 하기 위한 전처리(준비)이다. 환언하면 「정보 중개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장치·기기」에 대하여, 미리 「인증서(정보)」(2701)를 발행하여 두고, 이 「인증서정보」에 의거하여 상대편의 「장치·기기」가 어떤것인지를 식별하고 있다. 이 「인증서정보」(2701)는, 예를 들면 「머신 코드」라 불리는 「장치·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나, 접속이 허가되기 위한 예를 들면 「암호키(열쇠)」등의 「암호」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에 도시한 머신 인증에 관한 일련의 기능은, 「정보 중개자」로부터 독힙하여 예를 들면 「머신 인증국(머신 인증 서버)」라하는 바와 같이 「장치·기기 인증자」로서 별개로 존재하여도 좋다.
동 도면중, 장치, 기기 인증용 정보 입력자(2207)로부터 입력된 인증용 정보(2702)는 정보 중개 시스템의 「장치·기기 인증처리 기능(2208)(도 22중의 2208 참조)」에 입력된다. 이 「장치·기기 인증처리 기능」(2208)은, 구체적으로는 「인증용 정보 수신처리 기능」(2703), 「장치·기기 인증 판정 기능」(2704) 및 「인증서 발행처리 기능」(270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장치·기기 인증 판정처리 기능」(2704)이란, 「인증용 정보 수신처리 기능」(2703)에서 수신한 「인증용 정보」(2702)에 의거하여, 어떠한 「장치·기기」인 것인지, 고정되어 있으면 (리얼한 세계에서) 어디에 있는 것인지, 어떤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인지, 등의 머신 속성정보를 체크하고, 미리 정하는 기준을 충족시켰으면, 인증서의 발행을 허가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인증용 정보」(2702)를 「인증서 발행처리 기능」(2705)에 보낸다).
「인증서 발행처리 기능」(2705)은, 「장치·기기 인증 판정 기능」(2704)으로부터 수취한 「인증용 정보」(2702)에 대하여 「인증서정보」(2701)를 할당하여 (발행하고), 「인증용 정보」로 할당한 「인증용 정보」를 조(組)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기 위해서 「장치·기기 인증정보 기억처리 기능」(2209)(도 22 참조)에 보낸다. 또한 「인증용 정보」에 기재되는 「장치·기기」의 어드레스에 「인증서정보」(2701)를 보내기 위해, 「인증서 송부처리 기능」(2707)에 「인증서정보」를 보낸다. 이 「인증서정보」(2701)가 말하자면 상술한 바와 같이 머신의 호적정보이며, 이에 의거하여 「장치·기기」와 「정보 중개자」와의 정보 교환이 그 후에 실행된다.
도 28은 「머신 인증」처리(2800)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것은 도 27에서 설명한 블록도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스텝 2801에서 도 27에 도시한 신규의 장치·기기의 인증용 정보(2702)가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스텝 2802에서는 그 수신한 인증용 정보는 미리 정하는 요항을 충족시키는지 체크된다. 여기서 말하는 「인증용 정보」에 요구되는 「미리 정하는 요항」이란, 「목적 지정」된 「정보 중개자」가(「목적」에 따른) 「장치·기기」를 「정보 제공자」 및 「정보 이용자」로 하여 추출하는데 필요한 정보인 것이다. 환언하면, 「미리 정하는 요항」이란, 부정한, 또는 불비한 정보의 입력을 배제하기 위한 정보이다. 따라서 「미리 정하는 요항」에 부족이 있는 「장치·기기」에는 「인증서정보」가 발행되지 않고, 그 결과는 스텝 2806, 2807에서 「인증용 정보」를 (「정보 중개자」에게) 송신하여 온 「장치·기기 인증용 정보 입력자」에 「인증서정보는 미발행」이라 하여 회신된다.
또한 「미리 정하는 요항」을 충족시켜, 「인증서정보」가 발행되는 경우에는 스텝 2803에서 인증용 정보(2702)의 대상이 되는 장치·기기에 인증정보를 발행하고, 스텝 2804에서 발행한 인증서정보(2701)를, 수신한 인증용 정보(2702)와 함께 기억부에 기억하고, 또한 스텝 2805에서 발행한 인증서정보를 인증용 정보에 기재되는 「장치·기기」의 어드레스에 송신하여 인증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인증서정보」(2701)를 수신한 「장치·기기」, 즉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의 정보 이용자, 정보 제공자는 이후, 이 「인증서정보」에 기재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정보 중개자」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의 교환을 할수 있게된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한 「인증용 정보」(2702)의 구체적인 정보 내용을 도시한 1예가 도시되어 있다. 인증용 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이용자, 또는 상태 제공자로서의 각 단말이,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정당하게 접속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호적정보 또는 ID정보이다. 이 인증용 정보는 크게 나누어, 머신 정보 요소(2910), 머신 환경 요소(2920), 그리고 머신 관리자(유저) 요소(2930)가 생각된다. 단지 이 인증용 정보는 반드시 이들의 속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 중개 시스템에 합치하는 요소를 선택하면 좋다.
여기서 「머신 정보 요소」(2910)란, 「장치·기기」의 특성에 관한 정보로서, 「정보 이용자」인 때에 필요한 정보가 되는 「정보 이용자 요소」(2911)와, 「정보 제공자」인 때에 필요하게 되는 「정보 제공자 요소」(2914)로 크게 나누어진다. 전자의 「정보 이용자 요소」(2911)에는, 「장치·기기」의 종류나 속성이 어떤 것인지를 나타낸 「머신 카테고리 요소」(2912)나, 「장치·기기」의 존재 목적은 어떤것인지(무엇을 위한 「장치·기기」인지)를 나타낸 「존재 의의(머신 목적) 요소」(2913) 등이 있다. 한편 「정보 제공자 요소」(2914)란, 어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인지를 나타낸 「머신 제공정보 요소」(2915)나, 어떠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인지를 나타낸 「머신 제공방법 요소」(2916) 등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제공방법」이란,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요감시형」, 「자립형」, 「이벤트형」등인 것이다.
「머신 환경 요소」(2920)란, 「장치·기기」의 환경에 관한 요소로서, 「장치·기기」가 실제로 설치되는 (리얼 월드의) 설치 장소를 나타낸 「머신 설치장소」(2921)나, 네트상에서의 주소인 「네트 어드레스」(2922) 등이 있다. 「머신 설치장소」의 정보는, 도 18에 도시한 「보수자」나 「보안자」가 실제로 「장치·기기」의 곳까지 더듬어 도착하는데 필요한 정보가된다. 「장치·기기」가 이동체인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되지만, 그 후(인증처리 후)에 (장치·기기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후에)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써넣어, 활용하여도 좋다. 「네트 어드레스」의 정보는, 「정보 중개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된다. 「머신 관리자(유저) 요소」(2930)란, 대가의 교환을 행하기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도 10에 도시한 「누계대가」의 청산 상대가된다. 이 「인증용 정보」의 대상이 되는 「장치·기기」 자체라도 좋다.
도 30은, 도 27에 도시한 「인증서정보」(2701)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1예이다. 이 인증서정보(2701)는, 「정보 중개자」가 「장치·기기」를 관리하기 위해 편의상 주어지는 코드인 「식별 코드(머신 코드)」(3001)와, 「식별 코드」라고 구성 되고, 인증된 「장치·기기」가 통신시에 틀림 없음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는 「암호키 정보」(300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인증서정보」란, 「장치·기기」가 「정보 중개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정보인 것으로서, 「장치·기기」로부터의 송신에는 이 「인증서정보」가 반드시 포함되게 되고, 이로써 장치, 기기, 즉 정보 제공자, 정보 이용자의 확인이 가능하게된다.
한편, 도 31은, 도 27에 도시한 장치, 기기 인증정보 기억처리 기능(2706)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기억되는, 「장치·기기 인증정보」(3100)의 구성을 도시한 구체예이다. 이 「장치·기기 인증정보」(3100)는 이미 기술한 도 27의 「인증서정보」(2701)와, 「인증용 정보」(2702)가 개별의 「장치·기기」마다 조(組)로 되어있다. 각 장치, 기기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의 서버에 보내여진 정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서정보(3000)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인증서정보를 기초로, 그 정보의 상세한 속성으로서의 인증용 정보가 얻어지고, 보내여져 오는 정보가 그 속성에 의거하여 활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정보 제공자」, 「정보 이용자]」, 「가치」를 갖는 「정보」의 정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해결하는 과제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6은 「정보 중개자」의 정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정보 중개자의 기본적인 역할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정보 중개자의 기본적인 역할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정보 중개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도 10은 「대가 중개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도 11은 정보의 가치를 판정하는 척도를 나타낸 개념도.
도 12는 정보의 가치를 판정하는 척도를 나타낸 개념도.
도 13은 동일한 장치·기기가 정보 제공자이거나, 정보 이용자이거나가 목적에 따라 변하는 구체예를 나타낸 도.
도 14는 도 13을 목적마다 도시한 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방식(M2M 방식)과 종래 방식의 비교를 도시한 도.
도 16은 복수의 목적을 동일한 장치·기기를 대상으로 실행하고 있는 경우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
도 17은 동일한 장치·기기가 이벤트 발생(상태의 변화)에 의해 역할이 변하는 경우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대가」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의 「대가」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21은 「목적 지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2는 「목적 지정」의 실현 수단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도 23은 「목적 지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4는 「목적 지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5는 「목적 지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6은 「목적 지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7은 「머신 인증」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8은 「머신 인증」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9는 「인증용 정보」의 구체예를 설명한 설명도.
도 30은 「인증서정보」의 구체예를 설명한 설명도.
도 31은 「장치·기기 인증정보」의 구체예를 설명한 도.
도 32는 「네트워크 단말」보다 「네트워크 센싱기기」쪽이 각별히 많은 것과, 그 해결책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현 수단 예인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4는 본 발명의 「장치·기기 인증 서버」의 하드 블록도
도 35는 본 발명의 「목적 지정 서버」의 하드 블록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정보 중개 서버」의 하드 블록도.
도 37은 본 발명의 「대가 중개 서버」의 하드 블록도.
도 38은 「장치·기기 인증 서버」의 연산부의 흐름도.
도 39는 「목적 지정 서버」의 연산부의 흐름도.
도 40은 「목적 지정 서버」의 연산부의 흐름도.
도 41은 「정보 중개 서버」의 연산부의 흐름도.
도 42는 「정보 중개 서버」의 연산부의 흐름도.
도 43은 「대가 중개 서버」의 연산부의 흐름도.
도 44는 각 서버의 DB와 정보의 흐름을 설명한 블록도.
도 45는 본 발명의 「장치·기기」의 하드 블록도.
도 46은 본 발명의 「장치·기기」의 하드 블록도.
도 47은 본 발명의 「장치·기기」의 기능 블록도.
도 48은 「장치·기기」의 연산부의 흐름도.
도 49는 「장치·기기」의 연산부의 흐름도.
도 50은 「장치·기기」의 연산부의 흐름도.
도 51은 도 45의 「장치·기기 전용 기능부」의 상세예.
도 52는 도 45의 「장치·기기 전용 기능부」의 상세예.
도 53은 도 51, 52의 보충 설명.
도 54는 도 13의 「목적 A」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5는 도 13의 「목적 A」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6은 도 13의 「목적 A」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7은 도 13의 「목적 B」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8은 도 13의 「목적 B」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9는 도 13의 「목적 B」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60은 도 57, 도 58, 도 59의 「정보 이용자」 탑재 단말의 구체예.
도 61은 도 57, 도 58, 도 59의 「정보 이용자」 탑재 단말의 구체예.
도 62는 도 57, 도 58, 도 59의 「정보 이용자」 탑재 단말의 구체예.
도 63은 도 57, 도 58, 도 59의 「정보 이용자」 탑재 단말의 구체예.
도 64는 도 57, 도 58, 도 59의 「정보 이용자」 탑재 단말의 구체예.
도 65는 도 57, 도 58, 도 59의 「정보 이용자」 탑재 단말의 구체예.
도 66은 도 57, 도 58, 도 59의 「정보 제공자」 탑재의 단말의 구체예.
도 67은 본 발명의 「장치·기기」의 하드 블록도.
도 68은 각 서버의 DB와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69는 도 68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70은 도 68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71은 도 68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72는 도 67에 도시한 「장치·기기」의 외관 예.
도 73은 도 16의 「목적 C」 및 「목적 D」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74는 도 16의 「목적 C」 및 「목적 D」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75는 도 16의 「목적 c」 및 「목적 D」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76은 도 16의 「목적 c」 및 「목적 D」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77은 각 서버의 DB와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78은 2차 이용 형태의 구체예를 설명한 설명도.
도 79는 「목적 지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80은 도 78에 도시한 목적 지정형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81은 도 78에 도시한 목적 지정형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82는 도 78에 도시한 입찰형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83은 내부 고도정보 가공형의 정보 중개 시스템의 특이점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84는 외부 고도정보 가공형의 정보 중개 시스템의 특이점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01 : 정보 중개자 서버 0303 : 요감시형 정보 제공자
0304 : 자립형 정보 제공자 0305 : 이벤트형 정보 제공자
0401 : 정보 제공자 0402 : 정보 이용자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는 구성 부품의 치수,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만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 예에 불과하다.
도 33은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0001)의 전체도를 도시하고, 그 실현수단 예인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 이후의 기술은 지금까지 설명한 발명의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1실시형태에 지나지 않는다. 본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정보 네트워크(3304)에 네트워크 접속 서버(3301와 3302)를 경유하여,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서버군(3300)과, 복수의 장치, 기기(4400)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서버군(3300)이란, 도 1 내지 도 3의 정보 중개자 서버(0101),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한 구체적인 정보 중개자 서버(1304)에 상당한다. 또한 본 정보 중개 시스템(0001)을 기동하기 위해 상기한 양자와는 별도로, 네트워크 접속 서버(3303)를 경유하여 기동자 서버(3310), 기동자 단말(3311) 및 이 정보 중개 시스템으로부터 출력정보를 받아,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접속 서버(3303)를 경유하여 보수자 서버(3320), 기동자 단말(3321)이 접속되어 있다.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서버군(3300)는 본 정보 중개 시스템을 가동시키는 중핵적존재로서, 말하자면 정보 중개센터에 상당한다. 한편 복수의 장치, 기기(4400)는 각각 그것이 통신 기능을 구비한 예를 들면 각종 센서류를 장비하고있고, 그 센싱정보를 상기한 정보센터에 보내는 정보 제공자로서, 또는 반대로 정보센터로부터 정보를 수취하는 정보 이용자일 수도 있다. 기동자 서버(3310)는 이 정보 중개 시스템에 무엇을 시키는지를 입력하는 단말로서(목적 지정의 입력), 주로 시스템의 시작시에 가동시킨다. 보수자 서버는 주로 보수 등의 현실적인 액션이 필요할 때에, 본 정보 중개 시스템으로부터 정보가 출력되는 단말이다.
도 33의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서버군(3300)은, 「장치·기기 인증 서버」(3400), 「목적 지정 서버」(3500), 「정보 중개 서버」(3600) 및 「대가 중개 서버」(3700)의 각 서버군으로 구축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서버군(3300)중의 각 서버는 어느것인가의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서버군을 통괄하는 「(정보 중개자) 통괄 서버」가 있어도 좋다. 또한 「정보 중개 서버」에 부담이 걸리는 경우에는, 「장치·기기」가 존재하는 에어리어마다 복수의 서버로써 역할을 분할하여 대응하여도 좋다.
상기한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서버군(3300)에 관해서는, 이 이후, 도 34부터 도 44를 참조하여 상술하고, 각 서버군(3400내지 3700)에 관해서는, 도 45부터 도 53을 각각 참조하여 상술한다.
서버군
도 34는,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0001)의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버군(3300)중에 비치된 「장치·기기 인증 서버」(3400)의 하드 블록도이다. 이 「장치·기기 인증 서버」(3400)란, 「정보 중개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장치·기기」를 인증(머신 인증)하고, 인증한 「장치·기기」에 「인증서」를 발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이다. 도 27의 「머신 인증」을 설명하는 블록도에 대응한다. 이것은 본 정보 중개 시스템에 그 장치, 기기를 접속하는데 있어서, 그 장치, 기기가 정당한 권한을 갖는 단말인 것을 이 인증서에 의해 증명하고, 본 중개 시스템을 외부로부터의 부정한 액세스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마찬가지로 다른 서버에 관해서도, 우선 그 구성 요소 각기에 관해 설명하고, 그 후 흐름도를 참조하여 각각의 서버 내에서 어떻게 정보가 처리되는지를 설명한다.
하드 구성
동 도면중, 「MM(맨 머신) 입출력부」(3401)란, 서버가 조작자와 여러가지의 교환을 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을 갖는 부위이다. 입력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키보드, 텐키[ten key], 마우스, 바코드 리더 등이 해당하고, 「조작자」의 입력이 서버의 시스템에 대하여 정보를 전달한다면 그 종류는 묻지 않는다. 또한 출력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이 해당하고, 「조작자」에 대하여 서버의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될 수 있다면 그 종류는 묻지 않는다.
「연산부」(3402)란, 각 기능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동, 처리하기 위한 연산 기능을 갖는 부위이다. 일반적으로 CPU(중앙연산장치)로 구성된다. 「메모리부」(3403)란, 「연산부」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실행 에어리어(RAM·ROM)의 부위이다. 「네트워크 인증부」(3404)란,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취한 정보가 어떤 「장치·기기」로부터의 정보인지를 인증하고 있는 부위이다. 「통신부」(3405)란, 네트워크를 통한 외부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부위이다. 「DB 관리부」(3406)란, 여러가지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 실체를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부위이다. 「처리 프로그램」(3407)이란, 「장치·기기 인증 서버」의 (역할에 따른 다른 서버와의 교환을 포함하는) 이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인 것이고, OS(오퍼레이션 시스템)도 여기에 포함된다. 「장치·기기 인증 정보원 DB(데이터베이스)」(3408)란, 다른 서버에서 이용되는 「장치·기기」의 인증정보의 근본이 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DB이다. 「그 밖의 프로그램·데이터」(3409)란, 상기 이외의 예를 들면 조작자가 사용하는 워드프로세서나 표계산 등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나 그들에 부수되는 데이터가 해당한다.
도 35는,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0001)의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버군(3300)중에 비치된 「목적 지정 서버」의 하드 블록도이다. 이 「목적 지정 서버」(3500)란, 「기동자」로부터 접수한 「목적」을 「정보 중개 기능」에 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이다. 도 22의 「목적 지정」의 실현 수단을 설명하는 기능 흐름도에 대응한다. 또한 「MM(맨 머신) 입출력부」, 「연산부」, 「메모리부」, 「네트워크 인증부」, 「통신부」,및 「DB 관리부」에 관해서는 상술한 도 34에 있는 장치, 기기 인증 서버(3400)에 있어서의 대응부와 같은 기능을 갖기 때문에 설명을 할애한다.
「처리 프로그램」(3501)이란, 「목적 지정 서버」의 (역할에 따른 다른 서버와의 교환을 포함하는) 이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인 것으로서, OS(오퍼레이션 시스템)도 여기에 포함된다. 「장치·기기 인증정보 DB」(3502)란, 장치·기기 추출처리 기능에서 추출되는 「장치·기기」의 정보를 기억하는 DB이다. 「지식정보 DB」(3503)란, 목적 변환처리 기능에서 「목적」의 변환에 이용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DB이다. 「목적정보원(情報元) DB」(3504)란, 「정보 중개 서버」에서 이용되는 「목적」 정보의 근본이 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DB이다. 「그 밖의 프로그램·데이터」(3504)란, 상기 이외의 예를 들면 조작자가 사용하는 워드프로세서나 표계산 등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나 그들에 부수되는 데이터가 해당한다.
도 36은,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0001)의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버군(3300)중에 비치된 「정보 중개 서버」(3600)의 하드 블록도이다. 「정보 중개 서버」란, 주어진 「목적」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장치·기기」중에서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의 역할을 정하고, 「목적」에 충족된 정보만을 「정보 이용자」에 송신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이다. 도 9의 「정보 중개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에 대응한다. 또한 「MM(맨 머신) 입출력부」, 「연산부」, 「메모리부」, 「네트워크 인증부」, 「통신부」 및 「DB 관리부」에 관해서는 상술한 도 34에 있는 장치, 기기 인증 서버(3400)에 있어서의 대응부와 같은 기능을 갖기 때문에 설명을 할애한다.
「처리 프로그램」(3601)이란, 「정보 중개 서버」의 (역할에 따른 다른 서버와의 교환을 포함하는) 이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인 것으로서, OS(오퍼레이션 시스템)도 여기에 포함된다. 「장치·기기 인증정보 DB」(3602)란, 정보 수신처리 기능에서 수신되는 「장치·기기」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기억하는 DB이다. 「목적정보 DB」(3603)란, (선별 판정처리 기능으로 이용되는) 「목적」 및 (목적 달성/완료 판정처리 기능에서 판정된) 「목적」을 충족시킨 정보를 기억하는 DB이다. 「취득정보 DB」(3604)란, 선별 판정처리 기능에서 「목적」에 관여하는 정보로서 선별된 정보를 기억하는 DB이다. 「목적 달성/완료정보원 DB」(3605)란, 「목적」이 달성 또는 완료한 정보를 「목적」, 「정보 제공자」 및 「정보 이용자」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DB이다. 「대가 중개 서버」에서 실행하는 처리의 근본이된다. 「그 밖의 프로그램·데이터」(3607)란, 상기 이외의 예를 들면 조작자가 사용하는 워드프로세서나 표계산 등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나 그들에 부수되는 데이터가 해당한다.
도 37은,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0001)의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버군(3300)중에 비치된 「대가 중개 서버」(3700)의 하드 블록도이다. 「대가 중개 서버」(3700)란, 「목적」에 충족된 정보를 「정보 중개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그 정보에 의거하여 대가를 분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이다. 도 10의 「대가 중개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흐름도에 대응한다. 또한 「MM(맨 머신) 입출력부」, 「연산부」, 「메모리부」, 「네트워크 인증부」, 「통신부」 및 「DB 관리부」에 관해서는 상술한 도 34에 있는 장치, 기기 인증 서버(3400)에 있어서의 대응부와 같은 기능을 갖기 때문에 설명을 할애한다.
「처리 프로그램」(3701)이란, 「대가 중개 서버」의 (역할에 따른 다른 서버와의 교환을 포함하는) 이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인 것으로서, OS(오퍼레이션 시스템)도 여기에 포함된다. 「목적 달성/완료 DB」(3702)란, 「정보 중개 서버」에서 「목적」을 달성 또는 완료한 정보 및 어떤 「장치·기기」가 이용되었는지를 기억하는 DB이다. 「누계대가정보 DB」(3703)란, 대가 누계처리 기능에서 처리한 결과를 기억하는 DB이다. 「그 밖의 프로그램·데이터」(3704)란,상기 이외의 예를 들면 조작자가 사용하는 워드프로세서나 표계산 등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나 그들에 부수되는 데이터가 해당한다.
각 서버에 있어서의 연산부와 그 흐름도
다음에 상술한 각 서버에 있어서, 각 서버 공통의 연산부(3402) 사이에서의 처리 순서에 관해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8은, 「장치·기기 인증 서버」(3400)의 연산부의 흐름도로서, 도 34의 하드 블록도와 도 27의 기능 블록도에 대응하고 있다. 스텝 3801에서 우성 인증용 정보의 대상이 되는 신규의 장치·기기에 인증서정보가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정보 중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 기기는 그 정당성을 증명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27에 있는 장치·기기 인증용 정보 입력자란, 이 장치, 기기의 인증을 받고자하는 신청자가 이에 상당한다. 이로써 시스템의 안전성, 신뢰성이 담보될 수 있다. 만약 인증용의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스텝 3802에서 수신한 인증용 정보는 미리 정하는 요항을 충족시키는지 체크되고, 만약 그 요건을 충족시켰으면 스텝 3804에서 인증용 정보의 대상이 되는 장치·기기에 인증서정보를 발행한다. 그 후, 발행한 인증서정보를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함께 장치·기기 인증 정보원 DB에 기억하여 실제로 인증서를 발행할 때에 사용된다. 그리고 스텝 3805에서 발행한 인증서정보를 인증용 정보에 기재되는 어드레스 즉 그 장치, 기기에 송신하고, 인증 필인 취지의 세트를 행한다. 또한 한편으로는 스텝 3806에서는 발행한 인증서정보를 정보 중개센터에 있는 목적 지정 서버와 정보 중개 서버에 송신하고, 인증 필의 단말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스텝 3802에서 그 수신한 인증용 정보가 미리 정하는 요항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부적격한 인증의 신청이라고 보아, 스텝 3807에서 수신한 인증용 정보를 파기하고, 또한 스텝 3809에서 인증용 정보의 송신원에 인증서정보의 미발행을 회신한다.
이와 같이 장치, 기기 인증 서버 내에서는 일련의 인증처리가 행하여져, 서버측, 및 장치, 기기측에 인증 필의 데이터가 세트되고, 이후, 이 인증서를 기초로 데이타 교환이 가능하게된다.
도 39는, 「목적 지정 서버」(3500)의 연산부의 메인 루틴에 관한 흐름도로서, 도 35의 하드 블록도와 도 22의 기능 블록도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스텝 3901에서 목적 수신에 앞서서, 장치·기기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서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부정한 액세스를 금지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수신하였으면 스텝 3902에서 수신한 인증서정보를 장치·기기 인증정보 DB에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 3903에서 기동자로부터 목적하는 수신이 있는지 체크된다. 여기서 기동자로부터의 목적이란,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의 정보 이용자가 얻고 싶은 정보를 특정하는 것이다. 스텝 3904에서는, 수신한 기동자에게 대응하는 인증서정보에 관해 장치·기기 인증정보 DB를 검색하고, 스텝 3905에서 기동자는 적정한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만약 부적정한 액세스라면 스텝 3906에서 불수리를 통지하고, 적정하면 스텝 3907에서 수신한 목적에 따른 지식을 지식정보 DB보로부터 판독한다. 즉 목적 변환을 어떻게 변환하면 좋은지의 지식을 얻는다. 그 후 스텝 3908에서는 그 판독한 지식에 의거하여 수신한 목적을 변환한다. 여기서 변환이란 도 23부터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의 조건을 선택하여 입력된 지정 목적을,변환 후 목적으로 분해, 변환하는 것이다.
스텝 3909에서는, 변환 후 목적에 알맞은 장치·기기를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로서 장치·기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추출한다. 이것은 이들 장치, 기기의 그 후의 액세스를 다음단의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 체크할 준비이다. 그리고 스텝 3910에서는 변환 후의 목적을 추출한 정보 제공자 및 정보 이용자와 함께 목적정보원 DB에 기억하고, 다음 스텝 3911에서는 정보 기억한 목적정보를 중개 서버에 송신하고, 최후에 스텝 3912에서 목적하는 수리(受理)를 기동자에게 송신하여 둔다. 이렇게 하여 다음단인 도 41에 도시한 정보 중개 서버에서의 처리가 준비된다.
도 40은, 「목적 지정 서버」(3500)의 연산부의 서브 루틴으로서의 흐름도로서, 도 35의 하드 블록도와 도 22의 기능 블록도에 대응하고 있다. 즉 지식정보 데이터 베이스(3503)는, 결코 고정이 아니라 항상 업데이트된다. 스텝 4001에서 지식정보 등록자로부터 지식정보의 수신이 있으면, 스텝 4002에서 그 수신한 지식이 등록 규정을 충족시켰는지 체크되고, 그 후 스텝 4003에서 그 등록 규정을 충족시킨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DB에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도 22의 지식정보 등록처리 기능(2204)에 의해, 지식정보 데이터 베이스(3503)는 업데이트된다.
도 41 및 도 42는, 「정보 중개 서버」(3600)의 연산부의 흐름도로서, 도 36의 하드 블록도와 도 9의 기능 블록도에 대응하고 있다. 이 「정보 중개 서버」(3600)는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의 중핵적인 서버로서, 지정 목적을 충족시키는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 제공이 있으면, 그 목적정보를 충족시킨 정보를 정보 이용자에게 보내는 처리를 행한다. 이하, 각 스텝마다 설명한다.
우선 전술한 스텝 3806에서 장치, 기기 인증 서버(3400)로부터 보내여진 인증서정보의 수신이 있는지 스텝 4101에서 체크되고, 있으면 스텝 4102에서, 수신한 인증서정보를 장치·기기 인증정보 DB에 기억한다. 이로써 그 장치, 기기의 정당성이 확인될 수 있다.
다음에 마찬가지로 전술한 스텝 3911에서 목적 지정 서버(3500)로부터 보내여진 새로울 목적 지정(목적의 수신)이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있으면 스텝 4140에서 지정된 목적을 목적정보 DB에 기억한다. 없으면 이 스텝을 건너뛰어, 스텝 4105에서 장치·기기로부터의 정보의 수신있는지 체크된다. 즉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의 유무가 체크된다. 그래서 정보의 수신, 즉 새로운 정보 제공이 있으면, 스텝 4106에서 그 수신한 장치·기기에 대응하는 인증서정보에 관해, 장치·기기 인증정보 DB를 검색한다. 동시에 스텝 4107에서 수신 대상의 장치·기기는 적정한지, 즉 그 수신한 정보는 신뢰할 수 있는지가 체크되고, 만약 적절하지 않으면 스텝 4111에서 수신한 정보는 파기된다. 한편 그 정보는 적정하다, 즉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4108에서 수신한 장치·기기에 관해 목적정보 DB를 검색한다, 환언하면, 그 수신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목적정보의 유무가 체크된다. 즉 스텝 4109에서 수신한 장치·기기를 정보 제공자로하는 목적정보가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와 같을 목적정보가 목적정보 DB에 없으면, 수신정보는 버려진다. 스텝 4110에서는, 정보 제공자로부터 취득한 정보는 목적정보를 완전히 충족시키는지 체크되고, 충족시켰다고 판단되면, 스텝 4112에서, 그 목적정보를 충족시킨 정보가 정보 이용자에게 송신된다. 한편, 정보 목적을 완전하게는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스텝 4110에서 판단되면, 스텝 4113에서, 취득한 정보를 취득정보로서, 목적정보에 관련시켜 취득정보 DB에 기억하고, 또한 추가의 정보와 관련되게 만들기 위해 스텝 4101로 되돌려진다.
스텝 4112에서, 그 목적정보를 충족시킨 정보가 정보 이용자에게 송신된 후에, 스텝 4113에서는, 주어진 목적은 전부 완료하였는지 체크되고, 완전히 완료되지 않았으면, 스텝 4117로 가서, 송신한 정보를 목적 달성정보로서 목적정보에 관련시켜 목적 달성/완료정보 DB에 기억하고 나서, 대가를 계산하도록, 스텝 4118에서 기억한 목적 달성정보를 대가 중개 서버에 송신한 후에, 다음 목적 지정을 처리하기 위해 스텝 4101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4113에서 목적 완료하면, 스텝 4114에서 송신한 정보를 목적 완료정보로서 목적정보에 관련시켜, 목적 달성/완료정보 DB에 기억하고, 또한 스텝 4115에서 기억한 목적 완료정보를 대가 중개 서버에 송신하고, 후술하는 대가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 4116에서는 최종적으로 완료한 목적을 파기하고, 그 결과를 목적정보 DB에 기억하여, 일련의 정보 중개 서버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43은, 「대가 중개 서버」(3700)의 연산부의 흐름도로서 도 37의 하드 블록도와 도 10의 기능 블록도에 대응하고 있다. 이것은 정보 이용에 대한 정보료를 계산하고, 대가를 청구하는 처리를 행하는 서버에서의 처리이다.
우선 스텝 4201에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목적 달성/완료정보의 송신이 있는지체크되고, 있으면 스텝 4202에서 수신한 정보를 목적 달성/완료정보 DB에 기억한다. 그 후, 스텝 4203에서 일정기간 경과마다 스텝 4204의 목표 달성/완료 DB에서 목표 달성/완료정보를 판독하고, 대가 계산을 행한다. 즉 스텝 4205와 같이, 판독한 정보의 가치로부터 청구 대가를 정보 이용자마다 산출하고, 청구 대가를 결정하고, 스텝 4206과 같이 판독한 정보에 기억되는 정보 제공자를 전부 목적 달성/완료정보 DB로부터 추출한다. 스텝 4207과 같이 추출된 정보 제공자가 제공한 정보의 가치에 따라 분배비율을 정보 제공자마다 산출하고, 분배 대가를 결정하고, 스텝 4208에 있는 바와 같이, 결정된 청구 대가 및 분배 대가를 장치·기기마다 누계하여 누계대가 DB에 기억한다. 그리고 최후에 스텝 4209에서, 기억한 누계대가를 미리 정하는 송신처에 송신한다. 「미리 정하는 송신처」란, 기본적으로는 「목적 지정」을하는 「기동자」나, 「장치·기기」의 인증용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기기 인증정보 입력자」 및, 「장치·기기」 자체이거나한다. 「장치·기기」 자신인 경우에는 「인증서정보」에 기재되는 소유자에게 누계대가정보가 송신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의 정보 이용자, 정보 제공자는 이 장치, 기기를 이용하여 정보 중개 서버와 정보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하고 있다.
도 44는, 도 33 내지 도 43의 실시예를 보충 설명하기 위해서, 상술한 각 서버의 DB와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각 서버 내의 데이터 베이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성되고, 각각의 처리를 위해 다른 서버에게 보내여진다.
장치·기기
도 45는 본 발명의 「장치·기기」(4400)의 하드 블록도이다. 이 「장치·기기」란, 「장치·기기 인증 서버」로부터 미리 송신 되어 있는 인증서를 이용하여, 「정보 중개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교환을하는 장치나 기기인 것이다.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중개자(서버)」와의 사이의 정보의 교환 방식에 따라, 「요감시형」, 「자립형」, 「이벤트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처리 프로그램」(4401)이란, 「정보 중개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교환을 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인 것으로서, OS(오퍼레이션 시스템)이 별도 필요하면 여기에 포함된다. 「인증서정보 DB」(4402)란, 「장치·기기 인증 서버」로부터 송신된 인증서정보를 기억하는 DB이다. 이 인증서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중개 서버」에 액세스한다.
「장치·기기 전용 기능부」(4403)란, 개개의 「장치·기기」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전용 기능을 갖는 부위이다. 예를 들면 이 장치, 기기가 자동차의 속에 장비되는 경우에, 이 「장치·기기 전용 기능부」가 각 자동차 부품이다. 그 자동차 부품중에 예를 들면 센서 부품이 부가되어 있으면, 그 센서 부품이 도어 스위치나 외이퍼 스위치의 온/오프를 검지하게된다. 또한 정보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이 「장치·기기 전용 기능부」가, 예를 들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된다. 그 밖의, 연산부, 메모리부, 통신부, 네트워크 인증부 및 DB 관리부는, 도 34에 도시한 서버와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46은, 본 발명의 「장치·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하드 블록도이다. 이것은 센싱 기능을 갖는 「센싱 기기(일반적으로 센서)」 자체에 「정보 중개자 서버」와 교환하는 기능이 없는 경우의 예이다. 도 45와 같이 「장치·기기」란, 「장치·기기 인증 서버」로부터 미리 송신되어 있는 인증서를 이용하여, 「정보 중개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교환을하는 장치나 기기인 것이지만, 복수의 센싱 기기를 접속(중개)하기 때문에 「센싱 기기 터미널」이나 「센싱 기기 서버」(4501)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것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중개자(서버)」와의 사이의 정보 교환 방식에 따라, 「요감시형」, 「자립형」, 「이벤트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또한 「장치, 기기」(4501)를, 「센싱 기기 터미널」이라고 간주하는경우는 예를 들면 비교적 단순한 접속 수단으로 「센싱 기기」(4502, 4502, 4504) 등이 접속되는 경우이며, 한편 「센싱 기기 서버」라고 간주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비교적 고도한 접속 수단(통신 수단)으로 「센싱 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이다. 「센싱 기기」에 있어서의 「센싱부」란 센싱 기능을 갖는 부위로서, 그 센싱 방식은 용도나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다. 「센싱 기기」도 일반적으로 센싱 기능 실행을 위해 연산부, 메모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47은 본 발명의 「장치·기기」(4400 또는 4501)가 「정보 제공자」가 되는 경우의 기능 블록도이다. 여기서 「센싱 처리 기능」(4601)이란, 「장치·기기」의 용도나 목적에 따른 센싱를 실행하는 ( 센서) 기능이다. 또한 「인증서정보 기억 기능」(4602)이란, 상술한 「장치·기기 인증 서버」(3400)로부터 송신된 「인증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는 기능이다. 「인증서정보 부여처리 기능」(4603)이란, 「센싱 처리 기능」(4601)에서 취득된 센싱정보에 「인증서정보」를 부여하는 기능이다. 즉 센서 등의 정보에 대하여 인증서정보라는 말하자면 ID를 부여하고, 그 센서정보의 출처를 분명히하는 것이다. 이 처리에 의해, 센서정보가, 정보 중개 센터에 상당하는 정보 중개 서버(3600)에 보내여진 후에도 출처가명확하게 된다. 「정보 송신 기능」(4604)이란, 「인증서정보 부여처리 기능」(4603)에서 「인증서정보」가 부여된 센싱정보를 「정보 중개 서버」(3600)에 송신하는 기능이다.
각 장치, 단말에 있어서의 연산부와의 흐름도
도 48은, 「장치·기기」의 연산부의 흐름도로서, 도 45, 46의 하드 블록도와 도 47의 기능 블록도에 대응한다. 이 경우의 정보의 송신 타입은 요감시형이다. 이 요감시형이란 폴링방식의 송신 타입이다. 즉 「정보 중개 서버」(3600)로부터 송신 의뢰가 있을 때마다 정보를 송신한다.
우선 스텝 4701에서, 정보 중개 서버로부터 정보 송신의 의뢰가 있는지 체크된다. 만약 있으면 스텝 4702에서 의뢰 대상의 정보는 취득 필인지 체크된다.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로 말하면 상품인 주스나 담배 등의 잔량은 내장하는 센서에서 체크되어 있는지 등이다. 이미 그 정보가 취득되어 있으면 스텝 4703에서, 대상정보를 기억하는 DB를 검색하여, 그 정보를 취득한다. 만약 아직 정보가 취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4704에서, 대상정보를 센싱 처리 기능으로부터 취득한다. 그 후, 그 취득한 대상정보는 스텝 4705에서 정보 중개 서버에 송신된다.
도 49는, 「장치·기기」의 연산부의 흐름도로서, 도 45, 46의 하드 블록도와 도 47의 기능 블록도에 대응한다. 이 경우의 정보의 송신 타입은 자립형이다. 이 자립형이란 미리 정하는 기간 경과 후에 정보를 송신하는 타입이다. 즉 미리 정하는 기간이란 「정보 중개 서버」(3600)와 「장치·기기」 사이에 정하여저 있고, 일정기간마다 「장치·기기」의 자발적인 행위에 의해, 정보를 송신한다.
우선 스텝 4801에서, 미리 정하는 기간이 경과하였는지 체크되고, 만약 경과하였으면 스텝 4802에서 의뢰 대상의 정보는 취득 필인지 체크된다. 만약 취득 필이면 스텝 4803에서 대상정보를 기억하는 DB를 검색하여 그 정보를 취득한다. 만약 아직 취득하지 않았으면, 스텝 4804에서 대상정보를 센싱 처리 기능으로부터 취득한다. 그 후 스텝 4805에서, 그 취득한 대상정보를 정보 중개 서버에 송신한다.
도 50은, 「장치·기기」의 연산부의 흐름도로서, 도 45, 46의 하드 블록도와 도 47의 기능 블록도에 대응한다. 이 경우의 정보의 송신 타입은 이벤트형이다. 이 이벤트란,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에 이상한 충격을 내장하는 충격 센서가 검지하는 등을 말한다. 즉 「정보 중개 서버」(3600)와 「장치·기기」 사이에 미리 정하는 이벤트 발생마다 취득한 센싱정보를 「장치·기기」의 자발적인 행위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는 타입이다. 또한 상기 이벤트란, 예를 들면 이상 발생이나 (미리 정하는) 임계값을 초과한 등의 사상의 발생을 말한다.
우선 스텝 4901에서, 미리 정하는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만약 있으면, 스텝 4902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취득한 대상정보를 정보 중개 서버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돌발적인 사상에 대응하는 정보가 송신된다.
도 51은, 도 45의 「장치·기기 전용 기능부」의 상세예로서, 「장치·기기」가 차량인 경우의 구체예이다. 「 제어부」(5001)란, 각 부를 제어하는 부위인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연산부(CPU)나 메모리부 및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 제어부」는 각 부의 상태 검출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각각의 목적에 맞는 센싱 기기를 구비하고 있다(도 53 참조). 도면중의 각 부는 필요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차량의 유저인 (일반적으로) 드라이버는, 방향 조타부(5502)에 대해서는 핸들, 가속부(5003)에 대해서는 액셀 페달, 감속부(5004)에 대해서는 브레이크 페달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기동부(5005)에 대해서는 시동키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차량에 의도를 전달하고 있다. 「잔존 검출부」(5006)란,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잔존량을 검출하는 부위로서, 일반적으로 액면 센서 등이 이용된다. 「차량 위치 검출부」(5007)란,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부위로서, GPS 등과 같이 복수의 외부 기기(위성)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고,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전장품(電裝品) 조작부」(5008)란, 차량에 탑재되는 전장품을 조작하는 부위이다. 또한 전장품이란, 예를 들면 전자 록, 와이퍼, 라이트(차 외등), 윙커, 램프(브레이크 램프나 해저드 램프 등) 등이다. 또한 스피드 미터, (엔진의) 회전수계, 라디오나 CD플레이어 등의 오디오, 실내등 등도 전장품에 포함된다. 그 외에, 차량 중에는 필요로 하는 각 부의 상태를 검지하는 각각의 센서를 장비하고, 이들의 센싱정보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보내여진다. 이 센싱정보의 제공에 의해, 이 차량은 정보 제공자가 된다. 이에 대하여 정보 이용자는 필요한 목적 지정을 행함으로써, 이들의 센싱정보를 기초로 하여 필요한 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이들의 다종, 다양한 센싱 기기에서 검출된 센싱 신호는, 제어부(5001)로부터 「장치, 기기」 연산부(4404)에 보내여지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미 도 36에서 기술한 정보 중개센터에 있는 정보 중개 서버(3600)에 보내여진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0001)에서는, 이들의 신호정보는, 센싱정보의 정보 제공자및 정보 이용자의 정보로서, 정보 중개 서버에 보내여진다. 예를 들면 도 51에 도시한 자동차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목적 A, 즉 「일본에서 현재 비가 내리고 있는 지역을 알고 싶다」라는 목적에 대해서는, 전장품 조작부(5008)의 하나인 와이퍼의 온/오프 신호는 정보 제공자의 정보로서 정보 중개 서버에 보내여진다. 한편, 마찬가지로 전장품 조작부(5008)의 하나인 도어 키의 전자 록의 개/폐가 제어부(5001)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인 경우, 만약 운전자가 부주의로 차 내에 키를 남긴 채로 도어를 록하여 버렸을 때, 정보 중개 서버(3600)측으로부터의 전자 록 개방 지시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정보 중개 서버(3600)로부터의 도어 개방 신호는 정보 이용자로서 수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는, 「장치, 기기」는, 정보 제공자, 정보 이용자, 양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52는, 별도의 실시예인 도 45의 「장치·기기 전용 기능부」의 상세예로서, 「장치·기기」가 자동판매기인 경우의 구체예이다. 「제어부」(5110, 5120, 5130)란, 각 부를 제어하는 부위인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연산부(CPU)나 메모리부 및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각 부의 상태 검출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각각의 목적에 맞는 센싱 기기를 구비하고 있다(도 53 참조). 도면중의 각 부는 필요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유저 인터페이스의 대상은 자동판매기의 「보수 담당자」나 「보안 담당자」이다. 「주 제어부」(5101)란, 「경화·지폐처리 제어부」(5110), 「판매처리 제어부」(5120) 및 「표시 제어부」(5130)의 각 제어부를 통괄하는 제어부인 것이다. 각 제어부는 각각 컨트롤러를 갖는 것이 일밥적이지만, 컨트롤러를 가지지 않는 경우는 「주 제어부」가 그 대신을 담당한다. 「경화·지폐처리 제어부」(5110)란,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대가」를 수취하고, 진위를 판정하고 나서 투입된 대가액으로 「판매처리 제어부」(5120)에 대하여 상품의 제공을 허가하고, 제공한 상품에 상당하는 대가를 감산하고, 나머지 대가를 거스름돈(경화·지폐)으로 반환하는 부위이다. 「판매처리 제어부」(5120)란, 「보수 담당자」에 의해 투입된 상품을 적정한 온도로 보관하고, 「표시 제어부」(5130)의 「금액 표시부」(5131)에 (일반적으로) 부수되는 SW(스위치)를 「(대가를 투입한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누름으로써, 「경화·지폐처리 제어부」에서 판정된 대가액에 따라 상품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표시 제어부」(5130)란, 제공 가능한 상품과 값의 표시와, 상품 떨어짐 및 거스름돈 떨어짐을 표시하는 부위이다.
「충격 검출부」(5102)란, (외부로부터) 자동판매기에 가하여진 충격을 검출하는 부위로서, 「진동 검출부」(5130)에서 검출되는 진동과 합쳐서 방범(자동판매기에의 부정 행위를 검출하여 보안 담당자에게 통보함으로써, 부정 행위를 방지하여 머신을 지키는 것)에 이용된다. 「진동 검출부」란, 지진 등의 흔들림에 따르는 충격(예를 들면 자동판매기 본체가 쓰러지는 등)을 부정 행위로 오인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이용되는 (자동판매기에 가하여진 진동을 검출하는) 부위이지만,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장치·기기」가 진동을 느끼고 있지 않을 때에 진동을 검출한 경우는, 드릴 등의 기기로부터의 진동이나 (자동판매기 자체가)흔들리고 있는 행위 등에 의한 부정행위라고 간주할 수도 있다. 「설치 위치 검출부」(5104)란, 자동판매기의 현재 위치(설치 위치)를 검출하는 부위로서, 보통은 보수 담당자나 보안 담당자에의 통지(급행 장소를 알린다)에 이용되지만, 자동판매기가 이동된 경우에도(추적을 위해)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53은, 도 51, 도 52에 도시한 제어부의 보충 설명이다. 동 도면은, 「 제어부」(5201)는 각 부의 상태 검출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각각의 목적에 맞는 센싱 기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각 부가 각각 독자적으로 센싱 기기를 갖는 경우도 있어, 그 입력신호는 각 부에 입력된다. 즉 입력신호는 기본적으로 전기신호이기 때문에, 직접 취득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센싱 기기에 의해 입력신호를 얻는 것으로 된다.
정보 이용자/정보 중개 서버/정보 제공자, 상호간의 정보의 흐름(예 1)
도 54부터 도 56은, 도 13의 「목적 A」 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목적 A란, 「일본에서 현재 비가 내리고 있는 지역을 알고 싶다」라는 목적이다. 이 목적을 요구하는 것은 정보 이용자로서의 일기정보 센터의 서버이다. 이 일기정보 센터의 서버(1305)가, 현재 고속도로 내를 주행중인 차량으로부터, 그 와이퍼가 가동하고 있는, 즉 와이퍼의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되어 있는 검지정보를 기초로 그 지구의 일기를 간접적으로 추론하는 정보 입수의 수법이다. 도면중, 왼쪽에서부터 정보 이용자로서의 일기정보 센터 서버(1305), 정보 중개 서버군의 목적 지정 서버(3500) 및 정보 중개 서버(3600), 그리고 정보 제공자로서의 제1 주행 차량(1301)에서의 각각의 처리를, 시간 경과렬적으로 차트화한 것이다. 또한 주행 차량(5360)은 도 45, 51의 하드 블록도에 대응하고, 목적은 도 21에 대응하고 있다. 실제로는 정보 제공자인 주행 차량은 많은 차량을 상정하고 있지만, 이 예에서는 그 중의 1대인 제1 주행 차량(1301)에 관해, 정보 이용자(1305), 목적 지정 서버(3500), 정보 중개 서버(3600)와의 상호 관계를 예시한다. 또한 목적 지정 서버(3500), 정보 중개 서버(3600)는, 도 33에 도시한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서버군(3300)중에 마련되어 있다. 이하 동시 진행적으로 설명을 가한다.
우선 정보 이용자(1305)에서는, 강우지역 조사의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체크되고, 그 후 강우지역의 정보 취득을 목적으로 하여, 인증서정보를 부여하여 목적 지정 서버에 「일본에서 현재 비가 내리고 있는 지역을 알고 싶다」라는 목적을 송신한다. 또한 인증서정보를 부여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정보 이용자의 일기방법[?정보] 센터 서버의 진성(眞性)을 담보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정보 제공자로서의 주행 차량(5360)에서는 스텝 5361에서 일정기간 경과하였는지가 체크된다. 이것은 주행 차량으로부터의 정보 제공이, 도 3에 도시한 자립형인 것에 의한다. 만약 일정기간이 경과하였으면 스텝 5362에서, 차량 위치 검출부로부터 현재 위치를 취득하고, 인증서정보를 부여하여 정보 중개 서버에 송신한다. 이 현재 위치는 GPS 등으로 얻어진다.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스텝 5341에서, 정보 제공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하고, 스텝 5342에서, 수신한 정보를 취득정보 DB에 기억해 둔다. 한편 목적 지정 서버(3500)에서는, 스텝 5321에서, 정보 이용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한다. 여기서 정보 이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갖는 단말이라는 확인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스텝 5322에서, 수신한 목적을 지식정보 DB를 이용하여 변환한다. 즉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정목적을, 변환처리하여 변환 후 목적으로 분해한다. 이 변환처리에 의해, 다음단의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 데이터 베이스와의 매칭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변환 후의 목적을 정보 중개 서버에 송신하여 둔다. 또한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를 수취한 후에, 스텝 5341에서 스텝 5321과 같이, 정보 제공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한다. 그리고 스텝 5342에서, 수신한 정보를 취득정보 DB에 기억한다.
이상의 처리로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정보 이용자(1305), 정보 제공자5360의 양자로부터의 정보 입수가 완료한 것으로 되고, 이후는 주제인 정보 중개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스텝 5343에서,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취득정보 DB에 기억한 주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지역 조건에 적절한 정보 제공자를 추출한다. 이것은 목적으로 하는 지역을 주행중인 정보 제공자를 한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텝 5344에서, 그 추출한 정보 제공자에 대하여 와이퍼가 가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요구한다. 스텝 5663에서는, 요구된 정보 제공자인 주행 차량으로부터 전장품 조작부로부터 와이퍼가 가동중인지의 여부를 취득하고, 인증서정보를 부여하여 정보 중개자 서버에 송신한다. 그것을 수취한 정보 중개 서버측에서는 스텝 5345에서, 정보 제공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하고, 그 진위를 확인한다. 그리고 스텝 5346에서, 수신한 정보를 지역 조건마다 그 와이퍼 가동 상황을 집계하고, 스텝 5347에서, 그 집계 결과에 의거하여 강우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5348에서 판정 결과를 맵화 하고, 정보 이용자에게 송신한다. 또한 여기서의 데이터 가공은 정보 중개 서버에서의 부가가치를 붙이기 위해 적절히 레벨을 정하고 행하여진다. 정보 이용자인 일기정보 센터 서버에서는 스텝 5303에서, 그 수신한 정보를 DB에 기억하고, 스텝 5304에서,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일기정보 센터의 목적을 실행한다. 또한 정보 중개 서버에서는 판정 결과를 송신 후, 스텝 5349에서, 송신 결과와 목적 완료를 대가 중개 서버에 송신하고, 스텝 5350에서, 완료한 목적을 파기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는 정보 중개처리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지만, 그 후에 대가의 처리가 이루어저 각각에 대가의 누계가 계산되고 일정기간마다 요금부과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일기정보센터가 정보 이용자, 주행 차량이 정보 제공인 경우를 상정하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목적에 따라 정보 이용자, 정보 제공자는 반전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일기에 관한 예로 말하면, 주행 차량측에서 정보 중개 서버에 대하여, 「자기의 주행처인 어떤 지역의 일기를 알고 싶다」라는 목적 지정이 되었다고 한다. 정보 중개 서버는 일기정보센터로부터의 일기정보를 주행 차량에 제공한 경우에는, 상술한 예와는 반대로, 주행 차량이 정보 이용자, 일기정보센터가 정보 제공자가 되고, 따라서 대가에 관해서도, 주행 차량이 정보료를 지불, 일기정보센터가 정보료의 수취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정보 이용자, 정보 제공자의 입장은 목적 지정에 따라 반전하는 것은 상술과 같다.
정보 이용자/정보 중개 서버/정보 제공자, 상호간의 정보의 흐름(예 2)
도 57부터 도 59은, 도 13의 「목적 B」실행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여기서 목적 B란, 「진행방향이 지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고 싶다」라는 목적이다. 이 목적을 요구하는 것은 정보 이용자로서의 제2 주행 차량이며, 정보 제공자는 그 제2 주행 차량의 전방 지역을 주행중인 제1 주행 차량이다. 정보 중개 서버가, 제1 주행 차량의 평균시속을 입수하고, 그 평균속도로부터 그 지역의 지체 상황을 간접적으로 추론하는 정보 입수의 수법이다.
도면중, 왼쪽에서부터 정보 이용자로서의 제2 주행 차량(1302), 정보 중개 서버군의 목적 지정 서버(3500) 및 정보 중개 서버(3600), 그리고 정보 제공자로서의 제1 주행 차량(5360)에서의 각각의 처리를, 시간 경과렬적으로 차트화한 것이다. 또한 제1, 제2 주행 차량(1301, 1302)은, 도 45, 51의 하드 블록도에 대응하고, 목적은 도 23에 대응하고 있다. 실제로는 정보 제공자인 제1 주행 차량(1301)은 많은 차량을 상정하고 있지만, 이 예에서는 그 중의 1대에 대해, 정보 이용자(1302), 목적 지정 서버(3500), 정보 중개 서버(3600)와의 상호 관계를 예시한다. 동시 진행적으로 설명을 가한다.
우선 정보 이용자(1302)는 스텝 5401에서, 지체정보 취득의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체크되고, 입력이 되어 있으면 스텝 5402에서, 진행방향의 지체정보를 목적으로 하여, 인증서정보를 부여하여 목적 지정 서버에 송신된다. 인증정보를 부여하는 것은 정당한 권한을 갖는 단말로부터의 송신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정보 이용자인 제2주행 차량의 진행방향 지역을 주행중인 정보 제공자인 제1주행 차량(1301)에 있어서는, 스텝 5461에서, 일정기간 경과하였는지가 체크된다. 이것은 제1주행 차량으로부터의 정보 제공이, 도 3에 도시한 자립형인 것에 의한다. 일정기간 경과하였으면, 스텝 5462에서, 차량 위치 검출부로부터 현재 위치를 취득하고, 인증서정보를 부여하여 정보 중개 서버에 송신한다. 즉 정보 제공자의 제1주행 차량으로부터는 정기적으로 그 차량위치정보가 정보 중개 서버에 리포트되어 있다.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스텝 5441에서, 정보 제공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하고, 그리고 스텝 5442에서, 수신한 정보를 취득정보 DB에 기억해 둔다. 실제로는 수많은 제1주행 차량으로부터의 차량위치정보를 정보 중개 서버 내의 취득정보 DB에 기억해 두고,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하게 된다.
한편, 정보 이용자로부터 목적을 수취한 목적 지정 서버(3500)에서는, 스텝 5421에서, 정보 이용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하고, 스텝 5422에서, 수신한 목적을 지식정보 DB를 이용하여 변환한다. 여기서 변환이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적을 요소마다 분해하고,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와의 정합성을 취하는 것이다. 변환 후의 목적은 스텝 5423에서 정보 중개 서버에 송신된다.
이상의 처리로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정보 이용자(1302), 정보 제공자(1301)의 양자로부터의 정보 입수가 완료한 것으로 되고, 이후는 주제인 정보 중개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스텝 5443에서, 취득정보 DB에 기억한 주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지역 조건에 적절한 정보 제공자를 추출한다. 지역 조건이란 목적 지정되어 있는 제2 주행 차량의 진행방향 지역인 것이다. 스텝 5444에서는, 추출한 정보 제공자에 대하여 평균시속의 정보를 요구한다. 정보 제공자인 제1 주행 차량(1301)에서는, 스텝 5463에서, 구동륜의 회전에 의거하여 평균시속을 산출하고, 인증서정보를 부여하여 정보 중개자 서버에 송신한다. 지체정보가 이 평균시속으로 추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 중개 서버에서는, 스텝 5445에서, 정보 제공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하고, 스텝 5446에서, 수신한 정보를 지역 조건마다 집계한다. 즉 복수의 정보 제공자인 제1주행 차량(1301)의 데이터를 집계한다. 또한 도면중에서는 편의상, 1대의 제1 주행 차량을 예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차량으로부터 정보 제공이 보내여지고 있다.
계속해서 스텝 5447에서는, 집계 결과에 의거하여 지체 루트를 판정하고, 그 후, 스텝 5448에서 진행방향의 지체 정도와 대체 루트정보를 정보 이용자에 송신한다. 이들은, 정보 중개 서버 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도출된다. 스텝 5449에서, 송신 결과와 목적 완료를 대가 중개 서버에 송신하고, 스텝 5450에서는, 완료한 목적을 파기하여 정보 중개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정보 중개 서버로부터 정보 이용자에게 보내여진 정보는, 스텝 5403에서, 정보 이용자에게서 수신한 정보를 DB에 기억하고, 후술한 바와 같이 스텝 5404에서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최적 루트를 표시 수단에 표시한다.
단말의 구체예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이용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목적 지정의 입력을 위해 목적정보가 취득되면 그 목적정보의 표시를 위해, 일정한 기능을 갖는 표시기에 표시된다. 도 60부터 도 65에는 정보 이용자의단말의 1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6에는, 정보 제공자로서 이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의 표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0은, 도 57, 58, 59에 도시한 「정보 이용자」, 즉 지체정보를 얻고 싶은 제2 주행 차량에 탑재하는 장치, 기기를, 차량 적재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유용하는 경우의 구체예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중개 시스템 내에서, 때론 정보 이용자이며, 때론 정보 제공자인 본 중개 시스템인 유저는, 여기에 도시한 카 네비게이션과 같은 디스플레이 및 펑션 키를 갖은 정보 단말을, 장치, 기기 전용 기능부(4403)(도 44)의 일부로서, 장치, 기기(4400) 내에 마련할 수 있다.
지체정보만을 체크하는 경우나, 카 네비게이션(길 안내)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루트 결정을 위해 체크하는 경우 등이 있고,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사용방법은 여러가지가 되지만, 도 60, 61, 62, 63, 64, 65에서는 카 네비게이션의 루트 결정에 이용하는 단말의 1예이다. 단 이 표시 내용에만 한정하면 기존의 카 네비게이션과 동일하다.
도 61은, 도 60에서 「F1(메뉴)」을 눌러, 목적지를 지명으로 지정하는 화면의 구체예이다. 정보 이용자는 미리 자신이 등록하여 둔 지명을 선택함으로써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도 기존의 카 네비게이션의 1예이다.
도 62는, 「정보 중개자」에게 목적 지정을하는지의 여부를, 도 57, 58, 59의 「정보 이용자」(즉 이 경우엔 지체정보를 얻고 싶은 제2 주행 차량)에 타고있는 드라이버나 동승자 등의 탑승자에 대하여, 문의하고 있는 화면(확인 화면)의 구체예이다.
도 63은, 도 62에서 「정보 중개자」에게 목적 지정한 후의, 대기 상태를 도시한 화면의 구체예이다.
도 64는, 도 57, 58, 59의 「정보 이용자」 탑재의 차량적재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 중개자」로부터의 취득정보(이 경우는 목적지까지의 지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구체예이다.
도 65는, 도 57, 58, 59의 「정보 이용자」탑재의 차량적재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정보 중개자」로부터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루트를 산출하여 표시한 화면의 구체예이다.
한편, 도 66은, 도 57, 58, 59의 「정보 제공자」탑재의 차량적재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도 10에 도시한 「분배 대가(도면중의 환원 금액)」와 「누계대가(도면중의 누계금액)」을 표시하는 화면의 구체예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이용자와 정보 제공자는, 목적에 따라 전환되기 때문에, 단말도 이 양자의 기능을 갖는다. 즉 도 60, 61, 62, 63, 64, 65는 「정보 이용자」가 된 경우의 차량 적재 표시기의 표시 화면예이고, 도 66은 「정보 제공자」가 된 경우, 정보 이용자가 사용하는 같은 단말에서, 정보 제공료를 표시하는 화면예이다. 이 구체예라면, 도 60부터 도 65까지 도시한 정보 이용자에의 정보 표시 대신에, 정보 제공을 받지 않고서 반대로 정보 제공만을 한 경우에, 정보 제공료가 3.2원 지불되고, 그때까지의 누계금액이 130.0원이 된 것을 표시하고 있다. 물론 이 누계금액은, 본 장치, 기기가 정보 이용자로서 사용된 경우는 응분의 정보 대가가 요금부과되어 감산되고, 반대로 정보 제공자로서 사용된 경우에는 응분의 정보 제공료가 지불되어 가산된다. 이와 같이 경우에 따라, 정보 이용자, 정보 제공자의 어느 쪽으로도 될 수 있는 점이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기억매체 판독 기록부 장비 「장치·기기」(다른 실시 형태)
도 67은, 도 45의 「장치·기기」(4400)에 「기억매체 판독기록부」(5710)를 장비한 다른 실시 양태에 관한 「장치·기기」(5700)의 하드 블록도이다. 여기서 「기억매체」(5720)란, 「장치·기기」(5700)가 수취한 정보를 기억하는 매체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IC카드 등인 것이다. 구체적인 사용 예로서는, 도 60, 61, 62, 63, 64, 65에서의 「이용금액」의 감산이나 「환원금액」의 가산이다. 이용금액의 감산이라면 프리페이드 카드와 같은 사용법이 되고, 환원금액의 가산까지 포함시키면 데빗(debit) 카드와 같은 사용법이 된다. 「기억매체」(5720)가 일반적인 구매 행위(쇼핑 등의 지불)에 사용할 수 있으면 편리성은 더욱 향상한다. 또한 「기억매체」에 일반적인 구매 행위가 가능해지는 기능을 갖게 되지 않더라도, ATM 등의 입출금장치를 이용하여 「정보 중개자」가 갖는 은행 구좌와의 사이에서 (「기억매체」에 기억되는) 금액의 입출금에 따른 가감산을 실시하면 좋다.
도 68은, 상기와 같은 기억매체(5720)가 사용된 경우에 있어서의, 각 서버의 DB와 이 기억매체 사이에서의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것은 도 67의 실시예를 보충 설명하기 위해, ATM 등의 입출금장치를 이용하여, 「정보 중개자」의 구좌로 「기억매체」에 기억되는 누계금액의 청산을 실행하는 경우의 전체도이다. 이것은 기억매체를 사용하지 않는은경우의 도 44와 대비된다.
우선 정보 중개자가 있는 서버군(3300) 중에서는, 정보 이용자, 정보 제공자가 보유하는 장치, 기기에 관한 인증정보가 장치, 기기 인증 서버(3400)의 장치, 기기 인증 정보원 DB(3408)로부터, 목적 지정 서버(3500)의 장치, 기기 인증정보 DB(3502)와 정보 중개 서버(3600)의 장치, 기기 인증정보 DB(3602)에 보내여진다. 이것은 각각의 서버 내에서 데이터의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목적 지정 서버의 목적정보원 DB에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목적 지정이 변환처리된 변환 후 목적이, 본 발명의 중핵을 이루는 정보 중개 서버의 목적정보 DB(3603)에 보내여지고, 그래서 변환 후 목적에 나타낸 각종의 목적 요소마다의 정보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그 처리가 종료하여 목적 달성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목적 달성/완료정보원 DB(3605)로부터, 대가 중개 서버(3700)의 목적 달성/완료정보 DB(3702)에 완료 통지가 보내여지고, 그 결과로 대가가 계산되고, 누계대가정보 DB(3703)로부터, 그 누계대가가 기록매체(5720)에 기록된다. 그 기록매체를 소유하는 기록매체 보유자가 금융기관(5800)에 있는 ATM 등에서 정보 중개자 구좌(5801)에 구좌 액세스하여 입출금처리를 행한다. 그 후에 기억매체에는 데이터 기록이 행하여지고, 또한 별도로 대가 중개 서버에는 그 취지의 결과 통지가 보내여진다. 이상 일련의 처리로 기록매체, 예를 들면 IC카드를 이용한 입출금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69는, 도 68의 기록매체(5720)에의 데이터의 기록쪽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대가 중개 서버」는 도 37의 하드 블록도와 도 68의 블록도에 대응하고, 「장치·기기」는 도 67의 하드 블록도와 도 68의 블록도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68에 도시한 누계대가정보 DB(3703)에 의거하여, 기억매체(5720)로의 기록은「장치·기기」(5700)에 구비된 기억매체 기록부(5710)에서 실행된다.
우선 대가 중개 서버(3600)에서는 스텝 5901에서, 누계대가의 변경있는지 체크된다. 이 누계대가는, 그때까지 정보 제공, 또는 정보 이용이 되어 있으면, 각각 감산, 가산이 된다. 스텝 5902에서는, 만약 상술한 누계대가의 변경이 있으면, 변경대상이 되는 장치·기기에 변경 결과를, 정보 중개자의 구좌에서 인출할 수 있는 한도액으로서 송신한다. 즉 변경 대상이 되는 장치·기기의 보유자의 구좌에 정산액을 설정한다. 그 변경 결과를 받은 장치, 기기(5700)측에서는, 스텝 5911에서, 정보 중개자의 구좌에 대한 한도액을 수신 후, 스텝 5912에서, 수신한 한도액을 기억매체에 기록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기록매체(5720)에 말하자면 오프라인적으로 기록된 금액이, 장치, 기기 보유자의 권한으로 ATM 등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환언하면, 기억매체(예를 들면 IC카드 등)에 기록되는 「누계대가」는 금융기관에 보유하는 「정보 중개자」의 구좌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한도액으로서 취급된다.
이 경우, 정(正)잔액인 경우는 인출될 수 있게 되고, 기억매체가 대가 환원의 툴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70은, 도 68의 기록매체(5720)를 이용하여 장치, 기기(5700)를 이용하기 위한 허가/불허가를 컨트롤하는 구체적인 수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즉 기억매체(5720)가 장치, 기기에 삽입된 경우의 「장치·기기」의 연산부의 흐름도이다. 이것은 도 67의 하드 블록도와 도 68의 블록도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기록매체(5720)가 장치, 기기(5700)에 삽입되면, 스텝 5921에서 정보 중개자의 이용 지시가 있는지 체크된다. 즉 이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정보 중개료를 지불하고, 정보 중개의 이용을 받고 싶은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다음에 스텝 5922에서는, 기억매체에 기억되는 누계잔액을 판독하고, 스텝 5923에서, 그 기록매체, 예를 들면 IC카드에 누계잔액이 있는지 체크된다. 만약 충분한 잔액이 있으면 스텝 5924에서 정보 이용자에게 이용 메뉴 입력의 접수를 허가하고, 이후는 목적 지정 등의 입력으로 이동한다. 만약 잔액이 예를 들면 소정의 이용료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5925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억매체에 누계잔액이 없는 것을 지시 입력자에게 통지하여 정보 중개 서비스의 거절을 행한다
또한 기억매체(예를 들면 IC카드 등)에 기록되는 「누계대가」는 금융기관이 보유하는 「정보 중개자」의 구좌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한도액으로서 취급된다. 이 경우, 부(負)잔액(또는 영(零)잔액)인 경우(이용금액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한다)에 정보 중개자의 이용을 인정하지 않는 조치를 하면 기억매체가 이용 대가의 지불 툴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71은, 도 68의 금융기관의(호스트의 처리를 포함한다) 입출금장치, 예를 들면 ATM의 연산부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하드 블록도는 생략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일반적인 ATM과 동일한 구성이라도 좋다. 금융기관은 일반적으로 (정보 중개자 등의) 구좌정보를 호스트 컴퓨터에 갖지만, 기억매체에의 데이터 기록이나 실제로의 입출금 처리는 각처에 배치되는 ATM 등의 단말에서 실행된다. 이하의 처리는 ATM에서의 일반적인 오프라인 처리와 대차는 없다.
우선, 스텝 5931에서 기억매체 판독기록부에 기억매체의 삽입이 있는지, 즉ATM의 경우라면 카드 삽입이 있었는지가 체크된다. 이어서 스텝 5932에서, 기억매체에 기억되는 누계잔액을 판독하고, 또한 스텝 5933에서, 맨 머신 입력부, 즉 키보드에 의해 입출금처리의 지시 입력이 있는지 체크된다. 만약 그 지시가 입금 지시라면 스텝 5934에서, 입력 지폐·경화의 진위를 판정하고, 스텝 5935에서, 진위 판정 필의 지폐·경화의 입금액을 입금부에서 입금 처리한다. 한편, 출금처리라면 스텝 5936에서, 미리 정한 한도액 내에서, 키보드로부터 입력 지시된 출금액을, 출금부에서 출력처리한다. 이들의 입출금처리가 끝나면, 스텝 5937에서,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누계잔액 갱신을 기억매체에 기록한다. 이로써 새로운 잔액이 기록매체인 IC카드상에 기록된다. 그 후 스텝 5938에서, 처리 결과를 대가 중개 서버에 송신하고, 결과 통지를 행한다.
상술한 출금부에서의 출력처리란, 출금 지시가 있었던 금액을 기억매체에 기억시키는 한도액 범위에서 (정보 중개자의 구좌로부터) 불출하는 처리인 것이다. 이 불출 금액분은 기억매체에 기억되는 누계잔액으로부터 감액한다. 또한 입금부에서의 입금처리란, 입금액을 수취 (정보 중개자의 구좌에) 불입하는 처리인 것이다. 이 불입한 금액분은 기억매체에 기억되는 누계금액에 증액한다. 입출금처리에 따르는 금융기관의 수고량을 누계잔액으로부터 공제하는 경우도 있다.
도 72는, 도 67에 도시한 「기억매체 기록부」를 장비한 「장치·기기」(5700)의 외관을 도시한 구체예이다. 도 66의 예와 다른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 기록부(6001)에서 기록매체(IC카드 등)(5720)에의 기록처리가 행하여지는 점이다. 또한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안내 문언이 추가되어있다.
정보 이용자/정보 중개 서버/정보 제공자, 상호간의 정보의 흐름(예 3)
도 73부터 도 76은, 도 16의 「목적 C」 및 「목적 D」를 실행하는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목적 C란, 거스름돈 떨어짐이나 잔량(이 소량인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어떤 일정량 이하가 되면 연락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목적 D」는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 검출(도난이나 방범에 관여)이다. 이 목적을 요구하는 것은 정보 이용자로서의 장치, 기기 관리자 서버이다. 이 장치, 기기 관리자 서버가, 정보 제공자인 자동판매기에 장비된 거스름돈량(거스름돈 금액)을 검지하는 예를 들면 근접 센서의 검지신호나, 자동판매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검지하는 충격 센서 등의 검지정보를 기초로 그 자동판매기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추론하는 정보 입수의 수법이다. 도면중, 왼쪽에서부터 정보 이용자로서의 장치, 기기 관리자 서버(1605), 정보 중개 서버군의 목적 지정 서버(3500) 및 정보 중개 서버(3600), 그리고 정보 제공자로서의 자동판매기(1601)에서의 각각의 처리를, 시간 경과렬적으로 차트화 한 것이다. 또한 자동판매기(1601)는, 도 45, 52의 하드 블록도에 대응하고, 목적은 도 24, 도 25에 대응하고 있다. 실제로는 정보 제공자인 자동판매기는 많은 자동판매기를 상정하고 있지만, 이 예에서는 그 중의 1대에 관해, 정보 이용자(1605), 목적 지정 서버(3500), 정보 중개 서버(3600)와의 상호관계를 예시한다. 동시 진행적으로 설명을 가한다.
우선 정보 이용자(1605)는 스텝 6101에서, 자동판매기를 감시하는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즉 정보 이용자 자신이 이 정보 중개의 서비스를 받는지 여부의 리퀘스트가 나와졌는지를 체크한다. 그것이 있다고 하면, 스텝 6102에서 자동판매기의 감시를 목적으로 하여, 인증서정보를 부여하여 목적 지정 서버에 목적을 송신한다. 그 경우의 목적이란 상술한 목적 C로서, 거스름돈 떨어짐이나 잔량(이 소량인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어떤 일정량 이하가 되면 연락하는 것이다. 목적 지정 서버(3500)에서는, 스텝 6121에서, 정보 이용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한다. 이것은 정보 이용자의 진위를 담보하기 위해서이다. 스텝 6122에서는, 수신한 목적을 지식정보 DB를 이용하여 변환하고, 스텝 6123에서, 변환 후의 목적을 정보 중개 서버에 송신한다. 변환 후의 목적이란 구체적으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조건으로 분해한 목적이다.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스텝 6141에서, 일정시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이 경우는 도 3에 도시한 요감시형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 중개 서버측우로부터 정보 제공자인 자동판매기(1601)에 폴링을 보내기 위해 일정기간 경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문제로 하고있다. 단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송신 방법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의 자립형으로서, 자동판매기측에서 거스름돈의 잔액이 적어지면 자립적으로 그 취지의 신호를 정보 중개 서버(3600)에 보내더라도 좋다. 본 예에서는 일정시간 경과하면, 스텝 6142에서 자동판매기에 대하여 거스름돈량의 정보 송신을 요구한다. 자동판매기(1601)에서는 스텝 6161에서, 거스름돈 스톡부로부터 거스름돈량을 취득하고, 인증서정보를 부여하여 정보 중개자 서버에 송신한다. 정보 중개 서버에서는 스텝 6143에서, 정보 제공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한다. 이것도 자동판매기의 진위를 담보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스텝 6144에서, 수신한 정보를 미리 정하는 기준과 비교한다. 즉 거스름돈이 일정 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스텝 6145에서, 혹시 기준을 하회하는 자동판매기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즉 실제로는 1601의 자동판매기는 수많이 설치되어 있고, 그들로부터의 거스름돈량이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 스텝 6146에서, 그들로부터 거스름돈량이 적어진 자동판매기를 특정하고, 해당하는 자동판매기의 정보를 정보 이용자에게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6147에서 송신 결과와 목적 달성을, 뒤에서 대가처리를 행하기 위해 대가 중개 서버에 송신해 둔다. 한편 그 정보 이용자인 장치, 기기 관리 서버(1605)에서는 스텝 6103에서, 수신한 정보를 DB에 기억한 후에, 스텝 6104에서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보수자 단말에 지시를 송신한다. 즉 보수자가 있는 단말에 대하여 거스름돈을 보급하도록 지시가 나와진다.
이상은 목적 C에 대한 처리흐름도이지만, 목적 D에 대해서는 또한 다음과 같은 처리 순서로 처리된다. 목적 C에 대한 감시가 되어 있는것과 병행하여, 정보 제공자인 자동판매기(1601)에서는 스텝 6162에서 항상 충격 검출부에 충격신호의 검출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있다. 만약 그곳에서 충격신호가 검지되면, 스텝 6163에서, 검출한 정보에 인증서정보를 부여하여 정보 중개자 서버에 송신한다.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스텝 6148에서, 정보 제공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한다.
계속해서 스텝 6149에서는, 해당하는 자동판매기 주변의 진동 센서의 값을 취득한다. 이것은 이미 보내여저 있는 충격 센서의 충격이 그 자동판매만에 가하여진 충격인지, 그보다는 예를 들면 가까이를 대형차량이 통과하여, 그 때문의 진동이기 때문일까를 자동판매기 주변의 진동 센서의 값과 비교 검토하기 위해서이다. 스텝 6150에서, 진동 센서의 값에 비하여 충격 센서의 값은 일정치 이상인지가 판단되고, 만약 일정 이상이라면 스텝 6151에서, 자동판매기에의 이상라고 판단하여 해당하는 자동판매기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송신하는 동시에, 스텝 6152에서 송신 결과와 목적 달성을 대가 중개 서버에 송신한다. 정보 이용자인 장치, 기기 관리자 서버(1605)에서는, 스텝 6105에서 수신한 정보를 DB에 기억하고 나서, 스텝 6106에서,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보안자 단말에 지시를 송신한다. 즉 예를 들면 경비 회사에의 통지를 행하여 해당하는 자동판매기의 체크를 의뢰하게 된다. 한편 정보 중개 서버에서는 이용자에의 송신이 끝나면, 이 일은 일단 종료하기 때문에, 스텝 6153에서 완료한 목적을 파기하고, 동시에 목표 완료를 대가 중개 서버에 송신하고, 후에서의 대가처리에 대비한다. 또한 목적 지정 서버(3500)에서는, 스텝 6224에서, 미리 정하는 목적의 처리에서 지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체크되고, 지정시간이 경과하면 스텝 6125에서, 목적을 완료하였다고 간주하여 완료한 목적의 파기를 정보 중개 서버에 요구하여 처리가 종료한다.
내부 고도정보 가공형 및 외부 고도정보 가공형의 정보 중개 서비스의 구체예
이하는 도 83, 도 84에서 기술한 내부 고도정보 가공형 및 외부 고도정보 가공형의 구체예를 열기한다.
(차량 메인티넌스정보 배신 서비스)
예를 들면, 어느 특정한 차량 메이커의 각 차량에, 차륜 브레이크 슈(brakeshoe)의 소모 발생 또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해 둔다. 기타, 차량의 각 기능 부재에 각각의 동작 상황을 검지하고,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서버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형태로 접속한다. 정보 중개 서버는 그 차종을 수리 가능한 장소정보 등을 보유하는 포탈사이트에 접속한다. 이 포탈사이트란, 필요로 하는 인터넷 포탈사이트에 효율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포탈사이트에 그 차종정보를 정보 중개 서버로부터 송신하면, 다시 그 차종이 수리 가능한 장소정보 등을 갖고 있을 사이트에 접속하여, 복수의 장소정보 등을 입수한다. 입수한 장소정보 등은 예를 들면 차량의 내부에 장비한 카 네비게이션의 화면에 표시하여 정보 이용자에게, 그 차량이 주행중인 장소에 가까운 수리회사의 장소, 이름, 코스트 수리대응 가부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정보 이용자란 그 차량의 드라이버만이 아니라, 그 수리를 필요로하는 차량정보를 얻고 나서 수리 가능이라는 정보를 드라이버에 전달하여 주는 수리회사도 정보 이용자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쌍방에 대하여 요금부과가 이루어질 가능성을 갖는다. 또한 복수의 수리 가능한 수리회사의 장소정보 중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수리회사에 우선적으로 소개할까는 그 정보 중개 서버가 가지기 때문에, 정보를 컨트롤 하는 큰 상권을 가지게 된다.
(주유소정보 배신 서비스)
마찬가지로 차량의 가솔린 탱크에 잔량 센서를 설치한다. 가솔린이 일정한 잔량까지 내려가면, 그 장소에 가까운 주유소를 인터넷 경유로 찾아내기 시작하여 거기까지 카 네비게이션으로 유도한다.
(기계의 소모품정보 배신 서비스)
예를 들면, 공장 내에 설치된 기계 공구의 결손을 모니터하는 센서를 부착한다. 이 센서정보는 정보 중개 서버로 모니터된다. 또는 그 기계의 소모품의 스톡 상태, 그 밖의 이상 발생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정보의 내용에 따라 그 해결책을 입수할 수 있는 사이트를 포탈사이트로부터 입수한다. 그 결과, 정보 중개 서버에서는, 그 기계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에, 필요로하는 부재가, 어디로부터, 언제 입수 가능한지의 정보 제공을 행한다. 또는 그 부재가 배달될 때까지 각각의 대응 수단에 관한 정보 제공을 행한다.
(쓰레기통 내의 쓰레기량 검지정보 배신 서비스)
쓰레기통 내의 쓰레기가 가득차게 되었다는 센서정보를 수신한 정보 중개 서버는, 인터넷으로 그 지구에서 쓰레기를 인수할 수 있는 업자를 찾아, 그 장소를 쓰레기통의 관리자에게 보내던지, 또는 그 업자에게 쓰레기를 수취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의료정보 배신 서비스)
각 가정에서 아이가 열이 났다는 정보를 받으면, 정보 중개 서비스는 인터넷 경유, 또는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휴일, 심야에서도 대응 가능한 의료기관을 각 가정에 배신한다. 또한 그 의료기관에 중개 서버로부터 직접 정보를 보내더라도 좋다.
(주차장정보 배신 서비스)
예를 들면 차가 카 네비게이션이 지정하고 있는 목적지에 가까운 일정 지구내에 들어 가면, 정보 중개 서버는 그 부근의 주차장을 찾아, 그 중에서 그 시간에 주차 가능한 스페이스가 있고, 또한 주차요금이 싼 주차장의 예약을한다. 그 예약정보는 그 차량에 보내여진다.
상술한 각 정보 배신 서비스로, 최적의 정보를 선발하는 구체적 기술에 관해서는, 이미 많은 기존기술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종다양한 센서정보를 정보 중개 서버가 접수하고, 그것에 대한 저위(低位)로부터 고도의 정보 가공을 행하고, 적절한 정보 이용자에게 그 정보를 송출한다.
취득 정보의 2차 이용
도 77은, 취득정보의 2차 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각 서버의 DB와, 정보의 2차 이용자 사이에서의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지금까지 상술하여 온 정보의 1차 이용이란, 목적 지정에 의해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의 역할을 정하고 가치정보만을 교환하는 형태를 말한다(도 2 내지 도 4, 도 6 참조). 이에 대하여, 여기서 기술하는 정보의 2차 이용이란, 소정의 목적에 따라 취득된 정보는 취득정보 DB에 보관되고, 뒤에서 외부의 2차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2차적으로 이용되는 정보의 이용 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2차 이용의 경우는 누가 이용자가 되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1차 이용의 때에는 가치를 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정보의 가치는 뒤에서(2차 이용시) 정하게된다.
도 77에 있어서, 이 2차 이용을 설명하면, 그 1형태로서 우선 2차 이용자(6200)로부터 목적 지정이 목적 지정 서버(3500)의 목적정보원 DB에 문의하기 위해 입력된다. 이 문의가 있은 목적 지정이 변환처리되고 정보 중개서버(3600) 내의 목적정보 DB(3603)에 그 존재 여부를 문의한다. 그리고 그 목적으로 하는 정보가 있으면 취득정보 DB(3604)의 축적정보로부터 정보 제공이 2차 이용자(6200)에게 이루어진다. 그 후, 대가 중개 서버(3700)의 누계대가정보 DB로부터 2차 이용자에게 요금부과 통지가 이루어저 일련의 2차 이용처리가 종료한다.
도 78에는, 도 77에 도시한 정보의 「2차 이용」의 형태의 구체예가 도시되어 있다. 크게 나누어 「(2차 이용자로부터 기동하는) 목적 지정형」과 「(정보 중개자로부터 기동하는) 입찰형」의 2종류이다. 전자의 목적 지정형이란 자기가 바라는 목적정보를 정보 중개자측에 문의하는 형태이고, 후자의 입찰형이란 정보 중개자가 자기가 이미 보유하는 정보의 구매자을 모집하는 형태이다.
도 79는, 도 78의 「목적 지정」의 변환처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목적 지정」이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정보 중개자」에게 주는 것이다. 또한 「변환 후 목적」이란 검색 조건으로의 치환을 나타낸다. (도 21, 23, 24, 25, 26과 같은 표기로 하였기 때문에, 「정보 중개자 서버」를 이용하였다. 도 33이후의 실시예에서는 「정보 중개자」는 「장치·기기 인증 서버」, 「목적 지정 서버」, 「정보 중개 서버」, 「대가 중개 서버」의 서버군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변환처리는 「목적 지정 서버」에서의 기능이 된다).
여기서는 2차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목적정보가 이미 정보 중개 서버에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이 우선 이루어지기 때문에, 변환 후 목적도 취득정보 DB의 검색과, 그 정보가 있으면 출력하는 것이 정보 중개 서버 내에서 체크된다.
도 80과 도 81에는, 상술한 도78에 도시한 목적 지정형의 구체예를 나타낸흐름도를 도시한다. 즉 2차 이용자가, 구하는 정보의 검색을 목적으로 하여 지정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정보의 가치는 2차 이용시(제공시)에 결정된다. 가치를 정하는 방법은 도 10에 도시한 「대가 중개 기능」에 의한다.
우선 스텝 6501에서, 2차 이용자(6200)측에서, 정보 취득의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즉 정보의 2차 이용의 요구가 있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있으면 스텝 6502에서, 구하는 정보 취득을 목적으로 하여, 인증서정보를 부여하여 목적 지정 서버에 송신한다. 송신을 받은 목적 지정 서버(3500)에서는, 스텝 6521에서, 정보 이용자를 장치·기기 인증서정보 DB를 이용하여 인증하고, 2차 이용자를 확인한다. 그 후 스텝 6522에서, 수신한 목적을 지식정보 DB를 이용하여 검색 조건으로 변환하고, 스텝 6523에서 변환 후의 목적을 정보 중개 서버에 송신한다.
변환 후의 목적을 수신한 정보 중개 서버(3600)에서는, 스텝 6541에서,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취득정보 DB를 검색한다. 정보의 2차 이용이란 이미 존재하는 정보의 후일의 사용이기 때문이다. 스텝 6542에서, 검색 조건에 알맞은 정보가 있는지 체크되고, 있으면 스텝 6544에서, 검색한 정보를 2차 이용자에게 송신한다. 그 후 스텝 6545에서, 송신 결과와 목적 완료를 대가 중개 서버에 송신하고, 스텝 6546에서, 목적을 파기하고 정보 중개 서버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정보 제공을 받은 2차 이용자는, 스텝 6503에서, 수신한 정보를 DB에 기억하고, 스텝 6504에서,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2차 이용자의 목적을 실행한다. 만약 스텝 6542에서, 검색 조건에 알맞은 정보가 없으면, 스텝 6543에서 정보의 미취득을 2차 이용자에게 그 취지를 송신한다.
도 82는, 도 78에 도시한 입찰형의 2차 이용의 구체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정보 중개자쪽으로부터 자기가 보유하는 정보의 2차 이용자를 모집하는 경우이다. 이 도면은, 정보 중개 서버의 연산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또한 정보의 가치는 입찰에 의해 결정되고, 가치를 정하는 방법은 미리 정하는 입찰기준에 의한다. 2차 이용의 지시자는 「정보 중개자 서버」라도 좋고, 2차 이용을 적절한 기회에 기동할 수 있으면 어디에서 담당하더라도 좋다.
우선 스텝 6601에서, 취득정보에 대한 2차 이용의 지시가 있는지 체크된다. 즉 정보 제공자, 정보 이용자, 또한 정보의 전매 희망자가, 정보의 2차 이용을 희망하는 지 아닌지, 환언하면 정보의 2차판매를 희망하는 것인지가 체크된다. 만약 그와 같은 희망이 있으면, 스텝 6602에서, 미리 정하는 기준에 따라 취득정보 DB를 검색한다. 다음에 스텝 6603에서, 검색의 결과, 추출된 정보를 제시장(提示場)에 제시한다. 여기서 말하는 「제시장」이란, 2차 이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네트상에 설치된 장소인 것이다. 스텝 6603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가 체크되고, 입찰 결과에 관해 스텝 6604에서, 미리 정하는 입찰기준을 충족시키는 2차 이용자가 있는지 체크된다. 여기서 「미리 정하는 입찰기준」이란, 정보 제공자가 미리 정하고 있는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좋다고 하는) 기준인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대가로 결정되는 일이 많다. 만약 입찰 조건에 맞는 2차 이용자가 있으면, 스텝 6605에서, 그 조건을 충족시킨 2차 이용자에게 정보를 송신하고, 요금부과를 위해 스텝 6606에서, 송신 결과와 목적 완료를 대가 중개 서버에 송신한다. 2차 이용자가 없으면, 스텝 6607에서, 조건을 충족시킨 2차 이용자의 부재를 지시자에게 통지를 내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기재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중개 기능을,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복수의 단말군을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정 목적에 부합되게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를 그 때마다 플렉시블하게 조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어떤 특정 목적을 위하여 이용되는 많은 전용 정보 중개 시스템을 거두어들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보의 송수신에 앞서서, 복수의 단말군이 미리 인증을 받은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처리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단말의 진정(眞正)함이 담보된다.
또한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을, 정보 중개자가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단위인 복수의 조건으로 목적 변환처리를 행함으로써 변환 후 목적을 구하는 목적 변환처리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중개자에 의해 정보 중개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중개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센서정보로부터 최적화된 정보가 정보 이용자에게 배신되고, 또한 그 최적화되는 정보는, 정보 중개 서버 내의 지식베이스, 또는 인터넷 포탈사이트 등을 경유하여 외부의 최신 정보 베이스로 가공된 정보이기 때문에, 보다 정보 가치가 높은 정보의 중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보 단말군과 정보 중개자가, 단독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된 많은 단말을 정보 제공자, 정보 이용자로 할 수 있다.
또한 배신된 특정정보의 가치에 의거하여, 정보 제공자에게는 정보 제공료를 지불, 해당 정보 이용자로부터는 정보 대가를 수취하는 대가 중개 기능을 갖기 때문에, 지정 목적마다 대가 청산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특히 정보 중개자로부터 동일 단말에의 정보 대가의 요금부과와 정보 제공료의 지불을 상쇄하는 대가 누계처리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항상 개개의 단말의 청산액이 플러스 및 마이너스되어 최종적으로 상쇄된 누계액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송신되는 정보가, 요감시형, 자립형, 또는 이벤트형중 어느 정보 송신 형태에 의거하여 송신되는지를 지정 목적에 의해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 송신 형태에 따라 상기 특정정보가 정보 중개자에게 송신 되기 때문에 보다 실제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보 이용자는, 보수처리 기능, 보안처리 기능을 갖기 때문에, 중개된 정보에 의해, 실제적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각 청구항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와 상세한 설명중에 기재된 구체예의 대응
제 1항에 있어서의 정보 중개 시스템이란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정보 중개자 서버(0101), 네트워크(0102), 및 정보 제공자, 정보 이용자가 보유하는 장치, 기기(0103 내지0106)의 전체에 상당한다. 정보 중개 기능이란, 예를 들면 도 6의 정보 중개자(0601)가 갖는 정보 중개 기능(0602)에 상당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3의 정보 중개 서버(3600)를 중심으로하는 정보 중개자를 구성하는 서버군(3300)이다. 단말 재조합 기능이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적 A(0201)의 입력에 의해, 복수의 장치, 기기(0103 내지0106)를 각각 정보 제공자, 정보 이용자로 선별하는 기능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목적 A, 목적 B에 의해 각각의 차량을 재조합하는 기능에 상당한다. 또한 정보 배신 기능이란,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목적을 충족시킨 정보를 정보 이용자(0307)에 배신하는 기능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4부터 도 37에 도시한 통신부(3405)가 갖는 기능이다.
제 4항의 정보 가공 기능이란 도 36에 도시한 정보 중개 서버(3600) 내의 처리 프로그램(3601)에 의해 실행되는 도 83에 도시한 최적화 판단 기능(8301) 및 도 36에 도시한 지식 데이터를 내장하는 취득정보 DB(3604)에 대응한다. 또한 제 5항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지정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정보를 검색하여 입수하는 기능이란, 정보 중개 시스템 내의 도 36에 도시한 통신부와 도 84에 도시한 외부 정보원인 인터넷 포탈사이트 또는 기업의 홈페이지(8401)가 이에 대응한다.
제 5항의 인증처리 기능이란 구체적으로는, 도 27에 기재한 장치, 기기 인증처리 기능(2208)에 상당한다. 제 7항의 목적 변환처리 기능이란 구체적으로는, 도 21, 도 23 내지 도 26에 기재하는 지정 목적을 변환 후 목적으로 변환처리를 행하는 기능에 상당한다. 제 12항의 대가 중개 기능이란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기재하는 정 대가, 부 대가를 정보 이용자에게 요금부과하는 기능으로서, 도 33에 도시한 요금부과 중개 서버(3700)가 갖는 기능이다. 제 29항의 보수처리 기능이란 구체적으로는, 도 16에서 도시한 보수자 단말(1606)에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에 상당한다. 제 30항의 보안처리 기능이란 구체적으로는, 마찬가지로 도 16에서 도시한 보안자 단말(1607)에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 청구항에 기재된 각 구성 요소와 상세한 설명중에 기재된 구체예 대응의 기술은, 어디까지나 청구항 해석의 참고 기술에 지나가지 않고, 이로 인해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가 아닌 것은 당연하다.

Claims (43)

  1.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과, 해당 네트워크를 경유한 정보 중개 기능을 구비한 정보 중개자를 갖는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정보 중개 기능을,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해당 복수의 단말군을 해당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해당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기능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 기능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정보가, 상기 정보 제공자로서 재조합된 특정 단말에서의 특정 상황을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얻어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자로서 재조합된 특정 단말에서의 특정 상황을 검지한 정보가 센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자로서 재조합된 특정 단말에서의 특정 상황을 검지한 정보가 센싱정보이며, 상기 정보 중개 기능이 또한 정보 가공 기능을 내장하고, 해당 검지한 센싱정보를 상기 지정 목적을 충족시키도록 해당 정보 가공 기능으로 정보를 가공하고, 해당 가공 후의 정보를 상기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정보 배신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개 기능이, 상기 내장하는 정보 가공 기능에 더하여, 또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에서 상기 지정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외부정보를 검색하여 입수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검지한 센싱정보와 해당 외부정보를 상기 지정 목적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정보 가공 기능으로 정보를 가공하고, 해당 가공 후의 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정보 배신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후의 정보가, 복수의 센싱정보를 상기 지정 목적에 대하여 상기 정보 가공 기능으로 최적화한 정보이며, 해당 최적화 후의 정보를 상기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정보 배신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개 기능이, 상기 특정정보를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축적정보로서 일단 축적하고, 해당 특정정보의 2차 이용자에 의한 목적 지정에 의해 다시 검색하는 검색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정보 배신 기능에 의해 해당 검색된 특정정보를 해당 2차 이용자에게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개 기능은 또한, 정보의 송수신에 앞서서, 상기 복수의 단말군이 미리 인증을 받은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처리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처리 기능에 의해, 상기 단말군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를 해당 단말의 인증 데이터에 의해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개 기능은,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을, 해당 정보 중개자가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단위인 복수의 조건으로 목적 변환처리를 행함으로써 변환 후 목적을 구하는 목적 변환처리 기능을 가지며, 해당 변환 후 목적에 의해 상기 특정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개자는 상기 복수의 단말군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중, 상기 지정 목적을 충족시키지 않는 정보는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목적에는, 상기 단말을 특정하는 지역 등의 계층 어드레스, 단말 종별의 기종 어드레스 및 센서 종별, 혹은 이벤트 종별에 따른 복수의 계층 레벨에 관한 한정정보를 가지며, 해당 한정정보에 응해서 해당 단말을 선택하는 동시에, 해당 단말을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익자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군과 상기 정보 중개자가, 단독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정보 제공자 및 정보 이용자로서의 상기 불특정 다수의 단말군이, 각각 동일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 중개자와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15.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과, 해당 네트워크를 경유한 정보 중개 기능을 구비한 정보 중개자를 갖는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정보 중개 기능을,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해당 복수의 단말군을 해당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해당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기능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 기능으로 구성하고, 또한 해당 정보 중개 시스템은 배신된 특정정보의 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 제공자에게는 정보 제공료를 지불, 해당 정보 이용자로부터는 정보 대가를 수취하는 대가 중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되는 상기 지정 목적마다 정보 중개된 상기 특정정보의 가치에 의해, 상기 정보 제공자와 상기 정보 이용자를 반전시키고, 합쳐서 요금부과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상기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송신되는 특정정보를 상기 정보 중개자에 의해 가공하여 또는 부가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얻는 가치 판정처리 기능을 가지며, 해당 가공 또는 부가가치가 부여된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상기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게 배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상기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마다 청구 대가를 누계하는 청구 대가 산출처리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정보 제공료를 지불하는 상기 정보 제공자를 추출하는 정보 제공자 추출처리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제공된 정보가 상기 배신된 특정정보에 공헌하였는지의 공헌 정도를 비율로 구하는 배분비율 산출처리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상기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마다 분배 대가를 누계하는 분배 대가 산출처리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상기 정보 중개자로부터 동일 단말에의 상기 정보 대가의 요금부과와 상기 정보 제공료의 지불을 상쇄하는 대가 누계처리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대가 중개 기능은, 목적 지정에 따라 다른 요금부과 모델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부과 모델은, 정보의 가치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부과 모델은, 정보 제공자수 또는 정보 이용자수의 변동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부과 모델은, 시스템 밖의 외부 사상(事象)의 변동 또는 출현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부과 모델은, 정보 이용자측의 이용 목적 또는 이용 빈도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부과 모델은, 정보의 가공 레벨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부과 모델은, 정보 이용자의 매상, 이익 또는 이들의 신장율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3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자에의 정보 제공료의 지불 및 상기 정보 이용자에의 정보 대가의 청구는, 상기 각각의 단말에 마련된 기억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3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개 기능에 의해, 상기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송신되는 정보가, 상기 정보 중개자로부터의 정보 제공 요구에 의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정보가 송신되는 요감시형(要監視型), 해당 정보 제공자의 자발적 행위에 의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정보가 송신되는 자립형, 또는 해당 정보 제공자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의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정보가 송신되는 이벤트형중 어느 정보 송신 형태에 의거하여 송신되는지를 상기 지정 목적에 의해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정보 송신 형태에 따라서 상기 특정정보가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32.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과, 해당 네트워크를 경유한 정보 중개 기능을 구비한 정보 중개자를 갖는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정보 중개 기능을,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해당 복수의 단말군을 해당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해당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기능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 기능으로 구성하고, 또한 해당 정보 이용자는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 제공자로서의 상기 단말군에 대하여 소정의 보수(保守)처리를 행하는 보수처리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33.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과, 해당 네트워크를 경유한 정보 중개 기능을 구비한 정보 중개자를 갖는 정보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정보 중개 기능을,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해당 복수의 단말군을 해당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해당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기능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 기능으로 구성하고, 또한 해당 정보 이용자는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 제공자로서의 상기 단말군에 대하여, 해당 특정정보에 이상(異常) 검지정보 또는 고장 통지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 소정의 보안처리를 행하는 보안처리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 시스템.
  34.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구비한 복수의 단말군중 특정한 단말에서 정보 중개자가 정보를 얻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해당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중개방법에 있어서,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해당 복수의 단말군을 해당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해당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스텝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정보가, 상기 정보 제공자로서 재조합된 특정 단말에서의 특정 상황을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얻어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방법.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자로서 재조합된 특정 단말에서의 특정 상황을 검지한 정보가, 센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방법.
  37.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개방법은 또한, 정보의 송수신에 앞서서, 상기 복수의 단말군이 미리 인증을 받은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처리를 행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방법.
  38.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개방법은, 상기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을, 해당 정보 중개자가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단위인 복수의 조건으로 목적 변환처리를 행함으로써 변환 후 목적을 구하는 목적 변환처리를 행하는 스텝을 가지며, 해당 변환 후 목적에 의해 상기 특정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방법.
  39.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군과 상기 정보 중개자가, 단독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방법.
  40.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중 특정한 단말에서 정보 중개자가 정보를 얻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해당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중개방법에 있어서,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해당 복수의 단말군을 해당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해당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스텝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하는 스텝과, 또한 배신된 특정정보의 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 제공자에게는 정보 제공료를 지불, 해당 정보 이용자로부터는 정보 대가를 수취하는 대가 중개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방법.
  41.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중 특정한 단말에서 정보 중개자가 정보를 얻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해당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중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개가 얻는 정보는, 상기 정보 중개자로부터의 정보 제공 요구에 의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정보가 송신되는 요감시형이거나, 해당 정보 제공자의 자발적 행위에 의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정보가 송신되는 자립형이거나, 또는 해당 정보 제공자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의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정보가 송신되는 이벤트형 중의 어느 하나의 정보 송신 형태가 상기 지정 목적에 의해 선택되고, 해당 정보 송신 형태에 따라서 상기 특정정보가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방법.
  42.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중 특정한 단말에서 정보를 얻어 정보 중개자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해당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중개방법에 있어서,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해당 복수의 단말군을 해당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해당 특정정보를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스텝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하는 스텝과, 또한 해당 정보 이용자는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 제공자로서의 상기 단말군에 대하여 소정의 보수처리를 행하는 보수처리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방법.
  43. 네트워크 경유의 송수신 기능 또는 적어도 송신, 수신중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군중 특정한 단말로부터 정보를 얻어 정보 중개자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해당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중개방법에 있어서,
    특정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 중개자에게 입력된 지정 목적마다 해당 복수의 단말군을 해당 특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제공자와 해당 특정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로 재조합하는 단말 재조합 스텝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제공자로부터 얻어진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를 해당 재조합된 정보 이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는 정보 배신하는 스텝과, 또한 해당 정보 이용자는 해당 지정 목적을 충족시킨 특정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 제공자로서의 상기 단말군에 대하여, 해당 특정정보에 이상 검지정보 또는 고장 통지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 소정의 보안처리를 행하는 보안처리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중개방법.
KR10-2001-0059693A 2000-10-02 2001-09-26 정보 중개 시스템과 그것에 이용되는 정보 중개방법 KR100423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02961 2000-10-02
JP2000302961 2000-10-02
JP2001157957 2001-05-25
JPJP-P-2001-00157957 2001-05-25
JPJP-P-2001-00260391 2001-08-29
JP2001260391A JP2003044708A (ja) 2000-10-02 2001-08-29 情報仲介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られる情報仲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819A true KR20020026819A (ko) 2002-04-12
KR100423374B1 KR100423374B1 (ko) 2004-03-18

Family

ID=2734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693A KR100423374B1 (ko) 2000-10-02 2001-09-26 정보 중개 시스템과 그것에 이용되는 정보 중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49696B2 (ko)
EP (2) EP1220512A3 (ko)
JP (1) JP2003044708A (ko)
KR (1) KR100423374B1 (ko)
CN (1) CN1322447C (ko)
TW (1) TWI22317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264A (ko) * 2002-08-05 2004-02-14 이장훈 인터넷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170034092A (ko)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클로버세븐 유류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2400B2 (en) 1991-12-23 2013-01-08 Hoffberg Steven M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and human-factored interface therefore
US7904187B2 (en) 1999-02-01 2011-03-08 Hoffberg Steven M Internet appliance system and method
US7197120B2 (en) 2000-12-22 2007-03-27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ediated communication
US7751383B2 (en) * 2000-12-22 2010-07-06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ediated communication
US20020141388A1 (en) * 2000-12-22 2002-10-03 Schwartz Richard L.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ediated communication
US7209966B2 (en) * 2000-12-22 2007-04-24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ediated communication
US20030005126A1 (en) * 2001-05-25 2003-01-02 Solomio Corp.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US20020188703A1 (en) * 2001-06-04 2002-12-12 Mckesson Information Solutions Holdings Ltd. Graphical tool for developing computer programs via specifications
JP4194108B2 (ja) * 2001-10-12 2008-12-10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30088472A1 (en) * 2001-11-05 2003-05-08 Sabre Inc. Methods, system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providing product availability information
US20030097335A1 (en) * 2001-11-21 2003-05-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harges and assuring privacy
US7398209B2 (en) 2002-06-03 2008-07-08 Voicebox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ding to natural language speech utterance
US7693720B2 (en) * 2002-07-15 2010-04-06 Voicebox Technologies, Inc. Mobile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ding to natural language speech utterance
US20050004870A1 (en) * 2002-10-01 2005-01-06 Mcgaughey Richard D.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revenue associated with negative collection information
US7113865B2 (en) * 2003-12-15 2006-09-26 Ignatin Gary R Roadway travel data exchange network
US7949463B2 (en) 2003-12-15 2011-05-24 Gary Ignatin Information filtering and processing in a roadway travel data exchange network
US10964209B2 (en) 2003-12-24 2021-03-30 Mark W. Publicover Method and system for traffic and parking management
US7663505B2 (en) 2003-12-24 2010-02-16 Publicover Mark W Traffic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US20050246262A1 (en) * 2004-04-29 2005-11-03 Aggarwal Charu C Enabling interoperability between participants in a network
US7640160B2 (en) 2005-08-05 2009-12-29 Voicebox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ding to natural language speech utterance
US7620549B2 (en) 2005-08-10 2009-11-17 Voicebox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supporting adaptive misrecognition in conversational speech
US7949529B2 (en) 2005-08-29 2011-05-24 Voicebox Technologies, Inc. Mobile systems and methods of supporting natural language human-machine interactions
JP5238137B2 (ja) * 2006-03-27 2013-07-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情報仲介システム、および、情報仲介方法
US9507778B2 (en) 2006-05-19 2016-11-29 Yahoo! Inc. Summarization of media object collections
EP2070040A4 (en) * 2006-10-03 2012-08-0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OF PROXY SERVER
US8073681B2 (en) 2006-10-16 2011-12-06 Voicebox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cooperative conversational voice user interface
US8594702B2 (en) 2006-11-06 2013-11-26 Yahoo! Inc. Context server for associat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US9110903B2 (en) 2006-11-22 2015-08-18 Yahoo!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using user profile electronic device data in media delivery
US20080120308A1 (en) * 2006-11-22 2008-05-22 Ronald Martinez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Media
US8402356B2 (en) 2006-11-22 2013-03-19 Yahoo!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media
US8769099B2 (en) 2006-12-28 2014-07-01 Yaho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caching information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7818176B2 (en) 2007-02-06 2010-10-19 Voicebox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advertisements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f voice-based input
US8190449B2 (en) * 2007-02-16 2012-05-29 Noblis, Inc. Alert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returns module
JP4536747B2 (ja) * 2007-04-19 2010-09-0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広告選択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8135092A1 (en) * 2007-05-08 2008-11-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muneration method for information providers in a sensor network
US20090125341A1 (en) * 2007-05-21 2009-05-14 John Raul Somoza Coordinating and managing the rental of parking spaces
US8311869B2 (en) * 2007-11-15 2012-11-13 Noblis, Inc. Alert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interface components
US8069142B2 (en) 2007-12-06 2011-11-2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on a network
US8307029B2 (en) 2007-12-10 2012-11-06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al delivery of messages
US8671154B2 (en) 2007-12-10 2014-03-11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 addressing of communications on a network
US8140335B2 (en) 2007-12-11 2012-03-20 Voicebox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natural language voice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voice navigation services environment
US8166168B2 (en) 2007-12-17 2012-04-24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non-unique identifiers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disparate communication channels
US9626685B2 (en) 2008-01-04 2017-04-18 Excalibur Ip, Llc Systems and methods of mapping attention
US9706345B2 (en) 2008-01-04 2017-07-11 Excalibur Ip, Llc Interest mapping system
US8762285B2 (en) 2008-01-06 2014-06-24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clustering
US20090182618A1 (en) 2008-01-16 2009-07-16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Word-of-Mouth Advertising
US8554623B2 (en) 2008-03-03 2013-10-08 Yaho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cial network marketing with consumer referral
US8538811B2 (en) 2008-03-03 2013-09-17 Yaho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cial network marketing with advocate referral
US8560390B2 (en) 2008-03-03 2013-10-15 Yaho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cial network marketing with brand referral
US8589486B2 (en) 2008-03-28 2013-11-1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addressing communications
US8745133B2 (en) 2008-03-28 2014-06-03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storage of data
US8271506B2 (en) 2008-03-31 2012-09-18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relationships between entities
US9305548B2 (en) 2008-05-27 2016-04-05 Voicebox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multi-modal, multi-device natural language voice services environment
US8589161B2 (en) 2008-05-27 2013-11-19 Voicebox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multi-modal, multi-device natural language voice services environment
US8452855B2 (en) 2008-06-27 2013-05-28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ation of media related to a context
US8813107B2 (en) 2008-06-27 2014-08-1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media delivery
US8706406B2 (en) 2008-06-27 2014-04-22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and display of personalized distance
US8086700B2 (en) 2008-07-29 2011-12-27 Yahoo! Inc. Region and duration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URI) for media objects
US10230803B2 (en) 2008-07-30 2019-03-12 Excalibur Ip,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mapping and routing
US8583668B2 (en) 2008-07-30 2013-11-12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enhanced mapping
US8386506B2 (en) 2008-08-21 2013-02-26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enhanced messaging
US8281027B2 (en) 2008-09-19 2012-10-02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edia related to a location
US8108778B2 (en) 2008-09-30 2012-01-31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enhanced mapping within a user interface
US9600484B2 (en) 2008-09-30 2017-03-21 Excalibur Ip, Llc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and analysis of media consumption data
US8060492B2 (en) 2008-11-18 2011-11-15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URL based context queries
US9805123B2 (en) * 2008-11-18 2017-10-31 Excalibur Ip, Llc System and method for data privacy in URL based context queries
US8024317B2 (en) 2008-11-18 2011-09-20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deriving income from URL based context queries
US8032508B2 (en) 2008-11-18 2011-10-04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URL based query for retrieving data related to a context
US9224172B2 (en) 2008-12-02 2015-12-29 Yahoo! Inc. Customizable content for distribution in social networks
US8055675B2 (en) 2008-12-05 2011-11-08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based query augmentation
US8166016B2 (en) 2008-12-19 2012-04-24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ervice recommendations
US8326637B2 (en) 2009-02-20 2012-12-04 Voicebox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odal device interactions in a natural language voice services environment
US8150967B2 (en) * 2009-03-24 2012-04-03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verified presence tracking
US10223701B2 (en) 2009-08-06 2019-03-05 Excalibur Ip, Llc System and method for verified monetization of commercial campaigns
US8914342B2 (en) 2009-08-12 2014-12-16 Yahoo! Inc. Personal data platform
US8364611B2 (en) 2009-08-13 2013-01-2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caching information on a mobile device
US9171541B2 (en) 2009-11-10 2015-10-27 Voicebox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processing in a natural language voice services environment
EP2328325B1 (en) * 2009-11-26 2014-01-08 Alcatel Lucent Management framework and method for retrieving softwa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taining to a sensor in a network
US8963692B2 (en) 2010-10-29 2015-02-24 Cisco Technology, Inc. Aggregating and routing sensor data at a community sensor-coordinating entity
US20120109851A1 (en) * 2010-10-29 2012-05-03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Sensor-Application Services
TW201220073A (en) * 2010-11-09 2012-05-16 Chunghwa Telecom Co Ltd utilizing flexibility of cloud computing technologies to support system resources so that the size of data accessing space and the CPU number can be changed with high mobility
WO2014030510A1 (ja) 2012-08-22 2014-02-27 オムロン株式会社 デバイス管理装置及びデバイス管理方法
CN104903908A (zh) * 2012-11-07 2015-09-09 英特托拉斯技术公司 个人数据管理系统及方法
CN103841513B (zh) * 2012-11-27 2017-03-15 王方淇 服务信息提供方法、服务器及系统
JP2014109927A (ja) * 2012-12-03 2014-06-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通信装置
US20140172496A1 (en) * 2012-12-19 2014-06-19 Martin Rosjat Automatic Management of Accidents Using Rules for Starting Post-Accident Procedures
JP6260343B2 (ja) * 2014-02-25 2018-0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システム
CN106688006B (zh) * 2014-09-12 2020-11-20 艾沃瑞赛恩斯股份有限公司 信息中介系统
US9898459B2 (en) 2014-09-16 2018-02-20 Voicebox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gration of domain information into state transitions of a finite state transducer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N107003996A (zh) 2014-09-16 2017-08-01 声钰科技 语音商务
WO2016061309A1 (en) 2014-10-15 2016-04-21 Voicebox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llow-up responses to prior natural language inputs of a user
US10431214B2 (en) 2014-11-26 2019-10-01 Voicebox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a domain and/or an action related to a natural language input
US10614799B2 (en) 2014-11-26 2020-04-07 Voicebox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nt predictions for an utterance prior to a system detection of an end of the utterance
CN104634359A (zh) * 2015-02-16 2015-05-2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通过导航应用获取信息的方法和装置
EP3421898B1 (en) * 2016-02-26 2020-02-12 Daikin Industries, Ltd. Remote management system
CN107341652A (zh) * 2016-04-29 2017-11-10 深圳圣贤御品堂实业有限公司 一种有偿网络社交方法、装置以及服务器
WO2018023106A1 (en) 2016-07-29 2018-02-01 Erik SWART System and method of disambiguat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quests
CN108665336A (zh) * 2017-04-01 2018-10-16 上海律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交互方法及系统
JP6351813B1 (ja) * 2017-09-01 2018-07-04 ヤフー株式会社 選択装置、選択方法および選択プログラム
US20210081863A1 (en) * 2019-07-25 2021-03-18 Airwire Technologies Vehicle intelligent assistant
US11140237B2 (en) * 2019-10-18 2021-10-05 Amadeus S.A.S. System and method for load mitigation in request handling
CN112188438A (zh) * 2020-09-22 2021-01-05 广州宸祺出行科技有限公司 一种网约车app与车机数据交换的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951B2 (ja) * 1992-07-31 2001-04-03 オムロン株式会社 機能自動生成装置
JP3753749B2 (ja) * 1994-04-28 2006-03-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著作物提供システム
PL180138B1 (pl) * 1995-03-23 2000-12-29 Detemobil Deutsche Telekom Mobilnet Gmbh Sposób okreslania dynamicznych informacji o ruchu drogowymprzez ruchoma siec radiowa PL PL PL PL PL
US5694323A (en) * 1995-04-04 1997-12-02 Persyst, Inc. Monitoring system with particular application to monitoring a cash-basis operation
US5866889A (en) * 1995-06-07 1999-02-02 Citibank, N.A. Integrated full service consumer banking system and 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an account
JP4094687B2 (ja) * 1995-12-26 2008-06-0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仲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070530A (ja) * 1996-08-28 1998-03-10 Oki Electric Ind Co Ltd 情報転送システム、情報蓄積提供装置及び情報被提供装置
KR100223044B1 (ko) * 1996-10-17 1999-10-15 이계철 상세정보 분류를 이용한 정보이용료 회수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US5893091A (en) * 1997-04-11 1999-04-06 Immediata Corporation Multicasting with key words
JPH1166168A (ja) * 1997-08-20 1999-03-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顧客情報登録中継システム
JPH11120478A (ja) * 1997-10-17 1999-04-30 Hitachi Ltd 交通事故管理支援システム
US6112181A (en) * 1997-11-06 2000-08-29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selecting, narrowcasting, and/or classifying based on rights management and/or other information
JPH11184873A (ja) * 1997-12-19 1999-07-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知識応用型マッチング方法及び装置及び知識応用型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H11219388A (ja) * 1998-02-04 1999-08-10 Fujitsu Ltd 遠隔管理システム
WO1999065192A1 (en) 1998-06-08 1999-1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platform for connectivity based services
PL345032A1 (en) * 1998-06-19 2001-11-19 Protx Ltd Verified payment system
WO2000017021A1 (en) 1998-09-23 2000-03-30 Johannes Cornelis Van Bergen Alarm and immobiliser with gsm cellular phone
DE69801370T2 (de) 1998-09-24 2002-05-23 Ultra Proizv Elektronskih Napr Netzwerksystem mit Ferndatenerfassung
JP4032529B2 (ja) 1998-10-15 2008-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要求者からの要求と提供者の提供するコンテンツのマッチングを行なう計算機
ES2323908T3 (es) 1998-11-23 2009-07-27 Integrated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s Limited Sistema instantaneo de supervision de trafico.
JP3045713B1 (ja) * 1998-12-09 2000-05-29 富士通株式会社 車載型車両誘導装置及び通信サーバシステム並びに代替車両誘導システム
US6567411B2 (en) 1998-12-31 2003-05-20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narrowcast of individualized information over a data network
AU3242500A (en) 1999-02-23 2000-09-14 Webqna,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s for trading information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20010038516A (ko) * 1999-10-26 2001-05-15 한장섭 인터넷상에서 다수의 정보제공자와 다수의 정보 수요자간에 동적인 정보 유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정보 네트워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유통방법
US7403920B2 (en) 2000-01-14 2008-07-22 Fujitsu Limited Information medi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mediating program therein
US20010037319A1 (en) 2000-02-11 2001-11-01 Eric Edwards Public submission content library
KR20000030486A (ko) * 2000-03-03 2000-06-05 김하철 지역정보 검색전용 인터넷 정보 검색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US6339736B1 (en) * 2000-03-31 2002-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utomotive services
JP4271827B2 (ja) 2000-05-09 2009-06-0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仲介装置
JP2001325274A (ja) * 2000-05-15 2001-11-2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ネットワーク用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
JP2002049786A (ja) 2000-05-26 2002-02-15 Lealcom Kk 情報交換仲介方法
JP2002041563A (ja) 2000-07-31 2002-02-08 Fujitsu Ltd 情報交換システム
JP2002259404A (ja) 2001-02-28 2002-09-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意味情報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匿名相談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送信端末および受信端末
US20020178106A1 (en) 2001-05-23 2002-11-28 Rolf Dobeli Self-aggregating information exchange
US20030028469A1 (en) 2001-06-29 2003-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 electronic information marketplace
US6970947B2 (en) 2001-07-18 2005-1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flexible and scalable context ser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264A (ko) * 2002-08-05 2004-02-14 이장훈 인터넷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170034092A (ko)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클로버세븐 유류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11822A1 (en) 2002-08-15
EP1220512A2 (en) 2002-07-03
EP1220512A3 (en) 2004-01-28
EP1538809A3 (en) 2005-07-06
KR100423374B1 (ko) 2004-03-18
US7149696B2 (en) 2006-12-12
JP2003044708A (ja) 2003-02-14
CN1322447C (zh) 2007-06-20
TWI223173B (en) 2004-11-01
CN1349191A (zh) 2002-05-15
EP1538809A2 (en)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374B1 (ko) 정보 중개 시스템과 그것에 이용되는 정보 중개방법
JP2006031723A (ja) 情報仲介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られる情報仲介方法
KR101954400B1 (ko) 종량제 쓰레기 납부필증과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쓰레기 수거 차량 제어가 가능한 통합 관리 시스템
US6584403B2 (en) Automated vehicle tracking and service provision system
US6559776B2 (en) Parking st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201861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a vehicle rental process
EP2162855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yment cards and fuel cards
KR20010050264A (ko) 차량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US20200286077A1 (en) Payment And Enforc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CN109858984B (zh) 信息提供装置以及信息提供方法
WO2006137137A1 (ja) 顧客管理装置
KR20130047915A (ko) 공유 차량 통합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2021107951A (ja) 給電管理システム、給電管理方法及び給電管理プログラム
US20190019114A1 (en) Remote vehicle access and multi-application program for car-sharing
JP5102254B2 (ja) 自動料金支払いシステムにおける車載器
JP4914842B2 (ja) 料金収受管理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管理方法
JP3394883B2 (ja) 車両共用システムにおける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CN108876433A (zh) 一种基于会员制的加油管理方法及装置
KR20210044050A (ko) 고속도로 무인요금 결제용 제품 통합결제시스템
KR20210085706A (ko) 공유 차량 배차 방법, 공유 차량 재배치 방법, 카 쉐어링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카 쉐어링 시스템
JP4369652B2 (ja) 自動料金支払いシステムに於ける管理サーバ、及び自動料金支払いシステム
CA24455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a vehicle rental process
US202301963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road user charges using a digital currency based on 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US202203988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road user charges using a digital currency based on 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JP3871126B2 (ja) 自動料金支払いシステムに於ける管理サーバ及び車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