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056A - 흡방습성 합성섬유 및 이 섬유를 사용한 포백 - Google Patents

흡방습성 합성섬유 및 이 섬유를 사용한 포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056A
KR20010102056A KR1020017010156A KR20017010156A KR20010102056A KR 20010102056 A KR20010102056 A KR 20010102056A KR 1020017010156 A KR1020017010156 A KR 1020017010156A KR 20017010156 A KR20017010156 A KR 20017010156A KR 20010102056 A KR20010102056 A KR 20010102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weight
polyurethane
moisture absorption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9762B1 (ko
Inventor
도이마사노리
스가야다께시
오하시스에오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카즈모토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카즈모토,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카즈모토
Publication of KR20010102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other polycondensation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0 ℃ ×65 % RH 에서의 흡습률이 0.5 내지 4.0 중량%, 30 ℃ ×90 % RH 에서의 흡습률이 4.5 중량% 이상이고, 또한 상기 두 조건에서의 흡습률의 차이가 4.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합성섬유 등을 대표예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는 흡습하에서도 탄성섬유의 파단강력이 유지되고, 염색가공후의 마찰염색견뢰도도 뛰어나고, 다른 섬유재료와 복합하여 착용쾌적성이 뛰어난 스트레치 포백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는 500 내지 4,000 중량% 의 흡수율을 갖는 흡수성 수지를 탄성섬유, 예컨대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우레탄우레아 섬유 중에 섬유형성 폴리머에 대해 1 내지 15 중량% 를 미분산상태로 함유시켜 수득된다.

Description

흡방습성 합성섬유 및 이 섬유를 사용한 포백{MOISTURE-ABSORBING/RELEASING SYNTHETIC FIBER AND FABRIC USING THE SAME}
흡습성, 흡수성, 방습성, 투습성 등을 부여한 합성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땀으로 인해 의재료에 발생한 불쾌감을 경감시켜 의재료의 착용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내의용, 레그 의류용, 중의용, 스포츠 의류용 의재료 등의 의재료가 직접 피부에 닿거나 또는 피부와 가까운 쪽에서 착용되는 경우, 이 공지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땀을 신속하게 의복의 바깥쪽으로 방출하는 기능을 포백에 부여할 수 있고, 땀을 흘리더라도 땀이 차지 않고 끈적거림이 없는 청량감이 있는 의재료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합성섬유에 흡습성, 흡수성, 방습성, 투습성 등을 부여하려는 시도는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섬유에 관련된 것이 많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보 소60-457 호에는 흡습성이 높은 필라멘트와 흡습성이 낮은 합성섬유의 복합사가,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60-40612 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15835 호에는 상기와 같은 복합사를 사용한 편지(編地) 및 직물이 개시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흡습성의 개질에 관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99612 호, 동 평4-361616 호, 동 평4-361617 호, 동 평9-41204 호, 동 평9-41221 호 등에는 흡습성의 수지를 코어에, 흡습성이 낮거나 거의 없는 수지를 쉘에 배치하여 복합방사하여 수득되는 쉘-코어형 복합섬유를 사용하는 흡습성이 개량된 합성섬유 포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흡습성이 낮은 쉘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포함되는 흡습성 수지 코어부의 비율이 높아지면 흡습시 또는 염색시에 코어부 수지가 물에 의해 팽윤하여 쉘부가 벌려져서 섬유에 균열이 생기고, 섬유구조가 파괴, 손상되어 염색 등의 습윤가공이나 착용시에 강도 등 물성의 저하가 발생한다고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동 평9-41204 호, 동 평9-41221 호에서는 본래 어느 정도의 흡습성을 갖는 폴리아미드를 쉘부에 사용하여 섬유단면형상을 이형단면으로 함으로써 착용시 땀을 모관작용에 의해 피부 표면에서 포백쪽으로 유도하고, 땀 등의 수분을 코어부의 흡습성 수지로 흡수하는 한편, 의재료 바깥쪽에 대한 방습을 촉진하는 쉘-코어형 복합섬유의 설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설계에서도 코어부 수지의 팽윤에 의해 염색가공시에 강도저하가 발생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이유에서, 쉘코어 섬유 구조 설계에 의한 개질법은 통상의 사용조건하에서도 섬유의 변형이 신도 수백%까지 미치는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의개질에는 사용할 수 없음이 명백하다.
표면층에 염형태의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아크릴계 복합섬유, 분자 내에 흡수성 기를 갖는 중합체를 섬유로 성형한 폴리아크릴산계 섬유, 무수 말레산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알긴산계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등의 흡수성 합성섬유가 알려져 있다.
의재료용 탄성섬유소재로서의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합성섬유 등의 고신도·고신장 회복특성 합성섬유는 대부분의 경우,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면, 견, 울 등과 혼용 가공하여 수득되는 높은 스트레치성을 나타내는 탄성 포백의 형태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 탄성 포백은 밀착감과 운동추종성과 착용쾌적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탄성 의재료로 만들어진다. 탄성 의재료에서는 포백이 항상 신체에 밀착하는 제품설계가 요구되는 만큼, 신체와 이에 밀착하는 포백 사이의 공간이 좁아질 수 밖에 없다. 이 탄성 의재료 설계상의 이유로, 탄성 의재료는 땀이 차기 쉬워서 쾌적감이 손상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따라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에는 흡습성, 흡수성, 방습성, 투습성이 절실히 요망된다.
신체와 포백의 밀착설계가 요구되는 탄성 의재료에서는 껴입는 의재료와의 마찰에 대해 염색견뢰도, 예컨대 마찰견뢰도가 높은 탄성 포백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견 등의 천연섬유나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 등으로 교편직된 껴입는 의재료는 일반적으로 염색견뢰도가 열등한 탄성 포백과 고온다습 분위기하에서 서로 마찰이 일어나 색상이 전이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 경향은 특히 습윤마찰염색견뢰도 (이하, 마찰견뢰도라고 함) 가 섬유의 흡습성이 높아질수록 저하되므로, 이러한 점도 흡습성의 고신도·고신장성 합성섬유의 염색견뢰도의 개량이 요망되는 부분이다.
중합체분자 중에 수평균분자량 2,000 내지 13,000 의 수용성 폴리알킬렌에테르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이 용융압출방사되어 수득되는 흡수율 200 내지 3,000 중량% (25 ℃) 를 갖는 폴리우레탄사가 유럽 특허 공보 EP 0,892,094 A2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실시예 등의 기재에 따르면 이 공지 흡수성 폴리우레탄 섬유는 팽윤시의 인장강도가 나쁘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25 ℃ 에서 흡수율이 200 중량% 를 초과하여 팽윤시의 물성이 저하되는 섬유는, 염색가공시에 물을 흡수하여 사절을 발생시키거나, 의복 착용시에 폴리우레탄사가 물을 흡수하여 실이 끊어지기 쉽고, 또한 물의 흡수시에 의재료 (예컨대 수영복) 를 무겁게 하거나 쾌적성을 손상시키고, 습윤마찰견뢰도의 저하 원인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등에서 알려진 바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이 큰 섬유라는 것이 방습성이 높은 섬유인 충분조건은 아니다.
폴리우레탄 중합체에 마그네슘염을 용해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투습성의 향상과 포백의 컬링이 억제된다는 것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71432 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수득된 폴리우레탄 성형물은 흡습시의 강도 저하가 크고, 또한 방습하기 어려우므로 땀을 흘렸을 때의 쾌적성의 개량은 달성할 수 없으며, 높은 염색견뢰도는 달성할 수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습하여도 강도의 저하가 적은 방습성이 개량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및 이 섬유를 사용한 포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목적은 염색가공 등의 습윤가공에 있어서도 가공특성이 손상되지 않고 땀이 차기 어렵고 신축성이 풍부한 착용쾌적성이 뛰어난 의재료용 직물의 제조에 적합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및 이 섬유를 사용한 포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땀이 차기 어려워서 착용쾌적성이 뛰어난 의재료용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내의용, 레그 의류용, 중의용, 스포츠 의류용 의재료 등에 고신도·고신장 회복성을 부여하는 의재료용 섬유소재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뛰어난 흡방습성, 습마찰견뢰도 및 습윤하에서의 강력유지율을 갖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 등의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 섬유를 사용한 포백(布帛)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에 관한 섬유를 복합하여 제작한 팬티스타킹에 대해, 실온 26 ℃,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에서 착용자가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했을 때의 수분 증발량을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에 관한 섬유를 복합하여 제작한 팬티스타킹의 여름의 무더운 (겨울의 춥고 서늘한) 환경의 이동 시뮬레이션 시험에 의한 흡방습성능을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에 관한 섬유를 복합한 팬티스타킹의 주행운동 (트레드밀 주행) 후의 착용자의 의복 내의 습도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에 관한 섬유를 복합한 팬티스타킹에 대해, 착용자의 주행운동 (트레드밀 주행) 후 정좌 안정위치로 이행하였을 때의 수분증발을 개략적으로 비교하여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목적은 20 ℃ ×65 % RH (상대습도) 에서의 흡습률이 0.5 내지4.0 중량% 이상, 30 ℃ ×90 % RH (상대습도) 에서의 흡습률이 4.5 중량% 이상이고, 또한 상기 두 조건에서의 흡습률의 차이가 4.0 중량% 이상인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는 흡방습성이 뛰어나고, 염색 등의 습윤가공조건하에서 강도 등의 기계물성이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고 견뢰성 있는 염색이 가능한 개량된 스트레치 의재료용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이다.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특성을 갖는 섬유는 다행스럽게도 기지의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의 형성기질에 고흡수성을 갖는 화합물을 선택량 첨가하여 방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은 본 발명의 이점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에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합성섬유,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의 권축가공사가 포함된다. 여기서 말하는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란 일반적으로는 파단신도가 300 % 이상, 신장회복율이 70 % 이상인 함성섬유이며, 착용시에 신축성이 풍부하여 밀착성이 뛰어난 쾌적한 착용감을 갖는 포백을 수득할 수 있는 섬유소재로서, 최소한 이 수준의 기계물성을 갖는 탄성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는, 바람직하게는 파단신도가 450 % 이상, 신장회복율이 80 % 이상을 나타내는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단신도가 300 % 이상이고, 신장회복율이 70 % 이상인 고신도·고신장 회복성을 갖는 합성섬유는, 후술하는 기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섬유형성성의폴리우레탄계,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중합체에, 다음의 개질수단을 조합하여 부가한 기지의 건식방사, 습식방사 또는 용융방사법 등을 적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의 흡방습성은 합성섬유 중에 고흡수성을 갖는 화합물 (이하, 흡수성 수지라고 함) 을 원하는 양만큼 블렌드하거나, 고흡수성 관능기를 중합체 중에 원하는 양만큼 도입함으로써 만들어 낼 수 있다. 흡습성 개질제의 도입수단으로는 중합체의 기계물성의 설계상, 물성변화가 적은 블렌드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렌드법에서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는 500 내지 4,000 중량% 의 흡수율을 갖는 수지가 적당하다. 개질제로서의 흡수성 수지의 흡수율이 500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흡방습성이 수득되지 않고, 또한 4,000 중량% 를 초과하면 합성섬유의 강도 등의 물성저하가 커진다.
흡수성 수지로는 예컨대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 전분계 흡수성 수지, 아크릴산계 흡수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흡수성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흡수성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흡수성 수지, 폴리에테르아미드계 흡수성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아미드계 흡수성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계 흡수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흡수성 수지는 합성섬유와의 상용성이나 이 수지의 섬유 중의 분산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섬유 폴리머와 미크로 상분리구조를 형성하는 흡수성 수지가 가장 적합하다. 이 같은 특성을 발현하기 쉬운 흡수성 수지로서 바람직한 것은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이다. 블렌드법에 있어서의 블렌드량은 개질 수지에 의한 흡수성능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최저한의 흡방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섬유형성성 중합체를 최소한 5 중량% 이상 함유될 필요가 있다. 섬유형성성 중합체의 고신도·고신장 회복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40 중량% 이하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중으로의 흡수성 수지의 혼합은 용매에 용해 또는 용융한 당해 수지를 균일하게 블렌드하거나, 미립화한 당해 수지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전자의 방법이며, 미크로 상분리구조를 만들기 쉽다.
이하, 본 발명의 흡방습성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의 내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의 흡방습성에 대해서는 20 ℃ × 65 % RH (이하, 분위기 A 라고 함) 에서의 흡습률이 0.5 내지 4.0 중량%, 30 ℃ ×90 % RH (이하, 분위기 B 라고 함) 에서의 흡습률이 4.5 내지 30 중량%, 또한 각각의 흡습률의 차이가 4.0 중량% 이상이 되도록, 고흡수성 화합물의 블렌드량 또는 고흡수성 성분의 그래프트량·개질 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의 분위기 A 에서의 흡습률과 분위기 B 에서의 흡습률의 차이 (이하, 흡방습능력이라고 함) 가 4.0 중량% 이상이 되면 그 합성섬유를 사용한 포백을 착용하였을 경우에 청량감이 수득되게 된다. 이 수치는 피부로부터 발생한 땀을 어느 정도 흡수하는지의 성능을 결정하는 것으로, 수치가 클수록 흡방습능력이 뛰어나게 된다. 흡방습능력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이다. 분위기 A 에서의 흡습률은 0.5 중량% 이상이면 된다. 이 수치가 높으면 착용개시시에 포백이 많은 수분을 흡수하고 있음을 뜻하고, 피부에 직접 닿거나 피부에 가까운 경우에는 포백이 차갑게 느껴지므로 4.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위기 B 에서의 흡습률은 4.5 내지 3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4.5 중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습량이 수득되지 않아서 청량감이 부족하고, 또한 30 중량% 를 초과하면 강도저하가 커지거나 끈적거림이 발생하거나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습마찰견뢰도, 강력유지율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분위기 B 에서의 흡습률이 4.5 내지 30 중량% 일지라도 분위기 A 에서의 흡습률이 0.5 내지 4.0 중량% 가 아니면 강력유지율, 습마찰견뢰도의 저하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기 범위의 흡방습성을 갖는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가 분위기 A 에서의 강력에 대한 분위기 B 에서의 강력의 유지율이 9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럽 특허 EP 0,892,094 A2 호 공보에 개시된 흡수성 폴리우레탄사는 200 내지 3,000 % 의 매우 높은 흡수율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흡습율로 말하면 분위기 A 에서는 10 중량% 이상에 상당하여 차갑게 느끼고, 분위기 B 에서는 50 중량% 이상에 상당하여 끈적거림을 느끼게 된다.
종래, 흡방습성을 향상시키는 것만으로는 강력유지율이나 습윤견뢰도가 저하되어 충분히 만족할 만한 흡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를 수득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의 가장 바람직한 태양은 건식방사하여 수득되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이다.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는 80 % 이상이 우레탄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세그먼트로 점유되어 있어, 고신도·고신장 회복성이 가장 뛰어나며, 흡습시의 변형에 대해서도 물성이 손상받는 일이 없다. 또한 건식방사는 습식방사에 비해 강한 물리적 가교인 고차 구조를 형성하기 쉬우며, 습윤시의 강력이 향상되는 점에서 가장 유리한 방사 방법이다. 그 중에서도 신도, 신장회복성이 특히 뛰어난 폴리우레탄우레아계 건식방사에서 수득되는 합성섬유 (이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라고 함) 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로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태양을 주로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를 예로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정범위의 흡방습성을 갖는 건식방사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을 갖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는, 분위기 A 에서의 강력에 대한 분위기 B 에서의 강력의 유지율이 90 %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용이하게 수득되는 개질섬유이다. 흡습시에 섬유의 강력이 낮아지면 가공시에 사절되기도 하고 또한 의재료의 착용 중에 단사하여 착용감을 손상시킨다. 분위기 A 에서의 강력에 대한 분위기 B 에서의 강력의 유지율이 90 % 이상이면 이러한 문제는 없다. 유럽 특허 EP 0,892,094 A2 호 공보의 흡수성 폴리우레탄사는 흡수율이 200 내지 3,000 % 로 높기 때문에 분위기 A 에서의 강력에 대한 분위기 B 에서의 강력의 유지율이 50 % 이하로 된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의 강력유지율이 양호한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특히 건식방사된 우레탄계 합성섬유의 경우, 강한 물리적 가교인 수소결합이 특정범위의 흡습률에 있어서, 유효하게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범위 이외에서는 수소결합은 물과의 친화성을 강하게 하여 절단되고, 흡습시에 강력의 저하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의 흡방습성에 대해서는 20 ℃ × 65 % RH (이하, 분위기 A 라고 함) 에서의 흡습률이 0.5 내지 4.0 중량%, 30 ℃ ×90 % RH (이하, 분위기 B 라고 함) 에서의 흡습률이 4.5 내지 30 중량%, 또한 각각의 흡습률의 차이가 4.0 중량% 이상이 되도록, 고흡수성 화합물의 블렌드량 또는 고흡수성 성분의 그래프트량 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흡습성 소재를 사용하면 소재가 흡습하여 면이나 견 등의 다른 의류와의 마찰에 의해 습마찰견뢰도가 악화되는 것이 통례였다. 예컨대 종래부터 시판되고 있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의 습마찰염색 (?) 견뢰도가 3 급,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71432 호의 흡습성 폴리우레탄에서는 1 내지 2 급, 유럽 특허 EP 0,892,094 A2 호 공보의 흡수성 폴리우레탄사에서는 1 내지 2 급이다. 의재료로서 사용되는 소재의 습마찰견뢰도는 최소한 3 급 이상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의 염색물로는 4 급 이상을 초과하는 습마찰견뢰도를 나타내는 제품을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도의 습윤견뢰도를 나타내는 염색물은 레벨링형, 하프밀링형, 밀링형, 모노술폰함금속형, 논-술폰함금속형 등의 산성 염료 중 어느 것에서나 수득할 수 있다. 산성 염료에 의한 염색물만큼 현저하지는 않지만, 분산염료, 카티온 염료, 직접 염료, 반응염료에 의한 습마찰견뢰도의 향상도 명백히 인정된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의 습마찰견뢰도가 향상되는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특정 범위의 흡습률 범위에 있어서 섬유가 물을 흡수하였을 때의 염료와 섬유 폴리머간의 친화성이 가장 좋아져서 염료가 유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를 어떠한 방사방법으로 수득하는가에 따라 흡방습성을 부여하는 기술도 달라진다.
먼저,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와 같이 건식방사로 합성섬유를 수득하는 경우에 대해 기술한다. 이 경우, 폴리아미드계 극성용매에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를 용해한 방사원액을 조정하는 공정을 거치므로 그 용매에 흡수성 수지성분이 용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흡수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건식방사시의 사절 등과 같은 제조상의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입자경의 것이 수득되는 경우에는 폴리아미드계 극성용매에 용해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전분계 수지나 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계 흡수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를 구성하는 성분의 일부를 흡수성을 갖는 성분으로 치환함으로써 고흡수성을 부여하는 수법도 가능하다. 예컨대 디올로서 사용되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일부를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치환하는 것 등이다. 하드세그먼트가 우레탄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건식방사되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대해서도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와 동일하게 하여 흡방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통상 용융방사로 수득되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합성섬유의 경우에는 제조상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블렌드하는 흡수성 수지, 또는 그래프트 중합하는 흡수성 성분에 특별한 제한없이 흡방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블렌드법에서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로서 사용되는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다음의 화합물 (a) 내지 (b), 또는 (a) 내지 (c) 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수지이다.
(a) 에틸렌옥사이드 단위가 최소한 70 중량%인, 수평균분자량 2,000 내지 30,000 의 폴리알킬렌에테르글리콜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 디올
(b)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c) 수평균분자량 50 내지 200 의 저분자 디올 또는 2 관능성 아민
(a) 내지 (b) 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가 흡수성의 관점에서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지만 수용성 성분의 양이 조금 많아지거나 방습속도도 느려지는 경우가 있다. (c) 는 사슬연장제로서의 역할이 있는데, 이것은 흡수시에 흡수성 수지의 팽윤에 방해가 되는 물리적 가교를 형성하기 쉽다. 그러나, 수지의 수용성분량의 억제와 흡방습성능의 균형을 고려하면 (c) 로서「2 관능성 아민」,「없음」,「저분자 디올」의 순으로 수득되는 수지는 바람직한 것이 된다.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은 (a), (b), (c) 의 반응몰비를 변경하면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수평균분자량은 7,000 이상이다. 7,000 미만이면 올리고머 성분이 본 발명의 합성섬유로부터 염색 중에 용출하여 염욕을 오염시키거나, 흡습한 올리고머가 습마찰견뢰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수평균분자량이 300,000 을 초과하면 수지가 팽윤하기 어렵게 되어 흡수성이 저하된다.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 내에 균일하게 블렌드하기 위해서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아미드계 극성용매에 용해시켜 합성섬유 중에 첨가하는 방법이 바람직하지만, 아미드계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경우에는 5 ㎛ 이하로 미립자화하여 합성섬유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도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 디올 중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은 디올 분자사슬 중에 예컨대 1,2-프로필렌옥사이드 단위, 2,2-디메틸프로필렌옥사이드 단위, 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 단위 등이 30 중량% 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사이드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좋다. 고분자 디올의 수평균분자량으로는 2,000 내지 30,000 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20,000 이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에테르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옥시펜타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기와 2,2-디메틸프로필렌기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에테르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기와 3-메틸테트라메틸렌기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에테르글리콜 등의 글리콜이 50 중량% 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블렌드될 수도 있지만, 높은 흡수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블렌드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예컨대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헥산-1,6-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1,3- 및 1,4-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 및 p-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p-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분자 디올은 분자량 50 내지 200 을 갖는 것으로서,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페닐디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4-부탄디올, 에틸렌글리콜이다.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관능성 아민으로는 예컨대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1,3-프로필렌디아민, 2-메틸-1,5-펜타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m-크실릴렌디아민, 피페라진, o-, m-, 및 p-페닐렌디아민, 1,3-디아미노시클로헥산,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1,6-헥사메틸렌디아민, N,N'-(메틸렌디-4,1-페닐렌)비스[2-(에틸아미노)-우레아]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의 군에서 선택되는 1 종이다.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의 구체예로는 수평균분자량 7,000 의 폴리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수평균분자량 60,000 의 수지 (흡수율 1800 중량%), 수평균분자량 20,000 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수지 (흡수율 800중량%)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는 다음의 (A) 내지 (C) 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우레아 화합물을 폴리우레탄계 중합체에 대해 1 내지 15 중량% 를 함유시켜 흡수성 수지와 병용함으로써 강력유지율 및 습마찰견뢰도가 보다 향상된다.
(A) 제 1 급 아민 및 제 2 급 아민 중 최소한 1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2 관능성 아미노기와 제 3 급 질소 및 복소환상 질소 중 최소한 1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질소함유기를 포함하는 질소함유화합물
(B)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C) 모노 또는 디알킬모노아민, 알킬모노알코올,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의 화합물
본 발명의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면, 울, 견 등과 교편직되지만, 이들 혼용섬유에 비해 염색시의 수축이 크고, 또한 열 고정(set) 하기가 어려우므로, 설정된 포백폭으로 완성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우레아 화합물은 이러한 문제도 개선할 수 있다.
우레아 화합물의 수평균분자량은 (A), (B), (C) 의 반응 몰비를 변경함으로써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우레아 화합물은 건식방사되는 폴리우레탄계 중합체의 용액에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우레아 화합물의 수평균분자량은 아미드계 극성 용매에 용해되는 분자량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 이다.
우레아 화합물에 사용되는 질소함유화합물로는 N-부틸-비스(2-아미노에틸)아민, N-부틸-비스(2-아미노프로필)아민, N-부틸-비스(2-아미노부틸)아민, N,N-비스(2-아미노에틸)-이소부틸아민, N,N-비스(2-아미노프로필)-이소부틸아민, N,N-비스(2-아미노에틸)-t-부틸아민, N,N-비스(2-아미노에틸)-1,1-디메틸프로필아민, N,N-비스(2-아미노프로필)-1,1-디메틸프로필아민, N,N-비스(2-아미노부틸)-1,1-디메틸프로필아민, N-(N,N-디에틸-3-아미노프로필)-비스(2-아미노에틸)아민, N-(N,N-디부틸-3-아미노프로필)-비스(2-아미노프로필)아민, 피페라진, 피페라진 유도체, 예컨대 2-메틸피페라진, 1-(2-아미노에틸)-4-(3-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2,5- 및 2,6-디메틸피페라진, N,N'-비스(2-아미노에틸)피페라진, N,N'-비스(3-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N-(2-아미노에틸)피페라진, N-아미노-(2-아미노에틸)-4-메틸피페라진 등, 피페리딘 유도체, 예컨대 4-아미노에틸피페리딘, N-아미노-4-(2-아미노에틸)피페리딘, N-비스(2-아미노에틸)아민-피페리딘, 피롤리돈 유도체, 예컨대 N-아미노-4-(2-아미노에틸)-2-피롤리돈, N-(3-아미노프로필)-4-(3-아미노프로필)-2-피롤리돈, N-비스(2-아미노에틸)아민-2-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질소함유화합물은 피페라진, 피페라진 유도체이다. 특히, 수득되는 우레아 화합물의 아미드계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매우 양호한 N-(2-아미노에틸)피페라진, N-(2-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이 적합하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레아 화합물에 사용되는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헥산-1,6-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1,3- 및 1,4-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 및 p-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p-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좋다.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레아 화합물에 사용되는 모노 또는 디알킬모노아민으로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알킬기를 갖는 모노아민이고, 예컨대 이소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t-부틸아민, 디에틸아민, 2-에틸헥실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n-부틸아민, 디-t-부틸아민, 디-이소부틸아민, 디-2-에틸헥실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킬사슬 중에 제 3 급 질소원자나 산소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예컨대 3-디부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3-에톡시프로필아민, 3-(2-에틸헥실옥시)프로필아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레아 화합물에 사용되는 알킬모노알코올로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알킬기를 갖는 모노알코올이고,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2-메틸-2-프로판올, 1-부탄올, 2-에틸-1-헥사놀, 3-메틸-1-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노 또는 디알킬아민과 알킬알코올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독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우레아 화합물에 사용되는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로는 n-부틸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네이트, 1-나프틸이소시아네이트, p-클로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m-톨릴이소시아네이트, 벤질이소시아네이트, m-니트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전술한 모노 또는 디알킬아민, 알킬알코올과의 혼용은 불가능하다. 모노 또는 디알킬아민, 알킬알코올의 활성 수소를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가 봉쇄한 올리고머 화합물이 생성되고, 본 발명의 우레탄계 합성섬유의 가공공정에 있어서 밖으로 날아가 편기나 염색 욕조를 오염시키는 스컴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우레아 화합물을 수득하는 데 사용되는 (C) 는 전술한 바와 같이 3 종으로부터 선택되고, (A) 와 (B) 에서 수득되는 우레아 화합물의 활성 말단 (아미노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 을 봉쇄하기 위함이다. 이 활성 말단은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의 방사안정성을 악화시킨다. 반응 몰당량이 (A) > (B) 인 경우에는 우레아 화합물 말단이 아미노기이므로 (C) 는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를 선택하고, (A) < (B) 인 경우에는 우레아 화합물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이므로 (c) 는 모노 또는 디알킬아민과 알킬모노알코올의 최소한 1 종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가 선택된다.
우레아 화합물을 수득하는 반응예로는 (A) 로서 N-(2-아미노에틸)피페라진을2 몰, (B) 로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1 몰, (C) 로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2 몰을 50 중량% 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이 되도록 50 ℃에서 2 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에 용해시킨 N-(2-아미노에틸)피페라진 중에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와 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적하하여 실시하지만, 반응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우레아 화합물의 첨가량은 흡수성 수지에 대해 2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20 중량% 미만이면 강력유지율, 습마찰견뢰도의 향상효과가 전혀 없다. 흡수성 수지의 폴리우레탄계 중합체에 대한 첨가량은 5 중량% 이상일 필요가 있는데, 우레아 화합물의 폴리우레탄계 중합체에 대한 첨가량은 1 중량% 이상일 필요가 있다. 우레아 화합물의 폴리우레탄계 중합체에 대해 15 중량% 를 넘게 첨가하면 방사중 사절 등으로 인해 방사안정성이 저하되거나, 또한 강도, 신도, 신장회복성 등의 탄성 기능도 손상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우레아 화합물의 폴리우레탄에 대한 첨가량은 1 내지 15 중량% 가 바람직하고, 2 내지 10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우레아 화합물 이외에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16922 호에 기재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 폴리우레탄 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최소한 1 종을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함유시키면 우레아 화합물보다는 강력유지율, 습마찰견뢰도가약간 개선되는 효과가 수득된다. 또한 우레아 화합물보다는 적은 열고정 효과도 수득된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우레탄 중합체이다.이들 열가소성 중합체는 본 발명의 우레아 화합물과 병용해도 되지만, 합계첨가량은 15 중량% 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 우레아 화합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16922 호에 기재된 화합물을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첨가하는 경우, 아미드계 극성 용매에 용해시킨 후, 여과정밀도가 높은 필터를 통과시킨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을 합성할 때에는 반드시 부반응에 의해 겔이 생성되어 건식방사시의 사절 등의 방사안정성이 손상되게 된다. 사용하는 필터로는 평직, 능직의 철망보다 스테인리스 섬유의 다층소결 필터가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직전의 폴리우레탄 방사원액을 이 필터로 여과하면 더욱 방사안정성이 향상된다. 필터의 성능은 40 ㎛ 이하의 크기의 겔을 95 % 이상 제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있어서의 폴리우레탄계 중합체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폴리머글리콜,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소프 트세그먼트가 되는 우레탄 중간중합체를 합성후, 사슬연장제로 하드 세그먼트를 중합하는 등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사슬연장제로서 저분자 디올을 사용하면 하드세그먼트가 우레탄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중합체가 되고, 또한 2 관능성 아민을 사용하면 하드세그먼트가 우레아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우레탄 중간중합체의 합성은 아미드계 극성 용매와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켜도 된다. 말단정지제로는 1 관능성 아민, 모노알코올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사슬연장제와 섞어 사용해도 되고 따로 사용해도 된다.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수득할 수 있다. 먼저, 폴리알킬렌에테르디올 등의 폴리머 디올과,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고, 양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의 중간중합체를 합성한다. 이어서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아미드계 극성 용매 중에서 에틸렌디아민 등의 2 관능성 아민으로 사슬연장하여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의 용액을 수득한다. 중합체의 분자량의 조정은 사슬연장제로서 사용되는 2 관능성 아민에, 말단정지제로서 1 관능성 아민을 소정량 첨가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중합체용액에 각종 안정제 등을 첨가하여 방사원액으로 하고, 그 원액을 건식방사기로 방사하여 고신도·고신장 회복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할 수 있다.
폴리머 디올로는 실질적으로 선상의 호모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각종 디올, 예컨대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에스테르아미드디올, 폴리아크릴디올, 폴리티오에스테르디올, 폴리티오에테르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시에 곰팡이에 의한 가수분해성이 없는 폴리알킬렌에테르글리콜이고,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옥시펜타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기와 2,2-디메틸프로필렌기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에테르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기와 3-메틸테트라메틸렌기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에테르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다. 그 중에서도 탄성기능을 나타내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기와 2,2-디메틸프로필렌기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에테르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머디올의 수평균분자량은 500 내지 10,000 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 이다.
테트라메틸렌기와 2,2-디메틸프로필렌기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에테르글리콜을 사용한 경우,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보다 고신도, 고신장회복, 저모듈러스가 되어 부드러운 질감의 포백이 수득된다.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아미드계 극성용매에 용해 또는 액상을 나타내는 것 모두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3- 및 1,4-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α-이소시아네이트에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사슬연장제의 저분자 디올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페닐디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4-부탄디올이다.
사슬연장제의 2 관능성 아민으로는 예컨대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1,3-프로필렌디아민, 2-메틸-1,5-펜타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m-크실릴렌디아민, 피페라진, o-, m- 및 p-페닐렌디아민, 1,3-디아미노시클로헥산,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1,6-헥사메틸렌디아민, N,N'-(메틸렌디-4,1-페닐렌)비스[2-(에틸아미노)-우레아]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 단독, 또는 1,2-프로필렌디아민, 1,3-디아미노시클로헥산, 2-메틸-1,5-펜타디아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1 종이 5 내지 40 몰% 함유되는 에틸렌디아민 혼합물이다.
말단정지제의 1 관능성 아민으로는 예컨대 이소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t-부틸아민, 2-에틸헥실아민 등의 모노알킬아민, 또는 디에틸아민, 디메틸아민, 디-n-부틸아민, 디-t-부틸아민, 디이소부틸아민, 디-2-에틸헥실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등의 디알킬아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말단정지제의 모노알코올로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2-메틸-2프로판올, 1-부탄올, 2-에틸-1-헥사놀, 3-메틸-1-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미드계 극성용매로는 예컨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합성섬유로는, 하드세그먼트 성분으로는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된다. 또한 소프트세그먼트 성분으로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이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과 같은 지방족 폴리에테르글리콜이나, 아디프산과 1,6-헥산디올, 아젤라인산과 3-메틸-1,5-펜탄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글리콜 등이 사용된다.
이들 합성섬유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 황변방지제, 열안정제, 안료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방사시에 유제 등을 표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방사하여 수득된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광물유, 광물성 미립자, 예컨대 실리카, 콜로이드성 알루미나, 탈크 등, 고급지방산 금속염 분말, 예컨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등, 고급지방족 카르복실산, 고급지방족 알코올, 파라핀, 폴리에틸렌 등의 상온에서 고형상 왁스 등의 유제를 단독 또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부여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는 단독으로 편직되는 일은 거의 없으며, 면, 견, 양모 등의 천연섬유, N6 이나 N66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카티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섬유, 구리 암모니아 재생 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아세테이트 레이온 등과 교편직되거나, 또는 이들 섬유로 피복, 교락, 합연 등을 한 가공사가 교편직되어 포백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를 사용한 포백은 수영복, 거들, 브래지어, 인티메이트 상품, 속옷 등의 각종 스트레치 파운데이션, 양말용 웰트, 타이츠, 팬티스타킹, 웨이스트밴드, 보디슈트, 스패츠, 스트레치 스포츠웨어, 스트레치 아우터, 붕대, 서포터, 의료용 웨어, 스트레치 안감, 종이기저귀 등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뛰어난 흡습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합성섬유는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제전효과도 가지고, 예컨대 팬티스타킹의 소재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팬티스타킹 주위에 스커트가 달라붙거나, 주로 겨울에 차의 시트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기 쇼크 따위의 불쾌감은 전부 없어진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로 구성된 포백의 형태로는 위편물, 경편물, 직물이 있고, 직물에서는 평직, 사문직, 주자직 등의 변화조직, 위편물에서는 싱글의 천축 조직, 녹자 조직 더블의 리브, 스무드, 피케 조직 등의 변화조직, 경편물에서는 트리콧의 하프 조직 새틴 조직 등의 변화조직, 라셀의 파워네트 조직, 새틴 조직, 트윌 조직 등의 어느 구조라도 사용목적에 맞춰 선택할 수 있다. 포백 신도는 편물의 경우 신도를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30 % 이상 300 % 이하, 직물의 경우에는 5 % 이상 100 % 이하인 것, 또는 2 방향으로 신축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를 사용한 포백의 유용한 용도로는 내의용 의재료, 스포츠용 의재료, 레그 의재료가 있으며, 내의용 의재료로는 속옷, 쇼츠, 거들, 보디 퍼, 스포츠 의재료는 스패츠, 레오타드, 레그 의재료는 스타킹, 양말, 타이츠 등으로, 멋을 목적으로, 피부를 외기로부터 차단하여 보온하는 것이나 보형이나 신체의 살의 진동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의 섬도는 사용목적의 생지파워에 맞춰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3 데니어 (3.3 데시텍스) 내지 1080 (1200 데시텍스) 이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레그 의재료의 경우에는 3 데니어 (3.3 데시텍스) 내지 100 (110 데시텍스), 내의용 의재료의 경우에는 10 데니어 (11 데시텍스) 내지 1080(1200 데시텍스), 스포츠 의재료의 경우에는 10 데니어 (11 데시텍스) 내지 1080 (1200 데시텍스) 이 사용가능하다. 실의 형태는 베어사, 또는 비탄성사를 탄성사로 커버링한 것, 평행하게 연사한 것, 방적공정에서 복합한 코어얀, 에어제트류에서의 복합화한 것, 추가로 가연가공을 한 것 중의 어느 복합사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는 사용목적에 맞춰 다른 소재와 혼용하여 사용되지만, 다른 소재의 종류, 형태, 섬도는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면, 울, 마 등으로 대표되는 천연섬유, 레이온, 큐프라로 대표되는 재생섬유, 폴리에스테르, 나일론으로 대표되는 합성섬유, 나아가 흡습성을 나타내지 않는 탄성섬유 등의 소재를 들 수 있다. 면으로 대표되는 천연섬유 등 다른 섬유를 혼방한 방적사, 교락혼섬 (이수축 섬유나 고강력 섬유 등의 혼섬사), 교연사, 복합가연사, 2 피드의 공기분사가공에 의한 가공사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섬유의 형태는 장섬유, 단섬유 어느 것이라도 좋고,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것이나 길이방향으로 굵어지거나 가늘어지는 것도 좋으며, 단면도 동그라미, 삼각, L 형, T 형, Y 형, W 형, 팔엽형, 편평, 도그본형, 등의 다각형, 다엽형, 중공형, 및 부정형형인 것도 좋지만, 내의용 의재료, 스포츠 의재료, 레그 의재료의 용도로는 5 데니어 (5.6 데시텍스) 내지 225 데니어 (250 데시텍스), 단사섬도 0.1 데니어 (0.11 데시텍스) 내지 5 데니어 (5.6 데시텍스) 가 좋지만 조직에 따라 선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편지의 편성조건으로는 트리콧 편기, 러셀 편기의 일반적인 바늘밀도 20개/인치 내지 40 개/인치로 편성가능하며, 본 발명의 합성섬유의 혼용방법은 편성 루프를 형성하는 방법 또는 바탕조직에 얽히게 삽입하는 방법도 사용가능하다. 합성섬유는 베어로 사용하면 다른 섬유에 비해 내약품성능이나 내광성능이 낮아 소비성능문제를 일으키기 쉽고, 마찰저항이 높아서 직접 피부에 닿으면 불쾌한 느낌을 받으므로 생지 중에 은폐되는 조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하프조직의 백 바디에 사용하는 또는 파워네트, 새틴조직의 백 바디에서 삽입하는 조직이 바람직하다. 단위면적당 중량은 20 g/㎡ 내지 300 g/㎡ 이 바람직하다.
위편지로는 스타킹, 양말, 타이츠, 속옷, 스패츠, 레오타드, 쇼츠, 거들, 보디퍼 등으로 멋을 목적으로 하거나, 피부를 외기로부터 차단하여 보온하는 것이나 보형이나 신체의 살의 진동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환편기, 양말편기, 횡편기로 일반적인 바늘밀도 5 개/인치 내지 40 개/인치로 편성가능한 것으로, 합성섬유의 혼용은 베어사를 혼용목적의 상대섬유와 평행하게 편성루프를 형성하는 방법 및 복합사의 형태로 하여 편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베어천축, 베어 프라이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복합사의 사용방법은 베어사와 동일하게 평행하게 편성하는 것에 더불어 단독루프형성이 가능한 조직인 천축조직, 인터로크조직, 편대조직 등을 들 수 있다. 단위면적당 중량은 10 g/㎡ 내지 200 g/㎡ 이 바람직하다.
직물로는 경사 및 또는 위사에 커버링사를 사용하여 경위방향 또는 위방향으로 신축성 5 % 이상을 나타내고, 쇼츠, 캐미솔 용도로 경량박지의 청량감과 겉옷으로의 영향을 억제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평직조직으로 경위의 탄성사를 서로 융착시킴으로써 착용시의 선어긋남을 방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면적당 중량은 10 g/㎡ 내지 100 g/㎡ 의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합성섬유의 유용한 용도인 레그 의재료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면, 레그 의재료란 팬티스타킹, 타이츠, 무릎 위 스타킹, 긴 양말, 짧은 양말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팬티스타킹이란 허리의 고무부분의 웰트부, 엉덩이 부분의 팬티부, 다리 부분의 레그부 (발 부분, 발뒤꿈치 부분을 포함), 발끝 부분의 토우부로 구성되어 있는 팬티부가 붙어 있는 얇은 스타킹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팬티스타킹은 각 부위에 사용되는 실이 다른데, 웰트부, 팬티부, 토우부에는 가연가공사,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 또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가연가공사를 커버링 (싱글 또는 더블 커버링) 한 커버링사가 많이 사용되며, 토우부는 가연가공사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들 팬티스타킹은 레그부에 사용되는 실의 종류에 따라 각각 가연가공사를 사용한 울리 타입,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원사 또는 가연가공사를 커버링 (싱글 또는 더블 커버링) 한 커버링사를 100 % 사용한 조키 타입, 커버링사와 원사 또는 가연가공사를 교편한 교편 타입, 원사 또는 가연가공사에 꼬임을 가한 유연사를 사용한 시어 타입 등이 있다.
타이츠란 웨이스트의 고무 부분의 웰트부, 엉덩이 부분의 팬티부, 다리 부분의 레그부, 발끝 부분의 토우부로 구성되어 있는 팬티부가 붙어 있는 두꺼운 스타킹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타이츠는 웰트부, 팬티부, 토우부에는 가연가공사,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 또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가연가공사를 커버링 (싱글또는 더블 커버링) 한 커버링사가 사용되는 일이 많으며, 레그부, 토우부는 동일한 종류의 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들 타이츠는 레그부에 사용되는 실의 종류에 따라 각각 가연가공사를 사용한 울리 타입,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가연가공사를 커버링 (싱글 또는 더블 커버링) 한 커버링사를 100 % 사용한 조키 타입, 커버링사와 가연가공사를 교편한 교편 타입, 가연가공사에 꼬임을 가한 유연사를 사용한 시어 타입 등이 있다.
무릎 위 스타킹, 긴 양말, 짧은 양말이란 다리부 상부의 고무사 삽입부분의 소매부, 다리부 부분의 레그부, 발끝 부분의 토우부로 구성되어 있는 팬티부를 갖지 않는 스타킹을 말하며, 레그부의 각각의 길이에 따라 각각 넓적다리까지의 길이의 것이 무릎 위 스타킹, 무릎 아래까지의 길이의 것이 긴 양말, 종아리까지의 길이의 것이 짧은 양말이다. 일반적으로 웰트부, 토우부에는 가연가공사,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 또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가연가공사를 커버링 (싱글 또는 더블 커버링) 한 커버링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레그부, 토우부는 동일한 종류의 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레그부에 사용되는 실의 종류에 따라 각각 가연가공사를 사용한 울리 타입,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원사 또는 가연가공사를 커버링 (싱글 또는 더블 커버링) 한 커버링사를 100 % 사용한 조키 타입, 커버링사와 원사 또는 가연가공사를 교편한 교편 타입, 원사 또는 가연가공사에 꼬임을 가한 유연사를 사용한 시어 타입 등으로 불리고 있다.
가연가공의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핀 타입, 프릭션 타입, 닙 벨트 타입, 에어 가연 타입 등 어떠한 방법에 따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셀룰로오스 섬유 등 다른 섬유와의, 커버링, 교락혼섬, 교연, 복합가연 (신도차 가연 등) 등에 의한 복합가공을 실시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다른 섬유와의 복합방법으로서 교편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레그 의재료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로는 3 데니어 (3.3 데시텍스) 내지 100 데니어 (110 데시텍스), 바람직하게는 5 데니어 (5.6 데시텍스) 내지 40 데니어 (44 데시텍스) 의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가 사용되고,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의 베어 편직시에 사용되는 원사 또는 가연가공사에는 3 데니어 (3.3 데시텍스) 내지 100 데니어 (110 데시텍스), 바람직하게는 5 데니어 (5.6 데시텍스) 내지 70 데니어 (78 데시텍스) 의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3 dtex 미만에서는 실의 강력이 부족하므로 편직시에 사절 등의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스타킹으로서의 신축성, 내구성이 불충분해지기 쉬운 경우가 있다. 100 데니어 (110 데시텍스) 를 초과하면 조임력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압박감이 강해지고, 투명감의 저하나 거칠고 딱딱한 느낌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유연사를 사용하는 경우, 실의 꼬임수는 원사 또는 가연가공사의 데시텍스에 관계없이 수속(收束)성이 유지되고, 반발탄성이 원사 또는 가연가공사보다 약간이라도 향상되는 꼬임수라면 어느 꼬임수라도 상관없지만,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0 T/M,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500 T/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T/M 이다. 유연사의 꼬임수가 50 T/M 미만인 경우에는 단섬유가 해체되어 투명감이 저하되거나, 단섬유가 걸려서 이른바 딸림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3000 T/M을 초과하면 편성시에 꼬임사가 발생하고, 꼬임사가 부분적으로 편지의 루프에 짜여들어가, 외관을 현저히 손상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유연사를 사용함으로써 편지가 사행(斜行)할 경우에는 S 꼬임, Z 꼬임의 유연사를 1 개씩 교대로 편성하면 된다. 레그부를 유연사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의 섬유의 데니어 (데시텍스) 는 5 데니어 (5.6 데시텍스) 내지 200 데니어 (220 데시텍스), 바람직하게는 10 데니어 (11 데시텍스) 내지 100 데니어 (110 데시텍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데니어 (17 데시텍스) 내지 75 데니어 (84 데시텍스) 이다. 5 데니어 (5.6 데시텍스) 미만에서는 강도 면에서 찢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200 데니어 (220 데시텍스) 를 초과하면 두꺼워져서 투명감 등이 저하되기 쉽다.
레그 의재료 중, 팬티스타킹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일반적으로 말하는 팬티스타킹용 환편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늘수는 300 개에서 600 개, 북의 직경은 7.62 ㎝ 에서 12.7 ㎝ 가 바람직하다.
팬티스타킹의 편조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니트, 탤크, 웰트의 조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이에 의해 무늬가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팬티스타킹을 구성하는 루프의 크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코스방향으로 편침을 끌어들이는 깊이인 바늘땀의 폭을 변경하여 편성을 행하는, 이른바 패셔닝이나 교편스타킹의 경우 등에서 사용되는 커버링사와 스트레이트사 또는 가연가공사 등 이른바 반사의 루프의 크기를 변경해도 된다.
팬티스타킹의 예비 고정 조건, 봉제조건, 염색조건, 마무리제 조건, 최종 고정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실시예 중에 나타낸 각 특성값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A] 흡수성 수지의 흡수율
흡수성 수지를 70 ℃ ×2 hr 감압하여 완전건조중량을 측정한다. 이어서, 25 ℃ 의 물에 24 hr 침지후의 흡수 중량을 측정한다. (1) 식으로 흡수율을 구한다.
흡수율 (중량 %) = (흡수중량 - 완전건조중량 / 완전건조중량) ×100 (1)
[B] 합성섬유의 파단강도, 파단신도, 및 파단강도 유지율
20 ℃ ×65 % RH (분위기 A) 또는 30 ℃ 90 % RH (분위기 B) 의 조건하에서 합성섬유를 24 hr 방치하여 각각의 분위기하에서 인장시험기 (주) 토요볼드윈 제조 TUM-111-100 형에 의해 측정한다. 측정조건은 초기길이 50 ㎜ 로 시험사를 세팅하고, 신장속도 500 ㎜/분으로 파단될 때까지 잡아당겨 파단시의 강도, 신도 (초기길이에 대한 신장율 ; 단위 ; %) 를 측정한다. 파단강력 유지율은 (2) 식으로 구한다.
파단강력 유지율 (%) = (분위기 B 에서의 파단강력 / 분위기 A 에서의 파단강력 )×100 (2)
[C] 합성섬유의 신장회복율
분위기에서 장치를 사용한다. 측정조건은 초기길이 (L0) 에 대해 300 % 까지 신장하고, 신속하게 동일속도로 초기길이까지 되돌리고, 다시 300 % 까지 신장하는 신장·이완을 3 회 반복한다. 3 회째에 초기길이 (L0) 까지 시험사를 붙잡고 있는 척이 복귀할 때, 척에 가해지고 있는 응력이 제로가 되는 길이 (L) 를 구한다. 즉 신장회복율은 (2) 식으로 구한다.
신장회복율 (중량%) = (4L0-L / 3L0) ×100 (2)
신장회복율이 큰 편이 회복성이 좋다.
[D] 합성섬유의 흡방습성능
소정량의 합성섬유의 완전건조상태에서의 중량을 측정한다 (완전건조조건은 70 ℃ ×2 hr 감압이다). 분위기 A 및 분위기 B 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들 측정값으로부터 분위기 A 에서의 흡습률은 (3) 식으로 구하고, 분위기 B 에서의 흡습률은 (4) 식으로 구한다. 또한 흡방습능력 (%) 은 (5) 식으로 구한다.
분위기 A 의 흡습률 (중량%) = {(분위기 A 에서의 중량 - 완전건조중량) / 완전건조중량} ×100 (3)
분위기 B 의 흡습률 (중량%) = {(분위기 B 에서의 중량 - 완전건조중량) / 완전건조중량 }×100 (4)
흡방습능력 (중량%) = [분위기 B 에서의 흡습률] - [분위기 A 에서의 흡습률] (5)
흡습률은 큰 편이 흡습량이 많다. 또한 흡방습능력은 쾌적성을 수득하기 위한 구동력으로서, 큰 편이 좋다.
[E] 합성섬유의 습마찰견뢰도
환편기 (코이께기까이세이사꾸쇼 (주) CR-C 형) 를 사용하여 시험섬유의 베어편지를 제작한다. 베어편지를 1.2 g 계량하고, 폴리아미드 섬유 (아사히가세이고오교 (주) 제조 레오나 12 d/7f) 로 이루어지는 베어편지 4.8 g 을 함께 합쳐 스테인리스제 용기에 넣고, 논-술폰함금속 블랙염료 (Irgalan Black BGL 200, 바이엘 (주) 제조) 4 % owf, pH 4.0 (아세트산과 황안으로 조정한다) 으로 95 ℃ 에서 60 분간 염색처리를 한다. 그 후, 탄닌산 (하이픽스 SLA, 다이닛뽕세이야꾸 (주) 제조) 픽스처리, 소핑(soaping)처리를 행하고, 편지를 수세정, 풍건(風乾)하여 시험용 베어편지를 수득한다.
JIS L 0849 에 따라 습윤상태에서의 마찰견뢰도를 평가한다. 평가는 1 내지 5 급으로 판정되고, 1 급이 가장 나쁘며 5 급이 가장 좋다. 그리고, 4 내지 5 급 사이에서는 우열을 명확히 하기 위해 육안으로 0.2 급 마다 판정평가를 한다.
[7] 스타킹의 제작 및 착용쾌적성의 평가시험
북의 직경 10.16 ㎝, 바늘수 400 개의 통상의 팬티스타킹용 환편기를 사용하고, 웰트부는 140 데니어 (155 데시텍스) 의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 56 dtex / 17f 의 나일론 66 섬유의 가연가공사 (a), 카타오카키까이 (주) 제조 커버링기를 사용하여 40 데니어 (44 데시텍스) 의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를 드래프트 3.0 으로연신하고, 30 데니어 (33 데시텍스) / 10 f 의 나일론 66 섬유의 가연가공사를 SZ 각각 600 T/M 에서 싱글커버링한 커버링사 (b) 를 사용하여 교편하고 (1 : 1 턱의 조직으로 편성), 팬티부 및 토우부는 가연가공사 (a) 와 커버링사 (b) 를 사용하여 교편하고, 천축조직으로 편성한다. 그리고, 팬티부의 일부에 런가드로서 동일한 실을 사용하여 1 : 1 턱의 조직으로 편성한다. 레그부는 카타오카키까이 (주) 제조 커버링기를 사용하고,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5 에서 수득된 20 데니어 (22 데시텍스) 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드래프트 3.0 으로 연신하고, 12 데니어 (13 데시텍스) / 3 f 의 나일론 66 섬유의 원사를 SZ 각각 1800 T/M 싱글 커버링한 커버링사 (c) 만을 사용하여 편성한 팬티스타킹의 생기를 수득한다.
이어서, 통상의 방법으로 예비 고정한 후, 상기에서 수득된 팬티스타킹의 생기를 봉제사 30 데니어 (33 데시텍스) /10 f 의 나일론 66 섬유의 가연가공사를 2 개 합연한 실로 봉제한다. 이어서 통상의 방법으로 팬티스타킹의 일반 색인 갈색으로 산성염료로 염색, 마무리제 처리, 최종 고정를 행하여 제품으로 만든다.
(1) 착용쾌적감
팬티스타킹을 착용하고, 실온 30 ℃, 습도 70 % RH 분위기의 실내에서 15 분간 가벼운 운동을 한다. 운동은 약 4.5 ㎞/시의 속도의 보행운동으로 한다. 운동을 종료한 다음 10 분간, 미풍하에서 안정상태를 유지한 후에 착용감에 대해 패널리스트 10 명에 의한 평가를 행한다. 「착용감」「땀이 차는 느낌·끈적거림이 없음」「감촉이 양호」「보슬보슬함」「신축성이 양호」「서포트력이 양호」「착용감이 양호」의 각 관능항목별로「매우 양호」를 5,「양호」를 4,「보통」을 3,「약간 불량」을 2,「불량」을 1 로 한 5 단계 평가를 실시하고, 10 명의 평균값을 평가치로 한다.
(2) 레그부 투명감
패널리스트 10 명에 의한 관능테스트를 실시하고, 착용시의 레그부의 투명감에 대해 평가한다. 레그부의 투명감에 대해 매우 양호를 5, 양호를 4, 보통을 3, 약간 불량을 2, 불량을 1 로 한 5 단계 평가를 실시하고, 10 명의 평균값을 평가치로 한다.
(3) 생지 외관
패널리스트 10 명에 의한 관능테스트를 실시하고, 착용시의 레그부의 생지외관에 대해 평가한다. 레그부의 생지외관에 대해 매우 양호를 5, 양호를 4, 보통을 3, 약간 불량을 2, 불량을 1 로 한 5 단계 평가를 실시하고, 10 명의 평균값을 평가치로 한다.
(4) 착용시의 흡방습성능
하계 서열 환경 이동 시뮬레이션 시험 및 동계 한랭 환경 이동 시뮬레이션 시험을 실시한다.
시험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실온 26 ℃, 상대습도 60 % RH 로 조절한 환경시험실 안에서 15 분간 의자에 앉아 안정상태를 유지한 후, 동 환경실에서 팬티스타킹을 착용하고, 대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증발량을 닛신상교 (주) 제 ; 이배퍼리 미터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2) 실온 20 ℃, 상대습도 65 % RH 로 조절한 환경시험실 안에서 15 분간 의자에 앉아 안정상태를 유지한 후, 하계(夏季)를 상정한 실온 30 ℃ ·상대습도 90 % RH 의 환경시험실로 이동하여 팬티스타킹을 착용하고, 15 분간 의자에 앉아 안정상태를 유지한 후, 다시 실온 20 ℃, 상대습도 65 % RH 로 조절한 환경시험실로 되돌아가서 15 분간 의자에 앉아 안정상태를 유지한다. 이 일련의 환경조건은 하계에 있어서의 일상생활을 시뮬레이션한 것으로, 실온 30 ℃ ·상대습도 90 % RH 의 환경조건은 옥외 안정시를 상정하고, 실온 20 ℃ ·상대습도 65 % RH 의 환경조건은 냉방된 옥내로 환경이동한 경우에서의 안정시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시험에서는 실생활에서의 착의조건에 가깝게 하기 위해 피험자에게 착의로서, 여름용 외의 (브래지어, 쇼츠 [면 100 %], 반소매셔츠 [면 50 % / 폴리에스테르 50 %], 세미 타이트 스커트 [폴리에스테르 100 %, 안감 없음], 양말 [면 100 %]) 을 착용시킨다.
측정부위는 슬개골 10 ㎝ 위의 대퇴부에 있어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를 신에이 (주) 제조의 의복 내 온습도측정용 센서를 사용하여 30 초 마다 측정한다.
3) 실온 20 ℃, 상대습도 65 % RH 로 조절한 환경시험실 안에서 15 분간 의자에 앉아 안정상태를 유지한 후, 동계(冬季)를 상정한 실온 10 ℃ ·상대습도 40 % RH 의 환경시험실로 이동하여 팬티스타킹을 착용하고, 15 분간 의자에 앉아 안정상태를 유지한 후, 다시 실온 20 ℃, 상대습도 65 % RH 로 조절한 환경시험실로 되돌아가서 15 분간 의자에 앉아 안정상태를 유지한다. 이 일련의 환경조건은 동계에 있어서의 일상생활을 시뮬레이션한 것으로, 실온 10 ℃ ·상대습도 40 % RH 의 환경조건은 옥외안정시를 상정하고, 실온 20 ℃, 상대습도 65 % RH 의 환경조건은 난방된 옥내로 환경이동한 경우에서의 안정시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시험에서는 실생활에서의 착의조건에 가깝게 하기 위해 피험자에게 착의로서, 겨울용 외의 (브래지어, 쇼츠 [면 100 %], 반소매셔츠 [면 50 % / 폴리에스테르 50 %], 세미 타이트 스커트 [폴리에스테르 100 %, 안감 없음), 양말 [면 100 %], 방한의 [안에 면을 넣은 점퍼]) 를 착용시킨다.
측정부위는 슬개골 10 ㎝ 위의 대퇴부에 있어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를 신에이 (주) 제조의 의복 내 온습도측정용 센서를 사용하여 30 초 마다 측정한다.
4) 실온 20 ℃, 상대습도 65 % RH 로 조절한 환경시험실 안에서 15 분간 의자에 앉아 안정상태를 유지한 후, 하계를 상정한 실온 30 ℃ ·상대습도 70 % RH 의 환경시험실로 이동하여 팬티스타킹을 착용하고, 또한 10 분간 의자에 앉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 후, 15 분간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의 트레드밀 주행운동한다. 그 후, 실온 26 ℃, 상대습도 60 % RH 로 조절한 환경시험실로 이동하여 15 분간 의자에 앉아 안정상태를 유지한다. 이 일련의 환경조건은 하계에 있어서의 일상생활을 시뮬레이션한 것으로, 실온 30 ℃ ·상대습도 70 % RH 의 환경조건은 옥외보행시를 상정하고, 실온 26 ℃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조건은 냉방된 옥내로 환경이동한 경우에서의 안정시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시험에서는 실생활에서의 착의조건에 가깝게 하기 위해 피험자에게 착의로서, 여름용 외의 (브래지어, 쇼츠 [면 100 %], 반소매셔츠 [면 50 % / 폴리에스테르 50 %], 세미 타이트 스커트 [폴리에스테르 100 %, 안감 없음), 양말 [면 100 %]) 를 착용시킨다.
측정부위는 슬개골 10 ㎝ 위의 대퇴부에 있어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를 신에이 (주) 제조의 의복 내 온습도측정용 센서를 사용하여 30 초 마다 측정한다.
대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증발량에 대해서는 닛신상교 (주) 제조의 이배퍼리 미터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실시예 1]
수평균분자량 1,830 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1,000 중량부와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168.1 중량부를 질소가스 분위기중 65 ℃ 에서 1 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키고, 말단 이소시아네이트를 갖는 중간중합체를 수득한다. 이 중간중합체를 건조한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용해시켜, 농도를 60 % 로 한다. 이어서, 에틸렌디아민 14 중량부와 디에틸아민 2.7 중량부를 포함하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을, 격렬하게 교반된 중간중합체 용액에 첨가하여, 농도 약 35 % 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 용액을 수득한다.
이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 용액에 수평균분자량 (이하, Mn 으로 표시) 이 7,000 인 폴리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흡수율 1,800 중량% 의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 (Mn 60,000) 를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에 대해 25 중량% 첨가·혼합한다. 이 용액에 산화방지제, 황변방지제 등의 첨가제, 즉 폴리우레탄 중합체에 대해 p-크레졸과 디시클로펜타디엔의 중부가체의 이소부티렌 부가물 1.5 중량%, N,N-비스(2-히드록시에틸)-t-부틸아민2.5 중량%, 2-(2'-히드록시-3',5-디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0.3 %,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05 중량% 를 첨가하여, 건식방사용 방사원액으로 만든다. 방사원액 전체의 고형분 농도는 35 중량% 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 방사원액을 열풍온도 240 ℃ 의 건식방사기에 공급하고, 800 m/분의 권취속도로 권취하여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한다. 섬도는 20 데니어로 2 필라멘트로 한다.
이 탄성섬유를 레그부에 사용한 팬티스타킹을 제작하고, 착용시험을 실시한다. 탄성섬유의 각종 물성값, 스타킹의 착용감의 결과에 대해서는 표 1 에 나타낸다. 신도, 신장회복성, 및 흡방습특성이 뛰어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가 수득된다. 또한 그 탄성섬유를 사용하여 착용밀착감이 양호하며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적은, 땀이 잘 차이지 않는 쾌적한 스타킹이 수득된다.
즉 팬티스타킹의 착용으로 인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등의 불쾌감, 및 촉감, 신축성 등의 착용감의 관능평가결과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흡습성, 생지외관, 투명감, 착용쾌적감이 뛰어난 것이었다.
도 1 내지 도 4 는 시뮬레이션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 은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했을 때의 수분증발량을 나타내고, 수분증발량이 많은 편이 방습작용의 효과를 발휘함을 나타낸다. 도 2 는 다른 환경으로 이동시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의 의복 내 습도를 나타내고, 실온 30 ℃ ·상대습도 90 % RH 의 고온고습환경에 있어서 습도가 낮은 편이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적음을 나타낸다. 이 때 도 2 는 실온 10 ℃ ·상대습도 40 % RH 의 저온저습도환경에 있어서 습도가 높은 편이 보습효과를 발휘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30 ℃ ×70 % 환경에서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한 후, 30 ℃ ×70 % 환경에서 트레드밀 주행운동을 15 분간 실시하고, 26 ℃ ×60 % 환경으로 이동하여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한 경우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의 의복 내 습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30 ℃ ×70 % 환경에서 트레드밀 주행운동 중의 습도가 낮은 편이 좋으며, 운동후 26 ℃ ×60 % 환경으로 이동후의 습도저하가 빠를수록,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발휘되어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도 4 는 30 ℃ ×70 % 환경에서 트레드밀 주행운동을 실시하고, 26 ℃ ×60 % 환경으로 이동후의 수분증발량을 나타낸다. 도 4 로부터 수분증발량이 적은 편이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시뮬레이션 시험결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26 ℃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에서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했을 때의 수분증발량이 종래의 팬티스타킹의 수분증발량에 비해 많아서 항상 일정한 수분증발량이 유지되고 있다. 도 2 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 ·상대습도 90 % RH 의 고온고습환경에서 실온 20 ℃ ·상대습도 65 % RH 의 표준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환경이동 후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발휘됨으로써,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적고, 이어서 실온 20 ℃ ·상대습도 65 % RH 의 표준환경에서 실온 10 ℃ ·상대습도 40 % RH 의 저온저습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환경이동 후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완만하게 저하되어 보습효과를 갖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 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 ·상대습도 70 % RH 의 환경 중에서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 트레드밀 주행운동한 후, 실온 26 ℃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발휘됨으로써,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적다. 도 4 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 ·상대습도 70 % RH 의 환경 중에서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 트레드밀 주행운동한 후, 실온 26 ℃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으로 이동하여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할 때에 있어서, 항상 일정한 수분증발량을 유지하고 있고, 운동 중의 증발작용이 좋으므로, 운동후에 불감증설(不感蒸泄)작용이 남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폴리우레탄계 흡수성 수지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에 대한 첨가량을 11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및 스타킹을 수득한다. 수득된 탄성섬유의 각종 물성치, 스타킹의 착용감의 결과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표 1 에 나타낸다. 스타킹의 착용감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하였다.
팬티스타킹의 착용으로 인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등의 불쾌감, 및 촉감, 신축성 등의 착용감의 관능평가결과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으며, 흡습성, 생지외관, 투명감, 착용쾌적감이 뛰어난 것이었다.
이어서, 시뮬레이션 시험의 결과를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다. 즉, 도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환경 중에서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했을 때의 수분증발량이 종래의 스타킹의 수분증발량에 비해 많고, 항상 일정한 수분증발량을 유지하고 있으며,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90 % RH 의 고온고습환경에서 실온 20 ℃·상대습도 65 % RH 표준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환경이동 후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발휘됨으로써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적으며, 이어서 실온 20 ℃·상대습도 65 % RH 의 표준환경에서 실온 10 ℃·상대습도 40 % RH 의 저온저습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환경이동 후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완만히 저하되어, 보습효과를 갖는 결과가 수득된다.
또, 도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70 % RH 의 환경 중에서,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 트레드밀 주행 운동한 후,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발휘됨으로써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적으며, 도 4 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70 % RH 의 환경 중에서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 트레드밀 주행운동한 후,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으로 이동하여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할 때에 있어서 항상 일정한 수분증발량을 유지하고 있고, 운동 중의 증발작용이 좋으므로, 운동후에 불감증설작용이 남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및 스타킹을 수득한다. 실의 각종 물성값, 착용감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표 1 에 나타낸다. 스타킹의 착용감은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인정되었으며, 평가값도 낮았다.
팬티스타킹의 착용으로 인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등의 불쾌감, 및 촉감, 신축성 등의 착용감의 관능평가결과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으며, 흡습성, 생지외관, 투명감, 착용쾌적감이 열등한 것이었다.
이어서, 시뮬레이션 시험의 결과를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다. 도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환경 중에서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했을 때의 수분증발량이 적으며, 항상 일정한 수분증발량을 유지하지 않으며, 도 2 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90 % RH 의 고온고습환경에서 실온 20 ℃·상대습도 65 % RH 의 표준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환경이동 후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지 않고,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없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많이 느껴지며, 이어서 실온 20 ℃·상대습도 65 % RH 의 표준환경에서 실온 10 ℃·상대습도 40 % RH 의 저온저습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환경이동 후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보습효과가 없으며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지 않는다.
또 도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70 % RH 의환경 중에서,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 트레드밀 주행 운동한 후,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지 않고,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없어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많이 느껴지며, 도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70 % RH 의 환경 중에서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 트레드밀 주행운동한 후,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으로 이동하여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할 때에 있어서 항상 일정한 수분증발을 하지 않고, 수분증발량의 시간의 경과로 인한 편차가 생기고, 운동 중의 증발작용이 나쁘므로, 운동후에 불감증설작용이 남고, 수분증발량이 많고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5
파단신도 (%) 530 570 620 610 -
신장회복율 (%) 84 90 90 90 -
분위기 A 에서의 흡습률 (중량%) 1.5 1.9 1.0 1.1 17.5
분위기 B 에서의 흡습률 (중량%) 11.8 6.9 1.5 4.0 36.7
분위기 A 와 분위기 B 의 흡습률의 차이 (중량%) 10.3 5.0 0.5 2.9 19.2
심미성 생지외관 4.5 4.4 2.2 2.7 1.9
투명감 4.7 4.7 2.1 2.2 1.8
착용쾌적감 땀이 차는 느낌·끈적거림이 없음 4.8 4.7 1.5 2.4 1.8
촉감이 양호 4.6 4.7 1.6 2.1 2.0
보슬보슬함 4.9 4.7 1.0 2.0 1.0
신축성이 양호 4.3 4.3 3.4 3.4 1.7
서포트력이 양호 4.6 4.5 3.1 3.1 1.4
착용감이 양호 4.8 4.8 1.2 2.0 1.1
[실시예 3 내지 12]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종 흡수율을 갖는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와 우레아 화합물, 및 공지 기술의 첨가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16922 호의 실시예 4에 기재된 폴리우레탄 중합체) 를 실시예 1 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에 첨가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한다. 모든 섬유가 적절하게 우수한 흡방습성, 흡습하에서의 뛰어난 강력유지율, 습마찰견뢰성을 가지고 있다.
[비교예 2]
실시예 3 의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의 첨가량을 2 중량% 로 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한다. 첨가량이 적어 충분한 흡방습성이 수득되지 않는다.
즉 팬티스타킹의 착용으로 인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등의 불쾌감, 및 촉감, 신축성 등의 착용감의 관능평가결과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으며, 흡습성, 생지외관, 투명감, 착용쾌적감이 열등한 것이었다.
시뮬레이션 시험의 결과를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다. 도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환경 중에서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했을 때의 수분증발량이 적으며, 항상 일정한 수분증발량을 유지하지 않으며,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90 % RH 의 고온고습환경에서 실온 20 ℃·상대습도 65 % RH 의 표준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환경이동 후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지 않고,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없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많이 느껴지며, 이어서 실온 20 ℃·상대습도 65 % RH 의 표준환경에서 실온 10 ℃·상대습도 40 % RH 의 저온저습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환경이동 후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보습효과가 없어,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지 않는다.
또한, 도 3 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70 % RH 의 환경 중에서,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 트레드밀 주행 운동한 후,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지 않고,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없어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많이 느껴지며, 도 4 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70 % RH 의 환경 중에서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 트레드밀 주행운동한 후,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으로 이동하여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할 때에 있어서 항상 일정한 수분증발을 하지 않고, 수분증발량의 시간의 경과로 인한 편차가 생기고, 운동 중의 증발작용이 나쁘므로 운동후에 불감증설작용이 남고, 수분증발량이 많아,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지 않는다.
[비교예 3]
실시예 8 의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의 첨가량을 50 중량% 로 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한다. 첨가량이 많아 흡습시의 강력저하가 크고 습마찰견뢰도도 열등하다. 또한 흡습량이 크고 끈적거림이 있는 것이다.
[비교예 4]
실시예 1 의 고분자 디올 대신에 Mn 7,000 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Mn 3,000 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중량비 2 : 8 로 블렌드한 고분자 디올로부터 수득된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한다. 이 섬유는 충분한 흡방습성이지 않다.
[비교예 5]
실시예 1 의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 대신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71432 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된 염화마그네슘을 8 중량% 첨가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한다.
즉, 팬티스타킹의 착용으로 인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등의 불쾌감, 및 촉감, 신축성 등의 착용감의 관능평가결과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흡습성, 생지외관, 투명감, 착용쾌적감이 열등한 것이었다.
시뮬레이션 시험의 결과를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다. 도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환경 중에서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했을 때의 수분증발량이 적으며, 항상 일정한 수분증발량을 유지하지 않으며, 도 2 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90 % RH 의 고온고습환경에서 실온 20 ℃·상대습도 65 % RH 의 표준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환경이동 후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지 않고,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없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많이 느껴지며, 이어서 실온 20 ℃·상대습도 65 % RH 의 표준환경에서 실온 10 ℃·상대습도 40 % RH 의 저온저습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환경이동 후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보습효과가 없어,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지 않는다.
또한, 도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70 % RH의 환경 중에서,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 트레드밀 주행 운동한 후,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대퇴부위에서의 팬티스타킹 내 습도가 급격히 저하되지 않고, 신속한 방습작용효과가 없어서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 차가운 느낌이 많이 느껴지며, 도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 30 ℃·상대습도 70 % RH 의 환경 중에서 4.5 ㎞/hr 의 속도로 15 분간 트레드밀 주행운동한 후, 실온 26 ℃·상대습도 60 % RH 의 환경 중으로 이동하여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할 때에 있어서 항상 일정한 수분증발을 하지 않고, 수분증발량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편차가 생기고, 운동 중의 증발작용이 나쁘므로 운동후에 불감증설작용이 남고 수분증발량이 많아,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지 않는다.
[비교예 6]
수평균분자량 6,000 의 폴리에틸렌글리콜 1 몰,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 몰 및 1,4-부탄디올 0.25 몰의 비율로 반응시켜 수득되는 흡수율 1,600 중량% 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한다. 이것을 210 ℃ 에서 용융한 노즐로부터 압출하여 20 d (1 필라멘트) 의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를 수득한다. 비교예 5 내지 6 은 흡습량이 많아 끈적거리기 쉬운 것이다. 또한 흡습시의 강력저하나 습마찰견뢰도 저하도 크다.
실시예 3 내지 12, 비교예 1 내지 6 에 있어서, 각 분위기 A, B 에서의 강력, 강력유지율, 흡방습성능의 측정, 및 습마찰견뢰도의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그리고, 표 2 의 약호는 다음과 같다.
PTMG :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PEG : 폴리에틸렌글리콜
PPG : 폴리프로필렌글리콜
EO : 에틸렌 단위
PO : 프로필렌 단위
PEPG : 에틸렌 단위과 프로필렌 단위가 공중합된 폴리알킬렌에테르글리콜
MDI :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HMDI : 4,4'-디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PI : 페닐이소시아네이트
AEP : N-(2-아미노에틸)피페라진
TBA : t-부틸아민
BD : 1,4'-부탄디올
EG : 에틸렌글리콜
EDA : 에틸렌디아민
[실시예 13]
실시예 3 에서 수득된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의 방사원액을 열풍온도 240 ℃ 의 건식방사기에 공급하고, 800 m/분의 권취속도로 권취하여 섬도 4 데니어 (44 데시텍스) / 4 필라멘트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한다. 수득된 40 데니어 (44 데시텍스) 의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와 나일론섬유 70 데니어 (78 데시텍스) / 68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환편기에 의해 하기 조건으로 베어천축 포백을 제작하고, 쇼츠를 시험제작한다. 시험제작한 쇼츠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적은 양호한 착용감의 쇼츠가 수득된다.
베어천축 편성조건
편기 오오쿠마 모라트사 제조 게이지 24 개/인치
회전수 11 rpm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혼율 : 18.6 %,
급사 : 나일론 섬유 37 m/분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드래프트율 2.5
수득된 베어천축을 하기 조건으로 염색한다.
정련 : 스코어롤 FC-250 (카오카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2 g/리터 60 ℃ ×20 분
예비 고정 : 180 ℃ × 45 초
염색 : 오프 화이트(off white) 승온 2 ℃/분 90 ℃ × 30 분
최종 고정 : 170 ℃ ×45 초
밀도 75 코스/인치 48 웨일/인치
[실시예 14]
실시예 3 에서 수득된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의 방사원액을 열풍온도 240 ℃ 의 건식방사기에 공급하고, 500 m/분의 권취속도로 권취하여 섬도 280 데니어 (310 데시텍스) / 36 필라멘트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한다. 수득된 280 데니어 (310 데시텍스) 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와 나일론 섬유 50 데니어 (56 데시텍스) / 17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라셀 편기로 하기 조건으로 라셀 편지를 제작하고, 거들을 시험제작한다. 시험제작한 거들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적은 양호한 착용감의 거들이 수득된다.
라셀 편지 편성 조건
컬마이어사 제조의 라셀 편기, 게이지 28 개/인치
조직 6 코스 새틴 네트
앞 10/01/10/12/21/12
뒤 00/22/11/33/11/22
러너길이 앞 113.5 ㎝
뒤 10 ㎝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는 100 % 신장하여 경사방향으로 편직한다.
상기 조건은 기계설정조건이다.
기상(機上) 코스 90 코스/인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혼율 : 20 %
수득된 라셀 편지를 하기 조건으로 염색한다.
정련 : 스코어롤 FC-250 (카오카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2 g/리터 60 ℃ ×20 분
예비 고정 : 190 ℃ × 45 초
염색 : 오프 화이트 승온 2 ℃/분 90 ℃ × 30 분
최종 고정 : 170 ℃ ×45 초
밀도 60 코스/인치 40 웨일/인치
[실시예 15]
실시예 3 에서 수득된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의 방사원액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방사하고, 섬도 40 데니어 (44 데시텍스) / 4 필라멘트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한다. 수득된 40 데니어 (44 데시텍스) 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와 나일론 섬유 50 데니어 (56 데시텍스) / 17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트리콧 편기로 2 웨이 트리콧을 하기 조건으로 제작하고, 스패츠를 시험제작한다. 시험제작한 스패츠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적은 양호한 착용감의 스패츠가 수득된다.
트리콧 편지 편성조건
컬마이어사 제조의 트리콧 편기, 게이지 28 개/인치
조직 하프 트리콧
앞 23/10
뒤 10/12
러너길이 앞 160 ㎝/래크
뒤 80 ㎝/래크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는 100 % 신장하여 경사방향으로 편직한다.
상기 조건은 기계설정조건이다.
기상 코스 80 코스/인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혼율 : 20.5 %
수득된 트리콧 편지를 하기 조건으로 염색한다.
정련 : 스코어롤 FC-250 (카오카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2 g/리터 60 ℃ ×20 분
예비 고정 : 190 ℃ × 45 초
염색 : 블랙 Irgalan Black BGL 2.7 % owf
황산암모늄 3 % owf
아세트산 0.2 % owf
승온 2 ℃/분 90 ℃ ×30 분
고착처리 : 하이픽스 SLA (다이닛뽕세이야꾸 (주) 제조) 3 % owf
승온 2 ℃/분 80 ℃ ×20 분
최종 고정 : 170 ℃ ×45 초
밀도 114 코스/인치 75 웨일/인치
[실시예 16]
실시예 6 에서 수득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 20 데니어 (22 데시텍스) / 2 필라멘트와 나일론 66 섬유 20 데니어 (22 데시텍스) / 24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커버링 드래프트 3.0 배로 1000 T/M 의 커버링사를 위사로 사용하고, 경사로는 20 데니어 (22 데시텍스) / 7 필라멘트를 경사로 하여 평직의 스트레치 직물을 하기 조건으로 제작하여 쇼츠를 시험제작한다. 시험제작한 쇼츠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적은 양호한 착용감의 쇼츠가 수득된다.
직기 : 쯔다코마 제조 레피아룸
바디 통폭 : 204 ㎝
박음질 수 : 110 개/인치
총개수 : 14500 개
생기밀도 경사 : 200 개/인치 위사 : 110 개/인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혼율 : 10.6 %
수득된 직물을 하기 조건으로 염색한다.
정련 : 스코어롤 FC-250 (카오카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2 g/리터 60 ℃ ×20 분
예비 고정 : 200 ℃ × 45 초
염색 : 오프 화이트 승온 2 ℃/분 130 ℃ × 30 분
최종 고정 : 170 ℃ ×45 초
마무리 밀도
경사 : 330 개/인치
위사 : 120 개/인치
[실시예 17]
실시예 6 에서 수득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20 데니어 (22 데시텍스) / 2 필라멘트와 나일론 66 섬유 20 데니어 (22 데시텍스) / 24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커버링 드래프트 3.0 배로 1000 T/M 의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고, 평직의 스트레치 직물을 하기 조건으로 제작하여 쇼츠를 시험제작한다. 시험제작한 쇼츠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적은 양호한 착용감의 쇼츠가 수득된다.
직기 : 쯔다코마 제조 레피아룸
바디 통폭 : 204 ㎝
박음질 수: 110 개/인치
총개수 : 8800 개
생기밀도 경사 : 120 개/인치 위사 : 110 개/인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혼율 : 25.0 %
수득된 직물을 하기 조건으로 염색한다.
정련 : 스코어롤 FC-250 (카오카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2 g/리터 60 ℃ ×20 분
예비 고정 : 200 ℃ × 45 초
염색 : 오프 화이트 승온 2 ℃/분 130 ℃ × 30 분
최종 고정 : 170 ℃ ×45 초
마무리 밀도 경사 : 170 개/인치
위사 : 145 개/인치
[비교예 9]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 (아사히가세이고오교 (주) 제조 상품명 로이카 SC 타입) 40 데니어 (44 데시텍스) 와 나일론 섬유 70 데니어 (78 데시텍스) / 68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3 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어천축 포백을 제작하고, 쇼츠를 시험제작한다. 시험제작한 쇼츠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있는 쇼츠였다.
[비교예 10]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 (아사히가세이고오교 (주) 제조 상품명 로이카 S 타입) 280 데니어 (310 데시텍스) 와 나일론 섬유 50 데니어 (56 데시텍스) / 17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4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셀 편지를 제작하고, 거들을 시험제작한다. 시험제작한 거들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있는 거들이었다.
[비교예 11]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 (아사히가세이고오교 (주) 제조 상품명 로이카 SC 타입) 40 데니어 (44 데시텍스) 와 나일론 섬유 50 데니어 (76 데시텍스) / 68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5 와 동일한 방법으로 2 웨이 트리콧을 제작하고, 스패츠를 시험제작한다. 시험제작한 스패츠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있는 스패츠였다.
[비교예 12]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 20 데니어 (22 데시텍스) / 2 필라멘트 (아사히가세이고오교 (주) 제조 상품명 로이카 SC 타입) 와 나일론 66 섬유 20 데니어 (22 데시텍스) / 24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6 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어천축 포백을 제작하고, 쇼츠를 시험제작한다. 시험제작한 쇼츠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있는 쇼츠였다.
[비교예 13]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 20 데니어 (22 데시텍스) / 2 필라멘트 (아사히가세이고오교 (주) 제조 상품명 로이카 SC 타입) 와 나일론 66 섬유 20 데니어 (22 데시텍스) / 24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트레치 직물을 제작하고, 쇼츠를 시험제작한다. 시험제작한 쇼츠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땀이 차는 느낌, 끈적거림이 있는 쇼츠였다.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단위면적당 중량 (g/㎡) 140 190 230 50 60 140 190 230 50 60
폴리우레탄우레아탄성섬유혼율(%) 18.6 20.0 20.5 10.6 25.0 18.6 20.0 20.5 10.6 25.0
탄성섬유의 분위기 A 에서의 흡습률 (중량%) 2.0 2.0 2.0 2.7 2.7 1.0 1.0 1.0 1.0 2.7
탄성섬유의 분위기 B 에서의 흡습률 (중량%) 11.0 11.0 11.0 16.6 16.6 1.5 1.5 1.5 1.5 1.5
탄성섬유의 분위기 A 와 분위기 B 의 흡습률의 차이 (중량%) 9.0 9.0 9.0 13.9 13.9 0.5 0.5 0.5 0.5 0.5
착용쾌적감 땀이 차는 느낌·끈적거림이 없음 4.5 4.3 4.5 4.2 4.8 2.1 1.8 1.2 2.7 2.5
촉감이 양호 4.0 4.1 4.0 4.1 4.0 3.8 3.5 3.0 3.2 3.8
보슬보슬함 4.8 4.2 4.7 4.6 4.8 2.5 2.2 1.8 2.8 2.0
신축성이양호 4.0 4.4 4.5 4.0 4.5 3.1 3.0 2.8 2.2 2.8
밀착감이양호 4.3 4.8 4.8 3.8 4.3 3.0 2.7 2.5 1.5 2.0
착용감이양호 4.4 4.2 4.6 4.1 4.5 2.5 2.3 2.0 1.9 2.4
본 발명에 따르면 흡습시에 있어서의 섬유강도의 저하가 적고, 흡습된 수분을 용이하게 방습하는 성질을 갖는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우레탄우레아 섬유 등의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가 수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는 다른 섬유를 혼용하여 염색 등의 습윤가공에서 포백의 강도저하가 적고, 염색물의 습윤마찰염색견뢰도가 높은 스트레치 포백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공특성이 개선된, 땀이 잘 차이지 않는 착용쾌적성이 뛰어난 스트레치 의재료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Claims (20)

  1. 20 ℃ ×65 % RH 에서의 흡습률이 0.5 내지 4.0 중량%, 30 ℃ ×90 % RH 에서의 흡습률이 4.5 중량% 이상이고, 또한 상기 두 조건에서의 흡습률의 차이가 4.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30 ℃ ×90 % RH 에서의 흡습률이 4.5 내지 3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가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합성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4. 제 3 항에 있어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가 건식방사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5. 제 4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의 20 ℃ ×65 % RH 에서의 파단강력에 대한 30 ℃ ×90 % RH 에서의 파단강력의 유지율이 9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가 산성염료로 염색되었을 때에 4 급 이상의 습마찰견뢰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가, 500 내지 4,000 중량% 의 흡수율을 갖는 흡수성 수지를 폴리우레탄계 중합체에 대해 5 내지 4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8. 흡수성 수지가 다음의 (a) 내지 (b), 또는 (a) 내지 (c) 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 중의 최소한 1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a) 에틸렌옥사이드 단위가 최소한 70 중량% 인, 수평균분자량 2,000 내지 30,000 의 폴리알킬렌에테르글리콜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 디올
    (b)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c) 수평균분자량 50 내지 200 의 저분자 디올 또는 2 관능성 아민
  9. 제 8 항에 있어서, 고분자 디올이 폴리에틸렌글리콜,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가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최소한 1 종, 저분자 디올이 1,4-부탄디올, 에틸렌글리콜 중 최소한 1 종, 2 관능성 아민이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중 최소한 1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가 다음의 (A) 내지 (C) 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우레아 화합물을 폴리우레탄계 중합체에 대해 1 내지 1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A) 제 1 급 아민 및 제 2 급 아민 중 최소한 1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2 관능성 아미노기와 제 3 급 질소 및 복소환상 질소 중 최소한 1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질소함유기를 포함하는 질소함유화합물
    (B)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C) 모노 또는 디알킬모노아민, 알킬모노알코올,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의 화합물
  11.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가, 수평균분자량 500 내지 10,000 의 폴리알킬렌에테르글리콜에 과잉 몰의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합성하고,이어서 프리폴리머에 2 관능성 아민과 1 관능성 아민을 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
  12. 수평균분자량 500 내지 10,000 의 폴리알킬렌에테르글리콜에 과잉 몰의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합성하고, 이어서 프리폴리머에 2 관능성 아민과 1 관능성 아민을 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로부터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를 수득할 때에, 다음의 (a) 내지 (b), 또는 (a) 내지 (c) 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500 내지 4,000 중량% 의 흡수율을 갖는 우레탄계 흡수성 수지 중의 최소한 1 종을 아미드계 극성용매에 용해 또는 미분산시키고, 이 흡수성 수지를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에 대해 1 내지 15 중량% 함유시켜 수득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 방사원액을 건식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의 제조방법.
    (a) 에틸렌옥사이드 단위가 최소한 70 중량%인 수평균분자량 2,000 내지 30,000 의 폴리알킬렌에테르글리콜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 디올
    (b)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c) 수평균분자량 50 내지 200 의 저분자 디올 또는 2 관능성 아민
  13. 제 12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가, 다음의 (A) 내지 (C) 를반응시켜 수득되는 우레아 화합물을 아미드계 용매에 용해시켜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에 대해 1 내지 15 중량% 함유시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이 뛰어난 고신도·고신장 회복성 합성섬유의 제조방법.
    (A) 제 1 급 아민 및 제 2 급 아민 중 최소한 1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2 관능성 아미노기와 제 3 급 질소 및 복소환상 질소 중 최소한 1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질소함유기를 포함하는 질소함유화합물
    (B)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C) 모노 또는 디알킬모노아민, 알킬모노알코올,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의 화합물
  14.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방습성 합성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백.
  15.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방습성 합성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편물.
  16.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방습성 합성섬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물.
  17.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방습성 합성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8.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방습성 합성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의재료.
  19.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방습성 합성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용 의재료.
  20.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방습성 합성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의재료.
KR10-2001-7010156A 1999-02-12 2000-02-10 흡방습성 합성섬유 및 이 섬유를 사용한 포백 KR100419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59399 1999-02-12
JPJP-P-1999-00034593 1999-02-12
JP24922699 1999-09-02
JPJP-P-1999-00249226 1999-09-02
PCT/JP2000/000766 WO2000047802A1 (fr) 1999-02-12 2000-02-10 Fibre synthetique absorbant/liberant l'humidite et tissu l'utilis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056A true KR20010102056A (ko) 2001-11-15
KR100419762B1 KR100419762B1 (ko) 2004-02-25

Family

ID=2637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156A KR100419762B1 (ko) 1999-02-12 2000-02-10 흡방습성 합성섬유 및 이 섬유를 사용한 포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03216B1 (ko)
EP (1) EP1174531B1 (ko)
JP (1) JP3837024B2 (ko)
KR (1) KR100419762B1 (ko)
CN (1) CN1186486C (ko)
DE (1) DE60032353T2 (ko)
TW (1) TW507028B (ko)
WO (1) WO2000047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189A (ja) * 2001-05-22 2002-11-27 Asahi Kasei Corp 伸縮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US8367570B2 (en) * 2002-04-04 2013-02-05 The University Of Akron Mechanically strong absorbent non-woven fibrous mats
WO2003089700A1 (fr) * 2002-04-22 2003-10-30 Toyo Boseki Kabusiki Kaisya Fibre elastique et utilisation de celle-ci
US6984708B2 (en) * 2002-10-04 2006-01-10 Invista North America S.A.R.L. Spandex of a particula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EP1627574A1 (en) * 2003-05-05 2006-02-22 Vives Vidal, Vivesa, SA Sports garment
US7842628B2 (en) * 2003-06-23 2010-11-30 Teijin Fibers Limited Woven or knitted fabric containing two different yarns and clothing comprising the same
CN1759212A (zh) * 2003-07-29 2006-04-12 帝人纤维株式会社 含有因湿润而空隙率降低的两种不同纱线的机织或针织布
WO2005038112A1 (ja) * 2003-10-22 2005-04-28 Teijin Fibers Limited 伸縮性複合布帛及びその衣料製品
SE0400282D0 (sv) * 2004-02-09 2004-02-09 Microdrug Ag Machine for volumetric filing of powders
US20050208857A1 (en) * 2004-03-19 2005-09-22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US9700077B2 (en) 2004-03-19 2017-07-1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variable air permeability
US7437774B2 (en) 2004-03-19 2008-10-2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zoned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US20100242151A1 (en) * 2009-03-26 2010-09-30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Variable Air Permeability
DE602006018125D1 (en) * 2005-04-21 2010-12-23 Toray Industries Hose
WO2006121942A1 (en) * 2005-05-09 2006-11-16 Invista Technologies S.A.R.L. Spandex from poly (tetramethylene-co-ethyleneether) glycols having high ethyleneether content
BRPI0612949B1 (pt) 2005-05-09 2017-03-21 Invista Technologies Sarl spandex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spandex
TWI366460B (en) * 2005-06-16 2012-06-21 Euro Celtique Sa Cannabinoid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for improved dosage forms
US20070010153A1 (en) * 2005-07-11 2007-01-11 Shaffer Lori A Cleanroom wiper
US20070010148A1 (en) * 2005-07-11 2007-01-11 Shaffer Lori A Cleanroom wiper
EP1951782A1 (en) * 2005-11-22 2008-08-06 INVISTA Technologies S.à.r.l. Spandex from high molecular weight poly (tetramethylene-co-ethyleneether) glycols
US20070117949A1 (en) * 2005-11-22 2007-05-24 Palmer Charles F Jr Spandex from poly(tetramethylene-co-ethyleneether) glycols having low ethyleneether content
WO2007061445A1 (en) * 2005-11-22 2007-05-31 Invista Technologies S.A.R.L. Spandex from poly (tetramethylene-co-ethyleneether) glycols blended with polymeric glycols
US20080023098A1 (en) * 2006-05-18 2008-01-31 Mederio Ag Volumetric filling of powders
US8187984B2 (en) * 2006-06-09 2012-05-29 Malden Mills Industries, In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JP5067974B2 (ja) * 2006-07-04 2012-11-07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ウレア弾性繊維
US8389100B2 (en) * 2006-08-29 2013-03-05 Mmi-Ipco, Ll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JP2008057099A (ja) * 2006-08-29 2008-03-13 Mmi-Ipco Llc 感温性スマートテキスタイル
JP2008057100A (ja) * 2006-08-29 2008-03-13 Mmi-Ipco Llc 感温性且つ感湿性のスマートテキスタイル
US20090158492A1 (en) * 2007-12-21 2009-06-25 Min Yao Quick-drying textile
CN102834556B (zh) * 2010-03-31 2016-01-20 东丽株式会社 吸湿性纤维及其制造方法
US20130122271A1 (en) * 2010-08-02 2013-05-16 Teijin Frontier Co., Ltd. Multilayered cloth and textile product
JP6075036B2 (ja) * 2011-12-05 2017-02-08 東レ・オペロンテ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936751B1 (en) 2013-03-14 2018-04-10 Francesco Mignone Towel/absorptive arm sleeve and means of hands free toweling
CN104073913B (zh) * 2014-07-08 2016-03-02 浙江华峰氨纶股份有限公司 一种吸湿快干氨纶纤维及其制备方法
JP6144794B2 (ja) * 2015-05-25 2017-06-07 株式会社東和コーポレーション 手袋用基体および手袋
CN104894665A (zh) * 2015-06-19 2015-09-09 南通安恒化纤有限公司 泰纶短纤维及其制备方法
US10816229B2 (en) * 2015-06-24 2020-10-27 Termotera Ltd Harvesting energy from humidity fluctuations
WO2017116983A1 (en) * 2015-12-28 2017-07-06 Invista North America S.A R.L. Polyurethane fiber structure
FR3054248B1 (fr) 2016-07-22 2018-07-06 D.S.B. Tricot elastique seconde peau permettant de preserver le taux d'hydratation des couches superficielles de l'epiderme
DE112017008368B4 (de) 2016-10-05 2024-03-28 Sanko Co., Lt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elastischer Polyurethanfaser
KR101959146B1 (ko) 2017-12-27 2019-03-15 효성티앤씨 주식회사 염색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797457A (zh) * 2019-01-17 2019-05-24 连云港杜钟新奥神氨纶有限公司 一种双组分的吸湿排汗聚氨酯弹性纤维
KR20210015399A (ko) * 2019-08-02 2021-02-1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심초형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US10863778B1 (en) 2020-04-03 2020-12-15 James C. Towne Disposable sleeve member to absorb moisture from coughing or sneez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4703587B (zh) * 2021-12-20 2023-08-18 东华大学 一种湿度调节面料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8909A (en) * 1980-02-14 1981-09-18 Japan Exlan Co Ltd Novel water absorbing acrylic fiber
JPS60457A (ja) 1983-06-17 1985-01-05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静電荷像現像用トナ−
AU556792B2 (en) 1983-07-14 1986-11-20 Otis Engineering Corp. Extruding tubes with off-centre bores
JPS60215835A (ja) 1984-04-07 1985-10-29 株式会社 サカシタ コアヤ−ンの布地
JPH0299612A (ja) 1988-09-30 1990-04-11 Kuraray Co Ltd 吸湿性繊維
JPH04361616A (ja) 1991-06-07 1992-12-15 Toray Ind Inc 吸湿性に優れた芯鞘型複合繊維
JP2903773B2 (ja) 1991-06-10 1999-06-14 東レ株式会社 快適性に優れた芯鞘型複合繊維
JPH05271432A (ja) 1992-03-24 1993-10-19 Asahi Chem Ind Co Ltd 吸湿性ポリウレタンの製造方法
KR100242354B1 (ko) * 1995-07-25 2000-03-02 야마모토 카즈모토 폴리우레탄우레아탄성섬유
JPH0941221A (ja) 1995-07-28 1997-02-10 Toray Ind Inc 快適性に優れた合成繊維
JPH0941204A (ja) 1995-07-31 1997-02-10 Toray Ind Inc 吸湿性に優れたストッキング
JPH10195162A (ja) * 1997-01-13 1998-07-28 Sanyo Chem Ind Ltd 親水性ポリウレアもしくはポリウレタンポリウレア樹脂の製造法、成形品および樹脂溶液
JPH10331034A (ja) * 1997-03-31 1998-12-15 Unitika Ltd 吸放湿性ポリアミド複合繊維
EP0892094B1 (en) * 1997-07-17 2003-09-24 Nisshinbo Industries, Inc. Water-absorptive polyurethane fib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284370B1 (en) * 1997-11-26 2001-09-0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ester fiber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883283B2 (ja) * 1998-03-24 2007-02-21 ユニチカ株式会社 吸放湿性捲縮加工糸
CN1139679C (zh) 1998-03-24 2004-02-25 尤尼吉可株式会社 能够吸湿和脱湿的合成纤维、使用该纤维的缠结和混纺纱线、针织和机织织物和非织造织物
JP4064543B2 (ja) * 1998-09-22 2008-03-19 ユニチカ株式会社 吸放湿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繊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4531B1 (en) 2006-12-13
CN1339074A (zh) 2002-03-06
DE60032353D1 (de) 2007-01-25
EP1174531A1 (en) 2002-01-23
JP3837024B2 (ja) 2006-10-25
WO2000047802A1 (fr) 2000-08-17
US6403216B1 (en) 2002-06-11
KR100419762B1 (ko) 2004-02-25
EP1174531A4 (en) 2004-12-15
TW507028B (en) 2002-10-21
WO2000047802A8 (fr) 2000-11-02
CN1186486C (zh) 2005-01-26
DE60032353T2 (de)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762B1 (ko) 흡방습성 합성섬유 및 이 섬유를 사용한 포백
EP2037014B1 (en) Polyurethane urea elastic fiber
CN1957125B (zh) 混合了聚氨酯弹性纤维纬编针织物及其制造方法
JP4860261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
EP1170407B1 (en) Elastic polyurethane-urea fi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40983B1 (ko) 제전성, 흡수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복합섬유
CN102177285B (zh) 芯鞘型共轭纱、针织物、衣物制品、及制造芯鞘型共轭纱的方法
KR101928053B1 (ko) 엘라스토머 섬유 및 이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
JP2008184722A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弾性繊維織物
JP4363718B2 (ja) ポリウレタンポリウレア含有交編織物
JP3836241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れを使用した弾性布帛
JP2008163498A (ja) 編地及び衣料
JP2001098423A (ja) 高速吸湿性ポリウレタン系弾性繊維
JP2013047409A (ja) 伸縮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4516670B2 (ja) 成形肌着
JP2006063461A (ja) 原着ストッキング
JP4338862B2 (ja) 染色性に優れた伸縮布帛
KR100730447B1 (ko) 신축성 직· 편물
JP2002194647A (ja) 編 物
JP2015158038A (ja) 伸縮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42097A (ja) 弾性経編地および衣料
JP2000303288A (ja) 被覆弾性糸の製造方法及び被覆弾性糸とその繊維製品ならびに繊維製品の製造方法
JP2009019291A (ja) 細幅織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