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946A -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946A
KR20010085946A KR1020017005012A KR20017005012A KR20010085946A KR 20010085946 A KR20010085946 A KR 20010085946A KR 1020017005012 A KR1020017005012 A KR 1020017005012A KR 20017005012 A KR20017005012 A KR 20017005012A KR 20010085946 A KR20010085946 A KR 20010085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holder
chassis
main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4032B1 (ko
Inventor
카와무라아사코
오하라마사키
오가와타이조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8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8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of non-disc record carrier, e.g.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8Visual features other than those contained in record tracks or represented by sprocket holes the visual signals being auxiliary signals
    • G11B23/40Identifying or analogous means applied to or incorporated in the record carrier and not intended for visual display simultaneously with the playing-back of the record carrier, e.g. label, leader, photograp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를 기록매체로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며, 메모리가 장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의 위치에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선택을 행하는 선택조작부를 설치하고,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의 위치에 장착된 메모리를 배출하는 배출조작부를 설치함으로써, 데이터의 선택조작과 메모리의 배출조작의 오조작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torage medium}
종래, 퍼스널컴퓨터나 오디오·비주얼기기에 내장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나, 상기 기기의 외부 기억장치로서 사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서, 자기디스크나 광디스크 등을 기록매체로 하는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오디오정보나 비디오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서, 자기테이프나 자기디스크, 혹은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 하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나 플래시메모리 등의 고체메모리를 갖추어 보다 소형화가 도모된 판상으로 형성된 메모리를 기록매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고체메모리를 이용한 판상메모리는, 큰 기억용량을 확보하면서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 메모리를 이용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한층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고체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를 기억매체에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테이프카세트나 디스크카트리지에 비하여 충분히 소형화가 도모되는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에 맞추어 한층 소형화가 가능하다.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소형화되면, 이 장치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나,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메모리를 배출조작 하기 위한 배출조작부 등이 서로 근접하여 설치된다.
복수의 조작부가 서로 근접하여 설치되면, 틀린 조작을 하게 될 우려가 있다. 기록 및/또는 재생 조작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틀린 배출조작부가 조작되어 메모리가 배출되게 되면, 정확한 정보의 기록이 행해지지 않게 될 뿐 아니라,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를 손상시키게 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기억매체로서 판상메모리를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하여, 특히 판상메모리가 장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이 장치에 메모리를 삽탈시키는 로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이용되는 판상메모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판상메모리의 밑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밑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구성하는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홀더를 섀시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판상메모리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판상메모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파지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다.
도 10은 선택조작부를 구성하는 회동가압형 스위치의 기본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회동가압형 스위치를 회동조작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회동가압형 스위치를 가압 조작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회동가압형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회동가압형 스위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회동가압형 스위치에 구비되는 웨이퍼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내장되는 판상메모리의 로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로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로딩장치를 구성하는 홀더에 부착된 규제부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9는 섀시에 부착되는 덮개체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20은 섀시에 부착되는 배출부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21은 로딩장치에 판상메모리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섀시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에 판상메모리가 완전히 끼워 넣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그 측면도이다.
도 24는 판상메모리가 로딩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로딩장치에 장착된 판상메모리를 배출할 때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로딩장치에 장착된 판상메모리를 배출할 때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판상메모리의 로딩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상기 로딩장치의 비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섀시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에 판상메모리가 완전히 끼워넣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0은 판상메모리가 로딩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로딩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한 메모리를 이용하여, 한층의 소형화가 도모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고, 정확한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할 수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가 장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를 갖추고, 이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 측의 위치에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선택 등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를 설치하고,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의 위치에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메모리를 배출하는 배출조작부를 설치함으로써, 데이터의 선택 등의 조작모드의 선택과 메모리의 배출조작의 오조작을 방지한다.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는, 장치본체에 출력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동시에, 장치본체에 대해 회동조작이 가능하며, 배출조작부는 장치본체의 하나의 면에 평행하게 이동된다.
또, 배출조작부는, 메모리의 장치본체에의 삽입방향으로 이동 조작되어서 메모리를 장치본체에서 배출한다.
또한, 메모리가 삽탈되는 메모리 삽탈구는, 장치본체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메모리가 장치본체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으로 향해서 삽입된다.
그리고 또, 징치본체의 하나의 면에는, 홀더에 삽입된 메모리의 한면의 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편에 면하게 하는 창부가 설치되며, 창부는 장치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명암색의 투시판에 의해 덮여져서 눈에 띠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에 한층 분명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판상메모리(1)를 기억매체에 이용하는 것이다. 이 판상메모리(1)는, 합성수지를 몰드 성형한 메모리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체(2)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체(2)의 내부에, 예를 들면 32메가바이트 이상의 큰 기억용량을 가지는 플래시메모리 등의 메모리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판상메모리(1)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이, 짧은 변의 길이(W1)를 대략 21.45mm로 이루고, 긴 변의 길이(L1)를 대략 50mm로 이루고, 두께(D1)를 약 2.8mm로 이루는 대략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판상메모리(1)를 구성하는 케이스체(2)의 한쪽의 짧은 변측인 전면 (2a)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이, 전면(2a)에서 밑면(2b)에 걸치도록, 단자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부(3)에는, 서로 구분벽(3a)으로 분리된 복수의 전극(3b)이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체(2) 내에 설치된 메모리소자에 대한 정보의 독출 또는 기입동작은, 단자부(3)에 부착된 전극(3b)을 거쳐서 행해진다. 또, 단자부(3)는, 구분벽(3a)에 의해 결합 오목부(3c)가 형성되고, 전극(3b)은, 결합 오목부(3c)의 밑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손가락 등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되어 있다.
또, 케이스체(2)의 단자부(3)가 형성된 전면(2a)측의 한쪽의 코너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이, 원호상으로 절결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의 삽입방향을 나타내는 절결부(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체(2)의 절결부(4)가 형성된 측의 한쪽의 측면(2c)에는,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이, 케이스체(2)의 밑면(2b)측을 개방한 오삽입 방지홈(5)이 절결부(4)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4) 및 오삽입 방지홈(5)은, 판상메모리(1)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장착될 때, 기록 및/재생장치에 대한 삽입방향을 규제하여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스체(2)의 밑면(2b)측에는, 단자부(3)의 근방에 위치하여, 잘못하여 정보신호를 반도체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기록방지 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오기록방지 스위치(6)는, 케이스체(2) 내의 조작자에 연결되고, 한쪽에 슬라이드되었을 때, 정보신호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쪽에 슬라이드되었을 때, 새로운 정보신호가 덮어쓰기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케이스체(2)의 한쪽의 측면(2c)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삽입되었을 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측에 설치한 결합 유지부에 결합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용 오목부(7)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2)의 다른쪽의 측면(2d) 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장착검출용의 결합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이 결합오목부(8)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측에 설치되는 검출부를 결합함으로써, 판상메모리(1)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의 장착 유무를 검출한다.
판상메모리(1)의 케이스체(2)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이, 평면(2e)측에서 배면(2f)에 걸쳐, 다시 밑면(2b)측에 걸쳐서 라벨첩착부(9)가 설치되어 있다. 라벨첩착부(9)는, 케이스체(2)의 평면(2e)측에서 배면(2f)에 걸쳐서, 다시 밑면(2b)에 걸치는 부분에 오목형부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라벨첩착부(9)는 라벨(10)이 라벨첩착부(9)에 점착될 때, 라벨(10)이 케이스체(2)의 외주면에서 돌출하지 않거나, 혹은 일면으로 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라벨첩착부(9)의 평면(2e)측 부분은,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이, 케이스체(2)의 배면(2f)측에서 전면(2a)측의 근방까지 설치되어 있다. 라벨첩착부(9)에 점착되는 라벨(10)에는, 이 판상메모리(1)를 사용할 수 있는 기종명이나 판상메모리(1)에 기록되는 기록내용 등을 나타내는 표시가 실시된다.
상술한 것 같이 구성된 판상메모리(1)를 기록매체에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갖추고, 판상메모리(1)에 음성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것이다. 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합성수지를 형성한 상하 한쌍의 하우징 반체(12a, 12b)를 맞붙여서 결합한 장치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2)을 갖추고 있다.
하우징(12)의 평면(31)측에는, 도 3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하우징(12) 내에 설치된 액정표시체 등에 구성된 표시체(32)의 표시면(32a)을 외편으로 면하게하는 제 1창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창부(33)는, 하우징(12)의 전면(34)에서배면(35)에 걸쳐 긴쪽방향의 중앙부에서 전면(34)측에 위치하는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1창부(33)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합성수지판 등에 의해 덮여져 있다.
하우징(12)의 전면(34)측의 한쪽의 코너부 근방에는, 외부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로폰(36)이 설치되고, 하우징(12)의 평면(31)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메뉴선택버튼(37), 조작모드 등을 표시체(32)에 표시시키는 표시선택버튼(38), 기록 또는 재생모드를 정지하는 정지버튼(39),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에 기록된 기록내용을 소거하는 소거버튼(40)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2)의 평면(31)측에는, 도 3에 나타내는 것 같이, 스피커 유닛(45)이 설치되어 있다. 스피커 유닛(45)은, 하우징(12)의 전면(34)에서 배면(35)에 걸치는 긴쪽방향의 중앙부에서 배면(35)측에 위치하는 타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2)의 한쪽의 측면(49)측에는, 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선택조작부(52)는, 하우징(12)의 전면(34)에서 배면(35)에 걸치는 긴쪽방향의 중앙부에서 전면(34)에 위치하는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선택조작부(52)는, 하우징(12)내에 설치된 회동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도 3중 화살표 X1방향 및 화살표 X2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어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기록모드나 재생모드 등의 조작모드를 선택하고, 하우징(12)의 측면(49)에 직교하는 도 3중 화살표 Y1방향으로 가압조작됨으로써, 선택된 조작모드를 결정한다.
또, 선택조작부(52)가 설치된 하우징(12)의 한쪽의 측면(49)의 긴쪽방향의 중앙부에는, 선택된 조작모드를 고정하는 홀더버튼(5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측면(49)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기판메모리(1)에 음성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개시버튼(4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2)의 한쪽의 측면(49)측에는, 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를 배출하는 배출조작부(50)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조작부(5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하우징(12)의 전면(34)에서 배면(35)에 걸치는 긴쪽방향의 중앙부에서 배면(35)측에 위치하는 타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조작부(50)는, 판상메모리(1)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의 삽입방향인 도 3중 화살표 C1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 내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의 배출조작을 행한다.
하우징(12)의 배면(35)측에는, 도 3에 나타내는 것 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되는 판상메모리(1)를 삽탈하기 위한 메모리 삽탈구(55)가 설치되어 있다. 판상메모리(1)는, 단자부(3)가 설치된 전면(2a)측을 삽입단으로 하여, 하우징(12)의 배면(35)에서 전면(34)으로 향해 하우징(12)의 배면(31)과 평행하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 내에 삽입된다.
하우징(12)의 밑면(42)측에는, 도 4에 나타내는 것 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 내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의 평면(2e)측에 설치된 라벨첩착부(9) 혹은 이 라벨첩착부(9)에 첩착된 라벨(10)의 적어도 일부를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제 2창부(56)가 설치되어 있다. 제 2창부(56)는, 도 4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하우징(12)의 전면(34)에서 배면(35)에 걸친 긴쪽방향의 중앙부에서 배면(35)측에 위치하는 타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창부(56)는, 라벨(10) 등의 내용이 외부에서 눈에 띠지 않게 하도록 하기 위해, 명암색의 투시판(46)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 하우징(12)의 밑면(42)측에는, 도 4에 나타내는 것 같이, 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재생속도를 제어하는 재생속도 제어버튼(58), 마이크로폰의 감도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폰 제어버튼(59), 마이크로폰에서 입력되는 음량 또는 재생음량을 제어하는 음량 제어버튼(6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2)의 밑면(42)에서 타편의 측면(61)에 걸쳐서, 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지가 수납되는 전지수납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수납부(62)는, 개폐 가능한 전지덮개(63)에 의해 덮여져 있다.
그런데, 메모리 삽탈구(55)를 거쳐서 하우징(12)내에 삽입되는 판상메모리(1)는, 로딩장착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 내의 장착위치에 장착된다. 이 로딩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가 삽입 유지되는 홀더(13)와, 이 홀더(13)가 부착되는 섀시(14)를 구비하고, 홀더(3)가 섀시(14)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게 된다.
홀더(13)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14)는, 도 5에 나타내는 것 같이, 밑판(15)에 상대향하는 양측에 한 쌍의 제 1 및 제 2측벽(16, 17)이 상승 형성되고, 단면 ゴ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섀시(1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3)는, 도 5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를 지지하는 메모리 지지판(18)의 상대향 하는 양측에 한 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 유지부(19, 20)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13)의 상면측에 있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 유지부(19, 20) 사이는 개방되고, 이들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 사이에 삽입되는 판상메모리(1)의 평면(2e)에 설치한 라벨첩착부(9)를 외편에 면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홀더(13)의 개방된 일단측은, 이 홀더(13)에 장탈되는 판상메모리(1)의 삽탈구(21)로 된다. 홀더(13)의 삽탈구(21)가 설치된 일단측에 대향하는 타단측에는, 이 홀더(13)에 삽입되는 판상메모리(1)에 설치된 단자부(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22)가 부착되어 있다. 커넥터(22)는, 도 5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3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는 제 1접속단자(2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접속단자(23)는, 커넥터(22)의 내편 단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커넥터(22)에는, 홀더(13)측에 돌출하도록 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내에 설치되는 신호처리회로와 판상메모리(1) 내의 메모리와의 사이에서 판상메모리(1)에 기록되거나, 혹은 판상메모리(1)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로 이루는 제 2접속단자(24)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22)의 상면측에는, 홀더(13)측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커넥터(22)의 외면에 면하는 제 2접속단자(24)를 덮는 덮개판(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판(25)은, 홀더(13)가 하우징(12) 내에 설치되었을 때, 하우징(12)의 밑면(42) 측에 설치된 제 2창부(56)를 거쳐서 외편에 면하게 된다. 덮개판(25)의 표면에는, 홀더(13)에 삽입되는 판상메모리(1)의 삽입방향이나, 판상메모리(1)의 장착 유무를 나타내는 표시부(26)가 인쇄나 각인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것 같이 구성된 홀더(13)는, 섀시(14)의 밑판(15) 상에 재치하도록 하여, 도 6 중 화살표 B방향 및 반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홀더(13)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 가이드축을 섀시(14)측에 설치한 이동 가이드구멍에 결합 지지함으로써 섀시(14)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밑판(15)상을 도 6 중 화살표 B방향 및 반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홀더(13)와 섀시(14)와의 사이에는, 토글스프링(27)이 부착되어 있다. 홀더(13)는, 판상메모리(1)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판상메모리(1)가 홀더(13)에 삽입되고, 도 6 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홀더(13)가 섀시(14)의 도중위치까지 이동되면, 토글스프링(27)의 가세방향이 반전함으로써, 토글스프링(27)의 가세력을 받아서 도 6 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다시 이동되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 내의 소정의 메모리 장작위치로 이동된다.
또, 홀더(13)는, 장착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 6 중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고, 섀시(14)의 도중위치까지 이동되면, 토글스프링(27)의 가세방향이 반전함으로써, 토글스프링(27)의 가세력을 받아서 도 6 중 화살표 B방향으로 다시 이동되어 판상메모리(1)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삽탈위치로 이동된다.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고,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 내의 메모리 장착위치로 이동된 홀더(13)는, 섀시(14)의 한쪽의 측벽(16) 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배출부재(28)가 도 6 중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 조작됨으로써, 도 6 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 삽탈위치로 이동된다. 배출부재(28)는, 판상메모리(1)를 홀더(13)에 삽입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어서 홀더(13)에 삽입 유지된 판상메모리(1)의 배출조작을 행하는 것이므로, 판상메모리(1)의 배출조작의 조작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재(28)는, 배출부재(28)와 섀시(14)의 한쪽의 측벽(16)과의 사이에 펼쳐 설치된 인장스프링(30)을 가세력을 받아서 도 6 중 반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 가세되어 있다.
섀시(14)의 홀더(13)의 삽탈구(21)가 면하는 일단측에는, 삽탈구(21)를 개페하는 덮개체(29)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덮개체(29)는, 도시하지 않은 가세부재에 의해 상시 삽탈구(21)를 페색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다. 또, 덮개체(29)는, 배출부재(28)의 도 6 중 화살표 B방향에의 이동조작에 연동하여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삽탈구(2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조작된다.
판상메모리(1)는, 단자부(3)가 부착된 전면(2a)측을 삽입단으로 하고, 평면(2e)측을 상방으로 향해서 홀더(13)에 삽입된다. 따라서, 판상메모리(1)는, 홀더(13)에 삽입되었을 때, 평면(2e)에 설치한 라벨첩착부(9)가, 한 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 유지부(19, 20)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거쳐서 외편에 면한다.
상술한 것 같이 섀시(14) 상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홀더(13)는, 삽탈구(21)를 하우징(12)의 배면(35)에 설치한 메모리 삽탈구(55)에 대향시켜서 하우징(12) 내에 설치된다. 이때, 홀더(13)는, 상면측의 한 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 유지부(19, 20)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하우징(12)의 밑면(42)측에 위치하게 하여 하우징(12) 내에 설치된다. 홀더(13)는, 상면측의 개방된 부분을 하우징(12)의 밑면(42) 측에 대향시켜서 하우징(12) 내에 설치함으로써, 이 개방된 부분이 하우징(12)에 설치한 제 2창부(56)를 거쳐서 하우징(12)의 외편에 면하고, 홀더(13)에 삽입된 판상메모리(1)도 제 2창부(56)를 거쳐서 외편에 면한다.
제 2창부(56)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것 같이, 홀더(13)의 상면측의 한 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 유지부(19, 20)사이의 개방된 부분 및 커넥터(22)의 제 2접속단자(24)를 덮는 덮개판(25)을 하우징(12)의 외편에 면하게 하도록 장척의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창부(56)가 형성됨으로써,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것 같이, 홀더(13)에 삽입된 판상메모리(1)의 평면(2e)측에 설치된 라벨첩착부(9)가 제 2창부(56)를 거쳐서 외편에 면하고, 사용자는 라벨첩착부(9)에 접착된 라벨(10)에 실시된 표시를 하우징(12)의 외부에서 눈으로 볼 수 있고, 판상메모리(1)가 기록 및/또는 재상장치(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된 판상메모리(1)의 종류나, 판상메모리(1)에 기록된 정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덮개판(25)에 실시된 표시부(26)도, 제 2창부(56)를 거쳐서 외편에 면하는 사용자는 하우징(12)의 외부에서 표시부(26)를 눈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덮개판(25)은, 홀더(13)와 함께 이동하는 커넥터(2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판상메모리(1)의 삽탈에 관련하여 홀더(13)와 함께 제 2창부(56) 내를 이동한다. 그래서, 제 2창부(56)의 크기를 홀더(3)가 이동위치에 따라서덮개판(25)의 제 2창부(56)에 대향하는 양이 변화하는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덮개판(25)에 실시되는 표시부(26)의 제 2창부(56)에 면하는 상태를 가변할 수 있다. 이 표시부(26)에 의해, 홀더(13)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된 상태에 있는지, 판상메모리(1)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즉, 홀더(13)가, 도 7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12)의 배면(35)측에 설치한 메모리 삽탈구(55)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을 때, 예를 들면 덮개판(25)에 설치한 삽입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구성한 표시부(26)의 전체가 하우징(12)의 외편에 면한다. 홀더(13)가 도 8에 나타내는 것 같이 이 홀더(13)에 삽입 유지된 판상메모리(1)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 내의 장착위치에 장착시키는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표시부(26)를 구성하는 화살표의 화살부분이 덮혀지는 크기로 제 2창부(56)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홀더(13)에 대한 판상메모리(1)의 삽입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홀더(13)는, 상면측의 한 쌍의 제 1 및 제 2메모리유지부(19, 20)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제 2창부(56)에 대향하도록 하여 하우징(12) 내에 설치된다. 제 1측벽(16)측에 부착된 배출부재(28)는, 하우징(12)의 한쪽의 측면(49)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배출부재(28)에 부착된 조작자(28a)가, 하우징(12)의 한쪽의 측면(49)측에 돌출하고, 도 3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한쪽의 측면(49)에 따라서 도 3 중 화살표 C1방향 및 반화살표 C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배출조작부(50)에 결합된다. 배출조작부(50)가 판상메모리(1)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 내에삽입하는 도 3 중 화살표 C1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면, 홀더(1)에 삽입 유지된 판상메모리(1)가 기록/또는 재생장치(11)의 외편에 돌출되어서 배출조작이 행해진다.
상술한 것 같이, 조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52)가 하우징(12)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배출조작부(50)가 하우징(12)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를 도 9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한쪽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선택조작부(5)에 손가락을 향하게 하면, 배출조작부(50)가 손가락에 의해 조작하기 어려운 위치에 놓여서, 사용자가 배출조작부(50)를 조작하도록 손가락을 위치시키면, 선택조작부(52)가 손가락에 의해 조작하기 어려운 위치에 놓여지므로, 사용자가 기록 또는 재생 중에 잘못하여 배출조작부(50)를 조작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를 배출하게 되는 오조작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조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작부(52)는, 구체적으로는 도 10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것 같은 회동가압형 스위치(7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 같이, 상부 개구(71a)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웨이퍼(71)와, 이 웨이퍼(71)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72)와, 이 조작체(72)의 하면에 고정된 도전성 탄성판으로 이루는 접동자(73)와, 중앙의 권회부(74a)의 양단에서 한 쌍의 가로대부(74b, 74c)가 돌출하는 비트러진 코일스프링(74)과, 웨이퍼(71) 내에 배치된 클릭판(75)과, 웨이퍼(71)의 상부개구(71a)를 덮는 덮개부재(76)로 구성되어 있다.
웨이퍼(71)는, 도 15에 나타내는 것 같이, 대략 원형의 저부(77)와, 이 저부(77)의 주위에 전주위에 걸쳐서 형성된 주위벽(78)으로 이룬다. 주위벽(78)에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한 쌍의 가로대부(74b, 74c)가 걸리는 한 쌍의 결합단부(78a, 78b)가 형성되어 있다. 저부(77)의 중앙에는, 조작체(72)를 축기지하는 지지축(79)이 입설되어 있다. 지지축(79)에는, 조작체(72)가 가압조작되었을 때의 가압력을 받는 평면부(79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저부(77)에는, 조작체(72)의 회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회동 검출용의 제 1 및 제 2고정접점(80, 81)과, 조작체(72)의 가압조작을 검출하는 제 3고정접점(82)과, 지지축(79)을 끼워서 제 3고정접점(82)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GND에 접속된 공통접점(8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내지 제 3고정접점(80 - 82)은, 각각 주위벽(78)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제 1 내지 제 3의 외부출력단자(80a - 8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공통접점(83)도, 주위벽(78)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외부단자(8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주위벽(78)은, 지지축(79)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이 원호상 부분에는, 조작체(72)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단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단부(84)는, 조작체(72)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으로, 중앙부분에는, 조작체(72)가 가압조작되었을 때 이동하는 조작체(72)의 가이드를 행하는 가이드 오목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주위벽(78)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하우징(1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웨이퍼(71)에 설치되는 조작체(72)는,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도 13에 나타내는 것 같이, 웨이퍼(71) 내에 배치되는 기초부(87)와, 웨이퍼(71)에서 돌출하는 조작부(88)와, 이들 기초부(87)와 조작부(88)를 연결하는 연결부(89)로 이루고, 연결부(89)는 웨이퍼(71)의 규제단부(84)에 결합되어 있다. 기초부(87)의 중앙에는, 원통형의 보스(91)가 세워 부착되어 있고, 이 보스(91)에 형성된 삽통구멍(90)은, 조작체(72)의 가압방향을 긴쪽방향으로 하여 형성되고, 지지축(79)이 삽통된다. 또, 삽통구멍(90)의 주위에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을 설치하기 위한 환상홈(8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상홈(87a)에는, 각각 경사 진 상방향으로 향해서 한 쌍의 결합홈(92, 9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 같이,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권회부(74a)는, 보스(91)에 끼워 맞춰져서 환상홈(87a) 내에 설치되고, 양 가로대부(74a, 74c)는 결합홈(92, 93)에 결합되고, 또한 웨이퍼(71)의 결합단부(78a, 78b)에 걸린다. 또한, 삽통구멍(90)의 평면부(79a)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이 삽통구멍(90)의 긴쪽방향에 대해서 수직힌 평면부(90a)가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90a)는, 도 10에 나타내는 것 같이, 비조작시에는 평면부(79a)와 이간한 상태에 있고, 회동 조작되었을 때, 도 11에 나타내는 것 같이, 평면부(79a)와 위치가 엇갈린 상태에 있고, 가압조작되었을 때, 도 12에 나타내는 것 같이, 평면부(79a)가 당접된다.
조작부(88)는, 기초부(97)를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이 조작부(88)의 중앙의 내측에는, 가이드 오목부(85)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9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조작체(72)의 회동조작시에, 이 가이드 돌기(94)는, 가이드 오목부(85)와 비결합 상태에 있고, 웨이퍼(71)의 규제단부(84)의 외측을 이동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조작체(2)의 센터위치에서의 가압조작시에, 가이드 돌기(94)는, 웨이퍼(71)의 가이드 오목부(85)에 가이드 되어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은 조작체(72)에 부착되는 접동자(摺動子)(73)는, 도전성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기초부(87)의 하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95, 96)와, 이들 부착부(95, 96)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접접부(97, 98)를 가지고 있다. 각 접접부(97, 98)에는, 돌출하여 제 1 및 제 2 가동접점(97a, 98a)이 형성되고, 제 2가동접점(98a)은, 공통접점(83)과 상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 1가동접점(97a), 조작체(72)가 가압조작 또는 회동조작되는 것에서, 선택적으로 제 1 내지 제 3고정접점(80 - 82)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조작체(72)가 부착된 웨이퍼(71)에는, 상부개구(71a)를 폐색하도록 덮개부재(76)가 부착되어 있다. 이 덮개부재(76)에는, 이 덮개부재(76)를 웨이퍼(71)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걸림부(99)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76)는, 이들 걸림부(99)를 웨이퍼(71)의 주위벽(78)에 따라서 삽입하고, 웨이퍼(71)의 하면에 걸리게 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것 같이, 웨이퍼(71)의 상부개구(71a)를 폐색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회동가압형 스위치(70)의 조작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조작체(72)가 가압조작되었을 때, 한쪽으로 회동 조작되었을 때와, 다른 쪽으로 회동 조작되었을 때의, 즉 3개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 같이, 비사용시에는, 조작체(72)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양 가로대부(74b, 74c)가 웨이퍼(71)의 결합단부(78a, 78b)에각각 걸려서, 권회부(74a)가 조작체(72)의 보스(91)에 감겨져 있기 때문에,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에 의해 센터위치로의 가세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때, 조작체(72)의 가이드 돌기(94)는, 웨이퍼(71)의 가이드 오목부(85)와 비결합상태에 있고, 또 조작체(72)의 삽통구멍(90)의 평면부(90a)와 지지축(79)의 평면부(79a)가 이간한 상태에 있다. 또, 접동자(73)의 제 2가동접점(98a)은, 공통접점(83)에 상시 접촉되어 있으나, 제 1가동접점(97a)은 제 1 내지 제 3고정접점(80 - 82)의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따라서,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어떤 전기신호도 출력하지 않는 오프상태에 있다.
이상과 같이 어떤 전기신호도 출력하지 않는 상태를 기본상태로 하고, 이 기판상태에서 조작체(7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것 같이, 조작체(72)에 연동하여 접동자(73)도 지지축(79)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접동자(73)의 제 1가동접점(97a)이 회동검출용의 제 2고정접점(81)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제 2외부단자(81a)에서, 제 1전기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이때,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한 쪽의 가로대부(74b)는, 웨이퍼(71)의 결합단부(78a)에 걸리고, 다른 쪽의 가로대부(74c)는, 조작체(72)의 결합홈(93)의 단부에 의해 회동방향으로 가압되어서 결합단부(78b)에서 이간된 상태에 있다. 즉,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은, 가로대부(74b, 74c)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조작체(2)에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88)를 떼면, 조작체(72)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가세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센터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제 1가동접점(97a)이 회동검출용의 제 2고정접점(81)에서 떨어지고, 전기적으로 절단되는 것에서,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로 복귀하여, 오프의 상태로 된다. 또한, 조작체(72)의 회동조작 중에, 가이드돌기(94)는, 가이드 오목부(85)에서 떨러져서, 규제단부(84)의 외측을 이동한다. 따라서,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조작체(72)의 회동조작시에 잘못하여 조작체(72)에 가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가이드돌기(94)가 규제단부(84)에 당접하는 것에서, 조작체(72)의 가압력이 규제되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동일하게, 조작체(7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 조작된 경우, 접동자(73)의 제 2가동접점(98a)은, 공통접점(83)에 상시 접촉하고 있고, 제 1가동접점(97a)은, 회동검출용의 제 1고정접점(80)에 접촉하여 공통접점(83a)과 도통한다. 이것에 의해,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온상태로 되며, 제 1외부단자(80a)에서 제 2전기신호를 출력한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조작체(2)가 가압조작되는 경우, 조작부(88)를 웨이퍼(1)의 방향으로 가압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것 같이, 조작체(72) 및 접동자(73)는, 삽통구멍(90)의 가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클릭판(75)이 기초부(87)에 가압되어서 좌굴변형하기 때문에, 클릭감이 생기게 된다. 이와 함께, 접동자(73)의 제 1가동접점(97a)은, 제 3고정접점(8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온의 상태로 되고, 제 3외부단자(82a)를 거쳐서, 제 3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은, 양 가로대부(74b, 74c)가 웨이퍼(71)의 결합단부(78a, 78b)에 걸려 있으나, 권회부(74a)가 조작체(72)의 보스(91)에 의해 가압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들 가로대부(74b, 74c)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압축되고, 조작체(72)를 센터위치로 가세한다. 사용자가 조작부(88)를 떼면, 조작체(72)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74)의 가세력으로 상승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센터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가동접점(97a)은, 가압검출용의 고정접점(82)에서 떨어지고,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재차 오프상태로 된다. 또한, 회동가압형 스위치(70)는, 조작체(72)의 가압조작중에, 가이드돌기(94)가 가이드 오목부(85)에 가이드되어서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체(72)의 가압조작시에 잘못하여 회동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가이드돌기(94)가 가이드 오목부(85)의 벽면에 당접하여 조작체(2)의 회동을 금지하는 것에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조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작부(52)는, 이상과 같이 회동가압형 스위치(70)에 의해 구성되고, 도 7에 나타내는 것 같이, 조작체(72)가 도 7중 화살표 X1방향 또는 화살표 X2방향으로 회동조작되고, 또 도 7중 화살표 Y1방향으로 가압 조작되는 것에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조작모드가 선택되어, 결정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회동가압형 스위치(70)에 의해 구성되는 선택 조작부(52)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에 음성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도 3에 나타내는 기록개시버튼(48)을 가압 조작하는 것에서, 마이크로폰(36)으로 집음된 음성데이터가 장착된 판상메모리(1)에 기록된다. 기록개시버튼(48)이 재차 가압되면 기록동작은 정지된다. 판상메모리(1)에 기록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선택조작부(52)를 도 3 중 화살표 X1방향 또는 화살표 X2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서, 소망의 음성데이터가 기록된 폴더의 용건번호를 선택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선택조작부(52)를 도 3 중 화살표 Y1방향으로 가압 조작되는 것에서, 선택된 폴더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 음성데이터의 재생 중에 선택조작부(52)가 도 3중 화살표 X1방향으로 회동되면 현재 재생 중의 음성데이터의 두출이 행해지고, 도 3중 화살표 X2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현재 재생 중의 음성데이터의 다음 음성데이터가 재생된다. 또, 선택조작부(52)가 단속하여 도 3 중 화살표 X1방향으로 회동되면, 회동된 회동각도 만큼, 앞의 조건으로 복귀할 수 있고, 단속하여 도 3 중 화살표 X2방향으로 회동되면, 회동각도 만큼, 다음 용건으로 진행할 수 있다.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도 3에 나타내는 메뉴선택버튼(37)이 가압되면, 표시체(32)의 표시면(32a)에 조작메뉴의 일람(一覽)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메뉴선택버튼(37)이 가압조작되었을 때, 표시체(32)의 표시면(32a)에는, 표시되는 문자를 영어와 일본어로 전환하는 언어 선택기능, 기억매체가 되는 판상메모리(1)의 포맷을 행하는 기능,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비프전환기능, 판상메모리(1)로의 기록가능시간을 장시간 모드(예를 들면, 120분)와 단시간 모드(예를 들면, 60분)로 전환하기 위한 녹음시간 전환기능 등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기능의 일람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선택조작부(52)를 도 3 중 화살표 X1방향 또는 화살표 X2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서, 표시면(32a)에 표시된 조작메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이어서, 도 3 중 화살표 Y1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서, 선택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하나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시 선택조작부(52)를 도 3중 화살표 X1방향 또는 화살표 X2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서, 예를 들면 선택한 동작의 온, 오프를 선택하고, 이어서 도 3 중 화살표 Y1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서, 온, 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선택버튼(37)을 가압하고, 표시면(32a)에 표시된 조작메뉴 중에서 선택조작부(52)를 도 3 중 화살표 X1방향 또는 화살표 X2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서, 녹음시간 전환기능을 선택하고, 도 3중 화살표 Y1방향으로 가압하면, 표시면(32a)에는 장시간 모드와 단시간 모드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다시 선택조작부(52)를 도 3 중 화살표 X1방향 또는 화살표 X2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서, 장시간 모드와 단시간 모드의 어느 것을 선택하고, 도 3중 화살표 Y1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서 선택한 기록시간을 설정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회동가압형 스위치(70)에 의해 구성되는 선택조작부(52)는, 3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조작버튼으로 많은 기능을 전환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손바닥 크기까지 소형화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와 같은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조작버튼을 설치하는 공간도 적기때문에, 회동가압형 스위치(70)에 의해 구성되는 선택조작부(52)를 설치하는 것은 유효하다.
그런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이용되는 판상메모리(1)의 하우징(12) 내에 부착되는 로딩장치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로딩장치(120)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하우징(12)에 부착되는 섀시(14)와, 이 섀시(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판상메모리(1)를 유지하는 홀더(13)를 갖춘다.
섀시(14)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것 같이, 금속판을 구멍을 뚫어 절곡하여 형성되고, 대략 직사각 형태의 밑판(15)과, 이 밑판(15)의 긴쪽반향이 양측에 서로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상승 형성된 제 1 및 제 2측벽(16, 17)을 갖추고, 전체가 단면 대략 ゴ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13)는, 밑판(15)과 제 1 및 제 2측벽(16, 17)에 둘러싸이는 영역에, 판상메모리(1)의 삽입방향과 같은 도 16 및 도 17의 화살표 B 및 반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홀더(13)가 설치되는 밑판(15)은, 긴쪽방향의 길이가 판상메모리(1)의 긴쪽 방향의 길이와 거의 같은 대략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측에 홀더(13)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구멍(129, 129)이 홀더(13)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구멍(129, 129)은, 홀더(13)의 밑면에 돌출한 가이드돌기가 결합되고, 홀더(13)의 이동영역을 규제하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측벽(16, 17)에도, 홀더(13)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영역을 규제하는 가이드구멍(130, 130)이 홀더(13)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밑판(15)의 판상메모리(1)의 삽입측이 되는 전면측에는, 도 16 및 도 17 중 화살표 B방향에 슬라이드 한 홀더(13)를 같은 도면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회동암(131)이 부착되어 있다. 이 회동암(131)은, 중간쯤이 밑판(15)에 설치된 지지축(132)에 축지지되고, 이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도 16 및 도 17 중 화살표 C 및 반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회동암(131)은, 제 1 및 제 2측벽(16, 17)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가지며, 제 1측벽(16) 측의 일단부에, 홀더(13)를 도 16 및 도 17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33)가 형성되고, 제 2측벽(17) 측의 타단부에, 배출부재(28)의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134)가 형성되어서 이룬다. 회동암(131)의 일단부에 형성된 가압부(133)는, 밑판(15)에 형성된 개구부(135)에서 바깥쪽으로 면하여 있다. 또, 타단부에 형성된 피가압부(134)는, 배출부재(28)와의 접속을 도모하기 위해, 섀시(14)의 밑판(15)과 제 2측벽(17)에 걸쳐서 형성된 개구부(136)에서 바깥쪽으로 면해 있다.
회동암(131)은, 배출부재(28)의 조작자(28a)에 의해 피가압부(134)가 도 16 및 도 17중 화살표 C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서,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같은 도면 중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고, 타단측의 가압부(133)를 섀시(14)의 전면측에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섀시(14)의 배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홀더(13)는,섀시(14)의 전면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133)에 가압되어서, 섀시(14)의 전면측, 즉 도 16 및 도 17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또한, 밑판(15)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의 하우징(12)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부착구멍(137)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섀시(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홀더(13)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것 같이, 섀시(14)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홀더(13)는, 메모리 지지판(18)의 전면측 양측에 판상메모리(1)를 유지하는 제 1 및 제 2메모리 유지부(19, 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홀더(13)는, 메모리 지지판(18)의 전면측 양측에 판상메모리(1)를 유지하는 제 1 및 제 2메모리 유지부(19, 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메모리 유지부(19, 20)는, 메모리 지지판(18)의 양측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판상메모리(1)와 두께만큼의 높이를 가지는 서로 대략 평행한 측벽(144, 146)과, 이들 측벽(144, 145)의 선단측을 메모리 지지판(18)과 평행하게 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된 지지편(146, 147)으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13)의 전면 측에는 제 1 및 제 2메모리 유지부(19, 20)와 메모리 지지판(18)으로 구성되는 판상메모리(1)를 삽탈하기 위한 삽탈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메모리 유지부(19)와 제 2메모리 유지부(20)와의 사이는 개방되어 있고, 제 1 및 제 2메모리 유지부(19, 20)가 판상메모리(1)를 유지하였을 때, 사용자는 라벨첩착부(9)에 첩착된 라벨(10)을 하우징(12)의 제 2창부(56)를 통해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홀더(13)의 배면 측에는, 판상메모리(1)의 삽입단에 설치된 전극(3b)이접속되는 커넥터가 부착되는 커넥터 부착부(1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부착부(148)는, 메모리 지지판(18)의 전면측을 제외한 측연에 형성된 커넥터의 부착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벽(149a, 149b, 149c)과 메모리 지지판(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벽(149a, 149b, 149c)의 선단에는, 커넥터 부착부(148)에 커넥터를 걸리게 하기 위한 커넥터 걸림편(15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 부착부(148)를 구성하는 메모리 지지판(18)에는, 커넥터를 위치 결정하여 부착하기 위한 위치 결정구멍(150, 1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부착부(148)에 부착되는 커넥터(22)는, 도 16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의 전극(3b)과의 접속을 도모하기 위한 단자판(153)과, 이 단자판(153)에 부착되는 단면 대략 ゴ자형의 커버(1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커넥터(22)는, 단자판(153)에 커버(154)가 부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판상메모리(1)의 전면측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전면측에 단자부(3)가 형성된 판상메모리(1)의 전면이 삽입되는 삽입구(15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154)에는, 한쪽의 측벽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었을 때,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 오목부(7)에 결합되는 탈락방지편을 구성하는 탄성 결합편(160)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 결합편(160)은,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 오목부(7)에 결합되는 것에서, 판상메모리(1)를 홀더(13)내에 유지하고, 로딩장치(120)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 오목부(7)에 결합할 때, 탄성변위하는 것에서, 이용자에게 클릭감을 부여하여, 이용자에게 판상메모리(1)가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인식시킨다. 또, 이 탄성 결합편(160)은,판상메모리(1)가 정규한 상태로 삽입되지 않았을 때, 판상메모리(1)가 홀더(13) 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삽입 방지편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커넥터(22)는, 커버(154)의 배면벽에 판상메모리(1)의 배면에 설치한 절결부(4) 및 오삽입 방지홈(5)에 결합하는 탈락방지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커넥터(22)의 밑면을 구성하는 단자판(153)에는,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접속단자(23)와, 신호처리회로 등의 전기회로가 짜 넣어진 프린트 배선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기판이 접속되는 제 2접속단자(2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접속단자(23)는,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를 구성하는 전극(3b)의 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접속단자(23)는, 대략 L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이 절곡부가 상편으로 돌출하고, 판상메모리(1)의 전극(3b)에 가압되어서 탄성변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접속단자(23)는,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었을 때,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의 개방측에서 진입하고, 전극(3b)에 가압상태로 접촉하는 것에서, 전극(3b)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제 2접속단자(24)에는, 신호처리회로 등의 전기회로가 짜 넣어진 프린트 배선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기판이 접속된다. 즉, 제 1접속단자(23)에 단자부(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판상메모리(1)는, 제 2접속단자(24)와 하우징(12)에 설치되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기판을 거쳐서, 프린트 배선기판에 설치된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또, 제 2접속단자(24)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기판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입구(155)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은,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와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은 제 1접속단자(23)와 제 2접속단자(24)가 설치되는 커넥터(22)를 구성하는 단자판(153)의 이면 측에는, 홀더(13)의 메모리 지지판(18)에 구성된 커넥터 부착부(148)에 위치결정하여 부착하기 위한 위치결정 돌기(158, 158)가 설치된다.
케넥터(22)를 구성하는 커버(154)의 천정판에는, 상술한 덮개판(25)이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다. 덮개판(25)은, 단자판(153)에 설치된 제 2접속단자(24)를 덮는 것같이 커버(154)의 천정판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덮개판(25)은, 로딩장치(120)가 하우징(12)에 부착되었을 때, 하우징(12)의 제 2창부(56)를 거쳐서 외부에 면하게 된다. 즉, 이 덮개판(25)은, 제 2접속단자(24)를 숨길 수 있을 정도로, 또한 제 1 및 제 2 메모리 유지부(19, 20)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었을 때, 라벨첩착부(9)에 첩착된 라벨(10)을 숨기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 덮개판(25)의 표면에는, 홀더(13)에 삽입되는 판상메모리(1)의 삽입방향이나, 판상메모리(1)의 장치의 유무를 나타내는 표시부(26)가 인쇄나 각인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단자판(153)에 커버(154)가 부착된 커넥터(22)는, 메모리 지지판(18)의 커넥터 부착부(148)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50, 150)에 단자판(153)의 위치결정돌기(158, 158)가 결합되고, 커넥터 부착부(148)를 구성하는 규제벽(149a, 149b, 149c)의 선단부에 형성된 커넥터 걸림편(151)이 절곡되어 커넥터(22)가 걸리는 것에서, 커넥터 부착부(148)에 부착된다. 또한, 단자판(153)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158, 158)는, 메모리 지지판(18)의 위치결정구멍(150, 150)을 삽통하고, 홀더(13)의 메모리 지지판(18)에 의해 돌출하고, 이 돌출한 부분이 섀시(14)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29, 129)에 결합하는 것에서, 홀더(13)가 섀시(14)에 대해서 이동할 때의 가이드 돌기로서도 기능 한다.
또한, 홀더(13)의 측벽(144, 145)과 평행한 커넥터 부착부(148)를 구성하는 규제판(149a, 149b)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것 같이, 외측의 면에 섀시(14)의 제 1 및 제 2측벽(16, 17)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30, 130)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59, 159)가 설치되어 있다. 또, 홀더(13)의 메모리 지지판(18)에는, 홀더(13)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가이드돌기(17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구멍(17)에는, 섀시(14)의 밑판(15)에 부착된 회동암(131)의 지지축(132)이 결합된다. 즉, 이 지지축(132)도, 홀더(13)가 섀시(14)에 대해서 이동할 때의 가이드돌기로서도 기능한다.
홀더(13)의 제 2메모리 유지부(20)를 구성하는 측벽(145)에는, 도 16,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것 같이, 섀시(14)에 대한 홀더(1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161)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규제부재(161)는, 기단측에, 축구멍(162)이 형성되고, 홀더(13)의 측벽(145)에 세워진 지지축(162a)에 삽통되는 것에서, 도 18중 화살표 D 및 반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규제부재(161)는, 선단측에 판상메모리(1)가 홀더(13)에 삽입되었을 때,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부(163)는, 홀더(13)에 유지된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에 결합되도록, 홀더(13)의 메모리 지지판(18) 및 측벽(145)에 걸쳐서 형성된 개구부(164)에 의해 홀더(13) 내에 면하게 된다. 또, 규제부재(161)의 결합돌기부(163)의 다른 선단측에는, 메모리 지지판(18) 및 측벽(145)에 형성된 개구부(164)의 가장자리의 이면측에 걸리게 되고, 규제부재(161)의 도 18 중 화살표 D방향의 회동영역을 규제하는 걸림부(1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165)의 근방에는, 홀더(13)가 섀시(14)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었을 때, 섀시(14)의 밑판(15)의 개구부(136)의 근방에 설치된 결합돌기(166)에 결합되는 규제구멍(166)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구멍(166)은 섀시(14)에 형성된 결합돌기(170)에 결합하는 것에서,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서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로 슬라이드 하는 것을 금지한다. 즉,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될 때, 홀더(13)가 규제부재(161)에 의해 삽탈위치에 록되어 있는 것에서,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가 제 1접속단자(23)에 확실히 접속된다.
상술과 같은 규제부재(161)는, 가세부재인 토션스프링(167)에 의해 홀더(13)의 내편측인 도 18중 화살표 D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67)은, 기체부(167a)가 홀더(13)의 측벽(145)에 세워진 지지축(162a)에 규제부재(161)의 상측에서 끼워 맞춰진다. 또한 토션스프링(167)의 한쪽의 가로대부(167b)가 홀더(13)의 측벽(145)에 형성된 걸림편(168)에 걸리게 되고, 다른 쪽의 가로대부(167c)가 규제부재(161)에 형성된 걸림편(169)에 걸린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토션스프링(167)은, 규제부재(161)를 도 18중 화살표 D방향으로 가세하고있다. 규제부재(161)는, 선단부의 걸림부(165)를 개구부(164)의 근방의 메모리 지지판(18)의 이면 측에 걸리게 시키고, 결합돌기부(163)를 개구부(164)에서 홀더(13)내로 면하게 한 상태로 측벽(145)에 부착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는 홀더(13)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것 같이, 커넥터부착부(148)를 구성하는 규제판(149a, 149b)에 설치된 가이드돌기(159, 159)가 섀시(14)의 가이드구멍(130, 130)에 결합하고, 커넥터부착부(148)에 부착된 단자판(153)의 위치결정돌기(158, 158)가 섀시(14)의 가이드구멍(129, 129)에 결합한다. 또한, 홀더(13)는, 섀시(14)측의 회동암(131)의 지지축(132)이 홀더(13)의 메모리 지지판(18)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71)에 결합됨으로써, 섀시(14)의 제 1 및 제 2측벽(16, 17)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홀더(13)는, 판상메모리(1)의 삽탈이 행해지는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와, 판상메모리(1) 내의 반도체메모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걸쳐서 슬라이드 된다. 여기서, 삽탈위치란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며, 장착위치란 상술한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이다. 홀더(13)가 삽탈위치에 있을 때, 판상메모리(1)의 삽탈이 행해지고, 홀더(13)가 장착위치에 있을 때, 판상메모리(1) 내의 반도체메모리에 대해서 정보신호의 기입 또는 독출이 행해진다.
섀시(14)와 홀더(13)와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것 같이, 가세부재인 토션스프링(27)에 의해 접속된다. 이 토션스프링(27)은, 선상부재가 감겨져서 이루는 코일부(174)와, 코일부(174)에서 한편의 측으로 연장한 제 1가로대부(175)와, 코일부(174)에서 타편 측으로 연장한 제 2가로대부(17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가로대부(175)의 선단부에는, 섀시(14) 측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175a)가 형성되고, 제 2가로대부(176)의 선단부에는, 홀더(13)측에 결합되는 제 2결합부(176a)가 형성되어 있다. 제 1결합부(175a)는, 섀시(14)를 구성하는 밑판(15)의 이면측에 설치된 제 1결합돌기(177)에 결합되고, 제 2결합부(176a)는, 홀더(13)를 구성하는 메모리 지지판(18)의 이면측에 설치된 제 2결합돌기(178)에 결합된다.
상술과 같이 섀시(14)와 홀더(13)를 접속한 토션스프링(27)은,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으로 이동한 삽탈 위치에 있을 때, 도 16 및 도 17 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상태에 있다. 홀더(13)가 섀시(14)에 대해서 도 16 및 도 17 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면, 토션스프링(27)은 홀더(3)를 도 16 및 도 17중 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2상태로 반전하고, 홀더(13)를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슬라이드 시킨다. 또, 홀더(13)가 장착위치에 있을 때, 섀시(14)의 밑판(15)에 부착된 회동암(131)이 도 17 중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되면, 회동암(131)의 일단에 형성된 가압부(133)는, 홀더(13)의 제 2결합돌기(178)를 가압한다. 제 2상태에 있는 토션스프링(27)은, 회동암(131)의 가압부(133)가 홀더(13)의 제 2결합돌기(178)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홀더(13)가 도 17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도 17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홀더(13)를 가세하는 제 1상태로 반전하고, 홀더(13)를 삽탈위치로 이동시킨다.
상술과 같이 홀더(1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섀시(14)에는, 홀더(13)의 전면측에 형성된 판상메모리(1)의 삽탈구(21)와 섀시(14)의 전면을 개폐하는 덮개체(29)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덮개체(29)는, 도 16, 도 17,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것 같이, 삽탈구(21) 및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폐색판(182)과, 이 폐색판(182)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회동 지지암(183, 184)을 갖춘다.
폐색판(182)은, 홀더(13)의 삽탈구(21) 및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제 1폐색부(185)와, 섀시(14)의 밑판(15)의 전면에 형성된 절결부(180)에 끼워 맞추는 제 2폐색부(186)로 이루어진다.
섀시(14)의 제 1측벽(16) 측에 위치하는 제 1회동지지암(183)은, 도 19에 나타내는 것 같이, 선단측에, 덮개체(29)를 회동지지하기 위한 제 1지지구멍(18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지지구멍(187)은, 섀시(14)의 제 1측벽(16)의 전면측에 설치된 제 1지지축(188)에 결합된다. 덮개체(29)는, 제 1회동 지지암(183)측에서, 가세부재인 토션스프링(189)에 의해 삽탈구(21)를 폐색하는 도 20중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89)은, 기체부(189a)가 섀시(14)의 제 1측벽(16)에 형성된 걸합편(191)에 결합된다. 또한, 토션스프링(189)은, 한편의 가로대부(189b)가 제 1이동 지지암(183)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92)에 걸리게 되고, 타편의 가로대부(189c)가 제 1측벽(16)에 형성된 걸림부(193)에 걸리는 것에서, 덮개체(29)를 도 20중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가세하고 있다.
섀시(14)의 제 2측벽(17) 측에 위치하는 제 2회동 지지암(184)은, 도 20에 나타내는 것 같이, 선단측에 제 1지지구멍(187)과 함께 덮개체(29)를 회동지지하기위한 제 2지지구멍(19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지지구멍(194)은, 섀시(14)의 제 2측벽(17)의 전면측에 설치된 제 2지지축(195)에 결합된다. 제 2회동 지지암(184)의 선단부에는, 배출부재(28)에 의해 가압되어서 덮개체(29)를 도 20중 반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하기 위한 돌기부(196)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196)의 하측에는, 폐색판(182)측에 배출부재(28)의 캠부가 접촉하기 쉽게 하기 위해 경사면부(197)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덮개체(29)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것 같이, 제 1 및 제 2지지구멍(187, 194)에 제 1 및 제 2지지축(188, 195)이 결합되는 것에서, 제 1 및 제 2지지축(188, 195)을 중심으로 도 19 및 도 20중 화살표 E방향 및 반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덮개체(29)는,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도 19 및 도 20중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다. 제 2회동 지지암(184)에 형성된 돌기부(196)의 경사면부(197)가 배출부재(28)의 캠부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서, 덮개체(29)는 도 19 및 도 20중 화살표 E방향으로 제 1 및 제 2지지축(188, 195)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섀시(14)의 전면 및 홀더(13)의 삽탈구(21)를 개방한다.
섀시(14)의 제 2측벽(17)에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것 같이, 섀시(14)와 홀더(13)를 연결하는 토션스프링(27)에 의해 섀시(14)의 배면측인 장착위치에 있는 홀더(13)를,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로 이동시키는 배출부재(28)가 설치된다. 배출부재(28)는, 제 2측벽(17)에 긴쪽방향, 즉, 도 20중 화살표 B방향 및 반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배출부재(28)는, 도 20에 나타내는 것 같이, 섀시(14)의 제 2측벽(17)의 높이와 거의 같은 폭을 가지고, 긴 대략 직사각 형태로 금속판을 타발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재(28)에는, 긴쪽방향에 따라서, 제 1가이드구멍(202)과 제 2가이드구멍(20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가이드구멍(202)에는, 섀시(14)의 제 2측벽(17)에 설치된 가이드 돌기부(204)가 결합되고, 제 2가이드구멍(203)에는 제 2측벽(17)에 형성된 가이드편(205)이 결합된다. 배출부재(28)는, 제 1가이드구멍(202)에 제 2측벽(17)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204)에 형성된 나사구멍(206a)에, 멈춤나사(206)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2측벽(17)에 부착된다.
배출부재(28)는, 도 20에 나타내는 것 같이, 가세부재인 인장스프링(30)에 의해 도 20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 인장스프링(30)은, 일단이 배출부재(28)의 섀시(14)의 배면측에 대응하는 단부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편(211)에 걸리게 되고, 타단이 섀시(14)의 제 2측벽(17)의 긴쪽방향이 중간쯤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편(212)에 걸리는 것에서, 배출부재(28)를 도 20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 섀시(14)의 제 2측벽(17)에 부착되는 배출부재(28)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것 같이, 섀시(14)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일단측에, 섀시(14)의 밑판(15)과 평행하게 되도록 절곡하여, 상술한 덮개체(29)의 제 2회동 지지암(184)에 형성된 돌기부(196)를 가압하는 캠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207)는, 섀시(14)의 밑판(15)에 형성된 개구부(136)에서 섀시(14)내에 면해져 있다. 그리고, 캠부(207)는, 덮개체(29)의 제 2회동 지지암(184)에 설치된 돌기부(196)의 하측에 형성된 경사면부(197)를 가압하기 쉽게 하기 위해, 섀시(14)의 배면측이 되는 측의 하측에 절곡한 절곡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재(28)의 섀시(14)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일단측에는, 상술한 회동암(131)의 타단측에 형성된 피가압부(134)를 섀시(14)의 배면측, 즉 도 20중 화살표 C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작편(209)이 섀시(14)의 밑판(15)과 평행하게 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조작편(209)에는, 배출부재(28)의 선단측에 상측으로 절곡하여 가압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편(209)에 형성된 가압부(210)는, 섀시(14)의 밑판(15)에 형성된 개구부(136)에서 섀시(14)내로 면하게 되고, 회동암(131)의 피가압부(134)에 결합된다.
또한, 배출부재(28)의 일단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장치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체에서 외편으로 면해진 배출조작부(50)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되는 조작자(28a)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배출부재(28)는, 조작자(28a)가 도 20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는 것에서,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술한 것 같이 배출부재(28)는, 홀더(13)가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도 20에 나타내는 것 같이, 도 20중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되고, 배출부재(28)를 도 20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하는 인장스프링(30)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도 20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배출부재(28)가 도 20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캠부(207)는, 덮개체(29)의 제 2회동 지지암(184)에 설치된 돌기부(196)의 하측에 형성된 경사면부(197)를 가압하고, 덮개체(29)를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홀더(13)의 삽탈구(21)를 개방하는도 20중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것과 동시에, 조작편(209)에 형성된 가압부(210)는, 회동암(131)의 피가압부(134)를 도 20중 화살표 C방향으로 가압하고, 같은 방향으로 회동암(131)을 회동시킨다. 회동암(131)의 일단에 형성된 가압부(133)는, 홀더(13)의 제 2결합돌기(178)를 가압하고, 홀더(13)를 도 17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회동암(131)의 가압부(133)가 홀더(13)의 제 2결합돌기(178)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홀더(13)가 도 17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홀더(13)가 도 17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토션스프링(27)은 홀더(13)를 도 17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상태로 반전하고, 홀더(13)를 삽탈위치에 가세하여, 홀더(13)를 삽탈위치로 이동시킨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로딩장치(120)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고서 판상메모리(1) 내의 반도체 메모리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질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비사용시의 로딩장치(120)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7에 나타내는 것 같이, 홀더(13)는 섀시(14)의 전면측으로 이동한 삽탈위치에 있고, 섀시(14)와 홀더(13)를 접속하는 토션스프링(27)은, 홀더(13)를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가세하는 제 1상태에 있다.
덮개체(29)는, 덮개체(29) 측의 걸림부(192)와 섀시(14) 측의 걸림부(193)에 걸린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도 19 및 도 20중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 가세되고, 섀시(14)의 전면 및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의 삽탈구(21)를 폐색한다. 덮개체(29)는, 홀더(13)의 삽탈구(12)에서 로딩장치(120)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회동암(131)은, 가압부(133)가 섀시(14)의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도 17중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되고 있다. 또, 섀시(14)의 제 1측벽(16)에 부착된 규제부재(161)는, 도 18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한쪽의 가로대부(167b)가 측벽(145)에 형성된 걸림편(168)에 걸리게 되고, 다른쪽의 가로대부(167c)가 회동암(131)에 형성된 걸림편(169)에 걸린 토션스프링(167)에 의해 도 18중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 가세된다. 규제부재(161)는, 선단부의 걸림부(165)가 홀더(143)의 메모리 지지판(18)에 형성된 개구부(164)의 근방의 이면에 걸린 상태에 있고, 선단측에 설치된 결합 돌기부(163)가 홀더(13) 내에 면하고, 규제구멍(16)이 섀시(14)의 밑판에 설치된 결합돌기(170)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즉, 홀더(13)는, 규제부재(161)의 규제구멍(166)이 섀시(14)의 결합돌기(170)에 결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섀시(14)에 대해서, 배면측이 되는 도 17중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다.
배출부재(28)는, 배출부재(28)측의 스프링 걸림편(211)과 섀시(14) 측의 스프링 걸림편(212)에 걸린 인장스프링(30)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측이 되는 도 17 및 도 20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며, 사용자는,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2돌출부(37)를 거쳐서 덮개판(25)에 설치된 표시부(26)를 눈으로 볼 수 있고, 사용자는 판상메모리(1)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의 삽입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비사용시의 로딩장치(120)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가 단자부(3)가 설치된 전면측을 삽입단으로 하고, 주면(2a)을 섀시(14)의 밑판(15)과 대향하는 하측으로 하여 삽입된다. 판상메모리(1)가 로딩장치(120)의 전면측에서 삽입될 때, 덮개체(29)는, 손가락 또는 판상메모리(1)의 전면부를 걸리게 하는 등하여, 덮개체(29)를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도 19 및 도 20중 화살표 E방향으로 가세하는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섀시(14)의 전면측, 즉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의 삽탈구(21)를 개방하는 같은 도면중 반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된다.
섀시(14)의 전면을 덮개체(29)가 개방하는 동시에, 도 21에 나타내는 것 같이, 홀더(13)의 삽탈구(21)에서는, 판상메모리(1)가 단자부(3)를 삽입단으로서 삽입된다. 도 16 및 도 21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의 전면측의 선단과 주면(2a) 측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8)와의 사이의 영역이 홀더(13) 내에 면하게 된 규제부재(161) 상을 도 21중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규제부재(161)는 홀더(13) 내에 면하게 된 규제부재(161)의 결합 돌기부(163)가 판상메모리(1)의 선단과 주면(2a) 측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8)와의 사이의 영역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서, 토션스프링(167)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지지축(162a)을 회동지점으로서, 도 21중 반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된다. 규제부재(161)가 반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규제부재(161)의 규제구멍(166)은, 도 18 및 도 21에 나타내는 것 같이, 섀시(14) 측의 결합돌기(170)와 결합되고,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는, 판상메모리(1)의 삽입에 수반하여 섀시(14)의 배면측의 도 21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을 금지한 상태가 된다. 홀더(13)는,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가 홀더(13)에 설치된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에 접속될 때까지 규제부재(161)에 의해 삽탈위치에 록되는 것에서, 확실히 단자부(3)를 구성하는 전극(3b)이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에 접속된다.
또한, 판상메모리(1)가 로딩디스크(120) 내에 삽입되면,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즉,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을 때, 판상메모리(1)가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되면, 판상메모리(1)는, 홀더(13)의 배면측에 설치된 커넥터(22)가 삽입구(155)에서 삽입된다.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는,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의 개방단에서 결합오목부(3c)에 결합하고, 전극(3b)을 가압한 상태로 전극(3b)과 전기적인 접속이 도모된다.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3c)에 제 1접속단자(23)가 결합하고, 전극(3b)과 제 1접속단자(23)가 접속되었을 때,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는, 홀더(13) 내의 규제부재(161)의 결합돌기부(163)의 상편에 위치한다. 그러면, 여기까지 판상메모리(1)의 선단에서 결합오목부(8)에 걸치는 영역에 결합돌기부(163)가 가압되고, 도 23중 반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던 규제부재(161)는,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와 규제부재(161)의 결합돌기부(163)가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에서, 토션스프링(167)의 가세력에 의해 도 23중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되고, 결합돌기부(163)가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에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여기까지 섀시(14)의 결합돌기(170)에 결합되어 있던 규제부재(161)의 규제구멍(166)과 결합돌기(170)와의 결합상태는 해제되고, 홀더(13)는, 섀시(14)의 배면측인 장착위치의 방향인 도 22 및 도 23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된다. 판상메모리(1)가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도 17에 나타내는 것 같이, 커넥터(22)에 설치된 탄성 결합편(160)은,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 오목부(7)에 결합하고, 판상메모리(1)가 홀더에서 빠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탄성 결합편(160)은,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 오목부(7)에 결합하였을 때, 탄성 변위하는 것으로 이용자에게 클릭감을 주고, 판상메모리(1)가 홀더(13) 내에 완전히 삽입된 것, 즉, 단자부(3)와 제 1접속단자(23)가 확실히 결합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킨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며, 사용자가 제 2창부(37)를 거쳐서 덮개판(25)에 설치된 표시부(26)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판상메모리(1)가 상술한 것과 같은 정규한 상태로 로딩장치(120)에 삽입되지 않았던 경우, 즉 판상메모리(1)가 배면측에서 삽입된 경우나 판상메모리(1)가 주면(2a)을 상측으로 하여 삽탈구(21)에서 삽입된 경우에는,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삽입된 경우라도, 판상메모리(1)의 결합 오목부(8)에 규제부재(161)의 결합돌기(163)가 결합되는 일은 없다. 즉,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어도, 홀더(3) 내의 규제부재(161)의 결합 돌기부(163)의 상편에는,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8)가 없기 때문에, 규제부재(161)는, 결합돌기부(163)가 판상메모리(1)의 주면에 가압된 채로의 상태이다. 즉, 규제구멍(166)이 섀시(14)의 결합돌기(170)와 결합된 상태가 계속되게 된다. 따라서,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는, 판상메모리(1)의 삽입에 수반하여 섀시(14)의 배면측의 도 21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것에 의해, 로딩장치(120)는, 판상메모리(1)가 오삽입된 경우에,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가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의 방향인 도 22 및 도 23중 B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이 금지되고, 판상메모리(1)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판상메모리(1)가 정규한 상태로 삽입되지 않았을 때, 탄성결합편(160)은 판상메모리(1)의 탈락방지용 오목부(7)에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판상메모리(1)가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단자부(3)가 결합오목부(3c)에 제 1접속단자(23)가 결합하는 전극(3b)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까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판상메모리(1)의 오삽입을 방지한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된 후, 다시 판상메모리(1)가 도 22 및 도 23중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되면, 도 24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는 로딩장치(120) 내에 완전히 수납되어, 로딩장치(120)에 장착되고, 반도체메모리에 대해서 정보신호이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도 24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가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다시 가압되면, 홀더(13)는 규제부재(161)의 규제구멍(166)과 섀시(14)의 결합돌기(170)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섀시(14)의 배면측에 있는 장치위치의 방향인 도 22 및 도 23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에 있다.
홀더(13)가 판상메모리(1)에 의해 도 24중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되면, 토글스프링(27)이 도 24중 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되어서 제 1상태에서 반전하고, 같은도면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홀더(13)를 가세하는 제 2상태가 된다. 토글스프링(27)이 도 24중 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되는 것에서, 홀더(13)는,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로 슬라이드 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22)에 접속된 판상메모리(1)는, 로딩장치(120) 내에 완전히 수납된다. 판상메모리(1)의 배면측에서 섀시(14)의 전면측을 폐색하는 것을 저지되어 있던 덮개체(29)는,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을 받아서 도 23중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되고,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고, 로딩장치(120) 내에 먼지 등이 칩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섀시(14)의 밑판(15)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회동암(131)은, 홀더(13)가 도 24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에서, 일단측의 가압부(133)가 토글스프링(27)의 제 2가로대부(176)의 결합부(176a)가 결합된 제 2결합돌기(178)에 의해 가압되고, 도 24중 반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된다.
상술과 같이 판상메모리(1)의 전극(3b)과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가 접속된 상태에서,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는, 커넥터(22)의 제 2접속단자(24)에 접속된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거쳐서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판상메모리(1)는, 이 장치위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컴퓨터 등의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카드본체(2)에 내장된 반도체메모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이 행해지고, 혹은 반도체메모리에 기억된 정보신호의 독출이 행해진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이며, 사용자는,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2창부(37)를 거쳐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의 라벨첩착부(9)에 첩착단 라벨(10)의 기재를 눈으로 볼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판상메모리(1)가 장착된 로딩장치(120)는, 다음과 같이 판상메모리(1)를 로딩장치(120)에서 배출한다. 즉,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것 같이, 장치본체의 케이스에서 외편에 면하게 된 배출조작부(50)를 거쳐서 조작자(28a)가 도 25 및 도 26중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되면, 배출부재(28)는, 인장스위치(30)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도 25 및 도 26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때, 배출부재(28)의 캠부(207)는, 덮개체(29)의 제 2회동 지지암(184)에 설치된 돌기부(196)를 도 25 및 도 26중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내는 것 같이, 캠부(207)에는 절곡부(208)가 형성되고, 돌기부(196)에는 하측의 절곡부(108)와 대향하는 위치에 경사면부(19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부(207)는, 돌기부(196)를 확실히 가압할 수 있다. 캠부(207)가 덮개체(29)의 돌기부(196)를 가압하는 것에서,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고 있는 덮개체(29)는, 캠부(207)가 덮개체(29)의 돌기부(196)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도 26중 반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되고, 섀시(14)의 전면을 개방하고, 판상메모리(1)를 배출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것과 동시에, 배출부재(28)의 조작편(209)에 형성된 가압부(210)는, 도 25중 반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되어, 피가압부(134)가 섀시(14)의 전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회동암(131)의 피가압부(134)에 당접된다. 그리고, 배출조작부(50)가 다시 조작되고, 또한 배출부재(28)가 다시 도 25 및 도 26중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가압부(210)는 회동암(131)의 피가압부(134)를 가압하고, 회동암(131)을도 25중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배출부재(28)의 가압부(210)가 회동암(131)의 피가압부(134)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회동암(131)의 가압부(133)는, 토글스프링(27)의 제 2가로대부(176)의 결합부(176a)가 결합된 제 2결합돌기(178)를 가압한다. 섀시(14)와 홀더(13)를 접속한 제 2상태에 있는 토글스프링(27)은 반전하고, 홀더(13)를 도 25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하는 제 1상태로 복귀하고, 홀더(13)를 도 25 및 도 26중 반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 섀시(14)의 배면측에 있던 홀던(13)는,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로 슬라이드 하고, 유지하고 있는 판상메모리(1)의 배면측을 섀시(14)의 전면에서 로딩장치(120) 외부에 면하게 시킨다.
섀시(14)의 전면에서 배면측이 외편에 면하게 된 판상메모리(1)는, 이용자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서 뽑아져서,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와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후, 덮개체(29)는, 토션스프링(189)의 가세력에 의해,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는 도 25 및 도 26중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되고, 섀시(14)의 전면 및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의 삽탈구(21)를 폐색하고, 로딩장치(120) 내에 먼지 등이 칩입하지 않게 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판상메모리(1)의 로딩장치(120)는, 판상메모리(1)를 배출할 때, 이용자가 장치본체의 케이스체에 설치된 배출조작부를 조작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섀시(14)가 배면측의 장치위치에 있는 홀더(13)를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홀더(13)에 부착된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와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를 구성하는 전극(3b)과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은 아니다. 즉, 이 로딩장치(120)에서는, 최종적인 판상메모리(1)의 취출은 이용자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로딩장치(120)는, 배출버튼을 가압 조작하는 것으로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와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의 전극(3b)과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로딩장치에 비해 배출조작부를 조작하는 조작력이 작게 되며, 용이하게 판상메모리(1)의 배출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판상메모리(1)가 오삽입되었을 때에는, 규제구멍(166)이 섀시(14) 측의 섀시(14)의 결합돌기(170)와 결합한 상태가 유지되게 되기 때문에, 로딩장치(120)에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판상메모리(1)의 로딩장치(120)에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규제부재(161)를 이용한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판상메모리(1)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로딩장치(220)는, 규제부재의 부분을 제외하고, 상술한 로딩장치(12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로딩장치(120)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는 생략한다.
이 로딩장치(220)는, 도 27에 나타내는 것 같이, 홀더(13)를 구성하는 측벽(145) 측에,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서 섀시(14)의 배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규제부재(221)가 부착된다. 이 규제부재(221)는, 홀더(13)의 측벽(145)에 따라서 설치할 수 있도록 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재(221)는, 중간쯤에 지지구멍(222)이 형성된다. 이 지지구멍(222)에 홀더(13)의 측벽(145)과 병행하여 형성된 커넥터 부착부(148)를 구성하는 규제벽(149b)에 설치된 지지축(223)이 삽통되는 것에서, 도 27중 화살표 F방향 및 반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로딩장치(220)는, 홀더(13)의 배면측이 개방된 상태에 있다.
규제부재(221)가 규제벽(149b)에 부착되었을 때, 규제부재(221)의 홀더(13)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후단부에는, 홀더(13)의 내편으로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편(224)이 형성된다. 이 절곡편(224)에는, 판상메모리(1)가 홀더(13) 내에 삽입되었을 때, 판상메모리(1)의 삽입단측에 형성된 경사면부(3a)가 충돌하여 가압되는 피가압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부(225)는, 홀더(13)의 배면측에서 홀더(13) 내에 면하게 되고, 홀더(13) 내에 정규한 상태로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었을 때, 판상메모리(1)의 경사면부(3a)와 대행하도록 절곡편(224)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향해서 예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재(221)에는, 하단측의 중간쯤에, 홀더(13)의 삽탈위치에서 장치본체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226)가 형성되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226)는, 홀더(13)를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록할 때, 섀시(14)의 밑판(15)과 제 2측벽(17)에 걸쳐서 형성된 결합구멍(227)에 결합된다. 섀시(14)의 밑판(15)과 제 2측벽(17)에 걸치는 위치에는, 결합구멍(227)에서 섀시(14)의 배면측에, 규제부(226)가 회피하게 되는 슬릿(228)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226)는,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될 때까지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후단측에 수직면부(229)가 형성되고,결합구멍(227)의 후단에 확실히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규제부(226)는, 홀더(13)가 판상메모리(1)를 배출하기 위해,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서 전면측의 삽탈위치로 이동할 때, 슬릿(228)의 전단을 원활하게 얹힐 수 있도록 경사면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재(221)는, 지지구멍(222)에 홀더(13)의 규제벽(149b)에 형성된 지지축(223)이 삽통되는 규제벽(149b)에 도 27중 화살표 F방향 및 반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규제부재(221)는 가세부재인 토션스프링(231)에 의해, 도 27중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 가세되어 있다. 토션스프링(231)은, 기체부(231a)가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가 형성된 후단부와 대향하는 전단부에 설치된 부착편(232)에 부착된다. 이 토션스프링(231)은, 한편의 가로대부(231b)가 홀더(13)를 구성하는 측벽(145)에 형성된 걸림편(233)에 걸리게 되고, 타편의 가로대부(231c)가 규제부재(221)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234)에 걸리게 된다. 토션스프링(231)은, 규제부재(221)를 도 27중 화살표 F방향으로 가세하고, 규제부(226)를 결합구멍(227)에 결합시킨다.
도 27중 화살표 F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는 규제부재(221)는, 같은 도면중 F방향으로 지나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규제돌기(235)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규제돌기(235)는, 섀시(14)의 제 2측벽(17)의 상단의 캠부(236)에 결합된다.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을 때, 회동규제돌기(235)는 제 1수평면부(236a)와 결합한다. 홀더(13)가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에 있을 때, 회동제어돌기(235)는 제 2수평면부(236b)와 결합한다. 캠부(236)는, 제 1및 제 2수평면부(236a, 236b)와, 이들 제 1 및 제 2수명면부(236a, 236b)를 연결하는 경사면부(236c)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수평면부(236a)는, 제 2수평면부(236b)보다 1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회동규제돌기(235)는, 홀더(13)가 삽탈위치에서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제 1수평면부(236a), 경사면부(236c), 제 2수평면부(236b)위를 이 순번에 따라서 이동한다.
또한, 규제부재(221)의 지지구멍(222)에 삽입된 홀더(13)의 지지축(223)은 섀시(14)의 제 2측벽(17)에, 홀더(13)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구멍(237)에 결합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로딩장치(220)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되고서 판상메모리(1)의 반도체메모리에 대해서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비사용시의 로딩장치(220)에 대해서 설명하면, 홀더(13)는 도 28에 나타내는 것 같이, 섀시(14)의 전면측으로 이동한 삽탈위치에 있다. 이때, 규제부재(221)는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의해, 지지축(223)을 중심으로 하여, 도 28중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되고, 규제부(226)를 섀시(14)의 결합구멍(227)에 결합시킨 상태에 있다. 따라서, 규제부재(221)가 부착되어 있는 홀더(13)는,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록된 상태에 있다. 이때, 규재부재(221)의 회동규제돌기(235)는, 캠부(236)를 구성하는 제 1수평면부(236a)에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며, 사용자는,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2창부(37)를 거쳐서 덮개판(25)에 설치된 표시부(26)를 눈으로 볼 수 있고,이용자는, 판상메모리(1)의 기록/또는 재생장치(11)에의 삽입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은 로딩장치(220)에는, 도 29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상메모리(1)가, 단자부(3) 측을 삽입단으로서 삽탈위치에 규제부재(221)에 의해 록되어 있는 홀더(13)에 삽입된다. 판상메모리(1)가 로딩장치(220)의 전면측에서 삽입될 때, 덮개체(29)에 손가락 또는 판상메모리(1)의 전면부를 걸리게 하는 등하여, 덮개체(29)를 섀시(14)의 전면을 개방하는 도 29중 반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홀더(13)의 삽탈구(21)를 개방한다.
섀시(14)의 전면이 개방되면 동시에, 도 29에 나타내는 것 같이, 홀더(13)의 삽탈구(21)에서 판상메모리(1)가 단자부(3)를 삽입단으로서 삽입된다. 이때,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가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의 개방단에서 결합오목부(3c)에 결합하고, 전극(3b)을 가압한 상태로 전극(3b)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접속단자(23)와 전극(3b)이 접속될 때까지, 규제부재(221)의 규제부(226)는 섀시(14)의 결합구멍(227)에 결합되고, 홀더(13)가 삽탈위치에 록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접속단자(23)는, 판상메모리(1)의 결합오목부(3c)에 결합하고, 단자부(7)와 확실히 전기적인 접속이 도모된다. 판상메모리(1)가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되면,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는, 판상메모리(1)의 경사면부(3a)에 가압된다. 그러면, 규제부재(221)는, 지지축(223)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도 29중 반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되고, 규제부(226)와 결합구멍(227)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홀더(13)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서 배면측의 장착위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이며, 사용자가 제 2창부(37)를 거쳐서 덮개판(25)에 설치한 표시부(26)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이다.
판상메모리(1)가 상술과 같은 정규한 상태로 로딩장치(220)에 삽입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제 1접속단자(23)가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를 구성하는 결합오목부(3c)에 결합되지 않는다.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도, 판상메모리(1)의 경사면부(3a)에 가압되지 않는다. 규제부재(221)는, 도 28중 반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고, 규제부(226)와 섀시(14)의 결합구멍(227)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고, 홀더(13)는 삽탈위치에 록된 채로의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로딩장치(220)는, 판상메모리(1)가 오삽입된 경우에,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가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의 방향인 도 28중 B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이 금지되고, 판상메모리(1)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메모리(1)가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완전히 삽입된 후, 다시 판상메모리(1)가 도 29중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되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메모리(1)는 로딩자치(220)내에 완전히 수납되어, 로딩장치(220)에 장착되고, 반도체메모리에 대해서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는, 규제부재(221)가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도 30중 반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하고, 규제부(226)와 결합구멍(227)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된 상태로,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규제부재(221)의 회동규제돌기(235)는, 캠부(236)를 구성하는 제 1수평면부(236a)에서 경사면부(236c)를 거쳐서 제 1수평면부(236a)보다 1단 높은 제 2수평면부(236b)로 이동한다. 규제부재(221)는, 제 1수평면부(236a)보다 1단 높은 제 2수평면부(236b)로 이동하는 것에서,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의해 도 30중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29)는, 도 30중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되고, 홀더(13)의 삽탈구(21) 및 섀시(14)의 전면을 폐색하고, 로딩장치(220) 내에 먼지 등이 칩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이며, 사용자는,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2창부(37)를 거쳐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에 장착된 판상메모리(1)의 라벨첩착부(9)에 첩착된 라벨(10)의 기재를 눈으로 볼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판상메모리(1)가 장착된 로딩장치(220)는, 다음과 같이 판상메모리(1)를 로딩장치(220)에서 배출한다. 즉, 장치본체의 케이스체에서 외편으로 향해진 배출조작부(50)가 조작되면,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치위치에 있는 홀더(13)는, 섀시(14)가 배변측의 삽탈위치에 이동한다. 그러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도 30중 반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는 규제부재(221)는, 회동규제돌기(235)가 캠부(236)를 구성하는 제 2수평면부(236b)에서 1단 낮은 제 1수평면부(236a) 위로 이동하는 것에서, 도 29중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홀더(13)에는 판상메모리(1)가 삽이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부재(221)는 피가압부(295)가 판상메모리(1)의 경사면부(3a)에 가압된 상태에 있고, 도 29중 반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두게 된다. 판상메모리(1)의 배면측은, 덮개체(29)가 개방되어 있는 홀더(13)의 삽탈구(21)에서 외편으로 향해진다.
판상메모리(1)가 이용자에 의해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서 뽑혀짐으로써, 판상메모리(1)의 단자부(3)와 커넥터(22)의 제 1접속단자(23)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것과 함께,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는, 판상메모리(1)의 경사면부(3a)에 의해 가압된 상태가 해제되고,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231)의 가세력에 의해, 도 28중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규제부재(221)의 규제부(226)는, 섀시(14)의 결합구멍(227)에 결합되고, 홀더(13)는, 섀시(14)의 전면측의 삽탈위치에 록된다. 판상메모리(1)가 완전히 로딩장치(220)에서 뽑혀진 후, 덮개체(29)는 도 28중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되고,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의 삽탈구(21)를 폐색하고, 로딩장치(220)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로딩장치(220)도, 상술한 로딩장치(120)와 동일하게, 커넥터(22)를 홀더(13)에 부착하고, 판상메모리(1)의 삽탈조작을 사용자에게 위임하는 것에서, 판상메모리(1)를 로딩장치(220)에서 배출할 때의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사용편의를 좋게 할 수 있다. 또, 이 로딩장치(220)는, 판상메모리(1)가 정규한 상태로 삽탈위치에 있는 홀더(13)에 삽입되었을 때에 한해서,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가 가압되고, 규제부(226)와 섀시(14)의 결합구멍(227)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정보신호의 기억 또는 재생을 행하는 섀시(14)의 배면측의 장착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판상메모리(1)가 정규한 상태로 홀더(13)에 삽입되지 않을 때는, 규제부재(221)의 피가압부(225)가 가압되지 않으며, 규제부(226)와 결합구멍(227)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홀더(13)가 삽탈위치에서 장착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로딩장치(220)도, 판상메모리(1)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규제부재가 홀더(13)에 부착되어 있으나, 규제부재는 섀시(14)에 대해서 홀더(13)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라면 좋다. 따라서, 규제부재는, 섀시(14)에 부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로딩장치(120, 220)는, 홀더(13)가 판상메모리(1)를 유지한 상태로 삽탈위치와 장착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따라서, 덮개판(25)은 홀더(13)와 함께 이동하는 커넥터(2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판상메모리(1)의 삽탈에 관련하여 홀더(13)와 함께 제 2창부(37) 내를 이동한다. 따라서, 로딩장치(120, 220)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는, 제 2창부(37)의 크기가 홀더(13)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덮개판(25)의 제 2창부(37)에 대향하는 양이 변화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덮개판(25)에 실시되는 표시부(26)의 제 2창부(37)에 면하는 상태가 가변된다. 또한, 표시부(26)에 의해, 홀더(13)에 판상메모리(1)가 삽입된 상태에 있는지, 판상메모리(1)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즉, 홀더(13)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메모리(1)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12)의 배면(31) 측에 설치한 메모리 삽탈구(32)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을 때, 예를 들면 덮개판(25)에설치한 삽입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구성한 표시부(26)의 전체가 하우징(12)의 외편에 면하고, 홀더(13)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홀더(13)에 삽입 유지된 판상메모리(1)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1) 내의 장착위치에 장착되는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표시부(26)를 구성하는 화살표의 일부, 예를 들면 화살표의 부분이 덮혀지는 크기로 제 2창부(37)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홀더(13)에 대한 판상메모리(1)의 삽입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상을 이루는 메모리가 장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의 위치에, 적어도 조작모드 혹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선택하는 선택조작을 설치하고,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의 위치에 장치본체에 장착된 판상메모리를 배출하는 배출조작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작모드의 선택과 판상메모리의 배출조작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한 판상메모리를 이용하여, 한층의 소형화가 도모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판상메모리는, 배출조작부가 설치되는 장치본체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으로 향해서 장치본체내에 삽입되므로, 배출조작부를 조작할 때, 장치본체에서 돌출하는 판상메모리를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본체로부터의 탈락 등을 방지하여 확실한 배출조작을 행할 수 있다.

Claims (69)

  1. 기록매체가 삽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와,
    상기 선택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를 배출하는 배출조작부을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배출조작부가 설치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배출조작부가 설치되는 면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작부는,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장치본체에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의 배출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기억매체 삽탈구가 설치되고, 상기 기억매체가 상기 장치본체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으로 향해서 삽입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측이며,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기억매체의 일부를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창부를 설치하여 이루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투시판에 의해 덮여져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와, 상기 장치본체 내의 신호처리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덮는 동시에, 상기 창부에서 상기 장치본체의 외편에 면하게 되는 덮개판을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장치본체에의 삽입방향을 나타내는 심벌이 설치되고, 상기 심벌은 상기 창부에서 투시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는, 상기 기억매체에 첩착된 라벨을 상기 장치본체의 외편에 면하게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와, 상기 장치본체 내의 신호처리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와 상기 신호처리회로가 접속된 상태로,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제 1위치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수납되는 제 2위치에, 상기 기억매체를 로딩하는 로딩부를 갖추고, 상기 덮개판은 상기 로딩부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 1접속단자와, 상기 제 1접속단자를 거쳐서 상기 기억매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 내의 신호처리회로에 접속되는 제 2접속단자를 가지며, 상기 덮개판은, 상기 제 2접속단자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5. 기억매체가 삽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고,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서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제 1위치와 상기 기억매체가 수납되는 제 2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가 제 1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기억매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를 배출하는 배출조작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배출조작부가 설치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작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배출조작부가 설치되는 면에 형행하게 이동 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작부는,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장치본체에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의 배출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제 1위치는,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이며, 상기 기억매체는 상기 장치본체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으로 향해서 삽입되는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측이며,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기억매체의 일부를 외편에 면하게 시키는 창부를 설치하여 이루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일체로 설치되는 투시판에 의해 덮여져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설치되고, 상기 기억매체와 상기 장치본체 내의 신호처리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덮는 동시에, 상기 창부에서 외편에 면하게 되는 덮개판을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는, 상기 기억매체에 점착되는 라벨을 외편에 면하게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상기 커넥터를 덮도록 설치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 1접속단자와, 상기 제 1접속단자를 거쳐서 상기 기억매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 내의 신호처리회로에 접속되는 제 2접속단자를 가지며, 상기 덮개판은, 상기 제 2접속단자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에 접속될 때까지, 상기 홀더의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장치본체 내의 섀시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하는 규제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홀더의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단자부에 접속된 후,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규제를 해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결합하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오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홀더를 상기 제 1위치에 규제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홀더에 자동자재로 설치되는 동시에 일편에 가세되어, 상기 섀시에 형성되는 결합부에 결합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의 전면측과 상기 돌기부가 결합하는 동시에 타편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재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홀더에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어, 상기 기억매체의 오목부와 상기 돌기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편으로 회동되어, 상기 규제부의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이 재차 해제되는 기록/또는 재생장치.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섀시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하는 규제부재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단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를 가지며, 상기 기억매체가 상기 제 1위치에 있는 홀더에 삽입되고,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삽입단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와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홀더에 회동자재로 설치되는 동시에 한편으로 가세되어,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단에 상기 피가압부가 결합되는 동시에 타편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와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기억매체가 상기 홀더에 오삽입되었을 때,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규제의 해제가 금지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6.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섀시에 형성되는 돌기부에 결합하는 구멍부를 갖추는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7.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섀시에 형성되는 구멍부에 결합하는 돌기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8.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단이 상기 섀시에 걸리는 가세부재의 타단이 걸림으로써 상기 섀시에 접속되고, 상기 규제부재에 의한 상기 제 1장치에의 규제의 해제 후, 상기 가세부재에 의해 제 2위치의 방향으로 가세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조작부에 의해 조작되는 배출부재를 갖추고, 상기 홀더는, 상기 배출부재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제 1위치로 이동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 회동자재로 설치되는 회동암을 갖추고, 상기 회동캠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배출부재에 일단이 가압됨으로써, 타단이 상기 홀더를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제 1위치로 이동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2.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상기 기억매체의 삽탈을 행하는 섀시의 전면측을 개폐하는 덮개체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섀시의 전면측을 폐색하는 폐색부와, 상기 폐색부를 상기 섀시에 대해서 회동지지하는 회동지지부를 갖추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일단이 상기 섀시에 걸리는 타단이 상기 회동지지부에 걸리는 가세부재에 의해 폐색방향으로 가세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부재를 갖추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배출부재에 가압됨으로써 개방방향으로 회동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배출부재에 형성된 캠부에 의해 상기 회동지지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가압되고,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섀시의 전면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7.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기억매체가 정규한 상태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기억매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결합되는 오삽입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8. 기억매체를 장치본체에 장착하는 스텝과,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설치되는 선택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적어도 상기 기록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스텝과,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설치되는 배출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의 배출이 행해지는 스텝을 가지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부가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고,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서 회동 조작되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50.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를 배출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작부가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평행하게 이동 조작되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51.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를 배출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작부가 상기 기억매체의 상기 장치본체에의 삽입방향으로 이동 조작됨으로써,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기억매체의 배출이 행해지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52.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기억매체 삽탈구가 설치되며, 상기 기억매체가 상기 장치본체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으로 향해서 삽입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53.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설치된 표시부에,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54.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창부에서 상기 장착되는 기억매체의 일부를 외편에 면하게 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55. 제 54항에 있어서,
    덮개판이 상기 기억매체와 상기 장치본체 내의 신호처리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덮는 동시에, 상기 창부에서 외편에 면하게 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56. 제 54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의 일부를 외편에 면하게 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에 첩착되는 라벨이 상기 창부에서 외편에 면하게 하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57.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와 상기 신호처리회로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삽탈되는 제 1위치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수납되는 제 2위치에 상기 기억매체를 로딩하는 스텝을 갖추고, 상기 덮개판이 외편에 면해지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이 상기 제 2접속단자를 덮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58.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가 장치본체 내에 장착되는 스텝은, 또한, 홀더에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스텝과, 상기 홀더가 제 1위치에 규제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와 상기 홀더에 설치된 커넥터가 접속되는 스텝과, 상기 접속과 동시에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규제가 해제되는 스텝과, 상기 규제가 해제되고,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상기 홀더를 수납하는 제 2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59. 제 58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규제되는 스텝은, 상기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에 의해 규제부재가 회동하는 스텝과, 상기 회동되는 상기 규제부재가 상기 섀시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홀더가 제 1위치에 규제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60.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규제가 해제되는 스텝은, 상기 접속과 동시에 상기 기억매체의 오목부와 상기 규제부재의 돌기부가 결합하여, 상기 규제가 해제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6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규제가 해제된 후, 상기 기억매체의 배출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던 홀더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62.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에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홀더가 상기 제 2위치까지 이동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63. 제 5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작부에 결합되는 배출부재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텝과, 상기 제 2위치에 있는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홀더를 상기 배출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제 1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상기 제 1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텝은, 상기 이동되는 배출부재에 일단이 가압됨으로써 섀시에 설치되는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스텝과,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이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홀더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홀더를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제 1위치에의 이동을 개시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65.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상기 제 1위치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텝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던 홀더가, 상기 기억매체의 배출방향으로 가세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배출방향에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홀더가 상기 제 1위치까지 이동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66.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가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스텝은, 또한, 홀더에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단자부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는 커넥터가 접속되는 스텝과, 상기 접속과 동시에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규제가 해제되는 스텝과, 상기 규제가 해제되고,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상기 홀더를 수납위치인 제 2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67. 제 6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규제가 해제되는 스텝은, 상기 단자부와 상기 커넥터부가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에 의해 규제부재가 회동하는 스텝과, 상기 규제부재가 회동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재와 섀시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68. 제 6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의 배출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던 홀더가,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으로 가세되는 스텝과, 상기 기억매체의 삽입방향에의 가세에 의해 상기 기억매체를 유지하는 홀더가 상기 제 2위치까지 이동되는 스텝을 갖추는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69. 손바닥 크기의 기억매체 및/또는 재생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기억매체가 삽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일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 내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에 의해 조작가능하며, 적어도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조작부와,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부에서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되는 기억매체를 배출하는 배출조작부를 갖추고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20017005012A 1999-08-24 2000-08-18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KR100764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762299 1999-08-24
JP99-237622 1999-08-24
JP35086099 1999-12-09
JP99-350860 1999-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946A true KR20010085946A (ko) 2001-09-07
KR100764032B1 KR100764032B1 (ko) 2007-10-08

Family

ID=2653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012A KR100764032B1 (ko) 1999-08-24 2000-08-18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91920B1 (ko)
JP (1) JP4649814B2 (ko)
KR (1) KR100764032B1 (ko)
CN (1) CN1273923C (ko)
DE (1) DE10082873B3 (ko)
WO (1) WO2001015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8419B2 (ja) * 2003-03-06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接続端子を有する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
TW200623552A (en) * 2004-12-29 2006-07-01 Fci Asia Technology Pte Ltd C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9990A (ja) * 1986-06-09 1987-12-16 Hitachi Ltd 透視窓付icカ−ド採用電気品
JPH01169690A (ja) * 1987-12-25 1989-07-04 Toshiba Corp メモリカード
JPH01195867A (ja) * 1988-02-01 1989-08-07 Ikuo Ogata 半導体ローラ型マッサージ器
JPH0834113B2 (ja) * 1988-02-29 1996-03-2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トリッジの取出機構
US5179871A (en) * 1988-02-29 1993-01-19 Fuji Photo Film Co., Ltd. System for unloading a memory cartridge
JP2866850B2 (ja) * 1989-09-26 1999-03-08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
JPH03110566U (ko) * 1990-02-23 1991-11-13
US5818182A (en) * 1993-08-13 1998-10-06 Apple Computer, Inc. Removable media ejection system
JP3019280U (ja) * 1995-05-18 1995-12-1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cカード用ホルダ
DE19626384A1 (de) * 1996-07-01 1998-01-08 Heinzl Joachim Medium zur Dateneingabe
JPH10111917A (ja) 1996-10-04 1998-04-28 Olympus Optical Co Ltd 携帯型音声情報記録再生装置
JPH10178691A (ja) * 1996-12-19 1998-06-30 Sony Corp アダプタ装置の着脱機構及びスピーカユニットの着脱機構
JPH10198772A (ja) * 1997-01-09 1998-07-31 Hitachi Ltd Icカードリーダ/ライタ
JPH10208359A (ja) * 1997-01-24 1998-08-07 Sony Corp 電子機器
JP4051728B2 (ja) * 1997-08-07 2008-02-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US6490235B1 (en) * 1997-08-07 2002-12-03 Sony Corporation Storage and reproduction apparatus with rotary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operations
JPH1195867A (ja) * 1997-09-18 1999-04-09 Toshiba Corp 取り外し可能なカード形の電子部品を有する携帯形情報機器
JPH11163984A (ja) * 1997-11-25 1999-06-18 Denso Corp 無線通信装置
JPH11237622A (ja) 1998-02-20 1999-08-31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11282500A (ja) 1998-03-31 1999-10-15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記録再生装置
JPH11296199A (ja) 1998-04-15 1999-10-29 Yukihiko Ohashi 音声録音再生装置
JPH11350860A (ja) 1998-06-08 1999-12-21 Hokkaido Electric Power Co Inc:The 梯 子
CA2348550A1 (en) * 1999-08-24 2001-03-01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3923C (zh) 2006-09-06
US6691920B1 (en) 2004-02-17
CN1327567A (zh) 2001-12-19
DE10082873T1 (de) 2002-02-28
KR100764032B1 (ko) 2007-10-08
DE10082873B3 (de) 2014-09-18
JP4649814B2 (ja) 2011-03-16
WO2001015069A1 (fr) 200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5317B2 (ja) 電子機器
US6768645B2 (en) IC card and IC-card adaptor
US7233489B2 (en) Memory card drive and portable memory card drive
JP2008243369A (ja) 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7125271B2 (en) Storage medium convey apparatus and convey method with ejection apparatus
JP4144111B2 (ja) 電子機器
JP4539005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764032B1 (ko)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JP5147285B2 (ja) ディスク収納体及びディスク装置
JP4240706B2 (ja) 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4080983B2 (ja) カートリッジ誤挿入防止装置、カートリッジオートチェンジャ及びオートチェンジャ付きカートリッジ自動制御装置
CN100541645C (zh) 记录及/或再现装置
MXPA01003981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torage medium
JPH07192451A (ja) 記憶装置及びこれを使用する記録再生装置
JP4158215B2 (ja) 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8130211A (ja) ディスク読取装置のエスカッション
JP2003168079A (ja) 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方法及びローディング装置並び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57357A (ja) Icカード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026536A (ja) 電子機器
JP2002026537A (ja) 電子機器
JP2000322518A (ja) 電子機器
JP2002093135A (ja) カード状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