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515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515A
KR20020006515A KR1020017009715A KR20017009715A KR20020006515A KR 20020006515 A KR20020006515 A KR 20020006515A KR 1020017009715 A KR1020017009715 A KR 1020017009715A KR 20017009715 A KR20017009715 A KR 20017009715A KR 20020006515 A KR20020006515 A KR 20020006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hoistway
winch
guide rail
elevator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094B1 (ko
Inventor
하야시요시가쓰
하마구치슈키
도미도코로마코토
혼다다케노부
야마카와시게키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42374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0651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2000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박형의 권양기를 승강로내의 정상부와 피트부를 제외한 높이로, 승강로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카와 승강로 벽 사이에 두고, 리턴휠을 권양기의 상방이고, 또 승강로 평단면의 투영면상에 승강로 벽에 대해 경사시켜서 배치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도 12 및 도 13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 공보의 도 2 및 도 1에 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사람 또는 화물이 실리는 카, 2는 카(1)의 중량을 보상하는 카운터웨이트, 3은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현가하는 로프, 4는 로프(3)를 통해서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구동해서 승강시키는 박형의 권양기, 4a는 권양기의 시브, 5a, 5b는 로프(3)의 현가방향을 전환하는 리턴휠, 6은 카용 가이드레일, 7은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 8은 승강로, 11은 카(1)의 매다는 휠, 12는 카운터웨이트(2)의 매다는 휠, 13은 카 측의 로프 고정부, 14는 카운터웨이트측의 로프 고정부이다.
다음, 도 12 ~ 도 13을 사용해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권양기(4)의 시브(4a)에 현가된 로프(3)를 통해서 엘리베이터의 카(1) 및 카운터웨이트(2)가 승강한다. 이때, 카용 가이드레일(6)이 카(1)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해서 승강로내의 다른 기기나 승강로 벽과 카(1) 및 카운터웨이트(2)와의 접촉, 간섭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카(1), 카운터웨이트(2) 및 권양기(4)의 수직투영은 서로 떨어져 있고,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면에 평행하게 놓여져 있다.
근년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점유공간의 최소화를 표적으로 해서,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고 권양기를 승강로에 내장하는 각종의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1) 박형의 권양기를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상한 보다 상방에 배치하는 방식, (2) 권양기를 승강로내의 정부 즉, 카 초상층 정지시의 카의 천정보다 상방에 배치하는 방식, (3) 권양기를 승강로내의 피트부 즉, 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아래쪽에 배치하는 방식이다.
이중, (1), (2)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에 필요 최소한의 높이 보다도 많은 승강로 높이를 요하는 동시에, 승강로 정상부 부근에서 카 상에 되서, 권양기의 보수점검을 하는 작업자가 예기치 않은 카의 상승에 의해 승강로의 천정에 머리를 부딪치지 않기 위한 방호책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결점이 있다.
(2)의 경우는 권양기가 발하는 열이 승강로의 정상부 즉, 권양기 자신의 부근에 체류하므로, 온도상승에 의해 권양기가 고장나기가 쉽다.
(3)은 가장 물을 많이 뒤집어 쓰기 쉬운 피트부에 권양기를 배치하기 위해그 방호수단이 필요하다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1)의 결점을 해소하는 것이나, 권양기의 수직투영면의 상방 및 하방의 승강로 전고에 걸쳐 불사용 공간을 생기게 한다는 새로운 결점을 초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의 수직투영면의 상방 및 하방의 승강로 전고에 걸쳐 불사용 공간을 생기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승강로내의 불사용 공간의 발생을 적극 억제하고, 권양기의 온도상승에 의한 고장을 억제하고, 승강로에의 관수에 대해 권양기의 손상이 없고, 또 점검시의 예기치 않은 카의 상승에 대한 방호수단의 필요를 없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와 대향방향으로 이동하는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카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와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는 로프와, 상기 승강로내에 있고, 상기 로프가 감겨있고, 이 로프를 통해 상기 카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승강시키는 권양기를 갖는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권양기를 박형으로 해서 상기 승강로의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또 최상층 정지시의 카 천정으로부터 하방의 위치에서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내의 하나의 벽면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권양기보다 위쪽에 상기 벽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한 리턴휠을 갖고 있다.
또, 상기 권양기와 상기 리턴휠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카용 가이드레일 또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빔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권양기의 하단을 상기 승강로의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권양기의 하단을 1층 바닥면 보다 위쪽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권양기를 기준층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권양기를 최상층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리턴휠을 지지하는 빔에 상기 권양기를 아래쪽에서 부착하였다.
또, 상기 리턴휠을 지지하는 빔에, 상기 권양기를 하측에서 부착한 상기 빔을 방진구조로 하였다.
또, 상기 권양기와 상기 리턴휠을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1부를 겹쳐서 배치하였다.
또, 상기 권양기의 시브 또는 모터는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배면 보다도 상기 카 측에 돌출해 있다.
또, 상기 권양기와 거의 같은 높이, 또는 상기 권양기에 근접한 직상 또는 직상에 상기 권양기의 구동제어를 하는 제어반을 배치하였다.
또, 상기 제어반의 하단을 상기 승강로의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위쪽에 배치하였다.
또, 상기 제어반의 하단을 상기 승강로의 1층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하였다.
또, 상기 리턴휠의 하나를 구동장치로 하였다.
또, 상기 리턴휠의 상기 승강로 벽면과의 경사각도를 가변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리턴휠 상호의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내에서의 배치거리를 가변의 구조로 하였다.
본 발명은 승강로내에 카와, 카운터웨이트와, 양자를 현가하는 로프와, 이 로프를 구동하는 권양기와 이 로프의 현가방향을 전환하는 리턴휠(Return wheel)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부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 실시예 5에서 사용하는 가이드레일의 「배면」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부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부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부감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부감도.
도 12는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
도 13은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측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 본 발명에 대해 아래와 같이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 도 3을 사용해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1의 부감면, 도 2는 평면도를 표시한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보아,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후방에 있고 권양기를 카의 측방에 배치한 예이다. 도면에서 1은 사람 또는 화물이 하는 카, 2는 카(1)의 중량을 보상하는 카운터웨이트, 3은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현가하는 로프, 4는 로프(3)를 통해서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구동해서 승강시키는 박(薄)형의 권양기, 4a는 권양기(4)의 시브, 4b는 권양기(4)의 모터, (5a),(5b)는 로프(3)의 현가방향을 전환하는 리턴휠, 6은 카용 가이드레일, 7은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 8은 승강로, 8a는 승강로(8)의 정상부, 8b는 승강로(8)의 피트부, 9는 권양기(4)를 지지하는 빔, 10은 리턴휠(5)을 지지하는 빔, 11은 카(1)의 매다는 휠, 12는 카운터웨이트(2)의 매다는 휠, 13은 카 측의 로프 고정부, 14는 카운터웨이트 측의 로프 고정부, 15는 제어반이다. 또, 도 1중의 1점쇄선 A는 카 최상층 정지시의 카 천정의 높이를 표시한다.
즉, 이 선으로부터 상방이 정상부이다. 또, 도 1중의 1점쇄선 B는 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의 높이를 표시한다. 즉, 이 선 보다 하방이 피트부이다.
도면에서 권양기(4)의 하단은 1점쇄선 B보다도 상방에 있다. 즉, 권양기(4)는 카 최상층 정지시의 카의 천정보다도 하방으로 또, 하단이 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의 바닥면 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리턴휠(5a)은 승강로(8)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 배치되어 있고, 리턴휠(5b)은 벽면에 대해 경사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 권양기(4)를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9)의 하측에 고정해 있다. 그리고, 권양기(4)의 시브(4a)는 승강로(8)의 평단면내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 보다도 카 측에 위치해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의 배면이라는 것은 도 3c의 부분을 말한다. 본 예에서는 권양기(4)를 빔(9)에 대해 직접 고정하고 있으나, 탄성체를 통해서 부착방진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 빔(9)과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과의사이를 탄성체를 거쳐서 부착할 수도 있다
또, 리턴휠(5a),(5b)를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 (7)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빔(1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리턴휠(5a),(5b)를 빔(10)에 대해 직접 고정하고 있으나, 탄성체를 통해서 부착방진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 빔(10)과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 사이를 탄성체를 통해 부착할 수도 있다.
또, 제어반(15)은 하단을 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의 바닥면 보다도 상방으로 해서 권양기(4)와 거의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반(15)에 의해 구동되는 권양기(4)의 시브(4a)에 현가된 로프(3)가 리턴휠(5a),(5b)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카의 매다는 휠(11) 및 카운터웨이트의 매다는 휠(12)을 통해서, 카(1) 및 카운터웨이트(2)를 승강시킨다.
이때,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1) 및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리턴휠(5a)은 승강로(8)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서 배치되고, 또 권양기(4)의 시브(4a)는 승강로(8)의 평단면내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 보다도 카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승강로(8)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가 점유하는 면적은 작고, 승강로 전고에 걸치는 불사용 공간을 축감하고 있다. 또, 권양기의 시브(4a)에 걸려있는 로프의 감는 각은 180°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트적션 능력을 크게 할 수가 있다. 또, 권양기(4)는 카 최상층 정지시의 카 천정보다 하방에 있으므로, 카 상에 타서 작업하는 점검작업자가예기치 않은 카의 상승에 의해 승강로의 천정에 머리를 부딪치는 염려는 없고, 방호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권양기가 발하는 열은 상방인 승강로의 천정 부근으로 가므로, 온도상승에 의해 권양기가 고장나는 일도 없다. 또, 리턴휠(5b)은 승강로(8)의 벽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시브(4a)의 로프홈에의 로프(3)의 입력각이 작아져 로프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 빔(9)의 아래에 권양기(4)가 부착되어 빔(10)에는 리턴휠(5a),(5b)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빔(9)을 통해서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 (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한 상향의 히모가, 빔(10)을 통해서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한 하향의 힘이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상쇄되어, 건물에 걸리는 힘을 경감하고 있다.
또, 권양기(4)의 하단 및 제어반(15)의 하단은 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상방이고, 또 카 천정면 보다 하방에 있으므로 피트가 관수되도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
이 종류의 기계실이 없는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피트의 깊이는 1.2m에서 1.5m정도이고, 이 위치에 권양기 및 제어반이 배치되어 있으면, 작업자가 피트 바닥에 섰을 때에 손이 닿는 범위, 예를 들면 1.2m에서 1.7m 높이의 범위(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 피치바닥에서 1.7m 높이)에 있게 되어, 점검작업이 용이하다.
또, 권양기(4)의 하단 및 제어반(15)의 하단을 카 1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상방이고, 또 카 천정면 보다 아래로 했을 때는 피트 뿐 아니라, 지하층 전체가 물을 뒤집어써도, 권양기(4) 및 제어반(15)이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을 카 기준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카 천정면 보다 아래로 하고, 제어반(15)을 거의 같은 높이에 배치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운행관리에 맞는 점검이 가장 쉽게 하게 된다.
권양기(4)의 하단을 최상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또 카 천정면 보다 아래쪽으로 했을 때는 권양기(4)와 리턴휠(5a),(5b)와의 높이가 접근해 있으므로, 양자를 점검하는데 편리하다.
또, 양자를 지지하는 빔을 일체로 해서 재료의 절감과, 공간의 축감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 진다.
실시예 2.
도 4 ~ 도 5를 사용해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2의 부감도, 도 5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보아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후방에 있고, 권양기를 카운터웨이트의 승강공간의 옆쪽으로 배치한 예이다. 도면에서 진술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권양기(4)의 하단은 1점쇄선 B보다도 위쪽에 있다. 즉, 권양기 (4)는 카 최상층 정지시의 카의 천정보다도 아래쪽이고, 또 하단이 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의 바닥면 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리턴휠(5a),(5b)는 승강로(8)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 리턴휠(5b)은 승강로(8)의 벽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시브(4a)의 로프홈에의 로프(3)의 들어가는 각이 작아지고, 로프의 손상이 방지되어 있다.
또, 권양기(4)를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9)에 밑에서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권양기(4)를 빔(9)에 대해 직접 고정하고 있으나, 탄성체를 통해서 부착방진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 빔 (9)과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과의 사이를 탄성체를 통해서 부착할 수도 있다.
또, 리턴휠(5)을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10)에 고정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리턴휠(5)을 빔(10)에 대해 직접 고정하고 있으나, 탄성체를 통해서 부착방진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 빔(10)과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과의 사이를 탄성체를 통해서 부착할 수도 있다.
또,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평단면에서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반(15)에 의해 구동되는 권양기(4)의 시브(4a)에 현가된 로프(3)가 리턴휠(5)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카의 매다는 휠(11) 및 카운터웨이트의 매다는 휠(12)을 통해서 카(1) 및 카운터웨이트(2)를 승강시킨다. 이때,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1) 및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리턴휠(5a)은 승강로(8)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서 배치되고,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평단면에서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쳐지는 바로 위 또는 바로 밑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8)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가 점유하는 면적은 작고, 승강로 전고에 걸친 불사용 공간을 감축하고 있다. 또, 권양기(4)는 카 최상층 정지시의 카 천정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카 위에 올라타서 작업하는 점검작업자가 예기치 않은 카의 상승에 의해 승강로의 천정에 머리를 부딪칠 염려는 없고, 방호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권양기가 발하는 열은 위쪽인 승강로의 천정부근으로 가므로, 열에 의해 권양기가 고장나는 일도 없다.
또, 빔(9)밑에 권양기(4)가 부착되어, 빔(10)에는 리턴휠(5a),(5b)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빔(9)을 통해서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한 상향의 힘과, 빔(10)을 통해서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한 하향의 힘이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상쇄되어, 건물에 걸리는 힘을 경감하고 있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상방이고, 또 카 천정면 보다 아래쪽에 있고,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평단면에서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부의 가장 가까운 바로 위에 있으므로, 피트가 물이 관수되어도권양기(4) 및 제어반(15)은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
이 종류의 기계실이 없는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피트의 깊이는 1.2m에서 1.5m정도이고, 이 위치에 권양기가 배치되어 있으면 작업자가 피트 바닥에 섰을 때에 손이 닿는 범위, 예를 들면 1.2m에서 1.7m높이의 범위(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 피트 바닥에서 1.7m높이)에 있게 되어, 점검작업이 용이하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을 카(1) 일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또 카 천정면 보다 아래로 하고, 제어반(15)을 승강로(8)의 평단면에서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가장 가까운 바로 위에 배치한 경우에는 피트 뿐 아니라, 지하층 전체가 물이 들어도 권양기(4) 및 제어반(15)이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을 카 기준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또 카 천정면 보다 아래쪽으로 하고, 제어반(15)을 승강로(8)의 평단면에서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가장 가까운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운행관리에 따른 점검이 가장 하기 쉽게 된다.
권양기(4)의 하단을 최상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또 카 천정면 보다 아래로 한 경우에는 권양기(4)와 리턴휠(5)과의 높이가 접근하고 있으므로, 양자를 점검하는데 편리하다.
또, 양자를 지지하는 빔을 일체로 해서 재료의 절감과 공간의 감축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3.
도 6 ~ 도 7 및 도 3을 사용해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이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3의 부감도, 도 7은 평면도를 표시한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보아,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옆쪽에 있고, 권양기를 카운터웨이트와 같은 쪽의 카의 측방에서 카운터웨이트와는 승강로의 평단면상에서 투영면이 겹치지 않도록 배치한 예이다.
도면에서 전술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상당 부분을 표시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권양기(4)의 하단은 1점쇄선 B보다도 위쪽에 있다. 즉, 권양기 (4)는 카 최상층 정지시의 카의 천정 보다도 아래쪽으로, 하단이 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의 바닥면 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리턴휠(5a)은 승강로(8)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 배치되어 있다. 또, 리턴휠(5a),(5b)는 승강로(8)의 벽면에 대해 경사하고 있으므로, 시브(4a)의 로프홈에의 로프(3)의 투입각이 작아져 로프의 손상이 방지되어 있다.
또, 권양기(4)를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9)에 아래쪽에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4)의 모터(4a)는 승강로(8)의 평단면내에서 카용 가이드레일 (6)의 배면 보다도 카 측에 위치해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의 배면이라는 것은도 3의 C의 부분을 말한다. 본 예에서는 권양기(4)를 빔(9)에 대해 직접 고정하고 있으나, 탄성체를 통해서 부착해 방진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 빔(9)과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과의 사이를 탄성체를 통해서 부착할 수도 있다.
또, 리턴휠(5)을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10)에 고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리턴휠(5)을 빔(10)에 대해 직접 고정하고 있으나, 탄성체를 통해서 부착방진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 빔(10)과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과의 사이를 탄성체를 통해서 부착할 수도 있다.
제어반(15)에 의해 구동되는 권양기(4)의 시브(4a)에 현가된 로프(3)가 리턴휠(5)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카의 매달은 휠(11) 및 카운터웨이트의 매다는 휠(12)을 통해서, 카(1) 및 카운터웨이트(2)를 승강시킨다. 이때,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1) 및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리턴휠(5a)은 승강로(8)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서 배치되고, 또 권양기(4)의 모터(4b)는 승강로(8)의 평단면내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 보다도 카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승강로(8)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가 점유하는 면적은 작고, 승강로 전고에 걸친 불사용 공간을 감축하고 있다. 또, 권양기(4)는 카 최상층 정지시의 카 천정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카 위에 올라가 작업하는 점검작업자가 예기치 않은 카의 상승으로 인해 승강로의천정에 머리를 부딪치는 염려는 없다.
또, 권양기가 발하는 열은 위쪽인 승강로의 천정부근으로 가므로, 열에 의해 권양기가 고장이 나는 일도 없다.
또, 빔(9)의 아래에 권양기(4)가 부착되고, 빔(10)에는 리턴휠(5a),(5b)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빔(9)을 통해서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한 상향의 힘과, 빔(10)을 통해서 카용 가이드레일(6),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한 하향의 힘이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상쇄되고, 건물에 걸리는 힘을 경감하고 있다.
또, 권양기(4)의 하단 및 제어반(15)의 하단은 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또 카 천정면 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피트가 관수되어도 권양기(4) 및 제어반(15)은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이 종류의 기계실이 없는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피트의 깊이는 1.2m에서 1.7m 정도이고, 이 위치에 권양기 및 제어반이 배치되어 있으면 작업자가 피트 바닥에 섰을 때에 손이 닿는 범위, 예를 들면 1.2m에서 1.7m 높이의 범위(카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 피트 바닥에서 1.7m 높이)에 있게 되어, 점검작업이 용이하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을 카 1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또 상단을 카 천정면 보다 아래로 하고 제어반(15)을 대략 같은 높이에 배치한 경우에는 피트 뿐 아니라, 지하층 전체가 물에 차도 권양기(4) 및 제어반(15)이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또, 권양기(4)의 하단을 카 기준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또 상단을 카 천정면 보다 아래로 하고 제어반(15)을 거의 같은 높이에 배치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운행관리에 맞는 점검이 가장 손쉽게 된다.
권양기(4)의 하단을 가장 상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또 상단을 카 천정면 보다 아래쪽으로 한 경우에는 권양기(4)와 리턴휠(5)이 접근해 있으므로, 양자의 위치 조정이 쉬워지고, 점검에도 편리하다.
실시예 4.
도 8 ~ 도 10을 사용해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4의 부감도, 도 2는 평면도를 표시하고, 도 9 및 도 10은 요부를 표시한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보아,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후방에 있고 권양기를 카의 측면에서, 또 최상층 정지시의 카 천정높이의 바로 아래에서 리턴휠을 지지하는 빔에 대해 아래측에 배치한 예이다. 전술한 바의 도면과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16은 빔(10)의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체이다.
여기서, 리턴휠(5)의 승강로 벽에 대한 경사각은 가변이고, 2개의 리턴휠(5) 상호간의 간격도 가변의 구조로 하고 있다. 이 가변구조는 예를 들면, 빔(10)과 리턴휠(5)의 틀과 볼트체결로 하고, 또 그 체결공을 긴 구멍으로 하면 실현할 수 있다. 단, 가변구조는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가변구조는 실시예 1에서 실시예 3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리턴휠(5)을 지지하는 빔(10)의 아래쪽에 권양기(4)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로프(3)의 장력에 의해 권양기(4)의 시브(4a)에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리턴휠 (5)에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빔(10)에 작용하는 힘이 내력으로 상쇄되므로, 가이드레일에 작용하는 힘이 경감된다.
또, 권양기(4)와 리턴휠(5)이 같은 빔(1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호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다.
또, 권양기(4)와 리턴휠(5)이 동일한 빔(10)에 부착되어 있고, 빔(10)은 탄성체(16)를 통해서 카의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의 가이드레일(7)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권양기(4)와 리턴휠(5)의 진동을 절연할 수 있다.
또, 리턴휠(5)의 승강로 벽과의 경사각이 가변이고, 2개의 리턴휠(5)의 상호의 간격도 가변이므로, 다른 사이즈의 카(1)에서 카의 매달은 휠(12), 카운터웨이트의 매달은 휠(13)과의 승강로평면로에서의 위치관계가 변해도 같은 설계로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1을 사용해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5를 표시한다.
도면에서 전술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해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17은 2개 있었던 리턴휠(5) 중 한쪽을 치환한 구동장치이다. 또, 이 치환은 실시예 1에서 실시예 4에서 적용 가능하다.
2개의 리턴휠(5a),(5b)의 한쪽을 구동장치(17)로 치환하고, 권양기(4)와 동기구동 함으로써, 구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대용량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래에 표시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카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와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는 로프와, 상기 승강로내에 있고 상기 로프가 걸쳐 당해 로프를 통해서 상기 카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승강시키는 권양기를 갖는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권양기를 박형으로 하고, 상기 승강로의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고, 또 최상층 정지시의 카 천정 보다 아래위치에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내의 하나의 벽면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로의 최상층 정지시의 상기 카 천정보다 위쪽에 상기 벽면에 대해 경사해서 배치한 리턴휠을 갖고 있으므로, 승강로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가 점유하는 면적은 작고, 승강로 전고에 걸친 불사용 공간을 감축하고 있다.
또, 로프가 권양기의 시브의 로프홈에 들어가는 각도가 작으므로, 로프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 상기 권양기와 상기 리턴휠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카용 가이드레일 또는상기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빔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로프의 장력에 의해 권양기에 작용하는 상향의 힘과, 리턴휠에 작용하는 하향의 힘이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상쇄되어, 건물에 걸리는 힘을 경감하고 있다.
또, 상기 권양기의 하단을 상기 승강로의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피트에 관수가 있어도 권양기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권양기의 하단을 1층 바닥면 보다 위쪽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지하층에 관수가 있어도 권양기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권양기를 기준층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적합한 점검이 용이하다.
또, 상기 권양기를 최상층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리턴휠과 권양기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고, 점검에도 편리하다.
또, 상기 리턴휠을 지지하는 빔에 상기 권양기를 아래측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가이드레일에 작용하는 힘을 삭감할 수가 있다. 또, 리턴휠과 권양기의 위치 조정이 쉽고, 점검에도 편리하다.
또, 상기 리턴휠을 지지하는 빔에 상기 권양기를 아래쪽에 부착한 상기 빔을 방진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권양기와 리턴휠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또, 상기 권양기와 상기 리턴휠을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일부를 겹치고 있으므로, 승강로 공간을 감축할 수 있다.
또, 상기 권양기의 시브 또는 모터는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배면 보다도 상기 카 측에 돌출해 있으므로, 승강로 공간을 감축할 수 있다.
또, 상기 권양기와 거의 같은 높이, 또는 상기 권양기에 근접하고, 직상 또는 직하에 상기 권양기의 구동제어를 하는 제어반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권양기 및 제어반의 점검이 용이하다.
또, 상기 제어반의 하단을 상기 승강로의 최하층 정지시의 카의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피트가 관수되어도 제어반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제어반의 하단을 상기 승강로의 1층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지하층이 관수해도 제어반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리턴휠의 하나를 구동장치로 하고 있으므로, 대용량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 상기 리턴휠의 상기 승강로 벽면과의 경사각도를 가변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리턴휠 상호의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내에서의 배치거리를 가변의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카의 사이즈가 틀려도 같은 설계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와 대향방향으로 이동하는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카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와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는 로프와, 상기 승강로내에 있고 상기 로프가 걸려있고, 당해 로프를 통해 상기 카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승강시키는 권양기를 갖는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15)

  1.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와 대향방향으로 이동하는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카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와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는 로프와 상기 승강로내에 있고, 상기 로프가 감겨지고, 당해 로프를 통해서 상기 카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승강시키는 권양기를 갖는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권양기를 박형(얇은형)으로 하고, 상기 승강로의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으로부터 위쪽이고, 또 최상층 정지시의 카의 천정 보다, 아래 위치에서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내의 하나의 벽면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권양기 보다 위쪽에서 상기 벽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한 리턴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상기 권양기와 상기 리턴휠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카용 가이드레일 또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빔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 장치.
  3. 상기 권양기의 하단을 상기 승강로의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이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2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4. 상기 권양기의 하단을 1층 바닥면 보다 위가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2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5. 상기 권양기를 기준층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2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6. 상기 권양기를 최상층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2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7. 상기 리턴휠을 지지하는 빔에 상기 권양기를 아래쪽에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6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8. 상기 리턴휠을 지지하는 빔에, 상기 권양기를 아래쪽에서 부착하고, 이 빔을 방진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9. 상기 권양기와 상기 리턴휠을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일부를 겹쳐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8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10. 상기 권양기의 시브 또는 모터는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배면 보다도 상기 카 측에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9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11. 상기 권양기와 거의 같은 높이 또는 상기 권양기에 근접한 직상 또는 직하에 상기 권양기의 구동제어를 하는 제어반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12. 상기 제어반의 하단을 상기 승강로의 최하층 정지시의 카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11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13. 상기 제어반의 하단을 상기 승강로의 1층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11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14. 상기 리턴휠의 하나를 구동장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15. 상기 리턴휠의 상기 승강로 벽면과의 경사각도를 가변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리턴휠 상호의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내에서의 배치거리를 가변의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1-7009715A 1999-12-06 1999-12-06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73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6807 WO2001042121A1 (fr) 1999-12-06 1999-12-06 Dispositif d'ascenseur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731A Division KR100480950B1 (ko) 2004-01-19 2004-01-19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0003730A Division KR100470427B1 (ko) 2004-01-19 2004-01-19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515A true KR20020006515A (ko) 2002-01-19
KR100473094B1 KR100473094B1 (ko) 2005-03-08

Family

ID=1423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715A KR100473094B1 (ko) 1999-12-06 1999-12-0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4) EP1378478B1 (ko)
JP (1) JP3489578B2 (ko)
KR (1) KR100473094B1 (ko)
CN (2) CN1285498C (ko)
DE (3) DE69935620T2 (ko)
WO (1) WO2001042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054B1 (ko) * 2005-12-13 2008-06-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1714B1 (en) * 2000-05-22 2009-1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JP4825368B2 (ja) * 2001-07-10 2011-11-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170290B2 (ja) * 2002-07-08 2008-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20040068178A (ko) * 2002-11-07 2004-07-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292972C (zh) * 2002-11-08 2007-01-0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339578B2 (ja) * 2002-11-27 2009-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1568644B9 (en) * 2002-12-04 2010-08-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equipment
KR100728419B1 (ko) * 2003-01-23 2007-06-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EP1602612A4 (en) * 2003-03-10 2009-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WO2004101419A1 (ja) * 2003-05-14 2004-11-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4350988B2 (ja) 2003-07-14 2009-10-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EP1724229A4 (en) * 2004-03-01 2011-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LIFT DEVICE
JP4590930B2 (ja) * 2004-05-14 2010-1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4658063B2 (ja) 2004-09-24 2011-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CN101891097B (zh) * 2004-12-27 2011-11-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694507B2 (ja) * 2004-12-27 2011-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102441B2 (ja) * 2005-07-21 2012-12-19 日本エレベーター製造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07284224A (ja) * 2006-04-19 2007-11-0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872928B1 (ko) 2007-03-26 2008-12-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WO2009030260A1 (en) * 2007-09-07 2009-03-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it maintenance device and method of pit maintenance
JP2010184791A (ja) * 2009-02-13 2010-08-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FR2962428B1 (fr) * 2010-07-09 2012-08-17 Tech Et Mecanique Des Elevateurs Installation d'ascenseur de faible encombrement destinee a etre montee dans un batiment ou un edifice
JP5665666B2 (ja) * 2011-06-22 2015-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2674111B (zh) * 2012-06-04 2015-06-1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钢丝绳的绕绳结构
JP6095026B2 (ja) * 2013-07-22 2017-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10392226B2 (en) * 2014-07-03 201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2016079010A (ja) * 2014-10-21 2016-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CN105084171B (zh) * 2015-08-27 2018-02-09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
DE202015007518U1 (de) 2015-10-29 2015-11-17 Metallverarbeitungsgesellschaft Schubert & Co. (Gmbh & Co. Kg) Munitionsaufzug für Schiffe
JP6158391B1 (ja) * 2016-05-10 2017-07-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6115414A (zh) * 2016-08-31 2016-11-16 天津市奥瑞克电梯有限公司 新型无机房电梯布置
JP2018144977A (ja) * 2017-03-07 2018-09-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非常用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1586A (ja) * 1985-08-21 1987-03-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ベ−スメントエレベ−タ用綱車支持装置
JPH05213560A (ja) * 1992-01-09 1993-08-24 Otis Elevator Co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ー
FI95689C (fi) * 1994-06-23 1996-03-11 Kone Oy Hissikoneisto
IT1270195B (it) * 1994-06-09 1997-04-29 Aldo Loiodice Dispositivo ascensore, montacarichi o simili autoportante
FI98296C (fi) * 1994-12-28 1997-05-26 Kone Oy Vetopyörähissi ja vetopyörähissin koneistotila
FI100791B (fi) * 1995-06-22 1998-02-27 Kone Oy Vetopyörähissi
EP0763495A1 (de) * 1995-09-15 1997-03-19 Inventio Ag Maschinenrahmen
JP3225811B2 (ja) * 1995-11-06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DE19546590C2 (de) * 1995-12-13 2000-06-15 Wittur Aufzugteile Gmbh & Co Hebezeug
JPH1160117A (ja) * 1997-08-25 1999-03-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
DK1056678T3 (da) * 1997-10-01 2002-07-29 Wittur Ag Formonteret elevatorskakt
JPH11228054A (ja) * 1998-02-09 1999-08-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4262796B2 (ja) * 1998-03-04 2009-05-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吊り構造
MY121775A (en) * 1998-04-28 2006-02-28 Toshiba Kk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JP4262805B2 (ja) * 1998-09-03 2009-05-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157631B2 (ja) * 1998-11-19 2008-10-01 日本エレベーター製造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ATE306455T1 (de) * 1999-08-19 2005-10-15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r in einem aufzugsschacht angeordneten antriebseinhe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054B1 (ko) * 2005-12-13 2008-06-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1955A1 (en) 2001-11-07
CN1515483A (zh) 2004-07-28
EP1378479A2 (en) 2004-01-07
DE69942377D1 (de) 2010-06-24
EP1378479A3 (en) 2004-01-21
EP1378479B1 (en) 2007-03-21
EP1378478B1 (en) 2006-08-30
EP1378478A2 (en) 2004-01-07
EP1801062B1 (en) 2010-05-12
CN1231411C (zh) 2005-12-14
CN1334779A (zh) 2002-02-06
DE69935620D1 (de) 2007-05-03
DE69935620T2 (de) 2007-12-06
JP3489578B2 (ja) 2004-01-19
KR100473094B1 (ko) 2005-03-08
DE69936399D1 (de) 2007-08-09
EP1151955A4 (en) 2003-05-21
EP1801062A1 (en) 2007-06-27
EP1151955B1 (en) 2007-06-27
EP1378478A3 (en) 2004-01-21
CN1285498C (zh) 2006-11-22
WO2001042121A1 (fr) 2001-06-14
DE69936399T2 (de)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09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JP2004504239A (ja) 最小のビル空間を使用するエレベータ装置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KR100438994B1 (ko) 엘리베이터장치
JP49349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30206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157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85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7042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3860225B2 (ja) 油圧エレベータ
JP35087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52436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4002045A5 (ko)
KR1004809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0327242A (ja) エレベータ
JP200400204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3176087A5 (ko)
JP200507557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528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17383B1 (ko)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
JP200317608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8048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