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108A -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108A
KR20020021108A KR1020017015262A KR20017015262A KR20020021108A KR 20020021108 A KR20020021108 A KR 20020021108A KR 1020017015262 A KR1020017015262 A KR 1020017015262A KR 20017015262 A KR20017015262 A KR 20017015262A KR 20020021108 A KR20020021108 A KR 20020021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node
network address
commun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719B1 (ko
Inventor
안도히로시
고우라구니가즈
고오칸히로시
다케우치노부가즈
다쓰미쇼오고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2002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Bus for use in autom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Abstract

적어도 각 차제어유닛 및 승장등록제어유닛을 포함한 복수의 제어유닛이 각각 노드(node)를 가지며, 이들 복수의 노드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며, 각 노드가 노드번호와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관리표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이며,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는,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다른 임시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 상기 제 1및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했을때에는 마스터로서 작용하는 노드와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또는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며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에,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하여 상기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것의 일제 동부통신을 송신하고, 다른 임시 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때에, 상기 제1및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않을때에는 슬레이브(Slave)로서 작용하는 노드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ELEVATOR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예로써 일본국 특개평 6-80322호 공보에 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그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것 같이, 예를 들면 3대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3조의 제어유닛(91,92,93)이 구비되어 있다.
각 제어유닛(91,92,93)은 각각 고유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차제어유닛 (CCa,CCb,CCc)을 갖고 있는 외에 분산처리용으로 간결화된 군관리 제어처리용 그룹콘트롤유닛(GCa,GCb,GCc)와 호올호출제어용 호올콘트롤유닛(HCa,HCb,HCc)와를 일체화하여 구비하고 있다.
각 제어유닛(91,92,93)은 또한 전송용 LSI(대규모집적회로)(Sa,Sb,Sc)를 가지며, 여기에서 출력된 정보가 버스상의 고속전송라인(94)을 통하여 전송된다.
호올측에는 본예의 경우는 2계열화 되여 있는 것에 대응하여, 각 호올의 각 계열마다 1칩 마이크로컴퓨터(1칩 마이콘)로된 호올콘트롤러(95)가 구비되어 있다. 개개의 호올콘트롤러(95)는 부호S에 뒤이어 계열종별을 나타내는 숫자(1 또는 2)와 호올종별을 나타내는 숫자(1~m)을 연결하여 표현된다. 예를 들면, 계열 1측의 m층의 호올콘트롤러(95)는 S1m로서 특정된다.
이들의 호올콘트롤러(95)는 호올호출등록버튼(96)에서의 호올호출등록신호의 입력처리와 호올호출등록램프(97)에의 점등신호의 출력처리 한다. 그리고, 이들의 호올콘트롤러(95)는 각 계열마다 전송라인(98,99)을 통하여 각 제어유닛(91,92,93)의 마스터노드용 CPU(Ma,Mb,Mc)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어유닛(91~93)중에서 어느 1개를 각 엘리베이터에의 분단처리 및 각 제어유닛간의 동기를 취하기 위한 주국으로 하고, 다른 제어유닛을 상기 주극을 따르는 부국으로 하며, 실시간처리의 필요한 제어기능에 대하여는 상기 주국에서 전호기의 제어유닛을 동기적으로 제어처리하며, 주기적처리의 필요한 제어기능에 대해서는 각 기호의 제어유닛에 분담시켜서 처리하고 있다.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주기적처리의 동기지령에서는 확실히 그 통신에는 관계 없는 부극으로서는 불필요한 처리부담으로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서는 부국측이 응답의 송출충돌을 검출하여 시간을 지연시키면서 송출하는 방식의 방법을 취할때, 부극이 10대이상 많이 있는 경우 응답충돌 발생에의 모든 응답의 수리를 위해 주극의 대기시간은 크게 변화하고 충돌에 따른 많은 불량데이터의 송출에 의해 네트워크는 불필요한 트래픽을 내리누른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서는, 그 주기적처리를 대기하는 동안 그 네트워크는 송출데이터도 없이 놀고 있는 상태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서는, 주극으로된 제어유닛이 일정시간이상 공장시, 남은 제어유닛중의 가장 빠르게 전송라인의 제어를 한 제어유닛을 새 주국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통신을 재개시키는 것은 일견 합리적인것 같이 보이나, 주국으로 되기 위한 데이터송출은 부국이 많을수록 복수동시송출의 내트상의 데이터충돌이 예상되어, 전국에서 정확하게 데이터송출/수리의 이행이 어려울 뿐아니라, 주국이 1국도 존재하지 않은 것 또는 2국이상이 동시에 주국으로 되어 동기지령을 따로따로 송출을 하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잘못된 처리에서의 장해복구에 시간을 활당하고 있으면 인명을 취급하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막대한 장해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동기지령이 전국의 데이터수리부담으로 않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국의 데이터송출로 충돌의 가능성을 될수 있는한 작게 할 수 있으며, 각국에서 데이터처리중에도 네트워크가 놀고 있지 않고 가동가능하여, 어떠한 장해로 주국이 다운되어도 극히 단시간내에 새주국이 데이터송출/수리를 재가할 수가 있으며, 그 결과, 빌딩내에 설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운행관리에 있어서, 승강객의 엘리베이터 승차대기시간과 희망목적층 도착대기시간의 양방을 단출 할 수가 있고, 또 고장에 강한 에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빌딩내에 설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운행관리에 있어서, 승강객의 엘리베이터 승차대기시간과 희망목적층 도착대기시간의 양방을 단출할 수 있으며, 또, 고장에 강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네트워크어드레스 관리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패킷데이터(packet date)의 포맷(format)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패킷데이터의 "송신선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의 1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패킷데이터의 "Date twpe"필드의 1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패킷데이터의 "잉여데이터송출요구/송출허가헤더"필드의 1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결정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결정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동기통신순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동기통신순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동기통신순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잉여데이터통신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동기통신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슬레이브의 잉여데이터통신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군관리제어유닛, 2,3,4 : 차제어유닛,
5,6 : 승장등록제어유닛, 7 : 승장표시제어유닛,
8 : 확장용제어유닛, 10 : 통신장치,
11 : 전송제어용 CPU, 12 : 전송용 LSI,
13 : 공유메모리, 14 : 불휘발성메모리(ROM),
15 : 휘발성메모리(RAM), 16 : 출력포트,
17 : 입력포트, 18 : 멀티버스(multi-bas),
31,32,34,35 : 전송선, 41 : 승장버튼등록장치,
42 : 승장표시장치, 43 : 행성층등록장치.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최소한 각 자제어유닛 및 승장등록 제어유닛을 포함한 복수의 제어유닛이 각각 노드를 가지며, 이들 복수의 노드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접속되며, 각 노드가 노드번화와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대응시킨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 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는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별도의 임시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네트워크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한때에는 마스터로서 작용하는 노드와,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특정의 네트워크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또는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 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이며,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별도의 임시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네트워크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않을때에는 슬레이브로서 작용하는 노드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최소한 각대 제어유닛 및 승장등록 제어유닛을 포함한 복수의 제어유닛이 각각 노드를 가지며 이들 복수의 노드가 단일마스터와 복수의 슬레이브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접속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이며, 상기 마스터는 복수의 슬레이브중 최초의 슬레이브에 최초의 동기개시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의 슬레이브에서의 동기완료데이터를 수신하며는 차례로 다음의 슬레이브에 다음의 동기개시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중 최후의 슬레이브에서의 동기완료데이터를 수신하며는 동기통신의 1주회를 종료함과 동시에, 상기 동기통신의 1주회를 동기통신 주회시간으로 하여 계측하고, 상기 각 슬레이브에 대한 동기개시데이터의 송신간을 동기통신노드 활동시간으로서 계측하여 그 통신을 관리하며, 상기 각 슬레이브는 상기 마스터에서 동기개시데이터를 수신하며는 다른 노드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통신을 완료하며는 상기 마스터에 동기완료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방법은 최소한 각대 제어유닛 및 승장들록 제어유닛을 포함한 복수의 제어유닛이 각각 노드를 가지며, 이들 복수의 노드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접속되어 각 노드가 노드번호와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대응시킨 관리표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방법이며,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 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는 다른 모드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별도의 임시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네트워크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했을때에는 노드가 마스터로서 작용하는 스텝과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 중에서 특정의 네트워크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또는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 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에,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별도의 임시마스터에서 자기으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네트워크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하지 않을때는 노드가 슬레이브로서 작용하는 스텝을 포함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서 동일부호를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전송선(31)을 통하여 접속된 군관리제어유닛(1)과, 각 차제어유닛(2)과 각 차제어유닛(3)과, 각 차제어유닛(4)과, 승장등록제어유닛(5)과, 승장등록제어유닛(6)과, 승장표시제어유닛(7)과, 확장용제어유닛(18)과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동도에서 군관리제어유닛(1)은 통신장치(10)와 군과리제어장치(20A)를 가진다. 그 군관리제어유닛(1)은 승장호출등록신호에 따라 등록된 승장호출에 대한 엘리베이터차(도면생략)의 배치제어를 행한다.
또, 동도에서 각 차제어유닛(2)은 통신장치(10)와 각대 제어장치(20B)를 가진다. 그 각 차제어유닛(2)은 군관리제어유닛(1)에서의 승장호출등록신호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할수신호, 차에서의 호출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차의 승강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각 차제어유닛(3)은 통신장치(10)와 각 차제어장치(20C)를 가지며, 각 차제어유닛(4)은 통신장치(10)와 각 차제어장치(20D)를 구비한다. 이들의 각 차제어유닛(3 및 4)은 각 차제어유닛(2)의 기능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또, 본 예에서는 도면생략되어 있으나, 실제는 각 차제어유닛(2,3,4)과 차기기도 전송선에서 결합되어 있다.
또, 동도에서 승장등록제어유닛(5)은 통신장치(10)와 승장등록제어장치(20F)구비한다. 그 승장등록제어유닛(5)은 전송선(32)을 통하여 각 층에 설치된 승장버튼등록장치(41)에서의 승장호출등록신호의 입력처리와 군관리제어유닛(1)에서의 승장호출에 대한 승장등록등신호의 출력처리를 제어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승장등록제어유닛(5)은 각 차제어유닛(2~4)이 제어하는 3차분의 엘리베이터의 A계열의 승장호출등록정보, 승장등록등정보를 처리한다.
마찬가지로, 승장등록제어유닛(6)은 통신장치(10)와 승장등록제어장치(20F)르 구비한다. 그 승장등록제어유닛(60은 승장등록제어유닛(5)의 기능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또, 본 예에서는 승장등록제어유닛(60은 각 차제어유닛(2~4)이 제어하는 3차분의 엘리베이터의 B계열의 승장 및 등록정보, 승장등록등정보를 처리한다.
또, 동도에서 승장표시제어유닛(7)은 통신장치(10)와 승장표시제어장치(20G)를 구비한다. 그 승장표시제어장치(7)는 전송선(34)을 통하여 승장에 설치된 선행층등록장치(43)에서의 행선층등록신호의 입력처리와 군관리제어유닛(1)에서의 행성층등록신호에 대한 차배치신호 및 선행층등록등신호의 출력처리를 제어한다. 또, 본 예서는 승장표시제어유닛(7)은 각 차제어유닛(2~4)이 3차분의 엘리베이터의 선행층등록정보, 행선층등록정보등을 처리한다.
각 층에 설치된 승장표시장치(42)는 승차표시제어유닛(7)에서의 차배치신호에 따라 실제의 배치차의 표시등의 표시제어를 행한다.
각 층에 설치된 행선층등록장치(43)는 행선층등록버튼에서의 ON/OFF 접점신호의 입력처리와 승장표시제어유닛(7)에서의 행선층등록등신호에 따라 실제의 점등/소등제어를 행한다.
또한, 도 1에서 확장용제어유닛(8)은 통신장치(8)와 확장용제어장치(20H)를 구비한다. 그 확장용제어유닛(8)은 전송선(35)을 통하여 다른 네트워크가 상호결합되며, 다른 엘리베이터의 군관리통신제어시스템과 결합하기 위한 브리지기능을한다. 또, 확장용제어유닛(8)은 전송선(35)을 통하여 관리실에 설치된 퍼스널컴퓨터에도 접속되며, 그 퍼스널컴퓨터는 빌딩전체에 설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통신제어시스템을 감시한다.
또, 도 1에 기재된 A계열이란 승장호출신호 및 승장등록등신호중 일반용(건강인용)의 것을 표시하며, B계열이란 장애자용의 것을 표시한다. 또, a계열이란 예를 들면 행선층등록정보등에서 특정층용의 것을 표시한다.
다음, 각 제어유닛의 통신장치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각 제어유닛의 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에 나타난 것같이 통신장치(10)는 통신장치전체를 제어하는 전송제어용 CPU(11)와 각 제어유닛을 결합하는 전송선(31)에 접속되며, CPU(11)의 제어하에 전송데이터의 송신, 수신 및 전송이상의 체크를 자동으로 행하는 전송용 LSI(12)와, CPU(11) 및 다음에 설명할 제어장치(20)의 쌍방에 액세스 가능한 2포트 RAM등으로 구성된 공유메모리(13)와, 프로그램과 표를 저장하는 리드/라이트 가능한 휘발성메모리(RAM)(15)와, 출력포트(16)와, 입력포트(17)와, 상기 각 구성요소(11~17) 및 제어장치(20)를 단단히 결합하는 멀티버과를 구비한다.
또, 동도에 나타난 것같이, 전송용 LSI(12)는 송출버퍼(12a)와 수신버퍼 (12b)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의 제어장치(12)는 도 1에 표시한 각 제어장치(20A~20H)에 상당한다.
통신장치(10)는 전송선(31)과 접속된 전송용 LSI(12), 멀티버스(18)를 통하여 전송선(31)상에서 전송데이터의 송신, 수신처리를 한다. 또, 제어장치(20)는 멀티버스(18)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된 공유메모리(13)를 통하여 데이터의 교활을 한다. 또한, 입력포트(17)에서는 제어유닛의 통신장치를 구별하기 위한 노드번호등의 설정정보를 외부의 설정장치(예로써, 잠파선, 로타리스위치등 : 도면생략)에서 입력한다. 출력포트(16)에서는 외부의 표시장치(예로써, LED등 : 도면생략)에 출력제어를 행한다.
도 3은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표는 "Alive/Dead식별자", "마스터/슬레이브", "소속", "속성", "노드번호",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 및 "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대응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표는 예를 들면 사전에 각 통신장치(10)의 ROM(14)에 저장되어 있다.
도 4는 패킷데이터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패킷데이터포맷은 "서론", 송신선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 "발신원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 "헤더1", "발신원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 손신선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 "헤더2", "데이터형", "잉여데이터송출요구/송출허가헤더", "잉여데이터송출가능배당시간", "발신원노드번호", "송신선노드번호", "헤더3", "데이터", "데이터피트길이", " 체크총계", 및 "엔드코드"의 각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패킷데이터포맷의 "송신선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의 1예를 나타낸 도이다. 예를 들면, 일제동보통신에서는 6바이트로된 "송신선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의 모든 비트가 "1"이다.
또한, 동도에서 "X"는 "상관마시오"를 나타낸다.
도 6은 패킷데이터포맷의 "데이터형"필드의 1예를 나타낸 도이다.
예를 들면, 동기개시 데이터패킷에서는 "1101"이다.
도 7은 패킷데이터포맷의 "잉여데이터송출요구/송출허가헤드"필드의 1예를 나타낸 도이다. 예를 들면, 잉여데이터송출허가에서는 "01"이다.
다음, 본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전송선(31)에 결합되어 있는 각 제어유닛의 통신장치간의 동기통신을 관리하는 네트워크마스터와, 네트워크마스터에 따라 슬레이브의 결정방법에 대하여, 도 8 및 도 9의 플로차트로 설명한다. 그 플로차트에 나타난 프로그램은 통신장치(1)의 ROM(14)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각 제어유닛(20A~20H)의 통신장치(10)를 "노드"라 부르며, 동시간에 단 1개의 존재가 허용되고, 네트워크의 데이터송신/수신에 관한 관리를 하는 노드를 "네트워크마스터노드"(생략하여 "마스터")라 부르며, 마스터가 아닌 기타의 모든 노드를 "네트워크슬레이드노드"(생략하여 "슬레이브")로 부른다.
다음에 설명하는 마스터/슬레이브 판정루틴에서는, 예를 들면 마스터로 되는 노드에 대응하는 제어유닛은 군관리제어유닛(1)으로 되기도 하며, 승장등록제어유닛(5)으로 되기도 하며,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에서 사전에 설정된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의 대소에 의하여 결정된다.
스텝 100에서, 각 노드(각 제어유닛의 통신장치(10))는, 최초 초기화시의 마스터/슬레이브 판정루틴을 개시한다.
다음, 스텝 101에서, 미리 디폴드(default)에서 설정된 해당 네트워크의 전노드의 노드번호, 실제에 통신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어드레스등을 대응시킨 도 3에 나타난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를 판독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를 ROM(14)에 ROM(15)에 판독된다.
다음, 스텝 102~103에서 자기 자신을 배치하는 네트워크어드레스의 대소를 판정하며, 이것이 해당 네트워크 중에서 최소(또는 최대)일때, 마스터인 것으로 가정하여 인식작업에 들어간다. 즉, 각 노드는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를 참조하며, 외부에서 입력하여 인식하고 있는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가 해당 관리표의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 중에서 최소(또는 최대)의 경우에는 임시마스터로 하여 인식작업에 들어간다.
다음, 스텝 104에서 임시마스터는 마스터인 것을 네트워크전체에 일제동보통신(브로드캐스트, broadcast)에 의해 데이터송신을 행한다. 즉, 임시마스터로서 작용하는 노드는 패킷데이터의 "송신선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도 5에 나타난 일제동보통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파묻고, "발신원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파묻고, "데이터형"필드의 마스터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파묻고, 또한 각 필드에 적당한 데이터를 파묻고 전송선(31)에 송신한다.
다음, 스텝 105~107에서, 지금 각 노드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에 불일치가 있어 본래 임시마스터로 될 수 없는 노드가 임시마스터인것으로 오판정하여, 이것이 마스터인 것을 일제동보통신으로 데이터통신(스텝 104)을 행하여도, 옳은 임시마스터는 별도의 임시마스터에서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한다.
다음, 스텝 108에서, 옳은 임시마스터는 자신의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와 해당 틀린 임시마스터의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비교하여 보다 작으면(또는 크면), 스텝 103(C)에 되돌아가 재차마스터인 것을 일제동보통신함으로서 틀린 임시마스터에 마스터가 아닌 것을 전달할 수가 있다. 틀린 임시마스터는 별도의 임시마스터에서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스텝 107)함으로서,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자기측이 큰(또는 작은)것을 인식하여 스텝 112(B)의 의 슬레이브의 확정처리로 전환한다.
다음, 스텝 109~110에서, 확정된 마스터는 각 슬레이브에 노드확인의 동기개시데이터를 송신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슬레이브가 몇대 작동하고 있는가의 확인작업을 한다. 즉, 마스터는 슬레이브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동기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 111에서, 마스터는 그 확인작업에서 해당 디폴트에 의해 설정된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의 수정을 하고, 수정관리표를 확인시켜서 통상의 네트워크의 데이터송수신 중에서 각 슬레이브에 전기적으로 보내어 갱신을 도모한다. 즉, 마스터는 상기 확인작업에 의하여 얻은 슬레이브의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의 "Alive/dead식별자", 마스터/슬레이브"등의 항목을 갱신한다. 그리고, 마스터는 패킷데이터의 "발신원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자기의 노드번호에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파묻고, 데이터형"필드에 도 6에 나타낸 관리표 배신을 표시하는 데이터 "1100"를 파묻고, "데이터"필드에 수정관리표르 파묻고, 또 각 필드에 적당한 데이터를 파묻어 전송선(31)에 송신한다.
한편, 스텝(112~115)에서, 확정한 슬레이브는 마스터에서의 슬레이브 확인한 동기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마스터/슬레이브 판정루틴을 종료한다.
이와 같은 수순에 따라, 해당 디폴트로 설정된 관리표의 불일치에 의한 오인마스터가 올라올때 복수존재하며, 여러 시간순서에서 올라와 여러순서의 타이밍에서 자기가 마스터인 것의 일제 동보통신을 행하여도(스텝 104), 확실하게 정정되어 확실히 해당 네트워크에서 유일의 마스터가 선출되게 된다.
스텝 200~203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정상으로 통신이 않되는 경우에는, 그 네트워크에서 스레이브인 각 노드는 정산시 마스터에서의 동기개시데이터의 수신대기루틴을 개시하여 타임아웃하지 않으면 정상시 마스터에서의 동기개시테이터의 수신대기루틴을 그대로 종료한다.
여기서, 정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해당 네트워크에서 마스터가 돌연이 다운했을때의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 204에서, 그 네트워크에서 슬레이브인 각 노드가 스텝 200~203에서 정상시 마스터에서의 동기개시데이터의 수신대기루틴을 통하여 데이터통신을 행하며 마스터에서의 동기개시데이터의 수신대기에서 일정시간 대기하여도 동기개시데이터의 수신이 없으면, 마스터가 존재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마스터가 존재않은 것을 검출하며는 즉시 스텝 205의 대체 마스터선출루틴을개시로 전환한다.
스텝 205~207에서, 각 슬레이브는 마스터에 의해 정기적으로 갱신된 해당 관리표의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의 대소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가 다운된 마스터 다음에 제1작을때에는(또는 큰), 자기가 준마스터인 것으로 가정하여 스텝 103(C)의 확인작업으로 전환된 마스터확인의 일련의 처리를 행한다. 마스터에 의해 정기적으로 갱신된 해당관리표의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의 대소에서 판정을 하고 있음으로, 여기서의 마스터확인작업은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 없이 속히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스텝 208~213에서, 각 슬레이브는 마스터에 의해 정기적으로 갱신돈 해당 관리표의 네트워크어드레스의 대소에서 자신이 준마스터가 아닐때, 즉 재차 슬레이브로 판정될 때에는 마스터에서의 브로드캐스트(broadcast)수신을 대기하여, 수신되며는 슬레이인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지금 확인한 준마스터에서의 슬레이브노트확인된 동기개시데이터를 수신하여 대치마스터판정루틴을 종료한다.
또, 정상으로 운전하고 있는 해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물리적분단등의 이유때문에 마스터가 다운되어, 그후 해당 관리표의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에서 다운한 마스터의 다음에 작은(또는 큰)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가진 준마스터도 돌연히 다운했을때의 처리를 설명한다.
정상시 처리에서의 이행은 다음과 같다. 스텝 209~210 및 스텝 214에서, 상기의 스텝 200~202, 스텝 204~206, 스텝 208을 통하여 각 노드는 재차 슬레이브 후보로서 준마스터에서의 브로드캐스트데이터를 대기하게 되나, 준마스터도 다운되었기 때문에 타임아웃되어서, 준마스터가 존재않은 것을 검출한다.
다음, 스텝 215에서, 각 노드는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차를 실제로 운영제어하고 있는 각 차제어유닛(2~4)에 대응하는 노드에 대하여 복수엘리베이터차의 군관리제어가 불능하게 되는 것을 알린다. 또, 각 차제어유닛(2~4)은 각각 독립적으로 군관리에 의존않은 제어방법으로 엘리베이터차 운전을 행한다.
다음, 스텝 216~217에서, 각 노드는 그후 디폴트로 시전 설정된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에 의존치 않고, 다운한 마스터에 의해 정기적으로 갱신된, 현재 남아있는 해당 관리표의 정보에서 새로운 네트워크어드레스관리표를 재구축한다. 각 슬레이브는 브로드캐스트에 의한 관리표재구축요구를 일정시간마다 n회송신한다. 또, 다른 슬레이브에서의 유사한 브로드캐스트에서 보내온 관리표재구축요구데이터에서 현재 살아남아 있는 노드를 확인한다. 이때 관리표를 재구축하고 그중의 네트워크어드레스에서 신마스터를 재선택하기 위해, 스텝 117(A)의 마스터/슬레이브재판정 작업으로 이행한다. 스텝 117뒤에 오는 스텝에서, 재구축한 관리표로부터 상기 설명한 수순으로 신마스터를 재차 선출한다.
다음, 해당 네트워크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마스터와, 기타의 슬레이브로 불리우는 노드와로 시행하는 동기통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동기통신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서는 노드 1에서 노드 4까지의 4대가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며, 편의상 설명한다.
먼저, 스텝 300에서 마스터(노드1)는 동기개시데이터를 슬레이브(노드2)에 송신한다. 즉, 마스터는 패킷데이터의 "송신선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도 5에 나타난 1대1통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파묻고, "발신원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자기으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파묻고, "송신선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해당 슬레이브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파묻고, "데이터형"필드에 도 6에 나타난 동기개시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1101"를 파묻고, 또한 각 필드에 적당한 데이터를 파묻고 송전선 (31)에 송신한다.
다음, 스텝 301~304에서, 슬레이브는 동기개시데이터를 마스터에서 수신하며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권리는 마스터에서 위임받아 자신의 필요한 데이터통신을 행한다. 본 도 10에서, 슬레이브(노드3)에의 데이터송신이 여기에 해당한다. 해당 슬레이브는 그후도 필요한 데이터송신을 여러번 계속하고(도면생략됨), 마스터에 대하여 동기완료데이터의 송신을 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권리를 마스터에 되돌린다.
예를 들면, 슬레이브(노드2)에 대응하는 제어유닛이 승장등록제어유닛(5)이며, 슬레이브(노드3)에 대응하는 제어유닛이 군관리제어유닛(1)이며, 마스터에 대응하는 제어유닛이 상기 이외의 제어유닛인 경우에는, 슬레이브(노드2)는 패킷데이터의 "송신선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도 5에 표시된 1대1통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파묻고, "발신원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파묻고, "송신선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스레이브(노드3)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파묻고, "데이터"필드에 전송선(32)을 통하여 각측 플로어에 설치된 승장버튼등록장치(41)에서의 승장호출 및 등록정보를 파묻고, 또한 각 필드에 적당한 데이터를 파묻어 전송선 (31)에 송신한다.
또, 슬레이브(노드2)는 패킷데이터의 "송신선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도 5에 표시된 1대1통신을 나타낸 데이터를 파묻고, "발신원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어드리스를 파묻으며, "송신원논리적 네트워크어드레스를 파묻고, "데이터형"필드에 도 6에 표시된 동기완료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1110"를 파묻으며, 또한 각 필드에 적당한 데이터를 파묻고 전송선(31)에 송신한다.
다음, 스텝 306에서 마스터는 다음에 데이터를 송신할 권리를 다른 슬레이브 (노드3)에 위임함으로 해당 슬레이브에 동기개시데이터의 송신을 시행한다.
다음, 스텝 307~311에서 슬레이브(노드3)은 노드2와 동일하게 필요한 데이터통신을 행하다. 그때에 도 10에서는 예로써 노드2 및 노드4의 복수노드의 일제 데이터송신을 행한다.
그 슬레이브는 필요한 데이터통신을 완료후 동기완료데이터를 마스터에 송싱하며 데이터를 송신하는 권리를 마스터에 되돌린다.
다음, 스텝 313에서 마스터는 또한 다른 슬레이브(노드4)에 동일한 수순으로 데이터송신하는 권리는 이전한다.
다음, 스텝 314~319에서 슬레이브(노드4)는 노드1에서 노드3까지의 자기 이외의 전노드에 일제동보통신을 한다.
그 슬레이브는 필요한 데이터통신을 행한 후 동기완료데이터를 마스터에 송신한다.
스텝 320에서, 마스터는 슬레이브(노드4)에서 동기완료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네트워크의 1주회의 데이터통신을 완료한다. 통상의 동기통신은 이 1주회의 데이터통신을 무한이 반복함으로서 데이터통신을 계속한다.
마스터는 최초의 슬레이브(노드2)에의 동기개시데이터통신(스텝 300)후, 2개의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시켜 시간을 계측한다.
그의 하나는, 최초의 슬레이브(노드2)에의 동기개시데이터송신(스텝 300)에서, 최후의 슬레이브(노드4)에서의 동기완료데이터수신(스텝 320)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이다. 이 타이머로 측정한 시간을 동기통신주회시간(TA)이라 부르며, 그 길이를 예를 들면 사전에 관리해야 할 시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관리시간과 비교하여 해당 동신마다 체크한다. 해당 네트워크가 일정시간내에 필요한 데이터송수를 완료하였는가, 즉 리얼타임성이 유지되어 있는가를 검지한다.
다른 하나는, 최초의 슬레이브(노드2)에의 동기개시데이터송신(스텝 300)에서 다음의 슬레이브(노드3)에의 동기개시데이터송신(스텝 306)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이다. 이 타이머로 측정한 시간을 동기통신 노드2할당시간(TB1)라 부르며, 이것을 전 슬레이브마다 실시하며 전 슬레이브의 동기통신 노드할당시간을, 예를 들면 사전에 관리해야 될 시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관리시간과 비교하여 체크한다. 또한, 최후의 슬레이브에 관하여는, 즉 본 예에서는 슬레이브 4에관하여는 최후의 슬레이브(노드4)에의 동기개시데이터송신(스텝 313)에서, 최후의 슬레이브(노드4)에서의 동기완료데이터수신(스텝 320)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며, 이것을 동기통신 노드4할당시간(TB3)으로 부른다.
이 시간을 마스터가 각 노드마다 매회 검사함으로서, 각 슬레이브가 정상으로 동기통신을 행하고 있으나. 다운하여 있지 않는가를 판정한다. 이 해당 2개의 시간(TA,TB)의 체크를 마스터는 통신을 행하면서 매회 리얼타임으로 체크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마스터(노드1)는 동기개시데이터송신 이외에 다른 노드에 송신하고 있던 데이터가 있을 때에는, 슬레이브(노드2)에 동기개시데이터를 송신하기(스텝 300)전이나, 각 슬레이브(노드2~4)에의 데이터송신을 한다.
또한, 도면이 복잡하게 됨으로 도 10에 명시않고 있으나, 마스터, 슬레이브 포함 각 노드간의 전 데이터송신에 데이터의 수리가 이루어진 것을 수신선노드가 송신원노드에 되돌려 보내는 응답(ack)데이터를 되돌려 보내는 수순을 부가시켜도 되며, 부가 않시켜도 된다. 동기통신주회시간(TA)이 비교적 긴 경우에는 응답 (ack)데이터가 있는 편이 효율적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 및 마스터 결정동작, 동기통신등의 주요한 동작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도 11은 각 슬레이브가 송신데이터처리를 하는 시간을 실제의 통신절차의 시계열의 어느 곳에서 행하는가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동도에서는 편의상 슬레이브(노드2)의 송신데이터처리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은 어느 마스터에서도 슬레이브에서도 동일하다.
스텝 400에서, 슬레이브(노드2)는 송신데이터처리, 즉 전송용 LSI(12)내의 수신버퍼(12b)에서 데이터를 인출하는 적당한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버퍼(12a)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집어넣는 작업을 사전에 하여 놓는다.
다음, 스텝 402~405에서, 슬레이브는 마스터에서의 동기개시데이터의 수신후에, 데이터송신, 즉 송신버퍼(12a)에서 직접 해당 네트워크에의 데이터송신작업을 행한다.
슬레이브는, 마스터에서의 동기개시데이터 수신후에 송신버퍼(12a)에 데이터를 장전하는 송신준비작업은 일체 실행하지 않는다. 송신버퍼(12a)에 데이터를 장전하는 송신준비작업은 슬레이브의 통신수순을 행하고 있는 실제의 소프트웨어에 따라 마스터에서의 동기개시데이터수신에 의거한 타이밍보다 어느 다른 타이밍을 채택한다. 예를 들면 송신준비작업은 마스터에서의 동기개시데이터수신 대신에 해당 네트워크의 다른 슬레이브에서의 데이터수신시의 데이터처리중에 실시하든가, 또는 소프트웨어 그자체의 백그라운드처리의 부분으로서 실시가능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동기통신수순을 나타낸 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3에 의한 엘리베이터으 ㅣ통신제어장치의 구성 및 마스터결정동작등의 주요한 동작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도 12는 마스터가 동기통신의 주회시간(사이클타임)을 감시함으로서 동시통신의 1주회시간의 남은시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방법의 기본적인 동기통신수순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기본적인 동기통신수순은 도 10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설명되었음으로, 여기서는 마스터가 동기통신의 주회시간을 감시하고, 슬레이브에 대한 동기개시데이터에서의 슬레이브 데이터송출할당시간 명령에 의해 슬레이브의 잉여데이터송출시간을 제어하는 기본적인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2에서는, 편의상 슬레이브(노드2)의 동기통신처리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은 어느 슬레이브에서도 동일하다.
스텝 500~503에서, 마스터는 앞의 동기통신에서의 슬레이브의 동기개시데이터송신처리로부터 다음의 동기통신에서의 슬레이브의 동기개시데이터송신처리까지의 동기통신주회시간(TC1)을 타이머에 의해 계측한다. 또한, 도 12에서는 도가 복잡함으로, 슬레이브(노드2)이외의 다른 노드에서의 동기완료데이터수신처리등을 생략하고 있다.
마스터는 계측한 동기통신주회시간(TC1)이 목표로하는 동기통신주회시간(TD)보다 작을때에는, 목표로하는 동기통신주회시간(TD)에서 계측한 동기통신주회시간 (TC1)을 뺀 할당시간(TE)에 따라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슬레이브(노드2)에 대한 동기통신노드2 할당시간(TB1)을 갱신한다.
그리고 , 스텝 506에서, 마스터는 다음의 동기통신에서의 슬레이브에 대한 동기개시데이터의 송신에 의해 슬레이브데이터 송출할당 시간명령을 설정함으로서, 슬레이브에서의 잉여 데이터송출시간을 제어한다.
즉 마스터는 패킷데이터의 "송신선 물리적 네트워크 어드레스"필드에 도 5에 표시한 1대1 통신을 나타낸 데이터를 파묻고, "발신원 논리적 네트워크 어드레스"필드에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파묻으며, "송신선 논리적 네트워크 어드레스"필드에 해당슬레이브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매묻고, "데이터형"필드에 도 6에 표시한 동기개시데이터를 나타낸 데이터 "1101"를 파묻고, "잉여데이터송출가능할당시간"필드에 할당시간 (TE)를 파묻으며, 또한 각 필드에 적당한 데이터를 파묻고 전송선(31)에 송신한다.
한편, 스텝 507~513에서, 슬레이브는 통상의 데이터송신후에 마스터에서의 슬레이브 데이터송출 할당시간명령에 따라 잉여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는 할당시간(TE)을 모든 특정의 슬레이브(노드2)에서의 잉여데이터송출시간에 할당되어 있으나, 남은 슬레이브의 잉여데이터 송출시간의 할당에 사용하도록 마스터가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다.
계속하며, 마스터가 동기통신의 주회시간을 감시하며, 슬레이브에 대한 동기개시데이터의 슬레이브 데이터 송출할당 시간명령에 의해 슬레이브의 잉여데이터 송출시간을 제어하는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 601에서, 마스터는 전슬레이브중 제일먼저 동기개시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슬레이브에 송신후, 즉시 동기주희 카운트를 시렛하여 재스타트시킨다.
그리고, 제일먼저 동기개시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슬레이브에 동기개시데이터의 송신을 행할때에, 동기주회카운트를 정지하여 동기주회 카운트치(TC)를 판독한다.
그후 동기통신 주회 카운트를 리셋하여 재스타트시킨다.
다음, 스텝 602에서, 마스터는 목표동기통신 주회시간(TD)를 판독하고 계측동기통신주식회사는(TC)와 목표동기통신 주식회사시간(TD)을 비교한다.
다음, 스텝 603에서, TC<TD의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는 스텝 608로 이행하며 성립안되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604로 이행한다.
다음, 스텝 604에서 마스터는 동기개시데이터를 슬레이브에 송신한다.
다음, 스텝 605에서, 마스터는 동기응답데이터를 슬레이브에서 수신한다.
다음, 스텝 606에서 마스터는 동기완료데이터를 슬레이브에서 수신한다.
다음, 스텝 607에서 마스터는 다른 슬레이브에 대한 동기개시, 동기응답,동기완료수준을 행한다.
또, 스텝 608에서, 마스터는 모든 슬레이브중 각 동기통신 주회마다 1대의 슬레이브에 한정하여, 반복하며 잉여 데이터 송출허가 비트를 정하며(TD-TC)의 치를 동기개시 데이터에 넓고 동기개시데이터를 슬레이브에 송신한다.
한편, 스텝 651에서, 슬레이브는 마스터에서의 동기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중의(TD-TC)의 치에서 잉여데이터를 얼마동안 송신가능한가를 산출한다.
산출한 치를 K개로 한다.
다음, 스텝 652에서 잉여데이터 송신요구 플래그를 보아 올라와 있으면, 송출준비를 한다.
이 수순을 K회 반복하여 잉여 데이터 송출준비를 완료한다.
K회미만으로 잉여데이터 송신요구 플래그가 떨어져 있으면, 그 시점에서 잉여데이터송출준비를 완료한다.
다음, 스텝 S653에서, 동기응답데이터를 마스터에 되돌아가게 한다.
다음, 스텝 S654에서, 통상 데이터의 송신요구프래그를 보아올라와 있으면 송출준비를 하여 데이터송출을 행하고, 아니면 데이터 송출을 행하지 않는다.
다음, 스텝 655에서, 잉여데이터 송출을 행한다.
다음, 스텝 656에서, 동기완료데이터를 마스터에 되돌아가게 한다.
그리고, 스텝 657에서, 슬레이브는 데이터송출수순을 종료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동기통신 수순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 및 마스터결정동작등의 주요한 동작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도 14는 슬레이브가 동기통신의 주회시간을 감시함으로서 동기통신의 1주회시간의 남은 시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방법의 기본적인 동기 통신수순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기본적인 동기통신수순은 도 10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설명되었음으로, 여기서는 슬레이브가 동기통신의 주회시간을 감시하여, 마스터에 대한 동기응답데이터의 슬레이브 데이터송출 할당시간 요구에 의해 슬레이브 자신의 잉여데이터 송출시간을 제어하는 기본적인 방법에서만 설명한다.
편의상, 슬레이브(노드2)의 동기통신처리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은 어느 슬레이브에도 동일하다.
스텝 701~705에서, 슬레이브는 앞의 동기통신에서의 동기개시데이터에 수신처리로부터 다음의 동기통신에서의 동기개시 데이터 수신처리까지의 동기통신주회시간(TF1)을 타이머에 의해 계측한다.
또한, 도 14는 도가 혼잡하게 됨으로, 슬레이브의 동기완료데이터 송신처리, 마스터의 동기완료 데이터 수신처리등을 생략하고 있다.
스텝 710에서, 슬레이브는 목표로 하는 동기통신 주회시간(TG)에서 계측한 동기통신 주회시간(TF1)을 뺀 할당시간(TH)을 다음의 동기통시에서의 동기응답데이터 송신에 의해 슬레이브 데이터 송출할당시간 요구로서 파묻게되어, 마스터에 대한 잉여데이터 송출시간을 요구한다.
즉, 슬레이브는 패킷데이터의 "송신선물리적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도 5에 표시된 1대1통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파묻고, "발신원논리적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파묻으며, "송신선논리적네트워크어드레스"필드에 마스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논리적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파묻고, "데이터형"필드에 도 6에 표시된 동기응답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1111"를 파묻고, "잉여데이터송출가능할당시간"필드에 할당시간(TH)을 파묻으며, 또한 각 필드에 적당한 데이터를 파묻어 전송선(31)에 송신한다.
스텝 711에서, 마스터는 동기응답데이터의 수신처리로 슬레이브 데이터송출할당시간요구를 확인하고, 슬레이브(노드2)에 대한 동기통신노드 2할당시간(TB1)을 갱신한다.
스텝 712~716에서, 슬레이브는 통상의 데이터송신후에 슬레이브 데이터 송출할당시간요구에 의해 모스터에 요구한 데이터를 파묻어 전송선(31)에 송신한다.
스텝 711에서, 마스터는 동기응답데이터의 수신처리로 슬레이브데이터 송출할당시간요구를 확인하고, 슬레이브(노드2)에 대한 동기통신노드 2할당시간(TB1)을 갱신한다.
스텝 712~716에서, 슬레이브는 통상의 데이터송신후에 슬레이브 데이터송출 할당시간요구에 의해 모스터에 요구한 시간, 즉 할당시간(TH)에 따라 잉여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방법은 일견 각 슬레이브에는 불공평한 잉여시간의 분배로 고려된다
그러나, 실제에는 상기의 방법에서 슬레이브(노드2)는 자기가 잉여시간을 충분히 사용한 통신을 한 1주회에서 동기통신주회시간을 자기가 잉여시간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음 주회에는 계측동기통신 주회시간(TF)이 거의 목표동기통신주회시간에 머므르게 된다.
그 결과 다음의 주회에서는, 슬레이브(노드2)는 잉여시간을 획득하여 데이터통신을 행할 수 없게된다.
그 대신에, 다른 노드3,노드4,노드1에 잉여시간을 이 순번에서 획득하게 된다.
노드3에 잉여시간을 사용하고, 그 다음의 주회에서는 노드3이 그 시간을 획득못하여 노드4가 획득하여 사용한다.
이것은 잉여시간을 획득하는 주회의 패턴이다.
따라서, 평등, 또 불필요한 노드가 불필요하게 잉여시간을 획득함없이, 목표동기통신주회시간(TG)를 계측동기통신주회시간(TF)이 초과됨없이, 데이터통신이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하여, 슬레이브가 동기통신의 주회시간을 감시하고, 마스터에 대한 동기응답데이터의 슬레이브데이터송출할당시간요구에 의해 슬레이브의 잉여데이터송출시간을 제어하는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 801에서, 슬레이브는 마스터에서의 동기개시데이터를 수신하여 카운터를 정지하고, 동기주회카운터치(TF)를 판독한다.
즉 동기주회카운터를 리셋하여 재스타트한다.
다음, 스텝 802에서, 목표동기통신주회시간(TG)를 판독하여 TG와 TF를 비교한다.
다음, 스텝 803에서, TF<TG의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는 스텝 808로 이행하며, 성립않는 경우에는 다음의 스텝 804로 이행한다.
다음, 스텝 804에서 동기응답데이터를 마스터에 되돌아가게 한다.
다음, 스텝805에서, 통상데이터의 송신요구플래그를 보고 올라와 있으면 송출준비를 하며 데이터송출을 하며, 그렇지않으면 데이터송출을 하지 않는다.
다음, 스텝 806에서, 동기완료데이터를 마스터에 되돌아가게 한다.
그리고, 스텝 807에서, 슬레이브는 데이터송출수순을 종료한다.
또, 슬레이브는(TG-TF)의 치에서 잉여데이터를 얼마 송신가능한가를 산출한다.
산출한 치를 K개로 한다.
다음, 스텝 809에서, 잉여데이터송신요구 플래그를 보고 올라와 있으면 송출준비를 행한다.
이 수순을 K회 반복하여 잉여데이터 송출준비를 완료한다.
K회미만으로 잉여데이터송신요구 플래그가 떨어져 있으면 그 시점에서 잉여데이터 송출준비를 완료한다.
다음, 스텝 810에서, 동기응답데이터를 마스터에 돌려보낸다.
다음, 스텝 811에서, 통상데이터의 송신요구 플래그를 보고 올라와 있으면 송출준비를 하고 데이터송출을 하며, 그렇지않으면 데이터송출을 하지 않는다.다음, 스텝 812에서, 잉여데이터 송출을 한다.
그후 스텝 806으로 이행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것같이 최소한 각차 제어유닛 및 승장 등록제어유닛을 포함하여 복수의 제어유닛이 각각 노드를 가지며, 이들 복수의 노드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접속되며, 각 노드가 노드번호와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대응시간 관리표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이며,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여, 별도 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르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 상기 제 1및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하며는 마스터로서 작용하는 노드와,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또는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인 경우,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며, 별도의 임시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하였을때, 상기 제1및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슬레이브로서 작용하는 노드와를 구비하였으므로, 무용한 데이터송신의 충돌과 그로인한 마스터 산출시간의 지연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이 통신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최소한 각자 제어유닛 및 승장등록제어 유닛을 포함한 복수의 제어유닛이 각각 노드를 가지며, 이들 복수의 노드가 단일의 마스터와 복수의 슬레이브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접속된 엘리베이터의 통신 제어장치이며, 상기 마스터는 복수의 슬레이브중 최초의 슬레이브에 최초의 동기개시 데이터를 송신하고, 앞의 슬레이브에서의 동기완료 데이터를 수신하며는 차례로 다음의 슬레이브에 다음의 동기개시데이터를 송신하며는 차례로 다음의 슬레이브에 다음의 동기개시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중 최후의 슬레이브에서의 동기 완료데이터를 수신하며는 동기통신의 1주회를 종료함과 동시에, 상기 동기통신의 1주회를 동기통신주회시간으로서 계측하며, 상기 각 슬레이브에 대한 동기개시데이터의 송시간을 동기동신노드할당시간으로서 계측하여 그 통신을 관리하며, 상기 각 슬레이브는 마스터에서 동기개시데이터를 수신하며는 다른 노드에 데이터를 송신하여 데이터송신을 완료하며는 마스터에 동기완료데이터를 송신함으로 네트워크상의 전 노드의 데이터통신의 리얼타임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송신의 충돌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운영을 고효율로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한 엘립이터의 통신제어방법은,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최소한 각 차제어유닛 및 승장등록제어유닛을 포함한 복수의 제어유닛이 각각 노드를 가지며 이들 복수의 노드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접속되어, 각 노드가노드번호와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대응시킨 관리표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방법이며,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은,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 것의 일체동보통신을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변도임시마스터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 상기 제 1및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한 때에는 노드가 마스터로서 작용하는 스텝과,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또는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별도 일시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에, 상기 제1및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않는 경우 노드가 슬레이브로서 작용하는 스텝과를 포함함으로, 무용한 데이터송신의 충돌과 그에 따른 마스터 선출시간의 지연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최소한 각 차제어유닛 및 승장등록제어유닛을 포함한 복수의 제어유닛이 각각 노드를 가지며, 이들 복수의 노드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접속되며, 각 노드가 노드번호와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관리표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다른 임시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하였을때, 상기 제1및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한 경우에는 마스터로서 작용하는 노드와,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또는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다른 임시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 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 상기 제 1및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레이브로서 작용하는 노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2. 최소한 각 차제어유닛 및 승장등록제어유닛을 포함한 복수의 제어유닛이 각각 노드를 가지며, 이들 복수의 노드가 단일의 마스터와 복수의 슬레이브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접속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복수의 슬레이브중 최초의 슬레이브에 최초의 동기개시 데이터를 송신하고, 앞의 슬레이브에서의 동기완료데이터를 수신하며는 차례로 다음의 슬레이브에 다음의 동기개시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중 최후의 슬레이브에서의 동기완료데이터를 수신하며는 동기통신의 1주회를 종료함과 동시에, 상기 동기통신의 1주회를 동기통신주회시간으로서 계측하여, 상기 각 슬레이브에 대한 동기개시데이터의 송시간을 동기통신노드 할당시간으로 계측하여 그 통신을 관리하며, 상기 각 슬레이브는 상기 마스터에서 동기개시 데이터를 수신하면 다른 노드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송신을 완료하면 상기 마스터에 동기완료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3. 최소한 각 차제어유닛 및 승장등록제어유닛을 포함한 복수의 제어유닛이 가각 도르를 가지며, 이들 복수의 노드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접속되고, 각 노드가 노드번호와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관리표를 갖고 있는 엘리베이터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는, 다른 모드노드에 대하여 상기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다른 임시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에, 상기 제1및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한 경우에는 노드가 마스터로서 작용하는 노드와,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어드레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또는 상기 관리표를 참조하여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1의 네트워크 어드세스가 상기 관리표중에서 특정의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하여 상기 제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 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송신하고, 다른 임시마스터에서 자기의 노드번호에 대응하는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가한 임시마스터인것의 일제동보통신을 수신했을때에, 상기 제1및 제2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특정의 조건에 적합않을 경우에는 노드가 슬레이브로서 작용하는 노드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KR10-2001-7015262A 2000-03-30 2000-03-30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100429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2030 WO2001074702A1 (fr) 2000-03-30 2000-03-30 Dispositif de commande de communication d'ascenseur et procede de commande d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108A true KR20020021108A (ko) 2002-03-18
KR100429719B1 KR100429719B1 (ko) 2004-05-03

Family

ID=1173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262A KR100429719B1 (ko) 2000-03-30 2000-03-30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71011B1 (ko)
EP (1) EP1182162B1 (ko)
JP (1) JP4601888B2 (ko)
KR (1) KR100429719B1 (ko)
CN (1) CN100333987C (ko)
WO (1) WO2001074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2429B1 (en) * 2000-03-10 2004-01-06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Encoding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elevator I/O devices
JP4803865B2 (ja) * 2000-05-29 2011-10-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群管理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4032552A (ja) * 2002-06-27 2004-01-29 Uniden Corp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7242770B2 (en) * 2002-07-08 2007-07-10 C.E. Electronics, Inc. Secure encryption/decryption for elevators
EP1460022A1 (de) * 2003-03-20 2004-09-22 Inventio Ag Antriebseinheit für einen aufzug
JP4481079B2 (ja) * 2003-06-12 2010-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Bluetoothマスタ選択方法、Bluetoothマスタ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Bluetooth装置
JP3723980B2 (ja) 2003-12-22 2005-12-07 横河電機株式会社 通信制御システム
KR100972797B1 (ko) 2005-11-16 2010-07-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목적지 엔트리 그룹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홀웨이 픽스쳐들의 작동 방법
US20110044338A1 (en) * 2006-12-20 2011-02-24 Thomas Anthony Stahl Throughput in a lan by managing tcp acks
EP1980520A1 (de) * 2007-04-10 2008-10-15 Inventio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Vielzahl von Bedieneinheiten einer Aufzugsanlage mit einer Vielzahl von Stockwerken
GB2475662B (en) * 2008-08-29 2013-01-30 Otis Elevator Co Automated elevator fixture addressing
US8746412B2 (en) 2008-12-19 2014-06-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frame with electronics housing
CN103003181B (zh) * 2010-07-27 2016-01-06 奥的斯电梯公司 装置器装置控制
FI122474B (fi) * 2010-12-01 2012-02-15 Kone Corp Hissin turvakytkentä sekä menetelmä hissin turvakytkennän toiminnallisen poikkeaman tunnistamiseksi
WO2013151533A1 (en) * 2012-04-03 2013-10-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using dual communication channels
CN102897613B (zh) * 2012-10-09 2015-05-20 苏州默纳克控制技术有限公司 电梯智能群控系统及方法
PL3061212T3 (pl) * 2013-10-23 2018-12-31 Inventio Ag Sposób oraz urządzenie do rozruchu przy oddaniu do eksploatacji instalacji dźwigowej
JP6459846B2 (ja) * 2015-08-18 2019-01-3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群管理方法
CN111327501B (zh) * 2020-02-21 2022-01-14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一种自适应的电梯总线通信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2164A (en) * 1974-04-24 1978-04-0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US4354229A (en) * 1980-03-10 1982-10-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op initialization mechanism for a peer-to-peer communication system
US4567560A (en) * 1983-09-09 1986-01-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ultiprocessor supervisory control for an elevator system
JPH072574B2 (ja) * 1985-02-14 1995-01-1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639312B2 (ja) 1985-06-21 1994-05-2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S624179A (ja) * 1985-06-28 1987-01-10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662263B2 (ja) 1985-11-15 1994-08-17 株式会社東芝 群管理エレベ−タの信号伝送制御方法
KR100202716B1 (ko) * 1996-12-17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JPH01275388A (ja) * 1988-04-26 1989-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650961B2 (ja) 1988-04-28 1997-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散制御ネットワークの制御方法
JPH0686273B2 (ja) * 1988-05-13 1994-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信号伝送装置
JP3228573B2 (ja) * 1992-11-10 2001-11-12 株式会社東芝 Lanにおける送信要求制御装置
JPH0730564A (ja) * 1993-07-12 1995-01-31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プロトコルアドレス重複の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768014B2 (ja) 1993-07-22 1995-07-2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US5398782A (en) * 1993-11-12 1995-03-21 Otis Elevator Company Remote monitoring system with variable period communication check
JP3445668B2 (ja) * 1994-09-20 2003-09-08 ホロ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5654531A (en) * 1995-08-07 1997-08-05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Redundant multidrop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s
KR0186123B1 (ko) * 1995-12-28 1999-04-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분산 군관리제어 방법
US5804778A (en) * 1996-12-27 1998-09-08 Yungtay Engineering Co., Ltd. Elevator control data intercommunication programmer
JP4476413B2 (ja) * 2000-02-21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用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4702A1 (fr) 2001-10-11
EP1182162A1 (en) 2002-02-27
CN100333987C (zh) 2007-08-29
EP1182162B1 (en) 2013-11-20
JP4601888B2 (ja) 2010-12-22
US6471011B1 (en) 2002-10-29
KR100429719B1 (ko) 2004-05-03
CN1352619A (zh) 2002-06-05
EP1182162A4 (en)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719B1 (ko)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US4506360A (en) Multi-station token pa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H0683221B2 (ja) データ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1118191A (ja) 車両間無線通信システム
GB2251532A (en) Allocating identifiers in a local area network
CN103546355A (zh) 多主无损总线竞争技术
JP4727062B2 (ja) エレベーターの通信制御装置
JPH04213251A (ja) 通信システム
JP4907031B2 (ja) エレベーターの通信制御装置
JP2002369255A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伝送装置
US5251214A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o a plurality of data stations
CN111935726B (zh) 通信处理方法、主节点、从节点、存储介质及系统
JP4368478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カル機器ネットワークおよびこれの送信制御方法
JP373966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EP1942070B1 (en) Communications control system for elevators using synchronized communication in a master-slave network
JP2002152232A (ja) 通信端末収容装置及び通信端末収容方法
CN104053218A (zh) 无线通信方法、无线装置和无线协调器
CN109586832B (zh) 无线同步方法、无线从机、无线主机和无线同步系统
CN113543082B (zh) 一种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系统以及介质
JP3228573B2 (ja) Lanにおける送信要求制御装置
JP3174663B2 (ja) 多重化サーバ方式における通信システム
CN116207378A (zh) 基于电池的自动id分配系统
CN117377056A (zh) 一种同步事件的执行方法及设备
CN113873633A (zh) 一种基于同步系统内的流量管理方法
JP2750934B2 (ja) マルチ接続における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